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9422A - 헤드폰장치 - Google Patents

헤드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9422A
KR20030009422A KR1020027013332A KR20027013332A KR20030009422A KR 20030009422 A KR20030009422 A KR 20030009422A KR 1020027013332 A KR1020027013332 A KR 1020027013332A KR 20027013332 A KR20027013332 A KR 20027013332A KR 20030009422 A KR20030009422 A KR 20030009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tube
cord
hole
headphon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3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토도모히로
다카하시노부유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토구미덴시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토구미덴시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9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942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드라이버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되는 좌우의 케이스체를 접속하는 탄성체로 구성된 밴드(51)와, 밴드를 피복하는 튜브(30)를 갖춘 헤드폰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케이스체(12)에 밴드 및 튜브가 삽입되는 투과구멍(12b)을 설치하고, 이 투과구멍에 삽입된 튜브의 단부(31)에 삽입되어서 밴드의 단부를 투과구멍에 압접시키는 고정부재(13)를 갖춘 구성으로서, 밴드로서 피복한 튜브의 단부가, 간단한 구성으로 노출하지 않도록 하였다. 또, 밴드를 피복하는 튜브(30)로서, 내부의 공간이 긴쪽 방향으로 2개의 공간(30b, 30c)으로 구분된 구성으로서, 밴드를 피복한 튜브에, 오디오신호 등을 전송하는 코드를 통하게 하였을 때, 그 코드가 밴드에 감기지 않도록 하였다.

Description

헤드폰장치{Head phone device}
종래,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구성의 헤드폰장치가 제품화되어 있다. 도 1은, 청취자가 장착한 상태를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이 헤드폰장치는, 청취자의 왼쪽 귓바퀴를 덮는 위치에 배치되는 하우징(110)과, 청취자의 오른 쪽 귓바퀴를 덮는 위치에 배치되는 하우징(120)과, 각 하우징(110, 120)을 회동자재로 지지하는 행거(160, 160')와, 각각의 행거(160, 160')의 상부에 부착된 슬라이더(180, 180')를 갖추고, 좌우의 슬라이더(180, 180')를 밴드로 접속하여 구성된다. 도 1에서는, 밴드에 수지제의 튜브(131, 132)를 피복시키고 있고, 밴드 그 자체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튜브(131, 132)로 피복된 밴드의 양단부는, 접속부재(140, 140')를 거쳐서 슬라이더(180, 180')와 접속시키고 있다.
도 2는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2에서는, 왼쪽 귀에 장착되는 측만을 나타내고 있으나, 반대측의 구성에 대해서도 기본적으로는 동일하다.하우징(110)은, 지지지점(161, 162)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행거(160)에 부착되어 있고, 행거(160)의 중앙부(163)에, 슬라이더(180)의 일단이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는, 슬라이더(180)는, 금속선을 U자형으로 구부려서 형성시키고 있다. 이 슬라이더(180)의 도중에는, 수지제의 접속부재(140)가 부착되어 있다. 이 접속부재(140)는 슬라이더(180)에 따라서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고, 사용자가 헤드폰장치를 장착시켰을 때에, 밴드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접속부재(140)에는, 2개의 튜브(131, 132)로 피복된 밴드의 단부가 고정시키고 있다. 또, 한편의 튜브(131)에는, 좌우의 하우징(110, 120)의 사이에서 오디오신호를 전송시키기 위한 코드(170)를 삽입시키고 있다. 이 코드(17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부재(140)와 행거(160)와의 사이에서는, 외측으로 노출하고 있다. 행거(160)에서 하우징(110)까지의 사이는, 행거(160)의 내부를 통과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도 3은, 도 2와 같은 측에서 본 각 부품의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하우징(110)에 대해서는, 도 2에 나타낸 상태에서 90회동시킨 위치에서 나타내고 있다.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오디오신호의 공급에서 음을 출력하는 드라이버(111)가 배치하고 있다. 또, 이 예에서는 드라이버(111)의 전면측에, 장착자의 귓바퀴가 들어가는 공간(112)을 설치하고 있다.
하우징(110) 내의 드라이버(111)에서 인출된 코드(170)는, 행거(160)의 지지점(162)에서, 행거(160)의 내부를 통과하고, 중앙부(163)에서 외부로 인출된다.그 인출된 코드(170)는, 접속부재(140)의 내부에 거둬들여진다.
접속부재(140)는, 4개의 나사구멍(141)이 설치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덮개부재가 나사로 부착되어 있다. 도 3에서는, 덮개부재를 떼어서 접속부재(140)의 내부를 나타내고 있다. 본 예의 접속부재(140)는, 일단이 행거(160)에 고정된 U자형의 슬라이더(180)의 도중에 평행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튜브(131, 132)로 피복된 밴드(133, 134)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다. 밴드(133, 134)는 예를 들면 탄력성이 있는 금속선으로 구성되어서, 선단부가 90곡절시키고 있다. 그리고 접속부재(140)에는, 각각의 밴드(133, 134)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구멍(146, 147)이 설치되어 있고, 곡절된 밴드(133, 134) 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것에서, 밴드(133, 134)의 단부가 접속부재(140)에 계지된다.
도 4는, 밴드(133)가 접속부재(140)에 고정되는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접속부재(140)에는, 나사(191)를 사용하여 덮개부재(150)가 나사 멈춤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선단부가 90곡절한 밴드(133)의 선단이, 구멍(146)에 삽입되어서, 밴드(133)의 선단이 접속부재(140)에 계지되고, 또한 덮개부재(150)가 나사 멈춤되는 것에서, 구멍(146)에서 떼어지지 않도록 되며, 밴드(133, 134)가 접속부재(140)에 확실히 고정되게 된다.
밴드(133)가 접속부재(140)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밴드(133)를 피복한 튜브(131)의 단부(131a)가, 접속부재(140)의 오목부(142)에 끼워진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통상의 상태에서는, 접속부재(140)에서 밴드(133)가 보이지 않도록되어 있다. 즉, 접속부재(140)에의 밴드(133) 및 튜브(131)의 부착상태를 도 5에 나타내면, 튜브(131)의 단부(131a)는, 홈부(142)에 끼워진 상태로 되고, 밴드(133)나 코드(170)가 보이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밴드를 피복한 튜브는, 합성수지로 형성되어서 유연성을 가지며, 다소 신축하는 소재이다. 따라서, 튜브를 밴드에 따라서 잡아당기는 힘이 작용하였을 때, 튜브(131)의 선단부(131a)가, 접속부재(140)에서 떼어지게 되고, 내부의 밴드나 코드가 노출하게 되는 일이 있었다. 도 6은, 튜브(131)의 선단부(131a)가 접속부재(140)에서 떼어진 상태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131)를 밴드에 따라서 잡아당기는 힘이 작용하면, 튜브(131)의 선단부(131a)가, 접속부재(140)의 오목부(142)에서 비교적 간단하게 떼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헤드폰장치를 사용자가 지닐 때 지니는 방법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튜브(131)가 떼어지면, 튜브(131)에서 피복된 밴드(133)나 코드(170)가 노출하게 되고, 헤드폰장치로서의 볼품이 나쁘게 된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131) 의 단부를 수납하는 오목부(142) 중에서, 밴드(133)나 코드(170)가 놀이를 유지하는 상태로 배치되게 되고, 튜브(131)가 좌우로 움직일 때(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x방향이나 y방향), 밴드(133)나 코드(170)가 접속부재(140) 내에서 좌우로 움직이게 되어, 코드의 단선하기 쉽게 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131)의 단부(131a)가 삽입되는 오목부(141)의 길이(L1)를 충분히 길게 하는 것에서, 튜브(131)의 단부(131a)가 노출하기 어렵게 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이와 같이 길이(L1)를 충분히 길게하면, 그 만큼 접속부재 등의 부품이 대형화하고, 헤드폰장치가 대형으로 되게 되는 문제가 있고, 휴대용 등의 용도로 소형화가 필요한 헤드폰장치에는 적용할 수 없다. 또, 접착제 등으로 튜브(131)의 단부를 접속부재(140)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라도, 접착제를 도포하는 면적을 보호하기 위해, 접속부재(140) 중에 튜브(131)가 비교적 길게 배치시킬 필요가 있고, 오히려 소형화의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고, 또 접착제를 도포하는 작업이 조립시에 필요하게 되고, 조립 작업성이 나빠지게 된다.
또, 이와 같이 튜브(131)의 단부(131a)에서 코드와 밴드가 노출하는 일이 있으면, 코드와 밴드를 장착자가 접촉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코드를 접촉하는 일이 있으면, 사용상태에 의해서는 최악의 경우, 밴드의 주위에 코드가 감기게 되고, 튜브 내에서의 코드의 배치상태가 흩어진 것으로 되어, 바람직하지 않은 상태로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여기까지 설명한 구성의 헤드폰장치는, 밴드가 접속부재를 거쳐서 하우징에 부착되는 구조의 것으로 하였으나, 좌우의 귓바퀴에 장착되는 하우징이, 튜브로 피복된 밴드로 직접 접속되는 구성의 헤드폰장치의 경우에도, 동일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오디오신호원 등에 접속하여 오디오 또는 음성을 청취하는 헤드폰장치에 관하여, 특히 좌우의 드라이버가 부착된 케이스체의 사이가, 밴드로 접속되는 형태의 헤드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헤드폰장치의 일 예를 장착한 상태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예의 헤드폰장치의 측면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헤드폰장치의 종래의 내부 구성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를 확대하여 분해한 상태로 나타태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부를 확대하여 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내는 헤드폰장치의 밴드를 피복한 튜브의 단부가 노출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형태에 의한 헤드폰장치의 밴드 고정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형태에 의한 헤드폰장치가 사용하는 고정부재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실시형태에 의한 헤드폰장치의 밴드 고정부를 조립한 상태의 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에 의한 헤드폰장치의 수납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에 의한 헤드폰장치의 편측의 하우징의 근방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에 의한 헤드폰장치의 하우징의 밴드 고정부의 근방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밴드 고정부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에 의한 헤드폰장치의 장착시의 소지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에 의한 헤드폰장치를 장착하기 위해 확대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에 의한 헤드폰장치의 장착예를 나타내는 3면의 평면도이며, 도 16a는 정면도, 도 16b는 측면도, 도 16c는 상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폰장치의 좌우의 케이스체를 접속하는 밴드를 피복한튜브의 단부가, 간단한 구성으로 노출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폰장치의 좌우의 케이스체를 접속하는 밴드를 피복한 튜브에, 오디오신호 등을 전송하는 코드를 통하였을 때, 그 코드가 밴드에 감겨지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에 있다.
제 1발명은, 오디오신호에 대응한 음이 출력되는 드라이버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되어서, 청취자의 좌우의 귓바퀴의 근방에 장착되는 2개의 케이스체와, 2개의 케이스체를 접속하는 탄성체로 구성된 밴드와, 밴드를 피복하는 튜브를 갖춘 헤드폰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케이스체에, 밴드 및 튜브가 삽입되는 투과구멍을 설치하고, 이 투과구멍에 삽입된 튜브의 단부에 삽입되어서 밴드의 단부를 투과구멍에 압접시키는 고정부재를 갖춘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고정부재를 튜브의 단부에서 삽입시키는 것 만으로, 이 부재와 투과구멍에서 튜브의 단부를 끼우게 되고, 튜브에 인장력이 작용하여도, 튜브의 단부가 케이스체에서 떼어지게 되는 일이 없어진다. 따라서, 튜브로 피복된 밴드 등이 노출하는 일이 없어지고, 헤드폰장치로서 볼품이 좋은 동시에, 튜브의 단부가 노출하는 것에 의한, 코드의 단선 등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의 헤드폰장치에 있어서, 고정부재에는, 투과구멍에의 삽입방향에 따라서, 한 개 또는 복수의 홈을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홈에 밴드나 신호선을 통하는 것에서, 밴드 등을 누르지 않고, 튜브만을 케이스체 압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튜브의 떼어짐 멈춤으로서 유효하게 기능하게 된다.
제 3발명은, 제 1발명의 헤드폰장치에 있어서, 드라이버에 오디오신호를 공급하는 신호선을, 튜브에 삽입시키고, 고정부재는 튜브의 일부만을 투과구멍에 압접시키는 형태로 하고, 그 압접하지 않는 위치에, 신호선을 삽입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코드를 가압시키지 않고, 튜브만을 케이스체에 압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밴드와 신호선을 삽입시킨 튜브의 떼어짐 멈춤으로서 유효하게 기능하게 된다.
제 4발명은, 오디오신호에 대응한 음이 출력되는 드라이버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되어서, 청취자의 좌우의 귓바퀴의 근방에 접착되는 2개의 케이스체와, 2개의 케이스체를 접속하는 탄성체로 구성된 밴드와, 2개의 케이스체의 사이를 접속하는 신호선과, 밴드 및 신호선을 피복하고 내부의 공간이 긴쪽 방향으로 2개로 구분된 튜브를 갖춘 헤드폰장치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헤드폰장치를 구성하는 2개의 케이스체를 접속하는 밴드를 피복한 튜브에 2개의 공간이 있으므로, 그 튜브의 2개의 공간을 이용하여, 밴드나 신호선을 나눠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예를 들면 밴드에 신호선이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 5발명은, 제 4발명의 헤드폰장치에 있어서, 튜브 내의 한 쪽의 공간에 밴드를 삽입하고, 타편의 공간에 신호선을 삽입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밴드에 신호선이 감겨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실시형태를 도 7∼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도 7∼도 9에 있어서, 종래예에서 설명한 도 1∼도 6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종래예로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헤드폰장치에 적용한 것이다. 즉,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취자의 좌우의 귓바퀴를 덮는 위치에 배치되는 하우징(110, 120)과, 각 하우징(110, 120)을 회동자재로 지지하는 행거(160, 160')와 각각의 행거(160, 160')의 상부에 부착된 슬라이더(180, 180')를 갖추고, 좌우의 슬라이더(180, 180')를 밴드로 접속하여 구성되는 헤드폰장치에 적용한 것이다. 밴드는, 수지제의 튜브로 피복시키고 있고, 핸드의 양단부는, 접속부재를 거쳐서 슬라이더(180, 180')와 접속시킨 구성의 것이다.
여기서, 종래 예에서는 밴드(133, 134)와 슬라이더(180, 180')를 접속시키는 접속부재로서, 도 4∼도 6에 상세히 나타낸 접속부재(140)를 사용하였으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7에 나타낸 접속부재(200)를 사용한다. 도 7은, 접속부재(200)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접속부재(200)의 외형 등의 기본적이 형태에 대해서는, 종래 예에서 설명한 접속부재(140)와 동일한 것으로 하고 있고, 지금부터 기술되는 밴드(133, 134)를 고정하는 기구만이, 접속부재(140)와 다른 형태로 한 것이다. 접속부재(200)에 부착되는 각 부재의 부호에 대해서는, 종래 예에서 설명한 부재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의 접속부재(200)에서 고정되는 밴드(133)에 대해서는, 튜브(131)로 피복시키고 있고, 이 튜브(131)에는 코드(170)를 동시에 통하고 있다. 튜브(131)는, 예를 들면 염화비닐, 엘라스토머, 고무 등의 수지로 형성시킨 경우 외에, 섬유 등으로 형성시켜도 좋다. 밴드(133)는, 예를 들면 탄성력이 있는 금속선으로 구성되어서, 그 선단부는, 90곡절시킨 형태로 하고 있다. 코드(170)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은 하우징의 내부까지 신장되어 있다.
접속부재(200)는, 덮개부재(150)를 나사(221, 222)로 나사 멈춤하여 덮는 것으로 조립되는 것이며, 접속부재(200)에는 그를 위한 나사구멍(201, 202) 이 설치되어 있다. 도 7에서는 덮개부재(210)를 떼어 낸 상태로서 나타내고 있다. 슬라이더(180)는 홈(206)에 배치하고 있고, 덮개부재(210)를 부착하는 것에서, 접속부재(200)에 슬라이더(180)가 평행이동 가능하게 유지된다.
접속부재(200)의 밴드(133) 부착기구로서는, 접속부재(200)에 원형의 밴드접속용의 투과구멍(203)이 설치되어 있고, 이 투과구멍(203)을 거쳐서 밴드(133)나 코드(170)를 접속부재(200)의 내부에 도입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접속부재(200)를 조립할 때에는, 투과구멍(203)에 튜브(131), 밴드(133), 코드(170)를 통과한 위에서, 접속부재(200)의 내측에서, 고정부재(230)를 삽입하도록 하고 있다.
도 8은, 본 예의 고정부재(230)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고정부재(230)는, 투과구멍(203)의 내부지름보다도 약간 작은 직경의 거의 원주형의 부재로 구성되고, 선단측이 약간 가늘게 된, 쐐기형태로 하고 있다. 그리고, 투과구멍(203)에 삽입하는 방향에 따라서, 2개의 홈(231, 232)이 거의 180대향한 위치에 설치하고 있다. 한편의 홈(231, 232)은, 밴드(133)의 직경보다 큰 깊이의 홈으로 하고 있고, 타편의 홈(232)은, 코드(232)는, 코드(170)의 직경보다 큰 깊이의 홈으로 하고 있다. 이들의 홈(231, 232)은, 같은 깊이로 하여도 좋다. 또, 이 예의 고정부재(230)에는, 후단부에 약간의 돌기부(233)를 원주방향에 따라서 설치하고 있다. 단, 홈(231, 232)의 형성부에는, 돌기부(233)는 설치하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고정부재(230)는, 접속부재(230)의 밴드접속용 투과구멍(203)에, 튜브(131), 밴드(133), 코드(170)를 통과한 위에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부재(200)의 내측에서, 튜브(131)의 단부에서 내부에 삽입한다. 이 때, 홈(231)이 형성된 위치에 밴드(133)를 배치시키고, 홈(232)이 형성된 위치에 코드(170)를 배치시킨다.
이와 같이 고정부재(230)를 삽입하는 것에서, 투과구멍(203)의 내벽과 고정부재(230)에서, 튜브(131)를 끼운 상태가 된다. 단, 밴드(133)와 코드(170)는, 홈(213, 232)의 형성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밴드(133)나 코드(170)가 강한 힘으로 끼워지는 일은 없다.
도 9는, 고정부재(230)가 투과구멍(203)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고정부재(230)에서 투과구멍(203)에 끼워진 튜브(131)의 단부(131a)에서 신장된 밴드(133)는, 접속부재(200)의 밴드계지용 구멍(204)에 삽입되어서, 밴드(133)가 떼어지지 않는 상태로 고정된다. 또, 튜브(131)의 단부(131a)에서 신장한 코드(170)는, 접속부재(200)의 코드용 홈(205)에서 접속부재(200)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이와 같이 튜브(131)가 투과구멍(203)의 내부에서 끼워진 상태가 되는 것에서, 예를 들면 튜브(131)가 투과구멍(203)의 외측에서 인장되어도, 튜브(131)의 단부(131a)가 접속부재(200)의 투과구멍(203)에서 떼어지는 일이 없게 된다. 따라서, 튜브(131)에서 피복된 밴드(133)나 코드(170)가 노출하는 일이 없어 지고, 헤드폰장치로서 볼품이 좋게 된다. 또, 튜브(131)의 단부(131a)가 접속부재(200)에서 노출함으로써, 코드(170)의 단선 등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230)는, 접속부재(200)의 투과구멍(203)의 속에 삽입할 수 있는 크기로 좋기 때문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는, 고정부재(230)가 배치되는 공간을 접속부재(200)측에 확보할 필요가 거의 없고, 밴드접속용 투과구멍(203)에서 밴드계지용 구멍(204)까지의 길이(L2)를 짧게 할 수 있다.즉, 종래의 경우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131)의 단부(131a)가 고정부재에서 외측으로 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 튜브(131)의 단부(131a)가 삽입되는 부분(오목부142)의 길이(L1)를 어느 정도 길게 할 필요가 있었으나, 본 예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길이가 필요 없다. 따라서, 접속부재(200)를 그 만큼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되며, 헤드폰장치의 소형에 연결된다.
또한, 도 7∼도 9의 설명에서는, 접속부재(200)에서 고정되는 2개의 밴드(133, 134) 내의 밴드(133)의 고정기구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더 1개의 밴드(134)의 고정기구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구성한다. 단, 본 예의 밴드(134)에 대해서는,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드를 통과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투과구멍에 삽입시키는 고정부재에, 밴드를 통과시키는 홈만을 설치하고, 코드를 통과하는 홈은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혹은, 도 8에 나타낸 구성의 고정부재(230)(즉, 홈이 2개의 것)를, 더 1개의 밴드(134)를 고정하는 측에도 공통으로 사용하여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를, 도 10∼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청취자가 장착하였을 때에, 후단부에 밴드가 위치하는 소위 넥밴드(neck band)방식의 헤드폰장치에 적용한 것이다. 또, 밴드를 피복한 튜브의 단부가, 좌우의 하우징에 직접 고정되는 형식의 헤드폰장치이다.
우선, 본 예의 헤드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헤드폰장치의 수납시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예의 헤드폰장치는, 좌측 하우징(10)과 우측 하우징(20)을, 원형으로 두루 감겨진 튜브(30)로 접속시킨 형태로 하고 있다. 튜브(30) 중에는, 금속선으로 구성되는 밴드와, 오디오신호를 전송시키는 코드를 통과하고 있다. 이 밴드는, 탄성력을 갖는 부재로 구성시키고 있고, 원형으로 두루 감겨진 상태에서 거의 직선형태로 확대할 수 있는 재질로 하고 있다.
좌측 하우징(10)에는, 오디오신호원과 접속하기 위한 플래그(41)가 일단에 부착된 코드(40)의 타단(부싱부(42))이 접속시키고 있다. 이 코드(40)는, 튜브(30) 내의 코드를 거쳐서 우측 하우징(20)에도 접속하고 있다.
각 하우징(10, 20)의 내부에는, 오디오신호의 공급에서 음을 출력시키는 드라이버가 내장되어 있다. 내장된 드라이버는, 예를 들면 직경 수센티 정도의 것(예를 들면, 9mm∼16mm정도의 소지름의 것, 또는 30mm정도의 비교적 대형의 것)이다. 플래그(41)를 오디오 신호원에 접속시켰을 때, 그 오디오신호원에서 공급되는 오디오신호(음성신호)가, 좌우의 하우징(10, 20) 내의 드라이버에 코드를 거쳐서 공급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각 하우징(10, 20)에 내장된 드라이버의 외측에 스폰지형의 이어패드(11, 12)가 부착되어 있다. 하우징(10, 20)의 드라이버 유지부인 본체부는,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예의 각 하우징(10, 20)과 튜브(30)와의 위치관계에 대해서 설명하면, 좌측 하우징(10)의 밴드 접속부(12)에, 튜브(3)의 단부(31)가 접속되어 있다. 이 밴드 접속부(12)는, 거의 원형의 좌측 하우징(10)의 중심에서 편심한 위치에 설치하고 있다. 동일하게, 우측 하우징(20)의 밴드 접속부(22)에,튜브(30)의 단부(32)가 접속시키고 있으나, 이 밴드 접속부(22)에 대해서도, 거의 원형의 우측 하우징(20)의 중심에서 편심한 위치에 설치하고 있다. 밴드 접속부(12, 22)에서의 튜브(30)의 고정기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튜브(30)에서 피복된 밴드의 형상으로서는, 약 650°(즉, 약 7/4회전)두루 감겨진 형상으로 하고 있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하우징(10, 20)이 겹치지 않는 상태의 형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좌우의 하우징(10, 20)과 접속되는 튜브(30)의 단부(31, 32)의 근방은, 비교적 작은 반지름으로 곡선을 그리는 형상으로 하고 있고, 튜브(30)의 중앙부는, 비교적 큰 반지름으로 곡선을 그리는 형상으로 하고 있고, 한편의 단부(31)의 두루감기는 위치와 타편의 단부(32)의 두루감는 위치가 다른 위치가 되도록 하고 있다.
이 도 10도 나타내는 수납상태의 헤드폰장치의 장착상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1은, 좌측 하우징(10)과 그 근방을 나타낸 도면이다. 좌측 하우징(10)의 밴드 접속부(12)의 내부에는, 튜브(30)에서 피복된 밴드(51)의 일단이 고정시키고 있다. 또, 튜브(30) 내에는, 오디오신호의 공급로인 코드(52)가 통과하고 있다. 이 경우, 본 예의 튜브(30)는, 도 11에 절단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긴쪽 방향으로 연속하여, 내부에 격벽(30a)이 형성하고 있고, 그 격벽(30a)에서 내부의 공간이 2개로 구분되어 있다. 그 구분된 2개의 공간 내의 제 1공간(30b)에는, 밴드(51)가 통과하고 있고, 제 2공간(30c)에는, 코드(52)가 통과하고 있다.
도 12는, 본 예의 좌측 하우징(10)의 밴드 접속부(12)의 내부구조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도 13에 나타난 하우징의 밴드 접속부(12)는, 도 11과는 반대측이 되는 면에서 본 도면이며, 밴드 접속부(12)에 인접한 원형(단, 도 12, 도 13에서는 일부를 생략하고 있다)의 드라이버 부착부(12e)에, 오디오신호의 공급에서 음을 출력하는 드라이버(도시생략)가 배치된다.
밴드 접속부(12)의 내부에는, 원통형의 공간부(12a)가 설치어 있다. 이 공간부(12a)의 표면(도 12에서 상측에 있는 면)은 열려서, 덮개부재(14)를 그 위에 부착하는 것으로, 원통형의 밀폐된 공간이 완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원통형의 공간부(12a)의 상측에, 외측까지 관통한 밴드접속용 투과구멍(12b)이 설치되어 있고, 하측에 외측까지 관통한 신호선 접속용 투과구멍(12c)이 설치되어 있다. 이 신호선 접속용 투과구멍(12c)에는, 코드(40)의 부싱부(42)가 삽입되어서 고정된다. 즉,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싱부(42)에는 단차부(43)가 설치되어 있고, 부싱부(42)를 외측에서 투과구멍(12c)에 압입시켜서, 투과구멍(12c)에 단차부(43)가 끼워지도록 하여,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고정시키는 것에서, 코드(40)의 선단에서 노출한 신호선(44, 45, 46)이 밴드 접속부(12)의 내부의 공간부(12a)에 위치하도록 된다.
또, 공간부(12a)와 드라이버 부착부(12e)와의 사이에는, 밴드 계지용 홈(12d)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공간부(12a) 상에 덮개부재(14)를 부착하였을 때, 홈(12d) 상에 덮개부재(14)가 위치하고, 홈(12d)이 덮여지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예의 튜브(30) 및 그 내부의 밴드(51)를, 하우징(10)의 밴드 접속부(12)에 부착할 때에는, 도 12에 나타낸 고정부재(13)를 사용한다. 이 고정부재(13)는, 예를 들면 합성수지로 형성되어서, 쐐기형의 원추를 반으로 나눈 형태로 하고 있고, 선단부(13b)(도 12에서의 상측)가 투과구멍(12C)의 내부지름 보다도 작게, 후단부(13c)(도 12에서의 하측)가 투과구멍(12c)의 내부지름 보다도 큰 형태로 하고 있다. 단, 선단부(13b)와 후단부(13c)와의 지름(폭)의 차는, 비교적 작게 하고 있다. 또, 반원형이기 때문에, 원형부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평면부에, 선단부(13b)에서 후단부(13c)까지 연속한 홈(13a)이 설치되어 있다. 이 홈(13a)의 깊이는 적어도 밴드(51)를 구성하는 선재를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하우징(10)의 밴드 접속부(12)에, 튜브(30) 및 밴드(51)가 고정되는 상태를,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예의 튜브(30)는, 격벽(30a)으로 구분된 제 1공간(30b)에 밴드(51)가 통과하고 있고, 제 2공간(30c)에 코드(52)가 통과하고 있다. 튜브(30)의 단부(31)에서는, 밴드(51)의 단부와 코드(52)의 단부가 노출하고 있다. 밴드(51)의 선단부에 대해서는, 미리 90곡절시키고 있다. 코드(52)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2개의 신호선(52a, 52b)을 묶고 있다.
여기서, 튜브(30)의 단부(31)를 하우징(10)의 외측에서 투과구멍(12c)에 삽입하고, 밴드(51)의 선단과 코드(52)의 선단이, 공간부(12a)에 위치하도록 한다.이 밴드(51)의 90구부러진 선단에 대해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밴드계지용 홈(12d)에 끼우고, 이 홈(12d)에서 밴드(51)를 유지시킨다. 코드(52) 내의 신호선(52a, 52b)에 대해서는, 하우징(10)의 밴드 접속부(12)에 부착된 코드(40) 내의 신호선(44, 45, 46)과 접속된다. 이 신호선의 접속에는, 소기판등의 회로부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이와 같이 튜브(30)의 단부(31)가 투과구멍(12c)에서 공간부(12a)의 내부에 약간 불거져나온 상태로 한 위에서, 공간부(12a)측에서, 튜브(30)의 단부(31)의 제 1공간(30b)에, 고정부재(13)의 선단부(13b)를 압입한다. 이 때, 밴드(51)가 홈(13a)에 배치되게 한다.
도 13은, 고정부재(13)를 압입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 상태에서는, 튜브(30)의 반(제 1공간(30b)측)이, 투과구멍(12b)의 벽부와 고정부재(13)에서 끼워진 상태가 되며, 튜브(30)의 단부(31)가 밴드 접속부(12)의 투과구멍(12b)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튜브(30)를 잡아당기는 힘이 작용한 것으로 하여도, 하우징(10)의 밴드 접속부(12)의 투과구멍(12b)에서 튜브(30)가 떼어지는 것이 저지되고, 튜브(30)에서 피복된 밴드(51)나 코드(52)가 노출하는 일이 없게 된다. 본 예의 경우에는, 고정부재(13)에서 튜브(30)의 약 반인 제 1공간(30b) 측만을 누르는 구성으로서, 제 2공간(30c)측에는, 어떠한 고정부재를 배치하지 않지만, 튜브의 고정기구로서 충분히 기능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구성의 경우에는, 상술한 제 1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헤드폰장치와 동일하게, 튜브로 피복된 밴드나 코드가 노출하는 일이 없게 되고, 헤드폰장치로서 볼품이 좋게 되는 동시에, 튜브의 단부가 하우징에서 노출하는 것에 의한, 코드의 절선 등의 불편을 해소 할 수 있다. 또한, 투과구멍 내의 튜브에 고정부재(13)를 삽입만으로 양호하기 때문에, 고정을 위한 공간이 필요 없고, 밴드 접속부를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고, 그 만큼 헤드폰장치의 소형화에 연결된다.
또 본 예의 경우에는, 튜브(30)의 형상으로서, 제 1공간(30b)과 제 2공간(30c)으로 구분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공간(30b, 30c)에 개별로 밴드(51)와 코드(52)를 통과하도록 하였으므로, 반원형태의 고정부재(13)로 멈출 때에, 고정부재(13)로 코드(52)를 끼우는 것이 확실히 저지된다. 즉, 고정부재(13)에는, 밴드를 통과하기 위한 홈(13a)이 설치되어 있고, 동일한 홈에서 코드(52)도 통과하도록 하면, 코드(52)의 끼움 방지가 가능하지만, 조립 작업시에 확실히 코드(52)를 홈에 통과할 필요가 있고, 조립 작업시에 코드의 위치를 신중히 결정할 필요가 있다. 이것에 대해서 본 예의 경우에는, 튜브(30)의 내부가 제 1공간(30b)과 제 2공간(30c)으로 나뉘어져 있으므로, 고정부재(13)를 제 1공간(30b)에 삽입시키는 작업을 행하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제 2공간(30c) 내의 코드(52)를 끼우는 일이 없는 위치가 선정되고, 헤드폰장치의 조립 작업성이 좋은 효과를 갖는다.
또 본 예와 같은 제 1공간(30b)과 제 2공간(30c)으로 구분된 튜브(30)를 사용한 것에서, 튜브(30)의 내부에서 밴드(51)에 코드(52)가 감기는 일이 없고, 이 점에서도 코드(52)의 절선을 확실히 저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도 10∼ 도 13에 나타내는 헤드폰장치를, 청취자가 장착할 때의 장치상태를, 도 14∼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예의 헤드폰장치를 청취자가 장착할 때에는, 우선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하우징(10, 20)의 표면측(드라이버에서 음성이 출력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을 위로 한 상태에서, 좌우의 하우징(10, 20)을 좌우의 손으로 개별로 쥐고, 좌우 상편으로 열게 한다. 이와 같이 열면서, 튜브(30)(및 튜브 내의 밴드)를 잡아 늘려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하우징(10)의 음성출력면(11a)과, 우측 하우징(20)의 음성 출력면(21a)이, 약 20cm정도의 간격으로 대향하도록 한 위치가 되게 한다.
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태에 튜브(30)를 잡아 늘렸을 때, 그 튜브(30)내의 밴드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고저 하는 힘이 작용한다. 이 때 작용하는 힘은, 도 15에 화살표(P1, P2, P3)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로 좌우의 하우징(10, 20)이 원래의 방향으로 복귀하고저 하는 힘(P1, P2)과, 튜브(30)의 중앙부(33)가 신장된 상태에서 원래의 구부러진 위치로 복귀하고저 하는 힘(P3)으로 나눌 수 있다.
또,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밴드를 잡아 늘렸을 때, 비교적 작은 반지름으로 곡선을 그리는 형상으로 된 튜브(30)의 한 편의 단부(31)와 좌측 하우징(10)과의 사이에, 장착부(청취자)의 왼쪽 귓바퀴가 들어갈 정도의 간극(E1)이 생기고, 동일하게 튜브(30)의 타편의 단부(32)와 우측의 하우징(20)과의 사이에, 청취자의 오른쪽 귓바퀴가 들어갈 정도의 극간(E2)이 생긴다.
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잡아 늘려진 상태대로, 장착자의 후두부에 헤드폰장치를 가지고 가서, 상술한 극간(E1)에 장착자의 왼쪽 귓바퀴의 상부를 넣고, 간극(E2)에 장착자의 오른쪽 귓바퀴의 상부를 넣어서, 좌우의 귓바퀴의 상부 후편에, 튜브(3)의 양단부(31, 32)가 들어가도록 하여, 좌우의 귓바퀴의 전면에 하우징(10, 20)이 위치한 상태로, 헤드폰장치가 유지되도록 한다.
도 16은, 이와 같이 하여 청취자의 머리부에 헤드폰장치를 장착시킨 상태를 3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 청취자의 왼쪽 귓바퀴(e1)의 전면에, 좌측 하우징(10)이 위치하고, 청취자의 오른 쪽 귓바퀴(e2)의 전면에, 우측 하우징(20)이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도 16b 및 도 1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위치의 유지가, 귓바퀴(e1, e2)의 상부와 머리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튜브(30)의 단부(31, 32)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취자의 머리부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도 16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잡아늘여진 밴드가 복귀코자 하는 힘(도 15에 나타낸 P1,P2,P3)이 작용하기 때문에, 머리부에 꼭 맞게 한다. 즉, 상면에서 본 도 1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5에 나타낸 힘(P1)이, 좌측 하우징(10)을 머리부 중앙 방향으로 억누르는 힘으로서 작용하고, 좌측 하우징(10)이 귓바퀴(e1)에 압접한다. 동일하게, 도 15에 나타낸 힘(P2)이, 우측 하우징(20)을 머리부 중앙 방향으로 억누르는 힘으로서 작용하여 귓바퀴(e2)에 압접하게 된다. 또한, 도 16b 및 1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5에 나타낸 튜브(30)의 중앙부(33)에 작용하는 힘(P3)이 장착시에 후두부(h1)를 누르는 힘으로써 작용하고, 튜브(30)의 중앙부(33)와 머리부(h1)와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된 헤드폰장치를 청취자의 머리부에서 벗는 것에서, 튜브(30) 내의 밴드가 원래의 두루 감겨진 형상으로 복귀하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원형의 형상으로 자동적으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청취자가 양호하게 장착할 수 있고, 수납시에도 소형으로 수납할 수 있는 헤드폰장치에 있어서, 밴드접속부를 상술한 도 12, 도 13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한 것에서, 밴드를 피복한 튜브의 고정이 간단하고 또한 양호하게 행해진다. 특히 본 예의 헤드폰장치의 경우에는, 하우징에 직접 밴드가 부착되는 소형 형상의 것으로 하고 있고, 밴드 고정기구를 상술한 구성으로 한 것에서, 하우징의 밴드접속부를 상당히 소형화 할 수 있고, 헤드폰장치의 소형화에 공헌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헤드폰장치의 하우징이나 밴드 등의 각종 부재의 형상에 대해서는, 일 예를 나타낸 것이며, 기타의 형상의 것을 적용하여 좋다. 즉, 상술한 제 1실시형태에서는, 밴드의 양단을 수지로 형성된 케이스체인 접속부재에 고정하고, 그 접속부재와 슬라이더를 거쳐서, 드라이버가 수납된 하우징에 간접적으로 접속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제 2실시형태에서는 밴드를 드라이버가 수납된 하우징에 직접적으로 접속시키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기타의 구성으로, 튜브로 피복된 밴드가 부착하도록 한 헤드폰장치에도 본 발명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고정부재는, 일 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이나 도 12에 나타낸 형상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튜브의 단부에서 삽입(압입)하고, 투과구멍의 내벽에 튜브를 압접시켜서, 튜브의 떼어짐 멈춤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면, 각종 형상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제 2실시형태에서는, 튜브의 단부를 고정부재로 고정하는 기구의 경우에, 튜브(30)의 내부를 격벽(30a)에서 제 1공간(30b)과 제 2공간(30c)으로 구분되고, 각각의 공간에 개별로 밴드(51)와 코드(52)를 배치하도록 하였으나, 이와 같은 고정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헤드폰장치의 좌우의 하우징 등을 접속하는 튜브에, 동일한 구성의 것을 적용하여도 좋다. 이 튜브를 적용하는 것에서, 헤드폰장치의 좌우의 하우징의 사이를 접속하는 소위 건너는 선으로 칭하여지는 코드(신호선)가, 튜브의 내부에서 밴드 등에 감겨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2개의 공간이 형성된 튜브를 사용하는 경우, 상술한 예에서는 한편의 공간에 밴드를 배치, 타편의 공간에 코드를 배치하였으나, 기타의 배치예로서도 좋다. 예를 들면, 튜브를 통과하는 코드가 복수개 있는 경우에는, 튜브의 한편의 공간에 밴드를 구성하는 선재와 1개의 코드를 통하게 하고, 튜브의 타편의 공간에, 나머지의 코드를 통과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서, 복수개 통과하는 코드 상호간의 튜브의 도중에서의 휘감김 등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부재를 튜브의 단부에서 삽입시키는 것만으로, 이 부재와 투과구멍에서 튜브의 단부를 끼우도록 되며, 튜브로 잡아당기는 힘이 작용하여도, 튜브의 단부가 케이스체에서 떨어지는 일이 없어진다. 따라서, 튜브로 피복된 밴드 등이 노출하는 일이 없게 되고, 헤드폰장치로서 볼품이 좋은 동시에, 튜브의 단부가 노출함으로써, 코드의 절선 등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 고정부재에는 투과구멍에의 삽입방향에 따라서, 1개 또는 복수의 홈을 설치하는 것에서, 이 홈에 밴드나 신호선을 통하는 것에서, 밴드 등을 누르는 일이 없고, 튜브만을 케이스체에 압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튜브의 벗겨짐 멈춤으로서 유효하게 기능하게 된다.
또한, 드라이버에 오디오신호를 공급하는 신호선을 튜브에 삽입시키고, 고정부재는 튜브의 일부만을 투과구멍에 압접시키는 형상으로 하고, 그 압접하지 않는 위치에, 코드를 삽입시키도록 한 것에서, 코드를 가압시키지 않고, 튜브만을 케이스체에 압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밴드와 신호선을 삽입시킨 튜브의 벗겨짐 멈춤으로서 유효하게 기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폰장치를 구성하는 2개의 케이스체를 접속하는 밴드를 피복한 튜브에 2개의 공간이 있으므로, 그 튜브의 2개의 공간을 이용하여, 밴드나 신호선 등을 나눠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예를 들면 밴드에 신호선이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튜브 내의 한편의 공간에 밴드를 삽입하고, 타편의 공간에 신호선을 삽입하도록 한 것에서, 밴드에 신호선이 감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오디오 신호에 대응한 음이 출력되는 드라이버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되어서, 청취자의 좌우의 귓바퀴가 근방에 장착되는 2개의 케이스체와,
    상기 2개의 케이스체를 접속하는 탄성체로 구성된 밴드와,
    상기 밴드를 피복하는 튜브를 갖춘 헤드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케이스체에, 상기 밴드 및 튜브가 삽입되는 투과구멍을 설치하고,
    상기 투과구멍에 삽입된 튜브의 단부에 삽입되어서, 밴드의 단부를 상기 투과구멍에 압접시키는 고정부재를 갖춘 헤드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투과구멍에의 삽입 방향에 걸쳐서, 1개 또는 복수의 홈을 설치한 헤드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에 오디오신호를 공급하는 신호선을, 상기 튜브에 삽입시키고,
    상기 고정부재는, 튜브의 일부만을 상기 투과구멍에 압접시키는 형상으로 하고,
    그 상기 고정부재는, 튜브의 일부만을 상기 투과구멍에 압접시키는 상태로하고,
    그 압접하지 않은 위치에, 상기 신호선을 삽입시키도록 한 헤드폰장치.
  4. 오디오 신호에 대응한 음이 출력되는 드라이버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되어서, 청취자의 좌우의 귓바퀴의 근방에 장착되는 2개의 케이스체와,
    상기 2개의 케이스체를 접속하는 탄성체로 구성된 밴드와,
    상기 2개의 케이스체 사이를 접속하는 신호선과,
    상기 밴드 및 상기 신호선을 피복하고, 내부의 공간이 긴쪽 방향으로 2개로 구분된 튜브를 갖춘 헤드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내의 한편의 공간에 상기 밴드를 삽입하고, 타편의 공간에 상기 신호선을 삽입하도록 한 헤드폰장치.
KR1020027013332A 2001-02-20 2002-02-20 헤드폰장치 KR200300094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43876A JP4601839B2 (ja) 2001-02-20 2001-02-20 ヘッドホン装置
JPJP-P-2001-00043876 2001-02-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9422A true KR20030009422A (ko) 2003-01-29

Family

ID=18905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3332A KR20030009422A (ko) 2001-02-20 2002-02-20 헤드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868164B2 (ko)
JP (1) JP4601839B2 (ko)
KR (1) KR20030009422A (ko)
WO (1) WO200206762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9422B2 (en) 2016-07-18 2021-09-28 The H.D. Lee Company, Inc. Body-enhancing garment and garment construction
USD945121S1 (en) 2016-01-29 2022-03-08 The H.D. Lee Company, Inc. Pant with anatomy enhancing pockets
US11344071B2 (en) 2013-10-18 2022-05-31 The H.D. Lee Company, Inc. Anatomy shading for garme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8181B2 (ja) * 2002-09-18 2006-10-25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ホン装置
TWI283136B (en) * 2005-12-29 2007-06-21 Primax Electronics Ltd Headphone device
US8602892B1 (en) 2006-08-23 2013-12-10 Ag Acquisition Corporation Game system mixing player voice signals with game sound signal
JP4269181B2 (ja) 2006-09-06 2009-05-27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ホン
JP4862699B2 (ja) * 2007-03-09 2012-01-25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ホン装置
US8571695B2 (en) * 2007-03-12 2013-10-29 Ag Acquisition Corporation Daisy-chained game audio exchange
JP4946538B2 (ja) * 2007-03-13 2012-06-06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ホン装置
WO2009079604A2 (en) 2007-12-17 2009-06-25 Astro Gaming, Inc. Headset with noise plates
USD618669S1 (en) * 2009-04-06 2010-06-29 Koss Corporation Earphone
WO2009143055A1 (en) 2008-05-19 2009-11-26 Koss Corporation Adjustable, dual speaker element in-ear phone
JP4683310B2 (ja) * 2008-12-18 2011-05-18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ホン
EP2506943B1 (en) 2009-12-02 2018-10-31 AG Acquisition Corporation Wireless game/audio system and method
JP2014127756A (ja) * 2012-12-25 2014-07-07 Sdk Kk ヘッドバンド
CN103892828A (zh) * 2012-12-26 2014-07-02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脑波感测装置
US9675871B1 (en) 2013-03-15 2017-06-13 Ag Acquisition Corporation PC transceiv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D719131S1 (en) * 2013-06-25 2014-12-09 Google Inc. Headphone assembly
US9241209B2 (en) * 2013-06-25 2016-01-19 Google Inc. Headphones with adaptable fit
USD719132S1 (en) * 2013-06-25 2014-12-09 Google Inc. Headphone assembly
USD736185S1 (en) * 2013-12-27 2015-08-11 Sony Corporation Earphone
US10129631B2 (en) 2015-08-26 2018-11-13 Logitech Europe, S.A. System and method for open to closed-back headset audio compensation
USD796485S1 (en) * 2015-12-29 2017-09-05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Pair of headphones
US10556179B2 (en) 2017-06-09 2020-02-11 Performance Designed Products Llc Video game audio controller
USD890696S1 (en) 2017-07-21 2020-07-21 Google Llc Earbud charging case
USD867326S1 (en) 2017-07-21 2019-11-19 Google Llc Wireless earbuds
USD896781S1 (en) 2017-08-04 2020-09-22 Google Llc Audio assembly
USD844586S1 (en) 2017-08-04 2019-04-02 Google Llc Audio assembly
USD855579S1 (en) * 2017-10-02 2019-08-06 Mrspeakers, Llc Ear cup coupler for an over ear headphone
GB201721841D0 (en) * 2017-12-22 2018-02-07 Midbass Distribution Ltd Set of headphones
USD901435S1 (en) * 2018-01-09 2020-11-10 Zound Industries International Ab Headphone
USD879075S1 (en) 2018-07-11 2020-03-24 Google Llc Earbud stand assembly
USD1007462S1 (en) * 2021-07-29 2023-12-12 Logitech Europe S.A. Headphon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86644A (en) * 1949-02-10 1952-02-19 Telex Inc Headset
JPS59166583U (ja) * 1983-04-20 1984-11-08 森ゼンマイ鋼業株式会社 異形パイプを用いたヘツドホン
JPS6389011A (ja) * 1986-10-01 1988-04-20 ヤマハ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チユ−ブ
JPH09247782A (ja) * 1996-03-13 1997-09-19 Purimo:Kk ヘッドホン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44071B2 (en) 2013-10-18 2022-05-31 The H.D. Lee Company, Inc. Anatomy shading for garments
USD945121S1 (en) 2016-01-29 2022-03-08 The H.D. Lee Company, Inc. Pant with anatomy enhancing pockets
US11129422B2 (en) 2016-07-18 2021-09-28 The H.D. Lee Company, Inc. Body-enhancing garment and garment constr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67624A1 (fr) 2002-08-29
US20030169897A1 (en) 2003-09-11
US6868164B2 (en) 2005-03-15
JP2002247677A (ja) 2002-08-30
JP4601839B2 (ja)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09422A (ko) 헤드폰장치
JP3541833B2 (ja) ヘッドセット
US6385325B1 (en) Headphone device
KR100324503B1 (ko) 음향변환장치
FR2758042A1 (fr) Ecouteur du type place dans ou contre l'oreille et comportant un support auriculaire
CN1984505A (zh) 骨传导受话装置
KR20030009351A (ko) 헤드폰장치
KR20040072037A (ko) 플러그 부착기구
US8371417B2 (en) Headphones
KR100911038B1 (ko) 헤드폰장치
JPH10174187A (ja) ヘッドホン
US20060239447A1 (en) Earphone with selectable cable positioning
KR200235821Y1 (ko) 선이 고정되는 이어폰
JP2007110608A (ja) 加振器、ヘルメット及び自動二輪車のカウル
JPH05308694A (ja) ヘッドホン
JP3540734B2 (ja) 車載用アンテナ
KR200214070Y1 (ko) 휴대용 카세트 이어폰 줄의 길이조절 및 수납장치
JP2005248392A (ja) ヘルメット
KR200240636Y1 (ko) 이어폰
KR200295589Y1 (ko) 자동차 안전벨트용 휴대폰 핸즈프리
KR200390646Y1 (ko) 이어폰
KR200276082Y1 (ko) 와이어 훼손방지 구조를 갖는 헤드폰
KR200233013Y1 (ko) 자동차용 고음 스피커
KR200175326Y1 (ko) 헤어밴드 겸용 이어폰
JPS6031348Y2 (ja) ヘツドホ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1201

Effective date: 2010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