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673Y1 -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673Y1
KR910006673Y1 KR2019880006862U KR880006862U KR910006673Y1 KR 910006673 Y1 KR910006673 Y1 KR 910006673Y1 KR 2019880006862 U KR2019880006862 U KR 2019880006862U KR 880006862 U KR880006862 U KR 880006862U KR 910006673 Y1 KR910006673 Y1 KR 9100066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levator
movable plate
rolle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68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2967U (ko
Inventor
이기출
이민호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지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지주현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68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6673Y1/ko
Publication of KR8900229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29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6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6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45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잠금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잠금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잠금장치의 부분확대 사시도.
제3도는 엘리베이터차가 랜딩지역이 아닌 다른 지역에 정차했을 때의 본 고안장치의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측면도.
제4도는 엘리베이터차가 랜딩지역에 정차했을 때의 본 고안장치의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도어 3 : 행어
5 : 해치도어 8 : 정지부재
8a : 돌기 10 : 가동판
14 : 수평연장부재 14b : 로울러
15 : 작동부재 15a : 수평돌출부
16 : 로울러 안내부재 18 : 작동부재 안내부재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엘리베이터가 고장 또는 정전으로 인하여 빌딩층 중간에 멈추었을 때 차내승객이 엘리베이터차의 도어를 열지 못하게 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차 도어안전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차가 운행중 고장 또는 정전으로 인하여 빌딩층 복도로부터 상당한 높이상에 멈추었을 때, 차내 승객이 함부로 엘리베이터차의 도어를 열게되면, 잘못하면 승객이 엘리베이터차 주행통로내로 떨어질 위험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엘리베이터차가 빌딩층복도에 가까운 높이에, 즉 안전높이에 멈추지 않은 경우에는 승객이 엘리베이터차의 도어를 열지 못하게 하기 위한 장치가 여러개 개발되었다.
일레로, 미합중국 특허 제4,313,525호에 있어서는 차도어 위의 차프레임상에 고정되고 상측으로 연장된 잠금돌출부와, 도어에 상하피봇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돌출부에 선택적으로 맞물려 차도어의 개방이동을 방지시키는 후크부재와, 도어의 벽면에 링크에 의해 상하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엘리베이터차가 랜딩(landing)지역상에 멈추었을 때 층복도 도어에 장착된 통상의 로울러에 접촉되어 밀려져 상승 이동하게 되는 구동 수단과, 상단은 상기 후크부재에 그리고 하단은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되어 구동수단의 상하이동시 상기 후크부재를 상하로 피봇운동시키는 수직 푸시로드로 구성된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잠금장치에 관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구동수단의 승강시 발생하는 측방향이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후크부재와 수직푸시로드간을 볼-소켓(ball-socket)형식의 연결수단을 사용하여 연결시키고 있는데, 이와같은 구조 때문에 제작비용이 많이 들게된다.
또한, 미합중국 특허 제4,423,799호에 있어서는 벨크랭크 기구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잠금 장치에 관해 기재하고 있으나, 이러한 장치들에 있어서도 구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드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문제점들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간단한 구조로된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잠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엘리베이터차가 랜딩지역에 있을 때만 엘리베이터차 도어의 개방을 가능하게 하는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잠금 장치에 있어서, 차도어 상부의 레일상면에 고정된 정지부재와, 도어의 벽면에 링크에 의해 상하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엘리베이터차가 랜딩지역상에 멈추었을 때 층복도의 해치도어에 장착된 통상의 로울러에 접촉되어 밀리면서 상승이동하게되는 가동판과, 상기 가동판의 상단에 인접하여 그 가동판에 장착되어 있고 그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자유단부에는 로울러가 장착되어 있는 수평연장부재와, 차체 프레임에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상기 연장부재의 로울러를 수용하여 그의 이동을 안내하는 수평 C형 안내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상기 정지부재에 맞물릴 수 있는 수평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동판의 상승이동시 수직으로 상승하는것에 의해 상기 정지부재로 부터 수평돌출부를 이탈시키게 하여 도어의 개방을 가능하게 하는 작동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잠금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달성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르면, 종래기술에 비해 제작이 용이한 로울러와 C형 안내부를 사용하여 가동판의 수평이동을 흡수시키게 하고 있고, 이에 따라 전체 장치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제작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이점에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차 도어(1)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엘리베이터차 도어(1)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차에 장착된 레일(2)상에서 도어(1)를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로울러(4)들(제1도에는 한개만 도시됨)을 가진 행어(3)를 구비하고 있다.
엘리베이터차 도어(1)는 엘리베이터차가 랜딩지역에 정차하였을 때 해치도어 제4도에서, 일부가 부호 "5"로 표시되어 있음)를 차도어(1)와 일체로 개방 및 폐쇄시키도록 상기 해치도어(5)에 장착된 로울러(7)들과 협력하는 결합수단을 가지고 있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같이, 결합수단은 두개의 간판(6a), (6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두판(6a), (6b)과 로울러 (7)들간의 상호 작용은 당해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므로,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잠금장치는 차도어(1)의 상부에 위치된 레일(2)의 상면에 장착된 정지부재(8)를 포함하는데, 이 정지부재(8)는 수직으로 돌출된 돌기(8a)를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의 안전잠금장치는 또한 한쌍의 링크(9)들에 의해 엘리베이터차 도어(1)에 장착되어 있고 수직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가동판(1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링크(9)들은 판(6a), (6b)을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11)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가동판(10)은 엘리베이터차가 랜딩지역에 진입하게 될때, 각 랜딩지역에 위치된 해치도어상에 설치된 로울러(7)들과 접촉할 수 있게끔판(6a), (6b)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가동판(10)은 로울러(7)들과 접촉함에 따라 그 로울러(7)들에 의해 엘리베이터차 도어(1)쪽으로 밀리면서 수직으로 상승이동을 하게된다. 한편, 가동판(10)은 로울러(7)로부터 이탈함에 따라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또한 가동판(10)의뒷면에는 가동판(10)의 하강운동을 제한하는 C형 정지부재 (12)가 부착되어 있고, 그 정지부재를 관통하여서는 판(6b)의 장착아암(13)이 연장되어 있다. 즉,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가동판(10)의 정상위치에서 상기 장착아암(13)상에 정지부재(12)가 놓이게된다.
가동판(10)의 상단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가동판(10)에는 수평연장부재(14)가 부착되어 있으며, 그 수평연장부재(14)의 상측으로 연장된 자유단부(14a)에는 로울러(14b)가 축(14c)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본 고안의 안전잠금장치는 또한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동판(10)이 승강함에 따라 상기 정지부재(8)의 돌기(8a)에 대해 물리는 위치와, 물림해제위치간을 이동하는 작동부재(15)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작동부재(15)의 상단에는 상기 돌출부(8a)에 물릴 수 있는 래치(latch)로서 작용하는 수평돌출부(15a)가 형성되어 있고, 작동부재(15)의 하단에는 긴 c형 안내부재(16)가 부착되어 있다. 이 안내부재(16)는 수평연장부재(14)에 장착된 로울러(14b)를 수용하여, 그 로울러(14b)의 수평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안내부재(16)은 로울러(14b)의 축(14c)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16a)을 가지고 있다. 작동부재(15)의 승강이동은 행어(3)에 장착된 브래킷(17)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있는 한쌍의 c형 안내부재(18)에 의해 안내되게 된다.
이하,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안전 잠금장치의 작동에 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차가 운행하고 있는 중에는, 안전잠금장치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동판(10)이 하강된 상태에 있고, 이 상태에서는 작동부재(15)의 수평돌출부(15a)가 정지부재(8)의 돌기(8a)에 맞물려 있게된다. 이상태로 부터 엘리베이터차가 랜딩지역내로 진입하게되면, 가동판(10)이 해치도어(5)에 설치된 로울러(7)에 접촉하게되고, 이러한 접촉에 따라 가동판(10)은 제4도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같이 차도어(1)쪽으로 밀리면서 상승운동을 하게된다.
이때, 수평연장부재(14)의 로울러(14b)는 안내부재(16)의 내측상면을 따라 차도어(1)쪽으로 이동하면서, 안내부재(16)를 밀어올리게 되고, 이에 따라 작동부재(15)를 밀어올리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작동부재(15)는 그의 물림해제 위치로 이동하여, 차도어(1)의 개방을 가능하게 해준다. 그리하여, 엘리베이터차 로울러(7)가 존재하는 랜딩지역에 정지하였을 때에는 작동부재(15)가 물림해제 위치에 유지되기 때문에, 차도어(1)의 개방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랜딩지역이 아닌 다른 지역에 엘리베이터차가 정차하였을 경우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지역에 가동판(10) 그리고 작동부재(15)를 밀어올리게 하도록 작용하는 로울러(7)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작동부재(15)가 그의 물림위치에 유지되어, 차도어(1)의 개방이 방지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종래기술에 비하여 제작이 용이하고도 간단한 로울러와 c형 안내부를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구조가 간단해지고 제작비용도 저렴해진 엘리베이터차 도어안전 잠금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바와같은 고안의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

  1. 엘리베이터차가 랜딩지역에 있을때만 엘리베이터차 도어(1)의 개바을 가능하게 하는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잠금 장치에 있어서, 차도어 상부에 위치한 레일(3)의 상면에 고정된 정지부재(8)와, 도어(1)의 벽면에 링크(9)에 의해 상하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엘리베이터차가 랜딩지역상에 멈추었을 때 층복도의 해치도어(5)에 장착된 통상의 로울러(7)에 접촉되어 밀리면서 상승이동하게되는 가동판(10)과, 상기 가동판(10)의 상단에 인접하여 그 가동판(10)에 장착되어 있고 그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있으며 자유단부(14a)에는 로울러(14b)가 장착되어 있는 수평연장부재(14)와, 차체프레임에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상기 수평연장부재(14)의 로울러(14b)를 수용하여 그의 이동을 안내하는 수평의 c형 안내부(16)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상기 정지부재(8)에 맞물릴 수 있는 수평돌출부(15a)가 형성되어 상기 가동판(10)의 상승이동시 수직으로 상승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정지부재(8)로 부터 수평돌출부(15a)를 이탈시키게 하여 도어의 개방을 가능하게 하는 작동부재(1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차도어 안전잠금장치.
KR2019880006862U 1988-05-06 1988-05-06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잠금 장치 KR9100066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6862U KR910006673Y1 (ko) 1988-05-06 1988-05-06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6862U KR910006673Y1 (ko) 1988-05-06 1988-05-06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잠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2967U KR890022967U (ko) 1989-12-02
KR910006673Y1 true KR910006673Y1 (ko) 1991-08-31

Family

ID=19275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6862U KR910006673Y1 (ko) 1988-05-06 1988-05-06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667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2967U (ko) 198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2095B1 (en) Ramp assembly having a lift and lock mechanism
CA1179702A (en) Vehicle door lock for limiting door opening to specified vehicle positions
US6340073B1 (en) Elevator door system
CA1135201A (en) Car door safety interlock
PT90016B (pt) Dispositivo de accionamento de portas com mecanismo de bloqueio para elevadores
US4520591A (en) Garage door safety locking system
KR101274421B1 (ko) 엘리베이터칸의 도어로크장치
PT1516847E (pt) Dispositivo para acoplar uma porta de cabina com uma porta de patamar, bem como um dispositivo para destrancar uma porta de cabina em caso de emergência.
JP7206087B2 (ja) 機械式昇降路アクセス制御装置
US6189658B1 (en) Procedure for moving the landing door of an elevator, and a door coupler
KR910006673Y1 (ko)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잠금 장치
WO2003064208A1 (en) Ramp assembly having a lift and lock mechanism
KR102103335B1 (ko) 언록킹 기능을 향상시킨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장치
KR102313613B1 (ko) 스크린도어의 승강장안전문 비상 개폐장치
CA2038732C (en) Device and procedure for opening the doors of an elevator
KR910006672Y1 (ko)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잠금 장치
KR100358279B1 (ko) 플랫폼용 가동펜스
JPH06156953A (ja)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JPS6246701Y2 (ko)
KR200392167Y1 (ko) 록킹장치를 갖춘 엘리베이터 도어 시스템
KR870001139Y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록크장치
JP2005008383A (ja) エレベータ装置
JPS6011889Y2 (ja) エレベ−タのかご室側面救出口
JPH09112164A (ja) シャッターの停止装置
JPH06271259A (ja) エレベータのドア鎖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29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