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2999A - 환경 제어 장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환경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환경 제어 장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환경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2999A
KR20180132999A KR1020170068621A KR20170068621A KR20180132999A KR 20180132999 A KR20180132999 A KR 20180132999A KR 1020170068621 A KR1020170068621 A KR 1020170068621A KR 20170068621 A KR20170068621 A KR 20170068621A KR 20180132999 A KR20180132999 A KR 20180132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environment
information
uni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3682B1 (ko
Inventor
임기순
노은지
박정민
이진아
송유미
유수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8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3682B1/ko
Publication of KR20180132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2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1/00Automatic controllers
    • G05B11/01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 G05B11/32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with inputs from more than one sensing element; with outputs to more than one correcting elem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10Weather information or foreca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환경 제어 장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환경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대상 환경상의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하여, 제어 대상 환경의 상태, 사용자의 특성 및 사용자의 요구가 반영된 환경 조절이 이루어지는 환경 제어 장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환경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환경 제어 장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환경 제어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CONDITIONS OF ENVIRONMENT, SYSTEM FOR CONTROLLING CONDITIONS OF ENVIRNMENT AND MEHTOD FOR CONTROLLING CONDITIONS OF ENVIRONMENT}
본 명세서는 환경 제어 장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환경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대상 환경상의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하는 환경 제어 장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환경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제어 대상 환경의 상태를 조절/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는 제어 대상 환경의 상태를 나타내는 요소들로,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상태는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는, 에어컨, 난방기, 제습기, 가습기 및 공기 청정기 등의 환경 조절 수단이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설치되어,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의 동작을 통해 조절이 된다.
에어컨으로 대표되는 종래의 환경 제어 기술은, 사용자가 단순 조작하는 입력에 따라 동작하게 되어, 제어 대상 환경의 상태 조절이 제한적/수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다. 종래의 에어컨은 한정된 환경 요소에 따른 환경 조절이 이루어져, 환경 조절에 대한 기능이 제한적으로 제공되었으며, 환경 상태의 변화나 제어 대상 환경 및 사용자의 특성 반영이 이루어지지 않아 다양한 조건의 환경 상태 조절이 어려울 수 밖에 없았다. 또한, 이러한 제약들로 인해 사용자의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기 어려울 수 밖에 없었다. 다양한 환경 제어 수단을 사용하여도, 환경 제어 수단들 각각의 제약과 사용자의 수동 조작의 한계로 인해, 제어 대상 환경의 특성 및 사용자의 특성에 맞는 환경 상태의 제공이 어려웠다.
즉, 종래의 환경 제어 기술은 다양한 환경 상태에 대한 용이한 환경 조절 및 적절한 환경 제공이 이루어지지 못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요구 조건에 따른 환경 조절/제공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명세서는 종래기술의 한계를 개선하는 것을 과제로 하여, 제어 대상 환경 및 사용자의 특성에 따른 환경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 제어 장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환경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대상 환경의 상태, 사용자의 특성 및 사용자의 요구가 반영된 환경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환경 제어 장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환경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사용자의 특성 및 사용자의 요구가 반영된 환경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나 이상의 환경 상태의 조절이 융복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 제어 장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환경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는 제어 대상 환경 및 사용자의 특성에 따른 환경 조절이 융복합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제어 대상 환경 및 사용자의 상태에 적합하고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 제어 장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환경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장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환경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요구 및 특성이 반영된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선택된 제어 모드에 따라,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손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하는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택된 제어 모드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를 포함한 현재 환경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손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하는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장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환경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요구 및 특성이 반영된 복수의 제어 모드를 제어 기준으로 하여, 선택된 제어 모드에 따라 현재 환경 상태를 분석 및 환경 상태의 조절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개별 또는 조합하여 조절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장치는, 제어 대상 환경에 설치된 환경 제어 장치로, 설치된 장소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를테면, 온도를 조절하는 냉/난방기, 습도를 조절하는 제/가습기 및 공기 청정도를 조절하는 공기 청정기의 기능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치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상기 환경 제어 장치는, 설치된 장소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를 포함한 현재 환경 상태를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설치된 장소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에 대한 환경 상태 조절을 수행하는 동작부 및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선택된 제어 모드에 따라 상기 현재 환경 상태를 분석하여 환경 상태의 조절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설치된 장소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동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센싱부는,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 습도를 센싱하는 습도 센서 및 공기 청정도를 센싱하는 공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동작부는, 상기 설치된 장소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동작부는, 온도를 조절하는 공조 수단, 온도를 조절하는 난방 수단,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 수단, 습도를 조절하는 제습 수단 및 공기 청정도를 조절하는 공기 청정 수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 모드는, 상기 환경 제어 장치의 사용자 특성에 따라 상기 설치된 장소의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어 모드일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제어 모드는, 자동으로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1 모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2 모드, 상기 사용자의 연령대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3 모드, 상기 사용자의 질병 상태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4 모드 및 상기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5 모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환경 제어 장치의 정보 표시 출력 및 정보 입력이 이루어지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선택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제어 모드는, 각각의 환경 상태 조절에 대한 제어 기준이 각각 기설정되어, 상기 제어 기준에 따라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기준을 기준으로 상기 현재 환경 상태를 분석하여 환경 상태의 조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모드에 따라 상기 현재 환경 상태를 분석하여, 상기 설치된 장소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각각에 대한 조절 여부 및 조절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판단한 상기 조절 여부 및 상기 조절 정도에 따라 상기 설치된 장소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동작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하나 이상의 외부의 타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외부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동작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동작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기상청 서버로부터 기상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기상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동작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타 가전 장치로부터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동작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동작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설치된 장소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획득한 촬영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동작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사용자를 인식하여, 인식한 상기 현재 사용자에 따른 사용 정보를 판단하고, 판단한 상기 사용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동작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설치된 장소의 재실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한 상기 재실 상태를 근거로 상기 동작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설치된 장소에 구비된 타 가전 장치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한 상기 동작 상태를 근거로 상기 동작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설치된 장소의 공간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한 상기 공간 상태를 근거로 상기 동작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설치된 장소에서 발생한 소리를 인식하는 마이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획득한 소리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동작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리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사용자를 인식하여, 인식한 상기 현재 사용자에 따른 사용 정보를 판단하고, 판단한 상기 사용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동작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리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설치된 장소에 구비된 타 가전 장치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한 상기 동작 상태를 근거로 상기 동작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시스템은, 제어 대상 환경을 단위로 환경을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특징으로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상기 환경 제어 시스템은,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각각을 센싱하는 복수의 센싱 수단,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각각을 조절하는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및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고,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선택된 제어 모드에 따라 상기 센싱 수단의 센싱 결과를 분석하여 환경 상태의 조절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센싱 수단은,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 습도를 센싱하는 습도 센서 및 공기 청정도를 센싱하는 공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은, 온도를 조절하는 공조 수단, 온도를 조절하는 난방 수단,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 수단, 습도를 조절하는 제습 수단 및 공기 청정도를 조절하는 공기 청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제어 모드는,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사용자 특성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어 모드일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제어 모드는, 자동으로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1 모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2 모드, 상기 사용자의 연령대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3 모드, 상기 사용자의 질병 상태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4 모드 및 상기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5 모드 중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어 모드에 따라 상기 현재 환경 상태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각각에 대한 조절 여부 및 조절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 수단은, 판단한 상기 조절 여부 및 상기 조절 정도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 수단이 포함된 환경 조절 수단은,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의 정보 표시 출력 및 정보 입력이 이루어지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및 외부의 타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서 발생한 소리를 인식하는 마이크부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받은 제어 정보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의 제어에 대한 명령 정보일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외부 정보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외부 정보는,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 기상청 서버로부터 수신한 기상 정보 및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또는 타 가전 장치로부터 수신한 동작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일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획득한 촬영 정보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촬영 정보는,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의 현재 사용자,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재실 상태,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구비된 타 가전 장치의 동작 상태 및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공간 상태 중 하나 이상이 촬영된 정보일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획득한 소리 정보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소리 정보는,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의 현재 사용자의 음성 및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구비된 타 가전 장치의 동작 상태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소리 정보일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방법은,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를테면, 제어 대상 환경에 설치된 환경 제어 장치, 또는 환경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은 환경 제어 장치, 또는 환경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하는 방법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상기 환경 제어 방법은,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를 포함한 현재 환경 상태를 센싱 및 사용자 특성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제어 모드 중 하나가 선택되는 단계, 선택된 제어 모드에 따라 상기 현재 환경 상태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상태 조절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설치된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제어 모드는, 자동으로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1 모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2 모드, 상기 사용자의 연령대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3 모드, 상기 사용자의 질병 상태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4 모드 및 상기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5 모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모드에 따라 상기 현재 환경 상태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각각에 대한 조절 여부 및 조절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외부의 타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타장치로부터 외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정보를 상기 판단 결과에 반영하여,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상기 판단 결과에 반영하여,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기상청 서버로부터 기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기상 정보를 상기 판단 결과에 반영하여,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구비된 타 가전 장치로부터 동작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동작 정보를 상기 판단 결과에 반영하여,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대한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판단 결과에 반영하여,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사용자를 인식하여, 인식한 상기 현재 사용자에 따른 사용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 정보를 상기 판단 결과에 반영하여,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재실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재실 상태를 상기 판단 결과에 반영하여,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구비된 타 가전 장치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동작 상태를 상기 판단 결과에 반영하여,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공간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공간 상태를 상기 판단 결과에 반영하여,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인식하여, 소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소리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대한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판단 결과에 반영하여,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발생한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음성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사용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 정보를 상기 판단 결과에 반영하여,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구비된 타 가전 장치에서 발생한 동작 소음을 인식하여 소음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소음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소음 정보에 해당하는 가전 장치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동작 상태를 상기 판단 결과에 반영하여,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장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환경 제어 방법은, 제어 대상 환경의 특성 및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특성에 맞는 융복합 환경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장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환경 제어 방법은,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사용자에게 맞춤형 환경 조절 기능과, 이에 따른 적절하고 쾌적한 환경 상태를 제공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장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환경 제어 방법은,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중 하나 이상의 환경 상태를 조절을 융복합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어 대상 환경 및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다양하고 적합한 환경 상태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환경 상태에 민감하거나,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는 영유아, 노인, 피부 질환자 및 천식 질환자에 맞는 환경 상태 조절이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환경 상태의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장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환경 제어 방법은, 상기와 같은 효과들로부터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고, 종래기술의 한계를 개선하게 됨은 물론, 당해 기술분야의 편리성, 용이성, 활용성, 효용성 및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환경 제어 기술 분야 및 이와 연관된 기술 분야의 발전을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a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장치의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1.
도 2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장치의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2.
도 3a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적용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1.
도 3b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적용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2.
도 3c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적용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3.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5a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모드 선택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1.
도 5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모드 선택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2.
도 5c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모드 선택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3.
도 5d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모드 선택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4.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 및 제어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부 및 제어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부 및 제어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시스템의 제어 구조를 나타낸 구조도.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제어 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1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도 1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1.
도 1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2.
도 1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3.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는 환경 제어 장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환경 제어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이를테면, 에어컨, 난방기, 제습기, 가습기 및 공기 청정기 등 가정 내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를 조절하는 환경 제어 장치 및 환경 제어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융복합적으로 조절하는 융복합 제어 장치, 융복합 제어 시스템 및 융복합 제어 방법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기술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환경 제어 장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환경 제어 방법, 실내 환경 제어 장치,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및 실내 환경 제어 방법, 홈 네트워크 장치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용도는 가정용 또는 사무용 등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기술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장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환경 제어 방법 각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장치의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1이다.
도 2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장치의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2이다.
도 3a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적용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1이다.
도 3b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적용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2이다.
도 3c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적용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3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a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모드 선택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1이다.
도 5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모드 선택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2이다.
도 5c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모드 선택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3이다.
도 5d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모드 선택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4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 및 제어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부 및 제어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부 및 제어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시스템의 제어 구조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조절 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1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2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3이다.
<환경 제어 장치>
먼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장치를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장치]는 하술된 실시 예들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 또는 단계의 일부 또는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실시 예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환경 제어 장치(이하, 제어 장치라 칭한다)는, 제어 대상 환경에 설치되어, 설치된 장소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를테면, 온도를 조절하는 냉/난방기, 습도를 조절하는 제/가습기, 공기 청정도를 조절하는 공기 청정기 등일 수 있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중 둘 이상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와 같은 장치들의 기능을 둘 이상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환경 제어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도 조절 기능에 습도 조절 및 공기 청정도 조절 기능이 융복합된 융복합 에어컨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가정에 설치되어, 설치된 장소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부(10), 동작부(20) 및 제어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장치(100)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대상 환경에 설치되는 에어컨, 또는 공기청정장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100)에서 상기 센싱부(10)는, 상기 제어 장치(100)가 설치된 장소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를 포함한 현재 환경 상태를 센싱한다.
즉, 상기 센싱부(10)는, 상기 제어 장치(100)에서 환경 상태 조절의 근거가 되는 상기 설치된 장소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를 센싱하는 센싱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 청정도는, 상기 설치된 장소의 공기중 미세먼지의 농도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 등과 같은 공기의 청정 정도를 의미한다.
상기 센싱부(10)는, 상기 설치된 장소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를 센싱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100)에서 상기 동작부(20)는, 상기 설치된 장소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에 대한 환경 상태 조절을 수행한다.
즉, 상기 동작부(20)는, 상기 제어 장치(100)에서 조절하는 상기 설치된 장소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에 대한 환경 상태 조절을 수행하는 조절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동작부(10)는, 상기 설치된 장소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를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100)에서 상기 제어부(30)는,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선택된 제어 모드에 따라 상기 현재 환경 상태를 분석하여 환경 상태의 조절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설치된 장소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동작부(20)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어 장치(100)에서 상기 센싱부(10)의 센싱 결과를 근거로, 상기 설치된 장소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동작부(20)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동작부(20) 및 상기 제어 장치(100)를 제어하는 중앙 처리 장치로, 복수의 회로 구성을 포함하는 제어 회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센싱부(10), 상기 동작부(20) 및 상기 제어부(30)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장치(100)는, 도 3a,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대상 환경에 설치되어, 설치된 장소(1)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한다.
이를테면, 상기 설치된 장소(1)에 존재하는 사용자가 환경에 민감한 유아인 경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를 센싱하여 상기 설치된 장소(1)의 환경 상태가 상기 사용자에 적절치 않음을 판단하고, 이에 따라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사용자의 특성에 맞게 조절하여,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장치(100)는,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를 포함한 현재 환경 상태를 센싱하는 상기 센싱부(10),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에 대한 환경 상태 조절을 수행하는 상기 동작부(20) 및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선택된 제어 모드에 따라 상기 현재 환경 상태를 분석하여 환경 상태의 조절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동작부(20)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30)를 포함하여, 상기 설치된 장소(1)의 환경 상태를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사용자에 맞게 조절하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센싱부(10), 상기 동작부(20) 및 상기 제어부(30)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상기 센싱부(10)는,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11), 습도를 센싱하는 습도 센서(12) 및 공기 청정도를 센싱하는 공기 센서(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0)는, 각각의 센서를 통해 센싱한 결과를 상기 제어부(3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동작부(20)는,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동작부(20)는, 온도를 조절하는 공조 수단(21), 온도를 조절하는 난방 수단(22),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 수단(23), 습도를 조절하는 제습 수단(24) 및 공기 청정도를 조절하는 공기 청정 수단(25)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조 수단(21)은, 상기 설치된 장소(1)를 냉방하는 에어컨일 수 있다.
상기 난방 수단(22)은, 상기 설치된 장소(1)를 난방하는 난방장치일 수 있다.
상기 가습 수단(23)은, 상기 설치된 장소(1)에 습기를 공급하는 가습기일 수 있다.
상기 제습 수단(24)은,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기일 수 있다.
상기 공기 청정 수단(25)은, 상기 설치된 장소(1)의 미세먼지 또는 이산화탄소를 정화하는 공기 청정기일 수 있다.
즉, 상기 동작부(20)는, 상기와 같은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이거나, 상기와 같은 장치들이 둘 이상 융합되어 복합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동작부(20)는,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장치에서 냉방 및 난방이 이루어지는 일체형 냉/난방 수단, 하나의 장치에서 가습 및 제습이 이루어지는 일체형 가습/제습 수단 및 하나의 장치에서 공기 정화가 이루어지는 일체형 공기 청정 수단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부(20)는, 각각의 수단을 통해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선택된 제어 모드에 따라 상기 설치된 장소(1)의 환경 상태의 조절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동작부(20)를 제어하여,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드는, 상기 제어 장치(100)의 사용자 특성에 따라 설정되어, 상기 설치된 장소(1)의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어 모드일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모드는, 상기 제어 장치(100)의 사용자 특성에 따라 상기 설치된 장소(1)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상기 제어 장치(100)의 제어 기준일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드는, 복수로 이루어져, 상기 제어 장치(100)의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어 모드는, 자동으로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1 모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2 모드, 상기 사용자의 연령대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3 모드, 상기 사용자의 질병 상태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4 모드 및 상기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5 모드 중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설치된 장소(1)의 환경 상태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제어 모드로, 이를테면 디폴트 모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어 모드로, 이를테면 아토피와 같은 증상이 있는 사용자의 피부의 민감도에 맞춰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의 조절이 이루어지는 민감 피부 맞춤 모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가 상기 사용자의 피부의 민감도에 맞는 환경으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3 모드는, 상기 사용자의 연령대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어 모드로, 이를테면 환경에 민감한 아기 또는 노인의 신체 민감도에 맞춰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의 조절이 이루어지는 아기/노인 맞춤 모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 민감도에 맞는 환경으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4 모드는, 상기 사용자의 질병 상태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어 모드로, 이를테면 천식 환자인 사용자의 호흡기 민감도에 맞춰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의 조절이 이루어지는 천식 질환자 맞춤 모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4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가 상기 사용자의 질환에 맞는 환경으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5 모드는, 상기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어 모드로, 이를테면 상기 사용자의 요리 또는 운동 등과 같은 활동 상태에 맞춰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의 조절이 이루어지는 요리/운동 맞춤 모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5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가 상기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맞는 환경으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기 제어 모드가 상기 제어 장치(100)에서 선택되는 예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어 장치(100)는, 상기 제어 장치(100)의 정보 표시 출력 및 정보 입력이 이루어지는 인터페이스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 모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40)는, 상기 제어 장치(100)의 정보가 외부로 표시되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이면서, 상기 제어 장치(100)의 제어 명령 정보, 또는 조작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일 수 있다.
즉, 상기 인터페이스부(40)는, 상기 제어 장치(100)의 입/출력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40)는, 바람직하게는 입/출력이 이루어지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화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어 장치(100)의 정보 출력 및 입력이 일괄적으로 이루어지는 인터페이스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화면의 예시는,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은 상기 인터페이스화면의 초기 화면으로, 상기 인터페이스화면에는 상기 설치된 환경(1)의 상기 현재 환경 상태, 상기 현재 환경 상태의 구체적인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및 상기 제어 장치(100)의 현재 제어 모드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현재 환경 상태는,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가 하나의 지수(Puri)로 종합적으로 평가되어 나타내어질 수 있고, 상기 현재 환경 상태의 구체적인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는,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를 센싱한 결과가 각각의 수치 및 각각의 지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형태로 나타내어질 수 있고, 상기 현재 제어 모드는, 상기 현재 제어 모드에 부여된 명칭이 바, 또는 배너 형태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인터페이스화면은, 상기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인터페이스화면상에서, 상기 현재 제어 모드가 표시된 바, 또는 배너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클릭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모드의 리스트가 표시되어 상기 제어 모드의 선택이 이루어지는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선택 화면상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터치되고 있는 상태에서 현재 제어 모드(우리집 맞춤 모드)에 위치한 선택창이 선택하고자 하는 제어 모드(민감 피부 맞춤 모드)로 드래그(drag) 조작되어, 상기 선택창이 선택하고자 하는 제어 모드(민감 피부 맞춤 모드)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선택창이 위치한 제어 모드(민감 피부 맞춤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에서 상기 제어 모드가 선택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제어 모드(민감 피부 맞춤 모드)에 대한 안내 및 설명이 표시되는 화면으로 전환되어, 상기 선택된 제어 모드(민감 피부 맞춤 모드)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에서 화면이 터치되면,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제어 모드(민감 피부 맞춤 모드)가 선택된 상기 인터페이스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 및 방법으로 상기 제어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제어 모드에 따라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의 조절이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어 모드는, 각각의 환경 상태 조절에 대한 제어 기준이 각각 기설정되어, 상기 제어 기준에 따라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제어 모드 각각은, 상기 제어 기준이 각각 기설정되어, 기설정된 상기 제어 기준 각각에 따라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의 조절이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 기준은, 상기 제어 모드에 따른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의 기준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어 기준은, 상기 제어 모드에 따른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각각의 적정 정도가 수치화된 기준일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제어 모드가 민감 피부 사용자의 맞춤 모드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피부 민감도에 따른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적정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가 수치화된 기준일 수 있다.
상기 제어 기준의 구체적인 설정 예시를 들면, 상기 제어 모드가 아토피 사용자의 맞춤 모드인 경우, 아토피 증세를 악화시키는 집먼지 진드기와 미세먼지의 예방을 위해 25℃ 이상의 온도 및 60% 이상의 습도를 피하고, 간지러움을 유발하는 건조함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어 기준이 20 내지 22℃의 온도, 40 내지 60%의 습도 및 보통 수준 이상의 공기 청정도로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제어 모드가 천식 환자의 맞춤 모드인 경우, 습도를 낮게하는 고온 및 온풍을 자제하기 위해, 상기 제어 기준이 40 내지 60%의 습도로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제어 모드가 영유아의 맞춤 모드인 경우, 체표면적이 적어 온도 변화에 민감함을 위해, 상기 제어 기준이 23 내지 24℃의 온도 및 40 내지 50%의 습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어 기준을 기준으로 상기 현재 환경 상태를 분석하여 환경 상태의 조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와 상기 제어 기준의 차이가 기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초과 또는 미달하는 경우, 상기 현재 환경 상태가 쾌적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현재 환경 상태의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와 상기 제어 기준의 차이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현재 환경 상태가 쾌적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현재 환경 상태의 조절이 불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어 기준을 기준으로 상기 현재 환경 상태를 분석하여 환경 상태의 조절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현재 환경 상태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각각을 분석하여, 각각의 상태의 조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어 모드에 따라 상기 현재 환경 상태를 분석하여,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각각에 대한 조절 여부 및 조절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각각에 대한 조절 여부 및 조절 정도를 판단하여,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각각이 조절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판단한 상기 조절 여부 및 상기 조절 정도에 따라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동작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조절 여부 및 상기 조절 정도에 따라,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를 각각 개별적으로 조절하도록 상기 동작부(20)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를 조합하여 조절하도록 상기 동작부(20)를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어 장치(100)는, 상기 제어부(30)가 상기 제어 모드에 따라 상기 현재 환경 상태를 분석하고,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각각에 대한 조절 여부 및 조절 정도를 판단하여, 상기 조절 여부 및 상기 조절 정도에 따라 상기 동작부(20)를 제어하여,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외부의 타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50),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60) 및 상기 설치된 장소(1)에서 발생한 소리를 인식하는 마이크부(70)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30)가 상기 통신부(50), 상기 카메라부(60) 및 상기 마이크부(70)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수집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동작부(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장치(100)는, 상기 현재 환경 상태를 분석하여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각각에 대한 조절 여부 및 조절 정도를 판단한 결과에, 상기 통신부(50), 상기 카메라부(60) 및 상기 마이크부(70)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동작부(2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되어, 상기 수집한 정보를 더 반영하여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조절 여부 및 조절 정도를 판단한 결과,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온도를 2℃ 상승, 습도를 10% 상승, 공기 청정도를 이산화탄소 및 미세먼지 농도가 최소화되도록 조절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에 따라 상기 동작부(20)에 포함된 공조 수단, 가습 수단 및 공기 청정 수단을 제어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통신부(50), 상기 카메라부(60) 및 상기 마이크부(70)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집한 정보, 이를테면 상기 통신부(50)를 통해 수집한 기상 정보를 상기 판단 결과에 반영하여, 상기 동작부(20)에 포함된 공조 수단, 가습 수단 및 공기 청정 수단 각각의 출력, 설정 목표치 또는 제어 범위를 현재 기상 상태에 맞게 조절하여 상기 동작부(2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100)는, 상기 통신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통신부(50)를 통해 수신한 외부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동작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50)는, 상기 제어 장치(100)에서 상기 외부의 타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외부의 타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수단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부(50)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51)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동작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단말(51)은, 상기 설치된 장소(1)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통신 장치로, 이동 단말,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컴퓨터, 노트북, 상기 제어 장치(100)를 조작하는 리모콘, 또는 상기 제어 장치(100)를 조작하는 전용 컨트롤 단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신상 정보,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활동 상태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상기 동작부(20)의 제어에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에 따라 상기 동작부(2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사용자의 신상 정보,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활동 상태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 정보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상기 설치된 장소(1)의 환경 상태 조절을 위한 상기 동작부(2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 정보를 상기 동작부(20)의 제어에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에 따라 상기 동작부(20)가 상기 설치된 장소(1)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동작부(2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또한, 상기 통신부(50)를 통해 기상청 서버(52)로부터 기상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기상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동작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상청 서버(52)는, 현재, 일간 및 주간의 날씨를 측정/예측하여, 측정/예측한 날씨에 관한 상기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기상청의 통신 서버일 수 있다.
상기 기상 정보는, 온도, 습도 및 미세먼지 농도를 포함한 현재 날씨 정보, 시간대별 날씨 변동 정보, 일간 및 주간 날씨 예측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기상 정보를 상기 동작부(20)의 제어에 반영하여, 상기 기상 정보에 따라 상기 동작부(2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0)는, 온도, 습도 및 미세먼지 농도를 포함한 현재 날씨 정보, 시간대별 날씨 변동 정보, 일간 및 주간 날씨 예측 정보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상기 설치된 장소(1)의 환경 상태 조절을 위한 상기 동작부(2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상 정보에 포함된 시간대별 날씨 변동 정보를 상기 동작부(20)의 제어에 반영하여, 시간대별 날씨 변동 정보에 따라 상기 동작부(20)가 상기 설치된 장소(1)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동작부(2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또한, 상기 통신부(50)를 통해 타 가전 장치(53)로부터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동작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동작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타 가전 장치(53)는, 상기 설치된 장소(1)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 장치(100)와 연동하여 동작 가능한 가전 장치로, 에어컨, 선풍기, 온풍기, 난방기, 제습기, 가습기, 공기 청정기, 모니터 장치, 세탁기, 조리 장치, 냉장고, 청소기 및 조명 제어 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동작 정보는, 상기 타 가전 장치(53)의 종류, 연동 여부, 현황, 제어 여부 및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동작 정보를 상기 동작부(20)의 제어에 반영하여, 상기 동작 정보에 따라 상기 동작부(2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타 가전 장치(53)의 종류, 연동 여부, 현황, 제어 여부 및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설치된 장소(1)의 환경 상태 조절을 위한 상기 동작부(2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동작 정보에 포함된 상기 타 가전 장치(53)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동작부(20)의 제어에 반영하여, 상기 타 가전 장치(53)의 동작 상태 따라 상기 동작부(20)가 상기 설치된 장소(1)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동작부(2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100)는, 상기 카메라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카메라부(60)를 통해 획득한 촬영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동작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60)는, 상기 제어 장치(100)가 설치된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한 영상을 이미지 또는 동영상 형태의 촬영 정보로 생성하는 촬영 수단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부(60)가 상기 설치된 장소(1)를 촬영하여 획득한 상기 촬영 정보(P)를 상기 카메라부(60)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촬영 정보(P)를 근거로 상기 동작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촬영 정보(P)를 분석하여 현재 사용자를 인식하여, 인식한 상기 현재 사용자에 따른 사용 정보를 판단하고, 판단한 상기 사용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동작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사용 정보는, 상기 제어 장치(100)의 사용자의 신상, 이전 사용 이력 및 사용 패턴을 포함하는 정보로, 상기 제어 장치(100)를 사용하는 한 명 이상의 사용자별로 신상, 이전 사용 이력 및 사용 패턴이 기저장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촬영 정보(P)를 분석하여 상기 카메라부(60)로 촬영된 현재 사용자를 인식하여, 기저장된 상기 사용 정보 중 인식한 상기 현재 사용자에 해당하는 사용 정보를 판단하여, 판단한 상기 사용 정보에 따라 상기 동작부(2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촬영 정보(P)를 분석하여 상기 설치된 장소(1)에 현재 존재하는 상기 현재 사용자를 인식하고, 상기 사용 정보 중 인식한 상기 현재 사용자에 해당하는 사용 정보를 판단하여, 판단한 상기 사용 정보에 포함된 상기 현재 사용자의 신상, 이전 사용 이력 및 사용 패턴에 따라 상기 설치된 장소(1)의 환경 상태 조절을 위한 상기 동작부(2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현재 사용자의 이전 사용 이력 및 사용 패턴을 상기 동작부(20)의 제어에 반영하여, 상기 현재 사용자의 이전 사용 이력 및 사용 패턴에 따라 상기 동작부(20)가 상기 설치된 장소(1)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동작부(2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또한, 상기 촬영 정보(P)를 분석하여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재실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한 상기 재실 상태를 근거로 상기 동작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재실 상태는, 상기 설치된 장소(1)에 현재 재실중인 사용자의 인원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촬영 정보(P)를 분석하여 상기 설치된 장소(1)에 현재 재실중인 사용자의 인원수를 판단하여, 판단한 사용자의 인원수에 따라 상기 동작부(2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촬영 정보(P)를 분석하여 상기 설치된 장소(1)에 현재 재실중인 사용자의 인원수를 판단하여, 판단한 상기 사용자의 인원수에 따라 상기 설치된 장소(1)의 환경 상태 조절을 위한 상기 동작부(2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설치된 장소(1)에 현재 재실중인 사용자의 인원수를 상기 동작부(20)의 제어에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원수에 따라 상기 동작부(20)가 상기 설치된 장소(1)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동작부(2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또한, 상기 촬영 정보(P)를 분석하여 상기 설치된 장소(1)에 구비된 타 가전 장치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한 상기 동작 상태를 근거로 상기 동작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상태는, 상기 설치된 장소(1)에 구비된 가전 장치의 동작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상기 가전 장치는, 에어컨, 선풍기, 온풍기, 난방기, 제습기, 가습기, 공기 청정기, 모니터 장치, 세탁기, 조리 장치, 냉장고, 청소기 및 조명 제어 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촬영 정보(P)를 분석하여 상기 설치된 장소(1)에 구비된 에어컨, 선풍기, 온풍기, 난방기, 제습기, 가습기, 공기 청정기, 모니터 장치, 세탁기, 조리 장치, 냉장고, 청소기 및 조명 제어 장치 중 어느 한 가전 장치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여, 판단한 상기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동작부(2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촬영 정보(P)를 분석하여 상기 설치된 장소(1)에 구비된 에어컨, 선풍기, 온풍기, 난방기, 제습기, 가습기, 공기 청정기, 모니터 장치, 세탁기, 조리 장치, 냉장고, 청소기 및 조명 제어 장치 중 어느 한 가전 장치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여, 판단한 상기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설치된 장소(1)의 환경 상태 조절을 위한 상기 동작부(2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설치된 장소(1)에 구비된 청소기의 동작 상태를 상기 동작부(20)의 제어에 반영하여, 상기 청소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동작부(20)가 상기 설치된 장소(1)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동작부(2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촬영 정보(P)를 분석하여 상기 설치된 장소(1)의 공간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한 상기 공간 상태를 근거로 상기 동작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공간 상태는, 상기 설치된 장소(1)의 크기, 구조, 재질, 방 배치, 가구 및 가전 장치 등의 배치 위치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촬영 정보(P)를 분석하여 상기 설치된 장소(1)의 크기, 구조, 재질, 방 배치, 가구 및 가전 장치 등의 배치 위치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판단하여, 판단한 상기 공간 상태에 따라 상기 동작부(2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촬영 정보(P)를 분석하여 상기 설치된 장소(1)의 크기, 구조, 재질, 방 배치, 가구 및 가전 장치 등의 배치 위치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판단하여, 판단한 상기 설치된 장소(1)의 크기, 구조, 재질, 방 배치, 가구 및 가전 장치 등의 배치 위치 중 하나 이상의 상태에 따라 상기 설치된 장소(1)의 환경 상태 조절을 위한 상기 동작부(2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설치된 장소(1)의 크기 및 구조 상태를 상기 동작부(20)의 제어에 반영하여, 상기 설치된 장소(1)의 크기 및 구조 상태에 따라 상기 동작부(20)가 상기 설치된 장소(1)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동작부(2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100)는, 상기 마이크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마이크부(70)를 통해 획득한 소리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동작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부(70)는, 상기 설치된 장소에서 발생한 소리를 인식하여, 인식한 소리로부터 소리 정보를 획득하는 소리 인식 및 획득 수단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부(70)가 상기 설치된 장소(1)에서 발생한 소리를 인식하여 획득한 상기 소리 정보를 상기 마이크부(70)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소리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동작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소리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사용자(71)를 인식하여, 인식한 상기 현재 사용자(71)에 따른 사용 정보를 판단하고, 판단한 상기 사용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동작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소리 정보는, 상기 현재 사용자(71)가 발생한 사용자 음성에 대한 정보일 수 있고, 상기 사용 정보는, 상기 사용자 음성을 발생한 상기 현재 사용자(71)의 신상, 이전 사용 이력 및 사용 패턴을 포함하는 정보로, 상기 제어 장치(100)를 사용하는 한 명 이상의 사용자별로 신상, 이전 사용 이력 및 사용 패턴이 기저장된 사용 정보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소리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마이크부(70)로 획득한 사용자 음성에 해당하는 현재 사용자(71)를 인식하고, 기저장된 상기 사용 정보 중 인식한 상기 현재 사용자(71)에 해당하는 사용 정보를 판단하여, 판단한 상기 사용 정보에 따라 상기 동작부(2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소리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설치된 장소(1)에 현재 존재하는 상기 현재 사용자(71)를 인식하고, 상기 사용 정보 중 인식한 상기 현재 사용자(71)에 해당하는 사용 정보를 판단하여, 판단한 상기 사용 정보에 포함된 상기 현재 사용자의 신상, 이전 사용 이력 및 사용 패턴에 따라 상기 설치된 장소(1)의 환경 상태 조절을 위한 상기 동작부(2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현재 사용자의 이전 사용 이력 및 사용 패턴을 상기 동작부(20)의 제어에 반영하여, 상기 현재 사용자의 이전 사용 이력 및 사용 패턴에 따라 상기 동작부(20)가 상기 설치된 장소(1)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동작부(2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또한, 상기 소리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설치된 장소(1)에 구비된 타 가전 장치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한 상기 동작 상태를 근거로 상기 동작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소리 정보는, 상기 설치된 장소(1)에 구비된 상기 설치된 장소(1)에 구비된 에어컨, 선풍기, 온풍기, 난방기, 제습기, 가습기, 공기 청정기, 모니터 장치, 세탁기, 조리 장치, 냉장고, 청소기 및 조명 제어 장치 중 어느 한 가전 장치의 동작 중 발생한 동작 소음에 대한 정보일 수 있고, 상기 동작 상태는, 상기 동작 소음을 발생한 장치의 동작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소리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설치된 장소(1)에 구비된 에어컨, 선풍기, 온풍기, 난방기, 제습기, 가습기, 공기 청정기, 모니터 장치, 세탁기, 조리 장치, 냉장고, 청소기 및 조명 제어 장치 중 어느 한 가전 장치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여, 판단한 상기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동작부(2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소리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설치된 장소(1)에 구비된 에어컨, 선풍기, 온풍기, 난방기, 제습기, 가습기, 공기 청정기, 모니터 장치, 세탁기, 조리 장치, 냉장고, 청소기 및 조명 제어 장치 중 어느 한 가전 장치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여, 판단한 상기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설치된 장소(1)의 환경 상태 조절을 위한 상기 동작부(2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설치된 장소(1)에 구비된 청소기의 동작 상태를 상기 동작부(20)의 제어에 반영하여, 상기 청소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동작부(20)가 상기 설치된 장소(1)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동작부(2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상기 제어 장치(100)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설치된 장소(1)의 특성 및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특성에 맞는 융복합 환경 조절이 이루어지게 되어, 상기 설치된 장소(1)의 사용자에게 적절하고 쾌적한 환경 상태를 제공하게 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상기 제어 장치(100)의 실시 예들은, 독립적인 실시 예들로 환경 제어 장치에 단독으로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고, 또는 하술할 환경 제어 시스템 및 환경 제어 방법의 실시 예들과 조합되거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환경 제어 방법에 적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환경 제어 시스템>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되, 앞서 설명한 환경 제어 장치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 중 예시에 관한 부분은 가급적 생략하고, 상기 환경 제어 시스템의 실시 형태에 관한 부분은 재차 인용하여 상기 환경 제어 시스템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시스템]은 상술된 또는 하술된 실시 예들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 또는 단계의 일부 또는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실시 예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환경 제어 시스템(이하, 제어 시스템이라 칭한다)은,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를테면, 온도를 조절하는 냉/난방기, 습도를 조절하는 제/가습기, 공기 청정도를 조절하는 공기 청정기를 포함한 제어 대상 환경에서,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를 조절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시스템은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를 복합적으로 조절하여 환경 상태를 조절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이를테면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수단,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수단 및 공기 청정도를 조절하는 공기 청정 수단을 포함하여,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를 복합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가정에 적용되어, 설치된 장소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10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각각을 센싱하는 복수의 센싱 수단(10),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각각을 조절하는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 및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고,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선택된 제어 모드에 따라 상기 센싱 수단(10)의 센싱 결과를 분석하여 환경 상태의 조절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30)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센싱 수단(10)은, 환경 상태 조절의 근거가 되는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각각에 대한 센싱을 수행하는 수단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센싱 수단(10)은,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 습도를 센싱하는 습도 센서 및 공기 청정도를 센싱하는 공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센싱 수단(10)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온도 센서, 상기 습도 센서 및 상기 공기 센서를 각각 하나 이상씩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센싱 수단#1(10#1)은 상기 온도 센서, 센싱 수단#2(10#2)는 상기 습도 센서, 센싱 수단#3(10#3)은 상기 공기 센서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센싱 수단(10)은,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분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센싱 수단(10)은 또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센싱 수단(10)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 중 상기 제어 수단(30)이 포함된 환경 조절 수단(100#1)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은, 상기 복수의 센싱 수단(10)의 센싱 결과에 따른 상기 제어 수단(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대한 환경 상태 조절을 수행하는 수단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에서 환경 조절 수단 각각은,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를 조절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를테면, 온도를 조절하는 냉/난방기, 습도를 조절하는 제/가습기 및 공기 청정도를 조절하는 공기 청정기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은, 온도를 조절하는 공조 수단, 온도를 조절하는 난방 수단,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 수단, 습도를 조절하는 제습 수단 및 공기 청정도를 조절하는 공기 청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조 수단, 상기 난방 수단, 상기 가습 수단, 상기 제습 수단 및 상기 공기 청정 수단를 각각 하나 이상씩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환경 조절 수단#1(100#1)은 상기 공조 수단, 환경 조절 수단#2(100#2)는 상기 난방 수단, 환경 조절 수단#3(100#3)은 상기 가습 수단, 환경 조절 수단#4(100#4)는 상기 제습 수단, 환경 조절 수단#5(100#5)는 상기 공기 청정 수단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은,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분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은, 상호간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은, 상호간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30)은,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제어 시스템(1000)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는 수단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30)은,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어, 포함된 환경 조절 수단(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30)은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함된 환경 조절 수단(100)과 연동된 환경 조절 수단(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수단(30)은,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30)은, 상기 선택된 제어 모드에 따라 상기 센싱 수단(10)의 센싱 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의 조절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을 제어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어 모드는,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사용자 특성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어 모드일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모드는,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사용자 특성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상기 제어 시스템(1000)의 제어 기준일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드는, 자동으로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1 모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2 모드, 상기 사용자의 연령대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3 모드, 상기 사용자의 질병 상태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4 모드 및 상기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5 모드 중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제어 모드로, 이를테면 디폴트 모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어 모드로, 이를테면 아토피와 같은 증상이 있는 사용자의 피부의 민감도에 맞춰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의 조절이 이루어지는 민감 피부 맞춤 모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가 상기 사용자의 피부의 민감도에 맞는 환경으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3 모드는, 상기 사용자의 연령대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어 모드로, 이를테면 환경에 민감한 아기 또는 노인의 신체 민감도에 맞춰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의 조절이 이루어지는 아기/노인 맞춤 모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 민감도에 맞는 환경으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4 모드는, 상기 사용자의 질병 상태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어 모드로, 이를테면 천식 환자인 사용자의 호흡기 민감도에 맞춰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의 조절이 이루어지는 천식 질환자 맞춤 모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4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가 상기 사용자의 질환에 맞는 환경으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5 모드는, 상기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어 모드로, 이를테면 상기 사용자의 요리 또는 운동 등과 같은 활동 상태에 맞춰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의 조절이 이루어지는 요리/운동 맞춤 모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5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가 상기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맞는 환경으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 모드는, 상기 제어 수단(30)이 포함된 환경 조절 수단(100#1)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드는, 상기 제어 수단(30)이 포함된 환경 조절 수단(100#1)의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어 모드는, 각각의 환경 상태 조절에 대한 제어 기준이 각각 기설정되어, 상기 제어 기준에 따라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제어 모드 각각은, 상기 제어 기준이 각각 기설정되어, 기설정된 상기 제어 기준 각각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의 조절이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 기준은, 상기 제어 모드에 따른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의 기준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제어 모드가 민감 피부 사용자의 맞춤 모드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피부 민감도에 따른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적정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가 수치화된 기준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30)은, 상기 제어 기준을 기준으로 상기 현재 환경 상태를 분석하여 환경 상태의 조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와 상기 제어 기준의 차이가 기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초과 또는 미달하는 경우, 상기 현재 환경 상태가 쾌적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현재 환경 상태의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와 상기 제어 기준의 차이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현재 환경 상태가 쾌적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현재 환경 상태의 조절이 불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30)은, 상기 제어 기준을 기준으로 상기 현재 환경 상태를 분석하여 환경 상태의 조절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현재 환경 상태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각각을 분석하여, 각각의 상태의 조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30)은, 상기 제어 모드에 따라 상기 현재 환경 상태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각각에 대한 조절 여부 및 조절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수단(30)은,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각각에 대한 조절 여부 및 조절 정도를 판단하여, 상기 제어 대상 영역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각각이 조절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30)은, 판단한 상기 조절 여부 및 상기 조절 정도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수단(30)은, 상기 조절 여부 및 상기 조절 정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 각각을 연동 제어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하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어 시스템(1000)은, 상기 제어 수단(30)이 포함된 환경 조절 수단(100#1)이 상기 제어 모드에 따라 상기 현재 환경 상태를 분석하고,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각각에 대한 조절 여부 및 조절 정도를 판단하여, 상기 조절 여부 및 상기 조절 정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을 연동 제어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30)이 포함된 환경 조절 수단(100#1)은,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의 정보 표시 출력 및 정보 입력이 이루어지는 인터페이스부(40), 상기 복수의 환경 제어 수단(100) 및 외부의 타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50),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60) 및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서 발생한 소리를 인식하는 마이크부(70)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30)이 포함된 환경 조절 수단(100#1)은, 상기 인터페이스부(40), 상기 통신부(50), 상기 카메라부(60) 및 상기 마이크부(70)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 수단(30)이 상기 인터페이스부(40), 상기 통신부(50), 상기 카메라부(60) 및 상기 마이크부(70)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수집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수단(30)은, 상기 현재 환경 상태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각각에 대한 조절 여부 및 조절 정도를 판단한 결과에, 상기 인터페이스부(40), 상기 통신부(50), 상기 카메라부(60) 및 상기 마이크부(70)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되어, 상기 수집한 정보를 더 반영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40)는, 상기 환경 조절 수단(100)의 정보가 외부로 표시되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이면서, 상기 환경 조절 수단(100)의 제어 명령 정보, 또는 조작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40)는, 바람직하게는 입/출력이 이루어지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화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환경 조절 수단(100)의 정보 출력 및 입력이 일괄적으로 이루어지는 인터페이스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40)는, 상기 인터페이스화면상에 상기 제어 모드가 선택되는 화면을 표시하여, 상기 제어 모드가 선택되는 화면상에서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어 모드가 선택되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30)은, 상기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입력받은 제어 정보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의 제어에 대한 명령 정보일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수단(30)은, 상기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의 제어에 대한 명령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을 제어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30)은, 상기 통신부(50)를 통해 수신한 외부 정보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50)는, 사용자의 단말, 기상청 서버, 상기 복수의 환경 제어 수단(100) 또는 타 가전 장치 중 하나 이상과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외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 상기 기상청 서버로부터 수신한 기상 정보 및 상기 복수의 환경 제어 수단(100) 또는 상기 타 가전 장치로부터 수신한 동작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단말은,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사용자의 통신 장치로, 이동 단말,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컴퓨터, 노트북, 상기 환경 조절 수단(100)을 조작하는 리모콘, 또는 상기 환경 조절 수단(100)을 조작하는 전용 컨트롤 단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신상 정보,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활동 상태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30)은,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상기 복수의 환경 제어 수단(100)의 제어에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제어 수단(100)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수단(30)은, 상기 사용자의 신상 정보,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활동 상태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 정보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 조절을 위한 상기 복수의 환경 제어 수단(10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 정보를 상기 복수의 환경 제어 수단(100)의 제어에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제어 수단(100)이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복수의 환경 제어 수단(10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기상청 서버는, 현재, 일간 및 주간의 날씨를 측정/예측하여, 측정/예측한 날씨에 관한 상기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기상청의 통신 서버일 수 있다.
상기 기상 정보는, 온도, 습도 및 미세먼지 농도를 포함한 현재 날씨 정보, 시간대별 날씨 변동 정보, 일간 및 주간 날씨 예측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30)은, 상기 기상 정보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의 제어에 반영하여, 상기 기상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수단(30)은, 온도, 습도 및 미세먼지 농도를 포함한 현재 날씨 정보, 시간대별 날씨 변동 정보, 일간 및 주간 날씨 예측 정보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 조절을 위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상 정보에 포함된 시간대별 날씨 변동 정보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의 제어에 반영하여, 시간대별 날씨 변동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이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복수의 환경 제어 수단(10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타 가전 장치는,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과 연동하여 동작 가능한 가전 장치로, 모니터 장치, 세탁기, 조리 장치, 냉장고, 청소기 및 조명 제어 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동작 정보는,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 또는 상기 타 가전 장치의 종류, 연동 여부, 현황, 제어 여부 및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30)은, 상기 동작 정보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의 제어에 반영하여, 상기 동작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수단(30)은,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 또는 상기 타 가전 장치의 종류, 연동 여부, 현황, 제어 여부 및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 조절을 위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동작 정보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 또는 상기 타 가전 장치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의 제어에 반영하여,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 또는 상기 타 가전 장치의 동작 상태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이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30)은, 상기 카메라부(60)를 통해 획득한 촬영 정보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60)는, 상기 환경 조절 수단(100)이 설치된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한 영상을 이미지 또는 동영상 형태의 촬영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촬영 정보는, 상기 환경 조절 수단(100)의 현재 사용자,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재실 상태,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구비된 타 가전 장치의 동작 상태 및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공간 상태 중 하나 이상이 촬영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30)은,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사용자를 인식하여, 인식한 상기 현재 사용자에 따른 사용 정보를 판단하고, 판단한 상기 사용 정보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사용 정보는, 상기 환경 조절 수단(100)의 사용자의 신상, 이전 사용 이력 및 사용 패턴을 포함하는 정보로, 상기 환경 조절 수단(100)을 사용하는 한 명 이상의 사용자별로 신상, 이전 사용 이력 및 사용 패턴이 기저장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30)은,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카메라부(60)로 촬영된 현재 사용자를 인식하여, 기저장된 상기 사용 정보 중 인식한 상기 현재 사용자에 해당하는 사용 정보를 판단하여, 판단한 상기 사용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수단(30)은,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현재 존재하는 상기 현재 사용자를 인식하고, 상기 사용 정보 중 인식한 상기 현재 사용자에 해당하는 사용 정보를 판단하여, 판단한 상기 사용 정보에 포함된 상기 현재 사용자의 신상, 이전 사용 이력 및 사용 패턴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 조절을 위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현재 사용자의 이전 사용 이력 및 사용 패턴을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의 제어에 반영하여, 상기 현재 사용자의 이전 사용 이력 및 사용 패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이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30)은 또한,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재실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한 상기 재실 상태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재실 상태는,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현재 재실중인 사용자의 인원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30)은,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현재 재실중인 사용자의 인원수를 판단하여, 판단한 사용자의 인원수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수단(30)은,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현재 재실중인 사용자의 인원수를 판단하여, 판단한 상기 사용자의 인원수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 조절을 위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현재 재실중인 사용자의 인원수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의 제어에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원수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이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또한,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구비된 타 가전 장치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한 상기 동작 상태를 근거로 상기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상태는,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구비된 가전 장치의 동작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상기 가전 장치는, 에어컨, 선풍기, 온풍기, 난방기, 제습기, 가습기, 공기 청정기, 모니터 장치, 세탁기, 조리 장치, 냉장고, 청소기 및 조명 제어 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30)은,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구비된 에어컨, 선풍기, 온풍기, 난방기, 제습기, 가습기, 공기 청정기, 모니터 장치, 세탁기, 조리 장치, 냉장고, 청소기 및 조명 제어 장치 중 어느 한 가전 장치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여, 판단한 상기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수단(30)은,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구비된 에어컨, 선풍기, 온풍기, 난방기, 제습기, 가습기, 공기 청정기, 모니터 장치, 세탁기, 조리 장치, 냉장고, 청소기 및 조명 제어 장치 중 어느 한 가전 장치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여, 판단한 상기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 조절을 위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구비된 청소기의 동작 상태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의 제어에 반영하여, 상기 청소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이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30)은 또한,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공간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한 상기 공간 상태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공간 상태는,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크기, 구조, 재질, 방 배치, 가구 및 가전 장치 등의 배치 위치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30)은,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크기, 구조, 재질, 방 배치, 가구 및 가전 장치 등의 배치 위치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판단하여, 판단한 상기 공간 상태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수단(30)은,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크기, 구조, 재질, 방 배치, 가구 및 가전 장치 등의 배치 위치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판단하여, 판단한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크기, 구조, 재질, 방 배치, 가구 및 가전 장치 등의 배치 위치 중 하나 이상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 조절을 위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크기 및 구조 상태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의 제어에 반영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크기 및 구조 상태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이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30)은, 상기 마이크부(70)를 통해 획득한 소리 정보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부(70)는,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서 발생한 소리를 인식하여, 인식한 소리로부터 소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소리 정보는, 상기 환경 조절 수단(100)의 현재 사용자의 음성 및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구비된 타 가전 장치의 동작 상태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소리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30)은, 상기 소리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사용자를 인식하여, 인식한 상기 현재 사용자에 따른 사용 정보를 판단하고, 판단한 상기 사용 정보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리 정보는, 상기 현재 사용자가 발생한 사용자 음성에 대한 정보일 수 있고, 상기 사용 정보는, 상기 사용자 음성을 발생한 상기 현재 사용자의 신상, 이전 사용 이력 및 사용 패턴을 포함하는 정보로, 상기 환경 조절 수단(100)을 사용하는 한 명 이상의 사용자별로 신상, 이전 사용 이력 및 사용 패턴이 기저장된 사용 정보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30)은, 상기 소리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마이크부(70)로 획득한 사용자 음성에 해당하는 현재 사용자를 인식하고, 기저장된 상기 사용 정보 중 인식한 상기 현재 사용자에 해당하는 사용 정보를 판단하여, 판단한 상기 사용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수단(30)은, 상기 소리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현재 존재하는 상기 현재 사용자를 인식하고, 상기 사용 정보 중 인식한 상기 현재 사용자에 해당하는 사용 정보를 판단하여, 판단한 상기 사용 정보에 포함된 상기 현재 사용자의 신상, 이전 사용 이력 및 사용 패턴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 조절을 위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현재 사용자의 이전 사용 이력 및 사용 패턴을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의 제어에 반영하여, 상기 현재 사용자의 이전 사용 이력 및 사용 패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이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30)은 또한, 상기 소리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구비된 타 가전 장치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한 상기 동작 상태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리 정보는,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구비된 에어컨, 선풍기, 온풍기, 난방기, 제습기, 가습기, 공기 청정기, 모니터 장치, 세탁기, 조리 장치, 냉장고, 청소기 및 조명 제어 장치 중 어느 한 가전 장치의 동작 중 발생한 동작 소음에 대한 정보일 수 있고, 상기 동작 상태는, 상기 동작 소음을 발생한 장치의 동작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30)은, 상기 소리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구비된 에어컨, 선풍기, 온풍기, 난방기, 제습기, 가습기, 공기 청정기, 모니터 장치, 세탁기, 조리 장치, 냉장고, 청소기 및 조명 제어 장치 중 어느 한 가전 장치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여, 판단한 상기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수단(30)은, 상기 소리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구비된 에어컨, 선풍기, 온풍기, 난방기, 제습기, 가습기, 공기 청정기, 모니터 장치, 세탁기, 조리 장치, 냉장고, 청소기 및 조명 제어 장치 중 어느 한 가전 장치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여, 판단한 상기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 조절을 위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구비된 청소기의 동작 상태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의 제어에 반영하여, 상기 청소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이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10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상기 제어 시스템(1000)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특성 및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특성에 맞는 융복합 환경 조절이 이루어지게 되어,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사용자에게 적절하고 쾌적한 환경 상태를 제공하게 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상기 제어 시스템(1000)의 실시 예들은, 독립적인 실시 예들로 환경 제어 시스템에 단독으로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고, 또는 상술한 환경 제어 장치 및 하술할 환경 제어 방법의 실시 예들과 조합되거나, 환경 제어 장치 및 환경 제어 방법에 적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환경 제어 방법>
이하, 도 12 내지 도 15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방법을 설명하되, 앞서 설명한 환경 제어 장치 및 환경 제어 시스템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 중 예시에 관한 부분은 가급적 생략하고, 상기 환경 제어 방법의 실시 형태에 관한 부분은 재차 인용하여 상기 환경 제어 방법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환경 제어 방법]은 상술된 또는 하술된 실시 예들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 또는 단계의 일부 또는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실시 예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환경 제어 방법(이하, 제어 방법이라 칭한다)은,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를테면, 온도를 조절하는 냉/난방기, 습도를 조절하는 제/가습기, 공기 청정도를 조절하는 공기 청정기를 포함한 제어 대상 환경에서,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를 조절하는 방법일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방법은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를 복합적으로 조절하여 환경 상태를 조절하는 제어 방법일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앞서 설명한 상기 환경 조절 장치 및 상기 환경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일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가정에 적용되어, 설치된 장소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이를테면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수단,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수단 및 공기 청정도를 조절하는 공기 청정 수단을 포함하는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를 조절한다.
상기 제어 방법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를 포함한 현재 환경 상태를 센싱 및 사용자 특성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제어 모드 중 하나가 선택되는 단계(S10), 선택된 제어 모드에 따라 상기 현재 환경 상태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상태 조절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 및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설치된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은,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각각을 센싱하는 복수의 센싱 수단,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각각을 조절하는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및 상기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선택된 제어 모드에 따라 상기 센싱 수단의 센싱 결과를 분석하여 환경 상태의 조절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센싱 수단은, 환경 상태 조절의 근거가 되는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각각에 대한 센싱을 수행하는 수단으로,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 습도를 센싱하는 습도 센서 및 공기 청정도를 센싱하는 공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센싱 수단은,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분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센싱 수단은 또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은, 상기 복수의 센싱 수단의 센싱 결과에 따른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를 조절하는 수단으로, 온도를 조절하는 공조 수단, 온도를 조절하는 난방 수단,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 수단, 습도를 조절하는 제습 수단 및 공기 청정도를 조절하는 공기 청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은,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분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은, 상호간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은, 상호간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상태를 조절하는 수단으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각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센싱 수단,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적용되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 선택되는 단계(S10)는, 상기 복수의 센싱 수단을 통해, 상기 현재 환경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되는 단계(S10)는, 상기 복수의 센싱 수단 각각을 통해,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각각을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되는 단계(S10)는, 상기 제어 수단이 구비된 상기 환경 조절 수단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제어 모드 중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어 모드는,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사용자 특성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어 모드일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모드는,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사용자 특성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기준일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드는, 자동으로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1 모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2 모드, 상기 사용자의 연령대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3 모드, 상기 사용자의 질병 상태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4 모드 및 상기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5 모드 중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제어 모드로, 이를테면 디폴트 모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어 모드로, 이를테면 아토피와 같은 증상이 있는 사용자의 피부의 민감도에 맞춰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의 조절이 이루어지는 민감 피부 맞춤 모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가 상기 사용자의 피부의 민감도에 맞는 환경으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3 모드는, 상기 사용자의 연령대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어 모드로, 이를테면 환경에 민감한 아기 또는 노인의 신체 민감도에 맞춰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의 조절이 이루어지는 아기/노인 맞춤 모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 민감도에 맞는 환경으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4 모드는, 상기 사용자의 질병 상태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어 모드로, 이를테면 천식 환자인 사용자의 호흡기 민감도에 맞춰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의 조절이 이루어지는 천식 질환자 맞춤 모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4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가 상기 사용자의 질환에 맞는 환경으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5 모드는, 상기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어 모드로, 이를테면 상기 사용자의 요리 또는 운동 등과 같은 활동 상태에 맞춰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의 조절이 이루어지는 요리/운동 맞춤 모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5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가 상기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맞는 환경으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복수의 제어 모드는, 각각의 환경 상태 조절에 대한 제어 기준이 각각 기설정되어, 상기 제어 기준에 따라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제어 모드 각각은, 상기 제어 기준이 각각 기설정되어, 기설정된 상기 제어 기준 각각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의 조절이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 기준은, 상기 제어 모드에 따른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의 기준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제어 모드가 민감 피부 사용자의 맞춤 모드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피부 민감도에 따른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적정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가 수치화된 기준일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S20)는, 상기 제어 기준을 기준으로 상기 현재 환경 상태를 분석하여 환경 상태의 조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와 상기 제어 기준의 차이가 기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초과 또는 미달하는 경우, 상기 현재 환경 상태가 쾌적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현재 환경 상태의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와 상기 제어 기준의 차이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현재 환경 상태가 쾌적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현재 환경 상태의 조절이 불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S20)는,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제어 기준을 기준으로 상기 현재 환경 상태를 분석하여 환경 상태의 조절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현재 환경 상태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각각을 분석하여, 각각의 상태의 조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S20)는,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제어 모드에 따라 상기 현재 환경 상태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각각에 대한 조절 여부 및 조절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판단하는 단계(S20)는,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각각에 대한 조절 여부 및 조절 정도를 판단하여, 상기 조절하는 단계(S30)에서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각각이 조절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조절하는 단계(S30)는, 판단한 상기 조절 여부 및 상기 조절 정도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조절하는 단계(S30)는, 상기 조절 여부 및 상기 조절 정도에 따라,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각각을 연동 제어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하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어 모드에 따라 상기 현재 환경 상태를 분석하고,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각각에 대한 조절 여부 및 조절 정도를 판단하여, 상기 조절 여부 및 상기 조절 정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을 연동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이 포함된 환경 조절 수단은,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의 정보 표시 출력 및 정보 입력이 이루어지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복수의 환경 제어 수단 및 외부의 타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서 발생한 소리를 인식하는 마이크부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이 포함된 환경 조절 수단은, 상기 인터페이스부, 상기 통신부, 상기 카메라부 및 상기 마이크부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상기 조절하는 단계(S30)에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인터페이스부, 상기 통신부, 상기 카메라부 및 상기 마이크부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수집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절하는 단계(S30)는, 상기 현재 환경 상태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각각에 대한 조절 여부 및 조절 정도를 판단한 결과에, 상기 인터페이스부, 상기 통신부, 상기 카메라부 및 상기 마이크부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게 되어, 상기 수집한 정보를 더 반영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의 정보가 외부로 표시되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이면서,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의 제어 명령 정보, 또는 조작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바람직하게는 입/출력이 이루어지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화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의 정보 출력 및 입력이 일괄적으로 이루어지는 인터페이스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선택되는 단계(S10)에서 상기 인터페이스화면상에 상기 제어 모드가 선택되는 화면을 표시하여, 상기 제어 모드가 선택되는 화면상에서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어 모드가 선택되어질 수 있다.
상기 조절하는 단계(S3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받은 제어 정보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의 제어에 대한 명령 정보일 수 있다.
즉, 상기 조절하는 단계(S3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의 제어에 대한 명령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조절하는 단계(S3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외부의 타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타장치로부터 외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31) 및 상기 외부 정보를 상기 판단 결과에 반영하여,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하는 단계(S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S31)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타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S31)는, 상기 통신부가 사용자의 단말, 기상청 서버, 상기 복수의 환경 제어 수단(100) 또는 타 가전 장치 중 하나 이상과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외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S32)는,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외부 정보를 상기 판단 결과에 반영하여,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 상기 기상청 서버로부터 수신한 기상 정보 및 상기 복수의 환경 제어 수단 또는 상기 타 가전 장치로부터 수신한 동작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S31)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S32)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상기 판단 결과에 반영하여,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단말은,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사용자의 통신 장치로, 이동 단말,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컴퓨터, 노트북,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을 조작하는 리모콘, 또는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을 조작하는 전용 컨트롤 단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신상 정보,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활동 상태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S32)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상기 복수의 환경 제어 수단의 제어에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제어 수단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하는 단계(S32)는, 상기 사용자의 신상 정보,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활동 상태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 정보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 조절을 위한 상기 복수의 환경 제어 수단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 정보를 상기 복수의 환경 제어 수단의 제어에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제어 수단이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복수의 환경 제어 수단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하는 단계(S31)는, 상기 기상청 서버로부터 기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S32)는, 상기 기상 정보를 상기 판단 결과에 반영하여,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상청 서버는, 현재, 일간 및 주간의 날씨를 측정/예측하여, 측정/예측한 날씨에 관한 상기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기상청의 통신 서버일 수 있다.
상기 기상 정보는, 온도, 습도 및 미세먼지 농도를 포함한 현재 날씨 정보, 시간대별 날씨 변동 정보, 일간 및 주간 날씨 예측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S32)는, 상기 기상 정보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의 제어에 반영하여, 상기 기상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하는 단계(S32)는, 온도, 습도 및 미세먼지 농도를 포함한 현재 날씨 정보, 시간대별 날씨 변동 정보, 일간 및 주간 날씨 예측 정보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 조절을 위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상 정보에 포함된 시간대별 날씨 변동 정보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의 제어에 반영하여, 시간대별 날씨 변동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이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복수의 환경 제어 수단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하는 단계(S31)는,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구비된 타 가전 장치로부터 동작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S32)는, 상기 동작 정보를 상기 판단 결과에 반영하여,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타 가전 장치는,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과 연동하여 동작 가능한 가전 장치로, 모니터 장치, 세탁기, 조리 장치, 냉장고, 청소기 및 조명 제어 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동작 정보는,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또는 상기 타 가전 장치의 종류, 연동 여부, 현황, 제어 여부 및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S32)는, 상기 동작 정보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의 제어에 반영하여, 상기 동작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하는 단계(S32)는,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또는 상기 타 가전 장치의 종류, 연동 여부, 현황, 제어 여부 및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 조절을 위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동작 정보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또는 상기 타 가전 장치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의 제어에 반영하여,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또는 상기 타 가전 장치의 동작 상태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이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조절하는 단계(S30)는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3),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대한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S34) 및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판단 결과에 반영하여,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하는 단계(S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획득하는 단계(S33)는,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한 영상을 이미지 또는 동영상 형태의 촬영 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촬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촬영 정보는,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의 현재 사용자,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재실 상태,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구비된 타 가전 장치의 동작 상태 및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공간 상태 중 하나 이상이 촬영된 정보이고,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촬영 정보로부터 분석된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의 현재 사용자,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재실 상태,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구비된 타 가전 장치의 동작 상태 및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공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정보일 수 있다.
상기 획득하는 단계(S33)는,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촬영 정보를 생성 및 획득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S34) 및 상기 제어하는 단계(S35)는,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대한 상태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판단 결과에 반영하여,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S34)는,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사용자를 인식하여, 인식한 상기 현재 사용자에 따른 사용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S35)는, 상기 사용 정보를 상기 판단 결과에 반영하여,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사용 정보는,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의 사용자의 신상, 이전 사용 이력 및 사용 패턴을 포함하는 정보로,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을 사용하는 한 명 이상의 사용자별로 신상, 이전 사용 이력 및 사용 패턴이 기저장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S34)는,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카메라부로 촬영된 현재 사용자를 인식하여, 기저장된 상기 사용 정보 중 인식한 상기 현재 사용자에 해당하는 사용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S35)는, 판단한 상기 사용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판단하는 단계(S34)는,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현재 존재하는 상기 현재 사용자를 인식하고, 상기 사용 정보 중 인식한 상기 현재 사용자에 해당하는 사용 정보를 판단하여, 판단한 상기 사용 정보에 포함된 상기 현재 사용자의 신상, 이전 사용 이력 및 사용 패턴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 조절을 위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현재 사용자의 이전 사용 이력 및 사용 패턴을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의 제어에 반영하여, 상기 현재 사용자의 이전 사용 이력 및 사용 패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이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단계(S34)는,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재실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S35)는, 상기 재실 상태를 상기 판단 결과에 반영하여,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재실 상태는,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현재 재실중인 사용자의 인원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S34)는,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현재 재실중인 사용자의 인원수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S35)는, 판단한 사용자의 인원수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판단하는 단계(S34)는,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현재 재실중인 사용자의 인원수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S35)는, 판단한 상기 사용자의 인원수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 조절을 위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현재 재실중인 사용자의 인원수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의 제어에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원수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이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단계(S34)는,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구비된 타 가전 장치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S35)는, 상기 동작 상태를 상기 판단 결과에 반영하여,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상태는,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구비된 가전 장치의 동작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상기 가전 장치는, 에어컨, 선풍기, 온풍기, 난방기, 제습기, 가습기, 공기 청정기, 모니터 장치, 세탁기, 조리 장치, 냉장고, 청소기 및 조명 제어 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S34)는,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구비된 에어컨, 선풍기, 온풍기, 난방기, 제습기, 가습기, 공기 청정기, 모니터 장치, 세탁기, 조리 장치, 냉장고, 청소기 및 조명 제어 장치 중 어느 한 가전 장치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S35)는, 판단한 상기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판단하는 단계(S34)는,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구비된 에어컨, 선풍기, 온풍기, 난방기, 제습기, 가습기, 공기 청정기, 모니터 장치, 세탁기, 조리 장치, 냉장고, 청소기 및 조명 제어 장치 중 어느 한 가전 장치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S35)는, 판단한 상기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 조절을 위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구비된 청소기의 동작 상태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의 제어에 반영하여, 상기 청소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이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단계(S34)는,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공간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S35)는, 상기 공간 상태를 상기 판단 결과에 반영하여,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공간 상태는,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크기, 구조, 재질, 방 배치, 가구 및 가전 장치 등의 배치 위치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S34)는,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크기, 구조, 재질, 방 배치, 가구 및 가전 장치 등의 배치 위치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S35)는, 판단한 상기 공간 상태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판단하는 단계(S34)는,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크기, 구조, 재질, 방 배치, 가구 및 가전 장치 등의 배치 위치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S35)는, 판단한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크기, 구조, 재질, 방 배치, 가구 및 가전 장치 등의 배치 위치 중 하나 이상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 조절을 위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크기 및 구조 상태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의 제어에 반영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크기 및 구조 상태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이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하는 단계(S3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인식하여, 소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6), 상기 소리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대한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S37) 및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판단 결과에 반영하여,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하는 단계(S3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획득하는 단계(S36)는,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서 발생한 소리를 인식하여, 인식한 소리로부터 소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소리 정보는,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의 현재 사용자의 음성 정보 및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구비된 타 가전 장치의 동작 중 발생한 소음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소리 정보일 수 있다.
상기 획득하는 단계(S36)는, 상기 마이크부가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인식하여, 소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S37) 및 상기 제어하는 단계(S38)는,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소리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대한 상태 정보를 판단하고, 판단한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판단 결과에 반영하여,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획득하는 단계(S36)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발생한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S37)는, 상기 음성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음성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사용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S38)는, 상기 사용 정보를 상기 판단 결과에 반영하여,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정보는, 상기 현재 사용자가 발생한 사용자 음성에 대한 정보일 수 있고, 상기 사용 정보는, 상기 사용자 음성을 발생한 상기 현재 사용자의 신상, 이전 사용 이력 및 사용 패턴을 포함하는 정보로,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을 사용하는 한 명 이상의 사용자별로 신상, 이전 사용 이력 및 사용 패턴이 기저장된 사용 정보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S37)는, 상기 음성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마이크부로 획득한 사용자 음성에 해당하는 현재 사용자를 인식하고, 기저장된 상기 사용 정보 중 인식한 상기 현재 사용자에 해당하는 사용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S38)는, 판단한 상기 사용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판단하는 단계(S37)는, 상기 음성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현재 존재하는 상기 현재 사용자를 인식하고, 상기 사용 정보 중 인식한 상기 현재 사용자에 해당하는 사용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S38)는, 판단한 상기 사용 정보에 포함된 상기 현재 사용자의 신상, 이전 사용 이력 및 사용 패턴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 조절을 위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현재 사용자의 이전 사용 이력 및 사용 패턴을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의 제어에 반영하여, 상기 현재 사용자의 이전 사용 이력 및 사용 패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이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획득하는 단계(S36)는,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구비된 타 가전 장치에서 발생한 동작 소음을 인식하여 소음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S37)는, 상기 소음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소음 정보에 해당하는 가전 장치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S38)는, 상기 동작 상태를 상기 판단 결과에 반영하여,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소음 정보는,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구비된 에어컨, 선풍기, 온풍기, 난방기, 제습기, 가습기, 공기 청정기, 모니터 장치, 세탁기, 조리 장치, 냉장고, 청소기 및 조명 제어 장치 중 어느 한 가전 장치의 동작 중 발생한 동작 소음에 대한 정보일 수 있고, 상기 동작 상태는, 상기 동작 소음을 발생한 장치의 동작 상태일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S37)는, 상기 소음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구비된 에어컨, 선풍기, 온풍기, 난방기, 제습기, 가습기, 공기 청정기, 모니터 장치, 세탁기, 조리 장치, 냉장고, 청소기 및 조명 제어 장치 중 어느 한 가전 장치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S38)는, 판단한 상기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판단하는 단계(S37)는, 상기 소리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구비된 에어컨, 선풍기, 온풍기, 난방기, 제습기, 가습기, 공기 청정기, 모니터 장치, 세탁기, 조리 장치, 냉장고, 청소기 및 조명 제어 장치 중 어느 한 가전 장치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S38)는, 판단한 상기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 조절을 위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구비된 청소기의 동작 상태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의 제어에 반영하여, 상기 청소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이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상기 제어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특성 및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특성에 맞는 융복합 환경 조절이 이루어지게 되어,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사용자에게 적절하고 쾌적한 환경 상태를 제공하게 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상기 제어 방법의 실시 예들은, 독립적인 실시 예들로 환경 제어 방법에 단독으로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고, 또는 상술한 환경 제어 장치 및 환경 제어 시스템의 실시 예들과 조합되거나, 환경 제어 장치 및 환경 제어 시스템에 적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센싱부(센싱 수단) 11: 온도 센서
12: 습도 센서 13: 공기 센서
20: 동작부 21: 공조 수단
22: 난방 수단 23: 가습 수단
24: 제습 수단 25: 공기 청정 수단
30: 제어부(제어 수단) 40: 인터페이스부
50: 통신부 60: 카메라부
70: 마이크부 100: 환경 제어 장치(환경 조절 수단)
1000: 환경 제어 시스템

Claims (20)

  1. 설치된 장소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를 포함한 현재 환경 상태를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설치된 장소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에 대한 환경 상태 조절을 수행하는 동작부; 및
    사용자 특성에 따라 상기 설치된 장소의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선택된 제어 모드에 따라 상기 현재 환경 상태를 분석하여 환경 상태의 조절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설치된 장소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동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어 모드는,
    자동으로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1 모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2 모드;
    상기 사용자의 연령대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3 모드;
    상기 사용자의 질병 상태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4 모드; 및
    상기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따른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5 모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어 모드는,
    각각의 환경 상태 조절에 대한 제어 기준이 각각 기설정되어, 상기 제어 기준에 따라 환경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제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기준을 기준으로 상기 현재 환경 상태를 분석하여 환경 상태의 조절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모드에 따라 상기 현재 환경 상태를 분석하여, 상기 설치된 장소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각각에 대한 조절 여부 및 조절 정도를 판단하고, 판단한 상기 조절 여부 및 상기 조절 정도에 따라 상기 설치된 장소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동작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외부의 타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외부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동작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제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동작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제어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기상청 서버로부터 기상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기상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동작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제어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타 가전 장치로부터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동작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동작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제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된 장소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획득한 촬영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동작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제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사용자를 인식하여, 인식한 상기 현재 사용자에 따른 사용 정보를 판단하고, 판단한 상기 사용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동작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제어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된 장소에서 발생한 소리를 인식하는 마이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획득한 소리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동작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제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리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사용자를 인식하여, 인식한 상기 현재 사용자에 따른 사용 정보를 판단하고, 판단한 상기 사용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동작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제어 장치.
  14.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각각을 센싱하는 복수의 센싱 수단;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각각을 조절하는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및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고,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선택된 제어 모드에 따라 상기 센싱 수단의 센싱 결과를 분석하여 환경 상태의 조절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제어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어 모드에 따라 상기 현재 환경 상태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각각에 대한 조절 여부 및 조절 정도를 판단하고, 판단한 상기 조절 여부 및 상기 조절 정도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조절하도록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각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제어 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포함된 환경 조절 수단은,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의 정보 표시 출력 및 정보 입력이 이루어지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및 외부의 타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서 발생한 소리를 인식하는 마이크부;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제어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받은 제어 정보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하되,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의 제어에 대한 명령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제어 시스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외부 정보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하되,
    상기 외부 정보는,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 기상청 서버로부터 수신한 기상 정보 및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 또는 타 가전 장치로부터 수신한 동작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제어 시스템.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획득한 촬영 정보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하되,
    상기 촬영 정보는,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의 현재 사용자,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재실 상태,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구비된 타 가전 장치의 동작 상태 및 상기 제어 대상 환경의 공간 상태 중 하나 이상이 촬영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제어 시스템.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획득한 소리 정보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환경 조절 수단을 제어하되,
    상기 소리 정보는,
    상기 환경 조절 수단의 현재 사용자의 음성 및 상기 제어 대상 환경에 구비된 타 가전 장치의 동작 상태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소리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제어 시스템.
KR1020170068621A 2017-06-01 2017-06-01 환경 제어 장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환경 제어 방법 KR102373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621A KR102373682B1 (ko) 2017-06-01 2017-06-01 환경 제어 장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환경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621A KR102373682B1 (ko) 2017-06-01 2017-06-01 환경 제어 장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환경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999A true KR20180132999A (ko) 2018-12-13
KR102373682B1 KR102373682B1 (ko) 2022-03-16

Family

ID=64671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621A KR102373682B1 (ko) 2017-06-01 2017-06-01 환경 제어 장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환경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36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9819A1 (ko) * 2019-03-19 2020-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치공간의 공기질에 기반하여 공기청정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서버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20210006590A (ko) * 2019-07-09 2021-01-1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수면 품질 향상을 위한 가전기기의 맞춤형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장치
US11563820B2 (en) 2019-04-11 2023-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me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937A (ko) * 2001-12-17 2003-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욕실용 에어컨
KR20070107324A (ko) * 2006-05-02 2007-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67606A (ko) * 2010-12-16 2012-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KR20130108682A (ko) * 2012-03-26 2013-10-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쾌면 유도를 위한 맞춤형 건강침실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11034A (ko) * 2014-07-21 2016-01-29 (주)제이엔지에너지스 모바일 단말 연동 공조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937A (ko) * 2001-12-17 2003-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욕실용 에어컨
KR20070107324A (ko) * 2006-05-02 2007-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67606A (ko) * 2010-12-16 2012-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KR20130108682A (ko) * 2012-03-26 2013-10-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쾌면 유도를 위한 맞춤형 건강침실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11034A (ko) * 2014-07-21 2016-01-29 (주)제이엔지에너지스 모바일 단말 연동 공조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9819A1 (ko) * 2019-03-19 2020-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치공간의 공기질에 기반하여 공기청정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서버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US11563820B2 (en) 2019-04-11 2023-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me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210006590A (ko) * 2019-07-09 2021-01-1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수면 품질 향상을 위한 가전기기의 맞춤형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3682B1 (ko) 202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1235B2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EP3195079B1 (en) Personalized ambient temperature management
KR102435966B1 (ko) 온도 조절 방법 및 장치
KR102487902B1 (ko)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6320528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US11708994B2 (en) System for personalized indoor microclimates
KR20160131507A (ko) 실내외 환경 감지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 건강관리 시스템
KR20180132999A (ko) 환경 제어 장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환경 제어 방법
US10754161B2 (en) Apparatus control system
JP2017215131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2016070553A (ja) 保湿用空気供給機、保湿用空気供給制御システム及び家電機器の運転管理システム
WO2016157675A1 (ja) 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20200182502A1 (en) Network system
CN105042811B (zh) 空调控制方法
JP2017011698A (ja) 集合住宅向け遠隔介護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遠隔監視装置
EP2696146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JP6362677B2 (ja) コントローラ、ホームシステム、環境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50228B2 (ja) 保湿用空気供給機
JP6287688B2 (ja) 保湿用空気供給機、保湿用空気供給制御システム及び家電機器の運転管理システム
JP7039824B2 (ja) 室内環境制御システム、加湿器及び空気調和機
WO2023109111A1 (zh) 空气智能管理方法及空气智能管理系统
JP6552711B2 (ja) 空気調和機および空気調和システム
CN106125685B (zh) 一种基于dsp技术的家庭现代化舒适设备组合系统
JP2005249441A (ja) 生活アドバイスシステム
CN106123209A (zh) 基于语音交互式空调器的空气质量调节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