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4822A - 전방 라이트용 도광판 - Google Patents

전방 라이트용 도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4822A
KR20030044822A KR1020020074589A KR20020074589A KR20030044822A KR 20030044822 A KR20030044822 A KR 20030044822A KR 1020020074589 A KR1020020074589 A KR 1020020074589A KR 20020074589 A KR20020074589 A KR 20020074589A KR 20030044822 A KR20030044822 A KR 20030044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plate
light guide
incident
p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4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이다에이끼
이소가이후미까즈
미따야스야
다께우찌노리히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030044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482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1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 G02B6/0046Tapered light guide, e.g. wedge-shaped light gu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도광판은 광원으로부터 빛을 안내하여 표시부 (12) 상에 빛을 조사한다. 상기 도광판은 표시부 (12) 와 대향하는 출사면 (14c), 및 상기 출사면 (14c) 과 마주하는 반사-출사면 (14d) 을 구비한다. 상기 반사-출사면 (14d) 은 입사면 (14a) 과 교차하는 제 1 단부 및 반대측 단부면 (14b) 과 교차하는 제 2 단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선과 입사면 (14a) 으로 정의되는 경사각도는 0.2°보다 크고 0.75°보다 작다. 반사-출사면 (14d) 은 입사면 (14a) 에 입사되거나 또는 입사면 (14a) 상에서 반사된 빛을 출사면 (14c) 에 반사하는 채광부를 포함한다. 이것은, 휘도분포의 균일성을 향상시키면서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차가 인식되지 않는 정도로 시차를 최소화 된다.

Description

전방 라이트용 도광판{LIGHT GUIDING PLATE FOR FRONT LIGHT}
본 발명은 반사형 표시장치에 장착된 전방 라이트용 도광판에 관한 것이다.
전력소비를 절감하기 위해, 종래의 표시장치는 전방 라이트를 갖는다. 외부의 밝기가 충분한 경우, 이러한 형태의 표시장치는 태양광 및 실내광등의 외부광을 사용한다. 외부의 밝기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상기 표시장치는 전방 라이트를 사용한다. 그러한 표시장치는 전방 라이트를 갖는 반사형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도 5(a) 는 전방 라이트 (53) 를 구비한 종래의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51) 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표시장치 (51) 는 반사형 액정패널 (52) 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 라이트 (53) 는 상기 액정패널 (52) 과 대향한다. 상기 전방 라이트 (53) 는 도광판 (54), 및 이 도광판 (54) 의 일단(입사면) (54a) 과 대향하는 광원 (55) 을 포함한다. 상기 도광판 (54) 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균일하다. 상기 도광판 (54) 의 출사면 (54b) 은 상기 액정패널 (52) 과 대향한다. 상기 출사면 (54b) 반대측의 반사-출사면 (54d) 상에는, 상기 광원 (55) 으로부터 상기 출사면 (54b) 까지 빛을 반사하도록 홈(비도시)이 형성되어있다. 광원 (55) 을 출사하여 입사면 (54a) 을 거쳐 도광판 (54) 으로 입사한 빛은, 전반사 중에 도광판 (54) 을 통해 안내되어, 출사면 (54b) 을 통해 액정패널 (52) 상에 조사된다.
도 5(b) 는 종래의 다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151) 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표시장치 (151) 는 쐐기형 도광판 (154) 을 포함한다. 상기 도광판 (154) 의 두께는 입사면 (154a) 으로부터 반대측 단부면 (154c) 을 향해 감소한다.도광판 (154) 이외의 표시장치 (151) 의 구조는 도 5(a) 의 표시장치 (51) 와 동일하다.
액정패널 (52) 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광판 (54,154) 은 휘도를 확보하도록 설계된다. 도 5(a) 에 도시된 평판형 도광판 (54) 과 비교해서, 쐐기형 도광판 (154) 에 입사된 빛은 입사면 (54a) 과 마주보는 반대측 단부면 (54c) 을 통해 더 적은 양이 누출된다. 평판형 도광판 (54) 에 비교하여, 쐐기형 도광판 (154) 은 더 균일한 휘도를 갖는다(특개평 11-242220 호 공보를 참조).
평판형 도광판 (54) 의 휘도는 홈을 깊게함으로써 향상된다. 그러나, 홈의 깊이가 과도하면 홈자체가 보이게 되어 표시장치의 시인성을 저하시킨다. 한편, 쐐기형 도광판 (154) 은 편팡형 도광판 (54) 과 비교해서 휘도를 쉽게 향상시킨다. 그러나, 만약 입사면 (54a) 에서 도광판 (154) 의 두께와 반대측 면 (54c) 에서의 두께가 현저히 다르다면, 즉, 반사-출사면 (54d) 과 출사면 (54b) 으로 정의된 각 θ이 크다면, 시차가 발생하여, 이 결과 이중상이 발생한다. 도광판 (154) 에 입사되어 출사면 (54b) 을 통해 나온 광선 (L1) 은 액정패널 (52) 에 반사되어, 도광판 (154) 으로 재입사되고 반사-출사면 (54d) 을 통해 출사하며, 그 광선 (L1) 의 일부는 반사-출사면 (54d) 에 의해 재반사된다. 광선 (L1) 중 재반사된 부분은 출사면 (54b) 에 의해 재반사되어 반사-출사면 (54d) 을 통해 도광판 (154) 을 출사한다. 광선 (L1) 중 이부분은 도 6 에 L2 로 표현된다. 그 결과, 표시장치 (52) 에 이중상이 나타난다.
만약 경사각도 (θ) 가 적절하지 않는다면, 상기 휘도는 균일하지 않을 것이다. 즉, 균일한 휘도를 얻을 수 없다. 특개평 11-242220 호 공보는 휘도의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쐐기형 도광판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는 시차에 대한 경사각도(θ)와 균일한 휘도분포의 관계를 개시하지 않고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차를 인식할 수 없는 정도로 최소화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휘도분포의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전방 라이트용 도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전술한 목표 및 다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표시부를 갖는 반사형 표시장치상에 장착된 전방 라이트용 도광판을 제공한다. 상기 도광판은 광원으로부터 빛을 안내하여 그 빛을 표시부상에 조사한다. 상기 도광판은 입사면, 반대측 단부면, 상기 표시부와 대향하는 출사면 및 반사-출사면을 구비한다. 상기 입사면은, 빛이 도광판에 입사되게 한다. 상기 반대측 단부면은 입사면과 마주보고 있다. 입사면을 통해 도광판에 입사하는 빛은 출사면을 통해 표시부를 향해 출사한다. 상기 반사-출사면은 출사면과 마주보고 있다. 표시부상에 반사된 빛은 출사면과 반사-출사면을 투과한다. 상기 반사-출사면은 입사면과 교차하는 제 1 단부 및 반대측 단부면과 교차하는 제 2 단부를 갖는다. 상기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선과 입사면으로 형성되는 경사각도는 0.2°보다 크고 0.75°보다 작다. 반사-출사면은 입사면에 입사되거나 또는 입사면상에서 반사된 빛을 출사면에 반사하는 채광부를 포함한다.
도 1(a)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식적인 측면도이다.
도 1(b) 는 도 1(a)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나타내는 도식적인 측면도이다.
도 3 은 휘도 균일성과 입사각(θ)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 는 휘도와 입사각(θ)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a) 및 5(b) 는 종래의 도광판을 나타내는 도식적인 측면도이다.
도 6 은 이중상의 기구를 나타내는 부분적으로 도식적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반사형 액정 표시장치12액정패널
13전방 라이트14도광판
15광원16반사경
17홈
도 1(a) 및 1(b)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반사형 액정 표시장치 (11) 를 서술하겠다. 도 1(a) 는 상기 표시장치 (11) 의 액정패널 (12) 과 전방 라이트 (12) 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식적인 도면이다. 도 1(b) 는 도 1(a) 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a) 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표시장치 (11) 는 표시부 및 전방 라이트 (13) 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표시부는 액정패널 (12) 이다. 상기 전방 라이트 (13) 는 액정패널 (12) 의 전면(도 1(a) 에서 상면측)을 커버한다. 전방 라이트 (13) 는 도광판 (14), 광원 (15), 반사경 (16) 을 포함한다. 도광판 (14) 은 액정패널 (12) 에 빛을 안내한다. 반사경 (16) 은 광원 (15) 으로부터 도광판 (14) 을 향해 빛을 반사한다.
광원 (15) 으로서 예를 들어, 냉음극관(형광관)이 사용된다. 도광판 (14) 은 투명성이 높은 재료, 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아크릴판이 사용된다. 도광판 (14) 은 실질적으로 쐐기형상이다. 도광판 (14) 은 광원 (15) 과 대향하는 입사면 (14a) , 및 그 입사면 (14a) 의 반대측에 위치한 반대측 단부면 (14b) 을 구비한다. 입사면 (14a) 의 길이 (d1) 는 반대측 단부면 (14b) 의 길이 (d2) 보다 더 길다. 즉, 도광판 (14) 의 두께는 입사면 (14a) 으로부터 반대측 단부면 (14b) 을 향해 점차 감소한다. 입사면 (14a) 은 도면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한다. 액정패널 (12) 과 대향하는, 도광판 (14) 의 출사면 (14c) 은 입사면 (14a) 에 수직이다. 입사면 (14a) 과 교차하는 반사-출사면 (14d) 의 일단은 제 1 단부로 간주된다. 반대측 단부면 (14b)과 교차하는 반사-출사면 (14d) 의 타단은 제 2 단부로 간주된다.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선과 출사면 (14c) 으로 정의된 경사각 θ은 0.2°< θ< 0.75°의 범위에 있다.
도 1 (b) 에 도시된 것처럼, 다수의 홈 (17) 이 출사면 (14c) 의 반대측인 반사-출사면 (14d) 상에 형성된다. 상기 홈 (17) 은 입사면 (14a) 을 통해 도광판으로 입사하는 빛을 반사하여 입사면 (14a) 으로부터 출사면 (14c) 으로 빛을 안내한다. 각각의 홈 (17) 은 입사면 (14a) 과 평행하게 신장한다. 각각의 홈 (17) 은 제 1 경사면 (17a) 및 제 2 경사면 (17b) 을 갖는다. 상기 제 2 경사면 (17b) 은 채광면으로서 작용한다. 상기 제 1 경사면 (17a) 은, 출사면 (14c) 과 반사-출사면 (14d) 사이의 거리가 입사면 (14a) 에 더 가까운 단부로부터 반대측 단부면 (14b) 에 더 가까운 단부로 증가하도록 경사진다. 상기 제 2 경사면 (17b) 은, 출사면 (14c) 과 반사-출사면 (14d) 사이의 거리가 입사면 (14a) 에 더 가까운 단부로부터 반대측 단부면 (14b) 에 더 가까운 단부로 감소하도록 경사진다. 제 1 경사면 (17a) 과 제 2 경사면 (17b) 는 교대로 배치된다. 즉, 이 실시예에서, 홈 (17) 은 톱니형태의 단면을 갖는다.
제 2 경사면 (17b) 의 각은, 각각의 제 2 경사면 (17b) 이 출사면 (14c) 을 향해 입사면 (14a) 으로 입사되거나 또는 반사되는 빛을 출사면 (14c) 에 대해 수직에 가까운 각으로 모두 반사하도록 결정된다. 제 1 경사면 (17a) 과 출사면 (14c) 에 평행한 면으로 정의되는 각 (α)은, 예를 들어, 1°와 5°범위로 설정된다. 제 2 경사면 (17b) 과 출사면 (14c) 에 평행한 면으로 정의되는 각 (β)은, 예를 들어, 41°와 47°범위로 설정된다.
홈 (17) 의 피치 (P) 는, 예를 들어, 액정패널 (12) 의 화소피치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도 1(b) 에 도시된 것처럼, 홈 (17) 의 피치(P) 는 홈 (17) 중 하나의 저부와 인접한 홈 (17) 의 저부 사이의 거리로 간주된다. 홈 (17) 의 깊이는 입사면 (14a) 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이 실시예에서, 홈 (17) 의 저부는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홈 (17) 의 피치는 실제로 1mm 이하이며 홈 (17) 의 수는 상당히 많다. 그러나, 도 1(a) 에서 홈 (17) 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1(b) 에서, 적은 수의 홈 (17) 이 대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광원 (15), 도광판 (14) 및 액정패널 (12) 의 비율이 도 1(a) 와 1(b) 에서 다르다.
표시장치 (11) 의 작동을 이제 서술할 것이다. 외부가 충분히 밝은 경우, 표시장치 (11) 는, 예를 들어, 태양광 또는 실내광을 사용한다. 외부가 충분히 밝지 않은 경우, 상기 표시장치 (11) 는 광원 (15) 을 사용한다. 외광은 반사-출사면 (14d) 을 통해 도광판 (14) 에 입사한다. 그런후 상기 외광은 출사면 (14c) 을 통해 도광판 (14) 을 출사하여 액정패널 (12) 상에 조사된다.
광원 (15) 이 사용되는 경우, 도 1 (b) 에 도시된 것처럼 빛은 도광판 (14) 을 통해 전진한다. 각각의 제 2 경사면 (17b) 에 도달하는 빛은 출사면 (14c) 에 대해 수직에 가까운 각으로 모두 반사되어 출사면 (14c) 을 통해 출사한다. 액정패널 (12) 상에 조사된 빛은 상기 액정패널 (12) 에 반사되어 도광판 (14) 에 재입사된다. 그런후 도광판 (14) 을 투과한 빛은 반사-출사면 (14d) 을 통해 도광판 (14) 을 출사하며, 빛이 보이게 된다.
거시적 관점에서, 도광판 (14) 의 두께는 입사면 (14a) 으로부터 반대측 단부면 (14b) 을 향해 감소한다. 따라서, 균일한 두께를 갖는 평판형 도광판과 비교해서, 입사면 (14a) 을 통해 도광판 (14) 에 입사하여 반대측 단부면 (14b) 을 통해 도광판 (14) 을 출사하는 빛의 비율이 더 적다. 광원 (15) 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도광판 (14) 의 두께에 대한 홈 (17) 의 깊이의 비가 증가한다. 따라서, 홈 (17) 이 비교적 낮은 경우에조차, 표시장치 (11) 의 휘도가 증가한다. 반사-출사면 (14d) 에 형성된 홈 (17) 의 깊이가 균일한 두께를 갖는 도광판의 경우보다 더 낮게 설정되는 경우에 조차, 충분한 양의 휘도가 얻어진다. 경사각도(θ)가 증가함에 따라, 휘도가 증가한다. 그러나, 경사각도(θ)가 과도한 경우에는, 광원 (15) 에서 먼 영역의 휘도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휘도가 균일하지 않게 될 것이다. 따라서 경사각도(θ)의 적절한 범위가 존재한다.
휘도 균일성은 휘도분포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휘도 균일성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계산된다. 먼저, 도광판 (14) 의 표면은 3개의 평행선 및 이 3개의 평행선에 수직인 다른 3개의 수직선에 의해 16개 구획으로 분할된다. 9개의 각 교차점에서 휘도를 측정하여, 휘도의 최소값을 최대값으로 나누며 이 결과가 휘도 균일성을 나타낸다. 그 값이 1 에 가까울 수록, 휘도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차가 더 적어지며, 즉, 휘도 분포가 더 균일해진다.
본 발명자는 경사각도(θ)의 적절한 범위를 연구하였으며, 도 3 및 4 는 이 연구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도 3 은 휘도 균일성과 경사각도(θ)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여기서 경사각도(θ)가 0.4°일 때 휘도 균일성은 1로서 설정된다. 도 4 는 휘도와 경사각도(θ)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며, 여기서 경사각도(θ)가 0.4°일 때 휘도는 1로서 설정된다.
도 3 에 도시된 것처럼, 휘도 균일성은 경사각도(θ)에 대해 최대값을 가진다. 따라서 휘도분포가 균일한 최적의 경사각도(θ)가 존재한다. 도 4 에 도시된 것처럼, 휘도는 경사각도(θ) 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부등식 0.2°< θ< 0.75°을 만족시키는 경사각도(θ)의 범위를 설정함으로써, 휘도분포의 균일성을 확보하면서 휘도를 증가시킨다. 특히, 경사각도(θ)가 0.4°(θ= 0.4°)인 경우, 휘도 균일성이 최대이며, 휘도분포의 균일성이 최적이 된다. 부등식 0.2°< θ< 0.75°을 만족시키는 경우의 휘도의 균일성은, 경사각도(θ)가 0.4°일 때의 휘도 균일성의 85% 이며, 실제 사용하는데 충분하다. 만약 경사각도(θ)의 범위가 부등식 0.3°< θ< 0.6°을 만족시키도록 설정되는 경우의 휘도 균일성은, 경사각도(θ)가 0.4°일 때의 휘도 균일성의 93% 이다. 따라서, 휘도가 더욱 균일해진다.
도광판 (14) 의 샘플을 준비하였다. 상기 샘플은, 길이 65mm, 폭 80mm, 최대두께 (d1) 1mm, 최소두께 (d2) 0.7mm, 피치(P) 0.24mm, 홈깊이 5.5 내지 11㎛, 그리고 경사각도 (β) 44°를 갖는 쐐기형 도광판이다. 두께가 1mm 인 것을 제외하고는 제 1 샘플과 동일한 다른 샘플을 또한 준비하였다. 두 샘플의 휘도 및 휘도 균일성을 테스트하였다. 쐐기형 도광판 (14) 의 휘도를 1로 설정한 경우, 평판형 도광판의 휘도는 0.76 이었다. 즉, 쐐기형 도광판 (14) 은 상당히 향상된 휘도를 갖는다. 쐐기형 도광판 (14) 의 휘도 균일성을 1 로 설정한 경우, 평판형 도광판의 휘도 균일성은 0.68 이었다. 즉, 쐐기형 도광판은 상당히 향상된 휘도 균일성을 갖는다. 또한, 쐐기형 도광판 (14) 의 시차는 인식할 수 없는 정도까지 최소화되었음이 것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시인성을 향상시킨다.
이 실시예는 다음의 잇점을 제공한다.
(1) 거시적 관점에서, 도광판 (14) 은 쐐기형으로 형성되어, 입사면 (14a) 으로부터 반대측 면 (14b) 으로 그 두께가 점차적으로 감소된다. 따라서 반사-출사면 (14d) 에 형성된 홈 (17) 의 깊이가 균일한 두께를 갖는 도광판의 경우보다 더 낮게 설정되는 경우에도, 구멍 (17) 자체가 보이지 않아도 충분한 양의 휘도가 얻어진다.
(2) 반사-출사면 (14d) 의 제 1 및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선 및 출사면 (14c) 으로 정의되는 경사각도(θ)는 0.2°보다 크고 0.75°보다 작다. 따라서, 시차가 인식되지 않는 정도까지 최소화 되어 표시장치 (11) 의 시인성을 향상시킨다. 이것은 휘도 및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킨다.
(3) 홈 (17) 의 피치 (P) 는 액정패널 (12) 의 화소 피치와 동일하게 설정되어, 간섭형태를 볼수 없다.
(4) 각각의 홈 (17) 의 경사면 (17a,17b) 이 교차하는 점과 출사면 (14c) 사이의 거리는 입사면 (14a) 측으로부터 반대측 단부면 (14b) 을 향해 감소한다. 광원 (15) 으로부터 먼 영역에 도달하는 빛의 양은 광원 (15) 에 가까운 영역에 도달하는 빛의 양보다 더 적다. 그러나, 홈 (17) 의 형상으로 인해, 광원 (15) 으로부터 먼 영역에서 제 2 경사면 (17b) 의 영역이 크다. 따라서, 비교적 많은 양의 빛이 반사되어 출사면 (14c) 에 수직에 가까운 각으로 출사면 (14c) 에 안내된다. 따라서, 시차가 발생하는 정도까지 도광판 (14) 의 두께를 변화시키지 않고서도, 광원 (15) 으로부터 먼 영역에서 충분한 휘도 및 휘도 균일성을 보장한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리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특별한 형태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 명백하다. 특히, 본 발명은 다음의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광판 (14) 상에 톱니형상의 홈 대신에, 도 2 에 도시된 것처럼 V 형상의 단면을 갖는 홈 (18) 이 채광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홈 (18) 은 제 1 경사면 (18b) 및 제 2 경사면 (18a) 으로 정의된다. 상기 경사면 (18b,18a) 은 채광면으로서 기능한다. 각각의 홈 (18) 에서, 입사면 (14a) 에 가까운 제 2 경사면 (18a) 은 입사면 (14a) 을 통해 입사하거나 또는 입사면상에 반사된 빛을 모두 반사하여 출사면 (14c) 을 향해 빛을 안내한다. 상기 반사된 빛은 출사면 (14c) 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전진하여 출사면 (14c) 을 투과한다. 각각의 홈 (18) 에서, 입사면 (14a) 으로부터 더 먼 제 1 경사면 (18b) 은 반대측 단부면 (14b) 에 의해 반사된 빛을 모두 반사하여 출사면 (14c) 을 향해 그 빛을 안내한다. 반사된 빛은 출사면 (14c) 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전진하여 출사면 (14c) 을 투과한다. 따라서, 반대측 단부면 (14b) 에 의해 반사된 빛이 이용된다. 즉, 도광판 (14) 에 입사하는 빛이 출사면 (14c) 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출사되어 휘도를 향상시킨다.
제 2 경사면 (18a) 과 출사면 (14c) 으로 정의되는 각도는 제 1 경사면 (18b) 과 출사면 (14c) 으로 정의되는 각도와는 다를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것처럼, 반대측 단부면 (14b) 에 도달하는 빛을 반사하도록 반사경 (19) 이 도광판 (14) 의 반대측 단부면 (14b) 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반사경 (19) 은 반대측 단부면 (14b) 상에 알루미늄 또는 은을 증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르게, 상기 반사경 (19) 은 반사필름(예를 들어,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반대측 단부면 (14b) 상에 부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반사경 (19) 은 반대측 단부면 (14b) 으로부터 빛이 출사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도광판 (14) 에 입사하는 빛이 효과적으로 이용된다. 반사경 (19) 의 잇점은 V 형상의 단면을 갖는 홈 (18) 의 구조로 더 많이 발현된다.
도광판 (14) 에 반사경을 형성하는 대신, 도광판 (14) 을 수용하는 하우징의 벽중 반대측 단부면 (14b) 과 대향하는 위치에 반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광판 (14) 의 출사면 (14c) 에 반사 방지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이 반사 방지처리는 필름의 점착, 진공증착, 딥 방법, 또는 열전사 방법 등의 종래의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 반사 방지처리는 액정패널 (12) 상의 이미지의 시인성을 향상시킨다.
아크릴등의 투명성 수지대신에 무기유리가 사용될 수 있으나, 중량을 줄이고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투명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광판 (14) 의 크기는 전술한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도광판 (14) 은 대응하는 표시장치(대각선으로 1 내지 10 인치)의 크기에 대응하는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채광부로서 기능하는 홈 (17 또는 18) 대신에, 다수의 점 또는 오목부가 출사면 (14c) 과 반사-출사면 (14d) 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점 및 오목부는 삼각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광원 (15) 은 냉음극관에 한정되지 않는다. 열음극관등의 형광관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가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특개평 2000-11723 호 공보에 개시된 선상광원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선상광원은 LED등의 점상광원, 및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선상광으로 변환시키는 도광체를 구비한다.
반사-출사면 (14d) 을 경사지게 하는 대신, 출사면 (14c) 을 경사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반사 출사면 (14d) 은 액정패널 (12) 에 평행하며, 입사면 (14a) 은 반사-출사면 (14d) 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광원 (15) 과 대향하는 표면측에서 반대측 단부면 (14b) 측으로 출사면 (14c) 을 반사-출사면 (14d) 과 접근시키도록, 출사면 (14c) 을 경사지게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 및 실시형태는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여기에 주어진 상세한 설명에 제한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의 균등범위내에서 수정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차를 인식할 수 없는 정도로 최소화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휘도분포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표시부 (12) 를 갖는 반사형 표시장치에 장착된 전방 라이트용 도광판으로서, 상기 도광판은 광원 (15) 으로부터의 빛을 안내하여 그 빛을 상기 표시부 (12) 에 조사하며, 상기 도광판은, 빛을 도광판에 입사시키는 입사면 (14a), 입사면 (14a) 의 맞은편에 위치한 반대측 단부면 (14b), 및 상기 표시부 (12) 와 대향하는 출사면 (14c) 을 구비하며, 입사면 (14a) 을 통해 도광판에 입사하는 빛이 출사면 (14c) 으로부터 표시부 (12) 를 향해 출사하는 도광판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출사면 (14c) 의 맞은편에 위치한 반사-출사면 (14d) 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 (12) 에서 반사된 빛이 출사면 (14c) 및 반사-출사면 (14d) 을 투과하며, 상기 반사-출사면 (14d) 은 입사면 (14a) 과 교차하는 제 1 단부 및 반대측 단부면 (14b) 과 교차하는 제 2 단부를 구비하며, 이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선과 입사면 (14a) 에 의해 형성되는 경사각도는 0.2°보다 크고 0.75°보다 작으며, 상기 반사-출사면 (14d) 은, 입사면 (14a) 을 통해 입사하거나 또는 입사면 (14a) 상에서 반사된 빛을 출사면 (14c) 에 반사하는 채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라이트용 도광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출사면 (14d) 상에 톱니형상의 단면을 갖는 다수의 홈 (17) 이 형성되며, 이 각각의 홈 (17) 은 제 1 경사면 (17a) 및 제 2 경사면 (17b) 으로 형성되며, 이 제 2 경사면 (17b) 이 채광부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라이트용 도광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경사면 (17b) 과 상기 출사면 (14c) 사이의 거리가 상기 반대측 단부면 (14b) 을 향해 감소되도록 각각의 제 2 경사면 (17b) 이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라이트용 도광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 (17) 은 입사면 (14a) 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라이트용 도광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출사면 (14d) 상에 각각 V 형상의 단면을 갖는 다수의 홈 (18) 이 형성되며, 이 각각의 홈 (18) 은 제 1 경사면 (18b) 제 2 경사면 (18a) 으로 형성되며, 이들 경사면 (18b,18a) 은 채광부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라이트용 도광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홈 (18) 은 입사면 (14a) 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라이트용 도광판.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반대측 단부면 (14b) 상에 반사부 (19) 가 형성되며, 이 반사부 (19) 는 입사면 (14a) 을 통해 도광판에 입사하는 빛을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라이트용 도광판.
  8. 제 7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 1 경사면 (18b) 은 상기 반사부 (19) 에 의해 반사된 빛을 출사면 (14c) 을 향해 반사하며, 각각의 제 2 경사면 (18a) 은 입사면 (14a) 을 통해 입사하거나 또는 입사면 (14a) 상에서 반사된 빛을 출사면 (14c) 을 향해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라이트용 도광판.
  9.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 1 경사면 (17a) 이 대응 제 2 경사면 (17b) 과 교차하는 선과 상기 출사면 (14c) 사이의 거리가 상기 반대측 단부면 (14b) 을 향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라이트용 도광판.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출사면 (14c) 과 반사-출사면 (14d) 중 적어도 하나에 반사 방지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라이트용 도광판.
KR1020020074589A 2001-11-30 2002-11-28 전방 라이트용 도광판 KR200300448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65745A JP3551177B2 (ja) 2001-11-30 2001-11-30 フロントライト用導光板
JPJP-P-2001-00365745 2001-1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4822A true KR20030044822A (ko) 2003-06-09

Family

ID=19175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4589A KR20030044822A (ko) 2001-11-30 2002-11-28 전방 라이트용 도광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969187B2 (ko)
JP (1) JP3551177B2 (ko)
KR (1) KR20030044822A (ko)
TW (1) TW5912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A81614C2 (ru) * 2001-11-07 2008-01-25 Карнеги Инститьюшн Ов Вашингтон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алмазов, узел удержания образца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алмазов (варианты)
JP2006156332A (ja) * 2004-10-28 2006-06-15 Alps Electric Co Ltd 導光板並びにそれを用いた面発光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CN104111492B (zh) * 2014-05-16 2016-09-28 京东方光科技有限公司 导光板成型模具及制作方法
US10139545B2 (en) 2015-04-02 2018-11-27 E Ink Holdings Inc. Front light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thereof
CN115576134A (zh) * 2022-09-14 2023-01-06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模组及显示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0709A (ja) * 1994-03-31 1995-10-20 Enplas Corp 平行光束拡大型面光源装置
JPH08278760A (ja) * 1995-04-04 1996-10-22 Nitto Jushi Kogyo Kk 表示指向性を有する情報表示灯
JPH10268308A (ja) * 1997-03-28 1998-10-09 Sharp Corp 前方照明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H1186622A (ja) * 1997-09-09 1999-03-30 Sharp Corp 照明手段およびこれを備えた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2000021224A (ja) * 1998-07-03 2000-0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照明装置および反射型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2220A (ja) 1998-02-26 1999-09-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照明装置、その製造方法、反射型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379043B2 (ja) 1998-06-29 2003-02-17 ミネベア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
JP2000111900A (ja) 1998-10-02 2000-04-21 Sony Corp 反射型表示装置
KR20010069938A (ko) 2001-05-21 2001-07-25 김현주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의 액정표시소자용 프런트라이트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0709A (ja) * 1994-03-31 1995-10-20 Enplas Corp 平行光束拡大型面光源装置
JPH08278760A (ja) * 1995-04-04 1996-10-22 Nitto Jushi Kogyo Kk 表示指向性を有する情報表示灯
JPH10268308A (ja) * 1997-03-28 1998-10-09 Sharp Corp 前方照明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H1186622A (ja) * 1997-09-09 1999-03-30 Sharp Corp 照明手段およびこれを備えた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2000021224A (ja) * 1998-07-03 2000-0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照明装置および反射型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51177B2 (ja) 2004-08-04
TW200300850A (en) 2003-06-16
JP2003167131A (ja) 2003-06-13
US6969187B2 (en) 2005-11-29
TW591250B (en) 2004-06-11
US20050099788A1 (en) 2005-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26952B (en) Wedge plate type light guiding plate for front light
US6692133B2 (en) Plane light source apparatus, light guide plate and display
KR100499133B1 (ko) 백라이트 유닛
US20040161222A1 (en) Optical waveguide, area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3946956B2 (ja) 導光板、面光源装置及び液晶ディスプレイ
US7632003B2 (en) Back light unit
US20030165054A1 (en) Surface-emitting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enhanced utilization efficiency of light from light source
JP2001083330A (ja) 導光板および平面照明装置
JP2001035230A (ja) 面状照明装置
JP2000048618A (ja) 照明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US7275853B2 (en) Illuminating device, light guide bod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432921B1 (ko) 도광판
JPH09145934A (ja) 照明装置
JP4045040B2 (ja) 導光板および平面照明装置
JPH0442675B2 (ko)
KR20030044822A (ko) 전방 라이트용 도광판
JP2000098382A (ja) 透明導光板
JP2006351286A (ja) 導光板および平面照明装置
JP2000214460A (ja) バックライト装置
US7048399B2 (en) Light guide plate and surface light source
JP4308968B2 (ja) 導光板および平面照明装置
KR100830099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KR101239076B1 (ko) 측면발광형 백라이트 유닛의 도광판을 채용한 액정표시소자
KR100936819B1 (ko) 백라이트 유닛
JPH09147616A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