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6778A - 수동변속기용 변속조작기구 - Google Patents

수동변속기용 변속조작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6778A
KR20030006778A KR1020010042685A KR20010042685A KR20030006778A KR 20030006778 A KR20030006778 A KR 20030006778A KR 1020010042685 A KR1020010042685 A KR 1020010042685A KR 20010042685 A KR20010042685 A KR 20010042685A KR 20030006778 A KR20030006778 A KR 20030006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haft
shift
cap
control
manua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2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2384B1 (ko
Inventor
안성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2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2384B1/ko
Publication of KR20030006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6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2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23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76Selector shaft assembly, e.g. supporting, assembly or manufacturing of selector or shift shafts; Speci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트롤 샤프트와 리컨 스프링이 개재되는 스프링 캡 사이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셀렉트 조작에 따라 컨트롤 샤프트가 직선 이동될 때 스프링 캡과의 마찰 저항을 최소화함으로써, 변속조작성능 및 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동변속기용 변속조작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인터록 플레이트의 양측에 배치되고 컨트롤 샤프트의 외주면에 접촉 면적을 크게 하도록 형성되는 아우터 캡과, 일측이 변속기 하우징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컨트롤 샤프트의 외주면에 접촉 면적을 크게 하도록 형성되는 인너 캡과, 상기 아우터 캡과 인터 캡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력을 부여하는 리턴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수동변속기용 변속조작기구 { Shift controlling system of manual transmission }
본 발명은 수동변속기용 변속조작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컨트롤 샤프트의 셀렉트 작동시 발생되는 마찰 저항을 최소화하여 변속감을 향상시킬수 있는 차량용 변속조작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동변속기용 변속조작기구는 변속레버의 조작력을 수동 변속기로 전달하여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로서, 변속레버의 변속 조작에 따른 조작력을 변속기로 전달하는 셀렉트 및 시프트 케이블과, 이 셀렉트 및 시프트 케이블과 연결되는 컨트롤 샤프트 어셈블리와, 이 컨트롤 샤프트 어셈블리와 변속기의 동기장치 사이에 장착되어 컨트롤 샤프트 어셈블리의 조작에 따라 동기장치를 작동시켜 변속을 행하는 시프트 포크 어셈블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사시도이다.
종래 변속조작기구의 컨트롤 샤프트 어셈블리는 셀렉트 케이블 및 시프트 케이블과 연결되고 변속기측에 직선 및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컨트롤 샤프트(102)와, 컨트롤 샤프트(102)에 장착되고 시프트 레일의 변속러그에 끼워져 변속력을 전달하는 컨트롤 핑거(104)와, 이 컨트롤 핑거(104)의 이탈을 방지하는 인터록크 플레이트(106)와, 상기 컨트롤 샤프트의 셀렉트 작동으로 직선 이동된 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부여하는 리턴기구로 구성된다.
상기 리턴기구는 인터록 플레이트(106)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컨트롤 샤프트(10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아우터 캡(108)과, 상기 아우터 스프링 캡(108)의 내측에 슬립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일측이 변속기 하우징(114)측에 고정되는 인너 캡(110)과, 상기 아우터 캡(108)과 인너 캡(110)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부여하는 리턴 스프링(112)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변속조작기구의 컨트롤 샤프트 어셈블리는 셀렉트 조작시 컨트롤샤프트(102)가 직선 이동되면 컨트롤 핑거(104) 역시 직선 이동되면서 원하는 3개의 변속 러그 중 선택된 변속단의 변속러그에 끼워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시프트 조작에 따라 컨트롤 샤프트(102)가 회전되면 컨트롤 핑거(104)가 변속러그(104)를 이동시켜 최종적으로 동기장치를 작동시켜 원하는 변속단의 변속조작을 행한다.
이때, 컨트롤 샤프트(102)는 셀렉트시 직선 이동된 후 리턴 스프링(112)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데, 리턴 스프링(112)이 탄성력에 의해 아우터 캡(108)이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인터록 플레이트(106)를 밀어 컨트롤 샤프트(102)를 원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컨트롤 샤프트 어셈블리는 셀렉트 작동시 컨트롤 샤프트가 직선 이동되면 아우터 스프링 캡이 직선 이동되고, 셀렉트 작동 후 리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컨트롤 샤프트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데, 이때 아우터 캡 및 인너 캡의 내측면이 컨트롤 샤프트와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기 때문에 컨트롤 샤프트의 외주면과 아우터 캡 및 인너 캡 사이의 전단면에서 비정상적인 마찰이 발생하여 변속감을 저하시키고, 컨트롤 샤프트의 외경과 편심이 발생될 경우 아우터 캡 및 인너 캡이 컨트롤 샤프트에 슬라이드 이동될 때 마찰저항이 발생되어 걸림감을 유발하게 되고 변속 조작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트롤 샤프트와 리컨 스프링이 개재되는 스프링 캡 사이의 접촉면적을 크게하여 셀렉트 조작에 따라 컨트롤 샤프트가 직선 이동될 때 스프링 캡과의 마찰 저항을 최소화함으로써, 변속조작성능 및 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동변속기용 변속조작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동변속기용 변속조작기구의 일부 단면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용 변속조작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용 변속조작기구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컨트롤 샤프트 8 : 컨트롤 핑거
10 : 인터록 플레이트 20 : 아우터 캡
22 : 인너 캡 24 : 코일 스프링
28 : 아우터 캡의 슬립부 30 : 인너 캡의 슬립부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용 변속조작기구는 변속레버와 연결된 셀렉트 케이블 및 시프트 케이블과 각각 연결되고, 변속기에 직선 및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컨트롤 샤프트와, 상기 컨트롤 샤프트에 끼움 결합되는 컨트롤 핑거와, 상기 컨트롤 핑거를 보호하도록 컨트롤 샤프트에 끼움 결합되는 인터록 플레이트와,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트롤 샤프트의 셀렉트 이동후 원위치로 복원되는 복원력을 부여하는 리턴기구를 포함하는 수동변속기용 변속조작기구에 있어서,
상기 리턴기구는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의 양측에 배치되고 컨트롤 샤프트의 외주면에 접촉 면적을 크게 하도록 형성되는 아우터 캡과, 일측이 변속기 하우징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컨트롤 샤프트의 외주면에 접촉 면적을 크게 하도록 형성되는 인너 캡과, 상기 아우터 캡과 인터 캡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력을 부여하는 리턴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의 일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컨트롤 샤프트 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변속조작기구는 변속레버(미도시)와 연결된 셀렉트 케이블(미도시)과 연결되는 셀렉트 레버(2)와, 시프트 케이블과 연결되는 시프트 레버(4)와, 상기 셀렉트 및 시프트 레버(2,4)가 각각 연결되어 직선 왕복운동 및 회전운동을 행하도록 변속기의 일측에 장착되는 컨트롤 샤프트(6)와, 상기 컨트롤 샤프트(6)에 끼움 결합되는 컨트롤 핑거(8)와, 이 컨트롤 핑거(8)를 보호하도록 컨트롤 샤프트(6)에 끼움 결합되는 인터록 플레이트(10)와,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10)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트롤 샤프트(6)의 셀렉트 이동후 원위치로 복원되는 복원력을 부여하는 리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턴수단은 인터록 플레이트(10)의 양측에 각각 인터록 플레이트(10)에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컨트롤 샤프트(6)의 외주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아우터 캡(20)과, 상기 아우터 캡(20)의 타측 내주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일측이 변속기 하우징(26)에 지지되는 인너 캡(22)과, 상기 아우터 캡(20)과 인너 캡(22)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력을 부여하는 리턴 스프링(24)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아우터 캡(20)은 그 일측에 컨트롤 샤프트(6)의 외주면에 슬립되는 슬립부(28)가 형성되고, 타측은 개방된 형태로 인너 캡(22)이 걸림되는 걸림턱(32)이 형성된다. 상기 슬립부(28)는 컨트롤 샤프트(6)의 외주면과의 접촉면적을 크게 할 수 있도록 내측방향으로 밴딩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즉, 컨트롤 샤프트(6)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아우터 캡(20)의 접촉되는 면적을 크게 하고 그 사이에 윤활유를 주입함으로써, 컨트롤 샤프트(6)의 외주면에서 아우터 캡(6)이 직선 이동될 때 저항을 최소화한다.
상기 인너 캡(22)은 그 일측이 아우터 캡(20)의 내주면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아우터 캡(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34)이 형성되며, 그 타측은 변속기 하우징(26)에 지지된 상태로 그 내주면이 컨트롤 샤프트(6)의 외주면에 슬립된다. 이때, 컨트롤 샤프트(6)에 접촉되는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도록 인너 캡(22)의 슬립부(30)는 내측방향으로 밴딩된 원통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컨트롤 샤프트의 외주면과 아우터 링 및 인너 링의 슬립부(28,30) 사이에는 각각 윤활유가 개재되어 컨트롤 샤프트(6)의 이동시 윤활 작용을 수행한다.
상기 리턴 스프링(24)은 컨트롤 샤프트(6)의 외주면에 끼워진 상태로 일측은 아우터 캡(20)의 내주면에 지지되고, 타측은 인너 캡(22)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컨트롤 샤프트 어셈블리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변속레버를 변속단을 선택하는 조작을 행하면 셀렉트 케이블에 의해 상기 컨트롤 샤프트(6)가 직선 이동된다. 그러면 컨트롤 핑거(8)가 직선 이동되면서 제1, 제2 및 제3변속러그 중 원하는 변속단의 변속러그에 끼워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변속레버가 선택된 변속단의 변속조작을 행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시프트 케이블에 의해 컨트롤 샤프트(6)가 회전된다. 그러면, 컨트롤 핑거(8)가 회전되면서 선택된 변속러그를 직선 이동시켜 동기장치의 동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에서, 변속 조작 후 컨트롤 샤프트(6)는 리턴 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해 직선 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러한 컨트롤 샤프트(6)의 셀렉트 이동 및 원위치 복귀 작동시 아우터 캡(20) 및 인너 캡(22)이 컨트롤 샤프트(6)의 외주면에서 슬라이딩된다. 여기에서, 아우터 캡 및 인너 캡의 슬립부(28,30)가 내측방향으로 밴딩된 형태로 컨트롤 샤프트(6)의 외주면과의 접촉 면적이 크기 때문에 이동시 컨트롤 샤프트(6)와의 저항을 최소화하고, 인너 캡(22)과 아우터 캡(20) 사이의 언발란스로 인한 편심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더블어 아우터 캡 및 인너 캡과 컨트롤 샤프트의 접촉 부위에 윤활유를 개재하여 이동시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는 아우터 캡과 인너 캡의 컨트롤 샤프트와 접촉되는 슬립부를 내측방향으로 밴딩된 원통형태로 형성하여 컨트롤 샤프트의 외주면과의 접촉 면적이 크게 함으로써, 컨트롤 샤프트와의 저항을 최소화하고, 인너 캡과 아우터 캡 사이의 언발란스로 인한 편심을 최소화하여 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아우터 캡 및 인너 캡과 컨트롤 샤프트의 접촉 부위에 윤활유를 개재하여 아우터 캡의 이동시 마찰을 최소화하여 이상 접촉이나 저항 및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변속레버와 연결되는 컨트롤 샤프트와, 상기 컨트롤 샤프트에 끼움 결합되는 컨트롤 핑거와, 상기 컨트롤 핑거를 보호하도록 컨트롤 샤프트에 끼움 결합되는 인터록 플레이트와,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트롤 샤프트의 셀렉트 이동후 원위치로 복원되는 복원력을 부여하는 리턴기구를 포함하는 수동변속기용 변속조작기구에 있어서,
    상기 리턴기구는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의 양측에 배치되고 컨트롤 샤프트의 외주면에 접촉 면적을 크게 하도록 형성되는 아우터 캡과, 일측이 변속기 하우징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컨트롤 샤프트의 외주면에 접촉 면적을 크게 하도록 형성되는 인너 캡과, 상기 아우터 캡과 인터 캡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력을 부여하는 리턴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용 변속조작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캡은 상기 컨트롤 샤프트에 슬립되는 슬립부가 내측 방향으로 밴딩되어 원통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용 변속조작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캡은 상기 컨트롤 샤프트에 접촉되는 슬립부가 내측 방향으로 밴딩되어 원통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용 변속조작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캡 및 인너 캡의 슬립부와 상기 컨트롤 샤프트 사이에는 윤활유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용 변속조작기구.
KR10-2001-0042685A 2001-07-16 2001-07-16 수동변속기용 변속조작기구 KR100412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685A KR100412384B1 (ko) 2001-07-16 2001-07-16 수동변속기용 변속조작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685A KR100412384B1 (ko) 2001-07-16 2001-07-16 수동변속기용 변속조작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778A true KR20030006778A (ko) 2003-01-23
KR100412384B1 KR100412384B1 (ko) 2003-12-31

Family

ID=27715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2685A KR100412384B1 (ko) 2001-07-16 2001-07-16 수동변속기용 변속조작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23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230B1 (ko) * 2005-08-24 2006-08-10 다이모스(주) 수동변속기의 인터록장치
CN106051151A (zh) * 2016-08-15 2016-10-26 中国第汽车股份有限公司 变速器顶盖总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230B1 (ko) * 2005-08-24 2006-08-10 다이모스(주) 수동변속기의 인터록장치
CN106051151A (zh) * 2016-08-15 2016-10-26 中国第汽车股份有限公司 变速器顶盖总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2384B1 (ko) 200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3124B1 (ko) 수동변속기와 그 변속제어기구
KR20190000010A (ko) 변속기의 동기장치
EP1271013B1 (en) Gearbox selector mechanism for manual transmission
JP2011510236A (ja) メインカム及び補助カムを有する回転ドラムが設けられた車両用変速機のためのギヤ切替制御装置。
KR100412384B1 (ko) 수동변속기용 변속조작기구
CA2323387C (en) Transmission gear shift system
KR100528039B1 (ko) 수동 변속기용 콘트롤 기구의 인터록 장치
KR100853929B1 (ko) 탄성부재를 이용한 수동변속기의 변속장치
GB2276923A (en) Shift device giving feel for a toothed change-speed transmission of a motor vehicle
KR101849012B1 (ko) 수동변속기의 후진단변속 보킹 방지장치
KR100379634B1 (ko) 수동변속기의 시프트 레일 어셈블리
KR100520735B1 (ko) 수동 변속기의 동기 장치
KR20020052282A (ko) 자동차의 자동변속레버 시프트 록 및 키 인터록 캠역전방지장치
JPS645158Y2 (ko)
KR100891514B1 (ko) 수동변속기의 쉬프트장치
KR100224357B1 (ko) 변속기의 변속조작구조
KR100439985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장치
KR100241176B1 (ko) 차량용 클러치 릴리즈시스템
KR100559774B1 (ko) 시프트 포크 마찰 저감 장치
KR20050103702A (ko) 수동변속기의 동기장치
KR970000860B1 (ko) 자동차 수동 변속기의 후진 오조작 방지장치
KR20030029347A (ko) 수동 변속 조작기구
JP2014109280A (ja) シフト装置
KR20130108933A (ko) 수동변속기용 변속 조작기구
KR100899716B1 (ko) 변속기의 변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