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9455A - 워치 타입 단말기 - Google Patents

워치 타입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9455A
KR20210029455A KR1020190110710A KR20190110710A KR20210029455A KR 20210029455 A KR20210029455 A KR 20210029455A KR 1020190110710 A KR1020190110710 A KR 1020190110710A KR 20190110710 A KR20190110710 A KR 20190110710A KR 20210029455 A KR20210029455 A KR 20210029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ezel
disposed
hole
typ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기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0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9455A/ko
Publication of KR20210029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94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바디 안착홈이 형성된 메인 바디, 회전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메인 바디를 대향하는 면에 베젤 안착홈이 형성된 베젤, 상기 메인 바디의 전면 중앙에 배치되는 윈도우. 상기 메인 바디의 후면에 배치되는 리어 커버, 상기 메인 바디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전자 부품, 상기 메인 바디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연통시키는 관통홀 및 상기 베젤의 회전에 따라 함께 이동하며, 상기 베젤의 회전에 따라 상기 관통홀을 개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하는 워치 타입 단말기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워치 타입 단말기{WATCH TYPE TERMINAL}
본 발명은 워치 타입 단말기의 방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더 나아가 이동 단말기는 그 형태도 다양화 되어 사용자가 파지하여 사용하는 일반적 형태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신체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단말기(wearable terminal) 형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고 있다. 웨어러블 형태의 단말기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주변환경의 변화에 보다 많이 노출되어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효과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웨어러블 단말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사용환경에 대응하여 워치 타입 단말기의 방수 성능을 가변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치 타입 단말기는 링 형태로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의 외곽부에 바디 안착홈이 형성된 메인 바디, 링 형태로서 상기 메인 바디의 전면 외곽부를 따라 회전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메인 바디를 대향하는 면에 베젤 안착홈이 형성된 베젤, 상기 메인 바디의 전면 중앙에 배치되는 윈도우, 상기 메인 바디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내부공간을 폐쇄하는 리어 커버, 상기 메인 바디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전자 부품, 상기 메인 바디에 전면을 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연통시키는 관통홀 및 상기 베젤의 회전에 따라 함께 이동하며, 상기 베젤의 회전에 따라 상기 관통홀을 개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 안착홈은 상기 메인 바디의 외곽부를 따라 형성되되, 미연결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은 상기 메인 바디의 미연결 구간에 형성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연통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부품은, 상기 관통홀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음성을 입출력하는 오디오 부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바디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관통홀을 가리도록 배치되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홀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와 상기 전자 부품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전자 부품에서 상기 관통홀까지 음성의 입출력 경로를 형성하는 내부 가스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 안착홈에 배치되고, 상기 베젤에 대향하는 부분에 연속적으로 요철이 형성된 하부 캠 및 상기 베젤 안착홈에 배치되어 상기 베젤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메인 바디에 대향하는 부분에 상기 하부 캠의 요철에 대응하여 연속적으로 요철이 형성된 상부 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바디와 상기 하부 캠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캠을 상기 상부 캠을 향하여 가압하는 와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젤과 상기 메인 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젤과 상기 메인 바디를 결합시키는 고정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젤에 배치되고 상기 베젤의 회전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워치 타입 단말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방수 성능을 변형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워치 타입 단말기를 사용하는 환경에 따라 방수 성능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워치 타입 단말기는 사용자의 사용환경에 대응하여 방수 성능을 조절함으로써, 워치 타입 단말기의 음향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와 관련된 워치 타입 단말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치 타입 단말기의 분해도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치 타입 단말기의 베젤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젤의 분해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치 타입 단말기의 메인 바디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바디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젤과 메인 바디의 결합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치 타입 단말기가 제1상태일 때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의 (b)는 도 6의 (a)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 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치 타입 단말기가 제2상태일 때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의 (b)는 도 8의 (a)의 B-B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는 디스플레이부(351)를 구비하는 본체(301) 및 본체(301)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밴드(302)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300)는 도1의 이동 단말기(100)의 특징 또는 그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30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는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마련하는 제1케이스(301a) 및 제2케이스(301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되어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3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본체(301)에는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안테나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그 성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 또는 방사 영역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3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3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351)에는 터치센서가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51)의 윈도우(351a)는 제1 케이스(301a)에 장착되어 제1 케이스(301a)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301)에는 음향 출력부(352), 카메라(321), 마이크로폰(322), 사용자 입력부(32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51)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323)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301)에 별도의 키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밴드(302)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밴드(302)는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302)는 본체(30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밴드(302)는 안테나의 성능을 확장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에는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을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밴드(302)에는 파스너(fastener; 302a)가 구비될 수 있다. 파스너(302a)는 버클(buckle),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상표명)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파스너(302a)가 버클 형태로 구현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치 타입 단말기(400)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치 타입 단말기(400)는 별도의 특별한 설명이 없는 이상 도 2에 도시된 워치 타입 단말기(300)의 특징을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치 타입 단말기(400)는 메인 바디(410), 베젤(420), 윈도우(430), 리어 커버(440) 및 방수부재(4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바디(410)는 링 형상으로서 워치 타입 단말기(4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워치 타입 단말기(400)는 사용자의 손목에 권취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서, 일반적인 시계와 유사한 형상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사각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메인 바디(410)는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내부공간에 디스플레이, 인쇄회로기판, 배터리를 비롯한 다양한 전자 부품(450)을 내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430)는 메인 바디(41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메인 바디(410)의 전면이란, 사용자가 워치 타입 단말기(400)를 착용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와 대면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가 노출되고 윈도우(430)가 배치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 커버(440)는 메인 바디(41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메인 바디(410)의 후면이란, 전면의 반대 방향의 면으로서, 사용자가 워치 타입 단말기(400)를 착용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노출되지 않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라 윈도우(430)가 배치되는 반대면을 의미할 수 있다. 리어 커버(440)는 전술한 윈도우(430)와 함께 메인 바디(410)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리어 커버(440)는 메인 바디(410)와 별도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메인 바디(4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베젤(420)은 링 형상으로써 메인 바디(410)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바디(410)가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원형의 링 형상으로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치 타입 단말기(400)의 메인 바디(41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바디(410)의 분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워치 타입 단말기(400)의 메인 바디(410)는 바디 안착홈(411), 관통홀(412), 전자 부품(450), 하부 캠(413) 및 와셔 스프링(415)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바디(4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링 형상으로서 워치 타입 단말기(4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 바디(410) 전면의 외곽부에는 외곽의 형상을 따라 바디 안착홈(411)이 형성될 수 있다. 바디 안착홈(411)은 메인 바디(410)의 전면에서 후면을 향에 만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디 안착홈(411)은 메인 바디(410) 외곽부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되, 서로 연결되지는 않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바디 안착홈(411)은 메인 바디(410)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일측이 개방된 링 형태일 수 있다. 바디 안착홈(411)의 미연결 구간에는 관통홀(412)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412)은 메인 바디(410)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연통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부품(450)은 음성을 출력하거나 음성을 입력받는 오디오 부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 또는 마이크와 같은 전자 부품(450)일 수 있다. 전자 부품(450)은 메인 바디(4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되 관통홀(412)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전자 부품(450)을 관통홀(412)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함으로써 전자 부품(450)에서 발생하는 음성을 외부공간으로 소리의 왜곡없이 효율적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소리의 왜곡없이 효율적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캠(413) 및 와셔 스프링(415)은 메인 바디(410)의 바디 안착홈(411)에 배치될 수 있다. 와셔 스프링(415) 및 하부 캠(413)은 바디 안착홈(411)의 형상에 대응하여 일측이 개방된 링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캠(413)은 바디 안착홈(411)에 배치되되 베젤(420, 도 5 참조)에 대항하는 면(예: 전면)에는 연속적이고 일정한 간격의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부 캠(413)의 전면에는 물결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와셔 스프링(415)은 바디 안착홈(411)의 저면과 하부 캠(4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바디 안착홈(411)을 지지함과 동시에 후술할 베젤(420)의 상부 캠(423)을 향하여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와셔 스프링(415)은 전후 방향에 대하여 물결 형태로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바디(410)는 필터(4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451)는 메인 바디(4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되 관통홀(412)을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필터(451)는 관통홀(412)을 통해 외부에서 수분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바디(410)는 내부 가스켓(453, 도 7 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가스켓(453)은 중앙에 홀이 형성되고 관통홀(412)과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내부 가스켓(453)을 필터(451)와 전자 부품(450) 사이에 배치되어 전자 부품(450)에서 관통홀(412) 사이의 음성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전자 부품(450)에서 발생한 음성이 전자 부품(450) 내부로 확산되지 않고 관통홀(412)을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외부에서 입력되는 음성이 전자 부품(450) 내부로 확산되지 않고 관통홀(412)을 통해 입력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바디(410)는 고정 스프링(4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스프링(417)은 메인 바디(410)와 베젤(420) 사이에서 서로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치 타입 단말기(400)의 베젤(42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젤(420)의 분해도이다.
도 5의 (a) 내지 도 5의 (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젤(420)은 베젤 안착홈(420), 상부 캠(423) 및 방수부재(4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베젤(4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링 형상으로서 메인 바디(410, 도 4 참조)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바디(410)가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대응하여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젤(420)은 메인 바디(410)의 전면 외곽부에 배치되어 바디 안착홈(411, 도 4 참조)을 가리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메인 바디(410)의 외곽부를 따라 회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베젤(420)은 메인 바디(410)의 중심점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메인 바디(410)의 외곽부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베젤(420)이 메인 바디(410)를 대향하는 면(예: 후면)에는 베젤 안착홈(420)이 형성될 수 있다. 베젤 안착홈(420)은 베젤(420)의 후면에서 전면을 향에 만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베젤 안착홈(420)은 베젤(420)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되, 서로 연결되지는 않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베젤 안착홈(420)은 베젤(420)을 후면에서 바라볼 때, 일측이 개방된 링 형태일 수 있다. 베젤 안착홈(420)의 미연결 구간에는 방수부재(46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부재(460)는 베젤(42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회전에 따라 관통홀(412, 도 4 참조)을 개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베젤(420)을 회전 조작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관통홀(412)을 개폐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베젤(420)을 회전시켜 관통홀(412)을 폐쇄하는 경우 관통홀(412)이 메인 바디(410)의 내부 및 외부에서 동시에 폐쇄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로부터 수분 및 이물질의 유입의 차단의 신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압력이 높은 환경(예: 깊은 수심의 장소)에서도 수분의 유입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캠(423)은 베젤 안착홈(420)에 배치되되 메인 바디(410)에 대항하는 면(예: 후면)에는 연속적이고 일정한 간격의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부 캠(423)의 후면에는 물결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캠(423)에 형성된 요철은 전술한 하부 캠(413)의 요철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베젤(420)과 메인 바디(410)가 결합하게 되면 서로 면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베젤(420)은 자성체(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470)는 베젤(42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할 수 있으며, 메인 바디(410)에 배치된 홀 센서와 같은 다른 부품을 통해 베젤(420)의 회전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젤(420)과 메인 바디(410)의 결합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인 바디(410)의 하부 캠(413)과 베젤(420)의 상부 캠(423)의 결합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앞서 도 4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 캠(413)과 상부 캠(423)에 형성된 요철은 서로 면접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베젤(420)의 회전과정에서 발생하는 하부 캠(413)의 후방 변위를 와셔 스프링(415)이 흡수함과 동시에, 상부 캠(423)과 하부 캠(413)의 면접상태를 회복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캠(423) 및 하부 캠(413)의 동작을 살펴보면, 상부 캠(423) 및 하부 캠(413)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은 베젤(420)의 회전 각도를 구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베젤(420)을 회전시키는 경우 상부 캠(423)이 함께 회전할 수 있으며, 상부 캠(423)의 철(凸)부(423a)가 하부 캠(413)의 철(凸)부(413a)를 지나 하부 캠(413)의 요(凹)부(413b)에 안착되기 까지를 한 구간으로 하여 회전 각도를 구분할 수 있다. 상부 캠(423)의 철(凸)부(423a)와 하부 캠(413)의 철(凸)부(413a)가 만날 때, 와셔 스프링(415)이 변형되어 하부 캠(413)의 후방 변위를 흡수하고, 다시 상부 캠(423)의 철(凸)부(423a)가 하부 캠(413)의 요(凹)부(413b)에 안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 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치 타입 단말기(400)가 제1상태일 때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의 (b)는 도 7의 (a)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 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치 타입 단말기(400)가 제2상태일 때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의 (b)는 도 8의 (a)의 B-B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상태란 도 7의 (a) 내지 도 7의 (b)의 상태와 같이 방수부재(460)가 관통홀(412)을 폐쇄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상태란 도 8의 (a) 내지 도 8의 (b)의 상태와 같이 베젤(420)이 회전하여 방수부재(460)가 관통홀(412)을 폐쇄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치 타입 단말기(400)는 전술한 바와같이 상부 캠(423)과 하부 캠(413)에 형성된 요철의 형상에 따라 회전 구간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베젤(420)의 회전에 따라 베젤(420)에 배치된 방수부재(460)는 함께 회전할 수 있으며, 관통홀(412)을 폐쇄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도 7의 (a) 내지 도 7의 (b)에 도시된 상태는 관통홀(412)이 개방된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부품(450)으로의 음성의 입력이나 전자 부품(450)으로부터의 음성의 출력이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메인 바디(410) 내부에 배치된 필터(451)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수분 및 이물질의 유입은 차단될 수 있으나, 압력이 높은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 후술할 도 8의 (a) 내지 도 8의 (b)의 상태에 비하여 방수 방진 성능이 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일상 생활에서 워치 타입 단말기(400)를 착용하고 사용함에 적절한 상태일 수 있다.
도 8의 (a) 내지 도 8의 (b)에 도시된 상태는 방수부재(460)가 관통홀(412)을 폐쇄한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관통홀(412)을 메인 바디(410) 내부의 필터(451)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방수부재(460)를 통해 밀폐 함으로서 방수 방진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관통홀(412)이 이중으로 폐쇄됨에 따라, 전자 부품(450)으로의 음성의 입력이나 전자 부품(450)으로부터의 음성의 출력 성능이 낮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수영장, 또는 바다에서 잠수를 하는 등의 환경에 적절한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워치 타입 단말기(400)는 제어부를 통해 위와 같이 도 7 및 도 8의 상태를 베젤(420)에 배치된 자성체(470)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는 각각의 동작 환경에 적절하도록 변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관련 어플리케에션을 실행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400 : 워치 타입 단말기 410 : 메인 바디
411 : 바디 안착홈 412 : 관통홀
413 : 하부 캠 415 : 와셔 스프링
417 : 고정 스프링 420 : 베젤
421 : 베젤 안착홈 423 : 상부 캠
430 : 윈도우 440 : 리어 커버
450 : 전자 부품 460 : 방수부재
470 : 자성체

Claims (10)

  1. 링 형태로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의 외곽부에 바디 안착홈이 형성된 메인 바디;
    링 형태로서 상기 메인 바디의 전면 외곽부를 따라 회전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메인 바디를 대향하는 면에 베젤 안착홈이 형성된 베젤;
    상기 메인 바디의 전면 중앙에 배치되는 윈도우;
    상기 메인 바디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내부공간을 폐쇄하는 리어 커버;
    상기 메인 바디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전자 부품;
    상기 메인 바디에 전면을 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연통시키는 관통홀; 및
    상기 베젤의 회전에 따라 함께 이동하며, 상기 베젤의 회전에 따라 상기 관통홀을 개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하는 워치 타입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안착홈은 상기 메인 바디의 외곽부를 따라 형성되되, 미연결 구간이 형성된 워치 타입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메인 바디의 미연결 구간에 형성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연통시키는 워치 타입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부품은, 상기 관통홀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음성을 입출력하는 오디오 부품인 워치 타입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관통홀을 가리도록 배치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워치 타입 단말기.
  6. 제 5항에 있어서,
    홀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와 상기 전자 부품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전자 부품에서 상기 관통홀까지 음성의 입출력 경로를 형성하는 내부 가스켓;을 더 포함하는 워치 타입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안착홈에 배치되고, 상기 베젤에 대향하는 부분에 연속적으로 요철이 형성된 하부 캠; 및
    상기 베젤 안착홈에 배치되어 상기 베젤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메인 바디에 대향하는 부분에 상기 하부 캠의 요철에 대응하여 연속적으로 요철이 형성된 상부 캠;을 더 포함하는 워치 타입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와 상기 하부 캠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캠을 상기 상부 캠을 향하여 가압하는 와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워치 타입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과 상기 메인 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젤과 상기 메인 바디를 결합시키는 고정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워치 타입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에 배치되고 상기 베젤의 회전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워치 타입 단말기.
KR1020190110710A 2019-09-06 2019-09-06 워치 타입 단말기 KR202100294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710A KR20210029455A (ko) 2019-09-06 2019-09-06 워치 타입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710A KR20210029455A (ko) 2019-09-06 2019-09-06 워치 타입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455A true KR20210029455A (ko) 2021-03-16

Family

ID=75224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710A KR20210029455A (ko) 2019-09-06 2019-09-06 워치 타입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94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1371B1 (ko)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 및 무선충전장치
US9979426B2 (en) Watch-type mobile terminal including antenna
US9559740B2 (en) Mobile terminal case and mobile terminal
KR102369614B1 (ko)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60669B1 (ko) 이동 단말기
US11188033B2 (en) Wearable device comprising microphone for obtaining sound by using plurality of openings
US11516329B2 (en) Mobile terminal and auxiliary device connected thereto
KR20210021657A (ko)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637368B1 (ko)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
KR102406843B1 (ko) 이동 단말기
KR20210003410A (ko) 도전성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894191B2 (en) Mobile terminal
KR102150630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055577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160116559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32563A (ko) 와치 타입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KR20210029455A (ko) 워치 타입 단말기
US20220232312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peaker assembly
KR20190127161A (ko) 이동 단말기
KR101616374B1 (ko) 와치형 단말기
KR20200019412A (ko) 이동 단말기
KR102192820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034484A (ko) 이동단말기 및 전자디바이스
KR20160150543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22143A (ko) 이동 단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