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9667B1 - 전자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9667B1
KR102229667B1 KR1020140119184A KR20140119184A KR102229667B1 KR 102229667 B1 KR102229667 B1 KR 102229667B1 KR 1020140119184 A KR1020140119184 A KR 1020140119184A KR 20140119184 A KR20140119184 A KR 20140119184A KR 102229667 B1 KR102229667 B1 KR 102229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user
supports
ea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9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9524A (ko
Inventor
김성재
신성용
구본준
김동순
이승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9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667B1/ko
Priority to US14/820,772 priority patent/US10044845B2/en
Priority to EP15180169.3A priority patent/EP2993876B1/en
Priority to EP17198258.0A priority patent/EP3297262B1/en
Priority to CN201510547569.4A priority patent/CN105407423B/zh
Publication of KR20160029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6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on the he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10/00Microphones
    • H04R2410/05Noise reduction with a separate noise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9Applications of special connectors, e.g. USB, XLR, in loudspeakers, micro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1Hearing devices using active noise cancel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7Use of position data from wide-area or local-area positioning systems in hearing devices, e.g. program or information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전자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전자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바디; 일측이 상기 바디에 결합된 복수의 지지대; 및 상기 복수의 지지대의 타측을 연결하되, 사용자의 귀의 형상에 대응되어 상기 사용자 귀에 안착되는 곡선부를 갖는 안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바디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복수의 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에 의하여 반경이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디에 결합된 지지대가 회전하여 사용자의 귀에 안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ELECTRONIC DEVICE AND SYSTEM COMPRISING IT}
본 발명은, 바디에 결합된 지지대가 회전하여 사용자의 귀에 안착되는 전자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 디바이스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아울러, 최근에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형태의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바디에 결합된 지지대가 회전하여 사용자의 귀에 안착되도록 하는 전자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디; 일측이 상기 바디에 결합된 복수의 지지대; 및 상기 복수의 지지대의 타측을 연결하되, 사용자의 귀의 형상에 대응되어 상기 사용자 귀에 안착되는 곡선부를 갖는 안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바디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복수의 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에 의하여 반경이 변경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바디와, 일측이 상기 바디에 결합된 복수의 지지대와, 상기 복수의 지지대의 타측을 연결하되, 사용자의 귀의 형상에 대응되어 상기 사용자 귀에 안착되는 곡선부를 갖는 안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바디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복수의 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에 의하여 반경이 변경되는 전자 디바이스와,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상기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의 지지대의 현재 회전 각도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상태, 외부 서버와의 접속 여부를 포함하는 상기 단말기의 상태,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상기 단말기의 거리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에 따라,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상기 단말기 중 적어도 다른 하나에 서로 다른 정보를 전송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바디에 결합된 지지대가 회전하여 사용자의 귀에 안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 전자 디바이스의 착용 상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2 전자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 전자 디바이스 바디의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2 전자 디바이스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및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 디바이스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전자 디바이스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전자 디바이스(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전자 디바이스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전자 디바이스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전자 디바이스(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전자 디바이스(100)와 다른 전자 디바이스(100) 사이, 또는 전자 디바이스(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전자 디바이스 내 정보, 전자 디바이스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전자 디바이스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심박센서(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자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접촉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일 수 있다. 따라서 심박센서(144)는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접촉하여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심박을 측정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전자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전자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전자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전자 디바이스(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전자 디바이스(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전자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전자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전자 디바이스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전자 디바이스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2는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귀에 안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귀의 형상에 최적화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바디(10)와, 바디(10)에 결합된 복수의 지지대(20)와, 복수의 지지대(20) 타측을 연결하는 곡선 형태의 안착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중심을 이루는 부분일 수 있다. 바디(10)의 일측면은 사용자의 귀에 밀착될 수 있다. 바디(10)에는 스피커가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바디(10)가 사용자의 귀에 밀착되면, 스피커에서 생성된 소리가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바디(10)에는 회전버튼(12)이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회전버튼(12)을 돌리거나 눌러 전자 디바이스(100)를 조작할 수 있다.
지지대(20)는, 바디(10)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지지대(22, 24) 일측이 바디(10)에 결합되어 방사상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지지대(20)는, 상대적으로 강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외력에 의하여 변형되지 않는 플락스틱 재질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해당하는 부분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사용자가 지지대(20)에 힘을 가하는 경우에도 지지대(20) 자체가 변형되지 않고 힘을 안착부(30)로 전달할 수 있다.
제1,2 지지대(22, 24) 중 적어도 하나는 바디(1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대(24)가 바디(1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안착부(30)는, 제1,2 지지대(22, 24)의 외측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지지대(22, 24) 외측을 연결하는 호상(弧狀)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안착부(30)의 형상은, 귀의 구조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상의 안착부는, 귀바퀴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안착부(30)는, 지지대(20)의 회전에 대응하여 반경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대(20)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에 비하여 지지대(20)가 회전된 상태에 있을 때 반경이 줄어들 수 있음을 의미한다. 지지대(20)의 반경이 줄어들면, 전자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의 귀에 고정될 수 있다.
안착부(30)는, 상대적으로 플랙서블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대(20)의 재질보다 변형이 잘 발생하는 러버(rbueer)와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지대(20)에 가한 힘이 안착부(30)로 전달되면, 안착부(30)는 맞닿는 귀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도 3은 도 2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지지대(20)의 위치 변경을 통해 안착부(30)의 형상이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1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1 상태에서, 제1 지지대(22)와 제2 지지대(24)는, A1 각도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1 상태에서, 바디(10)의 중심에서 안착부(30)까지는 R1 거리에 있을 수 있다. R1 거리는, 통상적인 사용자 귀바퀴의 직경보다 큰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100)가 제1 상태에 있을 때, 사용자는 안착부(30) 등의 구조물에 의한 영향을 덜 받으면서도 전자 디바이스(100)를 착용할 수 있다.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2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2 상태는, 제2 지지대(24)가 R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일 수 있다. 제2 상태에서, 제1 지지대(22)와 제2 지지대(24)는, A2 각도 상태에 있을 수 있다. A2 각도는 A1 각도 보다 큰 각도일 수 있다. 달리 말해, 제2 상태에 있을 때 제1,2 지지대(22, 24)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 졌다고 할 수 있다.
제2 상태에서, 바디(10)의 중심부에서 안착부(30)까지는 R2 거리에 있을 수 있다. R2 거리는, 통상적인 사용자 귀바퀴 직경보다 작은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100)가 제2 상태에 있을 때,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귀에 안착될 수 있다.
도 4는 도 2 전자 디바이스의 착용 상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귀(EA)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1,2 지지대(22, 24) 사이의 거리가 먼 제1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1 상태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귀(EA)에 걸쳐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즉, 제1 상태에 있을 때는 전자 디바이스(100)가 귀(EA)에 밀착된 상태가 아닐 수 있다.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1,2 지지대(22, 24)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 진 제2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2 상태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귀(EA)에 고정된 상태일 수 잇다. 즉, 제1,2 지지대(22, 24) 사이의 거리가 변화하며 안착부(30)가 조여져, 전자 디바이스(100)가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귀(EA)에 밀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자 디바이스(100)가 제2 상태에서 사용자의 귀(EA)에 결합되면,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파지하는 등의 추가적인 동작이 필요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100)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2 전자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커버어셈블리(40)와, 어셈블리안착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어셈블리(40)는, 이어캡(41, ear cap)과, 스피커(34)와, 전면커버(45)와, 베터리(47)와, 프레임(49)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캡(41)은, 사용자 귀바퀴 내측에 접촉될 수 있다. 이어캡(41)의 중앙부(39)는, 사용자 귀의 외이도(ear canal)에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어캡(41) 내측의 스피커(34)에서 생성된 음향이, 중앙부(39)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배터리(47)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47)는 전면커버(45)를 통해 이어캡(41)과 공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프레임(49)은, 이어캡(41)과 함께 커버어셈블리(40)의 외관을 형성한다. 프레임(49)의 내측에는, PCB(38)가 결합될 수 있다.
PCB(38)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위한 각종 전자부품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PCB(38)에는 가속도 센서 등이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PCB(38)에는, 충전 및/또는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커버어셈블리(40)는, 어셈블리안착부(50)에 결합될 수 있다.
어셈블리안착부(50)에는, 지지대(20)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지지대(20) 중 하나만 회전 가능하다면, 어셈블리안착부(50)에는 회전 가능한 지지대(20)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6은, 프레임(49)을 전후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49)에는 안테나(61)와 캡(63)이 결합될 수 있다.
안테나(61)는, 무선 통신부(도 1의 110)을 위한 안테나일 수 있다. 안테나(61)는, FPCB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대(24)의 형상과 그에 대응된 프레임(49)의 연장부(6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플랙서블한 형태의 안테나(61)가 위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프레임(49) 내측의 PCB(도 5의 38)를 벗어나 연장부(62)를 따라 안태나(61)가 위치됨으로 인하여, 안테나(61)의 송수신 능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캡(63)은, 프레임(49)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63)은, PCB(도 5의 38)에 마련된 USB 포트 및/또는 충전 포트 등의 인터페이스를 차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캡(63)은, 러버(rubber) 등 플랙서블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안테나(61)와 PCB(38) 간의 연결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안테나(6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대(20)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대(20)는, 프레임(49)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프레임(49)을 중심으로 지지대(20)가 회전하면, PCB(38)와 안테나(61) 사이의 거리가 변경될 수 있다. 즉, 프레임(49)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PCB(38)와 회전하는 지지대(20) 내부의 안테나(61) 사이의 거리가 변경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점은, 안테나(61) 뿐 아니라 회전하는 지지대(20) 내에 있는 전자부품과 PCB(38) 사이에 해당될 수 있다.
케이블(CA)은, 안테나(61)와 PCB(38)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케이블(CA)은, 버퍼구간(BP)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은, 안테나(61)과 PCB(38) 사이의 거리 변경을 완충할 수 있는 구간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7의 (a)는, 제2 지지대(24)가 제 1상태(S1)에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1,2 지지대(22, 24) 사이의 거리가 벌어져 있는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일 때, 버퍼구간(BP)에는 케이블(CA)이 여유있게 존재할 수 있다. 즉, 버퍼구간(BP)에 버퍼구간(BP)의 길이보다 긴 케이블(CA)이 수용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7의 (b)는, 제2 지지대(24)가 제3 상태(S3)에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1,2 지지대(22, 24) 사이의 거리가 인접해 있는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일 때, 버퍼구간9BP)에는 케이블(CA)이 제1 상태(S1)인 경우 보다 적게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버퍼구간(BP)에 버퍼구간(BP)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의 케이블(CA)이 수용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버퍼구간(BP)에 수용되는 케이블(CA)의 길이가 달라짐으로 인하여, 지지대(20)의 회전에 불구하고 안테나(61)와 PCB(38)가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도 2 전자 디바이스 바디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프레임(49)과 어셈블리안착부(50)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프레임(49)과 어셈블리안착부(50)는, 회전 중 이탈되지 않도록 상호 형합된 구조를 이루고 있을 수 있다.
어셈블리안착부(5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한 지지대(20)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대(24)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어셈블리안착부(50)의 내주(內周)에는, 제1 그루브(58, groove)와 제1 보스(57, boss)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그루브(58)와 제1 보스(57)는, 어셈블리안착부(50) 내주를 따라 연속되어 있을 수 있다.
프레임(49)의 외주(外周)에는, 제2 보스(48)와 제2 그루브(47)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보스(48)와 제2 그르부(47)는, 프레임(49)의 외주를 따라 연속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그루브(58)와 제2 보스(48)는 상호 대응된 위치 및 형상일 수 있다. 제2 그루브(47)와 제1 보스(57)는 상호 대응된 위치 및 형상일 수 있다. 제1그루브(58)와 제2 보스(48)의 대응된 형상 및/또는 제2 그루브(47)와 제1 보스(57)의 대응된 형상으로 인하여, 지지대(20)가 R 방향으로 회전하는 중에 어셈블리안착부(50)가 프레임(49)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도 2 전자 디바이스의 부분 분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회전된 지지대(20)가 특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스토퍼(stopper)를 포함 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셈블리안착부(50)에는, 복수의 패턴(54)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어셈블리안착부(50) 내측을 따라 제2 지지대(44)의 이동거리(ML)에 대응된 영역에 물결 형상의 패턴(54)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패턴(54)은, 물결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마루와 골이 반복되는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패턴(54)은, 어셈블리안착부(50)의 다른 영역과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턴(54)은, 내피로도가 좋고 마모/마찰계수가 작은 폴리아세탈(polyacetal)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49)에는, 수용부(42)에 탄성스프링(44)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탄성스프링(44)은 판형이며, 패턴(54)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탄성스프링(44)과 패턴(54)은, 상호 접촉되며 스토퍼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회전된 지지대(20)가 그 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지지대(22, 24)는 A1 각도 상태에 있을 수 있다. 탄성스프링(44)은, 복수의 패턴(54) 중 첫 번째 골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지지대(24)에 R1 방향의 힘을 가할 수 있다. R1 방향의 힘이, 탄성스프링(44)의 탄성력을 넘어서면, 탄성스프링(44)이 변형되며 패턴(54) 중 다음 골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가한 힘에 의하여 탄성스프링(44)은, 복수의 패턴(54) 중 마지막 번째 골까지 이동될 수 있다. 탄성스프링(44)의 이동에 따라 제2 지지대(24)도 회전하여 제1,2 지지대(22, 24)는 A2 각도 상태에 있게 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의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스프링(44)은 정지된 골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지지대(24)도 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1,2 지지대(22, 24)가 모두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2 지지대(22, 24) 간의 각도 변화가 더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지지대(22)는 R1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지지대(24)는 R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2 지지대(22, 24) 모두가 이동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제1,2 지지대(22, 24) 사이의 각도 A 의 변화량이 커질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지지대(22, 24)에 대응된 패턴(54) 및 탄성스프링(44)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패턴(54a, 54b) 및 제1,2 탄성스프링(44a, 44b)가 마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2 패턴(54a, 54b)의 사이에는 버퍼영역(BA)이 존재할 수 있다. 즉, 제1,2 패턴(54a, 54b) 사이에, 패턴(54)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버퍼영역(BA)이 존재함으로 인하여, 회전하던 제1,2 지지대(22, 24)가 서로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버퍼영역(BA)의 폭은, 지지대(20)의 두께와 같거나 클 수 있다.
도 13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지지대(20) 간의 거리변화에 대응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20)에는 마이크(M1, M2)가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대(22)에는 제1 마이크(M1)가 위치하고, 제2 지지대(24)에는 제2 마이크(M2)가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2 마이크(M1, M2)는, 각각 제1,2 지지대(22, 24)의 끝단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2 지지대(22, 24)의 끝단에 제1,2 마이크(M1, M2)가 위치함으로 인하여, 전자 디바이스(100)를 우측 귀에 착용한 경우는 물론, 좌측 귀에 ?d용한 경우에도 사용자의 음성을 효과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즉, 전자 디바이스(100)를 착용하였을 때 제1,2 마이크(M1, M2) 중 어느 하나는 사용자의 입에 근접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2 마이크(M1, M2)는, 노이즈 제거(noise cancelling)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마이크(M2)가 사용자의 입에 가까울 경우에, 제2 마이크(M2)로 감지된 음은 정상적인 사운드이고 제1 마이크(M1)로 감지된 음은 노이즈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제1,2 마이크(M1, M2) 각각으로 감지한 사운드에 일정한 게인(gain)값을 인가하여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인가되는 게인값은, 사전에 설정된 값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2 지지대(24)가 R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음으로 인하여, L1 내지 L3 로 제1,2 마이크(M1, M2) 간의 거리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제2 지지대(24)가 제1 내지 3상태(S1 내지 S3)로 변경됨에 따라 거리가 L1 내지 L3로 변경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2 마이크(M1, M2)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면, 게인값도 변경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즉, 노이즈 제거를 최적화 하기 위하여, 거리에 따라 제이신호인 게인값이 변경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지지대(24)의 상태는, 위치센서(SE)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 위치센서(SE)는, 패턴(54)의 각 골에 위치된 제1 내지 3 센서(SE1 내지 SE3)일 수 있다.
제2 지지대(24)가 이동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스프링(44)이 패턴(54)의 각 골로 순차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패턴(54)의 각 골에 위치된 탄성스프링(44)은, 그 위치에 대응된 위치센서(SE)를 터치할 수 있다. 제어부는, 터치된 위치센서(SE)에 대응된 위치에 탄성스프링(44)이 위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해당 위치에 제2 지지대(24)가 위치함을 감지할 수 있고, 따라서 제1,2 마이크(M1, M2) 사이의 거리를 알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M1, M2)를 통해 획득한 사운드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한 사용자의 입에 가까운 제2 마이크(M2)를 통해 획득한 제1 사운드(SO1), 제2 지지대(24)가 그 상태에 있을 때 제1 마이크(M1)와 제2 마이크(M2)를 통해 잡음이라고 판단된 제2 사운드(SO2)가 존재할 수 있다.
제2 마이크(M2)의 위치가 변경되면, 잡음이라고 판단되는 사운드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상태(도 13의 S1)에 있을 때의 잡음인 제2 사운드(S02)가 제3 상태(도 13의 S3)에서는 제3 사운드(S03)로 변경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점은, 잡음의 판단이 제1,2 마이크(M1, M2)를 통해 획득된 사운드의 차이에 기초하며, 제1,2 마이크(M1, M2)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면 감지되는 사운드가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할 때 명확히 이해될 수 있다.
제1,2 마이크(M1, M2) 간의 거리 변경으로 인하여 잡음으로 판단되는 사운드가 변경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그에 대응된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이즈 제거회로에 인가되는 게인(gain)값을 변경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이즈 제거회로에 인가되는 게인값은, 기준위치(SL)를 중심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마이크(M1, M2)가 기준위치(SL) 보다 가까운 경우에는 게인값을 감소시키고, 기준위치(SL) 보다 먼 경우에는 게인값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게인값은, 리니어(linear)하게 증감하는 제1 변화(G1) 또는 일정 구간별로 비연속적으로 증감하는 제2 변화(G2)의 형태 등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7및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복수 개가 함께 동작할 수 있다. 복수 개가 함께 동작하는 경우에는, 하나가 동작하는 경우와 다른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도 1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1,2 전자 디바이스(100a, 1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 전자 디바이스(100a, 100b)는 케이블(CB)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자 디바이스(100a)는 좌측 귀, 제2 전자 디바이스(100b)는 우측 귀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전자 디바이스(100a, 100b)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전자 디바이스(100a)로부터 제2 전자 디바이스(100b)로 및/또는 제2 전자 디바이스(100b)로부터 제1 전자 디바이스(100a)로 데이터가 무선으로 전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전자 디바이스(100)를 사용하는 2-mode와 1개의 전자 디바이스(100)를 사용하는 1-mode에서,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mode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스테레오 상태로 동작하는 반명 1-mode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모노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가 양쪽 귀에 전자 디바이스(100)를 착용하는 경우와 한쪽 귀에만 전자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경우에 서로 다른 형태로 사운드를 출력함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보다 자연스러운 사운드를 청취할 수 있다.
도 1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전자 디바이스(100)를 사용하는 경우에, 제1 전자 디바이스(100a)는 메인 디바이스 제2 전자 디바이스(100b)는 서브 디바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제1,2 전자 디바이스(100a, 100b)의 구성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안테나는 제1 전자 디바이스(100a)에만 존재하고, 제2 전자 디바이스(100b)에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2 전자 디바이스(100b)는 제1 전자 디바이스(100a)에 종속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회전버튼(12)의 동작 및/또는 회전버튼(12) 상의 버튼(B)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필요한 입력을 받을 수 있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버튼(12) 상에는 제1 내지 5 버튼(B)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내지 5버튼(B1 내지 B5)은, 사용자의 손가락 등에 의한 압력에 의하여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푸쉬 버튼일 수 있다.
회전버튼(12)은, 시계방향 및/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반시계방향의 회전은 제6 버튼(B6), 시계방향의 회전은 제7 버튼(B7)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푸쉬 버튼의 수를 줄이면서도 회전버튼(12) 자체의 형상을 이용한 직관적인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7 버튼(B1 내지 B7)에는, 각 기능이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착용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U)의 좌우측 귀(RE, LE) 중 일측에 착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우측귀(RE)에 전자 디바이스(100)가 착용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도 2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51)에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에는, 전자 디바이스(100)가 착용된 상태인지 여부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되어 활성화된 경우인지 여부가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귀와 접촉하는 경우에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시에 푸쉬되는 버튼 및/또는 체온감지 센서 등을 통해 사용자 귀와의 접촉을 감지한 전자 디바이스(100)과 관련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에는, 착용한 귀의 방향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귀(LE)와 우측귀(RE)의 접촉 위치가 달라짐으로 인하여 사용자 체온이 감지되는 위치가 달라진다는 점, 제1,2 마이크(M1, M2) 중 사용자의 음성이 크게 입력되는 마이크가 달라진다는 점 및/또는 착용된 전자 다비이스(100)의 상하 방향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 등을 통해 감지한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151)에는, 그 밖의 전자 디바이스(100)의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의 사운드 출력이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 등이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착용된 귀의 방향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2의 (a)에 도시한 바와 가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오른쪽 귀 또는 왼쪽 귀에 착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전자 디바이스(100)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 귀에 착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상황은, 전자 디바이스(100)가 좌우측 구분이 없이 대칭된 형태일 때 가능할 수 있다.
우측귀에 착용되는 경우에, 제2 마이크(M2)가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음성은 제2 마이크(M2)를 통해 주로 입력되고, 제1 마이크(M1)는 노이즈 제거를 위한 서브 마이크 역할을 할 수 있다.
좌측귀에 착용되는 경우에, 제1 마이크(M1)가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음성은 제1 마이크(M1)를 통해 주로 입력되고, 제2 마이크(M2)가 노이즈 제거를 위한 서브 마이크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는 전자 디바이스(100)가 우측귀에 착용된 상태이고, 제2 모드는 전자 디바이스(100)가 좌측귀에 착용된 상태일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제2 마이크가 메인 마이크의 역할을 하고 제1 마이크가 서브 마이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제2 마이크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획득하고 제1 마이크는 노이즈 제거를 위한 소스로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모드에서는, 반대로, 제1 마이크가 메인 마이크의 역할을 하고 제2 마이크가 서브 마이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은, 전술한 바와 같이, 착용 위치에 따라 사용자 입과의 거리가 변경됨으로 인함이다.
제1 내지 7 버튼(B1, B7)에 할당된 기능은, 제1 모드와 제2 모드에서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은, 좌측귀에 착용된 경우와 우측귀에 착용된 경우에 버튼의 상하 및 좌우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변화이다. 예를 들어, 우측에 착용된 경우에 제1 버튼(B1)은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좌측에 착용된 경우에 제1 버튼(B1)은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좌측 착용 및 우측 착용 여부에 관계없이, 동일한 위치의 버튼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기 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우측에 착용된 경우 가장 위에 있는 제1 버튼(B1)의 기능이 좌측에 착영된 경우 가장 위에 있는 제5 버튼(B5)과 동일한 기능이 되도록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버튼의 기능 변화는, 다른 버튼(B)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진행될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의 버튼 등에 직접적인 조작을 가하지 않는 경우에도 일정한 동작을 수행하여,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지지대(2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이 일정시간 이상 없는 경우에 자동으로 OFF될 수 있다. OFF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원이 완전이 꺼지는 경우이거나 전자 디바이스(100)가 다시 활성화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기능만이 동작하는 슬립(sleep)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귀에 착용하는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귀에 착용하기 위해서는 지지대(20)를 조작해야 할 수 있다. 따라서 귀에 착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지지대(20)를 조작하지 않음은,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사용할 의사가 없다고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OFF 하여 전원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지지대(2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이 발생하면 자동으로 ON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기 위하여 지지대(20)를 회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면 전자 디바이스(100)가 ON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자 디바이스(100)를 ON 하기 위한 사용자의 추가 동작이 필요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사용 편의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2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움직임 없이 일정 시간 이상 특정 지점에 놓여 있는 경우에 자동으로 OFF 될 수 있다. 사용자의 귀 등에 착용하여 사용하는 웨어러블 형태의 전자 디바이스(100)의 특성 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 중이라면 가속도 센서 등을 통해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속도 센서 등을 통해 일정 시간 이상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감지하면,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어부는 전원을 OFF 할 수 있다.
도 2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가속도 센서 등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ON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책상 등에 올려져 있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파지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움직임을 감지하여 ON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자 디바이스(100)의 외부에 디스플레이가 존재하는 경우라면, 전자 디바이스(100)가 ON 및/또는 OFF 시점에 특정 색상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전환되는 또는 현재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알릴 수 있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동 단말기(200)와 일정한 관계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와 이동 단말기(200)가 페어링(paring)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3거리(R1 내지 R3)에 있을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동 단말기(200)와의 거리에 따라서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거리(R1)에 있을 때, 전자 디바이스(100)는 OFF될 수 있다.
제2 거리(R2)에 있을 때, 전자 디바이스(100)는 ON될 수 있다.
제3 거리(R3)에 있을 때, 전자 디바이스(100)는 정확한 위치를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간격의 진동, 일정 간격의 사운드 및/또는 일정 간격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100)의 정확한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26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200)와 일정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와 이동 단말기(200)가 하나의 시스템을 이루어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동 단말기(200)를 통해 외부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AP)과는 이동 단말기(200)와 통신하고, 전자 디바이스(100)를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그 데이터를 블부투스 통신 등을 통해 전달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기지국(AP)과 같은 외부 기기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가공하여 전자 디바이스(1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도 2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직접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AP)으로부터 전자 디바이스(100)가 직접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기지국(AP)으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한 전자 디바이스(100)는, 페어링 되어 있는 이동 단말기(200)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200)와 연동되어 있을 수 있다. 연동은, 전자 디바이스(100)와 이동 단말기(200)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동 단말기(200)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사용하여 녹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에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에 필요한 최소한의 메모리만이 존재하거나 메모리의 잔여 용량이 적을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동 단말기(200)로 녹음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전자 디바이스(100)로부터 전달받은 녹음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전자 디바이스(100)로부터 전달받은 녹음 데이터의 저장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는 심박센서 등을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생체신호 데이터, 가속도 센서 등을 통해 획득한 움직임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동 단말기(200)에 비해 상대적으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이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기초 데이터(raw data)를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하고, 이동 단말기(200)는 수신한 기초 데이터를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00)는 전자 디바이스(1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출력할 수 있는 사운드 데이터를 연결된 블루투스 통신채널을 사용해 전송할 수 있다. 즉, 전자 디바이스(100) 자체가 다량의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이동 단말기(200)와 같은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재생에 필요한 콘텐츠를 획득하여 출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전자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200)를 사용하여 전자 디바이스(100)의 스피커를 튜닝(tunning)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가 없거나 상대적으로 작아 충분한 정보를 표시할 수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큰 디스플레이를 보유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200)를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전자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전자 디바이스110: 무선통신부
120: 입력부
140: 센싱부150: 출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190: 전원공급부

Claims (10)

  1. 바디;
    일측이 상기 바디에 결합된 복수의 지지대; 및
    상기 복수의 지지대의 타측을 연결하되, 사용자의 귀의 형상에 대응되어 상기 사용자의 귀에 안착되는 곡선부를 갖는 안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바디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복수의 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에 의하여 반경이 변경되는 전자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대에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획득하는 마이크가 각각 마련된 전자 디바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대에 마련된 마이크를 통해 획득한 사운드에 기초하여, 노이즈 제거(noise cancelling)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노이즈 제거 동작의 제어신호를 상기 복수의 지지대의 회전에 따른 상기 마이크 사이의 거리에 다르게 인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의 일측 영역과 상기 바디 중 상기 일측 영역에 대응된 타측 영역에는, 상기 회전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가 회전 위치에 고정되도록 상호 대응된 형태로 마련된 스토퍼(stopper)가 마련된 전자 디바이스.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일측 영역에 형성된 패턴과,
    상기 패턴의 형상에 대응된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복수 개이며,
    상기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의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전자 디바이스.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가 연동하여 동작 할 때,
    상기 어느 하나로 출력하는 제1 사운드와 상기 다른 하나로 출력하는 제2 사운드를 다르게 제어하는 전자 디바이스.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과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면, 상기 전자 디바이스를 활성화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와의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0. 바디와, 일측이 상기 바디에 결합된 복수의 지지대와, 상기 복수의 지지대의 타측을 연결하되, 사용자의 귀의 형상에 대응되어 상기 사용자의 귀에 안착되는 곡선부를 갖는 안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바디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복수의 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에 의하여 반경이 변경되는 전자 디바이스와,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상기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의 지지대의 현재 회전 각도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상태, 외부 서버와의 접속 여부를 포함하는 상기 단말기의 상태,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상기 단말기의 거리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에 따라,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상기 단말기 중 적어도 다른 하나에 서로 다른 정보를 전송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140119184A 2014-09-05 2014-09-05 전자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229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184A KR102229667B1 (ko) 2014-09-05 2014-09-05 전자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US14/820,772 US10044845B2 (en) 2014-09-05 2015-08-07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EP15180169.3A EP2993876B1 (en) 2014-09-05 2015-08-07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EP17198258.0A EP3297262B1 (en) 2014-09-05 2015-08-07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CN201510547569.4A CN105407423B (zh) 2014-09-05 2015-08-31 电子设备和包括电子设备的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184A KR102229667B1 (ko) 2014-09-05 2014-09-05 전자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524A KR20160029524A (ko) 2016-03-15
KR102229667B1 true KR102229667B1 (ko) 2021-03-18

Family

ID=53835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9184A KR102229667B1 (ko) 2014-09-05 2014-09-05 전자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44845B2 (ko)
EP (2) EP3297262B1 (ko)
KR (1) KR102229667B1 (ko)
CN (1) CN1054074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21992B2 (en) * 2016-07-22 2020-04-14 Lenovo (Singapore) Pte. Ltd. Activating voice assistant based on at least one of user proximity and context
KR20180022461A (ko) 2016-08-24 2018-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
US10664533B2 (en) 2017-05-24 2020-05-26 Lenovo (Singapore) Pte. Ltd. Systems and methods to determine response cue for digital assistant based on context
CN108933978A (zh) * 2017-05-26 2018-12-04 西安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降低噪声的方法、装置、终端和计算机存储介质
US11172298B2 (en) 2019-07-08 2021-11-09 Apple Inc. Systems,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headphone fit adjustment and audio output control
US11722178B2 (en) 2020-06-01 2023-08-08 Apple Inc. System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utomatic audio routing
US11375314B2 (en) 2020-07-20 2022-06-28 Apple Inc. System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selecting audio output modes of wearable audio output devices
US11941319B2 (en) 2020-07-20 2024-03-26 Apple Inc. System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selecting audio output modes of wearable audio output devices
US11523243B2 (en) 2020-09-25 2022-12-06 Apple Inc. System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using spatialized audio during communication sessions
EP4206858A4 (en) * 2020-12-02 2024-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MICROPHONE AND ASSOCIATED CONTROL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41929A1 (en) 2002-09-03 2004-03-04 Marie Lapalme Headset for camera
US20070286409A1 (en) 2006-06-09 2007-12-13 Lite-On Technology Corporation Personal audio listening device
US20140341389A1 (en) 2013-05-15 2014-11-20 Motorola Mobility Llc Headset microphone boom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0297A (en) * 1976-01-15 1977-04-26 Brodie S Dan Adjustable headset
US5790683A (en) * 1994-06-17 1998-08-04 Salzani; Augusto Headphone including split earphones and coupling means for coupling it to the ears
US5677964A (en) * 1996-09-16 1997-10-14 Sun; Ming-Han Earphone
JP3500993B2 (ja) 1998-12-10 2004-02-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音響変換装置
WO2003075607A1 (en) * 2002-03-02 2003-09-12 Logitech Europe S.A. Personal audio-set with pivoting ear clip mount
US7110799B1 (en) * 2002-06-14 2006-09-19 Symbol Technologies, Inc. Mobile terminal for interoperating with a standard or push-button enabled headset
CN201171201Y (zh) * 2007-08-10 2008-12-24 许荻萱 一种新型蓝牙耳机
CN102413398B (zh) * 2008-03-25 2014-02-19 杭州赛利科技有限公司 声音方向或立体声效果可调耳机
US8160287B2 (en) * 2009-05-22 2012-04-17 Vocollect, Inc. Headset with adjustable headband
CN202328064U (zh) * 2011-11-12 2012-07-11 中山火炬职业技术学院 一种新型台灯关节机构
JP5910119B2 (ja) * 2012-01-31 2016-04-27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ホ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41929A1 (en) 2002-09-03 2004-03-04 Marie Lapalme Headset for camera
US20070286409A1 (en) 2006-06-09 2007-12-13 Lite-On Technology Corporation Personal audio listening device
US20140341389A1 (en) 2013-05-15 2014-11-20 Motorola Mobility Llc Headset microphone boom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97262B1 (en) 2019-01-02
EP3297262A1 (en) 2018-03-21
KR20160029524A (ko) 2016-03-15
EP2993876B1 (en) 2017-12-20
US20160072936A1 (en) 2016-03-10
CN105407423B (zh) 2019-05-03
EP2993876A1 (en) 2016-03-09
CN105407423A (zh) 2016-03-16
US10044845B2 (en) 2018-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9667B1 (ko) 전자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US979468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7037876B (zh) 系统及控制其的方法
US9853672B2 (en) Mobile terminal
US9612623B2 (en) Mobile terminal
US9733668B2 (en) Wearable smart device
JP7040458B2 (ja) 音響出力装置、音響出力装置の機能実行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8826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727182B2 (en) Wearable haptic and touch communication device
JP2017501469A (ja) 手首の動きを用いたリストバンドデバイスの入力
KR102127390B1 (ko) 무선 리시버 및 그 제어 방법
KR102206457B1 (ko) 이동 단말기
KR20210055094A (ko) 이동 단말기
KR101637368B1 (ko)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
US20180279086A1 (en) Device control
KR101731375B1 (ko) 이동 단말기
US20170319134A1 (en) Wearable device
KR102227290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00065A (ko) 전자 디바이스
KR102218039B1 (ko) 전자 디바이스
US11983337B1 (e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mouse with strain sensor for click and continuous analog input
US11709557B1 (en) Multipurpose controller device
KR102159593B1 (ko) 이동 단말기
WO2017217588A1 (ko) 휴대용 전자기기
KR20210029455A (ko) 워치 타입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