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9253A - 과다낙광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과다낙광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9253A
KR20030039253A KR1020010070229A KR20010070229A KR20030039253A KR 20030039253 A KR20030039253 A KR 20030039253A KR 1020010070229 A KR1020010070229 A KR 1020010070229A KR 20010070229 A KR20010070229 A KR 20010070229A KR 20030039253 A KR20030039253 A KR 20030039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s
ores
fallen
falling
exces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0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9648B1 (ko
Inventor
한인섭
이정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70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9648B1/ko
Publication of KR20030039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9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9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96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65G47/19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material flow, e.g. to prevent overloa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Abstract

본 고안은 제철소에서 쓰이는 원료, 부원료 등의 하역과정에서 언로더의 바케트(100)로부터 떨어지는 낙광을 받아 벨트 콘베어(103)로 안내하는 낙광안내판(104)에 과다한 양의 낙광이 떨어질 경우 그 낙광을 조절된 양으로 조금씩 벨트 콘베어(103)쪽으로 보내도록 함으로써 벨트 콘베어(103)에 과다낙광으로 인한 오버로드가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된 과다낙광 조절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측이 호퍼(10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지지되고, 타측은 이동휠(22A)(22B)을 통해 낙광안내판(104)의 레일(23)상에 지지되는 하우징부(20)와, 상기 하우징부(20) 내측에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고 각각 그 상단부가 연결핀(3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플레이트(30A)(30B)들을 구비하여 그 플레이트(30A)(30B)간의 간격이 텐션지지부(40)의 스프링(42A)(42B)에 의해 제한된 범위내에서 탄발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 삼각플레이트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다낙광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과다낙광 조절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OVERCHARGE OF DROPPING ORES}
본 발명은 제철소에 쓰이는 철광석 등의 원료 수송시 수송된 원료의 하역을 위한 언로더 작업과정중 바케트에서 발생되는 낙광이 해수와 지상으로 떨어지지 않고 정해진 이송컨베어상으로 떨어지도록 낙광을 안내하는 낙광 안내장치의 개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과다한 원료가 낙광안내판에 떨어질 경우 발생되는 벨트 컨베어의 오버로드를 방지하기 위해 낙광량에 따라서 삼각플레이트의 갭이 자동조정되어 적정량이 컨베어로 보내어질 수 있도록 한 과다낙광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원료, 부원료의 하역작업은 도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언로더의 바케트(100)를 이용하여 해당 원료를 언로더의 호퍼(101)로 이동 적재하고 이 호퍼(101)내의 원료를 피더 바이브레이트(102)에 의해 선내 벨트 컨베어(103)상으로 적출하여 상기 벨트 컨베어(103)를 통하여 각각의 지상 벨트 컨베어로 중계하여 야드에 적치하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낙광안내판(104)은 본선에서 호퍼(101)로 원료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바케트(100)에서 떨어지는 낙광을 받아 벨트 컨베어(103)로 안내이송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바케트(100)가 호퍼(101)로 이동중 전기적, 기계적 트러블에 의해 오픈될 경우, 또한 바케트에 부착광(강점탄)이 많을 경우에 과량의 원료가 낙광안내판(104)에 떨어지게 되는데, 종래의 낙광안내판에는 이를 조절하는 장치가 없어서 한꺼번에 많은 양의 낙광이 벨트 컨베어(103)로 유입되어 부호 110으로 예시된 바와 같은 벨트 오버로드 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 때문에 운전이 중지되고 벨트 오버로드를 복구하기 위한 인력 및 시간 손실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오버로드 복구과정에서 안전사고발생의 문제점이 있고, 또 벨트상의 광석이 지상으로 떨어져 원료의 손실과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언로더의 낙광안내판에 과량의 낙광발생시 그 낙광의 벨트 컨베어로의 이송량을 낙광의 양에 따라 자동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갖추어서 과다낙광으로 인한 벨트 오버로드를 방지할 수 있는 과다낙광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의 낙광 안내장치의 구성 및 사용례를 도시한 도식적인 측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식적인 측면도,
도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장치의 요부발췌 확대 사시도,
도4A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상세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4B는 도4A에 도시된 장치의 측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작용상태를 예시한 발췌 측면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과다낙광 조절장치 20 : 하우징 20A,20B : 하우징부재
22A,22B : 이동휠 23 : 레일 30 : 삼각플레이트부
30A,30B : 플레이트 34 : 연결부 35 : 연결핀
36 : 너트 40 : 텐션지지부 41A,41B : 스프링받침부
42A,42B : 스프링 43A,43B : 너트 44 : 고정핀
45 : 너트 46 : 홀 47A, 47B : 아암
48A,48B : 나사부 100 : 바케트 101 : 호퍼
102 : 피더 바이브레이터 103 : 벨트 컨베어 104 : 낙광안내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우징부와 이 하우징내측에 낙광량의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 삼각플레이트부 및 텐션지지부로 이루어진 과다낙광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과다낙광 조절장치(10)는 도2의 예와 같이 언로더의 낙광안내판(104)과 호퍼(101)사이에 설치사용될 수 있는데, 이 장치는 도3∼도5와같이 구성된 하우징부(20)와 상기 하우징부(20) 내측에 과다낙광의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 삼각플레이트부(30) 및 텐션지지부(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20)는 일측단부가 호퍼(101)에 결합지지되고 타측단부는 이동휠(22A)(22B)을 통해 낙광안내판(104)의 레일(23)상에 지지되는 한 쌍의 하우징부재(20A)(20B)들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하우징부(20)의 두 하우징부재(20A)(20B)사이에는 동일 구성으로 된 복수의 삼각플레이트부(30)들이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각 삼각플레이트부(30)는 연결부(34)들이 있는 그 상단부가 상기 연결부(34)들을 관통하는 하나의 연결핀(35)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구속설치되는 두 장방형의 플레이트(30A)(30B)들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두 플레이트(30A)(30B)들의 하부 사이에는 이들 두 플레이트(30A)(30B)를 제한된 범위내에서 서로로부터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발시키는 복수의 텐션지지부(40)들이 설치제공된다.
상기 각 텐션지지부(40)는 가운데 부분에 고정핀(44)의 관통을 위한 홀(46)이 형성되어 있고, 그 홀(46)이 형성된 가운데 부분 양측으로 두 아암(47A)(47B)이 서로 각을 이루어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아암(47A)(47B)의 중앙부에는 스프링받침부(41A)(41B)가, 단부에는 너트(43A)(43B)의 체결을 위한 나사부(48A)(48B)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텐션지지부(40)가 삼각플레이트부(30)의 두 플레이트(30A)(30B)사이에 도4B의 예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이 텐션지지부(40)의 각 아암(47A)(47B)의 스프링받침부(41A)(41B)와 각플레이트(30A)(30B)사이에는 스프링(42A)(42B)이 탄력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삼각플레이트부(30)의 플레이트(30A)(30B) 사이에 상기와 동일하게 구성된 텐션지지부(40)들을 복수개씩(도시된 예에서는 3개씩) 일정간격으로 배치하고 그 텐션지지부(40)들의 중앙부 홀(46)을 통해 하나의 고정핀(44)을 체결시켜 텐션지지부(40)의 설치를 이룸으로써 각 삼각플레이트부(30)의 전장에 걸쳐 균일한 탄발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작용에 있어서, 낙광안내판(104)은 언로더를 사용한 원료 하역작업시는 예컨대 도2의 예와 같이 펼쳐 사용하다가 작업종료후에는 호퍼(101) 쪽으로 붙여 절첩해 두게 되는데, 도6의 위 그림은 상기 낙광안내판(104)을 작업위치로 펼친 상태를, 아래 그림은 비작업위치로 절첩해둔 상태로 보여 주며, 이때 본 발명의 장치(10)는 그 하우징부(20)의 단부에 설치된 이동휠(22A)(22B)이 상기 낙광 안내판(104)의 레일(23)에 접동되면서 도6의 위 그림과 같은 작업위치로 가 있게 되거나 아래 그림과 같은 비작업위치로 가 있게 된다.
상기 낙광안내판(104)을 도2와 같이 작업위치로 펼치면 본 장치의 하우징부(20)가 상기 낙광안내판(104) 및 호퍼(101) 사이에 수평으로 놓여지게 되면서 낙광량에 따른 자동적인 조절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해 보면, 도2의 상태로 원료 하역작업중에 낙광안내판(104)으로 낙광이 과다하게 떨어질 경우 그 낙광은 먼저 상기 과다낙광 조절장치(10)의 삼각플레이트부(30)들상으로 떨어져 쌓이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낙광의 무게에 의해 텐션지지부(40)의 스프링(42A)(42B)이 수축되면서플레이트(30A)(30B)들이 움직이게 됨으로써 삼각플레이트부(30)들 간의 갭이 낙광량에 상응하는 크기로 자동 조절되어 그 갭을 통해 적정량의 낙광이 벨트 컨베어(103)쪽으로 조금씩 흘러 내리게 되며, 이와 같이 하여 삼각플레이트부(30)상의 낙광량이 적어지게 되면 텐션지지부(40)의 스프링(42A)(42B)에 의해 상기 삼각플레이트부(30)의 플레이트(30A)(30B)들이 원상복귀하여 삼각플레이트부(30)들간의 갭이 다시 원래대로 되게 된다. 이때, 상기 각 삼각플레이트부(30)에 있어서 텐션지지부(40)들을 함께 결합지지하는 고정핀(44)은 낙광의 무게를 받치면서 힘을 균등하게 배분하는 작용을 하며, 너트(43A)(43B)는 상기 텐션지지부(40)를 삼각플레이트부(30)의 플레이트(30A)(30B)들에 대해 결합고정하는 역할을 하면서 원료의 성상에 따라 상기 삼각플레이트부(30)들간의 초기 갭을 적절히 조절 설정해둘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작용에 의해 제철소 원료의 하역과정에서 본선과 호퍼사이를 왕복하는 언로더의 바케트(100)로부터 낙광이 과다하게 발생할 경우 낙광안내판(104)의 중간부에 설치된 본 과다낙광 조절장치(10)의 삼각플레이트부(30)들상에 낙광이 떨어져 쌓이게 되면서 그 낙광의 무게에 의해 텐션지지부(40)의 스프링(42A)(42B)이 수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삼각플레이트(30)들간의 갭이 자동 조절되어 이를 통해 낙광이 조절된 양으로 조금씩 벨트 컨베어(103)로 흘러 내리게 됨으로써 벨트 컨베어의 오버로드 및 이로 인한 이송장애, 작업중지, 환경오염 등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일측이 호퍼(10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지지되고, 타측은 이동휠(22A)(22B)을 통해 낙광안내판(104)의 레일(23)상에 지지되는 하우징부(20)와, 상기 하우징부(20) 내측에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고 각각 그 상단부가 연결핀(3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플레이트(30A)(30B)들을 구비하여 그 플레이트(30A)(30B)간의 간격이 텐션지지부(40)의 스프링(42A)(42B)에 의해 제한된 범위내에서 탄발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 삼각플레이트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다낙광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지지부(40)는 중앙부에 고정핀(44)이 관통결합되는 홀(46)이 있고 그 중앙부 양쪽으로 스프링받침부(41A)(41B)와 나사부(48A)(48B)를 가진 아암(47A)(47B)이 형성되어 이 아암(47A)(47B)의 스프링받침부(41A)(41B)와 상기 플레이트(30A)(30B)사이에 스프링(42A)(42B)이 설치되며, 상기 플레이트(30A)(30B)를 관통하여 나온 아암(47A)(47B)의 나사부(48A)(48B)에 너트(43A)(43B)를 체결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다낙광 조절장치.
KR1020010070229A 2001-11-12 2001-11-12 과다낙광 조절장치 KR100779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229A KR100779648B1 (ko) 2001-11-12 2001-11-12 과다낙광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229A KR100779648B1 (ko) 2001-11-12 2001-11-12 과다낙광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253A true KR20030039253A (ko) 2003-05-17
KR100779648B1 KR100779648B1 (ko) 2007-11-26

Family

ID=29569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0229A KR100779648B1 (ko) 2001-11-12 2001-11-12 과다낙광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96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07766A (zh) * 2013-07-31 2013-11-27 安徽兴隆肥业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自动化配料机
CN111559631A (zh) * 2019-12-26 2020-08-21 立宇食品(郎溪)有限公司 一种自动称重感应调节的传送装置
CN111792393A (zh) * 2020-07-10 2020-10-20 郑川田 一种钢铁冶炼矿石加料设备保护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636B1 (ko) 2009-09-11 2013-02-20 주식회사 포스코 블랜딩빈의 상단 커버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92998U (ko) * 1972-02-07 1973-11-07
JPS5738228A (en) * 1980-08-14 1982-03-02 Sumitomo Metal Ind Ltd Regulating apparatus for particle size
JPH0829836B2 (ja) * 1988-03-24 1996-03-27 日新製鋼株式会社 リバースシャトルコンベアの搬送物落下制御装置
JPH01247320A (ja) * 1988-03-30 1989-10-03 Nisshin Steel Co Ltd ホッパー内の原料定量搬出装置
JPH0656031U (ja) * 1993-01-13 1994-08-02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自動調整シュートダンパ装置
JP3312284B2 (ja) * 1993-06-22 2002-08-05 元浩 岡田 選果機用重量計測装置
JP2587336Y2 (ja) * 1993-12-16 1998-12-16 株式会社田中衡機工業所 フレコンバッグ自動計量機のサンプル抽出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07766A (zh) * 2013-07-31 2013-11-27 安徽兴隆肥业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自动化配料机
CN111559631A (zh) * 2019-12-26 2020-08-21 立宇食品(郎溪)有限公司 一种自动称重感应调节的传送装置
CN111559631B (zh) * 2019-12-26 2022-01-14 立宇食品(郎溪)有限公司 一种自动称重感应调节的传送装置
CN111792393A (zh) * 2020-07-10 2020-10-20 郑川田 一种钢铁冶炼矿石加料设备保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9648B1 (ko) 2007-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74943B1 (en) Screening apparatus
CN102844495B (zh) 回转输送带安装件
AU2013399877B2 (en) A mineral material processing plant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processing plant
KR100779648B1 (ko) 과다낙광 조절장치
CN102556595B (zh) 用于散装材料的运输的传送机
JPS63176222A (ja) ベルト挾み式アンロ−ダ
JP3389787B2 (ja) ベルトコンベヤのスカート装置
KR100323060B1 (ko) 컨베어 벨트의 사행방지 안내장치
CN209668361U (zh) 一种高台仓库收货装置
EP0905060A1 (en) Conveyor belt support
KR20040043797A (ko) 연속식 언로더의 하부슈트 덮개 자동 개폐장치
KR200176544Y1 (ko) 텐션 웨이트 낙하방지장치
KR20040044744A (ko) 컨베이어 벨트 사행 자동 조정장치
CN112027588A (zh) 一种矿用导料槽料流调节装置
KR20020052738A (ko) 롤러마모 방지용 스탠드장치
KR20020041925A (ko) 벨트컨베이어의 사행방지용 캐리어 스탠드
KR102376289B1 (ko) 피처리물 운반장치 및 피처리물 운반방법
KR200169327Y1 (ko) 벨트 콘베이어의 편향적재 및 절손 검출장치
KR20030042887A (ko) 하부폭 변형이 가능한 슈트장치
KR20040059210A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과 수송물 편적 조절장치
CN218370127U (zh) 一种运输机货物防掉落组件
KR20030048587A (ko) 벨트 컨베이어의 슈트
KR20020035936A (ko) 컨베이어 슈트하부의 밸트지지 및 이를 위한 캐리어 롤러스탠드 및 롤러 정렬방법
CN208199562U (zh) 一种可调节的提升机机头结构及提升机
KR20010063924A (ko) 벨트 컨베이어 편적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