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9527A -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9527A
KR20030049527A KR1020010079753A KR20010079753A KR20030049527A KR 20030049527 A KR20030049527 A KR 20030049527A KR 1020010079753 A KR1020010079753 A KR 1020010079753A KR 20010079753 A KR20010079753 A KR 20010079753A KR 20030049527 A KR20030049527 A KR 20030049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door
pillar
striker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5598B1 (ko
Inventor
김희준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9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5598B1/ko
Publication of KR20030049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9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5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55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6Cooperation between bolts and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43Bolts rotating about an axis with a bifurcated bolt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B필러와 C필러 사이에 유동가능하게 위치되며 하측단에 하부롤러가 부설된 도어의 중간부 일측에 형성된 외측핸들과, 상기 외측핸들의 일측에 형성된 내측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홀드오픈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측핸들 일측에 형성되어 지지부 중간부의 제1 지점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B필러의 스트라이커와 C필러의 스트라이커에 각각 착이탈이 가능하게 형성된 'H' 형상의 포크와; 상기 포크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지지부의 제2 지점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포크를 압축하는 'S' 형상의 포크레버와; 상기 포크레버의 하측에 위치되며 제3 지점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포크레버를 압축하는 리모트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에 형성된 포크와 포크레버의 연동에 의하여 도어의 양측에 위치한 필라에 형성된 스트라이커에 체결 및 해제 됨으로 인해 종래의 케이블에 의한 체결방법에 비해 제조공정시 작업공수 및 제조원가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APPARATUS FOR LOCKING A DOOR IN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도어에 구비된 포크와 포크레버의 연동에 의해 상기 도어를 필라의 스트라이커에 체결 및 해제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도어 록킹장치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종래의 도어 록킹장치는 도어(1)에 장착이되는데, 상기 도어(1)의 일측에 내측핸들(2)이 부설되고 소정의거리를 두고 외측핸들(3)이 형성된다.
상기 외측핸들(3)의 하측으로는 리모트컨트롤러(4)가 형성되어 상기 도어(1)의 하측단에 형성된 하부롤러(5)와 케이블(6)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핸들(2)은 상기 도어(1)의 타측단에 형성된 록킹장치(7)와 록킹로드(8)에 의해 연결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도어 록킹장치는 케이블(6)에 연결된 리모트컨트롤러(4)의 신호를 하부롤러(5)가 전달받아 록킹장치를 작동시킴으로 인하여 열린 상태의 도어(1)를 닫히지 않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홀드오픈 록킹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케이블(6)을 사용함으로 인해 조립성이 취약하며, 도어(1)의 하중을 견뎌야 하는 하부롤러(5)에 록킹장치가 포함되어 있어 과도한 하중이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자동차의 도어에 구비된 포크와 포크레버의 연동에 의해 상기 도어를 필라의 스트라이커에 체결 및 해제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 록킹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를 도시한 작동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도어2: 내측핸들
3: 외측핸들4: 리모트컨트롤러
5: 하부롤러6: 케이블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은 자동차의 B필러와 C필러 사이에 유동가능하게 위치되며 하측단에 하부롤러가 부설된 도어의 중간부 일측에 형성된 외측핸들과, 상기외측핸들의 일측에 형성된 내측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홀드오픈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측핸들 일측에 형성되어 지지부 중간부의 제1 지점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B필러의 스트라이커와 C필러의 스트라이커에 각각 착이탈이 가능하게 형성된 'H' 형상의 포크와; 상기 포크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지지부의 제2 지점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포크를 압축하는 'S' 형상의 포크레버와; 상기 포크레버의 하측에 위치되며 제3 지점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포크레버를 압축하는 리모트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품에 대해서는 동부호를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의하면, B필러(9)와 C필러(10) 사이에 유동가능하게 위치되며 하측단에 하부롤러(5)가 부설된 도어(1)의 중간부 일측에 형성된 외측핸들(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핸들(3)의 일측에는 내측핸들(2)이 형성된다.
상기 내측핸들(2)의 일측에는 지지부(11) 중간부의 제1 지점(12)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B필러(9)의 스트라이커(13)와 C필러(10)의 스트라이커(14)에 각각 착이탈이 가능하게 'H' 형상의 포크(1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포크(15)의 하측에는 상기 지지부(11)의 제2 지점(1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포크(15)를 압축하는 'S' 형상의 포크레버(1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포크레버(17)의 하측에는 제3 지점(18)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포크레버(17)를 압축하는 리모트컨트롤러(4)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자동차의 닫혀있는 도어(1)를 열거나 또는 열려있는 도어(1)를 닫을때, C필라(10)의 스트라이커(14) 또는 B필라(9)의 스트라이커(13)에 의해 포크(15)를 밀게되고 이로 인해 포크레버(17)가 회전하여 록킹된다.
또한 록킹을 해제하려면 외측핸들(3) 또는 외측핸들(3)을 이용하여 리모트컨트롤러(4)를 작동시키면 포크레버(17)가 작동되어 C필라(10)의 스트라이커(14) 와 B필라(9)의 스트라이커(13)에 체결되어 있는 포크(15)가 회전하며 체결은 해제가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에 형성된 포크와 포크레버의 연동에 의하여 도어의 양측에 위치한 필라에 형성된 스트라이커에 체결 및 해제 됨으로 인해 종래의 케이블에 의한 체결방법에 비해 제조공정시 작업공수 및 제조원가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자동차의 B필러와 C필러 사이에 유동가능하게 위치되며 하측단에 하부롤러가 부설된 도어의 중간부 일측에 형성된 외측핸들과, 상기 외측핸들의 일측에 형성된 내측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어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측핸들 일측에 형성되어 지지부 중간부의 제1 지점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B필러의 스트라이커와 C필러의 스트라이커에 각각 착이탈이 가능하게 형성된 'H' 형상의 포크와;
    상기 포크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지지부의 제2 지점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포크를 압축하는 'S' 형상의 포크레버와;
    상기 포크레버의 하측에 위치되며 제3 지점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포크레버를 압축하는 리모트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
KR10-2001-0079753A 2001-12-15 2001-12-15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 KR100435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753A KR100435598B1 (ko) 2001-12-15 2001-12-15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753A KR100435598B1 (ko) 2001-12-15 2001-12-15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527A true KR20030049527A (ko) 2003-06-25
KR100435598B1 KR100435598B1 (ko) 2004-06-09

Family

ID=29575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753A KR100435598B1 (ko) 2001-12-15 2001-12-15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55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73348B2 (en) * 2018-06-26 2022-10-18 Hyundai Motor Company Integrated door latch assembly of sliding do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460B1 (ko) * 1978-09-11 1983-10-26 컴파니 인더스트리레 데메카니즘스 안 아브레게 시 · 아이 · 엠 자동차용 자물쇠
GB2328242B (en) * 1997-05-23 2001-05-16 Rockwell Lvs Vehicle door latch
KR19990028179U (ko) * 1997-12-26 1999-07-15 양재신 도어록 잠금 해제장치
KR19990031314U (ko) * 1997-12-30 1999-07-26 정몽규 자동차용 전기식 도어 래치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73348B2 (en) * 2018-06-26 2022-10-18 Hyundai Motor Company Integrated door latch assembly of sliding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5598B1 (ko) 2004-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13236A1 (en) Lock for a vehicle rear door or a rear hatch provided with a window wiper
BR9704848A (pt) Fechadura para uma parte que se abre de veìculo automotor
KR20030049527A (ko)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
CA2240872A1 (en) Backhoe boom lock
CN205706110U (zh) 一种自动天窗及使用该天窗的车辆
KR100351359B1 (ko) 도난방지구조를 갖춘 차량용 도어
CA2361169A1 (en) Door lock for a semi-trailer
KR20090102045A (ko) 자동차용 직결식 도어래치 장치
CN205311252U (zh) 虎口钩操作装置及虎口钩总成
CN210598462U (zh) 电梯安全窗装置及其锁具
KR100354221B1 (en) Safety locking apparatus of vehicle door
JPH02117909U (ko)
JPS6052271B2 (ja) スライドドアの開閉装置
KR100373255B1 (ko) 버스용 중비도어의 잠금 및 해제장치
JP3135341B2 (ja) ドアロック制御装置
JP2556222Y2 (ja) スライドドアのロック開閉機構
KR0137313Y1 (ko) 자동차 도어록 구동장치의 강제 해제 방지구조
KR19980053546U (ko) 수동식 폴딩 도어용 록킹 레버구조
KR20050113030A (ko) 차량 도어의 버튼식 개방 장치
EP1083286A3 (de) Stangenverriegelung für Flügel von Fenstern, Türen oder dergleichen
KR970043868A (ko) 차량도어의 로크장치(A locking equipment of a door for an automobile)
KR19980045131U (ko) 차량용 도어 핸들
KR19980036905A (ko) 자동차 도어 록
JPH0328021A (ja) 自動車用着脱式ハッチ
KR19980017016U (ko) 스위치에 의해 도어 오픈이 가능하도록 된 자동차의 도어 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