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6054A - 내충격성이 우수한 난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 Google Patents

내충격성이 우수한 난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6054A
KR20030046054A KR1020010076371A KR20010076371A KR20030046054A KR 20030046054 A KR20030046054 A KR 20030046054A KR 1020010076371 A KR1020010076371 A KR 1020010076371A KR 20010076371 A KR20010076371 A KR 20010076371A KR 20030046054 A KR20030046054 A KR 20030046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butadiene
acrylonitrile
copolym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6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기영
이찬홍
황용연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10076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6054A/ko
Publication of KR20030046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05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3/2279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ntimon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2Halogenated hydrocarbons
    • C08K5/03Halogenated hydrocarbons aromatic, e.g. C6H5-CH2-C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16Solid 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28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halogens o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 C08L23/286Chlorinated polyeth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3/2279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ntimony
    • C08K2003/2282Antim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충격성이 우수한 난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난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에 있어서, 평균입도가 0.3 내지 0.5 ㎛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평균입자크기 0.2 내지 0.6 ㎛의 미립 삼산화안티몬 3 내지 10 중량부를 난연보조제로 포함하여 내충격성이 우수한 난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충격성이 우수한 난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FIREPROOF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RESIN HAVING SUPERIOR ANTI-STRESS IMPACT}
본 발명은 난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에 있어서, 평균입도가 0.3 내지 0.5 ㎛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에 평균입자크기 0.2 내지 0.6 ㎛의 미립 삼산화안티몬을 난연보조제로 포함하여 내충격성이 우수한 난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공중합체 수지는 가공성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외관이 미려하여 전기전자제품, 자동차용 부품, 및 OA 제품 등의 내외장재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ABS 공중합체 수지는 그 자체로 연소에 대한 저항성이 없고 외부의 점화인자에 의해 불꽃이 점화되면 수지 자체가 연소를 도와주는 에너지로 작용하여 지속적으로 불을 확산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전기전자 부품의 경우, 화재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난연성을 보유한 수지만을 사용하도록 법제화되어 있다.
ABS 공중합체 수지에 난연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는 중합형, 블렌딩형, 및 첨가형으로 크게 대별된다. 중합 중에 트리브로모스티렌과 같이 브롬을 함유하는 모노머를 첨가하여 난연성을 부여하는 중합형, PVC와 같이 난연성을 가지는 수지와 용융혼합하는 블렌딩형, 및 가공 중에 난연제, 난연보조제를 첨가하는 첨가형법이 제안되고 있으며, 브롬과 같은 할로겐을 함유한 유기화합물, 또는 산화안티몬 함유 무기화합물을 수지에 첨가하는 첨가형 난연화법이 주로 상용화된 방법이다.
그러나, 실제로 ABS 공중합체 수지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난연제 및 난연보조제를 첨가할 경우, 충격강도 및 기계적 물성의 급격한 저하를 유발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더욱이 최근 전지전자제품은 대형화, 박막성형의 확대에 따라 외부충격에 보다 잘 견딜 수 있는 난연수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본공개특허공보 소 5-331350호는 난연 ABS 수지의 난연성 및 내충격성 향상을 위하여 염소화 폴리에틸렌을 병행사용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일본공개특허공보 소 5-93120호는 실리콘계 첨가제를 사용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들은 과량 사용할 경우 열안정성 저하가 심하고 가격이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다.
산화안티몬 함유 무기화합물인 난연보조제의 경우, 주로 삼산화안티몬 및 오산화안티몬이 사용되고 있으며, 난연 ABS용 난연보조제로는 삼산화안티몬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품화된 삼산화안티몬의 경우 0.02∼5 ㎛ 정도의 입경을 가지며, 난연 ABS용으로는 주로 0.7∼4 ㎛ 정도의 입경을 가지는 삼산화안티몬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나, 산화안티몬의 입경 및 형태가 내충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난연보조제로 첨가되는 산화안티몬의 입경 및 형태가 난연 ABS 공중합체 수지의 내충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가공성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충격강도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난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균입자크기 0.35 ㎛의 미립 삼산화안티몬의 입도형태를 분석한 사진이다.
도 2는 평균입자크기 3.3 ㎛의 삼산화안티몬의 입도형태를 분석한 사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난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에 있어서,
a) 평균입도가 0.3 내지 0.5 ㎛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평균입자크기 0.2 내지 0.6 ㎛의 미립 삼산화안티몬 3
내지 10 중량부
를 난연보조제로 포함하는 난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난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에 첨가되는 난연보조제의 입경을 개선하여 내충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평균입도가 0.3 내지 0.5 ㎛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에 평균입자크기 0.2 내지 0.6 ㎛의 미립 삼산화안티몬을 사용한 결과 난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의 내충격성에 향상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평균입도가 0.3 내지 0.5 ㎛의 난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100 중량부에 평균입자크기 0.2 내지 0.6 ㎛의 미립 삼산화안티몬 3 내지 10 중량부을 난연보조제로 첨가하여 가공성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외관이 미려한 동시에 내충격성이 우수한 난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100 중량부;
b) 난연제로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 또는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
머 8 내지 30 중량부;
c) 평균입도가 0.3 내지 0.5 ㎛인 평균입자크기 0.2 내지 0.6 ㎛의 미립 삼
산화안티몬 3 내지 10 중량부;
d) 충격보강제로 염소화 폴리에틸렌 1 내지 7 중량부;
e) 적하방지제로 불소계 화합물 0.1 내지 2 중량부; 및
f) 활제 또는 안정제 0.2 내지 2 중량부
를 포함하는 난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이다.
상기 a)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는 하기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1,3-부타디엔 100 중량부, 유화제 1 내지 4 중량부, 중합개시제 0.1 내지 0.5 중량부, 이온교환수 90 내지 130 중량부를 일괄투여하여 7∼12 시간 동안 50∼65 ℃에서 반응시킨 다음, 분자량조절제 0.05 내지 1.2 중량부를 추가로 일괄투여하여 5∼15 시간 동안 55∼70 ℃에서 반응시켜 평균입자경이 600 내지 1500 Å이고, 겔함량이 70 내지 95 %이며, 팽윤지수가 12 내지 13 정도인 소구경 폴리부타디엔 고무라텍스(A)를 제조한다.
상기 제조된 소구경 폴리부타디엔 고무라텍스(A) 100 중량부에 아세트산 수용액 1.0 내지 4.0 중량부를 1 시간 동안 서서히 투여하여 입자를 비대화시킨 다음, 교반을 중단하여 입자경이 2600 내지 5000 Å이고, 겔함량이 70 내지 95 %이며, 팽윤지수가 12 내지 30 정도인 대구경 폴리부타디엔 고무라텍스(B)를 제조한다.
공액디엔 화합물 단량체 총 100 중량부 중 50 내지 100 중량부, 보통의 유화제 1 내지 4 중량부, 중합개시제 0.2 내지 1.5 중량부, 전해질 0.5 내지 2 중량부, 분자량조절제 0.1 내지 0.5 중량부, 이온교환수 75 내지 100 중량부를 일괄투여하여 4∼15 시간 동안 65∼75 ℃에서 반응시킨 다음, 나머지 공액디엔 화합물 단량체와 분자량 조절제를 일괄투여 또는 연속투여하여 70∼85 ℃에서 10∼20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대구경 고무라텍스(C)를 제조한다.
상기 대구경 폴리부타디엔 고무라텍스(B) 10 내지 50 중량부와 대구경 고무라텍스(C) 50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15 내지 30 중량부, 비닐시안 화합물 10 내지 25 중량부, 유화제 0.6 내지 2.0 중량부, 분자량조절제 0.2 내지 1.0 중량부, 중합개시제 0.05 내지 0.5 중량부 등을 투입하여 40∼80 ℃에서 2∼7 시간 동안 그라프트 공중합시킨다. 이때 사용하는 단량체의 25 내지 80 중량부는 초기 반응에서 일괄투여한 후 반응시키고, 30∼90 분이 경과하여 투입한 단량체의 전환율이 40 내지 90 %가 되면 나머지 단량체를 일괄투여 또는 연속투여하고 1 시간 동안 더욱 반응시켜 반응을 종료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라텍스는 응집공정 및 건조공정을 거쳐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b)의 난연제는 테트라 브로모 비스페놀 에이(TBBA; tetra bromo bisphenol A), 또는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BEO; Bbrominated epoxy oligomer)을 사용할 수 있다. 그 함량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8 내지 3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8 중량부 미만을 첨가할 경우 난연효과가 부족하며, 3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가공성 및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테트라 브로모 비스페놀 에이는 시중에 판매되는 GLC사의 CP-2000 제품을 정제없이 사용하였고,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는 LG 화학의 LFR-1350E를 추가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상기 c)의 난연보조제는 난연제로 사용되는 할로겐계 화합물과 상승작용을일으켜 난연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며, 삼산화안티몬 또는 오산화안티몬이 사용되며 난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의 경우 삼산화안티몬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상품화 된 삼산화안티몬의 경우 0.02∼5 ㎛ 정도의 입경을 가지며 난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용으로는 주로 0.7∼4 ㎛ 정도의 입경을 가지는 삼산화안티몬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삼산화안티몬 생산품에 비하여 평균입자크기가 10 배 정도 작은, 평균입자크기가 0.2 내지 0.6 ㎛인 미립 삼산화안티몬을 제조하고, 이를 난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에 적용하였다.
또한 상기 미립 삼산화안티몬은 회전형 반사로의 내부온도를 860 ±20 ℃로 유지하여 삼산화안티몬을 산화시키고, 이를 250∼270 ℃의 온도로 유지하여 비산구를 통과시킨 후, 블로워(blower) 용량 30 HP인 전자동 펄스타입의 백 필터(bag filter)로 포집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미립 삼산화안티몬은 평균입자크기가 0.2 내지 0.6 ㎛이고, 도 1과 같이 구상구조가 많은 입도형태를 갖는 미립 삼산화안티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공성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종래 난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가 갖는 문제점인 충격강도와 기계적 물성을 개선하여 내충격성이 우수한 난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의 제조
가열장치가 설치된 중합반응기 내에 입자크기 3000 Å 정도의 고무 라텍스 55 중량부, 이온교환수 145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4.8 중량부, 스티렌 12 중량부, 로진산 칼륨 0.2 중량부, 및 t-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0.01 중량부를 투입하였다. 반응기 내부의 온도가 45 ℃가 되면 덱스트로즈 0.0045 중량부, 피롤린산 나트륨 0.002 중량부, 및 황산제일철 0.0005 중량부를 투입하고 중합반응을 개시하였다. 반응온도를 55 ℃로 유지하여 중합전환율이 50 %가 되면, 다시 덱스트로즈 0.0045 중량부, 피롤린산 나트륨 0.002 중량부, 황산제일철 0.0005 중량부, 및 t-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0.01 중량부를 투입하고 온도를 70 ℃까지 상승시키고, 이때 전환율은 70 %가 되도록 하였다.
덱스트로즈 0.045 중량부, 피롤린산 나트륨 0.02 중량부, 황산제일철 0.005 중량부를 투입한 후별도의 혼합장치에서 아크릴로니트릴 7.8 중량부, 스티렌 20.4 중량부, 이온교환수 25 중량부, t-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0.1 중량부, 로진산 칼륨 0.9 중량부, 3급 도데실메르캅탄 0.3 중량부를 혼합하여 유화액을 만들고, 이를 70 ℃에서 2 시간 동안 투입하였다. 단량체 유화액의 투입이 끝난 후, 덱스트로즈 0.08 중량부, 피롤린산 나트륨 0.05 중량부, 황산제일철 0.001 중량부, 및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0.05 중량부를 일괄적으로 반응기에 투입한 다음, 온도를 80 ℃까지 1 시간에 걸쳐 승온한 다음 반응을 종결하였다. 여기에 산화방지제를 투입한 후 10 % 황산 수용액으로 융착시키고, 세척 및 건조하여 평균입자크기 0.3∼0.5 ㎛인 분말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미립 삼산화안티몬의 제조
2.5 톤/일 생산능력을 가지는 회전형 반사로의 내부온도(용탕 및 분위기 온도)를 860 ±20 ℃로 유지하여 삼산화안티몬을 산화시키고, 이를 250∼270 ℃의 온도로 유지하여 비산구를 통하여 비산시켰다. 비산구를 통한 삼산화안티몬은 쿨링 타워(cooling tower)를 거친 후, 블로워(blower) 용량 30 HP인 전자동 펄스타입의 백 필터(bag filter)로 포집하는 집진실을 통과시켜 평균입자크기가 0.35 ㎛이고, 구상구조가 많은 입자형태를 갖는 미립 삼산화안티몬을 제조하였다. 이같이 제조된 삼산화안티몬의 평균입자크기는 Marvern사의 Mastersizer-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입도형태는 SE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도 1).
난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의 제조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100 중량부에 난연제로 테트라 브로모 비스페놀 에이 20 중량부, 난연보조제로 상기 제조한 평균입경 0.35 ㎛의 미립 삼산화안티몬 7 중량부, 염소화폴리에틸렌 3 중량부, 적하방지제 0.2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및 활제를 각각 2 중량부씩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이를 헨셀 믹서를 통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이축 압출기를 통하여 펠렛형태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미립 삼산화안티몬 제조
2.5 톤/일 생산능력을 가지는 고정형 도가니로의 내부온도(용탕 및 분위기 온도)를 1,000∼1,300 ℃로 유지하여 삼산화안티몬을 산화시키고, 적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비산구를 통하여 비산시켰다. 비산구를 통한 삼산화안티몬은 쿨링 타워(cooling tower)를 거친 후, 블로워(blower) 용량 7.5 HP인 전자동 펄스타입의 백 필터(bag filter)로 포집하는 집진실을 통과시켜 평균입자크기가 3.3 ㎛ 이상이고, 침상구조가 많은 입자형태를 갖는 삼산화안티몬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난연보조제로 상기 제조한 평균입경 3.3 ㎛의 미립 삼산화안티몬 7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난연보조제로 평균입경 0.8 ㎛의 삼산화안티몬 7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난연보조제로 평균입경 1.25 ㎛의 삼산화안티몬 7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펠렛을 사출성형하여 물성, 및 난연시험 시편을 제작하였으며, 각 물성에 대한 측정방법은 하기의 방법에 의거하여 실시, 평가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ㄱ) 충격강도 : ASTM D256 시험방법에 의해 ⅛인치 두께에 대하여 평가하였
으며, 단위는 ㎏·㎝/㎝이다.
ㄴ) 낙구충격 : ASTM D648 시험방법에 의해 하중 18 ㎏, 높이 85 ㎝의 조건
하에서 평가하였으며, 단위는 J이다.
ㄷ) 유동성 : ASTM D1238 시험방법에 의해 220 ℃, 10 ㎏ 하중의 조건에서
평가하였으며, 단위는 g/10 min이다.
ㄹ) 난연도 : UL-94 시험기준에 따라 1/12 인치와 1/16 인치 두께에 대하여
시험하여 판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ABS 수지 100 100 100 100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에이 20 20 20 20
삼산화안티몬 평균입경 0.35 ㎛ 7 - - -
3.30 ㎛ - 7 - -
0.80 ㎛ - - 7 -
1.25 ㎛ - - - 7
충격강도 26 19 23 20
낙구충격 36 28 33 31
유동성 54 55 53 54
난연도 V-0 V-0 V-0 V-0
상기 표 1을 통하여, 난연보조제로 포함되는 삼산화안티몬의 평균입경이 작아질수록 충격강도는 상승하며, 난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의 기본적인 물성은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난연제로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 20 중량부를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2에서 난연보조제로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한 평균입경 3.3 ㎛의 삼산화안티몬 7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2에서 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로 고무입경이 1∼2 ㎛인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HIPS, high impact poly styrene) 100 중량부, 난연제로 데카브로모디페닐옥사이드 15 중량부, 및 난연보조제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평균입경 0.35 ㎛의 미립 삼산화안티몬 5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2에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로 고무입경이 1∼2 ㎛인 HIPS 수지 100 중량부, 난연제로 데카브로모디페닐옥사이드 15 중량부, 및 난연보조제로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평균입경 3.3 ㎛의 삼산화안티몬 5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4 내지 6에서 제조한 펠렛을 사출성형하여 물성, 및 난연시험 시편을 제작하였으며, 각 물성에 대한 측정방법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2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ABS 수지 (평균입경 0.3∼0.5 ㎛) 100 100 - -
HIPS 수지 (평균입경 1∼2 ㎛) - - 100 100
난연제 브로미네이티드에폭시올리고머 20 20 - -
데카브로모디페닐옥사이드 - - 15 15
삼산화안티몬 평균입경 0.35 ㎛ 7 - 5 -
3.30 ㎛ - 7 - 5
충격강도 20 15 10 9
낙구충격 29 22 14 15
유동성 35 35 70 72
난연도 V-0 V-0 V-0 V-0
상기 표 2의 실시예 2와 비교예 4를 통하여, 난연제를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로 사용할 경우에도 삼산화안티몬의 평균입경이 작을수록 내충격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지의 평균입자크기와의 차이가 80∼120 % 범위인 평균입자를 갖는 미립 삼산화안티몬을 사용한 실시예 2는 내충격성의 향상이 우수한 반면, 80∼120 % 이상의 차이가 있는 비교예 5, 및 비교예 6에서는 내충격성의 향상은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의 평균입도에 대하여 80∼120 %의 평균입도를 갖는 미립 삼산화안티몬을 포함하는 난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는 가공성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종래 난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가 갖는 문제점인 충격강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난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에 있어서,
    a) 평균입도가 0.3 내지 0.5 ㎛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평균입자크기 0.2 내지 0.6 ㎛의 미립 삼산화안티몬 3
    내지 10 중량부
    를 난연보조제로 포함하는 난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2. 제 1 항에 있어서,
    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100 중량부;
    b) 난연제로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 또는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
    머 8 내지 30 중량부;
    c) 평균입도가 0.3 내지 0.5 ㎛인 평균입자크기 0.2 내지 0.6 ㎛의 미립 삼
    산화안티몬 3 내지 10 중량부;
    d) 충격보강제로 염소화 폴리에틸렌 1 내지 7 중량부;
    e) 적하방지제로 불소계 화합물 0.1 내지 2 중량부; 및
    f) 활제 또는 안정제 0.2 내지 2 중량부
    를 포함하는 난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 삼산화안티몬이 구상인 난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KR1020010076371A 2001-12-04 2001-12-04 내충격성이 우수한 난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KR200300460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371A KR20030046054A (ko) 2001-12-04 2001-12-04 내충격성이 우수한 난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371A KR20030046054A (ko) 2001-12-04 2001-12-04 내충격성이 우수한 난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054A true KR20030046054A (ko) 2003-06-12

Family

ID=29573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6371A KR20030046054A (ko) 2001-12-04 2001-12-04 내충격성이 우수한 난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60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4874A (ko) 2019-04-25 2020-11-04 비즈텍코리아 주식회사 난연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0845A (en) * 1977-09-05 1979-03-31 Daicel Chem Ind Ltd Flame-retardant resin composition
US4616049A (en) * 1985-04-24 1986-10-07 Ppg Industries, Inc. Surface-modified antimony oxide particles
JPH0284457A (ja) * 1988-09-20 1990-03-26 Denki Kagaku Kogyo Kk 難燃性樹脂組成物
KR930703488A (ko) * 1991-11-04 1993-11-30 어네스트 지. 포스너 난연성 조성물
KR970042797A (ko) * 1995-12-09 1997-07-26 전성원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0845A (en) * 1977-09-05 1979-03-31 Daicel Chem Ind Ltd Flame-retardant resin composition
US4616049A (en) * 1985-04-24 1986-10-07 Ppg Industries, Inc. Surface-modified antimony oxide particles
JPH0284457A (ja) * 1988-09-20 1990-03-26 Denki Kagaku Kogyo Kk 難燃性樹脂組成物
KR930703488A (ko) * 1991-11-04 1993-11-30 어네스트 지. 포스너 난연성 조성물
KR970042797A (ko) * 1995-12-09 1997-07-26 전성원 수지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4874A (ko) 2019-04-25 2020-11-04 비즈텍코리아 주식회사 난연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8986B1 (ko) 다층구조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361451B1 (ko) 대구경 고무 라텍스의 제조방법 및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0822143B1 (ko)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0832518B1 (ko) 인계 난연성 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난연성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EP0429957A2 (de) Thermoplastische Formmassen mit hoher Kältezähigkeit
KR101799637B1 (ko)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와 san 블렌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278035B1 (ko)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
KR100806123B1 (ko) 반응성 유화제를 이용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EP0230914A2 (de) Schlagzähe thermoplastische Formmasse und deren Verwendung
KR101072037B1 (ko) 내충격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030046054A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난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US3546160A (en) Self-extinguishing styrene/acrylonitrile-copolymers
JPH05311030A (ja) 難燃性樹脂組成物
KR102212039B1 (ko) 공액 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2214221B1 (ko) 최적화된 유동성-인성 비를 갖는 열가소성 성형 배합물
KR101671297B1 (ko) 내충격성과 착색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JPH02115206A (ja) 透明熱可塑性成形用組成物の製造に適したグラフト重合体
KR102465200B1 (ko)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497167B1 (ko) 신율이 우수한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
KR100346608B1 (ko) 스티렌계난연수지조성물
KR100508145B1 (ko) 내충격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무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426519B1 (ko)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JPH08199055A (ja) 耐光性、成形性および耐衝撃性に優れた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
KR100561339B1 (ko) Ab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090016953A (ko) 난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