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457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457B1
KR102206457B1 KR1020140031199A KR20140031199A KR102206457B1 KR 102206457 B1 KR102206457 B1 KR 102206457B1 KR 1020140031199 A KR1020140031199 A KR 1020140031199A KR 20140031199 A KR20140031199 A KR 20140031199A KR 102206457 B1 KR102206457 B1 KR 102206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mobile terminal
main body
magnetic
d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1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8236A (ko
Inventor
강필구
서병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1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457B1/ko
Publication of KR20150108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8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1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hand or on fin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는 외관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에 노출되게 장착되어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적어도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복수개의 마그네틱이 배치된 다이얼 및 상기 다이얼의 회전에 따른 스위칭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송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얼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윈도우홀과, 상기 윈도우홀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베젤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젤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테두리를 감싸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의 사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종래의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는 작은 크기로 인해, 디스플레이부의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데 한계가 있다. 특히,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작은 사이즈로 인해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도 작아지므로, 다양한 UI구현이 제한적이고, 사용자가 터치입력을 하기도 불편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버튼식으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외관에 버튼이 노출되어야 하는 문제와, 버튼의 수명이 제한적이 문제가 있으며, 사용자가 다양한 키 입력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메탈소재의 장식부재를 사용하면, 정전식 터치센서를 사용하고는 경우, 커패시턴스 간섭이 발생되는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자 사용자의 명령을 손 쉽게 입력하도록 하고,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는 외관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에 노출되게 장착되어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적어도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복수개의 마그네틱이 배치된 다이얼 및 상기 다이얼의 회전에 따른 스위칭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송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얼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윈도우홀과, 상기 윈도우홀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베젤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젤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테두리를 감싸게 배치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베젤부가 디스플레이부를 감싸게 배치되어서, 사용자가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기 위해 베젤부를 회전시킬 때,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서 손으로 돌리기 적당한 크기를 가지므로,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베젤부가 디스플레이부를 감싸게 배치되고, 케이스와 일체감 있게 결합되므로, 와치 타입의 이동단말기의 미감을 해치지 않고, 키 데이터 입력부를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다이얼에 메탈 소재의 데코부재가 결합되더라도, 커패시턴스 간섭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비접촉식 구조이므로,수명이 길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3 은 도 2의 Ⅰ - Ⅰ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4 는 실시예의 다이얼과 센서의 배치에 평면적 개념도이다.
도 5는 실시예의 다이얼과 센서의 배치에 수직적 개념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의 작동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있다. 이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확장된 이동 단말기의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또는 연동)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미도시)은, 이동 단말기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미도시)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및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특히, 도 1은 실시예의 이동 단말기(3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예의 이동 단말기(300)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그리고, 실시예에서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은 다양한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를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는 디스플레이부(351)를 구비하는 본체(301) 및 본체(301)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밴드(302)를 포함한다.
본체(30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는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제1케이스(301a) 및 제2케이스(301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되어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3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본체(301)에는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안테나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그 성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 또는 방사 영역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301)의 일명에는 디스플레이부(351)가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체(3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3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351)에는 터치센서가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51)의 윈도우(351a)는 제1 케이스(301a)에 장착되어 제1 케이스(301a)와 함께 단말기 본체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301)에는 음향 출력부(352), 카메라(321), 마이크로폰(322), 사용자 입력부(32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51)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323)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301)에 별도의 키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밴드(302)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밴드(302)는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302)는 본체(30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밴드(302)는 안테나의 성능을 확장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에는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을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밴드(302)에는 파스너(fastener; 302a)가 구비될 수 있다. 파스너(302a)는 버클(buckle),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상표명)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파스너(302a)가 버클 형태로 구현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종래의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는 작은 크기로 인해, 디스플레이부(351)의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데 한계가 있다. 특히,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의 작은 사이즈로 인해 디스플레이부(351)의 크기도 작아지므로, 다양한 UI구현이 제한적이고, 사용자가 터치입력을 하기도 불편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버튼식으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외관에 버튼이 노출되어야 하는 문제와, 버튼의 수명이 제한적이 문제가 있으며, 사용자가 다양한 키 입력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의 외관을 향상시키며, 다양한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에 대해 상술하도록 한다.
도 3 은 도 2의 Ⅰ - Ⅰ 선을 취한 단면도, 도 4 는 실시예의 다이얼과 센서의 배치에 평면적 개념도, 도 5는 실시예의 다이얼과 센서의 배치에 수직적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이동 단말기(300)는 외관을 이루는 본체(301), 본체(301)의 일면에 노출되게 장착되어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51), 본체(30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적어도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복수개의 마그네틱(114)이 배치된 다이얼(110) 및 다이얼(110)의 회전에 따른 스위칭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미도시)에 송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다이얼(110)과 센서(120)를 키 데이터 입력부로 통칭할 수 있다.
다이얼(110)은 본체(30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이얼(110)은 제1케이스(301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다이얼(110)의 형상은 제한이 없지만, 디스플레이부(351)와 일체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부(35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디스플레이부(351)의 테두리와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이얼(110)은 평면 상에서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이얼(110)은 디스플레이부(351)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윈도우홀(111)과, 윈도우홀(111)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베젤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홀은 디스플레이부(351)가 외부로 노출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면에서 보아, 윈도우홀(111)은 디스플레이부(351)의 테두리를 감싸는 폐루프(Closed-loop)를 형성하게 된다.
베젤부(112)는, 윈도우홀(111)의 테두리를 형성한다.
또한, 베젤부(112)는 본체(30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301)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베젤부(112)는 본체(301)의 상면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케이스에는 베젤부(112)에 대응되는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베젤부(112)는 상부에서 보아, 회전의 편리함을 위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사각형, 육각형 등의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베젤부(112)는 디스플레이부(351)의 테두리를 감싸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베젤부(112)의 상면은 본체(301)의 상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다이얼(110)이 본체(301)의 일부로 사용자에게 인식됨으로써, 이동 단말기(300)의 심미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더욱 구체적으로, 베젤부(112)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디스플레이부(351)와 수직적(도 3 기준)으로 중첩될 수 있다. 따라서, 다이얼(110)의 베젤부(112)는 키 입력 데이터를 입력하는 역할과, 디스플레이부(351)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베젤부(112)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디스플레이부(351)의 상에 위치될 수있다.
그리고, 베젤부(112)의 측면은 제1케이스(301a)에 의해 감싸지게 배치될 수 있다.
베젤부(112)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베젤부(112)는 케이스들의 재질과 동일의 재질 또는 이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이동 단말기(300)의 외관의 미감을 향상하기 위해서, 베젤부(112) 중 외부로 노출되는 면(상면)에는 베젤부(112)의 이질의 재질의 데코부재가 위치될 수 있다.
데코부재는 이동 단말기(300)이 외관의 미감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는 있고, 예를 들면, 메탈(Metal)의 느낌을 주는 재질이 사용될 수 있고, 다양한 문양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메탈소재의 장식부재를 사용하는 경우, 정전식 터치센서(120)를 사용하고는 경우, 커패시턴스 간섭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부(351)의 상부에는 디스플레이부(351)를 보호하는 윈도우(351a)가 배치되고, 디스플레이부(351)의 아래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60)가 배치될 수 있다.
베젤부(112)는 제1케이스(301a)에 형성된 단턱에 베어링(117)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베어링(117)은 베젤부(112)와 제1케이스(301a)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한다. 예를 들면, 베어링(117)은 스러스트 볼 베어링(Thrust ball bearing)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제1케이스(301a)의 상부에 베어링(117)이 위치되고, 베어링(117)의 상부에 베젤부(112)가 위치되어서, 베젤부(112)가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며, 본체(301)와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물론,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베어링(117)의 내륜은 베젤부(112)의 외측면과 접촉되고, 베어링(117)의 외륜은 제1케이스(301a)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구성도 가질 수 있다.
베젤부(112)가 디스플레이부(351)를 감싸게 배치되면, 사용자가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기 위해 베젤부(112)를 회전시킬 때,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에서 손으로 돌리기 적당한 크기를 가지므로, 편리한 이점을 있다.
다이얼(110)에는 다이얼(110)의 회전에 의해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복수 개의 마그네틱(114)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마그네틱(114)은 베젤부(112)에 위치될 수 있다. 마그네틱(114)이 위치는 제한이 없지만, 센서(120)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120)는 본체(301)의 내부에 위치되므로, 베젤부(112)의 하면에 마그네틱(114)이 위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마그네틱(114)은 베젤부(112)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틱(114)은 자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 예로 영구자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마그네틱(114)은 N극성을 가질 수 있고, 제2 마그네틱(114)은 S극성을 가질 수 있다. 물론, 그 반대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마그네틱(114)은 제1극성을 가지는 제1마그네틱(114a)과 제1극성과 반대극성을 가는 제2마그네틱(114b)을 포함할 수 있고, 베젤부(112)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제1마그네틱(114a)과 제2마그네틱(114b)이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제1마그네틱(114a)과 제1마그네틱(114a)의 크기는 제한이 없고, 센서(120)에 자성이 감지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120)가 하나가 사용되어서, 회전 방향을 인지하지 못하고, 자성의 변화에 따라 클럭신호 '0-1'과, '1-0'을 발생시키는 경우, 제1마그네틱(114a) 또는 제2마그네틱(114b)이 형성하는 부채꼴의 중심각을 설정하여서, 사용자가 베젤부(112)를 회전하여 키 일력 데이터를 발생키는 최소 회전각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마그네틱(114a) 또는 제2마그네틱(114b)이 형성하는 부채꼴의 중심각 15도 내지 30도 를 가지면, 사용자가 베젤부(112)를 회전시키는 경우, 최소 15도 내지 30도를 회전시켜야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센서(120)는 다이얼(110)의 회전에 따른 스위칭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송출한다.
센서(120)는 N극과 S극 중 어느 한 극의 자기장을 검출하여 클럭신호를 발생시키는 자기장 검출센서 또는 홀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센서(120)는 N극과 S극 중 어느 한 극에서 다른 한극으로 자기장이 변하는 것을 검출하여 클럭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센서(120)에서 발생된 클럭신호를 기준으로 제어부는 사용자 명령을 판단하고 이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서, 이동 단말기(300)를 제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센서(120)는 본체(301) 내에 위치되는 인쇄회로기판(130)에 장착되고, 베젤부(112)와 수직적으로 중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센서(120)와 베젤부(112)는 기설정된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센서(120)는 단일체가 사용될 수 있지만, 제1센서(120a) 및 제1센서(120a)와 인접한 제2센서(120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센서(120)가 제1센서(120a) 및 제1센서(120a)와 인접한 제2센서(120b)를 포함하는 경우, 제1마그네틱(114a) 또는 제2마그네틱(114b)의 폭(d1)(호의 길이를 의미함)은 적어도 제1센서(120a) 및 제2센서(120b)의 이격거리(d2) 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겨우, 2개의 센서(120)의 의해 베젤부(112)의 회전방향과 회전정도를 통해 다양한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베젤부(112)와 센서(120)의 작동은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2개의 센서(120)를 사용하는 경우, 별도의 탄성수단에 의해 베젤부(112)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필요가 없어지는 장점을 가진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의 작동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이얼(11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센서(120a)와 제2센서(120b)의 검출영역을 제1마그네틱(114a)과 제2마그네틱(114b)이 지나가면서, 제1센서(120a)와 제2센서(120b)에 검출되는 자기장의 극성을 변화시킨다.
제1센서(120a) 및 제2센서(120b)는 검출된 극성정보를 N극성은 '0'으로, S극성은 '1' 로 제어부에 송출할 수 있다.
특히, 제1마그네틱(114a) 또는 제2마그네틱(114b)의 폭(d1)(호의 길이를 의미함)은 적어도 제1센서(120a) 및 제2센서(120b)의 이격거리(d2) 보다 큰 경우, 다이얼(11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1센서(120a)의 클럭신호는 '0-0-1-1-0'의 순서로 변하게 되고, 제2센서(120b)의 클럭신호는 '0-1-1-0-0'의 순서로 변하게 된다. 제2센서(120b)가 제1센서(120a)에 비하여, 다이얼(110)의 원주 방향에서 시계방향으로 위치되어 있는 경우, 상술한, 제1센서(120a) 및 제2센서(120b)의 클럭신호 변화를 다이얼(110)의 시계방향 회전으로 검출할 수 있다.
물론, 도 7과 같이, 다이얼(11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술한 설명이 반대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제1센서(120a) 및 제2센서(120b)를 통해 입력된 클럭신호를 바탕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디스플레이부(351)를 통해서 제공되는 각종 메뉴를 검색 및 조회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300: 이동단말기
110: 다이얼
114: 마그네틱
120: 센서

Claims (7)

  1. 외관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에 노출되게 장착되어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적어도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복수개의 마그네틱이 배치된 다이얼; 및
    상기 다이얼의 회전에 따른 스위칭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송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얼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윈도우홀과,
    상기 윈도우홀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베젤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젤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테두리를 감싸게 배치되며,
    상기 마그네틱은 상기 베젤부에 원주방향으로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본체 내에 위치되는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고, 상기 베젤부와 수직적으로 중첩되게 위치되며,
    상기 마그네틱은 상기 베젤부에 원주방향으로 제1극성을 가지는 제1마그네틱과, 제1극성과 반대극성의 제2극성을 가지는 제2마그네틱이 교대로 배치되며,
    상기 센서는 제1센서 및 상기 제1센서와 인접한 제2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마그네틱 또는 제2마그네틱의 폭은 적어도 상기 제1센서 및 제2센서의 이격거리 보다 크며,
    상기 각 제1마그네틱의 일단은 상기 각 제2마그네틱의 일단과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부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수직적으로 중첩되는 이동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부의 상면에는 데코부재가 배치되는 이동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부는 상기 본체에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는 이동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N극과 S극 중 어느 한 극의 자기장을 검출하여 클럭신호를 발생시키는 자기장 검출센서 또는 홀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로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기.



  6. 삭제
  7. 삭제
KR1020140031199A 2014-03-17 2014-03-17 이동 단말기 KR102206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199A KR102206457B1 (ko) 2014-03-17 2014-03-17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199A KR102206457B1 (ko) 2014-03-17 2014-03-17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236A KR20150108236A (ko) 2015-09-25
KR102206457B1 true KR102206457B1 (ko) 2021-01-21

Family

ID=54246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1199A KR102206457B1 (ko) 2014-03-17 2014-03-17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4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0571A1 (ko) * 2021-04-14 2022-10-20 삼성전자 주식회사 휠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WO2022260290A1 (ko) * 2021-06-08 2022-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장 데이터를 보정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39023B (zh) * 2018-09-29 2021-08-24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可穿戴设备的定位方法及可穿戴设备
KR20210063120A (ko) * 2019-11-22 2021-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 획득을 위한 생체 센서 및 전극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22018A (ko) * 2021-08-06 2023-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환형 부재의 회전 각도 인식 방법 및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1099A (ja) * 1998-03-19 1999-10-05 Seiko Epson Corp 情報処理装置
KR101405934B1 (ko) * 2007-08-29 201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 회전 감지 기능을 갖는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0571A1 (ko) * 2021-04-14 2022-10-20 삼성전자 주식회사 휠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WO2022260290A1 (ko) * 2021-06-08 2022-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장 데이터를 보정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236A (ko) 2015-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9740B2 (en) Mobile terminal case and mobile terminal
US9880524B2 (en) Watch type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206457B1 (ko) 이동 단말기
US979468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927323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2977880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US10558239B2 (en) Layered accessory case for electronic device and cradling device thereof
KR102497528B1 (ko) 와치타입 단말기
US11042127B2 (en) Watch-type mobile terminal an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US20170052566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64773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339871A (zh) 用于电子设备的旋转输入机构
CN107924159B (zh) 电子设备
KR20150081169A (ko) 이동 단말기
JP2018205150A (ja) 電子機器及びウェアラブル機器
US20170070254A1 (en) Mobile terminal
KR102223606B1 (ko) 터치 스크린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60016412A (ko) 폴리오 케이스,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1606452B2 (en) Mobile terminal
KR102227290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86914B1 (ko) 이동 단말기
US10488825B2 (en) Mobile terminal module and watch type mobile terminal
KR20170033162A (ko)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
KR20170004648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101516640B1 (ko) 스마트 스탬프, 스탬프 어셈블리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