KR20030049937A - 욕실용 에어컨 - Google Patents

욕실용 에어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9937A
KR20030049937A KR1020010080284A KR20010080284A KR20030049937A KR 20030049937 A KR20030049937 A KR 20030049937A KR 1020010080284 A KR1020010080284 A KR 1020010080284A KR 20010080284 A KR20010080284 A KR 20010080284A KR 20030049937 A KR20030049937 A KR 20030049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room
heat exchanger
mode
exhaust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0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5735B1 (ko
Inventor
박영민
박종한
이준세
김승천
최성오
조관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0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5735B1/ko
Publication of KR20030049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9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5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57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24F11/67Switching between heating and cooling m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실용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욕실의 내부의 공기를 순환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순환유로 및 배출유로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과; 상기 순환유로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열교환기와; 상기 순환유로중에 배치되어 공기가 순환되도록 순환팬과; 상기 배출유로중에 배치되는 제2열교환기와; 상기 제1열교환기와 상기 제2열교환기 사이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압축된 냉매가 감압팽창되는 팽창장치와; 상기 배출유로중에 배치되어 상기 욕실의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팬과; 상기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의 토출측에 배치되어 토출되는 냉매를 상기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중 어느 하나로 제공되도록 냉매유로를 절환하는 사방밸브와; 냉방모드 및 난방모드를 포함한 복수의 운전모드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와; 상기 순환유로의 흡입측에 배치되어 상기 욕실의 내부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센서와; 상기 온도검출센서의 검출결과 및 상기 모드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 상기 압축기와, 상기 순환팬과, 상기 배기팬 및 상기 사방밸브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욕실의 냉방 및 난방이 가능하여 욕실환경에 따른 폐해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욕실용 에어컨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욕실용 에어컨{AIR CONDITIONER FOR BATHROOM}
본 발명은, 욕실용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욕실의 냉방 및 난방이 가능하여 욕실환경에 따른 폐해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욕실용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방, 거실 또는 사무실, 영업점포 등의 공간내에 배치되어 공기의 온도, 습도, 청정도 및 기류를 조절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이다.
통상 에어컨은 하절기에 실내의 냉방을 목적으로 하는 냉방기를 일컬으며, 이러한 에어컨중 일부는 냉동사이클의 냉매의 흐름을 역전시켜 냉방기능 및 난방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소위 히트펌프(Heat Pump) 또는 사계절용 에어컨 등으로 불리고 있는 냉난방 겸용 에어컨이 있다.
한편, 생활환경의 변화에 따라 대부분의 주거공간의 내부에는 욕실 및 화장실(이하 욕실로 표기함)을 구비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욕실은 항상 물이 고여있고 사용한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구를 구비하고 있어 각종 곰팡이, 세균 등이 번식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각종 악취를 유발하여 불쾌감을 유발하게 된다고 하는 폐해가 있다. 특히, 습기가 많은 장마철, 또는 눈이 오는 날에는 햇볕이 들지 아니하고 바람도 잘 통하지 않기 때문에 곰팡이 등이 쉽게 끼게 되고, 악취가 쉽게 제거되지도 않는다.
욕실의 사용은 곰팡이, 악취 뿐만 아니라, 목욕시 발생된 다량의 습기로 벽, 유리 등에 수분이 응결되어 불편하고, 겨울철에 있어서는 거실, 방 등과 기온차로 인한 서늘함을 주게되어 고령의 노인들에게는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도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욕실의 냉방 및 난방이 가능하여 욕실의 사용에 따른 폐해를 해소할 수 있는 욕실용 에어컨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욕실용 에어컨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욕실용 에어컨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 내지 도 6은 각각 도 1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1의 욕실용 에어컨의 제어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케이싱 22 : 제1흡입구
24 : 제1토출구25 : 필터
26 : 탈취필터30 : 습도감지센서
32 : 제2흡입구34 : 제2토출구
36 : 배기구 37 : 배기댐퍼
39 : 배기덕트41 : 제1열교환기
43 : 순환팬 45 : 제2열교환기
47 : 배기팬 49 : 압축기
51 : 사방밸브53 : 팽창장치
57 : 삼방밸브59 : 모드선택부
60 : 온도검출센서 61 : 바닥난방부
62 : 바닥냉매배관 63 : 제어부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욕실의 내부 일 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욕실의 내부의 공기를 순환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순환유로 및 배출유로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과; 상기 순환유로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열교환기와; 상기 순환유로중에 배치되어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팬과; 상기 배출유로중에 배치되는 제2열교환기와; 상기 제1열교환기와 상기 제2열교환기 사이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압축된 냉매가 감압팽창되는 팽창장치와; 상기 배출유로중에 배치되어 상기 욕실의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팬과; 상기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의 토출측에 배치되어 토출되는 냉매를 상기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중 어느 하나로 제공되도록 냉매유로를 절환하는 사방밸브와; 냉방모드 및 난방모드를 포함한 복수의 운전모드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와; 상기 순환유로의 흡입측에 배치되어 상기 욕실의 내부온도를검출하는 온도검출센서와; 상기 온도검출센서의 검출결과 및 상기 모드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 상기 압축기와, 상기 순환팬과, 상기 배기팬 및 상기 사방밸브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에어컨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순환유로중에 배치되어 공기중의 이물질이 상기 욕실의 내부로 토출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순환유로중에 배치되어 공기중의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필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운전모드는 탈취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탈취모드시 상기 순환팬이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배출유로의 말단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유로를 개폐하는 배기댐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운전모드는 배기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기모드시 상기 배기팬이 회전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배출유로를 개방하도록 상기 배기댐퍼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단이 상기 배출유로의 말단에 상호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욕실의 외부로 연장되는 배기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 상기 케이싱은 상기 욕실의 천장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순환유로의 흡입측에 배치되어 상기 욕실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검출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유로의 말단에는 상기 욕실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제2토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기댐퍼는 상기 배기구와 상기 제2토출구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운전모드는 상기 욕실의 내부온도를 유지하면서 상기 욕실의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는 정온제습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온제습모드시 상기 습도검출센서의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순환팬, 압축기 및 배기팬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배기댐퍼가 배기구를 차단하고 제2토출구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순환팬은 크로스플로우팬, 시로코팬 및 터보팬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배기팬은 시로코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욕실의 바닥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을 가열하는 바닥난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여기서, 상기 사방밸브와 상기 제1열교환기사이에 상기 사방밸브를 경유한 냉매가 분기될 수 있도록 구비된 삼방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닥난방부는 일단은 상기 삼방밸브의 유출측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바닥에 소정의 가열영역이 형성되도록 경유하여 상기 제1열교환기와 상기 팽창장치 사이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는 냉매배관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운전모드는 바닥난방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닥난방모드시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상기 제1열교환기측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사방밸브를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바닥난방부로 냉매가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삼방밸브를 제어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 상기 바닥난방부는 상기 욕실의 바닥에 소정의 가열영역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전기히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운전모드는 바닥난방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난방모드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히터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욕실용 에어컨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욕실용 에어컨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3 내지 도 6은 각각 도 1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욕실용 에어컨의 제어블럭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실(3)의 내부에는 항상 습기 발생의 원인이 되는 물을 사용하는 세면대, 변기, 욕조 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욕실(3)의 천장(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욕실용 에어컨(10)이 설치되어 있다.
본 욕실용 에어컨(10)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함과 아울러 욕실(3)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순환유로와, 욕실(3)의 내부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유로를 구비하여 욕실(3)의 천장(5)에 설치되는 케이싱(11)과, 순환유로에 배치되는 제1열교환기(41)와, 제1열교환기(41)의 일측에 배치되는 순환팬(21)과, 배출유로에 배치되는 제2열교환기(45)와, 제2열교환기(45)의 일측에 배치되는 배기팬(47)과, 제1열교환기(41)와 제2열교환기(45)사이에 배치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49)와, 제1열교환기(41) 및 제2열교환기(45)사이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압축된 냉매가 통과하면서 감압팽창되는 팽창장치(53)와, 압축기(49)의 토출측에 배치되어 토출된 냉매를 제1열교환기(41) 및 제2열교환기(45)중 어느 하나로 제공되도록 냉매의 유로를 절환하는 사방밸브(51)와, 냉방모드 및 난방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운전모드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선택하는 모드선택부(59)와, 순환유로의 흡입측에 배치되어 욕실(3)의 내부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센서(60)와, 욕실(3)의 바닥(8)의 난방을 위한 바닥난방부(61)와, 온도검출센서(60) 및 모드선택부(59)에 의해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 압축기(49), 순환팬(21), 배기팬(47), 사방밸브(51)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6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11)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사각 통 형상을 가지며, 케이싱(11)의 측연에는 케이싱(11)을 욕실(3)의 천장(5)에 고정할 수 있도록 일단이 천장(5)에 고정된 고정부재(14)의 타단이 결합되어 있다. 케이싱(11)의 내부는 욕실(3)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순환유로가 형성된 순환부(21)와, 배출유로가 형성된 배기부(31)로 분리구획되어 있다.
순환부(21)의 저부면에는 욕실(3)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제1흡입구(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흡입구(22)의 일측에는 순환유로를 따라 유동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제1토출구(24)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의 흐름방향을 따라 제1흡입구(22)의 하류측에는 제1열교환기(41)가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으며, 제1열교환기(41)의 하류측에는 순환팬(21)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순환팬(21)은 크로스 플로우 팬(Crossflow Fan), 시로코팬(Sirocco Fan) 또는 터보팬(Turbo Fan)중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제1흡입구(22)에는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필터(25)가 배치되어 있으며, 필터(25)의 일측에는 공기중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도록 탈취필터(26)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탈취필터(26)는 산화촉매 탈취필터를 사용할경우 반 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순환유로의 흡입측에는 욕실(3)의 내부온도 및 습도를 각각 검출할 수 있도록 온도검출센서(60) 및 습도검출센서(30)가 구비되어 있다.
배기부(31)의 저부면에는 욕실(3)의 내부 공기가 배출유로로 흡입될 수 있도록 제2흡입구(32)가 형성되어 있다. 제2흡입구(32)의 일측에는 제2유로를 따라 유동된 공기가 욕실(3)로 다시 토출될 수 있도록 하향 개구된 제2토출구(34)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기부(31)의 측부에는 배출유로를 따라 유동한 공기가 욕실(3)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기구(36)가 형성되어 있다. 제2토출구(34) 및 배기구(36)의 인접영역에는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하회동하여 배기구(36) 및 제2토출구(34)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배기댐퍼(37)가 구비되어 있다.
배기부(31)의 내부에는 냉매를 압축할 수 있도록 압축기(49)가 설치되어 있으며, 압축기(49)의 일측에는 압축기(49)와 연결된 제2열교환기(45)가 배치되어 있다. 제2열교환기(45)의 하류측에는 배기팬(47)이 구비되어 있으며, 배기팬(47)은 정압 특성이 큰 시로코팬(Sirocco Fan)이 바람직하다.
배기구(36)의 외측 연부에는 일단이 실외에 배치되도록 연장된 배기덕트(39)의 타단이 상호 연통되게 고정결합되어 있으며, 배기덕트(39)는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이 가능하도록 주름관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압축기(49)의 상부영역에는 압축된 냉매가 토출될 수 있도록 토출관이 구비되어 있으며, 토출관에는 냉매의 유로를 절환할 수 있도록 사방밸브(51)가 구비되어 있다. 냉방기능 수행시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사방밸브(51)의 유출측은 응축기의 역할을 수행하는 제2열교환기(45)의 유입측과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으며, 제2열교환기(45)의 유출측은 제1열교환기(41)의 유입측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다. 제2열교환기(45)의 유출측과 제1열교환기(41)의 유입측의 사이에는 냉매가 감압팽창될 수 있도록 모세관으로 구현된 팽창장치(53)가 구비되어 있다.
사방밸브(51)의 다른 유출측에는 삼방밸브(57)의 유입측이 냉매배관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삼방밸브(57)의 유출측에는 바닥(8)으로 하향 연장되어 바닥(8)에 소정의 가열영역을 형성하도록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된 바닥냉매배관(62)의 유입측이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다. 바닥냉매배관(62)의 유출측은 상향 연장되어 제1열교환기(41)와 팽창장치(53)를 연결하는 냉매배관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다.
사방밸브(51)의 또 다른 유출측에는 압축기(49)의 일측에 구비된 어큐뮬레이터(52)의 유입측과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다.
한편, 제어부(63)는 제어회로가 내장된 마이컴 등으로 구성되며, 복수의 조작버튼을 구비한 모드선택부(59)와 함께 콘트롤패널 등의 형태로 욕실(3)의 출입구 등 조작이 용이한 영역에 설치된다.
제어부(63)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실(3)의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센서(60) 및 습도검출센서(30)와, 운전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59)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모드선택부(59)의 운전모드로는, 욕실(3)의 냉방을 위한 냉방모드와, 난방을위한 난방모드와, 욕실(3)의 냄새 제거를 위한 탈취모드와, 욕실(3)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모드와, 습기의 제거를 위한 정온제습모드와, 바닥(8)의 난방을 위한 바닥난방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냉방모드시에는 냉방, 제습, 탈취 및 배기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며, 난방모드시에는 난방, 탈취 및 배기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제어부(63)에는 이들 온도검출센서(60) 및 습도검출센서(30)의 검출 결과 및 모드선택부(59)에 의해 선택된 운전모드로 운전될 수 있도록 압축기(49), 순환팬(21), 배기팬(47), 배기댐퍼(37), 사방밸브(51) 및 삼방밸브(57)의 각 구동회로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하절기의 경우와 같이, 온도 및 습도가 높은 경우, 모드선택부(59)에 의해 냉방모드가 선택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3)는 배기구(36)가 개방되도록 배기댐퍼(37)를 제어하고, 순환팬(21) 및 배기팬(47)을 회전구동시킴과 아울러 온도검출센서(60)에 의해 검출된 실내온도에 기초하여 압축기(49)를 구동시킨다. 또한, 제어부(63)는 압축기(49)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제2열교환기(45)로 유동할 수 있도록 사방밸브(51)를 제어한다.
순환팬(21)이 구동되면 제1흡입구(22)를 통해 욕실(3)의 내부의 공기가 순환유로로 흡입되고, 흡입되는 공기중의 먼지 등 이물질은 필터(25)에 의해 포집되고 공기중의 냄새는 탈취필터(26)에 의해 제거된다.
배기팬(47)이 구동됨에 따라 제2흡입구(32)를 통해 욕실(3)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배출유로를 따라 유동하여 배기구(36) 및 배기덕트(39)를통해 욕실(3)의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욕실(3)의 환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압축기(49)에 의해 압축된 냉매는 사방밸브(51)에 의해 제2열교환기(45)로 유동하여 방열되고, 팽창장치(53)를 통과하면서 감압팽창되어 제1열교환기(41)에서 열교환작용을 수행한 후 어큐뮬레이터(52)를 경유하여 압축기(49)로 흡입된다.
한편, 모드선택부(59)에 의해 난방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63)는 배기구(36)가 개방되도록 배기댐퍼(37)를 제어함과 아울러 순환팬(21) 및 배기팬(47)이 구동되도록 한다. 다음 압축기(49)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제1열교환기(41)로 유동할 수 있도록 사방밸브(51)를 제어하고, 온도검출센서(60)에 의해 검출된 실내온도에 기초하여 압축기(49)를 구동시킨다.
압축된 냉매는 사방밸브(51)에 의해 제1열교환기(41)로 유동하고, 공기와 열교환작용하여 방열된 후 팽창장치(53)를 통과하면서 감압팽창되어 제2열교환기(45)로 유입된다. 제2열교환기(45)에서 주위의 잠열을 흡수한 냉매는 사방밸브(51) 및 어큐뮬레이터(52)를 지나 압축기(49)로 다시 흡입되어 압축된 후 순환된다.
순환팬(21)이 구동됨에 따라 제1흡입구(22)를 통해 흡입된 공기중의 먼지는 필터(25) 및 탈취필터(26)에 의해 이물질 및 냄새가 제거된 상태로 제1열교환기(41)와 접촉되어 온도가 상승된 후 제1토출구(24)를 통해 욕실(3)로 배출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난방, 공기청정기능 및 탈취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욕실(3)의 공기중 일부는 제2흡입구(32)를 통해 흡입되어 배기구(36)를 통해 욕실(3)의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환기작용도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난방모드와 함께 바닥난방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6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팬(21), 배기팬(47), 압축기(49), 사방밸브(51) 및 배기댐퍼(37)를 각각 제어함과 아울러, 바닥냉매배관(62)으로 냉매가 유동할 수 있도록 삼방밸브(57)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압축기(49)에 의해 압축된 냉매는 사방밸브(51)를 통해 제1열교환기(41)측으로 유동하고, 유동된 냉매는 삼방밸브(57)에 의해 분기되어 제1열교환기(41) 및 바닥냉매배관(62)으로 각각 유동하게 된다. 바닥냉매배관(62)으로 유동한 냉매는 바닥냉매배관(62)을 통해 방열된 후, 팽창장치(53)의 상류측 지점에서 제1열교환기(41)를 경유한 냉매와 합류하여 팽창장치(53)를 통과하면서 감압팽창되어 제2열교환기(45)로 유입된다.
한편, 장마철과 같이 다습한 경우 또는 욕실(3)을 세탁물 건조실로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모드선택부(59)로 정온제습모드를 선택한다. 정온제습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6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도검출센서(30)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제2토출구(34)가 개방되도록 배기댐퍼(37)를 제어한다. 다음, 순환팬(21) 및 배기팬(47)이 회전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압축된 냉매가 제2열교환기(45)로 유동할 수 있도록 사방밸브(51)를 제어하고, 온도검출센서(60)에 의해 검출된 결과에 기초하여 내부의 온도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압축기(49)를 구동시킨다.
제1흡입구(22)를 통해 흡입된 공기중의 수분은 제1열교환기(41)를 통과하면서 제1열교환기(41)의 표면에 응결되어 수분이 현저히 제거되고 냉각된 상태로 제1토출구(24)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제2흡입구(32)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제2열교환기(45)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되어 온도가 상승된 상태로 제2토출구(34)를 통해욕실(3)의 내부로 토출되어 제1열교환기(41)에 의해 냉각된 공기와 혼합됨으로써 욕실(3)의 내부온도는 거의 정온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욕실(3)의 내부의 냄새를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모드선택부(59)를 통해 탈취모드를 선택한다. 탈취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63)는 순환팬(21)만이 소정 시간 동안 회전구동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욕실(3)의 내부의 공기는 순환유로를 따라 반복적으로 유동하면서 탈취된다.
욕실(3)의 공기를 환기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모드선택부(59)로 배기모드를 선택한다. 배기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63)는 배기댐퍼(37)를 제어하여 배기구(36)가 개방되도록 함과 아울러 배기팬(47)이 회전구동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욕실(3)의 내부의 공기는 제2흡입구(32)를 통해 흡입되고 배출유로를 따라 유동하여 배기구(36) 및 배기덕트(39)를 통해 욕실(3)의 외부로 배출된다.
모드선택에 있어, 탈취모드 및 환기모드는 각각 선택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시 선택이 가능하며, 바닥난방모드는 난방모드선택시에만 선택이 가능하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케이싱이 욕실의 천장에 설치되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욕실의 측벽에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전술 및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바닥난방부를 욕실의 바닥에 바닥냉매배관을 매설하여 냉매가 유동하면서 난방이 되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욕실의 바닥에 전기히터를 매설하고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바닥난방모드는 독자적인 선택이 가능하고, 탈취모드 또는배기모드와 동시 선택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 및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압축기가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도록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압축기를 케이싱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순환유로 및 배출유로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과, 순환유로의 내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열교환기 및 순환팬과, 배출유로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열교환기 및 배기팬과, 실내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센서와, 냉동사이클을 형성하는 팽창장치 및 압축기와, 유로절환을 위한 사방밸브와, 운전모드의 선택을 위한 모드선택부와, 온도검출센서 및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마련하여, 욕실의 냉방, 난방, 제습, 환기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욕실의 사용에 따른 폐해를 해소할 수 있는 욕실용 에어컨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욕실의 냄새, 공기중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욕실을 세탁물 건조실로 활용할 수 있는 욕실용 에어컨이 제공된다.

Claims (17)

  1.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욕실의 내부 일 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욕실의 내부의 공기를 순환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순환유로 및 배출유로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과; 상기 순환유로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열교환기와; 상기 순환유로중에 배치되어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팬과; 상기 배출유로중에 배치되는 제2열교환기와; 상기 제1열교환기와 상기 제2열교환기 사이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압축된 냉매가 감압팽창되는 팽창장치와; 상기 배출유로중에 배치되어 상기 욕실의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팬과; 상기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의 토출측에 배치되어 토출되는 냉매를 상기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중 어느 하나로 제공되도록 냉매유로를 절환하는 사방밸브와; 냉방모드 및 난방모드를 포함한 복수의 운전모드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와; 상기 순환유로의 흡입측에 배치되어 상기 욕실의 내부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센서와; 상기 온도검출센서의 검출결과 및 상기 모드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 상기 압축기와, 상기 순환팬과, 상기 배기팬 및 상기 사방밸브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에어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중에 배치되어 공기중의 이물질이 상기 욕실의 내부로 토출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에어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중에 배치되어 공기중의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에어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모드는 탈취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탈취모드시 상기 순환팬이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에어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의 말단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유로를 개폐하는 배기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에어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모드는 배기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기모드시 상기 배기팬이 회전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배출유로를 개방하도록 상기 배기댐퍼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에어컨.
  7.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배출유로의 말단에 상호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욕실의 외부로 연장되는 배기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에어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욕실의 천장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에어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의 흡입측에 배치되어 상기 욕실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검출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욕실용 에어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의 말단에는 상기 욕실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제2토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기댐퍼는 상기 배기구와 상기 제2토출구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에어컨.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모드는 상기 욕실의 내부온도를 유지하면서 상기 욕실의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는 정온제습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온제습모드시 상기 습도검출센서의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순환팬, 압축기 및 배기팬을 구동시킴과동시에 상기 배기댐퍼가 배기구를 차단하고 제2토출구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에어컨.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팬은 크로스플로우팬, 시로코팬 및 터보팬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배기팬은 시로코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에어컨.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욕실의 바닥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을 가열하는 바닥난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에어컨.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방밸브와 상기 제1열교환기사이에 상기 사방밸브를 경유한 냉매가 분기될 수 있도록 구비된 삼방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닥난방부는 일단은 상기 삼방밸브의 유출측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바닥에 소정의 가열영역이 형성되도록 경유하여 상기 제1열교환기와 상기 팽창장치 사이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는 냉매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에어컨.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모드는 바닥난방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닥난방모드시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상기 제1열교환기측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사방밸브를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바닥난방부로 냉매가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삼방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에어컨.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난방부는 상기 욕실의 바닥에 소정의 가열영역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전기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에어컨.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모드는 바닥난방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난방모드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히터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에어컨.
KR10-2001-0080284A 2001-12-17 2001-12-17 욕실용 에어컨 KR100425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0284A KR100425735B1 (ko) 2001-12-17 2001-12-17 욕실용 에어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0284A KR100425735B1 (ko) 2001-12-17 2001-12-17 욕실용 에어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937A true KR20030049937A (ko) 2003-06-25
KR100425735B1 KR100425735B1 (ko) 2004-04-01

Family

ID=29575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0284A KR100425735B1 (ko) 2001-12-17 2001-12-17 욕실용 에어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57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57843A (zh) * 2015-01-26 2016-07-13 桂林航天工业学院 节能浴室空调器
KR20180132999A (ko) * 2017-06-01 2018-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경 제어 장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환경 제어 방법
EP3653942A4 (en) * 2017-09-13 2020-08-19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CLEANING AND DEHUMIDIFY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1799Y2 (ko) * 1974-07-18 1978-06-07
JPS51116650U (ko) * 1975-03-11 1976-09-21
JPH01131921U (ko) * 1988-02-29 1989-09-07
JPH0735911B2 (ja) * 1988-07-18 1995-04-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2000329424A (ja) * 1999-05-20 2000-11-30 Science Kk 冷凍サイクルからなる冷暖房給湯装置
JP2001074272A (ja) * 1999-09-01 2001-03-2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浴室暖房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57843A (zh) * 2015-01-26 2016-07-13 桂林航天工业学院 节能浴室空调器
CN105757843B (zh) * 2015-01-26 2018-07-17 桂林航天工业学院 节能浴室空调器
KR20180132999A (ko) * 2017-06-01 2018-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경 제어 장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환경 제어 방법
EP3653942A4 (en) * 2017-09-13 2020-08-19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CLEANING AND DEHUMIDIFYING MACHINE
US11698201B2 (en) 2017-09-13 2023-07-11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Purification dehumid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5735B1 (ko) 200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0207B2 (ja) 換気空調装置
JP2001116290A (ja) 暖房乾燥機
JP4735573B2 (ja) 換気空調装置
KR100425735B1 (ko) 욕실용 에어컨
JP3670771B2 (ja) 空調装置
JP4594552B2 (ja) 浴室乾燥装置
KR100567416B1 (ko) 분리형 환기회수율 조절식 폐열회수겸용 냉난방 공기조화기
JP4401174B2 (ja) 地熱を利用した建物の空調システム
JP2005114274A (ja) 空気調和機
KR100430002B1 (ko) 욕실용 공조기의 운전제어방법
JP4502658B2 (ja) 厨房用空気処理装置
KR20020072114A (ko) 고층건물의 공조시스템
JPH0229523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20210035684A (ko) 욕실 설치형 소형 에어컨
JP2008020107A (ja) 浴室空調装置
KR100459447B1 (ko) 욕실형 공기조화기
JPH06123469A (ja) 空調換気機能付き除湿ユニットの運転制御装置
KR100434073B1 (ko) 욕실형 에어컨의 응축수트레이
KR100430005B1 (ko) 욕실형 공기조화기의 토출기류 제어장치
KR100455202B1 (ko) 욕실형 에어컨 및 그의 제어방법
JP2549457B2 (ja) 簡易一体型空気調和機
KR100480108B1 (ko) 냉난방 겸용 욕실형 에어컨
JP4980482B1 (ja) 空調システム及び建物
KR100486580B1 (ko) 수냉식 욕실형 에어컨
KR100425739B1 (ko) 욕실형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