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8397A - 체인저형 디스크장치 - Google Patents

체인저형 디스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8397A
KR20030038397A KR1020020066801A KR20020066801A KR20030038397A KR 20030038397 A KR20030038397 A KR 20030038397A KR 1020020066801 A KR1020020066801 A KR 1020020066801A KR 20020066801 A KR20020066801 A KR 20020066801A KR 20030038397 A KR20030038397 A KR 20030038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drive
pressing member
standby
sto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6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3227B1 (ko
Inventor
오츠키아키라
Original Assignee
알파인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파인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알파인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8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8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3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32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26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the magazine having a cylindrical shape with vertical axi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1Selecting or spacing of record carriers for introducing the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221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with movable magazine
    • G11B17/223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with movable magazine in a vertical direction

Landscapes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Abstract

복수의 디스크가 두께방향으로 나열되어 지지되는 디스크수납부와, 이 디스크수납부내의 어느 것인가의 디스크중에서 선택된 디스크에 대하여 정보의 재생 및/또는 기록을 행하는 구동유닛으로서, 이 구동유닛을 상기 선택디스크를 구동하는 구동위치와 어느 디스크도 구동하지 않는 퇴피위치와의 사이에서 전후진시키는 드라이브구동기구를 구비한 체이저형 디스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이 구동위치로 이동하고 있을때, 상기 선택디스크 이외의 상기 디스크수납부에 유지되어 있는 대기디스크의 외주연에 압접하고, 그 대기디스크를 지름방향 외측으로부터 상기 디스크수납부를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유닛이 구동위치로부터 퇴피위치로 이동할때, 상기 드라이브 구동기구의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대기디스크의 외주연으로부터 이반하도록 구성하였다.
이것에 의해, 디스크수납부의 대기디스크를 지름방향으로 위치규제할 수 있고, 선택디스크의 구동중에 그 이외의 대기디스크로부터 발생하는 래틀노이즈(Rattle noise)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체인저형 디스크장치{CHANGER-TYPE DISK DEVICE}
본 발명은, CD(Compact Disk)나 DVD(Digital Versatile Disk)등의 디스크에 대하여 정보의 재생 및 / 또는 기록이 가능하고, 또한 장치내에 복수매의 디스크를 수납가능한 체인저형 디스크장치에 관련되고, 특히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디스크를 소정위치로 자동반송하는 슬롯 인(Slot in)방식의 체인저형 디스크장치에 관한다.
차량탑재용 체인저형 디스크장치에 있어서는,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디스크를 디스크 반송기구에 의해 소정위치로 자동 반송하는 슬롯인방식이 많이 이용되고 있고, 이와 같은 체인저형 디스크장치에는, 디스크를 회전구동하여 광 픽업등에 의해 정보의 재생 및 / 또는 기록을 행하는 구동유닛과, 복수매의 디스크를 두께방향으로 나열하여 수납가능한 디스크수납부가 구비되어 있다. 구동유닛은 드라이브 구동기구에 의해 구동위치와 퇴피위치의 사이를 전후진하도록 되어 있고, 이 구동위치에서 디스크수납부에 지지되어 있는 복수의 디스크의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인출되고, 그 선택디스크가 구동유닛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종래로부터, 이와 같은 체인저형 디스크장치에 있어서, 디스크수납부로 하여 복수의 스토커를 승강가능하게 설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디스크수납부는, 디스크의 외주연(外周緣)을 약 반바퀴의 외주에 걸쳐 지지가능한 활형 형상의 스토커와, 부등(不等)피치의 나선상 홈을 갖는 복수개의 이송 나사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적층상태로 나열된 복수의 스토커에 각 이송나사부재를 삽입통과시켜 나사 결합시키고, 이들 이송나사부재를 동기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디스크를 지지하는 각 스토커가 이송나사부재의 축선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장치내에 삽입한 디스크를 소망하는 스토커에 지지시키는 경우, 그 스토커를 디스크의 반송경로와 동일 높이로 배치시킨 후, 디스크를 디스크반송기구에 의해 장치의 안쪽으로 반송하면, 그 디스크를 대응하는 스토커의 내주부(內周部)에 지지시킬 수 있다. 또, 소망하는 스토커에 지지되어 있는 선택디스크를 플레이위치로 인출하는 경우는, 그 스토커를 디스크의 반송경로와 동일 높이로 배치시킨 후, 그 스토커에 지지된 선택디스크를 장치의 바로 앞측으로 반송하면, 그 선택디스크를 스토커의 내주부로부터 빼내어 구동유닛에 클램프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스토커의 내주부에는, 디스크의 외주연을 거의 반바퀴에 걸쳐 삽입가능한 둥근돌기형상의 지지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홈에 의해 디스크는 두께방향과지름방향으로 위치규제된 상태로 지지된다.
상술한 종래의 체인저형 디스크장치에 의하면, 전후진 가능한 구동유닛을 퇴피위치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스토커의 승강동작을 행하게 하고, 구동위치에서는 이 구동유닛이 스토커에 지지되어 있는 디스크와 적층하도록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스토커를 이송나사부재의 나선상 홈에 걸어 맞추어 승각동작하기 때문에, 스토커와 나선상 홈과의 사이에 미소(微小)클리어런스가 필요하게 되고, 또 스토커에 지지되는 디스크에는 제조상의 치수 오차가 있기 때문에, 스토커의 지지홈의 내경치수를, 예측되는 최대지름의 디스크가 들어갈 수 있는 치수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슬롯인 방식의 체인저형 디스크장치에서는, 삽입구로부터 스토커까지의 디스크반송결로상에 장해물을 배치할 수 없기 때문에, 스토커의 지지홈을 디스크의 반바퀴 정도(약 180°)까지 밖에 설치할 수 없고, 이 스토커에서 디스크를 충분히 지지하는 것이 어렵다. 이와 같은 이유에 의해 소망하는 선택디스크를 스토커로부터 인출하여 구동할때, 차량으로부터의 외부진동이 체인저형 디스크장치에 가해지면, 스토커에 남은 다른 대기디스크가 진동하여 래틀노이즈(Rattle noise)라고 불리우는 이음(異音)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디스크에 기록된 음악등을 재생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와 같은 래틀노이즈는 매우 귀에 거슬리는 것이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기록/재생동작 중에 발생하는 래틀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는 체인저형 디스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관계되는 체인저형 디스크장치의 내부기구를 생략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의 섀시의 내부기구를 저면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디스크의 로딩(Loading)개시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4는 디스크의 수납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디스크의 인출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6은 디스크의 플레이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7은 이송나사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스토커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제1의 가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규제판을 나타내고, (a)는 그 단면도, (b)는 그 정면도이다.
도 11은 구동유닛의 퇴피위치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2는 구동유닛의 구동위치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3은 제1의 가압부재와 디스크의 압접해제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4는 제1의 가압부재와 디스크의 압접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5는 제2의 섀시의 내부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2의 섀시의 내부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제2의 섀시의 내부기구의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제2의 가압부재와 디스크의 압접해제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제2의 가압부재와 디스크의 압접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a), (b), (c), (d)는 드라이브 구동기구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21은 구동유닛의 클램프해제상태를 나타내고, (a)는 그 평면도, (b)는 그 측면도이다.
도 22는 구동유닛의 클램프상태를 나타내고, (a)는 그 평면도, (b)는 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체 2 : 노우즈부재
3 : 제1의 섀시 4: 제2의 섀시
5 : 디스크 반송기구 6 : 디스크수납부
7 : 구동유닛 8 : 드라이브 구동기구
9 : 제1의 가이드부 10 : 제2의 가이드부
11 : 제1의 슬라이드부 12 : 제2의 슬라이드부
13 : 반송풀리 14 : 구동기어
15 : 반송가이드체 16 : 대경기어
19 : 이송나사부재 20 : 소기어
21 : 스토커 25 : 가압부재
26 : 판스프링 30 : 드라이브섀시
31 : 댐퍼부재34 : 슬라이드캠판
39 : 하부규제부재40 : 제2의 가압부재
41 : 코일스프링44 : 회전동작아암
45 : 제1의 아이들러기어46 : 상류측 캠부착기어
47 : 제2의 아이들러기어48 : 제3의 아이들러기어
49 : 하류측 캠부착기어50 : 상류측 아암
62 : 턴테이블68 : 구동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체인저형 디스크장치에서는, 케이스체와, 그 케이스체에 대하여 디스크를 삽입 및 배출하기 위한 삽입구를 가지고 상기 케이스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노우즈(Nose)부재와, 상기 케이스체내에 설치되고 복수의 디스크가 두께방향으로 나열되어 지지되는 디스크수납부와, 이 디스크수납부내의 어느 것인가의 디스크 중에서 선택된 디스크에 대하여 정보의 재생 및 / 또는 기록을 행하는 구동유닛과, 이 구동유닛을 상기 선택디스크를 구동하는 구동위치와 어느 디스크도 구동하지 않는 퇴피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드라이브 구동기구를 구비한 체인저형 디스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이 구동위치로 이동하고 있을때, 상기 선택디스크이외의 상기 디스크수납부에 지지되어 있는 대기디스크의 외주연에 압접(壓接)하고, 그 대기디스크를 지름방향 외측으로부터 상기 디스크수납부를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유닛이 구동위치로부터 퇴피위치로 이동할때, 상기 드라이브 구동기구의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대기디스크의 외주연으로부터 이반(離反)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한 체인저형 디스크장치에서는, 드라이브 구동기구에 의해 구동유닛을 구동위치로 이동하고, 디스크수납부에 지지된 복수의 디스크중에서 선택된 디스크를 구동할때, 디스크수납부에 남아 있는 대기디스크의 외주연에 가압부재가 압접되기 때문에, 그 대기디스크로부터 발생하는 래틀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또, 구동유닛이 퇴피위치에 이동할때, 드라이브 구동기구의 동작에 수반하여 가압부재는 대기디스크의 외주연으로부터 이반하기 때문에, 디스크를 디스크수납부에 수납하는 경우나, 디스크수납부에 수납된 디스크를 선택하는 경우에, 가압부재에 의해 디스크의 이동이 방해되는 일은 없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가압부재의 대기디스크의 외주연과 대향하는 면에 복수의 테이퍼홈을 설치하고, 구동유닛이 구동위치로 이동하고 있을때, 이들 테이퍼홈을 디스크수납부에 남아 있는 각 대기디스크의 외주연에 압접시킴으로써, 이들 대기디스크를 두께방향으로 위치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압부재에 이와 같은 테이퍼홈을 설치하면, 디스크수납부에 남아 있는 각 대기디스크를 지름방향과 두께방향의 양방으로 위치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래틀노이즈를 더욱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체인저형 디스크장치는, 외형치수가 8cm의 디스크(D)(소경(小經)디스크)와 12cm의 디스크(D)(대경(大經)디스크)를 각각 재생가능하고, 또한 복수매의 대경디스크(D)를 수납하여 그 중 1매의 디스크(D)를 선택적으로 재생가능한 슬롯 인 방식의 디스크재생장치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체인저형 디스크장치는, 상자형상의 케이스체(1)와 그 케이스체(1)의 전면(Y1측)에 설치된 노우즈부재(2)를 구비하고 있고, 노우즈부재(2)에는 X1-X2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구(2a)가 개방설치되어 있다. 삽입구(2a)는 도시생략한 도어부재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 삽입구(2a)를 통하여 케이스체(1)에 대하여 디스크(D)가 1매씩 삽입 및 배출된다. 케이스체(1)는 제1의 섀시(3)와 제2의 섀시(4)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제1 및 제2의 섀시(3)(4)는 복수개의 나사를 이용하여 일체화되어 있다. 상방의 제1의 섀시(3)에는 디스크반송기구(5)나 케이스체(1)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디스크수납부(6)가 설치되며, 하방의 제2의 섀시(4)에는 구동유닛(7)이나 드라이브 구동기구(8)가 설치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동유닛(7)은 드라이브 구동기구(8)에 의해 케이스체(1)내부의 구동위치와 삽입구(2a) 근방의 퇴피위치와의 사이에서 전후진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제1의 섀시(3)는, 도 2에 있어서 상하 반대로 나타나 있지만, 동 도면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디스크반송기구(5)는 디스크(D)의 반송방향(Y1-Y2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X1-X2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 가능한 제1 및 제2의 가이드부(9)(10)를 구비하고 있고, 양 가이드부(9)(10)의 간격은, 도시생략한 제1의 모터나 제1 및 제2의 슬라이드판(11)(12)등으로 구성되는 가이드체 간격 변경기구에 의해 변경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가이드부(9)는, 디스크(D)의 주연부가 삽입되는 홈부를 갖는 복수의 반송풀리(13)와, 이 반송풀리(13)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복수의 구동기어(14)를 구비하고 있고, 구동기어(14)는 상술한 제1의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여 회전동작된다. 이들 반송풀리(13)와 구동기어(14)는 배열형상으로 배치되어 제1의 슬라이드판(11)에 축지지되어 있지만, 가장 안쪽의 반송풀리(부호(13a)를 부여한다)의 지축(支軸)만은 이 반송풀리(13a)와 맞물리는 구동기어(14)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의 슬라이드판(11)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제1의 슬라이드판(11)에는 제1의 받이부(11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1의 받이부(11a)는 각 반송풀리(13)의 하단(Z측 단부)과 대략 동등한 높이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2의 가이드부(10)는 장척형상의 반송가이드체(15)를 가지고, 이 반송가이드체(15)에는 디스크(D)의 반송방향을 따라 직선형상으로 연장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다. 반송가이드체(15)는 제2의 슬라이드판(12)으로 고정되어 있고, 그 하면(Z2측단면)에는 제1의 받이부(11a)와 대략 동등한 높이의 위치에 설정된 제2의 받이부(1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의 가이드부(9)와 제2의 가이드부(10), 및 이들 가이드부(9)(10)에 설치된 반송풀리(13(13a)), 구동기어(14), 반송가이드체(15), 또, 제1 및 제2의 슬라이드판(11)(12)등에 의해 삽입구(2a)와 디스크수납부(6)와의 사이에서 디스크(D)를 반송하고, 또한, 디스크수납부(6)에 지지된 복수의 디스크(D)중에서 선택된 디스크(D)를 플레이위치까지 인출하는 디스크반송기구(5)가 구성되어 있다.
이들 제1 및 제2의 가이드부(9)(10)는, 반송풀리(13)와 반송가이드체(15)의 사이에 디스크(D)를 판두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X1-X2방향)으로부터 끼워 지지하고, 구동기어(14)로부터 반송풀리(13)에 전달되는 구동력을 그 디스크(D)에 부여함으로써, 그 디스크(D)를 삽입구(2a)와 플레이위치 사이나 플레이위치와 디스크수납부(6) 사이에서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의 슬라이드판(11)(12)을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반송풀리(13)와 반송가이드체(15)를 근접 이반시킬 수 있으므로, 소경디스크(D)라도 대경디스크(D)라도 반송할 수 있다. 더욱이 제1 및 제2의 받이부(11a)(15a)가 각 반송풀리(13)의 하단과 대략 동등한 높이의 위치에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도 3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디스크(D)를 삽입 또는 배출할때, 반송풀리(13)와 반송가이드체(15)와의 사이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디스크(D)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로 되돌아가, 상술한 디스크수납부(6)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의 섀시(3)의 천정면(도 2에 있어서의 저면)에는 링형상의 대경기어(16)가 설치됨과 동시에, 이 대경기어(16)의 중심위치에 상부 규제부재(17)가 고정되어 있다. 대경기어(16)는 상술한 제1의 모터와는 별도의 제2의 모터(도시생략)를 구동원으로 하여 회전동작되고, 이 대경기어(16)의 회전량과 회전방향이, 이 대경기어(16)와 맞물려 회전하는 엔코더등으로 된 검출센서(18)에 의해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도 11 참조). 대경기어(16)의 외측에는 4개의 이송나사부재(19)가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이송나사부재(19)에는 각각 소기어(20)가 고정설치되어 있고, 이들 소기어(20)는 대경기어(16)에 맞물려 있다. 이것에 의해, 대경기어(16)가 정역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면, 4개의 이송나사부재(19)가 모두 동일방향으로 동기회전된다. 각 이송나사부재(19)에는 부등피치의 나선상 홈(19a)이 새겨져 설치되어 있고, 이 나선상 홈(19a)은, 상하 양단부는 등피치로 피치폭이 좁게 설정되어 있지만, 중앙부에서는 피치폭이 넓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 대경기어(16)와 이송나사부재(19) 및 소기어(20)에 의해, 후술하는 스토커(21)를 이송나사부재(19)의 축선방향으로 승강동작하는 스토커구동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각 이송나사부재(19)에는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6개)의 스토커(21)의 구멍(22)이 삽입되어 있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스토커(21)는 전체적으로 대략 활형 형상을 하고 있다. 스토커(21)에는 내부에 볼록부(21a)를 갖는 4개의 구멍(22)이 개설되어 있고, 볼록부(21a)는 이송나사부재(19)의 나선상 홈(19a)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걸어 맞추어져 있다. 이것에 의해 대경기어(16)에 의해 각 이송나사부재(19)가 동기 회전되면, 스토커(21)가 이송나사부재(19)의 축선방향으로 승강동작한다. 상기 스토커구동기구와 스토커(21)는 후술하는 디스크수납부(6)를 구성하는 것이고, 각 스토커(21)의 반 원호상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상부지지편(23a)과 하부지지편(23b)이 중심방향을 향하여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들 상부지지편(23a)과 하부지지편(23b)은 스토커(21)의 두께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 있으며, 이 상부지지편(23a)과 하부지지편(23b)의 사이가 디스크(D)를 지지하는 지지홈으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디스크(D)의 외주연의 거의 반바퀴가 상부지지편(23a)과 하부지지편(23b) 사이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다시, 도 2에 되돌아가서, 제1의 섀시(3)의 천정면에는 완충방지부재(24)와 제1의 가압부재(25)가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고, 이 완충방지부재(24)는 대경기어(16)에 맞물려 있다. 완충방지부재(24)에는 돌출편(24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출편(24a)은 대경기어(16)의 회전에 연동하여 디스크(D)의 반송경로의 약간 상방을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망하는 디스크(D)가 플레이위치에 인출되었을때, 돌출편(24a)은 그 디스크(D)의 상방에서 정지한 상태가 되고, 이것에 의해 플레이 동작중의 디스크(D)와 그 상방위치에서스토커(21)에 지지된 디스크(D)가 충돌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가압부재(25)는, 제1의 섀시(3)에 축지지되는 지축부(25a)와, 지축부(25a)로부터 제1의 섀시(3)의 천정면을 따라 연장되는 평탄부(25b)와, 평탄부(25b)의 일측면으로부터 지축부(25a)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압부(25c)와, 평탄부(25b)의 타측면으로부터 지축부(25a)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부(25d)를 가지고 있고, 이들 각부는 가요성을 갖는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얇은 두께의 가압부(25c)에는 판스프링(26)이 조립되어 있고, 가압부(25c) 자체의 휘어짐(Flexible)에 의한 탄성력에 판스프링(26)의 탄성력이 부가됨으로써, 가압부(25c)에 충분한 탄성력이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또, 가압부(25c)의 자유단말에는, 비교적 연질인 고무재등으로 된 규제판(27)이 양면 접착테이프등을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고, 도 10(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규제판(27)에는 복수의 테이퍼홈(27a)이 형성되어 있다. 각 테이퍼홈(27a)의 간격은 상술한 나선상 홈(19a)의 상하 양단부의 등피치부분과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으며, 그 수는 스토커(21)보다도 1개 적게(실시예에서는 5개) 형성되어 있다. 또 테이퍼홈(27a)의 저부의 평탄면(27b)의 폭(1)은, 디스크(D)의 두께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의 가압부재(25)는, 드라이브 구동기구(8)가 구동유닛(7)을 퇴피위치와 구동위치와의 사이에서 전후진시킬때, 드라이브 구동기구(8)의 구성부재에 걸어 맞추어서 지축부(25a)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동작된다. 이 회전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유닛(7)이 어떤 디스크도 구동하지 않는 퇴피위치에 있을때, 제1의 가압부재(25)는 동 도면의 시계회전방향으로 미소(微小)회전하고 있고, 규제판(27)은 스토커(21)에 지지된 디스크(D)의 외주연으로부터 이반하고 있다(도 13참조). 한편,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유닛(7)이 구동위치로 이동했을때, 제1의 가압부재(25)는 동 도면의 시계회전 반대방향으로 미소회전하고 있으며, 규제판(27)은 디스크(D)의 반송경로의 상방위치에 있는 디스크(D)의 외주연에 압접(壓接)하고 있다(도 14참조). 이것에 의해, 소망하는 선택디스크(D)가 플레이위치로 인출되었을때, 디스크(D)의 두께방향에 있어서 선택디스크(D)의 상방위치에 있는 각 대기디스크(D)는, 제1의 가압부재(25)의 가압부(25c)와 판스프링(26)의 탄발력을 받아 지름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스토커(21)를 향하여 가세되고, 그 디스크(D)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래틀노이즈가 저감되도록 되어 있다. 도 15~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의 섀시(4)에는 구동유닛(7)이나 드라이브 구동기구(8)가 탑재되어 있고, 드라이브 구동기구(8)는 구동유닛(7)을 상기 노우즈부재(2)와 디스크수납부(6)와의 사이에서 구동위치와 퇴피위치에 전후진시킴과 동시에, 플레이위치에 인출된 디스크(D)의 클램프동작등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 드라이브 구동기구(8)는 드라이브섀시(30)를 구비하고 있고, 드라이브섀시(30)의 4구석은 댐퍼부재(31)와 코일스프링(도시생략)을 통하여 제2의 섀시(4)에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다만, 드라이브섀시(30)의 측방 4개소의 잠금핀(32)이 돌출설치되어 있고, 이들 잠금핀(32)이 후술하는 한쌍의 슬라이드캠판(33)(34)에 의해 제2의 섀시(4)에 잠기면, 드라이브섀시(30)는 제2의 섀시(4)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지지된 상태가 된다.
도 18과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의 섀시(4)의 저면에는 작동아암(35)과 회전동작아암(36)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작동아암(35)과 회전동작아암(36)은 결치기어(Snaggleteeth gear)(37)에 의해 회전동작된다. 결치기어(37)에는 중계기어(38)가 끼워 맞추어져 있고, 이 중계기어(38)는 제1의 섀시(3)에 설치된 제3의 모터(도시생략)를 구동원으로 하여 회전한다. 제2의 섀시(4)의 저면에는 하부규제부재(39)가 입설(立設)되어 있고, 이 하부규제부재(39)와 제1의 섀시(3)에 설치된 상부규제부재(17)와는 상하방향으로 동축적(同軸的)으로 배치되어 있다. 하부규제부재(39)는 상단에 규제아암(39a)을 가지고, 이 규제아암(39a)은 하부규제부재(39)의 내부에 수납된 도시생략한 전환부재에 의해 회전동작된다. 또, 하부규제부재(39)의 내부에는 전환부재를 승강동작하는 스크류축(도시생략)이 수납되어 있고, 작동아암(35)의 선단에 형성된 선형(扇形)의 이빨부(35a)는 이 스크류축과 끼워 맞추어져 있다. 이것에 의해, 작동아암(35)의 회전에 수반되어 규제아암(39a)이 하부규제부재(39)의 상단에서 회전동작하고, 구동유닛(7)이 퇴피위치에 있을때는, 규제아암(39a)이 기립하여 상부규제부재(17)에 맞접하고, 각 스토커(21)에 지지된 모든 디스크(D)의 중심구멍이 상부규제부재(17)와 하부규제부재(39)에 의해 수평방향(전후방향)으로 위치규제된다. 한편, 구동유닛(7)이 구동위치에 이동되었을때는 규제아암(39a)이 넘어져 상부규제부재(17)와 하부규제부재(39)와의 사이에 디스크(D)의 반송경로를 확보하기 위해, 스토커(21)에 지지된 소망하는 선택디스크(D)를 플레이위치에 인출하거나, 빈 스토커(21)에 새로운 디스크(D)를 삽입하거나, 혹은 스토커(21)로부터 삽입구(2a)를 향하여 디스크(D)를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제2의 섀시(4)의 저면에는 제2의 가압부재(40)가 회전동작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이 제2의 가압부재(40)는, 제2의 섀시(4)에 축지지되는 지축부(40a)와, 제2의 섀시(4)의 저면을 따라 연장되는 평탄부(40b)와, 평탄부(40b)의 일측면으로부터 기립하여 연장되는 가압부(40c)와, 이 가압부(40c)의 자유단부의 하단에 설치되며, 제2의 섀시(4)의 저면상을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편(40e)을 가지고 있고, 이들 각부는 가요성을 갖는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성형되어 있다. 평탄부(40b)와 제2의 섀시(4) 사이에는 코일스프링(가세부재)(41)가 장설(張設)되어 있고, 제2의 가압부재(40)는 이 코일스프링(41)에 의해 도 18과 도 19의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동작 가세되어 있다. 또, 가압부(40c)의 자유단말에는 규제판(42)이 양면 접착테이프등을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이 규제판(42)은 제1의 가압부재(25)의 가압부(25c)에 고정된 규제판(27)과 동일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평탄부(40b)에는 걸어맞춤구멍(40d)가 개방 설치되어 있고, 회전동작아암(36)에 형성된 돌기(36a)가 이 걸어맞춤구멍(40d)내에 돌출하고, 그 걸어맞춤구멍(40d)의 내주연(걸어맞춤부)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이동함으로써, 제2의 가압부재(40)는 회전동작아암(36)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동작되도록 되어 있다.
회전동작아암(36)은 제2의 섀시(4)로부터 돌출설치된 지축(4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그 일단에 제2의 섀시(4)에 전후진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드캠판(슬라이드부재)(34)이 연결되고, 타단은, 결치기어(37)의 이면에 형성된 도시생략한 캠홈에 걸어 맞추어져 있다. 또, 이 결치기어(37)의 캠홈에는 다른회전동작아암(44)이 걸어 맞추어져 있고, 이 회전동작아암(44)과 마찬가지로 제2의 섀시(4)에 전후진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드캠판(슬라이드부재)(33)가 연결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동유닛(7)은 결치기어(37)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위치와 퇴피위치의 사이를 전후진하도록 되어 있고, 이 구동유닛(7)의 이동과 회전동작아암(36)의 회전은 결치기어(37)에 의해 타이밍이 잡혀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동작아암(36)(44) 및 결치기어(37)에 의해 양 슬라이드캠판(33)(34)을 동기시켜 전후진시키는 연결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도 18은 구동유닛(7)이 퇴피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 경우, 회전동작아암(36)의 돌기(36a)가 걸어맞춤구멍(40d)의 도면의 하방(Y1측)의 내주연(걸어맞춤부)에 맞접하고 있기 때문에, 제2의 가압부재(40)는 회전할 수 없고, 가압부(40c)의 자유단에 고정된 규제판(42)은 스토커(21)에 지지된 디스크(D)의 외주연으로부터 이반하고 있다. 한편, 도 19는 구동유닛(7)이 구동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 경우, 회전아암(36)의 회전에 의해 돌기(36a)가 걸어맞춤구멍(40d)내를 이동하기 때문에, 제2의 가압부재(40)는 코일스프링(가세부재)(41)에 의해 시계회전방향으로 미소회전하고, 규제판(42)은 디스크(D)의 반송경로의 하방위치(플레이위치의 선택디스크(D)의 하방위치)에 있는 디스크(D)의 외주연에 압접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소망하는 선택디스크(D)가 플레이위치로 인출되었을때, 이 선택디스크(D)의 하방위치에 있는 디스크(D)는, 제2의 가압부재(40)의 가압부(40c)의 휘어짐에 의한 탄발력과 코일스프링(가세부재)(41)의 탄발력을 받아 지름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스토커(21)를 향하여 가세되고, 이들 스토커(21)에 지지되어 있는 각 대기디스크(D)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래틀노이즈가 저감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소망하는 선택디스크(3D)가 플레이위치로 인출되었을때, 상술한 제1의 가압부재(25)와 이 제2의 가압부재(40)의 양방에 의해, 스토커(21)에 남겨진 모든 대기디스크(D)를 위치규제할 수 있고, 그 대기디스크(D)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래틀노이즈를 확실하게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주로 코일스프링(가세부재)(41)의 탄발력에 의해 제2의 가압부재(40)의 가압부(40c)를 대기디스크(D)에 압접시키고 있지만, 이 제2의 가압부재(40)의 걸어맞춤구멍(40d)의 내주연에 형성된 피가압편(40f)을 돌기(36a)로 가압함으로써, 가압부(40c)를 더욱 강하게 대기디스크(D)의 외주연에 압접시키도록 해도 좋다.
도 15~도 17로 되돌아가서, 상술한 드라이브 구동기구(8)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드라이브섀시(30)의 내부에는, 결치기어(37)의 이빨부(37a)에 끼워 맞추어 구동력이 전달되는 제1의 아이들러기어(45)와, 이 제1의 아이들러기어(45)에 항시 끼워 맞추어지는 상류측 캠부착기어(46)와, 이 상류측 캠부착기어(46)에 항시 끼워 맞추어지는 제2의 아이들러기어(47)와, 이 제2의 아이들러기어(47)에 항시 끼워 맞추어지는 제3의 아이들러기어(48)와, 이 제3의 아이들러기어(48)에 항시 끼워 맞추어지는 하류측 캠부착기어(49)가 각각 축지지되어 있고, 상류측 캠부착기어(46)의 캠홈(46a)에 걸어 맞추어지는 상류측 아암(50)이 구동유닛(7)의 일단부를 구동하고, 하류측 캠부착기어(49)의 캠홈(49a)에 걸어 맞추어지는 하류측 아암(51)이 구동유닛(7)의 타단부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각 아암(50)(51)의 선단부에는 구동핀(50a)(51a)이 돌출설치되어 있고, 한쪽의 구동핀(50a)은 드라이브섀시(30)의일측부에 설치된 원호상의 가이드구멍(30a)과, 유동유닛(7)의 일측부에 설치된 가로구멍(7a)에 삽입관통되어 있다. 이와 동일하게, 다른 쪽의 구동핀(51a)은, 드라이브섀시(30)의 타측부에 설치된 원호상의 가이드구멍(30b)과, 구동유닛(7)의 타측부에 설치된 가로구멍(7b)에 삽입관통되어 있다.
드라이브 구동기구(8)는, 결치기어(37)의 이빨부(37a)에 제1의 아이들러기어(45)가 맞물려 있을때, 결치기어(37)의 회전력이 각 기어군을 통하여 아암(50)(51)에 전달되기 때문에, 구동유닛(7)을 드라이브섀시(30)상에서 전진후퇴시킬 수 있다. 이때, 결치기어(37)의 회전력은 그 결치기어(37)의 캠홈 형상에 의해 회전작동아암(36)과 회전작동아암(44)에는 전달되지 않고, 이들 회전작동아암(36)과 회전작동아암(44)은 도 18에 나타내는 자세로 정지하고 있다. 한편, 결치기어(37)의 이빨부(37a)에 대하여 제1의 아이들러기어(45)가 맞물려 있지 않을때, 구동유닛(7)은 전후진하지 않고 구동위치에서 정지한 채가 되며, 이때, 결치기어(37)의 회전력은 그 캠홈 형상을 기초로 하여 회전동작아암(36)과 회전동장아암(44)에 전달되고, 이들 회전동작아암(36)과 회전동작아암(44)이 회전함으로써, 후술하는 크램프동작이나 방진모드로의 전환동작이 행해진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의 섀시(4)의 일측면의 내측에는 작동판(52)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작동판(52)은 상술한 슬라이드캠판(34)의 전후진에 의해 회전동작된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드캠판(34)의 하단에 설치된 돌기(34c)가 작동판(52)의 하단연(下端緣)에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함으로써, 작동판(52)의 자유단측이 도면의 상하방향으로 회전동작한다. 슬라이드캠판(34)에는 캠구멍(53a)과 대경부(53b)를 갖는 잠금구멍(53)이 전후로 한쌍 설치되어 있고, 각 잠금핀(32)은 잠금구멍(53)을 삽입관통하여 제2의 섀시(4)의 일측면에 설치된 회피구멍(4a)내에 달하고 있다.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제2의 섀시(4)의 타측면에 설치된 슬라이드캠판(33)도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20(a)~(d)은 구동유닛(7)이 구동위치로부터 퇴피위치로 이행하는 상태를 차례로 나타내고 있고, 도 2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유닛(7)이 구동위치에 있을때, 슬라이드캠판(34)의 돌기(34c)의 위치에 따라 작동판(52)이 하방으로 회전동작됨과 동시에, 잠금핀(32)이 잠금구멍(53)의 대경부(53b)를 삽입관통하여 회피구멍(4a)내에 달하고 있기 때문에, 드라이브섀시(30)는 댐퍼부재(31)와 코일스프링을 통하여 제2의 섀시(4)에 탄성적으로 지지된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선택디스크(D)의 플레이 동작이 행해진다. 그리고, 구동유닛(7)이 구동위치로부터 퇴피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드캠판(34)이 제2의 섀시(4)의 전방(도면의 좌측)으로 이동하면, 도 20(b)~(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동판(52)이 돌기(34c)와 슬라이딩동작하면서 상방으로 회전동작되고, 작동판(52)의 자유단말측에 형성된 홈부(52a)가 잠금핀(32)에 끼워 맞추어짐과 동시에, 잠금핀(32)이 잠금구멍(53)의 대경부(53b)로부터 캠구멍(53a)내에 들어가기 때문에, 드라이브섀시(30)는 제2의 섀시(4)에 대하여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고정적으로 지지된 상태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한쌍의 슬라이드캠판(33)(34)과 작동판(52) 및 상술한 연결기구에 의해, 드라이브섀시(30)를 통하여 구동유닛(7)을 케이스체(1)내에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상태와 케이스체(1)내에서 고정적으로 지지하는 상태로 전환동작하는 드라이브잠금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캠판(34)의 상단에는 돌출편(34a)이, 또 안쪽의 내측면에는 구동편(34b)이 각각 절곡 형성되어 있고, 돌출편(34a)은 상술한 제1의 가압부재(25)의 구동부(25d)와 대향하고 있다(도 13과 도 14참조). 또, 슬라이드캠판(34)의 내측면에는 캠판(54)과 잠금판(55)이 순차 적층되어 있고, 이들 캠판(54)과 잠금판(55)은 슬라이드캠판(34)의 전후진에 연동하여 동작되도록 되어 있다. 캠판(54)과 슬라이드캠판(34)과의 사이에는 코일스프링(56)이 장설(張設)되어 있고, 캠판(54)은 이 코일스프링(56)에 의해 슬라이드캠판(34)의 전방(도면의 좌측)으로 가세되어 있다. 캠판(54)에는 제2의 섀시(4)의 측면에 심어져 설치된 핀(57)과 걸어맞추는 가이드구멍(54a)이 형성되어 있고, 안쪽의 하단에는 구동편(54b)이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잠금판(55)은 캠판(54)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들 잠금판(55)과 캠판(54)과의 사이에는 코일스프링(58)이 장설되어 있다. 잠금판(55)에는 슬라이드캠판(34)에 심어져 설치된 핀(59)과 탈착가능한 잠금홈(55a)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상기 핀(57)과 탈착가능한 캠부(55b)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구동유닛(7)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1과 도 22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구동유닛(7)은 드라이브섀시(30)상에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재치된 가로로 긴 형상의 브래킷(60)을 가지고, 상술한 가로구멍(7a)(7b)은 이 브래킷(60)에 설치되어 있다. 브래킷(60)의 중앙부에는 스핀들모터(61)가 부착되어 있고, 이 스핀들모터(61)의 회전축에는 턴테이블(62)이 고정장착되어 있다. 또, 브래킷(60)에는 광학픽업(63)과 지지판(64)이 탑재되어 있고, 이들 광학픽업(63)과 지지판(64)은 스핀들모터(61)를 통하여 대향배치되어 있다. 광학픽업(63)은 스크류샤프트(65)에 맞물려 있고, 이 스크류샤프트(65)를 도시생략한 쓰래드모터(Thread motor)를 구동원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광학픽업(63)은 스크류샤프트(65)의 축선방향(디스크(D)의 반경방향)으로 이송되도록 되어 있다.
지지판(64)은 단면이 “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판(64)은 상술한 제1의 가압부재(25)의 구동부(25d)의 내측을 전후진한다(도 13과 도 14 참조). 지지판(64)의 상면 선단에는 클램퍼(66)가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이 클램퍼(66)와 턴테이블(62)과의 사이에 디스크(D)가 척킹(Chucking)된다. 지지판(64)의 하면 양측에 4개의 핀(64a)이 심어져 설치되어 있고, 이들 핀(64a)은 슬라이드판(67)에 설치된 캠구멍판(67a)과 브래킷(60)에 설치된 세로구멍(60a)에 삽입관통되어 있다. 슬라이드판(67)은 브래킷(60)에 재치되어 있고, 그 양측에 심어져 설치된 4개의 핀(67b)은 브래킷(60)에 설치된 가로구멍(64b)에 삽입관통되어 있다. 또, 브래킷(60)의 하면에 구동판(68)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슬라이드판(67)은 구동판(68)의 회전에 의해 브래킷(60)상을 수평방향(도 21, 22의 좌우방향)으로 이동된다. 슬라이드(67)와 구동판(68)과의 사이에는 반전스프링(69)이 계지되어 있고, 이 반전스프링(69)의 가세력에 의해 슬라이드판(67)은 이동방향의 양단부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구동판(68)의 일단에 구동핀(68a)이 심어져 설치되어 있고, 이 구동핀(68a)은 슬라이드캠판(34)과 캠판(54)의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디스크(D)의 클램프동작을 앞의 도 20을 병용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20(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캠판(34)이 제2의 섀시(4)의 맨 앞(도면의 좌측)으로 이동하고 있을때 구동유닛(7)은 퇴피위치에 있고, 도 2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램퍼(66)가 턴테이블(62)로부터 이반한 클램프해제상태로 되어 있다. 이때, 잠금판(55)의 잠금홈(55a)은 슬라이드캠판(34)의 핀(59)에 계지되어 있고, 슬라이드캠판(34)의 구동편(34b)과 캠판(54)의 구동편(54b)은 전후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구동유닛(7)이 퇴피위치로부터 구동위치로 이동하면, 구동판(68)의 구동핀(68a)은 캠판(54)의 구동편(54b)의 바로 밑을 통과하여 슬라이드캠판(34)의 구동편(34b)에 대치하지만, 클램프해제상태는 그대로 지지된다.
구동유닛(7)이 구동위치로 이동한 후, 회전작동아암(36)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드캠판(34)이 제2의 섀시(4)의 안쪽으로 이동하면, 도 2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잠금핀(32)이 캠구멍(53a)의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드라이브섀시(30)가 구동유닛(7)과 함께 상승한다. 또, 슬라이드캠판(34)의 핀(59)에 잠금판(55)의 잠금홈(55a)이 계지됨으로써, 슬라이드캠판(34)과 함께 안쪽으로 이동하는 캠판(54)이 가이드구멍(54a)과 핀(57)의 걸어맞춤에 의해 도면의 시계방향으로 미소하게 회전하고, 수평자세를 유지한채 제2의 섀시(4)의 안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 이동도중에 캠판(54)의 구동편(54b)이 구동판(68)의 구동핀(68a)을 가압한다. 이것에 의해, 구동판(68)이 도 21(a)의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여 슬라이드판(67)을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판(64)이 클램퍼(66)와 함께 하강하고, 클램퍼(66)가 디스크(D)를 통하여 턴테이블(62)에 압접된 클램프상태가 된다.
슬라이드캠판(34)이 제2의 섀시(4)의 안쪽으로 더 이동하면, 도 2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잠금판(55)의 캠부(55b)의 상면이 한쪽의 핀(57)에 맞접하여 하방으로 회전하고, 잠금판(55)의 잠금홈(55a)이 핀(59)으로부터 빠진다. 그 결과, 도 2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판(54)과 잠금판(55)이 코일스프링(56)의 탄발력에 의해 도면의 좌측으로 이동하고, 슬라이드캠판(34)과 캠판(54)의 구동편(34b)(54b)은 구동핀(68a)으로부터 충분히 이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경우, 구동유닛(7)을 탑재한 드라이브섀시(30)는 제2의 섀시(4)에 탄성적으로 지지된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선택디스크(D)의 플레이동작이 행해진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체인저형 디스크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체인저형 디스크장치는, 외형치수가 8cm의 디스크(D)(소경디스크)와 12cm의 디스크(D)(대경디스크)를 각각 재생 가능한 디스크재생장치이지만, 이하, 스토커(21)에 수납된 복수매의 대경디스크(D)를 선택적으로 재생하는 플레이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스토커(21)에 유지되어 있는 복수의 디스크(D)중에서 소망하는 선택디스크(D)를 플레이동작하는 경우, 먼저, 구동유닛(7)을 스토커(21)로부터 가장 떨어진 퇴피위치(도 11 참조)로 이동시키고, 이 상태에서 대경기어(16)를 회전시키고, 소망하는 선택디스크를 지지한 스토커(21)를 디스크(D)의 반송경로와 동등한 높이의 위치끼지 상승 혹은 하강시킨다. 이때,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유닛(7)의 지지판(64)의 외측면이 제1의 가압부재(25)의 구동부(25d)선단에 맞접하고 있기 때문에, 이 제1의 가압부재(25)는 도면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동작한 상태에서 그 위치가 지지되어 있고, 스토커(21)에 지지되어 있는 디스크(D)는 제1의 가압부재(25)로부터 가압력이 해제된 상태가 된다. 또,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동작아암(36)이 코일스프링(가세부재)(41)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제2의 가압부재(40)의 회전을 규제하고 있기 때문에, 스토커(21)에 지지되어 있는 디스크(D)는 제2의 가압부재(40)로부터의 가압력이 해제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스토커(21)에 지지되어 있는 전체 디스크(D)를, 제1 및 제2의 가압부재(25)(40)에 방해받지 않고 상승 혹은 하강할 수 있다.
이어서, 도시 생략한 제3의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여 결치기어(37)를 도 18의 시계회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결치기어(37)의 회전력을 이빨부(37a)에 맞물리는 제1의 아이들러기어(45)등의 기어군을 통하여 각 아암(50)(51)에 전달함으로써, 구동유닛(7)이 퇴피위치로부터 구동위치(도 12 참조)로 이동된다. 그 후, 상술한 제1의 모터를 회전시키고, 슬라이드판(11)(12)을 포함한 가이드체 간격 변경기구를 구동하고, 제1 및 제2의 가이드부(9)(10)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풀리(13)와 반송가이드체(15)와의 사이에서 선택된 소망하는 디스크(D)를 끼워 지지하고, 이 상태에서 가장 안쪽의 반송풀리(13a)를 회전함으로써,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택된 디스크(D)가 구동유닛(7)에서 구동가능한 플레이위치로 인출된다. 또한, 선택디스크(D)가 플레이위치까지 인출되었는지의 여부는, 반송가이드체(15)의 가이드홈내에 설치된 도시 생략한 스위치가 디스크(D)의 외주연에 가압됨으로써 검지된다.
구동유닛(7)이 구동위치까지 이동한 단계에서 결치기어(37)의 이빨부(37a)와제1의 아이들러기어(45)가 맞물리지 않는 상태로 이행하고, 결치기어(37)의 한층 더한 회전에 수반되어 각 회전동작아암(36)(44)이 회전함으로써, 각 슬라이드캠판(33)(34)이 제2의 섀시(4)의 내측면을 바로 앞에서부터 안쪽으로 이동한다. 여기에서, 슬라이드캠판(34)이 도 20(d)으로부터 동 도면 (c)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사이에, 구동유닛(7)을 탑재한 드라이브섀시(30)가 상승하기 때문에, 턴테이블(62)의 중앙부가 플레이위치에 인출된 선택디스크(D)의 중심구멍에 들어가고, 그 선택디스크(D)의 센터링동작이 확실하게 행해진다. 또한, 캠판(54)의 구동편(54b)이 구동핀(68a)을 가압하여 구동판(68)을 회전하기 때문에, 클램퍼(66)가 지지판(64)과 함께 하강하고, 턴테이블(62)상에 센터링된 선택디스크(D)를 클램퍼(66)로 압착하는 클램프동작이 행해진다. 선택디스크(D)가 턴테이블(62)상에 척킹된 후, 반송풀리(13)와 반송가이드체(15)는 서로 가장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레이위치에 인출된 선택디스크(D)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슬라이드캠판(34)이 도 20(c)으로부터 동 도면(b)을 거쳐 동 도면 (a)에 나타내는 위치로 이동하면, 상술한 드라이브 잠금기구에 의해 드라이브섀시(30)를 제2의 섀시(4)에 고정적으로 지지하는 잠금모드를 해방하여, 댐퍼부재(31)등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방지모드로의 전환동작이 행해지며, 드라이브섀시(30)에 탑재된 구동유닛(7)은, 이 방진모드에서 플레이위치로 인출된 선택디스크(D)를 재생 동작한다. 구동유닛(7)이 퇴피위치로부터 구동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유닛(7)의 지지판(64)은 제1의 가압부재(25)의구동부(25d)로부터 이반하고, 구동부(25d)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던 돌출편(34a)이 슬라이드캠판(34)의 이동에 수반하여 제1의 가압부재(25)의 측면 가장자리를 가압하기 때문에, 제1의 가압부재(25)가 시계회전 반대방향으로 미소하게 회전하여 규제판(27)을 플레이위치로 인출된 선택디스크(D)의 상방위치에 있는 전체의 대기디스크(D)의 외주연에 압접한다. 또,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캠판(34)을 동작하는 회전동작아암(36)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2의 가압부재(40)가 코일스프링(가세부재)(41)의 탄발력을 받아 시계방향으로 미소하게 회전하기 때문에, 제2의 가압부재(40)에 고착된 규제판(42)이 플레이위치에 인출된 선택디스크(D)의 하방위치에 있는 전체 대기디스크(D)의 외주연에 압접한다. 따라서, 선택디스크(D)가 플레이위치로 인출되었을때, 스토커(21)에 남겨진 전체 대기디스크(D)를 제1 및 제2의 가압부재(25)(40)에 의해 지름방향(스토커(21)방향)으로 가압하여 위치규제할 수 있고, 이들 대기디스크(D)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래틀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는 디스크수납부(6)가 6개의 스토커(21)를 구비하고 있고, 예를 들면, 3단째의 스토커(21)에 지지된 디스크(D)가 선택되어 플레이위치에 인출되었을때, 1, 2단째의 스토커(21)에 지지된 2매의 대기디스크(D)가 제1의 가압부재(25)에 의해 위치규제되며, 4, 5, 6단째의 스토커(21)에 유지된 3매의 대기디스크(D)가 제2의 가압부재(40)에 의해 위치규제된다. 그때, 제1의 가압부재(25)의 규제판(27)에 스토커(21)보다 1개 적은 수의 테이퍼홈(27a)이 형성됨과 동시에, 각 테이퍼홈(27a)의 간격이 이송나사부재(19)의 나선상 홈(19a)의 상하 양단부의 등피치부분과 동일하게 설정되며, 제2의 가압부재(40)의 규제판(42)도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토커(21)에 남겨진 전체 대기디스크(D)를 지름방향과 두께방향으로 위치규제할 수 있고, 래틀노이즈의 발생을 확실하게 저감할 수 있다.
또, 플레이위치에 인출된 선택디스크(D)를 스토커(21)에 수납하는 경우는, 먼저 결치기어(37)를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각 회전아암(36)(44)과 각 슬라이드캠판(33)(34)을 도 19로부터 도 18에 나타내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슬라이드캠판(34)이 도 20(a)로부터 동 도 (d)에 나타내는 위치로 이동하는 사이에, 클램프해제동작이나 방진모드로부터 잠금모드로의 이행동작이 행해짐과 동시에, 반송풀리(13)와 반송가이드체(15)를 접근시켜 가장 안쪽의 반송풀리(13a)를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플레이위치에 인출된 선택디스크(D)가 빈 스토커(21)로 되돌려진다. 결치기어(37)가 더욱 반대방향으로 더욱 회전하여 이빨부(37a)가 제1의 아이들러기어(45)에 맞물리면, 결치기어(37)의 회전력이 각 아암(50)(51)에 전달되기 때문에, 구동유닛(7)은 구동위치로부터 퇴피위치로 이동하고, 스토커(21)에 지지되어 있는 디스크(D)는 다시 제1 및 제2의 가압부재(25)(40)로부터의 가압력이 해제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의 가압부재(25)(40)에 규제판(27)(42)을 각각 고착하고, 이들 규제판(27)(42)을 스토커(21)에 지지된 디스크(D)의 주연(周緣)에 압접하도록 하고 있지만, 규제판(27)(42)은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으며, 각 가압부재(25)(40)의 가압부(25c)(40c)를 직접 디스크(D)에 압접시켜도 좋다. 이경우, 규제판(27)(42)에 형성되어 있는 테이퍼홈을 가압부(25c)(40c)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각 가압부재(25)(40)의 형상이나 재질은 적절히 변경가능하며, 구동유닛(7)이 퇴피위치로부터 구동위치로 이동했을때, 스토커(21)에 유지된 디스크(D)의 외주연을 삽입구(2a)측으로부터 스토커(21)측을 향하여 가압 가세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형태로 실시되며, 이하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효과를 얻는다.
구동유닛을 구동위치로 이동시켜 소망하는 선택디스크를 플레이동작하고 있을때, 디스크수납부에 남아 있는 대기디스크를 가압부재에 의해 지름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했으므로, 플레이동작중에 디스크수납부에 남아 있는 대기디스크가 진동함으로써 발생하는 래틀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고, 또, 구동유닛을 드라이브구동기구에 의해 퇴피위치로 이동할때, 그 드라이브 구동기구의 동작에 수반하여 가압부재를 디스크의 외주연으로부터 이반하도록 했기 때문에, 디스크를 디스크수납부에 수납하는 경우나, 디스크수납부에 수납된 디스크를 선택하는 경우에, 가압부재에 의해 디스크의 움직임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5)

  1. 케이스체(1)와, 그 케이스체에 대하여 디스크를 삽입 및 배출하기 위한 삽입구(2a)를 가지고 상기 케이스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노우즈부재(2)와, 상기 케이스체내에 설치되고 복수의 디스크가 두께방향으로 나열되어 지지되는 디스크수납부(6)와, 이 디스크수납부내의 어느 것인가의 디스크 중에서 선택된 디스크(D)에 대하여 정보의 재생 및 / 또는 기록을 행하는 구동유닛(7)과, 이 구동유닛을 상기 선택디스크를 구동하는 구동위치와 어느 디스크도 구동하지 않는 퇴피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드라이브 구동기구(8)를 구비한 체인저형 디스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이 구동위치로 이동하고 있을때, 상기 선택디스크 이외의 상기 디스크수납부에 지지되어 있는 대기디스크의 외주연에 압접하고, 그 대기디스크를 지름방향 외측으로부터 상기 디스크수납부를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부재(25,40)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유닛이 구동위치로부터 퇴피위치로 이동할때, 상기 드라이브 구동기구의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대기디스크의 외주연으로부터 이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저형 디스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상기 대기디스크의 외주연과 대향하는 면에 복수의 테이퍼홈(27a)을 설치하고, 상기 구동유닛이 구동위치로 이동하고 있을때, 이들 테이퍼홈을 상기 디스크수납부에 남아 있는 각 대기디스크의 외주연에 압접시킴으로써, 이들 대기디스크를 두께방향으로 위치규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저형 디스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합성수지로 되고, 상기 대기디스크의 외주연에 압접하는 가압부(25c,40c)가 휘어짐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저형 디스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구동기구에는, 상기 구동유닛을 상기 케이스체에 대하여 댐퍼부재(31)를 통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상태와 상기 케이스체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지지하는 상태로 전환동작하는 드라이브 잠금기구(33,34,36,37,44,52)가 설치되고, 이 드라이브 잠금기구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대기디스크에 압접하는 위치와 대기디스크로부터 이반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저형 디스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와 상기 디스크수납부의 사이에서 디스크를 반송하는 디스크반송기구(5)가 설치되고, 이 디스크 반송기구에 의해 상기 선택디스크가 상기 디스크수납부로부터 상기 구동위치에 있는 구동유닛으로 구동가능하게 되는 플레이위치까지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저형 디스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수납부가, 디스크를 유지하는 복수의 스토커(21)와, 이들 스토커를 디스크의 두께방향으로 승강동작하는 스토커 구동기구(16,19,20)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크반송기구가, 소정의 승강장치에 있는 상기 스토커로부터 상기 선택디스크를 상기 플레이위치로 인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저형 디스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커구동기구가, 부등피치의 나선상 홈을 갖는 복수개의 이송나사부재(19)와, 이들 이송나사부재를 동기회전하는 구동기어(16)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커가 상기 나선상 홈에 걸어맞추어져 상기 이송나사부재의 축선방향으로 승강동작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저형 디스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디스크의 두께방향에 있어서 상기 선택디스크의 한쪽 편에 위치하는 상기 스토커에 유지된 대기디스크의 외주연에 접리가능한 제1의 가압부재(25)와, 상기 선택디스크의 다른쪽 편에 위치하는 스토커에 유지된 대기디스크의 외주연에 접리가능한 제2의 가압부재(40)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유닛이 구동위치로 이동하고 있을때, 상기 제1 및 제2의 가압부재가 상기 스토커에 남아 있는 전체 대기디스크의 외주연에 압접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저형 디스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체는 제1 및 제2의 섀시(3,4)가 일체화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의 섀시(3)에 적어도 상기 스토커 구동기구와 상기 제1의 가압부재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2의 섀시(4)에 적어도 상기 드라이브 구동기구와 상기 제2의 가압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저형 디스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가압부재는 상기 구동유닛에 걸어맞춤 가능한 구동부(25d)를 가지고, 그 구동유닛이 상기 퇴피위치에 있을때, 상기 구동부가 상기 구동유닛에 걸어 맞추어져 상기 제1의 가압부재가 상기 대기디스크로부터 이반한 상태로 위치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저형 디스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가압부재는 가요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되고, 이 제1의 가압부재에 상기 대기디스크의 외주연에 압접하는 가압부(25c)가 휘어짐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가압부에는 판스프링(26)이 조립되고, 상기 가압부 자체의 휘어짐에 의한 탄성력에 상기 판스프링의 탄성력이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저형 디스크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가압부재는 상기 드라이브 구동기구에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부(40d)을 가지고, 그 드라이브 구동기구에 의해 상기 구동유닛이 구동위치로부터 퇴피위치로 이동할때 상기 걸어맞춤부가 상기 드라이브 구동기구에 걸어 맞추어져 상기 제2의 가압부재가 상기 대기디스크로부터 이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저형 디스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가압부재는 가세부재(41)에 의해 상기 대기디스크의 외주연에 압접하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고, 상기 구동유닛이 구동위치로부터 퇴피위치로 이동할때의 이동력에 의해 상기 가세부재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제2의 가압부재가 상기 대기디스크로부터 이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저형 디스크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구동기구에는, 상기 구동유닛을 상기 케이스체에 대하여 댐퍼부재(31)를 통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상태와 상기 케이스체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지지하는 상태로 전환동작하는 드라이브 잠금기구(33,34,36,37,44,5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드라이브 잠금기구는, 상기 케이스체에 전후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쌍의 슬라이드부재(33,34)와, 이들 양 슬라이드부재를 동기시켜 전후진시키는 연결기구(36,37,44)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전후 어느 한쪽 방향으로 이동했을때 상기 구동유닛을 상기 케이스체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상태로 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다른 방향으로 이동했을때 상기 구동유닛을 상기 케이스체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지지하는 상태로 전환동작함과 동시에, 상기 제1과 제2의 가압부재가 상기 슬라이드부재 또는 연결기구에 결합하여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상기 한쪽 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이들 제1과 제2의 가압부재가 상기 대기디스크에 압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상기 다른쪽 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제1과 제2의 가압부재가 상기 대기디스크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저형 디스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구는, 상기 케이스체에 회전동작 자유롭게 지지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연결된 회전동작 아암(36,37)을 구비하고, 그 회전동작 아암의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전후진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또는 제2의 가압부재가 이 회전동작아암에 걸어 맞추어져 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저형 디스크장치.
KR10-2002-0066801A 2001-11-06 2002-10-31 체인저형 디스크장치 KR1005132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40997 2001-11-06
JP2001340997A JP3753649B2 (ja) 2001-11-06 2001-11-06 チェンジャ型ディス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8397A true KR20030038397A (ko) 2003-05-16
KR100513227B1 KR100513227B1 (ko) 2005-09-07

Family

ID=19155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6801A KR100513227B1 (ko) 2001-11-06 2002-10-31 체인저형 디스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47357B2 (ko)
EP (1) EP1308948B1 (ko)
JP (1) JP3753649B2 (ko)
KR (1) KR100513227B1 (ko)
CN (1) CN124970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47122B2 (en) * 2003-03-31 2008-11-04 Clarion Co., Ltd. Disk device and drive unit-driving mechanism
JP4253267B2 (ja) * 2004-03-25 2009-04-0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記録媒体再生装置
US20070201319A1 (en) * 2004-03-31 2007-08-30 Takashi Mizoguchi Playback Apparatus For Recording Media
WO2005098850A1 (ja) * 2004-03-31 2005-10-20 Pioneer Corporation 記録媒体再生装置
JP2005310208A (ja) * 2004-04-16 2005-11-04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ィスク装置
CN100390889C (zh) * 2004-07-23 2008-05-28 建兴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学控制装置
JP4494230B2 (ja) * 2005-01-19 2010-06-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2006202408A (ja) * 2005-01-20 2006-08-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装置
JP4271192B2 (ja) 2005-01-24 2009-06-03 富士通テン株式会社 ディスクチェンジャ
JP4311567B2 (ja) 2005-03-25 2009-08-12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収納型ディスク装置
JP4311568B2 (ja) 2005-03-25 2009-08-12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DE102005039668B4 (de) 2005-08-22 2007-06-21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m rechnergestützten Bilden einer Konferenzsitzungs-Einladungsnachricht, Verfahren zum rechnergestützten Erzeugen einer Konferenzsitzung, Verfahren zum rechnergestützten Verarbeiten von Nachrichten in einer Konferenzsitzung, Konferenzsitzungs-Einladungsnachricht-Erzeugungseinheit, Konferenzsitzungs-Erzeugungseinheit und Kommunikations-Endgeräte
JP4481230B2 (ja) * 2005-09-22 2010-06-16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収納型ディスク装置
JP4721852B2 (ja) * 2005-09-30 2011-07-13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収納型ディスク装置
JP5140485B2 (ja) * 2008-04-30 2013-02-06 東芝アルパイン・オートモティブ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及びディスク装置の異常検知方法
JP5671273B2 (ja) * 2010-07-14 2015-02-18 東芝アルパイン・オートモティブ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CN107730750B (zh) * 2017-11-01 2020-08-14 上海育景系统集成有限公司 一种基于lamp架构的智能校园电子商务平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54450A (ja) * 1984-05-31 1985-12-16 Sony Corp デイスクチエンジヤ用デイスクパツク
JP2645959B2 (ja) * 1992-04-24 1997-08-25 タナシン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US6031811A (en) * 1995-06-26 2000-02-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rrangement of subtrays in a main tray of an optical disc drive apparatus
JP3434420B2 (ja) * 1996-08-28 2003-08-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チェンジャ
JP3751706B2 (ja) * 1997-03-31 2006-03-01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DE69824213T2 (de) * 1997-01-31 2005-06-23 Clarion Co., Ltd. Plattenwiedergabegerät
JPH10293954A (ja) * 1997-04-17 1998-11-04 Nakamichi Corp クランプ機構
JP3667140B2 (ja) * 1999-03-04 2005-07-0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スクチェンジャ装置
US7031231B2 (en) * 2000-05-19 2006-04-18 Clarion Co., Ltd. Disk holder pop-out preven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19237A (zh) 2003-05-21
US20030112718A1 (en) 2003-06-19
CN1249709C (zh) 2006-04-05
JP3753649B2 (ja) 2006-03-08
EP1308948B1 (en) 2012-02-15
EP1308948A2 (en) 2003-05-07
JP2003141809A (ja) 2003-05-16
KR100513227B1 (ko) 2005-09-07
EP1308948A3 (en) 2004-01-07
US6947357B2 (en) 2005-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3227B1 (ko) 체인저형 디스크장치
JP4486238B2 (ja) 光ディスク装置
US6295266B1 (en) Disk player
JP4245468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H08335385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KR20070049966A (ko)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US6091695A (en) Recording/reproducing device having positioning mechanism for vertically movable pickup unit
US7231648B2 (en) Disk holding apparatus, and disk apparatus
JP4322868B2 (ja) スロットイン型ディスク装置
JP3810010B2 (ja) ディスク搬送機構
JP3802890B2 (ja) チェンジャ型ディスク装置
JP2007149199A (ja) ディスク装置
JP4041105B2 (ja) 車載用ディスク装置
JP3701820B2 (ja) 記録媒体駆動装置
JP4890587B2 (ja) ディスク搬入装置及びディスク装置
JP2007179690A5 (ko)
JP3168146U (ja) クランパーを備えたディスク装置
JP5799231B2 (ja) ディスク装置
JP4331163B2 (ja) スロットイン型ディスク装置
US7774805B2 (en) Disk clamping device
JP3891216B2 (ja)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US20040071051A1 (en) Disk table rotation supporting structure
JPWO2012049793A1 (ja) ディスク装置
JP2009080930A (ja) 駆動機構及び光ディスク装置
WO2012104938A1 (ja) 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