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7338A - 화재 수신기 - Google Patents

화재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7338A
KR20030017338A KR1020020048911A KR20020048911A KR20030017338A KR 20030017338 A KR20030017338 A KR 20030017338A KR 1020020048911 A KR1020020048911 A KR 1020020048911A KR 20020048911 A KR20020048911 A KR 20020048911A KR 20030017338 A KR20030017338 A KR 20030017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ghtness
light emitting
display
emitting means
fire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8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1072B1 (ko
Inventor
요시다미노루
온지무네히로
Original Assignee
노미 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5123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06785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5123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067859A/ja
Application filed by 노미 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노미 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7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7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0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2Generating a prealarm to the central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수신기는,
발광 장치;
화재 감지기와 같은 복수의 터미널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감시 제어하며, 상기 발광 장치를 점등시켜 상기 정보를 표시하는 감시 제어 장치; 및
주위 환경의 밝기에 따라 상기 발광 장치의 휘도를 변경하는 휘도 변경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화재 수신기{FIRE RECEIVER}
본 발명은 화재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재 수신기는, 통상, 건물의 관리인실, 또는 방재 센터 등에 설치된다. 정상 모니터링 상태, 감지기 유형, 및 화재의 발생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더불어, 다양한 유형의 표시를 수행하는, 램프와 같은 발광 수단이 화재 수신기의 표면상에 배치된다. 이들 관리인실 및 방재센터에서는, 화재 수신기의 주변 밝기가 거의 일정하며, 램프, 표시부 등을 목도하는 것으로 해당 구역의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화재 수신기가 선박에 설치되는 경우, 화재 수신기는 대개 조타실에 설치되는데, 조타실의 밝기는 낮과 밤 사이에 크게 달라진다. 선박이 야간 항해하는 경우, 조타실의 내부는, 조타실의 유리창을 통해 바깥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어두운 상태로 유지된다. 조타실 내부에 화재 수신기의 램프와 같은 발광 장치가 존재하면, 램프 등으로부터의 불빛이 조타실의 유리창에 의해 반사되어, 선박조종사의 시야에 들어가므로 항해가 좀더 어려워진다.
그런데, 기존 화재 수신기의 표면상에 배치된 발광 수단의 휘도는 화재 수신기의 외부에서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항해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없다.
또한, 화재 수신기가 통상적으로 일본 내에서 이용되는 경우, 화재 수신기의 표시부를 일본어로 표시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그러나, 화재 수신기가 선박 등에 설치되는 경우, 표시부가 일본어만을 표시한다면, 외국인 선원들이 표시를 이해하기 어렵고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는, 선박 이외의 환경, 예를 들어, 외국인 작업자가 많은 회사 등에 화재 수신기가 설치된 경우에서도 마찬가지로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등 또는 LCD 표시와 같은 화재 수신기의 발광 수단의 휘도를 화재 수신기의 외부로부터 조정할 수 있고, 나아가 휘도 조정 조작이 용이한 화재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본인뿐만 아니라 외국인에 의해 화재 감시기가 조작되거나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환경에 화재 수신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외국인 작업자가 화재 수신기의 표시 내용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화재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르면,
발광 수단;
화재 감지기와 같은 복수의 터미널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감시 제어하며, 발광 수단을 발광시켜 정보를 표시하게 하는 감시 제어 수단; 및
주변 환경의 밝기에 따라 발광 수단의 휘도를 변경하는 휘도 변경 수단을 구비한 화재 수신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따르면,
표시 수단;
사전에 설정된 복수의 언어들 중에서 하나의 언어를 선택하는 언어 설정 수단; 및
화재 감지기와 같은 복수의 터미널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감시 제어하며, 언어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언어로, 표시 수단에 정보를 표시하는 감시 제어 수단을 구비한 화재 수신기가 제공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에 따른 화재 수신기 (RE1) 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 는 선박에 설치된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 은 실시예 1 의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 파형도;
도 4a 내지 도 4e 는 실시예 1 의 표시부에 표시된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5 는 실시예 2 에 따른 화재 수신기 (RE2) 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CPU20, 21 : ROM
30 : RAM41 : 일문자 폰트
42 : 영문자 폰트51 : 딥 스위치
52 : 딥 스위치 IF60 : 표시 항목 테이블
70 : 표시 구동부71 : 표시등
72 : LCD81 : 프린터 구동기
82 : 프린터91 : 휘도 제어용 수동 설정 스위치
92 : 밝기 감지 수단
LC1, LC2, LC3, LC4 : 회로 제어부
S11, S21, S31, S41 : 감지기
LP1, LP2, LP3, LP4 : 신호선
RE1, RE2 : 화재 수신기
실시예 1: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에 따른 화재 수신기 (RE1) 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화재 수신기 (RE1) 는, 화재 수신기의 표면상의 LCD (72) 를 이용하여, 표시부에 일문 및 영문을 표시할 수 있는 이중 언어 (bilingual) 시스템을 가지며, 이는 선박에 이용된다.
화재 수신기 (RE1) 는,
복수의 화재 감지기를 포함하는 화재 경보 설비 전체를 감시 제어하며,
CPU (central processing unit ; 10); ROM (20); RAM (30); 일문자 폰트 (41); 영문자 폰트 (42); 딥 스위치 (dip switch ; 51); 딥 스위치 IF (52); 표시항목 테이블 (60); 표시 구동부 (70); 표시등 (71); LCD (72); 프린터 구동기 (81); 프린터 (82); 및 휘도 제어용 수동 설정 스위치 (91) 를 갖는다.
또한, 화재 수신기 (RE1) 는, 제 1 회로 제어부 (LC1); 제 2 회로 제어부 (LC2); 제 3 회로 제어부 (LC3); 및 제 4 회로 제어부 (LC4) 를 갖는다. 회로 제어부 (LC1, LC2, LC3, 및 LC4) 각각은, 루프 회로에 형성된 신호선 (LP1, LP2, LP3 및 LP4) 을 통해 감지기 (Sl1, S21, S31, 및 S41) 에 접속되어 있다.
CPU (10) 는 화재 수신기 (RE1)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고, ROM (20) 은, 후술하는 화재 수신기 (RE1) 의 동작을 CPU (10) 에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이고, RAM (30) 은 작업용 메모리이다. 후술하는 "Systems Normal", "Fire", 및 "Verify" 과 같은 용어가 컴퓨터 프로그램 내에 저장되어 있다.
일문자 폰트 (41) 및 영문자 폰트 (42) 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데이터 격납부에 저장되어 있다.
회로 제어부 (LC1, LC2, LC3, 및 LC4) 는 복수의 터미널 장치로부터의 화재 등에 관한 정보를 감시 제어한다.
표시등 (71) 및 LCD (72) 는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발광 수단으로서, 화재 수신기 (RE1) 의 나타내지 않은 표면상에 배치된다. 표시등 (71) 은, 예를 들어, 전원 램프, 화재 지시 램프, 테스트 램프, 비정상 지시 램프 등이다. 또한, LCD (72) 는, 소정의 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이며, 따라서 화재가 발생한 위치 등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문자 대신에 기호 또는 마크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표시 구동부 (70) 는, CPU (10) 에 의해 출력된 펄스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표시등 (71) 및 LCD (72) 를 구동한다. 표시등 (71) 으로서, 예를 들어, 발광다이오드가 이용된다. 상세하게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표시등 (71) 과 직렬로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접속하고, 이 트랜지스터를 온오프함으로써, 표시등 (71) 의 점등을 제어한다. 또한, LCD (72) 는, 백라이트 방법 (backlight method) 을 이용하며, 백라이트의 점등 제어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 제어와 유사하게 수행된다.
휘도 제어용 수동 설정 스위치 (91) 는, 표시등 (71) 및 LCD (72) 가 더 어두워지거나, 반대로 , 더 밝아지도록 지시하는 스위치로서, 화재 수신기 (RE1) 의 표면상에 배치된다.
CPU (10) 및 ROM (20) 에 의해 휘도 변경 수단이 구성되며, 이에 의해, 표시등 (71) 및 LCD (72) 와 같은 발광 수단이 소정값을 갖도록 휘도가 변경된다.
CPU (10) 및 ROM (20) 은, 회로 제어부 (LC1, LC2, LC3, 및 LC4) 에 의해 감지된 상태 정보에 응답하여 화재 수신기 (RE1) 전체를 제어하며, 또한, 복수의 언어들 중 적어도 한 개 언어로 상태 정보를 LCD (72) 에 표시하는 감시 제어용 수단을 구성한다.
딥 스위치 (51) 는, 복수의 언어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언어를, LCD (72) 에 표시해야 할 언어로서 설정하는 언어 설정 수단을 형성한다.
도 2 는 선박에 설치된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조를 나타낸다.
화재 수신기 (RE1) 는 조타실에 설치되며, 신호선 (LP1 및 LP2) 은 체재부 (residence section) 에 설치되고, 신호선 (LP3) 은 엔진실에 설치되며, 또한, 신호선 (LP4) 은 갑판에 설치된다.
이하, 도 3 의 신호 파형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 1 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대낮이고, 화재 수신기 (RE1) 의 주위 환경이 밝다면, 그 밝음 속에서도, 표시등 (71) 의 표시를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조작자는 휘도 제어용 수동 설정 스위치 (91) 를 수동으로 턴온한다. 스위치 (91) 가 온된 것을 CPU (10) 가 감지하여,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듀티비 80 % 의 펄스 제어 신호 (S1) 를 표시 구동부 (70) 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표시 구동부 (70) 는 표시등 (71) 에 80 % 평균 전압의 전압 (V) 을 인가하며, 표시등 (71) 은 밝게 점등한다.
한편, 야간에 화재 수신기 (REl) 의 주위가 어두워지면, 표시등 (71) 을 어둡게 설정하더라도, 충분히 볼 수 있다. 더구나, 화재 수신기 (RE1) 가 선박의 조타실에 설치된 경우라면, 밝은 표시등 (71) 때문에 조타실에서 바깥을 보는 어려움을 배제하기 위해, 표시등 (71) 을 더 어둡게 만들 수도 있다. 이 경우 스위치 (91) 는 턴오프된다. 스위치 (91) 가 오프 상태인 것을 CPU (10) 가 감지하여, 표시 구동부 (70) 에,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듀티비 30 % 의 펄스 제어 신호 (S1) 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표시 구동부 (70) 는, 펄스 제어 신호 (S1) 에 응답하여, 표시등 (71) 에 30 % 평균 전압의 전압 (V) 을 인가하며, 표시등 (71) 은 어둡게 점등한다.
또한, LCD (72) 도, 스위치 (91) 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표시등 (71) 과유사하게, 밝게 또는 어둡게 점등한다.
실시예 1 에 따르면, 표시등 및 LCD 와 같은 화재 수신기의 발광 수단의 휘도를 수동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더구나, 그 휘도 변경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실시예 1 에서는, 펄스 제어 신호 (S1) 의 듀티비를 변경하는 것에 따라, 발광 수단의 휘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전기 부품 등을 교환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발광 수단의 휘도를 용이하게 그리고 비단계적인 방식 (in a non-stepwise manner) 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데이터 저장부에, 폰트 데이터로서, 일문자 폰트 (41) 및 영문자 폰트 (42) 의 2 개 폰트가 저장되며, 이용될 폰트는 딥 스위치 (51) 에 의해 설정된다.
도 4a 내지 도 4e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항목 테이블 (60) 에는, 터미널 정보로서, "Analog Smoke Detector" 등의 터미털 유형 및 "Guest Room Number 505" 등의 설치 위치와 같이, 양 폰트 (41 및 42) 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단어가 저장되어 있다. 표시를 요하는 원인이 발생하면, 필요한 단어가, ROM (20) 내의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딥 스위치 (51) 에 의해 설정된 폰트에 따라 선택되어 표시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LCD (72) 에 표시된다. 또한, 선택된 단어는 프린터 (82) 에 의해 프린트된다. 마찬가지로, 터미널 정보의 표시가 필요한 경우, 표시 항목 테이블 (60) 내에서 딥 스위치 (51) 의 설정 상태에 기초하여 단어를 선택하며, 이를 LCD (72) 에 표시한다. 또한, 선택된 단어는 프린터 (82) 에 의해 프린트된다.
도 4a 내지 도 4e 는, 실시예 1 의 LCD (72) 에 대한 표시예를 일문 및 영문으로 대비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일문으로 LCD (72) 에 표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일문으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딥 스위치 (51) 에 의해 일문 표시를 선택한다. 이렇게 일문 표시가 선택되면, 그 후는 항상 일문 표시가 수행된다.
정상적인 감시 조건 동안에는, 도 4a 의 왼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문으로 "平常監視" 라는 용어, 날짜와 시간 등이 표시된다. 사전-알람 (pre-alarm) 이 있으면, 도 4b 의 왼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문으로 "プレアラ-ム" 라는 용어, 위치 명칭, 날짜와 시간 등이 표시된다. 확인 (verification) 의 경우, 도 4c 의 왼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문으로 "蓄積" 이라는 용어, 위치 명칭, 날짜와 시간 등이 표시된다. 화재가 있을 경우, 도 4d 의 왼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문으로 "火災" 라는 용어, 위치 명칭, 날짜와 시간 등이 표시된다. 고장의 하나로서 터미널로부터 응답이 없을 경우에는, 도 4e 의 왼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문으로 "無應答" 이라는 용어, 위치 명칭, 및 날짜와 시간이 표시된다.
다음으로, 영문을 이용하여 LCD (72) 에 표시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현재 일문으로 표시되고 있을 때, 영문으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딥 스위치 (51) 를 조작하여 영문 표시를 선택한다. 영문 표시가 선택되면, 그 후에는, 항상 영문 표시가 실행된다.
정상적인 감시 조건 동안에는, 도 4a 의 오른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문으로 "Systems Normal" 이라는 용어, 날짜와 시간 등이 표시된다. 사전-알람이있을 경우에는, 도 4b 의 오른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문으로 "Pre-Alarm" 이라는 용어, 위치 명칭, 날짜와 시간 등이 표시된다. 확인의 경우에는, 도 4c 의 오른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문으로 "Verify" 라는 용어, 위치 명칭, 날짜와 시간 등이 표시된다. 화재가 있을 경우에는, 도 4d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문으로 "Fire" 라는 용어, 위치 명칭, 날짜와시간 등이 표시된다. 터미널로부터 응답이 없을 경우라면, 도 4e 의 오른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문으로 "No Answer" 라는 용어, 위치 명칭, 및 날짜와 시간이 표시된다.
도 4b 내지 도 4e 의 표시 내용 중에서, "ADDR.L3-03" 이라는 용어는, 원인이 발생한 장소에 해당하는 터미널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화재 수신기 (RE1) 에 의해 표시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 표시에서, "ADDR.L3-03" 은 제 3 루프의 제 3 어드레스를 나타내며, 사용되는 언어에 관계없이 표시되어, 터미널 정보가 없더라도, 설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 에 따르면, 화재 수신기에서의 상태 정보 표시가 다언어 (multi-lingual) 로 이루어지며, 오퍼레이터에 의해 선택된 언어로 상태 정보가 표시되므로, 오퍼레이터에 의해 복수의 언어가 이용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화재 등에 대해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이는 소유자나 오퍼레이터의 국적이 고정적이지 않고, 세계를 여행하는 선박에 대한 시스템으로 이용하는 경우에 아주 바람직하다.
실시예 1 에서 표시가 필요한 요인이 발생할 때마다, 딥 스위치 (51) 의 상태를 참조하고, 이용되고 있는 표시 언어를 판별하여, 필요할 때 표시 언어의 스위칭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원이 턴온될 때만 딥 스위치 (51) 의 상태를 참조하여 그 상태를 RAM (30) 에 격납함으로써, 표시 언어를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화재가 발생한 후 화재 장소를 표시할 경우, 터미털 정보로서 감지기의 위치는, 예를 들어, 일문으로 "客室 505 호" 및 영문으로 "Guest Room Number 505" 의 표시로써, 다언어로 표시된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한 장소의 확인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 정보로서 감지기 등의 터미널 유형에 관한 표시도, 예를 들어, 일문으로 "光電アナロゲ感知器" 및 영문으로 "Analog Smoke Detector" 와 같이, 다언어로 표시되어, 화재를 감지한 장치의 유형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예 1 은, 일본 국내에서도, 일본인 작업자뿐만 아니라 외국인 작업자도 화재 수신기를 조작 또는 감시해야 하는 환경하에 화재 수신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또한, 영문자 폰트 대신에, 영문자 폰트 이외의 타언어 폰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3 개 이상의 문자 폰트가 준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표시 요인에 대응되는 ROM (20) 내의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단어를 추가하거나 다른 조치를 취해야 한다. ROM (20) 대신에 EEPROM 과 같이 개서 가능한 메모리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용이하게 표시 요인에 대응되는 단어를 추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예를 들어, 영문을 중문, 독문, 또는 불문으로 바꿀 수 있다. 또한, 이때, 문자 폰트를 변경하거나 추가하는 준비가 필요하다.
실시예 1 에서는 딥 스위치 (51) 를 조작함으로써 언어 전환이 수행되지만, 화재 수신기의 표면상에 전환 스위치 (changeover switches) 를 배치함으로써, 선박의 이용 모드때문에 표면 패널을 참조하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다양한 언어가 이용될 경우, 용이한 전환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설정을 함부로 변경하는 것과 용이한 전환을 막기 위해, 하우징 내의 용이하게 찾을 수 없는 위치에 딥 스위치 (51) 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플래시 메모리를 준비하여, 터미널 장치의 각 유형의 상태 변화 및 패널상의 조작 각각을 이벤트로서 플래시 메모리에 계속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LCD (72) 에 메뉴 리스트가 표시되고, 이벤트 로그 메뉴가 선택되며, 나아가, 화재 수신기 (RE1) 의 패널 표면상의 조작에 의해 이벤트 로그 디스플레이가 선택되면, 예를 들어, 가장 최근의 100 개 이벤트가 LCD (72) 에 계속적인 순서로 표시된다. 또한, 스크롤키를 이용하여 표시를 스크롤링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벤트 표시 데이터가 LCD (72) 표시 스크린의 사이즈보다 크더라도, 스크롤키를 이용하여 전체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로그 메뉴에서 이벤트 로그 프린팅이 선택되면, 가장 최근의 100 개 이벤트가 프린터 (82) 로부터 연속적으로 프린트된다.
또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각각의 이벤트에 대해 비표시 등록 (non-display registration) 이 설정되어, 불필요한 이벤트 표시가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내용은 간략화되며, 필요한 이벤트만 빠르게 표시된다. 그러나,모든 이벤트에 대한 데이터는 플래시 메모리에 유지되며, 특별한 조작 자격을 가진 오퍼레이터는, 패스워드 등을 입력함으로써 모든 이벤트를 표시할 수 있고, 전체적인 이력을 리뷰할 수 있다. 또한,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판독 수단을 화재 수신기의 특정 터미널에 접속하여, LCD (72) 상에 이벤트를 표시하지 않고, 플래시 메모리 내의 모든 이벤트 데이터를 판독해 낼 수 있다.
화재가 발생하거나 일련의 테스트 조작이 수행되고 정상적인 상태로 되돌아 왔을 때, 특정한 이벤트 데이터의 비표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련의 이벤트 데이터를 집합하여 비표시 데이터화 할 수 있다.
LCD (72) 에 계속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이벤트의 수는 100 개로 제한되지 않으며,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플래시 메모리를 대신하여 모든 유형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5 는 실시예 2 에 관한 화재 수신기 (RE2) 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화재 수신기 (RE2) 는, 기본적으로 도 1 에 나타낸 화재 수신기 (RE1) 와 동일하지만, 휘도 제어용 수동 설정 스위치 (91) 대신에 밝기 감지 수단 (92) 이 이용된다는 점과 ROM (20) 대신에 ROM (21) 이 이용된다는 점에서 화재 수신기 (RE1) 와 다르다.
밝기 감지 수단 (92) 은, 화재 수신기 (RE2) 주위의 밝기를 감지한다.
CPU (10) 를 실행시켜 화재 수신기 (RE2) 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동작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ROM (21) 에 저장된다.
또한, ROM (21) 및 CPU (10) 는, 밝기 감지 수단 (92) 에 의해 감지된 화재 수신기 (RE2) 주위의 밝기에 따라서, 발광 수단의 휘도를 제어하는 휘도 제어 수단을 형성한다. 휘도 제어 수단은, 화재 수신기 (RE2) 주위가 밝으면, 발광 수단의 휘도를 증가시키고, 반대로, 화재 수신기 (RE2) 주위가 어두우면, 발광 수단의 휘도를 감소시킨다.
다음에, 화재 수신기 (RE2) 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대낮인 경우에는, 밝기 감지 수단 (92) 이 화재 수신기 (RE2) 주위의 밝기를 감지하여, 밝음을 표시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 신호로부터, CPU (10) 는 화재 수신기 (RE2) 주위가 밝은 것을 판단하여,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은, 듀티비 80 % 의 펄스 제어 신호를 표시 구동부 (70) 에 출력한다. 따라서, 표시 구동부 (70) 는, 표시등 (71) 에 80 % 평균 전압의 전압 (V) 을 인가하며, 표시등 (71) 은 밝게 점등한다. 따라서, 화재 수신기 (RE2) 주위가 밝더라도, 표시등 (71) 의 표시를 볼 수 있도록, 표시등 (71) 은 밝게 점등된다.
한편, 야간의 경우에는, CPU (10) 는 화재 수신기 (RE2) 의 주위가 어두운 것을 판단하여,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은, 듀티비 30 % 의 펄스 제어 신호를 표시 구동부 (70) 에 출력한다. 따라서, 표시 구동부 (70) 는, 표시등 (71) 에 30 % 평균 전압의 전압 (V) 을 인가하며, 표시등 (71) 은 어둡게 점등한다. 화재 수신기 (RE2) 주위가 어두우므로, 표시등 (71) 을 어둡게 하더라도, 충분히 볼 수 있다. 더구나, 화재 수신기 (RE2) 가 선박의 조타실에 형성되어 있더라도, 선박의 조타실에서 바깥을 바라볼 경우, 밝은 표시등 (71) 으로 인한 어려움은 배제될 수 있다.
LCD (72) 또한, 표시등 (71) 과 마찬가지로, 화재 수신기 (RE2) 주위의 밝기에 따라 밝게 또는 어둡게 점등한다.
표시등 및 LCD 표시와 같은 화재 수신기의 발광 수단의 휘도는 화재 수신기 (RE2) 에서 자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화재 수신기 (RE2) 로서는, 펄스 제어 신호 (S1) 의 듀티비를 변경함으로써, 발광 수단의 휘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발광 수단의 휘도를 용이하게 비단계적인 방식으로 (in a non-stepwise manner)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 1 및 2 에서, 발광 수단에 인가하는 펄스 제어 신호 (S1) 의 듀티비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발광 수단의 휘도를 조정하는 대신, 상기 발광 수단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의 값이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수단과 직렬로 소정값의 저항을 접속하고, 이 저항과 병렬로 트랜지스터를 접속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를 온오프함으로써, 발광 수단에 인가되는 전압값을 바꿀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 수단으로서, 발광 다이오드 또는 LCD 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및 2 에, 화재 또는 고장을 감지하는 감지 수단을 형성하여, 상기 감지 수단이 화재 또는 고장을 감지하면, 주위가 어둡더라도, 상기 발광 수단이 소정 밝기로 점등되도록, 휘도 제어 수단을 강제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강제 수단을 형성할 수도 잇다. 따라서, 담당자는 화재 또는 고장이 발생했을 때, 표시 내용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다. ROM (21) 및 CPU (10) 에 의해 강제 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 30 % 의 듀티비를 가진 펄스 제어 신호 (S1) 를 표시등 (71) 에 인가함으로써 어두운 점등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다른 퍼센테이지를 채택할 수도 있다. 또한, 밝은 점등을 수행하는 경우에 표시 수단 (71) 으로 인가되는 펄스 제어 신호 (S1) 의 듀티비로서, 어두운 점등에 이용되는 듀티비보다 큰 값이라면, 80 % 가 아닌 다른 퍼센테이지를 채택할 수도 있다.
추가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표시등 (71) 으로 인가되는 듀티비를 바꿈으로써, 밝은 점등과 어두운 점등 사이의 전환이 수행되지만, 밝은 점등과 어두운 점등 사이의 전환이, 표시등 (71) 으로 인가되는 전압값 또는 전류값을 변경하는 것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특히, 듀티비를 바꿔 명암을 구별하는 경우에, 표시등 (71) 으로 인가되는 펄스폭이 짧아지면, 인간의 눈으로 점등을 인지할 수 없고, 따라서, 어두운 점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펄스가 인가되는 동안의 전압 또는 전류값을 낮추면 좋다. 따라서, 듀티비만을 변경하는 제어와 전압치 또는 전류치를 변경하는 제어를 조합함으로써, 설정가능한 범위를 넓힐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표시등 또는 LCD 표시와 같은 화재 수신기의 발광 수단의 휘도가 화재 수신기의 외부로부터 조정될 수 있으며, 더구나, 그 휘도조정 작업이 용이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 수신기가 일본인뿐만 아니라 외국인에 의해서도 조작되거나 감시되어야 하는 환경에 설치된 경우에, 화재 수신기의 표시 내용이 외국인 작업자에 의해서도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1)

  1. 발광 수단;
    화재 감지기와 같은 복수의 터미널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감시 제어하며, 상기 발광 수단을 점등시켜 상기 정보를 표시하는 감시 제어 수단; 및
    주위 환경의 밝기에 따라 상기 발광 수단의 휘도를 변경하는 휘도 변경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수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변경 수단은 수동 설정 스위치를 보유하며,
    상기 발광 수단의 휘도는 상기 수동 설정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수신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변경 수단은,
    주위 환경의 밝기를 감지하는 밝기 감지 수단; 및
    상기 밝기 감지 수단에 의해 감지된 밝기에 응답하여, 상기 발광 수단이 소정의 휘도를 갖도록 제어하는 휘도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수신기.
  4. 제 1 항에 있어서,
    화재 또는 고장 중의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비정상 그룹을 감지하는 감지 수단; 및
    상기 감지 수단이 비정상을 감지하면, 주위 환경의 밝기에 상관없이, 상기 휘도 변경 수단을 강제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발광 수단을 소정 밝기로 점등시키는 강제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수신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변경 수단은, 상기 발광 수단을 구동하는데 이용되는 펄스 제어 신호의 듀티비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발광 수단의 휘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수신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변경 수단은, 상기 발광 수단을 구동하는데 이용되는 직류 전압값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발광 수단의 휘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수신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수단은 발광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수신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수단은 백라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수신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수단이 부착될 평면 패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수신기.
  10. 발광 수단;
    사전에 설정된 복수의 언어들 중에서 하나의 언어를 선택하는 언어 설정 수단; 및
    화재 감지기와 같은 복수의 터미널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감시 제어하며, 상기 언어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언어로써 상기 정보를 표시용 수단에 표시하는 감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수신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복수의 터미널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가 복수의 언어들 각각으로 저장되어 있는 표시 항목 테이블을 더 구비하며,
    상기 감시 제어 수단은, 상기 표시 항목 테이블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표시용 수단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수신기.
KR1020020048911A 2001-08-22 2002-08-19 화재 수신기 KR1006010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51238 2001-08-22
JPJP-P-2001-00251237 2001-08-22
JP2001251238A JP2003067857A (ja) 2001-08-22 2001-08-22 火災受信機
JP2001251237A JP2003067859A (ja) 2001-08-22 2001-08-22 火災受信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7338A true KR20030017338A (ko) 2003-03-03
KR100601072B1 KR100601072B1 (ko) 2006-07-19

Family

ID=26620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8911A KR100601072B1 (ko) 2001-08-22 2002-08-19 화재 수신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58700B2 (ko)
EP (1) EP1288880B1 (ko)
KR (1) KR100601072B1 (ko)
CN (1) CN1407514A (ko)
NO (1) NO3310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219B1 (ko) 2021-07-05 2022-08-02 김경수 AIoT 화재수신기 시스템
KR20230066916A (ko) 2021-11-08 2023-05-16 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통신 모듈을 가진 화재 감시용 신호 수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19625B2 (en) * 2005-09-01 2012-11-27 Simplexgrinnell Lp Fire alarm textual notification related application
JP4740744B2 (ja) * 2006-01-12 2011-08-03 能美防災株式会社 防災システム
US8330625B2 (en) * 2007-03-30 2012-12-1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ircraft systems with flight management systems that display reports
JP2009086713A (ja) * 2007-09-27 2009-04-23 Brother Ind Ltd 携帯型無線タグ情報読み取り装置
US20100090856A1 (en) * 2008-10-10 2010-04-15 Juei-Chao Chen Emergency alarming apparatus
JP5896847B2 (ja) * 2012-07-05 2016-03-30 能美防災株式会社 火災受信機
US9728052B2 (en) 2013-04-22 2017-08-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igital signage system and emergency alerting method using same
CA3122468C (en) 2013-10-07 2023-10-17 Google Llc Smart-home hazard detector providing non-alarm status signals at opportune moments
KR102248897B1 (ko) 2020-07-14 2021-05-04 정종현 진동 감지 기능을 가지는 면진 화재 수신반
KR102353417B1 (ko) 2021-06-11 2022-01-20 주식회사 에스앤와이시스템 진동 감지 스마트 면진 장치
KR102537673B1 (ko) 2022-06-20 2023-05-30 주식회사 에스앤와이시스템 진동 감지 스마트 면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1511A (en) * 1968-02-05 1972-03-21 Stewart Warner Corp Traveling message display
JPS5683895U (ko) * 1979-12-01 1981-07-06
JPS6157814A (ja) * 1984-08-29 1986-03-24 Hitachi Ltd 電子計器盤
CN87213226U (zh) 1987-09-06 1988-03-30 周云正 亮度自动控制台灯
US4929936A (en) * 1988-03-21 1990-05-29 Home Security Systems, Inc. LED illuminated sign
US5057818A (en) * 1991-04-29 1991-10-15 Stellar Systems Incorporated Security map display and alarm monitor
KR940001567B1 (ko) * 1991-09-18 1994-02-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문자정보 다중 표시장치
JPH06196272A (ja) * 1992-12-25 1994-07-15 Kuroi Electric Ind Co 誘導灯装置
JPH07309171A (ja) * 1994-05-16 1995-11-28 Zexel Corp 車両用操作パネルの照明制御装置
US5675817A (en) * 1994-12-05 1997-10-07 Motorola, Inc. Language translating pager and method therefor
US5760760A (en) * 1995-07-17 1998-06-02 Dell Usa, L.P. Intelligent LCD brightness control system
US5933130A (en) * 1996-07-26 1999-08-03 Wagner; Roger Anti-eye strain apparatus and method
US6471087B1 (en) * 1997-07-31 2002-10-29 Larry Shusterman Remote patient monitoring system with garment and automated medication dispenser
JP2990129B2 (ja) * 1997-10-27 1999-12-13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選択呼出受信機
US6243068B1 (en) * 1998-05-29 2001-06-05 Silicon Graphics, Inc. Liquid crystal flat panel display with enhanced backlight brightness and specially selected light sources
KR100299759B1 (ko) 1998-06-29 2001-10-27 구자홍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상태 자동 조정 장치와 방법
CN2382076Y (zh) 1998-11-27 2000-06-07 营口报警设备总厂 火灾报警联动控制器
US6259981B1 (en) * 1999-06-17 2001-07-10 Thomas J. Wilcosky Caution/warning system for displaying system malfunctions/faults in a night-time viewing mode
KR200171993Y1 (ko) * 1999-09-03 2000-03-15 로얄정보기술주식회사 터널환경계측, 화재감시 및 조명제어 통합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219B1 (ko) 2021-07-05 2022-08-02 김경수 AIoT 화재수신기 시스템
KR20230066916A (ko) 2021-11-08 2023-05-16 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통신 모듈을 가진 화재 감시용 신호 수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20023936D0 (no) 2002-08-19
EP1288880A3 (en) 2003-10-29
EP1288880A2 (en) 2003-03-05
NO331056B1 (no) 2011-09-26
EP1288880B1 (en) 2014-07-16
KR100601072B1 (ko) 2006-07-19
US20030038726A1 (en) 2003-02-27
CN1407514A (zh) 2003-04-02
NO20023936L (no) 2003-02-24
US6958700B2 (en) 2005-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1072B1 (ko) 화재 수신기
US8255067B2 (en) Plant operation system
CN213935450U (zh) 动态和/或自适应逃生路径指示系统
US11935396B2 (en) Dynamic and/or adaptive signposting system
CN105404029B (zh) 预测测控装置液晶面板寿命的方法
KR20180082237A (ko) 선박용 항해등과 신호등 제어패널의 운용방법 및 장치
KR102516509B1 (ko) 다수의 가스 감지기들을 통합적으로 모니터링 및 관리하기 위한 장치
KR100725152B1 (ko) 등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등 제어방법
AU2020227099A1 (en) Emergency Escape Routing System
JP3380645B2 (ja) 火災受信機
CN100511353C (zh) 画面冻结检测器
JP2003067859A (ja) 火災受信機
CN102682581B (zh) 监控设备
JPH05298580A (ja) バックライト点灯制御が付加された液晶表示画面を有したセキュリティ表示装置
JPH11173895A (ja) ガスメータ
GB2426366A (en) Call point for an alarm system
JP4305912B2 (ja) P型火災報知設備
JP6917915B2 (ja) 防災監視システム用受信機
TR2023017105U5 (tr) Bi̇r hi̇droli̇k ve motor yakit gösterge bi̇ri̇mi̇
JPH0293686A (ja) 液晶照明の点灯方法
JPH1125378A (ja) 防災表示装置
JP2580060Y2 (ja) 火災報知装置
JP2002032877A (ja) 故障警報表示装置
JPH11327525A (ja) 表示装置
JPH0916859A (ja) 状態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