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4503B1 - 음향변환장치 - Google Patents

음향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4503B1
KR100324503B1 KR1019990056180A KR19990056180A KR100324503B1 KR 100324503 B1 KR100324503 B1 KR 100324503B1 KR 1019990056180 A KR1019990056180 A KR 1019990056180A KR 19990056180 A KR19990056180 A KR 19990056180A KR 100324503 B1 KR100324503 B1 KR 100324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housing
support
outer ear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2446A (ko
Inventor
야마사키다카요시
스에후지미키오
고노가즈노리
미즈카미다쓰토
요시야히로시
야기료이치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20000052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2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4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45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음향변환장치는, 하우징과 지지부가 함께 동작하여 외이(auricle)를 사이에 끼우도록 하우징 접속부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지지부는 2개의 원호형상의 후크로 외이의 협착부(constricted part)를 사이에 끼워 고정된다. 이 2개의 후크는 그 간격을 소정 치수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접속된다.

Description

음향변환장치{Acoustic Transducer}
본 발명은, 음향기기가 출력하는 전기신호로부터 음을 재생하기 위한 음향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외이(또는 귀바퀴:auricle)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헤드폰 등에 관한 것이다.
외이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음향변환장치로서는, 종래에 헤드밴드를 가진 헤드폰형 장치나, 헤드 밴드를 갖지 않는 인너폰(innerphone)형 장치가 있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인너폰」은 외이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음향변환장치 중에서, 헤드폰과 같은 헤드 밴드를 갖지 않는 타입의 장치를 의미한다. 인너폰은 통상, 각 외이에 장착되는 한 쌍의 분리된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그 각 부분은 스피커 유니트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을 외이에 유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헤드폰은 속에 스피커 유니트가 수납된 하우징과, 하우징들이 양 끝단에 부착된 헤드 밴드로 이루어진다. 헤드 밴드는, 머리 정수리부 위에 놓여지거나, 후두부의 주위에 놓여지거나, 턱 아래에 매달리거나 한 상태로, 예컨데 그 탄성력에 의해, 한 쌍의 하우징을 각각 한 쌍의 외이에 눌러 붙인다.
이와 같이, 헤드 밴드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헤드폰은 비교적 큰 사이즈이고, 또한, 무거운 하우징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스피커 유니트의 사이즈도 크게 할 수 있어, 그 결과, 저음이 매우 잘 재생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헤드 밴드를 머리 주변에 두지 않으면 안된다. 그에 따라헤드 밴드가 머리 모양을 어지럽히거나, 장착감을 나쁘게 하기도 하기 때문에 헤드폰의 사용을 좋아하지 않은 사람이 많다.
또한, 어느 정도 큰 사이즈로 해야 하는 헤드 밴드가 헤드폰 전체의 사이즈를 크게 해 버리기 때문에 수납이나 운반이 번거롭다.
이러한 헤드폰의 결점을, 헤드 밴드를 제거함으로써 해소시킨 음향변환장치가 인너폰이다.
종래의 인너폰으로는, 하우징의 사이즈가 귓구멍 근방에 있는 외이 중앙부의 우묵한 곳 정도의 것과, 외이와 거의 동일한 정도의 것이 있다.
하우징의 사이즈가 외이의 우묵한 곳 정도의 인너폰은, 하우징이 외이의 우묵한 곳에 꽂힌다. 다른 한편으로는 지지부가 외이 표면에 접촉하거나, 또는, 지지부 자체가 외이를 사이에 끼운다. 이에 따라, 하우징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하우징의 사이즈가 외이와 거의 같은 정도의 인너폰은, 지지부가, 예를 들면 C자형과 같은 일정한 형상 및 사이즈를 가지는 후크를 구비한다. 이 후크의 C자형 공간내에, 머리와 외이와의 사이의 협착부[외이가 측두골(temporal bone)에 연결되고 있는 잘록한 부분; constricted part]를 품도록 하여 후크가 협착부에 접촉한다. 다음에, 지지부와 하우징이 함께 동작하여 외이를 사이에 끼운다. 이에 따라, 비교적 큰 하우징이 헤드폰과 같은 헤드 밴드 없이 안정적으로 외이 표면상에 유지된다.
일반적으로, 인너폰은 헤드 밴드를 갖지 않기 때문에 소형이고, 경량이며, 그 장착감은 헤드폰에 비해서 좋다. 그리고, 수납공간이 작으며, 운반이 용이하다.
그러나, 외이의 우묵한 곳에 하우징이 꽂혀 유지되는 타입의 인너폰은, 하우징의 사이즈를 귓구멍 근방의 외이 중앙부의 우묵한 곳보다 크게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스피커 유니트의 사이즈를 크게 할 수 없고, 그 결과, 헤드폰에 비하여 저음(low tone)의 박력(dynamism)이 부족하다.
이 저음의 음질이 뒤떨어진다고 하는 결점은, 하우징과 지지부가 함께 동작하여 외이를 사이에 끼움으로써 하우징이 유지되는 타입의 인너폰에서는 극복된다.
그러나, 종래 이 타입의 인너폰은 지지부의 후크가 단순히 외이의 협착부에 걸려 있을 뿐이기 때문에, 지지부 자체가 항상 안정적으로 협착부에 유지된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장착감이 악화된다. 그리고, 하우징이 정확한 위치로부터 어긋나기 쉽기 때문에, 하우징과 외이 표면과의 사이에 빈틈이 생기기 쉽다. 이 빈틈으로부터 스피커 유니트에 의한 재생음이 밖으로 새나오거나, 외부의 잡음이 귀에 들어오기도 한다. 이 결과, 상기 타입의 인너폰은 재생음의 음질이 떨어진다. 또한, 상기 타입의 인너폰은 후크의 형상이 일정하므로 변화할 수 없다. 한편,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외이의 협착부의 폭은 다양하다. 따라서, 일정한 형상 및 사이즈인 종래의 후크로는, 외이의 협착부의 폭에 후크의 사이즈가 맞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 경우, 장착감이 악화하는 동시에, 하우징이 정확한 위치로부터 어긋나기 때문에, 재생음의 음질이 뒤떨어진다.
덧붙여, 헤드폰 및 상기 타입의 인너폰이 종래 가지는, 외이와 거의 동일한 사이즈의 하우징은 외이에 대향하는 면이 평면이다. 이러한 하우징을 장착하면, 그 평면과 외이 표면과의 사이에 빈틈이 생긴다. 이 빈틈으로 스피커 유니트에 의한 재생음이 외부로 새거나, 외부의 잡음이 귀에 들어오거나 한다. 이 때문에, 종래의 하우징은 재생음의, 특히 고음의 음질은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과 지지부가 함께 동작하여 외이를 사이에 끼우는 타입의 인너폰형으로, 지지부 자체가 종래보다도 안정적으로 외이에 유지될 수 있는 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인너폰형의 이점, 즉, (a) 종래의 헤드폰보다 장착감이 좋다; (b) 수납공간이 보다 작다 ; 또한, (c) 운반이 보다 용이하다; 라는 이점을 잃지 않고 종래의 헤드폰이나 인너폰보다 뛰어난 재생음의 음질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인 음향변환장치를 사용자의 양 외이(E)에 장착하였을 때의 모양을 그 사용자의 머리(H)의 윗쪽에서 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인 음향변환장치의 왼쪽 유니트를 하우징(1)및 지지부(2)의 윗쪽에서 본 평면도로, 그 중에서, (a), (b)는 하우징(1)과 지지부(2)와의 간격이 각각 최소, 최대일 때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인 음향변환장치의 왼쪽 유니트를 하우징(1)의 외이(E)에 대향하는 전면(h)쪽에서 본 정면도로, 그 중에서, (a), (b)는 제 1 후크(2b)와 제 2 후크(2c)와의 간격이 각각 최소, 최대일 때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인 음향변환장치의 왼쪽 유니트의 단면평면도로, 그 중에서, (a)는 전체의 평면단면도, (b)는 (a)의 일부 확대단면도, (c)는 왼쪽 유니트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정단면도, (d)는 (c)의 일부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인 음향변환장치를 하우징(1)의 배면(1b)쪽에서 본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인 음향변환장치의 왼쪽 유니트를 왼쪽 외이(E)에 장착하는 모습을 윗쪽에서 본 평면도로, 그 중에서, (a)는, 장착전에 2개의 손가락으로 제 1 손가락 걸개부(1c)와 제 2 손가락 걸개부(2d)의 사이에 서로 힘을 가하여, 왼쪽 유니트의 하우징(1)과 지지부(2)와의 간격을 벌렸을 때의 모양을 나타낸 평면도, (b)는 장착후의 왼쪽 유니트를 윗쪽에서 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인 음향변환장치를 장착하였을 때의, 하우징(1)의 외이(E)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는 머리 위에서 본 평면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인 음향변환장치의 왼쪽 유니트를 하우징(1)의 외이(E)에 대향하는 전면(1a)쪽에서 본 정면도로, 그 중에서, (a) 및 (b)는 탄성부재(4d)가 각각 변형하기 전 및 후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인 음향변환장치의 왼쪽 유니트를 서로 직교하는 세 방향에서 본 도면으로, 그 중에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인 음향변환장치의 왼쪽 유니트에 있어서 제 1 후크(22b)와 제 2 후크(22c)와의 간격을 최대로 하였을 때를 서로 직교하는 세 방향에서 본 도면으로, 그 중에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인 음향변환장치를 하우징(1) 및 지지부(2)의 위쪽에서 본 평면도,
도 12는 종래의 헤드폰을 장착하였을 때의, 하우징(31)의 이개(E) 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는 머리(H)의 윗쪽에서 본 평면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1 : 하우징 1a, 31a : 하우징의 전면
1b :하우징의 배면 1c, 21c : 제 1 손가락 걸개부
1d, 21d : 링크 1e : 축구멍
1f, 2f, 2g, 2h : 오목부 1p :분기부분
2, 22 : 지지부 2a : 하우징의 전면에 대향하는 부분
2b, 22b : 제 1 후크 2c, 22c : 제 2 후크
2d, 22d : 제 2 손가락 걸개부 2ba, 2e, 2ca : 돌기
2w1: 제 1 벽 2w2: 제 2 벽
2w11: 제 1 벽의 다른 끝단 2w12: 제 2 벽의 다른 끝단
3 : 회전이동축 4a : 이어 패드
4b : 제 1 연질부재 4c : 제 2 연질부재
4d : 탄성부재 5 : 코드
6 : 플래그 7 : 제 2 회전이동축
8 : 비스 9 : 스피커 유니트
10a : 제 1 스프링 10b : 제 2 스프링
11 : 부싱 22f : 슬라이더
22e : 구멍 E : 외이
EB : 협착부 EH : 귓구멍
H : 머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음향변환장치는,
전기음향변환수단을 포함하는 하우징;
(a) 사람의 머리부[의 측두골(temporal bone)]와 상기 외이를 연결하는 상기 외이의 협착부(constricted part)를 사이에 끼우기 위한,
(b) 실질적으로 C자형이며,
(c) 그 C자형형상의 상부 및 하부의 간격을 소정 치수로 변화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후크를 가지며, 그 후크와 상기 하우징이 상기 외이를 사이에 끼워,상기 하우징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및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지지부가 함께 동작하여 상기 외이를 사이에 끼우도록, 상기 하우징과 상기 지지부를 접속하는 하우징접속부를 가진다.
지지부가 후크에 의해 외이의 협착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하우징과 지지부가 함께 동작하여 외이를 사이에 끼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음향변환장치는 외이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종래의 헤드폰과 같은 헤드 밴드 없이 비교적 큰 하우징이 외이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는 C자형의 후크의 상부 및 하부가 외이의 협착부를 사이에 끼움으로써 유지된다. 따라서, 단일 또한 일정형의 후크가, 예를 들어, 안경다리(temple)와 같이 외이에 걸려진 경우에 비하여 지지부는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 후크의 형상을, 외이의 협착부의 폭에 맞도록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외이의 협착부의 폭에 대하여 동일하게 지지부는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 자체가 후크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단일 또한 일정형의 후크가 외이에 걸려진 경우에 비하여 외이를 사이에 끼우고 있는 하우징이 그 위치에서 더욱 어긋나기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장착감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과 외이 표면과의 사이에 빈틈이 생기는 것에 의한 재생음의 음질이 떨어지는 것도 막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접속부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지지부와의 간격을 좁히도록 힘을 주기 위한 간격 협화력(狹化力) 발생수단을 가진다. 이 간격 협화력 발생수단의 힘에 의해, 하우징을 외이의 표면에 눌러 붙인다. 이로써, 하우징이 외이를 덮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동시에, 하우징과 외이와의 빈틈이 실질적으로 생기지 않는다. 더욱 이 힘은, 헤드 밴드의 탄성력과 마찬가지로, 비교적 큰 하우징을 외이에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피커 유니트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재생되는 저음의 음질을 보다 좋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하우징접속부가,
(a)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지지부가 회전가능하도록(rotatably),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지지부를 축지지 접속하는(pivot-connected) 회전이동축(pivot)을 가지며,
(b) 그 회전이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1)과 상기 지지부(2)의 간격을 소정 치수로 변화시킨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 접속부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지지부와의 간격을 좁히도록 토크를 주기 위한 토크발생수단을 갖는다. 상기 하우징 접속부를 가진 음향변환장치에서는, 머리와 외이를 연결하는 외이의 협착부에 지지부가 고정되고, 토크발생수단의 토크가 하우징과 지지부를 외이에 눌러 붙인다. 이에 따라, 외이를 덮는 위치에 하우징이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의 하우징접속부를 가진 음향변환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하우징이 제 1 손가락 걸개부를, 상기 지지부가 제 2 손가락 걸개부를 각각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지지부가 지레의 구조를 가져서, 상기 제 1 손가락 걸개부 및 제 2 손가락 걸개부 사이에 상대적인 힘을 가하면,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회전이동축의 주위로 회전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손가락 걸개부가 상기 회전이동축에 관하여 상기 하우징과 반대 위치에, 또는 상기 제 2 손가락 걸개부가, 상기 회전이동축에 관하여 상기 후크와 반대 위치에 있어도 좋다. 상기 제 1 손가락 걸개부 또는 제 2 손가락 걸개부는, 돌기 또는 우묵한 것의 어떤 것이어도 좋다. 상기 어느 쪽 형태에 있어서도, 제 1 손가락 걸개부 및 제 2 손가락 걸개부에, 예를 들어, 같은 손의 엄지손가락 및 집게손가락을 각각 대어, 그 두 손가락의 간격을 좁히도록 하여 힘을 가하면, 지레의 작용에 의해, 하우징과 지지부의 간격이 벌어진다. 또한, 토크발생수단이 존재하는 경우, 확대된 하우징과 지지부와의 간격은, 손가락의 힘을 빼면 토크발생수단의 토크에 의해서 좁혀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음향변환장치는 하우징 또는 지지부를 지레로 구성함으로써, 한쪽 손만으로 용이하게 외이의 협착부에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크가, 상기 C자형형상의 상부 및 하부의 간격을 좁히 도록 힘을 주기 위한 제 2 간격 협화력 발생수단을 가진다. 이에 따라, 후크가 C자형내의 공간에 외이의 협착부를 사이에 끼우고, 제 2 간격 협화력 발생수단이 그 간격이 벌어지지 않도록 힘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 자체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상기의 지지부는,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a)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제 1 후크 및 제 2 후크;
(b) 상기 제 1 후크 또는 상기 제 2 후크의 적어도 어느 한 쪽이 회전이동하여 상기 제 1 후크 및 상기 제 2 후크의 간격을 소정 치수만큼 변화시키도록, 상기제 1 후크 및 상기 제 2 후크를 회전이동가능(rotatably) 축지지 접속하는(pivot-connected) 제 2 회전이동축; 및
(c) 상기 제 1 후크 및 제 2 후크의 간격을 좁히도록 토크를 미치기 위한 제 2 토크발생수단을 가진다. 상기의 지지부는 제 2 토크발생수단의 토크가 제 1 후크 및 제 2 후크를 외이의 협착부에 눌러 붙임으로써,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상기의 지지부는,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a)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제 1 후크 및 제 2 후크; 및
(b) 상기 제 1 후크 및 제 2 후크의 간격을 좁히도록 탄성력을 미치기 위한, 상기 제 1 후크 및 제 2 후크를 접속하는 탄성부재를 가진다. 상기 지지부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제 1 후크 및 제 2 후크를 외이의 협착부에 눌러 붙임으로써,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한편, 제 1 후크 및 제 2 후크와 탄성부재가 일체로 되어 형성된 것이어도 좋다.
상기의 지지부는, 또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a)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제 1 후크 및 제 2 후크; 및
(b) 상기 제 1 후크 및 제 2 후크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접속하는 슬라이더를 가지며,
그 슬라이더에 의해 상기 제 1 후크 또는 제 2 후크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슬라이드하여, 상기 제 1 후크 및 제 2 후크의 간격을 소정 치수만큼 변화시키도록 한다. 상기의 지지부는, 제 1 후크 및 제 2 후크가 외이의 협착부를 눌러 붙인 상태로 슬라이더가 고정됨으로써,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최적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몇 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인 음향변환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H)의 양쪽에 있는 양 외이(E)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음향변환장치는, 하우징(1), 및 링크(1d)에 있는 제 1 회전이동축(3)에 의해 하우징(1)에 접속된 지지부(2)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인 음향변환장치는, 지지부(2)를 외이(E)의 협착부(EB)상에 걸어, 하우징(1)과 지지부(2)가 함께 동작하여 외이(E)를 사이에 끼도록 장착된다. 양 외이(E)에 장착된 본 발명의 실시예 1인 음향변환장치는, 코드(5)및 플러그(6)에 의해서 외부에 있는 음향재생기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그 다음에 음성신호를 입력한다.
도 2, 도 3, 및, 도 4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인 음향변환장치 중에서, 왼쪽 귀에 장착하는 부분(왼쪽 유니트)를 나타낸다. 이하, 편의상 주로 이 왼쪽 유니트에 대하여 그 구성을 설명한다. 오른쪽 귀에 장착하는 부분(오른쪽 유니트)은, 예컨데, 도 1 및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왼쪽 유니트와 좌우대칭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하우징(1)은 예를 들어, ABS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은 장착시에 외이에 대향하는 전면(1a), 바닥면의 직경에 비하여 짧은 높이를 가진 원통과 같은 형상의 측면, 및, 전면(1a)과 대향하는 배면(1b)을 갖는다. 하우징(1)의 전면(1a)은, 중앙부가 볼록형으로, 그 위를 부드럽고 다공질인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이어 패드(4a)로 덮여져 있다. 전면(1a)의 사이즈는, 외이와 거의 같은 크기로 되어 있다. 하우징의 배면(1b)상에는 제 1 손가락 걸개부(1c)와 링크(1d)가 있다. 제 1 손가락 걸개부(1c)는 배면(1b)의 가장자리변부에 있는 돌기이며, 돌기를 하우징(1)의 중앙을 향하여 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다. 링크(1d)는, 예컨대, ABS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링크(1d)는 배면(1b)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면(1b)의 제 1 손가락 걸개부(1c)와는 반대쪽의 가장자리부로부터 하우징(1)의 바깥쪽을 향하여 뻗어나가고 있다. 그리고, 링크(1d)는 배면(1b)으로부터 바깥쪽(후두부의 방향)을 향함에 따라 전면(1a)쪽으로 구부러져 있다. 구부러진 선단부는 둘로 분기하고 있으며, 그 각 중심부근에 수직방향의 제 1 회전이동축(3)의 축구멍(1e)이 있다. 도 2와 같이 그 분기한 링크(1d)의 사이에 지지부(2)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면(1b)상의 가장자리변부에는, 하우징(1)의 내부로 코드(5)를 통과시키기 위한,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부싱(11)이 장착되어 있다.
지지부(2)는, 예를 들면, ABS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지지부(2)는 도 2와 같이, 하우징(1)의 전면(1a)에 대향하는 부분(2a)과, 그 부분(2a)의 끝단으로부터 하우징(1)쪽을 향하여 뻗어나가는 부분(2n)을 가진다. 이 하우징(1)쪽을 향하여 뻗어나가는 부분(2n)이 링크(1d) 선단의 분기부분(1p)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이 삽입부분에는 제 1 회전이동축(3)의 축구멍이 있고, 그 선단부에는, 하우징(1)쪽을 향하여 지지부(2)를 손가락으로 누르기 위한 돌기인 제 2 손가락 걸개부(2d)가 있다.
링크(1d) 선단의 분기부분(1p)에 있는 구멍(1e), 및, 그 분기부분(1p)의 사이에 삽입된 지지부(2)의 부분에 있는 구멍에, 예를 들어 금속제의 핀인, 제 1 회전이동축(3)이 통과되고 있다. 이 제 1 회전이동축(3)에 의해서 하우징(1) 및 지지부(2)가 접속된다. 접속된 지지부(2)는, 그 제 1 회전이동축(3)의 주위로 회전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1)의 전면(1a)과 그에 대향하는 지지부(2)의 부분(2a)의 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 2(a)는 그 간격이 가장 좁아졌을 때를, 도 2(b)는 가장 넓어졌을 때를 각각 나타낸다.
도 3은 하우징(1)의 전면(1a) 쪽에서 본 왼쪽 유니트의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지부(2)는, 원형의 하우징(1)의 전면(1a)과 실질적으로 동심의 원호형상인 제 1 후크(2b) 및 제 2 후크(2c)로 이루어진다. 제 1 후크(2b) 및 제 2 후크(2c)는 서로 원호의 안쪽을 대향시켜 배치되어 있다. 제 1 후크(2b) 및 제 2 후크(2c)의 원호의 선단부는, 원호의 안쪽을 향하여 조금 구부러진 둥근 선단(2b1또는 2c1)을 가지고 있다. 제 2 후크(2c)는, 제 1 후크(2b)보다 조금 짧게 되어 있다. 제 1 후크(2b) 및 제 2 후크(2c)의 각각의 원호의 안쪽에는,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elastomer)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연질부재(4b) 및 제 2 연질부재(4c)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후크(2b)의 한 끝단부에는 원형의 오목부(2f)가 있다. 그 오목부(2f)에, 그보다 조금 작은 직경의 원형인 제 2 후크(2c)의 한 끝단부(2c2)가, 그 중심에 있는 구멍과 오목부(2f)의 중심을 맞추도록 끼워 넣어져 있다. 그 끼워 넣어진 제 2 후크(2c)의 한 끝단부(2c2)에 있어서의 제 1 후크(2b)와 접촉하지 않는 쪽 면에는, 그 제 2 후크(2c)의 한 끝단부(2c2)와 동심인 원형의 오목부가 있다. 그 원형의 오목부에 수평방향의 제 2 회전이동축(7)이 끼워 넣어지고, 그 중심에 나사 끼움된 비스(8)로 고정되어 있다. 제 2 후크(2c)는 제 2 회전이동축(7)의 주위로 회전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후크(2b) 및 제 2 후크(2c), 각각의 원호의 안쪽의 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 3(a)는 그 간격이 가장 좁아졌을 때를, 도 3(b)는 그 간격이 가장 넓어졌을 때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도 2(a)에 나타낸 왼쪽 유니트에 있어서의, 도 4(c)의 일점쇄선 IV(a)-Ⅳ(a)에 따른 단면도이다. 하우징(1)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스피커 유니트(또는, 전기음향변환수단 : 9)는 전면(1a)에 끼워 넣어져 있는 스피커 플레이트가 가진 다수의 구멍으로부터 외부로 재생음을 방출한다.
도 4(b)는, 도 4(a) 중의, 수직방향의 제 1 회전이동축(3)의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4(a) 및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지부(2)는 링크(1d)의 분기부에 삽입된 부분(2n)에 오목부(2g)를 가진다. 그 오목부(2g) 중에 제 1 회전이동축(3)이 있으며, 그 제 1 회전이동축(3)에 제 1 스프링(10a)이 감겨 있다. 제 1 스프링(10a)의 한 끝단부는 지지부(2)내의 오목부(2g)의 내면에, 다른 끝단부는 링크(1d)의 분기점에 있는 오목부(1f)의 내면에 각각 걸려 있다. 하우징(1)의전면(1a)과 그와 대향하는 지지부(2)의 부분(2a)과의 간격이 넓어지면, 이 제 1 스프링(10a)의 복원력이, 그 간격을 좁히는 방향의 토크를 하우징(1) 및 지지부(2)에 미친다.
도 4(c)는, 도 3(a)에 나타낸 왼쪽 유니트에 있어서의, 도 4(a)의 일점쇄선 IV(c)-Ⅳ(c)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d)는, 도 4(c)내의, 제 2 회전이동축(2e) 근방의 확대도이다. 제 1 후크(2b)의 원형의 오목부(2f)의 중심에 그와 동심의 원주형의 돌기(2e)가 있다. 그 돌기(2e)에 제 2 스프링(10b)이 감겨 있다. 돌기(2e)에는,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회전이동축(7)이 비스(8)로 고정되어 있다. 그 제 2 회전이동축(7)은 제 2 후크(2c)를 회전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있다. 제 2 스프링(10b)의 한 끝단은 제 1 후크(2b)의 원형의 오목부(2f)내에 있는 돌기(2ba)에 걸려 있다. 제 2 스프링(10b)의 다른 끝단은 제 1 후크(2b)의 원형의 오목부(2f)내에 끼워 넣어져 있는 제 2 후크(2c)의 한 끝단부(2c2)[도 4(b)]가 있는, 제 1 후크(2b)쪽의 돌기(2ca)에 걸려 있다. 제 2 후크(2c)의 원형의 한 끝단부(2c2)[도 4(b)]는, 도 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후크(2b)쪽에, 그 원주에 거의 따르는 제 1 벽(2w1)및 제 2 벽(2w2)을 가진다. 제 1 벽(2w1)및 제 2 벽(2w2), 각각의 한 끝단이, 제 2 스프링(10b)을 돌기(2ca) 부근에서 고정한다. 제 1 벽(2w1)의 다른 끝단(2w11) 또는 제 2 벽(2w2)의 다른 끝단(2w21)이, 제 2 회전이동축(7)주위의 제 2 후크(2c)의 회전이동에 의해 이동하여 온 돌기(2ba)와 접촉하고, 그 회전이동을 방해하여, 그 회전각도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하는 위치에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제 1 후크(2b) 및 제 2 후크(2c)의 간격이 넓어지면, 제 2 용수철(10b)의 복원력이, 그 간격을 좁히는 방향의 토크를 제 1 후크(2b) 및 제 2 후크(2c)에 미친다.
이상의 구성을 가진 왼쪽 유니트를 왼쪽 귀의 외이에 장착하는 방법을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왼손의 집게손가락(F2)(또는 중지 등)을 하우징(1)의 배면(1b)상에 있는 제 1 손가락 걸개부(1c)에, 왼손의 엄지손가락(F1)을 지지부(2)의 제 2 손가락 걸개부(2d)에 각각 접촉시킨다. 그리고, 집게손가락(F2)과 엄지손가락(F1)과의 간격을 좁히도록 양 손가락에 힘을 가한다. 그렇게 하면, 지레의 작용에 의해, 제 1 회전이동축(3)의 주위를 지지부(2)가 도 6(a)의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회전이동하고, 하우징(1)의 전면(1a)과 또 그에 대향하는 지지부(2)의 부분(2a)의 간격이 벌어진다. 그 사이에 외이(E)를 사이에 끼우도록, 왼쪽 유니트를 외이(E)의 뒤쪽이나 약간 경사진 위쪽으로부터 외이(E)에 접근시킨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후크(2b)는 제 2 후크(2c)보다 조금 길다. 그리고, 제 1 후크(2b) 및 제 2 후크(2c) 각각의 원호의 안쪽에 조금 구부러진 선단(2b1) 및 (2c1)의 사이는, 적어도, 도 6에 나타낸 머리 위에서 본 외이(E)의 협착부(B)의 폭보다도 넓다. 이 때문에, 제 1 후크(2b)의 원호의 안쪽에 있는 제 1 연질부재(4b)가 협착부(EB)의 상부에 접촉했을 때에, 제 2 후크(2c)의 원호의 선단(2c1)이 협착부(EB)의 하부에 접촉하도록 왼쪽 유니트를 외이(E)에 접근시킬 수 있다.
제 2 후크(2c)의 원호의 선단(2c1)이 협착부(EB)의 표면에 눌러 붙여지면, 그 눌러 붙여진 힘에 의해 제 2 후크(2c)가 제 2 회전이동축(2e)의 주위로 조금 회전이동하여, 도 3(b)와 같이 제 1 후크(2b) 및 제 2 후크(2c)의 간격이 벌어진다. 이 간격이 벌어지는 동시에, 제 2 후크(2c)의 원호의 선단(2c1)이 협착부(EB) 표면을 따라 더욱 미끄러진다.
하우징(1)의 전면(1a)이 귓구멍을 중심으로 하여 외이(E)를 거의 덮는 위치에 놓여지면, 엄지손가락(F1) 및 집게손가락(F2)으로부터 힘을 뺀다. 그렇게 하면, 수직방향의 제 1 회전이동축(3)의 주위에 설치한 제 1 스프링(10a)의 복원력에 의해서, 하우징(1)에 대하여 도 6(b)에 나타낸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지지부(2)가 회전이동하고, 하우징(1)의 전면(1a), 및, 또 그에 대향하는 지지부(2)의 부분(2a)이 함께 동작하여 외이(E)를 사이에 끼운다. 이에 따라, 종래의 헤드폰과 같은 헤드 밴드 없이, 외이(E)와 거의 동일한 사이즈인 비교적 큰 하우징(1)이 고정된다.
이 때, 제 2 회전이동축(2e)에 감겨 있는 제 2 스프링(10b)의 복원력이 제 1 후크(2b) 및 제 2 후크(2c)를 협착부(EB)에 눌러 붙인다. 특히, 제 1 후크(2b) 및 제 2 후크(2c)의 원호의 선단(2b1및 2c1)이 각각 협착부(EB)를 향하여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코드의 끌어당기는 등으로 하우징(1)에 미치는 외력에 의해, 지지부(2)가 협착부(EB)를 축으로 회전하게 되어 어긋나기 시작하면, 그 구부러진 부분이 협착부(EB) 표면에 걸리거나, 그 어긋남을 방해한다. 이렇게, 지지부(2) 전체가 안정적으로 협착부(EB)에 고정된다.
또한, 제 1 후크(2b) 및 제 2 후크(2c)의 협착부(EB)에 접촉하는 부분에 제 1 및 제 2 연질부재(4b,4c)가 있기 때문에, 제 1 후크(2b) 및 제 2 후크(2c)가 협착부(EB)에 주는 장착감은 좋다.
그리고, 전면(1a)의 중앙부가 볼록형으로 부풀어올라 있기 때문에, 전면(1a)의 끝단부 뿐만 아니라 중앙부 부근도 외이(E)의 표면에 눌러 붙여진다. 이에 따라, 하우징(1)이 외이(E)의 표면을 따라 어긋나는 일이 없어진다. 그리고, 전면(1a)을 덮는 이어 패드(4a)가, 전면(1a)과 외이(E)의 표면과의 사이를 실질적으로 빈틈없이 막는다. 이 때의 하우징(1)의 외이(E)에 대한 위치를 도 7에 나타낸다. 하우징(1)의 전면(1a)은, 이어 패드(4a)를 사이에 끼워 외이(E)의 내면을 가볍게 누른다. 이 때문에, 전면(1a)이 외이(E)의 내면에 주는 장착감은 좋다. 전면(1a)은 귓구멍(EH) 내부를 향하여 볼록형으로 부풀어 오른 형상이기 때문에 전면(1a)을 덮는 이어 패드(4a)와 외이(E)의 내면과의 접촉면적이 종래의 헤드폰보다 커진다.
도 12는, 종래의 헤드폰을 외이(E)에 장착하였을 때의 하우징(31)의 외이(E)에 대한 위치를 나타낸다. 종래의 헤드폰에서는, 하우징(31)의 전면(31a)은 실질적으로 평면이다. 이 때문에, 장착시에, 전면(31a)을 덮는 이어 패드(4a)와 외이(E)의 내면과의 접촉면적은, 도 7에 나타나 있는 본 발명의 음향변환장치보다도 작다. 이 접촉면적이 클수록 하우징 전면과 외이표면과의 사이의 빈틈이 작아져, 스피커 유니트로부터의 재생음이 외부로 새어나오기 어렵고, 또한, 외부로부터의 잡음이 귀에 들어가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재생음의 음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 접촉면적이 큰 쪽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본 발명의 음향변환장치 쪽이, 종래의 헤드폰보다 재생음의 음질이 우수하다.
실시예 1의 음향변환장치에서는 하우징(1)과 지지부(2)가 함께 동작하여 외이에 끼워질 뿐만 아니라, 제 1 후크(2b) 및 제 2 후크(2c)가 외이의 협착부에 끼워진다. 제 1 후크(2b) 및 제 2 후크(2c)의 간격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 2 스프링(10b)의 복원력에 의해, 사용자의 외이의 협착부의 폭에 맞도록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인너폰과 같이, 지지부가, 단지 외이의 협착부에 걸려있기 때문에 일정하고 변화하지 않는 형상을 가진 경우에 비하여, 모든 사용자에 대하여 동일하게, 지지부가 확실하게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음향변환장치 전체도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향변환장치의 안정성이 증가하면, 그 장착감이 좋아질 뿐만 아니라, 하우징이 어긋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재생음의 음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 등에 나타낸 예에서는, 지지부(2)의 제 1 후크(2b) 및 제 2 후크(2c)는 각각 원호형이었다. 그러나, 이 형상은 본 발명에 있어서 본질적이지 않고, 장착할 때에 협착부를 확실하게 사이에 끼울 수 있으면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도 1 및 도 5에는, 스피커 유니트(9)를 외부의 음향재생기기에 접속하기 위한 코드(5) 및 플러그(6)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은 실시예 1에 있어서 본질적인 구성이 아니며,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코드나 플러그를 포함하지 않고, 예컨대, 라디오 수신회로, 트랜시버와 같은 송수신회로, 보청기용 회로, 증폭회로, 진동회로 등을 하우징내에 가진 음향변환장치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실시예 2》
도 8은, 본 발명의 음향변환장치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왼쪽 유니트를 하우징(1)의 전면(1a)에서 본 정면도이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오른쪽 유니트는, 이 왼쪽유니트와 좌우대칭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실시예 2에 있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2가 실시예 1과 다른 점은 제 1 후크(2b)와 제 2 후크(2c)가 탄성부재(4d)에 의해서 접속되는 점이다. 탄성부재(4d)는, 예를 들어,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응력이 가해지면 변형하지만, 그 응력이 없어지면 원래의 형을 복원한다. 탄성부재(4d)는, 응력이 가해지고 있지 않을 때는,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후크(2b) 및 제 2 후크(2c)가 하우징(1)의 전면(1a)과 실질적으로 동심의 원주상에 있도록 양 후크를 접속한다. 실시예 1과 같이 실시예 2의 음향변환장치를 외이에 장착할 때, 제 2 후크(2c)의 원호의 선단(2c1)이 외이의 협착부 표면으로부터 힘을 받으면, 도 8(b)에 나타낸 제 1 후크(2b) 및 제 2 후크(2c)의 간격이 벌어진 상태가 되도록 탄성부재(4d)가 변형한다. 제 1 후크(2b) 및 제 2 후크(2c) 사이에 외이의 협착부가 끼워지면, 탄성부재(4d)의 탄성력이 제 1 후크(2b) 및 제 2 후크(2c)를 협착부에 눌러 붙인다. 이에 따라, 실시예 1과 같이 지지부(2)가 안정적으로 협착부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과 같이 음향변환장치 전체가 안정적으로 장착되고, 그 장착감, 및 재생음의 음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8 등에 나타낸, 지지부(2)의 제 1 후크(2b) 및 제 2 후크(2c)는 각각 원호형이었으나, 실시예 1과 같이 이 형상은 본질적이지 않다. 또한, 실시예 1과 같이 코드나 플러그를 포함하지 않은 음향변환장치여도 좋다.
《실시예 3》
도 9는, 본 발명의 음향변환장치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왼쪽 유니트를, 세 개의 다른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오른쪽 유니트는, 이 왼쪽 유니트와 좌우대칭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실시예 3에 있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조에 있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링크(21d)는 실시예 1과 같이 ABS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링크(21d)는,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의 배면(1b)에 평행한 방향에서 조금 바깥쪽을 향하여 배면(1b)으로부터 조금 뻗어나가고 있다. 또한, 어느 정도 길이만큼 뻗어나간 곳에서, 전면(1a)쪽으로 구부러져 있다. 구부러진 끝부분에 회전이동축(3)을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이 있다. 그리고, 또한 회전이동축(3)보다 바깥쪽으로 뻗어나간 링크(21d)의 연장부(extended part)에 제 1 손가락 걸개부(21c)가 있다.
지지부(22)는 실시예 1과 같이 ABS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지지부(22)는 도 9와 같은 제 1 후크(22b)와 제 2 후크(22c)를 가진다. 제 1 후크(22b)는 도 9(a)와 같이, 하우징(1)의 배면(1b)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부분(22bb)과, 그 부분(22bb)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부분(22ba)을 가진다. 실질적으로 직교한 부분(22ba)의 선단부는, 도 9(c)와 같이 둘로 분기하고 있으며, 그 사이에 링크(21d)가 삽입되어 있다. 이 삽입부분에는 회전이동축(3)을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이 있다. 이 구멍과링크(21d)에 있는 회전이동축(3)을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에, 예를 들어 금속제의 핀으로 이루어지는 회전이동축(3)이 통과되고 있다. 이 회전이동축(3)에 의해서 하우징(1) 및 지지부(22)가 접속된다. 지지부(22)는 회전이동축(3)의 주위를 회전이동함으로써, 하우징(1)의 전면(1a)과 그에 대향하는 제 1 후크(22b)의 부분(22bb)과의 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 9에서는 생략되어 있지만, 회전이동축(3)에는 실시예 1과 같이 복귀용 스프링이 감겨 있다. 이 스프링의 복원력이, 실시예 1과 같이 하우징(1)의 전면(1a)과 그에 대향하는 제 1 후크(22b)의 부분(22bb)과의 간격을 좁히도록 토크를 미치게 한다.
하우징(1)의 배면(1b)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하우징(1)의 전면(1a)과 대향하는 제 1 후크(22b)의 부분(22bb)은 도 9(b)와 같이, 실시예 1과 같이 실질적으로 하우징(1)의 전면(1a)과 동심의 원호형이다. 그리고, 그 부분(22bb)은 반대쪽에 있는 선단부에는 제 2 손가락 걸개부(22d)가 있다. 원호형의 부분(22bb)과 제 2 손가락 걸개부(22d)와의 사이에는, 제 1 후크(22b)와 제 2 후크(22c)와의 간격조정용의 슬라이더(22f)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22e)이 있다. 이 구멍(22e)은, 예를 들어, 도 9(a)와 같이, 제 2 후크(22c)의 방향유지를 위해 열쇠 구멍의 형상을 갖고 있다. 제 2 후크(22c)는, 도 9(b)와 같이, 실시예 1과 같이 실질적으로 하우징(1)의 전면(1a)과 동심의 원호형을 가지며, 제 1 후크(22b)에 원호의 안쪽을 대향시켜 배치되어 있다. 도 9(b)에 나타낸, 제 1 후크(22b)와 접촉하는 제 2 후크(22c)의 부분(22ca)에는 슬라이더(22f)가 있다. 슬라이더(22f)는 예를 들면 ABS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더(22f)는, 제 2 후크(22c)에 고정된 한 끝단으로부터 제 1 후크(22b)의 구멍(22e)을 뚫고 뻗어나가고 있다. 그 선단에는 슬라이더(22f)가 구멍(22e)에서 빠지지 않기 위한 스토퍼[(retainer)22g]가 있다. 슬라이더(22f)는 구멍(22e)에 따르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다. 슬라이더(22f)의 횡단면형상은, 도 9(a)와 같이, 제 1 후크(22b)의 구멍(22e)을 슬라이더(22f)가 통과하도록 그 구멍(22e)에 꼭 맞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제 2 후크(22c)가 일정방향을 유지하여 슬라이드된다. 이 단면형상은 열쇠 구멍형에 한정되지 않고, 제 2 후크(22c)가 구멍(22e)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면 된다. 도 9에서는 생략되어 있지만, 슬라이더(22f)의 표면과 그 표면에 접촉하는 제 1 후크(22b)의 구멍(22e)의 내면에는, 제 1 후크(22b) 및 제 2 후크(22c)의 간격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더(22f)가 슬라이드할 때의 마찰저항이, 역방향으로 슬라이드할 때의 마찰저항보다 커지도록, 예를 들면 변형이 가능한 수지제의 래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단, 이 래치의 상세한 부분은, 도 9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이로써, 특히 제 1 후크(22b) 및 제 2 후크(22c)의 간격이 벌어지기 어려워지도록 마찰저항이 생기고, 슬라이더(22f)의 슬라이드위치가 유지되어, 제 1 후크(22b) 및 제 2 후크(22c)의 간격이 소정 폭으로 유지된다.
이하, 실시예 3의 음향변환장치의 장착방법을, 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0(b)와 같이, 제 1 후크(22b)와 제 2 후크(22c)와의 간격을 구멍(22e)에 따른 슬라이더(22f)의 슬라이드에 의해, 그 간격에 외이의 협착부가 사이에 끼워질 수 있는 정도로 벌려 놓는다. 다음으로, 도 10(a)에 나타낸, 링크(21d) 선단의 제 1 손가락 걸개부(21c)에 왼손의 집게손가락을, 한편, 제 1 후크(22b) 선단의 제 2손가락 걸개부(22d)에 왼손의 엄지손가락을 각각 댄다. 그리고, 집게손가락에 도 10(a)에 나타낸 화살표 C의 방향의 힘을, 엄지손가락에 화살표 D의 방향의 힘을 각각 가한다. 그렇게 하면, 회전이동축(3)보다 바깥쪽의 연장부에 제 1 손가락 걸개부(21c)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한 지레의 작용에 의해, 회전이동축(3)의 주위로 제 1 후크(22b)가 회전이동하여, 하우징(1)의 전면(1a)과 그에 대향하는 지지부(22)의 부분과의 간격이 벌어진다. 실시예 1과 같이, 이 사이에 외이가 끼워지도록 하는 위치까지, 이 왼쪽 유니트를 외이에 접근시킨 후, 양 손가락의 힘을 뺀다. 그렇게 하면, 실시예 1과 같이 회전이동축(3)에 감긴 스프링의 북원력에 의해 지지부(22)가 회전이동축(3)의 주위를 회전이동하여, 하우징(1)의 전면(1a)과 그에 대향하는 지지부(22)의 부분이 함께 동작하여 외이를 사이에 끼운다. 마지막으로, 제 2 후크(22c)를 도 10(b)의 화살표 E의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제 1 후크(22b)와 제 2 후크(22c)와의 간격을 좁힌다. 그리고, 제 1 후크(22b) 및 제 2 후크(22c), 각각의 원호의 내면에 있는 제 1 연질부재(4b) 및 제 2 연질부재(4c)로 외이의 협착부를 끼운다. 이에 따라, 지지부(22)가 협착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그 결과, 유니트 전체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와 완전히 동일하게, 음향변환장치 전체가 안정적으로 장착되고, 그 장착감, 및, 재생음의 음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9 등에 나타낸, 지지부(22)의 제 1 후크(22b) 및 제 2 후크(22c)는 각각 원호형이지만, 실시예 1과 같이, 이 형상은 본질적이지 않다. 또한, 실시예 1과 같이, 코드나 플러그를 포함하지 않은 음향변환장치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될 수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하우징과 지지부의 하우징접속부의 구조는,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3에서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3에 있어서의 하우징접속부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하우징접속부는 한쪽 손만으로 하우징과 지지부의 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른 구조일지라도 된다. 예를 들어, 실시예 3에 있어서의 링크(21d)와 지지부(22)와의 하우징접속부의 구조가, 도 2에 나타낸 실시예 1과 같은 것이라도 좋다. 즉, 실시예 1과 같이, 제 1 손가락 걸개부가, 하우징(1)의 배면(1b)에 있어서의, 링크(1d)와는 반대쪽에 있는 가장자리부에 있고, 제 2 손가락 걸개부가 회전이동축(3) 근방의 지지부(2)에 있어도 좋다. 그 반대로, 실시예 1 또는 2에 있어서의 링크(1d)와 지지부(2)의 하우징접속부의 구조가, 도 9에 나타낸 실시예 3과 같은 것이라도 좋다. 이 구조에 의해, 실시예 3과 같이, 제 1 손가락 걸개부가 링크(21d)의 선단에 있어도 좋다. 하우징접속부가 회전이동축을 갖는 경우, 그 회전이동축의 방향과, 실시예 1과 같은 제 2 회전이동축(7)의 방향, 또는, 실시예 3과 같은 슬라이더(22f)의 방향이 실질적으로 직교하지 않고 있어도 상관없다. 하우징이 외이를 덮도록 하면 본 발명은 효율적으로 기능한다.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 1 손가락 걸개부 및 제 2 손가락 걸개부가 돌기인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 1 손가락 걸개부 및 제 2 손가락 걸개부가, 손가락이 들어갈 만큼의 크기를 가진 우묵한 것이어도 좋다.
《실시예 4》
도 11에, 본 발명의 음향변환장치의 실시예 4를 나타낸다. 실시예 4는, 코드(5)를 가진 실시예 1 또는 2에 있어서, 지지부(2)의 외이에 접하는 부분(2a)과는 반대쪽에 있는 부분에,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오목부(2h)를 형성한 것이다.
실시예 4의 음향변환장치를 수납하거나, 또는, 가지고 다닐 때, 좌우 유니트의 하우징(1)에 있어서의 양 배면(1b)끼리를 접촉시켜, 지지부(2)의 오목부(2h)에 코드가 걸리도록, 코드(5)를 양 유니트에 감아 일체로 묶는다. 그렇게 하면, 지지부(2)의 오목부(2h)가 감긴 코드(5)를 유지하기 때문에, 감긴 코드가 어긋나 느슨해지는 일이 없고, 따라서, 하우징(1)이 서로 미끄러져 벗어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실시예 4의 본 발명의 음향변환장치에 있어서는, 수납 및 운반이 용이해진다.
실시예 3의 음향변환장치가 하우징(1)내의 스피커 유니트를 외부의 음향재생기기에 접속하기 위한 코드를 가질 때도 마찬가지이다. 즉, 링크(21d)의 지지부(2)와는 반대쪽에 있는 부분에 도 11의 오목부(2h)와 같은 오목부를 설치하면,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좌우의 하우징이 서로 미끄러져 벗어나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수납과 운반이 용이해진다.
코드를 걸기 위한 오목부를 형성하는 위치는 실시예 4에 나타낸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와는 별도로, 하우징의 배면에 동일한 오목부를 형성하여, 양 유니트의 전면쪽을 서로 접촉시켜 코드를 감을 때에 그 오목부에 코드가 걸리도록 하여도 좋다.
또 다른 예로서, 한쪽 유니트의 전면쪽과 다른쪽 유니트의 배면쪽을 접촉시켜 코드를 감을 때, 코드가 걸리도록 하는 위치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다른 예로서, 각 유니트가 각각 가지는 코드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각각의 유니트에 각각의 코드를 감을 때에, 감긴 코드가 어긋나 느슨해지지 않도록 같은 유니트의 하우징 및 지지부가 모두 오목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오목부의 형상, 또는, 수도 도 11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오목부의 내면이 각져 있어도 좋다. 오목부가 사이즈가 큰 단일한 것이어도 좋다. 오목부 대신에, 돌기가 상기와 같이 감긴 코드를 유지하도록 하는 음향변환장치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이, 실질적으로 상기 외이와 같은 사이즈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음향변환장치에서는 하우징과 지지부가 함께 동작하여 외이를 사이에 끼움으로써 고정된다. 이 때문에, 종래의 헤드폰과 같은 헤드밴드없이 하우징의 사이즈를 종래의 인너폰보다 크게 할 수 있다. 하우징이 이렇게 큰 사이즈를 가지면, 하우징 속에 있는 스피커 유니트의 사이즈를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재생되는 저음의 음질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전기음향변환수단이 발생시키는 음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중앙부가 볼록형으로 부풀어오른 전면을 가진다. 상기하우징을, 그 전면이 귓구멍에 면하도록 장착하면, 그 중앙부가 볼록형으로 부풀어올라 있기 때문에, 하우징의 전면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그것을 덮는 이어 패드와, 외이 표면이 실질적으로 빈틈없이 접촉한다. 이 때문에, 스피커 유니트로부터 재생되는 음이 외부로 새나오는 것도, 외부에서 귓구멍내로 잡음이 들어가는 것도 방지된다. 고로, 재생음의, 특히 고음의 음질이 향상될 수 있다. 하우징의 전면의 중앙부가 외이 표면에 접촉함으로써, 하우징이 귓구멍을 덮는 위치로부터 어긋나는 일이 없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음향변환장치는 보다 안정적으로 외이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그 장착감이 좋아질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어긋나는 것에 의해 하우징 전면과 외이와의 사이에 빈틈이 생기는 것에 의한 재생음의 열화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기음향변환수단을 외부의 음향재생수단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코드가 필요한 경우, 이하의 이유 때문에, 상기 지지부의 상기 하우징과는 반대쪽에 있는 부분(측두골에 가까운 부분)에, 또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지지부와는 반대쪽에 있는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부 또는 돌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음향변환장치를 수납하기 위해서, 또는, 운반하기 위해서, 상기 음향변환장치를 두 개 겹쳐서, 또는 하나의 음향변환장치를 상기 코드에 감을 (bind) 때, 상기 오목부 또는 돌기가 감긴 코드를 유지한다. 그렇게 하면, 감긴 코드가 풀리기 어려워진다. 그로 인해, 수납공간을 작게 할 수 있고,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향변환장치에서는, 상기 지지부의 상기 외이에 접하는 부분이,예를 들어 우레탄수지나 우레탄스폰지 등의 연질의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음향변환장치를 외이에 장착하였을 때의 장착감이 좋아진다.

Claims (15)

  1. 전기음향변환수단(9)을 포함하는 하우징(1);
    상기 하우징(1)을 외이(E)상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 or 22); 및,
    상기 하우징(1) 및 상기 지지부(2 or 22)가 함께 동작하여 상기 외이(E)를 사이에 끼우도록, 상기 하우징(1)과 상기 지지부(2 or 22)를 접속하는 하우징접속부(1d+3+2n or 21d+3+22ba)를 가지는 음향변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가,
    (a) 사람의 머리부(H)(의 측두골)과 상기 외이(E)를 연결하는 상기 외이(E)의 협착부(EB)를 사이에 끼우기 위한,
    (b) 실질적으로 C자형이고,
    (c) 그 C자형형상의 상부 및 하부의 간격을 소정 치수로 변화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후크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접속부(1d+3+2n or 21d+3+22ba)가, 상기 하우징(1)과 상기 지지부(2 or 22)와의 간격을 좁히도록 힘을 주기 위한 간격 협화력 발생수단(10a)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접속부(1d+3+2n or 21d+3+22ba)가,
    (a) 상기 하우징(1) 및 상기 지지부(2 or 22)가 회전이동가능 하도록, 상기하우징(1) 및 상기 지지부(2 or 22)를 축지지 접속하는 회전이동축(3)을 가지며,
    (b) 그 회전이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1)과 상기 지지부(2)의 간격을 소정 치수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접속부(1d+3+2n or 21d+3+22ba)가, 상기 하우징(1)과 상기 지지부(2 or 22)와의 간격을 좁히도록 토크를 미치게 하기 위한 토크발생수단(10a)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2b+2c or 22b+22c)가, 상기 C자형형상의 상부 및 하부의 간격을 좁히도록 힘을 주기 위한 제 2 간격 협화력 발생수단(10b or 4d or 22f+22e)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가,
    (a)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제 1 후크(2b) 및 제 2 후크(2c);
    (b) 상기 제 1 후크(2b) 또는 상기 제 2 후크(2c)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회전이동하여 상기 제 1 후크(2b) 및 상기 제 2 후크(2c)의 간격을 소정 치수만큼 변화시키도록, 상기 제 1 후크(2b) 및 상기 제 2 후크(2c)를 회전이동가능하게 축지지 접속하는 제 2 회전이동축(7); 및,
    (c) 상기 제 1 후크(2b) 및 제 2 후크(2c)의 간격을 좁히도록 토크를 미치게 하기 위한 제 2 토크발생수단(1Ob)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가,
    (a)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제 1 후크(2b) 및 제 2 후크(2c); 및,
    (b) 상기 제 1 후크(2b) 및 제 2 후크(2c)의 간격을 좁히도록 탄성력을 미치게 하기 위한, 상기 제 1 후크(2b) 및 제 2 후크(2c)를 접속하는 탄성부재(4d)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2)가,
    (a)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제 1 후크(22b) 및 제 2 후크(22c); 및,
    (b) 상기 제 1 후크(22b) 및 제 2 후크(22c)를 슬라이드가능하도록 접속하는 슬라이더(22f)를 가지며, .
    그 슬라이더(22)에 의해, 상기 제 1 후크(22b) 또는 제 2 후크(22c)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슬라이드하여, 상기 제 1 후크(22b) 및 제 2 후크(22c)의 간격을 소정 치수만큼 변화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a) 상기 하우징(1)이 제 1 손가락 걸개부(1c or 21c)를 가지고,
    (b) 상기 지지부(2 or 22)가 제 2 손가락 걸개부(2d or 22d)를 가지며,
    (c) 상기 하우징(1) 또는 상기 지지부(2 or 22)가 지레의 구조를 가지며,
    (d) 상기 제 1 손가락 걸개부(1c or 21c) 및 제 2 손가락 걸개부(2d or 22d)사이에 상대적인 힘을 가하면, 상기 하우징(1) 또는 상기 지지부(2 or 22)가 상기 회전이동축(3)의 주위로 회전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손가락 걸개부(21c)가 상기 회전이동축(3)에 관하여 상기 하우징(1)과 반대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손가락 걸개부(2d)가 상기 회전이동축(3)에 관하여 상기 후크(2a)와 반대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이 실질적으로 상기 외이(E)와 동일한 사이즈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이 상기 전기음향변환수단(9)이 내는 음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중앙부가 볼록형으로 부풀어오른 전면(1a)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14. 상기 전기음향변환수단(9)을 외부의 음향재생수단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코드(5)를 가진 제 1 항에 기재된 음향변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 or 22)의 상기 하우징(1)과는 반대쪽에 있는 부분에, 또는, 상기 하우징(1)의 상기 지지부(2 or 22)와는 반대쪽에 있는 상기 하우징(1)의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부(2h) 또는 돌기를 가지며,
    상기 음향변환장치를 2개 겹쳐서, 또는, 하나의 상기 음향변환장치를 상기 코드(5)로 감아 묶을 때에, 상기 오목부(2h) 또는 돌기가 감긴 코드(5)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의 상기 외이(E)에 접하는 부분 (4b,4c)이 연질의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KR1019990056180A 1998-12-10 1999-12-09 음향변환장치 KR1003245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106298A JP3500993B2 (ja) 1998-12-10 1998-12-10 音響変換装置
JP351062 1998-1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446A KR20000052446A (ko) 2000-08-25
KR100324503B1 true KR100324503B1 (ko) 2002-02-16

Family

ID=18414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180A KR100324503B1 (ko) 1998-12-10 1999-12-09 음향변환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80800B1 (ko)
JP (1) JP3500993B2 (ko)
KR (1) KR100324503B1 (ko)
CN (1) CN1169403C (ko)
TW (1) TW4487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0239905A1 (en) * 2000-02-28 2001-09-12 Gambro Lundia A.B. Method and device for pd cyclers
US6332223B1 (en) * 2000-04-05 2001-12-25 Gray Matter Holding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n ear warmer having interior seams
AT411512B (de) 2000-06-30 2004-01-26 Spirit Design Huber Christoffe Hörer
KR20030070069A (ko) 2000-12-29 2003-08-27 그레이 매터 홀딩스, 엘엘씨 귀 보호 장치
DE10139865C5 (de) * 2001-08-14 2011-01-13 Palm, Inc. (n.d.Ges. d. Staates Delaware), Sunnyvale Headset für ein elektronisches Endgerät
US6735784B2 (en) 2002-01-28 2004-05-18 180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n ear warmer and an ear warmer frame
US7123737B2 (en) 2002-02-13 2006-10-17 Plantronics, Inc. Ear clasp headset
US6819772B2 (en) * 2002-03-02 2004-11-16 Logitech Europe S.A. Personal audio-set with pivoting ear clip mount
US6625819B1 (en) * 2002-12-31 2003-09-30 Kai-Mou Tsai Headphone type earpiece assembly and earpieces for the headphone type earpiece assembly
US7962970B2 (en) 2003-08-12 2011-06-21 180S, Inc. Ear warmer having a curved ear portion
US7650649B2 (en) 2003-08-12 2010-01-26 180S, Inc. Ear warmer having an external frame
US7222373B2 (en) * 2003-08-12 2007-05-29 180S, Inc. Ear warmer having a membrane forming a receptacle
US7212645B2 (en) 2003-08-12 2007-05-01 180S, Inc. Ear warmer with a speaker system
US20070172089A1 (en) * 2006-01-20 2007-07-26 Li-Wen Kuo Headset assembly
WO2008030811A2 (en) * 2006-09-05 2008-03-13 Prime Entertainment Co., Ltd. Clip arrangement of a multi-media headset for use with right or left ear
WO2008091909A2 (en) 2007-01-22 2008-07-31 180S, Inc. Ear protection device
KR102229667B1 (ko) * 2014-09-05 2021-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US10063958B2 (en) * 2014-11-07 2018-08-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arpiece attachment devices
USD771599S1 (en) * 2015-01-13 2016-11-15 Lg Electronics Inc. Earphone
SE538538C2 (en) * 2015-05-15 2016-09-13 Zound Ind Int Ab A headset with a pair of listening devices and a behind the head resilient cord
SE538540C2 (sv) * 2015-05-15 2016-09-13 Zound Ind Int Ab An ear support audio listening arrangement
WO2016200744A1 (en) 2015-06-08 2016-12-15 Human, Incorporated Attachment apparatus for coupling to an ear
KR200484552Y1 (ko) 2016-04-01 2017-09-22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쇄석 선별장치
US9807493B1 (en) 2016-04-21 2017-10-31 Human, Incorporated Attachment apparatus
USD817302S1 (en) * 2016-12-01 2018-05-08 Zound Industries International Ab Headphone
USD884670S1 (en) * 2018-05-18 2020-05-19 Benjamin L. White Bone conduction headphones
US10687138B2 (en) * 2018-09-07 2020-06-16 Plantronics, Inc. Conformable headset earloop for stability and comfort
USD916291S1 (en) * 2019-06-17 2021-04-13 Oxiwear, Inc. Earpiece
AU2020296003A1 (en) 2019-06-17 2022-02-03 Oxiwear, Inc. Wearable earpiece oxygen monitor
USD1002582S1 (en) 2020-05-29 2023-10-24 Oxiwear, Inc. Earpiece and charger cas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2378A (en) * 1973-12-06 1975-01-21 J Ray Norris Ear set
US5790683A (en) * 1994-06-17 1998-08-04 Salzani; Augusto Headphone including split earphones and coupling means for coupling it to the ears
US5960094A (en) * 1996-01-24 1999-09-28 Gn Netcom, Inc. Communications headset
US6038329A (en) * 1996-07-08 2000-03-14 Lee; Youn M. Earphone device
FI103249B1 (fi) * 1996-08-16 1999-05-14 Kitek Oy Ab Insinoeoeritoimist Puhelaite kuulosuojainta varten
JP3051607U (ja) 1998-02-19 1998-09-02 久美 森下 イヤホーン
TW420458U (en) * 1999-02-23 2001-01-21 Cotron Corp Ear microphone having dual hoo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446A (ko) 2000-08-25
US6580800B1 (en) 2003-06-17
CN1169403C (zh) 2004-09-29
CN1256607A (zh) 2000-06-14
JP2000175282A (ja) 2000-06-23
TW448700B (en) 2001-08-01
JP3500993B2 (ja) 2004-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4503B1 (ko) 음향변환장치
US11272292B2 (en) Loudspeaker apparatus
JP4601839B2 (ja) ヘッドホン装置
JP5531605B2 (ja) 骨伝導スピーカ及び骨伝導ヘッドホン装置
US8180090B2 (en) Headset with exchangeable speaker
JP4123600B2 (ja) ヘッドホン装置
US4403120A (en) Earphone
JP3838072B2 (ja) ヘッドホン
JPH0746684A (ja) ヘッドホン装置
JP2007135175A (ja) イヤハンガー付きインイヤ型イヤホン
CN1980487B (zh) 骨传导头戴式耳机
US20060239447A1 (en) Earphone with selectable cable positioning
JP2001292489A (ja) 骨伝導マイク付きヘッドホン
JPH11225387A (ja) イヤホン
JP2022156617A (ja) 音響装置
DK201901236A1 (en) Out-ear audio device
CN220653511U (zh) 一种半入耳式骨传导耳机
JP3155362U (ja) ヘッドホン
KR100746888B1 (ko) 이어폰
JPS6342784Y2 (ko)
JPS6342785Y2 (ko)
KR200235778Y1 (ko) 고저음 선택용 덮개를 가진 헤드폰
KR960002402Y1 (ko) 귓볼 고정장치를 갖는 이어폰
KR200303650Y1 (ko) 듀얼스피커장치
CN112751236A (zh) 一种防水耳机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