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460B1 - 자동차용 자물쇠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자물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460B1
KR830002460B1 KR1019780002756A KR780002756A KR830002460B1 KR 830002460 B1 KR830002460 B1 KR 830002460B1 KR 1019780002756 A KR1019780002756 A KR 1019780002756A KR 780002756 A KR780002756 A KR 780002756A KR 830002460 B1 KR830002460 B1 KR 830002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fork
fork member
hook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80002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297A (ko
Inventor
피에르 노엘 진
파티 마셀
Original Assignee
컴파니 인더스트리레 데메카니즘스 안 아브레게 시 · 아이 · 엠
줄레스 할나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컴파니 인더스트리레 데메카니즘스 안 아브레게 시 · 아이 · 엠, 줄레스 할나울트 filed Critical 컴파니 인더스트리레 데메카니즘스 안 아브레게 시 · 아이 · 엠
Priority to KR1019780002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460B1/ko
Publication of KR830000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46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자물쇠
제1도는 괘정된 상태를 보인 본 발명에 따른 자물쇠의 정면도.
제2도 및 제3도는 본 발명 자물쇠의 해정되는 두 상태를 보인 정면도.
제4도는 해정된 상태의 정면도.
본 발명은 자동차의 문, 엔진 덮개 또는 화물칸의 덮개를 닫아 걸기 위하여 사용되는 자동차용 자물쇠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제3,347,584호에는 탄지된 해정위치와 괘정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회동 포크부재, 고정위치와 포크부재의 돌출부에 대한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두 개의 암(arm)을 갖는 회동레바의 일측 암에 재가되고 포크부재에 작용하는 해정력에 의하여 그 해제위치로 편중되는 괘지수단(掛止手段)과, 탄력적으로 편중되고 제1레바가 고정위치에 있을 때에 제1레바의 제2암의 단부를 지지하는 제1위치와 상기 제2암의 단부를 해제하여 주고 위치가 이동가능한 제2위치 사이에서 회동되도록 착설된 제2레바로 구성된 자물쇠가 기술되어 있다.
두 개의 레바로 구성된 이러한 구조는 해정력이 작은 잇점은 있다. 그러나, 어떤 경우 특히 자동차문의 폐쇄를 위하여 독일특허공개공보 제2,065,444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안전성 때문에 자물쇠가 두 괘정위치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언급된 미국특허의 구조는 제2레바만이 한번 작동으로 끝나게 되므로 안전성이 결여되거 있다. 실제로 포크부재의 돌출부가 제1레바에 의하여 괘지될 때에 외부조작으로 제2레바를 해정위치로 돌아가게 할 수 있으므로 포크부재에 제2의 괘정돌출부를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형태이나 두 괘정위치를 갖는 자물쇠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포크부재가 두개의 연속된 괘정돌출부로 구성되고 캠표면이 포크부재의 제2돌출부가 포크부재의 괘정운동중에 괘지수단이 접근할 때에 잠정적으로 제2레바를 그 제2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2레바의 돌출부와 작용하는 바의 자물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캠부재는 포크부재의 제1돌출부가 자물쇠 폐쇄과정중에 괘지수단에 의하여 통과된 후 포크부재가 개방위치로 편중될 때에 회동 레바의 지지면과 작용하는 캠표면을 갖는다. 이는 문의 폐쇄속도에 관계없이 포크부재가 효과적으로 걸리게 하여 밀폐부재의 탄성으로 문이 다시 튀어 열리는 것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괘정위치에 있는 제1도의 자물쇠는 장방형 평판으로 폐쇄된 평행측판형의 케이스(1)내에 장치되어 있다. 세개의 리벳트 (2)(3)(4)로서 세모 서리에 고정시킨 장방형측판은 내부구성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를 생략하였다. 설명을 보다 간명히 하기 위하여 케이스는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으로 놓여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케이스(1)의 좌측부와 배면부 하측에는 대향된 우측부 가까이로 연장되어 반원형으로 끝난 수평의 체장한 요입부(7)의 상부에 리벳트(3)를 중심으로 한 원의 원호형태로 통공(9)이 천설되어 있다.
자물쇠는 포크부재(10)와, 만곡레바(11) 및 직선레바(12)로 구성되는 괘지장치로 구성된다.
포크부재(10)는 대체로 "H"자형이고 그 중심의 핀(13)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핀(13)은 통공(9)과 요입부(7) 사이에서 요입부(7)의 폐쇄단부 부근에 착설되어 있다.
핀(13)의 일측부에서, 포크부재(10)는 폭이 일정하고 반원부로 끝나는 요구(16)를 형성하는 두 개의 포크지부(支部)(14)(15)를 가지며, 타측에서는 요구(20)으로 분리된 두개의 돌출부(18)(19)를 갖는데, 요구(20)의 내측단은 핀(13)과 통공(9)의 하측변부 가까이에 놓인다. 돌출부(18)(19)의 각 좌측면에 해당하는 경사면(18a)(19a)은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기능을 갖는 램프(ramp) 또는 캠을 형성하며, 우측면은 핀(13)에 대하여 거의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포크부재(10)의 좌측면은 경사면(18a)과 면(15a)에 연결되어 있으며 거의 직선으로 되어 있다. 반면에 우측면은 돌출부(19)와 포크지부(14)에 연결되고 그 중간부분에 상부 경사면(22)과 하부 경사면(23)을 형성하는 돌출포인트(21)를 갖는다.
레바(11)는 "L"자형으로 리벳트(3)의 대각선방향에 리벳트(2)에 그 "L"자형의 모서리가 자유롭게 회동되도록 축설되어 있다. 그 짧은 레바지부(24)는 리벳트(4)의 부근까지 좌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단부에 상향된 후크(25)가 형성되어 있다. 레바(11)의 긴 레바지부(26)는 핀(13)의 후측으로 거의 수직이되게 연장되어 있으며 거의 직선형이다. 돌봉(27)이 레바지부(26)으로부터 케이스(1)의 요입부(7)의 상측변부 높이에서 돌출되어 있다.
레바(12)는 전체적으로 직선형이고 그 좌측단이 리벳트(3)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축설되어 있다. 돌출봉(28)이 레바(12)의 중간부에서 통공(9)을 통하여 케이스(1)의 외부로 돌출되게 연장되어 있다.
핀(13)에 감겨있는 스프링(29)은 레바(12)의 하측후크(30)와 포크부재(10)의 통공(31)에 지지되어 레바(12)가 항상 하측으로 탄지되게 하고 포크지부(14)(12)가 좌측으로 향하게 한다.
레바(12)는 레바(11)의 지부(26)와 같은 평면내에 있다. 반면에 포크부재(10)는 다른 평면상에 있으며, 레바(11)의 지부(24)는 전방으로 경사지고 포크부재(10)의 평면상에 후크(25)가 놓이도록 한 램프(32)로 구성되어 있다. 돌봉(27)이 이 평면의 높이까지 돌출되어 있다.
이와같은 자물쇠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 자물쇠가 자동차, 예를들어 문의 포스트(poxt)에 착설되었다고 가정하자. 문에는 폐쇄시 요입부(7)의 중심측선 X-X를 따라서 요입부(7)로 삽입되는 고리(33)가 착설된다. 고리(33)의 기부(14)는 원주형이며 요입부의 폭 ℓ1과 같거나 또는 약간 작은 직경을 갖는다. 고리의 괘지부(35)도 역시 원주형이나 포크부재(10)의 요구(16)의 폭 ℓ2과 같은 작은 직경을 갖는다.
괘정위치에서 고리(33)는 요구(16)의 단부(17)에 위치하는 바, 이 위치는 요입부(7)의 단부부근이지만 요입부(7)에 접촉하지 아니하고 핀(13)과 돌출봉(28)에 거의 수직으로 정렬된다. 후크(25)의 괘지면(25a)과 포크지부(15)의 면(15a)는 거의 수직으로 접촉한다. 또한 레바(12)의 단부(12a)와 레바지부(26)의 단부(26a)도 수직으로 접촉된다. 레바(12)가 최하측 위치에 있을 때에 그 돌출봉(28)은 통공(9)의 하측변부에 접한다. 돌출부(19)와 포크부재의 돌출포인트(21)는 각각 돌출봉(28)의 좌측과 돌봉(27)의 상부측에 위치한다.
문의 밀폐부재를 압축하거나 우발적인 과부하가 가하여지면 힘 p가 축선 X-X를 따라 좌측방향으로 고리(33)에 가하여진다. 이 힘 p는 후크(25)에 힘 p보다 작고 거의 수평인 힘 F2을 일으키게 하며 그 작용선은 축선 X-X와 리벳트(2) 사이에서 리벳트(2)로부터 상측으로 d2의 거리에 있는 위치를 지난다. 레바(11)는 거리 d2보다 먼 리벳트(2)로부터의 거리 d1에서 고리(33)의 힘 p의 방향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레바(12)에 힘F1을 전달한다. 따라서 이 힘 F1
Figure kpo00001
이므로 매우 적다. 레바(12)의 단부(12a)는 힘F1이 리벳트(3)의 축선을 향하거나 리벳트(3)의 약간 하측을 통과할 수 있도록 경사져 있다. 따라서 힘 F1의 방향은 수평에 대하여 약간 경사진다. 이와같이 힘 F1은 레바(12)에 괘정토오크를 일으켜 레바(12)가 하향되게 하는 반면에 힘 F2는 레바(11)에 해정토오크를 이르켜 후크(25)가 후퇴하도록 하는 것이다. 괘지면(25a)와 면(15a)의 접촉거리와 단부(26a)의 접촉거리는 구조상 요구되는 최소의 거리를 갖도록 계획되며, 실제로는 약 4mm 정도이다.
자물쇠를 해정하기 위하여, 케이스(1) 외부로 연장된 돌출봉(28)의 연장부가 적당한 수단(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하여 상승된다. 이러한 돌출붕(28)의 상승에 요구되는 힘은 조작의 원활성과 마모의 감소를 고려하여 매우 적어야 하며, 돌출봉(28)을 상승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전기모우터 또는 비교적 낮은 동력원을 갖는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돌출봉(28)이 상승하여 레바(12)가 상승되는 순간에 레바(11)가 해제되고, 힘 F2이 레바(11)를 해정위치로 경사지게 하므로서 이 레바(11)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포크지부(15)를 풀어준다. 돌출봉(28)이 돌출부(18)(19)에 장애를 주지 않으므로 포크부재(10)는 힘 p와 스프링(28)의 조합된 작용하에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해정운동의 시작이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포크지부(15)가 후크(25)의 후측으로 이동하는 순간에 포크부재(10)의 경사면(23)은 돌봉(27)의 상측부(27a)에 계합하여 레바(11)의 지부(26)를 후측으로 밀어 레바(11)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게 하여 후크(25)가 포크지부(14)의 진로내에 있는 괘지위치로 다시 돌아오게 된다. 만약 레바(12)가 순간적으로 충분히 해제되었다면 그 돌출봉(28)이 포크부재의 요구(20)로 다시 삽입되어 레바(11)를 제3도에서 보인바와 같이 페색되면 자물쇠는 안전위치 또는 "제괘정위치"에서 괘정된다.
이러한 상황은 레바(12)의 이동수단에 우발적인 작용이 가하여지는 때 일어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이동수단이 고의로 작용받게 될 때에 레바(12)는 그 돌출붕(28)이 요구(20)내로 되돌아갈 충분한 시간을 갖지 못하게 된다. 레바(12)가 상승된 상태에 있을 때에 포크지부(14)는 포크지부(15)가 전진상태에서 후크(25)에 계합한다. 돌출포인트(21)가 돌봉(27)의 하측으로 이동하므로서 레바(11)는 다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후크(25)는 포크지부(14)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포크부재(10)는 이 포크부재(10)가 그 면(15a)이 축선 X-X의 약간 아래인 요입부(7)의 입구 부근에서 포크지부(14)의 단부가 위치하는 요입부(7)의 상측변부에 접할 때까지 회동한다.
그리고 이동장치에 의하여 해제된 돌출봉(28)이 스프링(29)의 작용으로 다시 하강한다. 이러한 운동중에 레바(12)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면(36)이 레바지부(26)와 만나 레바지부(26)를 우측으로 향하게 하므로서 레바(1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이후 후크(25)는 포크지부(14)가 이를 통과한 순간에 포크지부(14)의 후측에서 다시 상승하게 된다. 돌출봉(28)은 경사면(18a)에 접하고 레바지부(26)의 단부는 레바(12)의 단부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자물쇠의 해정이 종료된다.
만약 상기 언급된 레바(12)에 간단하고 우발적인 힘이 작용하는 경우, 이 레바(12)는 포크부재(10)의 지부(15)를 해제한 후 되돌아갈 때에 경사면(36)이 위 언급된 바와같이 레바지부(26)에 계합하여 레바(11)가 괘지 위치로 되돌아가게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레바(12)의 관성에 의하여 돌봉(27)에 경사면(23)이 작용하는 결과는 갖는다.
본 발명 자물쇠는 다음가 같이 괘정된다. 고티(33)가 요입부(7)로 삽입될 때에(제4도), 그 상부가 포크부재(10)의 포크지부(14)에 계합하여 포크부재(10)는 스프링(29)의 작용방향에 반대방향인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는 괘정운동이 시작되게 한다. 이러한 운동의 시작으로부터 경사면(18a)은 돌출봉(28)을 상승시켜 포크지부(14)의 단부가 후크(25)의 경사면(25b)와 접촉되기 전에 레바(12)가 스프링(29)의 작용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레바지부(26)의 단부로부터 완전히 풀러나게 한다.
레바(11)가 자유롭게 되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므로 포크지부(14)가 후크(25)를 통과하도록 한다. 포크지부(14)가 이 후크(25)를 통과하는 순간 돌출포인트(21)의 상부 경사면(24)은 돌봉(27)의 하측부(27b)에 접하여 후크(25)가 상승 괘지되도록 레바(11)를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게 한다. 이때에 돌출봉(28)은 돌출부(18)의 상부를 지나 스프링(29)의 작용으로 통공(9)의 하측변부로 하강한다. 이러한 운동은 레바(11)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으므로 신속히 수행된다. 이리하여 고리(33)의 운동이 멈추게 되면 돌출봉(28)이 포크부재(10)의 요구(20)에 의하여 통공(9)의 하측변부상에 접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제1괘정위치 또는 "제1단계괘정위치"이다.
그러나, 고리(33)는 대개 우측으로 계속 전진하게 되고 상기 언급된 연속운동 반복되어 포크지부(15)와 경사면(19a)를 갖는 돌출부(19)의 운동위치가 각각 포크지부(14)와 경사면(18a)를 갖는 돌출부(18)의 운동위치와 대치되도록 반복된다. 따라서 경사면(19a)은 두번째로 돌출봉(28)을 상승시켜 포크지부(15)가 후크(25)를 다시 하강한다. 다른 한편 레바(12)가 하강하면 레바(11)는 레바지부(26)의 경사면(36)의 작용으로 괘정위치로 되돌아간다. 계속하여 포크지부(15)가 경사면(36)의 작용하에 후크(25)를 통과하는 순간 후크(25)가 다시 상승하고 두 레바(11)(12)는 제1도에서 보인 최초의 위치에 놓이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 자물쇠는 그 정상적인 괘정위치, 즉 제2단계 괘정위치에 놓이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두 괘정단계는 안전의 이유로 제공되는 것이다.
만약 문이 거세계 페쇄되는 경우, 포크지부(15)가 후크(25)를 통과할 때에 밀폐부재는 레바(11)가 경사면(36)의 작용하에 두 레바의 관성으로 포크지부(15)를 괘지하기 위한 위치로 되돌아가기 전에 포크부재(10)의 역회전방향(시계방향)으로 작용하는 반발작용으로 압축한다. 이와같은 경우 포크지부(15)가 좌측으로 후크(25)를 통과하는 순간 하부경사면(23)과 돌봉(27)의 작용으로 상기 언급된 바와같이 포크지부(14)를 괘지하는 위치로 레바(11)가 복귀되게 한다. 그리고 레바(12)는 레바(11)를 이 위치에서 괘정토록 하기 위하여 요구(20)내로 신속히 다시 하강할 수 있도록 자유롭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물쇠는 안전하게 괘정되는 것이다.
시험결과 이와같은 본 발명 자물쇠는 매우 만족스럽게 작용될 수있음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정형태(도시하지 않았음)에서 부가적인 상부경사면-돌출봉(22)-(27)쌍이 레바(11)가 후크(25)를 통과하는 순간에 제2포크 지부(15)를 괘지하기 위한 위치로 올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레바(11)의 모든 시계방향 운동이 레바(12)의 하향진로를 터주는 포크부재(10)의 운동으로 조절되므로 경사면(36)이 2차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들어 이러한 부가적인 경사의 구조는 돌출포인트(21) 하측의 포크지부(14)에 형성되어 레바(11)로부터 돌출된 제2돌봉과 연동될 수 있으며, 제2돌봉은 요입부(7)로 고리(33)의 상이한 삽입정도를 감안하여 탄성이 부여될 수도 있다.
두 레바의 전동배열(傳動配列)에 의하여 레바(11)가 상기 언급된 경사면-돌봉작용으로 폐쇄위치로 올 때에 레바(11)를 괘재하기 위한 위치로 레바(12)가 신속히 하강할 수 있는 낮은 관성을 갖도록 레바(12)를 가벼운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수정형태에서 스프링(도시하지 않았음)이 레바(11)를 그 처음 위치로 압압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경사면(18a)의 기부를 핀(13)보다 낮게 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포크부재(10) 자체는 케이스(1)의 벽에 대하여 그 면(15a)이 접하지 않고 제4도의 위치에 놓이게 될 것이다.
케이스(1)를 자동차의 문에 착설하여 이동 가능하게 하고 고리(33)를 문의 포스트에 고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본 발명 자물쇠를 화물칸 또는 자동차 엔진의 덮개나 보넷트 등을 잠글 때에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

  1. 해정위치와 괘정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포크부재(10), 두 개의 레바지부(24)(26)를 가지며 일측 레바지부(24)에 후크(25)가 재가된 제1레바(11)와, 외부로 연장될 돌출봉(28)을 가지며 레바지부(26)의 단부를 괘지하는 제1위치와 레바지부(26)의 단부를 해제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한 제2레바(12)로 구성된 자동차용 자물쇠에 있어서, 포크부재(10)가 두 연속된 포크지부(14)(15)로 구성되고, 포크부재(10)의 포크지부(15)가 포크부재(10)의 괘정운동중 후크(25)에 접근시 제2레바(12)가 그 제2위치로 잠정이동되도록 제2레바(12)의 돌출봉(28)과 연동하는 경사면(19a)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자물쇠.
KR1019780002756A 1978-09-11 1978-09-11 자동차용 자물쇠 KR830002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80002756A KR830002460B1 (ko) 1978-09-11 1978-09-11 자동차용 자물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80002756A KR830002460B1 (ko) 1978-09-11 1978-09-11 자동차용 자물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297A KR830000297A (ko) 1983-03-30
KR830002460B1 true KR830002460B1 (ko) 1983-10-26

Family

ID=72896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80002756A KR830002460B1 (ko) 1978-09-11 1978-09-11 자동차용 자물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4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598B1 (ko) * 2001-12-15 2004-06-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297A (ko) 1983-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03621A (en) Lock in particular for an automobile vehicle
US4487441A (en) Child proof door locking device
EP0072432B1 (en) A locking device of an automotive door
US6340073B1 (en) Elevator door system
EP3048075A1 (en) Car door lock
GB2112352A (en) Locking lift car doors
US4632201A (en) Latch mechanism for a battery holder
JPH04213675A (ja) 車両の揺動部材用拘束装置
US4634156A (en) Door lock device
KR830002460B1 (ko) 자동차용 자물쇠
CN1014441B (zh) 锁紧件、特别是滑动页扇的锁紧件
US4986580A (en) Lock with a mechanism for locking and unlocking by means of an electromagnet
US4318649A (en) Locking mechanism for B deck of auto-rack railway car
US4114935A (en) Box car anti-pilferage device
JP2580077Y2 (ja) 錠におけるデッドボルトの空動き防止装置
CN213862227U (zh) 一种铁路货车及其传动轴止挡机构
CN115240338B (zh) 一种防止二次开启机构及其闸门
JPH0240696Y2 (ko)
US4166646A (en) Latching plate especially for automobile doors
CN114291707B (zh) 一种电梯轿门锁装置及其控制方法
US3280761A (en) Bulkhead handle assembly
KR20090000942U (ko)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오조작 방지구조
US4244299A (en) Railway side door hopper car locking mechanism
JPH0563992U (ja) 安全機能付き自動車用収納装置
KR910006672Y1 (ko)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잠금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