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1769A - 제어 및 어드레스 클럭 비분배형 메모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어 및 어드레스 클럭 비분배형 메모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1769A
KR20030041769A KR1020020063256A KR20020063256A KR20030041769A KR 20030041769 A KR20030041769 A KR 20030041769A KR 1020020063256 A KR1020020063256 A KR 1020020063256A KR 20020063256 A KR20020063256 A KR 20020063256A KR 20030041769 A KR20030041769 A KR 20030041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clock signal
control
delay
c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3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6097B1 (ko
Inventor
정용권
권창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US10/293,473 priority Critical patent/US7107476B2/en
Priority to DE10253696A priority patent/DE10253696B4/de
Priority to TW091133946A priority patent/TWI238934B/zh
Priority to JP2002338261A priority patent/JP4305616B2/ja
Publication of KR20030041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1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6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60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6Multiple access memory array, e.g. addressing one storage element via at least two independent addressing line group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06Address interface arrangements, e.g. address buff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메모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 및 어드레스 신호를 샘플링하기 위한 클럭을 제거한 메모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메모리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메모리장치에 각각 해당하는 복수의 제어 및 어드레스 입력신호 및 제1 클럭신호와 제1 클럭신호의 정수배로 분주된 제2 클럭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제어 및 어드레스 입력신호 및 제2 클럭신호를 입력받아 출력버퍼부터 상기 메모리장치까지의 전송라인으로 인한 전달지연과 내부 출력버퍼에서 발생하는 전달지연을 보정하여 제어 및 어드레스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레지스터 및 지연회로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메모리 장치는 상기 레지스터 및 지연회로부로부터 상기 전송라인을 통해 상기 제어 및 어드레스 출력신호를 각각 입력받고,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직접 입력되는 제1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및 어드레스 출력신호를 셈플링함으로써 반도체 장치 설계의 레이아웃을 단순화하고 클럭충돌문제를 회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어 및 어드레스 클럭 비분배형 메모리 시스템{Memory System Using Non-distributed Command/Address Clock}
본 발명은 복수의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메모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 및 어드레스(Command/Address) 신호를 샘플링하기 위한 클럭(Command/Address Clock:CACLK)을 제거한 메모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메모리장치의 클럭제어 장치는 DIMM(dual in line memory module)의경우 제어 및 어드레스 입력신호를 버퍼링하기 위한 레지스터 칩과 타이밍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PLL(Phase Locked Loop) 칩으로 구성된다. 또한, 복수개의 PLL 출력클럭이 발생하게 되면 이들의 에지 타이밍(edge timing)을 제어하기 위해 보상 커패시터(Compensation Capacitor : Ccomp)를 사용한다.
도 3은 종래의 제어 및 어드레스 클럭신호 분배형 메모리 시스템의 예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PLL 회로(20)는 제어장치(10)에서 입력된 제어 및 어드레스 클럭신호(CACLK)를 전송라인에서 발생하는 신호지연을 고려하여 보상 커패시터(Ccomp)를 이용하여 에지 컨트롤을 한 후, 다시 에지 컨트롤이 된 제어 및 어드레스 신호(CACLK)와 제어장치(10)에서 입력되는 제어 및 어드레스 신호(CACLK)의 위상이 서로 일치하도록 조절하여 각각의 복수의 메모리장치(61,62,63,64)로 각각 별도의 클럭으로써(CLK0, CLK1, CLK2, CLK3) 인가한다. 이 때 제어장치(10)에서 출력되는 복수의 제어 및 어드레스 입력신호(CAin)는 레지스터(30)에서 버퍼링이 된 후 어드레스 클럭신호(CACLK)를 분배하기 위한 전송라인과 별도의 전송라인을 통해 각각의 복수의 메모리장치(61,62,63,64)로 출력된다.
상기의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제어 및 어드레스 신호와 별도로 제어 및 어드레스 클럭신호를 각각의 메모리장치로 독립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메모리장치의 수에 해당하는 제어 및 어드레스 클럭신호 전송라인을 구비함으로 인해 반도체 장치 설계 레이아웃이 복잡해진다. 둘째, 메모리장치는 제어 및 어드레스 클럭신호와 별도로 기입 데이터 캡처 클럭(Write Data CaptureClock:WCLK)를 입력받음으로써, 제어 및 어드레스 클럭신호와 기입 데이터 캡처 클럭 간의 클럭 도메인 충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셋째, 각 메모리장치마다 별도의 PLL 혹은 DLL 회로를 갖추어야 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전체 시스템의 생산비용이 증가할 뿐 아니라 지터(Jitter)가 증가한다. 넷째, 레지스터와 PLL 회로는 별도의 칩으로 구현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2개의 칩 패키지를 제작함으로 인해 반도체 장치의 공정이 복잡해지고 생산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다섯째, 다수의 보상 커패시터의 편차로 인해 전체 시스템의 타이밍 마진이 저하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어 및 어드레스 클럭신호를 메모리장치에 직접공급하지 않으므로, 제어 및 어드레스 클럭신호(CACLK) 분배를 위한 전송선로를 제거하여 반도체 설계 레이아웃을 단순화하고, 메모리 장치는 제어 및 어드레스 신호를 기입 데이터 캡쳐클럭 혹은 상기 클럭신호를 정수배로 분주한 클럭신호로 셈플링함으로써, 클럭 도메인 충돌을 방지하고, 별도의 PLL 회로 또는 DLL 회로를 요하지 않으므로, 생산수가를 낮추고 지터성능을 개선하고, 여러개의 보상 커패시터의 편차로 인한 시스템의 타이밍 마진 저하를 방지한 메모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는, 레지스터 칩과 PLL 혹은 DLL 칩의 단일화로 생산수가를 저감한 메모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레지스터 및 지연회로부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제어 및 어드레스 클럭 분배형 메모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제어장치20 : PLL 회로
30 : 레지스터40 : 레지스터 및 지연회로부
42 : DLL 회로44 : 제1 레플리카 회로
43 : 제2 레플리카 회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메모리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모리장치에 각각 해당하는 복수의 제어 및 어드레스 입력신호, 제1 클럭신호, 및 제1 클럭신호의 정수배로 분주된 제2 클럭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제어 및 어드레스 입력신호와 제2 클럭신호를 입력받아 출력버퍼에서 상기 메모리장치까지의 전송라인으로 인한 전달지연과 내부 출력버퍼에서 발생하는 전달지연을 보정한 제어 및 어드레스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레지스터 및 지연회로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메모리 장치는 상기 레지스터 및 지연회로부로부터 상기 전송라인을 통해 상기 제어 및 어드레스 출력신호를 각각 입력받고,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직접 입력되는 제1 클럭신호로 상기 제어 및 어드레스 출력신호를 셈플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제어 및 어드레스 클럭 비분배형 메모리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시스템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10)는 레지스터 및 지연회로부(40)에 제어 및 어드레스 입력신호(CAin)를 인가한다.
제어 및 어드레스 입력신호(CAin)를 입력받은 레지스터 및 지연회로부(40)는, 레지스터 및 지연회로부(40)에서 메모리장치(61,62,63,64)로 연결되는 전송라인으로 인한 전달지연과 내부 출력버퍼에서 발생하는 전달지연을 보정하여 보정된 제어 및 어드레스 출력신호(CAout)를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때의 전송라인의전달지연은 각각의 복수의 전송라인에서 레지스터 및 지연회로부(40)에서 시작되는 지점(A)에서 특정한 지점(B)까지의 전달지연일 수 있다. 또한 내부전달지연은 제어 및 어드레스 신호(CAin)의 레지스터 및 지연회로부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달지연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메모리 장치(61,62,63,64)는 레지스터 및 지연회로부(40)가 출력한 제어 및 어드레스 출력신호(CAout)를 전송라인을 통해 입력받고, 입력된 제어 및 어드레스 출력신호(CAout)를 제어장치(10)에서 직접 입력되는 기입 데이터 클럭(이하, 제1 클럭신호:WCLK)을 이용하여 셈플링한다. 따라서 본원발명에 따른 메모리시스템은 별도의 제어 및 어드레스 클럭신호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의 메모리시스템과 달리 제어 및 어드레스 클럭신호를 위한 별도의 배선라인이 불필요하고, 여러개의 클럭이 메모리장치에 입력되지 않고 단지 기입 데이터 클럭(WCLK)만을 이용하여 제어 및 어드레스 신호(CAout)를 셈플링하기 때문에 클럭 도메인간의 충돌현상이 생기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레지스터 및 지연회로부(40)의 상세 구조도이다.
레지스터부(30)는 제어장치(10)로부터 입력된 제어 및 어드레스 입력신호(CAin_i ~ CAin_j)를 내부클럭(이하 제3 클럭신호:intCLK)을 이용하여 셈플링하는 방법으로 제어 및 어드레스 출력신호(CAout_i ~ CAout_j)를 출력한다. 이때 클럭제어회로(41)는 제어장치(1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및 어드레스 클럭(이하 제2 클럭신호:CACLK)의 전송라인으로 인한 전달지연 및 내부 출력버퍼에서 발생하는 전달지연을 보정하여 제3 클럭신호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때의 전송라인전달지연은 레지스터 및 지연회로부(40)에서 시작되는 지점(A)에서 특정한 지점(B)까지의 전달지연일 수 있다. 또한 내부 출력버퍼 전달지연은 제어 및 어드레스 신호의 레지스터 및 지연회로부(40)내에서의 출력버퍼 입력지점(C)에서 출력지점(D)까지의 전달지연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바람직하게는 클럭제어회로(4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DLL회로(42), 전송라인의 지연전달을 모델링하는 제1 레플리카 회로(44), 및 내부 출력버퍼의 전달지연을 모델링하는 제2 레플리카 회로(43)로 구성된다. DLL 회로(42)는 제어장치(10)로부터의 제2 클럭신호(CACLK)를 입력받고, 되먹임 피드백신호를 제2 레플리카 회로(43) 및 제1 레플리카 회로(44)를 거쳐 다시 되입력받음(fbCLK_in)으로써 지연을 보정하여 피드백 출력신호와 위상이 동일한 제3 클럭신호(intclk)를 생성한다. 제1 레플리카 회로(44)는 실제 시스템에서의 레지스터 및 지연회로부(40)와 메모리장치(61,62,63,64)로의 전송지연을 모델링한 회로로써, 칩외부에서 주로 접속하여 전달지연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수동/능동 소자의 조합으로 제작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제어 및 어드레스 전송라인과 종단회로 모델을 사용하여 제작함으로써 PCB 보드의 공정/전원전압/온도편차를 상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 레플리카 회로는 내부 출력버퍼의 전달지연을 모델링하는 회로로서, 바람직하게는 칩내부에서 출력버퍼회로 모델을 사용함으로써 출력버퍼의 공정/전원전압/온도편차를 상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은 제어 및 어드레스 클럭신호를 메모리장치에 직접공급하지 않으므로, 제어 및 어드레스 클럭신호 분배를 위한 전송선로가 없으므로 레이아웃을 단순화하고, 메모리 장치에서 제어 및 어드레스 신호를 기입 데이터 캡쳐클럭으로 셈플링함으로써, 클럭 도메인 충돌을 방지하고, 별도의 PLL 회로 혹은 DLL 회로를 요하지 않으므로, 생산수가를 낮추고 지터성능을 개선하고, 여러개의 보상 커패시터의 편차로 인한 시스템의 타이밍 마진 저하를 방지한 메모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르면, 레지스터 칩과 PLL 칩의 단일화로 생산수가를 저감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복수의 메모리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모리장치에 각각 해당하는 복수의 제어 및 어드레스 입력신호 및 제1 클럭신호와 제2 클럭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제어 및 어드레스 입력신호를 입력받아 전송라인으로 인한 전달지연을 보정한 제어 및 어드레스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레지스터 및 지연회로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메모리 장치는 상기 레지스터 및 지연회로부로부터 상기 전송라인을 통해 상기 제어 및 어드레스 출력신호를 각각 입력받고,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직접 입력되는 제1 클럭신호로 상기 제어 및 어드레스 출력신호를 셈플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지스터 및 지연회로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제2 클럭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송라인으로 인한 전달지연을 보정한 제3 클럭신호를 출력하는 클럭제어회로; 및
    상기 제어장치의 상기 제어 및 어드레스 입력신호를 버퍼링하되, 상기 제3 클럭신호로 셈플링하여 상기 제어 및 어드레스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레지스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제어회로와 상기 레지스터부는 단일의 칩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제어회로는
    DLL 회로; 및
    상기 전송라인의 전달지연을 모델링하는 제1 레플리카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DLL 회로는 상기 제2 클럭신호와 상기 제1 레플리카 회로를 거쳐 피드백되어 입력되는 제3 클럭신호가 동일한 위상이 되도록 조절하여 상기 전송라인 전달지연이 보정된 제3 클럭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플리카 회로는 PCB 라인 모델, 능동소자, 및 수동소자의 조합이거나 이들 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제어회로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제2 클럭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송라인으로 인한 전달지연 및 상기 레지스터부에서의 전달지연을 보정하여 상기제3 클럭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제어회로와 상기 레지스터부는 단일의 칩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제어회로는
    DLL 회로;
    상기 전송라인의 전달지연을 모델링하는 제1 레플리카 회로; 및
    상기 레지스터부에서의 전달지연을 모델링하는 제2 레플리카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DLL 회로는 상기 제2 클럭신호와 상기 제1 레플리카 회로 및 상기 제2 레플리카 회로를 거쳐 피드백되어 입력되는 제3 클럭신호가 동일한 위상이 되도록 조절하여, 상기 전송라인 전달지연과 상기 레지스터부 전달지연이 보정된 제3 클럭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플리카 회로 및 상기 제2 레플리카 회로는 PCB 라인 모델, 수동소자, 및 능동소자의 조합이나 이들 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라인은 상기 레지스터 및 지연회로부에서 분기점까지는 글로벌라인으로 구성되고, 상기 분기점에서 분기되어 해당하는 복수의 메모리부로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레지스터 및 지연회로부에서 상기 복수의 메모리부로의 전송라인 연결방식은 데이지 체인, 하이브리드 T형, 바이퍼케이트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레지스터 및 지연회로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2 클럭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글로벌전송라인으로 인한 전달지연을 보정한 제3 클럭신호를 출력하는 클럭제어회로; 및
    상기 제어장치의 상기 제어 및 어드레스 입력신호를 버퍼링하되, 상기 제3 클럭신호로 셈플링하여 상기 제어 및 어드레스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레지스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제어회로와 상기 레지스터부는 단일의 칩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제어회로는
    DLL 회로; 및
    상기 글로벌 전송라인의 전달지연을 모델링하는 제1 레플리카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DLL 회로는 제2 클럭신호와 상기 제1 레플리카 회로를 거쳐 피드백되어 입력되는 제3 클럭신호가 동일한 위상이 되도록 조절하여 상기 글로벌 전송라인 전달지연이 보정된 제3 클럭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플리카 회로는 PCB 라인 모델, 능동소자, 및 수동소자의 조합이거나 이들 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제어회로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2 클럭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글로벌 전송라인으로 인한 전달지연 및 상기 레지스터부에서의 전달지연을 보정하여 제3 클럭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제어회로와 상기 레지스터부는 단일의 칩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제어회로는
    DLL 회로;
    상기 글로벌 전송라인의 전달지연을 모델링하는 제1 레플리카 회로; 및
    상기 레지스터부에서의 전달지연을 모델링하는 제2 레플리카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DLL 회로는 제2 클럭신호와 상기 제1 레플리카 회로 및 상기 제2 레플리카 회로를 거쳐 피드백되어 입력되는 제3 클럭신호가 동일한 위상이 되도록 조절하여, 상기 글로벌 전송라인 전달지연과 상기 레지스터부 전달지연이 보정된 제3 클럭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플리카 회로 및 상기 제2 레플리카 회로는 PCB 라인 모델, 능동소자, 및 수동소자의 조합이거나 이들 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KR1020020063256A 2001-11-21 2002-10-16 제어 및 어드레스 클럭 비분배형 메모리 시스템 KR100546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293,473 US7107476B2 (en) 2001-11-21 2002-11-14 Memory system using non-distributed command/address clock signals
DE10253696A DE10253696B4 (de) 2001-11-21 2002-11-18 Speichersystem mit einer Vielzahl von getakteten Speichervorrichtungen
TW091133946A TWI238934B (en) 2001-11-21 2002-11-21 Memory system using non-distributed command/address clock
JP2002338261A JP4305616B2 (ja) 2001-11-21 2002-11-21 制御及びアドレスクロック非分配型メモリ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72777 2001-11-21
KR1020010072777 2001-1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769A true KR20030041769A (ko) 2003-05-27
KR100546097B1 KR100546097B1 (ko) 2006-01-24

Family

ID=29570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3256A KR100546097B1 (ko) 2001-11-21 2002-10-16 제어 및 어드레스 클럭 비분배형 메모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60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402B1 (ko) * 2005-12-30 2007-01-30 김수학 알루미늄평판의 패턴형성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885B1 (ko) * 2000-09-05 2003-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주파 클럭 신호의 주파수를 낮추어 어드레스 및커맨드의 동작 주파수로 사용하고 서로 다른 주파수의클럭 신호들을 수신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이를포함하는 메모리 모듈 및 시스템 메모리 모듈
KR100360409B1 (ko) * 2000-09-16 2002-1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명령 및 어드레스 전용 스트로브 신호를 이용하는 반도체메모리장치 및 이의 명령 및 어드레스 입력방법
JP2002182973A (ja) * 2000-12-14 2002-06-28 Canon Inc メモリインターフェースおよびその信号処理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402B1 (ko) * 2005-12-30 2007-01-30 김수학 알루미늄평판의 패턴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6097B1 (ko) 2006-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1724B1 (ko) 메모리 서브 시스템
US20080285375A1 (en) Semiconductor device, module including the semiconductor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 module
KR100625128B1 (ko) 버퍼 메모리 시스템에서 신뢰성있는 전송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6300807B1 (en) Timing-control circuit device and clock distribution system
US5923611A (en) Memory having a plurality of external clock signal inputs
JP2000187522A (ja) Ddrタイミングのためのデ―タクロック待ち時間補償回路及び方法
JPH10254579A (ja) クロック信号分配方法
US7323789B2 (en) Multiple chip package and IC chips
US11996164B2 (en) Low power memory control with on-demand bandwidth boost
KR100681287B1 (ko) 시스템 클럭 분배 장치, 시스템 클럭 분배 방법
US7107476B2 (en) Memory system using non-distributed command/address clock signals
KR20040094181A (ko) 커맨드 신호와 어드레스 신호의 고속 전송이 가능한메모리 시스템
KR100546097B1 (ko) 제어 및 어드레스 클럭 비분배형 메모리 시스템
JP2002318638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100777196B1 (ko)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KR100408397B1 (ko) 데이터 지연시간을 외부에서 조절할 수 있는 반도체메모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메모리모듈
US7319635B2 (en) Memory system with registered memory module and control method
JP2000187612A (ja) データフェッチタイミング切り替え回路
US20230144225A1 (en) Power Efficient Circuits and Methods for Phase Alignment
JP3853209B2 (ja) セットアップタイムエラーを回避したメモリコントローラ
JP2004135128A (ja) 信号遅延補正回路
KR20030088324A (ko) 지연동기루프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반도체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의 출력방법
JP2001274849A (ja) インターフェイス回路
KR20010065679A (ko) 메모리모듈의 클럭 콘트롤러
KR20020083002A (ko) 레지스터 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