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4062A - 차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쇽업소바 - Google Patents

차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쇽업소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4062A
KR19990024062A KR1019980049777A KR19980049777A KR19990024062A KR 19990024062 A KR19990024062 A KR 19990024062A KR 1019980049777 A KR1019980049777 A KR 1019980049777A KR 19980049777 A KR19980049777 A KR 19980049777A KR 19990024062 A KR19990024062 A KR 19990024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assembly
height
outer cylinder
knu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9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태웅
Original Assignee
엄태웅
주식회사 케이.아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태웅, 주식회사 케이.아이.씨 filed Critical 엄태웅
Priority to KR1019980049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4062A/ko
Publication of KR19990024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062A/ko

Links

Landscapes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쇽업소바에 대한 것으로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쇽업소바의 길이를 가감할 수 있도록 새로운 구조의 쇽업소바를 제공하므로써, 차량 소유자의 의사에 따라 차체의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더 나가서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차량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특징적인 수단은 내부에 완충장치가 내장된 쇽업소바 어셈브리와, 상기한 쇽업소바 어셈브리의 하단부를 감합하는 외통과, 상기한 쇽업소바 어셈브리 상단의 상부시트와 상기한 외통 상단의 하부시트 사이에 탄설시킨 코일스프링으로 자동차용 쇽업소바를 구성하되, 상기한 외통의 둘레를 수나사부로 형성한 후, 여기에 내경이 암나사부로 형성된 너클 아암 연결용 너클 어셈브리를 나삽하여, 상기한 너클 어셈브리의 위치를 상,하 이동시켜 차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차체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쇽업소바
본 발명은 차체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쇽업소바에 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너클어셈브리의 구조를 나사결합상태로 형성하여 쇽업소바의 체결상태를 높게 또는 낮게 조절하여 차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서스펜션구조(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증감속장치를 포함한 구동차축(11), 상기한 구동차축의 끝단에 연결된 채 베어링(12)으로써 지지된 허브(13), 상기 허브의 외측에 감합된 타이어(14), 그리고 상기 허브에서 상측 안쪽으로 연장된 너클아암(15), 너클아암의 끝단과 차체 프레임(도시하지 않았음)상으로 연결되는 쇽업소바(3)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서스펜션구조는 자동차의 높이(지상고)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즉, 셋팅 타이어의 사이즈와, 상기 쇽업소바에 사용된 스프링(2) 및 시트(16)의 높이 등에 의해 차체의 높이가 정해지며, 이는 모델이 다른 각각의 자동차마다 서로 다르게 설계되어 있다.
또 한편, 근래에는 차량을 소유하는 소유자(운전자)의 취향이나, 주행하고자 하는 목적, 운행하고자 하는 도로상태 등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차량을 요구하게 되었다.
예컨데, 평상시 생활에 사용하는 평범한 높이의 자동차, 스포츠 레이싱(Sports Racing) 등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차체를 낮추어야 하는 경우, 비포장 도로의 사정을 감안하여 차체가 높아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차체의 높이를 다르게 하고자 할 때는 일반적으로 쇽업소바를 개조하게 되는 바, 종래에는 쇽업소바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특별한 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단순히 쇽업소바의 길이를 절단하여 줄이는 극히 원시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밖에 없었으며, 더구나 더 길게 할 수 있는 방법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 보완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쇽업소바의 길이를 가감할 수 있도록 새로운 구조의 쇽업소바를 제공하므로써, 차량 소유자의 의사에 따라 차체의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더 나가서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차량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특징적인 수단은 내부에 완충장치가 내장된 쇽업소바 어셈브리와, 상기한 쇽업소바 어셈브리의 하단부를 감합하는 외통과, 상기한 쇽업소바 어셈브리 상단의 상부시트와 상기한 외통 상단의 하부시트 사이에 탄설시킨 코일스프링으로 자동차용 쇽업소바를 구성하되, 상기한 외통의 둘레를 수나사부로 형성한 후, 여기에 내경이 암나사부로 형성된 너클 아암 연결용 너클 어셈브리를 나삽하여, 상기한 너클 어셈브리의 위치를 상,하 이동시켜 차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쇽업소바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바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쇽업소바를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너클 어셈브리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하부시트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서스펜션구조 2 : 코일스프링
3 : 쇽업소바 31 : 쇽업소바 어셈브리
32 : 외통 32a : 수나사부
33 : 너클 어셈브리 33a : 암나사부
34 : 상부시트 35 : 하부시트
35a : 암나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쇽업소바를 설치한 상태의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쇽업소바만을 보인 정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쇽업소바는 쇽업소바 어셈브리(31)와, 외통(32)과, 쇽업소바 어셈브리 및 외통 사이에 탄설시킨 코일스프링(2)과, 상기 외통(32)에 결합한 너클 어셈브리(33)로 이루어 진다.
상기한 쇽업소바 어셈브리(31)는 통상의 쇽업소바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완충장치가 내장되어 있으며, 그 상단의 나사축부(41)에는 상부시트(34)와, 칼라(42), 메인플레이트(43), 보조플레이트(44), 플레이트(45), 내측플레이트(46), 이들사이의 베어링(47) 및 끝단의 너트(48) 순으로 끼워 조립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장 큰 특징은 외통(32)의 외주면을 수나사부(32a)로 형성하는 한편, 여기에 끼워져 결합될 너클 어셈브리(33)의 내경을 암나사부(33a)로 형성하므로써, 상기한 너클 어셈브리(33)를 외통(32)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의 코일스프링(2)을 받치는 하부시트(35)도 그 내경을 암나사(35a)로 형성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코일스프링(2)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3의 미설명 부호 36은 풀림방지용 잠금시트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자동차에 설치할 때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쇽업소바 어셈브리(31)의 상단측을 위로하여 차체의 프레임쪽에 연결하고, 외통(32)의 너클 어셈브리(33)를 너클 아암(15)에 연결한다.
이때, 너클 어셈브리(33)는 외통(32)에 형성된 수나사부(32a)의 길이 범위내에서 적절한 높이를 조정한 후, 너클 아암(15)에 연결하므로써 차체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코일스프링(2)은 너클 어셈브리(33)로써 차체의 높이를 달리하였을 때, 그 높이에 맞는 적절한 완충력을 발휘하도록 하고자 탄성을 조절할 수 있는 바, 먼저 잠금시트(36)를 풀고 내경에 암나사(35a)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시트(35)를 수나사부(32a)상에서 원하는 높이로 옮긴 후, 다시 잠금시트(36)를 조여 고정시키면 상부시트(34)와 하부시트(35)와의 간격이 달라지므로 탄성력이 달라지는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용 서스펜션의 쇽업쇼바를 형성하되, 쇽업소바(3)의 외통(32)에 수나사부(32a)를 형성한 후, 너클 어셈브리(33)를 나삽 연결하여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너클 아암(15)과 차체 프레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되었고, 그에 따라서 차체높이를 운전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어 기능이 향상 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수나사부(32a)에 나삽하여 고정시킨 하부시트(35)를 옮겨 차체의 높이가 달라짐에 따라 적당히 어울리도록 코일스프링(2)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감 및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 여러 가지 면에서 자동차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어 좋은 것이다.

Claims (2)

  1. 내부에 완충장치가 내장된 쇽업소바 어셈브리(31), 상기한 쇽업소바 어셈브리(31)의 하단부를 감합하는 외통(32), 상기한 쇽업소바 어셈브리(31)의 상단에 고정된 상부시트(34)와 상기한 외통(32) 상단에 고정시킨 하부시트(35) 사이에 탄설시킨 코일스프링(2)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쇽업소바에 있어서,
    상기한 외통(32)의 외주면을 수나사부(32a)로 형성한 후, 여기에 내경이 암나사부(33a)로 형성된 너클 아암 연결용 너클 어셈브리(33)를 나삽하여, 상기한 너클 어셈브리(33)의 위치를 상,하 이동시키므로써 차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쇽업소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부시트(35)는 내경을 암나사로 형성한 후, 외통(32)의 수나사부(32a)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나삽하므로써, 상부시트(34)와의 사이에 탄설시킨 코일스프링(2)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쇽업소바.
KR1019980049777A 1998-11-19 1998-11-19 차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쇽업소바 KR199900240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9777A KR19990024062A (ko) 1998-11-19 1998-11-19 차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쇽업소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9777A KR19990024062A (ko) 1998-11-19 1998-11-19 차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쇽업소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062A true KR19990024062A (ko) 1999-03-25

Family

ID=65948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9777A KR19990024062A (ko) 1998-11-19 1998-11-19 차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쇽업소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406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277B1 (ko) * 2001-07-14 2003-11-2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현가장치의 쇽업소버
WO2008103340A1 (en) * 2007-02-20 2008-08-28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Positioning feature and method for precise vehicle heights
CN109681557A (zh) * 2018-06-12 2019-04-26 杭州程天科技发展有限公司 减震装置及其轮子结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277B1 (ko) * 2001-07-14 2003-11-2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현가장치의 쇽업소버
WO2008103340A1 (en) * 2007-02-20 2008-08-28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Positioning feature and method for precise vehicle heights
US7988166B2 (en) 2007-02-20 2011-08-02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Positioning feature and method for precise vehicle heights
US8196942B2 (en) 2007-02-20 2012-06-12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Positioning feature and method for precise vehicle heights
CN109681557A (zh) * 2018-06-12 2019-04-26 杭州程天科技发展有限公司 减震装置及其轮子结构
CN109681557B (zh) * 2018-06-12 2023-11-10 杭州程天科技发展有限公司 减震装置及其轮子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4318A (en) Suspension assembly having detent nut adjustment
EP0182607A2 (en) Double isolated jounce bumper system
JP4199010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6796569B2 (en) Suspension kit
KR19990024062A (ko) 차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쇽업소바
KR920001041Y1 (ko) 자동차용 스트러트 형(Strut type)현가 장치의 인슐레이터 구조
CN207416462U (zh) 一种控制臂焊接总成
JP2001039137A (ja) キャンバ調整式ストラット
JPH08108721A (ja) 自動車の独立懸架における車高調整固定装置
KR100513741B1 (ko) 전방 현가장치의 하측 스프링 시트 구조
US2798736A (en) Rear wheel stabilizer for motor vehicles
KR102397406B1 (ko) 자동차 서스펜션용 높이조절형 마운트
JP2600263Y2 (ja) フロントフォーク
KR200146030Y1 (ko) 자동차 스태빌라이저의 취부구조
KR0125067Y1 (ko) 자동차용 전륜 현가장치의 하중분리구조
KR0153195B1 (ko) 자동차 현가장치 취부구조
KR20040033803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로어컨트롤암 부시
KR100250167B1 (ko) 차량의 스트러트 인슐레이터의 차체 장착구조
JPS6322086Y2 (ko)
KR100192420B1 (ko) 자동차용 현가 장치
KR200294385Y1 (ko) 스트러트의 스프링 시트 프랜지 구조
KR100199719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전후식 리프 스프링
KR19980038710U (ko) 현가장치의 캐스터 조정구조
CN201627816U (zh) 悬挂球头
KR20000051473A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