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672Y1 -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672Y1
KR910006672Y1 KR2019880002969U KR880002969U KR910006672Y1 KR 910006672 Y1 KR910006672 Y1 KR 910006672Y1 KR 2019880002969 U KR2019880002969 U KR 2019880002969U KR 880002969 U KR880002969 U KR 880002969U KR 910006672 Y1 KR910006672 Y1 KR 9100066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levator
contact
hook member
b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29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9245U (ko
Inventor
이기출
이민호
Original Assignee
현대 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지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 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지주현 filed Critical 현대 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29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6672Y1/ko
Publication of KR8900192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92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6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6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45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잠금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 잠금 장치의 사시도.
제2a도는 엘리베이터차가 랜딩지역에 정차한 상태에서, 차도어가 폐쇄되어 있을때의 안전잠금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단면도.
제2b도는 엘리베이터차가 랜딩지역에 정차한 상태에서, 차도어가 개방될때의 안전잠금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단면도.
제2c도는 엘리베이터차가 랜딩지역 아닌 다른 지역에 정차한 상태에서, 차도어가 개방될때의 안전잠금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도어 3 : 행어
5 : 해치도어 8 : 정지부재
9 : 후크부재 13 : 스프링
15 : 작동수단 21a : 미끄럼 접촉부재
21a : 미끄럼 접촉부 21 : 돌기
22 : 접촉부재 23 : 접촉판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엘리베이터차가 고장 또는 정전으로 인하여 빌딩층 중간에 멈추었을때 차내승객이 엘리베이터차의 도어를 열지 못하게 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차가 운행중 고장 또는 정전으로 인하여 빌딩층 복도로 부터 상당한 높이상에 멈추었을때, 차내 승객이 함부로 엘리베이터차의 도어를 열게되면, 잘못하면 승객이 엘리베이터차 주행통로내로 떨어질 위험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엘리베이터차가 빌딩층 복도에 가까운 높이에, 즉 안전높이에 멈추지 않은 경우에는 승객이 엘리베이터차의 도어를 열지 못하게 하기 위한 장치가 여러개 개발되었다.
일례로, 미합중국 특허 제431,352호에 있어서는 차도어위의 차프레임상에 고정되고 상측으로 연장된 잠금돌출부와, 도어의 상하피봇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돌출부에 선택적으로 맞물려 차도어의 개방이동을 방지시키는 후크부재와, 도어의 벽면에 링크에 의해 상하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엘리베이터차가 랜딩(landing)지역상에 멈추었을때 층복도 도어에 장착된 통상의 로울러에 접촉되어 도어의 개방에 의한 로울러의 이동에 따라 밀려져 상승 이동하게 되는 구동수단과, 상단은 상기 후크부재에 그리고 하단은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되어 구동수단의 상하이동시 상기 후크부재를 상하로 피봇운동시키는 수직 푸시로드로 구성된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 감금 장치에 관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차가 상승 또는 하강이동하여 랜딩지역에 진입하게 될때 베인(vane)의 형태로 된 구동수단의 단부가 로울러에 부닥치게 되고, 이에 따라 로울러 또는 베인의 단부에 마모가 발생하고, 또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미합중국 특허 제4,423,799호에 있어서는 베인 형식 또는 캠로울러형식의 구동수단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 잠금장치에 관해 기재하고 있으나, 이러한 장치들에 있어서도 상기 특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차가 상승 또는 하강이동하여 랜딩지역에 진입하게 될 때 구동수단이 엘리베이터차의 각 랜딩지역에 고정된 구동수단 작동부재에 부닥치게 되어, 상기와 같은 마모및 소음발생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상기 미합중국 특허 제4,423,799호에 있어서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잠금 장치를 제안하고 있지만, 이 경우는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차가 상승 또는 하강 이동하여 랜딩지역에 진입하게 될때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 잠금장치의 구성요소들 사이에서 부닥침이 발생되지 않게하여 장치의 마모및 소음 발생을 방지시킬 수 있는 도어 안전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엘리베이터차가 랜딩지역에 있을 때만 엘리베이터차 도어의 개방을 가능하게 하는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잠금 장치에 있어서, 차도어 상부의 차체프레임에 수평으로 고정되고 양단부에 차체 프레임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돌출단부를 가지고 있는 정지부재와, 차도어 상부에 수평으로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정지부재의 몰출단부중 제1돌출단부와 맞물려 차도어의 개방이동을 방지시키는 물림위치와, 물림해제 위치간을 이동 가능한 후크부재와, 그 후크부재를 그의 물림위치쪽으로 가압시키도록 작용하는 스프링과, 각 랜딩지역의 예정된 위치에 설치된 접촉판과, 차도어의 상부에 수직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장착되어, 후크부재를 비물림 위치에 유지시키게 하는 제1위치와, 후크부재의 물림위치의 이동을 허용하는 제2위치간을 회전운동 가능한 작동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수단의 상단에는 상기 후크부재와 미끄럼 접촉하여 그 후크부재에 의해 상기 스프링력을 받아 작동수단을 그의 제2위치로 항상 가압시키는 미끄럼 접촉부재, 그리고 도어가 폐쇄되어 있을때 상기 정지부재의 제2 돌출단부에 맞물려 작동수단이 그의 제2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시키고, 도어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제2 돌출단부로 부터 이탈하여 작동수단의 제2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돌기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작동수단의 하단에는 돌기가 정지부재의 제2돌출단부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접촉판으로 부터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유지되도록 고정되어 있고, 랜딩위치에서 도어에 개방됨에 따라 상기 돌기가 제2돌출단부로 부터 이탈하면 상기 접촉판과 접촉하여 작동수단의 제2위치로의 이동을 방지시키도록 작용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안전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달성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르면, 작동부재의 상단에 고정된 돌기가 정지부재의 제2돌출단부에 접촉하고 있을때는 접촉부재가 접촉판으로 부터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되어 있고, 이에따라 엘리베이터차가 운행하고 있는 중에 접촉부재가 접촉판에 부닥치지 않게되어, 종래 기술에서 당면하였던 소음 및 마모의 문제점이 전혀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차 도어(1)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엘리베이터차 도어(1)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차에 장착된 레일(2)상에서 도어(1)를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로울러(4)들(제1도에는 한개만도시됨)을 가진 행어(3)를 구비하고 있다.
엘리베이터차 도어(1)는 일부가 부호 "2"으로 표시되어 있는 작동기구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되며, 엘리베이터 차가 랜딩지역에 정차하였을때 해치도어(일부가 부호 "5"로 표시되어 있음)를 차도어(1)와 일체로 개방및 폐쇄시키도록 상기 해치도어(5)에 장착된 결합수단(7)과 협력하는 결합수단(6)을 가지고 있다. 잘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결합수단(6)은 두개의 긴판(6a), (6b)으로 구성되어 있고, 결합수단(7)는 두개의 로울러(7a),(7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수단(6),(7)들간의 상호 작용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므로,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잠금 장치는 차도어(1)의 상부에 위치된 차체 프레임(도시안됨)에 수평으로 고정된 정지부재(8)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정지부재(8)의 양단부에는 한쌍의 돌출단부(8a),(8b)가 차체 프레임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다. 안전잠금 장치는 또한 화살표 x방향으로의 차도어(1)의 개방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정지부재(8)의 제1돌출단부(8a)와 맞물릴 수 있게 되어있는 후크부재(9)를 포함하고 있다. 이 후크부재(9)는 일단이 행어(3)상에 장착된 브래킷(10)의 상부에 핀(11)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피봇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1돌출단부(8a)와 맞물리는 물림위치와, 물림해제 위치간을 이동하게 되어 있다. 후크부재(9)의 자유단부에는 작은 로울러(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후크부재(9)는 브래킷(14)를 거쳐 브래킷(10)에 설치된 판스프링의 형태로된 스프링(13)에 의해 항상 물림위치쪽으로 가압되게 되어 있다.
본 고안의 안전잠금 장치는 또한 엘리베이터차가 랜딩지역에 정차 하였을때 차도어(1)의 개방을 가능하게 하도록 후크부재(9)를 스프링(13)의 힘에 대향하여 그의 물림해제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작용하는 작동수단(15)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작동수단(15)는 긴로드(16)의 형태로 되어 있고, 브래킷(17)들에 의해 차도어(1)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브래킷(17)은 결합수단(6)의 장착용 브래킷(18)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작동수단(15)의 길이가 길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행어(3)의 장착시킨 브래킷(19)에 의해 작동수단의 지지를 보강시킬 수도 있다.
작동수단(15)는 정지부재(8)의 부근까지 연장된 로드(16)의 상단에 고정된, 절곡된 미끄럼 접촉부재(21)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 미끄럼 접촉부재(21)는 후크부재(9)의 로울러(12)와 항상 미끄럼 접촉하는 미끄럼 접촉부(21a)와, 그 미끄럼 접촉부(21a)의 반대족으로 연장되어 정지부재(8)의 제2돌출단부(8b)와 물림 가능한 돌기(21b)를 가지고 있다. 미끄럼 접촉부재(21)의 돌기(21b)는 차도어(1)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정지부재(8)의 제2돌출단부(8b)와 맞물려 있게 되어 있고, 이와같은 상태에서는 후크부재(9)는 미끄럼 접촉부재(21)의 미끄럼 접촉부(21a)에 의해 물림 해제 위치가 유지되게 되어 있다. 한편, 차도어(1)가 화살표 X방향으로 개방됨에 따라 미끄럼 접촉부재(21)가 정지부재(8)에 대해 화살표 X방향으로 상대 이동하게 되면, 돌기(21b)가 정지부재(8)의 제2돌출단부(8b)로 부터 이탈하게 되는데, 이때 후크부재(9)는 스프링(13)의 힘에 의해 물림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그와 동시에 미끄럼 접촉부재(21)를 제1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하여, 차도어(1)의 더이상의 화살표 X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되게 된다. 이 상태로 부터 차도어(1)를 폐쇄시키도록 다시 화살표 X방향의 반대쪽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돌기(21b)가 정지부재(8)의 제2돌출단부(8b)에 강제 접촉되면서 미끄럼 접촉부재(2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따라 미끄럼 접촉부재(21)의 미끄럼 접촉부(21a)에 의해 후크부재(9)는 다시 스프링(13)의 힘에 대항하여 물림해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작동수단(15)는 또한 로드(16)의 하부에 고정된 긴 접촉부재(22)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 접촉부재(22)는 엘리베이터차가 랜딩지역에 정차하였을때 각 랜딩지역의 예정된 위치에 설치된 접촉판(23)과 접촉가능하여, 차도어(1)가 개방되더라도 후크부재(9)를 그의 물림 해제 위치에 그대로 유지시키게 하여 후크부재(9)가 차도어(1)의 개방을 방해하지 않도록 작용한다. 접촉부재(22)는 제2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도어(1)가 폐쇄된 상태, 즉 미끄럼 접촉부재(21)의 돌기(21b)가 정지부재(8)의 제2돌출단부(8b)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접촉판(23)으로 부터 수평방향으로 약간 이격되게 위치되어 있다. 랜딩지역에서 차도어(1)가 개방됨에 따라 미끄럼 접촉부재(21)의 돌기(21b)가 정지부재(8)의 제2돌출단부(8b)로 부터 이탈하게 될때, 그 이탈과 동시에 접촉판(23)에 접촉하여, 후크부재(9)를 그의 물림위치 쪽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하여, 후크부재(9)가 도어(1)의 개방을 방해하지 않게하고 있다. 그러나, 엘리베이터차가 랜딩지역이 아닌 지역에서 정차하였을때는 그 지역에 상기 접촉부재(22)를 접촉할 수 있는 접촉판(23)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차도어(1)의 개방에 따라 미끄럼 접촉부재(21)의 돌기가 정지부재(8)의 돌기(8b)로 부터 이탈하게 되면, 후크부재(9)는 그의 물림위치로 이동하여, 차도어(1)의 개방을 방해하게 된다.
접촉부재(22)가 상술한 바와같이 차도어(1)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접촉판(23)으로 부터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차의 운행시 접촉판(23)에 접촉하는 일이 없고, 이에 따라 종래기술에서 엘리베이터차의 운행중 발생하던 소음 및 마모의 문제점이 없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접촉판(23)은 제2a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해치도어(5)에 장착된 결합수단(7)용 브래킷(24)에 장착되어 있다.
이하, 제2a도 내지 제2c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안전 잠금장치의 작동에 관해 설명한다.
제2a도는 엘리베이터차가 랜딩지역에 정차한 상태에서, 차도어(1)가 폐쇄되어 있을때를 도시한 것으로, 이러한 상태에서는 작동수단(15)의 미끄럼 접촉부재(21)에 장착된 돌기(21b)가 정지부재(8)의 제2돌출단부(8b)에 맞물려 있고, 이에따라 미끄럼 접촉부재(21)의 미끄럼 접촉부(21a)에 의해 후크부재(9)가 스프링(13)의 힘에 대항하여 물림 해제위치에 유지되고 있다. 또한, 작동수단(15)의 접촉부재(22)는 해치도어(5)에 장착된 접촉판(23)으로 부터 수평으로 이격된 상태에 있다.
제2a도의 상태로 부터 차도어(1)가 화살표 x방향으로 개방되게 되면, 제2b도에 두시된 바와같이 접촉부재(22)가 접촉판(23)에 접촉하게 된다. 그결과, 차도어(1)의 개방이동으로 인해 돌기(21b)가 정지부재(8)의 제2돌출단부(8b)로 부터 이탈되어도, 후크부재(9)는 그의 물림위치쪽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여전히 비물림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그리하여, 랜딩지역에서 도어는 후크부재에 의해 방해를 받음이 없이 개방 및 폐쇄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엘리베이터차가 랜딩지역이 아닌 다른 지역에 정차한 상태에서 도어를 개방하게 되면, 돌기(21b)가 정지부재(8)의 제2돌출단부(8b)로 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때, 엘리베이터차가 정차한 지역에는 접촉판(23)이 존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제2c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작동수단(15) 즉, 미끄럼 접촉부재(21)은 스프링(13)의 스프링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후크부재(9)는 그의 물림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따라, 후크부재(9)와 정지부재(8)의 제1돌출단부(8a)간의 맞물림에 의해, 차도어(1)의 더이상의 개방 이동은 방지되게 된다.
제2c도의 상태로 부터 다시 차도어(1)을 폐쇄이동 시키게 되면, 돌기(21b)가 정지부재(8)의 제2돌출단부(8b)에 강제 접촉되면서 미끄럼 접촉부재(2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미끄럼 접촉부재(21)의 미끄럼 접촉부(21a)에 의해 후크부재(9)는 다시 스프링(13)의 힘에 대항하여 물림해제 위치로 복귀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잠금 장치에 의하면 신뢰성이 있는 도어안전 잠금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와함께 접촉부재(22)가 차도어(1)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접촉판(23)으로 부터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차의 운행시 접촉판(23)에 접촉하는 일이없고, 이에따라 종래기술에서 엘리베이터차의 운행중 발생하던 소음 및 마모의 문제점이 없게 된다.
지금까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에 국한되지 않고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

  1. 엘리베이터차가 랜딩지역에 있을때만 엘리베이터차 도어(1)의 개방을 가능하게 하는 엘리베이터차도어 안전 잠금장치에 있어서, 차도어 상부의 차체프레임에 수평으로 고정되고 양단부에서 차체프레임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돌출단부(8a), (8b)를 가지고 있는 정지부재(8)와, 차도어 상부에 수평으로 피봇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정지부재(8)의 돌출단부중 제1돌출단부(8a)와 맞물려 도어(1)의 개방이동을 방지시키는 물림위치와, 물림 해제 위치간을 이동가능한 후크부재(9)와, 그 후크부재(9)를 그의 물림위치쪽으로 가압시키도록 작용하는 스프링(13)과, 각 랜딩 지역의 예정된 위치에 설치된 접촉판(23)과, 차도어(1)의 상부에 수직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장착되어, 후크부재(9)를 물림해제 위치에 유지시키게 하는 제1위치와, 후크부재(9)의 물림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제2위치간을 회전운동 가능한 작동수단(15)으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수단(15)의 상단에는 상기 후크부재(9)와 미끄럼 접촉하여 그 후크부재(9)에 의해 상기 스프링(13)의 힘을 받아 작동수단을 그의 제2위치로 항상 가압시키는 미끄럼 접촉부재(21), 그리고 도어가 폐쇄되어 있을때 상기 정지부재(8)의 제2돌출단부(8b)에 맞물려 작동수단(15)이 그의 제2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시키고, 도어(1)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제2돌출단부(8b)로 부터 이탈하여 작동수단(15)의 제2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돌기(21b)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작동수단(15)의 하단에는 돌기(21b)가 정지부재(8)의 제2돌출단부(8b)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접촉판(23)으로 부터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유지되도록 고정되어 있고, 랜딩위치에서 도어(1)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돌기(21b)가 제2돌출단부(8b)로 부터 이탈하면 상기 접촉판(23)과 접촉하여 작동수단(15)의 제2위치로의 이동을 방지시키도록 작용하는 접촉부재(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 잠금 장치.
KR2019880002969U 1988-03-05 1988-03-05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잠금 장치 KR9100066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2969U KR910006672Y1 (ko) 1988-03-05 1988-03-05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2969U KR910006672Y1 (ko) 1988-03-05 1988-03-05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잠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9245U KR890019245U (ko) 1989-10-05
KR910006672Y1 true KR910006672Y1 (ko) 1991-08-31

Family

ID=19272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2969U KR910006672Y1 (ko) 1988-03-05 1988-03-05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667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9245U (ko) 198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9877A (en) Elevator evacuation deterrent device
US4423799A (en) Vehicle door lock for limiting door opening to specified vehicle positions
JP5312449B2 (ja) エレベーターのカゴドアロック装置
US4313525A (en) Car door safety interlock
EP0850189B1 (en) Procedure for moving the landing door of an elevator, and a door coupler
US5651427A (en) Elevator door coupling and hold-close apparatus
KR910006672Y1 (ko)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잠금 장치
KR100359381B1 (ko) 역 플랫폼의 안전목책에 있어서의 패닉도어용 로크장치
KR100340316B1 (ko) 엘리베이터의 카도어 안전 잠금장치
GB2206331A (en) Elevator car door locking mechanism
CS195679B2 (en) Blocking device for the doors
KR20020093527A (ko)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록킹장치
US4014269A (en) Safety stop for overhead track switch
EP0410774B1 (en) Elevator system hoistway door operating mechanism
KR910006673Y1 (ko)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잠금 장치
JPH0349266Y2 (ko)
JP4383774B2 (ja) エレベータドア遮蔽装置
KR20030005729A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잠금장치
JP2567432Y2 (ja) 戸車装置
US11772937B2 (en) Elevator car door control system
JPH0455014Y2 (ko)
JPS5850930Y2 (ja) 通路防煙装置
JPS606279B2 (ja) エレベ−タのドア−装置
JPH01226691A (ja) エレベータのかご戸ロック装置
JP2784582B2 (ja) 軌道車両システムにおける乗降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8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