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6935A - 풍력 발전 단지 - Google Patents

풍력 발전 단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6935A
KR20030036935A KR10-2003-7005307A KR20037005307A KR20030036935A KR 20030036935 A KR20030036935 A KR 20030036935A KR 20037005307 A KR20037005307 A KR 20037005307A KR 20030036935 A KR20030036935 A KR 20030036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farm
wind
gondola
cable
t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5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8081B1 (ko
Inventor
우벤 알로이즈
Original Assignee
우벤 알로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벤 알로이즈 filed Critical 우벤 알로이즈
Publication of KR20030036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6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0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F03D13/25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offshore instal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50Maintenance or rep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F03D9/25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connected to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s; Arrangements therefor
    • F03D9/257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connected to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s; Arrangements therefor the wind motor being part of a wind f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30/00Manufacture
    • F05B2230/80Repairing, retrofitting or upgrading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5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ffsho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6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as part of a wind turbine fa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 발전 단지에 관한 것으로서, 소위 최소한 두개 이상의 풍력 터빈을 구성한 풍력 발전 단지, 특히 해상 풍력 발전 단지에 관한 것이다. 개별 풍력 터빈들 사이의 운동이 효율적 및 안전하게 되고, 날씨에 덜 의존적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풍력 발전 단지의 적어도 두개 이상의 풍력 터빈(12) 사이에 최소한 하나 이상의 연결 케이블(10)이 제공되고, 상기 연결 케이블(10) 상에 용기(14)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풍력 발전 단지{WIND FARM}
풍력 발전 설비 단지의 풍력 터빈은 바람이 방향을 돌리거나 공기 유속 변화로 인하여 특정 터빈이 주변의 다른 터빈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터빈 날개가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충분히 거리를 두고 떨어져 놓여있다.
풍력 발전 터빈 사이의 거리는 로터(rotor)에 의해 회전하는 원의 반경에 의존하며, 현재 기술로 로터 직경이 100 m 이상인 것이 가능하므로 발전 터빈 사이의 거리는, 새로운 발전 터빈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더욱 증가하게 된다.
위치와 크기에 따라서 각각의 터빈은 유지 보수를 하는 것과 일어날 수 있는 고장을 수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작업 인력과 부품 재료가 풍력 발전 터빈으로 운송되어야 한다.
육지에 놓여있는 풍력 발전 단지에 있는 풍력 터빈의 경우에는 작업 인력과 부품 재료를 운반해오는 것이 비교적 쉬운 일이지만, 해상 풍력 발전 단지의 경우에는 보다 많은 노력과 경비가 요구된다. 이러한 과정은 작업 인력과 연장, 대체 부품 등을 포함한 물건을 풍력 발전 단지의 개별 풍력 터빈으로 각각 운송하는 대신에, 한 장소에만 운송하면 훨씬 간편해 진다.
그런데, 문제는 특히 해상 풍력 단지의 경우에는 착지 물품을 배포하는 것 또는 풍력 발전 단지의 풍력 터빈들 사이에 물품 및/또는 인력을 운송하는 것에 있다. 풍력 발전 단지가 물품 및 인력이 도착 또는 송출되는 중앙 집하장을 구비하고 있다는 전제하에, 후자는 풍력 발전 단지의 개별 풍력 터빈 사이에 운송되어져야 한다.
해상 풍력 발전 단지의 특징은 육상의 경우보다 훨씬 더 거친 기상 상태를 갖는다는데 있다. 강한 바람은 큰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고 강한 풍속 바람으로 발전될 수 있다.
더욱이, 다소 차이는 있지만 높은 파고를 항상 예상하여야 한다. 따라서, 물품과 사람을 개별 풍력 터빈에 운송하는 일은 대부분의 경우 즐겁지 않은 일일 뿐 아니라, 매우 위험스러운 일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별 풍력 터빈 사이의 운송이 안전하고 확실하게 수행되어질 수 있는 풍력 발전 단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최소한 두 개 이상의 풍력 발전 터빈(wind turbine)을 갖추고 있는 풍력 발전 단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해상 풍력 발전 단지에 관한 것이다.
도1은 풍력 발전 단지의 케이블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2는 풍력 발전 단지의 케이블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3은 풍력 발전 단지의 케이블 시스템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4는 한 쌍의 풍력 터빈 사이의 연결 케이블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5는 케이블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6은 메인 케이블과 견인 케이블에 의한 곤돌라의 버팀과 구동을 나타낸 도면.
도7은 보호 지붕을 구비한 풍력 터빈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8은 보호 지붕을 구비한 탑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
상기 목적은 최소한 두개 이상의 풍력 터빈들 사이에 케이블 연결을 하고 상기 연결 케이블 상에 곤돌라를 이용함으로써 달성된다. 즉, 풍력 터빈들 사이에 인력과 물품의 운송은 상기 곤돌라에 의해 달성된다. 다른 형태 풍력 발전 단지를 위한 양호한 실시예가 아래에 기술될 것이다.
전술한 연결 케이블은 풍력 터빈의 로터 직경 내에 닿거나 또는 파고가 높을때에 파도에 접하지 않을 정도로 높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풍력 터빈에는 연결 케이블을 위한 편향부가 제공되어, 편향부들 사이에 폐곡선 케이블 루프(endless cable loop)로서 연결 케이블이 확장하도록 하여 곤돌라가 연결 케이블에 고정되게 접속되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수단으로 하여, 곤돌라(gondola)는 연결 케이블(cable connection )을 움직임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으며, 그 구조를 매우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두 개의 풍력 터빈이 서로 연결된 경우, 연결 케이블은 각각의 풍력 터빈에 있는 편향부 주위로 움직여서 반대편 풍력 터빈으로 이동한다. 연결 케이블이 최소한 세 개의 풍력 터빈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중앙 풍력 터빈 상의 편향부가 지지대로 작용하여 연결 케이블은 각각의 외측 풍력 터빈을 향해 안내되어 이동한다.
연결 케이블은 모터를 통해 움직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기 구동 모터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이것이 특별히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전기가 풍력 발전 단지에서 만들어지고, 따라서 항시 가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료와 같은 다른 에너지 운송 수단이 필요하지 않다. 전기 구동 모터는 간단한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편향부는 두 개의 독립적인 회전 편향 풀리(deflection pulley)로 구성되고, 메인 케이블은 하나의 롤러 위로 안내되고 견인 케이블(traction cable)은 다른 롤러 위로 안내된다. 견인 케이블은 회전하는 폐곡선 케이블 루프를 구성하고, 메인 케이블은 곤돌라가 움직이는 진로를 따라오직 한번만 제공된다. 폐곡선 견인 케이블로 인하여, 곤돌라를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한 견인 케이블을 위한 가역 구동을 구비하기에 충분하다. 따라서, 양쪽 끝에서 견인 케이블을 위한 감는 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곤돌라는 자신의 동력으로 메인 케이블(main cable)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모터 구동, 특히 전기 모터 구동이 사용되어 질 수 있으며, 모터 구동을 위한 에너지의 저장은 곤돌라 내부에 에너지 저장 수단, 특히 예를 들어 축전지(accumulator)에 제공되어질 수 있다. 모터 구동 대신에 수동 구동이 제공되어질 수 있으며, 모터 장애 또는 에너지 저장 결함이 있는 경우의 비상 상황에서 곤돌라가 움직일 수 있도록 보조 비상 구동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로서, 구동 에너지는 연결 케이블, 메인 케이블, 견인 케이블 및/또는 곤돌라가 전기적으로 구동될 때에 별개의 도체 라인을 통해 공급되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어 신호는 곤돌라 및/또는 탑으로 원격제어에 의해 전송되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구동 모터 또는 권양기(winch) 또는 이에 유사한 것을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예를 들어 텔레매틱스(telematics) 자료가 중앙 풍력 터빈 또는 몇몇 풍력 터빈으로 전기 접속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더욱이, 사이에 케이블카가 제공되는 풍력 발전 단지 내의 모든 풍력 터빈의 통신 및 곤돌라와의 통신을 처리하는 것이 연결 케이블을 통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또 다른 양호한 실시예로서, 이와 같은 통신, 개별 발전 터빈들 사이 또는 곤돌라와의 통신, 즉 텔레매틱스 자료, 제어 신호 등과 같은 통신은 무선 전송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연결 케이블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간단한 구조는 고리 원리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마치 목걸이의 구슬처럼 케이블 접속에 의해 모든 풍력 터빈은 서로 접속된다.
전술한 구조에서, 연결 케이블은 선정된 시리즈로 약간의 풍력 터빈을 접속하는 단일 연속적인 연결 케이블이 된다. 그러나, 풍력 터빈은 복수개의 열로 배열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세 개의 열로 배열될 때에 케이블 접속은 영문 글자 “S”자의 형태로 경로를 풍력 터빈 사이에 서로 접속하기 위해 따를 수 있다.
케이블 시스템의 또 다른 변형적 실시예로서, 별 모양의 케이블 접속 배열이 이용될 수 있는데, 이는 중앙 착륙 지점을 나타내는 중앙 풍력 터빈으로부터 시작해서 다른 풍력 터빈이 최소 근접 거리에 놓여지는 방식이 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네트워크 된 케이블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중앙 풍력 터빈으로부터 기타 풍력 터빈으로 최소 접속 거리를 보장할 뿐 아니라 모든 풍력 터빈들 사이에 짧은 경로를 제공한다.
풍력 발전 단지의 풍력 터빈 사이에 곤돌라가 이동하는 동안에 케이블 접속 상의 곤돌라 수평 이동을 낮게 유지하기 위하여, 또는 상기 곤돌라의 이송을 특정 한계점 이내로 막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 단지는 연결 케이블에 평행하게 선정된 수직 거리에 제공되는 지탱 케이블을 포함한다. 이 때에, 그 거리는 곤돌라가 연결 케이블과 지탱 케이블 사이에 안내 되도록 설계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연결 케이블은 곤돌라 위에 놓이고, 지탱 케이블은 곤돌라 밑에 놓인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로서, 폐곡선 케이블 루프로 구성되는 연결 케이블 내부의 폐곡선 케이블 루프의 한쪽 상부는 곤돌라를 운송할 수 있으며, 폐곡선 케이블 루프의 다른 쪽 하부는 지탱 케이블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수직축 주위로 회전하는 플라이휠 질량체는 곤돌라의 운동을 안정시키는데 사용된다. 상기 플라이휠 질량체는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며 곤돌라의 수평 방향 변위를 상쇄하기 위한 자이로스코프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로서, 풍력 발전 단지의 개별 풍력 터빈은 탑 내부에 개폐문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개폐문은 곤돌라가 풍력 터빈에 도달하는 높이에 위치한다. 그 결과, 높이의 편차를 극복할 필요 없이 승선 및 하선 작업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곤돌라를 지정된 위치에서 승하선 하도록 하는 잠금 장치를 발전 터빈과 곤돌라가 구비함으로써, 곤돌라가 상기 위치에 있을 때에 발전 터빈의 탑에 대해 상대적인 곤돌라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잠금 장치의 일부가 풍력 터빈 탑 상의 문에 근접하도록 상기 잠금 장치가 구성되고, 다른 일부는 곤돌라 상의 적절한 위치에 근접하도록 구성된다.
특별히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로서, 잠금 작용이 한 점에서 작동될 때에 추축점(pivotal point)의 형성을 피하기 위하여 이점(two point) 잠금 장치가 되도록 잠금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로서, 상기 잠금 장치는 전자기적으로 작동할 수 있고, 곤돌라로부터 탑 내부에 스위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온오프 동작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바람이 불거나 하여 곤돌라가 탑과 충돌함으로 인해 부상을 당하지 않고 유용하고 편리하게 조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잠금 장치는 원격으로 조정될 수 있으며, 곤돌라로부터 원격 조정을 통해 수동 작동을 할 필요 없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잠재적으로 잠금 장치 작동 시에 사고로 인한 부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로서, 최소한 하나의 풍력 터빈 상의 개구 공간 위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덮개를 마운트하여, 상기 덮개가 연결 케이블에 평행하게 선정된 거리를 두고 수직 방향으로 확장된 보호 벽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선정된 각도를 에워싸는 덮개와 보호 벽을 통해서, 궂은 날씨에도 개구 공간과 개구 공간 주변에 곤돌라를 보호하도록 보호 지붕이 형성된다.
곤돌라와 개구 공간은 탑에 의해 보호되고, 반면에 보호 지붕을 통해 곤돌라는 바람에 대해 보호되고 탑으로부터 밀려나지 않게 된다. 만일 보호 지붕이 충분히 길게 만들어지면, 곤돌라가 진행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바람 또는 바람 벡터가 놓이더라도 곤돌라의 변위 및 그 결과 탑과의 있을 수 있는 충돌을 피할 수 있다.
제1 보호 벽의 외측 단부 및 탑 사이의 수평 간격은 보호 벽의 중앙부로의 수평거리보다 크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곤돌라가 예를 들어 교차 바람으로 인해 보호 벽으로 변위할 때에 곤돌라와 보호벽 사이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로서, 제1 보호벽과 평행한 개구 공간의 양측 상에 추가의 보호벽이 탑에 부착될 수 있으며, 곤돌라가 진행하는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바람이 외측 보호벽에 대해 곤돌라를 밀치지 않도록 상기 추가의 보호벽이 탑의 가려진 곳의 영역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탑에서의 보호벽 사이의 수평거리는 곤돌라의 폭과 동일할 수 있으며, 보호벽의 수평 단부를 향해 확대하여 입구 영역에서 곤돌라의 보호벽 사이의 수평 변위가 곤돌라와 보호벽 중 어느 하나와의 충돌로 이어지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곤돌라는 곤돌라 탑승 실내의 하측 부위의 각각 코너에 탄성 코팅재(elastic coating)로 마감함으로써, 곤돌라가 수평적으로 변위를 일으킨 결과 풍력 발전 단지의 다른 설비와 충돌이 일어난 경우 그 코너 부위에서 우선 영향받게 된다. 어떤 한 측면에서, 상기 코팅재는 일어날 수 있는 충돌을 억제하는 효과를 내게 되어, 곤돌라와 풍력 발전 단지의 다른 설비와의 사이에 충돌을 방지하고, 다른 한 측면으로 볼 때에 사고 발생 시에 곤돌라를 부력으로 뜨도록 하는 부상 도움재의 역할을 한다.
곤돌라의 탄성 코팅과 더불어 또는 그 대신에, 수평 방향으로 변위된 곤돌라가 제일 먼저 보호벽과 부딪히는 높이 위치에서의 입구 영역에 탄성 코팅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예로서, 제1 높은 통로(gangboard)가 제2 보호벽에 구비되고, 상기 높은 통로는 유지 장치(retention facility)를 가지고 있어 예를 들어 그 주위에 레일을 지닐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로서, 상기 높은 통로는 보호벽의 전체 길이를 따라 두를 수 있으며 개구 공간(opening)으로부터 접근 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단을 통해, 곤돌라의 외측면이, 예를 들어 수선 작업, 유지 보수 작업, 청소 작업을 위해 접근 가능하게 된다. 만일 제2 보호벽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2 보호벽 옆에 한 쪽으로 높은 통로가 윤곽을 드러낼 수 있으며, 그 곳에 높은 통로가 없이도 괜찮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보호벽 위에 제1 높은 통로에 평행되게 제2 높은 통로(gangboard)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 높은 통로는 제1 보호벽에 이웃하지 않은 측면 위에 통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1 높은 통로와 제2 높은 통로의 최소한 한 개의 외측 단부에 횡단 통로를 제공하여, 상기 횡단 통로가 평행한제1 높은 통로과 제2 높은 통로 사이에 갭을 연결 짓는 역할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곤돌라의 출입을 방해받지 않고 진행하기 위하여, 횡단 높은 통로를 하나의 단부에 추축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곤돌라가 통과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주기 위하여 추축을 중심으로 위로 회전시킨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로서, 전술한 횡단 높은 통로는 제1 높은 통로와 제2 높은 통로의 최소한 하나의 외측 단부에 결합함으로써 곤돌라의 모든 측면을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하나의 횡단 높은 통로와 다른 횡단 높은 통로 사이의 갭은 곤돌라의 해당 치수와 동일하도록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로서, 최소한 한 개의 횡단 높은 통로는 횡단 높은 통로 사이의 거리가 가변되고 각각의 요구 조건에 따라 변동될 수 있도록 추축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소한 하나의 풍력 터빈 상에 바람직하게는 보호 지붕 아래에 화물 승강 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화물 승강 장치는 무거운 화물을 처리하는데 도움을 주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곤돌라와 곤돌라 부품, 예를 들어 수선품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화물 승강 장치를 이용하여 곤돌라 전체가 들려 올려져서 수선, 유지 보수 또는 청소를 위해 높은 통로로부터 접근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곤돌라의 외측면을 접근하기 위하여 높은 통로 대신에 적절히 마운트된 단일 또는 복수개의 작업 플랫포옴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서, 작업 플랫포옴의 면적은 곤돌라의 모든 면이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작업 옥사 또는 크라운 안전 플랫포옴이 제공되어, 상기 작업 옥사 또는 플랫포옴이 이송되거나 피봇 운동하여 곤돌라의 외측면이 접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작업 플랫포옴과 같은 크라운 안전 플랫포옴은 그곳에서 일하는 작업자의 부위에 플랫포옴 또는 옥사로부터 실수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존 장치에 의해 사방에 에워 싸진다.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로서, 문은 곤돌라의 단면보다 클 수 있으며, 케이블 시스템은 풍력 터빈의 탑 속으로 연장되어 들어간다. 이것은 연결 테이블을 따라 각각의 탑에 최소한 한 셋트의 점을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곤돌라는 탑 내부에 열린 문을 통해 이동하여 날씨 상태에 관계없이 승선 및 하선시킬 수 있다. 문이 닫힌 곤돌라는 어떠한 날씨 상황에 대해서도 충분히 사람과 물건을 보호하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곤돌라는 연결 케이블로부터 곤돌라 이송이 정지되고 안내되는 개폐 출구 구멍을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곤돌라가 케이블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곤돌라는 부유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신호총, 화염 등과 같은 시그널 발생 수단과 자동 팽창 부력 링과 같은 부력 도움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부력 도움 기구는 곤돌라에 부력을 주어서 로드된 경우에도 뜨도록 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로서, 곤돌라가 전복되거나 이와 유사한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직립 도움기구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동작을 모니터 하거나 최소한 케이블카 시스템을 반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해서, 복수개의 센서 및/또는 액추에이터(actuator) 뿐 아니라 중앙 제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센서 및/또는 액추에이터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중앙 제어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그 곳에 연결된 센서들로 인해서, 중앙 제어 장치는 다른 쪽에서 곤돌라의 위치, 동작 속도, 수평 변위, 곤돌라의 무게, 플라이휠 질량체의 회전 속도, 저장 에너지의 양, 모터 동작 데이터, 타워의 개구 공간의 개폐 여부 등과 같은 동작 파라미터 및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풍력 터빈의 기계 하우스 내의 센서에 의해 텔레매틱스 데이터가 수집되어 처리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공된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중앙 제어 장치는 동작 파라미터와 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곤돌라의 탑에 대한 상대적 위치에 따라 곤돌라와 탑 사이의 잠금 장치를 제어하거나, 조도에 따라(탑 및/또는 풍력 발전 단지의 다른 부품에 제공되는 한) 위치 전등을 제어하거나, 또는 곤돌라의 이동 속도 및 정지 여부 등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 시스템은 분산화 되어 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풍력 발전 단지의 풍력 터빈 중 최소한 두개의 터빈에 분리된 제어 시스템 상호간 및 곤돌라와 통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동작 파라미터 및 상태가 유사하게 식별되어 분석된다. 각각의 제어 시스템은 센서 및/또는 액추에이터의 선정된 부위와 연결된다.
전술한 분산화된 제어 방법의 장점은 이와 같이 하여 중복성을 가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제어 유닛트에 장애가 발생하였을 때에, 이웃하는 제어 유닛트가 장애를 일으킨 유닛트의 기능을 떠맡게 된다.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예로서, 연결 케이블을 유지하기 위하여 풍력 발전 단지의 풍력 터빈들 사이에 지탱 기둥을 세울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풍력 터빈의 탑들 사이에 큰 지간의 결과로 일어날 수 있는 부하 뿐 아니라 탑 사이에 과도하게 연결 케이블이 축 늘어져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 단지는 최소한 한 사람을 수용할 수 있는 숙소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숙소 공간은 화장실 공간 및/또는 부엌 공간 및/또는 식료품 저장실 공간 및/또는 휴식 공간 등을 포함한 다양한 기능별 영역으로 구성되고, 풍력 터빈의 탑 내부에 통합되어 설치되는 다양한 기능별 영역으로 구성되고, 풍력 터빈의 탑 내부에 통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호한 실시예로서, 전술한 숙소 공간은 풍력 터빈으로부터 분리되어 풍력 발전 단지 내의 다른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이 위치는 예를 들어, 풍력 터빈의 탑 상부에 마운트된 플랫포옴과 같은 독립된 플랫포옴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플랫포옴은 헬리콥터 기착장 및/또는 배의 정박지로서 추가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탑 내부의 한정된 공간으로 인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숙소 공간은 탑 내부에 복수개의 연결된 레벨에 분산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숙소 공간 내에는 선정된 데이터를 통신하고 시그널링 할 수 있는 장비가 제공된다. 상기 시그널링 하는 장비는 음파 신호 발생 및 광학 신호 발생 또는 데이터 기록의 적절한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이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한 음성 및/또는 데이터 통신을 포함하며, 원격 운영 센터 또는 원격 관리 센터와 같은 풍력 발전 단지 외부에 있는 원격 스테이션과의 통신뿐만 아니라, 단지 내의 다른 풍력 터빈, 케이블카 시스템의 곤돌라 등과의 통신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로서, 통신은 풍력 발전 단지의 동작 운영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것뿐 아니라, 풍력 발전 설비의 작동 파라미터에 영향을 주는 것을 포함한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라 지속적으로 사람이 배치되어 관리 임무를 수행하는 관리국이 형성되고, 상기 관리국은 결함이 발생하거나 장애가 발생한 경우 즉각 대처할 수 있으며 적절한 대안을 취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로서, 작업 인력에게 식수 및 용수를 제공하는 수자원 처리 플랜트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수자원 처리 플랜트는 풍력 발전 단지에서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로 운영될 수 있다.
바람이 없는 날씨 상황과 같은 경우 공급 부족을 해결하기 위하여, 적절한 크기의 에너지 저장 수단이 숙소 공간에 에너지와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고자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서 사용되는 에너지 저장 수단은 캐패시터와 같은 전기 전력 저장 수단, 축전기(accumulator)와 같은 화학 에너지 저장 수단, 전기 분해로 해수로 부터 얻는 수소로 충전되는 수소 에너지 저장 수단, 연료 전지에서 얻어지는 전기 에너지 저장 수단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로서, 숙소 공간이 설비된 풍력 터빈은 기상 관측및/또는 도량 데이터를 검출하고, 분석하고, 기록하고 전송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풍력 발전 단지의 풍력 터빈 또는 추가의 (모든) 풍력 터빈은 해상 선박을 위한 해상에서 항로 안내를 위한 표적점 또는 사고를 당하거나 난파된 선박의 승무원을 위한 비상 조난 구조를 스테이션의 형태로서 선박 항로를 안내하는 조력 수단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로서, 숙소 공간을 구비한 최소한 하나의 풍력 터빈은 기계 하우스 아래의 풍력 터빈 탑 상에 제공되는 조망 플랫포옴을 구비한다. 상기 조망 플랫포옴은 풍력 터빈의 탑을 완전히 둘러 에워싸도록 할 수 있고 특정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할 수 있으며, 주변 영역을 감시할 수 있도록 참으로 둘러싸이도록 할 수도 있다. 특정 동작 파라미터를 인가하거나 및/또는 통신 을 위하여 상기 조망 플랫포옴은 데이터 신호를 송출하는 소자를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조망 플랫포옴(viewing platform)을 구비한 풍력 터빈은 풍력 발전 단지 내에 최대량의 (모든) 풍력 터빈이 그 위치에서 조망될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세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망 플랫포옴은 숙소공간에 근접한 위치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곳에서 주요 부위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조망 플랫포옴과 숙소 공간은 서로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위치하도록 하여, 즉 숙소 공간을 탑의 베이스에 가깝도록 조망 플랫포옴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여유 있는 공간을 제공하면서도 조망 플랫포옴은 주변을 잘 조망할 수 있도록 기계 하우스(machine house) 바로 아래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이때에, 만일 조망 플랫포옴과 숙소 영역 사이의 거리가 멀다면 한편으로는 하루에 여러 번 오르내리락 하는 시간을 절약하기 위하여 또 다른 목적으로 작업자의 육체적 피로를 덜기 위해서도 탑 내부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가 오작동할 때에 도움을 요청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안에는 비상 전화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특허 청구 범위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아홉 개의 풍력 터빈(12)을 구비한 풍력 발전 단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풍력 터빈들(12)은 세 개의 열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각의 열은 세 개의 풍력 터빈(12)을 구성하고, 곤돌라(14)가 개별 풍력 터빈(12)을 하나씩 순회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 케이블(10)에 의해 각각의 풍력 터빈(12)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 케이블(10)의 한 쪽에서 다른 쪽으로 진행할 때에, 곤돌라(14)는 항상 풍력 발전 단지의 모든 풍력 터빈(12)을 통과하게 된다.
연결 케이블(10)은 폐곡선 케이블 루프를 형성하여 곤돌라(14)가 케이블에 고정 부착될 수 있다. 그 결과, 케이블이 움직이면 곤돌라(14)는 함께 움직이게 된다. 만일 폐곡선 케이블 루프가 수평 평면에 놓이면, 케이블은 항시 일정 방향으로 구동되고, 가장 간단한 경우 곤돌라(14)는 전향점을 통과한 후에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서 폐곡선 케이블 루프의 수평 길이만큼 이송된다.
그러나, 이것은 한 풍력 터빈(12)에서 인접 풍력 터빈(12)으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도 적용되므로, 곤돌라는 연결 케이블(10)의 두 배 길이를 진행하도록 풍력 발전 단지의 모든 다른 풍력 터빈을 통과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만일 곤돌라(14)가 풍력 터빈 A에 위치하고 있으며 풍력 터빈 B로 이동하는 것이 필요할 때에, 일 방향 케이블 구동 방식에서는 풍력 터빈 C로 먼저 진행한 후 맨 뒤에서 목적지 풍력 터빈 B로 돌아온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곤돌라는 연결 케이블의 전체 길이를 거의 두 배 진행한다.
만일 연결 케이블을 양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A에서 B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것은 곤돌라 진행 방향을 역전시켜서 두 풍력 터빈 사이의 지름 거리만큼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만일 연결 케이블(10)이 수직 평면상의 폐곡선 케이블 접속이라면 연결 케이블(10)을 양방향으로 구동하는 수단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그렇지 않다면 연결 케이블(10)에 부착된 곤돌라는 폐곡선 연결 케이블 루프의 역전점 상에서 위험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센서(44)가 도면상의 B와 C로 표시된 풍력 터빈에 제공되며, 상기 센서는 곤돌라(14)가 근접 위치할 때에 곤돌라는 정지시키거나 또는 방향을 바꾸는 작업을 시작하도록 한다. 간단히 구성하기 위하여, 이 센서들은 스위치일 수 있다.
홀 센서(Hall sensor), 광학 센서 등과 같은 다른 타입의 센서들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곤돌라(14)에 화물이 실렸을 때에도 충분히 정지 거리가 확보되도록 센서의 위치를 결정하여야 한다.
도2는 세 개의 열에 각각 세 개의 풍력 터빈(2)을 배열하고 있는 풍력 발전단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은 배열에서, 특별 계선장(docking facility)과 저장 창고를 구비한 중앙 풍력 터빈(12)이 있다.
상기 중앙 풍력 터빈(12)을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별 모양(star-shaped)의 연결 케이블(10)이 풍력 발전 단지의 다른 풍력 터빈과 연결되어 있다. 이 방식은 각각 중앙 풍력 터빈(12)으로부터 측정할 때에 곤돌라(14; 도시하지 않음)가 기타 풍력 터빈에 도달하기 위한 최소 경로를 제공한다.
그러나, 비중앙 풍력 터빈(12)에서 또 다른 비중앙 풍력 터빈(12)으로 이동을 하려면 반드시 중앙 풍력 터빈(12)을 통과해서 목적지 터빈(12)으로 이동하여야 한다. 또한, 도2에는 연결 케이블(10)에는 지탱 기둥(support mast; 11)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지탱 기둥(11)은 연결 케이블(10)을 지탱하고, 그 결과 두 풍력 터빈(12) 사이에 큰 인장으로 인하여 연결 케이블(10)이 과도하게 쳐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케이블이 아래로 축 늘어지는 것은 연결 케이블 자체의 중량 때문이다. 연결 케이블의 성질에 따라서, 자신의 중량 하에서 연결 케이블(10)을 절단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그러나, 지탱점 사이의 거리를 줄인다하더라도, 연결 케이블(10)이 축 늘어지는 것이 이미 너무 크기 때문에 곤돌라(14)가 해수면에 너무 근접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연결 케이블(10)의 장력을 키움으로써 이론적으로 해결될 수 있다. 그러나, 추운 날씨에 연결 케이블의 장력이 더욱 심해져서, 인장력이 초과하여 케이블이 절단 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사용 케이블의 재질에 따라서 연결 케이블(10)의 어느 정도의 쳐짐 현상은 피할 길이 없다. 지탱 기둥(11)을 이용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가 해결된다.
도3은 도1과 도2에서와 같이 풍력 터빈의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을 참조하면, 각각의 풍력 터빈(12)이 네트워크의 노드(node)를 형성하는 것과 같은 네트워크 구조를 지내고 있다. 이와 같은 케이블 구조에 의해, 곤돌라(14; 도시하지 않음)가 특정 풍력 터빈(12)에 도달하기 위한 특정 구간 길이가 더욱 짧아질 수 있다.
이 도면에서, 지탱 기둥(11)이 한 쌍의 풍력 터빈(12) 사이의 큰 지간(Span)을 위해서 제공되고, 이는 연결 케이블(10)이 축 늘어지고 장력을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물론, 지탱 기둥(11)은 연결 케이블(10)을 위한 추가의 지탱점을 얻기 위하여 한 쌍의 풍력 터빈(12) 사이에 연결 케이블(10) 중 임의 구간에 세워질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라 연결 케이블(1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풍력 터빈(12)을 나타낸 도면이다. 탑의 상부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고 있으며 로터에 의해 몰아지는 하부는 점선(30)으로 나타내 있다.
각각의 탑은 개구 공간(18)을 가지고 있으며, 문으로 개폐가 가능하고, 각각의 개구 공간(18)으로부터 사다리(32)를 통해 탑의 베이스로 내려갈 수 있다. 탑의 개구 공간(18)은 곤돌라(14)가 탑에 도달할 때의 높이에 형성된다. 각각의 탑의 개구 공간(18) 위에는, 연결 케이블(10)이 안내되는 편향부(16)가 제공된다. 곤돌라(14)는 연결 케이블(10) 상에 위치한다. 연결 케이블(10)의 실시예에 따라,곤돌라(14)는 연결 케이블에 의해 이송되거나 구동될 수 있으며, 곤돌라(14)는 연결 케이블(10)을 따라 자체 파워로 움직일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 구동 모터(15)는 편향 풀리(16; deflection pulley) 위에 풍력 터빈 탑 상부에 놓이며, 상기 구동 모터는 자체 추진력으로 움직이지 않는 곤돌라(14)의 경우에 적절한 방법으로 연결 케이블(10)을 구동할 수 있다. 곤돌라의 하부에는 마루를 두고 캐빈과 분리되는 추가의 격실(26)이 있다. 상기 격실(26) 내부에는 점선으로 표시한 대로 회전 중심축을 주위로 하여 구동 모터에 의해 높은 회전 스피드를 유지하는 플라이휠 질량체(28)가 있다. 이와 같은 회전 운동으로 인하여 플라이휠 질량체(28)는 자이로스코프로 작용하여, 곤돌라(14)의 부위 위의 어떠한 수평 변위에 대해서도 상쇄 작용함으로써 곤돌라(14)를 안정된 위치에 있게 한다. 그 결과, 횡단 바람이 불어닥치더라도 곤돌라(14)가 진행할 때에 안정되게 하고 조금만 흔들리도록 한다.
도5에 도시한 그림은 풍력 터빈(12)의 두 개의 탑을 보여주고 있는데, 상부는 도시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로터의 회전 반경 내에 있는 하부가 도시되어 있다. 탑에는 가장 근접한 개구 공간(18)이 곤돌라가 터빈(12)에 도달하는 위치에 나타나 있다. 개구 공간(18) 위에 연결 케이블(10)이 통하여 안내되는 편향부(16)가 도시되어 있다. 곤돌라(14)는 연결 케이블(10)에 형성되고, 풍력 터빈 사이에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편향부(16)는 개구 공간(18) 아래에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추가의 편향부(16)에 의해, 지탱 케이블(24)의 형태로서 추가의 연결 케이블이 안내된다.
상기 지탱 케이블(24)은 연결 케이블(10)에 평행하게 선정된 수직 거리(25)만큼에서 달리도록 형성되고 곤돌라(14)를 안내한다. 이와 같이 해서, 곤돌라(14)가 위아래 케이블(10, 24)에 의해 안내되므로 곤돌라(14)의 수평 탈선이 방지된다.
곤돌라(14)의 잠재적인 수평 변위는 다음 풍력 터빈(12)까지의 거리에 따라 가변이다. 곤돌라(14)와 풍력 터빈(12)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면, 편향부(16)의 안정화 효과가 증가하고, 곤돌라(14)의 잠재적 수평 변위가 이에 따라 감소한다. 이에 반하여, 곤돌라(14)와 풍력 터빈(12)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면 연결 케이블(10)과 지탱 케이블(24) 사이의 늘어짐의 정도가 증가한다. 한 쌍의 풍력 터빈(12) 사이의 구간의 중앙에 늘어짐이 최대이며, 그 결과 곤돌라(14)의 위치의 수평 변위가 최대가 된다.
도6은 도4 및 도5의 점선으로 나타낸 원주로 둘러싸인 부위의 확대도이다. 연결 케이블(10)은 두개의 케이블(20, 22)로 형성된다. 상부 케이블(20)은 메인 케이블로서 제공되고 한 쌍의 안내 도르래(46)에 의해 곤돌라를 굴러 이동하도록 한다. 하부 케이블(22)은 견인 케이블이고 곤돌라(14)에 고정 부착된다. 상기 견인 케이블(22)을 동작시킴으로써, 곤돌라(14)는 메인 케이블을 따라 정지 위치까지 움직인다.
도7 및 도8은 풍력 터빈(12)(도7)과 수평 연장 덮개(34)를 구비한 터빈(2)(도8)의 탑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7은 평면도이고 도8은 측면도이다. 연결 케이블(10)은 상기 덮개(34)의 아래에서 달리도록 형성되고, 보다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해 정지 수단은 나타내지 않고 있다. 보호벽(36)은 연결 케이블(10)에 평행으로 달리는 덮개(34)의 양측면 각각 상부에 형성된다. 덮개(34)와 조합하여, 보호벽(36)은 거친 날씨에 대비하여 풍력 터빈(12)의 탑 내부의 개구 공간(18)과 곤돌라(14)를 보호하는 보호 지붕을 형성한다. 상기 보호 지붕은 연결 케이블(10)에 평행한 개구 공간(18)의 양측면 상에 확장된다.
곤돌라는 두 풍력 터빈(12) 사이를 진행하고 곤돌라(14)의 수평 변위는 양 및 방향에 있어서 제한되기는 하지만 항시 가능하기 때문에 보호 지붕의 좌측 끝은 넓어진다. 보호벽(36) 사이의 간격은 개구 공간(18)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보호 지붕의 선정된 부위에 있어서 증가한다. 중간 부위에서, 개구 공간 (18) 근처에서 보호 지붕의 크기가 곤돌라(14)와 같아질 수 있다.
보호벽(36) 사이의 큰 간격으로 인하여, 곤돌라(14)는 보호벽 사이를 쉽게 이동할 수 있고, 그 결과 횡단 바람으로 인해 곤돌라가 수평적으로 변위가 일어나더라도 바람이 불어 가는 쪽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람으로부터 피할 은신처를 제공함으로써, 곤돌라(14)는 더 이상 변위되지 아니하고 보호벽(36, 38) 사이의 간격이 좁혀질 수 있다.
탄성 코팅(48)이 입구의 보호벽(36, 38) 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코팅은 보호벽(36, 38)과 곤돌라(14)가 충돌하는 것을 완화시켜 주기 위함이며, 적어도 충돌시 큰 손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호벽(36, 38) 상의 탄성 코팅(48)과는 별도로, 곤돌라 상에 예를 들어 완충판과 같은 유사한 코팅을 형성할 수 있다.

Claims (72)

  1. 선정된 높이에 최소한 두개의 풍력 터빈(12)에 걸치는 연결 케이블(10)과 상기 연결 케이블 상에 형성된 곤돌라(14)로 특징되는 최소한 두개의 풍력 터빈을 구성하는 풍력 발전 단지.
  2. 제1항에 있어서, 풍력 터빈(12)에 편향부(16) 사이의 폐곡선 케이블 루프로서 형성된 연결 케이블(10)과, 상기 연결 케이블과 상기 곤돌라 사이의 견고한 결합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케이블은 메인 케이블(20)과 견인 케이블(22)로 구성되고, 상기 곤돌라(14)는 메인 케이블(20)에 이동 가능하도록 접속되고 상기 견인 케이블(22)에 부착 고정되도록 접속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케이블(22)은 편향부(16)를 따라 폐곡선 케이블 루프로 확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부(16)는 한 쌍의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편향 풀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6. 제3항 내지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케이블(22)은 모터에 의해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곤돌라(14)는 자체 파워(14)에 의해 연결 케이블(10)을 따라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케이블(10)을 따라 곤돌라(14)를 움직이는데 최소 하나의 모터 구동을 하고, 상기 구동은 전기 구동임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곤돌라(14)는 곤돌라(14) 내에 운반되는 저장 에너지로부터 구동력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10. 제7항 내지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곤돌라(14)는 연결 케이블(10)을 따라 곤돌라(14)를 움직이기 위하여 수동 구동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11. 제7항 내지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곤돌라(14)를 움직이기 위하여 원격 제어 구동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전기 도체로서 연결 케이블의 최소 일부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케이블(10) 내에 일체화된 케이블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14. 제1항 내지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케이블은 특정 풍력 터빈(12)과 기타 풍력 터빈(12) 사이에 별모양의 연결 케이블 배열 구성을 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15. 제1항 내지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 터빈(12)들 사이의 연결 케이블(10)은 네트워크 배열을 하고, 상기 터빈(12)은 상기 네트워크의 노드로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16. 제1항 내지 제13항에 있어서, 풍력 발전 단지의 풍력 터빈(12) 사이에 단일 연결 케이블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 케이블은 풍력 터빈(12)의 최소 일부를 선정된 시퀀스에 따라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17. 제14항 내지 제16항에 있어서, 전술한 연결 케이블(10) 시스템의 최소 두개로써의 조합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18. 제1항 내지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곤돌라(14)와 풍력 터빈(12)의 탑 사이에 분리 가능한 잠금 장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지지 자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20. 제1항 내지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케이블(10)에 평행하게 선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지탱 케이블(24)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21. 제1항 내지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 터빈(12)의 탑으로부터 선정된 수평 거리에 확장하는 연결 케이블과 상기 탑(24)으로부터 선정된 수평 거리에 확장하는 지탱 케이블로 특징되는 풍력 발전 단지.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지탱 케이블(24)을 수용하기 위한 풍력 터빈(12) 상의 편향부(16)로 특징되는 풍력 발전 단지.
  23. 제20항 내지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케이블(10)은 폐곡선 케이블 루프이고 상기 지탱 케이블(24)은 상기 폐곡선 케이블 루프의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24. 제1항 내지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곤돌라(14)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플라이휠 질량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25. 제1항 내지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 터빈(12)의 탑 내부에 상기 곤돌라 (14)가 탑에 다다르는 높이에 개폐 가능한 개구 공간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공간(18) 근처에 곤돌라 높이에 잠금 장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27. 제1항 내지 제26항에 있어서, 최소 하나의 풍력 터빈(12)의 탑 상에 개구 공간(18) 위에 수평 연장된 덮개(34)에 의해 특징되는 풍력 발전 단지.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탑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면하는 덮개(34)의 측면 상에 형성된 제1 보호벽(36)을 구성하되, 상기 보호벽은 수직 방향으로 확장되고 상기 연결 케이블(10)에 평행하도록 선정된 거리를 두고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29. 제1항 내지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공간(18)의 높이에 상기 풍력터빈(12)의 탑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케이블(10)에 평행되게 확장되는 최소한 하나의 제2 보호벽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공간(18)의 양측면 상에 선정된 길이만큼 확장된 두 부위의 제2 보호벽(38)으로 특징되는 풍력 발전 단지.
  31. 제28항 내지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벽(36)과 제2 보호벽(38) 사이에 갭을 두고, 상기 갭은 상기 개구 공간(18)으로부터 거리를 둔 곳에 선정된 비율로 증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32. 제28항 내지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벽(36, 38)의 최소한 하나 위에 선정된 두께의 탄성 코팅(48)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33. 제27항 내지 제32항에 있어서, 덮개(34) 및/또는 보호벽(36, 38) 위에 최소한 한 개의 조명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34. 제1항 내지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케이블(10)에 평행하게 펼쳐진 최소한 한 개의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통로는 개구 공간(18)으로부터 접근 가능하고 전체 통로 길이를 따라 최소한 한 개 이상의 보존 시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35. 제1항 내지 제34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 이상의 풍력 터빈(12)의 탑 외부 위에 단일 또는 복수 부위 작업 플랫포옴을 구비하되, 상기 플랫포옴은 상기 개구 공간(18)으로부터 접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36. 제1항 내지 제3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풍력 터빈(12)의 탑 외부에 크라운 안전 플랫포옴 또는 작업장을 구비하되, 상기 플랫포옴 또는 작업장은 상기 개구 공간(18)으로부터 접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37. 제1항 내지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공간(18)에 근접해서 상기 풍력 터빈(12)의 탑 위에 상기 연결 케이블(10)과 평행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안내 레일(40)을 구비한 풍력 발전 단지.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 레일(40)에 평행하게 선정된 거리에 제2 안내 레일(42)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39.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 레일(40)과 상기 제2 안내 레일(42) 사이에 갭을 구비하되, 상기 갭은 개구 공간으로부터 거리에서 선정된 비율로 크기가 증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40. 제37항 내지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레일(40, 42)은 상기 보호벽(36)을 지탱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41. 제25항 내지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가능한 개구 공간(18)은 곤돌라 (14)보다 크기가 크고, 연결 케이블(10)은 상기 개구 공간(18)을 통해 상기 풍력 터빈(12)의 탑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42. 제1항 내지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케이블(10)을 따라 각각의 탑에 최소한 한 세트의 점에 의해 특징되는 풍력 발전 단지.
  43. 제1항 내지 제42항에 있어서, 부하 앵커링 장치와 곤돌라(14)에 묶는 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44. 제1항 내지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곤돌라(14)의 내부 또는 위에 짐을 운반하기 위해 화물 승강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45. 제1항 내지 제44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 이상의 풍력 터빈(12)의 탑에 또는 그 내부에 화물 승강 또는 화물 이송 장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46. 제1항 내지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곤돌라는 둘러싸인 곤돌라 캐빈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47. 제1항 내지 제46항에 있어서, 다른 풍력 발전 단지 장치와의 충돌 위험이 최대인 곳에서 곤돌라(14) 위에 최소한 한 곳 이상에 탄성 코팅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48. 제1항 내지 제47항에 있어서, 부양성의 곤돌라(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49. 제1항 내지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코팅은 동시에 부낭(float)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50. 제1항 내지 제49항에 있어서, 중앙 제어 유닛트, 센서 및/또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 발전 단지의 풍력 터빈(12)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설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52. 제50항 또는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곤돌라(14)가 통과할 때에 이를 검출하는 최소 하나의 센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53. 제1항 내지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곤돌라에는 위성 항법 장치(GPS) 모듈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54. 제1항 내지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 발전 단지에서 생산되는 전기에너지는 전기 구동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는 발전기, 중간 DC 회로, 또는 다른 적절한 점에서 선별적으로 끌어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56. 제1항 내지 제55항에 있어서, 에너지는 전기가 아닌 형태로 최소한 부분적으로 상기 풍력 발전 단지 내에서 이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57. 제1항 내지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케이블(10)을 지탱하기 위하여 풍력 터빈(12)의 탑 사이에 근접하여 기둥(11)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58. 풍력 발전 단지의 최소한 두개 이상의 풍력 터빈 사이에 제공되는 케이블카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황에 대한 중앙 제어유닛트의 평가와 액추에이터를 위한 적절한 제어 신호를 트리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카 제어 방법.
  59. 제58항에 있어서, 곤돌라(14)의 위치를 알려주는 GPS 데이터 및/또는 다른 형태의 코드화된 데이터를 상기 중앙 제어 유닛트에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카 제어 방법.
  60. 제1항 내지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 터빈(12) 중 적어도 하나는 최소한 일명의 사람을 수용할 숙소 공간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숙소 공간은 화장실 공간 및/또는 부엌 공간, 및/또는 식품 저장실 공간 및/또는 휴식 공간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62. 제60항 또는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숙소 공간은 풍력 터빈(12)의 탑 내부에 일체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63. 제60항 내지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숙소 공간은 복수개의 상호 연결된 레벨로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64. 제60항 내지 제63항에 있어서, 선정된 데이터를 시그널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또는 선정된 동작 파라미터를 상기 숙소 공간 내에서 입력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 단지.
  65. 제60항 내지 제64항에 있어서, 정보 또는/및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 시설을 포함하는 풍력 발전 단지.
  66. 제60항 내지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인력에게 식수와 용수를 제공하는 수자원 처리 플랜트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 단지.
  67. 제60항 내지 제66항에 있어서, 전력 공급원에 있어서 갭을 잇는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 수단을 포함하는 풍력 발전 단지.
  68. 제60항 내지 제67항에 있어서, 날씨 관측을 위한 장치 및/또는 도량형 데이터의 검출, 분석, 저장 및/또는 전송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 단지.
  69. 제60항 내지 제68항에 있어서, 숙소 공간을 구비한 상기 풍력 터빈은 선박을 위한 항로 제시 장치 및/또는 부상당하거나 난파된 인력을 구하기 위한 장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70. 제60항 내지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숙소 공간이 위치한 상기 풍력 터빈의 탑 위에 조망 플랫포옴을 구비하되, 상기 조망 플랫포옴은 상기 기계 하우스 밑에 선정된 방향으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상기 탑을 에워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71.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조망 플랫포옴의 최소한 일부분은 상기 풍력 터빈의 주위를 감시하기 위하여 창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72. 제70항 또는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숙소 공간과 상기 조망 플랫포옴 사이에는 엘리베이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단지.
KR1020037005307A 2000-10-17 2001-09-08 풍력 발전 단지 KR1006380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51513.4 2000-10-17
DE10051513A DE10051513A1 (de) 2000-10-17 2000-10-17 Windpark
PCT/EP2001/010391 WO2002032739A1 (de) 2000-10-17 2001-09-08 Windpa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6935A true KR20030036935A (ko) 2003-05-09
KR100638081B1 KR100638081B1 (ko) 2006-10-24

Family

ID=7660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5307A KR100638081B1 (ko) 2000-10-17 2001-09-08 풍력 발전 단지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7337726B2 (ko)
EP (1) EP1328429B1 (ko)
JP (1) JP2004511706A (ko)
KR (1) KR100638081B1 (ko)
CN (1) CN100430280C (ko)
AT (1) ATE327132T1 (ko)
AU (2) AU2001285938B9 (ko)
BR (1) BR0114687B1 (ko)
CA (1) CA2425529C (ko)
CY (1) CY1105163T1 (ko)
DE (2) DE10051513A1 (ko)
DK (1) DK1328429T3 (ko)
ES (1) ES2261461T3 (ko)
PT (1) PT1328429E (ko)
TR (1) TR200300480T2 (ko)
WO (1) WO20020327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024B1 (ko) * 2009-05-08 2011-01-31 장건태 양력 풍력발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6495A1 (de) * 2002-02-16 2003-09-04 Aloys Wobben Windpark
DE10332382B4 (de) * 2003-07-17 2006-08-31 Schiffahrtskontor Altes Land Gmbh & Co Aufstellvorrichtung für eine Windenergieanlage, Wasserfahrzeug zum Transport einer Aufstell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m Aufstellen einer Off-Shore-Windenergieanlage
US8578586B2 (en) * 2003-10-23 2013-11-12 Shigeyuki Yamamoto Power generation assemblies, and apparatus for use therewith
US7100438B2 (en) * 2004-07-06 2006-09-05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site for an offshore wind turbine
DE102004033681A1 (de) * 2004-07-09 2006-02-09 Wobben, Aloys, Dipl.-Ing. Windenergieanlage mit einem Turm
US20060082160A1 (en) * 2004-10-14 2006-04-20 Lee Tommy L Wind powered generator platform
CA2613556A1 (en) 2005-07-01 2007-01-11 Vestas Wind Systems A/S A variable rotor speed wind turbine, wind park, method of transmitting electric power and method of servicing or inspecting a variable rotor speed wind turbine
EP1934904A1 (en) * 2005-10-13 2008-06-25 Flying Bark Interactive Pty Limited Token trading
US7811060B2 (en) * 2006-03-13 2010-10-12 Vanderhye Robert A VAWT cluster and individual supporting arrangements
DE102006034251B8 (de) * 2006-07-21 2014-08-21 Senvion S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Windenergieanlage
CA2669619A1 (en) * 2006-11-01 2008-05-15 Alan D. Moss System for tower- and cable-based transportation structure
DE102008024380A1 (de) * 2008-05-20 2009-11-26 Repower Systems Ag Signaleinrichtung für Offshore-Windpark
US20100071995A1 (en) * 2008-09-24 2010-03-25 Campbell Jr Wayne S Wind turbine tower base access ladder
US20100147180A1 (en) * 2008-12-12 2010-06-17 Donald Ray Perry Elevated cableway for observation of nature
US7850418B2 (en) * 2009-10-28 2010-12-14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maintenance on a wind turbine
DE202009016240U1 (de) 2009-11-27 2010-04-29 Weihmann, Andreas, Dipl.-Designer Wassergewinnungssystemtechnologie
CN102235011A (zh) * 2010-04-27 2011-11-09 南通大学 海上风力发电机组柔性浮式基础
CN102182645B (zh) * 2011-01-27 2013-05-01 同济大学 智能拉索及使用该拉索的风力发电高塔
AT513351A1 (de) * 2012-09-13 2014-03-15 Innova Patent Gmbh Station für eine Seilbahnanlage
FR3014395B1 (fr) * 2013-12-05 2017-02-03 Pomagalski Sa Systeme de transport par cable aerien, notamment un telesiege ou telecabine
DE102014000040A1 (de) * 2014-01-07 2015-07-09 I.A.U. Institut für Arbeitswissenschaft und Unternehmensoptimierung GmbH System zur Versorgung einer Offshore-Anlage mit Stationen und Gondel
CN104018992B (zh) * 2014-06-13 2016-08-24 北京大学 捕获现有风场中低空风能的风机布置方法
EP3009321A1 (en) * 2014-10-15 2016-04-20 Mathijs Schasfoort Transport system for transferring persons and method for securing a transport system for transferring persons
US20170107975A1 (en) * 2015-10-19 2017-04-20 Wind Harvest International, Inc. Vertical and Geographical Placements of Arrays of Vertical-Axis Wind-Turbines
CN107304746B (zh) * 2016-04-20 2020-07-17 北京天诚同创电气有限公司 风力发电机组及其运行控制方法与设备
US10518876B2 (en) * 2016-12-21 2019-12-31 Makani Technologies Llc Offshore wind kite with seafloor mooring
US20180170491A1 (en) * 2016-12-21 2018-06-21 X Development Llc Offshore Wind Kite with Separate Perch and Tether Platforms
SE542069C2 (en) * 2017-11-24 2020-02-18 Gox Ab A control system for a wind park
US11199175B1 (en) 2020-11-09 2021-12-14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nd tracking the top pivot point of a wind turbine tower
US11703033B2 (en) 2021-04-13 2023-07-18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yaw heading of a wind turbine
US11536250B1 (en) 2021-08-16 2022-12-27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wind turbine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094A (en) * 1895-08-06 Automatic cut-out for electrical converters
US807089A (en) * 1904-01-13 1905-12-12 Rudolf Pfaffenbach Electrically-driven suspended railway.
US1149764A (en) * 1914-06-01 1915-08-10 William Hinsen Elevated railway.
US3218988A (en) * 1961-11-18 1965-11-23 Gaston Theophile Mono cable transporting device
FR1345561A (fr) * 1961-11-18 1963-12-13 Téléphérique monocâble pour parcours sinueux
US3210114A (en) * 1963-11-21 1965-10-05 Lawton Lawrence Apparatus for orienting a suspended load
US3575251A (en) * 1969-02-04 1971-04-20 Alvin E Moore Lightweight, wreck-resistant car
US3710726A (en) * 1970-04-27 1973-01-16 H Buchholz Cableway
US3702711A (en) * 1970-05-08 1972-11-14 Uniroyal Inc Motor vehicle injury and damage prevention system
US3675794A (en) * 1971-04-29 1972-07-11 Gen Electric & English Elect Winch arrangements
US4014516A (en) * 1976-05-06 1977-03-29 Jacks Kenneth R Span trolley
GB2041320B (en) * 1978-11-20 1982-10-13 Gec Elliott Mech Handling Load transfer cable way
DE3109944C2 (de) * 1981-03-14 1984-02-02 PHB Weserhütte AG, 5000 Köln Kuppelbare Umlauf-Drahtseilbahn zur Beförderung von Material, wie Schüttgut
GB2104022B (en) * 1981-08-15 1985-01-16 Salamis Ltd Moving cradle system for inspection of off-shore structures
US4509430A (en) * 1983-06-06 1985-04-09 Creissels Denis C Twin suspension/haulage cable gondola lift
DE3345763A1 (de) * 1983-12-17 1985-06-27 Blohm + Voss Ag, 2000 Hamburg Doppeltrommel-uebergabewinde fuer seeversorgungsanlagen
EP0207887A1 (fr) * 1985-06-27 1987-01-07 Ateliers de Constructions Mecaniques de Vevey S.A. Installation de transport public roulant sur une voie suspendue
US5026230A (en) * 1987-04-18 1991-06-25 Udo Dolezych Load lashing device with tensioner for use on a freight carrier
JPS63283407A (ja) * 1987-05-11 1988-11-21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送電線路走行装置
JPH028192A (ja) * 1988-02-29 1990-01-11 Sumitomo Heavy Ind Ltd サスペンション式テルハにおける車輪荷重バランス機構
US4864937A (en) * 1988-04-15 1989-09-12 Zygmunt Alexander Kunczynski Aerial tramway having haul rope in vertical plane and carrier unit with rope engaging support sheaves which disengage haul at towers
JP2709723B2 (ja) 1988-08-24 1998-02-04 東洋通信機株式会社 索道用搬器安全運行管理システム
JPH02136008A (ja) 1988-11-14 1990-05-24 Hitachi Cable Ltd 架空送電線への付属品取付方法
JP2770449B2 (ja) * 1989-07-26 1998-07-02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風力発電装置
US5129605A (en) * 1990-09-17 1992-07-14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Rail vehicle positioning system
FR2670451A1 (fr) * 1990-12-18 1992-06-19 Pomagalski Sa Telecabine ou telesiege debrayage a deux boucles de cable.
DE4133314A1 (de) * 1991-10-08 1993-04-15 Wanzl Metallwarenfabrik Kg Einrichtung zum ausleihen von transportwagen
DE4241677A1 (de) * 1992-12-11 1994-06-16 Harald Hauschild Schwebebahn hängend, für Ballungsgebiete, mit privaten und öffentlichen Personenbeförderungskabinen und computergesteuertem Zielangabesystem
AT404248B (de) * 1993-05-19 1998-09-25 Niederer Hermann Transportseilbahn
DE4334589A1 (de) * 1993-10-11 1994-06-09 Tom Waldemar Seilbahn mit Elektromotorenantrieb
TW259770B (ko) 1993-11-25 1995-10-1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FR2715006B1 (fr) * 1994-01-13 1996-03-29 Pomagalski Sa Installation de transport à deux câbles aériens.
US5592883A (en) * 1994-05-16 1997-01-14 Andress, Iii; F. Jay Monorail transportation system and vehicle for traveling thereon
ES2113266B1 (es) * 1994-08-05 1999-10-16 Akesolo Miguel Angel Robles Sistema eolico para produccion de energia electrica.
AT401674B (de) * 1994-09-26 1996-11-25 Hehenberger Gerald Dipl Ing Windkraftanlage
US5562041A (en) * 1994-12-02 1996-10-08 Jervis B. Webb Company Linear induction motor actuated stop
US5617726A (en) 1995-03-31 1997-04-08 Cummins Engine Company, Inc. Cooled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with load and ambient bypasses
US5518598A (en) * 1995-05-19 1996-05-21 Yang; Shui-Chuang Treatment equipment for drinking water
JPH09151077A (ja) * 1995-12-01 1997-06-10 Kenji Fujinaka 搬送装置
DE19726408C1 (de) * 1997-06-21 1999-03-18 Gerhard Reineke Schlosserei Un Arbeitsbühne
US5920827A (en) * 1997-06-27 1999-07-06 Baer; John S. Wireless weather station
NL1006496C2 (nl) 1997-07-07 1999-01-08 Lagerwey Windturbine B V Windmolen-eiland.
DE19747237A1 (de) * 1997-10-25 1999-04-29 Hanjo Dr Kreitz Hängebahn
AU734946C (en) * 1997-12-05 2004-03-25 Aerobus International, Inc. Elevated cableway system
DE19805667A1 (de) * 1998-02-12 1999-08-26 Meyer Anlage für ein versorgungssicheres Windenergie-Stromnetzsystem
DE69927791T2 (de) * 1998-02-27 2006-07-20 Bonus Energy A/S Verfahren zur installation einer windturbine ins meer, ein fundament für windturbinen und der gebrauch der fundamente
DE19816483C2 (de) * 1998-04-14 2003-12-11 Aloys Wobben Windenergieanlage
DE29817382U1 (de) * 1998-09-28 1999-02-18 Aerodyn Eng Gmbh Sicherheitskorb zum Einsteigen in die Rotornabe einer Windenergieanlage
JP3659117B2 (ja) * 2000-03-07 2005-06-15 株式会社大林組 ケーブルクレーンのバケット制御システム
DE20006959U1 (de) * 2000-04-15 2000-07-20 Bwu Brandenburgische Wind Und Windenergieanlage mit Beobachtungsplattform
DE20008289U1 (de) * 2000-05-09 2000-08-10 Wobben Aloys Flugbefeuerungseinrichtung an Windenergieanlag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024B1 (ko) * 2009-05-08 2011-01-31 장건태 양력 풍력발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8593801A (en) 2002-04-29
DK1328429T3 (da) 2006-09-18
WO2002032739A1 (de) 2002-04-25
DE50109899D1 (de) 2006-06-29
BR0114687A (pt) 2004-01-13
EP1328429A1 (de) 2003-07-23
CN1469825A (zh) 2004-01-21
AU2001285938B2 (en) 2006-01-19
ATE327132T1 (de) 2006-06-15
CY1105163T1 (el) 2009-11-04
DE10051513A1 (de) 2002-04-25
US7337726B2 (en) 2008-03-04
TR200300480T2 (tr) 2003-09-22
AU2001285938B9 (en) 2006-02-23
EP1328429B1 (de) 2006-05-24
US20040056486A1 (en) 2004-03-25
CA2425529C (en) 2006-02-14
CA2425529A1 (en) 2003-04-11
CN100430280C (zh) 2008-11-05
BR0114687B1 (pt) 2010-07-27
PT1328429E (pt) 2006-08-31
ES2261461T3 (es) 2006-11-16
JP2004511706A (ja) 2004-04-15
KR100638081B1 (ko) 200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8081B1 (ko) 풍력 발전 단지
KR100671741B1 (ko) 해상 풍력 발전소
US10435274B2 (en) Seaworthy, watertight, floatable container for an offshore wind turbine maintenance program
JP3335180B2 (ja) 空気静力学浮揚体への索道
US11884307B2 (en) Overhead transport and route management system
KR101246055B1 (ko) 해상 탈출 장치
EP3686075A1 (en) Cable transportation system
US3903807A (en) Mass rapid system
US8757954B1 (en) Maritime transfer system
CN111252198A (zh) 船用舷梯装置和舷梯空间位置调整方法
EP2151375B1 (en) Systems for transferring a person or a load between a vessel and an offshore structure
WO2011091854A1 (en) System for transferring a person or a load between a vessel and an offshore structure
CA1049847A (en) Mass rapid transit system
WO2018132016A1 (en) Combined module handling and crane system
JPS63219495A (ja) 緊急避難用バ−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