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9936A - 버스의 음성 안내시스템 - Google Patents

버스의 음성 안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9936A
KR20030039936A KR1020010071516A KR20010071516A KR20030039936A KR 20030039936 A KR20030039936 A KR 20030039936A KR 1020010071516 A KR1020010071516 A KR 1020010071516A KR 20010071516 A KR20010071516 A KR 20010071516A KR 20030039936 A KR20030039936 A KR 20030039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voice
unit
memor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1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기철
Original Assignee
조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기철 filed Critical 조기철
Priority to KR1020010071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9936A/ko
Publication of KR20030039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993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의 음성 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발명은, 버스의 좌,우회전이나 차선 변경이 이루어질 때 그 변경상태를 미리 버스 승객에게 음성으로 안내함으로써 버스에 탑승한 승객이 버스의 좌,우회전이나 차선 변경시 발생되는 관성으로부터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등 버스 탑승에 따른 안정감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버스의 하차도어 개폐상태를 미리 버스 승객에게 음성으로 안내함으로써 하차도어의 개폐상태로부터 승객이 다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버스에 하차부저 스위치를 둔 후 그 하차부저 스위치를 승객이 누를 때 버스가 정차할 정류소를 사전에 승객에게 음성으로 안내함으로써 승객이 정류소를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그 원하는 목적지를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거동이 불편한 승객(예; 노인, 장애인 등)들에게 버스의 탑승에 대한 거부감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의 음성 안내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버스의 음성 안내시스템{Guidance system for voice of a bus}
본 발명은 버스의 음성 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버스의 좌,우회전이나 차선 변경이 이루어질 때 그 변경상태나 버스의 하차도어 개폐상태를 미리 버스 승객에게 음성으로 안내하여 버스에 탑승한 승객이 버스의 좌,우회전이나 차선 변경시 발생되는 관성으로부터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하차도어의 개폐상태로부터 승객이 다치는 것을 예방하고, 더불어 버스에 하차부저 스위치를 둔 후 그 하차부저 스위치를 승객이 누를 때 버스가 정차할 정류소를 사전에 승객에게 음성으로 안내하여 승객이 원하는 목적지에 정확하게 하차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승객(특히 장애인) 누구나 안내되는 음성메세지로부터 보다 안정감 있는 버스 탑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버스의 음성 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대중교통수단으로 이용되는 종래의 버스에는 승객이 하차하고자 하는 목적지를 정확하게 인지하여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종래 버스의 경우 정류소 안내 음성메세지를 사전에 녹음하여 그 출력이 버스운전자의 조작으로부터 이루어지는 기능과 버스 내부 요소요소에 하차부저가 설치되어 있지만, 상기 하차부저는 단지 버스운전자에게 하차할 승객이 있음을 알리는 부저음만을 발생할 뿐, 승객이 원하는 목적지를 사전에 음성으로 안내하는 기능은 구비되어 있지 않았다.
다시 말해, 종래에는 사전에 녹음된 정류소 안내 음성메세지를 버스 운전자가 조작하여 출력하면, 그 출력되는 음성메세지를 승객이 들은 후 하차부저를 눌러야만 버스운전자가 버스정류소에 정착하는 시스템으로, 승객이 정차할 정류소를 모를 경우에는 주변의 다른 승객이나 버스 운전자에게 버스가 정차하는 정류소를 일일이 물어야 하는 등 버스 하차에 상당한 신경을 기울여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다.
한편, 종래 버스의 경우 좌,우회전을 하거나 또는 차선 변경을 할 때 그 변경으로부터 관성이 발생하게 되는 바, 이로 인하여 버스 내에 탑승한 승객이 손잡이를 제대로 잡지 못할 경우 몸이 기울어지거나 넘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어 있지 않았다.
즉, 종래에는 버스의 진행방향을 사전에 승객에게 음성으로 알려주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승객은 버스가 좌,우회전을 하거나 또는 차선변경을 할 때 버스 내에서 넘어지는 현상을 빈번하게 겪게 되는 등 버스 탑승에 따른 안정감을 제공받지 못하였다.
더불어, 종래에는 버스 운전자의 불친절이나 난폭운전으로 인하여 버스 탑승객들은 상당한 불쾌감을 느꼈을 뿐만 아니라 그 안전사고에도 상당히 노출되어 있는 폐단이 따랐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버스의 좌,우회전이나 차선 변경이 이루어질 때 그 변경상태를 미리 버스 승객에게 음성으로 안내함으로써, 버스에 탑승한 승객이 버스의 좌,우회전이나 차선 변경시 발생되는 관성으로부터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등 버스 탑승에 따른 안정감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버스의 음성 안내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버스의 하차도어 개폐상태를 미리 버스 승객에게 음성으로 안내함으로써, 하차도어의 개폐상태로부터 승객이 다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의 음성 안내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버스에 하차부저 스위치를 둔 후 그 하차부저 스위치를 승객이 누를 때 버스가 정차할 정류소를 사전에 승객에게 음성으로 안내함으로써, 승객이 정류소를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그 원하는 목적지를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버스의 음성 안내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버스의 음성 안내 시스템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 버스의 음성 안내 시스템을 보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좌측 방향지시등 표시부 1b; 우측 방향지시등 표시부
2 ; 핸들 3 ; 하차도어 개폐구동부
10; 4단의 방향지시레버 11; 2단의 방향지시레버
20; 레버움직임감지부(20) 30; 도어개폐감지부
40; 하차부저스위치 50; 부저작동감지부
60; 음성안내메모리부 61; 제 1 메모리
62; 제 2 메모리 63; 제 3 메모리
70; 제어부 80; 음성출력부
90; 핸들꺽임각 감지부 100; 논리연산부
SP; 스피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버스의 음성 안내 시스템을 보인 구성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및 우측 방향지시등 표시부(1a)(1b)와 핸들(2) 및 하차도어(도시하지 않음)의 개폐를 결정하도록 구동하는 하차도어 개폐구동부(3)를 가지는 버스에 있어서,
상기 버스의 핸들(2)에는 형성되어 상,하부로 1단 이동시에는 우회전 및 좌회전을 나타내고, 상,하부로 2단 이동시에는 우측 및 좌측 차선변경을 나타내는 4단의 방향지시레버(10);
상기 방향지시레버(1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레버움직임감지부(20);
하차도어 개폐구동부(3)의 구동에 따른 하차도어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도어개폐감지부(30);
버스의 내부 요소요소에 설치되어 승객의 누름동작으로부터 스위칭이 이루어지는 하차부저스위치(40);
상기 하차부저스위치(40)의 누름 스위칭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부저작동감지부(50);
버스의 좌,우회전이나 차선 변경상태는 물론, 버스가 정차할 정류소 및 하차도어의 개폐상태를 안내할 음성메세지를 저장하는 음성안내메모리부(60);
방향지시레버(10)의 움직임에 따른 버스의 우,죄회전상태나 차선변경상태를 좌측 및 우측 방향지시등 표시부(1a)(1b)에 표시하되, 각 감지부(20)(30)(50)로 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버스 승객이 보다 안정감있는 탑승상태를 유지하도록 음성안내메모리부(60)에 저장된 음성메세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70); 및,
상기 제어부(70)의 제어동작에 따라 음성안내메모리부(60)에 저장된 음성메세지를 승객이 들을 수 있도록 스피커(SP)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출력부(80); 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음성안내메모리부(60)는,
방향지시레버(10)의 움직임에 따른 버스의 좌,우회전이나 차선 변경상태를 안내할 음성메세지를 저장하는 제 1 메모리(61);
하차부저스위치(40)의 누름동작으로부터 버스가 정차할 정류소를 안내할 음성메세지를 저장하는 제 2 메모리(62);
하차도어 개폐구동부(3)의 구동에 따른 하차도어의 개폐상태를 안내할 음성메세지를 저장하는 제 3 메모리(63); 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버스에 승객이 탑승하여 운행이 이루어질 때, 운전자가 버스를 우회전시키기 위해 핸들(2)에 연결된 4단의 방향지시레버(10)를 위로 1단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방향지시레버(10)의 1단 이동 움직임은 레버움직임감지부(20)에 의해 감지되는 바,
상기 레버움직임감지부(20)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70)로 그 출력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레버움직임감지부(20)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음성안내메모리부(60)의 제 1 메모리(61)에 저장된 음성안내메세지 즉, "우회전하니 손잡이를 잡아주시기 바랍니다" 라는 음성안내메세지를 독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는 음성출력부(80)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메모리(61)로 부터 독출된 음성안내메세지를 승객들이 들을수 있도록 스피커(SP)를통해 외부로 출력함으로써, 승객들이 버스가 우회전할 때 발생되는 관성으로부터 넘어지는 것을 예방하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70)는 방향지시레버(10)의 1단 움직임에 따른 우회전상태를 우측 방향지시등 표시부(1b)에 표시하는 제어동작을 동시에 진행하여 운전자가 그 우회전상태를 인식하도록 하였다.
또한, 운전자가 버스를 좌회전시키기 위해 핸들(2)에 연결된 4단의 방향지시레버(10)를 아래로 1단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방향지시레버(10)의 1단 이동 움직임은 레버움직임감지부(20)에 의해 감지되는 바,
상기 레버움직임감지부(20)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70)로 그 출력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레버움직임감지부(20)로 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음성안내메모리부(60)의 제 1 메모리(61)에 저장된 음성안내메세지 즉, "좌회전하니 손잡이를 잡아주시기 바랍니다" 라는 음성안내메세지를 독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는 음성출력부(80)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메모리(61)로부터 독출된 음성안내메세지를 승객들이 들을 수 있도록 스피커(SP)를 통해 외부로 출력함으로써, 승객들이 버스가 좌회전할 때 발생되는 관성으로부터 넘어지는 것을 예방하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70)는 방향지시레버(10)의 1단 움직임에 따른 좌회전상태를 좌측 방향지시등 표시부(1a)에 표시하는 제어동작을 동시에 진행하여 운전자가 그 좌회전상태를 인식하도록 하였다.
한편, 운전자가 버스의 차선을 우측방향으로 변경시키기 위해 핸들(2)에 연결된 4단의 방향지시레버(10)를 위로 2단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방향지시레버(10)의 2단 이동 움직임은 레버움직임감지부(20)에 의해 감지되는 바,
상기 레버움직임감지부(20)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70)로 그 출력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레버움직임감지부(20)로 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음성안내메모리부(60)의 제 1 메모리(61)에 저장된 음성안내메세지 즉, "우측 차선변경합니다" 라는 음성안내메세지를 독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는 음성출력부(80)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메모리(61)로부터 독출된 음성안내메세지를 승객들이 들을 수 있도록 스피커(SP)를 통해 외부로 출력함으로써, 승객들이 버스가 우측차선으로 변경할 때 발생되는 관성으로부터 넘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70)는 방향지시레버(10)의 1단 움직임에 따른 우측차선 변경상태를 우측 방향지시등 표시부(1b)에 표시하는 제어동작을 동시에 진행하여 운전자가 그 우측 차선변경 상태를 인식하도록 하였다.
더불어, 운전자가 버스의 차선을 좌측방향으로 변경시키기 위해 핸들(2)에 연결된 4단의 방향지시레버(10)를 아래로 2단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방향지시레버(10)의 2단 이동 움직임은 레버움직임감지부(20)에 의해 감지되는 바,
상기 레버움직임감지부(20)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70)로 그 출력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레버움직임감지부(20)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음성안내메모리부(60)의 제 1 메모리(61)에 저장된 음성안내메세지 즉, "좌측 차선변경합니다" 라는 음성안내메세지를 독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는 음성출력부(80)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메모리(61)로부터 독출된 음성안내메세지를 승객들이 들을 수 있도록 스피커(SP)를 통해 외부로 출력함으로써, 승객들이 버스가 좌측차선으로 변경할 때 발생되는 관성으로부터 넘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70)는 방향지시레버(10)의 1단 움직임에 따른 좌측 차선변경 상태를 좌측 방향지시등 표시부(1a)에 표시하는 제어동작을 동시에 진행하여 운전자가 그 좌측 차선변경 상태를 인식하도록 하였다.
한편, 버스에 탑승한 승객이 버스의 요소요소에 설치된 하차부저 스위치(40)를 누르는 경우, 상기 하차부저 스위치(40)의 누름동작은 부저작동감지부(50)에 의해 감지된 후 그 감지신호는 제어부(70)로 출력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70)는 하차부저감지부(50)로 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음성안내메모리부(60)의 제 2 메모리(62)에 저장된 음성안내메세지 즉, "잠실정류소에 10초 후 정차합니다" 라는 음성안내메세지를 독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는 음성출력부(80)를 제어하여 상기 제 2 메모리(62)로부터 독출된 음성안내메세지를 승객들이 들을 수 있도록 스피커(SP)를 통해 외부로 출력함으로써, 승객들이 버스가 정차할 정류소를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70)는 우측 방향지시등 표시부(1b)가 소정의 시간동안(약 5초) 점멸될 수 있도록 제어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버스의 정차신호를 보여주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이 버스가 정류소에 정차한 후 하차도어 개폐구동부(3)가 구동하여 버스의 하차도어를 여는 경우, 그 하차도어의 열림상태는 도어개폐감지부(30)에 의해 감지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개폐감지부(30)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70)로 그 출력이 이루어지는 바,
상기 제어부(70)는 도어개폐감지부(30)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음성안내메모리부(60)의 제 3 메모리(63)에 저장된 음성안내메세지 즉, "하차도어가 열렸습니다" 라는 음성안내메세지를 독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는 음성출력부(80)를 제어하여 상기 제 3 메모리(63)로부터 독출된 음성안내메세지를 승객들이 들을 수 있도록 스피커(SP)를 통해 외부로 출력함으로써, 승객들은 하차도어의 열림 상태를 보다 쉽게 인식하면서 바로 버스에서 하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승객의 하차가 종료되면, 상기 하차도어 개폐구동부(3)의 구동으로부터 다시 하차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지고, 그 닫힘은 다시 도어개폐감지부(30)에 의해 감지된다.
이후, 상기 도어개폐감지부(30)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70)로 그 출력이 이루어지는 바,
상기 제어부(70)는 도어개폐감지부(30)로 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음성안내메모리부(60)의 제 3 메모리(63)에 저장된 음성안내메세지 즉, "하차도어가 닫혔습니다" 라는 음성안내메세지를 독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는 음성출력부(80)를 제어하여 상기 제 3 메모리(63)로부터 독출된 음성안내메세지를 승객들이 들을 수 있도록 스피커(SP)를 통해 외부로 출력함으로써, 승객들은 하차도어의 닫힘상태를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70)는 운전석에 위치하는 좌측 및 우측 방향지시등 표시부(1a)(1b) 중 좌측 방향지시등 표시부(1a)를 소정의 시간동안(약 5초) 점멸시키므로서, 운전자가 버스를 출발할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 이는 2단으로 이루어진 방향지시레버(11)의 움직임과 핸들(2)의 꺽임각을 감지한 후 그 감지된 레버(11)의 움직임은 물론 핸들(2)의 꺽임각을 논리연산부(100)에서 논리 연산하여 제어부(70)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제어부(70)는 입력되는 논리 연산신호에 따라 버스의 좌,우회전 진행상태나 차선 변경상태를 알리는 음성안내메세지를 승객이 들을 수 있도록출력하는 것을 보인 것이다.
즉, 도 2에서는, 운전자가 버스를 우회전시키거나 우측차선으로 변경 또는 좌회전시키거나 좌측차선으로 변경을 위해 핸들(2)에 연결된 2단의 방향지시레버(11)를 위(또는 아래)로 1단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방향지시레버(10)의 1단 이동 움직임은 레버움직임감지부(20)에 의해 감지되는 바,
상기 레버움직임감지부(20)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논리연산부(100)로 그 출력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방향지시레버(10)의 움직임이 이루어진 후 약 2초후에 운전자가 핸들(2)을 우측(또는 좌측)으로 회전시키면, 그 핸들(2)의 회전상태는 핸들꺽임각 감지부(90)에 의해 감지되는 바,
상기 핸들꺽임각 감지부(90)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논리연산부(100)로 그 출력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논리연산부(100)로부터 논리연산된 신호에 따라 음성안내메모리부(60)의 제 1 메모리(61)에 저장된 음성안내메세지 즉, "우회전하니 손잡이를 잡아주시기 바랍니다" 또는 "우측차선으로 변경합니다" 또는 "좌회전하니 손잡이를 잡아주시기 바랍니다" 또는 "좌측차선으로 변경합니다" 라는 음성안내메세지를 독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는 음성출력부(80)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메모리(61)로부터 독출된 음성안내메세지를 승객들이 들을 수 있도록 스피커(SP)를통해 외부로 출력함으로써, 승객들은 버스의 우,좌회전이나 차선변경에 의한 관성으로부터 넘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버스의 좌,우회전이나 차선 변경이 이루어질 때 그 변경상태를 미리 버스 승객에게 음성으로 안내함으로써 버스에 탑승한 승객이 버스의 좌,우회전이나 차선 변경시 발생되는 관성으로부터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등 버스 탑승에 따른 안정감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버스의 하차도어 개폐상태를 미리 버스 승객에게 음성으로 안내함으로써 하차도어의 개폐상태로부터 승객이 다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버스에 하차부저 스위치를 둔 후 그 하차부저 스위치를 승객이 누를 때 버스가 정차할 정류소를 사전에 승객에게 음성으로 안내함으로써 승객이 정류소를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그 원하는 목적지를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승객(예; 노인, 장애인 등)들에게 버스의 탑승에 대한 거부감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Claims (3)

  1. 좌측 및 우측 방향지시등 표시부와 핸들 및 하차도어의 개폐를 결정하도록 구동하는 하차도어 개폐구동부를 가지는 버스에 있어서,
    상기 버스의 핸들에는 형성되어 상,하부로 1단 이동시에는 우회전 및 좌회전을 나타내고, 상,하부로 2단 이동시에는 우측 및 좌측 차선변경을 나타내는 4단의 방향지시레버;
    상기 방향지시레버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레버움직임감지부;
    하차도어 개폐구동부의 구동에 따른 하차도어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도어개폐감지부;
    버스의 내부 요소요소에 설치되어 승객의 누름동작으로부터 스위칭이 이루어지는 하차부저스위치;
    상기 하차부저스위치의 누름 스위칭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부저작동감지부;
    버스의 좌,우회전이나 차선 변경상태는 물론, 버스가 정차할 정류소 및 하차도어의 개폐상태를 안내할 음성메세지를 저장하는 음성안내메모리부;
    방향지시레버의 움직임에 따른 버스의 우,죄회전상태나 차선변경상태를 좌측 및 우측 방향지시등 표시부에 표시하되, 각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버스 승객이 보다 안정감있는 탑승상태를 유지하도록 음성안내메모리부에 저장된 음성메세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동작에 따라 음성안내메모리부에 저장된 음성메세지를 승객이 들을수 있도록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음성 안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안내메모리부는,
    방향지시레버의 움직임에 따른 버스의 좌,우회전이나 차선 변경상태를 안내할 음성메세지를 저장하는 제 1 메모리;
    하차부저스위치의 누름동작으로부터 버스가 정차할 정류소를 안내할 음성메세지를 저장하는 제 2 메모리;
    하차도어 개폐구동부의 구동에 따른 하차도어의 개폐상태를 안내할 음성메세지를 저장하는 제 3 메모리;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음성 안내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버스의 좌,우회전 진행상태나 차선 변경상태를 알리는 제 1 메모리의 음성안내메세지 출력은,
    2단으로 이루어진 방향지시레버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레버움직임감지부,
    핸들의 꺽임각을 감지하는 핸들꺽임각 감지부,
    상기 움직임 감지신호 및 핸들의 꺽임각 감지신호를 논리 연산한 후, 그 논리연산된 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는 논리연산부, 로부터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음성 안내시스템.
KR1020010071516A 2001-11-16 2001-11-16 버스의 음성 안내시스템 KR200300399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516A KR20030039936A (ko) 2001-11-16 2001-11-16 버스의 음성 안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516A KR20030039936A (ko) 2001-11-16 2001-11-16 버스의 음성 안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936A true KR20030039936A (ko) 2003-05-22

Family

ID=29569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1516A KR20030039936A (ko) 2001-11-16 2001-11-16 버스의 음성 안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99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828B1 (ko) * 2010-04-30 2010-07-13 에이스테크(주) 축열식 연소장치의 풍향전환용 분리식 로타리 밸브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축열식 연소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828B1 (ko) * 2010-04-30 2010-07-13 에이스테크(주) 축열식 연소장치의 풍향전환용 분리식 로타리 밸브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축열식 연소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4034B2 (en)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JP4279405B2 (ja) エレベータ運転制御装置
CN105083115B (zh) 用于车辆喇叭的控制装置、系统、方法及车辆
JP2005222325A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
JP2007045347A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JP2002053273A (ja) エレべータの制御装置
US6105729A (en) Elevator car operating panel
JP2007186322A (ja) エレベータの案内装置
JP7119846B2 (ja) 車両の走行制御方法及び走行制御装置
KR20030039936A (ko) 버스의 음성 안내시스템
JP4385889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20060083681A (ko) 차량의 주차 보조 시스템
JP2001002331A (ja) エレベータ運転制御装置
JP2005162463A (ja) エレベータの呼び登録装置
KR20050119110A (ko) 카 및 카 조작 패널
JP2010030776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060088524A (ko) 차량용 발판장치 제어시스템
KR20070030449A (ko)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이용한 차선변경 표시장치
JP2002003092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2002338177A (ja) エレベーターの戸閉表示装置
JP2001139240A (ja) エレベータ
JP3029961B2 (ja) バ ス
JP2008206369A (ja) 誤通過防止支援装置、誤通過防止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H10250947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運転操作装置
JP2006220435A (ja)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