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8859A - 유사난수열을 발생하는 lfsr을 이용한 피포 메모리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유사난수열을 발생하는 lfsr을 이용한 피포 메모리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8859A
KR20030008859A KR1020010043860A KR20010043860A KR20030008859A KR 20030008859 A KR20030008859 A KR 20030008859A KR 1020010043860 A KR1020010043860 A KR 1020010043860A KR 20010043860 A KR20010043860 A KR 20010043860A KR 20030008859 A KR20030008859 A KR 20030008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register
bit
feedback shift
linear feedback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3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백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3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8859A/ko
Publication of KR20030008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885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5/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data conversion without changing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 G06F5/06Methods or arrangements for data conversion without changing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for changing the speed of data flow, i.e. speed regularising or timing, e.g. delay lines, FIFO buffers; over- or underrun control therefor
    • G06F5/08Methods or arrangements for data conversion without changing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for changing the speed of data flow, i.e. speed regularising or timing, e.g. delay lines, FIFO buffers; over- or underrun control therefor having a sequence of storage locations, the intermediate ones not being accessible for either enqueue or dequeue operations, e.g. using a shift regis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ocessing data by operating upon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 G06F7/38Methods or arrangements for performing computations using exclusively denominational number representation, e.g. using binary, ternary, decimal representation
    • G06F7/48Methods or arrangements for performing computations using exclusively denominational number representation, e.g. using binary, ternary, decimal representation using non-contact-making devices, e.g. tube, solid state device; using unspecified devices
    • G06F7/50Adding; Subtracting
    • G06F7/501Half or full adders, i.e. basic adder cells for one deno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Executing Machine-Instru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사난수열을 발생하는 LFSR을 이용한 피포 메모리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깊이(depth)가 d(d는 자연수)인 피포(FIFO) 메모리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읽기/쓰기 위치를 특정 유사난수열(Pseudo Random Sequence)을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n(nlog2d인 최소의 자연수) 비트 길이를 갖고, 동작시마다 각각의 비트값이 자신의 상위 비트로 이동하는 리니어 피이드백 쉬프트 레지스터(LFSR), 및 리니어 피이드백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비트값 중 일정 비트값을 입력신호로 하고, 출력은 리니어 피이드백 쉬프트 레지스터의 최하위단 입력으로 인가되는 배타적(Exclusive) NOR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을 사용하면, 피포 메모리를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회로의 복잡도를 크게 줄일 수 있고 동작속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피포 메모리를 사용하는 각종 장치의 성능이 향상되고 제작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사난수열을 발생하는 LFSR을 이용한 피포 메모리 제어장치{ Apparatus to control FIFO memory by using Linear Feedback Shift Register generating Pseudo Random Sequence }
본 발명은 피포 메모리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사난수열(Pseudo Random Sequence)을 발생하는 리니어 피이드백 쉬프트 레지스터(LFSR:Linear Feedback Shift Register)를 이용하여 피포(FIFO:First In First Out) 메모리의 읽기/쓰기 위치를 제어하는 피포 메모리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회로에서 널리 사용되는 피포 메모리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읽기/쓰기 위치 변수(Read/Write Pointer)를 제어해야 하는데, 종래에는 덧셈기와 레지스터를 사용하여 이 기능을 수행하였다. 도 1은 피포 메모리의 개요도로서, 피포 메모리(10)는 보통 다음과 같은 입출력 신호에 의하여 동작한다.
RESET: 피포 메모리(10)의 내부 상태와 제어 변수들을 초기화한다.
CLK: 피포 메모리(10)의 동작과 입출력 신호를 동기시키는 신호이다.
WRITE_EN: 이 신호가 가해지면 피포 메모리(10)에 WDATA를 쓴다.
READ_EN: 이 신호가 가해지면 피포 메모리(10)에 가장 먼저 저장된 데이터(First In)를 RDATA를 통해 읽어낸다.
FIFO_FULL: 이 신호는 피포 메모리(10)의 모든 저장영역에 데이터가 쓰여져서 피포 메모리(10)가 가득 차 있음을 나타낸다.
FIFO_EMPTY: 이 신호는 피포 메모리(10)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가 읽혀져서 피포 메모리(10)가 비어 있음을 나타낸다.
WDATA: 쓰기 데이터
RDATA: 읽기 데이터
이러한 피포 메모리(10)의 동작에 있어서, WRITE_EN 신호가 활성화되고 FIFO_FULL 신호가 활성화되지 않았을 때는 현재 피포 메모리(10)에 데이터를 기록할 위치를 알리는 포인터는 1만큼 증가한다. 또한, READ_EN 신호가 활성화되고 FIFO_EMPTY 신호가 활성화되지 않았을 때는 현재 피포 메모리(10)에서 데이터를 읽을 위치를 알리는 포인터가 1만큼 증가한다.
종래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읽기/쓰기 위치를 가리키는 변수를 증가시키는 연산을 하기 위하여 덧셈연산을 수행하는 덧셈기(24:adder)가 사용되었다. 즉, 각 동작시마다 현재 레지스터(21 내지 23)에 저장되어 있는 값은 덧셈기(24)에서 1만큼 더해지고, 더해진 값이 다시 레지스터(21 내지 23)에 저장되어 새로운 포인터값이 된다.
그러므로, 피포 메모리(10)의 깊이(depth)가 증가함에 따라 피포 제어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며, 피포 제어장치는 피포 메모리(10)의 동작속도를 결정하는 지연임계경로(delay critical path)가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유사난수열을 발생하는 리니어 피이드백 쉬프트 레지스터(LFSR)를 이용하여 피포 메모리의 읽기/쓰기 위치를 지정하도록 하여, 간단한 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동작속도가 향상된 피포 메모리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포 메모리 제어장치는 깊이(depth)가 d(d는 자연수)인 피포(FIFO:First In First Out) 메모리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읽기/쓰기 위치를 특정 유사난수열(Pseudo Random Sequence)을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n(nlog2d인 최소의 자연수) 비트 길이를 갖고, 동작시마다 각각의 비트값이 자신의 상위 비트로 이동하는 리니어 피이드백 쉬프트 레지스터(LFSR:Linear Feedback Shift Register); 및 상기 리니어 피이드백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비트값 중 일정 비트값을 입력신호로 하고, 출력은 상기 리니어 피이드백 쉬프트 레지스터의 최하위단 입력으로 인가되는 배타적(Exclusive) NOR 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피포 메모리의 개요도,
도 2는 종래의 피포 메모리 제어장치에 관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포 메모리 제어장치의 실시예에 관한 구성도,
도 4는 유사난수열을 발생하기 위한 XNOR 수단의 연결관계에 관한 표,
도 5는 피포 메모리의 깊이가 7인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피포 메모리21-23: 레지스터
24: 덧셈기30: 리니어 피이드백 쉬프트 레지스터
31: 배타적 NOR 수단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포 메모리 제어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유사 난수열을 발생하는 리니어 피이드백 쉬프트 레지스터(30:LFSR)를 사용하여 수에 대한 표현방법을 유사 난수열로 바꾼다. 즉, 피포 메모리(10)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피포 메모리(10)에 데이터를 읽거나 쓸 위치를 일정 규정에 따라 지정하면 되는 것이므로, 반드시 1씩 증가해야할 필요는 없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깊이가 d인 피포 메모리(10)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읽기/쓰기 위치를 리니어 피이드백 쉬프트 레지스터(30:LFSR)와 배타적(Exclusive) NOR 수단(31)을 이용하여 구현한다.
리니어 피이드백 쉬프트 레지스터(30:LFSR)는 n(nlog2d인 최소의 자연수) 비트 길이를 갖고, 동작시마다 각각의 비트값이 자신의 상위 비트로 이동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리니어 피이드백 쉬프트 레지스터(30)의 각 비트값 중 해당 유사난수열을 발생하기 위한 일정 비트값들은 배타적(Exclusive) NOR 수단(31)의 입력으로 인가되고, 배타적 NOR 수단(31)의 출력은 리니어 피이드백 쉬프트 레지스터(30)의 최하위단 입력으로 인가된다.
이 때, n값이 얼마인지에 따라서 리니어 피이드백 쉬프트 레지스터(30)의 각 비트 중 배타적 NOR 수단(31)의 입력값이 되는 비트는 도 4에 도시한 표의 "XNOR from" 열에 기재된 비트들이다.
예로서, n=3인 경우에는 리니어 피이드백 쉬프트 레지스터(30)의 최하위 비트로부터 3번째와 2번째의 비트가 배타적 NOR 수단(31)의 입력값으로 인가되며, n=10인 경우에는 리니어 피이드백 쉬프트 레지스터(30)의 최하위 비트로부터 10번째와 7번째의 비트가 배타적 NOR 수단(31)의 입력값으로 인가되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여, 피포 메모리(10)의 깊이가 7인 경우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 때, 읽기/쓰기 변수는 0부터 6까지의 범위를 갖고 변화하며, 수를 나타내는 방법은 다음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와 같은 이진수 체계가 아니라 유사난수열을 사용한다.
십진수 이진수(종래) 유사난수열(본 발명)
0 000 000
1 001 001
2 010 011
3 011 110
4 100 101
5 101 010
6 110 100
표 1에 따르면, 임의의 수 Q[2:0]을 1만큼 증가시킨 값 Q'[2:0]은 다음의 식과 같이 구해질 수 있다.
Q'[2:1] = Q[1:0]
Q'[0] = Q[2] XNOR Q[1]
여기서, Q[x,y]는 x 비트로부터 y비트 까지의 모든 비트값을 나타내며, Q[x]는 x번째 비트값을 나타낸다. 또한, XNOR는 배타적(exclusive) NOR 논리값을 의미한다.
즉, 리니어 피이드백 쉬프트 레지스터(30)의 각 구성요소(33,32,31)의 값인 Q(0), Q(1), Q(2) 비트는 동작시마다 선형적으로 쉬프트 되는데, Q(2)와 Q(1)은 배타적 NOR 수단(31)의 입력으로 인가되고, 배타적 NOR 수단(31)의 출력은 리니어 피이드백 쉬프트 레지스터(30)의 최하위 단(33) 입력값으로 인가된다.
그러므로, 하나의 배타적 NOR 수단(31)을 통해 만들어낼 수 있는 유사난수열만 존재하면 본 발명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사용하면, 피포 메모리를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회로의 복잡도를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동작속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피포 메모리를 사용하는 각종 장치의 성능이 향상되고 제작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깊이(depth)가 d(d는 자연수)인 피포(FIFO:First In First Out) 메모리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읽기/쓰기 위치를 특정 유사난수열(Pseudo Random Sequence)을 이용하며,
    n(nlog2d인 최소의 자연수) 비트 길이를 갖고, 동작시마다 각각의 비트값이 자신의 상위 비트로 이동하는 리니어 피이드백 쉬프트 레지스터(LFSR:Linear Feedback Shift Register); 및
    상기 리니어 피이드백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비트값 중 상기 유사난수열을 발생하기 위한 일정 비트값을 입력신호로 하고, 출력은 상기 리니어 피이드백 쉬프트 레지스터의 최하위단 입력으로 인가되는 배타적(Exclusive) NOR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포 메모리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값에 따라, 상기 리니어 피이드백 쉬프트 레지스터의 각 비트 중 상기 배타적 NOR 수단의 입력값이 되는 비트는 도 4에 도시한 표의 "XNOR from" 열에 기재된 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포 메모리 제어장치.
KR1020010043860A 2001-07-20 2001-07-20 유사난수열을 발생하는 lfsr을 이용한 피포 메모리제어장치 KR200300088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860A KR20030008859A (ko) 2001-07-20 2001-07-20 유사난수열을 발생하는 lfsr을 이용한 피포 메모리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860A KR20030008859A (ko) 2001-07-20 2001-07-20 유사난수열을 발생하는 lfsr을 이용한 피포 메모리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859A true KR20030008859A (ko) 2003-01-29

Family

ID=27715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860A KR20030008859A (ko) 2001-07-20 2001-07-20 유사난수열을 발생하는 lfsr을 이용한 피포 메모리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8859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1041A (en) * 1978-10-06 1979-07-1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Pseudo random number generator apparatus
JPH0686161A (ja) * 1991-08-16 1994-03-25 Grass Valley Group Inc:The 疑似ランダム・パターン発生器及びノイズ・パターン発生器
US5383143A (en) * 1994-03-30 1995-01-17 Motorola, Inc. Self re-seeding linear feedback shift register (LFSR) data processing system for generating a pseudo-random test bit stream and method of operation
KR19980014468A (ko) * 1996-08-12 1998-05-25 유기범 위성통신망 관리시스템의 파라미터 구분에 의한 패스워드 확인방법 및 그 장치
KR19980070252A (ko) * 1997-01-16 1998-10-26 가네꼬히사시 의사 난수 발생 회로 및 이를 채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KR20000013809A (ko) * 1998-08-13 2000-03-06 윤종용 선형궤환 쉬프트 레지스터를 사용한 내장 자기진단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1041A (en) * 1978-10-06 1979-07-1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Pseudo random number generator apparatus
JPH0686161A (ja) * 1991-08-16 1994-03-25 Grass Valley Group Inc:The 疑似ランダム・パターン発生器及びノイズ・パターン発生器
US5383143A (en) * 1994-03-30 1995-01-17 Motorola, Inc. Self re-seeding linear feedback shift register (LFSR) data processing system for generating a pseudo-random test bit stream and method of operation
KR19980014468A (ko) * 1996-08-12 1998-05-25 유기범 위성통신망 관리시스템의 파라미터 구분에 의한 패스워드 확인방법 및 그 장치
KR19980070252A (ko) * 1997-01-16 1998-10-26 가네꼬히사시 의사 난수 발생 회로 및 이를 채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KR20000013809A (ko) * 1998-08-13 2000-03-06 윤종용 선형궤환 쉬프트 레지스터를 사용한 내장 자기진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1777A (ko) 속도변환용 라인 메모리
KR920022095A (ko) 연산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비트 필드 조작 연산 방법
EP1086468B1 (en) Low power linear feedback shift registers
US10922055B2 (en) Random number generator and method for generating random numbers
KR20030008859A (ko) 유사난수열을 발생하는 lfsr을 이용한 피포 메모리제어장치
KR100339258B1 (ko) Fifo메모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10191899A1 (en) Data processing circuit, data storage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0409008A2 (en) Video memory with write mask from vector or direct input
SU116765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двига информации
CN110597488A (zh) 随机数产生器以及随机数产生方法
US6459751B1 (en) Multi-shifting shift register
JPH02216551A (ja) データ発生回数アナライザ
KR940007692A (ko) 데이타 처리장치 및 데이타 처리방법
KR920702511A (ko) 레지스터회로
JPS603715B2 (ja) 可変長シフトレジスタ
US5615241A (en) Programmable rate generator
SU79877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опр жени
CN116168757A (zh) 检测结果记录与输出装置
KR970004093Y1 (ko) 움직임 보상을 위한 메모리 어드레스 발생장치
KR940008855B1 (ko) 입력/출력디바이스의 액세스 타이밍 셋팅장치
SU97643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пределени длины строки символов
SU1339653A1 (ru) Запомин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SU64898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работки данных переменной длины
SU169710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формировани векторов
KR940003630B1 (ko) 브이지에이의 다중폰트 선택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