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2054B1 - 문자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제공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문자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제공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2054B1
KR100802054B1 KR1020050042624A KR20050042624A KR100802054B1 KR 100802054 B1 KR100802054 B1 KR 100802054B1 KR 1020050042624 A KR1020050042624 A KR 1020050042624A KR 20050042624 A KR20050042624 A KR 20050042624A KR 100802054 B1 KR100802054 B1 KR 100802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called
terminal
information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9523A (ko
Inventor
강문순
황보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50042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2054B1/ko
Publication of KR20060119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93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e.g. directory enquiries ; Arrangements therefor, e.g.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ystems or voice port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통화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착신자 정보로 문자열 또는 문자열에 상응하는 번호를 사용하는 문자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화 연결을 위한 착신자 정보를 문자에 대응되는 형식으로 전송한 단말기에게 이동 통신망과 결합된 번호 관리 장치가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단말기의 음성 통화 요청에 따라 착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번호 요청 메시지를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착신자 정보는 문자열 또는 문자열에 대응되는 숫자열임-; 착신자 정보가 숫자열인 경우에는 단말기의 기종에 따라 숫자열을 문자열로 변환하는 단계; 문자열에 상응하는 착신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이동 통신망의 교환기가 착신번호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기와 단말기 간의 호를 설정하도록 착신번호를 이동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단말기의 착신자 정보 입력에서 사용자에게 편리한 문자를 기반으로 전화 연결을 할 수 있음으로 사용자의 편의가 높아질 수 있는 문자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그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문자, 통화, 번호관리, 이동통신, 착신번호

Description

문자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Method, Device and Record Medium saved the method for providing voice communication service by using receiv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character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기에서 착신자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번호 관리 장치의 기능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번호 관리 장치에 저장되는 착신번호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의 작동 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의 작동 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번호 관리 장치의 동작 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기에서 착신자 정보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것과 그에 상응하여 번호 제공 서버에서 착신번호를 추출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숫자열에 상응하는 착신번호를 검색 서버를 통해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발신 단말기
20 : 착신 단말기
30, 35 : 교환기
50 : 위치 등록기
70 : 번호 관리 장치
90 : 검색 서버
본 발명은 음성 통화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착신자 정보로 문자열 또는 문자열에 상응하는 번호를 사용하는 문자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단말기에서 음성 통화를 수행하기 위해서 수신측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에 통화 요청을 해야 한다. 일일이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거나, 좀더 편리한 방법으로는 단말기에 저장된 주소록에 저장된 전화번호 중 하나를 선택하는 리스트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는 경우에는, 전화번호를 기억하고 있거나, 수첩, 명함 등을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주소록을 이용하더라도 사용자의 단말기가 변경될 경우 새 단말기에 새로이 전화번호를 입력하거나, 별도의 장치를 통해 이전 단말기에서 주소록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새로운 단말기에 저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화번호를 기억하지 못하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쉽게 기억하기 쉬운 문자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편리를 제공할 수 있는 음성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그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수신측 전화번호를 원하는 서버 또는 장치에 미리 저장함으로써, 단말기가 바뀌더라도 새로이 전화번호를 등록할 필요가 없는 음성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그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화번호를 모르더라도 문자를 이용하여 원하는 상점, 업체 등에 전화를 걸 수 있는 음성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그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음성 통화 연결을 위한 착신자 정보를 문자에 대응되는 형식으로 전송한 단말기에게 이동 통신망과 결합된 번호 관리 장치가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음성 통화 요청에 따라 상기 착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번호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착신자 정보는 문자열 또는 상기 문자열에 대응되는 숫자열임-; 상기 착신자 정보가 상기 숫자열인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의 기종에 따라 상기 숫자열을 상기 문자열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문자열에 상응하는 착신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통신망의 교환기가 상기 착신번호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 간의 호를 설정하도록 상기 착신번호를 상기 이동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의 기종에 관한 정보는 상기 이동 통신망의 위치 등록기 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결합된 위치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착신번호의 추출은 상기 문자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결합된 검색 서버로 전송함에 따라 상기 검색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신번호는 상기 이동 통신망의 위치 등록기를 경유하여 상기 교환기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환기는 지능망 교환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신번호는 가입자가 미리 설정한 PC나 포털 서버의 주소록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음성 통화 연결을 위한 착신자 정보를 문자에 대응되는 형식으로 전송한 단말기에게 이동 통신망과 결합되어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통화 요청에 의해 전송된 착신자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여기서, 상기 착신자 정보는 문자열 또는 상기 문자열에 대응되는 숫자열임 -; 상기 문자열을 인식하는 문자 인식부; 상기 단말기의 정보 및 상기 문자열과 착신번호에 상응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문자열에 상응하는 착신번호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이동 통신망의 교환기가 상기 착신번호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 간의 호를 설정하도록 상기 착신번호를 상기 이동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번호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수신된 착신자 정보가 상기 숫자열인 경우, 상기 수신부는 상 기 착신자 정보와 함께 상기 단말기의 기종에 따른 정보를 위치 등록기(HLR)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문자 인식부는 상기 기종에 상응하도록 상기 숫자열을 상기 문자열로 변환함에 따라 상기 문자열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상기 문자열과 착신번호에 상응하는 정보는 상기 문자열 및 착신번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상기 문자열과 착신번호에 상응하는 정보는 상기 문자열 및 착신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미리 설정된 PC나 포털 서버의 저장 주소이며, 상기 저장 주소를 통해 상기 착신번호를 취득하는 연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단말기에게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망 교환기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착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호 연결 요청을 통신망의 교환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여기서, 상기 교환기는 상기 착신자 정보가 문자열 또는 상기 문자열에 대응하는 숫자열임을 인식한 위치 등록기로부터 지능망 서비스임을 통보받음-;상기 문자열을 인식하는 문자 인식부;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정보 및 상기 각 단말기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열 및 상기 문자열에 상응하는 착신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상기 인식된 문자열에 상응하는 착신번호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착신번호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 간의 호를 설정하는 호 설정부를 포함하는 지능망 교환기가 제공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단말기에 서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식별자 및 특정 문자열에 상응하는 숫자열을 입력 받는 단계; 통화 요청 입력에 상응하여 상기 숫자열 및, 상기 단말기에 상응하는 이동 통신망의 위치 등록기가 상기 숫자열에 따른 착신번호를 제공하는 번호 제공 장치를 통해 상기 착신번호를 교환기로 제공하도록 상기 식별자에 상응하는 서비스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요청 메시지를 이동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입력된 숫자열에 상응하는 상기 문자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문자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기에서 착신자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번호 관리 장치의 기능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번호 관리 장치에 저장되는 착신번호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문자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은 발신 단말기(10), 교환기(30, 35), 기지국(40, 41), 유선 교환기(45, 46), 위치 등록기(50), 번호 관리 장치(70), 검색 서버(90) 및 착신 단말기(20)를 포함한다.
발신 단말기(10)는 PCS, PDA,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일반 유선 전화기뿐만 아니라, 무선 랜(LAN) 단말기, 블루투스(Bluetooth) 단말기, 휴대인터넷 단말기 등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음성 통화가 가능한 모든 단말기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되,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 통화가 가능한 모든 단말기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자명해질 것이다.
발신 단말기(10)는 음성 통화 요청 시, 착신자 정보를 일반 전화번호로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음성 통화 서비스에 따라 문자열 또는 문자열에 대응되는 숫자열로 착신자 정보를 전송함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기(20)와 음성 통화를 수행한다.
따라서, 발신 단말기(10)는 음성 통화를 요청할 때, 통화할 착신 단말기(20)에 대한 착신자 정보를 입력함에 있어, 착신자 정보를 숫자 뿐만 아니라 문자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홍길동'이라는 사람과 음성 통화를 수행할 경우, 홍길동 의 단말기 전화번호가 아닌, '홍길동' 또는 '홍길동'에 대응되는 숫자열(88023041556230)을 입력함에 따라 홍길동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기(20)와 채널(호)이 설정되어 전화통화를 수행한다.
여기서, *는 발신 단말기(10)가 이동 통신망에서 착신자 정보가 문자열 또는 문자열에 대응되는 숫자열 임을 인식할 수 있는 서비스 식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 이외에도 #과 같은 다른 식별자 및 특정 기능버튼에 의해 식별 정보가 생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는 단말기 유아이(UI) 구성 상에서 특정 키를 눌러 상기 기능을 동작시킬 경우 입력되지 않으며, 발신 단말기(10)는 교환기(30)가 상기 서비스를 구분할 수 있도록 식별정보를 입력 정보(착신자 정보)의 앞에 추가할 수 있다.
또한, 발신 단말기(10)는 입력된 착신자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며, 문자열 또는 숫자열 중 하나만을 출력할 수도 있으며, 둘 다 출력할 수 있다. 문자는 반드시 한글일 필요는 없으며 영어와 같은 다른 언어의 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즉, 입력된 숫자들에 상응하는 문자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 되며, 한글, 영문 둘 다 디스플레이 될 수도 있다.
입력된 착신자 정보는 숫자 형식으로 통신망에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문자 형태로 전송될 수도 있다. 기존의 통신망에서는 발신 단말기(10)에서의 음성 통화 요청 시 숫자 형식으로만 착신자 정보를 처리하였으나, 향후 문자 형식으로도 착신자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발신 단말기(10)는 착신자 정보를 문자 형식(예를 들어, 1바이트(byte)의 아스키(ASCII) 또 는 2바이트의 KSC5601)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발신 단말기(10)는 꽃가게에 전화를 걸 경우, '꽃가게'라는 문자열 또는 '꽃가게'에 상응하는 숫자열을 입력함에 따라 꽃가게로 전화를 걸 수 있으며, 발신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할 경우에는 발신 단말기(10)의 현재 위치에 근접한 꽃가게로도 전화를 걸 수 있다. 상술한 예들에 대한 음성 통화 처리 과정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교환기(30)는 발신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통화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여 착신자 정보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기(20)와 발신 단말기(10) 간의 통화를 위한 호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상적으로 교환기(30)는 발신 단말기(10)로부터 수신측의 전화번호를 수신하고, 수신측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위치 등록기로부터 해당 착신 단말기(20)에 대한 정보(위치, 해당 교환기(35) 등)를 취득하여 해당 교환기(35)와의 호를 설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환기(30)는 발신 단말기(10)로부터 전화번호가 아닌, 문자열(하나의 문자도 포함) 또는 문자열에 대응되는 숫자열(이하, 숫자열)을 수신함에 따라 번호 관리 장치(70)를 통해 착신 단말기(20)의 실제 전화번호(이하, 착신번호)를 취득한다.
기존 통신망의 프로세스를 따르면, 착신자 정보가 일반 전화번호가 아니거나, 서비스 식별정보가 포함될 경우 교환기(30)는 서비스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인식함에 따라 위치 등록기(50)로 해당 착신자 정보를 전송하고, 번호 관리 장치(70)로부터 착신번호를 취득한 위치 등록기(50)로부터 해당 착신측 착신번 호를 수신한다.
다른 방법으로 교환기(30)가 착신자 정보가 문자열임을 인식할 수 있는 경우, 교환기(30)는 위치 등록기(50)를 경유하지 않고 번호 관리 장치(70)로 착신자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착신번호를 번호 관리 장치(70)로부터 수신한다. 따라서, 두 번째 경우에는 발신 단말기(10)가 상기와 같이 별도의 서비스 식별정보를 교환기로 전송할 필요가 없게 된다.
기지국(40, 41)(기지국 제어기 포함)은 각 단말기와 교환기(30, 35) 간의 통신을 위한 중계 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 및 기지국 제어기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유선 교환기(45, 46)는 유선 전화기의 통화 호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이동 단말기와 같은 무선 단말기의 호를 설정하는 교환기(30, 35)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통상적으로 유선 교환기(35)는 발신 단말기(10)로부터 수신측의 전화번호를 수신하고, 수신측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해당 교환기와의 호를 설정한다. 여기서, 유선 교환기(45)는 문자열 또는 문자열에 대응하는 숫자열인 착신자 정보를 발신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하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번호 관리 장치(70)로부터 문자열에 상응하는 착신번호를 수신한다. 나머지 호 연결에 따른 기능은 교환기(30)와 유사하며,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위치 등록기(50)는 발신 단말기(10)의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위치 등록기는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sister) 및 방문 위치 등록기(VLR, Visit Location Resister)가 이 있으며, 단말기 가입자 마다 연계되는 위치 등록기가 존재한다. 위치 등록기는 연계되는 단말기의 가입된 서비스 정보, 위치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착신측 단말기(정보 제공 단말기(90))의 정보를 저장하는 위치 등록기(미도시)도 있다. 교환기(30)는 수신된 정보 제공 단말기(90)의 착신번호를 통해 착신측 위치 등록기를 인식하고, 착신측 위치 등록기를 통해 정보 제공 단말기(90)의 정보를 취득하여, 호를 설정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상술한 위치 등록기(50) 외에도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모든 장치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통상적으로 위치 등록기(50)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뿐만 아니라, 기타 가입된 다른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발신 단말기(10)로부터 교환기(30)를 경유하여 수신한 정보(발신 단말기 정보 및 착신자 정보)를 통해 서비스 가입 여부를 판단하고, 수신한 서비스 식별 정보를 통해 해당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식별 정보를 인식한 위치 등록기(50)는 번호 관리 장치(70)로 해당 착신자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해당 착신 단말기(20)의 숫자 형식의 변환된 착신번호를 수신할 수 있다. 위치 등록기(50)는 수신된 착신번호를 교환기(30)로 전송함으로써 각 단말기간의 호가 설정된다.
번호 관리 장치(70)는 발신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문자열 또는 숫자열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기(20)의 착신번호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번호 관리 장치(70)는 수신부(71), 저장부(72), 문자 인 식부(73), 추출부(74), 등록부(75), 송신부(76) 및 연동부(77)를 포함한다.
수신부(71)는 발신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착신자 정보 및 상기 발신 단말기(10)를 인식할 수 있는 발신 단말기 정보를 교환기(30) 또는 위치 등록기(50)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외에도 특정 장치로부터 임의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음은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저장부(72)는 미리 등록된 각 가입자 정보(발신 단말기 정보 포함)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문자열 및 상기 문자열에 대응되는 착신번호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각 가입자 별로 별도의 영역을 구비하여, 문자열 및 상기 문자열에 대응되는 착신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번호 관리 장치(70)는 임의의 가입자 정보에 대응하는 발신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문자열 또는 숫자열에 상응하는 착신번호를 추출한다.
이하 도 3b를 참조하여, 각 가입자 정보(예를 들어, 발신 단말기 번호)에 상응하는 문자열 및 착신번호가 저장되는 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b에 따르면, 저장부(72)는 각 가입자에 대응하는 착신번호 테이블(80)을 저장한다.
저장부(72)는 010-3000-1122(일련번호가 사용될 수도 있음)의 가입자 정보(81)에 대응되며, 문자열(82)과 각 문자열에 대응되는 착신번호(84)를 포함하는 착신번호 테이블(80)을 저장한다.
따라서, 가입자 정보가 010-3000-1122인 발신 단말기(10)로부터 '한순만'에 상응하는 착신자 정보를 수신할 경우에는 010-1111-2222 의 착신번호를 교환기(30) 로 전송한다.
여기서, 저장부(72)에는 문자열과 착신번호가 저장되지 않고, 각 가입자 별로 문자열과 착신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장치의 저장 주소가 저장될 수도 있다. 즉, 문자 및 착신번호는 가입자의 홈페이지, 아웃룩 주소 등의 특정 서버에 저장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정보가 저장부(72)에 저장됨으로써, 번호 관리 장치(70) 발신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어 인식된 문자를 통해 착신번호를 상기 특정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한다. 또는 저장부(72)에는 문자열만이 저장되고 그에 상응하는 착신번호는 미리 설정된 장치에 매핑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다시 도 3a를 참조하면, 문자 인식부(73)는 발신 단말기(10)로부터 숫자열을 수신하였을 경우에, 숫자열에 상응하는 문자열을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글 뿐만 아니라, 영문으로도 변환될 수 있으며, 이 후 둘 중 하나와 매핑되는 착신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숫자열에 상응하는 문자열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발신 단말기(10)의 기종(모델)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발신 단말기(10)의 기종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상기 기종 정보는 위치 등록기(50)로부터 발신 단말기(10)의 통화 요청에 따라 착신자 정보와 함께 수신되거나, 특정 서버 또는 위치 등록기(50)를 통해 미리 수신되어 저장부(72)에 가입자 정보로써 저장된다. 따라서, 문자 인식부(73)는 숫자열과 기종 정보에 상응하는 문자열을 인식한다.
여기서, 단말기의 기종 정보는 반드시 위치 등록기(50)로부터 수신하는 것은 아니며, 각 단말기의 가입정보를 관리하는 가입정보 관리 서버가 별도로 존재하여, 가입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미리, 또는 실시간으로 단말기의 기종 정보를 취득할 수도 있다.
또는, 발신 단말기(10)의 기종 정보 없이, 미리 문자 입력 방식이 설정되어 각 단말기는 상기 설정된 문자 입력 방식을 통해 입력된 문자에 대응하는 숫자열을 이동 통신망으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번호 관리 장치(70)는 상기 미리 설정된 문자 입력 방식에 따라 해당 문자열을 인식할 수도 있다.
추출부(74)는 수신부(71)에 의해 수신된 발신 단말기(10)의 정보 및 문자열(또는 문자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문자열)에 상응하는 착신번호를 상기 저장부(72)를 통해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등록부(75)는 가입자 정보(발신 단말기 정보) 및 문자열, 착신번호(또는 특정 서버의 해당 데이터가 존재하는 주소)를 저장부(72)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발신 단말기(10)의 기종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송신부(76)는 추출부(74)에 의해 추출된 착신번호를 위치 등록기(50)를 경유하여 교환기(3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교환기(30)로 직접 전송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외에도 특정 장치로 임의의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음은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연동부(77)는 문자열과 착신번호가 외부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해당 서버와 연동하여 정보를 가져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저장부(72)에 저장된 저장 장치의 주소를 통해 해당 장치로부터 착신번호를 취득한다. 또한, 각 가입자 별로 저장된 문자열이 아닌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단어(예를 들면, 쇼핑, 예약, 영화 등)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여 검색 서버(90)와 연동하여 정보(착신번호)를 가져오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검색 서버(90)는 번호 관리 장치(70)로부터 수신한 문자열에 상응하는 착신번호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번호 관리 장치(70)는 미리 설정된 문자열이 아닌 문자열(예를 들어, 꽃가게, 비디오 가게, 중화 요리집 등)을 착신자 정보로써 수신할 경우, 상기 문자열을 검색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착신번호를 검색 서버(90)로부터 수신한다. 만일, 복수의 착신번호가 존재할 경우에는, 번호 관리 장치(70)가 ARS 등의 음성 서비스를 통해 해당 정보를 제공하고, 발신 단말기(10)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하나의 착신번호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기(20)와 전화 연결된다. 혹은 복수의 업체 중에서 광고 서비스를 신청한 업체의 번호로 전화 연결될 수도 있다. 이는 유선 인터넷 포탈의 광고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부분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번호 관리 장치(70)는 발신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정보 제공 서버(미도시)를 통해 발신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정보와 해당 문자열을 검색 서버(90)로 전송함으로써, 위치 정보와 문자열에 상응하는 착신번호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발신 단말기(10)가 강남역에서 '꽃가게'에 상응하는 착신자 정보를 입력하고 통화 요청을 하면, 번호 관리 장치(70)는 '꽃가게'라는 문자열과 '강남역'이라는 위치 정보를 검색 서버(90)로 제공하고, 그에 상응하여 강남역과 근접한 꽃가게의 전화번호를 검색 서버(90)로부터 수신함에 따라, 발신 단말기(10)와 꽃가게 간의 음성 통화 연결이 실행된다.
이하,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문자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의 전체적인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의 작동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의 작동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에 따르면, 단계 S410에서 발신 단말기(10)는 숫자열의 착신자 정보 및 서비스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요청 신호를 교환기로 전송한다. 단계 S415에서 교환기(30)는 수신된 착신자 정보가 전화번호가 아닌 문자임을 인식하거나 서비스 식별 정보를 통해 위치 등록기(50)로 착신자 정보 및 발신 단말기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 또는 식별번호)를 전송한다. 단계 S420에서 위치 등록기(50)는 서비스 식별 정보를 통해 해당 서비스를 인식하고, 단계 S425에서 숫자열 및 발신 단말기 정보를 번호 관리 장치(70)로 전송함으로써 착신번호를 요청한다.
단계 S430에서 번호 관리 장치(70)는 숫자열에 상응하는 문자열을 인식하고 상기 문자열에 상응하는 착신번호를 추출한다. 착신번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번호 관리 장치(70)에 저장된 착신번호 테이블(80)로부터 추출하거나, 기타 미리 설정된 장치(예를 들어, 발신자의 PC의 주소록이나 야후, 네이버 등의 포탈 서버에서 제공 되는 주소록)로부터 해당 착신번호를 수신한다.
단계 S435에서 번호 관리 장치(70)는 추출된 착신번호를 위치 등록기(50)로 제공하고, 단계 S440에서 위치 등록기(50)는 착신번호를 교환기(30)로 전송함으로써, 단계 S445에서 교환기(30)는 해당 착신번호를 통해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간의 음성 통화를 위한 호를 설정한다.
여기서, 발신 단말기(10)가 착신자 정보로써 숫자열이 아닌 문자열을 전송할 경우, 교환기(30)가 문자임을 인식할 수 있으면, 교환기(30)는 위치 등록기(50)를 경유하지 않고 곧바로 번호 관리 장치(70)로 발신 단말기 정보 및 문자열을 전송함으로써 해당 착신번호를 수신하여 음성 통화를 위한 호를 설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b를 참조하면, 단계 S460 내지 단계 S470은 도 4a에 따른 실시예의 단계 S410 내지 단계 S420과 동일하며, 단계 S475에서 위치 등록기(50)는 식별 정보를 통해 지능망 서비스임을 인식하고, 교환기(30)로 지능망 서비스임을 통보한다. 따라서, 단계 S478에서 교환기(30)는 착신자 정보 및 발신 단말기 정보를 지능망 교환기(400)로 전송하며, 지능망 교환기(400)와의 호를 설정한다. 단계 S480에서 지능망 교환기(400)는 착신자 정보 및 발신 단말기 정보를 통해 착신번호를 추출한다. 착신번호의 추출 방법은 번호 관리 장치(70)에서의 추출 방법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지능망 교환기(400)가 번호 관리 장치(70)의 가능을 수행하거나, 다른 방법으로서 번호 관리 장치(70)와 연동하여 착신번호를 추출한다.
지능망은 통신망에 컴퓨터를 연결하여 새로운 기술을 쉽게 접목할 수 있게 한 네트워크로써,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신망이다. 따라서, 지능망 교환기(400)는 지능망에 위치한 교환기로써, 문자열 또는 숫자열의 착신자 정보에 상응하는 착신번호를 추출하여, 착신번호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기(20)와 발신 단말기(10) 간의 음성 통화를 위한 호를 설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번호 관리 장치의 동작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따르면, 단계 S510에서 착신자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520에서 착신자 정보가 문자열 인지 숫자열 인지를 인식한다. 착신자 정보가 숫자열일 경우에는 단계 S530에서 숫자열을 문자열로 변환한다. 변환 과정은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S540에서 문자열에 상응하는 착신번호를 추출한다. 저장부(72)에 저장된 문자열일 경우에는 저장부(72)의 착신번호 테이블(80)로부터 해당 착신번호를 추출하고, 저장부(72)에 문자열이 저장되지 않고 특정 서버의 주소가 매핑(mapping)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특정 서버로부터 해당 문자열에 상응하는 착신번호를 수신한다. 또한 저장부(72)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며, 특정 서버와 매핑되지 않은 문자열에 대해서는 검색 서버(90)를 통해 해당 착신번호를 추출한다.
단계 S550에서 추출된 착신번호를 발신 단말기(10)와 상기 착신번호에 대응되는 착신 단말기(20) 간의 음성 통화를 위한 호를 설정하도록 위치 등록기(50)를 경유하여 교환기(30)로 전송하거나, 또는 곧바로 지능망 교환기(400)로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기에서 착신자 정보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것과 그에 상응하여 번호 제공 서버에서 착신번호를 추출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숫자열에 상응하는 착신번호를 검색 서버를 통해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따르면, 발신 단말기(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식별자 *에 상응하여 이후 입력되는 번호 8823041556230 과 이에 대한 문자열 홍길동을 화면에 출력한다. 이후, 통화 버튼의 입력에 따라, 입력한 식별자에 따른 서비스 식별정보 및 착신자 정보 *8823041556230 을 통신망으로 전송한다.
숫자열 8823041556230 을 수신한 번호 관리 장치(70)는 8823041556230을 홍길동으로 변환하고, 문자열 홍길동에 상응하는 착신번호를 착신번호 테이블(80)로부터 추출한다.
다른 실시예로, 도 7에 따르면, 발신 단말기(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따른 문자열인 꽃가게를 화면에 출력하고, 통화 버튼의 입력에 따라 착신자 정보를 번호 관리 장치(70)로 전송한다. 착신자 정보는 꽃가게에 상응하는 문자 형식의 데이터일 수 있으며, 숫자열로 전송될 수 있음은 상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S710에서 번호 관리 장치(70)는 발신 단말기(10)로부터 발송된 착신자 정보 및 위치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발신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720에서 번호 관리 장치(70)는 착신자 정보를 통해 문자열을 인식하고, 단계 S730에서 인식된 문자열과 위치 정보를 검색 서버(90)로 전송한다. 검색 서버(90)는 위치 정보와 꽃가게에 상응하는 전화번호를 단계 S740에서 검색하여, 단계 S750에서 검색된 착신번호를 번호 관리 장치(70)로 전송한다.
따라서, 발신 단말기(10)의 사용자는 자신이 위치한 곳과 근접한 위치의 꽃가게와 음성 통화를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의 착신자 정보 입력에서 사용자에게 편리한 문자를 기반으로 전화 연결을 할 수 있음으로 사용자의 편의가 높아질 수 있는 문자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그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수신측 전화번호를 원하는 서버 또는 장치에 미리 저장함으로써, 단말기가 바뀌더라도 새로이 전화번호를 등록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전화번호를 모르더라도 문자를 이용하여 원하는 상점, 업체 등에 전화를 걸 수 있는 문자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그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산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음성 통화 연결을 위한 착신자 정보를 문자에 대응되는 형식으로 전송한 단말기에게 이동 통신망과 결합된 번호 관리 장치가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음성 통화 요청에 따라 문자열에 대응된 숫자열에 따른 착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번호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 단말기의 기종을 인식하여 상응하는 문자 입력 방식에 따라 상기 숫자열을 상기 문자열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문자열에 상응하는 착신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통신망의 교환기가 상기 착신번호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기와 상기 발신 단말기 간의 호를 설정하도록 추출된 상기 착신번호를 상기 이동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기의 기종에 관한 정보는 상기 이동 통신망의 위치 등록기에 저장된 문자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결합된 위치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착신번호의 추출은 상기 문자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결합된 검색 서버로 전송함에 따라 상기 검색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것인 문자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번호는 상기 이동 통신망의 위치 등록기를 경유하여 상기 교환기로 전송되는 문자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는 지능망 교환기인 문자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번호는 가입자가 미리 설정한 PC나 포털 서버의 주소록으로부터 추출되는 문자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7. 음성 통화 연결을 위한 착신자 정보를 문자에 대응되는 형식으로 전송한 단말기에게 이동 통신망과 결합되어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통화 요청에 의해 전송된 문자열에 대응된 숫자열에 따른 착신자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발신 단말기의 기종에 상응하는 문자 입력 방식에 따라 상기 숫자열을 상기 문자열로 변환하여 상기 문자열을 인식하는 문자 인식부;
    상기 문자열과 착신번호에 상응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문자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문자열에 상응하는 착신번호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이동 통신망의 교환기가 상기 착신번호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기와 상기 발신 단말기 간의 호를 설정하도록 상기 착신번호를 상기 이동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번호 관리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착신자 정보와 함께 상기 발신 단말기의 기종에 대한정보를 위치 등록기로부터 수신하는 번호 관리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상기 문자열과 착신번호에 상응하는 정보는 상기 문자열 및 착신번호인 번호 관리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상기 문자열과 착신번호에 상응하는 정보는 상기 문자열 및 착신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미리 설정된 PC나 포털 서버의 저장 주소이며, 상기 저장 주소를 통해 상기 착신번호를 취득하는 연동부를 더 포함하는 번호 관리 장치.
  11. 단말기에게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망 교환기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착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호 연결 요청을 통신망의 교환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여기서, 상기 교환기는 상기 착신자 정보가 문자열에 대응하는 숫자열임을 인식한 위치 등록기로부터 지능망 서비스임을 통보받음-;
    상기 문자열을 상기 발신 단말기의 기종에 따른 문자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인식하는 문자 인식부;
    하나 이상의 단말기 정보 및 상기 각 단말기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열 및 상기 문자열에 상응하는 착신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문자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문자열에 상응하는 착신번호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착신번호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기와 상기 발신 단말기 간의 호를 설정하는 호 설정부를 포함하는 지능망 교환기.
  12. 단말기가 이동 통신망을 통한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착신 단말기에 대한 착신자 정보로써 미리 설정된 식별자 및 특정 문자열에 상응하는 숫자열을 입력 받는 단계;
    통화 요청 입력에 따라 상기 숫자열 및, 상기 이동 통신망이 단말기의 기종에 따른 문자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숫자열을 문자열로 변환하고 변환된 문자열에 따른 착신번호를 제공하는 번호 관리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와의 호를 설정하도록 상기 이동 통신망이 인식할 수 있는 상기 식별자에 상응하는 서비스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이동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숫자열에 따른 상기 문자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20050042624A 2005-05-20 2005-05-20 문자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제공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802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624A KR100802054B1 (ko) 2005-05-20 2005-05-20 문자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제공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624A KR100802054B1 (ko) 2005-05-20 2005-05-20 문자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제공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523A KR20060119523A (ko) 2006-11-24
KR100802054B1 true KR100802054B1 (ko) 2008-02-12

Family

ID=37706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624A KR100802054B1 (ko) 2005-05-20 2005-05-20 문자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제공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20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666B1 (ko) 2008-12-16 2011-05-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방형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지능콜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4525A (ko) * 2000-11-02 2002-05-09 윤종용 전화기의 단축 다이얼방법
KR20020038038A (ko) * 2000-11-16 2002-05-23 이상철 통신망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 시스템 및 방법
JP2002300291A (ja) 2001-04-02 2002-10-1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電話網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サービス方法
KR20040047457A (ko) * 2002-11-30 2004-06-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문자번호 변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66957A (ko) * 2003-01-21 2004-07-30 (주) 디앤엠테크놀로지 교환기 서버로 전송된 폰북 데이터를 이용한 음성인식다이얼링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86307A (ko) * 2004-02-25 2005-08-30 와이더댄 주식회사 지능망 환경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의 문자열 입력을이용한 다이얼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7009929A (ja) * 2005-06-28 2007-01-18 Nissan Motor Co Ltd ブレーキキャリパーピストン支持構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4525A (ko) * 2000-11-02 2002-05-09 윤종용 전화기의 단축 다이얼방법
KR20020038038A (ko) * 2000-11-16 2002-05-23 이상철 통신망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 시스템 및 방법
JP2002300291A (ja) 2001-04-02 2002-10-1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電話網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サービス方法
KR20040047457A (ko) * 2002-11-30 2004-06-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문자번호 변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66957A (ko) * 2003-01-21 2004-07-30 (주) 디앤엠테크놀로지 교환기 서버로 전송된 폰북 데이터를 이용한 음성인식다이얼링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86307A (ko) * 2004-02-25 2005-08-30 와이더댄 주식회사 지능망 환경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의 문자열 입력을이용한 다이얼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7009929A (ja) * 2005-06-28 2007-01-18 Nissan Motor Co Ltd ブレーキキャリパーピストン支持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666B1 (ko) 2008-12-16 2011-05-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방형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지능콜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523A (ko) 200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8623B1 (ko) 숫자 및 문자열의 동시 입력을 통한 선택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040047500A (ko) 통합 통신 아이디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506919A (ja) 統合通信id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5595252B2 (ja) 連携支援装置、プログラム、連携支援方法、連携支援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KR100802054B1 (ko) 문자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제공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020079121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시스템과 그시스템을 이용한 정보 검색방법
JP2002016701A (ja) 携帯電話機向けの音声/テキスト変換サービス装置
KR100365884B1 (ko) 무선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명함 전송 방법
KR100764828B1 (ko) 모바일 홈페이지 제공 및 조회 서비스 시스템
KR100763306B1 (ko) 통합통신 id의 통신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11881A (ko)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100706332B1 (ko) 착신자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 검색하는 음성 통화 서비스제공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449640B1 (ko) 음성 다이얼링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855684B1 (ko) 지능망 환경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의 문자열 입력을 이용한 다이얼링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
KR100716707B1 (ko) 통화에 따른 자신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716680B1 (ko) 통화 상대방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
JP4753458B2 (ja) Url通知サービス装置及び方法
KR100657634B1 (ko) 문자 형식의 착신자 정보를 통한 음성 통화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642577B1 (ko) 음성 메시지를 문자 메시지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방법 및장치
KR100810752B1 (ko) 통합통신 id의 호접속용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호접속 시스템과 호접속 방법
KR20070047894A (ko) 사용자 폰페이지 서비스와 연계된 문자기반 전화번호 안내및 전화호출 서비스 운영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JP2002149511A (ja) 通信端末装置、情報通信システム、情報通信方法および情報通信用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598976B1 (ko) 가상 수신자 정보를 통한 메시지 서비스 방법, 장치 및 그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793424B1 (ko) 간편 접속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03046652A (ja) 携帯端末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