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9321A - 광디스크 장치 - Google Patents

광디스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9321A
KR20030009321A KR1020027006192A KR20027006192A KR20030009321A KR 20030009321 A KR20030009321 A KR 20030009321A KR 1020027006192 A KR1020027006192 A KR 1020027006192A KR 20027006192 A KR20027006192 A KR 20027006192A KR 20030009321 A KR20030009321 A KR 20030009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disk
clamper
turntabl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6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리요시유지
노다요스케
하시즈메미치노리
이시오카기요시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9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932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009Turntables, hubs and motors for disk drives; Mounting of motors in the driv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4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clampers
    • G11B17/0285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clampers mounted on a bridge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광디스크 장치는, 디스크 로딩 동작과 디스크 회전 동작과 픽업 이송 동작을 2개의 모터로 행할 수 있고, 또한, 외부로부터의 진동의 흡수와 턴테이블의 회전에 따르는 진동 발생의 억제를 도모할 수 있도록, 장치 베이스(10)과, 턴테이블(5) 및 그 구동용의 제1 모터 및 광 픽업(6) 및 그 구동 기구를 탑재한 트래버스 베이스(20)와, 양쪽 베이스간에 배치되어 장치 베이스에 대하여 상하로 회전이동 가능하게 탄성체를 개재하여 트래버스 베이스를 지지하는 중간 베이스(80)를 구비함과 아울러, 로딩 구동 기구와 픽업 구동 기구를 구동하는 정역 회전가능한 제2 모터(4)의 구동력의 전달 경로를 양쪽 구동 기구 사이에서 전환하는 동력 전달 경로 전환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모터를 한쪽 방향으로 연속 회전시킴으로써 광 픽업의 이동과 턴테이블의 승강과 디스크 이송이 이 순서로 대략 연속해서 행하여진다.

Description

광디스크 장치{OPTICAL DISK UNIT}
이러한 디스크 장치로서, 장치의 앞면 패널(panel)에 디스크 트레이(disk tray) 출납용의 개구부가 설치되고, 이 개구부로부터 나온 트레이 위에 디스크가 장착된 후, 그 디스크가 트레이마다 자동적으로 장치 내부의 소정 위치[턴테이블(turn-table)에의 착탈(着脫) 위치]로 인입되도록 구성한 것은 종래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 타입의 디스크 장치에서는, 장치 내부로 인입된 디스크를 턴테이블 위에 장착하여 클램퍼(clamper)와의 사이에 끼워 넣은 상태로 소정의 회전수로 회전시키면서, 예를 들면 재생할 경우에 있어서는, 이 디스크 위에 기록된 정보신호를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한다. 다시 말해, 디스크 위의 소정 범위에 기록된 신호의 트랙(track) 위치에 따라, 신호를 판독하기 위한 광 픽업(pick-up)을 이동시킴으로써, 정보 신호의 재생이 실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타입의 디스크 장치에서는, 모터(motor) 구동력을 필요로 하는 기본적인 동작으로서, 트레이를 구동하여 디스크를 장치 외부의 트레이에의 착탈 위치와 장치 내부의 턴테이블의 착탈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디스크 로딩(disk loading) 동작과, 턴테이블을 구동하여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디스크 회전 동작과, 상기 광 픽업을 주로 하여 디스크의 외주(外周)측과 내주(內周)측과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픽업 이송 동작의 세 가지 동작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종래에는, 이들 세 가지 동작을 각각 별개의 모터를 구동원으로서(즉, 총 3개의 모터를 써서) 실행하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에 대하여,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평 3-49682호 공보(이하, 이것을 종래 기술 1이라고 칭한다.)에는, 디스크의 출납 및 디스크의 처킹(chucking) 및 픽업의 구동을 단일 로딩 모터를 정역(正逆) 회전 제어하여 실행함으로써, 모터수를 2개로 삭감하도록 한 디스크 플레이어(디스크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종래 기술 1에 관계되는 구성에서는, 장치 케이스(case)와 실질적으로 일체로 고정 섀시(chassis)가 설치되고, 이 고정 섀시에 턴테이블 및 그 구동용의 모터가 부착되어 있다. 다시 말해, 턴테이블의 상하 위치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디스크의 출납을 행할 때에는, 턴테이블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서 디스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턴테이블 위에 탑재된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대하여 고정(clamp)하기 위해서, 클램퍼(clamper)쪽[척(chuck)판]을 상하 방향으로 구동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종래 기술 1의 디스크 장치에서는, 트레이의 디스크 탑재면에 대하여 디스크를 들어 올리는 디스크 홀더(holder)를 설치하고, 트레이의 이동 타이밍에 따라서 이 디스크 홀더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킴으로써, 디스크 출납시에 있어서의 디스크와 턴테이블과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척 암(chuck arm)을 개재하여 고정 섀시에 대하여 상하로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된 척판을 설치하고, 디스크의 착탈 타이밍에 따라서 이 척판을 상하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디스크의 턴테이블에 대한 고정 및 고정 해제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장치의 구조 및 각 구성 요소의 작동이 상당히 복잡하게 되고, 구조의 간소화 및 양호한 작동을 안정하게 하는 데에는 불리하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 1의 디스크 장치에서는, 트레이 및 그 구동 계통을 제외한 모든 구동 부품은 상기 고정 섀시에 설치되어 있으며, 게다가, 이들 부품은 고정 섀시에 대하여 강결 구조(강(rigid)하게)로 부착/지지되어 있으므로, 장치(디스크 플레이어)에 충격 하중이 가해졌을 경우 혹은 진동 입력이 있었을 경우에는, 이들 충격 하중 혹은 진동력이 고정 섀시로부터 직접적으로 각 구동 부품에 작용하게 되어 큰 손상(damage)를 입기 쉽고, 이들 외력의 작용에 대한 디스크 장치의 내구성의 향상을 꾀하는 데에는 불리하게 된다.
또한, 각 구성 부품이 고정 섀시에 대하여 강하게 부착/지지되어 있는 관계로, 부품의 상호 위치 관계를 아주 정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어서, 부품 제작 및 조립 작업에 대해서 매우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며, 특히 대량생산을 전제로 했을 경우에는, 생산성을 높이는 데에도 불리하게 된다.
이러한 모든 문제에 대하여, 본원 출원인은, 일본국 특원평 11-23833호(이하, 이것을 종래 기술 2라고 칭한다.)에 있어서, 장치 본체의 기부(基部)를 구성하는 제1 베이스(base)(장치 베이스)와 별체로 그 제1 베이스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 또는 회전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2 베이스(트래버스 베이스; traverse base)가 설치되고, 그 제2 베이스에 상기 턴테이블 및 그 턴테이블을 회전 구동하는 제1 모터와 상기 광 픽업 및 픽업 구동 기구를 탑재한 기본구성을 가지며, 모터의 사용 개수를 삭감할 수 있는 동시에, 구조를 보다 간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충격이나 진동의 작용에 대한 내구성의 향상, 게다가 생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게 한 광디스크 장치를 제안했다.
이 광디스크 장치에서는, 상기 제2 베이스는, 그 일단(一端)측의 좌우 2군데가 플로팅 부시(floating bush)를 개재하여, 또한, 타단(他端)측의 1군데가 플로팅 칼라(floating collar) 및 플로팅 스프링(floating spring)으로 지지된 기어(캠 기어(cam gear))을 개재하여, 제1 베이스에 대하여 일정 범위 내(즉, 상기 플로팅 부시, 플로팅 칼라 및 플로팅 스프링의 탄성범위 내)에 부동가능한 상태(플로팅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2군데의 플로팅 부시는 제2 베이스를 제 1베이스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 또는 회전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기능도 아울러 가지고 있다.
즉, 상기 제2 베이스는 제1 베이스에 대하여 강결 구조로(강하게) 지지되지 않고 상기 각 완충 부재(플로팅 부시, 플로팅 칼라 및 플로팅 스프링)의 탄성 범위 내에서 제1 베이스에 대하여 부동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디스크 장치에충격 하중이 가해졌을 경우, 혹은 진동 입력이 있었을 경우에도, 상기 완충 부재로 충격 혹은 진동을 흡수할 수 있고, 이들 충격 하중 혹은 진동력이 제1 베이스로부터 직접적으로 제2 베이스의 각 기구 부품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충격이나 진동의 작용에 대한 디스크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강결 구조로(즉, 강하게) 지지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제1 베이스 및 제2 베이스에 각각 부착된 기구 부품에 대해서, 부품의 상호 위치 관계를 부동가능한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고, 부품 제작 및 조립 작업의 정밀도를 어느 정도 낮게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을 높일 수도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소위 CD(Compact·Disk) 또는 소위 DVD (Digital·Video·Disk 또는 Digital·Versatile·Disk) 등, 정보 기록 매체로서의 광디스크(이하, 간단히 디스크라고 한다.)에 정보신호를 기록 및/또는 기록된 정보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광디스크 장치(이하, 간단히 디스크 장치라고 한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디스크 장치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디스크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일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상기 디스크 장치의 트래버스 베이스와 장치 베이스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이다.
도 6은 상기 트래버스 베이스의 장치 베이스에 대한 지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단면 측면도이다.
도 7은 상기 트래버스 베이스가 장치 베이스에 대해 경사지는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단면 측면도이다.
도 8은 상기 트래버스 베이스에 장착된 플로팅 부시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종단면 설명도이다.
도 9는 상기 디스크 장치의 구동 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일련의 평면 설명도 중 하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상기 구동 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일련의 평면 설명도 중 하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상기 구동 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일련의 평면 설명도 중 하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상기 구동 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일련의 평면 설명도 중 하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상기 구동 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일련의 평면 설명도 중 하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상기 구동 기구의 동력 전달 경로의 전환 동작을 나타내는 일련의 확대 평면 설명도 중 하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상기 구동 기구의 동력 전달 경로의 전환 동작을 나타내는 일련의 확대 평면 설명도 중 하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상기 구동 기구의 동력 전달 경로의 전환 동작을 나타내는 일련의 확대 평면 설명도 중 하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상기 구동 기구의 동력 전달 경로의 전환 동작을 나타내는 일련의 확대 평면 설명도 중 하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상기 구동 기구의 동력 전달 경로의 전환 동작을 나타내는 일련의 확대 평면 설명도 중 하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트레이와 트레이 구동 기어의 걸어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평면 설명도이다.
도 20은 트레이 저장 상태를 나타내는 상기 디스크 장치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21은 트레이 인출 상태를 나타내는 상기 디스크 장치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22는 상기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클램프 기구를 나타내는 확대 평면 설명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Y23-Y23선에 따른 디스크 클램프 기구의 종단면 설명도이다.
도 24는 상기 구동 기구의 캠 기어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Y25-Y25 화살표 방향에서 본 캠 기어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26은 도 24의 Y26-Y26 화살표 방향에서 본 캠 기어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27은 도 24의 Y27-Y27 화살표 방향에서 본 캠 기어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28은 도 24의 Y28-Y28 화살표 방향에서 본 캠 기어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29는 상기 캠 기어의 종단면에 있어서의 외형을 나타내는 부분단면 설명도이다.
도 30은 상기 구동 기구의 이송 랙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Y31-Y31 화살표 방향에서 본 이송 랙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32는 상기 이송 랙의 배면 설명도이다.
도 33은 도 30의 Y33-Y33 화살표 방향에서 본 이송 랙이 측면 설명도이다.
도 34는 도 30의 Y34-Y34 화살표 방향에서 본 이송 랙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35는 도 36의 Y35-Y35 화살표 방향에서 본 트리거 레버(trigger lever)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36은 상기 구동 기구의 트리거 레버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37은 도36의 Y37-Y37선에 따른 트리거 레버의 종단면 설명도이다.
도 38은 상기 구동 기구의 로커 레버(locker lever)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39는 도 38의 Y39-Y39 화살표 방향에서 본 로커 레버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40은 도 38의 Y40-Y40 화살표 방향에서 본 로커 레버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41은 도 42의 Y41-Y41 화살표 방향에서 본 로커 레버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42는 상기 구동 기구의 로커 레버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43은 도 42의 Y43-Y43 화살표 방향에서 본 로커 레버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44A는 상기 디스크 장치 디스크 클램프 기구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클램퍼의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 44B는 상기 디스크 클램프 기구로 디스크를 끼워 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 설명도이다.
도 45A는 상기 디스크 클램프 기구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는 클램퍼의 디스크 클램프 동작을 나타내는 일련의 부분 확대단면 설명도 중 하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5B는 상기 클램퍼의 디스크 클램프 동작을 나타내는 일련의 부분 확대단면 설명도 중 하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5C는 상기 클램퍼의 디스크 클램프 동작을 나타내는 일련의 부분 확대단면 설명도 중 하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6A는 상기 클램퍼의 디스크 가압에 의한 휘어짐 교정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중 하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6B는 상기 클램퍼의 디스크 가압에 의한 휘어짐 교정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중 하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7A는 상기 디스크 클램프 기구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는 클램퍼의 디스크 클램프 동작을 나타내는 일련의 단면 설명도 중 하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7B는 상기 클램퍼의 디스크 클램프 동작을 나타내는 일련의 단면 설명도 중 하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7C는 상기 클램퍼의 디스크 클램프 동작을 나타내는 일련의 단면 설명도 중 하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8은 상기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클램프 기구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9A는 상기 디스크 클램프 기구에 있어서의 클램퍼의 디스크 클램프 동작을 나타내는 일련의 부분 확대단면 설명도 중 하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9B는 상기 클램퍼의 디스크 클램프 동작을 나타내는 일련의 부분 확대단면 설명도 중 하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9C는 상기 클램퍼의 디스크 클램프 동작을 나타내는 일련의 부분 확대단면 설명도 중 하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0A는 상기 디스크 클램프 기구의 변형 예에 있어서의 클램퍼의 디스크 클램프 동작을 나타내는 일련의 부분 확대단면 설명도 중 하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0B는 상기 변형 예에 있어서의 클램퍼의 디스크 클램프 동작을 나타내는 일련의 부분 확대단면 설명도 중 하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0C는 상기 변형 예에 있어서의 클램퍼의 디스크 클램프 동작을 나타내는 일련의 부분 확대단면 설명도 중 하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1은 상기 디스크 장치의 트래버스 베이스에의 기어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2는 로딩 구동 기어열이 조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트래버스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53은 상기 디스크 장치의 픽업 가이드 로드(pickup guide rod)의 조립 상태 및 픽업의 어스(earth) 기구를 나타내는 종단면 설명도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상세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크 장치 5 : 턴테이블
6 : 광 픽업 9 : 디스크
10 : 장치 베이스 20 : 트래버스 베이스
22, 23 : 가이드 로드 29 : 플로팅 부시
30 : 캠기어 38 : 플로팅 칼라
40 : 이송 랙 51 : 랙 구동 기어열
55 : 트레이80 : 중간 베이스
그런데, 예를 들면 DVD와 같이, 기록 밀도가 높고, 보다 고속으로의 회전(예를 들면 상기 DVD의 경우, 종래의 CD에 비하여 회전수가 약 2배에 가깝다)이 요구되는 디스크에서는, 정보 신호의 기록 및/또는 판독에 대해서도 보다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며, 진동에 대하여 보다 민감해서 그 영향이 보다 크게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은 보다 고속의 회전을 행하는 디스크(다시 말해, 정보 신호의 기록 및/또는 판독에 대해서 보다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는 디스크)에 대하여 상기 종래 기술 2의 구성을 채용할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데에는, 종래 기술 2에 있어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2 베이스를 제1 베이스에 대하여 지지하는 플로팅 지지 기구를 비교적 탄성이 높은(즉, 비교적 부드러운)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턴테이블을 탑재하는 제2 베이스에는 다른 각종부품이나 기구가 다수 설치되어지므로, 턴테이블의 위치와 제2 베이스의 중심 위치가 일치한 배치 구조로 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어렵고, 턴테이블은 제2 베이스의 중심으로부터 어느 정도 오프셋(offset)한(치우친) 위치에 설치되게 된다. 이렇게 중심으로부터 치우친 위치에 있는 턴테이블이 회전했을 경우, 이 회전에 의해 제2 베이스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이 고려되고, 특히, 턴테이블의 회전수가 높을 경우에는, 정보 신호의 기록 및/또는 판독 정밀도에 미치는 영향도 커진다.
이러한 턴테이블의 회전에 따라서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을 억제하는 데에는, 제2 베이스를 제1 베이스에 대하여 지지하는 플로팅 지지 기구를 비교적 탄성이 낮은(즉, 비교적 단단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정보 신호의 기록 및/또는 판독에 대해서 보다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는 디스크에 대하여 상기 종래 기술 2의 구성을 채용할 경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진동의 흡수와 턴테이블의 회전에 따른 진동의 억제를 함께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제2 베이스를 제1 베이스에 대하여 지지하는 플로팅 지지 기구의 탄성을 알맞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 기술 2의 광디스크 장치에서는, 제2 베이스의 일단측의 좌우 2군데를 플로팅 지지하는 플로팅 부시는, 제2 베이스를 제1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이동 기능도 아울러 가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플로팅 지지 기구는 어느 정도 이상 탄성이 높은(부드러운) 구성으로 할 필요가 있으며, 그 탄성에 관한 설정 범위가 제한되어 있다. 즉,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진동의 흡수와 턴테이블의 회전에 따른 진동의 억제를 함께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제2 베이스를 제1 베이스에 대하여 지지하는 플로팅 지지 기구의 탄성을 알맞게 설정하는 것은 어렵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DVD와 같은, 정보 신호의 기록 및/또는 판독에 대해서 보다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는 디스크에서는, 광 픽업으로부터의 광 빔을 디스크면에 대하여 정밀도 좋게 조사시키고, 또, 디스크면에서 반사한 빛을 정밀도 좋게 수광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디스크면과 광 빔과의 각도를 보다 엄격하게 규제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보통, 디스크에는 어느 정도의 휘어짐이나 구부러짐 등의 변형이 존재하고 있어, 이들 디스크 변형에 대응하여 디스크면과 광 빔과의 각도를 보다 엄격하게 규제하기 위해서는 광 픽업의 이송 기구나 디스크 클램프 기구 등에 대해서 상당히 복잡한 구성이 필요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스크 로딩 동작, 디스크 회전 동작 및 픽업 이송 동작을 2개의 모터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한 광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진동의 흡수와 턴테이블의 회전에 따라서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의 억제를 함께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고, 또,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디스크의 변형에 대응하여 디스크면과 광 빔과의 각도를 엄격하게 규제할 수 있게 하는 것을 기본적인 목적으로 하여 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원의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이하, 제1 발명이라고 한다)은, 광디스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턴테이블과, 그 턴테이블로 회전하게 되는 광디스크에 정보신호를 기록하거나/또는 광디스크에 기록된 정보신호를 판독하는 광 픽업과, 그 광 픽업을 광디스크의 내주측(內周側)과 외주측(外周側)과의 사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이동시키는 픽업 구동 기구와, 상기 광디스크를 턴테이블 윗쪽의 제1 위치와 장치 외부의 제2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이송하는 디스크 로딩 기구를 구비한 광디스크 장치로서,
장치 본체의 기부를 구성하는 제1 베이스와, 상기 턴테이블 및 그 턴테이블을 회전 구동하는 제1 모터와 상기 광 픽업 및 픽업 구동 기구를 탑재한 제2 베이스와,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베이스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또는 회전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탄성체를 개재하여 상기 제2 베이스를 지지하는 중간 베이스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또는 제2 베이스에, 상기 디스크 로딩 기구를 구동하는 로딩 구동 기구와, 그 로딩 구동 기구 및 상기 픽업 구동 기구에 구동력을 주는 정역 회전 가능한 제2 모터와, 그 제2 모터의 구동력의 전달 경로를 상기 로딩 구동 기구측에 전달하는 경로와 픽업 구동 기구측에 전달하는 경로와의 사이에서 전환하는 동력전달경로 전환기구가 설치되며, 상기 제2 모터를 제1 회전방향으로 연속해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광 픽업의 이동 동작과 턴테이블의 승강 동작과 광디스크의 이송 동작이 이 순서로 대략 연속해서 실행되며, 상기 제2 모터를 상기 제1 회전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연속해서 회전시킴으로써 이들 각 동작이 상기와는 역방향으로 반대의 순서로 대략 연속해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제1 베이스와 별체로 턴테이블을 부착한 제2 베이스가 중간 베이스와 함께 제1 베이스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 또는 회전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1개의 모터(제2 모터)를 정방향(제1 회전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연속해서 회전시킴으로써, 광 픽업의 이동 동작과 턴테이블의 승강 동작과 디스크의 이송 동작이 이 순서로 대략 연속하여, 또는 역방향으로 반대의 순서로 대략 연속하여 실행된다. 따라서, 디스크의 출납을 행할 때, 디스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턴테이블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턴테이블을 장치한 제2 베이스를 제1 베이스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또는 회전이동시키는 동작을 이용하여 디스크의 턴테이블에 대한 고정(클램프) 및 고정 해제를 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광 픽업의 이동 동작과 턴테이블의 승강 동작과 디스크의 이송 동작을 1개의 모터로 행할 수 있으므로, 턴테이블 회전 구동용의 제1 모터와 아울러 총 2개의 모터로 디스크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고, 모터의 사용 개수를 삭감함으로써 장치의 구조를 보다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베이스가 제1 베이스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 또는 회전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중간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제2 베이스가 탄성체를 개재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제1 베이스에 대한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 또는 회전이동 동작의 지지와 제2 베이스의 탄성 지지를 따로따로 시행할 수 있고, 중간 베이스를 갖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제2 베이스를 탄성지지하는 지지부의 탄성에 관한 설정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그 결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진동의 흡수와 턴테이블의 회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의 억제가 동시에 달성된다.
또한, 본원의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이하, 제2 발명이라 한다)은, 상기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간 베이스는, 제1 베이스에 형성된 개구 내에 배치됨과 아울러, 그 일단측을 중심으로 해서 상기 제1 베이스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편, 제1 베이스에는, 중간 베이스의 타단측의 근방에 위치해서 그 중간 베이스 타단측을 승강시키는 캠 홈을 외주부(外周部)에 갖는 캠 기어가 배치되고, 상기 로딩 구동 기구는 복수의 기어로 이루어지는 로딩 구동 기어열을 갖추고 있으며, 그 로딩 구동 기어열의 최종 출력 기어가 상기 캠 기어의 외주 톱니부와 맞물림으로써, 그 캠 기어가 회전하게 되어 상기 중간 베이스의 타단측을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로딩 구동 기어열로부터의 동력전달로 캠 기어가 회전하게 되어 중간 베이스의 타단측이 승강하게 됨으로써, 중간 베이스가(따라서, 제2 베이스도) 그 일단측을 중심으로 하여 제1 베이스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 다시 말해, 1개의 모터(제2 모터)의 구동에 의해, 중간 베이스 및 제2 베이스의 상하 방향으로의 회전이동 동작과(따라서, 턴테이블의 승강 동작과) 디스크의 이송 동작이 연계해서 행해진다.
더욱이, 본원의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이하, 제3 발명이라고 한다)은, 상기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캠 기어의 외주 톱니부는, 그 종단면에 있어서의 그 외형이, 상기 중간 베이스의 회전이동 동작에 따라 상기 로딩 구동 기어열의 최종 출력 기어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동할 때의 회전이동 궤적에 따른 원호 형상 혹은 이 원호에 근사한 직선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로딩 구동 기어열의 최종 출력 기어는, 중간 베이스의 회전이동 동작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동했을 경우에도, 캠 기어의 외주 톱니부와 확실하면서도 원활하게 맞물린다.
또한, 더욱이, 본원의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이하, 제4 발명이라고 한다)은, 상기 제2 또는 제3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간 베이스의 타단측에는 돌기부가 설치되고, 그 돌기부가 상기 캠 기어의 캠 홈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중간 베이스 타단측의 상하 방향의 위치 결정이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중간 베이스 및 제2 베이스 타단측의 제1 베이스에 대한 상하방향 위치는, 캠 홈과 돌기부의 걸어맞춤에 의해 확실하게 정해짐으로써, 제1 베이스 위의 기구부품과 제2 베이스 위의 기구부품과의 정확하면서도 확실한 걸어맞춤이 가능해진다.
또한, 더욱이, 본원의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이하, 제5 발명이라고 한다)은, 상기 제2 내지 제4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로딩 기구는 디스크를 탑재시키는 트레이를 구동하는 트레이 구동 기어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캠 기어의 외주 톱니부는, 상기 중간 베이스가 제1 베이스에 대하여 소정 위치까지 아랫쪽으로 회전이동한 상태로, 상기 트레이 구동 기어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트레이는 중간 베이스가(따라서, 제2 베이스도) 확실하게 아랫쪽으로 회전이동한 상태로 구동된다. 따라서, 트레이 구동시(즉, 디스크 이송시), 트레이가(즉, 디스크가) 턴테이블과 간섭하는 것이 확실하게 회피된다.
또한, 더욱이, 본원의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이하, 제6 발명이라고 한다)은, 상기 제2 내지 제5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픽업 구동 기구는, 광 픽업을 이동시키는 이송 랙(rack)과, 그 이송 랙을 구동하는 복수의 기어로 이루어지는 랙 구동 기어열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이송 랙은 광 픽업을 상기 광디스크의 신호 기록 범위의 가장 안쪽 둘레 단부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더욱 내주측의 소정 위치까지 이동가능해서, 이송 랙이 이 내주측의 소정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그 이송 랙이 상기 동력 전달 경로 전환 기구와 걸어 맞춰지고, 이 걸어맞춤 상태로 상기 제2 모터의 구동력의 전달 경로가 상기 픽업 구동 기구측에 전달하는 경로로부터 상기 로딩 구동 기구측에 전달하는 경로로 전환되고, 상기 이송 랙이 상기 소정 위치로부터 디스크 외주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동력 전달 전환 기구와의 걸어맞춤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상기 제2 모터의 구동력의 전달 경로가 상기 로딩 구동 기구측에 전달하는 경로로부터 상기 광 픽업 구동 기구측에 전달하는 경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이송 랙이, 광 픽업을 디스크의 신호 기록 범위의 가장 안쪽 둘레 단부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더욱 내주측의 소정 위치까지 이동함으로써, 또는, 이 소정 위치로부터 디스크 외주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제2 모터의 구동력의 전달 경로가 전환된다. 따라서, 1개의 모터(제2 모터)의 구동에 의해, 광 픽업의 신호 판독 동작과 제2 모터의 구동력의 전달 경로의 전환이 연계해서 행하여진다.
또한, 더욱이, 본원의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이하, 제7 발명이라고 한다)은, 상기 제6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에 그 타단측에서 출몰가능한 규제 로드(rod)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중간 베이스에는 상기 규제 로드를 걸어 맞출 수있는 위치 결정용 구멍부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 랙은 제2 베이스의 일단측에서 타단측으로 이동해서 소정 위치에 이르면 상기 규제 로드에 걸어 맞춰지고, 그 걸어맞춤 상태로 이송 랙이 더욱 타단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규제 로드가 제2 베이스의 타단측에서 돌출해서 상기 위치 결정용 구멍부 내에 끼워 맞춰지고, 탄성체를 개재한 중간 베이스와의 위치를 규제함으로써, 이송 랙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가로방향에 있어서의 제2 베이스의 제1 베이스에 대한 위치 결정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이송 랙이 소정 위치를 넘어서 타단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규제 로드가 구동되어 제2 베이스의 타단측에서 돌출한다. 이로써, 상기 규제 로드가 중간 베이스의 위치 결정용 구멍부 내에 끼워 맞춰지고, 이송 랙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가로방향에 있어서의 제2 베이스의 중간 베이스에 대한(따라서, 제1 베이스에 대한) 위치 관계가 정해진다. 이로써, 제1 베이스 위의 기구부품과 제2 베이스 위의 기구부품의 정확하면서도 확실한 걸어맞춤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1개의 모터(제2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이송 랙의 제2 베이스 타단측으로의 이동 동작과 상기 위치 결정 동작이 연계해서 행하여진다.
또한, 더욱이, 본원의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이하, 제8 발명이라고 한다)은, 상기 제1 발명에 있어서, 스핀들 모터(spindle motor)의 회전축에 고정한 턴테이블과 동심 위치에 탑재된 광디스크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클램퍼로 끼워두는 디스크 클램프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클램퍼는 상기 광디스크의 안쪽 가장자리 근방을 상기 턴테이블과 함께 끼워두는 중앙 클램퍼와, 상기 광디스크의 외주 근방과맞닿는 큰 클램퍼를 구비하며, 상기 턴테이블과 상기 클램퍼에 의한 디스크의 끼워짐이 해제될 때에는, 상기 턴테이블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클램퍼를 이송시키는 클램퍼 이송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클램퍼쪽으로 휘어진 디스크에 대해서, 정보신호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외주 근방에 큰 클램퍼를 맞닿게 하여 가압함으로써 그 휘어짐을 교정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의 휘어짐을 교정한 상태에서, 픽업의 광 빔을 조사 또는 반사시킬 수 있고, 디스크면과 광 빔과의 각도를 보다 엄격하게 규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스크에 휘어짐 등의 변형이 있을 경우일지라도, 이 변형에 대응하여 보다 정밀도가 높은 정보신호의 기록/판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외주를 맞붙혀 가압하는 지름이 큰 클램퍼를 턴테이블 윗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트레이를 방해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더욱이, 본원의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이하, 제9 발명이라고 한다)은, 상기 제8 발명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과 동심 위치에 지지된 상기 클램퍼와, 한쪽 편을 상기 클램퍼와 맞닿게 하고 다른 한쪽 편을 상기 클램퍼와 동심 위치에 탑재된 스프링 홀더(spring holder)에 맞닿게 한 스프링 부재와, 상기 클램퍼를 관통하여 상기 클램퍼와 상기 스프링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스프링 홀더에 고정되는 스프링 훅(spring hook)과, 상기 스프링 훅을 지지하는 클램프 판을 구비하고, 상기 턴테이블과 상기 클램퍼를 끼워 둘 때 이외에는 상기 스프링 훅이 상기 클램프 판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클램퍼와 상기 스프링 홀더에 개재된 스프링 부재에 의해 상기 클램퍼를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턴테이블과 클램퍼가 디스크를 끼워둘 때 이외에는, 스프링 훅이 클램프 판에 의해 지지되고, 동시에 스프링 훅에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 홀더도 지지된다. 이렇게 지지된 스프링 홀더와 클램퍼와의 사이에 장치된 스프링 부재로 상기 클램퍼를 이송시킨다. 즉, 클램프 판에 지지된 스프링 홀더와 클램퍼와의 사이에 장치된 스프링 부재가 가하는 힘에 의해, 상기 클램퍼를 턴테이블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더욱이, 본원의 청구항 10에 관한 발명(이하, 제10 발명이라고 한다)은, 상기 제8 발명에 있어서, 제1 자석(magnet)이 탑재된 상기 클램퍼와, 상기 클램퍼의 상기 턴테이블과는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설치된 클램프 판과, 상기 클램프 판에 탑재된 제2 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턴테이블과 상기 클램퍼를 끼워 둘 때 이외에는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의 자력으로 서로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클램퍼를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턴테이블과 클램퍼가 디스크를 끼워둘 때 이외에는, 제1 자석과 제2 자석이 자력으로 서로 끌어당김으로써 의해 클램퍼를 이송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광디스크 장치(이하, 디스크 장치 혹은 간단히 장치라고 한다.)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도 2는 이 디스크 장치의 분해 사시도, 또, 도 3 및 도 4는 이 도 2의 사시도의 일부를 각각 확대해서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된 디스크 장치(1)는, 장치(1)의 주요한 구성 요소에 대한 부착 기부로서의 장치 베이스(10)와, 장치(1)의 구동 기구의 대부분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의 트래버스 베이스(20)와, 이들 양쪽 베이스 부재 (10), (20)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베이스(8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장치 베이스(10) 및 중간 베이스(80)는 그 전체 형상이 평면도로 보면 대략 직사각형 프레임(frame)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장치 베이스(10)의 안쪽 개구부(10H) 안에 상기 중간 베이스(80)가 조립되고, 더욱이, 이 중간 베이스(80)의 안쪽 개구부(80H) 안에 상기 트래버스 베이스(20)가 조립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치 베이스(10), 트래버스 베이스(20) 및 중간 베이스(80)가 본원 청구항에 기재한 「제1 베이스」, 「제2 베이스」 및 「중간 베이스」에 각각 상당하고 있다.
상기 디스크 장치(1)에서는, 예를 들면 Digital·Versatile·Disk(소위 DVD)라고 하는 정보기록 매체로서의 디스크를 실어서 이송하는 트레이(55)가 장치 베이스(10)의 프레임에 따라 도 1 및 도 2에 있어서의 경사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다시 말해, 장치(1) 안에 있는 디스크를 외부로 인출할 때에는 트레이(55)가 도 1 및 도 2에 있어서의 왼쪽으로 경사져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디스크를 외부에서 장치(1) 안으로 인입할(삽입할) 때에는 트레이(55)가 도 1 및 도 2에 있어서의 오른쪽으로 경사져 위쪽으로 이동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디스크가(즉, 트레이(55)가) 장치(1) 안으로부터 인출되는 쪽(도 1 및 도 2에 있어서의 왼쪽으로 경사진 아래쪽)을 디스크 장치(1)의 앞쪽이라고 칭하고, 이와 반대로 디스크가 삽입되는 쪽(도 1 및 도 2에 있어서의 오른쪽으로 경사진 위쪽)을 디스크 장치의 뒤쪽이라고 칭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있어서의 위쪽 및 아래쪽을 장치(1)의 위쪽 및 아래쪽이라고 하는 것으로한다.
상기 장치 베이스(10)의 뒷부분(도 1 및 도 2에 있어서의 오른쪽으로 경사진 위쪽 부분)에는 좌우 한 쌍의 중간 베이스 지지부(11)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중간 베이스(80) 후단의 양쪽 부분에는 축부(軸部)(81)가 각각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 중간 베이스 지지부(11)는 윗쪽으로 뚫린 반원형의 잘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좌우의 중간 베이스 지지부(11)에 상기 각 축부(81)을 각각 끼워맞춤으로써, 중간 베이스(80)의 뒷부분이, 좌우의 중간 베이스 지지부(11)의 중심사이(즉, 좌우의 축부(81)의 축선사이)를 잇는 수평 직선(Lh)(도 5 참조)을 중심으로 하여, 장치 베이스(1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중간 베이스 지지부(11)의 예를 들면 바깥쪽 근방에는, 그 지지부(11)에 끼워맞춘 축부(81)가 빠지지 않도록, 축부(81)를 지지부(11)쪽으로 힘을 가하는 가압 기구(11S)(도 4 참조)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치 베이스(10) 앞 부분의 안쪽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홈부(13)(위치 결정 홈)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중간 베이스(80)의 전단부에는, 상기 위치 결정 홈(13)에 대응하는 부위에 돌기부(82)(위치 결정 돌기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 돌기부(82)를 상기 위치 결정 홈(13)에 끼워맞춤으로써, 중간 베이스(80)의 장치 베이스(10)에 대한 좌우 방향의 위치 결정이 정확하게 행하여지고, 또, 중간 베이스(80)의 장치 베이스(10)에 대한 좌우 방향의 진동도 억제된다.
상기 트래버스 베이스(20) 후단의 양쪽 모서리 부분 및 전단의 한쪽 모서리 부분에는 노치(notch)(2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중간 베이스(80)의 뒷부분 안쪽의 좌우 양쪽 모서리 부분 및 앞부분 안쪽의 한쪽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노치(21)에 대응하는 받침부(89)(부시받침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노치(21)에 예를 들면 고무제의 탄성을 가지는 부시(29)(플로팅 부시)를 각각 장착하고, 그 부시(29)를 끼워 통과시키는 고정축(29S)을 상기 부시받침부(89)에 끼워맞춰 고정함으로써, 트래버스 베이스(20)가 3개의 플로팅 부시(29)를 개재하여, 중간 베이스(80)에 대하여 일정 범위 내(즉, 상기 플로팅 부시(29)의 탄성 범위 내)에서 부동가능한 상태(플로팅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상기 플로팅 부시(29)는 도 8에 상세하게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양쪽 끝이 뚫린 중공(中空)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그 긴 축(long axis) 방향으로 배열된 비교적 지름이 큰 제1 및 제2의 완충부 (29a) 및 (29b)와, 양쪽 완충부 사이에 위치하는 비교적 지름이 작은 장착부(29c)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장착부(29c)는 상기 양쪽 완충부 (29a), (29b) 사이가 목(neck) 형상으로 조여지게 형성되어 있고, 이 플로팅 부시(29)에 의해 플로팅 상태로 지지되어야 할 트래버스 베이스(20)에 장착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는, 그 트래버스 베이스(20)의 노치(21)에 설치된 부시 설치판(2lb)의 구멍부에, 상기 장착부(29c)의 외주부를 끼워맞춤으로써, 플로팅 부시(29)가 트래버스 베이스(20)의 노치(21)에 장착된다.
그리고, 플로팅 부시(29)의 하단부를 중간 베이스(80)의 부시받침부(89)의 윗면(89f)(부시 지지면)에 맞붙이거나 혹은 근접시킴과 아울러, 부시받침부(89)에형성된 고정 구멍(89h)와 플로팅 부시(29)의 개구부의 위치를 맞춘 다음에, 부시(29)의 중공 내부에 고정 축(29S)을 삽입하여 통과시켜, 그 선단부를 부시받침부(89)의 고정 구멍(89h)에 끼워맞춘다. 이것에 의해, 고정축(29S)의 머리 부분(29T)과 부시받침면(89f)과의 사이에 플로팅 부시(29)가 고정된다.
다시 말해, 트래버스 베이스(20)의 노치(21)에 장착된 플로팅 부시(29)가 중간 베이스(80)의 부시받침부(89)에 고정된다. 이렇게 하여, 3개의 플로팅 부시(29)를 개재하여, 트래버스 베이스(20)가 중간 베이스(80)에 대하여 지지(플로팅 상태로 지지)되게 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트래버스 베이스(20)가 플로팅 부시(29)를 개재하여 중간 베이스(80)에 조립되고, 트래버스 베이스(20) 및 그것에 탑재된 각종 부품류의 중력만이 작용하고 있는 표준상태에서는, 플로팅 부시(29)의 제2 완충부(29b)의 끝 부분은 어느 정도의 탄성력을 가져서 상기 부시 지지면(89f)에 맞붙어 있다.
디스크 장치(1)의 사용시 혹은 제작시 등에 있어서 장치(1)에 진동이 가해져서, 중간 베이스(80)와 트래버스 베이스(20)와의 상대적인 이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력이 작용했을 경우에는, 상기 제2 완충부(29b)의 탄성 범위내에서의 압축 변형에 따른 완충 작용에 의해, 트래버스 베이스(20)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방향의(즉, 상기 부시 부착판(2lb)이 부시 지지면(89f)에 근접하는 방향의) 진동 성분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준상태에 있어서 제2 완충부(29b)의 끝 부분이 상기 부시 지지면(89f)에 맞붙어 있는 것은, 상기 제2 완충부(29b)에 의한 진동 흡수 효과를 얻는데 반드시 필수적인 요건이 아니다. 양자 사이에 어느 정도의 틈이 생겨 있어도, 그 틈에 상당하는 양만큼 진동 흡수성이 저하할 뿐으로, 중간 베이스(80)와 트래버스 베이스(20)의 상대이동량이 상기 틈을 넘는 경우에는, 그 틈을 초과하는 양에 상당하는 만큼 진동 흡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트래버스 베이스(20)가 아래쪽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상기 부시 부착판(2lb)이 고정 축(29S)의 머리 부분(29T)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이 때, 제1 완충부(29a)의 상단부가 고정축(29S)의 머리 부분(29T)에 대하여, 예를 들면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어 있으면, 상기 제1 완충부(29a)가 그 탄성 범위내에서 신장하도록 변형한다. 따라서, 제2 완충부(29b)의 압축 변형에 따르는 완충 작용에 더하여, 제1 완충부(29a)의 신장 변형에 따르는 완충 작용에 의해서도 진동 흡수를 행할 수 있어서, 매우 효과적으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한편, 트래버스 베이스(20)가 윗쪽으로 이동하는 방향의(즉, 상기 부시 부착판(2lb)이 고정 축(29S)의 머리 부분(29T)에 근접하는 방향의) 진동 성분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완충부(29a)의 탄성 범위 내에서의 압축 변형에 따른 완충 작용에 의해 유효하게 흡수할 수 있다.
또한, 트래버스 베이스(20)가 윗쪽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상기 부시 부착판(2lb)이 중간 베이스(80)의 부시 지지면(89f)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이 때, 제2 완충부(29b)의 하단부가 상기 부시 지지면(89f)에 대하여 예를 들면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어 있으면, 상기 제2 완충부(29b)가 그 탄성 범위내에서 신장하도록 변형한다. 따라서, 제1 완충부(29a)의 압축 변형에 따른 완충 작용에 더하여,제2 완충부(29b)의 신장 변형에 따르는 완충 작용에 의해서도 진동 흡수를 행할 수 있어서, 매우 효과적으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트래버스 베이스(20)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등의 베이스 면에 평행한 진동 성분은 플로팅 부시(29)의 가로방향에 있어서의 탄성 범위내에서의 변형에 의해 흡수된다.
이상과 같이, 플로팅 부시(29)가 제1 및 제2의 완충부 (29a) 및 (29b) 및 장착부(29c)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트래버스 베이스(20)가 진동했을 때, 트래버스 베이스(20) 전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한편, 위 아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행함과 동시에, 유효하게 진동을 흡수할 수 있고, 공간이 절약되고 또한 저렴하며 부착이 간단한 플로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로부터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장치 베이스(10)의 안쪽 개구부(10H) 앞쪽 가장자리 부분에는, 주변 형상이 원형의 일부를 이루는 오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그 오목부(12)의 밑면 중앙에는 스핀들(spindle)(12s)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스핀들(12s)에 거의 원통 모양의 기어 부재(30)(캠 기어)의 중앙 보스부(boss part)(31)가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맞춰져 있다. 그 캠 기어(30)는 그 중앙 보스부(31)가 상기 스핀들(12s)을 통과하여, 이 스핀들(12s)의 선단부에 예를 들면 고무제의 탄성을 가지는 칼라 부재(38)(플로팅 칼라)를 개재하여 나사 부재(37)(스톱 스크류(stop screw))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즉, 캠 기어(30)는 그 위쪽이 상기 플로팅 칼라(38)에 맞대어 스핀들(12s)에 고정된 상태로 장치 베이스(10)의 오목부(12) 안에 수납되고 있으며, 장치베이스(10)에 대하여 일정 범위내(즉, 상기 플로팅 칼라(38)의 탄성범위내)에서 부동가능한 상태(플로팅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상기 플로팅 부시(29) 및 플로팅 칼라(38)의 재질로서는, 상술한 고무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연질의 수지 등, 소정의 탄성을 갖는 것이면 그 밖의 각종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외부로부터 트래버스 베이스(20)에 입력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위해, 턴테이블(5)의 회전에 따른 진동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도록 트래버스 베이스(20)의 플로팅 지지 기구의 탄성이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플로팅 부시(29) 및 플로팅 칼라(38)의 재질은 비교적 (종래 기술 2의 경우에 비하여) 탄성이 낮은(비교적 단단한) 것이 선택되어 있다.
상기 캠 기어(30)의 외주부에는, 도 24∼도 29에 자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방향의(즉, 캠 기어(30)의 길이 방향 축선(Lg)에 평행한) 외형을 가지는 톱니부(30g)(외주 톱니부)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하의 수평 홈 부분(33a, 33c)과 경사진 홈 부분을 갖는 캠 홈(3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캠 기어(30)의 외주부에는, 톱니부(30g)가 만들어지지 않은 톱니부(34)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중간 베이스(80)의 전단부에는, 이 캠 홈(3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slideably) 걸어맞춰지는 돌기부(80P)(도 2 및 도 3 참조)가 설치되어 있고, 중간 베이스(80)의 앞 부분은, 이 돌기부(80P)가 상기 캠 홈(33)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캠 기어(30)를 개재하여 장치 베이스(10)에 지지되어 있다.
즉, 중간 베이스(80)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뒷부분이 좌우축부(81) 및 중간 베이스 지지부(11)를 개재하여 장치 베이스(10)에 대하여 상하로 회전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그 앞부분은 돌기부(80P) 및 캠 기어(30)의 캠 홈(33)을 개재하여, 장치 베이스(10)에 대하여 일정 범위내(즉, 상기 플로팅 칼라(38)의 탄성 범위내)에서 부동 가능한 상태(플로팅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더욱이, 중간 베이스(80)는, 전술한 위치 결정 돌기부(82)를 장치 베이스(10)에 설치된 위치 결정 홈(13)에 끼워맞춤으로써, 장치 베이스(10)에 대한 좌우 방향의 위치 결정이 행하여진다.
한편, 상기 트래버스 베이스(20)는 그 뒷부분의 좌우 양쪽의 모서리 부분 및 앞 부분의 한쪽 모서리 부분의 총 3군데가 플로팅 부시(29)를 개재하여 중간 베이스(80)에 대하여 일정 범위내(즉, 상기 플로팅 부시(29) 및 플로팅 칼라(38)의 탄성 범위내)에서 부동가능한 상태(플로팅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트래버스 베이스(20)는 규제 로드부(75s)를 중간 베이스(80)의 위치 결정 구멍(83) 안에 끼워 넣음으로써, 그 앞부분이 중간 베이스(80)에 대하여 걸어 맞춰지고, 이 걸어맞춤 상태에서는, 트래버스 베이스(20)는 총 네 군데에서 중간 베이스(80)에 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트래버스 베이스(20)는 중간 베이스(80)에 대하여(따라서, 장치 베이스(10)에 대하여), 강결 구조로(강하게) 지지되지 않고, 상기 각 완충 부재(플로팅 부시(29) 또는 이것에 더해서 플로팅 칼라(38))의 탄성 범위내에서, 중간 베이스(80)를 개재하여, 장치 베이스(10)에 대하여 부동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디스크 장치(1)에 충격 하중이 가해졌을 경우 혹은 진동 입력이 있었을경우일지라도, 상기 완충 부재(29, 38)로 충격 혹은 진동을 흡수할 수 있으며, 이들 충격 하중 혹은 진동력이 장치 베이스(10)로부터 직접적으로 트래버스 베이스(20)의 각 기구부품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충격이나 진동의 작용에 대한 디스크 장치(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트래버스 베이스(20)는 상기 완충 부재(29, 38)의 탄성 범위내에서, 중간 베이스(80)를 개재하여 장치 베이스(10)에 대하여 부동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강결 구조로(즉, 강하게) 지지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장치 베이스(10) 및 트래버스 베이스(20)에 각각 부착된 기구부품에 대해서, 부품의 상호 위치 관계를 부동가능한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고, 부품 제작 및 조립 작업의 정밀도를 어느 정도 낮게 설정할 수 있게 되며, 생산성을 높일 수도 있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중간 베이스(80)가 장치 베이스(1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트래버스 베이스(20)는 이 중간 베이스(80)에 대하여 탄성체를 개재하여 지지되어 있으므로, 장치 베이스(10)에 대한 상하 방향으로의 회전이동 동작의 지지와 트래버스 베이스(20)의 탄성 지지를 별개의 기구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중간 베이스(80)를 가지지 않는 종래(종래 기술 2)와 같이, 트래버스 베이스의 장치 베이스에 대한 회전이동 지지와 탄성 지지를 공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트래버스 베이스를 탄성 지지하는 지지부의 탄성에 관한 설정 범위가 제한되지 않으며, 그 설정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진동의 흡수와 턴테이블의 회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의 억제를 비교적 용이하게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트래버스 베이스(20)의 아랫면 쪽에는, 제1 및 제2의 2개의 전동 모터(3, 4)(예를 들면 도 2 및 도 3 참조)와, 이들 모터(3, 4)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한 회로 기판(2)이 고정되어 있다.
한편, 트래버스 베이스(20)의 윗면 쪽에는, 디스크(9)(도 5 ∼ 도 7 참조)가 윗면에 놓여지는 턴테이블(5)이 배치되며, 이 턴테이블(5)은 제1 모터(3)(스핀들 모터)의 출력축(3s)(도 3 참조)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트래버스 베이스(20)의 윗면 쪽에는, 디스크(9)에 정보신호의 기록 및/또는 기록된 정보신호의 판독을 하기 위한 광 픽업(6)이 부착됨과 아울러, 디스크 장치(1)를 작동시키기 위한 각종 구동 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이하, 이들 구동 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 도 5 및 도 51∼도 5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트래버스 베이스(20)에는, 전후 방향(도 5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확장되는 개구부(20H)가 형성되고, 그 좌우 양쪽에는 광 픽업(6)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 동작을 안내하는 한 쌍의 픽업 가이드 로드(22, 2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턴테이블(5)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좌우의 가이드 로드 (22, 23) 및 개구부(20H)의 전단부 근방 혹은 그보다도 앞쪽에 위치하고 있다.
광 픽업(6)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한 쪽(도 5에 있어서의 왼쪽)이 후술할 랙 부재(40)(이송 랙)에 고정되고, 그 고정 부분의 아래쪽에 전후 한 쌍의 가이드 슈(guide shoe)(6a)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슈(6a)가 왼쪽 가이드 로드(22)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 맞춰져 있다. 한편, 광 픽업(6)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쪽(도 5에 있어서의 오른쪽)에는, 오른쪽 가이드 로드(23)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 맞춰지는 금속제의 가이드 암(guide arm)(6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가이드 암(6b)에는, 광 픽업(6)의 픽업 소자(6p)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중계 금구(metal fitting)(6c)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슈(6a)가 왼쪽 가이드 로드(22)에 걸어 맞춰지고, 가이드 암(6b)이 오른쪽 가이드 로드(23)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광 픽업(6)이 트래버스 베이스(2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20H)에는, 광 픽업(6)과 회로 기판(2)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예를 들면 구부리기 쉬원 접속 부재[예를 들면 플렉시블 프린트(flexible print) 배선판 : 도시 안함]가 관통되어 있다.
상기 왼쪽 가이드 로드(22)의 후단부 및 오른쪽 가이드 로드(23)의 전후의 단부는, 트래버스 베이스(20)에 돌출되게 설치된 가이드 로드 지지부(24)로 지지되어 있다. 도 53에 자세하게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이 가이드 로드 지지부(24)는, 가이드 로드의 각 단부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여 가이드 로드(22, 23)의 경사를 조정하는 틸트(tilt) 조정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다시 말해, 각 가이드 로드 지지부(24)의 하부에는, 가이드 로드 단부를 오르내리게 하는 조정 나사(24a)가 조립되며, 상부에는 가이드 로드 단부를 아래쪽으로 힘을 가하는 코일 스프링(24b)이 조립되어 있다. 그리고, 이 코일 스프링(24b)의 윗쪽에는 누름 금구(24c)가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틸트 조정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가이드 로드(22, 23)의 경사를 조정하고, 광 픽업(6)의 광 빔과 디스크(9)와의 각도를 조정하며, 디스크(9)에 휘어짐 등의 변형이 있는 경우일지라도, 그 디스크(9)에 대하여 고정밀도로 정보신호의 기록/판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왼쪽 가이드 로드(22)의 전단부만은, 이송 랙(40)의 이동 동작과 간섭하는 일이 없도록, 이러한 틸트 조정 기구를 부착하지 않고 단순한 오목한 형상의 받침부로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광 픽업(6)의 노이즈를 간단하게 어스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오른쪽 가이드 로드(23)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가이드 로드 지지부(24)의 누름 금구(24c)의 한쪽 단부가, 트래버스 베이스(20)를 관통하여 아랫쪽으로(즉, 회로 기판(2)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누름 금구(24c)의 연장 부분(24d)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접지된 어스선(25a)를 일단에 가지는 어스 커넥터(earth connector)(25)를 관통시킬 수 있는 관통 구멍(2h)이 형성되고 있어서, 필요에 따라 이 관통 구멍(2h)에 어스 커넥터(25)를 관통시키고, 그 선단부에 누름 금구(24c)의 연장부(24d)의 선단을 끼워 넣을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로드(23) 및 가이드 암(6b)은 모두, 예를 들면 금속 등의 전기 도체로 제작되어 있다.
따라서, 광 픽업(6)의 픽업 소자부(6p)로부터 전달된 노이즈는, 중계 금구(6c)으로부터 가이드 암(6b)을 개재하여 가이드 로드(23)에 전달되고, 이 가이드 로드(23)로부터 누름 금구(24c) 및 어스 커넥터(25)를 개재하여 어스선(25a)으로 도통되어, 이 어스선(25a)을 통해서 노이즈 제거를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어스 커넥터(25)를 아래쪽으로부터 누름 금구(24c)의 연장부(24d)에 끼워 넣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광 픽업(6)의 노이즈 제거를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 픽업(6)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편(도 5에 있어서의 왼쪽)이 랙 부재(40)(이송 랙)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 이송 랙(40)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 동작은, 슬라이드 슈(6a) 및 가이드 암(6b)을 개재하여 좌우의 가이드 로드(22, 23)에 의해 안내된다. 즉, 이송 랙(40)이 가이드 로드(22, 23)에 따라 이동함으로써, 광 픽업(6)이 상기 가이드 로드(22, 23)로 안내되면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이송 랙(40)은, 도 30∼도 34에 자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일측부(一側部)(도 3 및 도 5에 있어서의 우측부)에 거의 전체 길이에 걸치는 랙 톱니(41)(수동 랙부)가 형성되고, 타측부(他側部)에는 그 앞쪽 부분에 소정 길이의 랙 톱니(42)(전환 랙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송 랙(40)의 이면 쪽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후 한 쌍의 가이드 슈(6a)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송 랙(40)이 뒷쪽(도 5에 있어서의 윗쪽으로)으로 이동할 때에는, 가이드 슈(6a)가 트래버스 베이스(20)의 후단 벽부분에 닿아 멈춰짐으로써, 이송 랙(40)의 뒤쪽으로의 이동 동작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이 이송 랙(40)을 구동하여 광 픽업(6)을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해서, 트래버스 베이스(20)에는 일군의 기어로 구성되는 기어열(51)(랙 구동 기어열)이 배설되어 있다.
이 랙 구동 기어열(51)은, 도 9∼도 13에 자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 모터(4)의 출력축(4s)(도 3 참조)에 고착된 모터 기어(4G)와, 그 모터 기어(4G)와 맞물리는 큰 지름의 입력 기어(52A)(제1 트래버스 입력 기어) 및 그 위쪽에 일체적으로 부설된 작은 지름의 출력 기어(52B)(제1 트래버스 출력 기어)를 갖는 제1 트래버스 기어(52)와, 상기 제1 트래버스 출력 기어(52B)와 맞물리는 큰 지름의 입력 기어(53A)(제2 트래버스 입력 기어) 및 그 아래쪽에 일체적으로 부설된 작은 지름의 출력 기어(53B)(제2 트래버스 출력 기어)를 갖는 제2 트래버스 기어(5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트래버스 출력 기어(53B)가 이송 랙(40)의 수동 랙부(41)와 맞물려 있다.
상기 제2 모터(4)가 구동되어서 모터 기어(4G)가 예를 들면 도 9∼도 13에 있어서의 반시계 회전 방향(이 방향이, 본원 청구항에 기재한 「제1 회전 방향」에 상당한다.)으로 소정의 회전 속도로 회전하면, 이 회전이 상기 랙 구동 기어열(51)에 의해 소정의 감속비로 감속하여 출력측에 전달되고, 최종 출력 기어(53B)(제2 트래버스 출력 기어)는 감속된 회전속도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써, 이송 랙(40)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이송 속도로 가이드 레일(guide rail)(24)에 따라 앞쪽(도 9∼도 13에 있어서의 아래쪽)을 향해서 이동한다. 제2 모터(4)가 상기의 경우와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면, 이송 랙(40)의 이동 방향도 상기의 경우와 반대로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송 랙(40)은(따라서, 광 픽업(6)은), 제2 모터(4)의 회전 방향을 정역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 그 이동 방향이 전환되고, 전후 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는 상기 이송 랙(40)과 랙 구동 기어열(51)로, 광 픽업(6)을 디스크(9)의 내주측과 외주측과의 사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이동시키는 광 픽업 구동 기구가 구성되고, 이것이 본원 청구항에 기재한 「광 픽업 구동 기구」에 상당하고 있다. 또한, 상기 픽업 가이드 로드(22, 23) 및 가이드 슈(6a) 및 가이드 암(6b)이 광 픽업(6)의 구동을 보조하고 있다.
상기 장치 베이스(10)의 앞부분에는, 트레이(55)를 장치(1)의 앞면에 있어서의 트레이(55)에의 디스크 착탈(着脫) 위치[언로딩(unloading) 위치]와 장치(1)의 내부에 있어서의 턴테이블(5)에의 디스크 착탈 위치[로딩(loading) 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트레이 구동 기어(56)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로딩 위치 및 언로딩 위치가 각각 본원 청구항에 기재한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 상당하고 있다.
그 트레이 구동 기어(56)는, 트레이(55)의 이면에 설치되어진 랙 톱니(55g)(트레이 랙 톱니 : 도 19∼도 21 참조)와 맞물리는 큰 지름의 출력 기어(56B)와, 이 출력 기어(56B)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작은 지름의 입력 기어(56A)를 포함하고 있다. 이 트레이 구동 기어(56)는 상기 캠 기어(30)의 옆쪽에 위치하고 있고, 그 입력 기어(56A)가 캠 기어(30)의 외주 톱니부(30g)와 맞물려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55)와 트레이 랙 톱니(55g)와 트레이 구동 기어(56)로, 디스크(9)를 턴테이블(5) 윗쪽의 로딩 위치(제1 위치)와 장치(1) 외부의 언로딩 위치(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이송하는 디스크 로딩 기구가 구성되어 있고, 이것이 본원 청구항에 기재한 「디스크 로딩 기구」에 상당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55)를 구동하여 디스크(9)를 언로딩 위치와 로딩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송하기 위해서, 일군의 기어로 구성되는 기어열(61)(로딩 구동 기어열 : 도 9∼도 13 참조)이 트래버스 베이스(20)의 윗면쪽에 설치되어 있다.
이 로딩 구동 기어열(61)은, 상기 제2 모터(4)의 출력축(4s)에 고착된 모터 기어(4G)와, 그 모터 기어(4G)와 맞물리는 큰 지름의 입력 기어(62A)(제1 로딩 입력 기어) 및 그 위쪽에 일체적으로 부설된 작은 지름의 출력 기어(62B)(제1 로딩 출력 기어)를 갖는 제1 로딩 기어(62)와, 상기 제1 로딩 출력 기어(62B)와 맞물리는 큰 지름의 입력 기어(63A)(제2 로딩 입력 기어) 및 그 위쪽에 일체적으로 부설된 작은 지름의 출력 기어(63B)(제2 로딩 출력 기어)를 갖는 제2 로딩 기어(63)와, 상기 제2 로딩 출력 기어(63B)와 맞물리는 큰 지름의 제3 로딩 기어(6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3 로딩 기어(64)가 상기 캠 기어(30)의 외주 톱니부(30g)와 맞물려 있다.
상기 캠 기어(30)의 외주 톱니부(30g)의 종단면에 있어서의 외형은 도 29에 자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측면도로 보면 곡선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곡선은, 트래버스 베이스(20)를 탑재한 중간 베이스(80)와 캠 기어(30)를 장치 베이스(10)에 맞붙인 상태로, 중간 베이스(80)가(따라서, 트래버스 베이스(20)가) 그 후단측을 지점(支點)으로 하여 장치 베이스(1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동할 때(도 6 및 도 7 참조)에, 제3 로딩 기어(64)의 전단부의 회전이동 궤적(Cg)에 따른 원호형상 곡선(cg)의 일부를 이루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중간 베이스(80)를 개재하여 트래버스 베이스(20)가 장치 베이스(10)에 대하여 회전이동하여 경사진 상태(도 29에 있어서의 파선 표시 및 도 7 참조)에서도, 트래버스 베이스(20) 위의 제3 로딩 기어(64)와 상기 캠 기어(30)의 외주 톱니부(30g)가 확실하면서도 원활하게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이 캠 기어(30)의 외주 톱니부(30g)의 종단면에 있어서의 외형은, 캠 기어(30)의 길이 방향의 축선(Lg)에 대하여 경사진 상기 곡선(cg)에 근사한 직선 형상이여도 좋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있어서는, 상기 캠 기어(30)의 외주 톱니부(30g)와 맞물리는 제3 로딩 기어(64)를 명료하게 표시하기 위해서, 제2 로딩 기어(63)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이와 같이, 캠 기어(30)의 외주 톱니부(30g)의 종단면에 있어서의 외형은, 상기 중간 베이스(80) 및 트래버스 베이스(20)의 회전이동 동작에 따라 상기 로딩 구동 기어열(61)의 최종 출력 기어인 제3 로딩 기어(64)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동할 때의 회전이동 궤적에 따른 원호 형상 혹은 이 원호에 근사한 직선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트래버스 베이스(20)의 회전이동 동작에 따라 로딩 구동 기어열(61)이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동했을 경우일지라도, 그 최종 출력 기어(64)를 캠 기어(30)의 외주 톱니부(30g)와 확실하면서도 원활하게 맞물리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기본적으로는 상기 로딩 구동 기어열(61)과 캠 기어(30)(구체적으로는 그 외주 톱니부(30g))로, 상기 디스크 로딩 기구를 구동하는 로딩 구동 기구가 구성되고, 이것이 본원 청구항에 기재한 「로딩 구동 기구」에 상당하고 있다.
전술한 광 픽업(6)은, 디스크(9) 위에 있어서 신호가 기록되어 있는 신호 기록 범위보다도 더욱 내주측의 소정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광 픽업(6)이 제2 모터(4)의 구동력에 의해 랙 구동 기어열(51)을 개재하여 디스크(9)의 외주측으로부터 내주측을 향해서 이동해 왔을 때, 광 픽업(6)이 디스크(9)의 신호 기록 범위를 넘어서 상기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제2 모터(4)의 구동력은 로딩 구동 기어열(61)에 전달되도록 그 전달 경로가 전환되게 설정되어 있다.
즉, 도 14∼도 18에 자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래버스 베이스(20)의 앞부분에는 세로축(20s)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이 세로축(20s)에 동력전달경로 전환용 트리거 레버(71)가 회전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트리거 레버(71)의 근방에는 그 위치를 규제할 수 있는 로커 레버(73)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트리거 레버(71)는, 도 35∼도 37에 자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세로축(20s)에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춘 기부(7lb)와, 그 기부(7lb) 외주의 한 부분에 형성된 부분 기어(71g)와, 상기 캠 기어(30)와 걸어 맞춰지는 한 쌍의 걸어맞춤 암(71a)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트리거 레버(71)의 기저부(7lb)의 외주부에는, 상기 로커 레버(73)의 클로(claw)부(73d)와 걸어 맞춰질 수 있는 스토퍼부(71s)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부분 기어(71g)는 전술한 이송 랙(40)의 전환 랙부(42)와 맞물릴 수 있고, 한편, 상기 걸어맞춤 암(71a)은 캠 기어(30)의 외주에서 돌출한 훅(hook)부(32)에 걸어 맞출 수 있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 로커 레버(73)는, 도 38에서부터 도 40에 자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래버스 베이스(20)의 전단부에 끼워 맞춰져 고정되는 기부(73b)와, 그 기부(73b)로부터 거의 L자 모양으로 신장한 레버부(73a)와, 상기 기저부(73b)로부터 거의 원호 형상으로 신장한 스프링부(73c)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레버부(73a)에는, 트리거 레버(71)의 스토퍼부(71s)와 걸어 맞춰질 수 있는 클로부(73d)와, 윗쪽에서 돌출하는 돌출 핀(pin)(73p)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부(73b)에는, 후술할 위치 결정 로드(75)의 규제 로드부(75s)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관통시키는 홈부(73s)(가이드 로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송 랙(40)의 이면측에는, 도 30 및 도 32로부터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평면도로 보아 굴곡 형상으로 형성된 캠 홈(43)이 설치되고, 그 캠 홈(43)의 전단측은 이송 랙(40)의 앞쪽을 향해서 열려 있다. 상기 로커 레버(73)의 돌출 핀(73p)은 이 캠 홈(4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치 베이스(10), 중간 베이스(80) 및 트래버스 베이스(20)에는, 장치 베이스(10) 및 트래버스 베이스(20) 각각에 부착된 기구부품 사이의 연계 상태를 정확하게 보유하기 위한 위치 결정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즉, 트래버스 베이스(20)의 앞 부분에는, 그 트래버스 베이스(20)의 중간 베이스(80)에 대한 좌우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함과 동시에, 양쪽 베이스(20, 80)를 일체적으로 걸어 맞추기 위해서, 위치 결정 부재(75)(위치 결정 로드)가 배설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 로드(75)는, 도 41∼도 43에 자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래버스 베이스(20)의 윗면에 형성된 전후 방향의 가이드 홈(26)에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기부(75b)과, 그 기부(75b)로부터 앞쪽으로 신장한 연장받침부(75c)와, 상기 걸어맞춤 기저부(75b) 및 연장받침부(75c)로부터 오른쪽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전후 방향(도 14∼도 18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으로 신장한 규제 로드부(75s)를 구비하고 있다.
이 규제 로드부(75s)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로커 레버(73)의 기부(73b)에 형성된 가이드 로드(75s)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관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장받침부(75c)는, 다음에 자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조립 상태에 있어서, 그 전면부가 로커 레버(73)의 스프링부(73c)에 맞붙어서 뒤쪽에서 가압되며, 한편, 그 후면부는 이송 랙(40)의 앞쪽 단면에 맞닿을 수 있어서, 이 이송 랙(40)의 전방이동에 따라 위치 결정 로드(75) 전체가 앞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도 14∼도 18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중간 베이스(80)의 앞쪽 벽부분에는, 상기 위치 결정 로드(75)의 규제 로드부(75s)를 출몰가능하게 끼워 맞춰지게 하는 위치 결정 구멍(83)이 형성되어 있고, 이송 랙(40)이 앞쪽으로 이동하여 그 이동량이 일정 이상에 달하면, 이송 랙(40)의 앞쪽 단면이 위치 결정 로드(75)의 상기 연장받침부(75c)의 뒷면에 맞붙어서 상기 연장받침부를 누르고, 걸어맞춤 기부(75b)가 상기 가이드 홈(26)에 따른 상태로 위치 결정 로드(75) 전체가 전진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상기 규제 로드부(75s)가 중간 베이스(80)의 위치 결정 구멍(83) 안으로 끼워넣어짐으로써, 트래버스 베이스(20)가 중간 베이스(80)에 대하여 끼워 맞춰진다.
한편, 트래버스 베이스(20)의 전단 부분에 있어서의 윗면에는 평면도로 보면 원호형상의 캠 홈(27)(원호 홈)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캠 기어(30)의 훅부(32)의 이면에는 걸어맞춤 볼록부(32p)가 설치되어 있고, 이 볼록부(32p)가 상기 원호 홈(27)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트래버스 베이스(20)의 장치 베이스(10)에 대한 전후 방향의 위치 규제가 행하여진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이, 중간 베이스(80) 앞쪽 끝에 설치한 돌기부(80P)가 캠 기어(30)의 캠 홈(33)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중간 베이스(80)의(따라서, 트래버스 베이스(20)의) 전단부의 장치 베이스(10)에 대한 상하 방향의 위치 관계가 정확하게 정해진다.
이상에 의해, 트래버스 베이스(20) 전단부의 장치 베이스(10)에 대한 좌우 방향,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직교하는 3 방향의 위치 관계가, 중간 베이스(80)를 개재하여 정확하게 정해져, 장치 베이스(10)와 트래버스 베이스(20)에 각각 부착되어진 기구부품 사이를 정확하면서도 확실하게 끼워 맞춰지게 할 수 있다. 특히, 제2 모터(4)의 구동력의 전달 경로를 전환할 때에, 장치 베이스(10)에 설치된 디스크 로딩 기구와 트래버스 베이스(20)에 설치된 로딩 구동 기구와의 연계 상태를 정확하게 보유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디스크 장치(1)는, 턴테이블(5)과 함께 디스크(9)를 끼워 두는 클램퍼(96)가 조립된 클램프 판(95)을 구비하고 있다(도 1, 도 2, 도 4, 도 22 및 도 23 참조).
상기 클램프 판(95)은, 좌우 양쪽에 설치된 복수의(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후 2개씩의) 부착 다리부(95f)에 클로부(95d)가 각각 형성되고 있어, 이들 클로부(95d)를 장치 베이스(10)의 옆부분에 걸어 맞춰지게 함으로써 그 장치 베이스(10)에 조립된다. 그리고, 이렇게 조립된 상태로 클램퍼(96)의 중심을 턴테이블(5)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일치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 판(95)은, 상기 좌우 양쪽의 부착 다리부(95f)를 지지하는 좌우의 수평 기부(95b)와, 상기 클램퍼(96)를 지지하는 대략 환상(環狀)의 중앙 홀더부(95a)와, 그 홀더부(95a)와 상기 수평 기부(95b)를 연결하는 수평 연결부(95c)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앙 홀더부(95a)의 좌우의 근원부와 각 수평 기저부(95b)와의 사이에 노치(95e)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평 연결부(95c)의 폭은, 이 노치(95e)에 대응하는 양만큼 수평 기부(95b)의 폭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즉, 수평 연결부(95c)는, 수평 기부(95b)에 비하여 그 강성이 낮아 상하 방향으로 휘기 쉽게 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크 장치(1)가 낙하했을 때 등, 장치(1)에 큰 충격하중이 작용하고, 턴테이블(5)이 클램프 판(95)에 맞닿았을 경우에도, 그 클램프 판(95)이 용이하게 상하 방향으로 휘므로 충격하중을 흡수할 수 있고, 턴테이블(5)(및 이것에 연결된 스핀들 모터(3))이 큰 손상을 입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디스크(9)에 휘어짐이나 구부러짐 등의 변형이 있는 경우에도,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이것을 교정하여, 디스크면과 광 빔과의 각도를엄격하게 규제할 수 있도록 한 디스크 클램프 기구가 채용되어 있다.
도 44∼도 47은, 본 실시 형태에 채용된 디스크 클램프 기구의 기본적인 구성 및 원리 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램퍼(96)는, 디스크(9)의 안쪽 가장자리 근방을 턴테이블(5)과 함께 끼어서 고정하는 중앙 클램퍼부(96a)와, 디스크(9)의 바깥쪽 가장자리 근방과 대략 동일한 지름으로, 또한, 상기 중앙 클램퍼부(96a)와 대략 같은 높이의 큰 클램퍼부(96b)를 구비하고 있다. 이 큰 클램퍼부(96b)는, 소정의 폭을 가지고 클램퍼(96)의 둘레 전체에 걸쳐 형성되고 있고, 상기 중앙 클램퍼부(96a)와의 사이 부분(96c)은 디스크(9)와 맞붙거나 혹은 접촉하는 일이 없도록 그 면 전체가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턴테이블(5) 위에 디스크(9)가 탑재되고, 그 다음에 클램퍼(96)가 장착될 때에는, 상기 중앙 클램퍼부(96a)가 턴테이블(5)과 함께 디스크(9)의 안쪽 가장자리 근방을 끼워 고정하고, 또한, 큰 클램퍼부(96b)가 디스크(9)의 바깥쪽 가장자리 근방(9b)을 가압한다.
그리고, 디스크(9)의 바깥쪽 가장자리쪽이 광 빔을 조사하는 면과 반대의 방향(소위 레벨(level)면의 방향)을 향해서 뒤집혀 있는 경우(도 45A, 도 45B)와 같이, 디스크(9)는 그 외주부가 클램퍼(96)의 큰 클램퍼부(96b)에 맞닿은 후에, 중앙 클램퍼(96a)가 디스크(9)를 가압하여, 턴테이블(5)과의 사이에 끼워 고정한다.
이렇게 끼워 고정함으로써 뒤집혀 있는 디스크(9)의 바깥쪽 가장자리 부분(9b)은, 원래의 휘어짐의 반대의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휘어짐은 교정된다. 경우에 따라, 도 45C와 같이, 디스크중간지름부(中徑部)(즉, 안쪽 가장자리 부분 근방(9a)과 바깥쪽 가장자리 부분 근방(9b)에 끼워진 부분)(9c)가 원래의 휘어짐의 방향으로 뒤집힌 채인 경우도 있지만, 그러한 경우에도 그 중간지름부(9c)와 서로 마주 보는 부분은 클램퍼(96)의 오목부(96c)이므로, 그 부분(9c)에서는, 디스크(9)가 클램퍼(96)에 접할 일은 없다.
이와 같이 디스크(9)의 휘어짐이 레벨면 방향으로 생겨 있을 경우에도, 큰 클램퍼(96b)를 갖는 클램퍼(96)의 장착에 의해 그 휘어짐을 작게 할 수 있고, 광 픽업(6)의 광 빔과 디스크면과의 각도가 상술한 규제값 내에 들어가고, 틸트 기능이 없는 픽업이라도 정밀도가 좋은 기록·재생을 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기본 원리를 채용한 디스크 클램프 기구의 디스크의 휘어짐을 교정하는 효과를 검증하는 실험을 했다. 도 46에 그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46A는 클램퍼의 중앙 클램퍼와 큰 클램퍼의 높이 위치가 거의 같은 것, 도 46B는 큰 클램퍼 쪽이 중앙 클램퍼보다 높이가 돌출되어 있는 것의 디스크의 휘어짐을 나타내는 것으로, 가로축이 디스크 중심으로부터의 지름방향 거리, 세로축이 휘어짐의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두 도면 모두, 파선으로 나타낸 큰 클램퍼에 의한 가압이 없는 상태에 대하여, 그 휘어짐이 교정되어, 휘어짐의 규제값 범위 내(허용값 범위 내)에 머물러 있지만, 큰 클램퍼가 중앙 클램퍼보다 돌출되어 있는 도 46B 쪽이 그 휘어짐이 작은 것이 명백하다.
다음에, 턴테이블(5)과 클램퍼(96)를 끼워둘 때 이외에는, 턴테이블(5)의 윗면에 대하여,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클램퍼(96)를 이송시키는 클램퍼 이송 동작을, 모식(模式) 측단면도(단면을 나타내는 음영선 기재는 생략한다)인 도 4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트레이(55)에 의해 턴테이블(5) 위로 이송된 디스크(9)는 클램퍼(96)에 의해 탑재된다. (55a)는 디스크(9)를 턴테이블(5)과 동심 위치로 안내하기 위해서 설치된 돌기로, 트레이 위에 설치된 장해가 되는 것이다.
도 47A는 클램퍼(96)와 턴테이블(5)에 의해 디스크(9)를 끼워 두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도 45C와 같음). 이 경우, 디스크(9)는 트레이(55)로부터 거리를 둔 상태로 끼워 두고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다음에, 도 47B와 같이, 턴테이블(5)이, 디스크(9)와 마주 보는 방향(디스크(9)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도시한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클램퍼(96)는 턴테이블 윗면과 마주 보는 방향(턴테이블(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도시한 화살표 U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클램퍼(96)를 이송함으로써, 트레이가 이동할 때(도 47C에 도시한 화살표 E방향)에, 트레이(55)의 돌기물(55a)이나 다른 장해물에 의해 트레이(55)의 운동을 방해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디스크의 레벨면으로부터 그 외주를 가압하는 클램퍼를 설치하는 것으로, 디스크(9)의 휘어짐을 적게 하고, 안정한 재생 구동을 할 수 있고, 또, 클램퍼(96)가 트레이(55)의 운동을 저해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는, 이상과 같은 기본 원리를 응용한 디스크 클램프 기구를 구비한 것으로, 그 구체적인 구성을 도 48 및 도 49에 근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8은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된 디스크 클램프 기구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9는 그 동작을 나타낸 부분 종단면 설명도로 디스크가 끼워진 상태(A)에서 트레이에 의한 이동 시작 직전(C)을 나타낸 것이다.
도 48 및 도 49에 있어서, 96d는 클램퍼 자석으로서, 철 등의 강자성체로로 이루어지는 턴테이블 선단과 마주 보도록 크램퍼(96)의 내경(內徑) 근방 아래쪽에 구성되어 있다. 96e는 테이퍼(tapered) 중심부로서, 클램퍼(96)의 중심에 설치되어 있고, 턴테이블(5)의 중심 구멍에 삽입되는 것으로 턴테이블(5)과 클램퍼(96)의 중심맞추기가 이뤄진다. 한편, 디스크(9)과 턴테이블(5)의 중심맞추기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디스크(9)의 내경부를 턴테이블(5)의 테이퍼 단부(段部)에 유지하여 행하여진다.
94는 스프링 훅으로서, 그 내경부에서 돌출한 훅부(94a)가, 클램프 판(95)을 회전·유동이 자유로운 구성으로 관통하고, 클램프 판(95)의 아래쪽에 클램퍼(6)를 관통해서 스프링(98)을 개재하여 스프링 훅(94)에 걸려진다. 이에 의해, 디스크에 맞붙어 가압하는 클램퍼(96)는, 스프링(98)에 의해, 내경 훅부(94a)에 결합된 스프링 훅(94)로부터 윗쪽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렇게 하여, 클램퍼(96), 스프링(98), 스프링 홀더(97), 스프링 훅(94)을 지지한 클램프 판(95)은, 턴테이블(5)을 지지하는 한편 트레이(55)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얹어놓은 디스크 장치 본체(장치 베이스)(10)에 걸려 고정된다.
이렇게 구성된 광디스크 구동 장치의 실시 형태 2에 대해서 이하에 그 동작을 설명한다. 도 49에 있어서, 도 49A는 상술한 실시 형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들어올려진 턴테이블(5)에 탑재된 디스크(9)가 클램퍼(96)에 의해 끼워져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스프링(98)에 의해 위쪽 방항으로 가해지는 힘보다 클램퍼내경부의 클램퍼 자석(96d)과 턴테이블(5)의 흡인력 쪽이 크게 되어 있으므로, 클램퍼(96)는 턴테이블(5) 위에 탑재된 디스크(9)면을 그 전면에 걸쳐 가압한다. 또한, 턴테이블(5)이 상승하고 있으므로, 디스크의 내경 근방을 끼워서 스프링 홀더(97), 훅부(94a)를 들어 올리고, 스프링 훅(94)을 클램프 판(95)으로부터 떨어지게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하고 있다.
다음에, 도 49B와 같이, 트래버스 베이스(20)가 아래쪽으로 회전이동함으로써, 턴테이블(5)이 디스크(9)와 마주 보는 방향(디스크(9)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디스크(9)는 턴테이블(5)로부터 벗어나 트레이(55)에 탑재된다. 턴테이블(5)로부터 떨어져 받침이 없어진 스프링 홀더(97), 스프링 훅(94)은, 클램퍼 자석(96d)과 턴테이블(5)의 흡인력 및 자중(自重)에 의해 수직하강하지만, 스프링 훅(94)의 상부의 가장자리부(94b)가 클램프 판(95)에 걸리므로, 스프링 홀더(97), 스프링 훅(94)은 클램프 판(95)으로 지지된다. 더욱이, 턴테이블(5)의 하강에 의해, 분리되는 턴테이블(5)과 클램프 자석(96d)의 자력 흡인력이 감소하여, 스프링(98)의 반발력을 이기면 클램퍼(96)가 윗쪽 방향으로 가압되어, 트레이(55) 위의 디스크(9)로부터 클램퍼(96)가 분리된다.
다음에, 도 49C와 같이, 턴테이블(5)이 더욱 디스크(9)와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클램퍼(96)·트레이(55) 사이 및 트레이(55)·턴테이블(5) 사이가 충분히 분리된 경우에, 트레이(55)가 디스크(9)를 탑재한 채 앞 방향(도면 상에 수직인 방향)으로 미끄러져 이동하여, 디스크(9)가 배출된다.
또한, 상술한 설명과는 반대의 순서로, 디스크(9)를 턴테이블(5)에 탑재한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도 49C와 같이 트레이(55)가 클램퍼(96), 턴테이블(5)로부터 충분히 떨어진 상태로 미끄러져 이동한다. 디스크(9)를 턴테이블(5) 위쪽의 정규 위치로 이동시키면, 트레이(55)의 슬라이드 이동이 정지하고, 턴테이블(5)이 상승하기 시작한다. 턴테이블(5)의 상승에 의해, 디스크 내경부 근방을 집어서 스프링 훅(94)을 들어 올림으로써, 스프링 훅(94)과 클램프 판(95)과의 걸림이 빠진다. 또, 스프링(98)이 위쪽으로 가하는 힘보다 턴테이블(5)과 클램퍼 자석(96d)의 흡인력이 크면, 클램퍼(96)는 아래쪽으로 흡인되어 디스크(9)를 가압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지름이 큰 클램퍼를 갖춘 광디스크 구동장치일지라도, 턴테이블 근접시에 디스크를 가압하는 큰 지름의 클램퍼(96)가, 스프링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턴테이블 하강시에 자동적으로 디스크로부터 분리되고, 디스크 배출시 트레이가 슬라이드 이동할 때에, 돌기물(55a)이나 다른 장해물에 의해 트레이(55)의 운동을 방해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휘어짐이 있는 디스크를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외주 근방에 닿게 하여 가압함으로써, 그 휘어짐을 교정하고, 디스크의 정보기록면과 정보를 기록 재생하기 위해서 조사되는 광 빔과의 각도를 일정값 내로 억제하고, 정보를 정확하게 판독 정밀도가 좋게 기록 재생할 수 있다고 하는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외주와 맞닿아 가압하는 큰 지름의 클램퍼를 이송시키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트레이를 방해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디스크(9)를 끼워둘 때, 클램퍼(96)와 턴테이블(5)의 흡착력과 스프링(98)의 힘은 상반하는 방향으로 향하고 있기 때문에, 흡착력을 스프링 힘보다 크게 할 필요가 있다.
다음에, 상술한 디스크 클램프 기구의 변형 예에 대해서 도 50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0은 본 발명의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동작을 나타낸 부분단면 측면도이다.
도 50에 있어서, 클램퍼(96)가 디스크(9)의 외주부 근방을 가압하는 구조는 이전의 것과 동일하지만, 스프링 부재를 유지하는 구조는 없으며, 유동 유지되어 있는 클램프 판(95)과의 자력에 의한 흡인에 의해 트레이 슬라이드 이동시에 대피하고 있다. 다시 말해, 클램프 판(95)에 제2 자석(95d)이 구성되고, 클램퍼(96)의 제1 자석(96d)이 턴테이블(5) 혹은 제2 자석(95d)에 흡인되도록, 턴테이블(5), 제1 자석(96d), 제2 자석(10)은 대략 동심축 위에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디스크 클램프 기구의 동작을 도 50에 의해 설명한다. 도 50A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 형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턴테이블(5)에 얹혀진 디스크(9)는, 전술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2)에 흡인된 클램퍼(96)에 의해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턴테이블(5)이 클램프 판(95)과 분리되는 방향(도면에 있어서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디스크(9)는 트레이(55)에 얹혀진다. 턴테이블(5), 디스크(9)가 이동한 다음에는 클램퍼(96)는, 가장자리부(96f)에 의해 걸리므로 종래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과의 흡착력 혹은 그것과 자중에 의해 클램프 판(95)에 유동 지지된다(도 50B). 턴테이블(5)이 더욱 이동하여, 제1 자석(96d)에 대해서 턴테이블(2)과의 흡착력이 제2 자석(95d)과의 흡착력보다떨어지면, 제1 자석과 제2 자석의 서로 끌어당기는 자력에 의해 클램퍼(96)가 들어 올려진다(도 50C).
한편, 이 변형 예에 있어서, 제1 자석, 제2 자석은 모두 자석일 필요는 없으며, 한 쪽이 판금이라도 좋다. 단, 종래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램퍼와 턴테이블을 끼워 둘 때에도 자력이 사용되고 있고, 턴테이블(5), 제1 자석, 제2 자석의 3점에서 자석과 판금이 이웃하면 성립한다. 여기에, 디스크를 끼워 두기 위해서 턴테이블과 제1 자석의 흡착력은 제1 자석과 제2 자석의 인력보다도 크지 않으면 안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디스크 장치(1)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디스크 장치(1) 안에 디스크(9)가 로딩 되어, 그 디스크(9)에 기록된 신호를 광 픽업(6)에 의해 재생하고 있는 신호 재생 상태(도 9 참조)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베이스(80) 및 트래버스 베이스(20)는, 중간 베이스(80) 전단의 돌기부(80P)를 캠 기어(30)의 캠 홈(33)에 있어서의 위쪽의 수평 홈부(33a)에 끼워 맞춤으로써, 장치 베이스(10)와 거의 평행하게 유지되어 있다.
이 때, 도 1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트리거 레버(71)는, 그 스토퍼부(71s)가 로커 레버(73)의 클로부(73d)에 걸림과 동시에, 걸어맞춤 암(71a)이 캠 기어(30)의 훅부(32)에 걸어 맞춰져 있다. 이 상태에서는, 트리거 레버(71)는 도 9 및 도 14에 있어서의 반시계 회전 방향의 한도까지 회전이동되어 있다.
상기한 상태에서, 디스크(9)로부터의 신호의 재생은, 스핀들 모터(3)를 구동시켜서 디스크(9)를 실은 턴테이블(5)을 소정의 회전수로 회전시키면서, 광 픽업(6)을 재생하고자 하는 목적 신호 트랙의 약간 아래쪽 위치로 이동시키고, 이 광 픽업(6)에 설치된 광학소자(렌즈 및 레이저원 등을 포함하는 광학계)로 디스크(9) 위의 신호를 판독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여기에서, 재생하고자 하는 신호 트랙이 광 픽업(6)의 현재 위치의 윗쪽에 없을 때, 혹은 수십 개 이상의 신호 트랙에 걸쳐서 신호 재생을 행할 경우에는, 광 픽업(6)을 디스크(9)의 내주 방향(디스크 장치(1) 앞쪽 방향) 및 외주 방향(디스크 장치(1)의 뒤쪽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 광 픽업(6)의 이동은 광 픽업 구동 기구에 의해 행하여진다. 다시 말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모터(4)가 구동되어 모터 기어(4G)가 회전하면, 이 회전이 상기 랙 구동 기어열(51)에 의해 소정의 감속비로 감속해서 출력측에 전달되어, 최종 출력 기어(53B)(제2 트래버스 출력 기어)는 감속된 회전속도로 회전하고, 이송 랙(40)이(따라서, 이것에 연결된 광 픽업(6)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모터 기어(4G)의 회전 방향이 도 9∼도 13에 있어서의 시계 회전 방향이면, 광 픽업(6)은 전방(도 9∼도 13에 있어서의 아래 쪽 : 디스크(9)의 내주 방향)을 향해서 이동하고, 모터 기어(4G)의 회전 방향이 그 반대이면, 광 픽업(6)은 후방(도 9∼도 13에 있어서의 위쪽 : 디스크(9)의 외주 방향)을 향해서 이동한다.
한편, 이 신호 재생 상태에서는, 제2 모터(4)의 구동에 따라 로딩 구동 기어열(61)도 회전하게 되지만, 그 최종 출력 기어인 제3 로딩 기어(64)의 톱니부는, 캠 기어(30)의 이가 없는 톱니부(34)에 위치하고, 외주 톱니부(30g)와는 맞물리지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신호 재생 상태에서, 제2 모터(4)의 구동력이 캠 기어(30)에(따라서, 트레이 구동 기어(56)에) 전달될 일은 없다.
도 10 및 도 15는, 디스크(9)의 신호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 위치 범위(신호 기록 범위)의 가장 안쪽 둘레 부분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광 픽업(6)은 광 픽업 구동 기구에 의해 앞쪽으로 이동시켜져서 디스크(9)의 신호 기록 범위의 안쪽 둘레의 가장자리 부분의 위치(Sr)까지 이동하고 있고, 이송 랙(40)의 수동 랙부(41)는 그 후단 부분이 랙 구동 기어열(51)의 최종 출력 기어(53B)(제2 트래버스 출력 기어)와 맞물려 있다. 또한, 전환 랙부(42)는 트리거 레버(71)의 부분 기어(71g)에 상당히 접근해 있다.
주지와 같이, 광디스크(9)의 신호 기록 범위는, 디스크 규격에 의거하여, 디스크(9)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로 정해져 있다. 그리고, 종래의 디스크 장치에서는, 이 신호 위치 범위의 가장 안쪽 둘레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광 픽업의 위치 검출 스위치를 설치하고, 광 픽업이 가장 안쪽 둘레 위치에 있는 것/가장 안쪽 둘레 위치로 이동해 온 것을 검출하여, 광 픽업이 그 이상 안쪽 둘레 쪽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디스크 장치(1)에 있어서는, 디스크(9)의 신호 기록 범위의 안쪽 둘레의 단부 위치(Sr)를 안쪽 둘레 단부 전환 위치로 하여, 여기에 안쪽 둘레 검출 스위치(7)를 설치하고 있다. 이 안쪽 둘레 검출 스위치(7)는, 오프(off)일 때에는 광 픽업(6)이 가장 안쪽 둘레 위치에 있는 것/가장 안쪽 둘레 위치로 이동해 온 것을 검출하는 점은 종래의 광디스크 장치와 동일하다. 그렇지만, 온(on)으로 했을 때에는, 광 픽업(6)이 안쪽 둘레 검출 스위치(7)를 동작시켜도 광 픽업(6)의 그 이상의 안쪽 둘레 쪽으로의 이동을 규제하지 않고, 광 픽업(6)이 더욱 안쪽 둘레 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정되어 있는 점이 종래와는 다르게 되어 있다.
상기 안쪽 둘레 검출 스위치(7)는, 예를 들면, 종래부터 잘 알려진 기계식의 작동을 행하는 것으로, 트래버스 베이스(20)의 윗면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어, 광 픽업(6)이 이 안쪽 둘레 검출 스위치(7)의 윗쪽에 도달했을 때에는, 그 아랫면이 스위치(7)에 간섭하고, 스위치 스프링(도시 안함)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이 안쪽 둘레 검출 스위치(7)를 트래버스 베이스(20) 안으로 눌러서 내리게 되어 있다. 한편, 이 안쪽 둘레 검출 스위치(7)로서는, 상기한 방식의 것으로 제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비접촉식 스위치 등, 종래부터 잘 알려진 각종 구조의 스위치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6은, 광 픽업(6)이 상기 안쪽 둘레 단부 위치(Sr)로 이동하여 안쪽 둘레 검출 스위치(7)를 동작시킨 후, 더욱 광 픽업(6)이 안쪽 둘레 쪽으로 이동해 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도 10 및 도 15의 상태와 도 11 및 도 16의 상태의 차이, 및 그 상태의 이행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5의 상태에서 도 11 및 도 16의 상태로의 광 픽업(6)의 이동은, 온(on)으로 한 안쪽 둘레 검출 스위치(7)가 광 픽업(6)에 의해 동작시켜진 도 10 및 도 15의 상태에서, 제2 모터(4)가 다시 같은 방향으로(시계가 도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행하여진다.
광 픽업(6)이 더욱 더 안쪽 둘레 쪽으로 이동함으로써, 광 픽업(6)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이송 랙(40)의 전환 랙부(42)가, 트리거 레버(71)의 부분 기어(71g)와 맞물리고, 트리거 레버(71)를 시계가 도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것에 따라, 트리거 레버(71)의 걸어맞춤 암(71a)이 캠 기어(30)의 훅부(32)를 시계가 도는 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캠 기어(30)가 시계가 도는 방향으로 회전이동하고, 그 외주 톱니부(30g)와 로딩 구동 기어열(61)의 최종 출력 기어(64)(제3 로딩 기어)가 맞물리기 시작한다. 이 상태에서는 아직, 이송 랙(40)의 수동 랙부(41)는 상기 랙 구동 기어열(51)의 최종 출력 기어(53B)(제2 트래버스 출력 기어)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트리거 레버(71)의 스토퍼부(71s)와 걸어 맞추어 그 트리거 레버(71)를 위치 고정하고 있었던 로커 레버(73)는, 그 돌출 핀(73p)이 이송 랙(40)의 캠 홈(43)에 따라 이동함으로써 회전이동하고, 클로부(73d)에 의한 트리거 레버(71)의 위치 고정이 해제된다.
도 12 및 도 17은, 상기 캠 기어(30)가 로딩 구동 기어열(61)의 최종 출력 기어인 제3 로딩 기어(64)와 맞물리기 시작한 상태에서, 더욱, 이 제3 로딩 기어(64)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캠 기어(30)가 시계가 도는 방향으로 회전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동작도, 제2 기어(4)에 의해 모터 기어(4G)가, 광 픽업(6)을 안쪽 둘레쪽으로 전달할 때의 회전 방향과 같이, 시계가 도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이와 같은 캠 기어(30)의 동작에 의해, 트리거 레버(71)는, 이 캠 기어(30)로 규제되는 위치까지 더욱 더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송 랙(40)의 수동 랙부(41)와 제2 트래버스 출력 기어(53B)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위치까지, 광 픽업(6)을 더욱 더 안쪽 둘레 위치(앞쪽 위치)까지 끌어 들인다. 따라서, 이 후에는, 상기 모터 기어(4G)가 그 이상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해도, 제2 모터(4)의 구동력이 이송 랙(40)에(따라서, 광 픽업(6)에) 전달될 일은 없다.
또한, 이 때, 로커 레버(73)의 돌출 핀부(73p)는, 이송 랙(40)의 캠 홈(43)으로 안내되어서 그 경사부에 다다르고, 로커 레버(73)의 스프링의 힘에 의해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이동한다. 그리고, 트리거 레버(71)는, 캠 기어(30)와 완전히 분리되는 위치까지,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
한편, 기본적으로는 트리거 레버(71), 로커 레버(73) 및 캠 기어(30)(구체적으로는, 그 훅부(32) 및 이가 없는 톱니부(34)), 보다 상세하게는, 이들에 더하여, 이송 랙(40)의 전환 랙부(42) 및 캠 홈(43) 등으로, 제2 모터(4)의 구동력의 전달 경로를 전환하는 동력 전달 경로 전환 기구가 구성되고, 이것이 본원 청구항에 기재한 「동력 전달 경로 전환 기구」에 상당하고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이, 이송 랙(40)은, 광 픽업(6)을 상기 디스크(9)의 신호 기록 범위의 가장 안쪽 둘레의 단부 위치(Sr)까지 이동시킨 후 더욱 안쪽 둘레 쪽의 소정 위치까지 이동가능해서, 이송 랙(40)이, 이 안쪽 둘레 쪽이 있는 소정 위치까지 이동함으로써, 또는, 이 소정 위치로부터 디스크 바깥쪽 둘레로 이동함으로써, 제2 모터(4)의 구동력의 전달 경로가 전환되므로, 1개의 모터(제2 모터(4))의 구동에 의해, 광 픽업(6)의 신호 판독 동작과 제2 모터(4)의 구동력의 전달 경로의 전환을 연계해서 행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신호의 재생 상태에 있는 광 픽업(6)을, 제2 모터(4)에 의해 광디스크(9) 위의 신호 기록 범위의 안쪽 둘레의 단부 위치(Sr)로 이동시킨 후, 다시 회전 방향을 바꾸지 않고 제2 모터(4)를 계속해서 돌림으로써, 자동적으로 턴테이블(5)에 의한 광디스크(9)의 클램프의 해제, 장치 밖으로의 광디스크(9)의 배출을 행할 수 있고, 종래의 광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필요로 되어 있었던 디스크 로딩 전용의 모터를 없앨 수 있다. 그리고, 장치내에서 사용하는 모터의 수를 줄임으로써, 보다 저렴한 광디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더욱이, 광 픽업(6)을 제2 모터(4)의 구동에 의해 디스크(9) 위의 신호의 가장 안쪽 둘레의 위치(Sr)로 이동시키고, 안쪽 둘레 검출 스위치(7)로 광 픽업(6)의 위치를 검출한 후, 상기 제2 모터(4)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거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장치 밖으로 디스크(9)를 배출하지 않고, 동 디스크(9)의 신호의 연속 재생/기록을 행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더욱, 종래에 필요로 되어 있었던 디스크가 장치 안에 반입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나 디스크의 클램프 동작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가 없어도, 안쪽 둘레 검출 스위치(7)에 의해 상기 상태의 검출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검출 스위치의 수를 줄일 수 있어, 보다 저렴한 광디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트래버스 베이스(20)는, 중간 베이스(80)를 개재하여, 그 후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있고, 중간 베이스(80)의 전단부의 돌기부(80P)가 캠 기어(30)에 형성된 캠 홈(33)에걸어 맞춰져있다. 이 캠 홈(3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하의 수평 홈부분(33a 및 33c)과 양자를 이어나가는 기울어진 홈부분(33b)을 구비하고 있고(도 24∼도 29 참조), 상기 돌기부(80P)가 이들 3개의 홈부(33a∼33c) 중 어느 부분과 걸어 맞춰지는가에 의해(즉, 캠 기어(30)의 회전이동 방향 및 회전이동량에 의해), 트래버스 베이스(20) 전단부의 상하 방향 위치가 정해진다. 따라서, 중간 베이스(80) 및 트래버스 베이스(20)는 캠 기어(30)의 회전이동 방향 및 회전이동량에 대응하여 그 후 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트래버스 베이스(20)는, 중간 베이스(80)를 개재하여, 그 한쪽 끝을 중심으로 하여 장치 베이스(1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로딩 구동 기어열(61)로부터의 동력전달에 의해 캠 기어(30)가 회전하게 되어 트래버스 베이스(20)의 다른쪽 끝이 승강하게 됨으로써, 트래버스 베이스(20)가 그 전단측을 중심으로 하여 장치 베이스(1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 다시 말해, 1개의 모터(제2 모터(4))의 구동에 의해, 트래버스 베이스(20)의 상하 방향으로의 회전이동 동작과 (따라서, 턴테이블(5)의 승강 동작과) 디스크(9)의 이송 동작을 연계해서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3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 기어(30)가 더욱 더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중간 베이스(80)의 전단 돌기부(80P)의 캠 홈(33)에 대한 걸어맞춤 위치는, 위쪽 수평 홈부(33a)로부터 기울어진 홈부(33b)을 지나, 아래쪽 수평 홈부(33c)로 이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다시 말해, 도 9 및 도 14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돌기부(80P)가 위쪽수평 홈(33a)에 걸어 맞춰져 있고, 중간 베이스(80) 및 트래버스 베이스(2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 베이스(10)에 대하여 평행하고 양자의 윗면이 거의 같은 높이가 되도록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크(9)를 턴테이블(5) 위에 올려 놓고 클램퍼(96)와의 사이에서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도 13 및 도 15∼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 랙(40)이 앞쪽으로 이동하고, 그 이동량이 일정 이상에 달하면 캠 기어(30)가 회전이동하기 시작하고, 중간 베이스(80)의 전단 돌기부(80P)가, 캠 홈(33)의 기울어진 홈부(33b)를 지나 아래쪽 수평 홈부(33c)와 걸어 맞춰지게 된다. 이 결과,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 베이스(80) 및 트래버스 베이스(20)가, 그 뒷 부분을 중심으로 아랫쪽으로 회전이동하여 장치 베이스(10)에 대하여 기울어진다. 이 상태에서는, 턴테이블(5)이 기울어진 상태로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있으므로, 장치(1)의 외부로부터 디스크(9)을 턴테이블(5)의 윗쪽으로 끌어 들일 때, 및 디스크(9)를 턴테이블(5)의 위쪽으로부터 장치(1)의 외부로 배출하는 때에는, 디스크(9)가 턴테이블(9)과 간섭하는 일은 없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캠 기어(30)의 외주 톱니부(30g)는 트래버스 베이스(20)가 장치 베이스(10)에 대하여 소정 위치(중간 베이스(80)의 전단 돌기부(80P)가 캠 홈(33)의 기울어진 홈부(33b)를 지나 아래쪽 수평 홈부(33c)와 걸어 맞춰지는 위치)까지 아랫쪽으로 회전이동한 상태에서 디스크 로딩 기구의 트레이 구동 기어(56)와 맞물리므로, 상기 트레이(55)는 트래버스 베이스(20)가 확실하게 아랫쪽으로 회전이동한 상태에서 구동된다. 따라서, 트레이 구동시(즉, 디스크 이송시), 트레이(55)가(즉 디스크(9)가) 턴테이블(5)과 간섭하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트래버스 베이스(2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는(도 13 및 도 18 및 도 7 참조), 제3 로딩 기어(64)도 기울어진 상태로 캠 기어(30)의 외주 톱니부(30g)와 맞물리게 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도 29 참조), 이 외주 톱니부(30g)는, 그 종단면에 있어서의 외형이 곡선 형상 혹은 캠 기어(30)의 축선(Lg)에 대하여 기울어진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양쪽 기어(64, 30g)는 확실하면서도 원활하게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이 이송 랙(40)이(즉 광 픽업(6)이) 앞쪽으로 이동하고, 트래버스 베이스(20)가 경사 동작을 행하는 사이, 도 14∼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 랙(40)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그 이송 랙(40)의 전단부가 상기 위치 결정 로드(75)의 연장받침부(75c)의 뒷면에 맞닿아 이것을 앞쪽으로 누른다. 이에 의해, 위치 결정 로드(75)의 규제 로드부(75s)가, 로커 레버(73)의 기저부(73b)의 가이드 로드(73s)로 안내된 상태에서 앞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전술과 같이, 이 규제 로드부(75s)를 중간 베이스(80)의 위치 결정 구멍(83) 안에 끼워 넣는 것에 의해, 이 중간 베이스(80)를 개재하여, 트래버스 베이스(20)의 장치 베이스(10)에대한 좌우 방향의 위치 결정이 행하여진다.
한편, 상기 위치 결정 로드(75)의 연장받침부(75c)의 앞 부분은, 로커 레버(73)의 스프링부(73c)에 맞닿아 있어, 이 스프링부(73c)에 의해 뒤쪽으로 가압되어 있다. 상기와는 반대로 이송 랙(40)이 뒤쪽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위치 결정 로드(75)는 상기 스프링부(73c)의 가압력에 의해 뒤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더욱이, 트래버스 베이스(20)의 전단측에 설치된 원호 홈(27)에 캠 기어(30)의 훅부(32)의 걸어맞춤 볼록부(32p)를 걸어 맞춤으로써, 트래버스 베이스(20)가 장치 베이스(10)에 대하여 거의 평행하고 양자의 표면이 거의 같은 높이로 유지되어 있는 동안, 양자의 전후 방향의 위치 결정이 행하여져 있다.
도 19 및 도 20은, 제2 모터(4)에 의해 모터 기어(4G)를 더욱 더 같은 방향(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로딩 구동 기어열(61)을 개재하여 캠 기어(30)를 더욱 더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도 13에 나타내는 상태인 동안에는, 트레이 구동 기어(56)의 입력 기어(56A)는 캠 기어(30)의 외주 톱니부(30g)와는 맞물려 있지 않고, 그 이가 없는 톱니부(34)에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캠 기어(30)가 회전해도 트레이 구동 기어(56)가 회전하는 일은 없다.
그러나, 캠 기어(30)가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어진 상태까지 회전이동하면, 캠 기어(30)의 외주 톱니부(30g)가 트레이 구동 기어(56)의 입력 기어(56A)와 맞물리기 시작하고, 캠 기어(30)의 회전에 의해 트레이 구동 기어(56)가 회전하게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이 구동 기어(56)의 출력 기어(56B) 및 이것과 맞물리는 트레이 랙 톱니(55g)를 개재하여, 트레이(55)가 앞쪽으로 끌어내지게 되어 있다.
한편, 이상의 설명은, 트레이(55)를 디스크 장치(1)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끌어 낼 경우에 대한(즉, 신호 재생 상태에서 광디스크(9)의 클램프 해제 및 디스크(9)의 배출 동작에 대한) 것이었지만, 이 반대로, 트레이(55)를 디스크 장치(1)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끌어 들일 경우에는, 회로 기판(2)에 설치된 모터 제어 회로에 의해 제2 모터(4)가 이상과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모터 기어(4G)가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에 의해, 디스크 장치(1) 안으로의 광디스크(9)의 반입, 디스크(9)의 클램프, 그리고 신호 재생 상태로의 이행을 일련의 동작으로서 행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장치 베이스(10)와 별체로 턴테이블(5)을 장치한 트래버스 베이스(20)가, 장치 베이스(1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1개의 모터(제2 모터(4))를 정방향(제1 회전 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연속해서 회전시킴으로써, 광 픽업(6)의 이동 동작과 턴테이블(5)의 승강 동작과 디스크(9)의 이송 동작이 이 순서로 거의 연속하고, 또는 반대의 방향으로 반대의 순서로 거의 연속해서 행하여지므로, 디스크(9)의 출납을 행할 때, 디스크(9)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일 없이 턴테이블(5)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디스크 장치와 같이, 디스크를 들어 올리는 디스크 홀더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또한, 턴테이블(5)을 부착한 트래버스 베이스(20)를 장치 베이스(1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동작을 이용하여, 디스크(9)의 턴테이블(5)에 대한 고정(클램프) 및 고정 해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디스크 장치와 같이 클램퍼측(척판)을 상하 방향으로 구동할 필요는 없다.
이 경우에 있어서, 광 픽업(6)의 이동 동작과 턴테이블(5)의 승강 동작과 디스크(9)의 이송 동작을 1개의 모터(제2 모터(4))로 행할 수 있으므로, 턴테이블 회전 구동용의 제1 모터(3)와 합쳐 총 2개의 모터로 디스크 장치(1)을 작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모터의 사용 개수를 삭감함으로써, 디스크 장치(1)의 구조를 보다 간소화하고, 각 구성 요소의 양호한 작동을 보다 안정하게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광디스크 장치(1)에서는, 제2 모터(4)의 구동력의 전달 경로를 로딩 구동 기구에 전달하는 경로와 픽업 구동 기구에 전달하는 경로와의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하고 있었지만, 이러한 전달 경로의 전환을 행하지 않고, 상기 제2 모터(4)를 광 픽업(6)의 구동만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예를 들면, 복수 개수의 디스크를 순차적으로 바꿔 넣어서 정보신호의 판독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소위 체인저(changer)나, 홉업(hopup)식의 개폐문을 갖는 디스크 장치 등에서는, 디스크의 로딩은, 광디스크에의 정보신호의 기록/판독 기구를 갖는 장치부분과는 전혀 별도의 외부기구로(즉, 장치 외부의 동력을 사용하여) 행하여지므로, 픽업 구동 기구와 로딩 구동 기구와의 사이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전달 경로의 전환을 행하고, 디스크 로딩에 디스크 장치 내부의 동력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이러한 용도에 대하여는, 전술한 로딩 구동 기어열(61)(제1∼제3 로딩 기어(62∼64))을 설치할 필요는 없다. 도 51 및 도 5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로딩 구동 기어열(61)(제1∼제3 로딩 기어(62∼64))은, 트래버스 베이스(20)에 설치한 각 지지 보스부(62S∼64S)의 축 구멍부(62h∼64h)에 각 기어(62∼64)의 회전축을 삽입하여 조립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용도에 대하여는, 이 로딩 구동 기어열(61)(제1∼제3 로딩 기어(62∼64))을 트래버스 베이스(20)에 조립하지 않고, 도 52에 나타내어진 상태로 사용하면 좋다. 이 경우에는, 제2 모터(4)는 광 픽업(6)의 이동 전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디스크 장치(1)는, 장치 내부의 동력(제2 모터)을 이용해서 디스크 로딩을 행하는 용도와, 디스크 로딩이 장치 외부의 동력을 이용하여 행하여지는 용도에 대하여, 간단히 구별하여 쓸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각종 개량 혹은 설계상의 변경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의 제1 발명에 따르면, 제1 베이스와 별체로 턴테이블을 단 제2 베이스가, 중간 베이스를 개재하여 제1 베이스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 또는 회전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고, 1개의 모터(제2 모터)를 정방향(제1 회전 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연속해서 회전시킴으로써, 광 픽업의 이동 동작과 턴테이블의 승강 동작과 디스크의 이송 동작이 이 순서로 거의 연속하고, 또는 반대의 방향으로 반대의 순서로 거의 연속해서 행하여지므로, 디스크의 출납을 행할 때, 디스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일 없이 턴테이블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디스크 장치와 같이, 디스크를 들어 올리는 디스크 홀더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또한, 턴테이블을 단 제2 베이스를 제1 베이스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또는 회전이동시키는 동작을 이용하여, 디스크 턴테이블에 대한 고정(클램프) 및 고정 해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종래의 디스크 장치와 같이, 클램퍼측(척판)을 상하 방향으로 구동할 필요는 없다.
이 경우에 있어서, 광 픽업의 이동 동작과 턴테이블의 승강 동작과 디스크의 이송 동작을 1개의 모터로 행할 수 있으므로, 턴테이블 회전 구동용의 제1 모터와 합쳐서 총 2개의 모터로 디스크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모터의 사용 개수를 삭감함으로써, 장치의 구조를 보다 간소화하고, 각 구성 요소의 양호한 작동을 보다 안정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중간 베이스가 제1 베이스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 또는 회전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중간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제2 베이스가 탄성체를 개재하여 지지되어 있으므로, 제1 베이스에 대한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 또는 회전이동 동작의 지지와 제2 베이스의 탄성지지를 별개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중간 베이스를 갖지 않는 종래(종래 기술2)에 비하여, 제2 베이스를 탄성지지하는 지지부의 탄성에 관한 설정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진동의 흡수와 턴테이블의 회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의 억제를 비교적 용이하게 동시에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원의 제2 발명에 따르면, 기본적으로는, 상기 제1 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 베이스를 지지한 중간 베이스는 그 일단측을 중심으로 해서 상기 제1 베이스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로딩 구동 기어열로부터의 동력전달로 캠 기어가 회전하게 되어 중간 베이스의(즉, 제2 베이스의) 타단측이 승강하게 됨으로써, 중간 베이스 및 제2 베이스가 그 일단측을 중심으로 해서 제1 베이스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 다시 말해, 1개의 모터(제2 모터)의 구동에 의해, 중간 베이스 및 제2 베이스의 상하 방향으로의 회전이동 동작과(따라서, 턴테이블의 승강 동작과) 디스크의 이송 동작을 연계해서 행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본원의 제3 발명에 따르면, 기본적으로는, 상기 제2 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캠 기어의 외주 톱니부의 종단면에 있어서의 외형이, 상기 중간 베이스의(즉, 제2 베이스의) 회전이동 동작에 따라 상기 로딩 구동 기어열의 최종 출력 기어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동할 때의 회전이동 궤적에 따른 원호 형상 혹은 이 원호에 근사한 직선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중간 베이스 및 제2 베이스의 회전이동 동작에 따라 로딩 구동 기어열이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동했을 경우라도, 그 최종 출력 기어를 캠 기어의 외주 톱니부와 확실하면서도 원활하게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또한, 더욱이, 본원의 제4 발명에 따르면, 기본적으로는, 상기 제2 또는 제3의 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중간 베이스의 타단측에 설치된 돌기부가 캠 기어의 캠 홈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중간 베이스의(따라서, 제2 베이스의)타단측의 상하 방향의 위치 결정이 행하여지므로, 중간 베이스 및 제2 베이스 타단측의 제1 베이스에 대한 상하 방향 위치를 확실하게 정하여, 정확한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베이스 위의 기구 부품과 제2 베이스 위의 기구 부품을 정확하면서도 확실하게 걸어 맞추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더욱이, 본원의 제5 발명에 따르면, 기본적으로는, 상기 제2∼ 제4의 발명 중 어느 하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캠 기어의 외주 톱니부는, 상기 중간 베이스가(즉, 제2 베이스가) 제1 베이스에 대하여 소정위치까지 아랫쪽으로 회전이동한 상태로, 디스크 로딩 기구의 트레이 구동 기어와 맞물리므로, 상기 트레이는 중간 베이스 및 제2 베이스가 확실하게 아랫쪽으로 회전이동한 상태로 구동된다. 따라서, 트레이 구동시(즉 디스크 이송시), 트레이가(즉 디스크가) 턴테이블과 간섭하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더욱이, 본원의 제6 발명에 따르면, 기본적으로는, 상기 제2∼ 제5의 발명 중 어느 하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이송 랙은, 광 픽업을 상기 디스크의 신호 기록 범위의 가장 안쪽 둘레 단부의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더욱 더 내주측의 소정 위치까지 이동가능하므로, 이송 랙이, 이 내주측의 소정 위치까지 이동함으로써, 또는, 그 소정 위치로부터 디스크 외주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제2 모터의 구동력의 전달 경로가 전환될 수 있으므로, 1개의 모터(제2 모터)의 구동에 의해, 광 픽업의 신호 판독 동작과 제2 모터의 구동력의 전달 경로의 전환을 연계해서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더욱이, 본원의 제7 발명에 따르면, 기본적으로는, 상기 제6 발명과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이송 랙이 소정 위치를 넘어서 타단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규제 로드가 구동되어서 제2 베이스의 타단측에서 돌출하고, 이에 의해, 상기 규제 로드가 중간 베이스의 위치 결정용 구멍부 안에 끼워 맞춰지고, 이송 랙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가로방향에 있어서의 제2 베이스의 중간 기초로 대한 위치 결정이 행하여지므로, 제2 베이스 타단측의 중간 베이스에 대한(따라서, 제1 베이스에 대한) 가로 방향 위치를 확실하게 정하여, 정확한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베이스 위의 기구 부품과 제2 베이스 위의 기구 부품을, 정확하면서도 확실하게 걸어 맞추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1개의 모터(제2 모터)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이송 랙의 제2 베이스 타단측으로의 이동 동작과 상기 위치 결정 동작을 연계해서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더욱이, 본원의 제8 발명에 따르면, 기본적으로는, 상기 제1 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클램퍼측으로 뒤집힌 디스크를 클램프할 경우에 있어서, 정보신호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디스크의 외주 근방에 큰 클램퍼를맞붙여가압하는 것에 의해, 상기 디스크의 휘어짐을 교정한 상태로, 픽업의 광 빔을 조사 또는 반사시킬 수 있고, 디스크면과 광 빔과의 각도를 보다 엄격하게 규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스크에 휨 등의 변형이 있을 경우라도, 이 변형에 대응해서 보다 정밀도가 높은 정보신호의 기록/판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외주를 맞붙어 가압하는 큰 지름의 클램퍼를 턴테이블 윗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트레이를 방해하는 일 없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더욱이, 본원의 제9 발명에 따르면, 기본적으로는, 상기 제8 발명과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턴테이블과 클램퍼가 디스크를 끼워 둘 때 이외에는, 스프링 훅이 클램프 판에 지지되는 것에 의해, 스프링 홀더도 클램프 판에 지지된다. 이렇게 클램프 판에 지지된 스프링 홀더와 클램퍼와의 사이에 개장된 스프링 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클램퍼를 턴테이블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더욱이, 본원의 제10 발명에 따르면, 기본적으로는, 상기 제8 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턴테이블과 클램퍼가 디스크를 끼워 둘 때 이외에는, 제1 자석과 제2 자석이 자력으로 서로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클램퍼를 턴테이블 윗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광디스크 장치에 따르면, 디스크 로딩 동작과 디스크 회전 동작과 픽업 이송 동작을 2개의 모터로 행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고, 또한, 외부로부터의 진동의 흡수와 턴테이블의 회전에 따른 진동 발생의 억제를 양립해서 달성할 수 있으므로, 구조의 간소화 및 충격이나 진동의 작용에 대한 내구성의 향상이 요청되는, 예를 들면, 소위 CD 또는 소위 DVD 등, 정보기록 매체로서의 광디스크에 정보신호를 기록 및/또는 기록된 정보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광디스크 장치에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광디스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턴테이블과, 그 턴테이블로 회전시켜지는 광디스크에 정보신호를 기록 및/또는 광디스크에 기록된 정보신호를 판독하는 광 픽업과, 그 광 픽업을 광디스크의 내주측과 외주측과의 사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이동시키는 픽업 구동 기구와, 상기 광디스크를 턴테이블 윗쪽의 제1 위치와 장치 외부의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이송하는 디스크 로딩 기구를 구비한 광디스크 장치로서,
    장치 본체의 기부(基部)를 구성하는 제1 베이스와, 상기 턴테이블 및 그 턴테이블을 회전 구동하는 제1 모터와 상기 광 픽업 및 픽업 구동 기구를 탑재한 제2 베이스와,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베이스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 또는 회전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탄성체를 개재하여 상기 제2 베이스를 지지하는 중간 베이스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또는 제2 베이스에, 상기 디스크 로딩 기구를 구동하는 로딩 구동 기구와, 그 로딩 구동 기구 및 상기 픽업 구동 기구에 구동력을 주는 정역(正逆) 회전가능한 제2 모터와, 그 제2 모터의 구동력의 전달 경로를 상기 로딩 구동 기구측에 전달하는 경로와 픽업 구동 기구측에 전달하는 경로와의 사이에서 전환하는 동력 전달 경로 전환 기구가 설치되며,
    상기 제2 모터를 제1 회전 방향으로 연속해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광 픽업의 이동 동작과 턴테이블의 승강 동작과 광디스크의 이송 동작이 이 순서로 대략연속해서 실행되며, 상기 제2 모터를 상기 제1 회전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연속해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이들 각 동작이 상기와는 역방향으로 반대의 순서로 대략 연속해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베이스는, 제1베이스에 형성된 개구 내에 배치됨과 아울러, 그 일단측을 중심으로 해서 상기 제1 베이스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편, 제1 베이스에는, 중간 베이스 타단측의 근방에 위치해서 그 중간 베이스 타단측을 승강시키는 캠 홈을 외주부에 갖는 캠 기어가 배치되고, 상기 로딩 구동 기구는 복수의 기어로 이루어지는 로딩 구동 기어열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로딩 구동 기어열의 최종 출력 기어가 상기 캠 기어의 외주 톱니부와 맞물림으로써, 그 캠 기어가 회전하게 되어 상기 중간 베이스의 타단측을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 기어의 외주 톱니부는, 그 종단면에 있어서의 외형이, 상기 중간 베이스의 회전이동 동작에 따라 상기 로딩 구동 기어열의 최종 출력 기어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동할 때의 회전이동 궤적에 따른 원호 형상 혹은 이 원호에 근사한 직선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베이스의 타단측에는 돌기부가 설치되고, 그 돌기부가 상기 캠 기어의 캠 홈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중간 베이스 타단측의 상하 방향의 위치 결정이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로딩 기구는 디스크를 탑재시키는 트레이를 구동하는 트레이 구동 기어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캠 기어의 외주 톱니부는, 상기 중간 베이스가 제1 베이스에 대하여 소정 위치까지 아랫쪽으로 회전이동한 상태로, 상기 트레이 구동 기어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구동 기구는, 광 픽업을 이동시키는 이송 랙과, 그 이송 랙을 구동하는 복수의 기어로 이루어지는 랙 구동 기어열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이송 랙은 광 픽업을 상기 광디스크의 신호 기록 범위의 가장 안쪽 둘레 단부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더욱 내주측의 소정 위치까지 이동가능해서, 이송 랙이 이 내주측이 있는 소정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그 이송 랙이 상기 동력 전달 경로 전환 기구와 걸어 맞춰지고, 이 걸어맞춤 상태로 상기 제2 모터의 구동력의 전달 경로가 상기 픽업 구동 기구측에 전달하는 경로로부터 상기 로딩 구동 기구측에 전달하는 경로로 전환되고, 상기 이송 랙이 상기 소정 위치로부터 디스크 외주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동력전달경로 전환기구와의 걸어맞춤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상기 제2 모터의 구동력의 전달 경로가 상기 로딩 구동 기구측에 전달하는 경로로부터 상기 광 픽업 구동 기구측에 전달하는 경로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에 그 타단측에서 출몰가능한 규제 로드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중간 베이스에는 상기 규제 로드를 걸어 맞출 수 있는 위치 결정용 구멍부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 랙은 제2 베이스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이동하여 소정 위치에 이르면 상기 규제 로드에 걸어 맞춰지고, 그 걸어맞춤 상태로 이송 랙이 더욱 타단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규제 로드가 제2 베이스의 타단측에서 돌출하여 상기 위치 결정용 구멍부 내에 끼워 맞춰지고, 탄성체를 개재한 중간 베이스와의 위치 규제함으로써, 이송 랙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가로방향에 있어서의 제2 베이스의 제1 베이스에 대한 위치 결정이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스핀들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한 턴테이블과 동심 위치에 탑재된 광디스크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클램퍼로 끼워 두는 디스크 클램프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클램퍼는 상기 광디스크의 안쪽 가장자리 근방을 상기 턴테이블과 함께 끼워 두는 중앙 클램퍼와, 상기 광디스크의 외주 근방과 맞닿는 큰 클램퍼를 구비하며,
    상기 턴테이블과 상기 클램퍼에 의한 디스크의 끼워짐이 해제될 때에는, 상기 턴테이블 윗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클램퍼를 이송시키는 클램퍼 이송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과 동심 위치에 지지된 상기 클램퍼와, 한쪽 편을 상기 클램퍼와 맞닿게 하고 다른 한쪽 편을 상기 클램퍼와 동심 위치에 탑재된 스프링 홀더에 맞닿게 한 스프링 부재와, 상기 클램퍼를 관통하여 상기 클램퍼와 상기 스프링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스프링 홀더에게 고정되는 스프링 훅과, 상기 스프링 훅을 지지하는 클램프 판을 구비하고,
    상기 턴테이블과 상기 클램퍼를 끼워 둘 때 이외에는 상기 스프링 훅이 상기 클램프 판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클램퍼와 상기 스프링 홀더에 개재된 스프링 부재에 의해 상기 클램퍼를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제1 자석이 탑재된 상기 클램퍼와, 상기 클램퍼의 상기 턴테이블과는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설치된 클램프 판과, 상기 클램프 판에 탑재된 제2 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턴테이블과 상기 클램퍼를 끼워 둘 때 이외에는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의 자력으로 서로 끌어당기는 것에 의해 상기 클램퍼를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장치.
KR1020027006192A 2000-09-14 2001-09-14 광디스크 장치 KR200300093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80282 2000-09-14
JP2000280282A JP4486238B2 (ja) 2000-09-14 2000-09-14 光ディスク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9321A true KR20030009321A (ko) 2003-01-29

Family

ID=18765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192A KR20030009321A (ko) 2000-09-14 2001-09-14 광디스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18130B2 (ko)
JP (1) JP4486238B2 (ko)
KR (1) KR20030009321A (ko)
CN (1) CN100346415C (ko)
DE (1) DE10194061B4 (ko)
WO (1) WO200202354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672B1 (ko) * 2005-01-21 2007-08-20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디스크 체인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3772B2 (en) * 2000-09-29 2004-11-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k drive
EP2009632A1 (en) 2002-01-10 2008-12-31 Panasonic Corporation Disk Drive
AU2003259432A1 (en) * 2002-09-11 2004-04-3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pparatus for tilt correction of an information carrier
JP3647839B2 (ja) * 2002-11-12 2005-05-18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3792643B2 (ja) * 2002-12-06 2006-07-05 三菱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JP2004199728A (ja) * 2002-12-16 2004-07-15 Mitsumi Electric Co Ltd ディスク装置
JP3959356B2 (ja) * 2003-02-13 2007-08-1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スロットイン型再生記録装置
EP1482496B1 (en) * 2003-05-30 2006-03-08 ORION ELECTRIC CO., Ltd. Disc device with disc changer
US7281254B2 (en) * 2003-08-19 2007-10-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c drive having a traverse holder that is rotatable around an axis that is mutually different from the axis of a traverse base
JP4245468B2 (ja) 2003-12-10 2009-03-25 三菱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JP2006114098A (ja) * 2004-10-13 2006-04-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KR100584984B1 (ko) 2004-11-30 2006-05-29 삼성전기주식회사 차량용디스크재생장치
US7849473B2 (en) 2005-01-07 2010-12-0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Optical disk apparatus with shared driving source mechanism
JP4192921B2 (ja) 2005-07-11 2008-12-10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2007058905A (ja) * 2005-08-22 2007-03-08 Funai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JP5097378B2 (ja) * 2006-04-07 2012-12-12 ティアック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JP4858155B2 (ja) * 2006-12-22 2012-01-18 ティアック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JP5225763B2 (ja) * 2008-06-17 2013-07-03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5799231B2 (ja) * 2010-06-30 2015-10-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WO2017163279A1 (ja) * 2016-03-25 2017-09-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CN114131120B (zh) * 2021-12-17 2023-04-07 雄名航空科工(芜湖)股份有限公司 一种超精密端齿盘加工用设备
CN117359252A (zh) * 2023-11-20 2024-01-09 包头江馨微电机科技有限公司 一种音圈马达治具盘及双面磁体装配系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6716A (ja) * 1987-12-24 1989-06-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ジューサ
JP2527472Y2 (ja) * 1989-09-18 1997-02-26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
JPH0567936U (ja) * 1991-04-25 1993-09-10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クランプ装置
JP3142908B2 (ja) 1991-09-09 2001-03-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弾性表面波装置
JPH07244908A (ja) * 1994-03-04 1995-09-19 Tanashin Denki Co ディスク再生装置
JPH10134467A (ja) * 1996-10-24 1998-05-22 Toshiba Corp ディスク再生装置
JPH10194467A (ja) * 1997-01-17 1998-07-2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連続式アンローダのバケットガイド装置
JP3553328B2 (ja) 1997-08-13 2004-08-11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3609952B2 (ja) * 1999-02-01 2005-01-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672B1 (ko) * 2005-01-21 2007-08-20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디스크 체인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23546A1 (fr) 2002-03-21
DE10194061T1 (de) 2003-08-21
JP4486238B2 (ja) 2010-06-23
DE10194061B4 (de) 2006-06-14
US20020163870A1 (en) 2002-11-07
US6918130B2 (en) 2005-07-12
JP2002093013A (ja) 2002-03-29
CN1393016A (zh) 2003-01-22
CN100346415C (zh) 200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09321A (ko) 광디스크 장치
JP3609952B2 (ja) 光ディスク装置
US6813772B2 (en) Optical disk drive
JP3829025B2 (ja) 弾性支持装置
US6426935B1 (en) Supporting structure of floating chassis of disc apparatus
US5668790A (en) Disk reproducing apparatus with plural disk trays
JP2002175659A (ja) 光ディスク装置
JPH07244908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5158329B2 (ja) ディスク装置
US7134127B2 (en) Disk player
US20050177838A1 (en) Disk apparatus
JP4266508B2 (ja) 光ディスク装置のアース機構
JPH10134467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2000251357A (ja) ディスククランプ装置
JP4490755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3796215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3806692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2001283499A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ー
JP3694417B2 (ja) 記録媒体駆動装置
JP2002008345A (ja) 光ディスク装置
JPH10269667A (ja) ディスク装置
JPH04229419A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2005327329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S60214466A (ja) オ−トロ−デイングデイスクプレ−ヤ
JPH081726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