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4158A - 컬러 태양전지 유닛 - Google Patents

컬러 태양전지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4158A
KR20030034158A KR10-2003-7002865A KR20037002865A KR20030034158A KR 20030034158 A KR20030034158 A KR 20030034158A KR 20037002865 A KR20037002865 A KR 20037002865A KR 20030034158 A KR20030034158 A KR 20030034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cell unit
energy
coloring material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2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0376B1 (ko
Inventor
존거덴게르트얀
미드델만에릭
반안델엘레오노오르
쉬로프루돌프엠마뉴엘이시도르
페터스파울루스마리누스게지나마리아
헤셀린크디나엘리자베스
Original Assignee
아크조 노벨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크조 노벨 엔.브이. filed Critical 아크조 노벨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30034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4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3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16Coatings
    • H01L31/02161Coating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167Coating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를 발생시키지 않는 태양전지 유닛 표면의 일부와 함께, 후면전극, 광기전(PV)층, 및 선택적으로 전면전극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비발생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착색물질을 포함하는 반면,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발생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착색물질이 없으며, 상기 착색물질의 색상은 태양전지 유닛의 색상과 다르며, 목적한다면,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비발생부분의 일부는 위장물질을 포함하며, 본 발명으로 인해 태양전지 유닛의 전기출력이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태양전지 유닛의 색상효과를 선택하고/하거나 태양전지 유닛을 탈색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컬러 태양전지 유닛{COLORED SOLAR CELL UNIT}
본 발명은 컬러 태양전지 유닛과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태양전지 유닛은 빛을 전기로 전환시킬 수 있게 하여, 화석연료 또는 원자력으로부터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에 대한 흥미있는 대안을 제공하고 있다.
태양전지 유닛은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한개 또는 그 이상의 광기전(PV)층을 포함하는데, 이는 (유닛의 뒷면에서) 후면전극(back electrode)와 접촉한다. 전기기능층의 스택의 두께가 약 20㎛ 미만, 바람직하게 1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 5㎛ 미만인 비결정질 실리콘 전지와 같은 박막 태양전지의 경우에, 태양전지 유닛의 전면(즉, 입사광의 측부)에는 전면전극(front electrode)이 구비되어 있다. 반도체 물질에 입사광이 도달하도록 할 수 있는 전면전극은 투명하며, 여기에서 입사방사선이 전기에너지로 전환된다. 결정질 실리콘, 선택적으로 GaAs에 통상 기초하는 웨이퍼-계 태양전지(wafer-based solar cell)의 경우에, 웨이퍼-계 물질들은 박막물질보다 높은 전도성을 갖기 때문에 투명한 전면전극이 반드시 존재할 필요는 없다.
태양전지 유닛의 천연색은 광기전층 또는 층들의 성질, 전면전극의 성질, 반사방지층의 성질 및 적은 정도로 후면전극의 성질에 의해 결정되며, 보통 청-흑색 또는 적-갈색일 것이다.
태양전지 유닛이 건물에 통합되는 경우, 건물의 기존 건축설계에 태양전지 유닛을 통합시킬 수 있거나, 또는 미관목적을 위해 태양전지 유닛의 색상 또는 디자인을 사용할 수 있도록, 태양전지 유닛에 의해 발생된 색상효과(color impression)를 선택하거나, 또는 태양전지 유닛을 탈색시킬 수 있기를 종종 원하고 있다.
컬러 태양전지 유닛을 제공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당 분야에 알려져 있다.
색상은 태양전지 유닛에 투명한 착색물질(coloring material)의 상부층을 제공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컬러 상부층을 구비한 태양전지 시스템은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5,807,440호, 미국특허 제6,049,035호 및 일본특허 제02094575호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투명한 컬러 상부층을 사용하면, 상부층의 투명도가 태양전지 유닛내 입사광의 양 및 출력이 바람직하지 않게 낮은 수준으로 떨어질 정도로 감소될 것이기 때문에, 그의 색상이 아주 강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아주 강하지 않게 착색된 상부층을 사용해도 태양전지 유닛 출력이 손실될 것이다.
또한, 목적하는 색상이 간섭에 의해 수득되도록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층의 두께를 선택할 수도 있다. 물론, 태양전지 유닛의 유효 전기출력은 광학간섭이 사용되는 경우에 감소될 것이다. 그리고, 다른 층의 두께를 통해 색상을 발생시키는 것의 단점은 목적하는 색상을 얻기 위해 요구되는 두께가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가장 최적의 가능한 두께와 반드시 비슷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따라서, 태양전지 유닛의 색상효과를 선택하고/하거나 태양전지 유닛을 장식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태양전지 유닛의 전기출력은 영향을 받지 않는 태양전지유닛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태양전지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태양전지 유닛의 표면중 일부가 에너지를 발생시키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용한다. 착색물질을 갖는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비발생부분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고, 착색물질이 없는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발생부분중 적어도 일부를 남김으로써, 태양전지 유닛이 색상 또는 디자인을 구비한 반면 태양전지 유닛의 출력은 영향을 받을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전지의 종래의 청-흑색 또는 적-갈색 색상효과를 다른 색상으로 바꾸는 것이다. 그러므로, 태양전지 유닛을 장식하는데 사용된 색상은 태양전지 유닛 자체의 색상과 달라야 한다. 적당한 색상의 예로는 백색, 황색, 오렌지색, 핑크색, 적색, 밝은 청색, 녹색, 자색 등이 있다. 색상들의 명백한 조합들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후면전극, 광기전(PV)층 및 선택적으로, 전면전극을 포함하며, 태양전지 유닛의 표면중 일부가 에너지를 발생시키지 않는 태양전지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비발생부분중 적어도 일부위에, 착색물질이 존재하고, 반면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발생부분중 적어도 일부에는 착색물질이 없으며, 착색물질의 색상이 태양전지 유닛의 발광부분의 색상과 다르게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비발생부분위에 코팅을 도포하는 것은 당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는 사실도 주목한다. 이는 유럽특허 제0 986 109호, 일본특허제08312089호 및 일본특허 제08243310호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서, 코팅의 색상은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비발생부분을 위장시키기 위해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발생부분의 색상과 같게 선택된다. 이는 본 발명과 다른 문제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태양전지 유닛에 의해 발생된 색상효과를 변화시키거나, 또는 출력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태양전지 유닛을 탈색시키는 것이다.
태양전지 유닛의 발광부와 착색물질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유닛의 부분사이의 색상차는 하기의 수학식 1로 정의되며, dEab로 표현된다:
(상기 수학식 1에서, dL, da 및 db는 각각, 태양전지 유닛의 착색물질포함 부분과 발광부분 사이의 밝기, 청기 및 적기에 있어서의 차이이다)
L, a 및 b값은 D65 광원을 사용한 CIELAB 과정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시스템을 위한 dEab값은 보통 약 10 이상, 바람직하게 약 1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 약 20 내지 100이다. 1개 이상의 색상이 사용된다면, 상기 색상중 적어도 하나는 dEab값을 위한 상기 조건들을 만족시킬 것이다.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착색물질은 태양전지 유닛의 상부에 도포된 개별 착색층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비발생부분의 구조로 통합될 수도 있다. 위장물질(camouflage material)에 대한 설명도 이하에 논의된다.
통상적으로, 활성 태양전지 표면의 일부가 에너지를 발생시키지 않는다는 사실에는 직렬연결의 존재 및/또는 집전 그리드(current collection grid)의 존재와 같은 2가지 이유가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는 버스바도 포함한다. 두 현상 모두 당 분야에 충분히 잘 알려져 있지만, 사용자를 위해 이하에 간략히 설명될 것이다.
태양전지의 최대전압은 입사광의 세기와 전지의 조성, 특히 반도체 물질의 성질에 의해 결정된다. 태양전지의 표면적이 높아지는 경우, 보다 많은 전류가 발생되지만, 전압은 여전히 같다. 전압을 높이기 위해, 태양전지 유닛은 보통 개개의 전지로 나누어지며, 이는 이후에 직렬로 연결된다. 웨이퍼-계 태양전지 유닛의 경우에, 이는 배선에 의해 전지들을 연결함으로써 수행된다. 박막 태양전지 유닛의 경우, 종종 모놀리식 직렬연결, 즉 통상의 캐리어를 통해 각 전지들이 연결된 직렬연결이 성립된다. 보통 다른 활성층에 홈(groove)을 제공하고, 한 전지의 전면전극과 다른 전지의 후면전극사이를 전도성 접촉시킴으로써 모놀리식 직렬연결이 성립된다. 모놀리식 직렬연결의 경우에 직렬연결의 위치는 보통 태양전지 유닛위의 얇은 선으로서 육안으로 볼 수 있다. 박막 태양전지 유닛은 후면전극, 광기전층 및 전면전극이 모두 존재하고, 단락되지 않는 위치에서 에너지를 발생시킬 뿐일 것이다. 3개의 층중 하나가 직렬연결때문에 소실되는 위치 또는 층이 단락되는 위치에서는 에너지가 발생되지 않는다.
태양전지 유닛으로부터의 집전을 개선시키기 위해, 태양전지 유닛은 종종 그리드를 구비한다. 웨이퍼-계 태양전지 유닛의 경우에, 그리드는 PV층위에 적용되며; 박막 태양전지 유닛의 경우에, 전도성이 비교적 안 좋은 TCO로 후면전극이 제조된다면 전면전극 및/또는 후면전극위에 적용되어 (반)투명 태양전지 유닛이 얻어진다.
그리드는 전극내에서 발생되는 전류 캐리어(전자 또는 "정공(hole)")를 쉽게 방전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적용되는 전도성 물질 라인의 패턴이다. 종종, 그리드는 인쇄방법에 의해 적용되고, 보통 은-색상 또는 흑색이다. 태양전지 유닛의 전면이 그리드에 의해 덮여있는 위치에서는, 입사광이 광기전층에 도달하지 않아서 전류가 발생되지 않는다. 안전을 위해, 연단효과의 결과로서 그리드아래의 태양전지 유닛의 일부가 일부 전류를 발생시킨다는 것을 주의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전체 그리드는 착색물질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비발생부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웨이퍼-계 태양전지 유닛의 경우에, 태양전지 유닛의 일부가 에너지를 발생시키지 않는다는 사실은 그리드의 존재덕분이다. 박막 태양전지 유닛의 경우에, 그리드의 존재와 모놀리식 직렬연결의 존재 모두 태양전지 유닛의 일부가 에너지를 발생시키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확실하게 해줄 수 있다.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발생부분중 바람직하게 적어도 50%, 보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85%, 보다 더 바람직하게 적어도 90%가 (의도적으로 제공된)착색물질이 없다. 가장 바람직하게,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발생부분은 본래 착색물질이 없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래 없다"라는 용어는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발생부분이 제조하는중에 피해질 수 없는 정량을 제외하고는 착색물질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유닛은 다수의 특정 구체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유닛의 첫번째 구체예는 후면전극 및, 그리드를 구비한 PV 층을 포함하는 웨이퍼-계 태양전지 유닛이며, 그리드의 적어도 일부는 착색물질을 포함한다. 위에서와 같이, 웨이퍼-계 태양전지 유닛은 보통 배선에 의해 다른 전지들을 연결함으로써 직렬연결된다. 본래 착색물질과 함께 상기 배선을 제공할 수 있지만, 배선은 태양전지 유닛의 뒤에 종종 감춰져 있고, 한편 웨이퍼는 종종 매우 커서 넓은 간격의 직렬연결을 제공하기 때문에 위 사항이 본 발명을 이루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많은 기여를 하지 않을 것이며, 그 위에 착색물질을 제공하는 것은 전체적으로 태양전지 유닛의 색상효과에 거의 기여하지 않을 것이다. 목적한다면, 이하에 설명될 바와 같이 배선이 위장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유닛의 두번째 구체예는 후면전극, PV 층 및, TCO로 제조된 전면전극을 포함하는 박막 태양전지 유닛이며, 그리드는 TCO층위에 제공되며, 그리드의 적어도 일부는 착색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유닛의 세번째 구체예는 후면전극, PV 층 및, TCO로 제조된 전면전극을 포함하는 박막 태양전지 유닛이며, 모놀리식 직렬연결은 태양전지 유닛위에 제공되며, 직렬연결의 결과로서 에너지를 발생시키지 않는 태양전지 유닛의 표면 일부중 적어도 일부는 착색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유닛의 네번째 구체예는 상기 두번째 구체예와 세번째 구체예의 조합이며, 후면전극, PV 층 및, TCO로 제조된 전면전극을 포함하는 박막 태양전지 유닛을 포함하며, 그리드는 TCO층위에 제공되며, 그리드의 적어도일부는 착색물질을 포함하고, 태양전지 유닛은 모놀리식 직렬연결에 의해 제공되며, 직렬연결의 결과로서 에너지를 발생시키지 않는 태양전지 유닛 일부중 적어도 일부는 착색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유닛의 다섯번째 구체예는 후면전극이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로 제조된 (반)투명 박막 태양전지 유닛이며, 후면전극은 그리드를 포함하고, 그리드의 적어도 일부는 착색물질을 포함한다. 그리드는 또한, (반)투명 박막 태양전지 유닛의 TCO 전면전극위에 존재할 수도 있으며, 그리드는 적어도 일부에 착색물질이 포함될 수도 있다. 태양전지 유닛은 또한, 모놀리식 직렬연결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직렬연결의 결과로서 에너지를 발생시키지 않는 태양전지 유닛 일부중 적어도 일부는 착색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경우에, 착색물질은 태양전지 유닛위 또는 양면에 포함될 수 있다.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비발생부분중 얼마나 많은 부분이 착색물질에 의해 덮여지는 것은 목적하는 효과, 착색물질의 색상세기, 태양전지 유닛의 탈색 또는 색상효과의 목적하는 세기, 에너지를 발생시키지 않는 태양전지 유닛의 비율 및 태양전지 유닛의 표면위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비발생부분의 분포에 따라 다를 것이다.
보통, 이하에 논의될 바와 같이 위장물질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비발생부분의 적어도 20%, 바람직하게 적어도 50%, 보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80%가 착색물질을 포함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유닛의 특정 구체예는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비발생부분중 일부가 착색물질을 포함하고,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비발생부분중 다른 일부가 위장물질을 포함한 태양전지 유닛이다. 위장물질은 태양전지 유닛의 색상에 적합하도록 선택되어, 이것이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비발생부분의 일부를 위장시키는 색상의 물질이다. 위장물질의 dEab는 보통 약 5 이하, 바람직하게 약 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 약 0.3 이하이다. 착색물질과 위장물질을 조합하여 사용하면, 균일한 배경위에 태양전지 유닛을 컬러디자인으로 장식할 수 있게 된다. 예상 디자인의 예로는 패턴, 문자, 도안, 스트라이프, 직사각형 및 정사각형이 있다. 본 구체예에서,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비발생부분의 10-90%가 착색물질을 포함하는 반면,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비발생부분의 90-10%가 위장물질을 포함한다.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본 구체예에서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비발생부분의 실질적으로 전체가 착색물질 또는 위장물질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태양전지 유닛위에 착색물질과, 적용가능한 상기 위장물질을 적용하는 다양한 가능한 방법들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2가지 일반적인 방법이 구별될 수 있는데, 즉 개별층으로서 물질을 적용하는 방법 또는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비발생부분의 구조내에 이를 혼입시키는 방법이다.
물질이 개별층으로서 적용된다면, 적당한 방법으로는 증발법 또는 인쇄/기록법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경우 착색물질과, 적용가능한 상기 위장물질은 상기와 같은 인쇄방법에 의해 적용된다. 적당한 인쇄방법으로는 실크 스크리닝(silk screening), 잉크-젯 방법 등이 있다. 착색물질과, 적용가능한 상기 위장물질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적당한 색소와 염료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비발생부분에 사용되는 물질에 색소 또는 염료를 혼입시킬 수도 있다. 이의 특정한 구체예는 그리드를 적용하는데 사용되는 전도성 페이스트에 및/또는, 모놀리식 직렬연결에 사용되는 전도성 또는 절연 페이스트에 색소 또는 염료를 혼입시키는 것이다. 본 방법에서, 색상 또는 위장의 적용은 태양전지 유닛을 제조할때 매우 용이하게 혼입될 수 있다. 그러나, 색소는 보통 비-전도성이기 때문에, 전도성 페이스트의 전도성은 그안의 색소의 존재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이다. 따라서, 개별층을 통해 색상 또는 위장을 적용하는 것이 이 시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경질 유리 캐리어(rigid glass carrier)위의 태양전지 유닛과 같이, 배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태양전지 유닛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WO 98/13882 또는 WO 99/49483에 기술된 바와 같이, 연속방법에 의해 제조된 태양전지 유닛, 특히 롤-투-롤(roll-to-roll) 방법으로 제조된 가요성(flexible) 박막 태양전지 유닛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공보는 가요성 태양전지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과 이 유닛에 사용되는 물질에 관한 것으로서 참고문으로 통합된다.
착색물질과, 적용가능한 상기 위장 물질은 개별제조단계에서 태양전지 유닛위에 적용될 수 있지만, 태양전지 유닛을 제조하는데 적용될 수도 있다. 착색물질과, 적용가능한 상기 위장물질이 제공되는 위치는 정확한 측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태양전지 유닛을 제조할때 착색물질과, 적용가능한 상기 위장물질의 적용을 통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모놀리식 직렬연결이 박막 태양전지 유닛에서 성립되는 방법은 본 발명에 중요하지 않다. 많은 적당한 방법들이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전면전극, 광기전층 및 후면전극을 포함하는 완전한 태양전지 유닛을 캐리어위에 첫번째로 제공하고, 그후 각 전지들에 물질을 분배하고, 직렬연결을 성립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전지들에 분배하고, 직렬연결을 성립시키는 다른 단계들은 태양전지 유닛을 제조하는데 통합될 수 있다. 따라서, 첫번째로 후면전극을 캐리어위에 적용하고, 레이저에 의해 홈을 내어 후면전극을 분할시키고, 광기전층을 분할시키고, 후면전극내 그루브에 인접한 정공 열 또는 홈을 내어 광기전층을 분할시키고, 전면전극을 적용하고, 광기전층내 구획에 인접한 홈에 레이저에 의해 전면전극을 구획시킬 수 있다. 이 방법으로 직렬연결이 성립된다. 또한, 마스크를 사용하면서 특정 층을 적용함에 의해 구획이 제조될 수 있다.
위에서와 같이, 태양전지 유닛은 후면전극, 광기전층 및 전면전극, 종종 캐리어를 포함한다. 캐리어, 후면전극, 광기전층 및 전면전극의 성질은 본 발명에 중요하지 않다. 이하의 설명들은 주로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 제공한다.
캐리어는, 존재한다면 공지된 캐리어이다. 캐리어가 전면전극의 측부에 존재하는 경우, 태양 스펙트럼의 관련부분에 투명해야한다. 캐리어는 유리 또는 투명한 중합체로 제조될 수 있다. 캐리어가 후면전극의 측부에 위치되는 경우, 태양전지 유닛의 용도에 따라 투명하거나 투명하지 않을 수 있다. 적당한 물질로는 중합체 막 또는 금속 호일과 같은 롤-투-롤 방법에 사용하기에 적당한 유리 또는 가요성 물질과 같은 경질의 물질(rigid material)이 있다.
전면전극은 보통 투명한 전도성 산화물(TCO)일 것이다. 적당한 TCO로는 산화주석인듐, 산화아연, 알루미늄-도금 산화아연, 불소-도금 산화아연 또는 붕소-도금 산화아연, 황화카드뮴, 산화카드뮴, 산화주석 및 F-도금 SnO2가 있다.
광기전층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모든 적당한 시스템, 예를 들어 비결정질 실리콘(a-Si:H), 미세결정질 실리콘, 다결정질 실리콘, 비결정질 실리콘 탄화물(a-SiC) 및 a-SiC:H, 비결정질 실리콘-게르마늄(a-SiGe) 및 a-SiGe:H, a-SiSn:H, CIS(구리 인듐 디셀레나이드, CuInSe2), 카드뮴 텔루라이드, Cu(In,Ga)Se, ZnSe/CIS, ZnO/CIS, Mo/CIS/CdS/ZnO 및 염료-민감성 전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물질들의 다-접속(multi-junction) 전지가 사용될 수 있다.
태양전지 유닛의 용도에 따라 반사전극(reflector)으로서 제공할 수 있는 후면전극은 금속층과 광-활성 반도체사이의 ZnO와 같은 유전체 물질의 중간층과 함께, 알루미늄, 은, 몰리브덴, 또는 그의 조합으로 조성될 수 있다. (반)투명 태양전지 유닛에서, 전면전극에 대해 기술된 바와 같이 TCO는 후면전극에 사용된다.
목적한다면, 태양전지 유닛은 환경영향으로부터 유닛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물질(encapsulant)과 같은 추가의 알려진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4)

  1. 에너지를 발생시키지 않는 태양전지 유닛 표면의 일부와 함께, 후면전극, 광기전(PV)층, 및 선택적으로 전면전극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유닛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비발생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착색물질을 포함하는 반면,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발생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착색물질이 없으며, 상기 착색물질의 색상은 태양전지 유닛의 색상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비발생부분의 적어도 20%, 바람직하게 적어도 50%, 보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80%는 착색물질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비발생부분의 일부는 착색물질을 포함하고,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비발생부분의 일부는 위장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위장물질의 색상은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발생부분의 색상에 맞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비발생부분의 10-90%는 착색물질을 포함하며,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비발생부분의 10-90%는 위장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비발생부분중 실질적으로 모든 부분이 착색물질 또는 위장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유닛.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물질의 색상은 착색물질을 포함한 태양전지 유닛 부분과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발생부분사이의 dEab가 적어도 약 10, 바람직하게 적어도 약 12, 보다 바람직하게 약 20 내지 100이 되도록 선택되며, 존재한다면 위장물질의 색상은 위장물질을 포함한 태양전지 유닛 부분과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발생부분 사이의 dEab가 약 5 이하, 바람직하게 약 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 약 0.3 이하가 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유닛.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발생부분은 착색물질이 본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유닛.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유닛은 그리드를 구비하며, 그리드의 적어도 일부는 착색물질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유닛.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유닛은 모놀리식 직렬연결을 갖는 각 전지들을 포함하는 박막 태양전지 유닛이며, 직렬연결에서 얻어지는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비발생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착색물질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유닛.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물질은 둘 이상의 색상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유닛.
  11. 에너지를 발생시키지 않는 태양전지 유닛의 표면중 일부와 함께 후면전극, 광기전(PV)층 및 선택적으로, 전면전극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유닛이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비발생부분의 적어도 일부위에 착색물질과, 선택적으로 위장물질을 포함하는 반면, 태양전지 유닛의 에너지-발생부분의 적어도 일부에는 착색물질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컬러 태양전지 유닛의 제조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착색물질 및/또는, 적용가능한 상기 위장물질은 인쇄방법에 의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태양전지 유닛의 제조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착색물질 및/또는, 적용가능한 상기 위장물질의 적용은 롤-투-롤(roll-to-roll) 방법으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태양전지 유닛의 제조방법.
  14.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착색물질 및/또는, 적용가능한 상기 위장물질의 적용이 태양전지 유닛을 제조하는데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태양전지 유닛의 제조방법.
KR1020037002865A 2000-09-08 2001-09-05 착색된 태양전지 유닛 KR1008703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16135 2000-09-08
NL1016135 2000-09-08
PCT/EP2001/010245 WO2002021602A1 (en) 2000-09-08 2001-09-05 Colored solar cell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158A true KR20030034158A (ko) 2003-05-01
KR100870376B1 KR100870376B1 (ko) 2008-11-25

Family

ID=19772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2865A KR100870376B1 (ko) 2000-09-08 2001-09-05 착색된 태양전지 유닛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227078B2 (ko)
EP (1) EP1342273A1 (ko)
JP (1) JP2004508729A (ko)
KR (1) KR100870376B1 (ko)
CN (1) CN1219330C (ko)
AU (2) AU9554401A (ko)
CA (1) CA2421257A1 (ko)
WO (1) WO20020216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642B1 (ko) * 2005-05-10 2007-08-23 심포니에너지주식회사 태양광 전지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23189A (en) * 2005-02-15 2006-08-16 Martin Lister Coloured solar cell
JP4324970B2 (ja) * 2005-03-28 2009-09-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画像表示装置、光電変換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8168880B2 (en) * 2006-04-26 2012-05-01 Certainteed Corporation Shingle with photovoltaic element(s) and array of same laid up on a roof
US8319093B2 (en) * 2006-07-08 2012-11-27 Certainteed Corporation Photovoltaic module
US20080178928A1 (en) * 2006-12-29 2008-07-31 Bp Corporation North America Inc. Photovoltaic Modules with a Transparent Material Having a Camouflaged Pattern
US20080271773A1 (en) * 2007-05-01 2008-11-06 Jacobs Gregory F Photovoltaic Devices and Photovoltaic Roofing Elements Including Granules, and Roofs Using Them
CN101803044B (zh) * 2007-06-21 2013-03-27 圣戈本玻璃法国公司 太阳能电池器件、生产方法及用途
US8946544B2 (en) * 2007-06-28 2015-02-03 Certainteed Corporation Photovoltaic devices including cover elements, and photovoltaic systems, arrays, roofs and methods using them
WO2009061956A1 (en) * 2007-11-06 2009-05-14 Ming-Liang Shiao Photovoltaic roofing elements and roofs using them
CA2704954A1 (en) 2007-11-07 2009-05-14 Certainteed Corporation Photovoltaic roofing elements and roofs using them
AU2008329725B2 (en) * 2007-11-28 2014-04-10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Solarturf: solar energy harvesting artificial turf
WO2009089236A2 (en) 2008-01-08 2009-07-16 Certainteed Corporation Photovoltaic module
US8104203B2 (en) * 2008-07-02 2012-01-31 Solaire Generation, Inc. Solar power generation display assembly and method for providing same
DE102008036804A1 (de) * 2008-08-07 2010-02-11 Siemens Aktiengesellschaft Solarmodul mit Abdeckung und Verfahren zum unkenntlich machen eines Solarmoduls
US20100037948A1 (en) * 2008-08-14 2010-02-18 Integrated Digital Technologies, Inc. Solar cells provided with color modulation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102290460B (zh) * 2010-06-17 2013-06-19 晶城科技有限公司 彩色太阳能模块构造
US20120067391A1 (en) 2010-09-20 2012-03-22 Ming Liang Shiao Solar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system, and process for making same
CN102058174A (zh) * 2010-10-28 2011-05-18 江苏法诗菲服饰有限公司 保暖色彩针织衫
TWI413130B (zh) * 2010-11-16 2013-10-21 Nat Univ Tsing Hua Solar cells with positive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CN102479831A (zh) * 2010-11-24 2012-05-30 吉富新能源科技(上海)有限公司 图样可调式或可设计的薄膜太阳能电池
US8586403B2 (en) 2011-02-15 2013-11-19 Sunpower Corporation Process and structures for fabrication of solar cells with laser ablation steps to form contact holes
US8088990B1 (en) 2011-05-27 2012-01-03 Auria Solar Co., Ltd. Color building-integrated photovoltaic (BIPV) panel
TWI431790B (zh) * 2011-09-01 2014-03-21 Gintech Energy Corp 太陽能電池
KR101230973B1 (ko) * 2011-11-22 2013-02-0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후면 tco층을 구비한 cis/cigs계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6048047B2 (ja) * 2012-10-02 2016-12-21 凸版印刷株式会社 色素増感太陽電池および色素増感太陽電池用光電極
USD754064S1 (en) 2013-08-05 2016-04-19 Sunpower Corporation Solar power generation assembly
USD751976S1 (en) 2013-08-05 2016-03-22 Sunpower Corporation Solar power generation assembly
USD774450S1 (en) 2013-08-05 2016-12-20 Sunpower Corporation Photovoltaic sundial assembly
USD819137S1 (en) 2013-08-05 2018-05-29 Sunpower Corporation Column cover
CN103707634B (zh) * 2013-12-17 2016-11-23 衡水英利新能源有限公司 光伏组件自动分色印刷装置
EP3248223A1 (en) 2015-01-23 2017-11-29 Sistine Solar, Inc. Graphic layers and related methods for incorporation of graphic layers into solar modules
US11161369B2 (en) 2015-01-23 2021-11-02 Sistine Solar, Inc. Graphic layers and related methods for incorporation of graphic layers into solar modules
NL2019442B1 (en) * 2017-08-24 2019-03-07 Un Studio Method for providing a photovoltaic module
AU2019299000B2 (en) 2018-07-06 2023-01-19 Merlin Solar Technologies, Inc. Method for blackening a metallic article
FR3089347B3 (fr) * 2018-12-03 2020-12-04 Total Solar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laminât flexible de cellules photovoltaïques
JP2021036566A (ja) * 2019-08-30 2021-03-04 Tdk株式会社 時計用ソーラーセル
US11558010B2 (en) 2021-02-22 2023-01-17 Merlin Solar Technologies, Inc. Method for blackening an electrical condui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782A (ja) * 1982-07-08 1984-01-18 Fuji Photo Film Co Ltd 放射線増感スクリ−ン
JPS63213978A (ja) * 1987-03-03 1988-09-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モルフアス太陽電池
JPS63299171A (ja) * 1987-05-28 1988-12-06 Kyocera Corp 光起電力装置
JPH0294575A (ja) * 1988-09-30 1990-04-05 Taiyo Yuden Co Ltd 光起電力装置
JPH07297433A (ja) * 1994-04-21 1995-11-10 Canon Inc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H08204220A (ja) * 1995-01-31 1996-08-09 Mitsubishi Electric Corp 太陽電池セル、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群
JP4063896B2 (ja) * 1995-06-20 2008-03-1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有色シースルー光起電力装置
JPH1093125A (ja) * 1996-09-13 1998-04-10 Sanyo Electric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
AU735142B2 (en) 1996-09-26 2001-07-05 Akzo Nobel N.V. Method of manufacturing a photovoltaic foil
JPH1197733A (ja) 1997-09-18 1999-04-09 Sanyo Electric Co Ltd 光起電力装置
CN1142597C (zh) * 1998-03-25 2004-03-17 Tdk株式会社 太阳能电池组件
EP0948004A1 (en) 1998-03-26 1999-10-06 Akzo Nobel N.V. Method for making a photovoltaic cell containing a dye
JP3049238B1 (ja) * 1998-12-22 2000-06-05 株式会社日野樹脂 太陽電池モジュ−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642B1 (ko) * 2005-05-10 2007-08-23 심포니에너지주식회사 태양광 전지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42273A1 (en) 2003-09-10
WO2002021602A1 (en) 2002-03-14
AU2001295544B2 (en) 2006-05-11
CN1452790A (zh) 2003-10-29
US7227078B2 (en) 2007-06-05
KR100870376B1 (ko) 2008-11-25
US20030178058A1 (en) 2003-09-25
AU9554401A (en) 2002-03-22
CN1219330C (zh) 2005-09-14
CA2421257A1 (en) 2002-03-14
JP2004508729A (ja) 200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0376B1 (ko) 착색된 태양전지 유닛
AU2001295544A1 (en) Colored solar cell unit
Soman et al. Colored solar cells with spectrally selective photonic crystal reflectors for application in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s
EP2363864B1 (en) Conductive aluminum paste and the fabrication method thereof, the solar cell and the module thereof
Ross et al. The impact of luminescent down shifting on the performance of CdTe photovoltaics: impact of the module vintage
CN209000924U (zh) 双面光伏组件
AU2021203356B2 (en) Solar cell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solar cell module including the same
ITVA20090011A1 (it) Pannello solare con due moduli fotovoltaici multicellulari monolitici di diversa tecnologia
US11121277B2 (en) Solar module with homogeneous color impression
DE112010005950T5 (de) Photovoltaikvorrichtung und Herstellungsverfahren für diese
EP2811537A2 (en) Photoelectric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16597608U (zh) 一种光伏组件
JPH10308525A (ja) 太陽電池装置
CN207909894U (zh) 一种具有改善视觉效果的叠片组件
KR101823689B1 (ko)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063893A2 (en) A cover member for a photovoltaic device
KR101374713B1 (ko) 광기전력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CN217485458U (zh) 太阳能电池、光伏组件
CN116314403A (zh) 双色组件
WO2021162640A1 (en) An improved photovoltaic device
KR20230060269A (ko) 양면수광형 투명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10384A (ko) 광기전력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aram Improving polymeric materials for use in solar cell applications
JPH11220148A (ja) アモルファスシリコン太陽電池
JPS6135570A (ja) アモルフアスSi光起電力素子および光電変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