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2870A -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 - Google Patents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2870A
KR20190012870A KR1020170096515A KR20170096515A KR20190012870A KR 20190012870 A KR20190012870 A KR 20190012870A KR 1020170096515 A KR1020170096515 A KR 1020170096515A KR 20170096515 A KR20170096515 A KR 20170096515A KR 20190012870 A KR20190012870 A KR 20190012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nitrogen
groove
container
float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7117B1 (ko
Inventor
구자명
신유철
최종식
최창우
황규진
Original Assignee
(주)비전테크놀러지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전테크놀러지,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비전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170096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117B1/ko
Publication of KR20190012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17C7/02Discharging liquefied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arrel or vat
    • B65D81/380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arrel or vat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2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for vessels under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42Shape con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4Nitro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4Methods for emptying or f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여 액체질소(이하, '잔여량'으로 지칭)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액체질소통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된 액체질소가 펌프 디바이스를 통해 배출되기 어려울 정도로 극소량이 남은 경우에도, 액체질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특정 용기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극소량으로 남은 경우, 이를 사용하기 위한 용기 구조는 다양하게 개선된 바 있으나, 액체질소통의 경우, 질소를 액체상태로 보관하기 위하여 내부에 압력을 채워놓기 때문에 종래 개발된 구조를 함부로 채용하는 것은, 통 내부의 압력에 변화를 줄 수 있어서 폭발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 내부의 압력에 영향을 주지 않되, 극소량으로 남은 액체질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을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LIQUID NITROGEN CONTAINER AVAILABLE TO RESIDUAL QUANTITY}
본 발명은 잔여 액체질소(이하, '잔여량'으로 지칭)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액체질소통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된 액체질소가 펌프 디바이스를 통해 배출되기 어려울 정도로 극소량이 남은 경우에도, 액체질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특정 용기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극소량으로 남은 경우, 이를 사용하기 위한 용기 구조는 다양하게 개선된 바 있으나, 액체질소통의 경우, 질소를 액체상태로 보관하기 위하여 내부에 압력을 채워놓기 때문에 종래 개발된 구조를 함부로 채용하는 것은, 통 내부의 압력에 변화를 줄 수 있어서 폭발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 내부의 압력에 영향을 주지 않되, 극소량으로 남은 액체질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소정의 내용물을 담는 용기 중 펌프 등의 압력으로 내용물을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용기는, 일정량을 사용한 뒤 소량이 잔여하게 되면, 남은 잔여량을 사용하기가 매우 까다롭다.
예를 들어, 주방에서의 세제, 욕실에서의 샴푸, 린스 등이 있는데, 이들은 용기의 바닥면에 깔릴 정도로 내용물의 양이 극소량이 되면 펌프질로 내용물이 배출되지 않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한편, 등록특허공보 제10-1328457호에는 잔류량 사용을 위한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가 기재되어 있고,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12663호에는 남김없이 사용가능한 절약형 액체용기가 기재되어 있다.
위에 기재된 기술들은 상술된 극소량의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펌프질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의 설계를 변경하도록 한다.
다른 한편, 본 출원인이 제안하고자 하는 발명은, 잔여량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액체질소통에 관련한 것으로서, 이러한 액체질소통은 통과 펌프 디바이스가 반드시 일체로 되어 있는게 아니라, 사용시 펌프 디바이스의 흡입관(P)을 액체질소통에 삽입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즉, 본 출원인이 제안하고자 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펌프 디바이스의 구조를 개선하다는 것은, 다양한 액체질소통에서의 사용이 가능할지도 의문이고, 펌프 디바이스가 삽입될 때 조절해주는 액체질소통 내부의 압력이 제대로 조절될지도 의문이다.
따라서, 액체질소통 자체를 개선할 필요가 있는데, 관련된 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6886호에는 펌프식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파우치를 기재하고 있다.
상기 기술은, 액체 및 겔 상태의 수납물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에 그 수납물의 주출구가 구비된 본체와, 그 본체의 주출구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주출마개 및 그 주출마개에서 상기 수납공간 내부로 연장 형성된 흡입관에 의해 구성되는 펌프 장치를 포함하는 펌프식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는 상기 수납물의 잔여분이 집중되어 상기 흡입관의 흡입구를 통해 흡입될 수 있도록 함몰부가 형성된 것을 기재하고 있다.
상기 기술은, 본체의 바닥면에 수납물의 잔여분이 집중되도록 하는 오목한 구조를 기재하고 있고, 이 오목한 구조에 펌프가 닿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용기를 펌프를 포함하는 커버가 덮고 있어서(일체), 관계가 없을 순 있으나,
사실 규격이 다양한 액체질소통에 위 기술과 같이 오목한 구조를 갖도록 바닥면을 설계하고, 펌프 디바이스의 흡입관(P)이 상기 오목한 구조의 바닥까지 닿도록 하는 것은,
액체질소통과 펌프 디바이스가 각각의 개별 구성이기 때문에, 펌프 디바이스의 흡입관(P)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지 않는 이상, 구현이 어렵다.
즉, 펌프 디바이스의 흡입관(P)의 길이는 종래 오목한 구조가 없을 때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하면서, 동시에 극소량의 액체질소를 배출할 수 있도록 설계된 구조가 필요한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28457호(2013.11.13. 공고)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12663호(2015.02.04.)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6886호(2003.03.10.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질소통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된 액체질소가 펌프 디바이스를 통해 배출되기 어려울 정도로 극소량이 남은 경우에도, 액체질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을 제공하는데 있다.
즉, 종래 특정 용기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극소량으로 남은 경우, 이를 사용하기 위한 용기 구조는 다양하게 개선된 바 있으나, 액체질소통의 경우, 질소를 액체상태로 보관하기 위하여 내부에 압력을 채워놓기 때문에 종래 개발된 구조를 함부로 채용하는 것은, 통 내부의 압력에 변화를 줄 수 있어서 폭발의 위험이 있어서, 본 발명은 통 내부의 압력에 영향을 주지 않되, 극소량으로 남은 액체질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은, 외벽(10)과 내벽(20)으로 구성되고, 이 외벽(10)과 내벽(20) 사이에는 진공상태의 진공부(30)가 형성되며, 내벽(20)의 안측으로는 중공(40)이 형성된 액체질소통에 있어서,
상기 중공(40)은 (a) 액체질소가 수용된 상태로 압력이 채워지고, (b) 이의 저면에 하부로 갈수록 모이도록 형성된 '∨'의 형상의 오목한 홈이 형성되고, (c) 상기 액체질소의 상측에서 부유되는 부유체(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목한 홈은 본래 오목한 홈이 없었다면 저면이었을 부분에서부터 오목한 홈의 저면까지의 높이 a가, 외벽(10)에서부터 본래 오목한 홈이 없었다면 저면이었을 부분까지의 높이 b의 1/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유체(50)는 그의 하면 구조가 상기 오목한 홈의 구조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유체(50)는 하측이 오목한 홈의 형태대로 구성되고, 상측은 기둥형태의 판으로 구성되는 몸체(51)와, 상기 몸체(51)의 상면에서 내부에 홈이 형성되도록 선 돌출된 격벽(52)과, 상기 몸체(51)의 일측에서 다른 일측으로 관통된 홈부(53)와, 상기 홈부(53)의 개방된 양단 중, 몸체(51)의 상면측에 해당되는 일단에 끼워져 고정되는 마개(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51)는 하부측에 추(51a)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개(54)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측에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꼭지(54a')를 포함하는 유연마개(54a); 및 일측에 상기 유연마개(54a)의 꼭지(54a')가 삽입되는 삽입홈(54b')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사방으로 다수 개의 통공(54b'')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마개 하부체(54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유체(50)는 상기 홈부(53)의 하측에 압력홈(53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유체(50)는 상기 홈부(53)의 내면에 와류형성 돌기(53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에 의하면, 압력이 채워진 액체질소통에 대하여 별도의 압력을 주지 않고도, 소량의 액체질소를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액체질소통 내부의 구조를 크게 변경하는 것도 아니므로, 제조에 따른 비용이 크게 증가하지 않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 내부에 액체질소가 소량 남은 경우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의 부유체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의 부유체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액체질소통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된 액체질소가 펌프 디바이스를 통해 배출되기 어려울 정도로 극소량이 남은 경우에도, 액체질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특정 용기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극소량으로 남은 경우, 이를 사용하기 위한 용기 구조는 다양하게 개선된 바 있으나, 액체질소통의 경우, 질소를 액체상태로 보관하기 위하여 내부에 압력을 채워놓기 때문에 종래 개발된 구조를 함부로 채용하는 것은, 통 내부의 압력에 변화를 줄 수 있어서 폭발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 내부의 압력에 영향을 주지 않되, 극소량으로 남은 액체질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 내부에 액체질소가 소량 남은 경우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액체질소통은, 외벽(10)과 내벽(20)으로 구성되고, 이 외벽(10)과 내벽(20) 사이에는 진공상태의 진공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벽(20)의 안측으로는 액체질소가 수용되는 중공(40)이 형성된다.
이러한 액체질소통의 구조는 종래 액체질소통의 것을 채용한 것으로서, 당연히 외벽(10) 및 내벽(20) 재질도 종래 액체질소통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당연히, 상기 중공(40) 내부에는 압력이 채워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의 내벽(20)은 하측이 하부로 갈수록 모이도록 형성된 '∨'의 형상의 오목한 홈을 갖도록 하되,
본래 오목한 홈이 없었다면 저면이었을 부분(도 1의 점선)에서부터 오목한 홈의 저면까지의 높이 a가,
외벽(10)에서부터 본래 오목한 홈이 없었다면 저면이었을 부분(도 1의 점선)까지의 높이 b보다 적어도 1/3을 넘지 않도록 한다(1/3 < 1/2로 가정).
이는 액체질소통에 펌프 디바이스가 설치되어 펌프 디바이스의 흡입관(P)이 중공(40)에 위치될 경우, 후술될 부유체(50)가 펌프 디바이스의 흡입관(P)에 막혀서 움직이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한정사항으로서,
만약, 높이 a가 높이 b에 비해 1/3의 비율보다 크면 오목한 홈이 더 깊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부유체(50)가 기능을 하기 위하여 높이가 길어지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부유체(50)가 펌프 디바이스의 흡입관(P)에 막혀 움직일 수 없게 된다.
부유체(50)는 액체질소의 상측을 부유하는 수단으로서, 액체질소의 양이 줄어 들수록 점점 오목한 홈 측으로 유도된다. 아울러, 부유체(50)의 하면 구성이 오목한 홈과 동일하게 됨으로써,
액체질소의 양이 감소되어 '본래 오목한 홈이 없었다면 저면이었을 부분(도 1의 점선)' 아래로 줄어들면, 오목한 홈의 경사면을 따라 부유체(50)가 내려가게 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부유체(50)가 오목한 홈의 중심부분에 도 2와 같이 안착하게 된다.
이러한 부유체(5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을 참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의 부유체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3에 따른 부유체(50)는,
하측이 오목한 홈의 형태대로 구성되고, 상측은 기둥형태의 판으로 구성되는 몸체(51)와, 상기 몸체(51)의 상면에서 내부에 홈이 형성되도록 선 돌출된 격벽(52)과, 상기 몸체(51)의 일측에서 다른 일측으로 관통된 홈부(53)와, 상기 홈부(53)의 개방된 양단 중, 몸체(51)의 상면측에 해당되는 일단에 끼워져 고정되는 마개(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몸체(51)의 상측 구성은 도 3과 같이 원기둥 형상을 갖을 수도 있으나, 다양한 다각기둥의 형상을 갖을 수도 있다. 그러나 액체질소 상측을 부유하면서 중공(40) 내부를 돌아다니기 위하여 원기둥 형상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그리고 몸체(51)의 하부측에는 추(51a)가 수용되도록 포함될 수 있다.
추(51a)는 하중을 발생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때 추(51a)의 무게는 추(51a)의 부근까지는 부유체(50)가 액체질소에 잠기도록 할 수 있으나, 부유체(50) 전체가 액체질소에 잠기지 않을 정도의 무게를 갖도록 한다.
또한, 격벽(52)은 도 3에서와 같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외주연을 따라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복수 개의 변이 서로 이어져 다각형상을 만들고, 변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격벽 형태를 갖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마개(54)는, 홈부(53)에 상술된 바와 같이 고정되는 것으로서, 홈부(53)를 통해 유입되는 액체질소가 통과되어 격벽(52) 내에 수용되는 반면, 다시 역방향으로 격벽(52)에 수용된 액체질소가 홈부(53)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마개(54)는, 상부측에 위치되는 유연마개(54a)와 하부측에 위치되는 마개 하부체(54b)를 포함한다.
이때, 유연마개(54a)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서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측에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꼭지(54a')를 포함한다.
마개 하부체(54b)는 일측에 상기 유연마개(54a)의 꼭지(54a')가 삽입되는 삽입홈(54b')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사방으로 다수 개의 통공(54b'')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다.
상기 통공(54b'')이 액체질소가 통과되는 곳으로서, 이러한 통공(54b'')은 도면과 같이 관통홀의 형태일 수도 있으나, '
Figure pat00001
'의 형태와 같이 통공이 굵게표시된 방향을 따라 형성된 홀로 구성되어 액체질소가 유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도 3의 우측 상단에 점선 내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액체질소가 유입되게 되면, (a)에서 (b)와 같이 유연마개(54a) 일측이 들림으로써, 액체질소가 밀려들어오는 반면, 액체질소가 다시 홈부(53)로 배출되려는 경우, 유연마개(54a)가 눌림으로써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대하여 극소량만 남은 잔여 액체질소가 격벽(52) 내로 수용되게 되는 것을, 도 1 내지 도 3을 다시 참조하여 설명하면,
액체질소의 양이 절감됨에 따라 오목한 홈에 액체질소가 소량만 남게 되면 부유체(50)가 오목한 홈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액체질소를 비롯한 모든 액체는 눌림에 따라 이동 가능한 모든 공간으로 이동하려는 성질이 있고, 특히 이동 가능한 공간 중 가장 근접한 공간으로 이동하려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추(51a)에 의해 일정 하중이 발생된 부유체(50)가 눌러줌에 따라 액체질소는 부유체(50)의 하면과 홈부(53) 방향으로 이동하려 할 것이다(도 2의 확대도면 참조).
다만, 눌리는 방향에 기반하여 액체가 이동할 수 있는 가장 근접한 영역이 홈부(53)이므로, 홈부(53)를 우선적으로 이동하려 할 것이나, 양에 의해 막히면 부유체(50)의 하면을 따라 이동하다가, 홈부(53)로 이동되는 액체질소의 양이 줄어들면, 부유체(50)의 하면을 따라 이동하던 액체질소는 다시 오목한 홈의 경사방향과 중력에 의해 다시 오목한 홈의 모인 영역으로 밀려 내려와, 하중에 의해 다시 통공(53)으로 밀려 올라갈 것이다.
그리고 홈부(53)를 통해 이동된 액체질소는 마개(54), 구체적으로는 마개 하부체(54b)의 통공(54b'')을 통과하여 부유체(50)의 몸체(51) 상면으로 유입되어 격벽(52)에 수용될 것이다.
이로 인해 몸체(50)의 몸체(51) 상면과 격벽(52) 내에 수용된 액체질소는 펌프 디바이스의 흡입관(P)에 의해 다시 배출되어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을 본 발명을 쉽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실제 부유체(50)는 도 3과 같이 하부의 경사진 구성의 상측으로 기둥형태를 갖으며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 연장되는 길이는 (a) 격벽(52) 내에 수용된 액체질소가 펌프 디바이스의 흡입관(P)에 닿을 정도이고, (b) 액체질소의 양이 줄어듦에 따라 오목한 홈으로 이동될 때, 펌프 디바이스의 흡입관(P)에 걸리지 않을 정도의 높이를 갖으면 충분하다.
한편, 부유체(50)의 상술된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와 같이 오목한 홈의 높이 a를 높이 b에 대하여 1/3 미만이도록 한다면, 부유체(50)가 오목한 홈 방향으로 내려갈 때, 펌프 디바이스의 흡입관(P)에 걸리지 않을 수 있다.
다른 한편, 부유체(50)의 홈부(53)를 통해 액체질소가 더 잘 이동되도록 구조를 도 4와 같이 설계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의 부유체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서,
(a)는 홈부(53)의 하측에 압력홈(53a)을 더 포함한 것을 나타낸 것이고,
(b)는 홈부(53)의 내면에 와류형성 돌기(53b)를 더 포함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설명에 앞서, 상기 도 4의 (a) 및 (b)에 따른 구성은, 각각 또는 이들의 결합된 형태를 갖도록 하는 총 3개 형태의 실시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먼저, 압력홈(53a)을 더 포함하는 구성에 의하면, 액체질소가 홈부(53)로 유입될 때, 추(51a)에 의해 눌리는 하중이 발생되되, 홈부(53)의 액체질소가 유입되는 일단에 홈부(53)보다 직경이 더 큰 홈을 구성함으로써, 홈부(53)에 인접한 액체질소를 눌러줄 수 있도록 하여, 눌려주는 압력에 따라 액체질소가 홈부(53)로 더 신속하게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홈부(53)의 내면에 와류형성 돌기(53b)를 나사산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홈부(53)를 통과하는 액체질소가 와류를 발생시키며 보다 신속하게 홈부(53)를 통과하여 격벽(52)에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 : 외벽
20 : 내벽
30 : 진공부
40 : 중공
50 : 부유체
51 : 몸체
51a : 추
52 : 격벽
53 : 홈부
53a : 압력홈
53b : 와류형성 돌기
54 : 마개
54a : 유연마개
54a' : 꼭지
54b : 마개 하부체
54b' : 삽입홈
54b'' : 통공
P : 펌프 디바이스의 흡입관

Claims (8)

  1. 외벽(10)과 내벽(20)으로 구성되고, 이 외벽(10)과 내벽(20) 사이에는 진공상태의 진공부(30)가 형성되며, 내벽(20)의 안측으로는 중공(40)이 형성된 액체질소통에 있어서,
    상기 중공(40)은,
    - 액체질소가 수용된 상태로 압력이 채워지고,
    - 이의 저면에 하부로 갈수록 모이도록 형성된 '∨'의 형상의 오목한 홈이 형성되고,
    - 상기 액체질소의 상측에서 부유되는 부유체(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홈은,
    본래 오목한 홈이 없었다면 저면이었을 부분에서부터 오목한 홈의 저면까지의 높이 a가, 외벽(10)에서부터 본래 오목한 홈이 없었다면 저면이었을 부분까지의 높이 b의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
  3. 청구항 2에 있어서,
    부유체(50)는,
    그의 하면 구조가 상기 오목한 홈의 구조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50)는,
    하측이 오목한 홈의 형태대로 구성되고, 상측은 기둥형태의 판으로 구성되는 몸체(51)와,
    상기 몸체(51)의 상면에서 내부에 홈이 형성되도록 선 돌출된 격벽(52)과,
    상기 몸체(51)의 일측에서 다른 일측으로 관통된 홈부(53)와,
    상기 홈부(53)의 개방된 양단 중, 몸체(51)의 상면측에 해당되는 일단에 끼워져 고정되는 마개(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몸체(51)는 하부측에 추(51a)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마개(54)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측에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꼭지(54a')를 포함하는 유연마개(54a); 및
    일측에 상기 유연마개(54a)의 꼭지(54a')가 삽입되는 삽입홈(54b')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사방으로 다수 개의 통공(54b'')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마개 하부체(54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50)는,
    상기 홈부(53)의 하측에 압력홈(53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50)는,
    상기 홈부(53)의 내면에 와류형성 돌기(53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
KR1020170096515A 2017-07-28 2017-07-28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 KR101987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515A KR101987117B1 (ko) 2017-07-28 2017-07-28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515A KR101987117B1 (ko) 2017-07-28 2017-07-28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870A true KR20190012870A (ko) 2019-02-11
KR101987117B1 KR101987117B1 (ko) 2019-06-12

Family

ID=65370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515A KR101987117B1 (ko) 2017-07-28 2017-07-28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11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8494A (ja) * 1998-06-26 2000-01-18 Taiyo Toyo Sanso Co Ltd 液体窒素供給装置
KR200306886Y1 (ko) 2002-09-25 2003-03-10 강용범 펌프식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파우치
JP2012051619A (ja) * 2010-09-01 2012-03-15 Mizoguchi Takeshi ポンプ式の液体排出容器
KR101328457B1 (ko) 2012-09-03 2013-11-13 (주)연우 잔류량 사용을 위한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20150012663A (ko) 2013-07-26 2015-02-04 서윤호 남김없이 사용가능한 절약형 액체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8494A (ja) * 1998-06-26 2000-01-18 Taiyo Toyo Sanso Co Ltd 液体窒素供給装置
KR200306886Y1 (ko) 2002-09-25 2003-03-10 강용범 펌프식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파우치
JP2012051619A (ja) * 2010-09-01 2012-03-15 Mizoguchi Takeshi ポンプ式の液体排出容器
KR101328457B1 (ko) 2012-09-03 2013-11-13 (주)연우 잔류량 사용을 위한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20150012663A (ko) 2013-07-26 2015-02-04 서윤호 남김없이 사용가능한 절약형 액체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7117B1 (ko) 2019-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8413B2 (ja) 持運び式液体分与器
KR101728277B1 (ko) 첨가물 수납공간이 구비된 텀블러
JP2007119069A5 (ko)
ES2908308T3 (es) Dispensador con un depósito compuesto por un divisor o un material poroso
KR101972810B1 (ko) 첨가물 수납공간이 구비된 텀블러
KR20100119253A (ko) 화장품 강제 토출 용기
KR101987117B1 (ko)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
JP2017197224A (ja) 吐出キャップ
JP7196191B2 (ja) 化粧品容器
KR20130004528U (ko) 수납공간이 분리된 혼합용기
KR102297218B1 (ko) 화장품 용기
JP5541568B2 (ja) 継続使用容器と詰め替え容器の組合せ
KR102245650B1 (ko) 화장품 용기
JP2018203312A (ja) 詰め替え容器
JP6114360B1 (ja) 漏斗
JP5977535B2 (ja) 注出キャップ
JP5541569B2 (ja) 継続使用容器と詰め替え容器の組合せ
KR101213047B1 (ko) 에어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JP4468478B1 (ja) 飲料ディスペンサ用カートリッジ容器の支持具
KR20200030231A (ko) 액체의 펌핑용기
KR20160058507A (ko) 액상의 물질을 정량으로 인출가능한 용기
JP2007069931A (ja) 内容物の収納容器
RU2005122407A (ru) Составное до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жидкого активного вещества для унитаза
KR102245542B1 (ko) 화장품 용기
JP3187572U (ja) 予備の内容物を貯留できる収容空間を設けたボトル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