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0625A - 종양 괴사 인자 억제제로서의 티에노디벤조아줄렌 화합물 - Google Patents

종양 괴사 인자 억제제로서의 티에노디벤조아줄렌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0625A
KR20030010625A KR1020027015567A KR20027015567A KR20030010625A KR 20030010625 A KR20030010625 A KR 20030010625A KR 1020027015567 A KR1020027015567 A KR 1020027015567A KR 20027015567 A KR20027015567 A KR 20027015567A KR 20030010625 A KR20030010625 A KR 20030010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zulen
dibenzo
ylmethoxy
ethyl
dith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5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3064B1 (ko
Inventor
메르체프므라덴
메시치밀란
페시치디야나
주파노비치젤리코
흐르바치치보슈카
Original Assignee
플리바 파마세우츠카 인두스트리야, 디오닉코, 드러스트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리바 파마세우츠카 인두스트리야, 디오닉코, 드러스트보 filed Critical 플리바 파마세우츠카 인두스트리야, 디오닉코, 드러스트보
Publication of KR20030010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0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3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30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5/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양 괴사 인자 알파 (TNF-α) 및 인터류킨 1 (IL-1) 이 과도하게 분비되는 모든 질환 및 상태의 포유류에서 이러한 매개체의 억제를 위한, 화학식 I 로 나타내는 디벤조아줄렌 화합물 뿐만 아니라 이들의 약학적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진통 작용을 나타내고,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종양 괴사 인자 억제제로서의 티에노디벤조아줄렌 화합물 {THIENODIBENZOAZULENE COMPOUNDS AS TUMOR NECROSIS FACTOR INHIBITORS}
지금까지, 위치 2 에서 메틸, 메틸 케톤, 니트로기 또는 카르복실기의 유도체로 치환된 1-티아디벤조아줄렌 (Cagniant P. 및 Kirsch G.,C. R. Hebd. Sceances Acad.Sci.,1976,283:638-686) 이 문헌에 기술되어 왔다. 그러나, 우리의 지식 및 가능한 문헌 데이타에 따르면, 화학식 Ⅰ의 1-티아디벤조아줄렌 유도체 또는 이들의 어떠한 가능한 제조 방법도 지금까지 기술되지 않았다. 또한, 1-티아디벤조아줄렌이 항염증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는 것도 공지되지 않았다.
1975 년에 TNF-α는 생체외 및 생체내에서 종양 괴사를 야기시키는 내독소-유발 혈청 인자로서 정의되었다 (Carswell E. A. 등,Proc. Natl. Acad. Sci. U.S.A.1975,72:3666-3670). 항종양 활성에 더하여, TNF-α는 개체의 항상성 뿐만 아니라 병리생리학적 상태에서 중요한 여러 다른 생물학적 활성을 갖고 있다.TNF-α의 주 공급원은 단구-대식세포, T-림프구 및 비만세포이다.
항 TNF-α항체 (cA2) 가 류머티스성 관절염 (RA) 으로부터 고통받는 환자의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발견 (Elliott M. 등,Lancet 1994,344:1105-1110) 은 가능한 강력한 RA용 약물로서의 신규 TNF-α억제제를 발견하고자 하는 흥미를 증대시켰다. 류머티스성 관절염은 관절의 비가역적 병리학적 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자기면역성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RA 이외에, TNF-α길항제는 또한 여러 병리학적 상태 및 질환 예컨대, 척추염, 골관절염, 통풍 및 기타 관절염성 상태, 패혈증, 패혈성 쇼크, 독성 쇼크 증후군,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 피부염, 건선, 사구체신염, 홍반성 낭창, 경피증, 천식, 악액질, 만성 폐쇄성 폐 질환, 울혈성 심부전증, 인슐린 저항성, 폐 섬유증, 다발성 경화증,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바이러스성 감염 및 AIDS에 적용가능하다.
TNF-α의 생물학적 중요성의 증거는 TNF-α에 대한 비활성화된 유전자 또는 이의 수용체를 갖는 마우스에서의 생체내 실험에서 수득되었다. 이같은 동물은 콜라겐-유발 관절염 (Mori L. 등,J. Immunol. 1996,157:3178-3182) 및 내독소-유발 쇼크 (Pfeffer K. 등,Cell 1993,73:457-467) 에 내성이다. TNF-α수준이 증가된 동물로의 실험에서, 만성 염증성 다발성관절염이 나타났고 (Georgopoulos S. 등,J. Inflamm.1996,46:86-97; Keffer J. 등,EMBO J. 1991,10:4025-4031), 이것은 TNF-α생성의 억제에 의해 완화되었다. 이같은 염증성 및 병리학적 상태의 치료에는 보통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성 약물의 적용이 포함되지만, 심각한 경우, 금염 (gold salt), D-페니실린아민 또는 메토트렉세이트가 투여된다. 상기 약물은 대증적으로 작용하고, 병리학적 진행을 멈추지는 않는다. 테니뎁 (tenidap), 레플루노미드 (leflunomide), 시클로스포린, FK-506 및 TNF-α의 활성을 중화시키는 생체분자와 같은 약물을 토대로 류머티스성 관절염의 치료에서 새로운 접근이 확립되었다. 최근, 에타너셉트 (etanercept) (Enbrel, Immunex/Wyeth) 라는 가용성 TNF 수용체의 융합 단백질 및 인플릭시맵 (infliximab) (Remicade, Centocor) 라는 마우스 및 인간 키메라성 (chimeric) 단일 클론 항체가 시판되고 있다. RA-치료에 더하여, 에타너셉트 및 인플릭시맵은 또한 크론병의 치료에 승인되어있다 (Exp. Opin. Invest Drugs 2000,9, 103).
RA-치료에서, TNF-α분비의 억제에 더하여, IL-1 분비를 억제시키는 것 또한 중요하고, 이는 IL-1 이 세포 조절, 면역조절, 및 염증과 같은 병리생리학적 상태에서 중요한 사이토킨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Dinarello C. A. 등,Rev. Infect. Disease,1984,6:51). IL-1 의 공지된 생물학적 활성은 하기와 같다: T-세포의 활성화, 승온 유발, 프로스타글란딘 또는 콜라게나제 분비의 자극, 호중구 (neutrophil) 의 주화성 및 혈장에서의 철 수준의 감소 (Dinarello C. A.,J. Clinical Immunology,1985,5:287). IL-1 이 결합될 수 있는 두 개의 수용체가 공지되어 있다: IL-1RI 및 IL-1RⅡ. IL-1RI 가 신호를 세포내로 전달하는 반면, IL-1RⅡ 는 세포 표면에 존재하고 신호를 세포 내로 전달하지 않는다. IL-1RⅡ 는 IL-1 및 IL-1RI 모두에 결합하기 때문에, IL-1 효과의 음성 조절자로서 작용할 수 있다. 언급된 신호 전달의 조절 기작에 더하여, 또다른 천연 IL-1 수용체 길항제 (IL-1ra) 가 세포 내에 존재한다. 이 단백질은 IL-1RI 에 결합하지만 어떠한 신호도 전달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것은 신호 전달의 억제에서의 효능이 아직 크지 않으므로, 신호 전달을 중단시키기 위해서는 IL-1 보다 500 배 높은 농도로 존재하여야 한다. 재조합 인간 IL-1ra (Amgen) 을 임상 시험하였고 (Bresnihan B. 등,Arthrit. Rheum. 1996,39:73) 수득된 결과는 위약에 비하여 RA 로부터 고통받는 472 명의 환자에서의 증상 개선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IL-1 의 생성이 억제되는 RA 와 같은 질환의 치료에서 IL-1 의 활성 억제의 중요성을 나타낸다. TNF-α및 IL-1 의 상승 작용에 기인하여, TNF-α및 IL-1 의 분비의 증가와 연관된 상태 및 질환의 치료에 디벤조아줄렌을 사용할 수 있다.
공지 및 확립된 선행 기술에 따르면, 본 발명의 주제를 나타내는 1-티아디벤조아줄렌 화합물, 이들의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수화물, 프로드러그 형태 및 이들을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는 지금까지 기술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본 발명의 주제를 나타내는 어떠한 화합물도 항염증성 물질로서 또는 TNF-α및 IL-1 분비의 억제제 또는 진통제로서 기술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1-티아디벤조아줄렌의 신규 유도체, 이들의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및 프로드러그 형태, 이들의 제조 방법 및 이들의 항염증 효과, 및 특히 종양 괴사 인자-α(TNF-α) 및 인터류킨-1 (IL-1) 의 생성 억제 및 이들의 진통 작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학식I로 나타내는 화합물인 1-티아디벤조아줄렌 유도체, 화학식I로 나타내는 이들의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용매화물에 관한 것이다:
(식 중,
X 는 CH2또는 O, S, S(=O), S(=O)2또는 NR13(식 중, R13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르보닐, 아릴카르보닐, C1-6알킬술포닐 또는 아릴술포닐을 의미한다) 과 같은 헤테로원자를 나타낼 수 있고, R1, R2, R3, R4, R5, R6, R7, R8및 R9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불소, 염소 또는 브롬) 일 수 있는 치환기; 또는 C1-C7알킬, 알케닐,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을 나타내거나; 상이한 기: 할로메틸, 히드록시, C1-C7알콕시 또는 아릴옥시, C1-C7알킬티오 또는 아릴티오, C1-C7알킬술포닐, 시아노, 아미노, 모노-, 및 디-C1-C7치환 아민, 카르복실기의 유도체 (C1-C7카르복실산 및 이들의 무수물, C1-C7비치환, 모노-, 디-치환 아미드, C1-C7알킬 또는 아릴 에스테르), 카르보닐기의 C1-C7유도체 (C1-C7알킬 또는 아릴 카르보닐) 를 나타낼 수있고, R10은 하기와 같은 치환기를 나타낼 수 있다: C2-C15알킬, C2-C15알케닐, C2-C15알키닐,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C1-C15할로알킬, C1-C15히드록시알킬, C1-C15알킬옥시, C1-C15알킬티오, C3-C15알킬카르보닐, C2-C15알킬카르복실산, C2-C15알킬에스테르, C1-C15알킬술포닐, C1-C15알킬아릴술포닐, 아릴술포닐 및 화학식 -(CH2)n-A 로 나타내는 C1-C15알킬아민 (식 중, n 은 1-15 를 의미하고, 하나 이상의 메틸렌기는 산소 또는 황 원자로 치환될 수 있고, A 는 하나, 둘 또는 세 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 또는 6-원, 포화 또는 불포화 고리, 또는(식 중, R11및 R1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7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또는 1-3 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헤테로사이클을 나타낸다) 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다면 하기 전술된 바와 같이 정의된다.
"알킬"은 1가 알칸 (탄화수소) 을 의미하고, 이것으로부터 라디칼이 유도되고, 이것은 직쇄, 분지쇄, 또는 시클릭 탄화수소, 또는 직쇄와 시클릭 탄화수소 및 분지쇄와 시클릭 탄화수소의 조합일 수 있다. 바람직한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sec-부틸 및t-부틸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시클로알킬로는 시클로펜틸 및 시클로헥실이 포함된다. 알킬은 또한 시클로알킬 부분을 함유하거나 이것에 의해 중단되는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를나타낸다.
"알케닐"은 직쇄, 분지쇄 또는 시클릭 탄화수소, 또는 직쇄와 시클릭 탄화수소 및 분지쇄와 시클릭 탄화수소의 조합인 탄화수소 라디칼을 의미하고, 이것은 하나 이상의 이중 탄소-탄소 결합을 갖는다. 특히 에테닐, 프로페닐, 부테닐 및 시클로헥세닐을 의미한다. "알킬"의 정의 하에 상기 전술된 바와 같이, 알케닐 또한 직쇄, 분지쇄 또는 시클릭일 수 있고, 알케닐기 부분은 이중 결합을 함유할 수 있고, 또한 치환 알케닐기가 중요한 경우, 치환될 수 있다. 알케닐은 또한 시클로알케닐 부분을 함유하거나 이것에 의해 중단되는 직쇄 또는 분지쇄 알케닐기를 나타낸다.
"알키닐"은 탄화수소 라디칼을 의미하고, 이것은 직쇄 또는 분지쇄이고, 하나 이상 내지 세 개 이하의 삼중 탄소-탄소 결합을 함유한다. 특히 에티닐, 프로피닐 및 부티닐기를 의미한다.
"아릴"은 방향족 고리 예컨대, 페닐, 치환 페닐 또는 유사한 기 뿐만 아니라 융합 고리, 예컨대 나프틸 등을 의미한다. 아릴에는 6 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는 하나 이상의 고리, 또는 합해서 10 개의 탄소 원자 및 탄소 원자 사이에 교차하는 이중 (공명) 결합을 갖는 두 개의 고리 (특히 페닐 및 나프틸) 이 포함된다. 아릴기는 할로겐 (불소, 염소 및 브롬), 히드록시, C1-C7알킬, C1-C7알콕시 또는 아릴옥시, C1-C7알킬티오 또는 아릴티오, 알킬술포닐, 시아노 또는 아미노기와 같은 하나 또는 두 개의 치환기로 부가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헤테로아릴"은 기본 화학식의 결합 위치를 나타내는 탄소 및 질소와 함께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 예컨대 O, S 또는 N을 함유하는 모노시클릭 또는 비시클릭 방향족 탄화수소를 의미한다. 헤테로아릴은 할로겐 또는 CF3기 및 저급 알킬 예컨대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로 부가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헤테로아릴은 방향족, 및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부분적 방향족기를 의미한다. 이 유형의 예로는 티오펜, 피롤, 이미다졸, 피리딘, 옥사졸, 티아졸, 피라졸, 테트라졸, 피리디민, 피라진 및 트리아진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화학식I로 나타내는 디벤조아줄렌 유도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화합물은 모든 라디칼 및 기호가 상기 정의된 의미를 갖고, 즉, 라디칼 R1, R2, R3, R4, R5, R6, R7, R8및 R9가 상기 정의된 의미를 갖고, R10이 에톡시카르보닐을 의미하는 화학식I의 티오펜 에스테르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Cagniant P. 및 Kirsch G.,C. R. Hebd. Sceances Acad. Sci., 1976,283:683-686). 추가의 반응에 의해 이러한 에스테르는 R10에 정의된 기타 치환기로 전환된다. 이러한 반응에는 에톡시카르보닐기 상에서 상응하는 알콜 또는 알데히드로의 에스테르의 환원, 알킬화 및 기타 친핵성 반응 (반응식 1) 이 포함된다.
금속 수소화물을 사용하여 에톡시카르보닐기의 환원을 수행하여 알콜 (R10= 히드록시메틸) 을 수득한다. 이 반응은 1 내지 5 시간 동안 0 내지 36℃ 의 온도에서 적합한 비극성 용매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에테르) 에서 수행된다. 화합물의 단리 및 정제는 재결정화 또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R10이 히드록시메틸을 나타내는 화학식I의 알콜 및 화학식의 염화물의 반응에 의해 화학식I의 ω-아미노 에테르가 수득된다:
Cl-(CH2)n-A
(식 중, 기호 n 및 A 는 상기 정의된 의미를 갖는다).
전술한 반응은 2-상 시스템 (바람직하게는 50% NaOH-톨루엔) 내의 상 전달 촉매의 조건 하, 및 상 전달 촉매 (바람직하게는 벤질-트리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벤질-트리에틸-암모늄-브로마이드, 세틸-트리메틸-브로마이드) 의 존재 하에 1 내지 24 시간 동안 20 내지 100℃ 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반응 혼합물의 처리에 이어서, 수득된 생성물을 재결정화 또는 실리카 겔 칼럼 상에서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단리시킨다.
R10= 히드록시메틸인 화학식I의 알콜과 피리디닐 디크로메이트 또는 피리디닐 클로로크로메이트와의 산화에 의해, R10= CHO 인 화학식I의 알데히드를 수득한다. 반응은 2 내지 5 시간 동안 실온에서 디클로로메탄 내에서 수행된다. 수득한 알데히드를 플로리실 (florisil) 또는 실리카 겔의 칼럼을 통해 통과시켜 정제시킨다.
R10= CHO 인 화학식I의 알데히드와, 상이한 상응하는 포스포러스-일리드의반응은 R10이 상기 정의된 의미를 갖는 화학식I의 화합물을 형성시키고, 이것은 R10을 정의하는 쇄의 위치 2 에 알켄 관능부를 갖는다. 이러한 반응은 3 내지 5 시간 동안 용매의 환류 온도에서 톨루엔, 벤젠 또는 헥산과 같은 무수 용매 내에서 수행된다. 수득한 생성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킨다.
R10이 하나 이상의 이중 탄소-탄소 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I의 수소화에 의해, R10이 포화 쇄를 갖는 화학식I의 화합물이 수득된다. 이러한 반응은 보통 에탄올,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기타 적합한 용매에서 6.7 ×104내지 4.0 ×105Pa 의 수소 압력 하에 활성탄 상의 5% Pd 로 수행된다. 용매의 여과 및 증발에 의해, 포화 생성물이 수득되고, 이것을 재결정화 또는 실리카 겔 상에서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원하는 순도로 정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제를 나타내는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적합한 염으로는 무기산 (염산, 브롬화수소산, 인산, 메타인산, 질산, 및 황산) 또는 유기산 (타르타르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시트르산, 말레산, 락트산, 푸마르산, 벤조산, 숙신산, 메탄술폰산 및 p-톨루엔술폰산) 과의 염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주제는 염증성 질환 및 상태, 특히 TNF-α및 IL-1 의 과도한 분비에 의해 유발된 모든 질환 및 상태의 치료에서의 본 발명의 화합물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사이토킨 또는 염증 매개체 생성 억제제 또는 이것의 약학적으로허용가능한 염의 유효량은 사이토킨 또는 염증 매개체의 과도한 비조절된 생성에 의해 유발된 임의의 병리학적 상태 또는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약물의 제조에 유용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는, TNF-α억제제의 유효량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비독성 유효량 뿐만 아니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용매화물을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에 관한 것이다.
약학적 제제의 제조로는 혼합, 과립화, 정제화 및 성분 용해가 포함될 수 있다. 화학적 담체는 고체 또는 액체 형태일 수 있다. 고체 담체는 락토스, 수크로스, 탈크, 젤라틴, 아가, 펙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지방산 등일 수 있다. 액체 담체는 시럽, 오일 예컨대, 올리브, 해바라기씨 또는 콩유, 물 등일 수 있다. 유사하게, 담체는 또한 활성 성분의 서방성 방출을 위한 성분 예컨대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또는 글리세릴 디스테아레이트를 함유할 수 있다. 여러 형태의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고체 담체를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형태로는 정제, 고체 젤라틴 캡슐, 분말 또는 캡슐로 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는 과립이 포함될 수 있다. 고체 담체의 양은 변할 수 있지만, 주로 25 mg 내지 1 g 범위이다. 액체 담체를 사용하는 경우, 제제는 시럽, 에멀션, 연질 젤라틴 캡슐, 앰플과 같은 살균 주사액, 또는 비수성 액체 현탁액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경구적으로, 비경구적으로, 국소적으로, 비강내로, 직장내로 및 질내로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적으로"는 정맥내, 근육내 및 피하 투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해당 제제는 사이토킨 또는 염증 매개체, 무엇보다도 TNF-α의 과도한 비조절 생성에 의해 야기된 여러 질환 및 병리학적 염증성 상태의 예방 뿐만 아니라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이들에는 류머티스성 관절염, 류머티스성 척추염, 골관절염 및 기타 관절염성 병리학적 상태 및 질환, 습진, 건선 뿐만 아니라 UV 조사 (태양 광선 및 유사 UV 공급원) 에 의해 유발된 화상과 같은 피부의 기타 염증성 상태, 염증성 안질환,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및 천식이 포함된다.
TNF-α및 IL-1 의 분비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억제 효과는 하기 생체외 및 생체내 실험에 의해 측정된다:
생체외 인간 말초 혈액의 단핵 세포 내의 TNF-α및 IL-1 분비의 측정
말초 혈액 단핵 세포 (PBMC) 는 Ficoll-Hypaque (Amersham-Pharmacia) 상에서 PBMC 의 분리 후 헤파린화된 전혈로부터 제조된다. TNF-α수준의 측정을 위하여, 3.5 ×104~ 5 ×104개의 세포를 10% 의 가열 비활성화 인간 AB 혈청 (Hrvatski zavod za transfuzijsku medicinu, Zagreb), 100 단위/㎖ 의 페니실린, 100 mg/㎖ 의 스트렙토마이신 및 20 mM HEPES (GIBCO) 로 보충한 RPMI 1640 배지 내의 마이크로타이터 (microtiter) 평평한 바닥 플레이트 (96 웰, Falcon) 상에서, 18 내지 24 시간 동안 200 ㎕ 의 전체 부피에서 배양시킨다. 세포는 37℃ 에서 5% CO2및 90% 수분이 있는 대기하에 배양된다. 음성 대조군의 세포는 배지(NC) 에서만 배양시킨 반면, 양성 대조군에서의 TNF-α분비는 1 μg/㎖ 리포폴리사카라이드 (LPS, 대장균 혈청형 0111:B4, SIGMA) (PC) 의 첨가에 의해 자극시키고, LPS (TS)로 자극된 세포 배지에 이들을 첨가한 후, TNF-α분비에 대한 시험 물질의 효과를 시험하였다. 세포 상층액 내의 TNF-α수준은 제조자 (R&D Systems) 의 지시에 따라 ELISA에 의해 측정된다. 시험 감도는 < 3 pg/㎖ TNF-α였다. IL-1 수준의 측정은 TNF-α측정에 기술된 바와 같이 수행되었고, 1 ×105개의 세포/웰 및 0.1 ng/㎖ 의 LPS 만을 사용하였다. IL-1 수준은 ELISA (R&D Systems) 에 의해 측정되었다. TNF-α또는 IL-1 생성의 억제 백분율은 하기 식에 의해 계산된다:
억제 % = [1-(TS-NC)/(PC-NC)] ×100.
IC-50 값은 TNF-α생성의 50% 가 억제되는 물질의 농도로서 정의된다. 20μM 이하 농도의 IC-50 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활성이라고 간주하였다.
생체외 마우스 복막 대식세포에 의한 TNF-α및 IL-1 분비의 측정
복막 대식세포를 수득하기 위하여, 8 내지 12 주령의 수컷 BALB/c 마우스에 인산 완충액 (PBS) 에 용해된 300 ㎍ 의 지모잔 (zimozane) (SIGMA) 을 0.1 ㎖/마우스의 전체 부피로 복강내로 주사하였다. 24 시간 후, 마우스를 실험실 동물 보호 법령 (Laboratory Animal Welfare Act) 에 따라 안락사시켰다. 복강을 5 ㎖ 의 살균 염수로 세척하였다. 수득한 복막 대식세포를 살균 염수로 2 회 세척하고 마지막 원심분리 (800 g) 후, 이들을 RPMI 1640 에 재현탁시켰다. TNF-α분비의 측정을 위하여, 5 ×104개의 세포/웰을 10% 의 가열 비활성화 송아지 태아 혈청 (FCS), 100 단위/㎖ 의 페니실린, 100 mg/㎖ 의 스트렙토마이신, 및 20 mM HEPES 및 50 μM 의 2-β메르캅토에탄올 (모두 GIBCO) 로 보충한 RPMI 1640 배지 내의 마이크로타이터 평평한 바닥 플레이트 (96 웰, Falcon) 상에서, 18 내지 24 시간 동안 200 ㎕ 의 전체 부피에서 배양시켰다. 세포는 37℃ 에서 5% CO2및 90% 수분이 있는 대기하에 배양된다. 음성 대조군의 세포는 배지 (NC) 에서만 배양시킨 반면, 양성 대조군에서의 TNF-α분비는 1 μg/㎖ 리포폴리사카라이드 (LPS, 대장균 혈청형 0111:B4, SIGMA) (PC) 의 첨가에 의해 자극시키고, TNF-α분비에 대한 시험 물질의 효과는 LPS (TS)로 자극된 세포 배지에 이들을 첨가한 후 시험하였다. 세포 상층액 내의 TNF-α수준은 제조자 (R&D Systems, Biosource) 의 지시에 따라 ELISA 에 의해 측정되었다. IL-1 수준의 측정은 TNF-α측정에 기술된 바와 같이 수행되었고, 1 ×105개의 세포/웰 및 0.1 ng/㎖ 의 LPS 만을 사용하였다. IL-1 수준은 ELISA (R&D Systems) 에 의해 측정되었다. TNF-α또는 IL-1 생성의 억제 백분율은 하기 식에 의해 계산된다:
억제 % = [1-(TS-NC)/(PC-NC)] ×100.
IC-50 값은 TNF-α생성의 50% 가 억제되는 물질의 농도로서 정의된다. 10μM 이하 농도의 IC-50 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활성이라고 간주하였다.
마우스에서 TNF-α또는 IL-1 의 LPS-유발 과도 분비의 생체내 모델
마우스에서의 TNF-α또는 IL-1 분비는 이전에 기술된 방법 (Badger A. M.등,J. of Pharmac. and Env. Therap. 1996,279:1453-1461) 에 따라 유발된다. 시험에서, 6 내지 10 마리 동물의 군으로 8 내지 12 주령의 수컷 BALB/c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25 ㎍/동물의 투여량으로 경구적으로 LPS (대장균 혈청형 0111:B4, Sigma) 를 복강내로 처리하기 30 분 전에 용매만 (음성 및 양성 대조군) 또는 물질의 용액으로 경구적으로 동물을 처리하였다. 두 시간 후, Roumpun (Bayer) 및 Ketanest (Park-Davis) 를 복강내로 주사하여 동물들을 안락사시켰다. 각 동물로부터의 혈액 샘플을 "진공주사기 (vacutaner)" 튜브 (Becton Dickinson) 에 수집하고,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혈장을 분리하였다. 혈장 내의 TNF-α수준은 제조자에 의해 지시된 방법에 따라 ELISA (Biosource, R&D Systems) 에 의해 측정되었다. 시험 감도는 < 3 pg/㎖ TNF-α였다. IL-1 수준을 ELISA (R&D Systems) 에 의해 측정하였다. TNF-α또는 IL-1 생성의 억제 백분율을 하기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억제 % = [1-(TS-NC)/(PC-NC)] ×100.
10 mg/kg 의 투여량에서 TNF-α생성의 30 % 이상 억제를 나타내는 화합물을 활성이라고 간주하였다.
진통 활성에 대한 몸부림 시험
이 시험에서, 마우스의 복강으로 자극제, 보통 아세트산을 주사하여 고통을 유발시켰다. 동물은 특징적인 몸부림으로 반응하였고, 이것으로 이 시험이 명명되었다. (Collier H. O. J. 등,Pharmac. Chemother.,1968,32:295-310; Fukawa K. 등,J. Pharmacol. Meth.,1980,4:251-259; Schweizer A. 등,AgentsActions, 1988,23:29-31). 이 시험은 화합물의 진통 활성의 측정에 적합하다. 방법: 8 내지 12 주령의 수컷 BALB/c 마우스 (Charles River, 이탈리아) 를 사용하였다. 대조군에 0.6% 의 농도로 아세트산을 복강내로 투여하기 30 분 전에 메틸 셀룰로스를 경구적으로 투여하는데 반하여, 시험군에 0.6% 아세트산 (부피 0.1 ㎖/10 g) 을 복강내로 투여하기 30 분 전에 메틸셀룰로스 중 표준 (아세틸 살리실산) 또는 시험 물질을 경구적으로 투여하였다. 마우스를 개별적으로 유리 깔대기 아래에 놓고 각 동물의 몸부림의 횟수를 20 분 동안 기록하였다. 몸부림의 억제 백분율을 하기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억제 % = (대조군에서의 몸부림 횟수의 평균 값-시험군에서의 몸부림 횟수)/대조군에서의 몸부림 횟수 ×100.
아세틸 살리실산 이상의 진통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활성이라고 간주하였다.
마우스에서 LPS-유발 쇼크의 생체내 모델
8 내지 12 주령의 수컷 BALB/c 마우스 (Charles River, 이탈리아) 를 사용하였다.Serratie marcessans로부터 단리된 LPS (Sigma, L-6136) 를 살균 염수에 희석시켰다. 최초의 LPS 주사는 4 ㎍/마우스의 투여량으로 내피로 투여하였다. 18 내지 24 시간 후, LPS 를 200 ㎍/마우스의 투여량으로 정맥내로 투여하였다. 대조군에 2 회의 LPS 주사를 상기 기술된 방식으로 투여하였다. 시험군에 각 LPS 투여 30 분 전에 물질을 경구적으로 투여하였다. 24 시간 후의 생존율을 관찰하였다.
30 mg/kg 의 투여량에서 4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활성이라고 간주하였다.
실시예 1, 5, 19 및 21 의 화합물은 두 개 이상의 조사 시험에서 활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을 단지 설명하고,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실시예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지만, 결코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A
알콜의 제조
건조 에테르 중 LiAlH4의 현탁액 (10 mmole/15 ㎖ 건조 에테르) 에 에스테르의 에테르 용액 (2 mmole/15 ㎖ 건조 에테르) 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모든 에스테르가 반응에서 소비될 때 (이어서, 박막 크로마토그래피로 반응을 진행시킴), 과량의 LiAlH4를 디에틸 에테르 및 물의 첨가에 의해 분해시켰다. 수득한 백색 침전물을 여과제거하고, 무수 Na2SO4상에서 건조시킨 후, 여액을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켰다.
실시예 A 의 방법에 따르고, 상응하는 에스테르로부터 출발하여, R1, R5, R6,R7, R8및 R9= H 이고, R2, R3, R4및 X 가 표 1 에 예시된 의미를 갖는 화학식I로 나타내는 디벤조아줄렌 알콜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에 기술된 화합물을 실시예 1 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알콜 1및 상응하는 클로로알킬디알킬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로부터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디메틸-[3-(8-옥사-1-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프로필]-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50% 수산화나트륨 (5 ㎖) 중 3-디메틸아미노프로필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2.2 g, 0.014 mole) 의 용액에, 벤질트리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0.1 g, 0.44 mmol) 및 알콜1의 톨루엔 용액 (0.28 g, 0.001 mole) 을 첨가하였다.반응 혼합물을 4 시간 동안 격렬한 교반 및 환류 하에서 가열하였다. 이어서, 이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 후, 오일성 생성물 (0.25 g) 을 단리하였다. 아민의 냉 에탄올 용액에 진한 염산을 첨가함으로써, 결정성 생성물 (융점 162-165℃) 을 수득하였다.
C, H, N, S 분석: C 65.45 (계산치 65.74); H 6.12 (계산치 6.02); N 3.89 (계산치 3.48); S 8.52 (계산치 7.98)
1H NMR (ppm, CDC13): 2.18 (m, 2H); 2.79 (d, 6H); 3.15 (m, 2H); 3.68 (t, 2H); 4.71 (s, 2H); 7.15-7.58 (m, 9H), 12.29 (s, 1H).
실시예 2
디메틸-[2-(8-옥사-l-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알콜1(0.45 g, 0.0015 mole) 및 2-디메틸아미노에틸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3.05 g, 0.021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3 g) 을 수득하고, 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 (융점 203℃) 로 전환시켰다.
C, H, N 분석: C 64.85 (계산치 65.02); H 5.80 (계산치 5.72); N 3.48 (계산치 3.61).
1H NMR (ppm, CDC13): 2.89 (s, 6H); 3.27 (m, 2H); 4.07 (m, 2H); 4.78 (s,2H); 7.16-7.47 (m, 9H); 12.5 (s, 1H).
실시예 3
4-[2-(8-옥사-l-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모르폴린 히드로클로라이드
알콜1(0.45 g, 0.0015 mole) 및 4-(2-클로로에틸)-모르폴린 히드로클로라이드 (3.9 g, 0.021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34 g) 을 수득하고, 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 (융점 164℃) 로 전환시켰다.
C, H, N 분석: C 63.57 (계산치 64.25); H 5.76 (계산치. 5.6); N 3.79 (계산치 3.26).
1H NMR (ppm, CDC13): 2.99 (bs, 2H); 3.23 (m, 2H); 3.55 (d, 2H); 3.94 (d, 2H); 4.14 (m, 2H); 4,27 (m, 2H); 4.75 (s, 2H); 7.14-7.44 (m, 9H); 13.16 (s, 1H).
실시예 4
1-[2-(8-옥사-1-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페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알콜1(0.45 g, 0.0015 mole) 및 1-(2-클로로에틸)-피페리딘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3.86 g, 0.021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48 g) 을 수득하고, 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 (융점 179℃) 로 전환시켰다.
C, H, N 분석: C 67.53 (계산치 67.35); H 6.30 (계산치 6.12); N 3.61 (계산치 3.27).
1H NMR (ppm, CDC13): 1.83 (m, 4H); 2.25 (m, 2H); 2.74 (m, 2H); 3.18 (m, 2H); 3.6 (m, 2H); 4.10 (m, 2H); 4.73 (s, 2H); 7.13-7.5 (m, 9H); 12.15 (s, 1H).
실시예 5
1-[2-(8-옥사-l-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롤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알콜1(0.45 g, 0.0015 mole) 및 1-(2-클로로에틸)-피롤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3.6 g, 0.021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41 g) 을 수득하고, 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 (융점 203-205℃) 로 전환시켰다.
C, H, N 분석: C 67.12 (계산치 67.35); H 6.03 (계산치 5.84); N 3.91 (계산치 3.38).
1H NMR (ppm, CDC13): 2.02 (m, 2H); 2.18 (m, 2H); 2.91 (m, 2H); 3.27 (m, 2H); 3.81 (m, 2H); 4.08 (m, 2H); 4.75 (s, 2H); 7.12-7.5 (m, 9H); 12.7 (s, 1H).
실시예 6-10 에 기술된 화합물을 실시예 6 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알콜2및 상응하는 클로로알킬디알킬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로부터 제조하였다.
실시예 6
[3-(9-클로로-8-옥사-1-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프로필]-디메틸-아민
50% 수산화나트륨 (5 ㎖) 중 3-디메틸아미노프로필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2.37 g, 0.015 mole) 의 용액에, 벤질트리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0.25 g) 및 알콜2의 톨루엔 용액 (0.2 g, 0.64 mmol) 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격렬한 교반 및 환류하에 가열하였다. 이어서, 이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시키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 후, 오일성 생성물 (0.11 g) 을 단리하였다.
1H NMR (ppm, CDC13): 1.93 (m, 2H); 2.39 (s, 6H); 2.59 (m, 2H); 3.64 (m, 2H); 4.72 (s, 2H); 7.05-7.56 (m, 8H).
실시예 7
[2-(9-클로로-8-옥사-l-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디메틸-아민
알콜2(0.2 g, 0.64 mmol) 및 2-디메틸아미노에틸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2.6 g, 0.015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15 g) 을 수득하였다.
1H NMR (ppm, CDC13): 2.42 (s, 6H); 2.72 (m, 2H); 3.74 (m, 2H); 4.76 (s, 2H); 7.08- 7.55 (m, 8H).
실시예 8
4-[2-(9-클로로-8-옥사-l-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모르폴린
알콜2(0.2 g, 0.64 mmol) 및 4-(2-클로로에틸)-모르폴린 히드로클로라이드 (2.8 g, 0.015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19 g) 을 수득하였다.
1H NMR (ppm, CDC13): 2.51 (m, 4H); 3.71 (m, 8H); 4.75 (s, 2H); 7.08-7.56 (m, 8H).
실시예 9
1-[2-(9-클로로-8-옥사-1-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페리딘
알콜2(0.2 g, 0.64 mmol) 및 1-(2-클로로에틸)-피페리딘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2.76 g, 0.015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13 g) 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0
1-[2-(9-클로로-8-옥사-1-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롤리딘
알콜2(0.2 g, 0.64 mmol) 및 1-(2-클로로에틸)-피롤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2.55 g, 0.015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15 g) 을 수득하였다.
1H NMR (ppm, CDC13): 2.02 (m, 2H); 2.2 (m, 2H); 2.94 (m, 2H); 3.32 (m, 2H); 3.87 (m, 2H); 4.11 (m, 2H); 4.79 (s, 2H); 7.07-7.56 (m, 8H).
실시예 11-15 에 기술된 화합물은 실시예 11 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알콜3및 상응하는 클로로알킬디알킬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로부터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3-(11-클로로-8-옥사-l-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프로필]-디메틸-아민
50% 수산화나트륨 (5 ㎖) 중 3-디메틸아미노프로필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2.2 g, 0.014 mole) 의 용액에, 벤질트리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0.25 g) 및 알콜3의 톨루엔 용액 (0.19 g, 0.6 mmol) 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 시간 동안 격렬한 교반 및 환류하에 가열하였다. 이어서, 이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 후, 오일성 생성물 (0.18 g) 을 단리하였다.
1H NMR (ppm, CDC13): 2.05-2.14 (m, 2H); 2.63 (s, 6H); 2.91 (t, 2H); 3.71 (t, 2H); 4.74 (s, 2H); 7.2-7.5 (m, 8H).
실시예 12
[2-(11-클로로-8-옥사-1-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디메틸-아민
알콜3(0.19 g, 0.6 mmol) 및 2-디메틸아미노에틸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2.01 g, 0.014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2 g) 을 수득하였다.
1H NMR (ppm, CDC13): 2.46 (s, 6H); 2.80 (t, 2H); 3.78 (t, 2H); 4.76 (s, 2H); 7.19-7.5 (m, 8H).
실시예 13
4-[2-(11-클로로-8-옥사-1-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모르폴린
알콜3(0.19 g, 0.6 mmol) 및 4-(2-클로로에틸)-모르폴린 히드로클로라이드 (2.8 g, 0.015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3 g) 을 수득하였다.
1H NMR (ppm, CDC13): 2.61-2.84 (m, 6H); 3.82 (m, 6H); 4.77 (s, 2H); 7.2-7.48 (m, 8H).
실시예 14
1-[2-(11-클로로-8-옥사-1-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페리딘
알콜3(0.19 g, 0.6 mmol) 및 1-(2-클로로에틸)-피페리딘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2.76 g, 0.015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21 g) 을 수득하였다.
1H NMR (ppm, CDC13): 1.43 (m, 2H); 1.85 (m, 2H); 2.25 (m, 2H); 2.75 (m, 2H); 3.14 (m, 2H); 3.65 (m, 2H); 4.01-4.15 (m, 2H); 4.84 (s, 2H); 7.15-7.65 (m, 8H).
실시예 15
1-[2-(11-클로로-8-옥사-l-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롤리딘
알콜3(0.19 g, 0.6 mmol) 및 1-(2-클로로에틸)-피롤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2.55 g, 0.015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25 g) 을 수득하였다.
1H NMR (ppm, CDCl3): 1.8-2.2 (m, 8H); 2.9-3.25 (m, 2H); 3.98 (m, 2H); 4.8 (s, 2H); 7.19-7.45 (m, 8H).
실시예 16-20 에 기술된 화합물은 실시예 16 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알콜4및 상응하는 클로로알킬디알킬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로부터 제조하였다.
실시예 16
[3-(11-플루오로-8-옥사-1-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프로필]-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50% 수산화나트륨 (5 ㎖) 중 3-디메틸아미노프로필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2.2 g, 0.014 mole) 의 용액에, 벤질트리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0.15 g) 및 알콜4의 톨루엔 용액 (0.2 g, 0.63 mmol) 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시간 동안 격렬한 교반 및 환류하에 가열하였다. 이어서, 이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 후, 오일성 생성물 (0.14 g) 을 단리하였다.
실시예 17
[2-(11-플루오로-8-옥사-1-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알콜4(0.2 g, 0.63 mmol) 및 2-디메틸아미노에틸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2.01 g, 0.014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24 g) 을 수득하고, 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 (융점 178-179℃) 로 전환시켰다.
C, H, N, S 분석: C 61.53 (계산치 62.14); H 5.19 (계산치 5.21); N 3.72 (계산치 3.45); S 8.15 (계산치 7.90).
1H NMR (ppm, CDCl3): 2.91 (d, 6H); 3.28 (m, 2H); 4.10 (m, 2H); 4.79 (s, 2H); 6.97-7.5 (m, 8H); 12.75 (s, 1H).
실시예 18
4-[2-(11-플루오로-8-옥사-1-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모르폴린 히드로클로라이드
알콜4(0.2 g, 0.63 mmol) 및 4-(2-클로로에틸)-모르폴린 히드로클로라이드 (2.6 g, 0.014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25 g) 을 수득하고, 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 (융점 207-208℃) 로 전환시켰다.
C, H, N, S 분석: C 61.28 (계산치 61.67); H 5.33 (계산치 5.18); N 3.36 (계산치 3.13); S 7.44 (계산치 7.16).
1H NMR (ppm, CDC13): 3.05 (m, 2H); 3.25 (m, 2H); 3.57 (d, 2H); 3.97 (d, 2H); 4.19 (m, 2H); 4.35 (m, 2H); 4.79 (s, 2H); 7.0-7.47 (m, 8H).
실시예 19
1-[2-(11-플루오로-8-옥사-1-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페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알콜4(0.2 g, 0.63 mmol) 및 1-(2-클로로에틸)-피페리딘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2.6 g, 0.014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2 g) 을 수득하고, 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 (융점 122-124℃) 로 전환시켰다.
1H NMR (ppm, CDC13): 1.95 (m, 4H); 2.17 (m, 2H); 2.27 (m, 2H); 2.75 (m, 2H); 3.12 (m, 2H); 3.65 (d, 2H); 4.78 (s, 2H); 6.98-7.68 (m, 8H); 12.2 (s, 1H).
실시예 20
1-[2-(11-플루오로-8-옥사-1-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롤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알콜4(0.2 g, 0.63 mmol) 및 1-(2-클로로에틸)-피롤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2.4 g, 0.014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27 g) 을 수득하고, 이를히드로클로라이드 (융점 210℃) 로 전환시켰다.
C, H, N, S 분석: C 63.02 (계산치 63.95); H 5.42 (계산치 5.37); N 3.48 (계산치 3.24); S 7.62 (계산치 7.42).
1H NMR (ppm, CDC13): 2.09 (m, 2H); 2.17 (m, 2H); 2.94 (m, 2H); 3.31 (m, 2H); 3.85 (m, 2H); 4.10 (m, 2H); 4.79 (s, 2H); 6.97-7.48 (m, 8H); 12.3 (s, 1H).
실시예 21-25 에 기술된 화합물은 실시예 21 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알콜5및 상응하는 클로로알킬디알킬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로부터 제조하였다.
실시예 21
[3-(1,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프로필]-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50% 수산화나트륨 (5 ㎖) 중 3-디메틸아미노프로필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2.2 g, 0.012 mole)의 용액에, 벤질트리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0.15 g, 0.65 mmol) 및 알콜5의 톨루엔 용액 (0.33 g, 0.0011 mole) 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 시간 동안 격렬한 교반 및 환류하에 가열하였다. 이어서, 이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 후, 오일성 생성물 (0.32 g) 을 단리하였다. 아민의 냉 에탄올 용액에 진한 염산을 첨가함으로써, 결정성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C, H, N, S 분석: C 62.74 (계산치 63.21); H 5.83 (계산치 5.79); N 3.63 (계산치 3.35); S 15.51 (계산치 15.34).
1H NMR (ppm, CDC13): 2.20 (m, 2H); 2.80 (d, 6H); 3.17 (m, 2H); 3.72 (m, 2H); 4.73 (s, 2H); 7.11-7.63 (m, 9H); 12.27 (s, 1H).
실시예 22
[2-(1,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알콜5(0.25 g, 0.84 mmol) 및 2-디메틸아미노에틸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2.7 g, 0.019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22 g) 을 수득하고, 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 (융점 151℃) 로 전환시켰다.
1H NMR (ppm, CDC13): 2.90 (m, 6H); 3.28 (m, 2H); 4.12 (m, 2H); 4.80 (s, 2H); 7.23-7.66 (m, 9H); 12.7 (s, 1H).
실시예 23
4-[2-(1,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모르폴린 히드로클로라이드
알콜5(0.25 g, 0.84 mmol) 및 4-(2-클로로에틸)-모르폴린 히드로클로라이드 (3.47 g, 0.019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3 g) 을 수득하고, 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 (융점 178-183℃) 로 전환시켰다.
C, H, N, S 분석: C 59.76 (계산치 61.93); H 5.30 (계산치 5.42); N 3.35 (계산치 3.14); S 13.89 (계산치 14.38).
1H NMR (ppm CDC13): 3.05 (m, 2H); 3.25 (m, 2H); 3.55 (m, 2H); 4.0 (m, 2H); 4.15-4.38 (m, 4H); 4.7 (s, 2H); 7.22-7.65 (m, 9H); 13.25 (s, 1H).
실시예 24
1-[2-(1,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페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알콜5(0.25 g, 0.84 mmol) 및 1-(2-클로로에틸)-피페리딘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3.3 g, 0.018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17 g) 을 수득하고, 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 (융점 173℃) 로 전환시켰다.
1H NMR (ppm, CDC13): 1.46 (m, 2H); 1.95 (m, 4H); 2.27 (m, 2H); 2.85 (m, 2H); 3.32 (m, 2H); 3.68 (m, 2H); 4.12 (m, 2H); 7.22-7.35 (m, 9H); 10.97 (s, 1H).
실시예 25
1-[2-(1,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롤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알콜5(0.25 g, 0.84 mmol) 및 1-(2-클로로에틸)-피롤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3.1 g, 0.019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2 g) 을 수득하고, 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로 전환시켰다.
실시예 26-30 에 기술된 화합물은 실시예 26 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알콜6및 상응하는 클로로알킬디알킬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로부터 제조하였다.
실시예 26
[3-(11-플루오로-1,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프로필]-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50% 수산화나트륨 (5 ㎖) 중 3-디메틸아미노프로필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1.8 g, 0.011 mole) 의 용액에, 벤질트리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0.15 g) 및 알콜6의 톨루엔 용액 (0.25 g, 0.8 mmol) 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 시간 동안 격렬한 교반 및 환류하에 가열하였다. 이어서, 이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 후, 오일성 생성물 (0.18 g) 을 단리하였다. 아민의 냉 에탄올 용액에 진한 염산을 첨가함으로써, 결정성 생성물 (융점 209-214℃) 을 수득하였다.
1H NMR (ppm, CDC13): 2.30 (m, 2H); 2.88 (d, 6H); 3.24 (m, 2H); 3.80 (m, 2H); 4.82 (s, 2H); 7.08 (m, 1H); 7.28-7.71 (m, 7H); 12.5 (s, 1H).
실시예 27
[2-(11-플루오로-1,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알콜6(0.21 g, 0.67 mmol) 및 2-디메틸아미노에틸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1.5 g, 0.01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22 g) 을 수득하고,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 (융점 151-155℃) 로 전환시켰다.
1H NMR (ppm, CDC13): 2.23 (s, 6H); 3.03 (m, 2H); 4.22 (m, 2H); 4.87 (s, 2H); 7.06-7.12 (m, 1H); 7.23-7.73 (m, 7H); 12.5 (s, 1H).
실시예 28
4-[2-(11-플루오로-1,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모르폴린 히드로클로라이드
알콜6(0.21 g, 0.67 mmol) 및 4-(2-클로로에틸)-모르폴린 히드로클로라이드 (1.9 g, 0.01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15 g) 을 수득하고, 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 (융점 168-170℃) 로 전환시켰다.
1H NMR (ppm, CDC13): 3.05 (m, 4H); 3.65 (m, 2H); 4.05 (m, 2H); 4.28 (m, 4H); 4.87 (s, 2H); 7.09 (m, 1H); 7.23-7.74 (m, 7H); 13.25 (s, 1H).
실시예 29
1-[2-(11-플루오로-1,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페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알콜6(0.21 g, 0.67 mmol) 및 1-(2-클로로에틸)-피페리딘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1.9 g, 0.01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2 g) 을 수득하고, 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 (융점 214-216℃) 로 전환시켰다.
실시예 30
1-[2-(11-플루오로-l,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롤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알콜6(0.21 g, 0.67 mmol) 및 1-(2-클로로에틸)-피롤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1.8 g, 0.01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17 g) 을 수득하고, 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 (융점 202-205℃) 로 전환시켰다.
1H NMR (ppm, CDC13): 2.14 (m, 2H); 2.24 (m, 2H); 3.01 (m, 2H); 3.85 (m, 2H); 3.93 (m, 2H); 4.21 (m, 2H); 4.88 (s, 2H); 7.09 (m, 1H); 7.24-7.69 (m, 7H); 12.7 (s, 1H).
실시예 31-35 에 기술된 화합물은 실시예 31 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알콜7및 상응하는 클로로알킬디알킬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로부터 제조하였다.
실시예 31
[3-(11-클로로-1,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프로필]-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50% 수산화나트륨 (5 ㎖) 중 3-디메틸아미노프로필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1.7 g, 0.011 mole) 의 용액에, 벤질트리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0.15 g) 및 알콜7의 톨루엔 용액 (0.25 g, 0.75 mmol) 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격렬한 교반 및 환류하에 가열하였다. 이어서, 이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 후, 오일성 생성물 (0.17 g) 을 단리하고, 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 (융점199-200℃) 로 전환시켰다.
1H NMR (ppm, CDC13): 2.31 (m, 2H); 2.89 (d, 6H); 3.25 (m, 2H); 3.80 (m, 2H); 4.8 (s, 2H); 7.26-7.69 (m, 8H); 12.5 (s, 1H).
실시예 32
[2-(11-클로로-1,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알콜7(0.25 g, 0.75 mmol) 및 2-디메틸아미노에틸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1.5 g, 0.011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2 g) 을 수득하고, 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 (융점 165-167℃) 로 전환시켰다.
1H NMR (ppm, CDC13): 2.98 (s, 6H); 3.35 (m, 2H); 4.2 (m, 2H); 4.87 (s, 2H); 7.29-7.68 (m, 8H); 12.55 (s, 1H).
실시예 33
4-[2-(11-클로로-1,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모르폴린 히드로클로라이드
알콜7(0.2 g, 0.61 mmol) 및 4-(2-클로로에틸)-모르폴린 히드로클로라이드 (1.9 g, 0.01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21 g) 을 수득하고, 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 (융점 190℃) 로 전환시켰다.
1H NMR (ppm, CDC13): 3.08 (m, 2H); 3.32 (m, 2H); 3.63 (m, 2H); 4.05 (m,2H); 4.25 (m, 4H); 4.87 (s, 2H); 7.29-7.69 (m, 8H); 13.25 (s, 1H).
실시예 34
1-[2-(11-클로로-1,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페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알콜7(0.2 g, 0.61 mmol) 및 1-(2-클로로에틸)-피페리딘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1.9 g, 0.01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43 g) 을 수득하고, 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 (융점 184-185℃) 로 전환시켰다.
1H NMR (ppm, CDC13): 1.51 (m, 3H); 2.23 (m, 7H); 3.07 (m, 2H); 3.18 (m, 2H); 4.23 (m, 2H); 7.32-7.74 (m, 8H); 12.3 (s, IH).
실시예 35
1-[2-(11-클로로-1,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롤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알콜7(0.2 g, 0.61 mmol) 및 1-(2-클로로에틸)-피롤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1.8 g, 0.01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27 g) 을 수득하고, 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 (융점 238℃) 로 전환시켰다.
1H NMR (ppm, CDC13): 2.14 (m, 2H); 2.29 (m, 2H); 3.01 (m, 2H); 3.38 (m, 2H); 3.93 (m, 2H); 4.25 (m, 2H); 4.88 (s, 2H); 7.28-7.69 (m, 8H); 12.7 (s, 1H).
실시예 36-40 에 기술된 화합물은 실시예 36 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알콜8및 상응하는 클로로알킬디알킬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로부터 제조하였다.
실시예 36
[3-(11-브로모-1,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프로필]-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50% 수산화나트륨 (5 ㎖) 중 3-디메틸아미노프로필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1.7 g, 0.011 mole) 의 용액에, 벤질트리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0.15 g) 및 알콜8의 톨루엔 용액 (0.23 g, 0.61 mmol) 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격렬한 교반 및 환류하에 가열하였다. 이어서, 이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 후, 오일성 생성물 (0.25 g) 을 단리하고, 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 (융점 170-176℃) 로 전환시켰다.
실시예 37
[2-(11-브로모-1,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알콜8(0.23 g, 0.61 mmole) 및 2-디메틸아미노에틸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1.5 g, 0.01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31 g) 을 수득하고,히드로클로라이드 (융점 147-150 ℃) 로 전환시켰다.
실시예 38
4-[2-(ll-브로모-1,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모르폴린
알콜8(0.23 g, 0.61 mmole) 및 4-(2-클로로에틸)-모르폴린 히드로클로라이드 (2.2 g, 0.012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11 g) 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9
1-[2-(11-브로모-1,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페리딘
알콜8(0.23 g, 0.61 mmole) 및 1-(2-클로로에틸)-피페리딘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2.2 g, 0.012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09 g) 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0
1-[2-(ll-브로모-1,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롤리딘
알콜8(0.23 g, 0.61 mmole) 및 1-(2-클로로에틸)-피롤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2.2 g, 0.012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17 g) 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1-45 에 기술된 화합물을 실시예 41 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알콜9및 상응하는 클로로알킬디알킬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로부터 제조하였다.
실시예 41
[3-(10-트리플루오로메틸-1,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프로필]-디메틸-아민
50% 수산화나트륨 (5 ml) 중 3-디메틸아미노프로필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1.1 g, 0.007 mole) 용액에, 벤질트리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0.15 g) 및 알콜9의 톨루엔 용액 (0.18 g, 0.5 mmole) 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격렬한 교반 및 환류하에 가열하였다. 이어서, 이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 후, 오일성 생성물 (0.11 g) 을 단리하였다.
실시예 42
디메틸-[2-(10-틀리플루오로메틸-1,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알콜9(0.18 g, 0.5 mmole) 및 2-디메틸아미노에틸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1 g, 0.007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 (0.1 g) 로 전환시켰다.
실시예 43
4-[2-(10-트리플루오로메틸-1,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모르폴린
알콜9(0.18 g, 0.5 mmole) 및 4-(2-클로로에틸)-모르폴린 히드로클로라이드 (1.3 g, 0.007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20 g) 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4
1-[2-(10-트리플루오로메틸-1,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페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알콜9(0.18 g, 0.5 mmole) 및 1-(2-클로로에틸)-피페리딘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1.3 g, 0.007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18 g) 을 수득하고, 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로 전환시켰다.
실시예 45
1-[2-(10-트리플루오로메틸-l,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롤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알콜9(0.18 g, 0.5 mmole) 및 1-(2-클로로에틸)-피롤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1.2 g, 0.007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1 g) 을 수득하고, 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로 전환시켰다.
실시예 46-49 에 기술된 화합물을 실시예 46 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알콜10및 상응하는 클로로알킬디알킬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로부터 제조하였다.
실시예 46
[3-(10-클로로-1,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프로필]-디메틸-아민
50% 수산화나트륨 (5 ml) 중 3-디메틸아미노프로필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1.1 g, 0.007 mole) 용액에, 벤질트리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0.15 g) 및 알콜10의 톨루엔 용액 (0.16 g, 0.48 mmole) 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격렬한 교반 및 환류하에 가열하였다. 이어서, 이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 후, 오일성 생성물 (0.17 g) 을 단리하였다.
실시예 47
[2-(10-클로로-l,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알콜10(0.16 g, 0.48 mmole) 및 2-디메틸아미노에틸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0.98 g, 0.0068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 (0.12 g) 로 전환시켰다.
실시예 48
1-[2-(10-클로로-1,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페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알콜10(0.16 g, 0.48 mmole) 및 1-(2-클로로에틸)-피페리딘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1.25 g, 0.0067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11 g) 을 수득하고, 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로 전환시켰다.
실시예 49
1-[2-(10-클로로-l,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롤리딘
알콜10(0.16 g, 0.48 mmole) 및 1-(2-클로로에틸)-피롤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1.15 g, 0.0067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14 g) 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0-54 에 기술된 화합물을 실시예 50 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알콜11및 상응하는 클로로알킬디알킬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로부터 제조하였다.
실시예 50
[3-(10-브로모-1,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프로필]-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50% 수산화나트륨 (5 ml) 중 3-디메틸아미노프로필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1.18 g, 0.0074 mole) 용액에, 벤질트리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0.15 g) 및 알콜11의 톨루엔 용액 (0.2 g, 0.53 mmole) 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격렬한 교반 및 환류하에 가열하였다. 이어서, 이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 후, 오일성 생성물 (0.17 g) 을 단리하고, 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로 전환시켰다.
실시예 51
[2-(10-브로모-1,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알콜11(0.2 g, 0.53 mmole) 및 2-디메틸아미노에틸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1.18 g, 0.0074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 (0.12 g) 로 전환시켰다.
실시예 52
1-[2-(10-브로모-1,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페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알콜11(0.2 g, 0.53 mmole) 및 1-(2-클로로에틸)-피페리딘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1.27 g, 0.0074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15 g) 을 수득하고, 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로 전환시켰다.
실시예 53
1-[2-(10-브로모-1,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롤리딘
알콜11(0.2 g, 0.53 mmole) 및 1-(2-클로로에틸)-피롤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1.37 g, 0.0074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09 g) 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4
[2-(10-브로모-l,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프로필]-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알콜11(0.2 g, 0.53 mmole) 및 1-디메틸아미노-2-프로필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1.18 g, 0.0074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12 g) 을 수득하고, 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로 전환시켰다.
실시예 55-57 에 기술된 화합물을 실시예 55 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알콜12및 상응하는 클로로알킬디알킬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로부터 제조하였다.
실시예 55
[3-(9,11-디메틸-1,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프로필]-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50% 수산화나트륨 (5 ml) 중 3-디메틸아미노프로필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1.23 g, 0.0077 mole) 용액에, 벤질트리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0.15 g) 및 알콜12의 톨루엔 용액 (0.18 g, 0.55 mmole) 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격렬한 교반 및 환류하에 가열하였다. 이어서, 이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 후, 오일성 생성물 (0.13 g) 을 단리하고, 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로 전환시켰다.
실시예 56
[2-(9,11-디메틸-l,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알콜12(0.18 g, 0.55 mmole) 및 2-디메틸아미노에틸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1.12 g, 0.0077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 (0.09 g) 로 전환시켰다.
실시예 57
1-[2-(9,11-디메틸-1,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롤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알콜12(0.18 g, 0.55 mmole) 및 1-(2-클로로에틸)피롤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1.32 g, 0.0077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 (0.11 g) 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8-62 에 기술된 화합물을 실시예 58 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알콜13및 상응하는 클로로알킬디알킬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로부터 제조하였다.
실시예 58
[3-(10,11-디클로로-1,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프로필]-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50% 수산화나트륨 (5 ml) 중 3-디메틸아미노프로필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1.5 g, 0.0095 mole) 용액에, 벤질트리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0.15 g) 및 알콜13의 톨루엔 용액 (0.2 g, 0.68 mmole) 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격렬한 교반 및 환류하에 가열하였다. 이어서, 이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 후, 오일성 생성물을 단리하고, 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 (0.075 g) 로 전환시켰다.
실시예 59
[2-(10,11-디클로로-1,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알콜13(0.2 g, 0.68 mmole) 및 2-디메틸아미노에틸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1.4 g, 0.0095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을 수득하고, 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 (0.08 g) 로 전환시켰다.
실시예 60
4-[2-(10,11-디클로로-1,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모르폴린 히드로클로라이드
알콜13(0.2 g, 0.68 nunole) 및 4-(2-클로로에틸)-모르폴린 히드로클로라이드 (1.7 g, 0.0095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 (0.11 g) 로 전환시켰다.
실시예 61
1-[2-(1O,11-디클로로-1,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페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알콜13(0.2 g, 0.68 mmole) 및 1-(2-클로로에틸)-피페리딘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1.7 g, 0.0095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 (0.045 g) 로 전환시켰다.
실시예 62
1-[2-(10,11-디클로로-l,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롤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알콜13(0.2 g, 0.68 mmole) 및 1-(2-클로로에틸)-피롤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1.62 g, 0.0095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 (0.09 g) 로 전환시켰다.
실시예 63-64 에 기술된 화합물을 실시예 63 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알콜14및 상응하는 클로로알킬디알킬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로부터 제조하였다.
실시예 63
[3-(9-클로로-ll-플루오로-1,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프로필]-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50% 수산화나트륨 (5 ml) 중 3-디메틸아미노프로필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1.22 g, 0.0077 mole) 용액에, 벤질트리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0.15 g) 및 알콜14의 톨루엔 용액 (0.19 g, 0.55 mmole) 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3 시간 동안 격렬한 교반 및 환류하에 가열하였다. 이어서, 이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 후, 오일성 생성물을 단리하고, 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 (0.095 g) 로 전환시켰다.
실시예 64
[2-(9-클로로-l1-플루오로-1,8-디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메톡시)-에틸]-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알콜14(0.19 g, 0.55 mmole) 및 2-디메틸아미노에틸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1.12 g, 0.0077 mole) 의 반응에 의해, 오일성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를 히드로클로라이드 (0.07 g) 로 전환시켰다.
실시예 B
알데히드의 제조
알콜 (표 1) 의 디클로로메탄 용액 (0.002 mole/15 ml) 에, 디피리딘 산화크롬(VI) (피리딜-디크로메이트, PDC, 0.003 mole) 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 내지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디에틸 에테르 (20 ml) 를 첨가하고, 희석된 반응 혼합물을 플로리실 칼럼 상에서 정제하였다.수득된 생성물을 추가로 실리카 겔 칼럼 상에서 정제하였다.
실시예 B 의 방법에 따라, 적당한 알콜 (표 1, 화합물 4 및 3) 으로부터 출발하여, 디벤조아줄렌 유도체를 수득하였고, 여기서, R1, R3, R4, R5, R6, R7, R8및 R9= H, R10= CHO 및 R2, R3, R4및 X 는 표 2 에 표시된 의미를 갖는다.
화합물 X R2 R3 R4 융점(℃) 1H NMR (ppm, CDCl3)
15 O F H H - 7.07-7.52(m,7H); 7.98 (s,1H); 9.98 (s,2H)
16 O Cl H H - 7.16-7.60(m,7H); 8.01 (s,1H); 9.99 (s,2H)
하기 실시예 65-68 에 기술된 화합물을 실시예 65 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표 2 에 기재된 알데히드 및 상응하는 포스포러스 일리드로부터 제조하였다.
실시예 65
3-(ll-플루오로-8-옥사-l-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
톨루엔 (10 ml) 중 알데히드15(0.07 g, 0.0024 mole) 용액에, 일리드III(메틸(트리페닐)포스포라닐리드 아세테이트) (0.08 g, 0.0024 mole) 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 시간 동안 환류하에 교반한 후, 이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증발시켜 건조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 후, 결정형 생성물 (0.03 g) 을 단리하였다.
실시예 66
3-(11-클로로-8-옥사-1-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20 ml) 중 알데히드16(0.15 g, 0.48 mmole) 의 용액에, 일리드III(0.24 g, 0.72 mmole) 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 시간 동안 환류하에 교반한 후, 이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증발시켜 건조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 후, 결정형 생성물 (0.08 g) 을 단리하였다.
실시예 67
4-(11-플루오로-8-옥사-1-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부트-3-엔-2-온
톨루엔 (10 ml) 중 알데히드15(0.14 g, 0.47 mmole) 의 용액에, 일리드IV(아세틸메틸렌트리페닐포스포란) (0.15 g, 0.47 mmole) 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 시간 가열환류하여 교반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증발시켜 건조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 후, 결정형 생성물 (0.08 g) 을 단리하였다.
실시예 68
4-(1l-클로로-8-옥사-l-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부트-3-엔-2-온
테트라히드로푸란 (10 ml) 중 알데히드16(0.15 g, 0.48 mmole) 의 용액에, 일리드IV(0.15 g, 0.47 mmole) 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 시간 동안 환류하에 교반한 후, 이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증발시켜 건조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 후, 결정형 생성물 (0.08 g) 을 단리하였다.
실시예 69
3-(11-플루오로-8-옥사-1-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아크릴산
실시예 65 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된 에스테르 (0.03 g, 0.085 mmole) 의 가수분해를 2M KOH (환류, 2 내지 5 시간) 와 함께, 및 반응 혼합물을 진한 HCl 로 산성화시킴으로써 수행하였다. 수득된 결정형 생성물을 여과제거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0.02 g).
실시예 70
3-(11-플루오로-8-옥사-1-티아-디벤조[ e,h ]아줄렌-2-일)-프로피온산
실시예 69 에서 제조된 산의 에탄올 용액 (10 ml) 에, 물 (50 %) 로 습윤처리된 5% Pd/C (5 mg) 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00 kPa 의 압력에서 수소 대기 하에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촉매를 여과하고, 용매를 증발시킨 후, 생성물을 수득하였고, 이를 실리카 겔 칼럼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Claims (24)

  1. 하기를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I로 나타내는 디벤조아줄렌 유도체, 이들의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용매화물:
    [화학식 I]
    (식 중,
    X 는 CH2또는 O, S, S(=O), S(=O)2또는 NR13(식 중, R13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르보닐, 아릴카르보닐, C1-6알킬술포닐 또는 아릴술포닐을 의미한다) 과 같은 헤테로원자를 나타낼 수 있고, R1, R2, R3, R4, R5, R6, R7, R8, R9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불소, 염소 또는 브롬) 일 수 있는 치환기; 또는 C1-C7알킬, 알케닐,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을 나타내거나; 상이한 기: 할로메틸, 히드록시, C1-C7알콕시 또는 아릴옥시, C1-C7알킬티오 또는 아릴티오, C1-C7알킬술포닐, 시아노,아미노, 모노-, 및 디-C1-C7치환 아민, 카르복실기의 유도체 (C1-C7카르복실산 및 이들의 무수물, C1-C7비치환, 모노-, 디-치환 아미드, C1-C7알킬 또는 아릴 에스테르), 카르보닐기의 C1-C7유도체 (C1-C7알킬 또는 아릴 카르보닐) 를 나타낼 수 있고, R10은 하기와 같은 치환기를 나타낼 수 있다: C2-C15알킬, C2-C15알케닐, C2-C15알키닐,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C1-C15할로알킬, C1-C15히드록시알킬, C1-C15알킬옥시, C1-C15알킬티오, C3-C15알킬카르보닐, C2-C15알킬카르복실산, C2-C15알킬에스테르, C1-C15알킬술포닐, C1-C15알킬아릴술포닐, 아릴술포닐 및 화학식 -(CH2)n-A 로 나타내는 C1-C15알킬아민 (식 중, n 은 1-15 를 의미하고, 하나 이상의 메틸렌기는 산소 또는 황 원자로 치환될 수 있고, A 는 하나, 둘 또는 세 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 또는 6-원, 포화 또는 불포화 고리, 또는(식 중, R11및 R1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7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또는 1-3 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헤테로사이클을 나타낸다) 을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X 가 -S- 또는 -O- 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및 염.
  3. 제 2 항에 있어서, R10이 -CH2O(CH2)n-A 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및 염.
  4. 제 3 항에 있어서, A 가 모르폴린-4-일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및 염.
  5. 제 3 항에 있어서, A 가 피페리딘-1-일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및 염.
  6. 제 3 항에 있어서, A 가 피롤리딘-1-일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및 염.
  7. 제 3 항에 있어서, A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및 염.
  8. 제 7 항에 있어서, R11및 R12가 동시에 -CH3또는 -CH2CH3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및 염.
  9. 제 2 항에 있어서, R10이 -CH2OH 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및 염.
  10. 제 2 항에 있어서, R10이 -CHO 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및 염.
  11. 제 2 항에 있어서, R10이 -CH=CH(CH2)nCOOR13(식 중, n 은 0 내지 12 일 수 있고, R13은 이전에 정의된 의미를 가진다) 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및 염.
  12. 제 2 항에 있어서, R10이 -(CH2)nCOOR13(식 중, n 은 0 내지 13 일 수 있고, R13은 이전에 정의된 의미를 가진다) 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및 염.
  13. 제 11 항에 있어서, n 이 0이고, R13이 -H 또는 -CH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및 염.
  14. 제 2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가 F, Cl, Br 또는 -CH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및 염.
  15. 제 2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이 F, Cl, Br, -CF3또는 -CH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및 염.
  16. 제 2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4가 F, Cl 또는 -CH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및 염.
  17. 모든 라디칼 및 기호가 제 9 항에서 정의된 의미를 갖는 화학식 ⅱ 로 나타내는 디벤조아줄렌 유도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모든 라디칼 및 기호가 이전에 정의된 의미를 갖는 화학식 i 의 에스테르의 수소화물 환원을, 1 내지 5 시간 동안 0 내지 60℃ 의 온도에서 적합한 비극성 용매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에테르) 내에서 수행하고, 이렇게 수득된 알콜 화합물의 단리 및 정제를 재결정화 또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모든 라디칼 및 기호가 제 10 항에서 정의된 의미를 갖는 화학식 ⅲ 으로 나타내는 디벤조아줄렌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모든 라디칼 및 기호가 제 9 항에서 정의된 의미를 갖는 화학식I의 알콜을 피리디닐-디크로메이트 또는 피리디닐-클로로크로메이트로 산화시키고, 디클로로메탄에서의 반응을 1 내지 2 시간 동안 실온에서 수행하고, 이렇게 수득된 알데히드 화합물의 단리 및 정제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모든 라디칼 및 기호가 제 3 항에서 정의된 의미를 갖는 화학식I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모든 라디칼 및 기호가 제 9 항에서 정의된 의미를 갖는 화학식 ii 의 알콜을 화학식의 화합물과 반응시키고, 반응을 2-상 알칼리성 매질 (바람직하게는 50% NaOH-톨루엔) 내의 상 전달 촉매의 조건 하, 및 상 전달 촉매 (바람직하게는 벤질-트리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벤질-트리에틸-암모늄-브로마이드, 세틸-트리메틸-브로마이드) 의 존재 하에 1 내지 24 시간 동안 20 내지 100℃ 의 온도에서 수행하고, 반응 혼합물의 처리 후, 수득된 생성물을 재결정화 또는 실리카 겔 칼럼 상에서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단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화학식 Ⅱ]
    Cl-(CH2)n-A
    (식 중, 기호 n 및 A 는 이전에 정의된 의미를 갖는다).
  20. 모든 라디칼 및 기호가 제 11 항에서 정의된 의미를 갖는 화학식I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모든 라디칼 및 기호가 제 10 항에서 정의된 의미를 갖는 화학식 ⅲ 의 알데히드를 화학식의 트리페닐포스포러스 시약과 반응시키고,반응을 1 내지 24 시간 동안 용매의 환류 온도에서 적합한 건조 용매에서 수행하고, 반응 혼합물의 처리 후, 수득된 에스테르를 재결정화 또는 실리카 겔 칼럼 상에서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단리, 정제시키고, 3 시간 동안 20% KOH 에서 환류시켜 가수분해한 후, 생성물을 HCl 로 산성화시키고 여과시킴으로써 단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화학식 Ⅲ]
    Ph3P+CH-(CH2)nCOOCH3
  21. 모든 라디칼 및 기호가 제 1 항에서 정의된 의미를 갖는 화학식I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모든 라디칼 및 기호가 제 10 항에서 정의된 의미를 갖는 화학식I의 알데히드를 화학식의 트리페닐포스포러스 시약과 반응시키고, 반응을 1 내지 24 시간 동안 용매의 환류 온도에서 적합한 건조 용매에서 수행하고, 반응 혼합물의 처리 후, 수득된 메틸 케톤을 재결정화 또는 실리카 겔 칼럼 상에서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단리 및 정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화학식 Ⅳ]
    Ph3P+CH-(CH2)nCOCH3
  22. 모든 라디칼 및 기호가 제 12 항에서 정의된 의미를 갖는 화학식I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모든 라디칼 및 기호가 제 11 항에서 정의된 의미를 갖는 제 11 항에서 정의된 알켄 화합물을 2 내지 6 시간 동안 100 kPa 내지 300 kPa 의 수소 압력 하에 적합한 유기 용매에서 활성탄 상의 팔라듐, 로듐 또는 산화백금 (Ⅳ) 일 수 있는 촉매의 존재 하에 촉매성 수소화시킨 후,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하기 화합물:
    디메틸-[3-(8-옥사-1-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프로필]-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디메틸-[2-(8-옥사-1-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4-[2-(8-옥사-1-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모르폴린 히드로클로라이드,
    1-[2-(8-옥사-1-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페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1-[2-(8-옥사-1-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롤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3-(9-클로로-8-옥사-1-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프로필]-디메틸-아민,
    [2-(9-클로로-8-옥사-1-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디메틸-아민,
    4-[2-(9-클로로-8-옥사-1-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모르폴린,
    1-[2-(9-클로로-8-옥사-1-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페리딘,
    1-[2-(9-클로로-8-옥사-1-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롤리딘,
    [3-(11-클로로-8-옥사-1-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프로필]-디메틸-아민,
    [2-(11-클로로-8-옥사-1-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디메틸-아민,
    4-[2-(11-클로로-8-옥사-1-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모르폴린,
    1-[2-(11-클로로-8-옥사-1-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페리딘,
    1-[2-(11-클로로-8-옥사-1-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롤리딘,
    [3-(11-플루오로-8-옥사-1-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프로필]-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2-(11-플루오로-8-옥사-1-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4-[2-(11-플루오로-8-옥사-1-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모르폴린 히드로클로라이드,
    1-[2-(11-플루오로-8-옥사-1-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페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1-[2-(11-플루오로-8-옥사-1-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롤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3-(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프로필]-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2-(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4-[2-(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모르폴린 히드로클로라이드,
    1-[2-(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페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1-[2-(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롤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3-(11-플루오로-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프로필]-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2-(11-플루오로-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4-[2-(11-플루오로-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모르폴린 히드로클로라이드,
    1-[2-(11-플루오로-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페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1-[2-(11-플루오로-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롤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3-(11-클로로-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프로필]-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2-(11-클로로-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4-[2-(11-클로로-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모르폴린 히드로클로라이드,
    1-[2-(11-클로로-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페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1-[2-(11-클로로-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롤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3-(11-브로모-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프로필]-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2-(11-브로모-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4-[2-(11-브로모-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모르폴린,
    1-[2-(11-브로모-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페리딘,
    1-[2-(11-브로모-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롤리딘,
    [3-(10-트리플루오로메틸-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프로필]-디메틸-아민,
    디메틸-[2-(10-트리플루오로메틸-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4-[2-(10-트리플루오로메틸-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모르폴린,
    1-[2-(10-트리플루오로메틸-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페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1-[2-(10-트리플루오로메틸-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롤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3-(10-클로로-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프로필]-디메틸-아민,
    [2-(10-클로로-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1-[2-(10-클로로-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페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1-[2-(10-클로로-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롤리딘,
    [3-(10-브로모-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프로필]-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2-(10-브로모-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1-[2-(10-브로모-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페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1-[2-(10-브로모-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롤리딘,
    [2-(10-브로모-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프로필]-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3-(9,11-디메틸-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프로필]-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2-(9,11-디메틸-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1-[2-(9,11-디메틸-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롤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3-(10,11-디클로로-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프로필]-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2-(10,11-디클로로-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4-[2-(10,11-디클로로-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모르폴린 히드로클로라이드,
    1-[2-(10,11-디클로로-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페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1-[2-(10,11-디클로로-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피롤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3-(9-클로로-11-플루오로-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프로필]-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2-(9-클로로-11-플루오로-1,8-디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메톡시)-에틸]-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3-(11-플루오로-8-옥사-1-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
    3-(11-클로로-8-옥사-1-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
    4-(11-플루오로-8-옥사-1-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부트-3-엔-2-온,
    4-(11-클로로-8-옥사-1-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부트-3-엔-2-온,
    3-(11-플루오로-8-옥사-1-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아크릴산,
    3-(11-플루오로-8-옥사-1-티아-디벤조[e,h]아줄렌-2-일)-프로피온산.
  24. 사이토킨 또는 염증 매개체의 과도하게 비조절된 생성에 의해 유발된 임의의 병리학적 상태 또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서, 사이토킨 또는 염증 매개체의 생성 억제제로서의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의 용도에 있어서, 적합한 약학적 제제의 비독성 투여량을 경구적으로, 비경구적으로 또는 국소적으로 투여할 수 있는 용도.
KR1020027015567A 2000-05-17 2001-05-16 종양 괴사 인자 억제제로서의 티에노디벤조아줄렌 화합물 KR1008230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HR20000310A HRP20000310A2 (en) 2000-05-17 2000-05-17 New dibenzoazulene compounds as tumor necrosis factor inhibitors
HRP20000310A 2000-05-17
PCT/HR2001/000027 WO2001087890A1 (en) 2000-05-17 2001-05-16 Thienodibenzoazulene compounds as tumor necrosis factor inhibit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0625A true KR20030010625A (ko) 2003-02-05
KR100823064B1 KR100823064B1 (ko) 2008-04-18

Family

ID=10947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5567A KR100823064B1 (ko) 2000-05-17 2001-05-16 종양 괴사 인자 억제제로서의 티에노디벤조아줄렌 화합물

Country Status (37)

Country Link
US (2) US6897211B2 (ko)
EP (1) EP1284977B1 (ko)
JP (1) JP2003533528A (ko)
KR (1) KR100823064B1 (ko)
CN (1) CN1194976C (ko)
AR (1) AR030562A1 (ko)
AT (1) ATE434619T1 (ko)
AU (2) AU2001256560B2 (ko)
BG (1) BG65967B1 (ko)
BR (1) BR0111202A (ko)
CA (1) CA2409090C (ko)
CR (1) CR6860A (ko)
CY (1) CY1109328T1 (ko)
CZ (1) CZ301770B6 (ko)
DE (1) DE60139070D1 (ko)
DK (1) DK1284977T3 (ko)
DZ (1) DZ3357A1 (ko)
EA (1) EA006069B1 (ko)
EE (1) EE200200636A (ko)
ES (1) ES2328335T3 (ko)
GE (1) GEP20043304B (ko)
HK (1) HK1056719A1 (ko)
HR (1) HRP20000310A2 (ko)
HU (1) HUP0302295A3 (ko)
IL (1) IL152809A0 (ko)
IS (1) IS6621A (ko)
MA (1) MA27125A1 (ko)
MX (1) MXPA02011269A (ko)
NO (1) NO20025510L (ko)
NZ (1) NZ522553A (ko)
PL (1) PL204849B1 (ko)
PT (1) PT1284977E (ko)
RS (1) RS50893B (ko)
SI (1) SI1284977T1 (ko)
SK (1) SK17702002A3 (ko)
WO (1) WO2001087890A1 (ko)
ZA (1) ZA2002091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RP20020304B1 (en) * 2002-04-10 2008-04-30 GlaxoSmithKline istra�iva�ki centar Zagreb d.o.o. 1-oxa-3-aza-dibenzoazulenes as inhibitors of tumor necrosis factor production and intermediates for the production thereof
HRP20020305A8 (en) 2002-04-10 2009-03-31 GlaxoSmithKline istra�iva�ki centar Zagreb d.o.o. 2-thia-dibenzoazulenes as inhibitors of tumour necrosis factor production and intermediat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HRP20020303B8 (en) 2002-04-10 2009-03-31 GlaxoSmithKline istra�iva�ki centar Zagreb d.o.o. Benzonaphthoazulenes as inhibitors of tumour necrosis factor production and intermediat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HRP20020440B1 (en) * 2002-05-21 2008-02-29 GlaxoSmithKline istra�iva�ki centar Zagreb d.o.o. 1-aza-dibenzoazulenes as inhibitors of tumor necrosis factor production and intermediat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HRP20020441A2 (en) * 2002-05-21 2003-12-31 Pliva D D 1-oxa-dibenzoazulen as inhibitor of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s and intermediate for preparation thereof
HRP20020451A2 (en) 2002-05-23 2003-12-31 Pliva D D 1-tia-3-aza-dibenzoazulen as inhibitor of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s and intermediates for preparation thereof
HRP20020452A2 (en) * 2002-05-23 2004-02-29 Pliva D D 1,2-diaza-dibenzoazulen as inhibitor of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s and intermediates for preparation thereof
HRP20020453A2 (en) 2002-05-23 2003-12-31 Pliva D D 1,3-diaza-dibenzoazulen as inhibitor of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s and intermediate for preparation thereof
HRP20030160A2 (en) * 2003-03-06 2005-04-30 Pliva-Istra�iva�ki institut d.o.o. 1-thiadibenzoazulene derivatives and biological action thereof
HRP20030324A2 (en) 2003-04-24 2005-02-28 Pliva-Istra�iva�ki institut d.o.o. Compounds of antiinflammatory effect
WO2005047274A1 (en) * 2003-11-12 2005-05-26 Dr. Reddy's Laboratories, Inc. Preparation of escitalopram
HRP20030954A2 (en) * 2003-11-21 2005-08-31 Pliva D.D. USE OF 1-AZA-DIBENZO[e,h]AZULENES FOR THE MANUFACTURENT AND PREVENTION OF CENTRAL NERVOUS SYSTEM DISEASES AND DISORDERS
HRP20030955A2 (en) * 2003-11-21 2005-08-31 Pliva-Istra�iva�ki institut d.o.o. USE OF 1-OXADIBENZO[e,h]AZULENES FOR THE MANUFACTURE OF PHARMACEUTICAL FORMULATIONS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CENTRAL NERVOUS SYSTEM DISEASES AND DISORDERS
HRP20040104A2 (en) * 2004-01-30 2005-10-31 Pliva-Istra�iva�ki institut d.o.o. Use of benzonaphthoazulenes for the manufacture of pharmaceutical formulations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central nervous system diseases and disorders
US20090048221A1 (en) 2004-10-27 2009-02-19 Mladen Mercep Conjugates with Anti-Inflammatory Activity
WO2006061392A2 (en) * 2004-12-07 2006-06-15 Janssen Pharmaceutica N.V. Substituted tetracyclic tetrahydrofuran, pyrrolidine and tetrahydrothiophene derivatives
JP2008532927A (ja) * 2005-01-13 2008-08-21 グラクソスミスクライン・イストラジヴァッキ・センタル・ザグレブ・ドルズバ・ゼー・オメイェノ・オドゴヴォルノスティオ 抗炎症マクロライド接合体
JP2009529057A (ja) 2006-03-08 2009-08-13 コートリア・コーポレーシヨン Cox−関連胃損傷を予防するための非−選択的cox阻害剤との組み合わせ療法
US8389482B2 (en) 2007-01-30 2013-03-05 New York University Short peptides useful for treatment of ischemia/reperfusion injury and other tissue damage conditions associated with nitric oxide and its reactive species
WO2008096755A1 (ja) * 2007-02-07 2008-08-14 Nippon Suisan Kaisha, Ltd. バニロイド受容体(vr1)阻害剤及びその用途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1489A (en) * 1971-03-31 1973-01-16 Pfizer Certain 8,9-dihydro(3,4,7,8)cycloocta(1,2-d)imidazoles
JPS53116385A (en) * 1977-03-19 1978-10-11 Hokuriku Pharmaceutical Pyrazin derivative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US4198421A (en) * 1978-11-30 1980-04-1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ntiinflammatory 2-substituted-dibenzo[2,3:6,7]oxepino[4,5-d]imidazoles
TR199801164T2 (xx) * 1996-04-12 1998-10-21 Janssen Pharmaceutica N.V. S�bstit�e edilmi� tetrasiklik tetrahidrofuran t�revleri.
GB9713368D0 (en) * 1997-06-25 1997-08-27 Weston Medical Ltd Flame control
EP0887339A1 (de) * 1997-06-27 1998-12-30 Roche Diagnostics GmbH Neue Azulenderivate und diese enthaltende Arzneimitt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39070D1 (de) 2009-08-06
US20030153750A1 (en) 2003-08-14
US20050171091A1 (en) 2005-08-04
KR100823064B1 (ko) 2008-04-18
BR0111202A (pt) 2003-04-01
AR030562A1 (es) 2003-08-27
EP1284977B1 (en) 2009-06-24
EA006069B1 (ru) 2005-08-25
NZ522553A (en) 2005-04-29
CZ301770B6 (cs) 2010-06-16
US6897211B2 (en) 2005-05-24
SI1284977T1 (sl) 2009-10-31
EE200200636A (et) 2004-04-15
ATE434619T1 (de) 2009-07-15
WO2001087890A1 (en) 2001-11-22
CR6860A (es) 2008-06-02
DZ3357A1 (fr) 2001-11-22
HUP0302295A2 (hu) 2003-10-28
PL365054A1 (en) 2004-12-27
CZ20024090A3 (cs) 2003-05-14
ES2328335T3 (es) 2009-11-12
MXPA02011269A (es) 2003-06-06
DK1284977T3 (da) 2009-09-14
NO20025510L (no) 2003-01-14
CA2409090C (en) 2010-06-29
CN1194976C (zh) 2005-03-30
PL204849B1 (pl) 2010-02-26
RS50893B (sr) 2010-08-31
MA27125A1 (fr) 2005-01-03
CY1109328T1 (el) 2012-05-23
GEP20043304B (en) 2004-02-10
AU2001256560B2 (en) 2005-10-06
CN1437605A (zh) 2003-08-20
CA2409090A1 (en) 2001-11-22
BG107399A (bg) 2003-09-30
SK17702002A3 (sk) 2003-10-07
HUP0302295A3 (en) 2007-03-28
HRP20000310A2 (en) 2002-02-28
HK1056719A1 (en) 2004-02-27
PT1284977E (pt) 2009-09-09
EA200201223A1 (ru) 2003-06-26
IS6621A (is) 2002-11-14
JP2003533528A (ja) 2003-11-11
IL152809A0 (en) 2003-06-24
NO20025510D0 (no) 2002-11-15
EP1284977A1 (en) 2003-02-26
AU5656001A (en) 2001-11-26
BG65967B1 (bg) 2010-07-30
YU84102A (sh) 2006-01-16
ZA200209180B (en) 2003-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3064B1 (ko) 종양 괴사 인자 억제제로서의 티에노디벤조아줄렌 화합물
AU2001256560A1 (en) Thienodibenzoazulene compounds as tumor necrosis factor inhibitors
EP1506202B1 (en) 1-aza-dibenzoazulenes as inhibitors of tumour necrosis factor production and intermediat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EP1492795B1 (en) 1- or 3-thia-benzonaphthoazulenes as inhibitors of tumour necrosis factor production and intermediat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EP1509528B1 (en) 1,3-diaza-dibenzoazulenes as inhibitors of tumour necrosis factor production and intermediat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RU2334749C2 (ru) 2-тиадибензоазулены в качестве ингибиторов продуцирования фактора некроза опухоли и промежуточные продукты для их получения
US20060069149A1 (en) Thiadibenzoazulen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RU2323222C2 (ru) 1-окса-3-азадибензоазулены в качестве ингибиторов продуцирования фактора некроза опухоли и промежуточные продукты для их получения
JP2005529157A (ja) 腫瘍壊死因子産生の阻害剤としての1−チア−3−アザ−ジベンゾアズレン類及びその製造用中間体
HRP20020441A2 (en) 1-oxa-dibenzoazulen as inhibitor of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s and intermediate for preparation thereof
JP2006500322A (ja) 腫瘍壊死因子産生の阻害剤としての1,2−ジアザ−ジベンゾアズレン類及びその製造用中間体
KR20050016336A (ko) 종양괴사인자 생성 억제제로서의 2-티아-디벤조아줄렌 및그의 제조를 위한 중간체
KR20050020774A (ko) 종양괴사인자 생성의 억제제로서의1-옥사-3-아자-디벤조아줄렌 및 그의 제조를 위한 중간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