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886Y1 - 펌프식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파우치 - Google Patents

펌프식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886Y1
KR200306886Y1 KR20-2002-0028744U KR20020028744U KR200306886Y1 KR 200306886 Y1 KR200306886 Y1 KR 200306886Y1 KR 20020028744 U KR20020028744 U KR 20020028744U KR 200306886 Y1 KR200306886 Y1 KR 2003068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suction pipe
pouch
main body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7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용범
Original Assignee
강용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용범 filed Critical 강용범
Priority to KR20-2002-00287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8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8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8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체 및 겔 상태의 수납물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에 그 수납물의 주출구가 구비된 본체와, 그 본체의 주출구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주출마개 및 그 주출마개에서 상기 수납공간 내부로 연장형성된 흡입관에 의해 구성되는 펌프 장치를 포함하는 펌프식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는 상기 수납물의 잔여분이 집중되어 상기 흡입관의 흡입구를 통해 흡입될 수 있도록 함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용기를 제시하는 한편, 내부에 액체 및 겔 상태의 수납물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그 수납물의 주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파우치 인입부를 통해 상기 펌프식 용기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주출부를 통해 상기 흡입관이 삽입되어 내부의 수납물을 펌핑할 수 있도록 구성된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바닥부에는 상기 수납물의 잔여분이 집중되어 상기 흡입관의 흡입구를 통해 흡입될 수 있도록 함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를 제시함으로써, 일반 용기 방식의 경우는 보다 수납물이 좋은 품질을 유지한 상태에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파우치 방식의 경우는 잔여 수납물에 관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다.

Description

펌프식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파우치{PUMPING VESSEL AND POUCH THEREOF}
본 고안은 펌프식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파우치(pouch)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샴푸, 린스, 세제, 화장품 등과 같은 액체나 겔(gel) 상태의 수납물을 보관하는 한편, 흡입관을 포함하는 펌프 장치에 의해 수납물을 펌핑하는 구조를 취하는 일반 펌프식 용기나 파우치 장착형 펌프식 용기에 있어서, 내부 수납공간의 바닥부에 함몰부를 형성함으로써, 수납물의 잔여분이 상기 흡입관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펌핑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샴푸, 린스 및 세제는 물론이고 액체상태의 화장품 등은 일정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 보관용기 내에 보관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이었고, 이러한 보관용기는 대체적으로 수납물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보관용기의 캡에 내용물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 장치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용기들의 수납물을 사용자가 완전히 사용하고 나면, 빈 용기가 쓰레기로 배출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는 바, 환경 오염, 자원 낭비 등의 측면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근래에는 제조처가 용기와는 별도로 수납물만을 별도로 포장하여 공급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그 수납물을 용기에 담아 재사용하도록 하는 시스템, 즉, 리필(refill) 용기 시스템이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인 바, 현재에는 종래의 일회용 용기와 리필 용기가 혼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리필 용기 시스템은 별도로 공급된 수납물 만을 펌프식 용기의 주출구를 통해 주입한 후 사용하는 일반 용기 방식과, 별도로 공급된 수납물이 담긴 파우치(pouch) 자체를 펌프식 용기에 장착한 후 사용하는 파우치 방식(예컨데,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111682호)으로 대별될 수 있다.
이들 방식 중 후자인 파우치 방식이 편의성 측면에서 더욱 유리하다고 볼 수 있으므로, 최근 널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도 1 내지 도 7은 종래의 펌프식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파우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일반 용기 방식의 펌프식 용기의 횡단면도, 도 2는 일반 용기 방식의 펌프식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파우치 방식의 펌프식 용기의 횡단면도, 도 4 및 도 5는 파우치 방식의 펌프식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일반 용기 방식의 펌프식 용기의 부분 확대 횡단면도, 도 7은 파우치 방식의 펌프식 용기의 부분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 용기 방식의 펌프식 용기는 액체 및 겔 상태의 수납물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에 그 수납물의 주출구(11)가 구비된 본체(10)와, 그 본체(10)의 주출구(11)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주출마개(21) 및 그 주출마개(21)에서 상기 수납공간 내부로 연장형성된 흡입관(22)에 의해 구성되는 펌프 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는 가장 기본적이고 일반적인 펌프식 용기의 구성으로서, 사용자는 별도로 공급된 액체 또는 겔 상태의 수납물을 주출구(11)를 통해 본체(10)의 수납공간에 주입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주출마개(21) 및 흡입관(22)에 의해 구성되는 펌프 장치(20)에 의해 본체(10) 내부에 보관된 수납물을 펌핑함으로써 주출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파우치 방식의 펌프식 용기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에 그 수납물의 주출구(11)가 구비된 본체(10)와, 그 본체(10)의 주출구(11)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주출마개(21) 및 그 주출마개(21)에서 상기 수납공간 내부로 연장형성된 흡입관(22)에 의해 구성되는 펌프 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는 점에서 일반 용기 방식의 펌프식 용기와 동일한 구조를 취하고, 본체(10)의 일측에 파우치 인입부(12)가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그 파우치 인입부(12)를 통해 액체 및 겔 상태의 수납물이 수납되어 밀봉된 상태로 공급된 파우치(30)가 장착되는데, 이 파우치(30)는 내부에 수납물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그 수납물의 주출부(31)가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유연성을 갖는 비닐 재질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파우치(30)는 밀봉된 상태로 공급되므로, 주출부(31)를 가위 등에 의해 개방한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출부(31)를 본체(10)의 주출구(11)에 고정하고, 그 위에 주출마개(21)를 나사 구조에 의해 결합시킨 후, 밑뚜껑(121)으로 파우치 인입부(12)를 폐쇄함으로써, 파우치(30)와 본체(10)가 전체적으로 고정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주출마개(21)를 포함하는 펌프 장치(20)의 흡입관(22)은 주출부(31)를 통해 파우치(10)의 수납부 내부로 인입되어, 파우치(10) 내부에 수납된 액체 또는 겔 상태의 수납물을 펌핑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를 취하는 종래의 펌프식 용기 및 파우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즉, 도 6에 도시된 일반 용기 방식의 경우에 있어서, 펌프식 용기 본체(10)의 바닥면(13)이 편평한 구조를 취하고 있으므로, 수납물의 펌핑이 완료될 즈음, 그 바닥면(13)에는 수납물의 잔여분(40)이 편평하게 고이게 되고, 흡입관(22)의 흡입구(221)는 상기 바닥면(13)의 면적에 비해 매우 좁은 면적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수납물의 잔여분(40)을 완전하게 펌핑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그것이다.
따라서, 수납물이 완전히 펌핑되어 사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새로운 수납물을 주입하고 사용하는 상황이 반복됨에 따라, 본체(10)의 바닥면에는 기존의 수납물 잔여분(40)이 지속적으로 고여 있게 되므로, 위생이나 수납물의 품질 유지 측면에서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파우치 방식의 경우에 있어서도, 대동소이한 문제점이 지적된다.
즉, 파우치(30)의 바닥부(32)가 편평한 구조를 취하고 있으므로, 수납물의 잔여분(40)에 관한 완전한 펌핑이 곤란하여, 수납물을 모두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새로운 수납물이 밀봉 보관된 또 다른 파우치를 펌프식 용기에 장착하고 사용하게 되는 바, 이는 잔여 수납물에 관한 자원의 낭비가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일반 용기 방식의 경우는 보다 수납물이 좋은 품질을 유지한 상태에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파우치 방식의 경우는 잔여 수납물에 관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펌프식 용기 및 파우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은 종래의 펌프식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파우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일반 용기 방식의 펌프식 용기의 횡단면도
도 2는 일반 용기 방식의 펌프식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파우치 방식의 펌프식 용기의 횡단면도
도 4 및 도 5는 파우치 방식의 펌프식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일반 용기 방식의 펌프식 용기의 부분 확대 횡단면도
도 7은 파우치 방식의 펌프식 용기의 부분 확대 횡단면도
도 8 내지 도 17은 본 고안에 의한 펌프식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파우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8은 제1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9는 도 8의 펌프식 용기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0은 제2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펌프식 용기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2는 제3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파우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14는 제4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파우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16은 제5실시예의 정면도
도 17은 제6실시예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주출구
13 : 바닥면 20 : 펌프장치
21 : 주출마개 22 : 흡입관
100 : 함몰부 221 : 흡입구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하기 위하여, 액체 및 겔 상태의 수납물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에 그 수납물의 주출구가 구비된 본체와, 그 본체의 주출구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주출마개 및 그 주출마개에서 상기 수납공간 내부로 연장형성된 흡입관에 의해 구성되는 펌프 장치를 포함하는 펌프식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는 상기 수납물의 잔여분이 집중되어 상기 흡입관의 흡입구를 통해 흡입될 수 있도록 함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용기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함몰부는 상기 본체의 바닥면이 가장자리부로터 심부를 향하여점진적으로 경사진 구조를 취함으로써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몰부는 중심부에 상기 흡입관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흡입관 삽입홈을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에 그 수납물의 주출구가 구비된 본체와, 그 본체의 주출구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주출마개 및 그 주출마개에서 상기 수납공간 내부로 연장형성된 흡입관에 의해 구성되는 펌프 장치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파우치 인입부를 포함하는 펌프식 용기에 사용되고, 내부에 액체 및 겔 상태의 수납물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그 수납물의 주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파우치 인입부를 통해 상기 펌프식 용기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주출부를 통해 상기 흡입관이 삽입되어 내부의 수납물을 펌핑할 수 있도록 구성된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바닥부에는 상기 수납물의 잔여분이 집중되어 상기 흡입관의 흡입구를 통해 흡입될 수 있도록 함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수납부의 바닥부가 가장자리부로터 심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경사진 구조를 취함으로써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몰부는 중심부에 상기 흡입관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흡입관 삽입홈을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7은 본 고안에 의한 펌프식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파우치의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8은 제1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9는 도 8의 펌프식 용기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0은 제2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펌프식 용기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2는 제3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파우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14는 제4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파우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16은 제5실시예의 정면도, 도 17은 제6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 중 일반 용기 방식의 펌프식 용기는 기본적으로, 액체 및 겔 상태의 수납물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에 그 수납물의 주출구(11)가 구비된 본체(10)와, 그 본체(10)의 주출구(11)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주출마개(21) 및 그 주출마개(21)에서 상기 수납공간 내부로 연장형성된 흡입관(22)에 의해 구성되는 펌프 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는 점에서 종래의 구조와 동일하다.
그러나, 본체(10)의 바닥면(13)에 상기 수납물의 잔여분이 집중되어 흡입관(22)의 흡입구(221)를 통해 흡입될 수 있도록 함몰부(100)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특징을 갖는다.
즉, 흡입관(22)의 흡입구(221)에 대응하는 위치의 바닥면(13)에 오목한 구조의 함몰부(100)가 형성되므로, 수납물의 펌핑이 완료될 즈음, 수납물의 잔여분이 그 함몰부(100)의 중심부에 모이게 되는 바, 흡입관(22)의 흡입구(221)를 통해 이를 용이하게 펌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납물이 완전히 펌핑되어 사용되고 난 후, 새로운 수납물을 주입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본체(10)의 바닥면(13)에 기존의 수납물잔여분이 지속적으로 고임에 따라, 위생이나 수납물의 품질 유지 측면에서 악영향을 미친다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주출마개(21)로서 누름마개를 사용하는 방식을 예시하고 있으나, 건(gun) 구조의 마개를 사용하는 분무기(atomizer) 방식의 펌프식 용기의 경우에도, 본 고안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함몰부(100)는 수납물의 잔여분이 중심부에 모일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관계없겠으나, 본체(10)의 바닥면(13)이 가장자리부로터 심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경사진 구조를 취함으로써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자연스럽게 수납물의 잔여분을 모이도록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펌프 장치(20)의 흡입관(22)을 경성 재질에 의해 제조함으로써, 상기 함몰부(100)의 중심부에 언제나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액체나 겔 상태의 수납물을 보다 용이하게 펌핑할 수 있도록 연성 재질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사용상태에 따라 흡입관(22)이 함몰부(100)의 중심부를 벗어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부(100)의 중심부에 흡입관(22)이 삽입되도록 흡입관 삽입홈(110)이 형성된 구조를 상정해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취할 경우, 흡입관(22)의 하단부가 흡입관 삽입홈(110)에 삽입되어 이탈하지 않게 되므로, 수납물의 잔여분이 그 삽입홈(110)에 고인 상태에서 용이하게 완전한 펌핑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은 파우치 방식의 펌프식 용기에 있어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파우치 방식의 펌프식 용기는 기본적으로,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에 그 수납물의 주출구(11)가 구비된 본체(10)와, 그 본체(10)의 주출구(11)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주출마개(21) 및 그 주출마개(21)에서 상기 수납공간 내부로 연장형성된 흡입관(22)에 의해 구성되는 펌프 장치(20)와, 본체(10)의 일측에 형성된 파우치 인입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파우치(50)는 내부에 액체 및 겔 상태의 수납물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그 수납물의 주출부(51)가 형성되며, 상기 파우치 인입부(12)를 통해 펌프식 용기(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주출부(51)를 통해 흡입관(22)이 삽입되어 내부의 수납물을 펌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서
종래의 구조와 동일하다.
그러나, 상기 수납부의 바닥부(52)에는 수납물의 잔여분이 집중되어 흡입관(22)의 흡입구(221)를 통해 흡입될 수 있도록 함몰부(200)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특징을 갖는다.
즉, 흡입관(22)의 흡입구(221)에 대응하는 위치의 바닥부(52)에 오목한 구조의 함몰부(200)가 형성되므로, 수납물의 펌핑이 완료될 즈음, 수납물의 잔여분이 그 함몰부(100)의 중심부에 모이게 되는 바, 흡입관(22)의 흡입구(221)를 통해 이를 용이하게 펌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용이하게 파우치(50)에 수납된 수납물을 완전히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수납물을 모두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존의 파우치를 폐기처분하고 새로운 수납물이 밀봉 보관된 또 다른 파우치를 펌프식 용기에 장착하고 사용함에 따른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함몰부(200)는 수납물의 잔여분이 중심부에 모일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관계없겠으나, 상기 수납부의 바닥부(52)가 가장자리부로터 심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경사진 구조를 취함으로써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자연스럽게 수납물의 잔여분을 모이도록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펌프 장치(20)의 흡입관(22)을 경성 재질에 의해 제조함으로써, 상기 함몰부(200)의 중심부에 언제나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액체나 겔 상태의 수납물을 보다 용이하게 펌핑할 수 있도록 연성 재질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사용상태에 따라 흡입관(22)이 함몰부(200)의 중심부를 벗어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부(200)의 중심부에 흡입관(22)이 삽입되도록 흡입관 삽입홈(210)이 형성된 구조를 상정해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취할 경우, 흡입관(22)의 하단부가 흡입관 삽입홈(210)에 삽입되어 이탈하지 않게 되므로, 수납물의 잔여분이 그 삽입홈(210)에 고인 상태에서 용이하게 완전한 펌핑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파우치(50)는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52)에 함몰부(200) 및 흡입관 삽입홈(210)이 형성됨에 따라 외부의 형상도 함께 변형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을 것이나,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미관 또는 포장의 용이성 등의 측면 등을 고려하여, 바닥부(52)에 함몰부(200) 및 흡입관 삽입홈(210)이 형성되더라도, 외부의 형상은 변형되지 않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일반 용기 방식의 경우는 보다 수납물이 좋은 품질을 유지한 상태에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파우치 방식의 경우는 잔여 수납물에 관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펌프식 용기 및 파우치를 제공한다.

Claims (6)

  1. 액체 및 겔 상태의 수납물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에 그 수납물의 주출구가 구비된 본체와, 그 본체의 주출구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주출마개 및 그 주출마개에서 상기 수납공간 내부로 연장형성된 흡입관에 의해 구성되는 펌프 장치를 포함하는 펌프식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는 상기 수납물의 잔여분이 집중되어 상기 흡입관의 흡입구를 통해 흡입될 수 있도록 함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본체의 바닥면이 가장자리부로터 심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경사진 구조를 취함으로써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중심부에 상기 흡입관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흡입관 삽입홈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용기.
  4.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에 그 수납물의 주출구가 구비된 본체와, 그 본체의 주출구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주출마개 및 그 주출마개에서 상기 수납공간 내부로 연장형성된 흡입관에 의해 구성되는 펌프 장치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파우치 인입부를 포함하는 펌프식 용기에 사용되고,
    내부에 액체 및 겔 상태의 수납물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그 수납물의 주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파우치 인입부를 통해 상기 펌프식 용기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주출부를 통해 상기 흡입관이 삽입되어 내부의 수납물을 펌핑할 수 있도록 구성된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바닥부에는 상기 수납물의 잔여분이 집중되어 상기 흡입관의 흡입구를 통해 흡입될 수 있도록 함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수납부의 바닥부가 가장자리부로터 심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경사진 구조를 취함으로써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6.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중심부에 상기 흡입관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흡입관 삽입홈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KR20-2002-0028744U 2002-09-25 2002-09-25 펌프식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파우치 KR2003068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744U KR200306886Y1 (ko) 2002-09-25 2002-09-25 펌프식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744U KR200306886Y1 (ko) 2002-09-25 2002-09-25 펌프식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파우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886Y1 true KR200306886Y1 (ko) 2003-03-10

Family

ID=49331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744U KR200306886Y1 (ko) 2002-09-25 2002-09-25 펌프식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8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2870A (ko) 2017-07-28 2019-02-11 (주)비전테크놀러지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2870A (ko) 2017-07-28 2019-02-11 (주)비전테크놀러지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4766Y1 (ko) 이종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화장품용기
US8342192B2 (en) Compact for liquid cosmetics
JP4082492B2 (ja) 定量吐出が可能な二液注出容器
KR200306886Y1 (ko) 펌프식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파우치
JP2002225940A (ja) 液体貯蔵容器
JP2004208975A (ja) 注出装置を具えたコンパクト容器
KR0120282Y1 (ko) 리필 전용 용기
JP4171822B2 (ja) 液体を収容した軟質容器に被着する外容器
JP3084981U (ja) 乳液状洗剤容器
JP2002179099A (ja) 詰め替えパック用注出容器
KR20170127210A (ko) 조립 용기, 리필팩 및 펌프를 포함하는 용기 세트 및 이에 사용되는 스파우트
KR200281556Y1 (ko) 샴푸 용기의 버튼체
RU2128138C1 (ru) Повторно наполняемая упаковка и укупорка для нее
KR200328195Y1 (ko) 리필용기
JP2022509650A (ja) 流体ディスペンサ
CN218899270U (zh) 洗漱套装
KR200317079Y1 (ko) 세제용기
KR200311646Y1 (ko) 펌프가 장착된 용기 캡
JPH07330003A (ja) ポンプ容器
CN213949124U (zh) 一种便于用尽包装瓶内液体的辅助用具
JP4583522B2 (ja) 詰め替え用包装体のポンプ付きホルダー
KR20040101876A (ko) 리필용기
KR100808102B1 (ko) 액상세제용기 거치대
KR200275711Y1 (ko) 액체 보관용 용기 구조
JP3031090U (ja) 液体ソープの携帯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