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3086A - 기록매체, 그 기록장치, 그 기록방법, 그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 - Google Patents

기록매체, 그 기록장치, 그 기록방법, 그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3086A
KR20030033086A KR10-2003-7004659A KR20037004659A KR20030033086A KR 20030033086 A KR20030033086 A KR 20030033086A KR 20037004659 A KR20037004659 A KR 20037004659A KR 20030033086 A KR20030033086 A KR 20030033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ncoded
recording
block
encoded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4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2973B1 (ko
Inventor
히노야스모리
유미타쇼헤이
이노우에다카시
하시모토기요카즈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3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3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9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46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 G11B20/10055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using partial response filtering when writing the signal to the medium or reading it therefro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46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 G11B20/10212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compensation for data shift, e.g. pulse-crowding effec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125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 blocks are arranged within multiple radial zones, e.g. Zone Bit Recording or Constant Density Recording discs, MCAV discs, MCLV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11B20/1403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leve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11B20/1403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levels
    • G11B20/1423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 G11B20/1426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conversion to or from block codes or representation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45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5/00Conversion of the form of the representation of individual digits
    • H03M5/02Conversion to or from representation by pulses
    • H03M5/04Conversion to or from representation by pulses the pulses having two levels
    • H03M5/14Code representation, e.g. transition, for a given bit cell depending on the information in one or more adjacent bit cells, e.g. delay modulation code, double density code
    • H03M5/145Conversion to or from block codes or representation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22ECC block, i.e. a block of error correction encoded symbols which includes all parity data needed for deco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11B2020/1287Synchronisation pattern, e.g. VCO fiel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실효적인 기록밀도가 높고, 에러정정능력이 높은 데이터를 기록매체, 그 기록장치 및 재생장치를 제공한다. 기록장치는,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을 포함하는 부호화방식에 의해 입력데이터를 부호화하여 부호화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부호화데이터로 이루어지는 1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여러 개의 데이터블록으로 분할하여 출력하는 부호화부와, 적어도 1개의 상기 데이터블록의 선두에 전(前)의 상기 데이터 블록의 최후의 1비트의 부호화데이터와 같은 값의 데이터를 추가하는 데이터추가부와, 기록부를 갖는다. 해당 기록장치에 의해, 프리피트영역과 상기 프리피트영역에 의해서 분단된 복수의 데이터기록영역을 갖는 기록매체의 각 데이터기록영역에, 상기 추가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블록을 각각 기록한다.

Description

기록매체, 그 기록장치, 그 기록방법, 그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RECORD MEDIUM, ITS RECORDER, ITS RECORDING METHOD, ITS REPRODUCING APPARATUS, AND ITS REPRODUCING APPARATUS}
근년 기록매체에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기록포맷이 제창되어 있다.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종래 예의 광디스크의 기록포맷을 설명한다.
도 12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l-7)부호화방식을 사용한 기록포맷의 광자기디스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a)는 종래 예의 광자기디스크의 개략적인 전체구성이다.
도 12(a)에 있어서, 광자기디스크(1201)는 광자기디스크의 안둘레에서 바깥둘레를 향하는 나선형상의 기록트랙을 갖는다.
기록트랙은, 광자기디스크의 반지름방향으로 늘어나는 프리피트영역(헤더영역) (1203)에 의해 복수의 데이터 기록영역(1202)으로 분할되어 있다.
프리피트영역(헤더영역)(1203)은 복수의 프리피트로 형성된 프리포맷데이터를 포함하여, 해당 프리포맷데이터는 63바이트(Byte)의 헤더부를 구성한다.
프리피트영역(1203)에 기록되어 있는 헤더부와, 데이터기록영역(1202)에 기록되어 있는 GAP 등을 합해서, 1개의 섹터를 형성한다(도 12(b)).
도 12(b)에 나타내는 괄호내의 숫자는 각각의 데이터의 바이트수를 나태낸다.
63바이트의 헤더부(1203)는, 섹터선두를 나타내는 8바이트의 섹터마크(SM) (1210)와, ID를 재생하기 위한 동기클럭 생성용의 26바이트의 VFO1 (Variable Frequency Oscillator, 1211) 및 16바이트의 VFO2(1214)와, 1바이트의 AM(1212 및 1215)과, 섹터의 어드레스정보를 포함하는 5바이트의 ID1(1213) 및 5 바이트의 ID2(1216)와, 1바이트의 포스트 앰블(PA, 1217)을 포함하여, 프리피트로 데이터가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기록영역(1202)은, 8바이트의 GAP(1204), 27바이트의 VFO3(l205)4바이트의 Sync(동기, 1206), 2458바이트의 데이터필드(l207), 1바이트의 포스트앰블(후치(後置)데이터, PA, (1208)), 및 23바이트의 버퍼부(l209)를 포함하고, 수직자기이방성을 갖는 기록막을 자화(磁化)함에 의해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VFO3(l205)은 반복의 일정패턴의 신호로서 데이터필드(1207)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읽어내기 위한 클럭의 동기를 취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또한 Sync(1206)는 다음에 오는 데이터필드(1207)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바이트동기를 취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Sync(1206)는 데이터필드(1207)에 기록되어 있는 선두데이터의 부호화 또는 복호화를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더라도 좋다.
데이터필드(1207)에는 (1-7)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해당 부호화된 데이터의 사이에는, 재동기신호(ReSync신호)가 일정간격으로 반복하여 삽입되어 있다. 디스크의 결함 등에 기인하는 동기는 편차가 있더라도, 재동기신호에 의해서 동기를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포스트앰블(후치데이터)(1208)은 (1-7)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기록신호의 최종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한 신호이고 1바이트의 데이터이다. 포스트 앰블 (1208)에 의해, (l-7)부호화방식에 의한 부호화 및 복호화가 섹터내에서 완결한다.
버퍼부(1209)는 모터의 회전변동이나 기록 기준클럭의 지터(Jitter)를 흡수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기록시의 회전변동에 의한 기록위치의 위상오차는, VFO3(l205), 데이터필드 (1207)에 삽입되어 있는 재동기신호, 및 버퍼부(1209)에 의해서 흡수된다.
섹터단위로 데이터처리를 완결하기 위해서, 데이터필드(1207) 및 그 밖의 신호는 1바이트의 정수배의 데이터량을 갖는다.
(1-7)부호화방식에 대해서 표 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기록데이터에 DC성분이 포함되면, 파형간섭, 저주파성분에 의한 파형변형, 또는 재생시의 데이터클럭의 위상동기편차 등의 문제를 발생한다.
그래서, 부호화데이터가 일정이상의 DC성분을 포함하지 않은 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한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호화데이터에 포함되는 DC성분을 억제하기 위해서, 변환후의 부호화데이터가 일정이상의 길이로 연속하는 동일한 값의 비트열을 포함하지 않도록 하는 부호화방식, 즉 런랭스(Run-length, 연속하는 동일한 값의 비트열의 길이)를 제한한 부호화방식인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이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0이 일정한 수 이상 연속하지 않도록 한다.)
(1-7)부호화방식은 런랭스를 제한한 부호화방식의 하나로서, 변환후의 부호화데이터에 있어서는, 값 1이 연속하는 일이 없이(1의 앞뒤는 반드시 0이다), 값 0이 연속하는 개수(비트수)의 최대치는 7에 제한되어 있다(연속하는 0의 개수는 1개∼7개).
(1-7)부호화방식에 의해, 1 비트의 부호화데이터의 시간길이를 T로 하면, 임의의 0에서 1로의 변이점으로부터 다음의 0에서 1로의 변이점까지의 시간길이는, 2T에서 8T까지의 사이의 시간길이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의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고, 재생신호로부터 클럭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7)부호화방식의 부호화데이터를 더욱 NRZI방식(Non-Return to Zero Inversion)에 의해 부호화함에 의해, 정보를 잃는 일없이 신호의 기본주파수를 2분의 1로 내릴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를 올릴 수 있다. 1이 연속하지 않은 (1-7)부호화방식의 부호화데이터를 NRZI방식으로 부호화하는 것은, 사실상 해당 부호화데이터를 2분의 1로 분주하는 것을 의미한다.
표 1에 나타내는 변환테이블을 사용하여 (1-7)부호화방식의 부호화규칙을 설명한다. (1-7)부호화방식에 있어서는, 2비트의 입력데이터를 3비트의 부호화데이터로 부호화한다. 그 부호화변환규칙은, 바로 전의 부호화에 의해 생성된 1비트의 부호화데이터, 부호화하고자 하는 2비트의 입력데이터 (부호화의 대상인 입력데이터), 및 해당 부호화하고자 하는 입력데이터에 후속하는 2비트의 입력데이터(다음에 부호화하는 데이터)의 조합에 의해서 결정된다.
표 1
한편, (1-7)부호화방식에 의한 복호화에 있어서는, 부호화된 3비트의 부호화데이터를, 표 2에 나타내는 역변환테이블을 사용하여 2비트의 데이터에 복호화한다. 그 복호화변환규칙은, 직전에 복호화의 대상이었던 3비트의 부호화데이터의 최후의 2비트, 복호화하고자 하는 3비트의 부호화데이터(복호화의 대상인 입력데이터), 및 해당 복호화하고자 하는 부호화데이터에 후속하는 2비트의 부호화데이터(다음에 복호화하는 부호화데이터)의 조합에 의해서 결정된다.
표 2
이와 같이 (1-7)부호화방식에 있어서는, 부호화된 부호화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해서는 복호화의 대상인 부호화데이터뿐만 아니라, 그 부호화데이터의 전에 복호화의 대상이었던 부호화데이터 및 후속하는 부호화데이터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도 12에 나타낸 기록포맷에서, 각 섹터의 데이터부(1207)의 전에 전치(前置) 부호화데이터를 포함하는 Sync(1206)를 배치함으로써 선두의 데이터를 복호화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데이터부(1207)의 뒤에 포스트앰블(후치(後置)데이터)(1208)을 배치함으로써 최후의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른 부호화방식에 있어서는 부호화 또는 복호화에 있어 앞뒤의 데이터를 필요로 하지 않고, 부호화에 있어서는 일의적(一義的)으로 소정길이의 데이터열이 소정의 변환테이블에 의해서 소정길이의 부호화 데이터열에 변환되고, 복호화에 있어서는 일의적으로 소정길이의 부호화 데이터열이 소정의 변환테이블에 의해서 소정의 길이의 데이터열로 변환된다. 이러한 부호화방식을 채용하고 있는 경우는, 상기한 바와 같이 데이터부의 앞뒤에 복호화를 위한 데이터를 부가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ASMO라고 불리는 규격에 있어서는 이러한 부호화방식의 1종인 NRZI방식을 채용함에 의해, 분할된 데이터기록영역에의 분산기록을 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광메모리에 있어서는, 신호의 재생분해능은 거의 재생광의 파장 λ과 대물렌즈의 개구수(NA)로 결정되고, 검출한계의 피트주기는 거의 λ/ (2·NA)이었다. 그러나 근년, 재생광의 파장을 짧게 하거나, 대물렌즈의 개구수를크게 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기록매체나 재생방법을 고안하여 정보의 기록밀도를 올리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광자기기록매체(광자기디스크)에서는 정보의 기록밀도를 올리기 위한 여러 가지 시도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6-290496호 공보에는, 재생용 광 빔에 다다른 자벽 (磁壁)을 차례 차례로 이동시켜, 이 자석벽의 이동을 검출함으로써 상기의 파장과 대물렌즈의 개구수로 결정되는 검출한계를 넘어서 재생분해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DWDD방식). 이 기술에서는, 재생용 광 빔에 다다르면 자벽이 이동하는 제 1 의 자성층인 재생층, 기록신호를 유지하는 기록층, 기록층과 재생층의 자기적인 결합을 제어하는 스위칭층 중 적어도 1층 또는 모든 층이 각 정보트랙사이에서 자기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면, 특별히 양호한 재생신호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의 바꿔쓰기를 행하는 데이터영역은 DWDD방식 등의 초해상기술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기록밀도를 λ/(2·NA)의 광학한계를 넘어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프리포맷된 어드레스나 트래킹을 하기 위한 제어정보는 광디스크상에 요철의 피트로 새겨진다. 이들의 피트의 기록밀도는, λ/(2·NA) 의 값에 의존하는 재생한계에 의해 일정한 제한을 받는다. 이것은, 광디스크의 기록밀도의 저하나 포맷효율의 저하라는 문제를 발생한다. 이 점에 관해서 이하 간단히 설명한다.
종래의 광디스크는, 홈이나 홈 사이를 기록트랙으로서 사용한다. 이 홈으로부터 트래킹 제어용의 신호를 얻기 위해, 트랙피치가 이 홈으로부터의 트래킹가이드신호를 얻기 위한 광학적인 분해능의 제한이 생긴다. 이 때문에, 트랙피치를좁게 하는 것이 대단히 곤란하게 되어 있었다. 종래의 기록재생방식에서는, 트랙피치를 좁게 하면 인접트랙에서의 크로스토크에 의해서 재생이 곤란하게 된다. 이 크로스토크에 의해서 제한되는 트랙피치와 홈에서의 트래킹신호를 얻기 위한 하한의 트랙피치가 거의 동등하기 때문에, 이 문제는, 종래의. 광디스크에서는 큰 과제가 되지 않았다. 그러나, DWDD를 사용한 재생방식에서는, 자벽이동에 의한 초해상동작에 의해서 신호를 읽어내기 위해서 인접트랙에서의 크로스토크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이상의 트랙밀도로 기록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트래킹가이드신호를 얻기 위해서 트랙피치의 제한에 의해서 트랙밀도의 향상을 실현할 수 없었다. 이 과제를 극복하는 수단으로서, 인접트래킹사이에서 트래킹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워블피트를 공용하여, 데이터기록영역이 홈에서 구성된 샘플서보방식의 광디스크가 제안되어 있다.(본 출원의 발명자와 동일발명자에 의한 특허출원인, 일본국 특원 2000-188200, PCT/JP01/05232(현재 미공개의 특허출원이고, 종래 기술이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해 고밀도의 트랙피치가 실현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피트부의 기록밀도가, λ/(2·NA)의 값에 의존하는 재생한계제한을 받는 것은, 포맷효율의 점에서 이하와 같은 문제를 발생한다.
예를 들면, 어드레스가 40바이트, 데이터가 2048바이트의 섹터를 고려한 경우, 종래의 광디스크(초해상 재생방식을 채용하지 않는 미디어)에서는, 어드레스부 (어드레스가 기록되는 영역)의 기록밀도가 0.5㎛/비트이고, 데이터부(데이터가 기록되는 영역)의 기록밀도도 마찬가지로 0.5㎛/비트정도가 된다.
이 경우, 어드레스데이터가 전체데이터를 차지하는 비율(‘어드레스용장도’라고 한다.)은, 0.5 ×40 ×8/(0.5 ×(40 + 2048) ×8) = 1.91%가 된다.
DWDD방식(또는 CAD방식, FAD (Front Aperture Detection)방식 또는 RAD(Rear Aperture Detection)방식 등)과 같은 초해상 재생방식을 사용한 광디스크에서는, 어드레스부의 기록밀도는 0.5㎛/비트이지만, 데이터부의 기록밀도가 0.1㎛/비트 정도가 되기 때문에, 어드레스용장도가 0.5 ×40 ×8 /((0.5 ×40 + 0.1 ×2048) × 8) = 8.9%로 대폭 증대한다. 이 포맷효율의 결점은, 1섹터에 1개의 어드레스가 부가된 종래의 광디스크의 포맷구조에 유래하는 것이다.
이 포맷효율의 결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디스크를 복수의 세그먼트에 분할하여, 이 세그먼트에 1피트의 어드레스를 부가하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본 출원의 발명자와 동일발명자에 의한 특허출원인, 일본국 특원평 11-021885, 일본국 특원평 11-329265, 일본국 특원 2000-339516(현재 미공개의 특허출원이고, 종래 기술이 아니다.)). 이것은, 어드레스와 섹터의 1 대 1의 대응관계를 해소함으로써 포맷효율의 향상을 하고 있다.
DWDD 등의 초해상기술을 사용하여 광디스크의 고밀도화를 실현하는 경우, 트랙밀도의 향상이 필요하게 되지만, 기록·재생광의 광학적인 분해능을 넘은 트랙밀도가 불가결하게 된다. 이 고밀도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기술에서 기재한 바와 같은 트래킹방식으로서 샘플서보방식이 필요 불가결하게 된다. 샘플서보방식의 경우는, 1회의 고쳐쓰기 단위인 섹터의 데이터를 분할하여 복수의 세그먼트에 기록한다. 이 데이터의 분할기록을 실현하기 위해서 종래의 샘플서보방식을 사용한 광디스크장치에서는, 기록재생시에 앞뒤 데이터의 의존관계 없이 변복조를할 수 있는 변조부호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HS규격에서는 NRZI변조방식, ASMO의 규격에서는 NRZI + 변조방식, 포지션 변조방식으로서는, 4-15 변조방식 등이다. 이들의 변조부호는, 런랭스의 제한이 없는 부호나, 있어도 상당히 런랭스제한이 긴 부호이다.
그러나 DWDD를 사용한 기록재생막으로 고밀도기록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배선막의 재생특성에 유래하는 변조부호의 제한이 발생한다. DWDD의 재생신호는, 광 빔의 진행방향측의 자벽이 이동함으로써 발생한다. 그러나, 기록하는 마크의 길이가 길어지면, 광 빔의 진행방향과 반대측의 자벽의 이동도 발생한다. 이 자벽이동에 의해서 발생하는 신호는 고스트신호라고 불리고, 데이터의 재생에, 현저한 해를 미치게 한다. 이 때문에, 고스트신호의 발생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고스트신호는, 기록 마크의 길이가 있는 일정이상으로 하면 발생하는 확률이 높아진다. 이 때문에 DWDD 기록막에 기록되는 기록마크의 길이는 될 수 있는 한 짧은 쪽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DWDD에 사용하는 변조방식으로서는, 런랭스 제한이 있는 1-7부호 , 2-7부호 등이 적절한 부호가 된다.
또한, 디스크의 기록용량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선(線)기록밀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이 경우, DWDD방식의 기록재생막에 기록·재생할 수 있는 마크의 길이의 한계가 선기록밀도의 한계를 결정하게 된다. 이것은 DWDD방식의 재생신호강도가 재생광의 광학적인 분해능에 전혀 의존하지 않기 때문이다. 통상, DWDD방식의 기록재생막에 기록·재생할 수 있는 마크의 길이의 한계는, 약 0.1㎛ 정도가 된다. 이 기록재생 할 수 있는 마크길이의 한계이상으로 1 비트당의 기록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도, 런랭스제한을 가지는 부호화를 하여 데이터를 기록·재생을 한 쪽이 유리하게 된다. 예를 들면, l-7부호화를 하면, 기록할 수 있는 최단의 마크길이가 0.1㎛의 경우, 선기록밀도는 0.075㎛/비트, 또는 2-7부호화를 한 경우에는, 마크길이가 0.1㎛의 경우, 선기록밀도는 0.067㎛/비트로 기록할 수 있는 최단의 마크길이보다도 1비트당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기록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종래의 기술로 기재한 ASMO라고 불리는 규격에 있어서도, 고쳐쓰기 단위인 섹터를 복수의 기록영역으로 분할하여 NRZI + 방식부호화를 하여 기록을 하고 있다. 이 NRZI + 부호화는 런랭스의 제한이 대단히 길고, 재생신호로부터 복조용의 클럭을 추출하는 것은 곤란하게 된다. 이 때문에 ASMO의 규격에서는 기록재생용의 클럭을 디스크에 미리 새겨진 비트에서 생성하는 외부클럭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샘플서보방식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디스크에 미리 새겨진 피트로부터 기록재생의 클럭이 생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DWDD방식과 같은 초해상방식을 사용하여 선기록밀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면 아래와 같은 과제가 발생한다. 기록재생의 기준클럭을 생성하는 클럭피트는, 초해상의 재생은 할 수 없기 때문에 재생한계는 광 빔의 광학한계가 된다. 통상 이 한계는 약 0.5㎛ 정도가 된다. 이에 비하여 초해상방식에 의해서 읽어내어지는 DWDD방식의 신호는, 재생한계가 하여 1㎛ 정도로 5배 이상의 재생한계가 높아지고 있고, 0.5㎛의 재생한계로 추출된 재생클럭에서는, O.1㎛의 마크를 재생하기 위한 클럭으로서의 불충분하여 클럭의 정밀도가 부족하다. 이 때문에 초해상방식에 의해 고밀도화 실현하기 위해서는 재생신호로부터 정밀도가 높은 재생클럭을 추출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종래의 ASMO의 규격이나 샘플서보방식의 광디스크에서는, 클럭피트에서 재생클럭을 추출하는 것이 전제가 되어 있고, 변조부호도 재생클럭을 재생신호에서 추출할 수 없는 변조방식이 사용되고 있었다. 고쳐쓰기 단위인 섹터를 복수의 기록영역으로 분할하여 기록을 하는 종래의 샘플서보방식 등의 광디스크의 시스템에 있어서, DWDD 방식 등의 초해상을 사용한 고밀도 기록재생을 할 수 없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예를 들면 (1-7)부호화방식 등)을 사용하여 기록마크길이의 최단과 최장의 길이를 제한하여, 길이마크에서의 고스트나 단위마크의 비트재생불량을 방지하여, 상기 런랭스제한에서 발생하는 재생신호의 반전부에서 재생용의 클럭을 추출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트랙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샘플서보방식을 사용할 필요가 있고,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고쳐쓰기 단위인 섹터를 복수의 영역인 세그먼트로 분할하여 기록할 필요가 생긴다. 그러나, 상기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에 있어서는, 부호화 및 복호화를 1개의 섹터 또는 1개의 연속하는 데이터기록영역 내에서 완결하기 위해서, 기록되는 부호화데이터의 앞뒤에 각각 전치(前置)데이터 및 후치(後置)데이터를 배치해야 한다.
그러나, 기록되는 부호화데이터의 앞뒤에 각각 전치데이터 및 후치데이터를 배치하는 것은, 해당 기록매체의 실효적인 데이터기록밀도를 저하시킨다.
특히, 기록트랙이 대부분의 데이터기록영역에 분할되어 있고 또한 부호화 및 복호화가 1개의 연속하는 데이터기록영역 내에서 완결하도록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예를 들면, 디스크형상의 기록매체의 1주(周)가 1000개 이상의 데이터기록영역에 분할되어 있는 경우), 해당 기록매체의 실효적인 데이터기록밀도(단위면적당의 기록데이터의 데이터량(채널비트수)을 부호화 전의 데이터(입력데이터)의 데이터량으로 환산한 밀도)는 크게 저하한다.
또한 샘플서보방식에 의해 트랙밀도를 향상시켜서 고쳐쓰기 단위인 섹터를 복수의 영역인 세그먼트로 분할하여 기록하는 경우 아래와 같은 과제도 발생한다. 트래킹서보신호를 검출하는 비트영역근방의 데이터기록영역에서 프리피트영역의 영향을 받아 데이터기록영역의 복수굴절이 변화하여, 이것이 재생신호의 엔벨로프변동이 된다.(이 엔벨로프의 변동을, 이하 스큐변형으로 한다.) 재생장치에 있어서, 해당 스큐변형에 의해 재생신호의 2치화(1비트의 디지탈화)가 곤란하게 되어, 프리피트영역의 근방이 데이터기록영역으로서, 사용할 수 없어 고밀도화의 광디스크의 기록밀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었다. 또한, 될 수 있는 한 이 스큐변형을 작게 하여, 프리피트영역근방의 데이터기록영역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 경우 이 스큐변형이, 재생을 하는 광픽업의 P편광과 S편광에서의 위상차에 의해서 크게 변화하여, 스큐변형이 적은 재생을 하기 위해서는, 광픽의 위상차를 ±5°이내로 할 필요가 있다. 이것도 고밀도의 광디스크의 실용화를 곤란한 것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고쳐쓰기 단위인 섹터데이터를 런랭스제한을 부가된 부호화를 하여,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기록하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고밀도인 광디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데이터기록영역이 광학적인 분해능을 넘은 초해상방식에 의해서 기록재생을 하는 기록재생매체의 경우, 본 발명은 더욱 큰 효과를초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큐변형을 갖는(저주파의 파형변형)재생신호 또는 연속하는 2개의 재생신호의 차분신호를 정확히 2치화하는 것이 용이한 데이터를 기록한 기록매체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한 기록매체, 그 기록장치, 그 기록방법, 그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광자기디스크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세그먼트의 개략적인 확대도이고, 도 1(c)은, 세그먼트에 기록된 데이터의 아날로그재생신호의 파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광자기디스크의 데이터 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광자기디스크의 기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록장치의 기입/읽어내기 제어부가 RAM에 기입한 부호화데이터를 읽어 내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NRZI변환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1-7)부호화방식의 부호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1-7)부호화방식의 부호화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광자기디스크의 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1-D)연산기의 각부의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l-7)부호화방식의 복호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l-7)부호화방식의 복호화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2(a)는 종래의 광자기디스크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b)는 종래의 광자기디스크의 포맷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예 4의 광자기디스크의 기록방법의 플로차트이다.
도 14는, 실시예 5의 광자기디스크의 재생방법의 플로차트이다.
도 15는, 실시예 6의 광자기디스크의 재생방법의 플로차트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부호화데이터의 복호화의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일부 또는 전부는, 도시를 목적으로 한 개요적 표현에 의해 그려지고 있고, 반드시 거기에 나타난 요소의 실제의 상대적 크기나 위치를 충실히 묘사하고 있다고는 한정되지 않은 것은 고려하기 바란다.
제 1 의 발명은, 프리피트를 갖는 프리피트영역과, 상기 프리피트영역에 의해서 분단된 데이터기록영역으로서, 또한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을 포함하는 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부호화데이터로 이루어지는 1개의 데이터스트림을 분할한 데이터블록을 기록한 복수의 데이터기록영역을 갖고, 적어도 1개의 데이터기록영역에서, 적어도 1비트의 소정의 값의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블록의 전에 더욱 기록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이다.
종래의 기록매체에 있어서는, 1개의 데이터기록영역에서 부호화 및 복호화를 완결시키고 있었다.
예를 들면, 런랭스리미트 부호화방식을 채용한 종래의 기록매체에 있어서는, 각 데이터기록영역에 전치의 데이터와, 데이터 블록과, 후치의 데이터를 기록하여, 각 데이터기록영역마다 부호화 및 복호화가 완결되는 구성을 갖고 있었다.
각 데이터기록영역의 선두에 전치의 데이터(예를 들면 001 등)를 추가하여 기록함에 의해 데이터블록의 선두의 데이터를 복호화 할 수 있고, 각 데이터기록영역의 최후에 일정한 데이터(예를 들면 001 등)를 추가하여 기록함에 의해,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데이터(추가한 데이터를 제외한다.)를 복호화 할 수 있다.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을 채용한 종래의 기록매체에 있어서는 1개의 데이터기록영역마다 부호화 및 복호화를 완결시키고 있었기 때문에, 각 데이터기록영역의 선두 및 최후에 복호화용의 데이터를 추가기록할 필요가 있고, 기록매체전체에서의 실효적인 기록밀도를 악화시키고 있었다.
본 발명은, 각 데이터기록영역(예를 들면 각 세그먼트의 데이터기록영역)의 부호화데이터와 그 앞뒤의 데이터기록영역의 부호화데이터와의 사이에 연속성을 갖게 하는 것에 의해, 실효적으로 높은 기록밀도의 기록매체를 실현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해, 예를 들면 1섹터분(기록 또는 재생하는 데이터의 통합단위. 실시예에 있어서는 1개의 ECC블록)의 데이터량을, 조금의 데이터를 추가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세그먼트에 분할하여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기록매체와 달리, 본 발명의 기록매체에 있어서는 1개의 데이터기록영역(예를 들면 1개의 세그먼트의 데이터기록영역)의 채널비트수(기록 가능한 비트수)를 1섹터분의 채널비트수와 같게 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종래의 기록매체에 비교해서 포맷을 규정하는 데에 있어서의 자유도가 크다.
본 발명은, 기록밀도가 높은 기록매체를 실현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은, 특히 1 섹터가 대부분의 데이터기록영역에 분할되어 있는 기록매체(예를 들면, 1주(周)의 길이의 기록트랙이 1000개 이상의 데이터기록영역에 분할된 디스크형상의 기록매체)에 있어서, 실효적인 기록밀도가 높은 기록매체를 실현한다는 작용을 갖는다.
예를 들면 광디스크에 있어서, 광 빔의 빔 스폿이 프리피트영역에서 데이터기록영역으로 이동한 직후의 부분에서 재생신호가 큰 저주파의 스큐변형을 갖는다. 그러므로, 종래의 기록매체에 있어서는 재생한 재생신호를 2치화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의 기록영역에 있어서는, 각 데이터기록영역의 최초에 1비트이상의 소정의 부가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실시예의 재생장치와 같이, 그것을 이용하여 재생신호를 정확히 2치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큐변형을 갖는(저주파의 파형변형)재생신호를 재생장치로 정확히 2치화하는 것이 용이한 기록매체를 실현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을 포함하는 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부호화데이터로 이루어지는 1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분할한 데이터블록을 기록한 복수의 데이터기록영역’이란,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을 포함하는 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부호화데이터의 데이터 스트림으로서, 인접하는 부호화데이터가 서로 관련지어진 데이터 스트림이, 복수의 데이터기록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데이터기록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블록의 선두의 부호화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해서는, 전(前)의 데이터 블록의 부호화데이터를 사용하고, 또는, 데이터기록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데이터블록의 부호화데이터를 사용한다.
그러므로, 각 데이터기록영역마다 선두에 복호화용의 데이터를 추가하여 기록할 필요가 없고(선두의 데이터기록영역을 제외한다.), 각 데이터기록영역마다 최후에 복호화용의 데이터를 추가하여 기록할 필요가 없다(최후의 데이터기록영역을 제외한다.).
또, 예를 들면 데이터기록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블록의 선두의 부호화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해서, 전(前)의 데이터 블록의 부호화데이터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면, 해당 데이터블록과 전(前)의 데이터 블록과는 다른 데이터 스트림에 속한다.
‘프리피트’란 기록매체에 설치된 물리적인 오목부 또는 볼록부이다. 예를 들면, 광디스크기판의 위에 설치된 프리피트이다.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이란, (1-7)부호화방식 및 (2-7)부호화방식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부호화방식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기록밀도의 경우, 최단의 기록마크를 1비트당의 기록밀도보다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최장의 기록마크가 제한되기 때문에 재생신호로부터 재생을 위한 기준클럭의 생성이 가능하게 된다.
‘기록매체’란, 디지털데이터를 기록한 임의의 매체(임의의 기록소자, 임의의 형상의 매체)이다. 예를 들면, 광디스크(상변화 광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 자기카드 등을 포함한다.
‘적어도 1비트의 소정의 값의 데이터’란, 기지(旣知)의 값이라도 좋고, 재생시에 미지의 값이라도 좋다. ‘기지’란, 해당 데이터를 기록하는 시점 또는 재생하는 시점에서 기지라면 좋다. 예를 들면, 일정한 값(0 또는 1)이라도 좋고, 바로 전(前)의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1비트의 데이터(해당 1 비트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시점에서 기지가 되어 있다.) 또는 바로 전의 데이터기록영역에 기록된 최후의 1비트의 데이터(해당 1비트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시점에서 기지가 되어 있다.)라도 좋다.
추가되는 데이터의 채널비트수는, 1 이상의 임의의 수이다.
제 2 의 발명은, 프리피트를 갖는 프리피트영역과, 상기 프리피트영역에 의해서 분단된 데이터기록영역으로서, 또한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을 포함하는 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부호화데이터로 이루어지는 1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분할한 데이터 블록을 기록한 복수의 데이터기록영역을 갖고, 적어도 1개의 데이터기록영역에서, 상기 데이터기록영역의 전의 상기 데이터기록영역의 최후의 1 비트의 상기 부호화데이터와 같은 값의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블록의 전에 더욱 기록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이다.
본 발명은, 각 데이터기록영역의 부호화데이터와 그 앞뒤의 데이터기록영역의 부호화데이터와의 사이에 연속성을 갖게 하는 것에 의해, 실효적으로 높은 기록밀도의 기록매체를 실현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은, 실효적으로 높은 기록밀도로 기록하는 기록매체를 실현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은, 스큐변형(저주파의 파형변형)을 갖는 재생신호를 재생장치로 정확히 2치화하는 것이 용이한 기록매체를 실현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예를 들면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하고 또한 NRZI변환한 부호화데이터를 기록한 본 발명의 기록매체의 재생장치에 있어서는, 연속하는 2개의 재생신호의 차분신호를 생성함에 의해, 스큐변형의 영향을 받는 일없이 NRZI변환된 부호화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에러정정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간이한 구성의 재생장치에 의해 재생 가능한 기록매체를 실현된다는 작용을 갖는다.
‘전의 상기 데이터기록영역의 최후의 1비트의 상기 부호화데이터와 같은 값의 데이터’의 수는 1비트라도 좋고, 복수비트(해당 복수비트는 전부 ‘최후의 1비트의 상기 부호화데이터와 같은 값’이다.)라도 좋다.
제 3 의 발명은, 상기 데이터블록이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에 의한 부호화 전의 데이터량으로 변환하여 2의 정수배의 데이터량의 상기 부호화데이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의 발명의 기록매체이다.
예를 들면 (1-7)부호화방식에 있어서는, 2비트의 입력데이터를 3비트로 변환하여, 3비트(채널비트의 수)를 단위로 하여 부호화데이터가 생성된다.
본 발명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블록은 2의 정수배의 데이터용량을 갖기(데이터 블록의 용량은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에 의한 부호화 전의 실효적인 데이터사이즈로 나타내고 있다.) 때문에, 3비트의 채널비트(2비트의 입력데이터에 대응한다.)를 단위로 하여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부호화기 및 3비트의 채널비트를 단위로 하여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기의 제어회로를 간소화 할 수 있다(특히 인접하는 데이터블록의 이음새의 처리회로를 간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8비트단위 등에 비교해서 값이 작은 2비트단위로 데이터블록의 사이즈를 선택할 수 있다.
각 데이터기록영역에 물리적으로 기록 가능한 채널비트수를 N, 데이터블록이외의 데이터의 채널비트수를 K, 데이터의 처리단위를 L, 채널비트수 N 중의 사용되지 않은 채널비트수를 P로 하면, 데이터블록의 최적의 채널비트수 M은, 아래의 식으로 나타낸다.
M = L × TRUNC((N - K)/L)
P = N - (M + K) = MOD((N - K)/L)
TRUNC( )는, ( )안의 수치의 정수부분만으로 이루어지는 수를 생성하는(소수점이하를 버린다) 함수이다. MOD( )는, ( )안의 나눗셈의 나머지를 나타내는 함수이다.
예를 들면 채널비트수가 8비트의 정수배인 종래의 기록매체에 있어서는 P의 최대치는 7비트이지만, 본 발명의 기록매체에 있어서는 P의 최대치는 채널 비트의 수로 표시하여 2채널비트이다.
본 발명은, 낭비가 적고 높은 기록밀도의 기록매체를 실현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제 4 의 발명은,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을 포함하는 부호화방식에 의해 입력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생성된 부호화데이터로 이루어지는 1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분할한 복수의 데이터블록을 생성하는 부호화부와, 분할된 적어도 1개의 상기 데이터블록의 선두에 적어도 1비트의 소정의 값의 데이터를 추가하여, 추가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블록을 생성하는 데이터 추가부와, 상기 추가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블록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이다.
본 발명은, 각 데이터기록영역의 부호화데이터와 그 앞뒤의 데이터기록영역의 부호화데이터와의 사이에 연속성을 갖게 하는 것에 의해, 실효적으로 높은 기록밀도로 부호화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은, 특히 1섹터가 대부분의 데이터기록영역에 분할되어 있는 기록매체(예를 들면, 1주의 길이의 기록트랙이 1000개 이상의 데이터기록영역에 분할된 디스크형상의 기록매체)에, 실효적으로 높은 기록밀도로 부호화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광디스크에 있어서, 광 빔의 빔 스폿이 프리피트영역에서 데이터기록영역으로 이동한 직후의 재생신호가 큰 저주파의 스큐변형을 갖기 때문에, 종래, 재생신호의 2치화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의 기록장치는, 각 데이터기록영역의 최초에 소정의 데이터를 기록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재생장치에 의해, 예를 들면 실시예의 재생장치와 같이, 그것을 이용하여 재생신호를 정확히 2치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재생신호가 스큐변형(저주파의 파형변형)을 갖고 있어도, 추가된 데이터를 이용함에 의해, 재생신호를 정확히 2치화하는 것이 가능한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추가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블록'이란, 적어도 1비트의 소정의 값의 데이터와 데이터블록을 합친 것을 의미한다.
부호화부는, 최초에 입력데이터를 분할하여 복수의 데이터블록을 생성하여, 각각의 데이터블록을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을 포함하는 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하여 복수의 부호화데이터의 데이터블록을 생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부호화부는, 최초에 1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을 포함하는 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하여, 그 후 부호화된 데이터 스트림을 복수의 데이터블록에 분할하더라도 좋다.
또한, 부호화부는, 최초에 1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하여, 그 후 부호화된 데이터 스트림을 복수의 데이터블록에 분할하여, 그 후 각 데이터블록을 다른 변환방식(예를 들면 NRZI변환)에 의해 변환하더라도 좋다.
각 발명에서의 부호화부는, 상기의 모든 구성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의 예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 5 의 발명의 부호화부 및 제 11 의 발명, 제 12 의 발명의 부호화 스텝도 같다.
부호화부와 데이터추가부는 별개 독립의 블록을 구성하더라도 좋고, 양자가 불가분하게 일체화한 구조이더라도 좋다.
제 5 의 발명은,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을 포함하는 부호화방식에 의해 입력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생성된 부호화데이터로 이루어지는 1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분할한 복수의 데이터블록을 생성하는 부호화부와, 분할된 적어도 1개의 상기 데이터블록의 선두에 전의 상기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1비트의 부호화데이터와 같은 값의 데이터를 추가함에 의해, 추가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블록을 생성하는 데이터추가부와, 상기 추가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블록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이다.
본 발명은, 각 데이터기록영역의 부호화데이터와 그 앞뒤의 데이터기록영역의 부호화데이터와의 사이에 연속성을 갖게 하는 것에 의해, 실효적으로 높은 기록밀도로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은, 실효적으로 높은 기록밀도로 에러정정능력이 높은 부호화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은, 스큐변형(저주파의 파형변형)을 갖는 재생신호를 재생장치로 정확히 2치화하는 것이 용이한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은, 간이한 구성의 재생장치에 의해 재생 가능한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장치를 실현된다는 작용을 갖는다.
제 6 의 발명은, 상기 데이터블록이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에 의한 부호화 전의 데이터량으로 환산하여 2의 정수배의 데이터량의 상기 부호화데이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4 의 발명의 기록장치이다.
본 발명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블록은 2의 정수배의 데이터용량을 갖기 (데이터블록의 용량은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에 의한 부호화 전의 실효적인 데이터 사이즈로 나타내고 있다.) 때문에, 3비트의 채널비트(2비트의 입력데이터에 대응한다.)를 단위로 하여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부호화기 및 3비트의 채널비트를 단위로 하여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기의 제어회로를 간소화 할 수 있다(특히 인접하는 데이터블록의 이음새를 간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8비트단위 등에 비교하여 값이 작은 2비트단위에서 데이터블록의 사이즈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낭비가 적은 높은 기록밀도로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간이한 구성의 기록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제 7 의 발명은, 상기 부호화부 또는 상기 데이터추가부가, 최후의 상기 부호화데이터의 뒤에 n비트(n은 임의의 양의 정수)의 미리 정해진 값의 데이터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4 의 발명에서 제 6 의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기록장치이다.
부호화의 대상인 데이터의 뒤의 데이터도 사용하여 부호화하는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부호화데이터를 기록하여 재생한 경우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최후의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해서는, 그 후의 데이터를 더욱 필요로 한다.
그래서, 본 발명의 기록장치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의 뒤에, 일정한 값의 데이터(예를 들면 001)를 추가한다. 이에 따라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최후의 데이터를 복호화 할 수 있다.
n은 임의의 값이다. 예를 들면,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최후의 데이터의 뒤에 n비트의 데이터를 추가하여 기록하고, 해당 n비트의 데이터의 뒤에 또한 k비트 (k는 임의의 양의 정수)의 임의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도 있다.
제 8 의 발명은,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하여 재생신호를 출력하는 재생부와, 연속하는 2개의 상기 재생신호의 차분인 차분신호를 생성하는 차분검출부와, 상기 차분신호에 따라서 2치화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2치화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2치화된 데이터를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으로 복호화하는 복호화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이다.
광디스크 등에 있어서, 굉 빔의 빔 스폿이 프리피트영역에서 데이터기록영역으로 이동한 직후의 재생신호가 큰 저주파의 스큐변형을 갖기 때문에, 종래, 재생신호의 2치화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의 재생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연속하는 2개의 재생신호를 아날로그신호대로 감산하여 차분신호(아날로그의 차분신호)를 생성하여, 또는 연속하는 2개의 재생신호를 복수비트의 디지털신호(예를 들면 10비트데이터)로 변환한 후 해당 연속하는 2개의 복수비트의 디지털신호의 차분신호(복수비트의 차분신호)를 생성한다. 그 후, 해당 차분신호의 2치화를 한다.
최초에 아날로그 또는 복수비트의 차분신호를 생성함에 의해, 재생신호가 스큐변형(저주파의 파형변형)을 갖고 있더라도 해당 스큐변형은 취소되어 해당 차분신호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스큐의 영향을 받는 일없이 재생신호를 정확히 2치화하는 재생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예를 들면 NRZI변환된 부호화데이터를 재생하는 종래의 재생장치에 있어서는, 재생신호를 일단 2치화한 후, 연속하는 2개의 2치화한 재생신호의 차분신호를 생성함에 의해 복호화하고 있었기 때문에, 스큐의 영향을 받았다.
본 발명은, 스큐의 영향을 받는 일없이 재생신호를 정확히 2치화하여, 동시에 NRZI변환된 재생신호를 복호화(역변환)하는 재생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제 9 의 발명은,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을 포함하는 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되어, 복수의 데이터블록에 분할되어 기록되어 있는 부호화데이터를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하는 재생부와, 상기 데이터블록의 부호화데이터 및 다음의 상기 데이터블록의 부호화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블록 또는 다음의 상기 데이터블록의 부호화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를 갖는 복호화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이다.
본 발명은, 각 데이터기록영역의 부호화데이터와 그 앞뒤의 데이터기록영역의 부호화데이터와의 사이에 연속성을 갖게 하는 것에 의해 실효적으로 높은 기록밀도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부호화데이터를 재생하여, 복호화하는 재생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예를 들면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의 종래의 재생장치에 있어서는, 각 데이터블록 내만으로 복호화가 완결할 수 있는 데이터블록을 각 데이터기록영역에 기록한 기록매체로부터 신호를 재생할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특히 1섹터분의 데이터가 대부분의 데이터기록영역에 분할되어(예를 들면, 디스크형상의 기록매체의 각 기록트랙(각각 디스크 1주의 길이를 갖는다.)이 1000개 이상의 데이터기록영역에 분할되어 있다.), 실효적으로 높은 기록밀도로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의 재생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제 10 의 발명은, 기록매체의 복수의 데이터기록영역의 각각에서, 데이터블록과 상기 데이터블록의 전에 더욱 기록된 소정의 데이터와의 재생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재생부와, 상기 재생신호를 2치화하여, 2치화신호를 출력하는 2치화부와, 복수의 상기 데이터블록의 상기 2치화신호를, 적어도 선두의 데이터블록 이외의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제외하고, 상기 데이터기록영역으로부터의 재생순서로 결합하고, 결합된 상기 2치화신호를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으로 복호화하는 복호화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이다. ·
본 발명은,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으로 부호화한 데이터 스트림을 복수의 데이터블록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데이터블록을 각 데이터기록영역에 기록함에 의해, 실효적으로 높은 기록밀도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부호화데이터를 재생하여, 복호화하는 재생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소정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실시예와 같이 재생신호를 2치화함에 의해, 재생신호를 스큐의 영향을 받는 일없이 2치화할 수 있다.
소정의 데이터는, 1비트 이상의 임의의 데이터이다.
복호화부가, 2치화신호에서 적어도 선두의 데이터블록 이외의 소정의 데이터를 제외하고 복호화를 하더라도 좋고, 2치화기가 이들의 소정의 데이터를 2치화하지 않더라도 좋다(실시예에 있어서는 후자이다.).
제 11 의 발명은,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을 포함하는 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부호화데이터의 데이터 스트림을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하는 재생부와,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부호화데이터의 수, 부호화회수, 또는 복호화된 데이터의 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와, 상기 카운터의 값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를 검출하는 라스트 부호화데이터검출부와, 복호화의 대상인 부호화데이터가 상기 최후의 부호화데이터인 것을 상기 라스트 부호화데이터검출부가 검출되면, 적어도 상기 복호화의 대상인 부호화데이터 및 일정한 값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복호화의 대상인 부호화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이다.
복호화시에 후속하는 부호화데이터를 사용하는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을 포함하는 부호화방식의 종래의 재생장치에 있어서는, 데이터 스트림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해서, 해당 최후의 부호화데이터에 후속하는 부호화데이터를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의 재생장치는, 재생장치가 갖는 일정한 값의 데이터(전형적으로는 복호화기가 갖는 데이터이다.)를 사용하여 최후의 부호화데이터를 복호화한다.
본 발명은, 최후의 부호화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한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는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한 재생신호를 복호화 할 수 있는 재생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카운터 및 라스트 부호화데이터검출부는, 부호화데이터 등의 수를 직접 카운트하더라도 좋고, 부호화데이터의 수를 간접적으로 카운트하더라도 좋다. 실질적으로 데이터 스트림의 부호화데이터의 수, 부호화회수, 또는 복호화된 데이터의 수를 카운트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면 1비트씩 또는 3비트씩 채널비트를 카운트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부호화변환의 변환회수를 카운트하는 것 또는 복호화된 데이터의 수(클럭수)를 카운트하는 것이다.
1회의 부호화변환에 의해 3비트의 부호화데이터가 생성되기 때문에, 아래의 식에 의해 부호화변환의 변환회수를 카운트하는 것에 따라서 부호화데이터의 수를 산출 가능하다.
부호화데이터의 수 = 3 ×부호화변환의 변환회수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1-7)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부호화데이터이면, 3비트의 부호화데이터를 복호화함에 의해 2비트의 복호화된 데이터가 생성되기 때문에, 아래의 식에 의해 복호화된 데이터의 수를 카운트하는 것에 따라서 부호화데이터의 수를 산출 가능하다.
부호화데이터의 수 = 1.5 × 복호화된 데이터의 수
예를 들면, 1세그먼트(프리피트영역을 포함한다)당 900개의 재생클럭(부호화데이터의 클럭)을 생성하여, 111개째부터 890개째까지의 재생클럭으로 부호화데이터를 재생하고(1개째∼110개째 및 891개째∼900개째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영역(프리피트영역 등)이다.), 410개째가 라스트 부호화데이터인 경우(111개째에서 410개째까지 데이터가 기록된다.)를 예시한다.
카운터가 110개째의 재생클럭으로 리세트되어(0이 된다), 카운터의 값이 300 (410개째)이 되었을 때에 라스트 부호화데이터검출부가 라스트부호화데이터를 검출한다.
또는, 카운터가 0개째 (= 900개째)의 재생클럭으로 리세트되어(O이 된다.), 카운터의 값이 410(410개째)이 되었을 때에 라스트 부호화데이터검출부가 라스트부호화데이터를 검출한다(1개째∼110개째에 부호화데이터가 없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데이터 스트림의 부호화데이터의 수를 카운트하고 있다.).
상기의 예시 등에 의해, 라스트부호화데이터를 검출한다.
제 12 의 발명은,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을 포함하는 부호화방식에 의해 입력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생성된 부호화데이터로 이루어지는 1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분할한 복수의 데이터블록을 생성하는 부호화스텝과, 분할된 적어도 1개의 상기 데이터블록의 선두에 적어도 1비트의 소정의 값의 데이터를 추가하여, 추가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블록을 생성하는 데이터추가스텝과, 상기 추가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블록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이다.
본 발명은, 각 데이터기록영역의 부호화데이터와 그 앞뒤의 데이터기록영역의 부호화데이터와의 사이에 연속성을 갖게 하는 것에 의해, 실효적으로 높은 기록밀도로 부호화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은, 특히 1섹터가 대부분의 데이터기록영역에 분할되어 있는 기록매체(예를 들면, 1주의 길이의 기록트랙이 1000개 이상의 데이터기록영역에 분할된 디스크형상의 기록매체)에, 실효적으로 높은 기록밀도로 런랭스 제한을 가진 부호화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의 기록방법은, 각 데이터기록영역의 최초에 소정의 데이터를 기록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재생방법에 의해, 예를 들면 실시예의 재생방법과 같이, 그것을 이용하여 재생신호를 정확히 2치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재생신호가 스큐변형(저주파의 파형변형)을 갖고 있더라도, 추가된 데이터를 이용함에 의해, 재생신호를 정확히 2치화하는 것이 가능한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제 13 의 발명은,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을 포함하는 부호화방식에 의해 입력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생성된 부호화데이터로 이루어지는 1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분할한 복수의 데이터블록을 생성하는 부호화스텝과, 분할된 적어도 1개의 상기 데이터블록의 선두에 전의 상기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1비트의 부호화데이터와 같은 값의 데이터를 추가함에 의해, 추가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블록을 생성하는 데이터추가스텝과, 상기 추가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블록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이다.
본 발명은, 각 데이터기록영역의 부호화데이터와 그 앞뒤의 데이터기록영역의 부호화데이터와의 사이에 연속성을 갖게 하는 것에 의해, 실효적으로 높은 기록밀도로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은, 실효적으로 높은 기록밀도로 에러정정능력이 높은 부호화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은, 스큐변형(저주파의 파형변형)을 갖는 재생신호를 재생장치로 정확히 2치화하는 것이 용이한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제 14 의 발명은, 상기 데이터블록이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에 의한 부호화 전의 데이터량으로 환산하여 2의 정수배의 데이터량의 상기 부호화데이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2 의 기록방법이다.
본 발명의 기록방법에 의해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데이터블록은 2의 정수배의 데이터용량을 갖기(데이터블록의 용량은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에의한 부호화 전의 실효적인 데이터 사이즈로 나타내고 있다.) 때문에, 3비트의 채널비트(2비트의 입력데이터에 대응한다.)를 단위로 하여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부호화처리 및 3비트의 채널비트를 단위로 하여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처리를 간소화할 수 있다(특히 인접하는 데이터블록의 이음새의 처리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8비트단위 등에 비교하여 값이 작은 2비트단위로 데이터블록의 사이즈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낭비가 적고 높은 기록밀도로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저가인 기록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제 15 의 발명은, 상기 부호화 스텝 또는 상기 데이터 추가스텝에 있어서, 최후의 상기 부호화데이터의 뒤에 n비트(n은 임의의 양의 정수)의 미리 정해진 값의 데이터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2 의 발명에서 제 14 의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기록방법이다.
본 발명의 기록방법은,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의 뒤에, 일정한 값의 데이터(예를 들면 1)를 추가한다. 이에 따라, 재생장치에 있어서, 최후의 부호화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다.
제 16 의 발명은,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하여 재생신호를 출력하는 재생스텝과, 연속하는 2개의 상기 재생신호의 차분인 차분신호를 생성하는 차분검출스텝과, 상기 차분신호에 따라서 2치화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2치화 데이터생성스텝과, 상기 2치화된 데이터를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으로 복호화하는 복호화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이다.
본 발명은, 스큐의 영향을 받는 일없이 재생신호를 정확히 2치화하는 재생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제 17 의 발명은,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을 포함하는 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되어, 복수의 데이터블록에 분할되어 기록되어 있는 부호화데이터를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하는 재생스텝과, 상기 데이터블록의 부호화데이터 및 다음의 상기 데이터블록의 부호화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블록 또는 다음의 상기 데이터블록의 부호화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스텝을 갖는 복호화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이다.
본 발명은, 각 데이터기록영역의 부호화데이터와 그 앞뒤의 데이터기록영역의 부호화데이터와의 사이에 연속성을 갖게 하는 것에 의해 실효적으로 높은 기록밀도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부호화데이터를 재생하여, 복호화하는 재생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은, 특히 1섹터분의 데이터가 대부분의 데이터기록영역에 분할되어(예를 들면, 디스크형상의 기록매체의 각 기록트랙(각각 디스크 1주의 길이를 갖는다.)이 1000개 이상의 데이터기록영역에 분할되어 있다.) 실효적으로 높은 기록밀도로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의 재생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제 18 의 발명은, 기록매체의 복수의 데이터기록영역의 각각에서, 데이터블록과 상기 데이터블록의 전에 더욱 기록된 소정의 데이터와의 재생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재생스텝과, 상기 재생신호를 2치화하여, 2치화신호를 출력하는 2치화스텝과, 복수의 상기 데이터블록의 상기 2치화신호를, 적어도 선두의 데이터블록 이외의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제외하고, 상기 데이터기록영역으로부터의 재생순서로 결합하여, 결합된 상기 2치화신호를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으로 복호화하는 복호화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이다.
본 발명은,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으로 부호화한 데이터 스트림을 복수의 데이터블록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데이터블록을 각 데이터기록영역에 기록함에 의해, 실효적으로 높은 기록밀도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부호화데이터를 재생하여, 복호화하는 재생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소정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실시예와 같이 재생신호를 2치화함에 의해, 재생신호를 스큐의 영향을 받는 일없이 2치화 할 수 있다.
제 19 의 발명은,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을 포함하는 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부호화데이터의 데이터 스트림을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하는 재생스텝과,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부호화데이터의 수, 부호화회수, 또는 복호화된 데이터의 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스텝과, 상기 카운트한 값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최후의 부호화 데이터인 것을 검출하는 라스트 부호화 데이터 검출스텝과, 복호화의 대상인 부호화데이터가 상기 최후의 부호화데이터인 것을 상기 라스트 부호화데이터검출부가 검출하면, 적어도 상기 복호화의 대상인 부호화데이터 및 일정한 값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복호화의 대상인 부호화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이다.
본 발명은, 최후의 부호화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한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는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한 재생신호를 복호화 할 수 있는 재생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발명의 신규인 특징은 첨부의 청구의 범위에 특히 기재한 것이 분명하지만, 구성 및 내용의 쌍방에 관해서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이나 특징과 같이, 도면과 공동하여 이해되는 바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되어 평가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과 동시에 기재한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설명한다.
도 1(a)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기록매체인 광자기디스크(100)의 개략적인 전체구성을 나타낸다.
도 1(a)에 있어서, (101)은 광디스크기판, (102)는 초해상재생이 가능한 DWDD 기록재생막, (103)은 제 1 의 기록트랙, (104)는 제 1 의 기록트랙에 인접하는 제 2 의 기록트랙, (105)는 제 1 의 기록트랙(103) 및 제 2 의 기록트랙(104)을 1280개로 분할한 세그먼트, (106) 및 (113)은 프리피트영역(프리포맷영역)이다.
프리피트영역(106) 및 (113)은, 클럭피트와 트래킹용의 서보피트와 디스크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어드레스피트를 갖는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의 기록트랙(103) 및 제 2 의 기록트랙(104)은, 각각 (113)의 프리피트영역을 기점 및 종점으로 하는 나선형상의 영역으로서, 광자기디스크의 안둘레에서 바깥둘레를 향해서 나선형상의 기록트랙을 당도한 경우에,제 2 의 기록트랙(104)이 프리피트영역(113)에서 종료하여, 제 2 의 기록트랙(104)이 종료한 곳(프리피트영역(113)에서, 제 1 의 기록트랙(103)이 시작된다.
도 1(a)에 있어서, 광자기디스크는 지름 약 50mm의 원반이지만, 제 1 의 기록트랙(103) 및 제 2 의 기록트랙(104)의 트랙피치는 약 0.6㎛이다. 광자기디스크의 포맷구성의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도 1(a)에 있어서는, 광자기디스크전체의 크기에 비교하여, 서로 인접하는 제 1 의 기록트랙(103) 및 제 2 의 기록트랙(104)을 현저히 확대하여 표시하고 있다.
도 1(b)은 1개의 세그먼트(105)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b)에 있어서, (105)는 세그먼트(1개의 기록트랙과 1개의 프리피트영역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106)은 프리피트영역(프리포맷영역), (107)의 길이를 갖는 홈부(그룹부)(111)는 데이터의 기록을 하는 기록트랙(데이터기록영역)이다.
프리피트영역(106)은, 클럭피트(115), 워블피트(l08, 109), 및 어드레스정보를 1비트씩 각 세그먼트의 최초에 분산적으로 배치한 어드레스피트(110)를 갖는다.
(107)의 길이를 갖는 홈사이부(랜드부)(114)는, 인접하는 홈부를 분리하고 있다.
클럭피트(115)는 각 세그먼트의 선두에 위치한다. 전압제어발진기의 출력신호를 분주한 분주신호와, 각 세그먼트의 클럭피트의 검출신호를 동기시킴으로써, 해당 전압제어발진기의 출력신호를 기록시의 데이터의 부호화용의 동기클럭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해당 전압제어발진기의 출력신호는, 워블피트(108, 109) 및 어드레스피트(110)를 검출하는 창클럭의 생성회로의 클럭신호로서도 사용된다.
또한 한 쌍의 워블피트(l08, 109)는 기록트랙(103, 104)의 중심선에 대하여 반 트랙분만큼 서로 반대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기록트랙(103, 104)의 1주마다 그 극성이 반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워블피트(l08, 109)로부터의 반사광량의 차이에 따라서 트래킹오차신호가 생성되어, 각 워블피트(l08, 109)로부터의 반사광량이 서로 같게 되도록 광 빔의 트래킹제어가 행하여진다.
어드레스피트(110)는, 피트의 유무에 의해 각 세그먼트당 1비트의 정보를 준다. 80개의 어드레스피트(110)가 모여 1개의 위치정보가 생성된다. 해당 위치정보는, 광자기디스크상의 트랙방향 및 지름방향의 세그먼트위치를 나타낸다. 이 어드레스정보의 기록방법에 있어서는, 분산어드레스포맷에 관한 출원(일본국 특원평 11-021885, 일본국 특원평 11-329265)에 상세함이 기재되어 있다.
광디스크의 원반을 레이저빔에 의해 에칭가공하여, 해당 원반상에 클럭피트, 2개의 워블피트, 어드레스피트 및 홈부를 형성한다.
인젝션시에 스탬퍼로부터 전사함으로써, 광디스크기판(101)에 클럭피트 (115), 워블피트(108, 109), 어드레스피트(110) 및 홈부(111)가 형성된다. 이 인 젝션법에 의해서 성형된 폴리카보네이트기판(101)상에 DWDD의 기록재생막(102)이 보호층과 같이 스패터링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작성된 본 발명의 광자기디스크는, 나선형상으로 형성된 기록트랙(103, 104) 등을 갖고, 또한 각 기록트랙(103, 104) 등은 방사선형상으로(광자기디스크의 반지름방향에 정렬하여)설치된 프리피트영역(106)에 의해, 각각 1280개의세그먼트(105)에 분할되어 있다.
각 세그먼트의 프리피트영역(106)은, 각각 광자기디스크의 반지름방향에 정렬하고 있다. 따라서, 광자기디스크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는 각좌표(角座標)로 나타낸 경우에, 기록트랙이 위치하는 원점으로부터의 거리에 관계없이, 프리피트영역은 광자기디스크상에 360도/1280개 = 0.28125도(度)마다 설치되어 있다.
1개의 세그먼트(105)는 1개의 프리피트영역(106)과 1개의 데이터기록영역인 홈부(111)를 갖는다.
본 발명의 광자기디스크는 프리피트영역(106)에 트래킹용의 워블피트(108, 109)를 갖고, 인접하는 기록트랙 사이에서 워블피트(108, 109) 중 어느 하나를 공용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서, 트래킹극성의 다른(워블피트(108, 109)가 기록트랙의 연장선의 왼쪽 및 오른쪽에 위치하는 것과, 반대로 오른쪽 및 왼쪽으로 위치하는 것이 있다.) 제 1 의 기록트랙(103)과 제 2 의 기록트랙(104)이 1주(周)마다 교대로 형성된다.
데이터기록영역(홈부(111))에는, 부호화데이터가 연속하여 기록된다.
데이터기록영역의 앞뒤에는, 프리라이트부(116) 및 포스트라이트부(117)가 설치되어 있다. 프리라이트부(116) 및 포스트라이트부(117)는, 정확한 재생신호가 얻어지는 것은 보증되어 있지 않지만, 프리라이트부(116)에는 데이터기록영역의 선두의 1비트와 같은 값의 데이터가 기록되고, 또한 포스트라이트부(117)에는 데이터기록영역의 최후의 1비트와 같은 값의 데이터가 기록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데이터기록영역인 선두 및 프리라이트부(116)에는 소정의 1비트의 데이터가 기록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ECC블록을 (1-7)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하여 또한 NRZI변환한다. 이렇게 하여 생성된 런랭스가 2T ∼8T(T는 1비트분의 채널비트의 시간길이)인 부호화데이터를 기록한다. 그러나, 선두의 1비트 및 최후의 1비트에 있어서는, 런랭스가 1T(동일한 값이 연속하지 않는다.)가 되는 경우가 있다. 런랭스가 1T의 재생신호는, 런랭스가 2T∼8T인 통상의 재생신호에 비교해서 기본주파수가 높고, 재생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프리라이트부(116) 또는 포스트라이트부(117)에는 상기의 데이터를 기록함에 의해, 선두의 1비트 및 최후의 1비트의 각각의 런랭스가 실질적으로 2T 이상이 되고, 선두의 1비트 및 최후의 1비트를 확실히 정확하게 재생할 수 있다.
도 1(c)은 세그먼트(105)에 기록된 데이터의 아날로그재생신호(118)의 파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리피트영역(106)으로부터 데이터기록영역(111)에 광픽업이 이동한 직후의 아날로그재생신호는(119)에 나타내는 스큐(저주파의 엔벨로프변형)를 갖는다. 그러므로, 아날로그재생신호를 일정한 레벨(120)을 역치로서 2치화하더라도, 스큐부분(119)으로 정확하게 2치화 할 수 없다.
또한, 도 2에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광자기디스크는 반지름방향의 거리에 따라서 복수의 데이터 존(201)에 분할되어 있다.
동일한 데이터 존에서는 각 세그먼트에 일정량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고,바깥둘레에 가까운 데이터 존일 수록, 각 세그먼트에 많은 양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일정한 기록데이터 레이트에서의 기록재생모드에 있어서는, 동일한 데이터 존에서는 일정한 각속도로 광자기디스크가 회전하여, 다른 데이터 존에서는, 바깥둘레에 가까운 데이터 존일 수록, 느린 각속도로 광자기디스크가 회전한다.
<광디스크의 기록장치의 설명(도 3)>
도 3은, 실시예 1의 광디스크의 기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에 있어서 (100)은 광자기디스크, (301)은 자기헤드, (302)는 광픽업이다. 자기헤드(301)와 광픽업(302)이란, 광자기디스크(100)를 끼우고 마주한 채로, 광자기디스크(100)상을 이동한다.
본 실시예의 광자기디스크(100)는, 광펄스 자계변조에 의해 데이터를 기록하여 재생한다. 기록시에는 자기헤드(301)에 의해 자계를 발생시킨 상태로 광픽업 (302)으로부터 레이저광을 기록막에 조사함에 의해, 광자기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한다. 재생시에는 레이저광을 기록막에 조사하여, 기록시의 자계의 방향에 따라서 편광한 반사광을 검출함에 의해, 광자기디스크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한다.
광디스크의 기록장치(광디스크장치의 기록부)는, 자기헤드(301), 광픽업 (302), ECC인코더(308)(ECC는 Error Correcting Code(에러정정부호(ECC))의 의미), RAM(307), 부호화부(306), 데이터추가부(305), 자기헤드구동부(304), 레이저구동부 (303), 기입/읽어내기 제어부(309),및 동기클럭생성부(310)를 포함한다.
동기클럭생성부(310)는, 광자기디스크(100)에 형성된 클럭피트(115)로부터기록시의 기준이 되는 동기클럭을 생성한다.
동기클럭생성부(310)는 데이터추가부(305), 기입/읽어내기제어부(309), 부호화부(306), ECC인코더 및 RAM(307)등에 동기클럭을 송부한다.
기입/읽어내기제어부(309)는, 동기클럭을 입력하여, ECC인코더(308), RAM (307), 부호화부(306), 데이터추가부(305), 및 레이저구동부(303)의 동작을 제어한다.
입력데이터(기록데이터)가 ECC인코더(308)에 입력된다.
ECC인코더(308)는, 입력데이터를 RAM(307)에 저장한 후, 에러정정을 위한 용장(冗長)데이터가 부가되고 또한 데이터가 인터리브된 ECC블록을 생성한다.
ECC블록은 1회의 ECC 인코드에 의해 생성되는 38336B의 데이터의 집합이고 (32kB의 데이터 및 용장데이터를 포함한다.), ECC블록은 최소의 기입/읽어내기 단위이다.
또한, ECC블록마다 (1-7)부호화기 및 NRZI변환기가 리세트되어, ECC블록의 선두로부터 새로 (1-7)부호화 및 NRZI변환이 시작된다.
또한, 새로운 ECC블록은, (1-7)부호화 및 NRZI변환된 후, 기록매체가 새로운 세그먼트의 선두로부터(전치데이터 등을 제외한다.) 기록된다.
ECC인코더(308)는, 생성된 ECC블록을 거의 데이터블록마다 분할하여 출력한다.
1개의 데이터블록은, 부호화부(306)에 의해 부호화데이터로 변환되어, 데이터추가부에 의해 필요한 데이터를 추가되어, 1개의 데이터기록영역에 기록된다.
부호화부(306)는, (l-7)부호화기(312)와 NRZI변환기(311)를 포함한다.
(1-7)부호화기(312)는, ECC인코더(308)가 출력한 ECC블록을 입력하여, 동기클럭생성기(310)에 의해 생성된 부호화클럭에 동기하여 ECC블록을 (1-7)부호화방식으로 부호화하여(변환에 의해 ECC블록의 런랭스를 제한한다. 즉 연속하는 0의 수가 1개에서 7개의 범위로 제한한다.), 부호화데이터를 출력한다.
표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7)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부호화데이터는 원래의 데이터의 1.5배의 데이터량이 되기 때문에, 1개의 ECC블록의 부호화데이터는 약 58kB의 사이즈(채널비트수)를 갖는다.
기입/읽어내기 제어부(309)는, 부호화클럭을 순차 카운트하여,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비트를 판별한다.
기입/읽어내기 제어부(309)가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비트를 판별하면, 해당 최후의 비트를 출력한 후 (1-7)부호화기(312)는 동작을 정지하여, 다음의 데이터블록의 송출개시타이밍이 오면 다시 동작을 시작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호화부(306)는 1개의 ECC블록의 데이터의부호화를 하기 전에 초기값(전치의 데이터)을 세트하여, 해당 초기값으로부터 부호화를 시작한다.
부호화부(306)는, 부호화한 선두의 데이터블록(1개의 ECC블록의 선두부분)을 출력하기 전에, 3비트의 전치의 부호화데이터(407)(초기값의 부호화데이터)를 출력한다. 3비트의 전치의 부호화데이터(407)의 값을 표 3의 입력데이터 2 ‘전치의 입력데이터의 부호화데이터’의 란에 표시한다(1개의 ECC블록의 데이터의 선두의 2비트의 값에 따라서 001 또는 010이 된다.).
3비트의 전치의 부호화데이터를 생성하여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것은, 1개의 ECC블록의 부호화데이터의 최초의 3비트를 정확하게 복호화하는 것(바로 전의 부호화데이터의 최후의 2비트를 사용한다. 실시예 1에 있어서는 01 또는 10이다.)을 목적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부호화부(306)는 1개의 ECC블록의 최후의 데이터의 뒤에 2p개(p는 양의 정수)의 후치의 데이터(실시예에 있어서는 연속하는 0의 데이터이다.)를 추가하여 입력하여, 최후의 데이터블록(ECC블록의 최후의 부분)을 부호화한 후, 더욱 후치의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후치의 부호화데이터(408)를 출력한다.
ECC인코더(308)는, 후치의 데이터를 RAM(307)에 저장해 두고, 최후의 데이터블록의 출력 후, 이것에 계속하여 후치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1-7)부호화기(312)가 출력하는 부호화데이터는 NRZI변환기(311)에 전송된다.
NRZI변환기(311)는, 1개의 ECC블록의 추가된 데이터블록을 입력하기 전에 리세트되어, 출력데이터 0을 출력한다.
NRZI변환기(311)는, (1-7)부호화기(312)가 출력하는 부호화데이터를 입력하여, NRZI변환된 부호화데이터를 출력한다.
NRZI변환은, 다음의 비트가 1이 될 때만 (0 ?? 1 또는 1 ?? 1)신호의 레벨을 반전시키는 부호화방식이다.
본 실시예의 (1-7)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부호화데이터는 1이 연속하는 일이 없고, NRZI변환기의 동작은 데이터의 상승에지로(0 ?? 1) 출력이 반전한다.
즉, NRZI변환기(311)는, 초기값 0에서 스타트하여, 입력데이터가 0에서 1로 변화할 때마다 1에서 0으로, 또는 0에서 1로 반전한다.
도 5는, NRZI변환기(311)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NRZI변환기(311)의 입력데이터의 수치를 도 5(a)에 나타내고, 파형을 도 5 (b)에 나타낸다. 도 5(a) 및 (b)에 나타내는 입력데이터에 따라서, NRZI변환기 (311)는, 도 5(c)에 나타내는 출력데이터를 출력한다.
NRZI변환된 부호화데이터는, 원래의 부호화데이터와 비교해서 비트레이트 및 정보량은 변하지 않지만(NRZI변환된 부호화데이터는, 정보가 레벨의 변화점에 존재한다.), 기본의 주파수가 낮아진다. 데이터의 기본의 주파수가 낮아지기 때문에, 기록매체에 높은 기록밀도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데이터추가부(305)는, NRZI변환기(311)(부호화부(306))가 출력하는 전치의 부호화데이터(407)와, 부호화데이터의 데이터블록과, 후치의 부호화데이터(408)를 입력하여, 전치의 부호화데이터(407) 및 각 데이터블록의 전에 후술하는 일정한 데이터(406)(전부하여 5비트의 데이터) 및 전의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1비트의 부호화데이터와 같은 값의 데이터(405)(전부해서 4비트의 데이터로서, 그 부호를 (409)로 한다.)를 각각 추가하여, 추가된 데이터블록을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각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의 뒤에, 해당 최후의 1비트의 부호화데이터와 같은 값의 데이터(405)(전부해서 4비트의 데이터로서, 그 부호를 (409)로 한다.)를 추가하여 출력한다.
데이터추가부(305)는, 예를 들면 1개의 D플립프롭으로 구성된다. ECC블록의 부호화데이터의 출력을 개시하기 전에, 해당 D프립프롭은 리세트되어 0을 출력한다.
데이터추가부(305)는, 전치의 부호화데이터(407)를 로드하여 출력하기 전에, 0(일정한 데이터(406))를 5클럭기간 출력한다. 4클럭기간은 프리라이트부(116)에 해당한다. 최후의 1클럭기간에 기록되는 데이터는 데이터기록영역에 기록되는 선두가 유효한 데이터이다.
또한, 각 데이터블록의 부호화데이터 또는 후치의 부호화데이터(408)를 로드하여 출력한 후, 각 데이터블록 또는 후치의 부호화데이터(408)의 최후의 1비트의 부호화데이터와 같은 값의 데이터(405)를 유지한다. 그리고, 각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에 계속해서 해당 데이터(405)를 4클럭기간 출력하는(4클럭기간은 포스트라이트부(117)에 해당한다. 이 4비트는 부호(408)에 포함하여 표시한다. ).
광픽업이 프리피트영역상을 통과하는 기간, 데이터추가부(305)는 해당 데이터(405)를 유지하는(후치의 부호화데이터(408)를 출력한 후를 제외한다.).
다음의 데이터블록을 로드하여 출력하기 전에 해당 데이터(405)를 더욱 5클럭기간 출력한다. 4클럭기간은 프리라이트부(116)에 해당한다. 최후의 1클럭기간에 기록되는 데이터는 데이터기록영역에 기록되는 선두가 유효한 데이터이다.
데이터추가부(305)의 상기의 기능은, 클럭을 제어함에 의해 용이하게 실행할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추가부(305)는 NRZI변환기(311)와 일체화되어 있다.
자기헤드구동부(304)는, 데이터추가부(305)로부터 추가된 데이터블록을 받아, 해당 추가된 데이터블록의 각 부호화데이터에 따른 전류를 자기헤드(301)에 흐르게 한다. 자기헤드(301)는 해당 전류에 따른 자계를 발생시킨다.
또한, 자기헤드구동부(304)가 자기헤드(301)에 전류를 흐르게 할 때, 기입/읽어내기 제어부(309)는 레이저구동부(303)에 각 부호화데이터(채널비트)의 비트간격과 같은 주기(일정주기)의 펄스를 전송한다. 레이저구동부(303)는 상기 일정주기의 레이저광을 출력하여, 해당 레이저광은 광픽업(302)을 통하여 광자기디스크의 기록막을 가열한다. 이에 따라, 기록막에부호화데이터(채널비트)가 기록된다.
이와 같이 하여, 해당 추가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블록은 광자기디스크 (100)의 각 세그먼트의 데이터기록영역에 기록된다.
실시예 1의 광자기디스크에 있어서는, 각 데이터기록영역에 기록할 수 있는 채널비트수는 각 데이터 존에 의해서 다르고, 바깥둘레에 가까운 데이터 존일수록 그 기록용량은 커진다.
가장 안둘레의 데이터 존의 1개의 세그먼트에는 468비트, 가장 바깥둘레의 데이터 존의 1개의 세그먼트에는 986비트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1-7)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하기 전의 데이터의 수로 표시하고 있다.).
1개의 ECC블록의 채널비트수를 Q바이트, 각 세그먼트의 데이터기록영역에 기록할 수 있는 채널비트수를 N비트로 하면, 1개의 ECC블록은 대략 계산으로 TRUNC(8·Q/N) + 1로 산출되는 세그먼트수에 분할하여 기록할 수 있다(TRUNC는, ( )안의 계산치의 소수점이하를 잘라 버린 값을 출력하는 함수이다.).
대략 계산으로 가장 안둘레의 데이터 존에서는 TRUNC(8비트 ×(32kB + 5088 + 480)/468) + 1 = 656보다 1개의 ECC블록은 656세그먼트에 기록된다. 가장 바깥둘레의 데이터 존에서는 TRUNC(8비트 ×(32kB + 5088 + 480)/986 ) + 1 = 312보다 1개의 ECC블록은 312세그먼트에 기록된다(5088바이트 및 480바이트는 ECC블록의 용장데이터).
<기입/읽어내기 제어부의 설명(도 4)>
도 4는, ECC인코더(308)가 RAM(307)에 기입한 ECC블록을 읽어내어, 부호화부 (306)가 해당 ECC블록을 부호화하여, 데이터추가부(305)가 데이터블록에 소정의 데이터를 추가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ECC인코더(308)에 의해, 1개의 ECC블록및 2p비트(p는 양의 정수)의 후치의 데이터(00의 반복데이터이다. (1-7)부호화기(312)에 의해 부호화되고 3비트의 후치의 부호화데이터(408)(001의 반복데이터이다.)가 된다.)가 RAM(307)에 기입한다.
ECC인코더(308)는, 1개의 ECC블록(401)중의 선두의 세그먼트에 기록하는 데이터의 데이터블록(부호화하여 1번째의 데이터블록(402)이 된다.)을 RAM(307)로부터 읽어 낸다.
(1-7)부호화기(31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ECC블록의 부호화를 개시하기 전에 초기값을 설정한다.
(1-7)부호화기(312)는, 초기값을 부호화하여 3비트의 전치의 부호화데이터 (407)를 생성하여 출력함과 동시에, 입력하는 1번째의 데이터블록을 입력하여, 해당 1번째의 데이터블록를 부호화하여 부호화데이터로 이루어지는 1번째의 데이터블록(402)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데이터추가부(305)는, 3비트의 전치의 부호화데이터(407)와 1번째의 데이터블록(402)을 입력하고, 이들의 부호화데이터의 선두에 5비트의 일정한 데이터(406) (2비트 이상이면 좋다. 실시예 1에서는 전부 0이다.)를 추가하여, 데이터블록 (402)의 최후의 1비트의 데이터(405)와 같은 값의 4비트의 데이터(409)를 데이터블록(402)의 뒤에 추가하여, 추가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1번째의 데이터블록을 출력한다.
5비트의 일정한 데이터(406)중의 선두의 4비트는 프리라이트부(116)에 기록된다. 5비트의 일정한 데이터(406)중의 최후의 1비트, 3비트의 전치의 부호화데이터(407) 및 1번째의 데이터블록(402)으로 이루어지는 추가된 1번째의 데이터블록은, 1번째의 세그먼트(111)의 데이터기록영역에 기록된다.
프리라이트부(116)에 기록되는 이들의 4비트는 유효한 부호화데이터가 아니지만, 1비트의 일정한 데이터(406)의 런랭스가 1T가 되는 것을 방지하여, 2T 이상의 런랭스를 확보하는 역할을 다한다.
또한, 데이터추가부(305)는, 1번째의 데이터블록(402)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 (405)의 값을 기억하고 있다.
데이터추가부(305)는, 추가된 1번째의 데이터블록을 출력을 끝낸 후에도(최후의 부호화데이터(405)를 포함한다.), 1번째의 데이터블록(402)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 (405)를 더욱 4비트의 기간 출력하기를 계속한다 (409. 1비트 이상이면 좋다.). 4비트의 데이터(409)는 포스트라이트부(117)에 기록된다.
포스트라이트부(117)에 기록되는 이들의 4 비트의 데이터(409)는 유효한 부호화데이터가 아니지만, 1번째의 데이터블록(402)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405)의 런랭스가 1T가 되는 것을 방지하여, 2T 이상의 런랭스를 확보하는 역할을 다 한다.
실시예 1에서는, 아래의 식이 성립한다.
1채널비트(일정한 데이터(406)) + 3채널비트(전치의 부호화데이터 (407) + 1번째의 데이터블록(402)의 채널비트수 = 1개의 세그먼트내 데이터영역의 채널비트수
기록개시 후 레이저광의 출력이 안정될 때까지 일정한 시간을 요하는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는, 데이터추가부(305)는, 3비트의 전치의 부호화데이터(407)의 전에 일정한 데이터길이를 갖는 헤더부(예를 들면 32비트의 값의 데이터열) 및 일정한 데이터장의 Sync부(동기부)를 출력한다. 이들의 데이터는 1번째의 세그먼트 (111)에 기록된다.
헤더부의 데이터길이는, 기록개시 후 레이저광의 출력이 안정되기까지의 시간보다도 헤더부의 기록시간이 길어지도록 정한다. 이에 따라, 헤더부의 뒤에 계속되는 데이터의 재생신호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Sync부는, 헤더부 이후의 데이터열의 바이트동기를 하기 위한, 기지의 신호이다. 예를 들면 8비트데이터 11110000이다.
다음에, ECC인코더(308)는, 1개의 ECC블록(401) 중의 2번째의 세그먼트에 기록하는 데이터의 데이터블록(부호화하여 2번째의 데이터블록(403)이 된다.)을 RAM (307)으로부터 읽어낸다.
(1-7)부호화기(312)가, 2번째의 세그먼트에 기록하는 데이터의 데이터블록을 부호화하여 2번째의 데이터블록(403)(부호화데이터로 이루어진다.)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1-7)부호화기(312)가, 2번째의 데이터블록의 선두의 데이터를 (1-7)부호화할 때는, 후속하는 2비트의 데이터와, 1번째의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1비트의 데이터를 사용한다. 다른 후속하는 데이터블록에 있어서도, 그 데이터블록의 선두의 데이터를 (1-7)부호화할 때는, 후속하는 2비트의 데이터와, 바로 전의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1비트의 데이터를 사용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스트림(실시예에 있어서는 ECC블록)전체를 통합하여 (도중에 끊어지는 일없이)(1-7)부호화하여, 그것을 분할한 데이터블록을 복수의 세그먼트에 기록하고 있다.
데이터추가부(305)는, 2번째의 데이터블록(403)을 입력하고, 1번째의 데이터블록(402)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405)와 같은 값의 5비트의 데이터(2비트 이상이면 좋다.)를 2번째의 데이터블록(403)의 선두에 추가하여, 데이터블록(403)의 최후의 1비트의 데이터(405)와 같은 값의 4비트의 데이터(409)를 데이터블록(403) 뒤에 추가하여, 2번째의 추가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블록을 생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추가부(305)는, 1번째의 데이터블록(402)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405)를 기억하고 있다.
1번째의 데이터블록(402)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405)와 같은 값의 5비트의데이터 중의 선두의 4비트는 프리라이트(116)에 기록된다. 1번째의 데이터블록 (402)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405)와 같은 값의 5비트의 데이터의 중의 최후의 1비트, 및 2번째의 데이터블록(403)으로 이루어지는 추가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2번째의 데이터블록은, 2번째의 세그먼트(111)의 데이터기록영역에 기록된다.
프리라이트(116)에 기록되는 이들의 4비트는 유효한 부호화데이터가 아니지만, 선두에 추가된 1번째의 데이터블록(402)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405)와 같은 값의 1비트의 데이터의 런랭스가 1T가 되는 것을 방지하여, 2T 이상의 런랭스를 확보하는 역할을 다 한다.
또한, 데이터추가부(305)는, 2번째의 데이터블록(403)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 (405)의 값을 기억하고 있다.
데이터추가부(305)는, 추가된 2번째의 데이터블록(403)(최후의 부호화데이터 (405)를 포함한다.)을 출력하기를 끝난 후에도, 2번째의 데이터블록(403)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405)를 더욱 4비트의 기간 출력하기를 계속한다((409). 1비트 이상이면 좋다.). 4비트의 데이터(409)는 포스트라이트(117)에 기록된다.
포스트라이트(117)에 기록되는 이들의 4비트의 데이터(409)는 유효한 부호화데이터가 아니지만, 2번째의 데이터블록(403)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405)의 런랭스가 1T가 되는 것을 방지하여, 2T 이상의 런랭스를 확보하는 역할을 다 한다.
실시예 1에 있어서는, 아래의 식이 성립한다.
1채널비트(부호화데이터(405)) + 2번째의 데이터블록(403)의 채널비트수 = 1개의 세그먼트내 데이터영역의 채널비트수
다음에, ECC인코더(308)는, 1개의 ECC블록(401) 중의 3번째의 세그먼트에 기록하는 데이터블록(부호화하여 3번째의 데이터블록(403)이 된다.)을 RAM(307)으로부터 읽어낸다.
(1-7)부호화기(312)가, 3번째의 세그먼트에 기록하는 데이터블록을 부호화하여 3번째의 데이터블록(403)(부호화데이터로 이루어진다.)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1-7)부호화기(312)가, 3번째의 데이터블록의 선두의 데이터를 (1-7)부호화할 때는, 후속하는 2비트의 데이터와, 2번째의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1비트의 데이터를 사용한다.
데이터추가부(305)는, 3번째의 데이터블록(403)을 입력하여, 2번째의 데이터블록(403)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405)와 같은 값의 5비트의 데이터(2비트 이상이면 좋다.)를 3번째의 데이터블록(403)의 선두에 추가하여, 3번째의 데이터블록 (403)의 최후의 1비트의 데이터(405)와 같은 값의 4비트의 데이터(409)를 그 데이터블록(403)의 뒤에 추가하여, 3번째의 추가된 데이터블록을 생성한다.
상술과 같이, 데이터추가부(305)는, 2번째의 데이터블록(403)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405)를 기억하고 있다.
2번째의 데이터블록(403)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405)와 같은 값의 5 비트의 데이터 중의 선두의 4비트는 프리라이트부(116)에 기록된다. 2번째의 데이터블록 (403)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405)와 같은 값의 5비트의 데이터의 중의 최후의 1비트, 및 3번째의 데이터블록(403)으로 이루어지는 추가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3번째의 데이터블록은, 3번째의 세그먼트(111)의 데이터기록영역에 기록된다.
프리라이트(116)에 기록되는 이들의 4비트는 유효한 부호화데이터가 아니지만, 선두에 추가된 2번째의 데이터블록(403)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405)와 같은 값의 1비트의 데이터의 런랭스가 1T가 되는 것을 방지하여, 2T 이상의 런랭스를 확보하는 역할을 다 한다.
또한, 데이터추가부(305)는, 3번째의 데이터블록(403)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 (405)의 값을 기억하고 있다.
데이터추가부(305)는, 추가된 3번째의 데이터블록(403)(최후의 부호화데이터 (405)를 포함한다.)을 출력하기를 끝낸 후에도, 3번째의 데이터블록(403)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405)를 더욱 4비트의 기간 출력하기를 계속한다((409). 1비트 이상이면 좋다.). 4비트의 데이터(409)는 포스트라이트부(117)에 기록된다.
포스트라이트부(117)에 기록되는 이들의 4비트는 유효한 부호화데이터가 아니지만, 3번째의 데이터블록(403)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405)의 런랭스가 1T가 되는 것을 방지하여, 2T 이상의 런랭스를 확보하는 역할을 다 한다.
실시예 1에 있어서는, 아래의 식이 성립한다.
1비트(부호화데이터(405)) + 3번째의 데이터블록(403)의 채널비트수 = 1개의 세그먼트내 데이터영역의 채널비트수 이하, 이것을 반복한다.
(1-7)부호화방식은 2비트의 데이터를 입력하여 3비트의 부호화데이터(채널비트의 수)를 출력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각 데이터블록(402 등)은, (1-7)부호화방식에 의한 부호화 전의 데이터량으로 환산하여 2의 정수배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부호화부(306)의 클럭신호의 제어회로 등을 간소화할 수 있다.
실시예 1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가장 안둘레의 데이터 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데이터블록의 용량은 468비트이고, 가장 바깥둘레의 데이터 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데이터블록의 용량은 986비트이고, 어느 것이나 2의 정수배이다(데이터블록의 용량은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에 의한 부호화 전의 실효적인 데이터 사이즈로 나타내고 있다).
각 세그먼트의 데이터기록영역의 용량은 8비트의 정수배(부호화 전의 실효적인 데이터 사이즈로 나타낸다.)일 필요는 없고, 2비트의 정수배의 임의의 길이로 선정하면 낭비가 없는 기록을 할 수 있다.
1개의 ECC블록(401)의 최후의 데이터를 최후의 세그먼트에 기록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최종의 세그먼트에 있어서는 통상, 남는 영역을 갖는다. 이 나머지 영역에는 일정한 데이터(미리 정해진 데이터)(408)가 기록된다.
따라서, 최종 세그먼트에 있어서의 최종데이터는 다음의 나머지 영역의 기지데이터를 이용하여 (1-7)부호화방식의 부호화, 복호화를 확정할 수가 있다.
다음에, ECC인코더(308)는, 1개의 ECC블록(401) 중의 최후의 세그먼트에 기록하는 데이터블록(부호화하여 최후의 데이터블록(404)이 된다.) 및 일정한 데이터 (실시예에 있어서는, 00의 반복(짝수개의 0)이다. 부호화하여 일정한 부호화데이터(408)가 된다.)를 RAM(307)로부터 읽어낸다.
(1-7)부호화기(312)가, 최후의 세그먼트에 기록하는 데이터블록을 부호화하여 부호화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최후의 데이터블록(404)을 생성하여, 일정한 데이터(00의 반복)를 부호화하여 일정한 부호화데이터(408)(001의 반복)를 생성하여, 이들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데이터추가부(305)는, 최후의 데이터블록(404) 및 일정한 부호화데이터(408)를 입력하여, 최후에서 2번째의 데이터블록(403)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405)와 같은 값의 5비트의 데이터(2비트 이상이면 좋다)를 최후의 데이터블록(404)의 선두에 추가하고, 최후의 추가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블록을 생성한다.
상술과 같이, 데이터추가부(305)는, 최후에서 2번째의 데이터블록(403)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405)를 기억하고 있다.
최후에서 2번째의 데이터블록(403)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405)와 같은 값의 5비트의 데이터 중의 선두의 4비트는 최후의 세그먼트(111)의 프리라이트부(116)에 기록한다. 최후에서 2번째의 데이터블록(403)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405)와 같은 값의 5비트의 데이터 중의 최후의 1비트, 최후의 데이터블록(404), 및 일정한 부호화데이터(408)로 이루어지는 추가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최후의 데이터블록은, 최후의 세그먼트(111)의 데이터기록영역에 기록된다.
프리라이트(116)에 기록되는 이들의 4비트는 유효한 부호화데이터가 아니지만, 선두에 추가된 최후에서 2번째의 데이터블록(403)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405)와 같은 값의 1비트의 데이터의 런랭스가 1T가 되는 것을 방지하여, 2T 이상의 런랭스를 확보하는 역할을 다 한다.
일정한 부호화데이터(408)는 최후의 데이터기록영역(111)의 기록용량을 만족시키는 채널비트수를 갖도록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최후의 데이터기록영역(111)을 넘어, 포스트라스트(117)에 4비트정도가 기록된다.
포스트라스트(117)에 기록되는 이들의 4비트는 유효한 부호화데이터가 아니지만, 3번째의 데이터블록(403)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405)의 런랭스가 1T가 되는 것을 방지하여, 2T 이상의 런랭스를 확보하는 역할을 다 한다.
실시예 1에 있어서는, 일정한 데이터(408)는, 3비트의 값 001을 반복한 데이터(예를 들면 001001‥‥)이다. 3비트의 값001은, 부호화의 대상인 데이터와 해당 부호화의 대상인 데이터의 다음 데이터와의 값이 전부 00인 경우의 부호화데이터이다(표 1 참조).
일정한 데이터(408)의 채널비트수는, 아래의 식으로 구해진다.
(일정한 데이터(408)의 채널비트수) = (1개의 세그먼트내 데이터영역의 채널비트수) - (최후의 데이터블록(404)의 채널비트수) - 1비트 + 4비트
상기 식의 ‘-1비트’의 항은 선두에 추가되는 최후의 1비트의 부호화데이터 (405)를 나타낸다.
‘+ 4비트’의 항은, 포스트라스트(117)에 기록되는 4비트의 데이터를 의미한다.
실시예 1의 광자기디스크는 복수의 데이터 존을 갖고, 다른 데이터 존에서는, 1개의 세그먼트는 다른 데이터수의 데이터를 기록하기 때문에, 일정한 데이터 (408)의 데이터수는 존마다 다르다.
일정한 데이터(408)의 데이터수는, 적어도 2비트 이상으로 하고, 만약 식에 의해 구해진 일정한 데이터(408)의 데이터수가 0개 또는 1개의 경우는, 해당 1개의ECC블록에 더욱 1세그먼트를 추가한다. 추가된 1세그먼트의 선두에는, 그 전의 세그먼트의 최후의 1비트의 부호화데이터(405)를 기록하여, 그 후에 일정한 데이터 (408)(전의 세그먼트에 기록한 일정한 데이터(408)의 계속)을 기입한다.
기록장치는, 상기와 같이 1개의 ECC블록(401)을 부호화하여 각 세그먼트에 기록하는 복수의 데이터블록에 분할하여, 각 데이터블록의 선두에 1비트(유효데이터의 수)의 데이터를 추가하여, 광픽업(302)이 데이터기록영역상을 통과할 때에 해당 1비트의 데이터와 데이터블록을 기록매체에 기록한다.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록매체의 데이터기록영역의 선두에, 바로 전의 데이터기록영역의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와 같은 값의 데이터(소정의 데이터)가 기록되었다. 이 대신에, 각 데이터기록영역의 선두에, 1비트 이상의 임의의 데이터(소정의 데이터)를 기록하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프리라이트영역 또는 포스트라이트영역에 추가하는 임의의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 또는 1 또는 0의 일정한 데이터 등을 각 데이터기록영역의 선두에 기록할 수도 있다.
<(1-7)부호화기의 구성의 설명(1-7)(도 6)>
도 6은. (1-7) 부호화기(312)의 구성을 나타낸다.
D플립플롭(D-FF)(601, 602, 603, 604)은 4단의 시리얼입력 패러렐 출력형 시프트 레지스터이고, D플립플롭(601)의 D입력단자에 입력한 부호화기(312)의 입력데이터를 시프트하여, 각각 패러렐에 출력한다.
(1-7)부호화변환기(605)는, D플립플롭(603, 604)의 각 출력신호(부호화의 대상인 2비트데이터), D플립플롭(601, 602)의 각 출력신호(다음에 부호화의 대상이되는 2비트데이터) 및 D플립플롭(609)의 출력신호(직전에 부호화한 부호화데이터의 최후의 1비트)를 입력하여, 표 1에 나타낸 변환규칙 에 따라서 3비트의 부호화데이터를 출력한다.
(1-7)부호화변환기(605)의 구성은 임의이다. 예를 들면, (1-7)복호화변환기 (605)는, 게이트회로구성에 의해 입력신호에 따라서 출력신호를 생성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1-7)부호화변환기(605)는 ROM으로 구성되어 있고, 입력신호를 해당 ROM의 읽어내기 어드레스단자에 입력하여, 해당 어드레스단자에의 입력신호로 지정되는 어드레스의 ROM에서 출력신호를 읽어낸다.
D플립플롭(606, 607, 608, 609)은 4단의 패러렐입력 시리얼출력형 시프트레지스터이고, D플립플롭(606, 607, 608)의 D입력단자에 입력한 부호화데이터((1-7)부호화변환기(605)의 출력신호)를 시프트하여, D플립플롭(608, 609)의 각 출력단자로부터 출력한다.
D플립플롭(608)의 출력신호(부호화데이터)는, (1-7)부호화기(312)의 출력신호이다.
D플립플롭(609)의 출력신호(부호화데이터)는 (1-7)부호화변환기(605)에 입력된다.
<(1-7)부호화기의 동작의 설명(도 7)>
도 7은, (1-7)부호화기(312)의 동작의 플로차트를 나타낸다.
최초에, D플립플롭(601, 602, 603, 604)에 2개의 클럭신호를 입력하여, D플립플롭(601, 602)에 있던 신호를 D플립플롭(603, 604)에 전송하여, D플립플롭(601,602)에 새로운 2비트의 입력데이터를 로드한다(스텝 701).
다음에, (1-7)부호화변환기(605)는, D플립플롭(601, 602, 603, 604, 609)의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표 1에 나타낸 변환규칙에 따라서 3비트의 부호화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한다(스텝 702).
이 부호화데이터는, D플립플롭(603, 604)에 로드되어 있는 데이터의부호화데이터이다.
다음에, 스텝(703)에 있어서, D플립플롭(606, 607, 608, 609)은 (1-7)부호화변환기(605)의 출력신호를 로드하여, 3개의 클럭신호를 입력하여 해당 로드한 데이터를 시프트한다. D플립플롭(606, 607, 608)에 있던 3개의 부호화데이터가 시리얼 출력할 수 있다. D플립플롭(606)에 있던 부호화데이터의 최후의 1비트가, D플립플롭(609)에 전송된다.
이상의 스텝(701∼703)을 반복한다.
각 세그먼트에 기록하는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2비트의 데이터를 부호화할 때는, 해당 최후의 2비트의 데이터를 D플립플롭(603, 604)에 로드하여, 직전에 부호화한 부호화데이터의 최후의 1비트를 D플립플롭(609)에 로드하여, 및 다음 세그먼트의 선두의 2비트의 데이터를 D플립플롭(601, 602)에 로드하여 부호화한다. 즉, 2개의 인접하는 세그먼트의 데이터블록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1-7)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가 행하여진다.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1비트가 출력되면, (1-7)부호화기(312)는 동작을 정지한다.
광픽업이 다음 세그먼트에 이동하여, 다음 세그먼트에 기록하는 부호화데이터를 생성하는 타이밍이 되면, (1-7)부호화기(312)는 다시 동작을 시작한다.
각 세그먼트에 기록하는 데이터블록의 선두의 2비트의 데이터를 부호화할 때는, 전의 세그먼트의 최후의 부호화를 완료한 상태로부터 동작을 재개하면 좋다. D플립플롭(601, 602)에 로드되어 있던 해당 선두의 2비트의 데이터를 D플립플롭 (603, 604)에 전송하여, 이에 계속되는 2비트의 데이터를 D플립플롭(601, 602)에 로드하여, 바로 전의 세그먼트에 기록한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의 최후의 1비트를 D플립플롭(609)에 로드하여 부호화한다.
상기와 같이, 각 세그먼트에 기록하는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2비트의 데이터와 다음 세그먼트에 기록하는 데이터블록의 선두의 2비트의 데이터의부호화처리는, 클럭신호를 제어함에 의해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ECC블록신호의 데이터의 선두의 데이터의부호화에 관해서, 표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1-7)부호화방식 등의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에 있어서는, 부호화의 대상인 데이터만으로는 부호화데이터를 일의적으로 정할 수 없다. (1-7)부호화방식에 있어서는, 부호화의 대상인 데이터와, 그 전의 부호화데이터와, 다음에 부호화의 대상이 되는 데이터에 의해서, 부호화데이터가 정해진다.
마찬가지로, (1-7)부호화방식에 있어서는, 복호화의 대상인 부호화데이터와, 그 앞뒤의 부호화데이터를 사용하여, 부호화데이터를 정확하게 복호화 할 수 있다.
실시예 1에 있어서는 전치의 3비트의 부호화데이터를 생성하여 기록함에 의해, 1개의 ECC블록의 데이터의 선두의 데이터를 정확하게 부호화하여, 복호화 할 수 있다.
표 3에, 1개의 ECC블록의 데이터의 선두의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모양을 나타낸다. 표 3은, 표 1에 따라서 특정한 데이터를 부호화한 모양을 나타낸다.
표3
1개의 ECC블록의 데이터의 선두의 데이터의 전에는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전치의 데이터를 추가하여 부호화를 시작한다.
구체적으로는, 1개의 ECC블록의 데이터의 부호화를 개시하기 전에, D플립플롭 (601∼604, 609)을 초기설정한다.
실시예 1에서는, 2비트의 데이터 00이 무한히 연속하는 데이터를 부호화하면 3비트의 데이터 001이 무한히 연속하는 부호화데이터가 생성되는 것을 고려하여, D플립플롭(601∼604)에는 0을 초기설정하여, D플립플롭(609)에는 1(부호화데이터 001의 최후의 1비트에 해당한다.)을 초기설정한다.
스텝(701∼703)을 실행하여 1회째의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한다. D플립플롭 (603, 604)에 로드되어 있는 데이터 00(표 3의 입력데이터 1 ‘전치의 전의 입력데이터'의 란)의 부호화데이터(001)가, D플립플롭 606∼608에 로드되고, 출력되는(표 3이 출력데이터 1 ‘전치의 전의 입력데이터의 부호화데이터’의 란). 그러나, 해당 부호화데이터(전부 001)는 사용되지 않는다.
스텝(701∼703)을 실행하여 2회째의 부호화데이터를 생성한다. 최초에 D플립플롭(601, 602)에 로드된 데이터 00(표 3의 입력데이터 2 ‘전치의 입력데이터’의 란)이 D플립플롭(603, 604)에 전송되어, D플립플롭(601, 612)에는 1개의 ECC블록신호의 데이터의 선두의 2비트의 데이터(표 3의 입력데이터 3 ‘부호화하고자 하는 최초의 입력데이터’의 란)이 로드된다.
D플립플롭(609)에는 부호화데이터(001)의 최후의 1비트가 로드된다.
(1-7)부호화변환기(605)는, D플립플롭(601∼604) 및 (609)에 로드되어 있는데이터를 입력하여(표 3의 입력데이터 2 ‘전치의 입력데이터’의 란)부호화데이터를 출력한다.
부호화데이터는, D플립플롭(606∼608)에 로드되어 출력된다(표 3이 출력데이터 2 ‘전치에 입력데이터의 부호화데이터’의 란). 해당 부호화데이터는 전치의 데이터 (407)라고 하고, 후속하는 데이터(1개의 ECC블록의 데이터의 선두의 2비트의 데이터)에 따라서 001 또는 010이 된다. 전치의 부호화데이터(407)는 1개의 ECC블록의 데이터의 선두의 2비트의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해서 필요하기 때문에, 기록매체에 기록된다.
스텝(701∼703)을 실행하여 3회째의 부호화데이터를 생성한다. 전회에 D플립플롭(601, 602)에 로드된 1개 ECC블록호의 데이터의 선두의 2비트의 데이터(표 3의 입력데이터 3 ‘부호화하고자 하는 최초의 입력데이터’ 의 란)이 D플립플롭 (603, 604)에 전송되어, D플립플롭(601, 602)에는 1개의 ECC블록의 데이터의 후속하는 2비트의 데이터(표 3의 입력데이터 4 ‘후속하는 입력데이터’의 란)이 로드된다.
(1-7)부호화변환기(605)는, D플립플롭(601∼604) 및 (609)에 로드되어 있는 데이터를 입력하고(D플립플롭(609)에는, 부호화데이터의 최후의 1비트가 로드되어 있다.), 부호화데이터를 출력한다.
부호화데이터가, D플립플롭(606∼608)에 로드되어 출력되는(표 3이 출력데이터 3 ‘선두의 입력데이터의 부호화데이터’의 란). 해당 부호화데이터는 기록매체에 기록된다. 이하, 이것을 반복한다.
표 5는, 표 3의 출력데이터인 1개의 ECC블록의 부호화데이터의 선두의 부호화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모양을 나타낸다. 표 5에 대해서는, (1-7)복호화기의 설명중에서 상술한다.
마찬가지로, 1개의 ECC블록의 데이터의 최후의 데이터에는 후속하는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일정한 데이터(실시예 1에 있어서는 00)를 뒤에 추가하여 부호화를 한다.
1개의 ECC블록의 데이터의 최후의 데이터의부호화의 모양을 표 4에 나타낸다. 표 4는, 표 1에 따라서 특정한 데이터를 부호화한 모양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D플립플롭(601, 602)에 로드되어 있던 1개의 ECC블록의 데이터의 최후의 데이터(표 4의 입력데이터 1 ‘부호화하고자 하는 최후의 입력데이터’의 란)이 D플립플롭(603, 604)에 전송될 때, D플립플롭(601, 602)에는 RAM(307)으로부터 읽어낸 후치의 데이터00(표 4의 입력데이터 2 ‘후치의 입력데이터 1’의 란)을 로드한다.
표 4
최후의 데이터가 D플립플롭(601, 602)에 로드되고 또는 D플립플롭(603, 604)에 전송된 것은, (1-7)부호화기(312)가 내장하는 카운터에 의해서 입력데이터의 수(입력클럭수), 출력하는 부호화데이터의 수 또는 데이터변환의 실행회수 등을 합하여 검출한다.
D플립플롭(603, 604)에 로드되어 있는 1개의 ECC블록의 데이터의 최후의 데이터의 부호화데이터가, D플립플롭(606∼608)에 로드되어, 출력할 수 있는(표 4의 출력데이터 1 ‘최후의 입력데이터의 부호화데이터’의 란).해당 부호화데이터는 기록매체에 기록된다.
1개의 ECC블록의 데이터의 최후의 데이터를 부호화한 후, 다시 스텝(701 ∼ 703)을 실행하여 부호화데이터를 생성한다. 전회에 D플립플롭(601, 602)에 로드된 2비트의 후치의 입력데이터 00(표 4의 입력데이터 2 ‘후치의 입력데이터 1’의 란)이 D플립플롭(603, 604)에 전송되어, D플립플롭(601, 602)에는 새로운 2비트의 후치의 데이터 00(표 4의 입력데이터 3 ‘후치의 입력데이터 2’의 란)이 로드된다.
D플립플롭(603, 604)에 로드되어 있는 후치의 입력데이터 1(00)의 부호화데이터(전부 001이 있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가, D플립플롭606∼608에 로드되어, 출력되는(표 4가 출력데이터 2 ‘후치의 입력데이터 1의 부호화데이터’의 란). 이들의 데이터를 후치의 부호화데이터(408)라고 한다.
다음에, 다시 스텝(701∼703)을 실행하여 부호화데이터를 생성한다. 전회에 D플립플롭(601, 602)에 로드된 2비트의 후치의 입력데이터 00(표 4의 입력데이터 3‘후치의 입력데이터 2’의 란)이 D플립플롭(603, 604)에 전송되고, D플립플롭 (601, 602)에는 새로운 2비트의 후치의 입력데이터 00 (표 4에는 기재하지 않는다.)이 로드된다.
D플립플롭(603, 604)에 로드되어 있는 후치의 입력데이터 2비트(00)의 부호화데이터(전부 001이다.)가, D플립플롭(606∼608)에 로드되어, 출력된다(표 4가 출력데이터 3 ‘후치의 입력데이터 2의 부호화데이터’의 란).
이하, 이것을 반복한다. 후치의 부호화데이터(408)는, 이들의 데이터(001의 반복)의 총칭이다.
실시예 1에 있어서는, 1개의 ECC블록의 최후의 세그먼트에, 1개의 ECC블록의 부호화데이터를 최후까지 기록한 후에, 상술의 후치의 부호화데이터(408)를 적어도 2비트(00)기록한다. 1개의 ECC블록의 최후의 세그먼트의 채널비트수에 여유가 있는 경우는 후치의 부호화데이터(001)를 반복하여 기록한다.
4비트째 이후의 데이터는 더미데이터이다.
다만, 후치의 부호화데이터(408)는 항상 001의 반복이기 때문에, 상기의 3비트의 후치의 부호화데이터(001)가 없더라도 모든 부호화데이터를 복호화 가능하다(실시예 2 참조).
표 6은, 표 4의 부호화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모양을 나타낸다.
표 6에 있어서는, (1-7)복호화기의 설명 중에서 상술한다.
<광디스크재생장치의 설명(도 8)>
도 8은, 실시예 1의 광디스크의 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에 있어서 (801)은 재생앰프, (802)는 10비트 A/D컨버터(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 (803)은 (1-D)연산기, (804)는 RAM, (805)은 비터비 디코더, (806)은 (1-7)부호화방식의 복호화기, (807)은 ECC디코더이다.
광픽업(302)으로부터 집광된 레이저광의 반사광은, 스플리터(도시하지 않음 .)에 의해 2개의 편향면의 광성분으로 분리된다. 분리된 2개의 M광성분은, 2개의 광검지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2개의 전기신호에 변환된다. 2개의 전기신호는, 감산기(도시하지 않음.)에 입력된다. 감산기는, 2개의 전기신호의 차분인 차분신호를 출력한다.
차분신호는, 재생앰프(801)로 증폭된 후, 10비트A/D 컨버터(802)에 입력되어, 10비트의 디지털재생신호에 변환된다. A/D컨버터(802)는, 1클럭마다 입력신호를 샘플홀드하여 디지탈화하여 디지털재생신호를 출력한다.
10비트의 디지털재생신호(NRZI변환된 10비트의 부호화데이터)는 (1-D)연산기 (803)에 입력되어, 2개의 연속하는 재생신호의 차분신호(10비트의 디지털재생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2개의 연속하는 재생신호의 차분신호는, 비터비 디코더(805)에 입력되어, 최대 복호를 하여, 2치화되어(1비트의 부호화데이터로 변환된다), 또한 NRZI방식에 의해 복호화된다.
비터비 디코더(805)는, 정정된 부호화데이터(2치화데이터)를 출력하여, (1-7)복호화기(806)로 전송한다.
(1-7)복호화기(806)는, 정정된 부호화 데이터(2치화데이터)를 입력하여, (1-7)부호화방식에 의해 복호화한다.
(1-7)부호화방식에 의해 복호화된 데이터는 ECC디코더(807)에 입력되어, RAM(804)에 기입된다. 그 후, RAM(804)에 기입된 데이터는, ECC디코더(807)에 의해 디코드되어, 에러정정된다. 디코드된 데이터는, RAM(804)으로부터 읽어내어진다. 복호화된 데이터를 RAM(804)에 기입하였을 때에 불필요한 데이터(후치의 데이터 등)를 제거하여, ECC디코더된 데이터를 RAM(804)로부터 읽어내어졌을 때에 각 데이터블록(각 세그먼트마다의 데이터블록)을 접속하여 연속한 스트림 데이터로 한다.
동기클럭생성부(310)는, 재생앰프(301)가 출력된 재생신호를 입력하여, 재생용의 클럭을 생성한다.
<부호화데이터의 복호화의 설명(도 16)>
도 16을 사용하여, 부호화데이터의 복호화방법을 설명한다. 도 16(a)은, 제 1 의 기록트랙(103) 및 제 2 의 기록트랙(104)의 일부를 나타낸다. 재생앰프(801)는, 제 1 의 기록트랙(103) 등의 각 데이터기록영역(111)에서 재생된 데이터블록(도 16(b)에 나타낸다.)을 출력한다. ECC블록의 선두의 데이터블록은, 일정한 데이터(406), 전치의 부호화데이터(407) 및 1번째의 데이터블록(402)을 갖는다. ECC블록선두로부터 2번째∼최후에서 2번째의 데이터블록은, 바로 전의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405)(소정의 데이터) 및 데이터블록(403)을 각각 갖는다. ECC블록 최후의 데이터블록은, 바로 전의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405)(소정의 데이터), 최후의 데이터블록(404) 및 후치의부호화데이터(408)를 갖는다.
(1-D)연산기(80a) 및 비터비 디코더(805)는, 재생앰프의 출력신호(도 16(b))를 2치화한다.
(1-D)연산기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하는 바와 같이, 각 데이터블록의 최초의 1비트(소정의 데이터(405))는, 스큐변형의 영향을 제거하여 정확하게 재생신호를 2치화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다 하지만, 해당 소정의 데이터(405)자체는 2치화되지 않는다. 도 1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터비 디코더(805)의 출력신호(2치화데이터)에 있어서, ECC블록의 선두의 데이터블록은 전치의 부호화데이터 (407) 및 1번째의 데이터블록(402)을 갖는다. ECC블록의 선두로부터 2번째∼최후에서 2번째의 데이터블록은 데이터블록(403)을 각각 갖는다(소정의 데이터(405)가 제외되고 있다.). ECC블록 최후의 데이터블록은 최후의 데이터블록(404) 및 후치의 부호화데이터(408)를 갖는(소정의 데이터(405)가 제외되고 있다.).
(1-7)복호화기(806)는, ECC블록의 선두로부터 2번째∼최후의 데이터블록의 전에 기록된 소정의 데이터(바로 전의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405))를 제거하여, 2치화신호를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으로 복호화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데이터블록의 선두의 부호화데이터를 복호화 할 때는 바로 전의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를 사용하여 복호화하여, 각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를 복호화 할 때는, 다음 데이터블록의 선두의 부호화데이터를 사용하여 복호화한다. 따라서 (1-7)복호화기(806)는, 실질적으로 복수의 상기 데이터블록의 2치화신호를 데이터기록영역으로부터의 재생순서로 결합하여, 결합된 2치화신호의 전체를 1개의 데이터스트림으로서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으로 복호화한다(도 16(d)). (1-7)복호화기(806)는, 실질적으로 도 16(e)에 나타내는 복호화된 1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출력한다.
ECC디코더(807)는, 도 16(e)에 나타내는 데이터 스트림을 더욱 복호화하여 출력한다.
<(1-D)연산기의 설명(도 8, 도 9)>
(1-D)연산기(803)는, 지연기(811) 및 감산기(812)를 포함한다(도 8).
도 9는, (1-D)연산기(803)의 각부의 파형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9에 있어서, (901)은 (1-D)연산기(803)의 입력신호(A/D컨버터)(802)로부터 출력된 10비트 디지털 재생신호)의 파형, (902)는 지연기(811)의 출력신호의 파형, (903)은 감산기(812)의 출력신호의 파형, (904) (a)는 비터비 디코더(805)의 출력신호(2치화한 신호이다.)의 파형을 나타낸다. 904(b)는, 비터비 디코더(805)의 출력신호의 디지털값을 나타낸다.
(901∼904)는 어느 것이나 10비트의 디지털신호이지만, 보기 쉽게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표시하고 있다.
또한, 도 9는 2개의 세그먼트의 전환부분의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906)은 전의 세그먼트의 데이터기록영역(111)의 재생기간, (907)은 프리피트영역(106)의 기간, (908)은 뒤의 세그먼트의 데이터기록영역(111)의 재생기간을 나타낸다. (909)는 1클럭분(1개의 데이터)의 기간을 나타낸다.
도 9에 있어서는, 프리라이트부(116) 및 포스트라이트부(117)를 생략하고 있고, 프리피트영역(106)의 기간도 실제보다 좁게 표시하고 있다.
A/D컨버터(802)로부터 출력된 10비트 디지털재생신호(901)가, 지연기(811) 및 감산기(812)에 입력된다.
지연기(811)는, 10비트 디지털재생신호(901)를 1클럭분 지연하여, 지연한 10비트 디지털재생신호(902)를 출력한다.
감산기(812)는, 10비트 디지털재생신호(901)로부터 지연된 10비트디지털재생신호(902)를 감산하여, 감산결과의 차분신호(903)를 출력한다((차분신호(903)) = (재생신호(901)) - (재생신호(902)).
광픽업이 프리피트영역(106)으로부터 데이터기록영역(111)으로 옮긴 부분에서, 재생신호는 큰 스큐를 발생한다(도 1(c)의 (119), 도 9의 (901) 및 (902)의 (908)의 구간). 스큐성분은 부호화데이터의 주파수에 비교해서 훨씬 저주파의 성분이기 때문에, 1클럭분의 시간차를 갖는 2개의 재생신호가 갖는 스큐성분(DC 변이)은 같다.
감산기(812)는 2개의 신호(901, 902)를 감산함에 의해, 해당 스큐성분을 취소한다. 따라서, 스큐성분의 영향을 받지 않은 차분신호(903)가 생성된다.
또한, 선두에 추가된 부호화데이터(911)의 차분신호는 생성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재생신호 중에서 선두에 추가된 부호화데이터를 제거한다.
2번째의 부호화데이터(데이터블록의 선두의 데이터)(912)로부터 차분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2번째의 부호화데이터(912)의 차분신호는 아래의 식으로 나타낸다. 차분신호(903) = 2번째의 부호화데이터(912) - 1번째의 부호화데이터(911).
이와 같이 하여 생성된 차분신호는, (1-7)부호화기의 출력신호를 10 비트데이터 노이즈를 가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비터비 디코더(805)는, 노이즈가 가해진 (1-7)부호화방식의 부호화데이터(10비트의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비터비 알고리즘에 의해 가장 부호거리가 가까운 2치의 부호화데이터로 선택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1-D)연산기(803)는, 스큐성분의 영향을 배제하여 재생신호의 차분신호를 생성한다.
A/D컨버터가 출력하는 디지털재생신호를 10비트의 디지털데이터 S(0), S(1), S(2), ‥‥S(n)로 하면, 차분신호는, S(1) - S(0), S(2) - S(1), S(3) - S(2), ‥‥S(n) - S(n-1)가 된다.
전의 데이터블록의 디지털재생신호를 10비트의 디지털데이터 S'(0), S'(1), S'(2), ‥‥ S'(n)로 하면, 전의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의 재생신호는 S'(n)이므로, S'(n) = S(0)부터 S(1) - S(O) = S(1) - S'(n)와 같다(스큐의 영향 등을 제외함.).
따라서 2개의 데이터블록의 재생신호로부터 생성되는 차분신호는, S'(1) - S'(0), S'(2) - S'(1), S'(3) - S'(2), ‥‥ S'(n) - S'(n-1), S(1) - S'(n), S(2) - S(1), S(3) - S(2), ‥‥ S(n) - S(n-1)가 되어, 인접하는 데이터블록의 사이에서 연속성을 갖는다.
(1-D)연산기(803)에 있어서는, 정확히 차분신호를 얻는 것이 중요하다.
실시예 1의 광자기디스크에 있어서는, 각 세그먼트의 데이터기록영역의 선두에는 전의 세그먼트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910)(도 9)와 같은 값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고(도 9의 추가된 데이터(911)), 스큐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확한 차분신호를 얻을 수 있다.
도 9의 (901)에 있어서, 만약 추가된 1비트의 데이터(911)가 없으면, 감산기 (812, 913)는 데이터(911)로부터 (912)로의 변화를 검출할 수 없다.
도 1(c), 도 9의 (901) 및 (90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생파형은 프리피트영역(106)의 DC성분의 영향이나 매체의 복굴절의 영향 등에 의해, 프리피트영역의 앞뒤의 데이터기록영역의 사이에서 DC적인 큰 흔들림(스큐) 이 발생하다. 이 때문에, 구간(908)의 선두에 오는 데이터(912)와 구간(906)의 최후의 데이터(910)와의 정확한 차분신호(903) = 재생신호(912) - 재생신호(910)를 얻는 것은 지극히 곤란하다.
따라서 변화점만큼 주목하여 차분신호를 검출하는 방법에서는 없고, 재생신호 그 자체를 2치화하여 그 후 연속하는 2개의 재생신호의 차분신호를 생성하는(데이터(910)로부터 (912)로의 변화를 검출한다.)등 방법을 채용하지만, 이 방법에 있어서도 재생신호의 스큐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확히 기록한 부호화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이 곤란하다.
프리피트영역(106) 직후의 홈부 또는 홈사이부는, 재생신호에 스큐변형을 발생하기 쉬운 영역이기 때문에, 종래는 데이터기록영역으로서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되고 있었다. 실시예 1에 있어서는, 여기에 추가된 1비트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기록하여, 해당 1비트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었다.
<비터비 디코더의 설명>
비터비 디코더(805)는, 2개의 차분신호(903)를 입력하여, 최대복호를 하여, NRZI변환의 복호화를 하여, 2치화한 부호화데이터(904)(a), (b)를 출력한다.
출력된 2치화한 부호화데이터(904)(a), (b)는, NRZI변환의 복호화를 된 데이터이다.
이 부호화데이터(904)(a), (b)는, 잘못이 없으면, 기록시에서의 NRZI변환기 (311)(도 3)의 입력신호와 같은 신호이다.
비터비 디코더(805)는, (1-D)연산기(803)가 출력하는 2개의 연속하는 재생신호의 차분신호(10비트의 디지털재생신호)를 입력하여, 최대복호를 한다.
10비트 A/D컨버터(802)의 출력신호를 순차로 S(0), S(1), S(2), ‥‥ S(n)로 한다. S(0)는 추가된 전의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데이터와 같은 값의 데이터의 재생신호이고, S(0), S(1), S(2), ‥‥ S(n)는 10비트의 디지털신호라고 한다.
(1-D)연산기(803)는 상기 S(0), S(1)‥‥S(n)를 입력하고, S(1) - S(O), S(2) - S(1), S(3) - S(2), ‥‥ S(n) - S(n-1)를 출력한다.
이들의 출력신호의 기대치는 A, 0, 또는 -A의 3치인(A는 10비트의 디지털신호이다.). A, 0 및 -A는, 각각 2치의 데이터의 차분신호 1, 0 및 -1에 대응하고 있다.
비터비 디코더(805)는, 노이즈성분을 포함하는 (1-D)연산기(803)의 출력신호를, A(위쪽방향의 화살표), 0(옆방향의 화살표), -A(아래쪽방향의 화살표)에 맞춰 전체비트에서의 천이상태를 결정해 간다. 비터비 디코더 (805)는, 각 패스천이로의 우도(尤度)를 나타내는 패스매트릭을 계산함으로써 가장 확실한 것 같은(그럴듯한) 패스를 순차 결정해 가는 것에 의해 각 점의 천이상태(St1, StO)를 확정한다.
비터비 디코더(805)는 확정한 상태를 2치화하여, 2치화한 부호화 데이터 (904)(a), (b)를 출력한다.
<(1-7)복호화기의 구성의 설명(도 10)>
이하, (1-7)부호화방식에 의한 복호화기(806)에 대해서 더욱 설명한다.
도 10은, (1-7)부호화방식에 의한 복호화기(806)(도 8)의 구성을 나타낸다.
D플립플롭(D-FF)(1001∼1008)은 8단의 시리얼입력 패러렐출력형 시프트레지스터이고, D플립플롭(1001)의 D입력단자에 입력한 (1-7)복호화기(806)의 입력데이터를 시프트하여, 각각 패러렐에 출력한다.
(1-7)복호화변환기(1009)는, D플립플롭(1002, 1003)의 각 출력신호(다음 복호화의 대상인 부호화데이터의 선두의 2비트), D플립플롭(1004∼1006)의 각 출력신호(복호화의 대상인 부호화데이터) 및 D플립플롭(1007, 1008)의 각 출력신호(바로 전의 복호화의 대상이던 부호화데이터의 최후의 2비트)를 입력하고, 표 2에 나타낸 변환규칙에 따라서 2비트의 복호화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1-7)복호화변환기 1009의 구성은 임의이다.
D플립플롭(1010, 1011)은 2단의 패러렐입력 시리얼출력형 시프트 레지스터이고, D플립플롭(1010, 1011)의 D입력단자에 입력한 복호화된 데이터((1-7)복호화변환기 (1009)의 출력신호)를 시프트하여, D플립플롭(1011)의 출력단자로부터 출력한다.
D플립플롭(1011)이 출력하는 복호화된 데이터는, (1-7)복호화기(806)의 출력신호이다.
<(1-7)복호화기의 동작의 설명(도 11)>
도 11은, (1-7)부호화방식에 의한 복호화기(806)의 동작의 플로차트를 나타낸다.
최초에, D플립플롭(1101∼1008)에 3개의 클럭신호를 입력하여, D플립플롭 (1004, 1005)에 있던 신호를 D플립플롭(1007, 1008)에 전송하여, D플립플롭 (1001∼1003)에 있던 신호를 D플립플롭(1004∼1006)에 전송하여, D플립플롭(1001∼1003)에 새로운 3비트의 입력데이터(부호화데이터)를 로드한다(스텝1101).
다음에, (1-7)복호화변환기(1009)는, D플립플롭(1002∼1008)의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표 2에 나타낸 변환규칙에 따라서 2비트의 복호화된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한다(스텝1102).
다음에, 스텝(1103)에 있어서, D플립플롭(1010, 1011)은 (1-7)복호화변환기 (1009)의 출력신호를 로드하여, 2개의 클럭신호를 입력하여 해당 로드한 데이터를 시프트한다. D플립플롭(1010, 1011)에 있던 2개의 부호화데이터가 시리얼 출력된다.
이상의 스텝(1101∼1103)을 반복한다.
각 세그먼트에 기록한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3비트의 부호화데이터를 복호화할 때는, 직전에 복호화한 부호화데이터의 최후의 2비트를 D플립플롭(1007, 1008)에 로드하여, 해당 최후의 3비트의 데이터를 D플립플롭 (1004∼1006)에 로드하여, 및 다음 세그먼트의 선두의 3비트의 부호화데이터(선두에 추가된 1비트의 데이터는 제거되어 있다.)를 D플립플롭(1001∼1003)에 로드하여 복호화한다. 즉, 2개의 인접하는 세그먼트의 데이터블록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1-7)부호화방식에 의해 복호화가 행하여진다.
따라서, 상기의 복호화는 다음 세그먼트의 선두의 3비트의 부호화데이터를 로드한 시점에서 복호화를 실행한다.
2개의 데이터기록영역에 끼워진 프리피트영역의 구간에서는 (1-7)복호화기 (806)의 동작은 정지한다.
각 세그먼트에 기록한 데이터블록의 선두의 3비트의 부호화데이터를 복호화 할 때는, 프리피트영역의 구간에서 동작을 정지한 (1-7)복호화기(806)를 다시 동작을 개시하면 좋다.
바로 전의 세그먼트에 기록한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의 최후의 2비트를 D플립플롭(1004, 1005)으로부터 D플립플롭(1007, 1008)에 전송하고, 해당 선두의 3비트의 부호화데이터를 D플립플롭(1001∼1003)으로부터 D플립플롭 (1004∼ 1006)에 전송하여, 이에 계속되는 3비트의 부호화 데이터를 D플립플롭(1001∼1003)에 로드하여(D플립플롭(1001)에 로드한 부호화데이터는 복호화에 사용하지 않는다. ) 복호화한다.
상기와 같이, 각 세그먼트에 기록하는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3 비트의 부호화데이터와 다음 세그먼트에 기록하는 데이터블록의 선두의 3비트의 부호화데이터의 복호화처리는, 클럭신호를 제어함에 의해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1개의 ECC블록의 부호화데이터의 선두의 부호화데이터의 복호화에 관하여, 표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1-7)부호화방식에 있어서는, 복호화의 대상인 부호화데이터와, 그 앞뒤의 부호화데이터를 사용하여, 부호화데이터를 정확하게 복호화 할 수 있다.
실시예 1에 있어서는 전치의 3비트의 부호화데이터를 생성하여 기록함에 의해, 1개의 ECC블록의 데이터의 선두의 데이터를 정확하게 부호화하여, 복호화 할 수 있다.
표 5에, 1개의 ECC블록의 데이터의 선두의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모양을 나타낸다. 표 5는, 표 2에 따라서 특정한 데이터를 복호화한 모양을 나타낸다.
표 5
1개의 ECC블록의 부호화데이터의 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3비트의 전치의 부호화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선두에 추가된 일정한 1비트의 데이터 0은 이미 제거되어 있다.). 이 전치의 부호화데이터를 사용하여, 선두의 부호화데이터를 정확하게 복호화 할 수 있다.
1개의 ECC블록의 부호화데이터의 복호화를 시작하면, 최초에 스텝(1101∼ 1103)을 2회 계속하여 실행한다. 이에 따라 3비트의 전치의부호화데이터(표 5의 입력데이터 2 ‘복호화 하고자 하는 전치의 부호화데이터’의 란(欄))가 D플립플롭 (1004∼1006)에 로드되어, 3비트의 선두의 부호화데이터 (표 5의 입력데이터 3 ‘복호화 하고자 하는 선두의부호화 데이터’의 란)가 D플립플롭(1001∼1003)에 로드된다.
다음에, 3회째의 스텝(1101∼1103)을 실행한다.
D플립플롭(1005, 1006)에 로드되어 있는 전치의 부호화데이터의 최후의 2비트가 D플립플롭(1007, 1008)에 전송되고, 3비트의 선두의 부호화데이터가 D플립플롭 (1004∼1006)에 로드되어, 3비트의 후속하는 부호화데이터(표 5의 입력데이터 4 ‘후속하는 부호화데이터’의 란)가 D플립플롭(1001∼1003)에 새로 로드된다.
D플립플롭(1002∼1008)에 로드되어 있는 부호화데이터가, (1-7)복호화변환기 (1009)에 의해서 복호화된다. 복호화된 데이터가 D플립플롭(1010, 1011)에 로드되어, 출력된다(표 5의 출력데이터 3 ‘선두의 부호화데이터의 복호화된 데이터’의 란).
1개의 ECC블록의 부호화데이터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의 복호화에 관하여,표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의 광자기디스크에 있어서는, 1개의 ECC블록의 부호화데이터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의 뒤에는, 일정한 부호화데이터(실시예 1에 있어서는 001)가 추가되어 기록되어 있다. 이 추가된 일정한 부호화데이터를 사용하여, 1개의 ECC블록의 부호화데이터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를 복호화 할 수 있다.
1개의 ECC블록의 부호화데이터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의 복호화의 모양을 표 6에 나타낸다. 표 6은, 표 2에 따라서 특정한 데이터를 부호화한 모양을 나타낸다.
표 6
스텝(1101∼1103)을 실행한다.
D플립플롭(1005, 1006)에 로드되어 있는 최후에서 2번째의 부호화데이터의 최후의 2비트(표 6의 입력데이터 0 ‘바로 전의 부호화데이터의 최후의 2비트’의란)가 D플립플롭(1007, 1008)에 전송되어, 3비트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표 6의 입력데이터 1 ‘부호화하고자 하는 최후의 부호화데이터’의 란)가 D플립플롭 (1001∼1003)으로부터 D플립플롭(1004∼1006)에 전송되어, 이에 계속되는 3비트의 후치의 부호화데이터(표 6의 입력데이터 2 ‘후치의 부호화데이터 1’의 란)가 D플립플롭(1001∼1003)에 새로 로드된다.
D플립플롭(1002∼1008)에 로드되어 있는 부호화데이터가, (1-7)복호화변환기 (1009)에 의해서 복호화된다. 복호화된 데이터(최후의 부호화데이터를 복호화한 데이터)가 D플립플롭(1010, 1011)에 로드되어 출력된다(표 6의 출력데이터 1 ‘최후의 부호화데이터의 복호화된 데이터’의 란).
그 후, 후속하는 후치의 부호화데이터 1 등의 복호화를 실행하더라도 좋고, 실행하지 않더라도 좋다. 복호화를 실행한 경우에는, 후속하는 후치의 부호화데이터 1 등의 복호화된 데이터는 00이다(표 6의 출력데이터 2 ‘후치의 부호화데이터 1의 복호화된 데이터’의 란 등). 실시예에 있어서는, 후치의 부호화데이터의 복호화는 실행하지 않는다.
최후의 부호화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해서, 3비트의 후치의 부호화데이터 1 중의 선두의 2비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적어도 후치의 부호화데이터 1 중의 선두의 2비트가 광자기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1의 기록장치는, 연속하는 부호화데이터를 복수의 데이터기록영역에 분할하여 광자기디스크에 기록하여, 전의 데이터기록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최후의 부호화데이터와 동일한 값의 데이터를 다음 데이터기록영역의 선두에추가하여 기록한다.
실시예 1의 재생장치는, 간단한 구성으로, (1-7)부호화방식으로 부호화되어, 다른 세그먼트에 분할기록된 부호화데이터를 복호화한다.
실시예 1의 광자기디스크는, 복수의 세그먼트에 분할된 1개의 ECC블록의부호화데이터((1-7)부호화방식으로 부호화되어 있다.)를, 조금의 부가정보를 추가함으로써 복호화 용이한 상태로서 기록하고 있다.
또한, 각 세그먼트의 채널비트수를 바이트 단위보다도 작은 단위인 2비트단위로 임의로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프리포맷효율이 높은 고밀도인 광자기디스크를 실현할 수가 있다.
근년, 광 빔의 스폿지름 이하의 마크길이(기록매체의 데이터기록영역상의 1비트의 데이터의 길이)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자벽이동검출방식의 광자기기록매체가 주목받고 있다(일본국 특개평 6-290496호 공보를 참조).
자벽이동검출방식의 광자기기록매체는, 기록막이 예를 들면 기록층, 중간층 및 재생층의 3층으로 이루어진다. 재생시에 광 빔을 조사하면, 재생하고자 하고 있는 기록막의 부분에 온도구배가 생긴다. 해당 광자기기록매체의 기록막에 있어서는, 일정한 온도구배가 생기면 기록되어 있는 자구의 재생층의 자벽(1비트의 기록데이터를 구성하는 자구와, 이에 인접하는 자구와의 경계면)이 이동하여, 이 자벽이동에 의해서 재생하고자 하고 있는 자구의 길이가 확대된다. 광 빔의 스폿지름 이하의 길이이던 자구가 확대되어 광 빔의 스폿지름과 같은 정도의 길이의 자구가 되기 때문에, 해당 확대된 자구의 재생신호를 광픽업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광 빔의 스폿지름 이하의 재생분해능을 실현한다.
자벽이동검출방식의 광자기기록매체는 프리피트영역의 DC변형(歪)(스큐)이 발생하기 쉬운 특성이기 때문에, 자벽이동검출방식의 광자기기록매체, 그 기록장치, 및 그 재생장치에 있어서, 스큐의 영향을 제거할 수 있는 본 발명은 특히 유효하다.
또한, 고밀도기록이 가능한 자벽이동검출방식의 광자기기록매체의 재생신호의 주파수는 대단히 높아지기 때문에, NRZI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부호화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재생신호의 기본의 주파수를 내릴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벽이동검출방식의 광자기기록매체 등에 특히 적합하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광자기디스크에 있어서는, 1개의 ECC블록의 부호화데이터의 선두에 1비트(유효한 데이터의 비트수)의 소정의 데이터(406)(실시예 1에서는 0)과 3비트의 전치의 부호화데이터(001 또는 010)가 기록되어 있다.
실시예 2의 광자기디스크에 있어서는, 1개의 ECC블록의 부호화데이터의 선두에 1비트(유효한 데이터의 비트수)의 소정의 데이터(406)(예를 들면 0)와 3비트의 전치의 부호화데이터의 최후의 2비트(01 또는 10)가 기록되어 있다.
1개의 ECC블록의 부호화데이터의 선두의 부호화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해서는, 3 비트의 전치의 부호화데이터 중의 최후의 2비트(01 또는 10)가 있으면 좋기 때문이다.
이외의 점에서, 실시예 2의 광자기디스크는 실시예 1의 광자기디스크와 동일하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광자기디스크상의 1개의 ECC블록의 최후의 세그먼트에 있어서는, 최후의 부호화데이터가 기록된 후에도 후치의 부호화데이터(408)가 기록되어 있다.
실시예 3의 광자기디스크상의 1개의 ECC블록의 최후의 세그먼트에 있어서는, 최후의 부호화데이터가 기록된 후에는 아무것도 기록되지 않는다.
실시예 3의 광자기디스크의 재생장치에 있어서는, 최후의 부호화데이터의 복호화시에는, 통상과 다른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도 10에 있어서, 최후의 부호화데이터를 복호화 할 때는, 직전에 복호화한 부호화데이터의 최후의 2비트를 D플립플롭(1004, 1005)으로부터 D플립플롭(1007, 1008)에 전송하여, 3비트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를 D플립플롭(1001∼1003)으로부터 D플립플롭(1004∼1006)에 전송하고 D플립플롭(1001∼1003)에는 일정한 값 001(표 6의 입력데이터 2 ‘후치의 부호화데이터 1’의 란의 값이다. (1-7)복호화기(806)가 기억하고 있다.)를 로드한다.
(1-7)복호화변환기(1009)는, D플립플롭(1002∼1008)이 출력하는 부호화데이터를 입력하고, 복호화하여, 복호화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복호화된 데이터는, D플립플롭(1010, 1011)에 로드되고, 시프트되어 출력된다.
최후의 부호화데이터의 검출은, (1-7)복호화기(806)가 내장하는 클럭 카운터 (도시하지 않는다.)에 의해 검출한다.
클럭 카운터는, 예를 들면 (1-7)복호화기(806)에 입력하는 부호화데이터의수를 카운트하더라도 좋고, (1-7)복호화기(806)의 복호화회수를 카운트하더라도 좋고, (1-7)복호화기(806)가 출력하는 복호화된 데이터의 수를 카운트하더라도 좋다.
표 6의 입력데이터 2 ‘후치의 부호화데이터 1’의 란(欄)의 값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치의 부호화데이터(408)는 실시예에 있어서 항상 001의 연속이기 때문에, 실시예 3의 광자기디스크 및 그 재생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D플립플롭(1001)에 로드한 데이터는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일정한 값 001 대신에 000을 D플립플롭(1001∼1003)에 로드하더라도 좋다.
이것 이외의 점에서, 실시예 3의 광자기디스크 및 그 재생장치는 실시예 1의 광자기디스크 및 그 재생장치와 동일하다.
(실시예 4)
실시예 4의 기록매체의 기록방법을 설명한다.
도 13은, 실시예 4의 기록매체의 기록방법을 도시한다. 최초에 입력데이터를 부호화하여, ECC 인코드하여, ECC블록을 생성한다(스텝(1301)).
다음에, 1개의 데이터 스트림(ECC블록)으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데이터블록을 생성한다(스텝(1302)).
다음에, 선두의 데이터블록의 전에 전치의 데이터를 추가하여, 최후의 데이터블록의 최후에 후치의 데이터를 추가한다(스텝(1303)).
다음에, 각 데이터블록을 (1-7)부호화방식 및 NRZI방식으로 부호화한다 (스텝(1304)). 각 데이터블록의 선두의 데이터를 부호화할 때에는 바로 전의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부호화하여, 각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데이터를부호화할 때에는 다음 데이터블록의 선두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부호화한다.
다음에, 전치의 부호화데이터 및 선두의 데이터블록의 전에, 일정한 값의 데이터를 추가하여, 추가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블록을 생성한다(스텝(1305)).
일정한 값의 데이터의 비트수는 임의이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일정한 값의 데이터는, 유효한 데이터인 1비트의 데이터와 프리라이트부에 기록하는 4비트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5비트의 데이터이다(5비트는 전부 같은 값의 데이터이다.).
바람직하게는, 선두의 데이터블록의 뒤에, 선두의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1비트의 부호화데이터와 같은 값의 4비트의 데이터를 추가한다. 추가된 4비트의 데이터는, 다음 스텝(1306)에 있어서 기록매체의 포스트라이트부에 기록된다.
다음에, 선두의 추가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블록을 기록매체의 선두의 세그먼트에 기록한다(스텝(1306)). 프리라이트부 및 포스트라이트부에는, 각각 상기의 4비트의 데이터가 기록된다.
다음에, 2번째의 데이터블록의 전에, 전의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1비트의 부호화데이터와 같은 값의 데이터를 추가하여, 추가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블록을 생성한다(스텝(1307)).
전의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1비트의 부호화데이터와 같은 값의 데이터의 비트수는 임의이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같은 값의 데이터는, 유효한 데이터인 1비트와 프리라이트부에 기록하는 4비트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5 비트의 데이터이다(5비트는 전부 같은 값의 데이터이다.).
바람직하게는, 2번째의 데이터블록의 뒤에, 2번째의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1비트의 부호화데이터와 같은 값의 4비트의 데이터를 추가한다. 추가된 4비트의 데이터는, 다음 스텝(1308)에 있어서 기록매체의 포스트라이트부에 기록된다.
다음에, 2번째의 추가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블록을 기록매체의 2번째의 세그먼트에 기록한다(스텝(1308)). 프리라이트부 및 포스트라이트부에는, 각각 상기의 4비트의 데이터가 기록된다.
이하, 스텝(1307) 및 스텝(1308)을 반복하여, 3번째의 추가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블록 등을 생성하여, 생성한 데이터블록을 기록매체의 3번째의 세그먼트 등에 기록한다.
다음에, 최후의 데이터블록 및 후치의 부호화데이터의 전에, 전의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1비트의 부호화데이터와 같은 값의 데이터를 추가하여, 추가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블록을 생성한다(스텝(1309)).
전의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1비트의 부호화데이터와 같은 값의 데이터의 비트수는 임의이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같은 값의 데이터는, 유효한 데이터인 1비트와 프리라이트부에 기록하는 4비트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5비트의 데이터이다(5비트는 모두 같은 값의 데이터이다.).
바람직하게는, 후치의 부호화데이터는,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영역을 가득하게 하고, 또한 4비트의 후치의 부호화데이터가 포스트라이트부에 기록되는 만큼의 채널비트수를 갖는다. 추가된 4비트의 데이터는, 다음 스텝(1310)에 있어서 기록매체의 포스트라이트부에 기록된다.
다음에, 최후의 추가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블록을 기록매체의 최후의세그먼트에 기록한다(스텝(1310)). 프리라이트부 및 포스트라이트부에는, 각각 상기의 4비트의 데이터가 기록된다.
이하, 스텝(1301∼1310)을 반복한다.
(실시예 5)
실시예 5의 기록매체의 재생방법을 설명한다. 실시예 5의 재생방법은, 상기의 실시예 4의 기록방법에 의해 데이터를 기록된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한다.
도 14는, 실시예 5의 기록매체의 재생방법을 도시한다. 최초에 기록매체로부터 1개의 ECC블록의 재생신호를 재생한다(스텝(1401)). 1개의 ECC블록의 신호는, 복수의 세그먼트에 분할되어 기록되어 있다.
다음에, 재생신호를 10비트의 디지털데이터 S(0), S(1), S(2), ‥‥ S (n)로 변환한다(스텝(1402)개)(프리라이트부 및 포스트라이트부에서 읽어내어진 재생신호는 10비트의 디지털데이터로 변환되지 않고 제거된다.
다음에, 2개의 연속하는 재생신호의 차분신호 S(1) - S(0), S(2) - S(1), S(3) - S(2), ‥‥ S(n) - S(n-1)를 생성한다(스텝(1403)).
전의 데이터블록의 재생신호를 10비트의 디지털데이터 S'(0), S'(1), S'(2), ‥‥ S'(n)로 하면, 전의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의 재생신호는 S'(n)이므로, S'(n) = S(0)부터 S(1) - S(0) = S(1) - S'(n)와 같다(스큐의 영향 등을 제외한다.).
따라서 2개의 연속하는 세그먼트의 차분신호는, S'(1) - S'(0), S'(2) -S'(1), S'(3) - S'(2), ‥‥ S'(n) - S'(n-1), S(1) - S'(n), S(2) - S(1), S(3) - S(2), ‥‥ S(n) - S(n-1)가 되어, 인접하는 데이터블록의 사이에서 연속성을 갖는다.
다음에, 차분신호로부터 우도를 나타내는 패스매트릭을 계산함에 의해 가장 확실할 것 같은 패스를 결정하여, 차분신호를 2치화한다(스텝(1404)). 이 단계에서, NRZI변환의 복호화가 완료되고 있다.
다음에, 2치화한 데이터를 (1-7)부호화방식에 의해 복호화한다(스텝( (1405) ). 1개의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는, 해당 최후의 부호화데이터와, 최후에서 2번째의 부호화데이터와, 다음 데이터블록의 선두의부호화데이터를 사용하여 복호화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음 데이터블록의 선두의 부호화데이터는, 전의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와, 다음 데이터블록의 선두의 부호화데이터와, 다음 데이터블록의 선두에서 2번째의 부호화데이터를 사용하여 복호화 할 수 있다.
전치의 부호화데이터 및 후치의 부호화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선두의 데이터블록의 선두의 부호화데이터 및 최후의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를 복호화 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의 복호화된 데이터를 ECC부호화방식에 의해 디코드한다 (스텝 (1406)).
다음에, 디코드된 데이터를 1개의 연속하는 스트림데이터로서 출력한다 (스텝(1407)).
이하, 스텝(1401∼1407)을 반복한다.
(실시예 6)
실시예 6의 기록매체의 재생방법을 설명한다.
상기의 실시예 4의 기록방법에 있어서는, 최후의 데이터블록의 뒤에 후치의 부호화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였다. 다른 실시예의 기록방법에 있어서는, 최후의 데이터블록의 뒤에는 아무것도 기록매체에 기록하지 않는다.
실시예 6의 재생방법은, 최후의 데이터블록의 뒤에는 아무것도 기록하지 않은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이다.
도 15는, 실시예 6의 기록매체의 재생방법을 도시한다. 실시예 6의 기록매체의 재생방법은, 기본적으로는 실시예 5의 기록매체의 재생방법과 같은 플로차트이다.
최초에 기록매체로부터 1개의 ECC블록의 재생신호를 재생한다(스텝(1501)). 1개의 ECC블록의 신호는, 복수의 세그먼트에 분할되어 기록되어 있다.
다음에, 재생신호를 10비트의 디지털 데이터 S(0), S(1), S(2), ‥‥ S(n)로 변환하는(스텝(1502))(프리라이트부 및 포스트라이트부에서 읽어내어진 재생신호는 10비트의 디지털 데이터에 변환되지 않고 제거된다.
다음에, 2개의 연속하는 재생신호의 차분신호 S(1) - S(0), S(2) - S(1), S(3) - S(2), ‥‥ S(n) - S(n-1)를 생성한다(스텝(1503)).
차분신호는, 인접하는 데이터블록의 사이에서 연속성을 갖는다.
다음에, 차분신호로부터 우도(尤度)를 나타내는 패스매트릭을 계산함에 의해가장 확실할 것 같은 패스를 결정하여, 차분신호를 2치화한다(스텝(1504)). 이 단계에서, NRZI변환의 복호화가 완료되고 있다.
다음에, 복호화가 완료한 부호화데이터의 수를 나타내는 카운터 k를 k = 0으로 한다(초기화한다.) (스텝(1505)).
다음에, 2치화한 부호화데이터를 3비트씩 (1-7)부호화방식에 의해 복호화한다(스텝(1506)).
다음에, k = k + 3으로 한다(스텝(1507)).
다음에, k의 값이 최후의 부호화데이터의 번호 k 라스트와 동일한지의 여부를 체크한다(스텝(1508)).
k의 값이 최후의 부호화데이터의 번호 k라스트와 동일하면, 스텝(1509)으로 진행한다.
k의 값이 최후의 부호화데이터의 번호 k라스트와 동일하지 않으면, 스텝( 1506)으로 되돌아가, 스텝(1506∼1508)의 스텝을 반복한다.
1개의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는, 최후에서 2번째의 부호화데이터와, 최후의 부호화데이터와, 다음 데이터블록의 선두의 부호화데이터를 사용하여 복호화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음 데이터블록의 선두의 부호화데이터는, 전의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와, 다음 데이터블록의 선두의 부호화데이터와, 다음 데이터블록의 선두로부터 2번째의 부호화데이터를 사용하여 복호화할 수 있다.
전치의 부호화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선두의 데이터블록의 선두의 부호화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다.
스텝(1509)에 있어서는, 최후의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를, 최후에서 2번째의 부호화데이터와, 최후의 부호화데이터와, 일정한 값(실시예에서 001)을 더불어 사용하여, (1-7)부호화방식에 의해 복호화한다.
다음에, 상기의 복호화된 데이터를 ECC부호화방식에 의해 디코드한다 (스텝( 1510)).
다음에, 디코드된 데이터를 1개의 연속하는 스트림데이터로서 출력한다 (스텝(1511)).
이하, 스텝(1501∼1511)을 반복한다.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ECC블록을 최초에 복수의 데이터블록에 분할하여, 그 후 각 데이터블록을 (1-7)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하고 또한 NRZI변환하고 있다. 단지, 각 데이터블록의 선두의 데이터를 (1-7)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할 때에는 바로 전의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부호화하여, 각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데이터를 (1-7)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할 때에는 다음 데이터블록의 선두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부호화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ECC블록전체를 통합하여 (1-7)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한 후, RAM에 생성된 부호화데이터를 기입하고, 복수의 데이터블록에 분할하여 부호화데이터를 읽어내고, 각 데이터블록마다 NRZI변환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ECC블록전체를 통합하여 (1-7)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하여 또한 NRZI변환한 후, RAM에 생성된 부호화데이터를 기입하고, 복수의 데이터블록에 분할하여 부호화데이터를 읽어낼 수도 있다.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있어서의 부호화부는, 상기의 구성의 어느 쪽의 구성도 그 기술적 범위에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ECC블록을 최초에 생성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부호화(인코드)신호라도 좋고, 또는 부호화를 하지 않는 데이터라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1-7)부호화방식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 대신에, 다른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예를 들면 (2-7)부호화방식), 또는 앞 또는 뒤의 부호화데이터를 사용하여 복호화를 하는 다른 임의의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회전으로 기록매체를 회전시켜 기록재생을 하는 CAV (Constant Angular Velocity)방식, 선속도가 일정하게 되도록 기록매체를 회전시켜 기록재생을 하는 CLV(Constant Linear Velocity)방식, 또는 ZCLV방식(Zoned CLV) 등의 어느 쪽의 방식의 기록매체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광자기디스크 뿐만 아니라, 상변화형의 광디스크, 자기카드, 기타 임의의 기록매체에 적용 가능하다.
상기의 실시예의 기록방법 또는 재생방법의 기능의 전체 또는 일부와 같은 기능을 실행하는 기록방법 또는 재생방법의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광디스크 등의 기록매체(데이터의 기록매체)의 기록장치 또는 재생장치에 구비된 기록매체(소프트웨어프로그램의 기록매체)의 읽기장치에 장착하여, 해당 기록장치 또는 재생장치에 해당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을 로드하여 실행함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의 기록방법 또는 재생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데이터기록영역의 부호화데이터와 그 앞뒤의 데이터기록영역의 부호화데이터와의 사이에 연속성을 갖게 하는 것에 의해, 실효적으로 높은 기록밀도의 기록매체 및 그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데이터기록영역의 채널비트수를 1개의 ECC블록의 데이터량과 무관계하게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포맷효율이 높은 고밀도인 기록매체 및 그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을 실현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히 1개의 ECC블록이 대부분의 데이터기록영역에 분할되어 있는 기록매체(예를 들면, 1주의 길이의 기록트랙이 1000개 이상의 데이터기록영역에 분할된 디스크형상의 기록매체)에 있어서, 실효적인 기록밀도가 높고 에러정정능력이 높은 기록매체 및 그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을 실현한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큐변형을 갖는(저주파의 파형변형) 재생신호를 재생장치로 정확히 2치화하는 것이 용이한 기록매체 및 그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1-7)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되고 또한 NRZI변환된 부호화데이터를 기록한 기록매체의 재생장치에 있어서는, 각 데이터기록영역마다 소정의 데이터를 기준스큐변형의 영향을 받는 일없이 부호화데이터를 복호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이한 구성의 재생장치에 의해 정확히 재생 가능한 기록매체 및 그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을 실현된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록장치 및 재생장치의 클럭제어회로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는 기록매체 및 그 기록장치를 실현된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재생신호를 정확히 재생하는 간이한 구성의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최후의 부호화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한 후치의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는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한 재생신호를 복호화 할 수 있는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개의 ECC블록의 부호화데이터 등을 복수의 세그먼트에 기록하였을 때, 최후의 세그먼트가 채널비트수 가득한 데이터를 기록하여 후치의 데이터를 더욱 기록하는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후치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만으로 해당 ECC블록에 새로운 1 세그먼트를 추가할 필요가 없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발명을 어느 정도의 상세함을 갖고 바람직한 형태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 바람직한 형태의 현재 개시내용은 구성의 세부에 있어서 당연히 변화되어야 하는 것으로, 각 요소의 편성이나 순서의 변화는 청구된 발명의 범위 및 사상을 일탈하지 않고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록매체, 기록장치, 재생장치, 기록방법 및 재생방법은, 예를 들면, 영상신호, 음성신호, 컴퓨터데이터 등의 여러 종류의 디지털데이터를 기록하는 광디스크의 기록매체, 그 기록장치, 그 재생장치, 그 기록방법 및 그 재생방법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19)

  1. 프리피트를 갖는 프리피트영역과,
    상기 프리피트영역에 의해서 분단된 데이터기록영역으로서, 또한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을 포함하는 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부호화데이터로 이루어지는 1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분할한 데이터블록을 기록한 복수의 데이터기록영역을 갖고,
    적어도 1개의 데이터기록영역에 있어서, 적어도 1비트의 소정의 값의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블록의 전에 더욱 기록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 프리피트를 갖는 프리피트영역과,
    상기 프리피트영역에 의해서 분단된 데이터기록영역으로서, 또한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을 포함하는 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부호화데이터로 이루어지는 1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분할한 데이터블록을 기록한 복수의 데이터기록영역을 갖고,
    적어도 1개의 데이터기록영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기록영역의 전(前)의 상기 데이터기록영역의 최후의 1비트의 상기 부호화데이터와 같은 값의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블록의 전에 더욱 기록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블록이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에 의한 부호화 전의 데이터량으로 환산하여 2의 정수배의 데이터량의 상기 부호화데이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4.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을 포함하는 부호화방식에 의해 입력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생성된 부호화데이터로 이루어지는 1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분할한 복수의 데이터블록을 생성하는 부호화부와,
    분할된 적어도 1개의 상기 데이터블록의 선두에 적어도 1비트의 소정의 값의 데이터를 추가하여, 추가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블록을 생성하는 데이터추가부와,
    상기 추가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블록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5.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을 포함하는 부호화방식에 의해 입력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생성된 부호화데이터로 이루어지는 1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분할한 복수의 데이터블록을 생성하는 부호화부와,
    분할된 적어도 1개의 상기 데이터블록의 선두에 전(前)의 상기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1비트의 부호화데이터와 같은 값의 데이터를 추가함에 의해, 추가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블록을 생성하는 데이터추가부와,
    상기 추가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블록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블록이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에 의한 부호화 전의 데이터량으로 환산하여 2의 정수배의 데이터량의 상기 부호화데이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부 또는 상기 데이터추가부가, 최후의 상기 부호화데이터의 뒤에 n비트(n은 임의의 양의 정수)의 미리 정해진 값의 데이터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8.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하여 재생신호를 출력하는 재생부와,
    연속하는 2개의 상기 재생신호의 차분인 차분신호를 생성하는 차분검출부와,
    상기 차분신호에 근거하여 2치화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2치화 데이터생성부와,
    상기 2치화된 데이터를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으로 복호화하는 부호화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9.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을 포함하는 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되고, 복수의 데이터블록으로 분할되어 기록되어 있는 부호화데이터를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하는 재생부와,
    상기 데이터블록의 부호화데이터 및 다음의 상기 데이터블록의 부호화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블록 또는 다음의 상기 데이터블록의 부호화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10. 기록매체의 복수의 데이터기록영역의 각각에서, 데이터블록과 상기 데이터블록의 전에 더욱 기록된 소정의 데이터와의 재생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재생부와,
    상기 재생신호를 2치화하고, 2치화신호를 출력하는 2치화부와,
    복수의 상기 데이터블록의 상기 2치화신호를, 적어도 선두의 데이터블록 이외의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제외하여, 상기 데이터기록영역으로부터의 재생순서로 결합하고, 결합된 상기 2치화신호를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으로 복호화하는 복호화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11.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을 포함하는 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부호화데이터의 데이터 스트림을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하는 재생부와,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부호화데이터의 수, 부호화회수, 또는 복호화된 데이터의 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와,
    상기 카운터의 값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를 검출하는 라스트 부호화데이터검출부와,
    복호화의 대상인 부호화데이터가 상기 최후의 부호화데이터인 것을 상기 라스트 부호화데이터검출부가 검출되면, 적어도 상기 복호화의 대상인 부호화데이터및 일정한 값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복호화의 대상인 부호화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12.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을 포함하는 부호화방식에 의해 입력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생성된 부호화데이터로 이루어지는 1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분할한 복수의 데이터블록을 생성하는 부호화스텝과,
    분할된 적어도 1개의 상기 데이터블록의 선두에 적어도 1비트의 소정의 값의 데이터를 추가하여, 추가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블록을 생성하는 데이터추가스텝과,
    상기 추가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블록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13.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을 포함하는 부호화방식에 의해 입력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생성된 부호화데이터로 이루어지는 1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분할한 복수의 데이터블록을 생성하는 부호화스텝과,
    분할된 적어도 1개의 상기 데이터블록의 선두에 전(前)의 상기 데이터블록의 최후의 1비트의 부호화데이터와 같은 값의 데이터를 추가함에 의해, 추가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블록을 생성하는 데이터추가스텝과,
    상기 추가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블록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블록이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에 의한 부호화 전의 데이터량으로 환산하여 2의 정수배의 데이터량의 상기 부호화데이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스텝 또는 상기 데이터추가스텝에 있어서, 최후의 상기 부호화데이터의 뒤에 n비트(n은 임의의 양의 정수)의 미리 정해진 값의 데이터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16.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하여 재생신호를 출력하는 재생스텝과,
    연속하는 2개의 상기 재생신호의 차분인 차분신호를 생성하는 차분검출스텝과,
    상기 차분신호에 따라서 2치화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2치화데이터생성스텝과,
    상기 2치화된 데이터를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으로 복호화하는 복호화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17.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을 포함하는 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되고, 복수의 데이터블록에 분할되어 기록되어 있는 부호화데이터를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하는 재생스텝과,
    상기 데이터블록의 부호화데이터 및 다음의 상기 데이터블록의 부호화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블록 또는 다음의 상기 데이터블록의 부호화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18. 기록매체의 복수의 데이터기록영역의 각각으로부터, 데이터블록과 상기 데이터블록의 전에 더욱 기록된 소정의 데이터의 재생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재생스텝과,
    상기 재생신호를 2치화하고, 2치화신호를 출력하는 2치화스텝과,
    복수의 상기 데이터블록의 상기 2치화신호를, 적어도 선두의 데이터블록 이외의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제외하고, 상기 데이터기록영역으로부터의 재생순서로 결합하여, 결합된 상기 2치화신호를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 방식으로 복호화하는 복호화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19. 런랭스 리미트 부호화방식을 포함하는 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부호화데이터의 데이터 스트림을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하는 재생스텝과,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부호화데이터의 수, 부호화회수, 또는 복호화된 데이터의 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스텝과,
    상기 카운트한 값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최후의 부호화데이터를 검출하는 라스트 부호화데이터 검출스텝과,
    복호화의 대상인 부호화데이터가 상기 최후의 부호화데이터인 것을 상기 라스트 부호화데이터 검출부가 검출하면, 적어도 상기 복호화의 대상인 부호화데이터 및 일정한 값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복호화의 대상인 부호화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KR1020037004659A 2000-10-02 2001-09-27 기록매체, 그 기록장치, 그 기록방법, 그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 KR1005629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02597 2000-10-02
JPJP-P-2000-00302597 2000-10-02
PCT/JP2001/008478 WO2002029811A1 (fr) 2000-10-02 2001-09-27 Support d'enregistrement, enregistreur, procede d'enregistrement et appareil de reprodu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3086A true KR20030033086A (ko) 2003-04-26
KR100562973B1 KR100562973B1 (ko) 2006-03-23

Family

ID=18783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4659A KR100562973B1 (ko) 2000-10-02 2001-09-27 기록매체, 그 기록장치, 그 기록방법, 그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40095831A1 (ko)
EP (1) EP1324336A4 (ko)
JP (1) JPWO2002029811A1 (ko)
KR (1) KR100562973B1 (ko)
CN (1) CN1316491C (ko)
AU (1) AU2001290299A1 (ko)
TW (1) TW579505B (ko)
WO (1) WO20020298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3048A (ja) * 2003-02-19 2004-09-09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磁気転写用マスタディスク、その製造方法および磁気転写方法
EP2369590B1 (en) * 2003-04-28 2015-02-25 Panasonic Corporation Playback apparatus, playback method, recording medium,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for recording a video stream and graphics with window information over graphics display
WO2004100144A1 (en) * 2003-05-09 2004-11-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py window setpoint control for domain expansion reading
CN101800053B (zh) * 2010-03-31 2011-08-24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十研究所 一种磁盘擦除方法
US8050166B1 (en) * 2010-05-07 2011-11-01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data storage
JP5785913B2 (ja) * 2012-07-30 2015-09-30 日立コンシューマ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光情報再生装置
CN105049378B (zh) * 2015-06-02 2018-08-14 盛科网络(苏州)有限公司 采用20bits数据接口实现10GBase-X4 PCS架构的方法及系统
US11151265B2 (en) * 2019-04-29 2021-10-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cure data storage based on obfuscation by distributio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19176A (ja) * 1988-06-20 1989-12-25 Hitachi Ltd 光学的記録再生方式と記録符号化方式および光学的記録再生装置
JP2658741B2 (ja) * 1992-06-29 1997-09-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学的記録再生方法
JPH07226034A (ja) * 1994-02-10 1995-08-22 Canon Inc 情報記録方法
JPH087491A (ja) * 1994-06-22 1996-01-12 Sony Corp 光学式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H087492A (ja) * 1994-06-22 1996-01-12 Sony Corp 光学式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H087495A (ja) * 1994-06-27 1996-01-12 Hitachi Ltd データ記録再生装置および媒体
JP3239663B2 (ja) * 1995-01-25 2001-12-17 ソニー株式会社 変調方法、変調装置及び復調装置
JP3063598B2 (ja) * 1995-12-01 2000-07-12 三菱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H10320917A (ja) * 1997-05-19 1998-12-04 Sony Corp ディジタル信号処理方法およびディジタル信号再生装置
JP2000090464A (ja) * 1998-09-07 2000-03-31 Pioneer Electronic Corp 光ピックアップ及び情報再生装置
EP1079376A4 (en) * 1999-01-29 2006-08-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LATFORM RECORDING MEDIUM AND TRACK PURGING METHOD THEREFOR
EP1045391A1 (en) * 1999-04-16 2000-10-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information in units
JP3487582B2 (ja) * 1999-11-19 2004-01-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78276A (zh) 2004-02-25
WO2002029811A1 (fr) 2002-04-11
CN1316491C (zh) 2007-05-16
EP1324336A4 (en) 2007-07-25
AU2001290299A1 (en) 2002-04-15
US20040095831A1 (en) 2004-05-20
JPWO2002029811A1 (ja) 2004-02-19
EP1324336A1 (en) 2003-07-02
TW579505B (en) 2004-03-11
KR100562973B1 (ko) 200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6652B2 (en) Disc recording medium, disc drive apparatus, and reproduction method
US5732088A (en) Data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method thereof, and data record medium
US8320225B2 (en) Reproduction-only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apparatus, reproducing method, and disk manufacturing method
KR100827913B1 (ko) 기록매체, 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65014B1 (ko) 광학식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정보 처리 장치 및 데이터의 기록 방법
JP4209953B2 (ja) データ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ディスク状記録媒体
KR100562973B1 (ko) 기록매체, 그 기록장치, 그 기록방법, 그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
US7554900B2 (en) Disc-shaped recording medium,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me and data recording method
US20030012110A1 (en) Optical disk, optical disk playback apparatus, and optical disk playback method, optical disk recording apparatus and optical disk recor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0224923B1 (ko)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기록장치의 엔코더
JP3557728B2 (ja) データ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ディスク状記録媒体
JPH01223670A (ja) 光ディスク
JP2001067818A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方法、及びその装置、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