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4923B1 -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기록장치의 엔코더 - Google Patents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기록장치의 엔코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4923B1
KR100224923B1 KR1019960069197A KR19960069197A KR100224923B1 KR 100224923 B1 KR100224923 B1 KR 100224923B1 KR 1019960069197 A KR1019960069197 A KR 1019960069197A KR 19960069197 A KR19960069197 A KR 19960069197A KR 100224923 B1 KR100224923 B1 KR 100224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arity
error correction
encoder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9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0389A (ko
Inventor
심재성
조찬동
정종식
김병준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69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4923B1/ko
Publication of KR19980050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0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4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49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기록밀도를 높이고 동기를 보호하며 ESM(8-16 Modulation)에서 임의의 코드워드에 대한 다음 상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규격을 가지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기록장치 엔코더를 제공함에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기록장치의 엔코더는 입력 데이터를 8-16 변조하여 소정의 부호 형태로 출력하는 채널코딩부와,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디스트에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스트림의 형태로 변환하는 변조부와, 디코더에서 에러의 유·무를 알 수 있도록 부가정보를 실어주기 위한 에러검출용 패리티발생부와, 산발, 연집에러를 정정할 수 있도록 부가정보를 실어주기 위한 에러정정용 패리티발생부와, 상기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상기 디스크의 물리적인 어드레스 정보를 만드는 어드레스 발생부와, 빈 디스크의 특정 영역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디스크 특성 관련 정보를 복조하는 어드레스 디코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에 기록할 데이터를 엔코딩하는 데 사용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기록장치의 엔코더
본 발명은 광디스크 기록장치에 있어서 엔코더(encod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비디오(혹은 versatile) 디스크 기록장치의 엔코더에 관한 것이다.
1980년대 초 CD(Compact Disc)가 선보인 후 최근의 CD재생기(CD player: 이하 CDP라 함.)에 이르기까지 데이터의 저장 능력뿐만 아니라 기술적인 측면에서 엄청난 발전을 이루어 왔다. 구체적으로, 단순 재생전용의 CDP로부터 시작하여 기록이 가능한 CD-WO(Write Once), CD-MO(Magneto Once)는 광기기가 더 이상 재생전용이 아님을 알리는 시작점이었다. 그러나 기록기술에 있어서의 규격상 제한과 한정된 디스크 크기로 인해 저장 용량에는 한계가 있었다. 데이터 압축기술과 데이터 버퍼링 기술을 선보인 미니 디스크(mini disc) 재생기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한정된 디스크내에서 음악용으로서는 상대적인 데이터 저장량을 늘리기도 하였다.
이상의 광기기들은 그동안 업계를 선도한 소니와 필립스가 주축이 되어 생산해내었고, 이들 제품은 기본 규격이 최초 재생전용 광기기 제품인 CDP규격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저장량을 늘리거나 기록시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1994년에 이르러 도시바를 주축으로 하는 고밀도(super density) 규격은 데이터 기록 밀도를 획기적으로 높인 제품이기는 하지만, 다른 여러 가지 측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새롭게 등장한 것이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이다.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는 디지털 동화 디스크 매체의 하나로서,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2의 디지털 영상을 2시간 이상 저장하는 차세대 고화질 $고음질의 보급형 멀티미디어 기억장치이다. 이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는 전술한 다른 종류의 디스크들에 비하여 새로운 물리적 규격(physical format)을 갖는 것이기는 하지만, 그 규격에 몇가지 개선의 여지가 있으며 아울러 그러한 규격의 개선이 가능하게 하는 기록장치 엔코더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밀도를 높이고 동기를 보호하며 ESM에서 임의의 코드워드에 대한 다음 상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규격을 가지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기록장치 엔코더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기록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기록장치의 엔코더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의 동기 규격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상기 도 2중 제2스위치부에서 순차적으로 출력되고 에러검출 패리티가 부가되어져 제1메모리에 다시 기록되는 1섹터 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기록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크구동제어부 400은 디스크 100의 회전을 제어한다. 재생전용의 CD 혹은 DVD 플레이어에서는 대개 정선속도(Constant Linear Velocity: 이하 CLV라 함.) 제어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 정선속도 제어방식은 디스크회전제어 속도가 디스크 전주에 걸쳐 일정한 제어방식이다. 이는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드라이버 혹은 ODD계열의 정각속도(Constant Angular Velocity: 이하 CAV라 함.) 제어방식보다 기록밀도를 올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억세스 속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CLV제어와 CAV제어방식의 장점을 골고루 살린 ZCLV(Zone CLV)방식을 채택한다. 다음 표1은 디스크회전제어방식별 비교표이다.
상기 표에서 '%@'는 우수함을, '×'는 미흡함을 의미한다.
디스크 모터 160은 디스크 구동제어부 400의 제어를 받아 어떤 속도로 회전을 한다. 광픽업에 구비된 헤드 120은 상기 디스크 100의 정보를 아나로그의 고주파(R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채널코딩부 210은 정보의 재생 및 기록밀도를 올려줄 수 있도록 부호화 하는 역할을 한다. 디지털 광기록장치에서 채널코딩은 기록밀도를 올리면서 저주파대역의 스펙트럼이 적게 되어야 한다. 저주파대역은 포커싱과 트래킹 서보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대역이기 때문에 코드의 저주파 스펙트럼은 서보제어계의 외란으로 작용한다. 그러므로 좋은 코드는 기록밀도의 향상뿐만 아니라 저주파 스펙트럼이 작아야 한다. 공지의 CD계열에서는 EFM(Eight Fourteen Modulation) 방법을 사용하고, 저주파 스펙트럼의 저감과 최소, 최대 런랭쓰(run length) 제어를 위해 3비트의 별도 머지(merge) 비트를 사용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DVD의 경우에는 이렇게 8-16 변조 방식을 사용하면서 저주파 스펙트럼의 저감을 위해 별도의 보조 코드표를 갖고 있으며 코드마다 다음 상태(next state)가 있어서 최소, 최대 런랭쓰를 위반하지 않도록 코드변환표를 만든다. 다음 표2는 EFM변조와 8-16변조의 차이점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2에서 보듯이 8-16 변조 방식이 EFM 방식보다는 기록밀도 측면에서 다소 유리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8-16 변조 방식을 다음과 같은 세가지 측면에서 개선하고 있다.
첫째, 기록밀도를 높인다.
RLL(Run Length Limited) 코드의 기록밀도는 다음 수학식1로서 정의한다.
여기서 DR은 기록밀도(density ratio), d는 1 사이에 존재하는 '0'의 최소 개수, k는 1 사이에 존재하는 '0'의 최대 개수, m은 소스데이터(source data)의 비트 수 그리고 n은 코드워드 비트 수를 의미한다.
다음 표3은 d가 2일 때 k와 n에 따른 사용가능한 코드워드의 수이다.
8-16변조는 8비트의 소스 데이터를 16비트의 코드워드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기록밀도는 1.5배 향상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15비트의 코드워드로 변환할 수 있고 코드의 저주파스펙트럼 특성이 나빠지지 않는다면 기록밀도적인 측면에서 상기 수학식1에 의해 1.6배(=24/15)로 향상된다. 상기 표3은 d가 2일 때 k와 n의 변화에 따른 사용가능한 코드워드의 수를 나타낸다. CD계열의 EFM변조는 k가 10, n이 14일 때로 사용가능한 코드워드의 수는 267개이다. 여기서 코드워드의 시작과 끝에 0이 10개 연속하는 코드워드와 동기패턴을 제외한 256개의 코드워드를 8비트의 소스데이터와 1:1 매핑(mapping)시킨다. 3개의 머지비트는 코드워드의 시퀀스가 d, k의 제한을 위반하지 않고 직류성분을 저감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DVD의 8-16변조는 k가 10, n이 16일 때로 사용가능한 코드워드의 수는 566개이다. 8-16변조는 EFM변조와 달리 별도의 머지 비트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 4개의 주변환표와 4개의 보조변환표로 d, k제어와 코드워드시퀀스의 직류성분을 저감시키는 제어를 한다. 상기 표3에서와 같이 기록밀도와 직류성분제어성능 측면의 중요도에 따라, 예를들어 k가 10이고 n이 15에서는 기록밀도를 올릴 수 있고 k는 12, n은 16을 선택하면 직류성분제어에 유리하게 선택할 수 있는 코드워드의 수가 많아진다.
둘째, 동기를 충분히 보호한다.
DVD의 물리규격중 동기는 그 용도에 따라 디스크회전제어용의 프레임 동기와 데이터 프로세스용의 섹터 동기와 에러정정용의 에러정정블록 동기 3종류가 있다. 이들 동기는 각각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기 때문에 동기에 대한 물리 규격을 만들 때 충분한 보호장치를 배려해야 한다. 도 3은 DVD에서의 동기 규격을 나타낸 것이다. SY0∼SY7까지는 모두 프레임동기로 사용한다. 여기서 SY0는 섹터동기와 에러정정블록 동기로도 사용하는데 에러정정블록 동기는 SY0가 16번 마다 1회꼴로 발생한다. DVD에서의 에러정정블록 동기는 섹터동기와 패턴이 동일하기 때문에 ID 4바이트중 최하위 바이트가 X0일 때의 SY0를 에러정정블록 동기로 사용한다. 그러나 만일 ID의 최하위 바이트에 에러가 발생하면 에러정정블록 동기를 놓치거나 없던 것이 새로 발생할 수가 있어 DVD디코더에서 ID연속성 체크와 같은 별도의 보완장치를 해야 한다. 보다 안전한 에러정정블록 동기의 재생을 위하여 섹터동기와 다른 패턴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다음 상태의 불안정성을 제거한다.
DVD채널 코딩 규격인 8-16 변조 방식의 다른 하나의 특성은 코드워드가 각각 다음 상태를 갖고 있어서 다음에 들어오는 소스데이터는 이전 코드워드가 지정한 상태에 따라 변환표를 선택한 뒤 복조해야 한다. 만일 이러한 다음 상태에 에러가 발생할 경우 다음 소스데이터에 대한 변환표가 잘못 선택되어 그후에 입력되는 소스데이터에 대해서는 연속적인 복조 실패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실시예에서는 동기 다음에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무조건 상태를 1로 규정함으로써 연속적인 복조 실패를 막고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존(zone)디코더 220은 빈(empty) 디스크의 특정 영역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예를 들면 디스크의 물리적 어드레스 혹은 모터 회전 제어속도와 같은 디스크의 특성 등에 관한 정보를 복조한다. 상기 존에 어떤 정보를 실을 것인지는 각 제조회사마다 다르며, 빈 디스크를 액세스(access)할 때 우선 이 존의 정보를 복조하여 참조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존디코더를 사용하고 있으나 통상적인 어드레스디코더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에러검출 패리티생성부 230은 디코더에서 에러의 유·무를 알 수 있도록 부가정보를 실어주기 위한 것이다. 변조부 240은 디스크 100에 정보를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도록 데이터스트림 변조를 행한다. 빈(empty) 디스크의 특정 영역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예를 들면 디스크의 물리적 어드레스 혹은 모터 회전 제어속도와 같은 디스크의 특성 등에 관한 정보를 복조한다. 에러정정 패리티생성부 250은 산발, 연집에러를 정정할 수 있도록 부가정보를 실어주기 위한 것이다. 어드레스발생부 270은 상기 디스크 100의 물리적인 어드레스 정보를 만든다. 버퍼제어부 290은 각 부로 데이터를 전송 혹은 저장하여 데이터의 처리가 원할히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디지털 위상동기루프(Phase Locked Loop: 이하 PLL이라 함.) 300은 위상비교회로, 전압제어발진기 및 분주기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변조부 240에 의한 데이터스트림 변조에 동기된 소정의 클럭을 발생한다. 시스템클럭발생부 900은 수정발진기로써 시스템 클럭을 발생한다. 마이컴 500은 기록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제어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기록장치의 엔코더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마이컴인터페이스부 520은 마이컴 500과 엔코더 200 사이에 상호 데이터 혹은 제어신호 등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인터페이싱하는 역할을 한다. 메모리 295는 에러정정 패리티 생성용 메모리로서, 1메가비트(Mbit) 에스램(SRAM: static RAM)을 사용한다. ID 레지스터 274와 ID_P(ID_Parity) 발생부 275는 전술한 도 1의 어드레스발생부 270에 포함된다. ID 레지스터 274는 마이컴인터페이스부 520을 통해 마이컴 500으로부터 ID를 받아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상기 ID는 입력데이터 즉 MPEG-2데이터 DAT를 기록할 디스크의 물리적인 어드레스 정보이다. ID_P발생부 275는 상기 ID 레지스터 274로부터 입력한 ID에 대한 패리티코드 즉 ID_P를 발생하고 이를 상기 ID에 결합한다. 예비레지스터 261은 마이컴인터페이스부 520을 통해 마이컴 500으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제1스위치부 264는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ID_P 혹은 상기 디스크 관련 정보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제2스위치부 266은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MPEG-2데이터 DAT 혹은 상기 제1스위치부 264에서 출력되는 ID_P 혹은 디스크 관련 정보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에러검출 패리티 발생부 230은 상기 MPEG-2데이터 DAT에 해당하는 에러 검출 패리티를 발생한다. 그리고 이들을 결합하여 메모리 295에 기록한다. 도 4는 상기 제2스위치부 266에서 순차적으로 출력되고 상기 에러검출 패리티가 부가되어져 상기 메모리 295에 기록되는 1섹터 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스크램블(scramble)부 268은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1섹터 데이터중 주(main) 데이터만을 스크램블링함으로써 상기 주데이터를 랜덤데이터로 변환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스크램블부 268은 주데이터 검출수단(도시하지 않았음.)을 구비한다. 제3스위치부 267은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에러검출 패리티 발생부 230에서 전달되는 1섹터 데이터 혹은 상기 스크램블부 268에서 출력되는 스크램블된 주데이터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인터리브 및 메모리제어부 295는 상기 제3스위치부 267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에 대한 에러정정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심볼 단위로 인터리브(interleave)를 행하고, 인터리빙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295에 기록하거나 소정의 데이터 요구에 응하여 상기 메모리 295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읽어 오는 역할을 한다. 에러정정용 패리티 발생부 250은 (208, 192, 17), (182, 172, 11) 패리티 발생부이다. 상기 메모리 295에는 스크램블링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데, 상기 에러정정용 패리티 발생부 250은 상기 메모리제어부 296을 통해 메모리 295를 액세스하여 해당 데이터를 읽어와 그 데이터에 대하여 발생한 에러정정 패리티를 부가하고, 이를 다시 상기 메모리 295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 295와 메모리제어부 296은 전술한 도 1의 버퍼제어부 290에 해당한다.
에러제어 및 패리티 생성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반적인 패리티 생성 다항식 g(x)는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t는 정정 가능한 최대 데이터 수이다. 에러정정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t를 크게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패리티 엔코더의 회로 규모뿐만 아니라 디코더의 회로 규모가 커지게 마련이다.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에서는 상기 t를 크게 선택하여 가로방향은 (182, 172, 11), 세로방향은 (208, 192, 17)로 함으로써 전자의 경우에는 입력데이터 172바이트에 패리티를 10바이트 추가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입력데이터 192바이트에 패리티 16바이트를 추가한다. 다시 말해서, 코드워드의 길이가 각각 182, 208이고, 패리티를 제외한 주(main)데이터가 172, 192이며, 코드워드 간격은 각각 11, 17이다. 상기 메모리 295는 상기 각 방향의 에러정정 패리티를 발생하는 동안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패리티의 부가가 완료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도 한다.
8-16변조부 214와 동기발생부 212는 전술한 도 1의 채널코딩부 210에 포함된다. 상기 8-16변조부 214는 에러정정 패리티가 부가된 데이터를 입력하고 동기발생부 212에서 제공되는 소정의 동기신호에 맞추어 8-16변조를 행한다. 비 제로 복귀 반전(Non-Return to Zero, Inverted: 이하 NRZI라 함.) 변조부 247와 레이져 파워(Laser Power: 이하 LP라 함.) 변조부 245는 전술한 도 1의 변조부에 포함되는 것이다. 채널 코딩된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크에 기록하기 위해서는 디스크의 재질에 따라 자계변조나 광변조를 해야 한다. 마그네틱 디스크에 기록할 때에는 자계변조를 사용하고 디스크를 높은 열로 녹이거나 가열 할 때에는 광변조를 사용하는데 특히 열에 의한 기록시에는 열확산에 의한 오기록이 발생하지 않도록 레이저파워조정용으로 별도의 변조를 실시한다. 자계변조 및 광변조에 의한 기록형태 및 열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레이저파워변조 기술 자체는 공지의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시 그 기록밀도를 높이고 동기를 보호하며 ESM에서 임의의 코드워드에 대한 다음 상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기록장치의 엔코더에 있어서,
    입력 데이터를 8-16 변조하여 소정의 부호 형태로 출력하는 채널코딩부와,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디스트에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스트림의 형태로 변환하는 변조부와, 디코더에서 에러의 유·무를 알 수 있도록 부가정보를 실어주기 위한 에러검출용 패리티발생부와, 에러정정용 메모리와, 산발, 연집에러를 정정할 수 있도록 부가정보를 실어주기 위해 상기 에러정정용 메모리를 이용하여 에러정정용 패리티를 발생하는 에러정정용 패리티발생부와, 상기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상기 디스크의 물리적인 어드레스 정보를 만드는 어드레스 발생부와, 빈 디스크의 특정 영역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디스크 특성 관련 정보를 복조하는 어드레스 디코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기록장치의 엔코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발생부가, 상기 마이컴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아이디를 받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아이디 레지스터와, 상기 아이디 레지스터로부터 입력한 아이디에 대한 패리티코드를 발생하고 이를 상기 아이디에 결합하는 아이디_패리티 발생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기록장치의 엔코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코딩부는, 소정의 주기를 갖는 클럭을 발생하는 동기발생부와, 상기 에러정정 패리티가 부가된 데이터를 상기 클럭에 동기를 맞추어 8-16변조하는 8-16변조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기록장치의 엔코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부는,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를 제로 복귀 반전 및 레이져 파워 변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기록장치의 엔코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정정용 메모리는 1메가 비트의 에스램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기록장치의 엔코더.
  6.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기록장치의 엔코더에 있어서, 마이컴과 엔코더 사이에 상호 데이터 혹은 제어신호 등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인터페이싱하는 마이컴인터페이스부와, 에러정정용 메모리와, 상기 마이컴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아이디를 받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아이디 레지스터와, 상기 아이디 레지스터로부터 입력한 아이디에 대한 패리티코드를 발생하고 이를 상기 아이디에 결합하는 아이디_패리티 발생부와, 상기 마이컴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전달되는 소정의 정보를 저장하는 예비레지스터와,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아이디_패리티 혹은 상기 디스크 관련 정보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1스위치부와, 소정의 제어를 받아 입력 데이터 혹은 상기 제1스위치부에서 출력되는 아이디_패리티 혹은 디스크 관련 정보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스위치부와, 상기 제2스위치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에 해당하는 에러검출 패리티를 발생하는 에러검출 패리티발생부와, 상기 에러검출 패리티의 발생후 주데이터만을 스크램블링하여 상기 주데이터를 랜덤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스크램블부와,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에러검출 패리티 발생부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혹은 상기 스크램블부에서 출력되는 스크램블된 주데이터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3스위치부와, 에러정정용 패리티를 발생하는 에러정정용 패리티발생부와,
    상기 메모리를 액세스하며, 상기 제3스위치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에 인터리브기법에 따라 상기 에러정정 패리티를 부가하는 인터리브 및 메모리제어부와, 상기 에러정정 패리티가 부가된 데이터를 소정의 동기신호에 맞추어 8-16변조하는 8-16변조부와,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를 제로 복귀 반전 및 레이져 파워변조하여 상기 디스트에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스트림의 형태로 변환하는 변조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기록장치의 엔코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정정용 메모리는 1메가 비트의 에스램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기록장치의 엔코더.
KR1019960069197A 1996-12-20 1996-12-20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기록장치의 엔코더 KR100224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197A KR100224923B1 (ko) 1996-12-20 1996-12-20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기록장치의 엔코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197A KR100224923B1 (ko) 1996-12-20 1996-12-20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기록장치의 엔코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389A KR19980050389A (ko) 1998-09-15
KR100224923B1 true KR100224923B1 (ko) 1999-10-15

Family

ID=19489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9197A KR100224923B1 (ko) 1996-12-20 1996-12-20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기록장치의 엔코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49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69491A1 (en) * 2006-12-05 2008-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69491A1 (en) * 2006-12-05 2008-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389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2088A (en) Data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method thereof, and data record medium
US7408863B2 (en) Digital signal processing method,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data recording medium that are resistant to burst errors
JP3552327B2 (ja) 光ディスク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記録装置
KR940008742B1 (ko) 정보 전달 장치 및 그 방법과 디코딩 디바이스 및 그 방법
US564038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data from a record medium
EP1231715B1 (en) Reproducing method,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US7836375B2 (en) Scrambler circuit, encoding device, encoding method and recording apparatus
US7640483B2 (en) Error detecting code calculation circuit, error detecting code calculation method, and recording apparatus
JPH0950677A (ja) データ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データ記録媒体
KR100562973B1 (ko) 기록매체, 그 기록장치, 그 기록방법, 그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
KR100224923B1 (ko)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기록장치의 엔코더
CN101030425A (zh) 嵌入和检测辅助信号的方法和装置及其记录和重放装置
JPH0877691A (ja) 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信号処理回路
US6804182B2 (en) Optical disc reproducing apparatus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therefor
US6226236B1 (en) Information data transfer system
KR100224925B1 (ko)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기록장치의 엔코더
KR100224924B1 (ko)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기록장치의 엔코더
WO2003098625A1 (fr) Support d'enregistrement, procede d'enregistrement, dispositif d'enregistrement, et procede de reproduction et dispositif de reproduction
JPH0737335A (ja) セクタ信号形成方法及び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2004281043A (ja) 情報信号処理方法
JP2004192806A (ja) 情報記録方法、情報再生方法
JPS61194678A (ja) 同期回路
JP2004247040A (ja) 情報記録媒体
JP2006099955A (ja) ディジタル信号処理方法、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情報記録媒体
JP2001067818A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方法、及びその装置、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