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1038B1 - 헤드폰장치 - Google Patents

헤드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1038B1
KR100911038B1 KR1020037005320A KR20037005320A KR100911038B1 KR 100911038 B1 KR100911038 B1 KR 100911038B1 KR 1020037005320 A KR1020037005320 A KR 1020037005320A KR 20037005320 A KR20037005320 A KR 20037005320A KR 100911038 B1 KR100911038 B1 KR 100911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rm
driver unit
flange
head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5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8651A (ko
Inventor
이토도모히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8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드라이버 유닛을 유지하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에 부착되는 암으로 구성되는 헤드폰을 간단하고 또한 양호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입력한 오디오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드라이버 유닛(101)과, 드라이버 유닛을 내부에 수납하고, 이어패드(140)를 외부에 장착하기 위한 제 1플랜지부(112)를 외주에 갖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에 접속되는 암(130)을 갖는 구성으로 하고, 암(130)으로서 하우징에 접속한 때, 하우징측의 제 1플랜지부와 연결되는 제 2플랜지부(133)를 설치하고, 하우징측의 플랜지부(112)와 암측의 플랜지부(133)로, 이어패드(140) 장착용의 플랜지로서 기능하도록 하고, 또, 양 플랜지부(112, 133)로 드라이버 유닛(101)을 유지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Description

헤드폰장치{Headphone device}
본 발명은 헤드폰 본체로부터 신장한 암을 귓바퀴 상부에 거는 것으로 장착되는 형상의 헤드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헤드폰으로서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형상의 것이 실용화되어 있다. 도 1은 헤드폰을 바로 옆에서 본 도면이고, 좌측 하우징(1)에서 암(2)이 상부에 신장하고, 도시하지 않은 반대측의 우측 하우징까지 접속되어 있다. 하우징(1)의 내부에는, 케이블(4)을 통하여 공급되는 오디오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드라이브 유닛이 내장되고, 하우징(1)의 외측에 이어패드(4)를 부착하고 있다.
이 도 1에 나타내는 형상의 헤드폰을 구성시킨 경우, 하우징(1)과 암(2)의 부착부를 수지로 일체 성형시키는 것으로, 비교적 부품 갯수가 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헤드폰을 구성시킬 수 있다.
그런데, 하우징(1)과 암(2)의 부착부를 수지로 일체 성형시킨 경우, 하우징(1)을 수지 성형하는 때에, 암(2)의 부착부와 하우징(1)이 겹치는 부분에서, 하우징(1)을 절결한 형상으로 할 필요가 있고, 비교적 매끄러운 스폰지 형상의 수지등으로 형성된 이어 패드(3)를 부착한 때, 하우징(1)의 절결부에 대응한 오목부(3a)가 발생하게 된다.
이 오목부가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하면, 하우징(1)과 암(2)의 부착부를 일체로 합성수지로 성형시킨 경우, 그 일체 성형된 하우징(1)의 근방의 형상은 예를 들면 도 19에 나타내는 것같이 된다. 도 2a는 이면, 도 2b는 측면, 도 2c는 표면을 각각 나타내고 있고, 도 2a에 나타내는 이면에, 도시하지 않는 드라이버 유닛이 배치되고, 이어패드(3)가 부착되어 조립된 상태에서는, 도 2c에 나타내는 표면이 외측에 노출하고 있다.
여기서, 도 2a, c에 나타내는 것같이, 하우징(1)에는 이어패드(3)를 부착하기 위한 플랜지(1a)가 거의 고리 모양으로 형성하고 있고, 그 플랜지(1a)의 위에 이어패드(3)를 덮는 것으로, 이어패드(3)가 부착된다. 단, 하우징(1)과 암(2)의 부착부를 일체로 성형시키기 때문에, 암(2)의 부착부와 겹치는 위치에는 플랜지(1a)를 설치할 수 없다.
즉, 이 예에서는 도 2b에 나타내는 것같이, 파팅라인(P)을 기준으로서, 성형용 금형을 코어측과 캐비측으로 나누어 수지 성형시키도록 하고 있고, 암(2)의 부착부를 성형시키기 위해, 그 위치와 겹치는 부분(소위 언더컷으로 되는 범위)에는 플랜지(1a)를 성형시킬 수 없다. 따라서, 암(2)과 겹치는 위치는 이어패드(3)를 떠받치는 부재가 없는 상태로 되고, 도 18에 나타내는 것같은 오목부(3a)가 발생하게 된다.
성형용 금형으로서, 여기서는 가장 간단한 상하 압절(押切)구조를 채용하고 있고, 슬라이드 금형 등 보다 복잡한 금형을 사용하는 것으로, 언더컷부에 플랜지를 형성시키는 것도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이와 같은 복잡한 금형을 사용하여 성형하면, 그 만큼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고, 헤드폰의 가격이 높게 되어 버린다.
이어패드(3)의 형상에 의해서는 오목부(3a)는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그 경우라도 이어패드(3)의 해당하는 부분을 누르면, 플랜지가 없기 때문에 용이하게 오목하게 된다. 또 청취자가 장착한 때에는 플랜지가 해당부분에 없는 것으로, 이어패드(3)가 부분적으로 오목하게 되고, 귓바퀴와의 접촉상태에 위화감이 생기게 된다. 또, 이와 같은 오목부(3a)가 발생하는 것으로, 이어패드(3)가 하우징(1)에서 벗겨지기 쉽게 된다.
또한, 이어패드(3)가 경시 변화하여 열화한 경우에는 그 부분으로부터 이어패드(3)가 찢겨지기 쉽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다른 문제로서, 이 종류의 헤드폰의 하우징에는 내부에 수납된 드라이버유닛에, 외부로부터 오디오 신호 등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을 통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헤드폰에 부착된 케이블이 외측에서 어떤 힘으로 인장된 때, 드라이버 유닛과 케이블과의 접속부에 직접 그 힘이 가해지고, 드라이버 유닛으로부터 케이블이 벗겨지는 것이 없도록, 하우징의 도중에서, 케이블이 멈추는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있었다.
즉,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원형 형상의 하우징(8)이 준비되고, 그 하우징(8)의 내부(8a)에, 오디오신호를 출력할 드라이버 유닛을 수납하는 구성인 것으로 한다. 이때, 수지로 성형된 하우징(8)의 측면에는 투과공(8b)을 설치하여 두고, 그 투과공(8b)에 코드(9)를 통과시킨다. 이 투과공(8b)을 통한 코드(9)의 일단은 하우징(8)의 내부에서 드라이버 유닛에 납땜되어 접속된다. 그리고, 이 예에서는 외측에서 코드(9)가 인장되어도 코드(9)와 드라이버와의 땜납 개소가 절단하지 않도록 하우징(8)의 내부측에서, 일단 코드(9)를 맺은 개소(9a)를 성형시켜 두고, 외측에서 코드(9)가 인장되어 있어도, 그 맺은 개소(9a)가 투과공(8b)에 걸려서 땜납 개소 등에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으로, 코드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지만, 헤드폰의 조립 작업시에는, 코드(9)를 하우징(8)의 투과공(8b)에 통하는 작업이 필요하고, 또 코드 자체에 맺은 개소(9a)를 형성시키는 작업이 필요하고, 조립에 대단히 수고가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드라이버 유닛을 유지하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에 부착되는 암으로 구성되는 헤드폰을 간단하고 또한 양호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드라이버 유닛과, 드라이버 유닛을 내부에 수납하고, 이어패드를 외부에 장착하기 위한 제 1플랜지부를 외주에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접속되고, 귓바퀴의 상부 후방에 걸려지는 암과를 구비한 헤드폰에 있어서, 암으로서, 하우징에 접속한 때 하우징측의 제 1플랜지부와 연결되는 제 2플랜지부를 설치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과 접속되는 암측에, 하우징측의 플랜지부와 연결되는 하우징부를 설치한 것으로, 하우징을 수지 성형하는 때의 소위 언더 컷이 되는 범위에도, 플랜지부가 배치되지 않고, 거의 고리 모양으로 이어패드 장착용의 플랜지부가 형성되게 되고, 이어패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된다.
도 1은 종래의 헤드폰의 일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헤드폰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a는 이면, 도 2b는 평면, 도 2c는 표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헤드폰의 하우징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한 헤드폰의 전체 구성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한 헤드폰의 장착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한 헤드폰의 장착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한 헤드폰의 접속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한 헤드폰의 구성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한 하우징과 암의 예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한 하우징과 암의 예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한 하우징의 이면측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한 하우징과 암을 결합하는 도중의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한 하우징과 암을 결합한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한 하우징과 암을 결합한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한 하우징에 드라이버를 부착한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한 헤드폰의 좌측유닛을 조립한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한 헤드폰을 네크밴드방식으로 한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예의 헤드폰을 장착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한 헤드폰에 마이크로폰을 부착한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한 헤드폰에 마이크로폰을 부착한 경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도 4 ∼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헤드폰의 일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본 예에 있어서는, 청취자의 귓바퀴에 행거 형상의 암을 거는 것으로, 헤드폰을 구성하는 유닛이 장착되는, 헤어밴드가 없는 타입의 헤드폰으로 한 것이다. 즉, 도 4에 본 예의 헤드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면, 왼쪽 귀의 귓바퀴에 장착되는 좌측 유닛(100)과, 오른쪽 귀의 귓바퀴에 장착되는 우측유닛(200)을 가진다.
또, 오디오 재생장치나 라디오 수신기 등의 오디오 신호원의 헤드폰잭에 삽입되는 플러그(10)가 코드(21)를 통하여 코드 접속부(20)에 접속하고 있고, 이 코드접속부(20)와 좌측 유닛(100)과의 사이에 코드(22)가 접속하고 있고, 또한 코드 접속부(20)와 우측 유닛(200)과의 사이에, 코드(23)가 접속하고 있다. 코드(22 및 23)는 좌측 유닛(100) 및 우측유닛(200)의 내부에서 드라이버유닛에 접속하고 있다. 플러그(10)로서는 예를 들면 3극의 전극부(11, 12, 13)를 갖춘 것이 사용된다.
좌측유닛(100) 및 우측유닛(200)은 각각 ABS 수지등의 비교적 경질의 수지로 성형된 거의 원형의 하우징(110, 210)의 내부에,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드라이버 유닛을 내장시키고 있고, 각 하우징(110, 210)의 외측에는 캡(120, 220)이 부착되어 있다. 하우징(110, 210)과 귀가 접촉하는 부분에는 이어패드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하우징(110, 210)의 상부에는 귓바퀴에 장착할 때의 행거로서 기능하는 암(130, 230)이 부착되어 있다. 이 암(130, 230)에 대해서는, PP(폴리 프로필렌), PBT(폴리 브틸렌 텔레프탈레이트), POM(폴리아세탈) 등의 비교적 유연성이 있는 수지로 성형하고 있다. 하우징(110, 210)에 대해서는 본 예의 경우, 좌우에서 전체 동일 형상이지만, 암(130, 230)에 대해서는, 좌우 대칭의 형상으로 하고 있다.
도 5, 도 6에 본 예의 헤드폰 장치예를 나타내면, 청취자의 좌우의 귓바퀴(e)의 상부후방에 암(130, 230)을 통하는 것으로, 좌우의 유닛(100, 200)이 장착된다. 좌우의 유닛(100, 200)을 연결하는 코드(22, 23)는 예를 들면 후두부를 통과시킨다.
여기서, 플러그(10)의 각 전극(11, 12, 13)과, 각 유닛내의 드라이버 유닛과의 접속예를 도 7에 나타내면, 좌측유닛(100)에 드라이버유닛(101)을 내장시키고 있고, 우측 유닛(200)에 드라이버 유닛(102)을 내장시키고 있는 것으로 하면, 플러그(10)의 선단측의 전극(11)은 좌측유닛(100)내의 드라이버 유닛(101)의 한쪽의 극에 접속시키고 있고, 플러그(10)의 중앙의 전극(12)은 우측유닛(200)내의 드라이버 유닛(102)의 한쪽의 극에 접속시키고 있고, 플러그(10)의 후단측의 전극(13)은 각 유닛(100, 200)내의 드라이버 유닛(101, 102)의 타측의 극에 접속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내장되는 본예의 헤드폰은 하우징(110, 210)과 암(130, 230)의 형상에 특징을 가지는 것이다. 이하, 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 도 9는 좌측 유닛(100)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좌측유닛(100)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우측유닛(200)의 구성에 대해서는 특히 설명하지 않지만, 우측유닛(200)에 대해서는 암(230)이 좌측 암(130)과 좌우대칭의 형상으로 되는 이외는 좌측유닛(100)과 전부 동일의 구성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 는 표면으로 칭하는 것은, 장착시에 외측으로 되는 면의 것이고, 이면으로 칭하는 것은 장착시에 내측을 향하는 면이고, 드라이버 유닛으로부터의 음은 이면측에서 출력된다.
도 8에서는, 하우징(110)과 암(130)을 일체로 접속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고, 도 9에서는 하우징(110)과 암(130)을 분리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암(130)은 하우징 접속부(131)가 하우징(110)의 차양(遮陽)부(113)의 내측에 끼워넣도록 하여 접속시키고 있고, 그 접속부(131)로부터 U자형상으로 곡절(曲折)시킨 귓바퀴 통과용 곡절부(130a)가 형성되고, 그 곡절부(103a)로부터 더욱 선단부(132)가 길게 연장하고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암(130)이 접속된 하우징(110)은 거의 원형 형상으로 하고 있고, , 그 중앙내측에 드라이버 수납부(111)가 구성하고 있고, 이 드라이버 수납부(111)에 원형의 드라이버 유닛(101)이 부착된다. 이 원형의 드라이버 유닛(101)의 측면에는 하우징 부착용으로서, 60°의 등간격으로 6개소에 리브(101a)가 설치되어 있다. 드라이버 유닛(101)에 접속된 오디오 신호 공급용 코드(22)는 하우징(110)에 설치한 플랜지부(112)의 도중, 여기서는 차양부가 형성된 위치와는 거의 반대측의 위치에, 코드삽통용 절결부(115)를 설치하고 있고, 그 절결부(115)에 코드(22)를 통과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 하우징(110)의 주위에는 제 1플랜지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단, 암(130)이 접속되는 부분, 즉 차양부(113)가 형성된 위치의 내측의 하우징측에는, 플랜지부가 설치되지 않지만, 본 예의 경우에는, 암(130)측에, 제 2플랜지부(133) 를 설치하고 있고, 하우징(110)과 암(130)을 접속시킨 때에는, 하우징측의 플랜지(112)와, 암측의 플랜지(133)가 일체로 접속되고, 거의 고리 모양의 플랜지로서 구성된다.
이 플랜지부(112, 133)에는 원형의 이어패드(140)가 장착된다. 이어패드(140)는 예를 들면 스폰지형상의 수지로 구성되고, 도 8에 나타내는 것같이 원형의 투과공(141)을 가지고, 그 투과공(141)을 플랜지부(112, 133)에 감합하도록 하여 장착된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외측에는, 원형의 캡(120)이 부착된다. 캡(120)은 하우징측의 차양부(113)를 피하기 위한 원형의 절결부(121)를 설치하고 있고, 그 절결부(121)의 거의 중앙의 내측의 가장자리에, 결합용 돌기(122)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캡(120)을 부착하기 위해, 하우징(110)의 외측 중앙에는, 캡부착용 공(114)이 설치되어 있고, 캡(120)측의 결합용 돌기(122)를 하우징(110)의 구멍(114)에 삽입하는 것으로, 캡(120)이 하우징(110)에 부착된다.
또, 캡(120)의 내측에는 도 9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것같이, 복수 개소에 돌기(123)를 형성시키고 있고, 하우징(110)측의 드라이버 수납부(111)의 측벽부에 설치한 개구부(116)에, 이 돌기(123)가 감합하고, 캡(120)의 위치가 결정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어패드(140)를 감합한 상태에서, 캡(120)을 부착한 때에는 이어패드(140)의 단부(개구부(141))가 캡(120)에서 숨겨지게 된다.
다음에, 본 예의 하우징(110)과 암(130)의 상세한 구성을 도 10 ∼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하우징(110)과 하우징(130)을 표면측에서 본 도면 이고, 도 11은 하우징을 이면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12는 하우징(110)에 암(130)을 접속하기 위해, 암(130)을 근접시킨 상태를 이면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13은 완전히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이 접속상태에서의 종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것같이, 본 예의 하우징(110)은 원형으로 입상한 드라이버 수납부(111)의 주위에, 제 1플랜지부(112)가 형성되어 있고, 드라이버 수납부(111)의 측벽부에는 복수의 개구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암(130)과 접속되는 부분에는, 표면측에 차양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차양부(113)는 거의 원형 형상을 하고, 최종적으로 헤드폰으로서 조립된 상태의 때에는 하우징(110)의 차양부(113)만이 외측에 노출한다. 차양부(113)의 선단에는 돌기(117)가 설치되어 있고, 암(130)을 부착한 때, 암측의 하우징 접속용 홈(135)에 이 돌기(117)가 수납하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하우징(117)의 제 1플랜지부(112)는 차양부(113)의 하측이 되는 부분을 제거하여 형성시키고 있다. 차양부(113)의 하측이 되는 부분은 소위 수지 성형시의 언더컷이 되는 범위이고, 단순한 상하 압절구조의 금형을 사용한 때, 이 언더컷이 되는 범위에 플랜지부를 형성시키는 것은 할 수 없다. 이 차양부(113)의 하부를 피한 플랜지부(112)의 한쪽 및 다른 쪽의 단부에는, 암측의 플랜지부와 감합시키기 위한 오목부(112a)를 설치하고 있다. 이 오목부(112a)는 도 10에 나타내는 것같이, 단부의 표면측을 깍은 형상으로서 형성시킨 것이다.
제 1플랜지부(112)의 도중에 설치한 코드 삽통용 절결부(115)는 도 11등에 나타내는 것같이, 드라이버 수납부(111)의 측벽부(즉, 개구부(116)와 인접한 위치)까지 깊게 절결하고 있고, 그 절결부(115)의 도중에는 곡절부(115a)를 설치하고 있다. 곡절부(115a)보다도 깊은 절결부(115)는 폭이 좁게 되고, 통과시킨 코드(22)를 끼우도록 하고 있다. 드라이버 유닛(101)에 접속된 코드(22)를 통하는 경우에는, 이 절결부(115)의 안쪽까지 끼워서, 코드(22)를 통과하도록 한다.
또 도 11에 나타내는 것같이, 하우징(110)의 이면측의 거의 중앙부에는 암접속용공(118)이 설치되어 있고, 이 공(118)의 근방에는 암접속용 돌기(118a)도 형성시키고 있다. 또한, 암접속용공(118)은 하우징(110)의 표면중앙의 캡부착용공(114)(도 10등 참조)과 연속한 공으로 되어 있다.
또 도 11에 나타내는 것같이, 플랜지부(112)의 이면측에는, 복수 개소에 드라이버 고정용 리브(119)가 설치되어 있고, 그 리브(119)와 근접한 위치의 외주측에, 드라이버 고정용홈(119a)이 설치되어 있다. 본 예의 경우에는, 60°간격으로 4개소에 리브(119) 및 홈(119a)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하 압절구조의 금형으로 홈(119a)을 형성시키기 때문에, 플랜지부(112)의 홈(119a)의 형성위치에는, 개구부(119b)가 설치되어 있다.
암(130)에 대해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것같이, 하우징측의 플랜지부(112)와 연속하는 형상의 제 2플랜지부(133)가 가늘고 길게 신장한 하우징 접속부(131)의 좌우에 형성시키고 있다. 도 12등에 나타내는 것같이, 하우징 접속부(131)의 직하가 되는 위치에는, 암형성시의 언더컷이 되는 범위이기 때문에 플랜지부가 설치되지 않지만, 하우징 접속부(131)의 폭을 비교적 좁게 형성시키고 있으므로, 플랜 지부가 없는 구간의 길이는 조금이다.
암(130)에 설치한 제 2플랜지부(133)의 한쪽 및 다른 쪽의 선단부에는 볼록부(13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133a)는 도 10에 나타내는 것같이, 단부의 표면측을 돌출시킨 형상으로 형성시킨 것이고, 그 돌출형상이 하우징측의 플랜지부(112)의 단부의 오목부(112a)와 맞물리도록 하고 있다.
암(130)의 가늘고 길게 신장한 하우징 접속부(131)의 선단(131a)은 하우징(110)측의 암접속용공(118)에 삽입할 수 있는 형상(두께)으로 하고 있고, 접속부(131)를 암접속용공(118)에 삽입한 때, 하우징(110)측의 암접속용 돌기(118a)와 접촉하는 위치에 하우징 접속용공(1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암(130)의 플랜지부(133)의 부착부의 근방에는 하우징 접속용 홈(135)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135)은 하우징(110)측의 차양부(113)의 선단의 돌기(117)를 삽입할 수 있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또 암(130)의 이면측을 나타낸 도 12에 나타내는 것같이, 암(130)의 각 플랜지부(133)의 이면측에는 좌우에 1개소 씩, 드라이버 고정용 리브(136)와, 그 리브(136)와 근접한 위치의 외주측에, 드라이버 고정용 홈(136a)을 설치하고 있다. 이 2개소의 리브(136) 등은 60°간격으로 배치하고 있다. 홈(136a)을 형성시키기 위해, 플랜지부(133)의 홈(136a)의 형성위치에는 개구부(136b)를 설치하고 있다. 이 제 2플랜지부(133)의 리브(136), 홈(136a), 개구부(136b)의 형성상태는, 하우징(110)측의 리브(136), 홈(136a), 개구부(136b)의 형성상태와 전부 동일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것같이 암(130)과 하우징(110)을 접합한 때에는 도 13에 나타내는 것같이, 일체화된 제 1, 제 2플랜지부(112, 133)에 60°간격으로 6개소에 드라이버 고정용 리브(119, 136)와 홈(119a, 136a)이 나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하우징(110)에 암(130)을 접합하는 때에는, 도 12에 나타내는 것같이, 암(130)의 하우징 접속부(131)의 선단(131a)을 하우징(110)의 이면의 암접속용공(118)에 삽입하고, 도 13에 나타내는 상태로서, 하우징(110)의 암접속용 돌기(118a)를 암(130)의 하우징 접속용공(134)에 삽입시킨다. 또, 도 14의 단면에서 접합상태를 나타내도록, 하우징(110)측의 차양부(113)의 선단의 돌기(117)를 암(130)의 하우징 접속부(131)의 홈(135)에 삽입시킨다. 이와 같이 맞물려서 접합시키는 것으로, 하우징(110)과 암(130)의 접합상태가 확실히 유지되도록 된다.
하우징(110)과 암(130)을 접합시킨 때에는 도 13에 나타내는 것같이, 하우징(110)측의 플랜지부(112)와, 암(130)측의 플랜지부(133)가 일체로 되고, 거의 고리 모양의 플랜지부가 형성되게 된다. 이때, 하우징(110)측의 플랜지부(112)와, 암(130)측의 플랜지부(133)가 접촉하는 부분에는, 상호 맞물리는 형상의 오목부(112a)와 볼록부(133a)가 형성되어 있고, 양 플랜지부(112, 133)가 일체의 플랜지부가 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10)에 암(130)이 접합된 상태에서, 이미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같이, 하우징(110)의 드라이버 수납부(111)에 드라이버 유닛(101)을 수납시킨다.
이때에는 일체로 된 플랜지부(112, 133)의 이면측에, 등간격으로 드라이버 고정용 리브(119 또는 136)와 드라이버 고정용 홈(119a 또는 136a)이 배치되고, 드라이버 유닛(101)의 외주부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리브(101a)를 이 플랜지부의 리브와 홈의 사이에 삽입시키는 것으로, 드라이버 유닛(101)이 하우징(110)에 고정된다. 도 15는 이 드라이버 유닛(101)을 하우징(110)에 고정한 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드라이버 유닛(101)을 부착하는 때에는, 드라이버 유닛(101)에 접속된 코드(22)를 하우징(110)의 절결부(115)를 통과시키고, 외부에 인출하도록 한다.
그리고, 드라이버 유닛(101)이 부착된 하우징(110) 및 암(130)의 플랜지부(112, 133)에, 도 8에 나타낸 것같이 이어패드(140)를 덮는 것으로, 헤드폰으로서 조립된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캡(120)을 하우징(110)의 외측의 캡부착용 공(114)을 사용하여 부착하는 것으로, 도 16에 나타낸 것같이 조립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예의 헤드폰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양호한 형상의 헤드폰으로 할 수 있다. 즉, 헤드폰본체를 구성하는 부재로서는 도 8에 나타내는 것같이, 드라이버유닛과, 그 드라이버 유닛을 수납하는 하우징과, 하우징과 결합되는 암과, 이어패드 및 캡만으로 좋고, 하우징과 암에 대해서는, 각각 상하 압절(押切)구조의 금형으로 성형할 수 있는 간단한 구성으로 하고 있고, 값싸게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을 상하 압절구조의 금형으로 성형할 수 있는 간단한 구성으로 한 때, 암과의 결합부와 겹치는 부분(소위 언더컷으로 되는 범위)에는 이어패드 장착용의 플랜지를 설치할 수 없지만, 암측에 그 플랜지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암과의 결합부에도 이어패드장착용의 플랜지가 존재하게 되고, 이어패드를 거의 완전한 원형형상으로 플랜지부가 유지할 수 있고, 종래예로서 도 18에 나타낸 것같이 이어패드의 변형을 저지할 수 있고, 또 장착시에 위화감을 느끼지 않고, 이어패드의 찢겨짐등의 손상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측의 플랜지부(112)와 암측의 플랜지부(133)가 접하는 부분에는 상호 맞물리는 형상의 오목부(112a)와 볼록부(133a)가 형성되어 있고, 양 플랜지부(112, 133)가 일체의 플랜지가 어긋나지 않고, 하우징측의 플랜지부(112)와 암측의 플랜지(133)가 엇갈리는 것같은 일이 없고, 이어패드 장착용의 기구로서 양호하게 기능한다.
또, 하우징측의 플랜지부(112)와 암측의 플랜지부(133)의 쌍방에, 드라이버 유닛(101)을 유지하는 기구로서의 리브와 홈을 설치한 것으로, 드라이버 유닛(101)의 유지가 그만큼 양호하게 행해지도록 된다.
또 본예의 경우에는 헤드폰내의 드라이버 유닛에 접속되는 코드(22)를 간단히 하우징(110)에 설치한 절결부(115)에 통과할 뿐의 간단한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 절결부(115)의 도중에 곡절부(115a)를 설치하고 있고, 그 곡절부 보다도 안쪽에서 코드를 끼우도록 하고 있으므로, 코드(22)가 벗겨지기 어렵고, 만일, 헤드폰의 외측에서 코드(22)를 인장하는 힘이 더해져도, 절결부(115)를 경유하여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된 코드(22)와 드라이버 유닛(101)과의 접속부에는 힘이 가해지기 어렵고, 코드(22)와 드라이버 유닛(101)과의 땜납 개소가 절단하는 것을 간단한 구성으로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예로서 도 20에 나타 내는 것같이, 코드의 도중에 연결한 개소를 설치하는 것같은 처리가 필요하지 않게 되고, 조립시의 작업성이 향상한다.
더욱 본 예의 경우에는, 캡(120)을 설치한 구성으로 한 것으로 , 하우징(110)과 이어패드(140)와의 경계부의 근방이, 캡(120)에서 숨겨지는 형상으로 되고, 헤드폰으로서의 겉치례가 좋게 된다. 특히, 하우징(110)은 차양부(113)만이 외측에 노출한 상태로 되고, 플랜지부 등은 완전하게 외측으로부터는 보이지 않기 때문에, 하우징(110)과 암(130)이 다른 소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그 것이 눈에 띄는 것은 아니다. 또, 하우징(110)이나 암(130)을 구성하는 소재가 인쇄나 도장 등이 곤란한 소재이어도, 외측에서 눈에 띄는 부품인 캡(120)만을 인쇄나 도장 등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시켜서, 그 캡에 상품성을 높이는 인쇄나 도장 등을 행하면 좋고, 간단한 구성으로, 헤드폰으로서의 디자인의 자유도가 향상한다.
또한, 여기까지 설명한 헤드폰은 좌우 독립하여 유닛을 구성시켜서, 그 좌우 독립의 유닛을 각각 암으로 좌우의 귓바퀴에 거는 타입의 헤드폰으로 하였지만, 1개의 암(핸드)으로 좌우의 유닛을 결합시키는 타입의 헤드폰에도 적용가능하다.
즉,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내는 것같이, 1개의 암(300)이 장착자의 후두부를 통과하는 소위 네크 밴드방식의 것으로서 구성한다. 그리고, 그 암(300)의 일단에, 좌측의 하우징(110)이 부착되고, 도시하지 않은 암(300)의 타단에 우측의 하우징(210)이 부착되도록 구성한다. 암(300)의 하우징 부착부의 형상으로서는, 도 8 ∼ 도 14에서 설명한 구성과 완전히 동일하고, 암(300)의 단부에, 하우징 접 속부(301)를 구성시켜서, 그 접속부에서 연장한 부분을, 곡절부(302)로서, 귓바퀴의 상부 후방에 걸려지는 형상으로 하고, 더욱이 그 후방을 네크밴드부(303)로 한다. 그리고, 하우징 접속부(301)의 좌우에, 제 2플랜지부(304)를 설치하고, 하우징(110)측의 플랜지부와 결합시킨다.
이 도 17에 나타내는 것같이 구성한 것으로, 네크밴드방식에도 적용가능하다. 도 18은 이 네크밴드방식의 헤드폰으로서 구성한 것을, 청취자가 장착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네크밴드방식의 헤드폰의 좌측 유닛(100')이 청취자의 왼쪽 귓바퀴에 걸리도록 하여 장착되어 있다.
또, 좌우 2개의 유닛을 구비한 헤드폰으로서 구성시키는 것은 아니고, 좌우 어느 한쪽의 귀에만 장착되는 소위 모노럴 타입의 이어폰으로서 구성시키는 경우에, 하우징과 암과의 구조를 상술한 것같이 구성하여도 좋다.
또, 여기까지 설명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시키는 기능만을 구비한 헤드폰으로서 구성하였지만,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헤드셋으로서 구성한 것에도 적용가능하다.
즉, 예를 들면 도 19에 나타낸 것같이, 암(130')으로 귓바퀴에 걸리는 형상의 좌측 유닛(100)에는 봉형상의 마이크로폰 접속부재(150)의 선단에 마이크로폰(151)을 부착하여 둔다. 암(230')에서 귓바퀴에 걸리는 형상의 우측유닛(200)에는 마이크로폰을 부착하지 않는다. 그리고, 좌측유닛(100)과 우측유닛을 코드(23')에서 접속하고, 좌측유닛(100)에서 신장한 코드(21')에는 오디오 신호용의 신호선과 마이크로폰용의 신호선을 통하여 두고, 오디오 신호 입력용의 플 러그(10)외에 마이크로폰용의 플러그(30)를 접속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도 19의 예에서는 암(130', 230')에 대해서는 도 4에 나타낸 암(130, 230)보다도 폭이 좁은 형상으로 하고 있다. 또, 예를 들면 도 20에 나타낸 것같이, 좌측유닛(100)과 플러그(10)와의 사이의 코드(23'')의 도중에 마이크로폰(40)을 부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이 도 20의 예에서는 마이크로폰용의 플러그(51)에 대해서는 코드(23'')의 도중에 설치한 마이크로폰용 플러그 고정부재(50)에 부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마이크로폰용의 플러그와 오디오 입력용의 플러그는 1개의 플러그로 구성시켜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외부에서 코드를 통하여 입력한 오디오 신호에 의해 드라이버 유닛이 구동되는 헤드폰에 적용하지만, 예를 들면 헤드폰내에, 반도체 메모리 등을 사용한 오디오 신호원을 내장시킨 헤드폰으로서 구성한다든지, 혹은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회로를 헤드폰에 내장시켜서 무선신호로서 오디오 신호가 전송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과 접속되는 암측에, 하우징측의 플랜지부와 연결되는 플랜지부를 설치한 것으로, 하우징을 수지성형하는 때의 소위 언더컷으로 되는 범위에도, 플랜지부가 배치되게 되고, 거의 고리 모양으로 이어패드 장착용의 플랜지부가 형성되게 되고, 이어패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된다. 따라서, 플랜지부가 부분적으로 없는 것에 의한 장착시의 위화감이 없고, 이어패드가 깨지는 등의 손상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에는 드라이버 유닛의 수납부에서 게시한 차양부를 외측에 가지고, 하우징과 암과를 접속시킨 때, 제 2플랜지부가 차양부의 거의 내측에 위치하는 형상으로 한 것으로, 차양부로 숨겨지는 위치에, 하우징과 암과의 접속부가 위치하게 되고, 하우징과 암과의 접속상태가 눈에 띄지 않게 된다.
또, 제 1플랜지부의 단부와, 제 2플랜지부의 단부에는, 접속한 때 맞물리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설치한 것으로, 하우징과 암을 접속한 때, 각각의 플랜지부가 볼록부 또는 오목부에서 맞물려서 일체 형상으로 되고, 이어패드 장착용의 플랜지부로서 양호한 형상으로 된다.
또, 하우징의 드라이버 유닛이 부착되는 내면측에 암의 단부가 끼워지는 구멍 또는 홈을 설치한 것으로, 그 구멍 또는 홈을 사용하여, 하우징에 암을 부착하는 것이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해진다.
또, 이와 같이 암의 단부가 끼워지는 구멍 또는 홈을 하우징에 설치한 경우에, 그 구멍 또는 홈에 끼워진 암의 단부와 하우징의 내면측에는 접속한 때 맞물리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설치한 것으로, 또한 그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맞물림으로, 하우징과 암과의 접속상태의 유지가 양호하게 행해진다.
또, 하우징의 드라이버 유닛이 부착되는 내면측에 드라이버 유닛을 고정하는 돌기 또는 홈을 설치한 것으로, 드라이버 유닛의 하우징으로의 고정이 간단히 행해지도록 된다.
또, 이와 같이 하우징측에 드라이버 유닛을 고정하는 돌기 또는 홈을 설치한 경우에, 또한 암의 제 2플랜지측에도, 드라이버 유닛을 고정하는 돌기 또는 홈 을 설치한 것으로, 하우징과 일체로 된 암측에서도, 드라이버 유닛을 유지하므로, 보다 양호하게 드라이버 유닛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된다.
또, 하우징의 제 1플랜지부에는 드라이버 유닛에 일단이 접속된 코드를 통하기 위한 홈부를 설치한 것으로, 드라이버 유닛에 오디오 신호 등을 공급하는 코드를 간단히 통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코드를 통하는 홈부를 설치한 경우에, 그 홈부는 곡절한 형상으로 한 것으로, 그 곡절 형상으로 코드를 계지시킬 수 있고, 코드를 멈추기 위한 기구를 별도 설치하지 않고, 간단히 코드를 하우징내에 계지할 수 있도록 된다.
또, 하우징의 외측에, 소정 형상의 캡을 부착하기 위한 접속기구부를 설치하고, 그 접속기능부에 부착된 캡에 의해, 제 1, 제 2플랜지부에 장착된 이어패드와 하우징과의 경계부가 숨겨지는 형상으로 한 것으로, 부품갯수가 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양호한 형상의 헤드폰으로서 구성할 수 있도록 된다.

Claims (19)

  1. 청취자의 귓바퀴에 장착되는 헤드폰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드라이버 유닛과,
    상기 드라이버 유닛을 내부에 수납하고, 이어패드를 외부에 장착하기 위한 제 1플랜지부를 외주에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접속되고, 귓바퀴의 상부 후방에 걸리는 형상의 부품이고, 상기 하우징에 접속되는 것으로, 상기 제 1플랜지부와 연결되는 제 2플랜지부를 갖는 암을 구비한 헤드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수납부에서 달아낸 차양부를 외측에 갖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암을 접속시킨 때, 상기 제 2플랜지부가 차양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형상으로 한 헤드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플랜지부의 단부와, 상기 제 2플랜지부의 단부에는, 접속한 때 맞물리는 볼록부를 설치한 헤드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플랜지부의 단부와, 상기 제 2플랜지부의 단부에는, 접속한 때 맞물리는 오목부를 설치한 헤드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드라이버유닛이 부착되는 내면측에, 상기 암의 단부가 끼워지는 구멍을 설치한 헤드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드라이버유닛이 부착되는 내면측에, 상기 암의 단부가 끼워지는 홈을 설치한 헤드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 또는 홈에 끼워진 암의 단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면측에는 접속한 때 맞물리는 볼록부를 설치한 헤드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 또는 홈에 끼워진 암의 단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면측에는 접속한 때 맞물리는 오목부를 설치한 헤드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홈에 끼워진 암의 단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면측에는 접속한 때 맞물리는 볼록부를 설치한 헤드폰.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홈에 끼워진 암의 단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면측에는 접속한 때 맞물리는 오목부를 설치한 헤드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드라이버유닛이 부착되는 내면측에, 상기 드라이버 유닛을 고정하는 돌기를 설치한 헤드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드라이버유닛이 부착되는 내면측에, 상기 드라이버 유닛을 고정하는 홈을 설치한 헤드폰.
  13. 제 11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암의 제 2플랜지측에도, 상기 드라이버유닛을 고정하는 돌기를 설치한 헤드폰.
  14. 제 11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암의 제 2플랜지측에도, 상기 드라이버유닛을 고정하는 홈을 설치한 헤드폰.
  15. 제 12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암의 제 2플랜지측에도, 상기 드라이버유닛을 고정하는 돌기를 설치한 헤드폰.
  16. 제 12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암의 제 2플랜지측에도, 상기 드라이버유닛을 고정하는 홈을 설치한 헤드폰.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제 1플랜지부에는 상기 드라이버유닛에 일단이 접속된 코드를 통하기 위한 홈부를 설치한 헤드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곡절한 형상으로 한 헤드폰.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캡을 부착하기 위한 접속기구부를 설치하고,
    그 접속기구부에 부착된 캡에 의해, 상기 제 1, 제 2플랜지부에 장착된 이어패드와 하우징의 경계부가 숨겨지는 형상으로 한 헤드폰.
KR1020037005320A 2001-08-31 2002-08-29 헤드폰장치 KR1009110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64601A JP3589210B2 (ja) 2001-08-31 2001-08-31 ヘッドホン
JPJP-P-2001-00264601 2001-08-31
PCT/JP2002/008752 WO2003019980A1 (fr) 2001-08-31 2002-08-29 Dispositif de cas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651A KR20040028651A (ko) 2004-04-03
KR100911038B1 true KR100911038B1 (ko) 2009-08-06

Family

ID=19091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5320A KR100911038B1 (ko) 2001-08-31 2002-08-29 헤드폰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040032965A1 (ko)
JP (1) JP3589210B2 (ko)
KR (1) KR100911038B1 (ko)
CN (1) CN100576947C (ko)
HK (1) HK1065678A1 (ko)
WO (1) WO20030199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97536B2 (en) * 2004-04-19 2009-03-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uid ejection device
US20060198544A1 (en) * 2005-03-01 2006-09-07 Partner Tech. Corporation Ear hanger type earset
EP1874078A1 (en) * 2006-06-30 2008-01-02 Jdi Jing Deng Industrial Co., Ltd. Sheathing-type earphone structure
JP2008130171A (ja) * 2006-11-21 2008-06-05 Alpine Electronics Inc ディスク装置
TWM319600U (en) * 2007-03-23 2007-09-21 Lite On Technology Corp Ear hooked earphone
TWM333023U (en) * 2007-06-05 2008-05-21 Hsin-Yuan Kuo Stereophonic earphone
JP4482833B2 (ja) * 2007-08-23 2010-06-16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ホン装置
DE102007053754A1 (de) * 2007-11-12 2009-05-20 Siemens Medical Instruments Pte. Ltd. Anschlussstück zur Befestigung eines Tragehakens an eine Hörvorrichtung
US20110121042A1 (en) * 2009-11-24 2011-05-26 Sol Weiss Device for stabilizing ear-mounted devices
JP2011228833A (ja) * 2010-04-16 2011-11-10 Molex Inc イヤホン
JP5418434B2 (ja) * 2010-07-22 2014-02-19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ヘッドホン
US11198014B2 (en) 2011-03-01 2021-12-14 Greatbatch Ltd. Hermetically sealed filtered feedthrough assembly having a capacitor with an oxide resistant electrical connection to an active implantable medical device housing
US8746397B2 (en) 2011-10-07 2014-06-10 Hearing Components, Inc. Foam cushion for headphones
FR3002719A1 (fr) * 2013-02-28 2014-08-29 Aedle Soc Dispositif d'assemblage et verrouillage pour elements de casque audio
US9769551B2 (en) * 2014-12-31 2017-09-19 Skullcandy, Inc. Method of connecting cable to headphone, and headphone formed using such methods
WO2017185048A1 (en) 2016-04-21 2017-10-26 Human, Incorporated Attachment apparatus for coupling to an ear
USD1021850S1 (en) * 2020-12-17 2024-04-09 Nickolai Vysokov Headset earpad
USD1021851S1 (en) * 2020-12-17 2024-04-09 Nickolai Vysokov Headset earpa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8227B1 (ko) * 1970-11-11 1975-06-27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8227U (ko) * 1973-06-14 1975-02-28
JP4103267B2 (ja) * 1999-10-12 2008-06-18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ホン
US20020102005A1 (en) * 2001-01-26 2002-08-01 Jiu-Lin Lin Wireless hanging type earphone struc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8227B1 (ko) * 1970-11-11 1975-06-2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89795B2 (en) 2009-02-10
HK1065678A1 (en) 2005-02-25
JP3589210B2 (ja) 2004-11-17
US20070025578A1 (en) 2007-02-01
CN1473450A (zh) 2004-02-04
WO2003019980A1 (fr) 2003-03-06
CN100576947C (zh) 2009-12-30
JP2003078983A (ja) 2003-03-14
US20040032965A1 (en) 2004-02-19
KR20040028651A (ko) 200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038B1 (ko) 헤드폰장치
JP4088841B2 (ja) インナーイヤホン
US20080025541A1 (en) Behind-the-ear type hearing aid
JP5151305B2 (ja) ヘッドホン
EP2456228A1 (en) Earphone, and electronic device
CN211702353U (zh) 一种骨传导耳机
US20040141628A1 (en) Earpiece with interchangeable end portion
US20180213316A1 (en) Headphone with angled driver and nozzle
CN211702351U (zh) 骨传导耳机及其耳挂组件
JP4919069B2 (ja) ヘッドホンの製造方法
CN211791964U (zh) 一种骨传导耳机的连接组件
CN212086435U (zh) 一种骨传导耳机
CN212231716U (zh) 一种耳机
JP3095659U (ja) スピーカー
JP2884564B2 (ja) ヘッドフォン装置
CN109714661B (zh) 耳机头带及其制造工艺
CN219661036U (zh) 一种新型电动车蓝牙头盔
JPS639796B2 (ko)
JP4439718B2 (ja) 耳掛け形イヤホン
CN215264275U (zh) 具有音乐播放功能的眼镜
CN219876010U (zh) 一种发箍式耳机
CN218830546U (zh) 耳机佩戴组件及非入耳式耳机
KR200255406Y1 (ko) 이어폰의 이어피스 장착구조
CN218352705U (zh) 一种耳挂式无线耳机
CN210168182U (zh) 无线耳机的前后壳体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