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9048A - 미종결화된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데이터 매체의목록표를 판독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미종결화된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데이터 매체의목록표를 판독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9048A
KR20030009048A KR1020017016665A KR20017016665A KR20030009048A KR 20030009048 A KR20030009048 A KR 20030009048A KR 1020017016665 A KR1020017016665 A KR 1020017016665A KR 20017016665 A KR20017016665 A KR 20017016665A KR 20030009048 A KR20030009048 A KR 20030009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rive
control
signal
driv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6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9057B1 (ko
Inventor
아펠크리스토프
트레믈헤르베르트
웅거헬무트
빔머볼프강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30009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9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0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8Speed 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05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Photographic Processing Devices Using Wet Method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회전 구동가능한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데이터 매체(2) 상에 저장된 데이터(A, D, ID)를 재생하는 재생장치(1)는, 구동신호(AS)에 따라 데이터 매체(2)를 구동하는 구동수단(6)과, 판독된 데이터(AD)가 사용되는 동안 제어 구동신호(S1)를 발생하는 구동 제어수단(24)과, 제어 구동신호(S1)를 발생하는데 적합한 데이터(AD)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45)과, 제어 구동신호(S2)를 발생하는 추가적인 구동 제어수단(42)과, 데이터 매체(2)를 구동하는데 적합한 데이터(AD)가 존재하지 않을 때, 제어 구동신호(S2)에 따라 데이터(2)를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제어수단(4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미종결화된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데이터 매체의 목록표를 판독하는 장치{MEANS FOR READING A TABLE OF CONTENTS OF A NON-FINALIZED OPTICALLY READABLE DATA CARRIER}
본 발명은, 회전 구동가능한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데이터 매체 상의 적어도 한 개의 트랙을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 설치되고,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구동신호에 따라 데이터 매체를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된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판독수단과, 판독된 데이터를 수신 및 평가하고 판독된 데이터가 사용되는 동안 제어 구동신호를 발생 및 전달하여 제어 구동신호에 따라 데이터 매체를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구동 제어수단과, 제어 구동신호를 발생하는데 적합한 판독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같은 적합한 데이터가 없을 때 검출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검출수단을 구비한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서두에 따른 형태를 갖는 이와 같은 재생장치는,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되어, CD753으로 불리는 소위 CD 재생장치로서 시판되고 있으므로, 공지된 상태이다.
종래의 재생장치에 있어서는, CD가 종결화된 상태로 되지 않는 한, 기록가능한 CD 상에 저장된 데이터의 재생이 절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미종결화된 상태에 있는 CD는, 본 경우에는 적어도 한곡의 음악과 추가적인 데이터를 표시하는유용한 데이터를 유용한 데이터 영역에 갖는다. 더구나, CD는, 콘텐츠 데이터가 임시로 저장되며, 유용한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적어도 한곡의 음악에 대한 임시 목록표(table of contents)를 표시하는 제 1 콘텐츠 데이터 영역을 갖는다. 제 1 콘텐츠 데이터 영역은 CD 상의 유용한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종결화에 의해, 콘텐츠 데이터가 제 1 콘텐츠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판독되어 제 2 콘텐츠 데이터 영역에 저장되는데, 이 제 2 콘텐츠 데이터 영역에 콘텐츠 데이터가 영구적으로 저장되어, 최종 목록표를 표시하게 된다.
새로 삽입된 CD에 대해, 종래의 재생장치는 먼저 CD의 유용한 데이터 영역에 조금이라도 유용한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먼저 확인하고, 성공적인 검사를 거친 후에, 제 1 콘텐츠 데이터 영역, 따라서 최종 목록표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하려고 시도한다. 그러나, 미종결화된 CD에 대해서, 제 2 콘텐츠 데이터 영역은 아직 어떠한 콘텐츠 데이터도 포함하지 않고 있다. 종래의 재생장치에 있어서는, 검출수단이, 완전히 기록되지 않은, 따라서 미종결화된 CD에 대해, 유용한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어떠한 유용한 데이터도 판독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단지 부분적으로 기록되고 이에 따라 미종결화된 CD에 대해서는, 유용한 데이터가 유용한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판독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사실이기는 하지만, 그후 어떠한 콘텐츠 데이터도 제 2 콘텐츠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판독되지 않는다. 전자의 경우에는 유용한 데이터의 부재로 인해, 그리고 후자의 경우에는 콘텐츠의 부재로 인해, 제어 구동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사용가능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이 벌어진다. 종래의 재생장치에 있어서, 이것은 재생장치의 일부분이 동작을 멈추도록 하며, 추정된 에러 신호를 보내는 경고가 발생되도록 하는데, 이것은 현실성과 동떨어지므로, 사용자에게 불만족을 초래한다.
미종결화된 CD의 유용한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유용한 데이터 데이터가 판독될 수 있도록 하며, 미종결화된 CD의 가상 목록표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는 것이 다른 재생장치로부터 공지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수단을 사용하면, 임시 목록표에 삭제된 것으로 특정된 유용한 데이터 영역의 유용한 데이터와, 임시 목록표에서 유효한 것으로 특정된 유용한 데이터 영역의 유용한 데이터 사이에 식별이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이들 재생장치는 심각한 문제점을 갖는다. 더구나, 유용한 데이터 영역에 있는 오래된 유용한 데이터를 오버라이트하는 유용한 데이터 영역의 새로운 데이터의 끝 부분을 안전하게 삭제할 수 없게 된다. 유용한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유용한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은 특정한 상황하에서는 장황한 조작일 수 있으며, 유용한 데이터 영역의 끝 부분을 찾는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일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수단은 매우 신뢰할 수 없는 결과를 제공하는데, 이것은 이와 같은 재생장치의 사용자에게 매우 큰 불만족을 초래한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서두에서 규정된 형태를 갖는 재생장치와 관련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미종결화된 데이터 매체의 경우에도, 제 1 콘텐츠 데이터 영역에서 임시 목록표가 신뢰할 수 있게 발견 및 판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미종결화된 데이터 매체와 종결화된 데이터 매체의 유용한 데이터 영역에 있는 유용한 데이터가 사용자가 어떠한 문제없이 만족스럽게 재생될 수 있도록 하는 개량된 재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은, 제어 구동신호를 발생하여 전달하도록 구성된 추가적인 구동 제어수단이 설치되고, 검출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이 검출신호를 수신한 결과, 제어 구동신호에 따라 데이터 매체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수단이 설치된다는 점에서, 서두에 규정된 형태를 갖는 재생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특징부를 구비하게 되면, 제어 구동신호를 발생하는데 적합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 매체의 미기록된 영역이 주사될 때에도, 제어 구동신호에 결정된 일정한 각속도로 데이터 매체가 구동될 수 있으므로, 데이터 매체의 제어 트랙에 포함된 제어정보의 평가를 위해 필요한 고가의 전자장치와 고가의 광학장치가 없더라도, 데이터 매체의 이들 영역이 주사될 때에도, 데이터 매체의 각속도가 항상 적절한 범위 내로 유지된다는 이점을 갖게 된다. 더구나, 임시 콘텐츠 테이블의 검색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은 비용으로 이것이 가능한 기존의 소위 CD 라이터와는 대조적으로, 먼저 미종결화된 데이터 매체의 임시 콘텐츠 테이블이 매우 간단한 수단을 사용하여 가능하게 된다는 큰 이점이 얻어진다.
청구항 2에 기재된 특징부를 구비하게 되면, 조절된 구동신호와 제어 구동신호가 한 개의 라인을 거쳐 구동수단으로 전송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라인들과 이들 추가적인 하인들을 위한 추가적인 단자들을 생략할 수 있으며, 이것은 한편으로 가능한 에러 발생원의 수를 저감하게 된다는 이점을 갖게 된다. 더구나, 데이터 매체가 제어 구동신호에 따라 구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구동 조절수단의 적어도 한 개의 출력을 오프시키는 것만이 필요하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청구항 3에 기재된 특징부를 구비하게 되면, 스위칭 수단의 매우 간단한 실시예가 가능하게 되며, 이것은 한편으로 최대의 비용효율적으로 스위칭 수단을 구현하는데 기여하게 된다는 이점을 갖게 된다. 더구나, 회로의 비용이 가능한한 낮게 유지된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청구항 4에 기재된 특징부를 구비하게 되면, 구동 제어수단이 매우 간단하게 배치되므로, 매우 비용효율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게 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특징부를 구비하게 되면, 데이터 매체의 목록표를 찾을 수 있으며, 그후 매우 신뢰할 수 있으면서도 신속하게 이 목록표를 판독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전술한 발명내용과 추가적인 발명내용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며, 이들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2가지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필수적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란 재생장치의 부분을 블록도의 형태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재생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는, 회전 구동가능하며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데이터 매체(2) 상의나선형 트랙을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구성된 재생장치(1)의 일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매체(2)는 CD로 약칭되는 콤팩트 디스크로 이루어진다.
데이터 매체(2)는 유용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유용한 데이터 영역(3)을 갖는다. 유용한 데이터는 한편으로 오디오 데이터 A와 추가 데이터 D를 갖는다. 오디오 데이터 A는, 예를 들면, 음악의 디지털 표시를 나타내는 반면에, 추가 데이터 D는 음악의 번호를 포함하며, 이 추가 데이터 D는 각각의 음악의 재생 시간을 더 표시하고 나타낸다. 데이터 영역은, 유용한 데이터 영역(3)으로부터 떨어진 제 1 콘텐츠 데이터 영역(4)을 더 갖는다. 제 1 콘텐츠 데이터 영역(4)은 목록표의 콘텐츠 데이터 ID를 임시로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제 1 콘텐츠 데이터 영역(4)에는, 데이터 매체(2)가 제조될 때, 이에 따라서 데이터 매체(2)에 소위 CD 레코터, 즉 CD 기록장치를 사용하여 음악이 기록될 때, 목록표의 콘텐츠 데이어 ID가 임시로 저장되는데, 이에 따라서 콘텐츠 데이터 ID는 임시 목록표를 구성하게 된다. 데이터 매체(2)는, 유용한 데이터 영역(3)과 제 1 콘텐츠 데이터 영역(4)으로부터 떨어진 제 2 콘텐츠 데이터 영역(5)을 더 갖는다. 제 2 콘텐츠 데이터 영역(5)은 유용한 데이터 영역(3)과 제 1 콘텐츠 데이터 영역(4) 사이에 놓이며, 목록표의 콘텐츠 데이터 ID를 영구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설치되는데, 이에 따라 이 콘텐츠 데이터 ID는 최종적인 목록표를 구성하게 된다. 데이터 매체(2)가 CD 레코더, 따라서 CD 기록장치를 사용하여 종결화될 때, 이에 따라 음악이 데이터 매체(3) 상에 기록된 후에, 제 1 콘텐츠 데이터 영역(4)의 콘텐츠 데이터 ID가 제2 콘텐츠 데이터 영역(5)으로 전송되는데, 이와 같은 전송은 CD 레코더의 도움으로도 수행된다. 따라서, 제 2 콘텐츠 데이터 영역(5)은 미종결화된 데이터 매체(2) 상에 어떠한 콘텐츠 데이터 ID도 갖지 않는다.
데이터 매체(2)는 그것의 중심에 중심공(2H)을 더 갖는다. 데이터 매체(2)를 구동하기 위해, 재생장치(1)는 구동수단(6)을 구비한다. 구동수단(6)은, 데이터 매체(2)의 중심공(2H)에 삽입되도록 설치되고 구동 조정기(7T)에 연결되는 중심축(7)을 가지며, 이 구동 조정기(7T)는 데이터 매체(2)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중심축(7)과 구동 조정기(7T)를 구동하기 위해, 구동수단(6)은 모터(8)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하지 않은 모터(8) 내부의 모터 권선은, 기준 전위 G에 있는 그것의 제 1 권선 단자(8A)에 접속된다. 모터 권선은 그것의 제 2 권선 단자(8B)를 통해 구동수단(6) 내부에 포함된 모터 구동단(9)에 접속된다. 모터 구동단(9)은, 구동단 출력(10)을 가지며, 구동단 출력(10)에서 모터 공급신호 MS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모터 구동신호 MS는 모터(8)의 제 1 권선 단자(8B)로 인가된다. 모터 구동단(9)은, 모터 구동단(9)이 구동신호 AS를 수신하는 구동단 입력(11)을 더 갖는다. 모터 구동단(9)은, 신호처리, 특히 구동신호 AS를 증폭하고 증폭된 구동신호 AS에 따라 모터 공급신호 MS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구동수단(6)은, 구동신호 AS를 수신하고, 이 수신된 구동신호 AS에 따라 데이터 매체(2)를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재생장치(1)는, 데이터 매체(2) 상에 저장된 데이터, 심지어 유용한 데이터 A, D와 콘텐츠 데이터 ID 모두를 데이터 매체(2)로부터 판독할 수 있도록 하는 판독장치(12)를 더 구비한다. 이를 위해, 판독장치(12)는, 저장된 유용한 데이터 A, D를 판독하여 판독된 유용한 데이터 A, D를 아날로그 데이터 A, D로서 전달하고,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 ID를 판독하여 판독된 콘텐츠 데이터 ID를 아날로그 데이터 AD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판독수단(13)을 구비한다. 판독수단(13)은, 데이터 매체(2)를 향하는 방향으로 레이저 빔 LL을 발생 및 전달하는 광원(도 1에는 미도시)을 구비하고, 데이터 매체(2) 상에 저장된 데이터에 따라 반사된 반사광 RL을 수신하며 반사광 RL을 아날로그 데이터 AD로 변환하는 광 변환수단(도 1에는 미도시)을 더 구비한다.
판독장치(12)는, 초점 액추에이터 신호 FAS를 수신하고, 초점 액추에이터 신호 FAS에 따라 데이터 매체(2)의 평면에 수직하게 판독수단(13)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초점 액추에이터 수단(14)을 더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초점 액추에이터 수단(14)의 도움으로 데이터 매체(2)의 트랙 상에 레이저 빔 LL의 정확한 초점맞춤을 가능하게 하며, 이때 레이저 빔 LL은 판독수단(13)에 의해 발생된다.
판독장치(12)는, 반경방향의 액추에이터 신호 RAS를 수신하고, 이 반경방향의 액추에이터 신호 RAS에 따라 데이터 매체(2)의 반경방향을 따라 판독수단(13)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반경방향의 액추에이터 수단(15)을 더 갖는다. 이 반경방향의 액추에이터 수단(15)의 도움으로 판독수단(13)이 데이터 매체(2) 상의 트랙을 정확하게 따라갈 수 있다.
재생장치(1)는, 데이터 매체(2)의 반경방향을 따라 판독장치(12)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모터 구동되는 활주부재(16)를 더 구비한다. 재생장치(1)는, 반경방향의구동신호 RS를 수신하여, 활주부재(16), 따라서 판독장치(12)를 반경방향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 반경방향의 구동수단(17)을 더 구비한다.
재생장치(1)는, 아날로그 데이터 AD를 수신하고, 수신된 아날로그 데이터 AD에 따라 반경방향의 구동신호 RS와 반경방향의 액추에이터 신호 RAS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반경방향의 제어단(18)을 더 구비한다. 반경방향의 제어단(18)은, 판독수단(13)이 데이터 매체(2)의 트랙을 따라가고 있을 때, 수신된 아날로그 데이터 AD를 평가하도록 구성된다. 행해진 평가에 의존하여, 반경방향의 제어단(18)은, 데이터 매체(2)의 트랙과 관련하여 판독수단(13)의 대략적인 반경방향의 위치지정을 위해 반경방향의 구동수단(17)으로 반경방향의 구동신호 RS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반경방향의 재어단(18)에 의해 반경방향의 액추에이터 수단(15)으로 전달될 수 있는 반경방향의 액추에이터 신호 RAS의 도움으로, 데이터 매체의 트랙과 관련된 판독수단(13)의 미세한 반경방향의 위치지정이 행해질 수 있다.
반경방향의 액추에이터 수단(15)과 활주부재(16) 이외에, 반경방향의 구동수단(17)과 반경방향의 제어단(18)은 반경방향의 위치지정 수단(19)을 구성한다. 반경방향의 위치지정수단(19)은, 데이터 매체(2)의 트랙 상에 판독수단을 반경방향으로 위치지정하도록 구성된다. 판독수단(13)은, 반경방향의 위치지정 수단(19)과 함께, 판독수단(13)에 데이터 매체(2) 상의 트랙을 따라가고 있을 때, 판독수단(13)의 반경방향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설치된 제 1 제어회로를 구성한다. 제 1 제어회로는 민감하므로, 데이터 매체(2) 상의 트랙을 따라갈 때, 이 회로의 도움으로, 유용한 데이터 A, D 또는 콘텐츠 데이터 ID를 저장하고 있지 않은 데이터 매체 상의 영역에서도 판독수단(13)의 반경방향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반경방향의 위치지정 수단(19)의 반경방향의 제어단(18)은, 검출신호 DS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더구나, 반경방향의 제어단(18)이 검출신호 DS를 수신한 후, 이것은 판독수단(12)을 유용한 데이터 영역(3)으로부터 제 2 콘텐츠 데이터 영역(5)을 거쳐 제 1 콘텐츠 데이터 영역(4)의 시작점 앞까지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 1 (반경방향의) 제어회로의 높은 감도와 관련하여, 데이터 매체(2)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고 실제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판독 데이터)가 판독될 수 없더라도, 판독수단(13)을 데이터 매체(2)의 미기록된 영역에 위치시켜 그 위치에서 데이터 매체(2)의 트랙을 따라가도록 할 수 있다.
재생장치(1)는, 아날로그 데이터 AD를 수신하고 아날로그 데이터 AD를 신호처리하여, 제 1 액추에이터 신호 FAS를 발생하고 수신된 아날로그 데이터 AD에 응답하여 초점 액추에이터 신호 FAS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초점 제어단(20)을 구비한다. 따라서, 판독수단(13)과 초점 액추에이터 수단(14) 및 초점 제어단(20)은, 레이저 빔 LL을 데이터 트랙(2)의 트랙 상에 초점을 맞추는 제 2 제어회로를 구성하는데, 이때 레이저 빔 LL은 판독수단(13)에 의해 발생된다.
재생장치(1)는 판독수단(13)에 의해 발생된 아날로그 데이터 AD를 신호처리하도록 구성된 신호처리수단(21)을 더 구비한다. 이를 위해, 신호처리수단(21)은 오디오 데이터 변환단(22)과 데이터 처리단(23) 이외에 구동 제어수단(24)을 구비한다.
오디오 데이터 변환단(22)은, 아날로그 데이터 AD를 수신하고, 아날로그 데이터 AD를 오디오 신호 A로 변환하여 오디오 신호 A를 재생장치(1)의 오디오 출력 A0 상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재생장치(1)는 스피커가 연결될 수 있는 오디오 증폭기도 포함하여, 오디오 신호 A가 직접 오디오 증폭기로 전달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데이터 매체(2) 상에 저장된 음악이 스피커를 통해 재생장치(1)에 의해 직접 음향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단(23)도 아날로그 데이터 AD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 처리단(23)은, 아날로그 데이터 AD 내부에 포함된 추가 데이터 D를 디지털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는 추가 데이터 D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데이터 AD에 포함된 콘텐츠 데이터 ID를 디지털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는 콘텐츠 데이터 ID로 변환하도록 더 구성된다. 데이터 처리단(23)은, 추가 데이터 D와 이들 콘텐츠 데이터 ID를 전달하도록 더 구성된다.
구동 제어수단(24)은, 판독된 아날로그 데이터 AD를 수신 및 평가하고, 판독된 아날로그 데이터 AD를 사용할 때, 데이터 매체(2)가 제어 구동신호 S1에 응답하여 구동될 수 있도록, 제어 구동신호 S1을 발생하고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구동신호 S1을 발생하기 위해, 구동 제어수단(24)은, 라인 L을 통해 구동수단(6)의 입력, 이에 따라 모터 구동단(9)의 구동단 입력(11)에 접속되는 출력(25)을 갖는다. 구동 제어수단(24)은, 입력측에, 아날로그 데이터 AD를 평가하도록 구성되고, 판독된 아날로그 데이터 AD이 데이터 레이트를 평가하도록 더 구성된 구동 제어단(26)을 더 구비한다. 트랜지스터 제어신호 TS는 데이터 레이트의 평가 결과로써 구동 제어단(26)에 의해 발생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제어신호 TS가 구동 제어수단(24)의 출력 구동단(27)으로 전달될 수 있다.
출력 구동단(27)은, 본 경우에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제 1 트랜지스터(28)와 제 2 트랜지스터(29)를 구비한다. 그러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대신에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1 트랜지스터(28)는 제 1 전극(30)과 제 2 전극(31)을 갖고, 제 1 전극(30)은 공급 전압 V에 접속된다. 제 2 트랜지스터(29)도 제 1 전극(32)과 제 2 전극(33)을 갖는 한편, 제 2 전극(33)은 기준 전위 G에 접속된다. 제 1 트랜지스터(28)의 제 2 전극(31)과 제 2 트랜지스터(29)의 제 1 전극(32)은 스위칭 포인트 P에서 접속된다. 제 1 트랜지스터(28)는 제어전극(34)을 갖고, 제 2 트랜지스터(29)도 제어전극(35)을 갖는다. 2개의 제어전극 34 및 35에는 트랜지스터 제어신호 TS가 공급되므로, 아날로그 데이터 AD의 평가된 데이터 레이트에 따라, 제어 구동신호 S1이 스위칭 포인트 P로부터 펄스폭 변조된 구형파(square-wave) 신호로서 탭핑된다(tapped).
구동 제어수단(24)은 제 3 트랜지스터(36)를 더 구비하며, 이 제 3 트랜지스터(36)는 제 1 전극(37) 및 제 2 전극(38)과 제어전극(39)을 갖는다. 제 3 전극은 그것의 제 1 전극(37)이 스위칭 포인트 P에 접속된다. 이 제 3 트랜지스터(36)는 그것의 제 2 전극(38)이 출력(25)에 접속된다.
제 1 트랜지스터(28)와 제 2 트랜지스터(29) 및 제 3 트랜지스터(36)는 함께 제어수단(40)을 구성한다. 제어수단(40)은, 제 3 트랜지스터(36)의 제어전극(39)에 인가될 수 있는 검출신호 DS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검출신호 DS가 수신되었을 때, 제 3 트랜지스터(36)가 차단될 수 있으므로, 스위칭 포인트 P로부터 탭핑될수 있는 제어 구동신호 S1이 구동 제어수단(24)의 출력(25)으로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3 트랜지스터(36)가 스위칭 수단(41)을 구성하므로, 제어수단(40)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스위칭 수단(41)의 도움으로 출력(25)이 오프로 스위칭될 수 있다.
재생장치(1)는 제어 구동신호 S2를 발생하여 전달하도록 구성된 구동 제어수단(42)을 더 구비한다. 구동 제어수단(42)은, 제 1 저항(43)과 제 2 저항(44)으로 구현되고, 제 1 저항(42)이 제 2 저항(44)과 함께 공급 전압 V와 기준 전위 G 사이에서 분압기를 형성하므로, 제어 구동신호 S2가 분압기의 탭핑 포인트 B로부터 DC 전압의 형태로 탭핑될 수 있다. 구동 제어수단(42)의 분압기의 태핑 포인트 B는 라인 L에 접속된다.
재생장치(1)는 검출수단(45)을 더 구비한다. 검출수단(45)은 데이터 처리단(23)에 의해 전달될 수 있는 추가 데이터 D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검출수단(45)의 도움으로, 제어 구동신호 S1을 발생하는데 적합한 판독 아날로그 데이터 AD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적절한 아날로그 데이터 AD가 없을 때, 이에 따라 검출수단(45)에 의해 평가될 수 없는 추가 데이터 D 또는 콘텐츠 데이터 ID가 수신되거나, 추가 데이터 D 또는 콘텐츠 데이터 ID거 전혀 없을 때, 검출수단(45)에 의해 검출신호 DS가 발생되어 전달될 수 있다. 적절한 아날로그 데이터 AD가 존재할 때에, 검출수단(45)은, 추가 데이터 D 또는 콘텐츠 데이터 ID를 신호처리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47)와 인터페이스 데이터 ED를 통신하도록 구성된디지털 데이터 처리수단(26)으로 추가 데이터 D 또는 콘텐츠 데이터 ID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7)는, 재생장치(1)의 사용자에게, 예를 들면 추가 데이터 D 또는 콘텐츠 데이터 ID에 포함된 음악 곡명들과 그들의 재생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검출수단(45)과 디지털 데이터 처리수단(46)은, 본 경우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단계로 이루어진 데이터 처리수단(48)의 일부분을 구성하며, 이때 프로그램 단계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메모리나 외부 메모리 내부에 기억된다.
판독수단(13)과 구동 제어수단(24)과 함께 구동수단(6)은, 재어 구동신호 S1을 발생하는데 적합한 판독된 아날로그 데이터 AD가 존재할 때, 데이터 매체(2)_의회전 속도를 제어하며, 데이터 매체(2)가 판독될 때, 아날로그 데이터 AD의 일정한 데이터 레이트를 확보하는 제 3 제어회로를 구성한다. 검출수단(45)과 제어수단(40)은, 적절한 아날로그 데이터 AD가 존재하지 않을 때 이와 같은 제 3 제어회로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고, 제 2 제어회로가 오프 상태로 전환된 후에, 추가적으로 설치된 구동 제어수단(42)의 도움으로 데이터 매체(2)가 일정한 회전속도로 구동되어, 판독수단(13)이 데이터 매체(2)의 미기록된 영역을 주사할 때에도, 데이터 매체가 결함없이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어수단(40)이 검출신호 DS를 수신하기 때문에, 이 제어수단은 제어 구동신호 S2에 따라 데이터 매체(2)가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또 다른 재생장치(1)의 일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재생장치(1)와 달리, 도 2에 도시된 재생장치(1)에 있어서는, 모터 구동단(9)만이 제어 구동신호 S1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이 제어 구동신호 S1은, 데이터 매체(2)가 제어를 받으면서 구동될 때, 구동신호 AS를 형성한다. 더구나, 모터 구동단(9)은, 제 1 출력(50)에서 제 1 모터 공급신호 MS1을 발생하고 제 2 출력(51)에서 제 2 모터 공급신호 MS2를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제 1 모터 공급신호 MS1은 제어 구동신호 AS와 똑같이 펄스폭 변조된 구형파 신호로 이루어진다. 제 2 모터 공급신호 MS2는 제어 구동신호 S1과 똑같이 펄스폭 변조된 구형파 신호로 이루어지며, 그것의 진폭은 제 1 모터 공급신호 MS1에 상보적이다.
도 2에 도시된 재생장치(1)에 있어서의 제어수단(40)은, 모터 구동단(9)과 모터(8) 사이에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재생장치(1)와 유사하게, 제어수단(40)도 검출신호 DS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어수단(40)은 본 경우에는 2개의 스위칭 수단, 즉 제 1 스위칭 수단(52)과 제 2 스위칭 수단(53)을 구비한다. 이 2개의 스위칭 수단 52 및 53은 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제 1 스위칭 수단(52)은 제 1 라인(54)을 거쳐 모터(8)의 제 1 권선 단자(8A)에 접속된다. 제 2 스위칭 수단(53)은, 제 2 라인(55)을 통해 모터(8)의 제 2 권선 단자(8B)에 접속된다. 제 1 모터 공급신호 MS1은 제 1 스위칭 수단(52)으로 인가될 수 있다. 제 2 모터 공급신호 MS2는 제 2 스위칭 수단(53)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 1 스위칭 수단(52)은, 검출신호 DS가 존재하지 않을 때, 모터(8)의 제 1 권선 단자(8A)로 제 1 모터 공급신호 MS1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스위칭 수단(53)은, 검출신호 DS가 존재하지 않을 때, 모터(8)의 제 2 권선 단자(8B)로 제 2 모터 공급신호 MS2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검출신호 DS가 수신될 때, 데이터 매체(2)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제어 구동신호 S2에 따라 구동된다.
구동 제어수단(42)은, 도 1에 도시된 구동 제어수단(42)과 달리, 모터 구동단(9) 다음에 오며, 도 1에 도시된 구동 제어수단(42)과 마찬가지로, 제어수단(40)과 모터(8) 사이에 접속된다. 도 1에 도시된 구동 제어수단(42)과 마찬가지로, 도 2에 도시된 구동 제어수단(42)은 제 1 저항(43)과 제 2 저항(44)을 구비한다. 제 1 저항(43)은, 그것의 제 1 단자(56)가 공급 전압 V에 접속되고, 그것의 제 2 단자(57)가 제 1 라인(54)에 접속된다. 제 2 저항(44)은 그것의 제 1 단자(58)가 기준 전위 G에 접속되고, 그것의 제 2 단자(59)가 제 2 라인(55)에 접속된다. 제 1 스위치(52)가 개방되고, 제 2 스위치(53)가 개발되면, 제어 구동신호 S2를 발생하여 전달하기 위해 설치된 구동 제어수단(42)이 발생된 제어 구동신호 S2를 DC 전압의 형태로 모터(8)로 전달한다.
이때, 구동 제어수단(24)은 그것의 진폭이 변할 수 있는 아날로그 신호의 형태로 제어 구동신호 S1을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 아날로그 신호에 대해서는, 다수의 진폭값이 데이터 매체(2)의 회전 속도에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데이터 매체(2)의 설정된 회전 속도를 나타내는 신호가 구동 제어수단(26)에 의해 데이터 처리수단(48)으로 전달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수단(48)은, 이와 관련하여, 데이터 매체(2)의 설정된 회전 속도를 평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더구나, 이와 관련하여, 데이터 처리수단(48)은 펄스폭 변조된 제어 구동신호 S1을 전달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수단(40)이 데이터처리수단(48)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구동 제어수단은 구동 제어단(26)과 제어수단(40) 및 데이터 처리수단(48)으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제 1 실시예의 도움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재생장치(1)의 동작 방식을 설명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대해, 재생장치(1)가 미종결화된 데이터 매체(2) 상에 저장된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구성된다고 가정하다. 이 명세서의 시작부분에서 보았듯이, 아직 종결화되지 않았지만 이미 재생된 데이터 매체(2) 상에는, 유용한 데이터 영역(3)과 제 1 콘텐츠 영역(4)에만 데이터가 존재하는 한편, 제 2 콘텐츠 데이터 영역(5)은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다.
데이터 매체(2)가 재생장치(1) 내부에 삽입된 후, 재생장치(1)는 데이터 매체(2) 상에 저장된 데이터를 재생하기 시작한다. 이를 위해, 반경방향의 위치지정 수단(19)은 판독수단(13)을 먼저 유용한 데이터 영역(3) 내부에 위치시킨다. 이러한 가정의 경우에는 데이터 매체(2) 상에 데이터가 존재하기 때문에, 판독수단(13)에 의해 판독된 데이터가 판독수단(13)에 의해 아날로그 데이터 AD로서 전달된다. 판독된 아날로그 데이터 AD는 데이터 처리단(23)으로 인가되고, 데이터 처리단(23)에 의해 디지털 추가 데이터 D의 형태로 데이터 처리수단(48) 내부에 포함된 검출수단(45)으로 전달된다. 그후, 검출수단(45)은 제어 수동신호 S1을 발생하는데 적합한 아날로그 데이터 AD가 존재한다는 것을 검출한다. 검출수단(45)에 의해, 디지털 추가 데이터 D는 추가적인 처리를 위해 디지털 데이터 처리수단(46)으로 전달된다. 이것은, 삽입된 데이터 매체(2)가 재생된 데이터 매체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것을 종료시키고, 구동 제어수단(24)의 도움으로, 제어 구동신호 S1에 발생되어, 구동신호 AS로서 구동수단(6)으로 인가된다.
그후, 재생장치(1)에서는, 그것이 종결화된 데이터 매체(2)일 때 콘텐츠 데이터 ID가 저장된 제 2 콘텐츠 데이터 영역(5)으로부터 최종 목록표의 콘텐츠 데이터 ID를 판독하기 위한 시도가 행해진다. 이를 위해, 반경방향의 위치지정 수단(19)의 도움으로, 판독수단(13)은 제 2 콘텐츠 데이터 영역(5)에 대해 배치된다. 그러나, 제 2 콘텐츠 데이터 영역(5)에 있는 미종결화된 데이터 매체(2) 상에는 어떠한 콘텐츠 데이터 ID도 저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와 같은 제 2 콘텐츠 데이터 영역(5)이 주사될 때, 제어 구동신호 S1을 발생하여 전달하는데 적합한 아날로그 데이터 AD가 판독되지 않게 된다. 이것은 검출수단(45)에 의해 검출된 후, 검출수단(45)은 검출신호 DS를 발생하여 그것을 제어수단(40)으로 공급한 다음, 제어수단(40)은 제어 구동신호 S2에 따라 데이터 매체(2)를 구동할 수 있으며, 이 제어 구동신호는 이와 같은 동작 모드에서 구동신호 AS로서 구동수단(6)으로 전달된다. 이것은,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은 데이터 매체(2)의 영역이 주사될 때에도, 데이터 매체(2)가 항상 적절한 일정한 회전 속도로 구동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을 갖는다.
검출신호 DS도 유리하게 반경방향의 위치지정 수단(19)에 의해 수신되며, 이 검출신호는 판독수단(13)이 반경방향의 위치지정 수단(19)에 의해 심지어 제 1 콘텐츠 데이터 영역(4)의 시작위치 앞에서 변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영역에서도, 데이터 매체(2)의 제 1 콘텐츠 데이터 영역(4)의 시작위치 이전에, 제어 구동신호S1을 발생하는데 적합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 1 제어회로의 도움으로, 판독수단(13)이 제 1 콘텐츠 데이터 영역(4)에 최종적으로 도달할 때까지, 판독수단(13)이 데이터 매체(2)의 트랙 상에 놓이게 된다. 일단, 판독수단(13)이 제 1 콘텐츠 데이터 영역(4)에 도달하면, 아날로그 데이터, 즉 콘텐츠 데이터 ID를 판독하게 된다. 제 1 콘텐츠 데이터 영역(4)으로부터 콘텐츠 데이터 ID를 판독하는 것과 관련하여, 이와 같은 콘텐츠 데이터 ID의 판독은, 데이터 매체(2)가 구동수단(6)에 의해 구동될 때, 제어 구동신호 S2에 따라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1 콘텐츠 데이터 영역(4)으로부터 콘텐츠 데이터 ID의 형태로 판독된 데이터 매체(2)의 임시 목록표는, 그후 디지털 데이터 처리수단(46)의 도움으로 저장되며, 그 결과 유용한 데이터 영역(3)에 저장된 음악을 재생하기 위해 유용한 데이터 영역(3) 내부에 판독수단(13)을 정확히 위치지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단, 판독수단(13)이 제 1 콘텐츠 데이터 영역(4)에 도달한 다음, 검출수단(45)과 제어수단(40)의 도움으로, 제어 구동신호 S1을 발생하는데 적합한 콘텐츠 데이터 ID, 따라서 아날로그 데이터 AD, 제어 데이터 및 아날로그 데이터가 판독되면, 제어수단(40)이 제어 구동신호 S1을 구동신호 AS로서 구동수단(6)으로 전달하여, 데이터 매체(2)가 구동수단(6)의 도움으로 제어 구동신호 S1에 따라 구동될 때, 콘텐츠 데이터 ID가 제 1 콘텐츠 데이터 영역(4)으로부터 판독될 수 있게 된다.
2가지 재생장치(1)에 대한 전술한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듯이, 재생장치(1)를 사용하여, 미종결화된 데이터 매체(2)에 대해서도, 데이터 매체(2)의 임시 목록표를 판독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5)

  1. 회전 구동가능한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데이터 매체(2) 상의 적어도 한 개의 트랙을 따라 저장된 데이터(A, D, ID)를 재생하기 위해 설치되고,
    구동신호(AS)를 수신하여 수신된 구동신호(AS)에 따라 데이터 매체(2)를 구동하는 구동수단(6)과,
    저장된 데이터(A, D, ID)를 판독하고 판독된 데이터(AD)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판독수단(13)과,
    판독된 데이터(AD)를 수신 및 평가하고 판독된 데이터(AD)가 사용되는 동안 제어 구동신호(S1)를 발생 및 전달하여 제어 구동신호(S1)에 따라 데이터 매체(2)를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구동 제어수단(24)과,
    제어 구동신호(S1)를 발생하는데 적합한 판독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같은 적합한 데이터(AD)가 없을 때 검출신호(DS)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검출수단(45)을 구비한 재생장치에 있어서,
    제어 구동신호(S2)를 발생하여 전달하도록 구성된 추가적인 구동 제어수단(42)이 설치되고,
    검출신호(DS)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이 검출신호(DS)를 수신한 결과, 제어 구동신호(S2)에 따라 데이터 매체(2)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수단(4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1).
  2. 제 1항에 있어서,
    구동 제어수단(24)은, 제어수단(40)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스위칭 수단(41)의 도움으로 오프 상태로 스위칭될 수 있으며, 라인(L)을 통해 구동수단(6)의 입력(11)에 접속되는 적어도 한 개의 출력(25)을 갖고,
    구동 제어수단(42)은 상기 라인(L)을 통해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1).
  3. 제 2항에 있어서,
    스위칭 수단(41)은 구동 제어수단(24)의 출력 구동단(40)의 구성 부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1).
  4. 제 2항에 있어서,
    구동 제어수단(42)은 저항(43, 4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1).
  5. 제 1항에 있어서,
    재생장치(1)는 데이터 매체로(2)부터 데이터(A, D, ID)를 재생하도록 구성되고, 이 데이터 매체(2)는 유용한 데이터 영역(3)과 이 유용한 데이터 영역(3)에서 떨어진 제 1 콘텐츠 데이터 영역(4)을 가지며, 유용한 데이터 영역은, 목록표의 콘텐츠 데이터(ID)를 임시로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유용한 데이터 영역(3)과 제 1 콘텐츠 데이터 영역(4)에서 떨어진 제 2 콘텐츠 데이터 영역(5)을 가지며, 제 2 콘텐츠 데이터 영역(5)은 목록표의 콘텐츠 데이터(ID)를 영구적으로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데이터 매체(2)의 적어도 한 개의 트랙 상에 판독수단(13)의 제어를 받는 반경방향의 위치지정을 위해 반경방향의 위치지정 수단(19)이 설치되며,
    반경방향의 위치지정 수단(19)은 검출신호(DS)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반경방향의 위치지정 수단(19)은, 검출신호(DS)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 1 목록표(3)의 시작위치 앞으로 판독수단(13)을 반경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1).
KR1020017016665A 2000-04-27 2001-03-30 미종결화된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데이터 매체의목록표를 판독하는 장치 KR1007190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0890133.2 2000-04-27
EP00890133 2000-04-27
PCT/EP2001/003650 WO2001084549A1 (en) 2000-04-27 2001-03-30 Means for reading a table of contents of a non-finalized optically readable data carr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9048A true KR20030009048A (ko) 2003-01-29
KR100719057B1 KR100719057B1 (ko) 2007-05-16

Family

ID=8175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6665A KR100719057B1 (ko) 2000-04-27 2001-03-30 미종결화된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데이터 매체의목록표를 판독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549500B2 (ko)
EP (1) EP1279171B1 (ko)
JP (1) JP2003532966A (ko)
KR (1) KR100719057B1 (ko)
CN (1) CN1246851C (ko)
AT (1) ATE411599T1 (ko)
DE (1) DE60136172D1 (ko)
MY (1) MY123612A (ko)
TW (1) TW509898B (ko)
WO (1) WO20010845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41235B1 (en) * 2006-06-07 2013-02-13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Compressible objects combined with a drilling fluid to form a variable density drilling mud
JP4939307B2 (ja) * 2007-05-29 2012-05-23 キヤノン株式会社 アダプ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9439A (ja) * 1982-10-28 1984-05-08 Ricoh Co Ltd 駆動方式
JPH01102780A (ja) * 1987-10-15 1989-04-20 Fujitsu Ltd 周波数位相同期回路の制御方式
US5124966A (en) * 1989-03-29 1992-06-23 U.S. Philips Corporation Method for recording data signals on an inscribable record carrier and reading device for the record carrier
JP2981030B2 (ja) * 1991-08-01 1999-11-2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追記型光ディスクの再生方法及び光ディスク再生装置
DE4102796A1 (de) * 1991-01-31 1992-08-06 Thomson Brandt Gmbh Verfahren zur verkuerzung der zugriffszeit
US5351226A (en) * 1991-08-01 1994-09-27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information from a recordable optical disc regardless of whether an index area is detected as being present on the disk and a method of generating index information during reproduction of the information on the disk
DE69319455T2 (de) * 1992-01-24 1998-12-24 Pioneer Electronic Corp Verfahren und Gerät zur Wiedergabe von Information
JP2849006B2 (ja) * 1992-10-12 1999-01-20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再生装置
JP3476879B2 (ja) * 1992-12-09 2003-12-1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複数の読取または記録ビームを有する光ディスク情報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H08147702A (ja) * 1994-11-11 1996-06-07 Mitsumi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書き込み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79171B1 (en) 2008-10-15
JP2003532966A (ja) 2003-11-05
DE60136172D1 (de) 2008-11-27
WO2001084549A1 (en) 2001-11-08
US20020006095A1 (en) 2002-01-17
US6549500B2 (en) 2003-04-15
MY123612A (en) 2006-05-31
CN1246851C (zh) 2006-03-22
ATE411599T1 (de) 2008-10-15
EP1279171A1 (en) 2003-01-29
TW509898B (en) 2002-11-11
KR100719057B1 (ko) 2007-05-16
CN1383555A (zh) 2002-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525563A (ja) パーソナルオーディオシステム
KR100719057B1 (ko) 미종결화된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데이터 매체의목록표를 판독하는 장치
JPS61160838A (ja)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
JPH0656669B2 (ja) 半導体レ−ザ駆動回路
JP2589317B2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H0689550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647494B2 (ja) 光学デイスクの回転駆動装置
JP3608738B2 (ja) トランスデューサ調整装置及びトランスデューサ調整方法
JPH07201058A (ja) トランスデューサ調整装置
JPH0525086Y2 (ko)
JP3297790B2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2001101661A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のレーザー出力設定方法
JPH0528496A (ja) 光学情報記録媒体及び音声及び画像情報の記録方法
JPH08124360A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のディスク欠陥処理装置
JPH0845099A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2002157767A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のレーザー出力制御回路
JPH08287503A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のレーザー出力制御回路
KR20020018450A (ko)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트래킹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S58150172A (ja) 円盤状記録媒体の読取装置
JPH0536081A (ja) デイスク装置の信号処理回路
JPS6240664A (ja) デイスク再生装置のデ−タスライス回路
JP2002042342A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の記録制御方法
JP2003006866A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のレーザー出力設定方法
JPH056551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H0536082A (ja) デイ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