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2461A - 전자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전자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2461A
KR20180022461A KR1020160107917A KR20160107917A KR20180022461A KR 20180022461 A KR20180022461 A KR 20180022461A KR 1020160107917 A KR1020160107917 A KR 1020160107917A KR 20160107917 A KR20160107917 A KR 20160107917A KR 20180022461 A KR20180022461 A KR 20180022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support
housing
user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종
김유창
현동윤
유태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7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2461A/ko
Priority to EP17187117.1A priority patent/EP3288281B1/en
Priority to CN201710724014.1A priority patent/CN107786918A/zh
Priority to US15/685,847 priority patent/US10341776B2/en
Publication of KR20180022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4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Abstract

전자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전자 디바이스는 바디 및 바디의 일측에 제1 지지대가 체결되고, 바디의 타측에 제2 지지대가 체결되고,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에 연결되면서 사용자의 귓바퀴를 따라서 적어도 한번 이상 밴딩되는 이어루프를 구비하는 착용부를 포함하고, 착용부는 바디를 중심으로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 사이의 각도를 조정하여 이어루프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디바이스{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바디에 체결된 다수의 지지대의 회전각도에 따라서 전체형상이 변형되어 사용자의 귀에 밀착되는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전자 디바이스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눌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기능이 점차 다양화 되고 있다. 이동 단말기는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과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이동 단말기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아울러, 최근에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형태의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바디에 체결된 다수의 지지대의 회전각도에 따라서 전체형상이 변형됨으로써, 사용자의 귀에 밀착되도록 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디 및 바디의 일측에 제1 지지대가 체결되고, 바디의 타측에 제2 지지대가 체결되고,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에 연결되면서 사용자의 귓바퀴를 따라서 적어도 한번 이상 밴딩되는 이어루프를 구비하는 착용부를 포함하고, 착용부는 바디를 중심으로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 사이의 각도를 조정하여 이어루프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착용부는 사용자의 귓바퀴 내측에 밀착되도록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루프는 제1 지지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귓바퀴 상단 내측을 감싸도록 밴딩되는 이어안착부와 이어안착부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귓바퀴 하단 내측을 받치도록 밴딩되는 이어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안착부는 바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밴딩되고, 이어지지부는 바디를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밴딩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의 내측면에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될 수 있는 이어하우징이 체결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하우징은 바디의 내측면에 체결되되, 바디의 중심점에서 벗어나 체결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하우징은 제1 하우징, 상단이 제1 하우징의 하단에 체결되고, 하단이 바디의 내측면에 체결되는 제2 하우징, 제1 하우징의 상단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노즐, 체결된 제1,2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제2 하우징은 스피커와 바디의 내측면 사이 내부공간에 공명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는 바디의 둘레면 상단으로 삽입된 제1 지지대의 일단과 체결되는 틸팅부를 포함하고, 틸팅부는 제1 지지대가 회전 동작하는 영역에 대응되어 제1 바디의 내부를 따라서 마루와 골이 반복되는 댐퍼안착부, 댐퍼안착부에 상호접촉하되, 마루와 접촉되는 동안 형상이 변형되고, 골에 접촉되는 동안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댐퍼부재 및 일단이 제1 바디에 체결되고, 타단이 댐퍼부재에 체결되고, 제1 지지대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동작하는 댐퍼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는 바디의 둘레면 상단으로 삽입된 제1 지지대의 일단과 체결되는 틸팅부를 포함하고, 틸팅부는 제1 지지대가 회전 동작하는 영역에 대응되어 제1 바디의 내부를 따라서 마루와 골이 반복되는 댐퍼안착부와 댐퍼안착부에 상호접촉하되, 마루와 접촉되는 동안 길이가 수축되고, 골에 접촉되는 동안 원래의 길이로 복원되는 댐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대와 바디 사이에 방수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는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가 사이에 케이블을 인출하는 몰딩부재가 배치되고, 몰딩부재를 통해 인출되는 케이블의 인출 각도는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25도 이상 35도 이하로 인출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하우징은 이어하우징의 중앙영역을 둘러싸면서 배치되는 패터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바디에 체결된 다수의 지지대의 회전각도에 따라서 전체형상이 변형되어 사용자의 귀에 용이하게 밀착됨으로써,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바디와 이어하우징이 체결부재에 의해 용이하게 체결되거나 분리됨으로써, 내부에 배치되는 부품을 보다 쉽게 수리하거나 교환할 수 있다. 이에 A/S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동시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피부에 맞닿는 이어하우징의 부분에 패터닝함으로써, 피부에 맞닿는 면적을 줄일 수 있어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착용부가 적어도 한번 이상 밴딩됨으로써, 전자 디바이스를 착용할 경우 사용자의 귓바퀴의 상단을 감싸면서 귓바퀴의 하단 뒤를 받쳐줄 수 있어 피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귓바퀴의 상단을 감싸면서 귓바퀴의 하단 뒤를 받쳐줌으로써, 사용자의 귀에 착용된 전자 디바이스가 임의적으로 이탈되거나 흔들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바디와 착용부 사이에 방수부재가 배치됨으로써, 외부 환경으로부터 침투되는 수분 또는 이물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생활 방수의 기능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바디와 다수의 지지대 사이에 탄성을 이용한 댐퍼 구조를 배치함으로써, 바디에 체결되어 회전 동작하는 지지대의 틸트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어하우징에 배치되는 스피커의 뒷공간에 공명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1 바디 및 제2 바디 중 하나에 회로기판을 배치하고, 나머지 바디에 배터리를 배치함으로써, 보다 큰 용량의 배터리를 배치할 수 있어 전자 디바이스의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디 중 제1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디 중 제2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용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용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동작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를 착용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제1지지대의 일측이 제1 바디에 체결되어 틸팅되는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제1 바디에 배치되는 댐퍼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 지지대의 일측이 제1 바디에 체결되어 틸팅되는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방수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 착용부의 두께와 너비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 지지대, 제2 지지대 이어루프의 두께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 바디에 체결되는 제1 이어하우징의 위치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패터닝된 제1 이어하우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귀에 체결된 제1 이어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 이어하우징의 공명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 이어하우징이 실링되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2 이어하우징이 실링되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 이어하우징의 하부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 리모컨 버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 내지 도 3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 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되는 전자 디바이스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는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전자 디바이스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바디(110a, 110b), 착용부(130a, 130b) 및 이어하우징(150a, 150b)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110a, 110b)는 외측면(111a, 111b)과 내측면(112a, 112b)이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디(110a, 110b)는 외측면(111a, 111b)의 테두리와 내측면(112a, 112b)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둘레면(113a, 113b)이 배치될 수 있다. 바디(110a, 110b)는 외측면(111a, 111b)과 내측면(112a, 112b) 사이를 세로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이 다각형 또는 원형인 형상일 수 있다. 바디(110a, 110b)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中空)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110a, 110b)의 내부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회로단자 또는 배터리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바디(110a, 110b)는 외측면(111a, 111b), 내측면(112a, 112b), 둘레면(113a, 113b) 중 어느 하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 입출력 포트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버튼과 입출력 포트는 회로단자 또는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바디(110a, 110b)는 제1 바디(110a)와 제2 바디(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10a)는 사용자의 왼쪽 귀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바디(110b)는 사용자의 오른쪽 귀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바디(110a)와 제2 바디(110b)는 케이블(171)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171)은 일단이 제1 바디(110a)의 제1 몰딩부재(171a)에 삽입되어 연결되고, 타단이 제2 바디(110b)의 제2 몰딩부재(171b)에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171)은 제1 바디(110a)와 제2 바디(110b) 사이에 제1 바디(110a) 또는 제2 바디(110b)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컨 버튼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착용부(130a, 130b)는 제1 지지대(131a, 131b), 제2 지지대(132a, 132b) 및 이어루프(133a, 13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대(131a, 131b)는 바디(110a, 110b)의 일측에 체결될 수 있다. 제2 지지대(132a, 132b)는 제1 지지대(131a, 131b)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바디(110a, 110b)의 타측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지지대(131a, 131b)와 제2 지지대(132a, 132b)는 바디(110a, 110b)의 둘레면(113a, 113b)에 배치될 수 있다.
이어루프(133a, 133b)는 제1 지지대(131a, 131b)와 제2 지지대(132a, 132b) 사이에 배치되어, 일측이 제1 지지대(131a, 131b)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2 지지대(132a, 132b)에 연결될 수 있다. 이어루프(133a, 133b)는 적어도 한번 이상 밴딩될 수 있다.
착용부(130a, 130b)는 제1 지지대(131a, 131b)와 제2 지지대(132a, 132b)가 바디(110a, 110b)를 중심으로 회전 동작을 하면서 일정한 범위 내에서 제1 지지대(131a, 131b)와 제2 지지대(132a, 132b) 간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어하우징(150a, 150b)은 바디(110a, 110b)의 내측면(112a, 112b) 중 어느 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이어하우징(150a, 150b)은 바디(110a, 110b)의 내측면(112a, 112b)에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어 배치됨으로써, 사용자의 귀에 삽입될 수 있다.
도 2내지 도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바디(110a)는 무선 통신부(115a), 인터페이스부(116a), 메모리(117a) 및 제어부(118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내지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전자 디바이스(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전자 디바이스(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살펴보면, 제1 바디(110a)는 무선 통신부 (115a), 인터페이스부(116a), 메모리(117a), 제어부(118a) 및 틸팅부(119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10a)는 내측면에 제1 이어하우징(150a)과 체결되는 하우징홈(114a)이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홈(114a)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되어 배치되는 회전방지부재(114a1)가 배치될 수 있다. 회전방지부재(114a1)는 제1 이어하우징(150a)이 하우징홈(114a)에 체결되는 동안, 제1 이어하우징(150a)이 임의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회전방지부재(114a1)는 제1 이어하우징(150a)이 정확한 방향으로 하우징홈(114a)에 체결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제1 착용부(130a)의 제1 지지대(131a)이 일단면에는 제1 바디(110a)를 향해 연장되는 제11 착용홀(134a)이 배치될 수 있고, 제1 착용부(130a)의 제2 지지대(132a)이 일단면에는 제1 바디(110a)를 향해 연장되는 제12 착용홀(135a)이 배치될 수 있다. 제11 착용홀(134a)과 제12 착용홀(135a) 각각은 제1 바디(110a)에 삽입되어 체결부재(16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5a)는 전자 디바이스(100) 중 제1 바디(110a)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5a)는 전자 디바이스(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전자 디바이스(100)와 다른 전자 디바이스(100), 또는 전자 디바이스(100)와 외부서버 사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5a)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5a)는 방송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16a)는 제1 바디(110a)의 외측면(111a), 내측면(112a), 둘레면(113a)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16a)는 전자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16a)는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117a)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및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인터페이스부(116a)에 연결되는 외부 기기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충전기 포트(port)는 이동 단말기의 충전 단자 포트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외부 충전기 포트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100)를 충전시킬 수 있다.
메모리(117a)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17a)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 중 일부 프로그램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메모리(117a)에 저장시킬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17a)에 저장되고, 제어부(118a)의 제어 하에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은 전자 디바이스(100)의 기본 동작을 동작시킬 수 있는 기본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기본 프로그램은 출고 당시부터 전자 디바이스(100)상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18a)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8a)는 인터페이스부(116a)를 통해 입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17a)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다. 제어부(118a)는 전자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다.
제어부(118a)는 다양한 종류의 인쇄회로기판(PBC, printed circuit board) 및 연성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중 어느 하나로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18a)는 칩을 디바이스에 적용하기 위해 포장하는 기술인 반도체 패키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바디(110a)는 안테나(120a)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120a)는 무선 통신부(115a)를 위한 안테나(120a)일 수 있다. 안테나(120a)는 플랙서블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바디(110a)는 안테나(120a)를 포함함으로써, 무선 통신부(115a)의 송수신 능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틸팅부(119a)는 제1 착용부(130a)의 제1 지지대(131a)와 체결될 수 있다. 틸팅부(119a)는 바디(110a, 110b)의 둘레면(113a, 113b) 상단으로 삽입된 제1 지지대(131a)의 일단과 체결되어 제1 지지대(131a)를 소정의 틸팅각도로 제어할 수 있다. 틸팅부(119a)는 제1 지지대(131a)의 일단과 체결부재(160)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틸팅부(119a)는 제1 지지대(131a)와 제2 지지대(132a) 간의 틸팅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틸팅각도는 제1 틸팅각도 내지 제2 틸팅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살펴보면, 제2 바디(110b)는 전원공급부(121b)와 틸팅부(119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착용부(130b)는 제1 지지대(131b)의 일단면에 제2 바디(110b)를 향해 연장되는 제21 착용홀(134b)이 배치될 수 있고, 제2 착용부(130b)는 제2 지지대(132b)의 일단면에 제2 바디(110b)를 향해 연장되는 제22 착용홀(135b)이 배치될 수 있다. 제21 착용홀(134b)과 제22 착용홀(135b) 각각은 제2 바디(110b)에 삽입되어 체결부재(16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제2 바디(110b)는 내부에 전원공급부(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디(110b)는 케이블(171)을 통해 제1 바디(11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17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라인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라인은 신호라인, 전원라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110b)에 배치되는 전원공급부(121b)는 제1 바디(110a)에 배치되는 충전포트와 제1 바디(110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라인을 이용하여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21b)는 전원라인을 이용하여 제1 바디(110a)에 배치되는 제어부(118a), 무선 통신부(115a) 등에 저장된 외부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전원공급부(121b)는 제어부(118a)의 제어 하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전원을 전자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공급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21b)는 전원을 저장할 수 있는 배터리(Battery, 122b)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Battery, 122b)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21b)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외부 전원을 내부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변환부(123b)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변환부(123b)는 제1 바디(110b)에 배치되어 외부 전원을 각 구성요소들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내부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21b)는 전원변환부(123b)를 포함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과전압 또는 이상전압에 의해 구성요소들이 파손되거나 오동작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1 바디(110a)와 제2 바디(110b)에 부품들을 분리하여 배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바디(110b)는 전원공급부(121b) 및 전원공급부(121b)에 밀접하게 관련된 부품들을 배치할 수 있다. 제1 바디(110a)는 전원공급부(121b)를 제외한 나머지 부품들을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부품들과 전원공급부(121b)를 분리시켜 제1 바디(110a) 및 제2 바디(110b) 각각에 배치시킴으로써, 제2 바디(110b)의 내부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전원공급부(121b)는 확보된 내부 공간만큼 배터리(Battery, 122b)를 채울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바디(110b)는 확보된 내부 공간만큼 큰 용량의 배터리(Battery, 122b)를 장착함으로써, 보다 오랜 시간 동안 전자 디바이스(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더욱 더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다.
틸팅부(119b)는 제2 착용부(130b)의 제1 지지대(131b)와 체결될 수 있다. 틸팅부(119b)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설명한 틸팅부(119a)와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메모리(117a)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전자 디바이스(100)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착용부(130a, 130b)는 제1 착용부(130a)와 제2 착용부(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착용부(130a)는 제1 바디(110a)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착용부(130a)는 제1 바디(110a)에 체결되어 사용자의 왼쪽 귀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착용부(130b)는 제2 바디(110b)에 체결될 수 있다. 제2 착용부(130b)는 제2 바디(110b)에 체결되어 사용자의 오른쪽 귀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착용부(130a)와 제2 착용부(130b)는 좌우가 구별되어 제1 바디(110a)와 제2 바디(110b) 각각에 체결되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과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도 6 및 도 7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1 착용부(130a)와 제2 착용부(130b)를 구별하지 않고 제1 착용부(130a)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착용부(130a)는 제1 지지대(131a), 제2 지지대(132a) 및 이어루프(13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착용부(130a)는 테두리가 사용자의 귀 형상과 실질적으로 비슷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대(131a)는 일단이 제1 바디(110a)의 일측에 체결되고, 타단이 이어루프(133a)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지지대(131a)의 일단은 바디(110a, 110b)의 둘레면(113a)에 배치되면서, 제1 바디(110a)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대(131a)는 제1 바디(110a)의 일측에 체결되는 너비(D1)가 이어루프(133a)에 연결되는 너비(D2)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대(132a)는 일단이 제1 바디(110a)의 타측에 체결되고, 타단이 이어루프(133a)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지지대(132a)의 일단은 제1 바디(110a)의 둘레면(113a)에 배치되면서, 바디(110a, 110b)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대(132a)는 바디(110a, 110b)의 타측에 체결되는 너비(D3)가 이어루프(133a)에 연결되는 너비(D4)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제1,2 지지대(131a, 132a)의 일단의 너비(D1, D3)는 제1,2 지지대(131a, 132a)의 타단의 너비(D2, D4)보다 넓게 형성됨으로써, 제1 지지대(131a) 또는 제2 지지대(132a)가 동작하는 동안 형상이 거의 변하지 않아 제1 착용부(130a)의 전체적인 형상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어루프(133a)는 제1 지지대(131a)와 제2 지지대(132a)에 연결되어 적어도 한번 이상 밴딩될 수 있다. 이어루프(133a)는 일단이 제1 지지대(131a)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제2 지지대(132a)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어루프(133a)는 사용자의 귀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루프(133a)는 사용자의 귓바퀴를 감싸면서 안착되는 이어안착부(133a1)와 사용자의 귓바퀴 하단을 받쳐주는 이어지지부(133a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안착부(133a1)는 제1 지지대(131a)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귀 상단 내측을 감싸도록 밴딩될 수 있다. 이어안착부(133a1)는 사용자의 귀에서 핼릭스(Helix)와 귓바퀴(cartilage)의 내측을 감싸도록 제1 바디(110a)의 중심점(C)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부터 볼록하게 밴딩될 수 있다. 바디(110a, 110b)의 중심점(C)은 제1 바디(110a)의 중심이 되는 하나의 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어안착부(133a1)는 사용자의 귀의 상단 내측을 보다 용이하게 감싸기 위해 사용자의 귀 뒤쪽을 향해 기울어질 수 있다. 이어안착부(133a1)는 제1 바디(110a)의 기준라인(BL)을 중심으로 제1 바디(110a)의 내측면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제1 바디(110a)의 기준라인(BL)은 제1 바디(110a)의 상측면(111a)과 하측면(112a) 사이에 배치되는 둘레면(113a)에서 둘레면(113a)의 폭 가운데를 가로질러서 지나는 라인으로 정의될 수 있다. 기준라인(BL)은 제1 바디(110a)의 중심점(C)을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심라인(CL)과 교차할 수 있다.
이어안착부(133a1)는 사용자의 귀 중 핼릭스(Helix)의 앞을 지나 귀 상단의 내측을 감싸도록 걸쳐짐으로써, 사용자의 귀에 안정적으로 착용될 수 있다.
이어지지부(133a2)는 이어안착부(133a1)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귀 하단 내측을 받쳐줄 수 있도록 밴딩될 수 있다. 이어지지부(133a2)는 사용자의 귓볼(Lobe)과 귓바퀴(cartilage)가 만나는 영역의 내측을 지지하도록 제1 바디(110a)의 중심점(C)을 향해 오목하게 밴딩될 수 있다. 이어지지부(133a2)는 이어안착부(133a1)보다 더 많이 밴딩될 수 있다.
이어지지부(133a2)는 이어안착부(133a1)와 제2 지지대(132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어지지부(133a2)는 이어안착부(133a1)로부터 연장되어 제2 지지대(132a)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어지지부(133a2)는 사용자의 귀의 하단 내측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귀 뒤쪽을 향해 기울어질 수 있다. 이어지지부(133a2)는 제1 바디(110a)의 기준라인(BL)을 중심으로 제1 바디(110a)의 내측면을 향해 기울어질 수 있다. 이어지지부(133a2)는 사용자의 귀 하단인 귀의 귓볼 아래를 지나, 귀 하단의 내측을 받치도록 지지함으로써, 제1 착용부(130a)가 사용자의 귀에서 임의적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밀착시킬 수 있다. 게다가, 제1 착용부(130a)는 이어착용부(130a, 130b)와 이어지지부(133a2)를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귀에서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착용부(130a, 130b)는 걷기, 산책, 자전거, 달리기 등의 운동 또는 익스트림 스포츠와 같은 격한 운동을 하더라도 사용자의 귀에 안정적으로 착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110a)는 전원버튼(116a1)과 LED 인디케이터(116a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10a)는 둘레면에 배치되는 인터페이스부(116a), 제1 착용부(130a) 등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전원버튼(116a1)과 LED 인디케이터(116a2)를 배치할 수 있다.
전원버튼(116a1)은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원을 턴 온(turn on) 또는 턴 오프(turn off)시킬 수 있다. 전원 버튼은 전자 디바이스(100)가 턴 오프(turn off)된 상태에서 클릭되면,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원을 턴 온(turn on)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전원 버튼은 전자 디바이스(100)가 턴 온(turn on)된 상태에서 클릭되면,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원을 턴 오프(turn off)시킬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전원버튼(116a1)의 동작에 의해 턴 오프(turn off)되면, 턴 오프(turn off)가 완료되기 전에 제어부(118a)의 제어 하에 사용자가 사용했던 모든 정보를 메모리(117a)에 저장시킬 수 있다.
LED 인디케이터(116a2)는 이동 단말기 또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100)와의 페어링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충전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 인디케이터(116a2)가 이동 단말기 또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100)와 정상적으로 페어링되면, 녹색(Green)으로 디스플레이되고, 페어링되지 않으면, 적색(Red)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는 LED 인디케이터(116a2)가 충전 단자(116a3)를 통해 충전 중이면 황색(Yellow)이 디스플레이되고, 충전이 완료되면 녹색(Green)이 디스플레이되고, 충전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을 때는 적색(Red)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는 제1 착용부(130a)를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제1 지지대(131a), 제2 지지대(132a) 및 이어루프(133a)를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제1 지지대(131a), 제2 지지대(132a) 및 이어루프(133a)는 분리되지 않고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살펴보면, 이어하우징(150a, 150b, 도 1을 참조)은 제1 이어하우징(150a)과 제2 이어하우징(150b, 도 1을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어하우징(150a)은 제1 바디(110a)의 내측면(112a)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이어하우징(150a)은 제1 바디(110a)에 체결되어 사용자의 왼쪽 귀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이어하우징(150b, 도 1을 참조)은 제2 바디(110b, 도 1을 참조)의 내측면(112b, 도 1을 참조)에 체결될 수 있다. 제2 이어하우징(150b, 도 1을 참조)은 제2 바디(110b, 도 1을 참조)에 체결되어 사용자의 오른쪽 귀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이어하우징(150a)과 제2 이어하우징(150b, 도 1을 참조)은 좌우가 구별되어 제1 바디(110a)와 제2 바디(110b, 도 1을 참조) 각각에 체결되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과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도 8 및 도 9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1 이어하우징(150a)과 제2 이어하우징(150b, 도 1을 참조)을 구별하지 않고 제1 이어하우징(150a)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이어하우징(150a)은 제1,2 하우징(152a, 153a), 이어캡(151a), 노즐(154a), 스피커(155a) 및 체결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어하우징(150a)은 제1 하우징(152a)과 제2 하우징(153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52a)은 상단면의 일측에 노즐(154a)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52a)의 하단은 제2 하우징(153a)의 상단과 체결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53a)의 하단면은 바디(110a, 110b)의 내측면(112a)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이어하우징(150a)은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中空)형상으로 형성되어 스피커(155a), 체결부재(160) 등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152a)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반경이 커질 수 있다. 제2 하우징(153a)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반경이 작아질 수 있다. 즉, 이어하우징(150a, 150b)은 입구와 밑면이 좁은 항아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어하우징(150a, 150b)의 형상은 사용자의 귀의 안티 트라고스(Antitragus)에 걸릴 수 있는 병목 형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어캡(151a)은 사용자의 귀에 접촉될 수 있다. 이어캡(151a)은 후술할 노즐(154a)에 체결되어 사용자의 귀의 외이도(ear canal)에 삽입될 수 있다. 이어캡(151a)은 사용자의 귀의 외이도(ear canal)에 밀착되도록 귀의 외이도(ear canal)와 비슷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어캡(151a)은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착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귀의 외이도(ear canal)에 적절한 압박을 가함으로써, 외부의 소리를 차단할 수 있다. 이어캡(151a)은 사용자의 귀의 외이도(ear canal)에 밀착되는 동안 변형될 수 있고, 사용자의 귀의 외이도(ear canal)로부터 분리되는 동안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성질을 가진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노즐(154a)은 사용자의 귀의 외이도(ear canal)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하우징(152a)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노즐(154a)은 전자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의 귀에 장착되어 밀착되도록 제1 하우징(152a)의 상단면 일측에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노즐(154a)은 후술할 스피커(155a)를 통해 출력되는 소리를 사용자의 귀에 전달할 수 있다.
스피커(155a)는 제1 이어하우징(150a)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1 하우징(152a)과 제2 하우징(153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155a)는 제2 하우징(153a)의 상단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155a)는 바디(110a, 110b)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어부(118a)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피커(155a)는 제어부(118a)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신호를 소리로 바꿔서 출력할 수 있다.
게다가, 스피커(155a)가 제2 하우징(153a)의 상단면에 배치되면, 스피커(155a)의 뒷공간이 공명 공간이 될 수 있다. 공명 공간은 음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공명 공간은 제2 하우징(153a)의 상단면에 배치되는 스피커(155a)의 위치와 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공명 공간은 스피커(155a)와 노즐(154a) 간의 각도변화에 따라 음역대에 대한 특성을 달리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체결부재(160)는 제2 하우징(153a)의 하단면을 관통하여 제1 바디(110a)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재(160)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볼트 또는 나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체결부재(160)를 볼트 또는 나사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체결부재(160)는 제2 하우징(153a)을 바디(110a, 110b)에 체결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부품도 무관할 수 있다.
도 10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1 착용부(130a)의 제1 지지대(131a) 및 제2 지지대(132a)가 제1 상태(S1)에 있을 수 있다. 제1 방향(DR1)은 가로방향인 X방향이고, 제2 방향(DR2)은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세로인 Y방향이고, 제3 방향(DR3)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각각과 교차하는 Z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상태(S1)는 제1 지지대(131a)와 제2 지지대(132a)가 제1 간격(G1)을 유지하는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또는, 제1 상태(S1)는 제1 바디(110a)의 중심점(C)에서 제1 지지대(131a)의 일단 중심점(C1)을 잇는 제1 라인(Ln1)과 제1 바디(110a)의 중심점(C)에서 제2 지지대(132a)의 일단 중심점(C2)을 잇는 제2 라인(Ln2) 사이가 제1 틸팅각도(TA1)일 때로 정의될 수 있다.
제3 방향(DR3)으로 전자 디바이스(100)를 바라보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1 바디(110a)의 외측 테두리와 제1 착용부(130a)의 내측 테두리 간에 소정의 면적이 보여질 수 있다. 소정의 면적은 제1 상태(S1)일 때 제1 면적(AE1)일 수 있다. 이때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1 바디(110a)의 중심점(C)에서 이어안착부(133a1) 간의 거리(L)가 사용자의 귓바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길 수 있다.
도 1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1 착용부(130a)의 제1 지지대(131a) 및 제2 지지대(132a)가 제2 상태(S2)에 있을 수 있다. 제2 상태(S2)는 제1 지지대(131a)와 제2 지지대(132a)가 제2 간격(G2)을 유지하는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또는, 제2 상태(S2)는 제1 바디(110a)의 중심점(C)에서 제1 지지대(131a)의 일단 중심점(C1)을 잇는 제1 라인(Ln1)과 제1 바디(110a)의 중심점(C)에서 제2 지지대(132a)의 일단 중심점(C2)을 잇는 제2 라인(Ln2) 사이가 제2 틸팅각도(TA2)일 때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간격(G2)은 제1 간격(G1)과 다른 간격이다. 제2 간격(G2)이 제1 간격(G1)보다 짧을 수 있다. 제2 틸팅각도(TA1)는 제1 틸팅각도(TA1)와 다른 각도이다. 제2 틸팅각도는 제1 틸팅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
제3 방향(DR3)으로 전자 디바이스(100)를 바라보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1 바디(110a)의 외측 테두리와 제1 착용부(130a)의 내측 테두리 간에 제2 면적(AE2)이 보여질 수 있다. 이때 전자 디바이스(100)는 바디(110a, 110b)의 중심점(C)에서 이어안착부(133a1) 간의 거리(L2)가 사용자의 귓바퀴보다 짧을 수 있다. 제2 면적(AE2)은 제1 면적(AE1)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2를 살펴보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1 바디(110a)의 중심점(C)을 기준으로 제1 지지대(131a)를 소정의 틸팅각도(TA1,TA2)로 회전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대(132a)는 제1 바디(110a)에 고정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제2 지지대(132a)는 제1 지지대(131a)가 회전 동작하는 동안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체 형상을 지지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1 지지대(131a)를 회전 동작하여 제2 지지대(132a)와 제1 틸팅각도(TA1)를 유지하면 제1 상태(S1)가 될 수 있고, 제2 지지대(132a)와 제2 틸팅각도(TA2)를 유지하면 제2 상태(S2)가 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1 상태(S1)일 때 사용자의 귀에 장착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1 상태(S1)일 때 제2 면적(AE2)보다 넓은 제1 면적(AE1)을 가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귀에 보다 쉽게 장착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귀에 장착된 후에 제1 지지대(131a)를 회전 동작하여 제1 상태(S1)에서 제2 상태(S2)로 전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검지 또는 중지를 이용하여 제1 지지대(131a)를 용이하게 회전 동작시킬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2 상태(S2)일 때 제1 면적(AE1)보다 작은 제2 면적(AE2)을 가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귀에서 임의적으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게다가,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2 상태(S2)일 때 이어안착부(133a1)가 사용자의 귓바퀴 내측에 안착될 수 있고, 이어지지부(133a2)가 사용자의 귀 하단 내측을 받쳐주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전자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의 귀에서 임의적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밀착시킬 수 있다.
도 1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틸팅부(119a)는 댐퍼부재(119a1), 댐퍼제어부(119a2) 및 댐퍼안착부(119a3)를 포함할 수 있다.
틸팅부(119a)는 제1 바디(110a)의 내부에 배치되되, 제1 지지대(131a)의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댐퍼부재(119a1)는 탄성이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부재(119a1)는 판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댐퍼제어부(119a2)는 일단이 제1 바디(110a)에 체결되고, 타단이 댐퍼부재(119a1)의 상단면에 체결될 수 있다. 댐퍼제어부(119a2)는 댐퍼부재(119a1)와 체결부재(16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댐퍼안착부(119a3)는 제1 지지대(131a)가 회전 동작하는 영역에 대응되어 제1 바디(110a)의 내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댐퍼안착부(119a3)는 물결 형상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안착부(119a3)는 마루와 골이 반복되는 형상일 수 있다.
댐퍼안착부(119a3)는 제1 바디(110a)와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마모/마찰계수가 작은 폴리아세탈(polyacetal)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댐퍼부재(119a1)는 댐퍼안착부(119a3)의 복수의 패턴 중 첫 번째 골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지지대(131a)를 시계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제1 지지대(131a)에 가해진 힘이 댐퍼부재(119a1)와 댐퍼제어부(119a2)의 탄성력을 넘어서면, 댐퍼부재(119a1)가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댐퍼부재(119a1)는 댐퍼안착부(119a3)의 복수의 패턴 중 두 번째 골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으로 댐퍼부재(119a1)는 댐퍼안착부(119a3)의 복수의 패턴 중 마지막 번째 골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지지대(131a)는 댐퍼부재(119a1)가 첫 번째 골에서 마지막 번째 골로 이동됨에 따라 회전동작하여, 제1 상태(S1)에서 제2 상태(S2)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4를 살펴보면, 댐퍼부재(119a1)는 몸체(19a1), 몸체지지부재(19a3), 탄성부재 (19a2) 및 완충부재(19a4)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9a1)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영역에 체결홀(19a5)이 배치될 수 있다. 체결홀(19a5)은 몸체(19a1)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체결부재(160)는 체결홀(19a5)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댐퍼부재(119a1)와 댐퍼제어부(119a2)를 체결시킬 수 있다.
몸체지지부재(19a3)는 몸체(19a1)의 상단측과 하단측 각각에 배치되어 체결홀(19a5)이 관통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탄성부재(19a2)는 몸체(19a1)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9a2)는 몸체(19a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밴딩될 수 있다.
완충부재(19a4)는 몸체(19a1)의 좌단측에 배치되어 탄성부재(19a2)와 연결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완충부재(19a4)는 제1 완충부재(19a41)와 제2 완충부재(19a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완충부재(19a41)는 탄성부재(19a2)의 상단면 일측에 연결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2 완충부재(19a42)는 제1 완충부재(19a41)와 이격되어 탄성부재(19a2)의 상단면 타측에 연결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댐퍼부재(119a1)의 탄성부재(19a2)는 댐퍼안착부(119a3)와 상호 접촉되며 스토퍼(Stopper)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제1 지지대(131a)는 회전동작을 하다가 탄성부재(19a2)가 댐퍼안착부(119a3)와 상호 접촉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틸팅부(119a)는 제1 지지대(131a)가 회전동작을 하는 동안 부드럽게 댐핑할 수 있다.
도 15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틸팅부(219a)는 댐퍼부재(219a1) 및 댐퍼안착부(219a3)를 포함할 수 있다.
틸팅부(219a)는 제1 바디(110a)의 내부에 배치되되, 제1 지지대(131a)의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댐퍼부재(219a1)는 커버부재(29a22)와 탄성부재(29a1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29a22)는 상단면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29a12)는 일단이 커버부재(29a22)의 하단면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타단이 제1 바디(110a)의 내부에 체결될 수 있다.
탄성부재(29a12)는 탄성이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29a12)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커버부재(29a22)는 탄성이 없는 강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댐퍼안착부(219a3)는 제1 지지대(131a)가 회전 동작하는 영역에 대응되어 제1 바디(110a)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댐퍼안착부(219a3)는 물결 형상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안착부(219a3)는 마루와 골이 반복되는 형상일 수 있다.
댐퍼안착부(219a3)는 제1 바디(110a)와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마모/마찰계수가 작은 폴리아세탈(polyacetal)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댐퍼부재(219a1)는 댐퍼안착부(219a3)의 복수의 패턴 중 첫 번째 골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지지대(131a)를 시계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제1 지지대(131a)에 가해진 힘이 댐퍼부재(219a1)의 탄성력을 넘어서면, 댐퍼부재(219a1)가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댐퍼부재(219a1)는 댐퍼안착부(219a3)의 복수의 패턴 중 두 번째 골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으로 댐퍼부재(219a1)는 댐퍼안착부(219a3)의 복수의 패턴 중 마지막 번째 골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지지대(131a)는 댐퍼부재(219a1)가 첫 번째 골에서 마지막 번째 골로 이동됨에 따라 회전 동작하여, 제1 상태(S1)에서 제2 상태(S2)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6을 살펴보면, 제1 바디(110a)는 둘레면(113a)의 상측에 제1 지지대(131a)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 지지홈(125a)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6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둘레면의 하측에 제2 지지대(132a)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2 지지홈이 배치될 수 있다.
방수부재(124a)는 제1 지지대(131a)와 제1 바디(110a)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방수부재(124a)는 제1 지지홈(125a)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제1 지지홈(125a)의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방수부재(124a)는 물기 또는 이물질이 내부에 스며들지 못하게 하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재(124a)는 방수성이 높은 실리콘, 러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수성이 높은 방수부재(124a)가 제1 지지홈(125a)의 일측면에 배치됨으로써, 제1 지지대(131a)가 제1 상태(S1) 또는 제2 상태(S2)로 회전 동작하는 동안 수분 또는 이물질이 지지홈을 통해 제1 바디(110a)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방수부재(124a)는 제1 지지대(131a)의 일단면에 접촉되는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가 돌출될 수 있다. 이때 돌기는 립(Rib)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방수부재(124a)는 상부면에 돌기가 돌출됨으로써, 제1 지지대(131a)와 제1 바디(110a) 사이를 통해 스며드는 수분 또는 이물질을 더욱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지지대(131a)는 방수부재(124a)의 돌기에 의해 제1 바디(110a)와의 접촉면적이 낮아짐으로써, 제1 상태(S1) 또는 제2 상태(S2)로 용이하게 회전 동작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1 지지대(131a), 제2 지지대(132a) 및 이어루프(13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 지지대(131a, 132a)는 일단이 제1 바디(110a)에 체결될 수 있다. 제1,2 지지대(131a, 132a)의 일단은 제1 바디(110a)에 가까워질수록 너비(wh1)가 넓어질 수 있다. 제1,2 지지대(131a, 132a)의 일단은 제1 바디(110a)의 둘레면(113a)을 따라 라운드될 수 있다. 이에 제1,2 지지대(131a, 132a)는 제1 바디(110a)에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제1 지지대(131a)의 타단은 시계방향(TD)으로 소정의 각도로 밴딩될 수 있다. 제2 지지대(132a)의 타단은 반시계방향(ATD)으로 소정의 각도로 밴딩될 수 있다.
이어루프(133a)는 이어안착부(133a1)와 이어지지부(133a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안착부(133a1)는 일단이 제1 지지대(131a)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이어지지부(133a2)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이어지지부(133a2)는 일단이 이어안착부(133a1)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지지대(132a)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이어안착부(133a1)는 사용자의 귀를 감싸도록 제1 곡률반경(R1)으로 라운드될 수 있다. 제1 곡률반경(R1)의 중심점(RC1)은 이어안착부(133a1)에서 제1 바디(110a)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멀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어지지부(133a2)는 사용자의 귀 내측을 받치도록 제2 곡률반경(R2)으로 밴딩될 수 있다. 제2 곡률반경(R2)의 중심점(RC2)은 제1 바디(110a)에서 이어지지부(133a2)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가깝게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곡률반경(RC1)은 제2 곡률반경(RC2)보다 클 수 있다. 이에 이어안착부(133a1)는 이어지지부(133a2)보다 완만하게 밴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110a)는 제1 지지대(131a)와 제2 지지대(132a) 사이에 케이블(171)을 인출할 수 있는 제1 몰딩부재(171a)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몰딩부재(171a)는 제1 바디(110a)에서 인출되는 케이블(171)의 인출 각도를 가이드할 수 있다. 케이블(171)의 인출 각도(DA)는 제1 바디(110a)의 중심점(C)을 지나면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중심라인(CL2)과 제1 몰딩부재(171a)에서 인출되는 케이블(171)을 연장시켜 교차되는 지점에서의 각도로 정의될 수 있다.
케이블(171)의 인출 각도(DA)는 25도 이상 35도 이하일 수 있다. 인출 각도(DA)가 25도 이하일 경우에 제1 착용부(130a)와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인출 각도(DA)가 35도 이상일 경우에 제1 바디(110a)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1 몰딩부재(171a)를 고정시키는 고정 구조가 커질 수 있다.
제1 몰딩부재(171a)는 케이블(171)이 제1 바디(110a)의 하단을 향해 자연스럽게 인출되도록 밴딩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171)은 TPE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TPE재질을 포함한 케이블(171)은 제1 몰딩부재(171a)를 통해 인출되어 자연스럽게 아래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도 18의 (a)를 참조하면, 제1,2 지지대(131a, 132a)의 일단을 A??A'로 절단한 절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제1,2 지지대(131a, 132a)는 제1 너비(wh1)와 제1 두께(th1)를 가질 수 있다. 도 18의 (b)를 참조하면, 이어안착부(133a1)를 B??B'로 절단한 절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이어안착부(133a1)는 제2 너비(wh2)와 제2 두께(th2)를 가질 수 있다. 도 18의 (c)를 참조하면, 이어지지부(133a2)를 C??C'로 절단한 절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이어지지부(133a2)는 제3 너비(wh3)와 제3 두께(th3)를 가질 수 있다.
제1 너비(wh1)는 제2 너비(wh2)와 제3 너비(wh3)보다 넓을 수 있다. 제1 너비(wh1)는 제2 너비(wh2) 및 제3 너비(wh3)보다 2배 이상 5배 이하로 넓을 수 있다. 제1 두께(th1)는 제2 두께(th2)와 제3 두께(th3)보다 두꺼울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2 지지대(131a, 132a)의 제1 너비(wh1)와 제1 두께(th1)는 이어루프(133a)의 너비(wh2, wh3)와 두께(th2, th3)보다 넓고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제1 지지대(131a)가 회전 동작하는 동안 제1,2 지지대(131a, 132a)의 형상이 거의 변하지 않아 착용부(130a, 130b)의 전체적인 형상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너비(wh2)는 제1 너비(wh1)보다 좁고 제3 너비(wh3)보다 넓을 수 있다. 제2 두께(th2)는 제1 두께(th1)보다 얇고 제3 두께(th3)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어안착부(133a1)의 제2 너비(wh2)는 이어지지부(133a2)의 너비(wh3)보다 넓고 제1,2 지지대(131a, 132a)의 너비(wh1)보다 좁은 너비를 가짐으로써, 제1 지지대(131a)가 회전 동작하는 동안 이어안착부(133a1)의 전체적인 형상을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이어안착부(133a1)는 제1 지지대(131a)가 회전 동작하는 동안 제1 지지대(131a)의 틸팅각도에 따라 전체적인 형상이 많이 변화 사용자의 귀를 감싸도록 피팅될 수 있다.
제2 너비(wh2)는 제1 너비(wh1)와 동일한 너비를 가지거나 넓을 경우에, 제1 지지대(131a)가 회전 동작하는 동안 이어안착부(133a1)의 전체적인 형상을 변화시키는데 많은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제1 지지대(131a)는 타단이 이어안착부(133a1)와 연결되기 때문에 이어안착부(133a1)의 제2 너비(wh2)가 넓어질수록 회전동작을 하는데 많은 힘이 요구될 수 있다. 게다가, 이어안착부(133a1)는 제2 너비(wh2)가 넓어진만큼, 변화되는 반응속도도 느려질 수 있다.
제3 너비(wh3)는 제1 너비(wh1)와 제2 너비(wh2)보다 좁을 수 있다. 제3 두께(th3)는 제1 두께(th1)보다 얇고 제2 두께(th2)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어지지부(133a2)는 바디(110a, 110b)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 지지대(132a)와 연결되어 이어지지부(133a2)의 전체적인 형상이 거의 변화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이어지지부(133a2)는 이어안착부(133a1)보다 좁은 너비를 가지더라도 사용자의 귀 내측을 받칠 수 있다.
또한, 이어지지부(133a2)는 이어안착부(133a1)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이어안착부(133a1)는 사용자의 귓바퀴 상단에 안착되어 배치되나, 이어지지부(133a2)는 사용자의 귓바퀴 하단을 받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이어지지부(133a2)는 이어안착부(133a1)와 동일한 너비(wh2)를 가질 경우 상대적으로 더 많은 하중을 사용자에게 줄 수 있다. 따라서, 이어지지부(133a2)는 사용자의 귀 내측을 견고하게 받칠 수 있으면서 이어루프(133a)의 전체적인 무게감을 줄이도록 이어안착부(133a1)보다 좁은 너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9을 살펴보면, 제1 이어하우징(150a)은 제1 바디(110a)의 내측면(112a)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바디(110a)는 제1 바디(110a)의 중심점(C)을 제1 방향(DR1)으로 지나는 제1 중심라인(CL1)과 바디(110a, 110b)의 중심점을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지나는 제2 중심라인(CL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어하우징(150a)은 제1 바디(110a)의 내측면(112a) 중 제1 바디(110a)의 중심점(C)에서 벗어나 체결될 수 있다. 제1 이어하우징(150a)은 제1 바디(110a)의 중심점(C)에서 벗어나되, 제1 중심라인(CL1)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이어하우징(150a)은 제2 중심라인(CL2)을 기준으로 왼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1 이어하우징(150a)은 제1 바디(110a)에 후크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제1 이어하우징(150a)이 제1 중심라인(CL1) 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중심라인(CL1) 선상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어하우징(150a)은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구와 밑면이 좁은 항아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이어하우징(150a)의 형상은 사용자의 귀의 안티 트라고스(Antitragus)에 걸릴 수 있는 병목 형상일 수 있다.
제1 이어하우징(150a)은 병목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제1 바디(110a)의 중심점(C)을 벗어나 체결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양쪽 귀의 안티 트라고스(Antitragus)에 정확하게 걸릴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착용할 때 제1 이어하우징(150a)의 이어캡(151a)이 사용자의 귀의 외이도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제1 이어하우징(150a)이 안티 트라고스(Antitragus)에 정확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벗을 때 제1 이어하우징(150a)이 사용자의 귀의 외이도와 안티 트라고스(Antitragus)에서 자연스럽게 이탈될 수 있다.
도 20을 살펴보면, 제1 이어하우징(150a)은 일정한 너비로 제1 이어하우징(150a)의 중앙영역을 둘러싸는 패터닝부(134a)가 배치될 수 있다. 패터닝부(134a)는 제1 하우징(152a)의 하단과 제2 하우징(153a)의 상단을 일정한 너비로 둘러쌀 수 있다. 패터닝부(134a)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가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패터닝부(134a)는 제1 이어하우징(150a)이 안티 트라고스(Antitragus)에 걸리는 동안 사용자의 피부에 닿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이어하우징(150a)은 사용자의 피부가 닿는 부분에 패터닝부(134a)를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와 직접적으로 닿는 접촉 면적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이어하우징(150a)은 피부와 직접 닿는 접촉 면적을 줄임으로써, 외이도를 정당히 압박하는 동시에 착용감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오랜 시간 동안 착용할 수 있다.
도 21은 살펴보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상태를 사용자의 정면에서 보여주는 것이다.
전자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1 착용부(130a)의 일부와 제1 이어하우징(150a)의 일부가 사용자의 피부에 접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1 바디(110a)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하지도 않고 소정의 간격(DL)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1 바디(110a)는 내측면(112a)에 배치되는 제1 이어하우징(150a)이 병목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귀에 직접 닿지 않고 소정의 간격(DL)만큼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1 이어하우징(150a)이 사용자의 귀에 안착되는 동안 제1 착용부(130a)가 제1 상태(S1)에서 제2 상태(S2)로 회전 동작할 수 있다. 제1 착용부(130a)가 제1 상태(S1)에서 제2 상태(S2)로 회전 동작하여 제1 지지대(131a)가 사용자의 앞쪽으로 틸팅될 수 있다. 이에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귀에 더욱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다.
도 22 를 살펴보면, 제1 이어하우징(150a)의 제2 방향에서 절단한 절단면을 보여줄 수 있다.
제1 이어하우징(150a)은 제1,2 하우징(152a, 153a), 이어캡(151a), 노즐(154a), 스피커(155a) 및 체결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어하우징(150a)은 제1 바디(110a)의 내측면(112a)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이어하우징(150a)은 제1 바디(110a)에 체결되어 사용자의 왼쪽 귀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52a)은 상단면의 일측에 노즐(154a)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52a)의 하단은 제2 하우징(153a)의 상단과 체결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53a)의 하단면은 제1 바디(110a)의 내측면(112a)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이어하우징(150a)은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中空)형상으로 형성되어 스피커(155a), 체결부재(160) 등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155a), 이어캡(151a), 노즐(154a) 및 체결부재(160)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이미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스피커(155a)는 제1 하우징(152a)의 하단과 제2 하우징(153a)의 상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53a)은 상단에 스피커(155a)가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스피커(155a)의 하단에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中空)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하우징(153a)은 스피커(155a)의 하단에 공명 공간(ES)을 형성할 수 있다. 공명 공간(ES)은 스피커(155a)의 뒷공간에 형성되어 스피커(155a)에서 출력되는 음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제1 이어하우징(150a)은 제2 하우징(153a)의 상단에 배치되는 스피커(155a)의 위치와 각도 등에 따라서 공명 공간(ES)을 달리할 수 있다. 스피커(155a)는 수평 각도의 변화에 따라서 공명 공간(ES)이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수평 각도(HA)는 수평방향인 제1 방향에서 스피커(155a)의 중심점 (HC)을 기준으로 노즐(154a)이 기울어진 각도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이어하우징(150a)은 노즐(154a)과 스피커(155a) 간의 수평 각도(HA)를 15도 이상 25 도 이하로 형성함으로써, F0값의 주파수가 낮은 대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F0 값의 주파수는 최저 공진주파수를 나타내며, 스피커의 저역 주파수 한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전자 디바이스(100)는 노즐(154a)과 스피커(155a) 간의 수평 각도(HA)를 15도 이상 25 이하로 형성함으로써, 저역대 특성에 대한 저하를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이어하우징(150a)은 스피커(155a)를 수평방향으로 설정한 후, 노즐(154a)의 직경(NR)이 커질수록 F0값의 주파수가 높은 대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전자 디바이스(100)는 노즐(154a)의 직경(NR)이 커질수록 음역대 특성값이 높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노즐(154a)과 스피커(155a) 간의 수평 각도(HA)와 노즐(154a)의 직경(NR) 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저역대 특성의 최적값을 설정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23및 도 2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은 제1 바디(110a)에 무선 통신부(115a), 제어부(118a) 등이 배치되고, 제2 바디(110b)에 전원공급부(121b)가 배치되기 때문에 내부구조를 달리할 수 있다.
제1 바디(110a)의 하단면에는 제2 하우징(153a)과 제1 바디(110a)를 체결시킬 수 있는 체결부재(160)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홈(160a)과 스피커(155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라인을 제1 바디(110a)에서 인출할 수 있는 제1 인출홈(DO1)을 배치할 수 있다.
제2 바디(110b)의 하단면에는 제2 하우징(153a)과 제2 바디(110b)를 체결시킬 수 있는 체결부재(160)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홈(160a)과 스피커(155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라인을 제2 바디(110b)에서 인출할 수 있는 제2 인출홈(DO2)을 배치할 수 있다.
제1 바디(110a)는 제1 바디(110a)의 내부구조를 고려하여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 인출홈(DO1)을 하단면에 배치할 수 있고, 제2 바디(110b)는 제2 바디(110b)의 내부구조를 고려하여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인출홈(DO2)을 하단면에 배치할 수 있다. 제1,2 인출홈(DO1, DO2)은 제1,2 바디(110a, 110b)의 내부구조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곳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2 바디(110a, 110b) 각각은 공명 공간(ES)에 일정한 음압을 유지하기 위해 음압이 새지 않도록 와이어를 인출한 후 제1,2 인출홈(DO1, DO2) 각각에 실링을 할 수 있다. 이때 제1 바디(110a)와 제2 바디(110b) 각각은 제1 인출홈(DO1)에 실링되는 실링 포인트와 제2 인출홈(DO2)에 실링되는 실링 포인트를 달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2 바디(110a, 110b) 각각은 실링 포인트를 달리함으로써, 제1 바디(110a)의 제2 하우징(153a)에 형성되는 공명 공간(ES)과 제2 바디(110b)의 제2 하우징(153a)에 형성되는 공명 공간(ES)을 동일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제1,2 바디(110a, 110b) 각각은 동일한 음질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5를 살펴보면, 제1 바디(110a)는 하부면에 체결부재(160)와 체결되는 체결홈(160a)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53a)은 제1 이어하우징(150a)의 체결홈(160a)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하우징(153a)의 체결홈(160a1)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2 하우징(153a)의 체결홈(160a1)도 체결부재(160)에 체결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53a)의 체결홈(160a1) 상단에는 체결부재(160)와 체결될 때 체결부재(160)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부재(161)가 배치될 수 있다. 체결부재(160)는 제1 바디(110a)의 체결홈(160a)과 제2 하우징(153a)의 체결홈(160a1)을 차례대로 관통하면서 체결되고, 마지막으로 고정부재(161)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재(160)가 고정부재(161)에 체결됨으로써, 체결부재(160)가 헛돌거나 임의적으로 제2 하우징(153a)의 체결홈(160a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제1 이어하우징(150a)은 체결부재(160)와 고정부재(161)에 의해 제1 바디(110a)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어하우징(150a)은 제1 바디(110a)와 체결부재(160)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제1 이어하우징(150a) 또는 제1 바디(110a)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 이들을 분리시켜 이상이 있는 부분만 수리 또는 교체할 수 있다.
도 26을 살펴보면, 제1 바디(110a)는 케이블(171)을 통해 제2 바디(11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17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라인은 신호라인, 전원라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171)은 전자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컨 버튼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리모컨 버튼부(17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UB, MB, DB)이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UB, MB, DB)은 제1 버튼(UB) 내지 제3 버튼(D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튼(UB)은 리모컨 버튼부(170)의 상단에 배치되며, 제3 버튼(DB)은 리모컨 버튼부(17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버튼(MB)은 제1 버튼(UB)과 제3 버튼(D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버튼(UB)은 볼륨(Volume)을 업(UP)하거나 다음곡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버튼(UB)이 한번 클릭(Click)될 때마다 볼륨(Volume)이 한단계씩 높아질 수 있다. 또는 제1 버튼(UB)이 빠르게 더블 클릭(Double Click)되면 현재 플레이되고 있는 곡에서 다음곡으로 넘어갈 수 있다.
제2 버튼(MB)은 음악을 플레이하거나 멈출 수 있으며, 전화를 받거나 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화가 수신될 경우, 제2 버튼(MB)을 클릭(Click)하여 전화를 받을 수 있고, 다시 한번 클릭(Click)하여 전화를 끊을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음악을 감상하려고 할 경우에는 제2 버튼(MB)을 클릭(Click)하여 음악을 플레이시킬 수 있고, 다시 한번 클릭(Click)하여 플레이되고 음악을 멈출 수 있다. 또한, 제2 버튼(MB)이 길게 클릭(Click)되면, 전자 디바이스(100)를 턴 온(turn on)시키거나 턴 오프(turn off)시킬 수 있다.
제3 버튼(DB)은 볼륨(Volume)을 다운(Down)하거나 이전곡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버튼(DB)이 한번 클릭(Click)될 때마다 볼륨(Volume)이 한단계씩 낮아질 수 있다. 또는 제3 버튼(DB)이 빠르게 더블 클릭(Double Click)되면 현재 플레이되고 있는 곡에서 이전곡으로 넘어갈 수 있다.
리모컨 버튼부(170)는 제1 바디(110a)와 제2 바디(110b) 사이에 배치되되, 제1 바디(110a)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리모컨 버튼부(170)와 제1 바디(110a) 간의 제1 거리(D11)는 리모컨 버튼부(170)와 제2 바디(110b) 간의 제2 거리(D12)보다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리모컨 버튼부(170)는 제1 바디(110a)에 배치되는 제어부(118a)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리모컨 버튼부(170)와 제어부(118a) 간의 제1 거리(D11)가 짧아질수록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신호라인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신호를 주고받는 신호라인은 거리가 짧아질수록 노이즈(Noise)가 덜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리모컨 버튼부(170)는 보다 정확한 신호를 제어부(118a)와 주고받을 수 있다.
도 27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300)는 제1,2 바디(310a, 310b)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바디(310a)는 제2 바디(310b)로부터 및/또는 제2 바디(310b)는 제1 바디(310a)로부터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제1 바디(310a)와 제2 바디(310b) 각각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원공급부와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공급부와 무선 통신부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설명한 전원공급부(도 4 및 도 5 참조, 121b)와 무선 통신부(도 2 및 도 3 참조, 115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착용부(330a, 330b) 및 이어하우징(350a, 350b)에 대한 각각의 구성들도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착용부(130a, 130b) 및 이어하우징(150a, 150b)와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제1 바디(310a)와 제2 바디(310b)는 무선으로 서로 연결되며, 이들은 마스터(Master)와 슬래이브(Slave)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바디(310a)를 마스터(Master)로 설정하면, 제2 바디(310b)는 슬래이브(Slave)가 되고, 제2 바디(310b)를 마스터(Master)로 설정하면, 제1 바디(310a)는 슬래이브(Slave)가 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300)는 제1 바디(310a) 및 제2 바디(310b) 중 제어부(미도시)와 메모리(미도시)가 배치되는 바디(310a, 310b)를 마스터(Master)로 설정할 수 있다. 마스터(Master)가 설정되면 나머지 바디(310a, 310b)는 슬래이브(Slave)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300)는 제1 바디(310a) 및 제2 바디(310b) 중 큰 용량의 배터리(Battery, 미도시)가 배치되는 바디(310a, 310b)를 마스터(Master)로 설정할 수 있다. 마스터(Master)가 설정되면, 나머지 바디(310a, 310b)는 슬래이브(Slave)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전자 디바이스(300)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 마스터(Master)인 제1 바디(310a)를 먼저 충전하고, 제1 바디(310a)가 충전된 후에 제2 바디(310b)를 충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 방식으로 구성된 전자 디바이스(300)는 마스터(Master)인 제1 바디(310a)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단말기와 페어링될 수 있다. 이동단말기와 페어링되는 것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30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바디(310a)와 제2 바디(310b)에 알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알림부재는 제1 바디(310a)와 제2 바디(310b)가 설정된 기준 범위에 위치하면,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알림부재는 제1 바디(310a) 또는 제2 바디(310b)가 설정된 기준 범위에 벗어나면, 알림음을 출력하여 제1 바디(310a)와 제2 바디(310b)가 서로 멀리 떨어져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동 단말기(200)와 일정한 관계에 있을 수 있다. 즉,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동 단말기(200)와 페어링(paring)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있을 수 있다. 일정한 거리는 제1 내지 제3 거리(R11 내지 R1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동 단말기(200)와의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거리(R11)에 있을 때, 전자 디바이스(100)는 오프(OFF)될 수 있다. 제2 거리(R12)에 있을 때, 전자 디바이스(100)는 온(ON)될 수 있다. 제3 거리(R13)에 있을 때, 전자 디바이스(100)는 정확한 위치를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는 일정 간격의 진동, 일정 간격의 사운드 및/또는 일정 간격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100)의 정확한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29 내지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200)와 일정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동 단말기(200)와 하나의 시스템을 이루어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동 단말기(200)를 통해 외부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기지국(AP)과 통신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외부 데이터를 블루투스 통신 등을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는 기지국(AP)과 같은 외부 기기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가공하여 전자 디바이스(1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도 2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직접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기지국(AP)으로부터 직접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기지국(AP)으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고, 페어링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200)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200)와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연동은 전자 디바이스(100)와 이동 단말기(200)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동 단말기(200)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사용하여 녹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에 필요한 최소한의 메모리만이 존재하거나 메모리의 잔여 용량이 적을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동 단말기(200)로 녹음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전자 디바이스(100)로부터 전달받은 녹음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전자 디바이스(100)로부터 전달받은 녹음 데이터의 저장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심박센서 등을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생체신호 데이터, 가속도 센서 등을 통해 획득한 움직임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동 단말기(200)에 비해 상대적으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이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기초 데이터(raw data)를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하고, 이동 단말기(200)는 수신한 기초 데이터를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00)는 전자 디바이스(1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출력할 수 있는 사운드 데이터를 연결된 블루투스 통신채널을 사용해 전송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자체 내에서 다량의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이동 단말기(200)와 같은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재생에 필요한 콘텐츠를 획득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동 단말기(2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200)를 사용하여 전자 디바이스(100)의 스피커를 튜닝(tunning)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가 없거나 상대적으로 작아 충분한 정보를 표시할 수 없을 수 있다.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큰 디스플레이(251)를 보유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200)를 사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전자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매체는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2)

  1.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일측에 제1 지지대가 체결되고, 상기 바디의 타측에 제2 지지대가 체결되고,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에 연결되면서 사용자의 귓바퀴를 따라서 적어도 한번 이상 밴딩되는 이어루프를 구비하는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부는
    상기 바디를 중심으로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 사이의 각도를 조정하여 상기 이어루프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전자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상기 사용자의 귓바퀴 내측에 밀착되도록 기울어져 형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루프는
    상기 제1 지지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의 귓바퀴 상단 내측을 감싸도록 밴딩되는 이어안착부;와
    상기 이어안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의 귓바퀴 하단 내측을 받치도록 밴딩되는 이어지지부;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안착부는 상기 바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밴딩되고, 상기 이어지지부는 상기 바디를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밴딩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내측면에는 상기 사용자의 귀에 삽입될 수 있는 이어하우징이 체결되는 것을 전자 디바이스.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하우징은 상기 바디의 내측면에 체결되되, 상기 바디의 중심점에서 벗어나 체결되는 전자 디바이스.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하우징은
    제1 하우징;
    상단이 상기 제1 하우징의 하단에 체결되고, 하단이 상기 바디의 내측면에 체결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단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노즐; 및
    체결된 상기 제1,2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스피커와 상기 바디의 내측면 사이 내부공간에 공명 공간을 형성하는 전자 디바이스.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바디의 둘레면 상단으로 삽입된 상기 제1 지지대의 일단과 체결되는 틸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틸팅부는
    상기 제1 지지대가 회전 동작하는 영역에 대응되어 상기 제1 바디의 내부를 따라서 마루와 골이 반복되는 댐퍼안착부;
    상기 댐퍼안착부에 상호접촉하되, 상기 마루와 접촉되는 동안 형상이 변형되고, 상기 골에 접촉되는 동안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댐퍼부재; 및
    일단이 상기 제1 바디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댐퍼부재에 체결되고, 상기 제1 지지대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동작하는 댐퍼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바디의 둘레면 상단으로 삽입된 상기 제1 지지대의 일단과 체결되는 틸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틸팅부는
    상기 제1 지지대가 회전 동작하는 영역에 대응되어 상기 제1 바디의 내부를 따라서 마루와 골이 반복되는 댐퍼안착부;와
    상기 댐퍼안착부에 상호접촉하되, 상기 마루와 접촉되는 동안 길이가 수축되고, 상기 골에 접촉되는 동안 원래의 길이로 복원되는 댐퍼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바디 사이에 방수부재가 배치되는 전자 디바이스.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가 사이에 케이블을 인출하는 몰딩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몰딩부재를 통해 인출되는 상기 케이블의 인출 각도는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25도 이상 35도 이하로 인출되는 전자 디바이스.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하우징은 상기 이어하우징의 중앙영역을 둘러싸면서 배치되는 패터닝부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KR1020160107917A 2016-08-24 2016-08-24 전자 디바이스 KR2018002246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917A KR20180022461A (ko) 2016-08-24 2016-08-24 전자 디바이스
EP17187117.1A EP3288281B1 (en) 2016-08-24 2017-08-21 Electronic device
CN201710724014.1A CN107786918A (zh) 2016-08-24 2017-08-22 电子装置
US15/685,847 US10341776B2 (en) 2016-08-24 2017-08-24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917A KR20180022461A (ko) 2016-08-24 2016-08-24 전자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461A true KR20180022461A (ko) 2018-03-06

Family

ID=59790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917A KR20180022461A (ko) 2016-08-24 2016-08-24 전자 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41776B2 (ko)
EP (1) EP3288281B1 (ko)
KR (1) KR20180022461A (ko)
CN (1) CN10778691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18588A1 (en) * 2019-02-01 2021-12-08 Crown Equipment Corporation On-board charging station for a remote contro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7964A (en) * 1996-09-16 1997-10-14 Sun; Ming-Han Earphone
JP4103267B2 (ja) * 1999-10-12 2008-06-18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ホン
JP2002112377A (ja) * 2000-09-28 2002-04-12 Aiwa Co Ltd ヘッドホン
CN2525756Y (zh) * 2002-01-15 2002-12-11 郑金城 耳挂式耳机
KR100619090B1 (ko) * 2005-12-02 2006-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활 타입 이어 후크를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
US8111854B2 (en) * 2006-11-29 2012-02-07 Yan-Ru Peng Methods and apparatus for sound production
JP4709017B2 (ja) 2006-01-12 2011-06-22 ソニー株式会社 イヤホン装置
KR200429813Y1 (ko) 2006-05-12 2006-10-27 제이디아이 징뎅인더스트리얼 캄퍼니 리미티드 귀걸이이어폰
JP4398995B2 (ja) * 2007-05-26 2010-01-13 株式会社バーテックススタンダード ヘッドセット
JP4482833B2 (ja) * 2007-08-23 2010-06-16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ホン装置
US20100061581A1 (en) * 2008-09-09 2010-03-11 Creative Technology Ltd Sound producing device
EP2353300B1 (en) * 2008-10-03 2017-01-18 GN Audio A/S A wired headset adaptable for left and right ear use
CN101494807A (zh) * 2008-12-26 2009-07-29 中名(东莞)电子有限公司 一种入耳式耳机
CN202261738U (zh) * 2011-09-16 2012-05-30 时兴实业有限公司 一种入耳式耳机
US9712905B2 (en) * 2012-06-20 2017-07-18 Apple Inc. Headsets with non-occluding earbuds
US9167334B2 (en) * 2013-01-21 2015-10-20 Patrick R. Triato Adjustable mechanism for securing in-ear audio device
KR102229667B1 (ko) 2014-09-05 2021-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N204425589U (zh) * 2015-02-12 2015-06-24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耳机喇叭盖及设有该喇叭盖的耳机
CN205017534U (zh) * 2015-09-30 2016-02-03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一种耳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63642A1 (en) 2018-03-01
EP3288281A3 (en) 2018-06-06
CN107786918A (zh) 2018-03-09
EP3288281B1 (en) 2020-03-25
US10341776B2 (en) 2019-07-02
EP3288281A2 (en)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36638B1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US11134329B2 (en) Wireless earbud
US20230066263A1 (en) Acoustic output device
US9467767B2 (en) Modular headphone system
JP5910119B2 (ja) ヘッドホン
EP2145503B1 (en) Headset with exchangeable speaker
US20100285750A1 (en) Wireless Audio Stereo and Intercom System
AU2010326368B2 (en) Personal audio equipment
US10341755B2 (en) Wearable sound equipment
CN104010071A (zh) 移动终端应用控制方法和设备、耳机装置及应用控制系统
US8837766B2 (en) Ear-loop earphone
JP2008227754A (ja) ヘッドホン装置
US9549238B2 (en) Ear headphone with tragus fitment feature
US20090047905A1 (en) Stereo bluetooth headset
CN1306282A (zh) Mp-3播放机
KR20160029524A (ko) 전자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US20090041288A1 (en) Ear-loop earphone
KR101943329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80022461A (ko) 전자 디바이스
CN114760554A (zh) 一种夹耳式耳机的麦克风管理方法、装置及夹耳式耳机
US8503710B1 (en) Headset with rotatable earpiece
US20220369021A1 (en) Acoustic output apparatuses
CN213457686U (zh) 智能手表
JP3124295U (ja) 音楽が放送可能な機能を持つめがね
CN213934568U (zh) 智能手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