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9673A - 음성 다이얼링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성 다이얼링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9673A
KR20030019673A KR1020010052546A KR20010052546A KR20030019673A KR 20030019673 A KR20030019673 A KR 20030019673A KR 1020010052546 A KR1020010052546 A KR 1020010052546A KR 20010052546 A KR20010052546 A KR 20010052546A KR 20030019673 A KR20030019673 A KR 20030019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data
voice dialing
telephone number
process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2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9640B1 (ko
Inventor
윤대균
Original Assignee
윤대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대균 filed Critical 윤대균
Priority to KR10-2001-0052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9640B1/ko
Publication of KR20030019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9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6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04Arrangements at the exchange for service or number selection by vo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1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controlled by voic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다이얼링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련되며, 좀 더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해당 추출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음성 다이얼링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련된다.
본 발명은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이 교환기와 연결되어 교환기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토대로 상호 연결된 음성 인식수단으로 텍스트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수신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토대로 상호 연결된 개인정보 관리서버로 전화번호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수신되는 전화번호 데이터를 상기 교환기로 출력하는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과; 상기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과 연결되어 음성신호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 인식수단과;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별 개인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상기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과 연결되어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전화번호 데이터 요청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를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으로 출력하는 개인정보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성 다이얼링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providing dialing service by voice and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음성 다이얼링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련되며, 좀 더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해당 추출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음성 다이얼링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련된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급증하면서 다이얼링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를 편리하게 사용하는 기능 중 전화번호를 저장하여 사용하는 기능이 있다. 이러한 전화번호 저장 기능을 이용하여 음성으로 다이얼링 하는 종래 기술이 있었다.
종래 기술은 전화번호가 저장된 메모리에 메모리별로 사용자의 음성을 미리 녹음해 두고,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면 해당 음성이 녹음된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이동 통신 단말기라는 제한된 장치에서 음성 인식기술이 한계가 있어 음성 인식률이 저조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음성인식을 수행하기 위한 음성패턴의 저장을 위한 공간의 제한에 따라 충분한 음성인식과 관련된 데이터의 저장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수의 전화번호별로 직접 사용자가 음성 인식에 사용할 자신의 음성을 일일이 미리 녹음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이얼링을 원하는 전화번호로 음성을 통하여 다이얼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전화번호 중 해당 전화번호의 메모리에 기 녹음된 자신의 음성을 기억하고 그것과 동일한 음성을 입력하여야 하므로 다이얼링 성공률이 저조한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은 하나의 전화번호에 하나의 다이얼링 음성이 대응되므로 전화번호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 특정인에 대해 집 전화번호, 사무실 전화번호, 이동 통신 단말기 번호 등 다수개의 전화번호가 존재하는 경우, 종래 기술로는 각각의 전화번호별로 음성을 미리 녹음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은 기 저장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기 녹음된 음성을 입력하여 해당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내용이므로, 사용자가 직접 전화번호를 음성으로 입력하여 해당 전화번호를 입력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들은 다수의 전화번호를 메모리에 저장해 두고 이름이나 메모리 번지수를 이용하여 원하는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사용할 수 있다. 메모리에는 수 백 개에 달하는 전화번호를 저장할 수 있으며 수많은 전화번호 중 자신이 다이얼링을 원하는 전화번호를 찾는 것에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전화번호 중에서 사용자가 다이얼링을 원하는 전화번호를 빠르고 간편하게 검색하여 다이얼링을 수행할 수 있는 수단이 요청되고 있다.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운전 중이거나 다른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의 안전과 동시 작업의 필요에 따라 전술한 수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의 음성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원하는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음성 다이얼링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의 개인정보 관리서버와 사용자의 컴퓨터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개인정보를 동기화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음성 다이얼링 서비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성신호에 따라 해당 음성신호와 관련된 다수의 전화번호를 검색할 수 있는 전화번호부 기능을 포함하며 원하는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다이얼링할 수 있는 음성 다이얼링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화자 독립적인 음성 인식을 수행하여 사용자에 상관없이 음성 다이얼링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전화번호를 음성으로 입력하여 음성입력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할 수 있는 음성 다이얼링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음성을 통하여 다이얼링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다이얼링과 동시에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음성 다이얼링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를 도시한 것.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성 다이얼링 서비스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 것.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데이터 선택 및 확인과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 것.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이동 통신 단말기 20 : 교환기
30 : 음성 인식수단 40 :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
41 : 식별정보 처리부 42 : 텍스트 데이터 분석부
43 : 전화번호 데이터 생성부 44 : 질의신호 생성부
45 : 전화번호 확인부 46 : 전화번호 선택부
50 : 개인정보 관리서버 51 : 개인정보 동기화수단
60 : 클라이언트 컴퓨터 70 : 클라이언트 이동 통신 단말기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교환기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신호에 따라 음성신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이:
상기 교환기와 연결되어 교환기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토대로 상호 연결된 음성 인식수단으로 텍스트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수신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토대로 상호 연결된 개인정보 관리서버로 전화번호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수신되는 전화번호 데이터를 상기 교환기로 출력하는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과; 상기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과 연결되어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으로 출력하는 음성 인식수단과;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별 개인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상기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과 연결되어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전화번호 데이터 요청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를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으로 출력하는 개인정보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개인정보 관리서버가 사용자에 대한 개인정보의 변경이 있는 경우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컴퓨터 또는 클라이언트 이동 통신 단말기와 상호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동기화하는 개인정보 동기화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이 상기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에 접속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번호를 토대로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조회하고 이를 상기 전화번호 데이터 요청에 부가하여 해당 요청에 대한 사용자를 식별하도록 처리하는 식별정보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이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개인정보 관리서버로 전화번호 데이터의 요청시 필요한 질의신호를 발생하는 질의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질의신호 생성부가 상기 텍스트 데이터가 구분자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구분자를 인식하여 구분자에 의해 구분되는 텍스트 데이터별로 각각 대응하는 질의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이 상기 텍스트 데이터가 숫자에 대한 데이터인지 문자에 대한 데이터인지를 분석하여 해당 텍스트 데이터가 문자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해당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질의신호 생성부로 출력하고, 해당 텍스트 데이터가 숫자에 대한 데이터로만 구성된 경우 해당 텍스트 데이터를 전화번호 데이터 생성부로 출력하는 텍스트 데이터 분석부와; 상기 텍스트 데이터 분석부로부터 입력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토대로 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전화번호 데이터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이 상기 전화번호 데이터를 토대로 확인 안내 음성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교환기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출력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교환기를 통해 입력되는 확인 음성데이터에 따라 해당 전화번호 데이터를 확인 처리하는 전화번호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이 상기 개인정보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전화번호 데이터가 복수개인 경우 선택을 요청하는 선택 안내 음성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교환기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출력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교환기를 통해 입력되는 선택 음성데이터에 따라 복수개의 전화번호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 처리하는 전화번호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수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 교환기를 통해 연결되고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 음성 인식수단, 개인정보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에서 실행 가능한 음성 다이얼링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성 다이얼링 서비스 방법이:
상기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번호를 토대로 해당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조회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인식수단이 상기 교환기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이 상기 식별정보 및 텍스트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개인정보 관리서버로 전화번호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개인정보 관리서버가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전화번호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상기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이 상기 전화번호 데이터를 상기 교환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음성 다이얼링 서비스 방법이 상기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이 상기 텍스트 데이터가 문자에 대한 데이터인지 숫자에 대한 데이터인지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이 상기 텍스트 데이터가 숫자에 대한 데이터인 경우 해당 텍스트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교환기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음성 다이얼링 서비스 방법이 상기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이 상기 전화번호 데이터를 토대로 확인 안내 음성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교환기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출력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교환기를 통해 입력되는 확인 음성데이터에 따라 해당 전화번호 데이터를 확인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이 상기 전화번호 데이터가 복수개인 경우 선택을 요청하는 선택 한내 음성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교환기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출력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교환기를 통해 입력되는 선택 음성데이터에 따라 복수개의 전화번호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음성 다이얼링 서비스 방법이 상기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이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개인정보 관리서버로 전화번호 데이터의 요청시 필요한 질의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이 상기 텍스트 데이터가 구분자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구분자를 인식하여 구분자에 의해 구분되는 텍스트 데이터별로 각각 대응하는 질의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당업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교환기(20)와 연결되는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과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에 각각 연결되는 음성 인식수단(30), 개인정보 관리서버(50)를 포함할 수 있다.
교환기(2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와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을 연결 중계하는 수단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화 중계기 또는 교환기(20)가 사용될 수 있다. 교환기(20)는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하여 해당 전화번호를 요청한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0)와 연결하는 수단이다. 해당 전화번호에 따라 연결에 사용되는 네트워크는 유, 무선 네트워크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은 이동 통신 단말기(10)와 개인정보관리서버(50)간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하는 수단으로 교환기(20), 음성 인식수단(30), 개인정보 관리서버(50)와 연결된다.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은 식별정보 처리부(41), 텍스트 데이터 분석부(42), 전화번호 데이터 생성부(43), 질의신호 생성부(44), 전화번호 확인부(45), 전화번호 선택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은 교환기(20)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로부터 음성신호를 입력받는다.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은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에 접속한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발신번호를 조회하여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은 이동 통신 단말기(10)로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직접 입력하도록 요청하여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은 입력된 음성신호를 음성 인식수단(30)으로 전달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을 요청한다.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은 음성 인식수단(30)로부터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면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은 이를 토대로 개인정보 관리서버(50)로 해당 텍스트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데이터를 요청한다.
개인정보 관리서버(50)에서 추출된 전화번호 데이터를 수신하면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은 이를 교환기(20)로 출력하여 전술한 음성신호를 입력한 이동 통신 단말기(10)와 해당 전화번호를 연결하도록 처리한다.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은 수신된 전화번호 데이터를 교환기(20)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전화번호를 확인할 수도 있으며, 수신되는 전화번호 데이터가 복수개인 경우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연결을 원하는 전화번호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식별정보 처리부(41)는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에 접속한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발신번호를 조회하여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사용자에 대한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수단이다. 전술한 식별정보는 전술한 전화번호 데이터의 요청에 부가하여 개인정보 관리서버(50)로 전송될 수 있다. 개인정보 관리서버(50)에서는 식별정보를 토대로 전화번호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텍스트 데이터 분석부(42)는 음성 인식수단(30)으로부터 입력되는 텍스트 데이터가 숫자에 대한 데이터인지 문자에 대한 데이터인지를 분석하는 수단이다. 텍스트 데이터 분석부(42)는 해당 텍스트 데이터가 문자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해당 텍스트 데이터를 질의신호 생성부(44)로 전달하고, 해당 텍스트 데이터가 숫자에 대한 데이터로만 구성된 경우에는 해당 텍스트 데이터를 전화번호 데이터 생성부(43)로 전달한다.
전화번호 데이터 생성부(43)는 전술한 텍스트 데이터 분석부(42)로부터 입력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토대로 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수단이다. 생성된 전화번호 데이터는 개인정보 관리서버(50)로부터 입력받은 전화번호 데이터와 동일한 처리과정을 통해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의신호 생성부(44)는 음성 인식수단(30)으로부터 입력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토대로 전술한 개인정보 관리서버(50)로 전화번호 데이터를 요청하는 질의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이다. 질의신호 생성부(44)는 텍스트 데이터가 구분자를 포함하는 경우 이를 인식하여 구분자에 의해 구분되는 텍스트 데이터별로 각각 대응하는 질의신호를 다수개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분자라고 하는 것은 사용자가 다수의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각각의 음성신호를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음성에 대한 텍스트 데이터를 지칭하는 것이다. 기 설정된 구분자에 대한 음성이 "그리고" 라고 한다면 사용자는 다수개의 음성신호를 해당 구분자에 대한 음성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 홍길동 그리고 분당 그리고 사무실" 이라는 음성신호를 입력하면 텍스트 데이터는 "그리고" 에 해당하는 음성신호를 구분자로 인식할 수 있다.
전화번호 확인부(45)는 전술한 개인정보 관리서버(50)로부터 수신되는 전화번호 데이터를 토대로 확인 안내 음성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교환기(20)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하는 수단이다. 전화번호 확인부(45)는 상기 교환기(20)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확인 음성데이터에 따라 해당 전화번호 데이터를 확인한다.
전화번호 선택부(46)는 전술한 개인정보 관리서버(50)로부터 수신되는 전화번호 데이터가 복수개인 경우에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선택 안내 음성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교환기(20)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하는 수단이다. 전화번호 선택부(46)는 상기 교환기(20)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선택 음성데이터에 따라 전술한 복수개의 전화번호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화번호 데이터가 복수개인 경우는 해당 텍스트데이터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복수개인 경우와 해당 텍스트 데이터에 포함되는 전화번호가 복수개인 경우로 크게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홍길동" 이라는 텍스트 데이터에 대하여, "홍길동" 이라는 사람이 여러사람이고 그에 대한 전화번호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가 있으며, "홍길동" 이라는 사람은 한 사람이지만 그의 집 전화번호, 사무실 전화번호, 이동 통신 단말기 번호 등 그에 관련된 전화번호 데이터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전술한 두 가지 경우 모두 전화번호 선택부(46)를 통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로부터 선택 음성을 입력받아 선택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상에 따르면, 전술한 두 가지 경우가 모두 발생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텍스트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복수개인 경우에 대하여 먼저 선택 처리하고, 텍스트 데이터에 포함되는 전화번호가 복수개인 경우를 나중에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상에 따르면, 전술한 전화번호 확인부(45) 또는 전화번호 선택부(46)는 상기 교환기(20)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0)로부터 입력되는 확인 음성데이터 또는 선택 음성데이터를 전술한 음성 인식수단(30)으로 전달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입력받아 확인 또는 선택 과정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성 인식수단(30)은 전술한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여 이를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으로 출력하는 수단이다. 음성 인식수단(3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음성 인식 엔진이 사용될 수 있으며, 화자독립 음성인식을 처리할 수 있는 음성 인식 엔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인정보 관리서버(50)는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다양한 개인정보를 사용자별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수단이다. 개인정보 관리서버(50)는 다수의 사용자별로 해당 사용자의 전화번호 데이터를 각각 텍스트 데이터와 대응되도록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인정보 관리서버(50)는 전술한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과 원거리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네트워크를 통하여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과 연결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상에 따르면, 전술한 개인정보 관리서버(50)는 그룹을 나누어 다양한 분류로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저장하여 전화번호부 기능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홍길동" 이라는 텍스트 데이터에는 홍길동이라는 사람의 집 전화번호, 사무실 전화번호, 이동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개인정보 관리서버(50)는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으로부터 전화번호 데이터를 요청하는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데이터를 추출하여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으로 출력한다.
개인정보 관리서버(50)는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으로부터 전술한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질의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토대로 전화번호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개인정보 관리서버(50)는 입력되는 질의신호가 다수개인 경우에는 해당 질의신호를 모두 만족하는 전화번호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홍길동", "분당", "사무실" 이라는 세 개의 질의신호가 입력되면 세 개의 질의신호를 모두 충족하는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 개의 질의신호를 모두 충족하는 전화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입력순서 또는 임의로 설정된 순서대로 검색되는 전화번호를 모두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으로 출력할 수 있다.
개인정보 관리화수단(51)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컴퓨터(60) 또는 클라이언트 이동 통신 단말기(70)와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동기화하는 수단이다. 전술한 클라이언트 컴퓨터(60) 또는 클라이언트 이동 통신 단말기(70)는 각각 개인정보 관리화수단(51)과 통신을 수행하며 각각 개인정보를 동기화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변경되는 경우에 개인정보 관리화수단(51)은 해당 변경정보를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변경된 클라이언트 컴퓨터(60) 또는 클라이언트 이동 통신 단말기(70)로부터 수신한다. 개인정보 관리화수단(51)은 개인정보 관리서버(50)에 저장된 해당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변경하고, 해당 사용자와 관련된 개인정보가 아직 변경되지 않은 클라이언트 컴퓨터(60) 또는 클라이언트 이동 통신 단말기(70)의 해당 변경정보를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사용을 사용자의 입장에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분당" 에 "사무실"을 가지고 있는 "홍길동"이라는 사람에게 전화를 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에 이동 통신 단말기(10)로 다이얼링하여 접속한다.
안내멘트에 따라 원하는 전화번호를 찾기 위해 음성신호를 입력한다. 먼저하나의 음성을 입력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홍길동"이라는 음성을 입력한다.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은 전술한 처리과정에 따라 홍길동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해당 전화번호로 다이얼링하여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0)와 연결한다.
추출한 전화번호가 원하는 전화번호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은 추출된 전화번호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확인을 요청하고, 사용자는 확인 음성을 입력하여 전화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추출한 전화번호가 복수개인 경우에는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은 복수개의 전화번호를 그에 대응하는 텍스트 데이터에 따라 음성데이터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선택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가 "홍길동 그리고 사무실 그리고 분당" 이라는 음성을 입력하면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은 구분자로 사용된 "그리고" 로 구분된 세 개의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전화번호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하나의 음성신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데이터가 다수개 존재하는 경우에는 다수개의 음성을 입력하여 전화번호 추출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의 개인정보, 즉 사용자가 저장한 전화번호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관리화수단(51)을 통해 개인정보가 동기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신의 컴퓨터에 있는 주소록에서 "홍길동" 이라는 사람의 전화번호를 변경하면 네트워크로 연결된 개인정보 관리화수단(51)으로 해당 변경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개인정보 관리화수단(51)은 개인정보 관리서버(50)의 해당 사용자에 대한 개인정보를 변경하고, 아직 개인정보가 변경되지 않은 해당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컴퓨터(60) 또는 클라이언트 이동 통신 단말기(70) 등으로 해당 변경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성 다이얼링 서비스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사용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에 접속한다(S10).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은 고유의 접속 전화번호를 가지고 있으며 현재 상용중인 자동응답 시스템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10)로부터의 접속 요청에 따라 교환기(20)는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의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으로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10)를 연결시킨다.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은 접속한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발신정보를 검색하여 접속한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조회한다(S11).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은 사용자로 하여금 식별정보를 입력하도록 요청하여 식별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다이얼링을 원하는 전화번호를 추출하기 위하여 다이얼링을 희망하는 전화번호와 관련된 음성신호를 입력한다(S12).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은 접속한 사용자에게 음성을 입력하라는 안내 음성멘트를 제공하여 음성신호의 입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은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음성신호를 연결된 음성인식수단(30)으로 전달한다. 음성 인식수단(30)은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한다(S13). 음성 인식수단(30)은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으로 전달한다.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은 음성 인식수단(30)으로부터 입력되는 텍스트 데이터가 문자에 대한 데이터인지 숫자에 대한 데이터인지를 분석한다(S14).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은 텍스트 데이터의 분석 결과 해당 텍스트 데이터가 숫자에 대한 데이터로만 구성된 경우에는 해당 텍스트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데이터를 생성한다(S18).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은 생성된 전화번호 데이터를 연결된 교환기(20)로 출력하여 해당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하도록 처리한다(S19). 교환기(20)는 해당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하여 다이얼링을 요청한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0)와 연결시킨다.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은 텍스트 데이터의 분석 결과 해당 텍스트 데이터가 문자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해당 텍스트 데이터를 토대로 전술한 개인정보 관리서버(50)로 전화번호 데이터를 요청하는 질의신호를 생성한다(S1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상에 따르면,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은 텍스트 데이터가 구분자에 의해 다수의 텍스트 데이터로 구분되는 경우 각각의 텍스트 데이터별로 대응하는 다수의 질의신호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은 연결된 전술한 질의신호를 개인정보관리서버(50)로 전송하여 전화번호 데이터를 요청한다(S16).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은 전화번호 데이터의 요청시 전술한 단계에서 조회한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요청에 부가하여 개인정보 관리서버(50)로 전화번호를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인정보 관리서버(50)는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으로부터 입력되는 전화번호 데이터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텍스트 데이터를 토대로 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데이터를 추출한다.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은 개인정보 관리서버(50)로부터 추출된 전화번호 데이터를 수신한다(S17).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은 개인정보 관리서버(50)로부터 전달되는 전화번호 데이터를 연결된 교환기(20)로 출력하여 해당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하도록 처리한다(S19). 교환기(20)는 해당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하여 다이얼링을 요청한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0)와 연결시킨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데이터 확인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설명은 개인정보 관리서버(50)에서 조회하여 추출한 전화번호 데이터를 확인하거나, 전화번호 데이터가 복수개인 경우에 대한 설명이므로 개인정보 관리서버(50)에서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과정의 이전 단계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과정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은 전술한 개인정보 관리서버(50)로부터 전화번호 데이터를 수신한다(S20). 전화번호 데이터가 전술한 전화번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것인 경우에도 개인정보 관리서버(50)로부터 수신한 전화번호 데이터와 동일하게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은 수신한 전화번호 데이터의 개수를 판단한다(S21).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은 전화번호 데이터가 복수개인 경우, 해당 복수개의 전화번호 데이터에 관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을 요청하는 선택 안내 음성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교환기(20)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0)로 출력한다(S22).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상에 따르면,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은 복수개의 전화번호 데이터에 대하여 전화번호 데이터와 관련된 텍스트 데이터를 토대로 전화번호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는 선택 안내 음성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선택하는 음성을 입력하면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은 교환기(20)를 통해 이를 입력받고 복수개의 전화번호 데이터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전화번호를 선택 처리한다(S23).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상에 따르면,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은 사용자가 입력한 선택 음성을 연결된 음성 인식수단(30)을 통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변한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인식할 수 있다.
전술한 단계에 따라 복수개의 전화번호 데이터 중 하나의 전화번호 데이터가 선택되거나 개인정보 관리서버(50)로부터 수신한 전화번호 데이터가 하나인 경우에는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은 사용자로 하여금 추출된 전화번호가 맞는지를 확인 요청하는 확인 안내 음성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교환기(20)를 통해 이동 통신단말기(10)로 출력한다(S24).
사용자가 확인 음성을 입력하면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은 교환기(20)를 통해 이를 입력받을 수 있다(S25).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은 입력되는 확인 음성을 토대로 전화번호가 올바르게 추출된 것인지를 확인한다(S26).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상에 따르면,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은 사용자가 입력한 확인 음성을 연결된 음성 인식수단(30)을 통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변한하여 사용자의 전화번호 확인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상에 따르면,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은 추출된 전화번호 데이터가 올바르지 않다고 확인된 경우에는 안내멘트를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음성신호를 재 입력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40)은 전화번호 데이터가 올바르게 추출된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전화번호 데이터를 연결된 교환기(20)로 출력하여 해당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와 연결되도록 처리한다(S27).
전술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의 음성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원하는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사용자가 음성을 통하여 다이얼링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다양한 동시 작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과 사용자의 컴퓨터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개인정보를 동기화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사용하는 통신수단중 하나에 대해서만 개인정보를 변경하여도 그와 관련된 모든 수단들이 개인정보가 동일하게 변경되므로 각각 개인정보를 변경할 필요가 없는 편리함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성신호에 따라 해당 음성신호와 관련된 다수의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원하는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다이얼링 할 수 있는 전화번호부 기능을 포함하는 편리함이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전화번호를 음성으로 입력하여 음성입력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음성 인식수단을 이동 통신 단말기가 아닌 별도의 시스템상에 구축하므로 고품질의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으며, 화자 독립적인 음성 인식을 수행하여 사용자에 상관없이 음성 다이얼링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12)

  1.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교환기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신호에 따라 음성신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이:
    상기 교환기와 연결되어 교환기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토대로 상호 연결된 음성 인식수단으로 텍스트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수신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토대로 상호 연결된 개인정보 관리서버로 전화번호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수신되는 전화번호 데이터를 상기 교환기로 출력하는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과;
    상기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과 연결되어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으로 출력하는 음성 인식수단과;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별 개인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상기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과 연결되어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전화번호 데이터 요청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를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으로 출력하는 개인정보 관리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개인정보 관리서버가:
    사용자에 대한 개인정보의 변경이 있는 경우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컴퓨터 또는 클라이언트 이동 통신 단말기와 상호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동기화하는 개인정보 동기화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이:
    상기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에 접속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번호를 토대로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조회하고 이를 상기 전화번호 데이터 요청에 부가하여 해당 요청에 대한 사용자를 식별하도록 처리하는 식별정보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이: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개인정보 관리서버로 전화번호 데이터의 요청시 필요한 질의신호를 발생하는 질의신호 생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
  5.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질의신호 생성부가:
    상기 텍스트 데이터가 구분자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구분자를 인식하여 구분자에 의해 구분되는 텍스트 데이터별로 각각 대응하는 질의신호를 생성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
  6.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이:
    상기 텍스트 데이터가 숫자에 대한 데이터인지 문자에 대한 데이터인지를 분석하여 해당 텍스트 데이터가 문자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해당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질의신호 생성부로 출력하고, 해당 텍스트 데이터가 숫자에 대한 데이터로만 구성된 경우 해당 텍스트 데이터를 전화번호 데이터 생성부로 출력하는 텍스트 데이터 분석부와;
    상기 텍스트 데이터 분석부로부터 입력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토대로 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전화번호 데이터 생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이:
    상기 전화번호 데이터를 토대로 확인 안내 음성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교환기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출력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교환기를 통해 입력되는 확인 음성데이터에 따라 해당 전화번호 데이터를 확인 처리하는 전화번호 확인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
  8.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이:
    상기 개인정보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전화번호 데이터가 복수개인 경우 선택을 요청하는 선택 안내 음성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교환기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출력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교환기를 통해 입력되는 선택 음성데이터에 따라 복수개의 전화번호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 처리하는 전화번호 선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
  9. 다수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 교환기를 통해 연결되고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 음성 인식수단, 개인정보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에서 실행 가능한 음성 다이얼링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성 다이얼링 서비스 방법이:
    상기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번호를 토대로 해당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조회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인식수단이 상기 교환기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이 상기 식별정보 및 텍스트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개인정보 관리서버로 전화번호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개인정보 관리서버가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전화번호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상기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이 상기 전화번호 데이터를 상기 교환기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다이얼링 서비스 방법.
  10. 청구항 9 에 있어서, 상기 음성 다이얼링 서비스 방법이:
    상기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이 상기 텍스트 데이터가 문자에 대한 데이터인지 숫자에 대한 데이터인지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이 상기 텍스트 데이터가 숫자에 대한 데이터인 경우 해당 텍스트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교환기로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다이얼링 서비스 방법.
  11. 청구항 9 또는 10 에 있어서, 상기 음성 다이얼링 서비스 방법이:
    상기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이 상기 전화번호 데이터를 토대로 확인 안내 음성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교환기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출력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교환기를 통해 입력되는 확인 음성데이터에 따라 해당 전화번호 데이터를 확인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이 상기 전화번호 데이터가 복수개인 경우 선택을 요청하는 선택 한내 음성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교환기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출력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교환기를 통해 입력되는 선택 음성데이터에 따라 복수개의 전화번호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 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다이얼링 서비스 방법.
  12. 청구항 9 또는 10 에 있어서, 상기 음성 다이얼링 서비스 방법이:
    상기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이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개인정보 관리서버로 전화번호 데이터의 요청시 필요한 질의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다이얼링 처리수단이 상기 텍스트 데이터가 구분자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구분자를 인식하여 구분자에 의해 구분되는 텍스트 데이터별로 각각 대응하는 질의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다이얼링 서비스 방법.
KR10-2001-0052546A 2001-08-29 2001-08-29 음성 다이얼링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449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546A KR100449640B1 (ko) 2001-08-29 2001-08-29 음성 다이얼링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546A KR100449640B1 (ko) 2001-08-29 2001-08-29 음성 다이얼링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673A true KR20030019673A (ko) 2003-03-07
KR100449640B1 KR100449640B1 (ko) 2004-09-21

Family

ID=27721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2546A KR100449640B1 (ko) 2001-08-29 2001-08-29 음성 다이얼링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96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2300A (ko) * 2002-10-09 2004-04-17 오동원 음성인식 자동다이얼링 시스템 및 음성인식 자동다이얼링방법
KR100702476B1 (ko) * 2005-05-25 2007-04-02 김쌍규 무선 음성인식을 통한 원격 다이얼링 시스템
KR100715464B1 (ko) * 2005-05-25 2007-05-07 김쌍규 음성인식을 통한 원격 다이얼링 시스템
WO2009043286A1 (fr) * 2007-09-25 2009-04-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Procédé et système de composition vocale, serveur de composition vocal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5095A (en) * 1990-09-28 1992-11-1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Voice telephone dialing
KR100215425B1 (ko) * 1997-02-06 1999-08-16 이계철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0301219B1 (ko) * 2000-01-25 2001-11-03 백종관 음성 인식/합성을 이용한 통신망에서의 음성 포탈 서비스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0193157Y1 (ko) * 2000-03-10 2000-08-16 주식회사드림텔레콤 음성인식 자동다이얼링 통화시스템
KR200217573Y1 (ko) * 2000-04-06 2001-03-15 김쌍규 음성인식을 통한 원격 다이얼링 시스템
KR20000064144A (ko) * 2000-08-24 2000-11-06 왕상주 음성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44834A (ko) * 2001-03-30 2001-06-05 박순국 음성주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2300A (ko) * 2002-10-09 2004-04-17 오동원 음성인식 자동다이얼링 시스템 및 음성인식 자동다이얼링방법
KR100702476B1 (ko) * 2005-05-25 2007-04-02 김쌍규 무선 음성인식을 통한 원격 다이얼링 시스템
KR100715464B1 (ko) * 2005-05-25 2007-05-07 김쌍규 음성인식을 통한 원격 다이얼링 시스템
WO2009043286A1 (fr) * 2007-09-25 2009-04-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Procédé et système de composition vocale, serveur de composition voca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9640B1 (ko) 2004-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53239C2 (ru) Способы и системы получения справок о каталоге сети для сотового радиотелефона
US6714641B2 (en) Web based personal directory
JP3868423B2 (ja) 音声認識を通じて構築された個人電話番号簿データベースを利用した音声自動接続サービス方法
US20020181669A1 (en) Telephone device and translation telephone device
US6529585B2 (en) Voice labe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50114139A1 (en) Method of operating a speech dialog system
CN106603792B (zh) 一种号码查找设备
KR100449640B1 (ko) 음성 다이얼링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JP4809010B2 (ja) 情報検索システム
KR20020079121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시스템과 그시스템을 이용한 정보 검색방법
KR20010100037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음성 전화번호부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383054B1 (ko) 음성 인식 전화번호 안내 및 자동연결 방법과 그 시스템
KR20040039586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ars정보 추출 시스템 및 방법
KR100323587B1 (ko) 전화를 이용한 전자 전화번호 서비스 방법
KR100383053B1 (ko) 이동전화용 음성 인식 전화번호 저장 및 안내, 자동연결방법 및 그 시스템
JP2815971B2 (ja) 音声認識データ蓄積システム
KR20090032053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개인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과, 그를 이용한 자동 전화연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802054B1 (ko) 문자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제공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540230B1 (ko) 원격지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 시스템 및 방법
US79296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voice activated signaling
KR101072659B1 (ko) 전화번호를 이용한 부분 디렉토리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0227525B1 (ko) 통신망을 통한 음성사서함 서비스에 있어서의 음성수첩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100706332B1 (ko) 착신자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 검색하는 음성 통화 서비스제공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110096329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개인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과, 그를 이용한 자동 전화연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40047A (ko) 차세대망에서의 음성 인식 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