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9928A - 중앙분리대 및 방호벽의 차량방호 충격흡수판 - Google Patents

중앙분리대 및 방호벽의 차량방호 충격흡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9928A
KR20030019928A KR1020030006474A KR20030006474A KR20030019928A KR 20030019928 A KR20030019928 A KR 20030019928A KR 1020030006474 A KR1020030006474 A KR 1020030006474A KR 20030006474 A KR20030006474 A KR 20030006474A KR 20030019928 A KR20030019928 A KR 20030019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ing
vehicle
buffer
impact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6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영
김봉환
Original Assignee
최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영 filed Critical 최재영
Priority to KR1020030006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9928A/ko
Publication of KR20030019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992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0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conveyor chains or rotatable rollers for horizontal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성(콘크리트) 중앙분리대 및 강성(콘크리트) 방호벽에 충격 흡수용 판을 부착하여 차량이 충돌시 충격량을 감소시키고 2차 사고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용 판넬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중앙분리대 및 방호벽에 볼트로 고정되도록 하었고,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중앙분리대 및 방호벽의 콘크리트의 일측면과 밀착결합되어 차량과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플레이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완충 플레이트의 전방에는 요철모양으로 돌출 성형되어 그 내부에 충격을 감쇄시키는 완충 공간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차량과의 충돌시 완충효과를 향상시켜 충격량을 감소시키고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으며, 중앙분리대 및 방호벽에 충돌한 후 미끄러짐 또는 비월 등에 의한 2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반사체를 부착하여 야간 및 우중의 안전운전을 도모하고,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폐플라스틱류 및 폐고무류를 재활용할 수 있는 한편,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므로 환경친화적인 시설물의 구축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중앙분리대 및 방호벽의 차량방호 충격흡수판{The Impact Absorbing Panel for the Concret Median Barrier and the Protective Walls}
본 발명은 충격 흡수용 판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로의 중앙분리대 와 방호벽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측면에 충격 흡수용 판넬의 부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중앙분리대는 자기복원식중앙분리대(SERB), 모래채움 중앙분리대, 콘크리트형 중앙분리대, 흙둑중앙분리대 등이 있다. 그리고 이들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콘크리트형 중앙분리대이다. 어쨌든 이들 중앙분리대는 폭이 넓을수록 그 기능이 좋아지지만 도로 용지 취득과 토지이용 상황 등을 감안하여 중앙분리대의 폭을 넓게만 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폭을 적게하고 차도면 보다 높게 분리대를 설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강성 콘크리트형 중앙분리대로서 안전성과 경제성을 대비하여 가장 무난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차량의 충돌시 전복 또는 비월의 경우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 그리고 이것의 재질이 너무 강성이기 때문에 충돌 차량의 피해가 클 뿐만이 아니고 1차 충돌에서 운전자가 의식을 잃으면서 차량의 제어가 불가능하게 되어서 뒤에서 주행하는 차량과 충돌하는 2차 사고를 유발시켜서 대형 인명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런 이유로 하여 콘크리트 중앙분리대는 과거에는 경사 변화점의 높이가 325mm인 뉴저지형이 많이 사용되고 있었지만 꾸준한 개발과 실험을 통하여 경사변화점의 높이가 250mm인 F형으로 바뀌어서 차량의 전복 사고를 줄이고 있지만 근본적인 문제점은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문제점 중에서 가장 큰 문제점은 이들 중앙분리대가 승용차를 기준으로 설계되었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하여 중차량에 충격을 받았을 때는 충분한 여유 보호 장치가 요구되지만 종래의 중앙분리대로서는 여유 보호 장치가 충분히 고려되지 않았다. 그렇다고 해서 중앙분리대를 중차량 위주로 설치한다고 하면 경제적으로 큰 부담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도로변의 산비탈 경사지의 강성 콘크리트 방호벽에는 차량 충돌에 의하여 여지껏 아무런 보호장치 또는 관련기술이 소개된 것이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 중앙분리대의 재질을 강성에서 탄성재질로 바꿈으로 해서 근본적으로 충격을 완화시키고자 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의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과 가장 경제적인 방법으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하고, 반사체를 부착하여 시인성을 좋게하여 안전운전을 도모하게 하고, 색상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게 하여 미관을 좋게 하였고, 재생원료를 사용하여 친환경적인 상품을 제공할 수 있는 부수적인 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 본 발명의 기술적과제이다. 그리고 본 기술은 산비탈 경사지의 콘크리트 방호벽에도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충돌시에 안전을 도모 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본 발명의 기술적과제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용 판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절취 단면도.
도 3는 충격 흡수부재가 공기인 A-A선 절취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30 : 완충 플레이트 32 : 굴곡부
33 : 완충부 34 : 요입부
35 : 완충 공간부 36 : 충격흡수부재
37 : 반사체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방호 충격흡수판은 중앙분리대 및 방호벽의 콘크리트 면에 볼트로 고정되어 차량과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플레이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 플레이트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만곡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굴곡부와; 상기 굴곡부가 연결되어 평탄면을 갖는 요입부와; 상기 굴곡부의 전방에 요철모양으로 돌출 성형되어 그 내부에 충격을 감쇄시키는 완충 공간부가 구비된 완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 공간부의 내부에는 충격흡수재가 내장되며, 상기 완충부의 전면과 요입부에 반사체가 부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방호 충격 흡수판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도 1 내지 도 2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하고, 각 도면에서 주 요소들의 연결, 결합, 고정을 위한 구성요소의 도시는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기본적으로 적용 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의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특히, 구성요소들 사이의 크기의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 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방호 충격 흡수판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 1의 A-A선 절취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방호 충격흡수판은 중앙분리대 및 경사지의 방호벽의 콘크리트 전면부에 밀착결합되어 차량과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플레이트(30)가 구비되며, 이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재활용 플라스틱 및 고무류 포함)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 플레이트(30)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만곡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굴곡부(32)와 상기 굴곡부(32)가 연결되어 평탄면을 갖는 요입부(34)와 상기 굴곡부(32)의 전방에 요철모양으로 반복적으로 돌출 성형되어 차량의 충격량을 흡수하여 감쇄시키는 완충부(32)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33)은 상기 굴곡부(32)의 전방으로 돌출성형되어 그 내부에는 차량과의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도록 완충 공간부(35)가 연속적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완충 공간부(35)의 내부에는 충격 흡수재(36)가 장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완충 공간부(35)는 폐쇄형으로 도시하였지만, 그 형태에 국한되지는 않을 것이다. 예컨대 사출공정 또는 2차 가공(공기)를 사용하거나, 모래, 물 등의 충격 흡수재를 충진하여 완충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완충부(33)는 상기 굴곡부(32)를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전면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완충부(33)의 구성은 내부에 완충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할 뿐 만이 아니라 겹치거나 말아서 운반하는 경우 상기 완충부(33)의 요철 모양이 서로 엇갈려 부피를 감소시키면서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창안 된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완충부(33)에서 요철 형상은 사각형태를 갖도록 하였지만 다른 형태의 요철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완충부(33)의 전면과 요입부(34)에는 반사체(Delineator)(37)가 부착되어 야간 및 우중의 운전시 차량운전자의 안전운행을 지원하도록 하고 있다.
도 3은 완충 공간부(35)가 공기로 채워져서 충격흡수부재(36)이 생략된 모양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실제 사출 성형에 있어서 금형제작이 보다 용이하게 될 것이고 그리고 2차 가공의 있어서 수작업과정이 한 단계 줄어들어서 제조경비 면에서 상당한 절감효과를 가져 올 수 있으며 도 2의 기능과 버금가는 효과를 가져오는구조이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방호 충격흡수판의 작용을 살펴본다.
만일 차량이 차량방호 충격흡수판에 충돌하면 이때 충격에너지는 완충 플레이트(30)을 통하여 흡수 및 감쇄된다. 그리고 완충 플레이트(30)의 굴곡부(32)에 형성된 완충부(33) 내의 완충 공간부(35)에 의해 충격에너지는 더욱 효과적으로 감쇄된다. 특히 상기 완충 공간부(35) 내에 모래, 물 등과 같은 충격흡수부재(36)가 충진된 경우에는 더욱 큰 감쇄효과를 얻게된다. 그리고 굴곡부(32)의 상부에 요철형상으로 돌출형성된 완충부(33)는 충돌차량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이 상부로 비월하는 것을 방지하며, 차량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더욱 감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완충부(33)의 전면과 요입부(34)에 설치된 반사체(37)는 도로의 환경(도로의 굴곡 등)을 지속적으로 지각할 수 있도록 운전자의 시각을 환기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완충 플레이트(30)는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바, 그 색상을 기능과 부합되도록 여러가지로 변환할 수 있으므로 경고를 위하여 황색 또는 적색 등으로 적용할 수도 있고, 주변환경과의 조화를 위하여 녹색 등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방호 충격흡수판은 도 1 및 도2 그리고 도3에서 도시된 형태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완충 플레이트(30)가 콘크리트 전면에 부착되는 형태를 보이고 있지만, 이 분야의 종사자는 다양한 형태(일례로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로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완충 플레이트(30)은 접착제에 의해 콘크리트에 부착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적용할 수 있는 체결구의 사용 또는 핀 형태의 사용도 당연히 고려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완충 플레이트(30)가 2개의 굴곡부(32)를 갖고 하나의 요입부(34)을 갖는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는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시공 사양에 따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방호 충격 흡수판은 콘크리트 중앙분리대 및 콘크리트 방호벽에 부착되어 강성 재질을 탄성재질로 바꾸어서 차량의 충돌시 순간적인 충격을 흡수하여 차량파손을 감소시킴으로 인하여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방호시설을 그대로 사용하고 보강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종래의 대상물을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면서 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충돌시 충돌차량의 미끄러짐 또는 비월 등에 의한 2차 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그리고 전면부에 반사체를 부착함으로서 운전자의 야간 및 우중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재질은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폐플라스틱류 및 폐고무류를 재활용 할 수 있다.
그리고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다양한 색상을 통하여 삭막한 콘크리트의 미관을 아름답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콘크리트 중앙분리대 및 콘크리트 방호벽의 벽면에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어 도로변 또는 중앙분리대에 설치되는 차량방호 충격흡수판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벽면의 일측면과 밀착결합되어 차량과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플레이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방호 충격흡수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플레이트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만곡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굴곡부와;
    상기 굴곡부가 연결되어 평탄면을 갖는 요입부와;
    상기 굴곡부의 전방에 요철모양으로 돌출 성형되어 그 내부에 충격을 감쇄시키는 완충 공간부가 구비된 완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방호 충격흡수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의 전면과 요입부에 반사체를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방호 충격흡수판.
KR1020030006474A 2003-01-30 2003-01-30 중앙분리대 및 방호벽의 차량방호 충격흡수판 KR200300199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6474A KR20030019928A (ko) 2003-01-30 2003-01-30 중앙분리대 및 방호벽의 차량방호 충격흡수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6474A KR20030019928A (ko) 2003-01-30 2003-01-30 중앙분리대 및 방호벽의 차량방호 충격흡수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3414U Division KR200313293Y1 (ko) 2003-02-05 2003-02-05 중앙분리대 및 방호벽의 차량방호 충격흡수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928A true KR20030019928A (ko) 2003-03-07

Family

ID=27730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6474A KR20030019928A (ko) 2003-01-30 2003-01-30 중앙분리대 및 방호벽의 차량방호 충격흡수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99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5646B1 (ko) 폐타이어를 재활용한 가드레일용 에어백형 완충부재
KR200313293Y1 (ko) 중앙분리대 및 방호벽의 차량방호 충격흡수판
KR101086826B1 (ko) 도로용 가드레일의 에어백 구조
KR20030019928A (ko) 중앙분리대 및 방호벽의 차량방호 충격흡수판
KR200321305Y1 (ko) 지하차도 입구용 충격흡수장치
KR100491508B1 (ko) 충격 흡수용 가이드 레일
KR200364642Y1 (ko) 충격흡수용 방호책
KR200151916Y1 (ko) 폐타이어 수납케이스
KR20090032901A (ko) 교량 방호벽용 안전블럭
KR200259614Y1 (ko) 다목적용 완충부재
EP3853416A1 (en) Protection device for guardrail
KR200255815Y1 (ko) 도로 터널입구용 방호벽
KR200293172Y1 (ko) 커브 도로구간 중앙분리대의 충격흡수시설
KR200180109Y1 (ko) 충격완화용 도로중앙분리대
KR102680376B1 (ko) 완충형 중앙분리대
KR200300036Y1 (ko) 충격 흡수용 가이드 레일
KR100583367B1 (ko) 충격 흡수형 도로 중앙 분리대
CN211420985U (zh) 一种公路桥梁防撞装置
KR200272026Y1 (ko) 급커브도로 지하차도 옹벽보호를 위한 충격흡수시설
KR200363977Y1 (ko) 도로 설치용 방호물
KR200277422Y1 (ko) 차량의 추돌용 완충구
KR20020082381A (ko) 다목적용 완충부재
KR100384679B1 (ko) 도로 방호물 장치
KR200184978Y1 (ko) 도로용 안전방호대
KR19980065285U (ko) 충격흡수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