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0753A - 중추신경계 질환 및/또는 운동기관 손상의 후유증을 앓고있는 환자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중추신경계 질환 및/또는 운동기관 손상의 후유증을 앓고있는 환자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0753A
KR20030010753A KR1020027017486A KR20027017486A KR20030010753A KR 20030010753 A KR20030010753 A KR 20030010753A KR 1020027017486 A KR1020027017486 A KR 1020027017486A KR 20027017486 A KR20027017486 A KR 20027017486A KR 20030010753 A KR20030010753 A KR 20030010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flexible
module
correcting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7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2884B1 (ko
Inventor
안드레이이고르비치 아베리아노프
제니아알렉산드로브나 세메노바
비탈리빅토로비치 추구노프
Original Assignee
자크리토에 악치오네르노에 오브쉐스트보 나우치노-프로이즈보드스트베니 첸트르 오고네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크리토에 악치오네르노에 오브쉐스트보 나우치노-프로이즈보드스트베니 첸트르 오고네크 filed Critical 자크리토에 악치오네르노에 오브쉐스트보 나우치노-프로이즈보드스트베니 첸트르 오고네크
Publication of KR20030010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0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8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 Control Of Multiple Motor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제안된 장치는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한 개별 모듈(A, B, C, D)로 이루어진다. 제 1 모듈(A)은 제 1 단부(3)와 제 2 단부(5)를 갖는 2개의 공간적으로 만곡된 가요성 밴드(2)를 포함하는 리클라이너(1)이고, 상기 제 1 단부(3)는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 단부(5)는 각각의 밴드(2)에 고정되어서 환자의 어깨에 배열될 수 있는 2개의 스트랩을 형성한다. 제 2 모듈(B)은 사실상 수직 하중을 가하지 않고서 척추를 교정할 수 있는 교정 코르셋(6)이다. 제 3 모듈(C)은 고관절부 및 정강이를 교정하기 위한 수단(16)인데, 각각 무릎 관절의 위 아래에 고정되는 2개의 가요성 밴디지(17, 18)를 포함한다. 제 4 모듈(D)은 실질적으로 무릎 관절 및 발가락을 교정하기 위한 수단(21)이며 각각 발목과 발에 배열될 수 있는 제 1 가요성 벨트(22) 및 제 2 가요성 벨트(23)와 발가락-발바닥 요소(26)를 갖는다. 상기 장치는 상지를 교정하기 위한 수단(34)인 제 5 모듈(E)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발꿈치 관절의 위 아래에 각각 고정될 수 있는 2개의 공간적으로 만곡된 가요성 밴드(36), 및 손바닥에 고정될 수 있고 엄지손가락을 외전시킬 수 있는 가요성 손목관절 요소(38)를 갖는다. 각 모듈(A, B, C, D)은 독립적인 장치이다. 각 모듈(A, B, C, D)은 벨크로형 파스너를 사용하기에 적합한 보풀진 재료로 이루어진다. 연결 수단(41)을 이용하여 분리 가능하게 각 모듈(B, C, D 및 E, A)을 상호 연결할 수 있는 교정-회전 요소(33)가 존재하며, 상기 연결 수단(41)은 환자가 겪고 있는 병상에 따라 각 모듈(A, B, C, D)의 외표면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상기 벨크로형 파스너의 연결을 이룰 수 있는 결합 표면을 갖는다.

Description

중추신경계 질환 및/또는 운동기관 손상의 후유증을 앓고 있는 환자를 위한 장치 {DEVICE FOR USERS HAVING AFTER-TROUBLES RESULTING FROM DAMAGE TO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OR A LOCOMOTOR APPARATUS OF THE BODY}
질병의 치료는 고통받는 많은 환자들이 존재한다는 점뿐만 아니라 치료 방법의 품질과 관련해서도 절박한 문제이다.
현재까지 인간의 근골격계 중 다양한 부분의 운동 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한 용도로 다양한 장치들이 알려져 왔다.
예를 들어, 하지(lower extremity)의 병상(pathologies)을 치료하기 위해 지금까지 알려진 실질적으로 모든 정형 장치(금속-플라스틱 및 부목-가죽 양자 모두)는 근육의 기능을 보호하는 이른바 "외골격(exterior skeleton)" 및 상지(upper extremity) 및 하지 관절의 캡슐로리가멘토스 장치(capsuloligamentous apparatus)의 형태로서 나타난다. 미국 특허 5,658,242호에는 하지의 운동 기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요추부 지지 요소(lumbar supporting element; 밴디지)를 포함하는 장치가 설명되어 있는데, 지지 요소는 반발-탄성 브레이스(resilient-elastic brace)를 통해 발목 관절 및 고관절(hip-joint) 지지 밴디지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밴디지(bandage)는 강성 브레이스(rigid br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강성 브레이스는 무릎 관절 높이에서 그 중앙부분에 힌지 연결부를 가진다.
이 장치는 보행 시 하지 근육에서 오는 하중을 해소하여 외상이나 감염이 있는 환자 다리의 운동 기능을 일부 회복하는데 기여한다.
그러나 강성의 "외골격"을 사용하면 하지 근육이 약해지고 경하성(hypotrophy)이 생긴다.
상기 공지의 장치는 상지의 근골격계의 다양한 부분의 치료, 예를 들어 "(왼쪽/오른쪽) 상지 위의 언로딩 밴디지", "팔꿈치 밴디지", "팔목 밴디지", "엄지손가락 부목", "핸드 홀더(hand holder)"(Scientific-Production(SPC)에서 구할 수 있는 정형외과 장치 카탈로그, "Ogoniok", 모스크바, 1998, pp. 12, 13, 33(러시아어) 참조) 등의 치료가 이루어지는 동안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장치는 동시에 사용하기가 어려운데, 이는 이들은 각각 상지의 포셔니큘라 병상(portionicular pathologies)만을 위해 독립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환자 상지의 근골격계 전체를 회복시키기 위한, 자체 구성 장치(self-comprised device)는 알려져 있지 않다.
수술 사이(surgical intervention)의 요추 부상 후유증을 없애기 위해, 요추를 위한 교정 코르셋인 하나 이상의 종래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장치에는 길이방향 금속 삽입재(metallic inserts)가 제공되어 있다(Scientific-Production(SPC)에서 구할 수 있는 정형외과 장치 카탈로그, "Ogoniok", 모스크바, 1998, p. 29(러시아어) 참조). 어떤 질병에서는 상기 장치가 요추가 생리학적으로 적절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러나 전술한 장치들은 모두 구체적인 환자의 병을 치료하는 동안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데에만 적절하다. 이들 장치는 의학적 적용(medical indication)의 관점에서 결합되어 사용될 필요가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공동 사용의 가능성을 제공하지는 못한다.
자세 및 운동 활동(motor activity)의 장애(disturbance)가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장치에 대한 공지 문헌 중에는, 우선일이 1992년 1월 31일인 RF 특허 2,054,907호에 설명된 장치가 있는데, 이 장치는 상호 보완하는 운동 요소 및 동적 요소(mutually complementing locomotor and dynamic elements)가 구비된 조합체(suit)이다. 이 조합체의 운동 요소는 어깨, 골반, 무릎, 발, 팔꿈치, 팔 및 손가락 지지대이고 탄성 브레이스(elastic braces)인 동적 요소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데, 탄성 브레이스는 균형 잡힌 하중을 형성하고 이 하중이 환자의 자세를 교정한다. 브레이스들은 그 단부 하나를 하나의 운동 요소에 인장 조정기(tension adjuster)를 통해 연결하고 다른 단부를 다른 운동 요소에 고정 연결함으로써 두 개의 지지재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연결함으로써, 탄성 브레이스의 위치는 환자의 몸체에 대해, 미리 선택된 방향, 및 환자 몸체의 앞, 옆 및 뒤쪽을 향한 포셔니큘라를 따라 제공된다. 이러한 탄성 브레이스의 위치는 환자의 병상에 맞추기 위해 바뀌지 않아도 된다. 환자의 교정 자세를 바꿀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다른 유사한 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장치는 환자 병을 교정하는데 따라 형성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장치는 기능이 제한된다.
이 장치의 어깨 지지대는 그 위에 탄성 브레이스를 고정시키기 위한 상부 조임 요소(upper fastening element)의 기능 및 조합체의 상부 지지 요소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둔부 지지재는 중간 지지-고정 요소(intermediate supporting-bracing element)의 기능을 하며, 척추에 대해 하중을 가한다; 피드 지지재(feed supports)는 발목 위의 밴디지, 발의 장심(arch) 밑의 장구(harness), 발 앞부분 밑의 장구이며, 그 위에 조합체의 하부 지지 요소의 탄성 브레이스를 고정하기 위한 하부 조임 요소의 기능을 수행하며, 환자 몸체에 하중을 가한다; 팔꿈치 및 무릎 지지재는 중간 고정 지지재의 기능을 수행하며, 이들은 각각 팔꿈치/무릎 관절을 단단히 둘러싸는 밴디지이며, 관절의 움직임을 상당히 제한한다.
이러한 장치는 모멘트를 발생시킴과 함께 원하는 위치에 관절을 고정시키는데, 이에 따라 사지 및 몸통(trunk) 모두의 굴곡(flexion), 신전(extension), 회전, 내전(adduction), 외전(abduction)이 촉진된다.
그러나 전술한 공지 탄성 브레이스 장치는 전체 조합체만을 위한 운동 구조를 형성하는데, 이는 탄성 브레이스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대응 관계가 있을 경우에만 환자에게 교정 작용을 제공하며, 이는 대응되는 각 브레이스가 그에 대응되는 운동 요소의 단부 중 하나에 연결되는 고정된 특성(fixed character)에 의해 탄성 브레이스의 설정 방향이 제한되어 범용 작동 장치(universal functional device)로서 제공될 가능성이 배제되기 때문이다. 범용 작동 장치는, 근골격계의 한 부분의 장애를 포함, 다양한 운동기관 장애가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데 적합하다.
더욱이 앞서 설명한 장치들은 훨씬 큰 흉근의 병리적 과긴장(pathological hypertonus)을 감소시키기 위한 조건을 제공하지 못하며, 따라서 상지 및 하지 근육의 병리적 통합 효과(pathological synergy)를 감소시키지 못한다.
더욱이 공지 장치를 사용하는 동안 수작업 치료 과정에서 요골쪽손목관절(radiocarpal joint) 부위의 탄성 브레이스의 고정이 제외되는 동안, 팔꿈치 운동 요소는 환자 팔의 팔꿉관절에서의 굴곡을 제한하며 생리적 굴곡 각도(physiological angle of flexure) 증가를 제한하는데, 엄지손가락의 외전 브레이스가 손에 부여된(dosed) 굴곡 및 신전이 없는 것을 보상할 수 없기 때문이다.
중추신경계 부상의 후유증을 포함 운동 기관에 질환이 있는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다른 장치(우선일이 1998년 9월 15일인 RF 특허 2,131,232호 참조)도 현재 공지되어 있다. 여기 공지된 장치는 상호 보완적인 요소들로 이루어지는 조합체로서, 환자 몸의 상체를 위한 리클라이너(recliner)로서, 흉부 및 견갑대(shoulder girdle)용 지지 세팅 밴디지(supporting-setting bandage)이며, 이 밴디지가 제7경추로부터 환자 견갑골의 아래쪽 경계부까지의 거리보다 높이가 짧지 않고 견갑골의 중간 부분을 묶는 수직선 사이의 거리보다 폭이 좁지 않은 밴디지인 리클라이너; 상부 견갑대를 위한 지지 세팅 밴디지로서, 환자의 상부 견갑대 및 어깨 관절의 인체계측 규격(anthropometric dimension)에 대응되는 삼각형 펠트(pelt)인 상부 견갑대를 위한 지지 세팅 밴디지; 허리 지지 세팅 밴디지로서, 다른 지지 세팅 밴디지 요소에의 상호 고정을 위한 장치가 구비된 벨트인 허리 지지 세팅 밴디지; 슬개골 및 슬와 지지대 형태의 하지를 위한 지지 세팅 밴디지, 각 발의 앞부분을 위한 밴디지, 각 발목 관절 및 각 발톱 부분(calcareal region)을 위한 밴디지를 포함한다.
신체의 흉부 및 견갑대를 위한 지지 세팅 밴디지는 흉추(thoracic spine)의 근육을 리클라이닝하여, 지지 세팅 요소의 기능을 수행하며, 견갑대를 위한 밴디지에의 연결에 의해 하나의 가요성 카르카스(carcasses)를 형성하는데 포셔니시페이트(portionicipates)한다. 상기 리클라이너는 반사 하중형 교정 장치(correct device of a reflex-loading type)로서 작동하며, 단일 가요성 카르카스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세팅 요소이다.
상부 견갑대를 위한 지지 세팅 밴디지는 조임요소를 거기에 고정하여 환자의 몸통 및 하지를 위한 가요성 카르카스를 형성하는 기능을 한다.
허리 지지 세팅 밴디지는 지지 세팅 요소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이 지지 세팅 요소에는 가요성 브레이스가 고정된다. 이는 몸통과 하지를 위한 단일 가요성 카르카스를 형성하는데 포셔니시페이트한다.
하지를 위한 지지 세팅 밴디지는 하지에 교정 회전 요소를 고정시키며 환자의 하지 및 신체를 위한 단일 가요성 카르카스를 형성하는데 포셔니시페이트하기에 적합하다. 슬개골은 둔부 관절에 대한 무릎 관절의 위치를 교정하는데 사용되며, 슬와 지지재(popliteal supports)는 발 및 발목 관절을 추가로 교정하는데 사용된다. 슬개골 및 슬와 지지재는 동시에 사용되지 않는다.
각 발의 앞부분을 위한 밴디지, 각 발목 관절 및 각 발톱 부위(calcareal region)를 위한 밴디지는 발목 관절 및 발 영역 내에 단일 가요성 카르카스를 형성하기 위한 지지 세팅 요소이다.
장치의 모든 구성요소는 환자의 몸체와 사지를 위한 가요성 카르카스를 형성하는 길이방향 고정재(조임부재)에 의해, 그리고 교정 회전 요소의 기능을 수행하는 탄성 브레이스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탄성 브레이스의 크기 및 설치 장소는 환자의 생리적 통합효과 및 근육 통합효과에 적합하게 되도록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환자의 경부 대칭 긴장성 반사(cervical symmetric tonic reflex) 및 미로 긴장 반사(labyrinth tonic reflex) 효과를 순간적으로 약화시키거나 제거하는데, 이는 환자의 상완 관절(humeral articulations)을 보다 완전히 드로잉 어포션(drawing aportion)하고 이러한 위치에 부착시키기 위한 조건을 제공하는데 따른다. 이는 상부 견갑대를 위한 지지 세팅 밴디지, 몸통의 흉부를 위한 리클라이너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더욱이 여기서 제안된 공지 장치의 상기 구성요소의 실시예는 RF 2,054,907호에 개시된 장치에 비교할 때, 척추에의 하중 효과를 다소 감소시키며, 이는 곧 환자의 운동 및 인대 장치를 위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장치는 조합체가 전체로서 사용될 때만 효과가 있다. 환자 근골격계의 특정 부위만을 치료하고자 할 때에도 장치를 전체로서 사용할 필요가 있는 반면, 근골격계의 부상당한 부위에 해당되는 지지 세팅 밴디지 형태의 부품만을 사용하면 치료 효과가 없는데, 이는 장치 전체를 사용하지 않으면, 교정에 필요한 교정 회전 요소의 조임력(tightening force)을 발생시켜 교정이 될 수 있게 하는 것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 중추신경계 및 운동기관 질환의 후유증으로 고생하는 환자를 위한 이제까지 공지된 모든 장치는, 대부분의 경우 환자가 척수골에 병이 있는 점을 고려할 때, 가능한 변형 효과에 대한 실제적 보상(real compensation) 없이 척수골(spinal column)의 모든 부분에 대해 어느 정도의 현저한 하중을 가하는 동력 전달체인(power-transmission chain)으로 간주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료 분야에 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앙 신경 시스템 감염 및/또는 운동기관 부상의 후유증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예의 다음 설명으로부터 가장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도시하는 등축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도시하는 등축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도시하는 등축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도시하는 등축도이며,
도 5는 하지(lower extremities)의 장애를 갖는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도시하는 등축도이며,
도 6은 상지(upper extremities)의 장애를 갖는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도시하는 등축도이며,
도 7은 견대 근육(muscle of shoulder girdle)의 장애를 갖는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도시하는 등축도이며,
도 8은 교정-회전 요소(correcting-rotating element)를 소정의 모듈의 외면에 고정시키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등축도이며,
도 9는 그 길이를 변경시키는 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회전 요소를 도시하는 등축도이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중추신경계 질환 및/또는 운동기관 부상의 후유증으로 고통받는 환자를 위한 범용 모듈식 장치(universal modular device)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러한 모듈은, 환자 근골격계의 질환 부위를 치료하는데 독립적으로 사용되어 환자 척추를 어떤 하중도 가하지 않으면서 교정된 상태로 고정하며, 정지 및 운동 시 모두에 환자 신체의 생리학적 자세를 교정하며, 병적 반사(pathological reflexes)를 감소시키고, 환자 운동을 정규화(normalizing)할 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것에 가까운 운동 패턴을 형성시키기에 적합하다.
전술한 목적은, 견대를 외전시키고 견갑골을 척추로 내전시키도록 환자의 상체에 위치된 리클라이너와, 환자의 요추부위에 위치되어 환자 신체의 중간부위를 교정하는 수단과, 고관절부와 정강이를 소정 위치로 고정 가능하게 고관절부 및 정강이를 교정하는 한 개 이상의 수단과, 발목 관절에 대하여 발을 고정시킬 수 있는, 발목 관절 및 발가락을 교정하는 한 개 이상의 수단과, 다수개의 교정-회전 요소와, 다수개의 연결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중추신경계 질환 및/또는 그 운동기관 손상의 후유증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장치의 구성요소들이 환자 신체의 특정 부위를 감싸는 별개의 모듈로 형성되고, 상기 각 모듈은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리클라이너가 사실상 제 1 모듈이고; 환자 신체의 중간부위를 교정하는 상기 수단이 사실상 수직 하중을 가하지 않고 척추를 교정할 수 있는 제 2 모듈이고; 고관절부 및 정강이를 교정하는 상기 한 개 이상의 수단이, 무릎 관절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고관절부와 정강이를 소정 위치로 고정할 수 있는 제 3 모듈이고; 발목 관절 및 발가락을 교정하는 상기 한 개 이상의 수단이 사실상, 발목 관절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전두평면 및 시상면에서 발목 관절에 대하여 발을 고정시킬 수 있는 제 4 모듈이고; 각 모듈의 외표면이 벨크로 파스너를 이용할 수 있는 보풀진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교정-회전 요소가 상기 제 2, 제 3 및 제 4 모듈을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속적으로 결합시키고; 각 교정-회전 요소는 환자의 이동시 환자의 동작을 교정할 수 있도록 5 내지 50%의 연실율을 갖는 탄성재료로 된 밴드로서 상기 제 2, 제 3, 및 제 4 모듈 각각에 대한 각 연결 위치에서 상기 교정-회전 요소의 조임을 조절할 수 있는 다수개의 연결 수단을 가지며, 상기 각 연결 수단은 환자가 앓고 있는 병상에 따라 상기 제 2, 제 3 및 제 4 모듈 각각의 외표면에 대해 상기 외표면의 임의의 부위에 벨크로 파스너 형태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는 결합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및/또는 그 운동기관 손상의 후유증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편의상, 각각의 교정-회전 요소는 길이를 변경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다.
상기 리클라이너는 제 1 가요성 밴드 및 제 2 가요성 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가요성 밴드는 제 1 스트랩과 제 2 스트랩이 형성될 수 있는 루프 형태로 공간적으로 만곡되어 있어서 각각의 환자의 어깨 관절을 감쌀 수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가요성 밴드의 제 1 단부들 사이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게 상기 제 1 단부를 상호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상호작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상호작용 수단은 환자의 등쪽에 배치되는 반면에, 상기 제 1 및 제 2 가요성 밴드의 제 2 단부들은 상기 상호작용 수단 근처에서 상기 각각의 제 1 및 제 2 가요성 밴드에 고정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장치는 상기 리클라이너와 환자의 등 사이의 견갑골 영역에서 환자의 등부분을 덮는 탄성 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 판의 외표면은 상기 리클라이너의 제 1 및 제 2 밴드에의 연결을 위한 벨트로형 파스너에 사용되도록 보풀진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각각의 밴드의 내측면은 상기 탄성 판의 외표면에의 연결을 위한 벨크로형 파스너에 사용되도록 결합표면을 가지며 상기 탄성 판의 하부에는 상기 제 2 모듈에의 열결을 위한 연결 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자의 중간부위를 교정하는 수단은 수직하중의 부여없이 척추 교정을 제공하는 프로파일 형체를 갖춘 코르셋을 포함하며, 상기 코르셋의 제 1 부분은 환자의 허리영역에 있는 몸체를 감싸며 환자 몸체 상의 일부분을 횡으로 고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반면에, 상기 코르셋의 제 2 부분은 상기 견갑골 영역에 있는 환자의 등을 덮는 것이 유리하다.
환자의 중간부위를 교정하는 수단은 수직하중의 부여없이 척추 교정을 제공하는 프로파일 형체를 갖춘 코르셋을 포함하며, 상기 코르셋은 환자의 허리영역에 있는 몸체를 감싸며 환자 몸체 상의 일부분을 횡으로 고정하는 수단 및 상기 탄성 판의 연결수단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편리하다.
상기 고관절과 발목관절을 교정하는 수단은 제 1 가요성 밴디지와 제 2 가요성 밴디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가요성 밴디지는 환자의 하지를 무릎 위아래에서 감싸며, 대향하는 종방향 엣지가 슬와부에서 연결되는 각각의 가요성 밴디지의 한 단부에 제공된 파스너를 사용하여 간극을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발목 관절과 발가락을 교정하는 수단은 발목을 감싸며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상기 가요성 벨트를 발목에 고정하는 상호작용 수단을 한 단부에 갖는 제 1 가요성 벨트와, 종방향의 족저궁의 영역에서 발을 감싸며, 발목의 양측면에서 제 1 가요성 벨트에 부착되는 단부들을 갖춘 제 2 가요성 벨트와, 상기 발가락의 영역에서 발을 감싸도록 서로를 향해 공간적으로 만곡되어 있는 3 개의 단부를 갖춘 십자형 발가락-발바닥 요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3 개의 단부들은 파스너를 통해 상호연결되는 반면에, 상기 발가락-발바닥 요소의 제 4 단부는 비어 있으며 전체 길이를 따라 발 아래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각각의 제 1 및 제 2 가요성 벨트를 상기 발가락 영역에서 발가락-발바닥 요소에 대해 간극을 조절할 수 있게 연결하는 두 개의 탄성 브레이스가 제공되는 것이 유용하다.
상기 장치는 교정-회전 요소를 대응 모듈에 상호연결하는 세팅-연결수단을더 포함하며, 상기 수단 각각은 하나 이상의 벨트 루프를 가지고 두 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층 중 제 1 층은 벨크로형 파스너에 사용되도록 보풀 형성된 재료로 이루어진 외표면을 갖는 한편, 제 2 층의 외표면은 벨크로형 파스너에 사용될 수 있는 결합 표면이고, 상기 교정-회전 요소 각각에 제공되어 있는 상기 연결 수단 각각은 벨크로형 파스너에 사용될 수 있는 보풀 형성된 표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치는 상지를 교정하는 하나 이상의 수단으로서의 제 5 모듈, 및 상기 제 5 모듈을 상기 제 1 모듈에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교정-회전 요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5 모듈은 환자의 견부 및 팔뚝을 소정위치에 고정하여 자유로운 팔꿉관절의 운동을 제공하며, 상기 제 5 모듈의 외표면은 벨크로형 파스너에 사용되도록 보풀 형성된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교정-회전 요소는 5 내지 50%의 연신율을 갖는 탄성 재료로 제조된 밴드로서 제공되어 상지의 운동시에 동작을 교정하며, 상기 교정-회전 요소에는 상기 제 1 모듈 및 제 5 모듈에 대한 연결 지점에서 상기 요소의 조임을 조절하는 다수의 연결 수단, 및 환자가 앓고 있는 병상에 따라 상기 제 1 모듈 및 제 5 모듈의 외표면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벨크로형 파스너에 사용되는 결합 표면이 제공되는 것이 편리하다.
상지를 교정하기 위한 수단의 교정-회전 요소에는 길이를 변화시키는 수단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지를 교정하기 위한 수단은 공간적으로 만곡된 제 1 가요성 밴드 및 제 2 가요성 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가요성 밴드는 각각 팔뚝 관절위 아래에서 상지를 감싸며, 각각의 가요성 밴드의 한 단부에 제공된 파스너에 의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되며, 상기 가요성 밴드는 대향하는 종방향 엣지에 의해 팔꿈치 안쪽 영역에서 상호연결되며, 상기 상지를 교정하기 위한 수단에는 환자의 손바닥에 고정되어 엄지손가락을 외전시키도록 인간공학적으로 채택된 가요성 V형 손목관절 요소, 및 상기 가요성 손목관절 요소를 환자의 손에 상기 손목관절 요소의 조임력을 조절할 수 있게 고정하는 수단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가요성 손목관절 요소는 하나 이상의 탄성 브레이스를 통해서 상기 제 2 가요성 밴드에 연결되며, 상기 가요성 손목관절 요소와 상기 제 2 가요성 밴드에 대한 상기 브레이스의 연결 위치에서 상기 브레이스의 조임을 조절하는 다수의 연결수단이 상기 탄성 브레이스의 단부에 제공되는 것이 유리하다.
여기에 제시된 장치에 관한 전술한 구조적 배열은 환자의 근골격계 또는 중추신경계 중 적당한 장애 부위를 치료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개별적인 모듈을 갖는 범용 모듈식 장치를 제공한다.
더욱이, 상기 장치는 환자의 척추에 수직 하중을 가하지 않고서 교정 위치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정지시 및 운동시에 환자의 올바른 생리학적 공간 자세를 복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생리학적 반사를 감소시키고, 환자의 동작을 정규화시키며, 정상적인 동작 패턴에 근접한 동작 패턴을 발달시킬 수 있다.
상기 각 모듈들은 전술된 것과는 구조가 다를 수도 있으며 유사한 목적에 적절하게 다른 여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목적은, 견대를 외전시키고 견갑골을 척추로 내전시키도록 환자의 상체에 위치된 리클라이너와, 환자의 요추부위에 위치되어 환자 신체의 중간부위를 교정하는 수단과, 고관절부와 정강이를 소정 위치로 고정 가능하게 고관절부 및 정강이를 교정하는 한 개 이상의 수단과, 발목 관절에 대하여 발을 고정시킬 수 있는, 발목 관절 및 발가락을 교정하는 한 개 이상의 수단과, 다수개의 교정-회전 요소와, 다수개의 연결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중추신경계 질환 및/또는 그 운동기관 손상의 후유증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장치의 구성요소들이 환자 신체의 특정 부위를 감싸는 별개의 모듈로 형성되고, 상기 각 모듈은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리클라이너가 사실상 제 1 모듈이고, 상기 제 1 모듈은 제 1 가요성 밴드 및 제 2 가요성 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들 각각은 제 1 스트랩 및 제 2 스트랩이 형성되도록 루프 형태로 공간적으로 만곡되어서 각각이 환자의 각 어깨관절을 감싸고 상기 제 1 및 제 2 가요성 밴드의 제 1 단부들을 서로간의 간격이 조절 가능하게 상호 연결할 수 있는 상호작용 수단을 가지며, 상기 수단은 환자의 등에 배열되는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가요성 밴드의 제 2 단부들이 상기 상호작용 수단 근방에서 각각 제 1 및 제 2 가요성 밴드에 고정되고, 환자 신체의 중간부위를 교정하는 상기 수단이 사실상 수직 하중을 가하지 않고 척추를 교정할 수 있는 제 2 모듈이고, 상기 제 2 모듈은 수직 하중을 가하지 않고 척추 교정을 제공하는 프로파일 형체를 갖는 코르셋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코르셋의 제 1 부분은 환자 신체의 요추부위를 둘러싸고 상기 제 1 부분을 환자의 신체에 가로로 고정시키는 수단을 가지는 한편, 상기 코르셋의 제 2 부분은 환자의 등에서 견갑골 부위를 감싸며; 고관절부 및 정강이를 교정하는 한 개 이상의 수단이, 무릎 관절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고관절부와 정강이를 소정 위치로 고정할 수 있는 제 3 모듈이고, 상기 제 3 모듈은 제 1 가요성 밴디지 및 제 2 가요성 밴디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들은 환자의 하지를 무릎 관절 아래 위로 각각 둘러싸고, 슬와부에서 대향 종방향 엣지끼리 연결된 상기 가요성 밴디지 각각의 한 단부에 제공된 파스너를 이용하여 간격을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발목 관절 및 발가락을 교정하는 한 개 이상의 수단이, 발목 관절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전두평면 및 시상면에서 발목 관절에 대하여 발을 고정시킬 수 있는 제 4 모듈이고, 상기 제 4 모듈은, 발목을 감싸며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발목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상호작용 수단을 한 단부에 가지는 제 1 가요성 벨트와; 발을 종방향의 족저궁 부위에서 둘러싸며 단부들이 양쪽 발목 측면에서 상기 제 1 가요성 벨트에 부착된 제 2 가요성 벨트와; 발가락 부위에서 발을 둘러싸도록 서로를 향해 공간적으로 만곡된 3개의 단부를 갖는 십자형 발가락-발바닥 요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단부는 파스너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 한편, 제 4 단부는 비어있고 발 밑에서 전체 길이를 따라 배열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가요성 벨트 각각을 발가락 부위에서 상기 발가락-발바닥 요소에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2개의 탄성 브레이스가 제공되며; 각 모듈의 외표면이 벨크로 파스너 형태의 연결을 이용할 수 있는 보풀진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교정-회전 요소가 상기 제 2, 제 3 및 제 4 모듈을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속적으로 결합시키고; 각 교정-회전 요소는 환자의 이동시 환자의 동작을교정할 수 있도록 5 내지 50%의 연실율을 갖는 탄성재료로 된 밴드로서 상기 제 2, 제 3, 및 제 4 모듈 각각에 대한 각 연결 위치에서 상기 교정-회전 요소의 조임을 조절할 수 있는 다수개의 연결 수단을 가지며, 상기 각 연결 수단은 환자가 앓고 있는 병상에 따라 상기 제 2, 제 3 및 제 4 모듈 각각의 외표면에 대해 상기 외표면의 임의의 부위에 벨크로 파스너 형태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는 결합 표면을 갖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교정-회전 요소는 길이를 변경시키는 수단을 갖는 것이 편리하다.
상기 장치는, 상지를 교정하는 하나 이상의 수단으로서의 제 5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5 모듈은 환자의 견부 및 팔뚝을 소정위치에 고정하여 자유로운 팔꿉관절의 운동을 제공하며, 상기 제 5 모듈의 외표면은 벨크로형 파스너에 사용되도록 보풀 형성된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상지를 교정하기 위한 수단은 공간적으로 만곡된 제 1 가요성 밴드 및 제 2 가요성 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가요성 밴드는 각각 팔뚝 관절 위 아래에서 상지를 감싸고 각각의 가요성 밴드의 한 단부에 제공된 파스너에 의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되며, 상기 가요성 밴드는 대향하는 종방향 엣지끼리 팔꿈치 안쪽 영역에서 상호연결되며, 상기 상지를 교정하기 위한 수단에는 환자의 손바닥에 고정되어 엄지손가락을 외전시키도록 인간공학적으로 채택된 가요성 V형 손목관절 요소, 및 상기 가요성 손목관절 요소를 환자의 손에 상기 손목관절 요소의 조임력을 조절할 수 있게 고정하는 수단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가요성 손목관절 요소는 하나 이상의 탄성 브레이스를 통해서 상기 제 2 가요성 밴드에 연결되며, 상기 가요성 손목관절 요소와 상기 제 2 가요성 밴드에 대한 상기 브레이스의 연결 위치에서 상기 브레이스의 조임을 조절하는 다수의 연결수단이 상기 탄성 브레이스의 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제 5 모듈에는 제 5 모듈을 상기 제 1 모듈에 서로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교정-회전 요소도 제공되며, 상기 교정-회전 요소는 5 내지 50%의 연신율을 갖는 탄성 재료로 제조된 밴드로서 제공되어 상지의 운동시 동작을 교정하며, 상기 교정-회전 요소에는 상기 제 1 모듈 및 제 5 모듈에 대한 연결 지점에서 상기 요소의 조임을 조절하는 다수의 연결 수단, 및 환자가 앓고 있는 병상에 따라 상기 제 1 모듈 및 제 5 모듈의 외표면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벨크로형 파스너에 사용될 수 있는 결합 표면이 제공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상지를 교정하기 위한 수단의 교정-회전수단은 길이를 변화시키는 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은, 견대를 외전시키고 견갑골을 척추로 내전시키도록 환자의 상체에 위치된 리클라이너와, 환자의 요추부위에 위치되어 환자 신체의 중간부위를 교정하는 수단과, 고관절부와 정강이를 소정 위치로 고정 가능하게 고관절부 및 정강이를 교정하는 한 개 이상의 수단과, 발목 관절에 대하여 발을 고정시킬 수 있는, 발목 관절 및 발가락을 교정하는 한 개 이상의 수단과, 다수개의 교정-회전 요소와, 다수개의 연결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중추신경계 질환 및/또는 그 운동기관 손상의 후유증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상기 장치의 구성요소들이 환자 신체의 특정 부위를 감싸는 별개의 모듈로 형성되고, 상기 각 모듈은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리클라이너가 사실상 제 1 모듈이고, 상기 제 1 모듈은 제 1 가요성 밴드 및 제 2 가요성 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들 각각은 제 1 스트랩 및 제 2 스트랩이 형성되도록 루프 형태로 공간적으로 만곡되어서 각각이 환자의 각 어깨관절을 감싸고 상기 제 1 및 제 2 가요성 밴드의 제 1 단부들을 서로간의 간격이 조절 가능하게 상호 연결할 수 있는 상호작용 수단을 가지며, 상기 수단은 환자의 등에 배열되는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가요성 밴드의 제 2 단부들이 상기 상호작용 수단 근방에서 각각 제 1 및 제 2 가요성 밴드에 고정되고, 환자 신체의 중간부위를 교정하는 상기 수단이 사실상 수직 하중을 가하지 않고 척추를 교정할 수 있는 제 2 모듈이고, 상기 제 2 모듈은 수직 하중을 가하지 않고 척추 교정을 제공하는 프로파일 형체를 갖는 코르셋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코르셋의 제 1 부분은 환자 신체의 요추부위를 둘러싸고 상기 제 1 부분을 환자의 신체에 가로로 고정시키는 수단을 가지는 한편, 상기 코르셋의 제 2 부분은 환자의 등에서 견갑골 부위를 감싸며; 고관절부 및 정강이를 교정하는 한 개 이상의 수단이, 무릎 관절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고관절부와 정강이를 소정 위치로 고정할 수 있는 제 3 모듈이고, 상기 제 3 모듈은 제 1 가요성 밴디지 및 제 2 가요성 밴디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들은 환자의 하지를 무릎 관절 아래 위로 각각 둘러싸고, 슬와부에서 대향 종방향 엣지끼리 연결된 상기 가요성 밴디지 각각의 한 단부에 제공된 파스너를 이용하여 간격을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발목 관절 및 발가락을 교정하는 한 개 이상의 수단이, 발목 관절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전두평면 및 시상면에서 발목 관절에 대하여 발을 고정시킬 수 있는 제 4 모듈이고, 상기 제 4 모듈은, 발목을 감싸며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발목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상호작용 수단을 한 단부에 가지는 제 1 가요성 벨트와; 발을 종방향의 족저궁 부위에서 둘러싸며 단부들이 양쪽 발목 측면에서 상기 제 1 가요성 벨트에 부착된 제 2 가요성 벨트와; 발가락 부위에서 발을 둘러싸도록 서로를 향해 공간적으로 만곡된 3개의 단부를 갖는 십자형 발가락-발바닥 요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단부는 파스너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 한편, 제 4 단부는 비어있고 발 밑에서 전체 길이를 따라 배열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가요성 벨트 각각을 발가락 부위에서 상기 발가락-발바닥 요소에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2개의 탄성 브레이스가 제공되며; 상기 장치는 상지를 교정하기 위한 한 개 이상의 수단인 제 5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교정 수단은 팔꿉관절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소정의 위치에서 환자의 어깨와 팔뚝을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상지 교정 수단은 공간적으로 만곡된 제 1 가요성 밴드 및 공간적으로 만곡된 제 2 가요성 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들은 각각 팔꿉관절의 위 아래에서 상지를 둘러싸고, 팔꿈치 안쪽부위에서 대향 종방향 엣지끼리 연결된 상기 가요성 밴디지 각각의 한 단부에 제공된 파스너를 이용하여 간격을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또한 환자의 손바닥에 인체공학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엄지손가락을 외전시키기 위한 가요성의 V자형 손목관절 요소, 및 상기 가요성 손목관절 요소의 조임을 조절 가능하게 이를 환자의 손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가요성 손목관절 요소는 한 개 이상의 탄성 브레이스에 의해 상기 제 2 가요성 밴드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가요성 손목관절 요소와 상기 제 2 가요성 밴드에 대한 상기 탄성 브레이스의 연결부위에서 탄성 브레이스의 조임을 조절할 수 있는 다수개의 연결 수단이 상기 탄성 브레이스의 단부들에 제공되며; 각 모듈의 외표면이 벨크로 형태의 파스너를 이용할 수 있는 보풀진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교정-회전 요소가 상기 제 2, 제 3 및 제 4 모듈을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속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제 1 모듈 내지 제 5 모듈을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속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각 교정-회전 요소는 환자의 이동시 환자의 동작을 교정할 수 있도록 5 내지 50%의 연실율을 갖는 탄성재료로 된 밴드로서 상기 각 모듈 대한 각각의 연결 위치에서 상기 교정-회전 요소의 조임을 조절할 수 있는 다수개의 연결 수단을 가지며, 상기 각 연결 수단은 환자가 앓고 있는 병상에 따라 상기 모듈의 외표면에 대해 상기 외표면의 임의의 부위에 벨크로 파스너 형태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는 결합 표면을 갖는, 중추신경계 질환 및/또는 그 운동기관 손상의 후유증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교정-회전 요소가 자체 길이를 변동시키는 수단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은 환자의 척추를 교정된 위치에 고정시키고, 마비성 척추만곡(paralytic scoliosis), 쇼이어만-마우 질병(Sheuermann-Mau disease), 척추골 몸통(vertebral bodies)의 외상성 상해(traumatic injury), 일반적인 "굽은" 등의 경우, 영아성 뇌성 마비(infantile cerebral paralysis), 척추의 골연골증(osteochondrosis), 및 다른 유사한 질병을 갖는 환자의 치료 중에 언로딩및 견인을 위한 조건을 제공한다.
척추에 하중을 가하지 않고 기계적 견인 교정을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견대를 외전(abduct)시킴으로 인한 긴장성 반사 작용을 제거하는데 기여하고 그 위치에서 그들을 안정하게 고정시킨다. 본 발명은 흉근과 요대 및 견대의 근육의 병적 긴장 반사와, 하지의 긴장 반사를 감소시키고 그러므로 정지 및 이동 중에 어깨, 팔꿈치, 요골수근골, 엉덩이, 무릎, 및 발목 관절 및 발의 관절에 상지 및 하지의 최고 치료 위치를 위치시키고 고정시키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근육 긴장의 표준화와 근육힘의 증가 및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모의 시험 결과로서 인정되는 유지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환자 몸체용 단일 가요성 카르카스(carcass)를 제공하지 않아서 단일 가요성 카르카스가 제공될 때의 전술한 모든 부정적인 결과를 제거한다.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각각의 모듈은 그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작용하고,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리클라이너는 교정 자세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고,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교정 코르셋은 척추에 하중을 가하지 않고 엉덩이 및 정강이용의 복잡한 밴디지 없이 척추의 교정을 제공하며 본 발명에 따른 발목 관절 및 발가락용 교정 장치는 동시에 공지된 다른 교정 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기능적 성능을 확장하고 특히 예를 들어, 상지 내의 경직성 근육 긴장(spastic muscular tonus)과 관련된 영아성 뇌성 마비 또는 뇌졸중(cerebro-vascular accident)을 입은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교정-회전 요소에 의해 제 1 모듈에 연결된 제 2 모듈을 갖는다
제 5 모듈의 구성 배치로 인해 동시에 전체 상지의 병을 교정하고, 또한 팔꿉관절(elbow joint)의 이동 자유도를 보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기능적 성능을 확장하고 특히 예를 들어, 두괴 외상(craniocerebral injury) 또는 척추의 다양한 부분의 외상을 입은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장치는 흉골 부위에 위치된 수단, 및/또는 치골 부위에 위치된 수단, 및/또는 경추(cervical spine)를 교정하기 위한 장치인 수단을 가질 수도 있다. 각각의 교정-회전 요소의 길이를 변경시키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상이한 연령대의 환자를 위한 동일한 장치를 사용하고, 상기 장치의 사용 중에 하중을 증감할 수 있다.
리클라이너 밴드(recliner band)는 조끼(vest)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폭을 포함하는 다양한 폭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구성 부품의 외면은 벨크로 파스너(Velcro fastner)의 제 1 면에 대응하는 재료로 제조되고, 각각의 파스너 요소는 사실 벨크로 파스너의 결합 면(mating surface)인 면을 갖는다.
상기 구성의 해결책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많은 성능에 첨가되고 매우 많은 병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며,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질병의 치료 과정 및 치료 효과의 유무에 따라 장치를 제거하지 않고 치료 과정에서 소정의 모듈 및 그 요소의 위치를 서로에 대해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동일한 장치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기능적 성능을 상당히 확장시키는 소정의 다른 유사한 장치에 호소하지않고 치료 과정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예를 들어 발가락 또는 팔의 손가락, 또는 목, 또는 머리의 위치를 교정하도록 구성된 다른 공지된 정형 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척추에 인가된 하중의 감소와 상지 및 하지에 가해진 진행중인 비례 교정 하중의 조합으로 구성된 복잡한 교정을 가능케 한다.
중추 신경계의 질환 및/또는 운동기관 손상의 결과로 고통받는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개개 모듈(A, B, C, D, E, 도 1, 도 2, 도 3 및 도 4 참조)로 구성되고 개별적인(자율적인) 용도로 구성되며, 환자 몸체(환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용 단일 가요성 카르카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에서 환자가 고통받는 병(pathology)에 따라 상기 모듈의 다양한 조합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한 치료 과정에서 모듈의 상호 위치가 변경되거나 소정 모듈이 교체될 수도 있다.
제 1모듈(A)은 환자의 견대를 리클라이닝하게 하는 것이며, 다시 말하면 올바른 자세를 이루는 것이다. 제 1가요성 밴드(2)와 제 2가요성 밴드(2)를 포함하는, 환자의 신체의 상부 영역에 대한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리클라이너(1)로서 나타나 있으며, 밴드 각각은 이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게 고정 요소(4)에 의해 연결된 제 1 단부(3)를 가진다. 고정 요소(4)로서 유사한 목적으로 사용된 종래 알려진 어떠한 고정 요소, 예를 들어 래치도 사용될 수 있다. 가요성 밴드(2)의 각각은 루프 형내의 공간적으로 만곡된 밴드로서 나타나며, 각 가요성 밴드(2)의 제 2단부(5)가 고정 요소(4)에 가까운 밴드(2)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제 1 및 제 2 스트랩 각각은 환자의 신체의 각 어깨 조인트를 지탱한다.
리클라이너(1)의 각 가요성 밴드(2)는 조끼를 형성하기 위해서 충분히 넓게 될 수 있다.
제 2모듈(B)은 환자의 신체의 중간 영역을 교정하기 위해, 허리 영역내에 위치되고 수직 하중을 가하지 않고 척추를 교정하기 위해서 채용되는 수단으로서 나타난다. 환자의 신체의 중간 영역을 교정하기 위한 제안된 수단은 하중을 가하지 않고 척추를 교정하는 복잡하게 형상화된 형상을 가지는 된 코르셋(6)으로서 나타난다. 코르셋(6)은 허리 영역에서 환자의 신체을 지탱하는 제 1부분과 어깨 뼈의 범위 내의 환자의 등을 커버하는 제 2 부분(8)을 가진다. 부분(7, 8)은 단일 피스로서 나타난다. 제 1 부분(7)은 제 1 부분을 환자의 신체상에 수직으로 고정하기 위한 수단(9)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환자의 신체의 중간 영역을 교정하기 위한 제안된 수단은 도 4에 도시한 단지 한 부분(10)만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하중을 가하지 않고 척추를 교정하는 복잡하게 형상화된 형상을 가지는 된 코르셋(6)으로서 나타난다. 이것은 허리 영역내의 환자의 신체을 지탱하고 환자의 신체상에 수직으로 고정되기 위한 수단(12)을 가진다.
장치는 어깨 뼈의 범위내의 환자의 등의 상기 부분을 커버하고 리클라이너(1)와 환자의 등사이에 배치된 가요성 판(13)을 포함한다. 판(13)의 외면은 벨크로형 연결부(Velcro-type connection)내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리클라이너(1)의 제 1 및 제 2 스트랩을 상호연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보풀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트랩의 각각의 내측의 결합면은 판(13)의 외면의 벨크로형 파스너를제공한다. 가요성 판(9)의 하부분내에는 가요성 판(13)의 연결 수단(14)에 연결가능한 연결 수단(15)을 가져야 하는 제 2 모듈(B)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14)이 있다.
코르셋은 수직 하중을 가하지 않고 척추를 교정하기 위한 어떠한 종래 알려진 구조물, 예를 들어 벡커의 코르셋(Becker' corset)도 가질 수 있다.
환자가 고통을 받고 있는 병상(pathology)에 따라, 제안된 장치는 흉골(sternum)의 영역내에 위치되어질 수단(F) 및/또는 치골(pubis)의 영역내에 위치하기 위한 수단(G), 및/또는 경부 척추(cervical spine)(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교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나타나는 수단, 또는 제안된 장치를 실행하기 위한 어느 다른 수단도 포함할 수 있다.
제 3 모듈(C)은 환자의 엉덩이와 정강이(shin)를 교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단(16)으로서 나타나 있으며, 상기 수단은 예정 위치로 엉덩이와 정강이를 고정하기 위해서 만들어져 있으므로 무릎 관절에서 모션을 자유롭게 한다. 환자가 양쪽 하지에 병상을 가지면, 이런 모듈을 두 개 제공해야 한다.
상기 환자의 신체의 상기 하지의 엉덩이와 정강이를 교정하기 위한 수단(16)은 상기 무릎 관절 위의 상기 하지를 지탱하며 제 1 단부, 제 2 단부와 중간 부를 가진 길이방향 엣지를 가지는 제 1 가요성 밴디지(17); 상기 무릎 관절 아래의 하지를 지탱하며 제 1 단부, 제 2 단부와 상기 제 1 가요성 밴디지(17)의 길이방향 엣지에 반대측에 놓여진 길이방향 엣지와, 제 1 가요성 밴디지(17)의 길이방향 엣지의 중간부에 연결된 중간부를 가지는 제 2 가요성 밴디지(18); 하지의 슬와영역(popliteal region)내에 위치된 제 1 및 제 2 가요성 밴디지(17, 18)의 상기 양 대향 길이방향 엣지의 상기 중간부들의 연결의 플레이스(19); 상기 제 1 가요성 밴디지(17)를 상기 제 1 단부와 제 2 단부사이의 거리를 조정가능하게 상기 무릎 관절 위에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가요성 밴디지(17)의 상기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제 1 상호작용 수단(20)(고정 수단)과; 상기 제 2 가요성 밴디지(18)를 상기 제 1단부와 제 2단부사이의 거리를 조정가능하게 상기 무릎 관절 아래에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가요성 밴디지(18)의 상기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제 2 상호작용 수단(20)(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제 4 모듈(D)은 환자의 신체의 발목 관절과 발가락을 교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단(21)으로서 나타나며, 상기 수단은 전두평면 및 시상면(frontal and sagittal planes)에서 발목 관절에 대해서 발을 고정하기 위해서 만들어져 있으므로 발목 관절에서 모션을 자유롭게 한다. 환자가 양 하지에 병리를 가지면, 두 개의 모듈(D)을 제공해야 한다.
발목 관절과 발가락을 교정하기 위한 수단(21)은 발목을 지탱하는 제 1 가요성 벨트(22)와 길이방향 아치 혹은 족저궁(plantar arch)의 범위내에서 발을 지탱하는 제 2 가요성 벨트를 포함한다. 제 1 가요성 벨트(22)는 제 1 가요성 벨트(22)의 단부사이의 거리를 조정가능하게 발목상에 고정하기 위해 제 1 가요성 벨트(22)의 단부들을 상호연결하는 제 1 상호작용 수단(24)을 가진다. 제 2 가요성 벨트(23)의 단부들은 발목의 양 측면상의 제 1 가요성 벨트(22)상에 고정 수단(2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수단(21)은 제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단부(27, 28, 29, 30)를 가지는 십자형의 발가락-발바닥 요소(26)를 더 포함한다. 제 1, 제 2 및 제 3 단부(27, 28, 29)는 제각기 서로를 향해 공간적으로 만곡되어 있으며 발가락의 영역내에 발을 지탱하고 고정 수단(31)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 4 단부(30)는 비어 있으며(vacant), 힐(heel)을 포함해서, 발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발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두 개의 탄성 브레이스(32)들이 제공되어, 이들 각각은 가요성 벨트(22, 23)사이의 거리를 조정가능하게 발가락 영역내에서 각 가요성 벨트(22, 23)를 발가락-발바닥 요소(26)에 연결한다.
상호작용 수단(20, 24)과 고정 수단(25, 31)은 유사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어떠한 종래 알려진 구조물도 가질 수 있다.
추가로, 제안된 장치는 해제가능하게 제 2, 제 3 및 제 4 모듈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교정-회전 요소(33)를 더 포함한다. 교정-회전 요소(33)의 수는 환자가 고통을 받고 있는 병상에 좌우된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는 각각 제 2와 제 3 모듈의 상호연결을 제공하는 4개의 교정-회전 요소(33)를 가지는 제안된 장치들을 도시한다. 도 3은 제 2와 제 3 모듈을 상호연결하기 위한 단일 교정-회전 요소(33)를 가진 제안된 장치를 도시한다. 도 4는 제 2와 제 3 모듈을 상호연결하기 위한 5개의 교정-회전 요소(33)를 가진 제안된 장치를 도시한다.
추가로, 환자의 특유한 병상의 경우에, 제한된 장치는 어깨와 팔뚝을 예정 위치에 고정해서 팔꿈치 관절에 모션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제 5모듈(E)의 기능을 수행하는 환자의 신체의 상지를 교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단(34)을 포함할 수 있다. 환자가 양 상지의 병상을 가지면, 두 개의 수단(34)을제공해야 한다.
상지를 교정하기 위한 수단(34)은 팔꿈치 관절 위의 상지를 지탱하고 제 1 단부, 제 2 단부와 중간부를 가진 길이방향 엣지를 가지는 제 1공간적으로 만곡된 가요성 밴드(35); 상기 팔꿈치 관절 아래의 상지를 지탱하며 제 1 단부, 제 2 단부와 상기 제 1 가요성 밴드(35)의 길이방향 엣지에 반대측에 놓여진 길이방향 엣지와, 제 1 가요성 밴드(35)의 길이방향 엣지의 중간부에 연결된 중간부를 가지는 제 2 가요성 스트랩(36); 상기 상지의 팔꿈치안쪽(subcubital) 영역내에 위치된 제 1 및 제 2 가요성 밴드(35, 36)의 상기 양 대향 길이방향 엣지의 상기 중간부사이를 상호연결하는 플레이스; 상기 제 1 가요성 밴드(35)를 상기 제 1 단부와 제 2 단부사이의 거리를 조정가능하게 상기 팔꿈치 관절 아래에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제 1가요성 밴드(35)의 상기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제 1 상호작용 수단(37)과; 상기 제 2 가요성 밴드(36)를 상기 제 1 단부와 제 2 단부사이의 거리를 조정가능하게 상기 팔꿈치 아래에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가요성 밴드(36)의 상기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 2 상호작용 수단(37)과; 손바닥상에 고정하고 상지의 엄지손가락을 구부리기 위해서 인간공학적으로 만들어 있으며 V형상의 제 1 및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손목 관절 가요성 요소(38)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 각각에는 손목 관절 가요성 요소(38)의 죄임력을 조정가능하게 상지의 손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39), 교정-회전 요소(33)와 유사하게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단부를 가지는 제 2 가요성 밴드(36)에 상기 손목 관절 가요성 요소(38)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탄성 브레이스(40)와손목 관절 가요성 요소(28)와 제 2 가요성 밴드(26)에 연결하는 장소에서 탄성 브레이스(22)의 죄임을 조정하기 위한 탄성 브레이스(40)의 제 1 및 제 2 단부 각각에 제공된 연결 수단(41)을 포함한다.
제 5 모듈(E)은 상술한 것과 유사한 교정-회전 요소(33)에 의해 제 1 모듈(A)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교정-회전 요소(33)의 수는 환자가 고통을 받고 있는 병상에 좌우된다. 예를 들어, 도 2에는 제 5와 제 1 모듈의 상호연결을 제공하는 2개의 교정-회전 요소(33)를 가지는 제안된 장치들을 도시한다. 도 3은 제 5와 제 4 모듈을 상호연결하기 위한 하나의 교정-회전 요소(33)를 가진 제안된 장치를 도시한다. 도 4는 제 5 와 제 1 모듈을 연결하기 위한 2개의 교정-회전 요소(33)를 가진 제안된 장치를 도시한다.
각 모듈의 외면은 벨크로형 파스너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보풀 재료로 만들어진다.
각 교정-회전 요소(33)와 각 탄성 브레이스(40)는 5 내지 50%의 연신율을 가진 탄성 재료의 밴드로서 나타나 있으며 이들 요소의 변위 및/또는 작용동안에 환자의 모션을 교정한다.
각 교정-회전 요소(33)와 각 탄성 브레이스(40)는 환자가 고통을 받고 있는 병상에 대응하는 교정을 제공하는 연신율을 가진 재료, 예를 들어 섬유 "Tricor"와 "Neoprene"로 만들어진다.
각 교정-회전 요소(33)는 각각의 모듈에 연결하는 장소에서 교정-회전 요소(33)의 죄임을 조정하기에 적합한 연결 수단(41)을 가진다. 각 상호연결수단(41)은 환자가 고통을 받고 있는 병상에 따라서, 각 모듈의 외면의 어떠한 장소에서도 벨크로형 파스너의 연결부를 제공하기 위한 결합면을 가진다.
상기 교정-회전 요소(33)는 바로 앞에 설명한 수단(41)을 사용해서 모듈들을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연결은 각각이 서로에 대해서 유지된 두 개의 층으로 만들어진 세팅-연결 수단(42)(setting-connecting means)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 1 층의 외면은 벨트로형 파스너의 사용에 적합한 보풀 재료로 만들어지고, 제 2 층의 외면은 벨트로형 파스너를 사용하기에 적합한 결합층이다. 각 세팅-연결 수단(42)은 하나 이상의 스트랩(43)을 포함한다. 각 교정-회전 요소(33)상에 제공된 각 연결 수단(41)은 벨트로형 파스너내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보풀면을 가져야 한다.
각 교정-회전 요소(33)는 길이를 변경하기 위한 수단(44)을 가질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수단(44)은 예를 들어 두 개의 타원형 요소로 이루어진 리테이너로서 나타낼 수 있다. 변경적으로, 유사한 목적으로 사용된 다른 종래의 알려진 구조물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환자가 고통을 받고 있는 병상에 따라서, 제안된 장치의 각 모듈(A, B, C, D, E)은 다른 모듈에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모듈(A)은 견대의 근육 기능 장애를 가진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서 독립 장치(45)(도 7)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제 3 및 제 4 모듈(C, D)은 하지의 기능 장애를 가진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서 도시한 독립 장치(46)(도 5)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제 5모듈(E)은 상지의 기능 장애를 가진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서 도시한 독립 장치(47)(도 6)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제안된 장치는 아래의 기능을 한다.
아래에는, 환자가 고통을 받고 있는 병상이 전체로서 제안된 장치의 사용을 필요로 할 때, 즉 제 1, 제 2, 제 3, 제 4 및 제 5 모듈을 포함하는 제안된 장치의 사용을 필요로 할 때의 실시예를 고려한 것이다.
먼저, 제 1 및 제 2 모듈(A, B)을 환자에게 입히고, 그리고 나서 제 3, 제 4 및 제 5 모듈(C, D, E)을 입힌다. 이 경우에 제 2 모듈(B)은 하지용 전동 체인을 설정하기 위한 기부이다. 환자가 고통을 받고 있는 병상과 이와 관련된 의학적 징후에 따라서, 교정-회전 요소(33)의 수와 길이를 대응 모듈을 상호연결하기 위해서 선택한다. 그 다음 제 3 및 제 4 모듈(C, D)을 교정-회전 요소(33)를 사용해서 제 2 모듈(B)과 상호연결하며, 반면 제 5 모듈(E)을 제 1 모듈(A)과 상호연결하여 하지와 상지상에 비례된 전동 체인을 설정한다. 대응 모듈을 상호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교정-회전 요소(33)의 수와 길이는 환자의 키와 환자가 고통을 받고 있는 병상에 따라서 선택된다. 연결 수단(41)을 사용해서 모든 모듈을 선택된 계획에 따라서 연결한다.
의학적 징후에 따라서, 제안된 장치와 동시에, 강성, 팽창가능한 재료와 같은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진 Schanz의 칼라와 유사한, 다양한 헤드 홀더, 예를 들어 부드러운 헤드 홀더와 같은 약간의 다른 종래에 알려진 정형외과 장치도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이들 고정 요소에 의해서 제안된 장치상에 고정되는 다양한 고정장치, 예를 들어, 정형외과 소울(sole), 슈(shoe)와 정형외과 시설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런다음, 조립된 장치내의 환자의 동적 테스트(dynamic test)를 실시하고, 필요하다면 전동 체인의 교정을 수행한다. 제안된 장치의 사용 과정에서, 필요할 때마다 교정-회전 요소는 길이와 또한 대응 모듈의 외면에 고정하는 위치에 대해서 교정할 수 있다.
예 1
남자 환자 C. B., 32
진단 : 골수의 장애로 Th 12-L2 척수의 압축 파괴. 하지의 낮은-진행성 마비.
환자의 실험 동안, 하지의 근육의 발육부전이 발견된다. 반사작용은 약하다. 누운 위치에서, 발의 내반첨족 위치(equinovarus position)가 관찰된다. 선 위치에서, 발은 평외반족(flat-valgus) 패턴으로 놓인다. 무릎 관절은 대퇴근 근육에 따르지 않는다. 엉덩이 근육의 기능은 상당히 약화되어 있다. 골반내장기(pelvic organs)는 실제적으로 보호된다. 외상후 골연골증(post-traumatic osteochondrosis)의 현상으로 단정된다. 종래 방법에 따른 이전 치료는 단정된 효과없이 수행되었다.
병상(외상후 증후군의 존재)은 RF 특허 제 2,054,907호에 따른 장치의 사용을 방해하는데, 왜냐하면, 이 장치는 이 경우에는 타당하지 않은 환자의 전체 보행성 운동(locomotorim)에서 작용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각 치료의 일회 기간은 60분이고 20분 동안 장치의 치료와 30분 동안의 서기, 않기, 눕기의 복잡한 물리적 과제를 포함한다.
5일에 25회하고 하루 동안 쉰다. 치료의 결과, 물리적 인내력 뿐만아니라 하지의 근력의 증가, 등의 저녁의 피곤 및 고통의 감소와, 이동 및 정적 기능의 상당한 개선이 관찰되었다.
예 2
남자 환자 A. B., 12
진단은 유아 소아마비(Cerebral paralysis), 경직성 양마비(spastic diplegia) 중 하나인 한 살에서 이루어졌다. 지능은 유지되어 있다. "굽은 등(round-back) 형태의 자세의 단정된 손상은 Th8-Th10의 높이에서 후만 농양(kyphotic apex)으로 알려져 있다.
초기에 알려진 방법에 따라서 의학방법, 물리요법과 정형외과 수술이 실시되고 있다. 이런 치료는 일시적인 효과가 있지만 나중에 더 심하게 재발한다. 환자가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모듈을 포함하는 제안된 장치를 사용할 것을 추천한다.
각 치료의 일회 기간은 40분이고 10분 동안 장치를 하고 도보하는 것, 20분 동안 서기, 않기, 드러눕기 위치의 복잡한 운동 치료를 포함한다.
5일에 20회하고 이틀 동안 쉰다. 치료의 결과, 물리적 인내력의 증가와 이동 및 정적 기능의 개선이 관찰되었다.
예 3
남자 환자 I. B., 52
진단: 뇌순환의 급성장애(Acute disorder of the cerebral circulation), 좌편측마비 (left-side hemiparesis), 척추의 파종성 골연골증 (disseminated osteochondrosis), L3, L4, L5의 디스크 수핵 탈출증(Herniated Disc).
환자는 상당한 임상적 개선이 없는 공지의 방법에 따라서 치료되었다.
RF 특허 제 2,054,907 호의 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척추신경증상 (radicular symptom)의 존재로 복잡하게된 파종성 골연골증에 의해서 불가능하였다.
제 1, 제 2, 제 3, 제 4 및 제 5 모듈을 포함하는 제안된 장치를 환자에게 추천한다. 치료의 일회 기간은 45분이고 15분 동안 장치를 하고 도보하는 것, 20분 동안 서기, 않기, 드러눕기 위치의 복잡한 운동 치료를 포함한다.
치료 회수는 동맥혈압을 모니터하면서 수행한다. 5일에 20회하고 이 사이에 이틀 동안 쉰다.
치료의 결과, 보다 큰 흉근(pectoral muscle)내에서의 병적 긴장도(tonus)의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이것은 상지의 모션의 범위의 증가, 삼각근(Deltoid Muscle)의 긴장도의 증가와 아탈구 증상(subluxation symptoms)의 제거를 가능하게 하였다. 허리 부위의 진통 척추측만증(antalgic scoliosis)을 감소하는 경향과 척추신경증상의 실질적인 개선이 관찰되었다.
상술한 요소들 각각, 또는 2개 이상을 함께 해서 상술한 형태와는 다른 형태의 구조물내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신체의 중앙 신경계와 보행성 운동 질환의 후유증(sequel)으로부터 고통을 받는 환자를 위한 장치내에서 기술되고 실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개량예와 구조적 변경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도시한 상세한 설명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의 설명이 없이도, 상술한 내용이 본 발명의 주 요지를 완전히 나타내므로 누구나 종래 기술의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총괄적이거나 특정적인 양태의 필수적인 특징을 상당히 이루는 특징사항을 빠짐없이 다양한 적용분야에 쉽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로서 보호받고자 하는 신규의 바람직한 청구내용은 첨부의 청구범위에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은 신경과, 신경외과, 외과, 정형외과와 심장과, 특히 유아 소아마비로부터 고통을 받는 환자, 척추코드의 장애에 의해 아마도 복잡해진 척주(spine column)를 손상당한 환자, 또한 골연골이영양증(osteochondrodystrophy), 척추측만증(scoliosis), 후만척추측만증(kyphoscoliosissequals) 또는 두뇌외상(craniocerebral injury)의 후유증을 가진 환자를 치료하는 분야 뿐만아니라 심혈관계 질병(cardiovascular diseases)으로부터 고통을 받는 환자의 재활에 적용할 수 있다.
추가로, 제안된 장치는 환자의 자세를 교정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고 뿐만아니라 스포츠 연습에 대한 다양한 트레인닝 시뮬레이터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8)

  1. 견대를 외전시키고 견갑골을 척추로 내전시키도록 환자의 상체에 위치된 리클라이너(1)와, 환자의 요추부위에 위치되어 환자 신체의 중간부위를 교정하는 수단과, 고관절부와 정강이를 소정 위치로 고정 가능하게 고관절부 및 정강이를 교정하는 한 개 이상의 수단(16)과, 발목 관절에 대하여 발을 고정시킬 수 있는, 발목 관절 및 발가락을 교정하는 한 개 이상의 수단(21)과, 다수개의 교정-회전 요소(33)와, 다수개의 연결 수단(4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중추신경계 질환 및/또는 그 운동기관 손상의 후유증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구성요소들이 환자 신체의 특정 부위를 감싸는 별개의 모듈(A, B, C, D)로 형성되고, 상기 각 모듈은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리클라이너(1)가 사실상 제 1 모듈(A)이고; 환자 신체의 중간부위를 교정하는 상기 수단이 사실상 수직 하중을 가하지 않고 척추를 교정할 수 있는 제 2 모듈(B)이고; 고관절부 및 정강이를 교정하는 상기 한 개 이상의 수단이, 무릎 관절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고관절부와 정강이를 소정 위치로 고정할 수 있는 제 3 모듈(C)이고; 발목 관절 및 발가락을 교정하는 상기 한 개 이상의 수단이 사실상, 발목 관절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전두평면 및 시상면에서 발목 관절에 대하여 발을 고정시킬 수 있는 제 4 모듈(D)이고; 각 모듈의 외표면이 벨크로 파스너를 이용할 수 있는 보풀진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교정-회전 요소(33)가 상기 제 2, 제 3 및 제 4 모듈(B, C, D)을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속적으로 결합시키고; 각 교정-회전 요소(33)는 환자의 이동시 환자의 동작을 교정할 수 있도록 5 내지 50%의 연실율을 갖는 탄성재료로 된 밴드로서 상기 제 2, 제 3, 및 제 4 모듈(B, C, D) 각각에 대한 각 연결 위치에서 상기 교정-회전 요소(33)의 조임을 조절할 수 있는 다수개의 연결 수단(41)을 가지며, 상기 각 연결 수단은 환자가 앓고 있는 병상에 따라 상기 제 2, 제 3 및 제 4 모듈 각각의 외표면에 대해 상기 외표면의 임의의 부위에 벨크로 파스너 형태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는 결합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및/또는 그 운동기관 손상의 후유증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교정-회전 요소(33)는 길이를 변경하기 위한 수단(4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및/또는 그 운동기관 손상의 후유증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너(1)는 제 1 가요성 밴드(2) 및 제 2 가요성 밴드(2)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가요성 밴드는 제 1 스트랩과 제 2 스트랩이 형성될 수 있는 루프 형태로 공간적으로 만곡되어 있어서 각각의 환자의 어깨 관절을 감쌀 수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가요성 밴드(2)의 제 1 단부(3)들 사이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게 상기 제 1 단부(3)를 상호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상호작용 수단(4)을 포함하며, 상기 상호작용 수단은 환자의 등쪽에 배치되는 반면에, 상기 제 1 및 제 2 가요성 밴드(2)의 제 2 단부(5)들은 상기 상호작용 수단(4) 근처에서상기 각각의 제 1 및 제 2 가요성 밴드(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및/또는 그 운동기관 손상의 후유증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너(1)와 환자의 등 사이의 견갑골 영역에서 환자의 등부분을 덮는 탄성 판(13)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 판(13)의 외표면은 상기 리클라이너(1)의 제 1 및 제 2 밴드(2)에의 연결을 위한 벨트로형 파스너에 사용되도록 보풀진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각각의 밴드의 내측면은 상기 탄성 판(13)의 외표면에의 연결을 위한 벨크로형 파스너에 사용되도록 결합표면을 가지며 상기 탄성 판의 하부에는 상기 제 2 모듈(B)에의 열결을 위한 연결 수단(1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및/또는 그 운동기관 손상의 후유증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환자의 중간부위를 교정하는 수단은 수직하중의 부여없이 척추 교정을 제공하는 프로파일 형체를 갖춘 코르셋(6)을 포함하며, 상기 코르셋(6)의 제 1 부분은 환자의 허리영역에 있는 몸체를 감싸며 환자 몸체 상의 일부분을 횡으로 고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반면에, 상기 코르셋(6)의 제 2 부분(8)은 상기 견갑골 영역에 있는 환자의 등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및/또는 그 운동기관 손상의 후유증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환자의 중간부위를 교정하는 수단은 수직하중의 부여없이척추 교정을 제공하는 프로파일 형체를 갖춘 코르셋(6)을 포함하며, 상기 코르셋(6)은 환자의 허리영역에 있는 몸체를 감싸며 환자 몸체 상의 일부분을 횡으로 고정하는 수단 및 상기 탄성 판(13)의 연결수단(14)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연결 수단(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및/또는 그 운동기관 손상의 후유증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관절과 발목관절을 교정하는 수단(16)은 제 1 가요성 밴디지(17)와 제 2 가요성 밴디지(18)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가요성 밴디지는 환자의 하지를 무릎 위아래에서 감싸며, 대향하는 종방향 엣지가 슬와부에서 연결되는 각각의 가요성 밴디지(17, 18)의 한 단부에 제공된 파스너(20)를 사용하여 간극을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및/또는 그 운동기관 손상의 후유증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 관절과 발가락을 교정하는 수단(21)은 발목을 감싸며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상기 가요성 벨트(22)를 발목에 고정하는 상호작용 수단(24)을 한 단부에 갖는 제 1 가요성 벨트(22)와, 종방향의 족저궁의 영역에서 발을 감싸며, 발목의 양측면에서 제 1 가요성 벨트(22)에 부착되는 단부들을 갖춘 제 2 가요성 벨트(23)와, 상기 발가락의 영역에서 발을 감싸도록 서로를 향해 공간적으로 만곡되어 있는 3 개의 단부(27, 28, 29)를 갖춘 십자형 발가락-발바닥 요소(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3 개의 단부들은 파스너(31)를 통해 상호연결되는 반면에, 상기 발가락-발바닥 요소의 제 4 단부는 비어 있으며 전체 길이를 따라 발 아래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각각의 제 1 및 제 2 가요성 벨트(22, 23)를 상기 발가락 영역에서 발가락-발바닥 요소(26)에 대해 간극을 조절할 수 있게 연결하는 두 개의 탄성 브레이스(32)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및/또는 그 운동기관 손상의 후유증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교정-회전 요소(33)를 대응 모듈에 상호연결하는 세팅-연결수단(4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단 각각은 하나 이상의 벨트 루프(43)를 가지고 두 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층 중 제 1 층은 벨크로형 파스너에 사용되도록 보풀 형성된 재료로 이루어진 외표면을 갖는 한편, 제 2 층의 외표면은 벨크로형 파스너에 사용될 수 있는 결합 표면이고, 상기 교정-회전 요소(33) 각각에 제공되어 있는 상기 연결 수단 각각은 벨크로형 파스너에 사용될 수 있는 보풀 형성된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및/또는 그 운동기관 손상의 후유증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지를 교정하는 하나 이상의 수단(34)으로서의 제 5 모듈(E), 및 상기 제 5 모듈(E)을 상기 제 1 모듈(A)에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교정-회전 요소(3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5 모듈(E)은 환자의 견부 및 팔뚝을 소정위치에 고정하여 자유로운 팔꿉관절의 운동을 제공하며, 상기 제 5 모듈의 외표면은 벨크로형 파스너에 사용되도록 보풀 형성된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교정-회전 요소(33)는 5 내지 50%의 연신율을 갖는 탄성 재료로 제조된 밴드로서 제공되어 상지의 운동시에 동작을 교정하며, 상기 교정-회전 요소(33)에는 상기 제 1 모듈(A) 및 제 5 모듈(E)에 대한 연결 지점에서 상기 요소의 조임을 조절하는 다수의 연결 수단(41), 및 환자가 앓고 있는 병상에 따라 상기 제 1 모듈(A) 및 제 5 모듈(E)의 외표면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벨크로형 파스너에 사용되는 결합 표면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및/또는 그 운동기관 손상의 후유증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지를 교정하기 위한 수단(34)의 교정-회전 요소(33)에는 길이를 변화시키는 수단(44)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및/또는 그 운동기관 손상의 후유증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지를 교정하기 위한 수단(34)은 공간적으로 만곡된 제 1 가요성 밴드(35) 및 제 2 가요성 밴드(36)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가요성 밴드는 각각 팔뚝 관절 위 아래에서 상지를 감싸며, 각각의 가요성 밴드(35, 36)의 한 단부에 제공된 파스너에 의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되며, 상기 가요성 밴드(35, 36)는 대향하는 종방향 엣지에 의해 팔꿈치 안쪽 영역에서 상호연결되며, 상기 상지를 교정하기 위한 수단에는 환자의 손바닥에 고정되어 엄지손가락을 외전시키도록 인간공학적으로 채택된 가요성 V형 손목관절 요소(38), 및 상기 가요성 손목관절 요소(38)를 환자의 손에 상기 손목관절 요소(38)의 조임력을 조절할 수 있게 고정하는 수단(39)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가요성 손목관절 요소(38)는 하나 이상의 탄성 브레이스(40)를 통해서 상기 제 2 가요성 밴드(36)에 연결되며, 상기 가요성 손목관절 요소(38)와 상기 제 2 가요성 밴드(36)에 대한 상기 브레이스(40)의 연결 위치에서 상기 브레이스(40)의 조임을 조절하는 다수의 연결수단(41)이 상기 탄성 브레이스(40)의 단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및/또는 그 운동기관 손상의 후유증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장치.
  13. 견대를 외전시키고 견갑골을 척추로 내전시키도록 환자의 상체에 위치된 리클라이너(1)와, 환자의 요추부위에 위치되어 환자 신체의 중간부위를 교정하는 수단과, 고관절부와 정강이를 소정 위치로 고정 가능하게 고관절부 및 정강이를 교정하는 한 개 이상의 수단(16)과, 발목 관절에 대하여 발을 고정시킬 수 있는, 발목 관절 및 발가락을 교정하는 한 개 이상의 수단(21)과, 다수개의 교정-회전 요소(33)와, 다수개의 연결 수단(4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중추신경계 질환 및/또는 그 운동기관 손상의 후유증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구성요소들이 환자 신체의 특정 부위를 감싸는 별개의 모듈(A, B, C, D)로 형성되고, 상기 각 모듈은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리클라이너(1)가 사실상 제 1 모듈(A)이고, 상기 제 1 모듈(A)은 제 1 가요성 밴드(2) 및 제 2 가요성 밴드(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들 각각은 제 1 스트랩 및 제 2 스트랩이 형성되도록 루프 형태로 공간적으로 만곡되어서 각각이 환자의 각 어깨관절을 감싸고 상기 제 1 및 제 2 가요성 밴드(2)의 제 1 단부들(3)을 서로간의 간격이 조절 가능하게 상호 연결할 수 있는 상호작용 수단(4)을 가지며, 상기 수단은 환자의 등에 배열되는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가요성 밴드(2)의 제 2 단부들(5)이 상기 상호작용 수단(4) 근방에서 각각 제 1 및 제 2 가요성 밴드(2)에 고정되고, 환자 신체의 중간부위를 교정하는 상기 수단이 사실상 수직 하중을 가하지 않고 척추를 교정할 수 있는 제 2 모듈(B)이고, 상기 제 2 모듈(B)은 수직 하중을 가하지 않고 척추 교정을 제공하는 프로파일 형체를 갖는 코르셋(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코르셋(6)의 제 1 부분(7)은 환자 신체의 요추부위를 둘러싸고 상기 제 1 부분을 환자의 신체에 가로로 고정시키는 수단(9)을 가지는 한편, 상기 코르셋(6)의 제 2 부분은 환자의 등에서 견갑골 부위를 감싸며; 고관절부 및 정강이를 교정하는 한 개 이상의 수단이, 무릎 관절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고관절부와 정강이를 소정 위치로 고정할 수 있는 제 3 모듈(C)이고, 상기 제 3 모듈(C)은 제 1 가요성 밴디지(17) 및 제 2 가요성 밴디지(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들은 환자의 하지를 무릎 관절 아래 위로 각각 둘러싸고, 슬와부에서 대향 종방향 엣지끼리 연결된 상기 가요성 밴디지(17, 18) 각각의 한 단부에 제공된 파스너(20)를 이용하여 간격을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발목 관절 및 발가락을 교정하는 한 개 이상의 수단(21)이, 발목 관절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전두평면 및 시상면에서 발목 관절에 대하여 발을 고정시킬 수 있는 제 4 모듈(D)이고, 상기 제 4 모듈(D)은, 발목을 감싸며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발목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상호작용 수단(24)을 한 단부에 가지는 제 1 가요성 벨트(22)와; 발을 종방향의 족저궁 부위에서 둘러싸며 단부들이 양쪽 발목 측면에서 상기 제 1 가요성 벨트(22)에 부착된 제 2 가요성 벨트(23)와; 발가락 부위에서 발을 둘러싸도록 서로를 향해 공간적으로 만곡된 3개의 단부(27, 28, 29)를 갖는 십자형 발가락-발바닥 요소(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단부는 파스너(31)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 한편, 제 4 단부(30)는 비어있고 발 밑에서 전체 길이를 따라 배열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가요성 벨트(22, 23) 각각을 발가락 부위에서 상기 발가락-발바닥 요소(26)에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2개의 탄성 브레이스(32)가 제공되며; 각 모듈(A, B, C, D)의 외표면이 벨크로 파스너 형태의 연결을 이용할 수 있는 보풀진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교정-회전 요소(33)가 상기 제 2, 제 3 및 제 4 모듈을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속적으로 결합시키고; 각 교정-회전 요소는 환자의 이동시 환자의 동작을 교정할 수 있도록 5 내지 50%의 연실율을 갖는 탄성재료로 된 밴드로서 상기 제 2, 제 3, 및 제 4 모듈 각각에 대한 각 연결 위치에서 상기 교정-회전 요소의 조임을 조절할 수 있는 다수개의 연결 수단을 가지며, 상기 각 연결 수단은 환자가 앓고 있는 병상에 따라 상기 제 2, 제 3 및 제 4 모듈 각각의 외표면에 대해 상기 외표면의 임의의 부위에 벨크로 파스너 형태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는 결합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및/또는 그 운동기관 손상의 후유증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교정-회전 요소(33)는 길이를 변경시키는 수단(4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및/또는 그 운동기관 손상의 후유증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지를 교정하는 하나 이상의 수단(34)으로서의 제 5 모듈(E)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5 모듈은 환자의 견부 및 팔뚝을 소정위치에 고정하여 자유로운 팔꿉관절의 운동을 제공하며, 상기 제 5 모듈의 외표면은 벨크로형 파스너에 사용되도록 보풀 형성된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상지를 교정하기 위한 수단(34)은 공간적으로 만곡된 제 1 가요성 밴드(35) 및 제 2 가요성 밴드(36)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가요성 밴드는 각각 팔뚝 관절 위 아래에서 상지를 감싸고 각각의 가요성 밴드(35, 36)의 한 단부에 제공된 파스너에 의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되며, 상기 가요성 밴드(35, 36)는 대향하는 종방향 엣지끼리 팔꿈치 안쪽 영역에서 상호연결되며, 상기 상지를 교정하기 위한 수단에는 환자의 손바닥에 고정되어 엄지손가락을 외전시키도록 인간공학적으로 채택된 가요성 V형 손목관절 요소(38), 및 상기 가요성 손목관절 요소(38)를 환자의 손에 상기 손목관절 요소(38)의 조임력을 조절할 수 있게 고정하는 수단(39)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가요성 손목관절 요소(38)는 하나 이상의 탄성 브레이스(40)를 통해서 상기 제 2 가요성 밴드(36)에 연결되며, 상기 가요성 손목관절 요소(38)와 상기 제 2 가요성 밴드(36)에 대한 상기 브레이스(40)의 연결 위치에서 상기 브레이스(40)의 조임을 조절하는 다수의 연결수단(41)이 상기 탄성 브레이스(40)의 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제 5 모듈에는 제 5 모듈(E)을 상기 제 1 모듈(A)에 서로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교정-회전 요소(33)도 제공되며, 상기 교정-회전 요소는 5 내지 50%의 연신율을 갖는 탄성 재료로 제조된 밴드로서 제공되어 상지의 운동시 동작을 교정하며, 상기 교정-회전 요소(33)에는 상기 제 1 모듈(A) 및 제 5 모듈(E)에 대한 연결 지점에서 상기 요소의 조임을 조절하는 다수의 연결 수단(41), 및 환자가 앓고 있는 병상에 따라 상기 제 1 모듈(A) 및 제 5 모듈(E)의 외표면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벨크로형 파스너에 사용될 수 있는 결합 표면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및/또는 그 운동기관 손상의 후유증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상지를 교정하기 위한 수단(34)의 교정-회전수단(33)은 길이를 변화시키는 수단(4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및/또는 그 운동기관 손상의 후유증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장치.
  17. 견대를 외전시키고 견갑골을 척추로 내전시키도록 환자의 상체에 위치된 리클라이너(1)와, 환자의 요추부위에 위치되어 환자 신체의 중간부위를 교정하는 수단과, 고관절부와 정강이를 소정 위치로 고정 가능하게 고관절부 및 정강이를 교정하는 한 개 이상의 수단(16)과, 발목 관절에 대하여 발을 고정시킬 수 있는, 발목 관절 및 발가락을 교정하는 한 개 이상의 수단(21)과, 다수개의 교정-회전 요소(33)와, 다수개의 연결 수단(4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중추신경계 질환 및/또는 그 운동기관 손상의 후유증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구성요소들이 환자 신체의 특정 부위를 감싸는 별개의 모듈(A, B, C, D)로 형성되고, 상기 각 모듈은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리클라이너(1)가 사실상 제 1 모듈(A)이고, 상기 제 1 모듈(A)은 제 1 가요성 밴드(2) 및 제 2 가요성 밴드(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들 각각은 제 1 스트랩 및 제 2 스트랩이 형성되도록 루프 형태로 공간적으로 만곡되어서 각각이 환자의 각 어깨관절을 감싸고 상기 제 1 및 제 2 가요성 밴드(2)의 제 1 단부들(3)을 서로간의 간격이 조절 가능하게 상호 연결할 수 있는 상호작용 수단(4)을 가지며, 상기 수단은 환자의 등에 배열되는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가요성 밴드(2)의 제 2 단부들(5)이 상기 상호작용 수단(4) 근방에서 각각 제 1 및 제 2 가요성 밴드(2)에 고정되고, 환자 신체의 중간부위를 교정하는 상기 수단이 사실상 수직 하중을 가하지 않고 척추를 교정할 수 있는 제 2 모듈(B)이고, 상기 제 2 모듈(B)은 수직 하중을 가하지 않고 척추 교정을 제공하는 프로파일 형체를 갖는 코르셋(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코르셋(6)의 제 1 부분(7)은 환자 신체의 요추부위를 둘러싸고 상기 제 1 부분을 환자의 신체에 가로로 고정시키는 수단(9)을 가지는 한편, 상기 코르셋(6)의 제 2 부분은 환자의 등에서 견갑골 부위를 감싸며; 고관절부 및 정강이를 교정하는 한 개 이상의 수단이, 무릎 관절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고관절부와 정강이를 소정 위치로 고정할 수 있는 제 3 모듈(C)이고, 상기 제 3 모듈(C)은 제 1 가요성 밴디지(17) 및 제 2 가요성 밴디지(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들은 환자의 하지를 무릎 관절 아래 위로 각각 둘러싸고, 슬와부에서 대향 종방향 엣지끼리 연결된 상기 가요성 밴디지(17, 18) 각각의 한 단부에 제공된 파스너(20)를 이용하여간격을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발목 관절 및 발가락을 교정하는 한 개 이상의 수단(21)이, 발목 관절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전두평면 및 시상면에서 발목 관절에 대하여 발을 고정시킬 수 있는 제 4 모듈(D)이고, 상기 제 4 모듈(D)은, 발목을 감싸며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발목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상호작용 수단(24)을 한 단부에 가지는 제 1 가요성 벨트(22)와; 발을 종방향의 족저궁 부위에서 둘러싸며 단부들이 양쪽 발목 측면에서 상기 제 1 가요성 벨트(22)에 부착된 제 2 가요성 벨트(23)와; 발가락 부위에서 발을 둘러싸도록 서로를 향해 공간적으로 만곡된 3개의 단부(27, 28, 29)를 갖는 십자형 발가락-발바닥 요소(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단부는 파스너(31)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 한편, 제 4 단부(30)는 비어있고 발 밑에서 전체 길이를 따라 배열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가요성 벨트(22, 23) 각각을 발가락 부위에서 상기 발가락-발바닥 요소(26)에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2개의 탄성 브레이스(32)가 제공되며; 상기 장치는 상지를 교정하기 위한 한 개 이상의 수단(34)인 제 5 모듈(E)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교정 수단(34)은 팔꿉관절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소정의 위치에서 환자의 어깨와 팔뚝을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상지 교정 수단(34)은 공간적으로 만곡된 제 1 가요성 밴드(35) 및 공간적으로 만곡된 제 2 가요성 밴드(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들은 각각 팔꿉관절의 위 아래에서 상지를 둘러싸고, 팔꿈치 안쪽부위에서 대향 종방향 엣지끼리 연결된 상기 가요성 밴디지(35, 36) 각각의 한 단부에 제공된 파스너(37)를 이용하여 간격을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또한 환자의 손바닥에 인체공학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엄지손가락을 외전시키기 위한 가요성의 V자형 손목관절 요소(38), 및 상기 가요성 손목관절 요소(38)의 조임을 조절 가능하게 이를 환자의 손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39)이 제공되고, 상기 가요성 손목관절 요소(38)는 한 개 이상의 탄성 브레이스(40)에 의해 상기 제 2 가요성 밴드(36)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가요성 손목관절 요소(38)와 상기 제 2 가요성 밴드(36)에 대한 상기 탄성 브레이스(40)의 연결부위에서 탄성 브레이스(40)의 조임을 조절할 수 있는 다수개의 연결 수단(41)이 상기 탄성 브레이스(40)의 단부들에 제공되며; 각 모듈의 외표면이 벨크로 형태의 파스너를 이용할 수 있는 보풀진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교정-회전 요소(33)가 상기 제 2, 제 3 및 제 4 모듈(B, C, D)을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속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제 1 모듈(A) 내지 제 5 모듈(E)를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속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각 교정-회전 요소(33)는 환자의 이동시 환자의 동작을 교정할 수 있도록 5 내지 50%의 연실율을 갖는 탄성재료로 된 밴드로서 상기 각 모듈(A, B, C, D) 대한 각각의 연결 위치에서 상기 교정-회전 요소(33)의 조임을 조절할 수 있는 다수개의 연결 수단(41)을 가지며, 상기 각 연결 수단은 환자가 앓고 있는 병상에 따라 상기 모듈(A, B, C, D)의 외표면에 대해 상기 외표면의 임의의 부위에 벨크로 파스너 형태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는 결합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및/또는 그 운동기관 손상의 후유증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교정-회전 요소(33)가 자체 길이를 변동시키는수단(4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및/또는 그 운동기관 손상의 후유증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장치.
KR1020027017486A 2000-06-21 2001-06-21 중추신경계 질환 및/또는 운동기관 손상의 후유증을 앓고있는 환자를 위한 장치 KR1007128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RU2000115794/14A RU2165752C1 (ru) 2000-06-21 2000-06-21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больных с последствиями поражения центральной нервной системы и с повреждением опорно-двиг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RU2000115794 2000-06-21
PCT/RU2001/000249 WO2002000156A2 (en) 2000-06-21 2001-06-21 Device for users having after-troubles resulting from damage to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or a locomotor apparatus of the bod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0753A true KR20030010753A (ko) 2003-02-05
KR100712884B1 KR100712884B1 (ko) 2007-05-02

Family

ID=20236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7486A KR100712884B1 (ko) 2000-06-21 2001-06-21 중추신경계 질환 및/또는 운동기관 손상의 후유증을 앓고있는 환자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1) US7041074B1 (ko)
EP (1) EP1293188B1 (ko)
JP (1) JP4680474B2 (ko)
KR (1) KR100712884B1 (ko)
AT (1) ATE369821T1 (ko)
AU (2) AU2001269650B2 (ko)
BG (1) BG65498B1 (ko)
CA (1) CA2413731C (ko)
CY (1) CY1106895T1 (ko)
CZ (1) CZ305215B6 (ko)
DE (1) DE60129962T2 (ko)
DK (1) DK1293188T3 (ko)
EA (1) EA003800B1 (ko)
ES (1) ES2290154T3 (ko)
HU (1) HU227462B1 (ko)
IL (2) IL153566A0 (ko)
PL (1) PL197472B1 (ko)
PT (1) PT1293188E (ko)
RS (1) RS49853B (ko)
RU (1) RU2165752C1 (ko)
UA (1) UA72809C2 (ko)
WO (1) WO200200015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159B1 (ko) * 2007-04-25 2010-07-08 안병열 아이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51459B1 (fr) * 2003-02-21 2005-04-22 Philippe Nicolas Disposition de contention elastique permettant d'assurer un mouvement d'adduction des cuisses d'un etre humain
US7871387B2 (en) 2004-02-23 2011-01-18 Tyco Healthcare Group Lp Compression sleeve convertible in length
WO2005082295A1 (fr) * 2004-02-26 2005-09-09 State Scientific Center Of Russian Federation-Institute Of Bio-Medical Problems Of The Russian Academy Of Sciences Costume destine au changement force de la position du corps d'une personne et a la creation d'une charge plus elevee sur l'appareil locomoteur
US20060054387A1 (en) * 2004-08-17 2006-03-16 Paul-Emile Fortin Saftey harness
WO2006078871A2 (en) * 2005-01-18 2006-07-2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ower extremity exoskeleton
NL1028782C2 (nl) * 2005-04-15 2006-10-17 Inge Van Laarhoven Hulpmiddel om mensen met eenzijdige verlamming te ondersteunen met name bij het lopen.
NL1031028C2 (nl) * 2005-04-15 2006-10-17 Inge Van Laarhoven Orthese voor het ondersteunen van een been van een gebruiker tijdens lopen.
GB0515294D0 (en) 2005-07-26 2005-08-31 Novamedix Distrib Ltd Limited durability closure means for an inflatable medical garment
US8029451B2 (en) 2005-12-12 2011-10-04 Tyco Healthcare Group Lp Compression sleeve having air conduits
US8016778B2 (en) 2007-04-09 2011-09-13 Tyco Healthcare Group Lp Compression device with improved moisture evaporation
US8109892B2 (en) 2007-04-09 2012-02-07 Tyco Healthcare Group Lp Methods of making compression device with improved evaporation
US8506508B2 (en) 2007-04-09 2013-08-13 Covidien Lp Compression device having weld seam moisture transfer
US8162861B2 (en) 2007-04-09 2012-04-24 Tyco Healthcare Group Lp Compression device with strategic weld construction
US8021388B2 (en) 2007-04-09 2011-09-20 Tyco Healthcare Group Lp Compression device with improved moisture evaporation
USD608006S1 (en) 2007-04-09 2010-01-12 Tyco Healthcare Group Lp Compression device
US8029450B2 (en) 2007-04-09 2011-10-04 Tyco Healthcare Group Lp Breathable compression device
US8034007B2 (en) 2007-04-09 2011-10-11 Tyco Healthcare Group Lp Compression device with structural support features
US8070699B2 (en) 2007-04-09 2011-12-06 Tyco Healthcare Group Lp Method of making compression sleeve with structural support features
US8128584B2 (en) 2007-04-09 2012-03-06 Tyco Healthcare Group Lp Compression device with S-shaped bladder
US8016779B2 (en) 2007-04-09 2011-09-13 Tyco Healthcare Group Lp Compression device having cooling capability
US9119707B2 (en) * 2007-05-23 2015-09-01 Intelliskin Usa, Llc Sensory motor stimulation garment and method
US10264828B2 (en) 2007-05-23 2019-04-23 Intelliskin Usa, Llc Sensory motor stimulation garments and methods
US9125442B2 (en) * 2007-05-23 2015-09-08 Intelliskin Usa, Llc Sensory motor stimulation garment and method
US8114117B2 (en) 2008-09-30 2012-02-14 Tyco Healthcare Group Lp Compression device with wear area
US8235923B2 (en) 2008-09-30 2012-08-07 Tyco Healthcare Group Lp Compression device with removable portion
JP5161036B2 (ja) * 2008-11-06 2013-03-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歩行補助装置
US20110313331A1 (en) * 2009-02-10 2011-12-22 Bruno Marc Florent Victore Dehez Rehabilitation Robot
US8652079B2 (en) 2010-04-02 2014-02-18 Covidien Lp Compression garment having an extension
RU2448667C2 (ru) * 2010-04-12 2012-04-27 Учреждение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Медицинских Наук Научный Центр Реконструктивной И Восстановительной Хирургии Сибирского Отделения Рамн (Нц Рвх Со Рамн)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сочетанной деформации таза и позвоночника у дете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01810532B (zh) * 2010-04-28 2011-11-09 河北工业大学 一种下肢康复训练机器人
US10751221B2 (en) 2010-09-14 2020-08-25 Kpr U.S., Llc Compression sleeve with improved position retention
RU2454986C1 (ru) * 2011-01-12 2012-07-10 Александр Владимирович Мякота Способ обучения ходьбе и движениям пациента с психоневрологическими нарушениями и заболеваниями опорно-двиг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20120197168A1 (en) * 2011-01-28 2012-08-02 University Of Delaware Pelvic orthosis systems and methods
RU106531U1 (ru) 2011-01-31 2011-07-20 Александр Владимирович Мякот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учения ходьбе и движениям пациента с психоневрологическими нарушениями и заболеваниями опорно-двиг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JP5868011B2 (ja) * 2011-03-16 2016-02-24 国立大学法人九州大学 歩行運動補助具
RU2465023C1 (ru) * 2011-06-03 2012-10-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чный центр проблем здоровья семьи и репродукции человека" Сибирского отд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медицинских наук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детей с двигательными нарушениями
CN102648884B (zh) * 2012-04-24 2013-09-04 赵欣驰 外骨骼穿戴式健身与康复机
US9205021B2 (en) 2012-06-18 2015-12-08 Covidien Lp Compression system with vent cooling feature
EP2931204B1 (en) 2012-12-11 2019-04-03 Ekso Bionics, Inc. Reconfigurable exoskeleton
CN103381112A (zh) * 2012-12-11 2013-11-06 刘朝华 一种神经矫形康复装置
DK177698B1 (en) * 2013-01-09 2014-03-17 V V Anja C Seiler Hansen Back support
USD746552S1 (en) 2013-03-14 2016-01-05 Intelliskin Usa, Llc Sports shirt
TWI547274B (zh) 2013-08-10 2016-09-01 錩玄科技有限公司 便攜式人體支架系統
RU2573535C2 (ru) * 2013-12-02 2016-01-20 Светлана Александровна Немкова Способ нейродинамической (нейросенсорной) коррекции для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двигательных, позных, сенсорных и когнитивных функций у больных с патологией нервной системы и опорно-двиг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и костюм для его применения
CN103750843B (zh) * 2014-01-10 2016-04-06 北京工业大学 关节空间中人体运动捕捉装置
EP3131509A4 (en) * 2014-07-31 2018-01-10 Cers, Peteris Alberts Dynamic lumbar realignment system
US11523926B2 (en) 2014-07-31 2022-12-13 Peteris Alberts Cers Dynamic lumbar realignment system
EP3233014B1 (en) * 2014-12-18 2022-02-16 Jangir, Ganesh Ram A single point load/torque adjusting mechanical assembly
US20160175180A1 (en) * 2014-12-23 2016-06-23 Reid Bond Weight Bearing Brace Device
KR102346226B1 (ko) * 2015-01-22 2022-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구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JP1541976S (ko) * 2015-05-18 2016-01-18
KR102541908B1 (ko) * 2015-07-21 2023-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레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USD780406S1 (en) 2015-09-03 2017-03-07 Intelliskin Usa, Llc Bodysuit
US10322022B2 (en) * 2015-11-18 2019-06-18 J-Flex Pft, Llc Plantar fasciitis treatment method and device
RU2659845C2 (ru) * 2016-02-01 2018-07-04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ОРТОТЕРАПИЯ" Комплект модулей-ортезов для лечения пациентов с генерализованным детским церебральным параличом
USD816300S1 (en) 2016-03-10 2018-05-01 Intelliskin Usa, Llc Shirt
USD806884S1 (en) * 2016-04-25 2018-01-02 Viktoriia Rybchinskaia Therapeutic garment for patients with neuro-orthopedic diseases
CN106313012B (zh) * 2016-11-01 2018-05-15 张帅 辅助并增强人体力量的装置
EP3538836A4 (en) * 2016-11-09 2020-07-15 Randall Alley LOAD DISTRIBUTION SYSTEMS AND EQUIPMENT FOR CARRYING LOADS
RU2659132C1 (ru) * 2017-09-04 2018-06-28 Николай Ралидович Нигамадьянов Модульный ортопедический аппарат
DE102017123518A1 (de) * 2017-10-10 2019-04-11 Jonas MAST Vorrichtung zur Unterstützung von Bewegungen und Hubbewegungen des menschlichen Körpers
DE102018103300A1 (de) * 2018-02-14 2019-08-14 Noonee Ag Tragbare Sitzhaltungshilfevorrichtung
KR200489630Y1 (ko) * 2019-01-23 2019-07-15 김성구 관절 지지 보조구
ES2972344T3 (es) * 2019-03-12 2024-06-12 Victor Jose Cainzos Perez Exomúsculo de protección lumbar
DE102019111718A1 (de) * 2019-05-06 2020-11-12 Jonas MAST Vorrichtung zur Unterstützung von Bewegungen und Hebebewegungen des menschlichen Körpers
RU2732345C1 (ru) * 2019-11-20 2020-09-1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Амурская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медицинская академия"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пособ активации проприорецепторов при детском церебральном параличе
US20210290474A1 (en) * 2020-03-17 2021-09-23 NGU Labs, LLC Pelvis control and retraining harness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8952A (en) * 1971-12-14 1975-03-04 Aerazur Constr Aeronaut Inflatable shaped structures
FR2298314B1 (fr) * 1975-01-24 1980-03-28 Inst Nat Sante Rech Med Appareils orthopediques pneumatiques composes de plusieurs elements articules
FR2506604A1 (fr) * 1981-06-01 1982-12-03 Salort Guy Appareillage externe de station verticale et de marche pour handicapes moteurs des membres inferieurs
US4543948A (en) * 1983-06-27 1985-10-01 Phillips Robert L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rotational pressure to parts of the body
US4602627A (en) * 1984-09-06 1986-07-29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Cable controlled orthopedic leg brace
FR2618325B1 (fr) * 1987-07-21 1989-10-27 Regnier Ste Nouvelle Prothese de posture formant coquille de stabilisation
US4969452A (en) 1989-03-24 1990-11-13 Petrofsky Research, Inc. Orthosis for assistance in walking
US5188584A (en) * 1989-03-24 1993-02-23 Petrofsky Research, Inc. Orthosis for assistance in walking
US5749840A (en) * 1989-12-07 1998-05-12 Ultraflex Systems, Inc. Dynamic splint
JP2894778B2 (ja) * 1990-03-05 1999-05-24 アルケア株式会社 サポーター
JPH0529705Y2 (ko) * 1990-09-04 1993-07-29
FR2673527B1 (fr) * 1991-03-07 1997-04-11 Proteor Sa Corset formant siege pour handicape physique, notamment pour enfant.
US5658242A (en) 1991-03-13 1997-08-19 Polycane Australia Pty Ltd. Walking aid
CA2126176A1 (en) * 1991-12-24 1993-07-08 Jennifer Ballantyne Dynamic postural stability splint
RU2054907C1 (ru) * 1992-01-31 1996-02-27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Закрытого Типа "Аюрвед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больных с нарушением позы и двигательной активности
US5407420A (en) * 1992-11-12 1995-04-18 Smith & Nephew Donjoy, Inc. Fully adjustable shoulder brace
JP2596048Y2 (ja) * 1993-09-03 1999-06-07 智明 石川 姿勢矯正バンド
US5476441A (en) * 1993-09-30 1995-12-19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ontrolled-brake orthosis
JPH09299391A (ja) * 1996-05-10 1997-11-25 Matsuzaki Koki Kk 鎖骨骨折固定帯
US6142965A (en) * 1997-02-25 2000-11-07 Mathewson; Paul R. Variably adjustable bi-directional derotation bracing system
US5860944A (en) 1997-03-28 1999-01-19 Hoffman, Jr.; Henry R. Back support apparatus
JPH1142259A (ja) * 1997-07-28 1999-02-16 Technol Res Assoc Of Medical & Welfare Apparatus 歩行補助装具
RU2131232C1 (ru) 1998-09-15 1999-06-10 Аверьянов Андрей Игоревич Комбинезон для лечения больных детским церебральным параличом и больных с последствиями черепно-мозговой травмы
US6024713A (en) * 1998-12-17 2000-02-15 Barney; George Melvin Leg support apparatus
US6361513B1 (en) * 1999-07-13 2002-03-26 Orthoscharer & Co. Di Paolo Rossi & Co. Articulated rod for a hip support
US6764457B2 (en) * 2001-04-27 2004-07-20 Hogg Theodore B Leg brace support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159B1 (ko) * 2007-04-25 2010-07-08 안병열 아이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41074B1 (en) 2006-05-09
BG107410A (en) 2003-11-28
KR100712884B1 (ko) 2007-05-02
BG65498B1 (bg) 2008-10-31
PT1293188E (pt) 2007-09-19
CA2413731A1 (en) 2002-12-20
CZ200379A3 (cs) 2003-05-14
EP1293188A2 (en) 2003-03-19
WO2002000156A2 (en) 2002-01-03
AU6965001A (en) 2002-01-08
CA2413731C (en) 2007-05-01
EA003800B1 (ru) 2003-10-30
PL362503A1 (en) 2004-11-02
IL153566A0 (en) 2003-07-06
RS49853B (sr) 2008-08-07
IL153566A (en) 2008-08-07
DE60129962T2 (de) 2008-05-08
HU227462B1 (en) 2011-06-28
ATE369821T1 (de) 2007-09-15
ES2290154T3 (es) 2008-02-16
JP4680474B2 (ja) 2011-05-11
HUP0301726A2 (en) 2003-10-28
WO2002000156A3 (fr) 2002-11-07
AU2001269650B2 (en) 2006-02-02
PL197472B1 (pl) 2008-04-30
UA72809C2 (en) 2005-04-15
DK1293188T3 (da) 2007-12-27
EA200201238A1 (ru) 2003-04-24
JP2004500966A (ja) 2004-01-15
CY1106895T1 (el) 2012-09-26
EP1293188A4 (en) 2004-05-19
RU2165752C1 (ru) 2001-04-27
EP1293188B1 (en) 2007-08-15
YU2203A (sh) 2004-05-12
CZ305215B6 (cs) 2015-06-17
DE60129962D1 (de) 2007-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2884B1 (ko) 중추신경계 질환 및/또는 운동기관 손상의 후유증을 앓고있는 환자를 위한 장치
KR970010541B1 (ko) 자세 및 운동 기능의 장애 환자의 치료를 위한 장치
US9522077B1 (en) Adjustable dual function spinal exoskeleton active spinal orthosis
CN102711678A (zh) 下肢各节段病理畸形矫正方法及其实现装置
WO1995017142A1 (en) Derotating orthotic devices for the correction of scoliotic deformities
JP6739625B2 (ja) 内外反膝矯正装置
US20050010150A1 (en) Customizable orthotic device with adjustable support and forces
US20010007845A1 (en) Device for treatment of patients with disturbed posture and motor activity
KR101672860B1 (ko) 척추 및 무릎과 발목관절의 정형과 보행을 위한 보조기구
CN1444468A (zh) 用于罹患中枢神经系统疾病和/或运动器官损伤后遗症患者的装置
RU2309709C1 (ru) Модульный ортопедический аппарат
RU226608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ейро-ортопедической реабилитации
RU59973U1 (ru) Тренажер ортопедический
RU21511U1 (ru) Костюм для лечения детского церебрального паралича
RU2307640C1 (ru) Тренажер ортопедический "лотос" и способ коррекции патологических изменений опорно-двиг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пациента с его помощью
KR100386481B1 (ko) 체형 교정용 신전 운동기
RU58911U1 (ru) Модульный ортопедический аппарат
KR200207128Y1 (ko) 체형 교정용 신전 운동기
Capener The use of orthopaedic appliances in the treatment of anterior poliomyelitis
UA140549U (uk) Костюм для лікування або профілактики опорно-рухового апарату людин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