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614Y1 - 다목적용 완충부재 - Google Patents

다목적용 완충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614Y1
KR200259614Y1 KR2020010017303U KR20010017303U KR200259614Y1 KR 200259614 Y1 KR200259614 Y1 KR 200259614Y1 KR 2020010017303 U KR2020010017303 U KR 2020010017303U KR 20010017303 U KR20010017303 U KR 20010017303U KR 200259614 Y1 KR200259614 Y1 KR 2002596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shock absorbing
present
vehicle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3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강주
최희숙
Original Assignee
공강주
최희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강주, 최희숙 filed Critical 공강주
Priority to KR20200100173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6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6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614Y1/ko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목적용 완충부재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공기역학적 특성을 이용한 탄력적인 완충기능과, 충돌방향에 따른 접촉각 유도기능으로서, 차량 충돌사고시 인명피해를 최소화되도록 함과 동시에, 방호벽 파손에 의한 차량 추락등 2차 사고의 발생을 예방되도록 한 다목적용 완충부재를 제공함에 있으며, 또한, 기존 방호벽뿐만 아니라 중앙분리대, 교량난간, 가드레일 등에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부재 구성으로서, 시공비용을 절감되도록 함과 동시에 차량충돌에 따른 방호벽 및 중앙분리대, 교량난간, 가드레일 등 손상시, 그 손상된 부위만을 선택적으로 교체 가능토록하여 유지관리의 편리성을 향상되도록 한 다목적용 완충부재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자체형상으로 인한 도로의 안전표식 기능과, 발광기능을 행하는 유도레일의 차량유도 기능으로서, 도로교통의 안전에 호환성을 줄 수 있도록 한 다목적용 완충부재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완충몸체 내부에 다수개로 구획된 밀폐공간 구조의 공기완충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완충몸체 외면 일측에 유도레일을 장착한 유도경사면을 형성토록하므로서 달성된다.

Description

다목적용 완충부재{Fender for protection wall}
본 고안은 다목적용 완충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를 주행중인 차량이 운전자의 조작 미숙 또는 돌발적 상황등에 의해 도로를 이탈하고자 할 경우, 이와같은 이탈되는 사고차량에 대해 용이한 완충 유도작용을 행하도록 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되도록 함은 물론 차량파손에 따른 물적피해를 최소화 되도록 한 다목적용 완충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고속주행이 이루어지는 자동차 전용도로(또는 고속도로)내지 교량등에는 도로안전을 위한 시설물로서, 방호벽, 중앙분리대, 교량난간, 가드레일 등이 설치되어지는 것인바, 이와같은 시설물들은 차량주행시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여 심리적 압박감을 해소되도록 함과 동시에, 주행차량의 충돌사고 발생시, 그 충돌차량에 대해 완충, 유도작용을 행하게 하므로서 차량의 물적피해를 최소화 함은 물론,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되도록 하여, 대형 교통참사를 예방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통상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종래의 시설물로써는, 강성방호책인 콘크리트 방호벽이 있으며, 또 다르게 금속 소재를 이용한 울타리(가드레일 및 중앙분리대, 교량난간 등)로서 강재 난간 및 알루미늄 난간등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시설물 등은 즉, 전자의 콘크리트 방호벽은 편리한 시공과, 저렴한 공사비로서 경제성 증대효과를 제공하는 것이기는 하나. 이와같은 콘크리트 방호벽은 단지 차량의 도로이탈방지 측면에 주안점을 두고 시공되는 것으로, 이에 그 구조물의 미관(시각적 효과)이 상대적으로 불량할수 밖에 없는 것이었을 뿐만 아니라, 또한 큰 강성을 갖는 구조물의 재질특성상 탄력적 완충기능은 제공하지 못하게 되므로, 차량충돌시 강한 충격력에 의해 심각한 인명피해를 초래하게 되는 등, 상당한 안전상의 문제점을 주는 것이었다.
한편, 후자의 경우 즉, 강재 난간 및 알루미늄 난간은, 그 재질 특성에 따라 미관의 우수성과 함께 유지관리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이기는 하나, 이와같은 강재 난간 및 알루미늄 난간은 고가(高價)의 소재 사용에 따른 과다한 공사비용의 소모로서 경제성 저하의 문제점을 주는 것이었을 뿐만 아니라, 차량충돌시 저항능력 한계로 인한 파손으로서, 차량을 도로로 부터 이탈되게 하거나, 혹은 그 도로가 교량일 경우에 있어서는, 차량의 추락사고를 유발되게 하는 등, 심각한 안전상의 문제점을 그대로 상존되게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도로용 방호벽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공기역학적 특성을 이용한 탄력적인 완충기능과, 충돌방향에 따른 접촉각 유도기능으로서, 차량 충돌사고 발생에 따른 인명피해를 최소화되도록 함과 동시에, 방호벽 파손에 의한 차량 추락등 2차 사고의 발생을 예방되도록 한 다목적용 완충부재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기존 방호벽에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부재 구성으로서, 시공비용을 절감되도록 함과 동시에 차량충돌에 따른 방호벽 손상시, 그 손상된 부위만을 선택적으로 교체 가능토록하여 유지관리의 편리성을 향상되도록 한 다목적용 완충부재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자체형상으로 인한 도로의 안전표식 기능과, 발광기능을 행하는 유도레일의 차량유도 기능으로서, 도로교통의 안전에 호환성을 줄 수 있도록 한 다목적용 완충부재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완충몸체 내부에 다수개로 구획된 밀폐공간 구조의 공기완충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완충몸체 외면 일측에 유도레일을 장착한 유도경사면을 형성토록하므로서 달성된다.
또한, 내부에 다수개로 구획된 밀폐공간 구조를 형성한 공기완충부 또는 발포고무가 충진되며, 전면에 가로로 긴 유도레일이 형성되고, 후면에 등간격으로 임펙트바가 형성된 제 1완충몸체와, 상기 제 1완충몸체와 동일 구조를 갖는 여러개의 완충몸체가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 1완충몸체와 다음 완충몸체(10), 이 완충몸체와 그 다음 완충몸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과, 상기 연결수단을 지주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은 지주에 고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용 완충부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용 완충부재의 내부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용 완충부재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용 완충부재의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용 완충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도 6은 본 고안 다목적용 완충부재를 이용하여 가드레일로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측면도
도 7는 본 고안 다목적용 완충부재를 이용하여 가드레일로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정면도
도 8는 본 고안 다목적용 완충부재를 이용하여 가드레일로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 다목적 완충부재를 이용하여 교량난간으로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도
도 10a 또는 10b는 본 고안 다목적 완충부재를 이용하여 중앙분리대로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도
도 11a 내지 도 13b는 본 고안 다목적 완충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여러 고정수단을 나타낸 도
< 도면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다목적용 완충부재 3 : 지주
10 : 완충몸체 11 : 공기완충부
12 : 유도경사면 13 : 체결공
20 : 유도레일 30 : 발포고무
40 : 임펙트바 50 : 연결부재
60 : 고정부재 70 : 차광부재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들 및 타의 목적들, 특징, 그리고 구조상의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고안의 상세하고 바람직한 실시 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용 완충부재(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용 완충부재의 내부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용 완충부재의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본 고안 다목적용 완충부재(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형체를 이루는 완충몸체(10)에 공기완충부(11)와, 유도경사면(12)을 일체화 구조로 형성시키므로서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완충몸체(10)는 자체적 재질특성에 따라 탄력작용을 행하는 소재, 즉 고무와 같은 합성수지재를 몰딩성형하여 구성하는 것인바, 이와같은 완충몸체(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도형체구조로서, 그 정면부에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배열 구조를 이루는 수평통공 구조의 체결공(13)을 구비되도록 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완충부(11)는 전술한 완충몸체(10) 내부에 밀폐된 소정의 공간구조로 형성되는 것인바, 이와같은 공기완충부(11)는 도 2로 도시된 바와같이 직사각 도형체를 이루는 격리구조로서, 다수개로 구획,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도경사면(12)은 상기 완충몸체(10)의 외면 일측에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소정의 경사구조로 형성되어지는 것인바. 이와같은 유도경사면(12)은 0°~ 20°의 범위의 경사각으로 하여, 그 유도경사면(12) 전면 길이방향에 도 1로 도시된 바와같이 다단배열구조를 이루는 복수개의 유도레일(20)을 매설 장착토록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도레일(20)은 강성을 갖는 금속소재로서, 그 외관을 발광도료등과 같은 야광물질을 도포 코팅처리하여 야간에 차량의 불빛을 받아 반사되도록 함으로서, 운전자에게 항상 주의를 줄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다목적용 완충부재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의 합성수지를 몰딩성형하므로서, 완충몸체(10)와, 공기완충부(11)와, 유도경사면(12)과, 유도레일(20)을 일체화된 단일구조로 형성하게 되는 것인 바. 이와같은 형성 구조로 이루어진 다목적용 완충부재의 사용관계 및 그에 따른 상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용 완충부재(1)는 콘크리트와 같은 기존의 방호벽(2)을 이용,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탈,부착 설치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인바, 이에,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용 완충부재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하나의 구조물로 형성된 방호벽(2) 일측면에 완충몸체(10)를 밀착시킨 상태 하에서 다수개의 체결공(13)을 통해 체결수단(앵커볼트등)(B)을 삽입, 방호벽(2)과 일체화 된 결합구조로 구성되게 하므로서, 그 설치관계를 마무리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설치 관계를 갖는 다목적용 완충부재는, 차량충돌시 완충몸체(10)의 재질특성에 따른 탄성작용과 공기완충부(11)의 완충작용에 의해 차량의 충돌충격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행하게 되는 것이며, 또 다르게 상기 유도경사면(12)과 유도레일(20)은 차량 충돌에 따른 경사 유도작용으로서, 접촉각 방향으로 충돌차량을 미끄럼 유도되게 하여 차량의 파손을 최소화 하는 기능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때, 상기 유도레일(20)은 충돌차량의 접촉각 유도기능 뿐만 아니라, 야광물질 코팅에 따른 발광기능으로서, 야간주행시 차량의 주행유도작용 또한 병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용 완충부재의 다른 실시예도로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명칭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일 실시예로 구성된 완충몸체(10)에 있어서, 구획된 밀폐 공간구조를 이루는 공기완충부(11)의 내부에 발포고무(30)를 충진토록하여 구성한 것인 바, 이에 공기완충부(11)내로 충진되는 상기 발포고무(30)는 재질특성에 따른 탄력적 완충작용에 의해, 차량충돌시 발생할수 있는 상기 일실시예로서의 공기완충부(11) 파열을 예방하며 부가된 충격흡수 기능을 행하게 되는 것으로,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5 내지 도 13b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용 완충부재(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로서, 본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명칭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또는 도 6은 본 고안 다목적용 완충부재(1)를 가드레일로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도로써, 내부에 다수개로 구획된 밀폐공간 구조를 형성한 공기완충부(11)와, 전면에 가로로 긴 유도레일(20)이 형성되며, 후면에 등간격으로 임펙트바(40)가 형성된 제 1완충몸체(10')와, 상기 제 1완충몸체(10')와 동일 구조를 갖는 여러개의 완충몸체(10)(10n)가 설치되고, 상기 제 1완충몸체(10')와 여러개의 완충몸체 즉 제1완충몸체(10')와 다음 완충몸체(10)(이하부터 편의상 제2, 제3완충몸체라 칭함), 제 2완충몸체(10)와 제 3완충몸체(10')....등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50)과, 상기 연결수단(50)은 지주(3)에 고정수단(60)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다목적용 완충부재(1)는 도 5와 같이, 대략 2m 혹은 4m 씩 절단하여 사출할 수가 있다.
상기 임펙트바(40)는 도 5 또는 도 8의 요부확대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강선 또는 강봉으로 하여 강도와 탄력성을 유지토록 함으로서, 완충몸체(10) 전체의 충격을 흡수, 완화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50)은 임펙트바(40)가 강봉의 경우 도 8의 요부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펙트바(40)의 양단에 형성되는 수나사부(51)와, 이 수나수부(51)가 나사맞춤되기 위한 암나사(52)가 형성된 연결몸체(53)와 고정수단(60)에 의해 지주(3)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54)로 구성된다.
도 9는 본 고안 다목적 완충부재(1)를 이용하여 교량난간으로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도이고,
도 10a 또는 10b는 본 고안 다목적 완충부재(1)를 이용하여 중앙분리대로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도이다.
상기 중앙분리대로 이용할 경우, 완충부재(10')의 하부에 고무재질 혹은 합성수지재를 갖는 차광부재(70)를 설치하여 고속도로 혹은 일반도로에서 서로 대향되게 오는 차량의 불빛을 차단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였으며, 지주(3) 상단에 광고판겸용 차단판(71)을 설치하여 역시 운전자의 시야를 보호함과 아울러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1a 내지 도 13b는 본 고안 고정수단(60)을 여러 방법으로 나타낸 도로써, 도 11a 및 도 11b는 연결수단(50)의 연결부(54)에 체결수단(62) 즉, 보울트 및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지주연결밴드(61)와, 이 지주연결밴드(61)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고정밴드(63)로 구성되며, 상기 위치고정밴드(63)는 고정핀 또는 고정보울트(66)에 의해 지주(3)에 고정되도록 한 구성을 나타내고, 도 12a 및 도 12b는 도 11a 및 도 11b와 동일 한 구성으로 다만 설치요건에 따라 연결부(54)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제작하여 설치하는 방법의 차이가 있으며, 또 도 13a 및 도 13b는 연결몸체(53)에 연결부재(65)를 평면에서 보아 대략 '∏'형상으로 일체 또는단독으로 형성하는 한편, 상기 연결수단(50)과 지주(3)에 구멍을 형성하여 체결볼트(66)를 삽입하여 방호부재(10')(10')를 고정하였다.
상기 본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서의 완충몸체는 폐타이어를 이용함으로서, 산업폐기물인 폐타이어 활용방안의 선택폭을 더한 층 높일 수가 있다.
또한, 상기 폐타이어 가공시 그 지방의 특색이 있는 향토색 즉, 지방색이 노랑이면 노란색 안료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가 있으며, 또 방호벽몸체(10')에 여러가지 그림 등을 그리거나 문화 흥보물등 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50)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지주(3)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이면 어떠한 방법이라도 가능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용 완충부재는 공기역학적 특성을 이용한 공기완충부의 탄력적 완충기능과, 충돌방향에 따른 경사유도면의 접촉각 유도기능으로서, 차량 충돌사고시 인명피해를 최소화 되도록 한 것일 뿐만 아니라, 기존 방호벽에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부재 구성으로서, 시공비용을 절감되도록 하고, 또한 차량충돌에 따른 방호벽 손상시, 그 손상된 부위만을 선택적으로 교체 가능토록하여 유지관리의 편리성을 향상되도록 한 것이며, 또 다르게 발광기능을 행하는 유도레일의 차량유도 기능으로서, 도로교통의 안전에 호환성을 줄수 있도록 한 것으로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내부에 다수개로 구획된 밀폐공간 구조를 형성한 공기완충부(11) 또는 발포고무가 충진되며, 전면에 가로로 긴 유도레일(20)이 형성되고, 후면에 등간격으로 임펙트바(40)가 형성된 제 1완충몸체(10')와, 상기 제 1완충몸체(10')와 동일 구조를 갖는 여러개의 완충몸체(10),..(10n)가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 1완충몸체(10')와 다음 완충몸체(10), 이 완충몸체(10)와 그 다음 완충몸체(1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50)과, 상기 연결수단(50)을 지주(3)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60)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완충부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벽완충부재는 교량난간, 가드레일, 중앙분리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완충부재.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완충몸체 내지 여러개의 완충몸체(10'),(10n) 하부에 차광용부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완충부재.
KR2020010017303U 2001-06-11 2001-06-11 다목적용 완충부재 KR2002596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303U KR200259614Y1 (ko) 2001-06-11 2001-06-11 다목적용 완충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303U KR200259614Y1 (ko) 2001-06-11 2001-06-11 다목적용 완충부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2480A Division KR20020082381A (ko) 2001-04-19 2001-06-11 다목적용 완충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614Y1 true KR200259614Y1 (ko) 2002-01-05

Family

ID=73103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303U KR200259614Y1 (ko) 2001-06-11 2001-06-11 다목적용 완충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6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508B1 (ko) * 2002-09-30 2005-05-30 김봉환 충격 흡수용 가이드 레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508B1 (ko) * 2002-09-30 2005-05-30 김봉환 충격 흡수용 가이드 레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2212B1 (ko) 충격흡수 중앙분리대
KR200403458Y1 (ko) 충격흡수 중앙분리대
KR100969810B1 (ko) 트러스 구조의 완충부를 구비한 차량안전 방호책
KR101523254B1 (ko) 안전지주를 가지는 방호울타리
KR200259614Y1 (ko) 다목적용 완충부재
KR101507481B1 (ko) 충격흡수용 도로 방호대
KR20020082381A (ko) 다목적용 완충부재
KR101280769B1 (ko) 가드레일 보호장치
KR100769270B1 (ko) 완충용 가드레일
CN211200191U (zh) 一种高速公路便利型防护装置
KR102185578B1 (ko) 가드레일에 대한 충격흡수 및 승월방지를 위한 가드레일 보강구조
KR100377803B1 (ko) 차량 통행 규제기구
CN210031622U (zh) 夜光防撞道路护栏
CN209760104U (zh) 一种改良的防车撞套箱
KR20050113352A (ko) 가드레일의 충격완충장치
KR200289967Y1 (ko) 교량 중앙 분리대용 충격흡수 안전장치
KR100549164B1 (ko) 도로의 내리막길 설치용 충격흡수대
KR200207038Y1 (ko) 충격완화용 중앙분리대
KR20070122087A (ko) 도로 설치용 완충장치
KR200316363Y1 (ko) 가드레일용 충격완충장치
KR200359999Y1 (ko) 가드레일의 충격완충장치
KR200184682Y1 (ko) 차량 통행 규제기구
KR101192588B1 (ko) 충격흡수가드레일
KR200364642Y1 (ko) 충격흡수용 방호책
CN211646156U (zh) 一种能够缓冲吸能的交通护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