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4759A - 와이어 방전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방전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4759A
KR20030044759A KR1020020029964A KR20020029964A KR20030044759A KR 20030044759 A KR20030044759 A KR 20030044759A KR 1020020029964 A KR1020020029964 A KR 1020020029964A KR 20020029964 A KR20020029964 A KR 20020029964A KR 20030044759 A KR20030044759 A KR 20030044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peed
workpiece
relative
wir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9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9593B1 (ko
Inventor
사토다쓰시
시바타준이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44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4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5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23H7/04Apparatus for supplying current to working gap; Electr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1/00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i.e. removing metal with a series of rapidly recurring electrical discharges between an electrode and a workpiece in the presence of a fluid dielectric
    • B23H1/02Electr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power supply, control, preventing short circuits or other abnormal discharges
    • B23H1/024Detection of, and response to, abnormal gap conditions, e.g. short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23H7/06Control of the travel curve of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electrode and workpiece
    • B23H7/065Electr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2600/00Machining conditions
    • B23H2600/10Switching of machining conditions during mach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2600/00Machining conditions
    • B23H2600/10Switching of machining conditions during machining
    • B23H2600/12Switching from rough cutting to finish mach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가공상태를 안정화시키도록 제어게인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동시에, 가공속도의 향상을 도모한다.
상대속도 결정수단(8)은 측정전압이 단락기준전압보다도 높게 설정한 비례정수 전환전압을 초과하고 있을때에, 이 측정전압의 증가에 따라, 미리 설정한 비례정수 A에 따른 상대이동속도를 출력하는 동시에, 측정전압이 지령전압과 같은 경우에 목표치가 되는 지령속도를 출력하고, 다시 측정전압이 단락기준전압을 초과하고, 또 비례정수 전환전압을 하회하는 경우에 미리 설정한 비례정수 B(<A)에 따르고, 또 정이 되는 상대이동속도를 출력한다.

Description

와이어 방전 가공장치{WIRE ELECTRIC-DISCHARGE MACHI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와이어 방전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이 종류의 종래 기술인 와이어 방전가공장치를 표시한 블록도이다.
이 도 8에서 1은 와이어전극, 2는 피가공물, 3은 와이어 공급수단, 4는 가공액 공급수단, 5는 가공전원, 6은 평균전압 측정수단, 7은 제어파라미터 설정수단, 8은 상대속도 결정수단, 9는 제어수단, 10은 구동수단이다.
와이어 공급수단(3)은 적절한 속도로 와이어전극(1)을 끌어내고, 이를 주행시키면서 와이어전극(1)에 적절한 장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가공액 공급수단(4)은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2)와의 사이의 미소간극에 가공액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가공전원(5)은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2) 사이에 펄스상의 전압을 인가해서, 이들 와이어전극 (1) 및 피가공물(2) 사이에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평균전압 측정수단(6)은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2)과의 사이의 평균전압을 측한다.
제어파라미터 설정수단(7)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가공조건에 따라, 지령전압과 지령속도를 설정하는 부분이다. 상대속도 결정수단(8)은 평균전압 측정수단 (6)에 의해 측정된 측정평균전압과, 제어파라미터 설정수단(7)에서 설정된 지령전압 및 지령속도를 사용해서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2)과의 상대이동속도를 산출하고, 이를 제어수단(9)에 부여하는 부분이다. 제어수단(9)은 구동수단(10)을 통해서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2)을 계산된 상대이동속도로 상대이동시키는 부분이다.
이하, 상술한 상대속도 결정수단(8)으로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2)과의 상대이동속도를 산출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상대속도 결정수단(8)은 평균전압 측정수단(6)이 측정한 측정평균전압과 미리 설정한 단락기준전압과의 비교를 한다. 여기서, 단락기준전압이라는 것은, 측정평균전압이 이를 하회하고 있는 경우에,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2)이 접촉해서 방전의 발생이 불가능한 상태라고 판단할 때에 기준이 되는 전압이다.
예를들면, 와이어전극(1)이 황동으로, 피가공물(2)이 동인 경우에는, 상술한 상대속도 결정수단(8)에서 단락기준전압을 10∼15V 정도의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측정평균전압과 단락기준전압의 비교결과, 측정평균전압이 단락기준전압을 하회하고 있는 경우, 상대속도 결정수단(8)은 상대이동속도를 비교적 큰 부의 값에 설정한다.
이 결과,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2)이 고속으로 서로 분리하게 되어, 양자의 단락상태가 해소되게 된다.
이에 대해, 측정평균전압이 단락기준전압 이상인 경우, 상기 상대속도 결정수단(8)은 다음의 계산을 실행해서 상대이동속도를 설정한다. 즉, 상대속도 결정수단(8)은 제어파라미터 설정수단(7)에서 부여된 지령속도를 동지령 전압과 단락기준전압과의 차로 나누어서 비례정수를 구한다. 다음에 측정평균전압과 지령전압과의 차(이하, 단지 차전압이라 칭한다)를 계산하고, 이 차전압에 상술한 비례정수를 곱해서 차속도로 한다. 마지막으로 이 차속도에 지령속도를 가산해서 상대이동속도를 결정한다.
이상의 계산에 의해 얻어지는 상대이동속도와, 측정평균전압과의 관계를 정리하면, 도 9에 표시한 그래프와 같이 된다. 즉, 상대이동속도를 측정평균전압과 단락기준전압과의 차에 비례시켜주고, 또 측정평균전압이 지령전압과 같은 경우에는 상대이동속도를 지령속도와 같게 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비례정수의 크기나, 지령속도와 지령전압과의 값에 의해 한번에 정해진다는 불편함이 있다.
즉, 비례정수는 측정평균전압의 변동에 대해, 상대이동속도를 변화시키는 정도이다. 즉, 제어게인을 정하는 정수이므로, 가공제어특성을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정수이다. 그점에도 불구하고 가공판 두께나 가공전원(5)의 설정에 따라 결정되는 지령속도와 지령전압에 의해 한번에 결정되어 버리므로, 소망하는 제어특성을 자유로히 설정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측정평균전압이 단락기준전압 이상인 경우에는, 모든 영역에서 제어게인이 일정해지므로, 가공속도를 올리도록 지령전압 근방에서의 비례정수를 크게해서 응답성을 향상시키려고 하면, 이에 따라 오버슈트량도 커지지 않을 수 없으며, 단락기준전압 근방에서 측정평균전압이 단락기준전압을 하회하기 쉽게 된다. 이 결과, 상대이동속도가 빈번하게 부가되어 단락과 개방을 반복하고, 가공상태가 극히 불안정하게 될 염려가 있다.
이런 문제에 대해, 상대이동속도가 0이 되는 전압을 단락기준전압보다 높게설정하도록 한 개량기술이 제공되고 있다. 이 개량기술에서는 상술한 비례정수를 지령속도와 지령전압으로부터 계산에 의해 구하는 것은 아니고, 미리 설정한 값을 사용하고, 차전압에 이 비례정수를 승산해서 차속도로 한다. 또, 이 차속도에 지령속도를 가산해서 상대이동속도를 결정한다. 단, 차속도가 부로, 그 절대치가 지령속도보다 큰 경우에는 계산에 의해 얻어진 상대이동속도가 부가 되나, 이 경우에는 상대이동속도로 0을 설정한다. 계산에 의해 얻어진 상대이동속도가 부인 경우에, 이를 0으로 하는 것은 아래의 이유 때문이다.
즉, 상대이동속도를 부로 하면, 와이어전극(1)이 경로상을 후퇴한다. 일단 후퇴한 와이어전극(1)은 다음에 정의 상대이동속도가 설정된 경우, 다시 같은 경로, 즉 일단 가공된 경로를 다시 전진하게 된다. 이 경우, 피가공물(2)의 측면에는 가공이 실시하게 되어 가공과다한 상태가 생긴다. 따라서, 와이어전극(1)을 후퇴시키는 것은 단락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등 부득이 한 경우에 한하고, 기타의 경우에는 가령 측정평균전압이 낮아져도 와이어전극(1)을 정지시켜서 상태의 회복을 기다리는 쪽이 월등히 양호한 가공품질이 실현되게 된다.
이상의 개량기술에 의해 얻어지는 상대이동속도의 측정평균전압에 대한 관계를 정리하면, 도 10에 표시한 그래프와 같이 된다.
즉, 상대이동속도가 정이 되는 도 10 중의 범위(a)에서는 차전압에 비례해서 상대이동속도를 증감시키고, 또 측정평균치가 지령전압과 같은 경우에는 상대이동속도를 지령속도와 같게 한다. 산출된 상대이동속도가 부가 되는 도 10 중의 범위(b)에서는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2)에 대해 와이어전극(1)을 고속으로 후퇴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개량기술을 적용하면 지령속도 및 지령전압의 설정과는 관계없이 제어게인을 설정할 수가 있으므로, 가공전원(5)의 설정, 와이어전극(1)의 재질이나, 직경, 피가공물(2)의 재질이나 판두께,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2)과의 오프셋량 등, 여러가지 가공조건에 따라 적절한 비례정수를 설정해서 가공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단락기준전압 부근에서는 상대이동속도가 0이 되므로, 측정평균전압이 단락기준전압을 하회하기 어렵게 되고, 가공상태를 안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개량기술에서는 다듬질 가공시의 가공량을 많게 해야 하며, 그래서 가공에 다대한 시간을 요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 점에 대해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와이어 방전가공에서의 다듬질 가공의 방식을 표시하는 모식도, 도 12는 전가공면에 파형이 있는 경우의 모식도, 도 13은 전가공면에 파형이 있는 경우의 종래의 개량기술을 사용한 다듬질 가공후의 가공면 성상을 표시하는 모식도이다.
와이어 방전가공에서는 도 11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면조밀도가 큰 전가공면 (100)에 대해 에너지가 작은 다듬질 가공을 하고, 면조밀도가 작은 금가공면(101)을 형성한다. 통상, 면조밀도가 큰 전가공면(100)에는 여러가지 외란에 기인하는대형파형이 존재해 있다.
상술한 종래의 개량기술을 적용하면, 도 12에 표시한 바와같이 와이어전극 (1)이 파형의 산(100a)에 걸처져 있는 경우에도, 급격하게 상대이동속도가 저하해서 0이 되므로, 단락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러나, 파형의 산(100a)이 제거될때까지 와이어전극(1)이 정지한 상태에 가공이 진행되므로, 결과적으로 도 13에 표시한 바와같이 금회의 다듬질 가공에서 형성된 금가공면(101)에서 전가공면 (100)에 존재해 있던 산(100a)의 바로 앞이 되는 부분에 홈(101a)이 형성되어 버리게 된다.
이 금가공면(101)에 형성되는 홈(101a)의 깊이는 전가공면(100)에 존재하고 있던 산(100a)의 높이에 비해 작기 때문에, 다듬질 가공에 의해 서서히 가공면 조밀도가 감소하는 것은 틀림이 없다. 그러나, 다음회의 다듬질 가공에서는 홈(101 a)이 깊게 가공을 실시할 필요가 있으므로, 도 13에 표시한 바와같이, 금가공면 (101)에서 차가공면(102)까지 가공면이 커지지 않을 수 없다. 또, 전가공면(100)에 의존해 있던 산(100a)의 높이에 대해 금가공면(101)에 새롭게 형성되는 홈 (101a)의 깊이가 어느 정도가 되는지를 예측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다음번의 다듬질 가공에서의 가공량, 즉 금가공면(101)과 다음 가공면(102)과의 거리를 많게 설정해야 할 점도, 가공체적을 증대시키는 한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이, 다듬질 가공을 하면 전가공면(100)에서 부족했던 부분이 가공과잉이 되면, 역으로 가공과잉이었던 부분이 가공부족이 되는 가공체적의 역전현상은 와이어 방전가공에서 일반적으로 관찰된다. 특히, 근년 시도되고 있드시, 면조장도가 큰 전가공면(100)에 대해 대단히 작은 에너지로 가공함으로써, 다듬질 가공회수를 적극적으로 적게하고, 토털의 가공속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역으로 상술한 역전현상이 현저하게 나타나고 가공속도 향상에 큰 방해가 된다.
또, 상기 종래의 개량기술에서는 가공설을 통해서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 (2)이 접촉해 있는 경우, 완전한 단락은 아니므로, 측정평균전압이 단락기준전압을 화회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가공설을 통해서 단락전류가 흐르고 있으므로, 측정평균전압이 오르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 경우에는 도 10 중의 범위(b)의 상태가 되고, 와이어전극(1)이 정지한 대로가 되므로, 가공이 전혀 진첩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보고 된 것으로 가공상태를 안정화시키도록 제어게인을 임의로 설정할 수가 있는 동시에, 가공속도의 형상을 도모할 수가 있는 와이어 방전가공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발명에 관한 와이어 방전가공장치는 와이어전극과 피가공물 사이의 측정전압에 따라, 이들 와이어전극 및 피가공물의 상대이동속도를 결정하는 상대속도 결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전극과 사익 피가공물과의 사이에 방전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상기 상대속도 결정수단에 의해 결정된 상대이동속도로 이들 와이어전극 및 피가공물을 상대이동 시킴으로서, 당해 피가공물에 가공을 실시하는 와이어 방전가공장치로, 상기 상대속도 결정수단은 측정전압이 미리 설정된 지령전압과 같은 경우에, 목표치가 되는 지령속도를 출력하는 한편, 측정전압이 소정의 단락기준전압을 초과하고, 또 이 단락기준전압과 상기 지령전압 사이에 설정한 전환전압을 하회하는 경우에, 미리 설정한 조건에 따라, 정의 상대이동속도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측정전압이 지령전압과 같은 경우에 지령속도로 와이어전극과 피가공물이 이동하고, 또 측정전압이 단락기준전압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 항상 정의 상대이동속도로 와이어전극과 피가공물이 이동하게 된다.
다음의 발명에 관한 와이어 방전가공장치는 상기한 발명에서 상기 상대속도결정수단이, 측정전압이 상기 단락기준전압을 초과하고, 또 상기 전환전압을 화회하는 경우에, 상기 지령속도 보다도 작은 상대이동속도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측정전압이 단락기준전압을 초과하고, 또 전환전압을 하회하는 경우에, 지령속도보다도 작은 정의 상대이동속도로 와이어전극과 피가공물이 이동하게 된다.
다음의 발명에 관한 와이어 방전가공장치는 상기한 발명에서 상기 상대속도 결정수단이 측정전압이 상기 단락기준전압을 초과하고, 또 상기 전환전압을 초과하고, 또 상기 전환전압을 하회할때에 이 측정전압의 증가에 대해 단조증가하는 상대이동속도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측정전압이 단락기준전압에 근접함에 따라, 와이어전극과 피가공물과의 상대이동속도의 변화량이 점차 감소한다.
다음의 발명에 관한 와이어 방전가공장치는 상기한 발명에서 상기 상대속도 결정수단이 측정전압이 상기 단략기준전압을 초과하고, 또 상기 전환전압을 하회하는 경우, 측정전압이 상기 전환전압을 초과해 있을때 보다도 단위전압 변화당의 변화량이 작은 상대이동속도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측정전압이 단락기준전압을 초과하고, 또 전환전압을 하회하는 경우 측정전압이 상기 전환전압을 초과하고 있을때 보다도 단위전압변화당의 변화량이 작은 상대이동속도로 와이어전극과 피가공물이 이동하게 된다.
다음의 발명에 관한 와이어 방전가공장치는 상기한 발명에서, 상기 상대속도결정수단이 측정전압이 상기 전환전압에 가까워짐에 따라 단위전압 변화당의상대이동속도의 변화량을 점차 증대시켜주고, 또 측정전압이 상기 전환전압에 이르기 직전에는 측정전압이 상기 전환전압을 초과해 있는 경우보다도 단위전압 변화당의 변화량이 큰 상대이동속도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측정전압이 전환전압을 약간 하회한 경우에 와이어전극과 피가공물의 상대이동속도가 급격히 저하하게 된다.
다음의 발명에 관한 와이어 방전가공장치는, 상기한 발명에서 상기 상대속도 결정수단이 측정전압이 상기 단락기준전압을 초과하고, 또 상기 전환전압을 하회하는 경우, 일정한 상대이동속도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측정전압이 단락기준전압을 초과하고, 또 전환전압을 하회하는 경우, 일정한 상대이동속도로 와이어전극과 피가공물이 이동한다.
다음의 발명에 관한 와이어 방전가공장치는 상기한 발명에서, 상기 일정한 상대이동속도는 미리 부여된 지령속도에 대해, 미리 설정한 비율을 승산해서 결정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산하는 비율을 설정함으로서, 와이어전극과 피가공물과의 상대이동속도가 자동적으로 결정되게 된다.
다음의 발명에 과한 와이어 방전가공장치는 상기한 발명에서 상기 상대속도 결정수단이, 미리 부여된 지령속도보다도 값이 작은 전환속도와의 관계를 사용해서 상기 전환전압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환속도에 따라 전환전압을 산출할 수가 있다.
다음의 발명에 관한 와이어 방전가공장치는 와이어전극과 피가공물과의 사이의 측정전압에 따라, 이들 와이어전극 및 피가공물의 상대이동속도를 결정하는 상대속도 결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전극과 상기 피가공물간에 방전을 발생하는 동시에, 상기 상대속도 결정수단에 의해 결정된 상대이동속도로 이들 와이어전극 및 피가공물을 상대이동시킴으로서, 당해 피가공물에 가공을 하는 와이어 방전가공장치로서 상기 상대속도 결정수단은 측정전압이 소정의 단락기준전압을 초과해 있는 경우에 이 측정전압과 상기 단락기준전압과의 차가 작아짐에 따라, 단위전압 변화당의변화량이 작아지는 정의 상대이동속도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측정전압이 단락기준전압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 측정전압과 단락기준전압과의 차가 작아짐에 따라, 단위전압 변화당의 변화량이 작아지는 정의 상대이동속도로 항상 와이어전극과 피가공물이 이동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인 와이어 방전가공장치의 개략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도 2는 실시의 형태 1의 와이어 방전가공장치에서 측정전압과 상태이동속도와의 관계를 표시한 그래프.
도 3은 전가공면에 파형이 있는 경우, 실시의 형태 1의 와이어 방전가공장치를 사용한 다듬질 가공후의 가공면상을 표시하는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인 와이어 방전가공장치에서 측정전압과 상대이동속도와의 관계를 표시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인 와이어 방전가공장치에서 측정전압과 상대이동속도의 관계를 표시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인 와이어 방전가공장치에서 측정전압과 상대이동속도와의 관계를 표시한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인 와이어 방전가공장치에서 측정전압과 상대이동속도와의 관계를 표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종래의 와이어 방전가공장치의 개략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도 9는 종래의 와이어 방전가공장치에서 측정전압과 상대이동속도와의 관계를 표시한 그래프.
도 10은 종래의 개략기술에서 측정전압과 상대이동속도의 관계를 표시한 그래프.
도 11은 와이어 방전가공에서의 다듬질 가공의 양태를 표시하는 모식도.
도 12는 전가공면에 파형이 있는 경우의 모식도.
도 13은 전가공면에 파형이 있는 경우의 종래의 개량기술을 사용한 다듬질가공후의 가공면 성상을 표시하는 모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와이어전극, 2 : 피가공물,
3 : 와이어 공급수단, 4 : 가공액 공급수단,
5 : 가공전원, 6 : 평균전압 측정수단,
7 : 제어파라미터 설정수단, 8 : 상대속도 결정수단,
9 : 제어수단, 10 : 구동수단,
12 : 제어파라미터 전환수단,
100 : 전가공면, 100A : 산,
101 : 금가공면, 101a : 홈,
102 : 차가공면,
A : 비례정수, B : 비례정수.
아래에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이 발명에 관한 와이어 방전가공장치의 적합한실시의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인 와이어 방전가공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예시하는 와이어 방전가공장치는 도 8에 표시한 종래의 것과 같이, 와이어전극(1)을 공급하는 와이어 공급수단(3),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 (2)과의 사이의 미소간극에 가공액을 공급하는 가공액 공급수단(4),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2) 사이에 펄스상의 전압을 인가해서 이들 사이에 방전을 발생시키는 가공전원(5),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2)과의 사이의 평균전압을 측정하는 평균전압 측정수단(6),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가공조건에 따라, 지령전압과 지령속도를 설정하는 제어파라미터 설정수단(7), 평균전압 측정수단(6)의 측정결과 및 제어파라미터 설정수단(7)의 설정내용에 따라,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2)과의 상대이동속도를 산출하는 상대속도 결정수단(8), 구동수단(10)을 통해서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 (2)을 계산된 상대이동속도로 상대이동 시키는 제어수단(9)을 주요구성요소로 하는 것으로, 이들의 구성요소에 대해 또다시 제어파라미터 전환수단(12)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상술한 제어파라미터 전환수단(12)을 중심으로, 와이어 방전가공장치의 특징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제어파라미터 전환수단(12)은 미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전환속도인 제어파라미터(비례정수) 전환전압에 따라 전환전압인 제어파라미터(비례정수) 전환전압과의 상대이동속도이고, 제어파라미터 설정수단(7)의 산출처리를 한다. 제어파라미터(비례정수) 전환속도를 제어파라미터(비례정수)의 전환점이 되는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2)에 의해 설정된 지령속도보다도 작은 값으로 설정된다. 제어파라미터 전환전압은 제어파라미터(비례정수) 전환속도에 대응한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2)과의 사이의 전압이고, 아래와 같이 해서 구한다.
예를들면, 제어파라미터 설정수단(7)에 의해 설정된 지령속도를 Fr, 지령전압을 Vr로 하고, 또 파라미터를 전환하기 전의 설정비례정수를 A, 비례정수의 전환점이 되는 비례정수 전환속도를 Fx, 비례정수 전환전압을 Vx라고 하면, Vx=Vr-(Fr-Fx)/A에 의해 산출할 수가 있다.
또, 제어파라미터 전환수단(12)은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2)과의 사이의 측정평균전압이 제어파라미터(비례정수) 전환전압과 같은 경우에, 제어파라미터(비례정수) 전환속도가 되고, 또 측정평균전압이 단락기준전압과 같은 경우에 상대이동속도가 0이 되는 제 2의 비례정수를 미리 산출하는 처리를 한다. 예를들면, 제 2의 비례정수를 B(<A), 단락기준전압을 Vs라고 하면, B=Fx/(Vx-Vs)에 의해 산출할 수가 있다. 또 여기서 말하는 단락기준전압에 관해서도 종래 기술에서 기재한 것과 같이, 측정평균전압이 이를 하회하고 있는 경우에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2)이 접촉해서 방전의 발생이 불가능한 상태라고 판단할때에 기준이 되는 전압이다.
상기와 같이 제어파라미터(비례정수) 전환전압 및 제 2의 비례정수를 설정한 제어파라미터 전환수단(12)에서는 평균전압 측정수단(6)이 측정한 평균전압이 제어파라미터(비례정수) 전환전압 이하인 경우, 상대속도 결정수단(8)의 비례정수를 제2의 비례정수로 전환하는 한편, 이 측정평균전압이 제어파라미터(비례정수) 전환전압을 초과한 경우, 원래 설정되어 있던 설정비례정수 A로 복원한다.
이 결과, 상대속도 결정수단(8)에서는 제어파라미터 전환수단(12)에 의해 적정하게 전환된 설정비례정수 A, 또는 제 2의 비례정수 B를 사용해서 상대이동속도를 결정하게 된다. 즉, 측정평균전압과 단락기준전압과의 비교결과, 측정평균전입이 단락기준전압을 하회하고 있을때, 상대속도 결정수단(8)은 상대이동속도를 비교적 큰 부의 값으로 설정한다. 이 결과,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2)이 고속으로 서로 분리하게 되어 양자의 단락상태가 해소되게 된다.
이에 대해, 측정평균전압이 단락기준전압을 초과해, 또 비례정수 전환전압을 하회한 경우, 상기 상대속도 결정수단(8)은 측정평균전압과 비례정수 전환전압과의 차(이하, 단지 제 1차 전압이라 칭한다)를 계산하고, 이 제 1차 전압에 상술한 제 2의 비례정수 B를 승산해서 차속도로 한다. 최후로, 이 차속도에 비례정수 전환속도를 가산해서 상대이동속도를 결정한다.
또, 측정평균전압이 비례정수 전환전압을 상회한 경우, 상기 상대속도 결정수단(8)은 측정평균전압과 지령전압과의 차(이하, 단지 제 2차 전압이라 칭한다)를 계산하고, 이 제 2차 전압에 상술한 설정비례정수 A를 승산해서 차속도로 한다. 최후에, 이 차속도에 지령속도를 가산해서 상대이동속도를 결정한다.
이상의 상대속도 결정수단(8)에 의해 얻어지는 측정평균전압과 상대이동속도와의 관계는, 도 2에 표시한 그래프와 같이 된다. 즉, 상대이동속도가 비례정수 전환속도를 초과하는 도 2 중의 범위(a)에서는 제 2차 전압에 비례해서 상대이동속도를 지령속도와 같게 한다. 상대이동속도가 비례정수 전환속도를 하회하는 도 2 중의 범위(b)에서는 제 1차 전압에 비례해서 상대이동속도를 증감시킨다. 단, 도 2 중의 범위(b)에서는 단위전압 변화당의 상대이동속도의 변화량이 도 2 중의 범위(a)에 비해 작은 것이 된다. 또, 측정평균전압이 단락기준전압을 하회한 경우에는, 피가공물(2)에 대해, 와이어전극(1)을 고속으로 후퇴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같은, 와이어 방전가공장치에 의하면 상술한 비례정수 A 및 B, 즉 구동수단(10)에 부여하는 제어게인을 지령속도나 지령전압에 관계치 않고, 임의로 설정할 수가 있다. 따라서, 가공전원(5)의 설정, 와이어전극(1)의 재질이나 직경, 피가공물(2)의 재질이나 판두께,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2)과의 오프셋량 등, 여러가지 가공조건에 따라, 적절한 비례정수 A 및 B를 설정해서 가공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측정평균전압이 단락기준전압에 이른 경우에는,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2)과의 상대이동속도가 0이 되므로, 측정평균전압이 단락기준전압을 하회하는 염려가 없어지고, 가공상태를 안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단락 발생시 이외에서도,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2) 사이에, 항상 정의 상대이동속도가 부여되게 되므로, 가령 가공설을 통해서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 (2)이 접촉해 있는 상태가 발생해도, 와이어전극(1)이 정체하지 않고, 가공이 전혀 진척하지 않는다는 문제를 초래할 염려도 없다.
또, 단락 발생시 이외에서 항상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2)과의 사이에 정의 상대이동속도를 부여하도록 한 와이어 방전가공장치에 의하면, 전가공면(100)에 존재하는 파형의 산(100a)의 바로 앞에 홈이 형성되기 전에 와이어전극(1)이 당해산(100a)를 통과하게 된다. 물론, 와이어전극(1)이 파형의 산(100a)에 가까워졌을때에는 측정평균전압이 저하하므로, 상대이동속도도 저하하게 되어, 단락의 발생을 초래하지 않고, 산(100a)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가공이 진전하게 된다.
도 3은, 전가공면(100)에 파형이 있는 경우에, 본 실시의 형태 1의 와이어 방전가공장치를 사용한 다듬질 가공후의 가공면 성상을 표시하는 모식도이다. 동도면에 표시한대로, 본 실시의 형태 1의 와이어 방전가공장치를 적용한 경우에는, 가공체적의 역전현상을 유효하게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금가공면(101)에서 차가공면(102)까지의 가공량을 작게 하고, 다듬질 가공체적을 대폭적으로 삭감할 수 있으므로, 토털의 가공속도가 대폭적으로 향상되게 된다. 또, 파형의 산(100a)의 높이가 낮아지는 것만이고, 새로운 홈이 형성되는 것은 아니므로 가공후의 파형의 크기를 예측하는 것도 쉬워지고, 다음번의 다듬질의 가공에서의 가공량에 맞는 여유를 적게 할 수 있는 점이나, 파형의 유무에 관계없이, 다듬질 가공의 전극 오프셋량을 결정할 수 있는 점도, 다듬질 가공체적을 감소시키는데 있어서 극히 유효하게 된다.
또, 상술한 실시의 형태 1에서는 단락기준전압과 제어파라미터 전환전압과의 사이의 측정평균전압에 대응하는 상대이동속도는 제어파라미터 전환전압과 측정평균전압과의 차에 비례하도록 결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어파라미터 전환속도로부터 제어파라미터 전환전압을 역산하는데 있어서, 계산이 간편해지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측정평균전압이 제어파라미터 전환전압과 같은 경우에는, 상대이동속도가 제어파라미터 전환속도가되고, 제어파라미터 전환전압과 단락기준전압의 사이인 경우에는, 상대이동속도가 정이면, 상대이동속도를 산출하는 함수로서 어떠한 것을 적용해도 무관하다.
이 경우, 실시의 형태 1에서 표시한 바와같이, 단락기준전압 근방등에서의 측정평균전압의 증가에 대한 상대이동속도의 증가의 비율이 지령전압에서의 측정평균전압의 증가에 대한 상대이동속도의 증가의 비율보다도 작아지는 함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단락기준전압 근방에서 상대이동속도가 작아지므로, 와이어전극 (1)과 피가공물(2)이 단락하는 사태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되기 때문이다.
실시의 형태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인 와이어 방전가능장치에서 측정전압과 상대이동속도와의 관계를 표시한 그래프이다.
이 도 4에 표시한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측정평균전압이 상술한 단락기준전압을 상회하고, 또 제 2 기준전압인 제어마다 미터 전환전압을 하회하는 경우에, 이 측정평균전압의 증가에 대해 상대이동속도를 2차함수등의 고차함수의 관계, 즉 측정평균전압이 단락기준전압에 근접함에 따라, 단위전압 변화당의 상대이동속도의 변화량을 점차 감소시키도록 하고 있다.
단, 상술한 고차함수는 측정평균전압이 단락기준전압과 같아진 경우에, 상대이동속도가 0이 되고, 또 측정평균전압이 제어파라미터 전환전압과 같아진 경우에, 상대이동속도가 제어파라미터 전환속도가 되는 것이다. 또, 기타의 구성에 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의 와이어 방전가공장치와 같으므로, 각각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의 형태 2의 와이어 방전가공장치에서도 지령속도나 지령전압에 불구하고, 구동수단(10)에 부여하는 제어게인을 임의의 고차함수에 따라 설정할 수가 있으므로, 여러가지 가공조건에 따라 적절한 가공제어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측정평균전압이 단락기준전압에 이른 경우에는,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2)과의 상대이동속도가 0이 되므로, 측정평균전압이 단락기준전압을 하회하는 염려가 없어지고, 가공상태를 안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단락 발생시 이외에서는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2)과의 사이에 항상 정의 상대이동속도가 부여되게 되므로, 가령 가공설을 통해서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 (2)이 접촉되어 있는 상태가 발생해도, 와이어전극(1)이 정체하는 일이 없고, 가공이 전혀 진척하지 않는다는 문제를 초래하는 염려도 없다.
또, 단락 발생시 이외에서 항상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2)과의 사이에 정의 상대이동속도를 부여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실시의 형태 1과 같이 가공체적의 역전현상을 유호하게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금가공면(101)에서 차가공면(102)까지의 가공량을 작게하고, 다듬질 가공체적을 대폭적으로 삭감할 수 있으므로, 토털의 가공속도가 대폭적으로 향상하게 된다. 그러나, 파형의 산(100a)의 높이가 낮게 될 뿐으로, 새로운 홈이 형성되는 것은 아니므로 가공후의 파형의 크기를 예측하는 것도 쉬워지고, 다음번의 다듬질 가공에서의 가공량에 따른 여유를 작게 할 수 있는 점이나, 파형의 유무에 관계없이 다듬질 가공의 전극 오프셋량을 결정할 수 있는 점등, 다듬질 가공체적을 감소시키는데 극히 유효하게 되는 점도 실시의형태 1과 같다.
또, 본 실시의 형태 2의 와이어 방전가공장치에서는 측정전압이 단락기준전압에 근접함에 따라, 와이어전극과 피가공물과의 상대이동속도의 변화량이 점차 감소하기 위해, 단락기준전압과 제어파라미터 전환전압과의 차가 동일한 경우, 실시의 형태 1에 비해 저게어제인영역을 넓게 취할 수가 있고,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2)이 단락하는 사태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실시의 형태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인 와이어 방전가공장치에서 측정전압과 상대이동속도와의 관계를 표시한 그래프이다. 이 도 5에 표시한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측정평균전압이 상술한 단락기준전압을 상회하고, 또 전환전압인 제어파라미터 전환전압을 하회하는 경우에, 이 측정평균전압의 증가에 불구하고, 일정한 상대이동속도를 출력하도록 하고 있다. 일정한 상대이동속도로는 지령속도에 대해 미리 설정한 비율을 승산함으로서 설정하면 된다. 이 경우의 비율은 1/10 정도등, 상대이동속도가 미소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기타의 구성에 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의 와이어 방전가공장치와 같으므로, 각각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의 형태 3의 와이어 방전가공장치에서도, 지령속도나 지령전압에 불구하고, 구동수단(10)에 부여하는 제어게인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여러가지 가공조건에 따라 적절한 가공제어를 실시할 수가 있다.
또, 측정평균전압이 단락기준전압에 이른 경우에는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2)과의 상대이동속도가 0이 되므로, 측정평균전압이 단락기준전압을 하회하는 염려가 없고, 가공상태를 안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또 단락 발생시 이외에서는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2)과의 사이에 항상 정의 상대이동속도가 부여되게 되므로, 가령 가공설을 통해서 와이어전극 (1)과 피가공물(2)이 접촉해 있는 상태가 발생해도 와이어전극(1)이 정체하는 일이 없고 가공이 전혀 진척되지 않는다는 문제를 초래할 염려도 없다.
또, 단락 발생시 이외에서 항상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2) 사이에 정의 상대이동속도를 부여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실시의 형태(1)와 같이, 가공체적의 역전현상을 유효하게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금가공면(101)으로부터 차가공면 (102)까지의 가공량을 작게 하고, 다듬질 가공체적을 대폭적으로 삭감할 수 있으므로, 토털의 가공속도가 대폭적으로 향상하게 된다.
그리고, 파형의 산(100a)의 높이가 낮아지는 것 뿐이고, 새로운 홈이 형성되는 것은 아니므로, 가공후의 파형의 크기를 예측하는 것도 쉬워지고, 다음번의 다듬질 가공에서의 가공량에 예측되는 여유를 작게 할 수 있는 점이나, 파형의 유무에 관계하지 않고, 다듬질 가공의 전극 오프셋량을 결정할 수 있는 점등, 다듬질 가공체적을 감소시키는데 극히 유효하게 되는 점도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또, 본 실시의 형태 3의 와이어 방전가공장치에서는 측정전압이 단락기준전압을 초과하고, 또 전환전압을 하회하는 경우 일정한 상대이동속도로 와이어전극 (1)과 피가공물(2)이 이동하므로, 이들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20과의 상대이동속도의 산출이 보다 간편해진다.
실시의 형태 4.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인 와이어 방전가공장치에서 측정전압과 상대이동속도와의 관계를 표시한 그래프이다. 이 도 6에 표시한 실시의 형태 4에서는 측정평균전압이 상술한 단락기준전압을 상회하고, 또 전환전압인 제어파라미터 전환전압을 하회하는 경우에, 이 측정평균전압의 증가에 대해 상대이동속도를 2차함수등의 고차함수의 관계, 즉 측정평균전압이 제어파라미터 전환전압에 가까워질수록 단위전압 변화당의 상대이동속도의 변화량을 점차 증대시켜, 또 측정전압이 제어파라미터 전환전압에 이르기 직전에서는, 측정전압이 제어파라미터 전환전압을 초과해 있을때 보다 단위전압 변화당의 변화량이 큰 상대이동속도를 출력하도록 하고 있다. 단, 상술한 고차함수는 실시의 형태 3과 같이 측정평균전압이 단락기준전압과 같아진 경우에 상대이동속도가 0이 되고, 또 측정평균전압이 제어파라미터 전환전압과 같아진 경우에 상대이동속도가 제어파라미터 전환속도가 되는 것이다.
또, 기타의 구성에 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의 와이어 방전가공장치와 같으므로, 각각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의 형태 4의 와이어 방전가공장치에서도 지령속도와 지령전압에 관계치 않고, 구동수단(10)에 부여되는 제어게인을 임의의 고차함수에 따라 설정할 수가 있으므로 여러가지 가공조건에 따라 적절한 가공제어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측정평균전압이 단락기준전압에 이른 경우에는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2)과의 상대이동속도가 0이 되므로, 측정평균전압이 단락기준전압을 하회하는 염려가 없어지고, 가공상태를 안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단락 발생시 이외에서는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2) 사이에 항상 정의 상대이동속도가 부여되게 되므로, 가령 가공설을 통해서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 (2)이 접촉해 있는 상태가 발생해도, 와이어전극(1)이 정체하는 일이 없고, 가공이 전혀 진척하지 않는다는 문제를 초래하는 염려도 없다.
또, 단락 발생시 이외에서 항상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2)과의 사이에 정의 상대이동속도를 부여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실시의 형태 1과 같이 가공체적의 역전현상을 유효하게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금가공면(101)으로부터 차가공면 (102)까지의 가공량을 작게 하고, 다듬질 가공체적을 대폭적으로 삭감할 수 있으므로, 토털의 가공속도가 대폭적으로 향상하도록 된다. 또, 파형의 산(100a)의 높이가 낮아지는 것 뿐으로 새로운 홈이 형성되는 것은 아니므로, 가공후의 파형의 크기를 예측하는 것도 쉬워지고, 다음의 다름질 가공에서의 가공량에 맞는 여유를 작게 할 수 있는 점이나, 파형의 유무에 관계없이 다듬질 가공의 전극 오프셋량을 결정할 수 있는 점등, 다듬질 가공체적을 감소시키는데 극히 유효하다는 점도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또, 본 실시의 형태 4의 와이어 방전가공장치에서는 측정전압이 제어파라미터 전환전압을 약간 하회했을때에,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2)과의 상대이동속도가 급격히 저하하게 되므로, 상술한 실시의 형태 2에 비해 저제어게어영역을 더욱 넓게 잡는 것이 가능해지고,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2)이 단락하는 사태를 더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실시의 형태 5.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인 와이어 방전가공장치에서 측정전압과 상대이동속도의 관계를 표시한 그래프이다.
상술한 실시의 형태 1∼4에서는 어느 것이나 측정전압이 지령전압 이상의 경우에 측정평균전압의 증가에 대한 상대이동속도의 증가가 비례관계가 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비례관계일 필요는 없다. 그래서, 도 7에 표시한 실시의 형태 5에서는 측정평균전압이 단락기준전압 이상인 경우에, 당해 단락기준전압으로부터의 차가 커짐에 따라, 측정평균전압의 증가에 대한 상대이동속도의 증가의 비율이 증대하는 단일의 고차함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단, 상술한 고차함수는 측정평균전압이 단락기준전압과 같아진 경우에, 상대이동속도가 0이 되고, 또 측정평균전압이 지령전압과 같아진 경우에, 상대이동속도가 지령속도가 되는 것이다. 또, 기타의 구성에 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의 와이어 방전가공장치와 같으므로 각각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의 형태 5의 와이어 방전가공장치에서도 지령속도나 지령전압에 불구하고, 구동수단(10)에 부여되는 제어게인을 임의의 고차함수에 따라 설정할 수가 있으므로, 각각의 가공조건에 따라 적절한 가공제어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측정평균전압이 단락기준전압에 이르렀을때는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 (2)과의 상대이동속도가 0이 되므로, 측정평균전압이 단락기준전압을 하회할 염려가 없어지고, 가공상태를 안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단락 발생시 이외에는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2)과의 사이에 항상 정의 상대이동속도가 부여되게 되므로, 가령 가공설을 통해서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2)이 접촉해 있는 상태가 발생해도 와이어전극(1)이 정체하는 일이 없고, 가공이 전혀 진척하지 않는다는 문제를 초래할 염려도 없다.
또, 단락 발생시 이외에서 항상 와이어전극(1)과 피가공물(2)과의 사이에 정의 상대이동속도를 부여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실시의 형태 1과 같이, 가공체적의 역전현상을 유효하게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금가공면(101)에서 차가공면(102)가지의 가공량을 작게 하고, 다듬질 가공체적을 대폭적으로 삭감할 수 있으므로, 토털의 가공속도가 대폭적으로 향상하도록 된다.
또, 파형의 산(100a)의 높이가 낮아지는 것 뿐이고, 새로운 홈이 형성되는 것은 아니므로 가공후의 파형의 크기를 예측하는 것도 쉬워지고, 차회의 다듬질 가공에서의 가공량에 예측하는 여유를 적게 할 수 있는 점이나, 파형의 유무에 관계없이 다듬질 가공의 전극 오프셋량을 결정할 수 있는 점등, 다듬질 가공체적을 감소시키는데 극히 유효하게 되는 점도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또, 상술한 실시의 형태 1∼5에서는 어느 것도 측정평균전압에 따라 그때마다 상대이동속도를 산출하고, 이를 제어수단에 부여할 필요는 없고, 도 2, 도 4, 도 5, 도 6, 도 7에 예시한 측정평균전압과 상대이동속도와의 관계에 따른 테이블을 미리 저장해 두고, 실제의 가공중에는 이 테이블을 사용해서 측정평균전압으로부터 상대이동속도를 구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술한 실시의 형태 1∼5에서는 어느 것이나, 상대이동속도의 상한에 대해 특히 언급하고 있지 않으나, 와이어 방전가공장치의 진동을 억제하는 등, 소정의 가공정밀도를 유지하기 위해, 매분 50mm 이상이 되는 통상을 사용하지 않는 고속도 영역에서 상대이동속도를 제한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이와 같이, 고속도 영역에서 상대이동속도의 증가를 0으로 했을때에도, 각각의 실시의 형태로 기재한 작용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가 없다.
이상 설명한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측정전압이 지령전압과 같은 경우에 지령속도로 와이어전극과 피가공물이 이동하고, 또 측정전압이 단락기준전압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 항상 정의 상대이동속도로 와이어전극과 피가공물이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부여된 지령속도나 지령전압에 불구하고, 적어도 전환전압을 초과하는 범위에서 제어게인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동시에, 가공상태를 안정화 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측정전압이 단락기준전압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 항상 정의 상대이동속도가 출력되는 것이므로, 예를들면 와이어전극이 피가공물의 파형의 산에 걸렸을때도 단락상태를 초래하지 않고, 당해 산을 통과하게 되어 산의 앞쪽에 홈이 형성되는 등, 가공체적의 역전현상을 회피한 다듬질 가공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부여되는 지령속도나 지령전압에 관계없이, 적어도 전환전압을 초과하는 범위에서 제어게인을 임의로 설정할 수가 있는 동시에, 가공상태를 안정화 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측정전압이 단락기준전압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 항상 정의상대이동속도가 출력되므로, 예를들면 와이어전극이 피가공물의 파형의 산과 만났을때에도, 단락상태를 초래하는 일 없이 당해 산을 통과하게 되고, 산의 앞쪽에 홈이 형성되는 등, 가공체적의 역전현상을 회피한 다듬질 가공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다듬질 가공체적을 대폭적으로 감소시켜, 가공속도의 항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가공설을 통해서 와이어전극과 피가공물이 접촉하고 있는 경우라도, 이들 와이어전극과 피가공물과의 상대이동이 정체하는 일이 없고, 가공이 전혀 진척되지 않는다는 문제를 초래할 염려도 없다.
다음의 발명에 의하면, 측정전압이 단락기준전압을 초과하고, 또 전환전압을 하회하는 경우에, 지령속도 보다도 작은 정의 상대이동속도로 와이어전극과 피가공물이 이동하게 되므로, 와이어전극과 피가공물이 단락하는 상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의 발명에 의하면, 측정전압이 단락기준전압에 근접함에 따라, 와이어전극과 피가공물과의 상대이동속도가 작아지므로 단락기준전압 근방에서의 상대이동속도를 보다 작게 할 수가 있고, 와이어전극과 피가공물이 단락하는 사태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된다.
다음의 발명에 의하면, 측정전압이 단락기준전압에 근접함에 따라, 와이어전극과 피가공물과의 상대이동속도의 변화량이 점차 감소하므로, 저제인게어영역을 넓게 잡을수 있고, 와이어전극과 피가공물이 단락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의 발명에 의하면, 측정전압이 단락기준전압을 초과하고, 또 전환전압을하회하는 경우, 측정전압이 상기 전환전압을 초과하고 있을때 보다도 단위전압 변화당의 변화량이 작은 상대이동속도로 와이어전극과 피가공물이 이동하게 되므로, 단락기준전압 근방에서의 상대이동속도를 보다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와이어전극과 피가공물이 단락하는 사태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의 발명에 의하면, 측정전압이 전환전압을 약간 하회한 경우에, 와이어전극과 피가공물과의 상대이동속도가 급격하게 저하하게 되므로, 저제어게인영역을 보다 넓게 취할 수가 있고, 와이어전극과 피가공물이 단락하는 사태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의 발명에 의하면, 측정전압이 단락기준전압을 초과하고, 또 전환전압을 하회하는 경우, 일정한 상대이동속도로 와이어전극과 피가공물이 이동하므로, 이들 와이어전극과 피가공물과의 상대이동속도의 산출이 보다 간편해진다.
다음의 발명에 의하면, 승산하는 비율을 설정하므로서, 와이어전극과 피가공물과의 상대이동속도가 자동적으로 결정되게 되므로, 그때마다 상대이동속도를 설정할 필요는 없고, 조작성의 점에서 유리해진다.
다음의 발명에 의하면, 전환속도에 따라 전환전압을 산출할 수가 있으므로, 전환전압을 설정할 필요가 없고 조작성의 점에서 유리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측정전압이 단락기준전압을 초과하고 있을때, 측정전압과 단락기준전압과의 차가 작아짐에 따라, 단위전압 변화당의 변화량이 작아지는 정의 상대이동속도로 항상 와이어전극과 피가공물이 이동하게 되므로, 부여된 지령속도나 지령전압에 관계없이 제어게인을 임의로 설정할 수가 있는 동시에, 가공상태를안정화 시키수가 있게 된다. 또, 측정전압이 단락기준전압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 항상 정의 상대이동속도가 출력되므로, 예를들면 와이어전극이 피가공물의 파형의 산에 걸렸을때도 단락상태를 초래하는 일 없이, 당해 산을 통과하게 되어 산의 바로 앞에 홈이 형성되는 등, 가공체적의 역전현상을 회피한 다듬질 가공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다듬질 가공체적을 대폭적으로 감소시켜, 가공속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 가공설을 통해서 와이어전극과 피가공물이 접촉해 있는 경우라도, 이들 와이어전극과 피가공물과의 상대이동이 정체하는 일 없이 가공이 전혀 진척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일어날 염려도 없다.

Claims (3)

  1. 와이어전극과 피가공물과의 사이의 측정전압에 따라, 이들 와이어전극 및 피가공물의 상대이동속도를 결정하는 상대속도 결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전극과 상기 피가공물과의 사이에 방전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상기 상대속도 결정수단에 의해 결정된 상대이동속도로 이들 와이어전극 및 피가공물을 상대이동 시킴으로서, 당해 피가공물에 가공을 하는 와이어 방전가공장치로서 상기 상대속도 결정수단은 측정전압이 미리 설정한 지령전압과 같을때에 목표치가 되는 지령속도를 출력하는 한편, 측정전압이 소정의 단락기준전압을 초과하고, 또 이 단락기준전압과 상기 지령전압과의 사이에 설정한 전환전압을 하회하는 경우에 미리 설정한 조건에 따라, 정의 상대이동속도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방전가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속도 결정수단은, 측정전압이 상기 단락기준전압을 초과하고, 또 상기 전환전압을 하회하는 경우에, 상기 지령속도 보다도 작은 상대이동속도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방전가공장치.
  3. 와이어전극과 피가공물과의 사이의 측정전압에 따라, 이들 와이어전극 및 피가공물의 상대이동속도를 결정하는 상대속도 결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전극과 상기 피가공물과의 사이에 방전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상기 상대속도 결정수단에 의해, 결정된 상대이동속도로 이들 와이어전극 및 피가공물을 상대이동시킴으로서, 당해 피가공물에 가공을 하는 와이어 방전가공장치로서 상기 상대속도 결정수단은 측정전압이 소정의 단락기준전압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 이 측정전압과 상기 단락기준전압과의 차가 작아짐에 따라, 단위전압 변화당의 변화량이 작아지는 정의 상대이동속도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방전가공장치.
KR10-2002-0029964A 2001-11-29 2002-05-29 와이어 방전 가공장치 KR1004695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64998 2001-11-29
JP2001364998A JP2003165031A (ja) 2001-11-29 2001-11-29 ワイヤ放電加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4759A true KR20030044759A (ko) 2003-06-09
KR100469593B1 KR100469593B1 (ko) 2005-02-02

Family

ID=19175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9964A KR100469593B1 (ko) 2001-11-29 2002-05-29 와이어 방전 가공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23941B2 (ko)
EP (1) EP1319459B1 (ko)
JP (1) JP2003165031A (ko)
KR (1) KR100469593B1 (ko)
CN (1) CN1248816C (ko)
TW (1) TW59083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8158A (ko) * 2017-06-19 2018-12-28 화낙 코퍼레이션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제어 장치, 및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09764B2 (en) * 2004-04-19 2010-05-0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ower supply apparatus for electric discharge machine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US6998562B2 (en) * 2004-06-02 2006-02-14 Fanuc Ltd Controller for a wire electrical discharge machine
JP4015148B2 (ja) 2004-10-28 2007-11-28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ワイヤ放電加工機の制御装置
US20080188321A1 (en) * 2007-02-01 2008-08-07 Feighery John J Golf putter heads and methods of making them
TWI357841B (en) * 2008-08-14 2012-02-11 Ind Tech Res Inst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 control of wire cutt
DE112009005053B4 (de) * 2009-07-07 2021-11-1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rahterodierbearbeitungs-Vorrichtung
DE112010005586T5 (de) * 2010-05-21 2013-03-28 Mitsubishi Electric Corp. Drahterodiervorrichtung
JP5722290B2 (ja) * 2012-09-20 2015-05-20 ファナック株式会社 軸送り制御方式判別機能を有するワイヤ放電加工機
JP5722382B2 (ja) 2013-01-09 2015-05-20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コーナ部で加工経路の補正を行うワイヤ放電加工機
JP5794401B1 (ja) * 2014-03-27 2015-10-14 三菱電機株式会社 ワイヤ放電加工機の制御装置、ワイヤ放電加工機の制御方法
US9346113B1 (en) * 2015-03-19 2016-05-24 Johnson Technology, Inc.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integrated control system
CN107790834B (zh) * 2016-09-05 2019-11-08 通用电气公司 电加工的装置和方法,混合加工的系统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54382C2 (ko) * 1978-08-16 1987-08-20 Mitsubishi Denki K.K., Tokio/Tokyo, Jp
JPS6034221A (ja) 1983-08-01 1985-02-21 Mitsubishi Electric Corp 放電加工装置
US4761429A (en) * 1985-07-22 1988-08-02 Kenneth Blum Enkephalinase and endorphinase inhibitors as anti-craving compositions
JPS62287922A (ja) 1986-06-03 1987-12-14 Mitsubishi Electric Corp 放電加工装置
CH678825A5 (ko) * 1986-06-03 1991-11-15 Mitsubishi Electric Corp
JPH0197524A (ja) 1987-10-05 1989-04-17 Komatsu Ltd ワイヤ放電加工機のワイヤ移動速度制御法
JPH03164964A (ja) 1989-11-24 1991-07-1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情報処理装置における排他制御処理装置
KR920001526Y1 (ko) * 1989-12-22 1992-03-05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와이어 전극 이송 속도 제어 장치
JP2946666B2 (ja) 1990-07-20 1999-09-06 日本電気株式会社 放電加工制御装置
JP3006818B2 (ja) * 1994-03-09 2000-02-07 日本電気株式会社 放電加工方法および装置
JP3223723B2 (ja) * 1994-09-20 2001-10-29 三菱電機株式会社 ワイヤ放電加工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08155774A (ja) 1994-12-01 1996-06-18 Toshiba Mach Co Ltd 工具保持装置
US5689427A (en) * 1995-09-01 1997-11-1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al feedrate control on wire-cutting electric discharging machine (WED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8158A (ko) * 2017-06-19 2018-12-28 화낙 코퍼레이션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제어 장치, 및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98293A1 (en) 2003-05-29
TW590835B (en) 2004-06-11
US6723941B2 (en) 2004-04-20
KR100469593B1 (ko) 2005-02-02
CN1421290A (zh) 2003-06-04
JP2003165031A (ja) 2003-06-10
EP1319459A3 (en) 2008-07-23
EP1319459A2 (en) 2003-06-18
EP1319459B1 (en) 2012-05-02
CN1248816C (zh) 200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9593B1 (ko) 와이어 방전 가공장치
US6998562B2 (en) Controller for a wire electrical discharge machine
JP5739563B2 (ja) 平均放電遅れ時間算出手段を備えたワイヤ放電加工機
JP5722382B2 (ja) コーナ部で加工経路の補正を行うワイヤ放電加工機
KR101910709B1 (ko) 극간 거리를 일정하게 하는 와이어 방전 가공기
KR101107544B1 (ko) 와이어 커트 방전 가공기에 있어서의 마무리 가공 방법 및 와이어 방전 가공기
US7039490B2 (en) Controller for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e
US6730872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wire electric-discharge machining
US10493547B2 (en) Wire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device
KR102183265B1 (ko) 와이어 방전 가공기 및 방전 가공 방법
US6930273B2 (en) Power supply unit for wire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method of wire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US6756557B1 (en) Power supply for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JP4569973B2 (ja) 放電加工装置及び方法、並びに放電発生を判別する方法
KR0127745B1 (ko) 공작기용 서어보 제어 장치
KR20180138158A (ko)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제어 장치, 및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제어 방법
US20040094515A1 (en) Wire electric-discharge machining method and device
KR20020027597A (ko) 와이어 방전가공방법
WO2002034443A1 (fr) Ensemble d&#39;usinage par etincelage a fil-electrode
KR0160862B1 (ko) 와이어 컷 방전가공기의 가공방법
JPS6052889B2 (ja) 放電加工用電源装置
US683863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discharge machining
JP2002144153A (ja) 放電加工装置
KR0160861B1 (ko) 와이어 컷 방전가공기의 가공방법
JP2004188550A (ja) 放電加工装置及び放電加工方法
JPH08318430A (ja) 放電加工方法及び放電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