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781Y1 - 배출펌프를 갖는 액상물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배출펌프를 갖는 액상물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781Y1
KR200186781Y1 KR2020000003034U KR20000003034U KR200186781Y1 KR 200186781 Y1 KR200186781 Y1 KR 200186781Y1 KR 2020000003034 U KR2020000003034 U KR 2020000003034U KR 20000003034 U KR20000003034 U KR 20000003034U KR 200186781 Y1 KR200186781 Y1 KR 2001867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container body
liquid
container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30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혁
Original Assignee
이종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혁 filed Critical 이종혁
Priority to KR20200000030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7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7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7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05B11/042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 B05B11/043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designed for spraying a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61Bottom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액상 내용물, 즉 세제류, 샴프 및 화장품 등을 내저부에 남기게 하는 일 없이 보다 깨끗히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갖는 배출 펌프를 갖는 액상물 포장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액상 내용물 배출용 펌프가 결합된 용기내의 하부에는, 그 용기 본체의 내저부에 잔존되는 액상 내용물을 펌프 흡입구 주위로 모이도록 한 소집실을 구비한 것에 의해, 용기의 내저부에 액상 내용물을 남게하는 일 없이 항시 깨끗히 소집하여 배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출펌프를 갖는 액상물 포장용기{Liquid Packing a Vessel With Exhaust Pump}
본 고안은 액상(液狀) 내용물 즉, 로숀과 같은 액상 화장품류, 샴프 및 린스, 물 비누와 같은 세제류,향수 등을 포장하는 데에 사용하는 배출 펌프를 갖는 액상물 포장용기에 관 한 것으로, 특히 용기 본체의 저부에는 수용된 액상 내용물을 남김 없이 모아서 배출시키기 위한 소집실을 형성한 배출펌프를 갖는 액상물 포장 용기에 관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숀과 같은 화장품류, 샴프 및 린스, 물 비누와 같은 세제류,향수 등을 포함한 모든 액상 내용물은 소비자들로 하여금 사용의 편리성을 갖게 함은 물론 제품의 고급화를 위해 플라스틱 혹은 유리 재질의 용기에 수용하여 포장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며, 특히 근자에는 용기 내에 포장된 액상 내용물을 쉽게 배출할수 있도록 하고자 용기에 배출용 펌프를 일체화 한 것이 많이 출현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 배출용 펌프가 구비된 액상물 포장용기는, 그 배출용 펌프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배출용 펌프의 흡입구를 용기 본체내의 저부로 부터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용기 본체에 수용된 액상 내용물이 펌프의 흡입구를 기준으로 하여 그 위에 위치되는 상태를 이루게되면, 내용물의 배출은 펌프에 의하여 원활하게 이루어 지지만, 그 반대로 내용물의 소비로 인해 용기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흡입구의 이하로 내려간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경우에는 펌프로부터 유도되는 흡입력이 흡입구의 하부로 위치하게 되는 내용물에 까지도 미치지 못하게 되어 내용물의 배출은 전혀 실행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소비자들은 내용물이 용기 내부에 어느 정도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새것을 구입하거나 혹은 그대로 버리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전자(前者)의 경우에는 국가적으로는 환경 오염의 원인이되는 폐기물을 양산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고, 후자(後者)의 경우에는 일부를 더 쓸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대로 폐기 하므로 인해 가정적으로는 경제적 불이익을 안겨주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 외에 내용물이 펌프를 통해 제대로 배출되지 않는 경우, 소비자들은 펌프를 용기로부터 분리한 후 용기 본체만을 거꾸로 세워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게 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소비자들이 배출 펌프를 용기와 일일히 분리하거나 혹은 거꾸로 세워야 하는 등의 불편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제반 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 본체 내의 내용물이 바닥부에 잔존(殘存)되는 일 없이 깨끗하게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배출펌프를 갖는 액상물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배출펌프를 갖는 액상물 포장용기는, 액상 내용물을 흡입 배출하도록 된 펌프에 있어서, 액상 내용물을 배출을 위한 펌프 체결용 개구가 마련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내의 저부에 잔존되는 액상내용물을 펌프 흡입구 주위로 모이게 하기 위해, 상기 펌프 흡입구와 인접된 용기 본체 하부의 내벽에 형성된 경사벽면으로 이루어진 소집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경사벽면은 용기 본체의 하부 내벽 전체로부터 그 용기 본체의 내저부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경사벽면은 상기 용기 본체의 하부의 어느 일측 내벽 으로부터 그 대향 벽면을 향해 일 방향으로 만 경사지게 형성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액상 내용물 소집실의 경사벽면의 저부 위치에는 상기 펌프 흡입구 보다는 크게된 요홈을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출펌프를 갖는 액상물 포장용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선 방향에 따라 일부를 생략하고 표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와 같은 방향에서 보아 표시한 또 다른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또다른 배출펌프를 갖는 액상물 포장용기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50,60 : 포장 용기 12 : 용기 본체
20 : 배출 펌프 22 : 흡입구
24 : 배출구 30,30a : 소집실
32a,32b,36 : 경사벽면 34,34a : 요홈
40 : 액상 내용물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배출 펌프를 갖는 액상물 포장용기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출펌프를 갖는 액상물 포장용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선 방향에 따라 일부를 생략하고 표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출 펌프를 구비한 액상 내용물 포장용기(10)은 수용실(16)을 형성하는 용기 본체(12)와, 그 용기 본체(12)의 개구(도면번호 미부여)를 통하여 체결되어 상기 수용실(16)내의 액상 내용물(40)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용 펌프(2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배출펌프(20)은 일반적인 것을 사용한 것이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은 생략 하였는데, 참고로 상기 배출펌프(20)의 흡입구(22)는 상기 용기 본체(12)의 내저부에 대면되게 위치되는 반면, 배출구(24)는 상기 용기 본체(12)의 외부로 돌출되게 위치되는것으로, 상기 배출 펌프(20)은 도면 표시 이외의 어느 구성의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배출펌프(20)을 구비한 용기 본체(12)의 하부에는 상기 용기 본체(12)내의 저부 위치에 잔존하게 되는 액상 내용물(40)을 상기 배출 펌프(20)의 상기 흡입구(22)의 주위로 모이게 하기 위한 소집실(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집실(30)은 상기 용기 본체(12)의 하부 위치에 형성한 경사벽면들 (32a,32b)로 형성되는데, 상기 경사벽면들(32a,32b)는 상기 용기 본체(12)의 하부 내벽 전체로부터 그 용기 본체(12)의 내저부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하므로써, 상기 용기 본체(12)의 내저부로 남게되는 액상 내용물(40)은 그 바닥부 측으로 잔존되는 일 없이 상기 소집실(30)중앙의 상기 펌프 흡입구(22)가 위치되는 쪽으로 자연히 흘러 내리면서 전부 모이게 된다. 따라서 한 방울의 액상 내용물(40)까지도 배출펌프(20)을 통하여 배출되게 하여 깨끗히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집실(30)의 저부 중앙 즉, 상기 펌프 흡입구(22)의 단부와의 대면 부위에는 상기 소집실(30)로 모이게되는 액상 내용물(40)을 가능한 상기 펌프흡입구(22)의 단부측으로 집중적으로 모여지게 하여 더욱더 깨끗히 배출하기 위한 요홈(34)가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홈(34)는 상기 펌프 흡입구(22)를 통한 액상 내용물(40)의 배출을 용이하게하기 위해, 상기 펌프 흡입구(2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소집실(30)을 형성하게 되는 상기 경사벽면들(32a,32b)의 경사 각도는 가능한 액상 내용물(40)이 상기 용기 본체(12)내의 바닥부 측으로 조금이라도 남아 있지 않고 보다 깨끗하게 소집실(30)의 중앙으로 모이도록 하기 위해서는 완만한 경사면을 이루게 하는 것 보다는 급 경사면을 이루게 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2와 같은 방향에서 보아 표시한 또 다른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로서, 상기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동일 부호로써 표시 하였다.
본 실 시예에서는 상기 실 시예와는 달리 용기 본체(12)의 하부에 형성된 소집실(30a)를 어느 일측으로 만 경사지게 한 경사벽면(36)에 의해 편위되게 형성하고 있다. 즉, 상기 소집실(30a)는 상기 용기 본체(12)내의 어느 일측 내벽으로부터 그 대향 벽면을 향해 일 방향으로 만 경사지게 형성 한 경사벽면(36)에 의하여 어느 한쪽으로 만 액상의 내용물(40)이 모이게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펌프 흡입구 (22)역시 상기 편위된 소집실(30a)의 내부로 위치되게 만들어 진다. 또한 상기 소집실(30a)의 저부 즉, 상기 펌프 흡입구(22)의 단부와의 대면 부위에는 상기 소집실(30a)로 모이게되는 액상 내용물(40)을 가능한 상기 펌프흡입구(22)의 단부측으로 더욱더 집중적으로 모여지게하기 위한 요홈(34a)가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는 경사벽면(36)을 도 3의 용기 본체(12)에서 보아 좌측에 형성한 것을 일 예로들어 설명 하였으나, 그 위치는 어느 측으로도 변형 설치가 가능하다.그 밖의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
한편 상기 용기 본체(12)에 형성된 소집실들(30,30a)는 상기 실 시예들에 표시된 용기 이외에 어떠한 형태의 용기 즉, 도 4및 도5표시의 화장품 용기(50) 및 스프레이용 용기(60)등에 쉽게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배출펌프를 구비한 용기 본체의 저부로는 액상 내용물의 소집실을 구비한 것에 의해, 항시 용기 본체로부터 액상 내용물을 남김 없이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부가적으로는 경제적인 효과를 얻게 되는 이점도 있다.

Claims (4)

  1. 액상 내용물을 흡입 배출하도록 된 펌프에 있어서,
    액상 내용물 배출을 위한 펌프 체결용 개구가 마련된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내의 저부에 잔존되는 액상 내용물을 펌프 흡입구 주위로 모이게 하기 위해, 상기 펌프 흡입구와 인접된 용기 본체 하부의 내벽에 형성된 경사벽면으로 이루어진 액상 내용물 소집실을 포함하는 배출 펌프를 갖는 액상물 포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벽면은 용기 본체의 하부 내벽 전체로부터 그 용기 본체의 내저부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배출펌프를 갖는 액상물 포장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벽면은 상기 용기 본체의 하부의 어느 일측 내벽 으로부터 그 대향 벽면을 향해 일 방향으로 만 경사지게 형성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펌프를 갖는 액상물 포장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일항에 있어서, 상기 소집실의 경사벽면의 저부 위치에는 상기 펌프 흡입구 보다는 크게된 요홈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펌프를 갖는 액상물 포장용기.
KR2020000003034U 2000-02-03 2000-02-03 배출펌프를 갖는 액상물 포장용기 KR2001867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034U KR200186781Y1 (ko) 2000-02-03 2000-02-03 배출펌프를 갖는 액상물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034U KR200186781Y1 (ko) 2000-02-03 2000-02-03 배출펌프를 갖는 액상물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6781Y1 true KR200186781Y1 (ko) 2000-06-15

Family

ID=19640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3034U KR200186781Y1 (ko) 2000-02-03 2000-02-03 배출펌프를 갖는 액상물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781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454A (ko) * 2002-07-12 2002-09-26 윤석준 세제절약용기
KR20030037698A (ko) * 2001-11-05 2003-05-16 송치호 용기바닥에 웅덩이 홈이 형성된 취출이 용이한 액체저장용기
KR200468191Y1 (ko) * 2012-01-13 2013-08-0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절약형 용기
KR20160000540U (ko) * 2014-08-06 2016-02-16 스티븐 김 절약형 펌핑용기
KR102254343B1 (ko) * 2020-08-14 2021-05-20 이창석 경사내벽을 구비한 생분해성 절약형 용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698A (ko) * 2001-11-05 2003-05-16 송치호 용기바닥에 웅덩이 홈이 형성된 취출이 용이한 액체저장용기
KR20020073454A (ko) * 2002-07-12 2002-09-26 윤석준 세제절약용기
KR200468191Y1 (ko) * 2012-01-13 2013-08-0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절약형 용기
KR20160000540U (ko) * 2014-08-06 2016-02-16 스티븐 김 절약형 펌핑용기
KR102254343B1 (ko) * 2020-08-14 2021-05-20 이창석 경사내벽을 구비한 생분해성 절약형 용기
KR102340655B1 (ko) * 2020-08-14 2021-12-16 이창석 생분해성 친환경 액체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27888A1 (en) Dispensing valve
CA2327828A1 (en) Soap dispensing container
KR200186781Y1 (ko) 배출펌프를 갖는 액상물 포장용기
KR101379846B1 (ko) 디스펜서 용기
KR200430501Y1 (ko) 분리형 펌프식 용기
ID20299A (id) Kemasan penyalur yang memiliki banyak ruang
KR200282764Y1 (ko) 리필용 화장품 용기
KR20160000540U (ko) 절약형 펌핑용기
KR200264767Y1 (ko) 용기
JP3084981U (ja) 乳液状洗剤容器
KR20140069868A (ko) 펌프식 화장품 용기의 흡입튜브
KR200281556Y1 (ko) 샴푸 용기의 버튼체
KR200412732Y1 (ko) 절약형 펌프식 용기
JP6629642B2 (ja) 液体取出装置
KR200388155Y1 (ko) 펌프식 용기의 잔량 방지용 딥튜브 구조
KR200306886Y1 (ko) 펌프식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파우치
CN213058273U (zh) 一种可拆卸式乳液瓶
CN218369368U (zh) 一种便于残余乳液排出的乳液瓶
CN219750522U (zh) 一种多头出料瓶
KR200338766Y1 (ko) 화장품용기
CN211212842U (zh) 一种便携式出行洗漱用品包装盒
CN211533092U (zh) 一种多功能旅行杯
KR200339814Y1 (ko) 점성이 있는 내용물을 담기 위한 용기
KR200315378Y1 (ko) 디스펜서
KR200365896Y1 (ko) 하향식 원터치 개폐 용기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