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9140A - 토션 스프링 세트 - Google Patents

토션 스프링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9140A
KR20030029140A KR10-2003-7002421A KR20037002421A KR20030029140A KR 20030029140 A KR20030029140 A KR 20030029140A KR 20037002421 A KR20037002421 A KR 20037002421A KR 20030029140 A KR20030029140 A KR 20030029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component
torsion
torsion spring
spr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2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스-게르트 엑켈
폴커 히르쉬
에르하르트 모오그
안야 쿤켈
Original Assignee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filed Critical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Publication of KR20030029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9140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42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the mode of stressing
    • F16F1/422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the mode of stressing the stressing resulting in flexion of the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5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 F16D3/5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comprising a continuous strip, spring, or the like engaging the coupling parts at a number of pl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5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 F16D3/6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comprising pushing or pulling links attached to both parts
    • F16D3/6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comprising pushing or pulling links attached to both parts the links or their attachments being elas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25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4Torsion springs consisting of bars or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16F15/1213Spiral springs, e.g. lying in one plane, around axis of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pring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의 동력 전달 장치용 토션 스트링 세트에 관한 것이며, 상기 토션 스프링 세트는 내부에 위치하는 제 1 구성요소(1)와 거기에 비틀어질 수 있게 배치되고 외부에 위치하는 제 2 구성요소(2), 그 밖에도 토션 스프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구성요소와 제 2 구성요소(1, 2) 사이에서 작용하는 스프링(3), 또한 상기 스프링(3)의 제 1 단부(9)를 제 1 구성요소(1)와 결합시키는 제 1 고정기구(7) 및 상기 스프링(3)의 제 2 단부(10)를 제 2 구성요소(2)와 결합시키는 제 2 고정기구(8)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3)은 실질적으로 제 1 구성요소(1)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고정기구(7, 8)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기구는, 제 1 구성요소(1)가 비틀어질 때, 상기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9, 10)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가 제 2 구성요소(2)와 상관적으로 방사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토션 스프링 세트{TORSION SPRING SET}
본 발명에 따른 토션 스프링 세트와 같이 자동차에 있는 동력 전달 장치의 진동 차단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토션 스프링 세트들은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토션 스프링 세트의 사용은 자동차에 사용된 연소기관이 크랭크축에서 비틀림 모멘트(獨: Drehmoment)를 발생시키고 상기 비틀림 모멘트의 시간적 진행이 일정하지 않다는데 그 배경이 있다. 엔진의 평균 모멘트에는 크랭크축과 상기 크랭크축에 결합되어 있는 구성요소들의 회전운동을 불규칙하게 만드는 동적 비율이 중첩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자동차의 승차감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진동이 동력 전달 장치 내에서 발생한다. 비틀림 진동이 크랭크축으로부터 동력 전달 장치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효과적인 가능성은 크랭크축과 동력 전달 장치 사이에서 진동을 차단시키는데 있다. 이것을 위해서 일반적으로는 크랭크축의 플라이휠에 비교적 부드러운 토션 스프링을 이용하여 제 2의 비틀림 물체(獨: Drehmasse)를 묶어둔다. 상기 플라이휠이 크랭크축의 불규칙한 비틀림 진동을 수반하는 동안에, 클러치(獨:Kupplung)를 통해 기어와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 2의 비틀림 물체의 회전수 변동은 현저하게 줄어든다. 상기 방식으로 동력 전달 장치가 안정될 수 있다.
토션 스프링 세트의 중심 요소는 양 비틀림 물체 사이에 있는 토션 스프링이다. 상기 토션 스프링은 한편으로는 발생하는 크랭크축의 진동을 완화시킬 수 있을 만큼 충분하게 탄력적이어야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엔진의 정적인 비틀림 모멘트를 흡수하고 여기에 추가적으로 크랭크축 진동에 의해 야기된, 양 비틀림 물체 사이의 상대 운동을 허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하게 스프링 범위가 존재하여야 한다.
토션 스프링에 대한 일 예가 DE 40 06 121 A1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에 의한 스프링은 제 1 내부 구성요소를 둘러싸고 여러차레 감기며 연장되는 나선형 스프링으로서 형성된다. 이 경우에 상기 스프링은 외곽 및 내곽에 의해 한정되는 내장 공간 내에 수용된다. 이 경우에 외곽 및 내곽은 회전축(獨: Drehachse)과 동심으로 배치된다. 상기 공지된 배치의 단점은 상대적으로 큰 구성 공간이 요구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스프링에 필요한 구성 공간 대비 요구되는 강도가 유지되며 스프링으로부터 전달가능한 비틀림 모멘트로서 이해되는 스프링의 파워밀도(獨: Leistungsdichte)가 모든 경우에 있어서 충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의 동력 전달 장치용 토션 스트링 세트에 관한 것이며, 상기 토션 스프링 세트는 내부에 위치하는 제 1 구성요소와 거기에 비틀어질 수 있게 배치되고 외부에 위치하는 제 2 구성요소, 토션 스프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구성요소와 제 2 구성요소 사이에서 작용하는 스프링, 그리고 상기 스프링의 제 1 단부(9)를 제 1 구성요소와 결합시키는 제 1 고정기구 및 상기 스프링의 제 2 단부를 제 2 구성요소와 결합시키는 제 2 고정기구로 이루어지며, 이 경우에 상기 스프링은 실질적으로 제 1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하기에서는 도면에 의하여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1은 중립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세트의 횡단면도이며;
도 2는 제 1 정지위치에 있는 도 1의 토션 스프링 세트의 횡단면도이며;
도 3은 제 2 정지위치에 있는 도 1의 토션 스프링 세트의 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토션 스프링 세트의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토션 스프링 세트의 횡단면도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작은 구성 공간만을 필요로 하는 토션 스프링 세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서두에 언급된 특징을 가진 토션 스프링 세트에서 상기 고정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기구가, 제 1 구성요소가 비틀어질 때, 상기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가 제 2 구성요소와 상관적으로 방사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형성에 의해 전체 길이에 걸쳐서 균일한 굽힘 하중이 달성된다. 이로써 스프링이 보다 더 활용되어 파워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의 한 단부는 제 1 구성요소 또는 제 1 구성요소와 견고하게 결합되는 반면에 다른 한 단부는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토션 스프링은 특히 간단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프링은 외곽과 내곽에 의해 한정되는 내장 공간에 수용되며, 그리고 상기 스프링이 외곽 및 내곽에 밀착되는 것에 의해 제 1 구성요소와 제 2 구성요소 사이의 최대 비틀림 각이 한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외곽은 제 2 구성요소의 내표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곽은 제 1 구성요소의 외표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곽과 내곽은 스프링의 응력 변형을 한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제 1 구성요소와 제 2 구성요소 사이의 비틀림 각이 한정될 뿐만 아니라 스프링 몸체의 기계적 응력도 한정된다. 편향(獨: Einfedern)시에 스프링이 특히 완전하게(獨: vollflaechig)하게 상기 내곽에 밀착되며, 반면에 되튐(獨: Ausfedern)시에는 스프링이 특히 완전하게 상기 외곽에 밀착된다.
본 발명물의 개선예에 따라 상기 내장 공간의 외곽 및 내곽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가 원호로서 형성된다. 상기 원형의 형태에 의해서, 스프링 단면이 일정하고 특히 마찬가지로 원호에 걸쳐서 연장되는 스프링이 상기 외곽 또는 내곽에 밀착될 때 변형 및 응력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션 스프링 세트의 파워밀도는 상기 외곽 및 내곽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가 서로 오프셋(獨: versetzt) 배치되는 것에 의해 개선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외곽과 내곽이 원호로서 형성되고 상기 원호들의 중앙이 서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의 편향시에 상기 외곽과 내곽은 서로 상관적으로 제 1 구성요소 및 제 2 구성요소의 공동 회전축을 중심으로 비틀어진다. 이 경우에 상기 원호들의 중앙은 특히 회전축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 다른 개선으로서, 상기 내곽의 중앙은, 상기 내곽에 밀착될 때까지 스프링의 편향시에, 회전축 및 견고하게 고정된 단부의 중심을 관통하는 일직선 상에 또는 상기 일직선에 인접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내곽의 중앙은 특히 회전축과 상기 견고하게 고정된 단부 사이에 위치한다.
그 밖에도 상기 토션 스프링 세트는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외곽의 중앙은, 스프링이 상기 외곽에 밀착될 때까지 되튈 때, 회전축 및 견고하게 고정된 단부의 중심을 관통하는 일직선 상에 또는 상기 일직선에 인접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외곽의 중앙은 상기 일직선의 선분 상에 위치하며, 상기 선분은 상기 회전축의 다른 쪽에, 상기 견고하게 고정된 단부를 향하고 있지 않은 쪽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라서, 상기 고정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기구는, 제 1 구성요소가 비틀어질 때, 상기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가 제 2 구성요소와 상관적으로 하나의 회전점을 중심으로 비틀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비틀림은 상기 회전축과는 다른 하나의 회전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프링의 단부는 방사상 이동 및 회전식(獨:rotatorisch)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단부 영역에서 스프링의 응력이 한층 감소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기구가 스프링측 제 1 고정섹션을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측 제 1 고정섹션은 제 1 구성요소 또는 제 2 구성요소의 제 2 고정섹션과 함께 작용한다. 이로써 특히 간단하게 제조되고 조립될 수 있는 구조가 달성된다. 이 경우에 제 1 고정섹션 및 제 2 고정섹션은 서로 맞물리며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 1 고정섹션이 첨단을 구비하는 고정용 기저부(獨: Fuss)로서 형성되며, 제 1 고정섹션 및 제 2 고정섹션은, 제 1 구성요소가 비틀어질 때, 상기 고정용 기저부가 제 2 구성요소와 상관적으로 자신의 첨단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프링의 단부의 안전한 고정이 달성된다. 동시에 상기 고정용 기저부가 자신의 첨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스프링의 단부의 방사상 이동 및 비틀림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서, 상기 스프링은 360°보다 작은 각도만큼 상기 제 1 구성요소을 중심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단일의 스프링이 여러차레 상기 제 1 구성요소 주위를 휘감고 있지 않게 된다. 이 경우에 각도 부여는 단지 작용중인 스프링의 길이에만 관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토션 스프링의 정적 불균형은 상기 토션 스프링이 n 갯수 스프링들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결합체를 구비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스프링들은 평행으로 서로 나란하게 각각각도만큼 오프셋 배치된다. 이 경우에 상기 n 갯수는 2보다 크거나 동일하다.
발생하는 동적 불균형과 관련하여 2개의 스프링 결합체가 제공되어 수평면에 거울 대칭적으로 특히 회전축에 수직으로 배치됨으로써, 또 다른 개선점이 달성된다. 그러므로 모든 스프링 결합체가 2개씩의 스프링을 구비하면, 총 4개의 스프링이 평행으로 연결되어 제공되고 상기 회전축과 관련한 축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양쪽의 외부 스프링은 그 회전식 위치에서 동일하게 배치된다. 이와는 반대로 내부에 위치하는 스프링은 양쪽이 외부 스프링에 대해서 180°만큼 회전축을 중심으로 비틀어져 있다. 그 밖의 왼쪽에 배치되어 있는 스프링 결합체는 이 경우에 그 밖의 오른쪽에 배치되어 있는 스프링 결합체에 거울 대칭적으로 배치되며, 이 경우에 대칭 평면은 상기 양 스프링 결합체 사이의 중앙에 뻗어있다. 이 경우에 상기 내부에 위치하는 스프링은 외부의 스프링에 대해서 180°만큼 회전축을 중심으로 비틀어져 있다. 이러한 배치는 상기 스프링 꾸러미 및 내곽과 외곽을 가진제 1 구성요소와 제 2 구성요소의 무게중심이 회전축 상에 위치하게되고 따라서 부품들의 회전시에 정적 불균형 및 동적 불균형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가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장점은 유사한 방식으로 스프링의 갯수를 달리 하는 것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상기 양쪽 각각 내부에 위치하는 스프링이 2배의 넓이를 가진 단일의 스프링으로 합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 및 제 1 구성요소와 제 2 구성요소가 수평면과 관련하여 회전축에 의해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모든 스프링의 공통적인 무게중심이 상기 회전축 상에 위치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자동차의 동력 전달 장치용 토션 스프링 세트가 도시되어있다. 상기 토션 스프링 세트는 내부에 위치하는 제 1 구성요소(1)와 외부에 위치하는 제 2 구성요소(2)를 구비한다. 이 경우에 상기 제 1 구성요소(1)는 자동차 엔진의 플라이휠과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 2 구성요소(2)는 클러치를 통해 기어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은 공지된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 내부에 위치하는 제 1 구성요소(1)는 간격을 두고 상기 제 2 구성요소(2)에 의해 완전하게 둘러싸이는 중공체로서 형성된다. 제 1 구성요소와 제 2 구성요소(1, 2)는 회전축(D)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고 서로에 대해서 비틀림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구성요소와 제 2 구성요소(1, 2) 사이에는 토션 스프링(3)이 작용하며, 상기 토션 스프링(3)은 제 1 구성요소(1)와 제 2 구성요소(2)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내장 공간(4) 내에 수용된다. 상기 내장 공간(4)은 방사 방향으로 외곽(5)및 내곽(6)에 의해 한정된다. 이 경우에 상기 외곽(5)은 제 2 구성요소(2)의 내표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내곽(6)은 제 1 구성요소(1)의 외표면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스프링(3)의 제 1 단부(9)를 상기 제 1 구성요소(1)와 결합시키는 제 1 고정기구(7) 및 스프링(3)의 제 2 단부(10)를 상기 제 2 구성요소(2)와 결합시키는 제 2 고정기구(8)가 제공된다. 이 경우에 상기 스프링(3)은 상기 제 1 단부와 제 2 단부(9 및 10)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제 1 구성요소(1)의 일부의 둘레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2 및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3)이 외곽(5) 또는 내곽(6)에 밀착되어 제 1 구성요소와 제 2 구성요소(1, 2) 사이의 최대 비틀림 각이 한정될 수 있다. 도 2에는 상기 스프링(3)이 위로 굽혀있는 상태로 도시되며, 상기 스프링은 외곽(5)에 완전하게 밀착된다. 도 3에는 상기 스프링(3)이 아래로 굽혀있는 상태로 도시되며, 상기 스프링은 내곽(6)에 밀착된다. 상기 내장 공간(4)의 외곽(5) 및 내곽(6)은 거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연장되는 원호로서 각각 형성된다. 이 경우에 외곽(5) 및 내곽(6)은 서로 오프셋 배치되며, 상기 외곽(5)의 중앙(A) 및 내곽(6)의 중앙(I)이 서로 간격을 두고 있다. 방사 방향으로 상기 내장 공간(4)의 높이는 둘레에 걸쳐서 다양하다. 상기 제 2 고정기구(8)의 영역에서는 간격이 상대적으로 작으며, 맞은 편에 위치하는 내장 공간(4)의 섹션에서는 간격이 상대적으로 크다.
이 경우에 상기 토션 스프링 세트는, 상기 내곽(6)에 밀착될 때까지 스프링(3)이 편향될 때 상기 내곽(6)의 중앙(I)이 회전축(D) 및 견고하게 고정된 제 2 단부(10)의 중심(Z)을 관통하여 진행되는 일직선 상에 또는 상기 일직선에 인접하여 위치하도록, 형성된다(도 3 참조). 이 경우에 상기 내곽(6)의 중앙(I)은 회전축(D)과 상기 견고하게 고정된 단부(10)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스프링(3)이 상기 외곽(5)에 밀착될 때까지 되튈 때 상기 외곽(5)의 중앙(A)은 회전축(D) 및 견고하게 고정된 제 2 단부(10)의 중심(Z)을 관통하는 일직선 상에 또는 상기 일직선에 인접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외곽(5)의 중앙(A)은 상기 일직선의 선분 상에 위치하며, 상기 선분은 상기 회전축(D)의 다른 쪽에, 상기 견고하게 고정된 단부(10)를 향하고 있지 않은 쪽에 위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고정기구와 제 2 고정기구(7, 8)는 제 1 구성요소 및 제 2 구성요소(1, 2)의 제 2 고정섹션(12, 12')과 함께 작용하는 스프링측 제 1 고정섹션(11, 11')을 각각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에 제 1 고정섹션 및 제 2 고정섹션(11, 11' 및 12, 12')은 서로 맞물리며 결합되어 있다.
제 2 고정기구(8)의 경우에 제 1 고정섹션과 제 2 고정섹션(11', 12')간의 결합은, 상기 제 2 단부(10)가 제 2 구성요소(12)에 상관적으로 축방향 및 방사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실행된다. 이로써, 고정용 기저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 1 고정섹션(11')이 원주 방향으로 양 쪽에서 상기 제 2 고정섹션(12')과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제 1 고정기구(7)는, 상기 스프링(3)의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9, 10)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가 제 1 구성요소(1)의 비틀림시에 상기 제 2 구성요소(2)와 상관적으로 방사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는 방사 방향에서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단부(9)가 제 1 구성요소(1)와 상관적으로 회전점(P)을 중심으로 비틀어지는 것 또한 실행된다.
이 경우에 상기 제 1 고정섹션(7, 8)은 첨단(13)을 구비한 고정용 기저부(14)로서 형성되며, 이 경우에 제 1 고정섹션 및 제 2 고정섹션(11, 12)은, 제 1 구성요소(1)가 비틀어질 때, 상기 고정용 기저부(14)가 제 2 구성요소(2)와 상관적으로 자신의 첨단(13)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회전이 수월해지도록, 상기 고정용 기저부(14)에는 반지름(獨: Radius)이 제공되며, 상기 반지름은 조인트(獨: Gelenk)의 종류에 따라서 제 1 구성요소(1)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고정섹션(11)의 오목부 내에 수용된다.
이 경우에 제 1 고정섹션 및 제 2 고정섹션(7, 8)은, 상기 스프링(3) 특히 제 1 단부(9)가 스프링(3)이 떨어져서 구부러질 때 상기 외곽(5)에(도 2 참조) 달라붙을 수 있도록, 그리고 스프링(3)이 밀착되어 구부러질 때는 제 1 구성요소(1)의 내곽(6)에 특히 완전하게 달라붙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고정용기저부(14)는 상기 회전점(P)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실행한다. 상기 고정용 기저부(14)의 뒤쪽 섹션(15)은, 상기 제 1 고정기구(7)의 정지 섹션(16)에 근소한 틈새로 밀착되어 이러한 방식으로 엇물림이 없는 힘의 전달이 양 회전 방향으로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에 상기 고정용 기저부(14)의 뒤쪽 섹션(15)과 정지 섹션(16)은 상기 회전점(P)을 중심으로 원호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윤곽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단부(9)와 제 2 단부(10) 사이의 스프링(3)의 호(I)는 360°보다 작다. 상기 내장 공간(4) 내에는 추가로 상기 토션 스프링 세트가 점착적으로 진동이 감쇠되고 달라붙게 하기 위하여 유동체가 수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유동체는 상기 스프링부재가 특정 위치로, 방사상으로 위치를 바꾸는 것에 의해 자동적으로 재분배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구성요소(1) 및 제 2 구성요소(2)가 실질적으로 금속으로된 비탄력적인 몸체로 형성되는 반면에, 상기 스프링(3)은 특히 마찬가지로 금속으로 이루어진 탄력적인 부품으로서 형성된다.
도 4 및 도 5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3이 참조되며, 이 경우에 동일한 기능의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제공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는 총 4개의 스프링(3, 3', 3", 3"')이 제공된다. 이 경우에 상기 스프링(3 및 3')은 2개의 스프링으로된 스프링결합체(17)이다. 상기 스프링(3 및 3')은 평행으로 연결되고 나란하게 배치되고, 180°각도만큼 회전축(D)을 중심으로 오프셋 배치된다. 상기 스프링 (3 내지 3')에 의해 외곽(5 내지 5') 및 내곽(6 내지 6')도 180°만큼 비틀어져 배치된다. 따라서 제 1 구성요소(1)와 제 2 구성요소(2)에서 계단형태의 횡단면이 나타난다.
비견되는 스프링 결합체(17')는 상기 스프링 결합체(17) 이외에 회전축(D)에 수직으로 진행되는 수평면(E)에 거울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총 4개의 스프링(3, 3', 3", 3"')이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들은 회전축(D)에 관련하여 축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양 외부 스프링(3 및 3"')은 그 회전식 위치에서 동일하게 배치된다. 이와는 반대로 내부에 위치하는 스프링(3' 및 3")은 상기 외부 스프링(3 및 3"')에 대해서 180°만큼 회전축(D)을 중심으로 비틀어져 있다. 이 경우에 모든 스프링의 공통 무게중심이 상기 회전축(D) 상에 있게 된다.
도 5에는 도 4에 설명되어 있는 실시예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도면에서는, 단면으로 도시된 스프링(3) 및 그 뒤에 위치하고 부분적으로 위치가 점선으로 도시된 스프링(3')이 180°만큼 비틀어져 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잘 볼 수 있다.

Claims (14)

  1. 내부에 위치하는 제 1 구성요소(1)와 거기에 비틀어질 수 있게 배치되고 외부에 위치하는 제 2 구성요소(2), 토션 스프링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제 1 구성요소와 제 2 구성요소(1, 2) 사이에서 작용하는 스프링(3), 상기 스프링(3)의 제 1 단부(9)를 제 1 구성요소(1)와 결합시키는 제 1 고정기구(7) 및 상기 스프링(3)의 제 2 단부(10)를 제 2 구성요소(2)와 결합시키는 제 2 고정기구(8)를 가지며, 상기 스프링(3)이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구성요소(1)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특히 자동차의 동력 전달 장치용 토션 스프링 세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7, 8)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기구가, 상기 제 1 구성요소(1)의 비틀림시에 상기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9, 10)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 2 구성요소(2)와 상관적으로 방사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스프링 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3)이 외곽(5)과 내곽(6)에 의해 한정되는 내장 공간(4) 내에 수용되며, 그리고 상기 스프링(3)이 상기 외곽(5) 및 내곽(6)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제 1 구성요소와 제 2 구성요소(1, 2) 사이의 최대 비틀림 각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스프링 세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공간(4)의 외곽(5) 및 내곽(6)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가 원호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스프링 세트.
  4.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5) 및 내곽(6)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가 서로 오프셋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스프링 세트.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5) 및 내곽(6)의 원호들의 중앙(A, I)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스프링 세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곽(6)의 중앙(I)이, 상기 스프링(3)이 상기 내곽(6)에 밀착될 때까지 편향될 때, 회전축(D) 및 견고하게 고정된 제 2 단부(10)의 중심(Z)을 관통하는 일직선 상에 또는 상기 일직선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스프링 세트.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5)의 중앙(A)이, 상기 스프링(3)이 상기 외곽(5)에 밀착될 때까지되튈 때, 회전축(D) 및 견고하게 고정된 제 2 단부(10)의 중심(Z)을 관통하는 일직선 상에 또는 상기 일직선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스프링 세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7, 8)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기구가, 상기 제 1 구성요소(1)의 비틀림시에 상기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9, 10)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 2 구성요소(2)와 상관적으로 하나의 회전점(P)을 중심으로 비틀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스프링 세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7, 8)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기구가 스프링측 제 1 고정섹션(11, 11')을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측 제 1 고정섹션(11, 11')은 상기 제 1 구성요소 및 제 2 구성요소의 제 2 고정섹션(12, 12')과 함께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스프링 세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섹션과 제 2 고정섹션(11, 11', 12, 12')이 서로 맞물리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스프링 세트.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섹션(11, 11')이 첨단(13)을 구비하는 고정용 기저부(14)로서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제 1 고정섹션과 제 2 고정섹션(11, 11', 12, 12')이, 상기 제 1 구성요소(1)의 비틀림시에 상기 고정용 기저부(14)가 상기 제 2 구성요소(2)와 상관적으로 자신의 첨단(13)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스프링 세트.
  12. 제 1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3)이 360°보다 작은 각도만큼 상기 제 1 구성요소(1)를 중심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스프링 세트.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스프링들(3, 3', 3", 3"')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결합체(17, 17')가 제공되며, 이 경우에 상기 스프링들(3, 3', 3", 3"')은 평행으로 서로 나란하게, 및 각각각도만큼 오프셋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스프링 세트.
  14. 제 13 항에 있어서,
    2개의 스프링 결합체(17, 17')가 제공되고, 상기 2개의 스프링 결합체(17,17')는 거울 대칭적으로, 및 특히 회전축(D)을 관통하는 수평면(E)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스프링 세트.
KR10-2003-7002421A 2000-09-27 2001-09-27 토션 스프링 세트 KR200300291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49001A DE10049001C2 (de) 2000-09-27 2000-09-27 Drehfedersatz
DE10049001.8 2000-09-27
PCT/EP2001/011200 WO2002027212A1 (de) 2000-09-27 2001-09-27 Drehfedersatz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9140A true KR20030029140A (ko) 2003-04-11

Family

ID=7658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2421A KR20030029140A (ko) 2000-09-27 2001-09-27 토션 스프링 세트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40026840A1 (ko)
EP (1) EP1259744A1 (ko)
JP (1) JP2004510111A (ko)
KR (1) KR20030029140A (ko)
CN (1) CN1418296A (ko)
AU (1) AU2001295586A1 (ko)
BR (1) BR0112075A (ko)
DE (1) DE10049001C2 (ko)
MX (1) MXPA02012916A (ko)
WO (1) WO20020272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5021B1 (en) * 1998-07-14 2002-03-12 Maersk Medical A/S Medical puncturing device
US6830562B2 (en) 2001-09-27 2004-12-14 Unomedical A/S Injector device for placing a subcutaneous infusion set
ITTO20011228A1 (it) * 2001-12-28 2003-06-28 Cane Srl Contenitore per ago monouso.
US7147623B2 (en) * 2002-02-12 2006-12-12 Unomedical A/S Infusion device with needle shield
DE60325624D1 (de) * 2002-09-02 2009-02-12 Unomedical As Vorrichtung zur subkutanen verabreichung eines medikaments an einen patienten
US7115112B2 (en) * 2002-09-02 2006-10-03 Unomedical A/S Device for subcutaneous administration of a medicament to a patient and tubing for same
EP1556124B1 (en) * 2002-09-02 2007-10-31 Unomedical A/S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djustment of the length of an infusion tubing
US20040051019A1 (en) 2002-09-02 2004-03-18 Mogensen Lasse Wesseltoft Apparatus for and a method of adjusting the length of an infusion tube
DK200201823A (da) 2002-11-26 2004-05-27 Maersk Medical As Forbindelsesstykke for en slangeforbindelse
FR2850723B1 (fr) * 2003-01-30 2006-10-20 Jacques Clausin Dispositif double volant amortisseur utilisant des ressorts de torsion radiaux a raideur et amortissement variables
US20040158202A1 (en) * 2003-02-12 2004-08-12 Soren Jensen Cover
WO2005092410A1 (en) * 2004-03-26 2005-10-06 Unomedical A/S Infusion set
US20050240154A1 (en) * 2004-04-21 2005-10-27 Unomedical A/S: Infusion set with patch
US8062250B2 (en) * 2004-08-10 2011-11-22 Unomedical A/S Cannula device
US20060100581A1 (en) * 2004-08-13 2006-05-11 Mogensen Lasse W Reservoir for front end loaded infusion device
CN1297760C (zh) * 2004-09-01 2007-01-31 陈清欣 一种改进的反作用杆带接头总成
DE102004043136B3 (de) * 2004-09-07 2005-08-11 Carl Freudenberg Kg Drehfeder, Drehfederersatz und Anordnung von Drehfedersätzen
DE102004044080A1 (de) * 2004-09-11 2006-03-30 Mtu Friedrichshafen Gmbh Drehschwingungsdämpfer
JP4964141B2 (ja) * 2004-12-10 2012-06-27 ウノメディカル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挿入具
US7985199B2 (en) 2005-03-17 2011-07-26 Unomedical A/S Gateway system
EP1871454B1 (en) * 2005-03-21 2011-03-02 Unomedical A/S A mounting pad, an adhesive device comprising such mounting pad, and methods of preparing an infusion
ES2352409T3 (es) * 2005-06-28 2011-02-18 Unomedical A/S Embalaje para conjunto de infusión y método de aplicación de un conjunto de infusión.
ATE480278T1 (de) 2005-09-12 2010-09-15 Unomedical As Einfürungssystem für ein infusionsset mit einem ersten und zweiten federeinheit
DE102005043575B4 (de) * 2005-09-12 2019-08-29 Vibracoustic Gmbh Drehfeder
USD655807S1 (en) 2005-12-09 2012-03-13 Unomedical A/S Medical device
US7866230B2 (en) * 2008-01-18 2011-01-1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pparatus for releasably securing a rotatable object in a predetermined position
US9204100B2 (en) * 2008-03-18 2015-12-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t-top box remote access functions in a browser extension
DE102008017626B4 (de) 2008-04-04 2018-05-30 Vibracoustic Gmbh Drehfeder mit einer konzentrischen schraubenförmigen Feder
US8061759B2 (en) * 2008-08-13 2011-11-22 Aero Industries, Inc. Actuation mechanism for a tarping system
GB2474417A (en) * 2009-07-03 2011-04-20 Isis Innovation A spring and a spring assembly
DE202010017795U1 (de) * 2010-01-21 2012-11-28 Muhr Und Bender Kg Antriebsscheibe mit Schwingungsdämpfermitteln
JP5630560B2 (ja) * 2011-02-28 2014-11-26 村田機械株式会社 上肢訓練装置
JP2013036530A (ja) * 2011-08-08 2013-02-21 Nok Corp 回転変動吸収クランクプーリ
JP5729560B2 (ja) * 2011-08-30 2015-06-03 Nok株式会社 回転変動吸収ダンパプーリ
WO2014012547A2 (de) * 2012-07-18 2014-01-2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chwingungsdämpfer,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entsprechende reibkupplung und entsprechendes kraftfahrzeug
GB201304678D0 (en) * 2013-03-15 2013-05-01 Deregallera Holdings Ltd Torsion device
CN113669397B (zh) * 2020-05-14 2022-09-30 同济大学 一种连接簧片及片弹簧
US20220056979A1 (en) * 2020-08-18 2022-02-24 Illinois Tool Works Inc. Silicone free rotational spring hinge dampener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124A (en) * 1890-07-01 gearing
US513319A (en) * 1894-01-23 John peirce harding
DE166986C (ko) *
US768883A (en) * 1904-05-10 1904-08-30 Peter N Nelson Power-transmission device.
US1196349A (en) * 1915-12-13 1916-08-29 Levi L Gilbert Yieldable shaft-coupling.
US1460050A (en) * 1922-04-18 1923-06-26 Bloom Edward Loom
US1979867A (en) * 1929-06-08 1934-11-06 Charter Drive Inc Engine starter
DE848456C (de) * 1944-02-25 1952-09-04 Werner Arnold In einem Hohlkoerper um eine Drehachse gelagerte Drehfeder, insbesondere fuer die Federung von Fahrzeugen
US2481037A (en) * 1946-02-23 1949-09-06 Wilson J G Corp Multiple torsion spring
US2598993A (en) * 1948-07-31 1952-06-03 Marquette Metal Products Co Torque transmitting device
US2739779A (en) * 1954-10-01 1956-03-27 Wheaton Brass Works Spring counterbalanced swing joint supported conduit
US2737362A (en) * 1955-01-12 1956-03-06 Wheaton Brass Works Spring counterbalanced swing joint supported conduit or like arms
US2890477A (en) * 1957-04-12 1959-06-16 Soss Mfg Company Door check and hold open
US3208303A (en) * 1960-11-09 1965-09-28 Durouchoux Olivier Energy storing device of the flywheel type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s
GB943109A (en) * 1961-07-07 1963-11-27 Twiflex Coupling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uplings for transmitting a drive between rotatable driving and driven members
US4103765A (en) * 1977-04-05 1978-08-01 Eaton Corporation Resilient support for coil of viscous fluid drive
FR2499182A1 (fr) * 1981-02-04 1982-08-06 Valeo Dispositif amortisseur de torsion, notamment friction d'embrayage pour vehicule automobile
DE3432602A1 (de) * 1984-08-31 1985-04-04 Klaus Prof. Dr.-Ing. 1000 Berlin Federn Formfedernde drehelastische kupplung
US4781653A (en) * 1984-12-27 1988-11-01 Nissan Motor Co., Ltd.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motor vehicle
FR2631091B1 (fr) * 1988-05-06 1993-01-08 Valeo Dispositif amortisseur de torsion a flans elastiques,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DE4006121C2 (de) * 1990-02-27 1994-04-14 Opel Adam Ag Torsionsdämpfungsvorrichtung
US5050443A (en) * 1990-11-19 1991-09-24 Ford Motor Company Steering wheel return assist device
US5294097A (en) * 1992-07-14 1994-03-15 Hasco Industries, Inc. Apparatus for mounting a spiral spring
US5893355A (en) * 1996-12-26 1999-04-13 Eaton Corporation Supercharger pulley isolator
KR100337308B1 (ko) * 2000-08-21 2002-05-17 이계안 차량의 서스펜션 암 부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1295586A1 (en) 2002-04-08
JP2004510111A (ja) 2004-04-02
DE10049001A1 (de) 2002-04-25
CN1418296A (zh) 2003-05-14
EP1259744A1 (de) 2002-11-27
US20040026840A1 (en) 2004-02-12
DE10049001C2 (de) 2003-04-10
MXPA02012916A (es) 2004-08-12
WO2002027212A1 (de) 2002-04-04
BR0112075A (pt) 2003-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29140A (ko) 토션 스프링 세트
JP3090896B2 (ja) 連結要素としての転動体を備えたねじり振動ダンパー
EP1460304B1 (en) A torsional vibration damper
US20020128074A1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US5139120A (en) Torsional damper
JP2569276B2 (ja) ねじり振動減衰器
EP1975459A1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US6209701B1 (en) Damper disk assembly
ES2210605T3 (es) Amortiguador mecanico de vibraciones de torsion.
JPH04231751A (ja) ねじり弾性継手
US4592460A (en) Clutch disc
CN110325766A (zh) 过滤带轮
KR20160133366A (ko) 토션 진동 댐핑 장치
US7811175B2 (en) Torque transmission device
JP2000510222A (ja) トルク変動の絶縁装置
JPH0141849B2 (ko)
CN101321969A (zh) 扭转振动减振器
US4499981A (en) Damper disc with concentric springs including hourglass-shaped springs to reduce the effect of centrifugal forces
JP2698237B2 (ja) 2質量体式フライホイール
KR101072610B1 (ko) 차량용 토션 댐퍼
EP1686285B1 (en) A torsional vibration damper
CN109642639B (zh) 带有摆动阻尼装置的扭矩传递装置
GB2170882A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US7241225B2 (en) Torsional vibration insulator
JP3780548B2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