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7698A - 용기바닥에 웅덩이 홈이 형성된 취출이 용이한 액체저장용기 - Google Patents

용기바닥에 웅덩이 홈이 형성된 취출이 용이한 액체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7698A
KR20030037698A KR1020010068536A KR20010068536A KR20030037698A KR 20030037698 A KR20030037698 A KR 20030037698A KR 1020010068536 A KR1020010068536 A KR 1020010068536A KR 20010068536 A KR20010068536 A KR 20010068536A KR 20030037698 A KR20030037698 A KR 20030037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quid storage
storage container
groov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8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치호
Original Assignee
송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치호 filed Critical 송치호
Priority to KR1020010068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7698A/ko
Priority to PCT/KR2002/002052 priority patent/WO2003039976A1/en
Publication of KR20030037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769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61Bottom construction
    • B65D1/0276Bottom construction having a continuous contact surface, e.g. Champagne-type bottom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바닥에 웅덩이 홈이 형성된 취출이 용이한 액체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통상의 액체 저장용기에 있어서, 저장용기의 주입구(port)와 상하로 일치하는 부위에 해당하는 바닥면의 일정면적은 통상의 높이로 하고(그대로 두고), 상기 대응 바닥면에서 가장 이격된 부위의 일정면적은 상기 대응 바닥면보다 일정한 높이로 높게 형성한 높힘부를 형성하여, 상기 대응 바닥면과 상기 높힘부 간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대응 바닥면이 웅덩이 홈(sump)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금속제 및 플라스틱제의 액체 저장 용기에 있어서, 용기의 바닥에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웅덩이 홈을 형성시킴으로서 펌프로 내용물을 뽑아 쓸 때 별도로 외력을 가하지 않더라도 바닥의 높낮이에 의해 잔존 내용물이 웅덩이 홈으로 모아져서 이를 펌프로 퍼냄으로 용기에 잔량을 거의 남기지 않고, 또한, 원통형 용기에서 바닥의 테두리가 종래의 원형상이 아닌 직선, 각형 등의 구름 방지선이 형성되어 용기를 기울여서 내용물을 쏟을 때 용기가 구르는 것을 방지하여 내용물이 엉뚱한 곳으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자원의 사용량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잔존 폐기량을 현저히 감소시켜 재료비의 절감과 폐기에 따른 비용과 환경의 개선효과를 가질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용기바닥에 웅덩이 홈이 형성된 취출이 용이한 액체 저장용기{Liquid stocking container having structure for easy drain}
본 발명은 용기바닥에 웅덩이 홈이 형성된 취출이 용이한 액체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용기의 주 주입구에 상하로 상응하는 바닥을 가장 낮게 한 홈(sump)을 형성하여 주입구를 통하여 흡입관으로 내용물을 배출시 잔량이 최소화 되도록 한 취출이 용이한 액체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액체 저장용기로는 그 일례로 드럼(drum)형 용기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형 용기는 몸통에 상판과 하판을 끼워 조립후 용접하여 용기를 형성하고, 그 용기에 내용물을 저장했다가 사용시 흡입관을 이용 펌프로 내용물을 뽑아쓰는데 그 바닥면이 통상적으로 평평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조로 인해 내용물의 취출에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드럼형 용기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몸통과 상·하판 간이 접합되어 사용되는 관계로 이들 접합부위의 밀착성이 떨어지는 경우 내용물인 액체가 새는 문제점이 종종 있어 이들에 대해서만 주로 연구·개발되어 왔으며, 그 일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1980-0002018호의 드럼통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벽(1)과 저판(2)의 접합단부(1')(2')를 외향 권착하여 권착연부(3)와 접합연부(4)(4')를 형성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주벽(1)과 저판(2)의 접합연부(4)(4')에 단면 반원상의 돌륜(5)(5')을 권착연부(3)와 근접하게 돌설하여 내외돌륜(5)(5')이 서로 감착 접합되게 한 드럼통(여기서 지칭하는 부호는 도 5에 한정된 것임)"에 관해서 개시하고 있을 뿐 내용물의 취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조가 언급되거나 개시된 것은 전혀 없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 통상의 드럼형 용기는 그 구조상 내용물의 취출시 여러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는데, 이런 문제점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내용물의 취출과정을 살펴보면, 도 1의 (나)에서와 같이 내용물을 펌프(5)로 뽑아쓸 때 흡입관 끝단 아래로는 흡입이 불가하여 내용물의 잔량(4)이 드럼용기의 바닥 전면에 잔존하게 되고, 이런 상태에서 용기와 함께 폐기되어 자원의 낭비와 함께 잔존 내용물의 폐기에 따른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심각한 문제점이 있음에도 그 개선 방안이나 해결책이 제시되지 않고 있으며 단순히 이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는 일부 일선 작업자들만이 그들 나름대로의 해결책의 일환으로 드럼형 용기를 주입구 쪽으로 기울여서 쏟아 내용물을 완전히 취출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너무 번거로울 뿐 아니라 작업효율도 저하되고 나아가 상기와 같이 원통구조의 드럼형 용기를 기울여서 쏟아 쓸 때 용기 하판의 외곽이 원형으로 형성되어서 원주방향으로 구를 수 있어 배출구에서 내용물을 엉뚱한 곳으로 쏟아서 버리게 되는 부차적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액체 저장 용기로부터 내용물의 잔량을 거의 남기지 않고 용이하게 내용물을 완전 취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액체 저장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원형의 드럼형 용기의 경우에 있어서 경사지게 기울여 내용물을 취출할 때에도 용기가 좌우로 굴러 내용물을 엉뚱한 곳으로 쏟는 실수를 유발하지 않는 구조를 갖는 액체 저장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통상의 드럼형 액체 저장용기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드럼형 액체 저장용기의 형상도이고,
도 3은 종래 통상의 각종 액체 저장용기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각종 액체 저장용기에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구성이 적용된 액체 저장용기의 형상도이고,
도 5는 종래 드럼형 액체 저장용기의 일반적 형상 및 접합부위의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몸통2 : 하판
3 : 상판4 : 웅덩이 홈(sump)
5 : 주입구(port), 또는 주 주입구(main port)
6 : 기준표시(하판부)7 : 기준표시(상판부)
8 : 원통이음선9 : 구름방지선
10 : 받침(플라스틱 용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기의 주 주입구쪽 바닥이 가장 낮고 다른 쪽은 높게 경사를 형성하여 주 주입구 하단에 웅덩이 홈을 형성시킴으로서 바닥에 남는 잔량의 점유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자원절약과 폐기물 감소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취출이 용이한 액체 저장용기는 통상의 액체 저장용기에 있어서, 저장용기의 주입구(port)와 상하로 일치하는 부위에 해당하는 바닥면의 일정면적은 통상의 높이로 하고(그대로 두고), 상기 대응 바닥면에서 가장 이격된 부위의 일정면적은 상기 대응 바닥면보다 일정한 높이로 높게 형성한 높힘부를 형성하여, 상기 대응 바닥면과 상기 높힘부 간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대응 바닥면이 웅덩이 홈(sump)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라 통상의 금속제 및 플라스틱 용기에서 주입구와 상하 일치하는 위치의 바닥면에 상기 구성으로 웅덩이 홈(sump)이 형성되어 바닥의 잔량이 자연적으로 이 홈에 모아지게 되어 액체 보관용기에서 상부의 주입구로부터 펌핑호스로 저장된 액체를 잔량을 거의 남기지 않고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성에서 상기 액체 저장용기는 드럼통, 스페어통, 자동차의 연료통, 또는 보일러용 연료통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 상기 액체 저장용기가 플라스틱제의 박스형 육면체용기인 때에는 주입구와 상하 일치하는 바닥을 낮게 하고 다른 쪽을 높여서 웅덩이 홈을 형성함에 있어, 높은 바닥을 지지하는 받침부분을 좁게 하기 위해 플라스틱을 2차 이상 성형함과 동시에 표면을 굵은 무늬(embossing)를 추가함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액체 저장용기가 원형의 드럼통일 때는 원통형 용기에서 주입구(port)쪽 또는 쏟고자 하는 방향에 상하로 대응하는 위치의 바닥면 테두리의 일정거리를 원호형이 아닌 직선이나 각형으로된 구름방지선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여, 액체 보관용기의 주입구 또는 쏟고자 하는 방향으로 액체 보관용기를 기울여 내용물을 쏟을 때 구름방지선에 의해 원통이 좌우로 구르지 않아 안정되게 내용물을 취출할 수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액체 저장 용기가 드럼형의 용기인 경우 이는 원통구조의 금속제 용기로 몸통과 상·하판으로 구성되는데, 이의 자세한 제조과정을 설명하면 완성용기에서 상판의 주 주입구를 통해 끼워진 흡입관의 끝단이 웅덩이 홈에 일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판의 주 주입구와 하판의 웅덩이 홈을 상하로 대응하여 일치되게 조립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의 조립 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상·하판 테두리에 기준표시를 형성하는 단계, 그 표시에 맞춰 상판은 위치표시의 180°인 반대쪽에 주 주입구가 위치하도록 형성하고, 하판은 기준표시의 180°반대쪽에 웅덩이 홈을 형성하는 단계, 원통형의 몸통에서 맞대기 용접된 이음선에 상·하판의 기준표시를 일치시켜 끼운 후 필요시에 가고정하고 용접또는 접는 방법으로 통을 형성하는 단계, 통의 외곽을 도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저장용기가 4각 구조의 금속용기인 경우는 상기 단계 중 상·하판의 위치를 일치시키기 위한 기준표시의 형성단계는 생략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저장용기가 플라스틱 용기의 경우는 웅덩이 홈을 주 주입구와 상하로 일치시키고 바닥면의 높이를 홈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금형에 형성시키는 단계, 제작된 금형을 이용 플라스틱 사출 또는 성형제조설비에서 용기를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저장용기가 드럼형의 용기인 경우 용기의 부속단품 제조단계나 용기가 형성된 단계에서 하판의 웅덩이 홈 중심선에 직각방향으로 테두리선이 원이 아닌 구조 즉, 직선 또는 각형 등의 구조로 된 구름 방지선을 형성시켜서 구성된 하판을 사용하여 상술한 단계로 드럼을 조립함으로서, 주입구쪽 또는 쏟고자 하는 방향으로 기울여서 내용물을 쏟아 쓸 때 용기가 쉽게 좌우로 구르지 않고 따라서 용이하게 주입구에서 일정방향으로 내용물이 쏟아 쓸 수 있어 엉뚱한 곳에 내용물을 버리는 문제점의 해소와 쉽게 용기를 기울여서 쏟을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 통상의 드럼형 액체 저장용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a는 평면도, 도 1b는 정면도, 도 1c는 저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금속제 드럼형 액체 저장용기의 형상도 역시 도 2a는 평면도, 도 2b는 정면도, 도 2c는 저면도로, 용기의 하판(2)에 웅덩이 홈(4)을 형성하여 몸통(1)에 상판(3)과 하판(2)을 조립함으로써 용기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기에 웅덩이 홈(4)을 형성하는 과정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용기는 몸통(1)과 하판(2) 및 상판(3)으로 형성되는데 상판의 주입구(5)와 하판의 웅덩이 홈(4)을 상하로 일치시키기 위해 몸통(1)에서 원통 제조 시 형성되는 맞대기 이음선(8)을 원주상의 상하기준으로 삼고, 하판(2)에는 부호 6의 기준표시와 같은 표시를 형성하고 상판(3)에도 부호 7의 기준표시와 같은 표시 홈을 형성시킨다.
몸통에 상·하판을 끼워서 조립할 때는 몸통의 이음선(8)과 하판의 기준표시(6) 및 상판의 기준표시 홈(7)을 일치시키고, 필요시에 위치가 흐트러지지 않게 부분적 가고정(예: 점용접등)을 시킨다.
상기와 같이 용기에 웅덩이 홈(4)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하판(2)의 웅덩이 홈 형상을 금형에 반영 제작하고, 또한 기준표시(6)와 함께 임의적으로 선택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구름방지선(9)을 용기에 적용하고자할 때에는 이 구성도 함께 금형에 반영 제작한다. 상기에서 도 2와 같이, 용기에 구름방지선(9)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때 몸통(1)에서 맞대기 이음선(8) 하단의 반대쪽 또는 쏟고자 하는 방향에 형성시킨다. 상기에서 형성된 몸통(1)에 하판(2) 및 상판(3)을 조립 완성 후 외관도색과정을 거쳐 용기가 제작되고 그 용기의 바닥에 웅덩이 홈이 있어 기름등의 내용물을 펌프로 뽑아서 이용할 때 별도의 외력을 가하지 않고도 용기바닥의 높이 차이로 내용물이 웅덩이 홈에 모아지고 그것을 최대한 뽑아 사용함에 따라 자원의 절약과 폐기량의 감소로 환경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4a,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금속제 스페어통 또는 플라스틱 용기에서는 주입구(5)와 상하로 일치하는 바닥을 낮게 하고 다른 쪽을 높여서 웅덩이 홈(4)을 형성되도록 금형에 반영 제작한 후 그 금형을 이용 제조설비에서 용기를 제작하게 된다.
그리고, 높은 바닥을 받쳐주는 받침(10)을 넓게 형성하면 잔존 내용물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받침(10)을 2차 이상 성형할 때 표면상의 주름 등의 흠집에 의한 불량발생을 해소하기 위해 굵은 무늬(embossing)를 추가하여 외관 향상 효과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c에서 둥근형의 플라스틱 용기 역시 가운데 바닥을 낮게 형성함으로서 본 발명의 웅덩이 홈의 구성을 형성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의 플라스틱 용기에도 웅덩이 홈의 작용으로 잔존 내용물을 거의 남기지 않고 완전 취출이 가능하여 자원의 절약과 폐기량의 최소화 및 사용자에게 편이성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금속제 및 플라스틱제의 액체 저장 용기에 있어서, 용기의 바닥에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웅덩이 홈을 형성시킴으로서 펌프로 내용물을 뽑아 쓸 때 별도로 외력을 가하지 않더라도바닥의 높낮이에 의해 잔존 내용물이 웅덩이 홈으로 모아져서 이를 펌프로 퍼냄으로 용기에 잔량을 거의 남기지 않고, 또한, 원통형 용기에서 바닥의 테두리가 종래의 원형상이 아닌 직선, 각형 등의 구름 방지선이 형성되어 용기를 기울여서 내용물을 쏟을 때 용기가 구르는 것을 방지하여 내용물이 엉뚱한 곳으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자원의 사용량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잔존 폐기량을 현저히 감소시켜 재료비의 절감과 폐기에 따른 비용과 환경의 개선효과를 가질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통상의 액체 저장용기에 있어서, 저장용기의 주입구(port)와 상하로 일치하는 부위에 해당하는 바닥면의 일정면적은 통상의 높이로 하고, 상기 대응 바닥면에서 가장 이격된 부위의 일정면적은 상기 대응 바닥면보다 일정한 높이로 높게 형성한 높힘부를 형성하여, 상기 대응 바닥면과 상기 높힘부 간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대응 바닥면이 웅덩이 홈(sump)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취출이 용이한 액체 저장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저장용기는 드럼통, 스페어통, 자동차의 연료통, 스프레이통 또는 보일러용 연료통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취출이 용이한 액체 저장용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저장용기가 플라스틱제의 박스형 육면체용기인 때에는 주입구와 상하 일치하는 바닥을 낮게 하고 다른 쪽을 높여서 웅덩이 홈을 형성함에 있어, 높은 바닥을 지지하는 받침부분을 좁게 하기 위해 플라스틱을 2차 이상 성형함과 동시에 표면을 굵은 무늬(embossing)를 추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취출이 용이한 액체 저장용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저장용기가 원형의 드럼통일 때는원통형 용기에서 주입구(port)쪽 또는 쏟고자 하는 방향에 상하로 대응하는 위치의 바닥면 테두리의 일정거리를 원호형이 아닌 직선이나 각형으로된 구름방지선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취출이 용이한 액체 저장용기.
KR1020010068536A 2001-11-05 2001-11-05 용기바닥에 웅덩이 홈이 형성된 취출이 용이한 액체저장용기 KR2003003769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536A KR20030037698A (ko) 2001-11-05 2001-11-05 용기바닥에 웅덩이 홈이 형성된 취출이 용이한 액체저장용기
PCT/KR2002/002052 WO2003039976A1 (en) 2001-11-05 2002-11-05 Liquid stocking container having structure for easy dr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536A KR20030037698A (ko) 2001-11-05 2001-11-05 용기바닥에 웅덩이 홈이 형성된 취출이 용이한 액체저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698A true KR20030037698A (ko) 2003-05-16

Family

ID=19715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8536A KR20030037698A (ko) 2001-11-05 2001-11-05 용기바닥에 웅덩이 홈이 형성된 취출이 용이한 액체저장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0037698A (ko)
WO (1) WO20030399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61939A (ja) * 2012-09-21 2014-04-10 Takeshi Nakamoto 勾配と凹み付き液体用容器
JP6484526B2 (ja) * 2015-08-24 2019-03-13 Jfeコンテイナー株式会社 金属製ドラム缶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781Y1 (ko) * 2000-02-03 2000-06-15 이종혁 배출펌프를 갖는 액상물 포장용기
US9320107B2 (en) * 2013-12-06 2016-04-19 Koito Manufacturing Co., Ltd. Vehicular lamp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038U (ko) * 1986-07-18 1988-02-04
JPH02131914U (ko) * 1989-04-03 1990-11-01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781Y1 (ko) * 2000-02-03 2000-06-15 이종혁 배출펌프를 갖는 액상물 포장용기
US9320107B2 (en) * 2013-12-06 2016-04-19 Koito Manufacturing Co., Ltd. Vehicular 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39976A1 (en) 200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PI0415143B1 (pt) Concha de lata e extremidade de lata de dupla soldadura
KR20030037698A (ko) 용기바닥에 웅덩이 홈이 형성된 취출이 용이한 액체저장용기
JP2019162660A (ja) 伝熱板の製造方法及び摩擦攪拌接合方法
JP3021647B2 (ja) 栓付き樽
WO1992004604A1 (en) Storage drum with drain channel
WO2014157693A1 (ja) 注出ポンプ及びそれを備えたポンプ付き容器並びに注出ポンプで用いる容器本体及び容器本体の口部材
US4934551A (en) Cover for a bung-type barrel or drum
ITRM20090078U1 (it) Piccolo container per sostanze liquide e/o pastose, e relativa base.
JP2004510642A (ja) 液体タンク
JP3058639B1 (ja) 燃料タンク
CN201898013U (zh) 一种变压器油箱加强筋结构
JP4109346B2 (ja) 自動車のフューエルフィラーネックブラケット固定装置
US190094A (en) Improvement in sheet-metal gams
KR200339426Y1 (ko) 화학 제품 담지용 드럼통
JPS6030644Y2 (ja) 石油燃焼器具用タンク
CN214299200U (zh) 自喷漆罐的灌装装置
JPH073522U (ja) 液体容器
CA2425644C (en) Barrel-like container with cover designed for complete drainage
JPH09165037A (ja) 折り畳み式収納パレットのコーナーの柱材
JP3044601U (ja) 収納容器付きポリタンク
JP3725291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H066216U (ja) ビア樽
JP3220081U (ja) 注液容器用キャップ
JP2007314199A (ja) 注出円筒付き容器および二重容器
CN109229861B (zh) 一种适用于化工液体原料桶的防挥发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