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6707A - 차량 현가장치의 쇽업소버 - Google Patents

차량 현가장치의 쇽업소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6707A
KR20030006707A KR1020010042587A KR20010042587A KR20030006707A KR 20030006707 A KR20030006707 A KR 20030006707A KR 1020010042587 A KR1020010042587 A KR 1020010042587A KR 20010042587 A KR20010042587 A KR 20010042587A KR 20030006707 A KR20030006707 A KR 20030006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bracket
guide groove
mounting posit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2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7277B1 (ko
Inventor
정연홍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2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7277B1/ko
Publication of KR20030006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6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2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the damper being connected to the stub axle and the spring be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30Height or ground cl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현가장치의 쇽업소버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차고를 조절하기 일반적인 방법으로, 코일스프링의 장착위치를 변경하였는데, 이에 따라 쇽업소버의 피스톤 기준위치가 변경되어 쇽업소버의 신장과 압축의 불균형이 발생되어 쇽업소버의 손상이 우려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브라켓으로부터 쇽업소버 외통의 장착위치가 가변되어지도록 한 것으로, 외통(4)에 차고조절범위를 부여하는 가이드홈(10)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홈(10)에 삽입되는 가이드턱(14)이 브라켓(12)의 내주에 형성되어 쇽업소버(4)의 상하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가이드홈(10)이 형성된 외통(4)의 둘레에는 나사홈(16)이 형성되고 이 나사홈(16)에 맞물려 브라켓(12)의 상하에서 쇽업소버(3)를 고정하는 고정너트(18)(20)가 체결되어져 장착위치가 조절된 쇽업소버가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피스톤의 기준위치를 유지하면서도 코일스프링의 장착위치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쇽업소버의 기능이 유지되면서도 차고의 조절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현가장치의 쇽업소버{Shock Absorber of Automobile-Suspension}
본 발명은 차량 현가장치의 쇽업소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쇽업소버의 장착위치에 융통성을 부가하여 차량의 차고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차량 현가장치의 쇽업소버에 관한 것이다.
예시도면 도 1 은 맥퍼슨 형식의 현가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이것은 차륜과 차체가 현가장치를 매개로 연결된 형태로서, 차륜의 너클(1)에 브라켓(2)과 함께 쇽업소버(3)가 장착되고, 쇽업소버(3)의 외통(4)에 스프링시트(5)가 장착되어 쇽업소버의 피스톤 로드가 코일스프링(6)과 함께 차체에 장착된다.
코일스프링(6)은 차륜으로부터 차체를 탄성지지하여 피스톤로드의 위치를 결정하며, 따라서 차고는 코일스프링이 제공하는 높이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이유로 별도의 상황에서 차고를 조절하기 위해 스프링의 장착위치를 변경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 피스톤의 기준위치가 변경되어 쇽업소버의 신장과 압축의 불균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예시도면 도 2 에서와 같이 코일스프링(6)의 장착위치를 낮추어 차고를 낮추기 위해 스프링시트(5)의 장착위치를 외통(4)의 하방으로 변경하는 경우, 코일스프링(6)의 장착위치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쇽업소버(3)의 기준길이가 감소된 상태가 되어지고, 이것은 피스톤로드(7)의 돌출길이가 감소되어 피스톤(8) 기준위치가 하방으로 이동되어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의해 쇽업소버의 작동시 압축행정의 한계길이는 변경하기 전에 비해 짧아지는 결과가 되고, 신장행정의 한계길이는 길어지게 되는 불균형이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쇽업소버의 압축시 피스톤(8)이 쇽업소버의 베이스부와 충돌되는 것이 잦게되고, 신장시에는 코일스프링(6)이 이탈될 우려가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피스톤의 기준위치를 유지하면서도 간단한 조작으로 차고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 현가의 쇽업소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브라켓으로부터 쇽업소버 외통의 장착위치가 가변되어지도록 한 것으로, 외통에 차고조절범위를 부여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턱이 브라켓의 내주에 형성되어 쇽업소버의 상하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가이드홈이 형성된 외통의 둘레에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이 나사홈에 맞물려 브라켓의 상하에서 쇽업소버를 고정하는 고정너트가 체결되어 지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피스톤의 기준위치를 유지하면서도 코일스프링의 장착위치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쇽업소버의 기능이 유지되면서도 차고의 조절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도 1 은 차량 현가장치의 설명도,
도 2a 및 도 2b 는 종래 쇽업소버의 문제점을 나타낸 측면설명도,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측면설명도,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브라켓을 나타낸 평면설명도,
도 3c 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고정너트를 나타낸 평명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너클,2,12 - 브라켓,
3 - 쇽업소버,4- 외통,
5 - 스프링시트,6 - 코일스프링,
7 - 피스톤로드,8 - 피스톤,
10 - 가이드홈,14 - 가이드턱,
16 - 나사홈,18,20 - 고정너트,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현가장치의 쇽업소버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본 발명은 차륜 너클(1)에서의 쇽업소버 상하 장착위치가 조절되어 차고가 졸절되게 쇽업소버(3)의 외통(4) 외주에 상하방향으로 차고조절의 범위에 따라 가이드홈(10)이 형성됨과 더불어, 차륜의 너클(1)에 결합되는 브라켓(12)에 상기 가이드홈(10)에 삽입되어 쇽업소버(3)의 상하 이동경로를 유지시키는 가이드턱(14)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가이드홈(10)이 형성된 외통(4) 외주에는 그 둘레를 따라 나사홈(16)이 형성되고, 이 나사홈(16)에 맞물려 상기 브라켓(12)의 상하에 쇽업소버(3)의 장착위치를 고정하는 1조의 고정너트(18)(20)가 체결되어지는 차량 현가장치의 쇽업소버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쇽업소버(3)의 장착위치가 조절되도록 하여 코일스프링(6)의 장착위치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피스톤의 기준위치를 유지하면서도 간단한 조작으로 차고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쇽업소버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먼저, 너클에서의 쇽업소버(3) 상하이동을 위해 쇽업소버(3)의 외통(4) 외주에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홈(10)이 형성된다.
이와 더불어, 쇽업소버(3)의 너클(1)에 결합되는 브라켓(12)에는 상기 가이드홈(10)에 삽입되어 쇽업소버(3)의 상하 이동경로를 유지시키는 가이드턱(14)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턱(14)은 가이드홈(10)에 삽입되어 쇽업소버(3) 상하이동길이의 한계를 결정하므로, 가이드홈(14)과 가이드턱(15)에 의해 차량의 최고지상고와 최저지상고가 결정되어져, 사용자에게 차량의 차고조절범위가 부여되어 지는 것이다.
즉, 사용자 임의의 변경에 따른 과도한 차고의 조정이 방지되고 허용한도 내에서의 차고조절이 수행되게 유도가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홈(10)에 따른 차고조절범위내에서의 조정 후 그 장착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홈(10)이 형성된 쇽업소버(3)의 외통외주에는 그 둘레를 따라 나사홈(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나사홈(16)에 맞물려 브라켓(12)의 상하에 1조로 쇽업소버(3)의 장착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너트(18)(20)가 체결되어 진다.
즉, 고정너트(18)(20)는 브라켓(12)을 중심으로 쇽업소버(3)의 외통(4)에 걸림턱부를 마련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사홈(16)을 따라 상하의 이동과 고정이 가능한 걸림턱부가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차고의 조절시, 예를 들어 차고를 낮추는 경우, 코일스프링(6)의 장착위치가 브라켓(12), 즉 너클(1)로 부터 하방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쇽업소버(3) 자체도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피스톤의 기준위치가 변경됨이 없이 차고가 낮아지게 되므로, 쇽업소버(3)의 신장이나 압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쇽업소버에 형성된 가이드홈과 고정너클에 의해 간단한 조작으로 쇽업소버의 장착위치가 조절되도록 하여 피스톤의 기준위치를 유지하면서도 코일스프링의 장착위치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쇽업소버의 기능이 유지되면서도 차고의 조절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차륜 너클(1)에서의 쇽업소버 상하 장착위치가 조절되어 차고가 졸절되게 쇽업소버(3)의 외통(4) 외주에 상하방향으로 차고조절의 범위에 따라 가이드홈(10)이 형성됨과 더불어, 차륜의 너클(1)에 결합되는 브라켓(12)에 상기 가이드홈(10)에 삽입되어 쇽업소버(3)의 상하 이동경로를 유지시키는 가이드턱(14)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가이드홈(10)이 형성된 외통(4) 외주에는 그 둘레를 따라 나사홈(16)이 형성되고, 이 나사홈(16)에 맞물려 상기 브라켓(12)의 상하에 쇽업소버(3)의 장착위치를 고정하는 1조의 고정너트(18)(20)가 체결되어지는 차량 현가장치의 쇽업소버.
KR10-2001-0042587A 2001-07-14 2001-07-14 차량 현가장치의 쇽업소버 KR100407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587A KR100407277B1 (ko) 2001-07-14 2001-07-14 차량 현가장치의 쇽업소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587A KR100407277B1 (ko) 2001-07-14 2001-07-14 차량 현가장치의 쇽업소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707A true KR20030006707A (ko) 2003-01-23
KR100407277B1 KR100407277B1 (ko) 2003-11-28

Family

ID=27715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2587A KR100407277B1 (ko) 2001-07-14 2001-07-14 차량 현가장치의 쇽업소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72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134B1 (ko) * 2002-03-13 2007-05-25 주식회사 만도 차량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
WO2008103340A1 (en) * 2007-02-20 2008-08-28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Positioning feature and method for precise vehicle heights
KR20190104814A (ko) * 2018-03-02 2019-09-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맥퍼슨 스트럿 타입 서스펜션용 차고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0412A (ko) * 1996-09-09 1998-06-25 김영귀 스프링 시트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쇽압소바
KR19980032765U (ko) * 1996-12-05 1998-09-05 박병재 맥퍼슨스트럿식 현가장치의 높이조절장치
JPH11348522A (ja) * 1998-06-10 1999-12-21 Yasuyuki Kato 車高調整式懸架装置
JP2000103215A (ja) * 1998-09-29 2000-04-11 Yuji Kase 自動車用懸架装置のストラットサスペンション
KR19990024062A (ko) * 1998-11-19 1999-03-25 엄태웅 차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쇽업소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134B1 (ko) * 2002-03-13 2007-05-25 주식회사 만도 차량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
WO2008103340A1 (en) * 2007-02-20 2008-08-28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Positioning feature and method for precise vehicle heights
KR20190104814A (ko) * 2018-03-02 2019-09-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맥퍼슨 스트럿 타입 서스펜션용 차고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7277B1 (ko) 200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4363A (en) Suspension for automobile
US4310172A (en) Position control system
US4366969A (en) Adjustable leveling suspension unit for vehicles
US6883651B2 (en) Dust cover receiving structure of hydraulic shock absorber
US20020089107A1 (en) Motor controlled suspension system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vehicle body and a damping force
KR100407277B1 (ko) 차량 현가장치의 쇽업소버
US4111456A (en) Independent strut type suspension assemblies for vehicles
JPH0821476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ー
JP7145779B2 (ja) 車高調整具
CN210371799U (zh) 一种减震器总成
EP0795459B1 (en) Levelling suspension device for a truck cab
CN209705156U (zh) 一种带减震弹簧压缩量调节机构的减震器
JPH0633967A (ja) サスペンション
JP3195593B2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ョンにおける車高調整装置
JP2561230Y2 (ja) 緩衝器の車高調整機構
KR100199744B1 (ko)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감쇠력을 측정하기 위한 지그
JPS56109937A (en) Device for mounting spring in hydraulic shock absorber
JPH1137203A (ja) スプリング高調整装置
CN215409894U (zh) 一种汽车用的多级阻尼可调的减震器结构
KR20040104999A (ko) 스트럿의 스프링시트 높이 조절구조
JP3096279U (ja) 自動車用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改良構造
JPH0771501A (ja) サスペンション及びその調整方法
GB2297065A (en) Suspension strut
KR102261283B1 (ko) 쇽 업소버
KR100312560B1 (ko) 자동차용 현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