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283B1 - 쇽 업소버 - Google Patents

쇽 업소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283B1
KR102261283B1 KR1020150175363A KR20150175363A KR102261283B1 KR 102261283 B1 KR102261283 B1 KR 102261283B1 KR 1020150175363 A KR1020150175363 A KR 1020150175363A KR 20150175363 A KR20150175363 A KR 20150175363A KR 102261283 B1 KR102261283 B1 KR 102261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rod
base shell
shock absorber
stopper
inn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5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8317A (ko
Inventor
이상훈
조윤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5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283B1/ko
Publication of KR20170068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8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14Constructional features of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28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nections between pistons and piston 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43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manually adjusted while the damper is fully retracted or extended in a non-operational mode by rotating mechanical means that have engaged between the piston and one end of the cylin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최대 인장 길이를 가변시키는 쇽 업소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쇽 업소버는, 차체에 장착되는 아웃 튜브, 회전 선택되어 바퀴에 장착되는 베이스 쉘, 상기 베이스 쉘의 내부에 장착되는 내부 튜브, 상기 아웃 튜브와 상기 베이스 쉘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 튜브에 단부를 내장하는 피스톤 로드, 상기 내부 튜브에서 상기 피스톤 로드에 장착되어 감쇠력을 조절하는 피스톤 조립체, 상기 베이스 쉘과 상기 내부 튜브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승강을 안내하는 로드 가이드, 및 상기 로드 가이드와 상기 피스톤 조립체 사이에서 상기 피스톤 로드에 체결되어 스트로크를 설정하는 리바운드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리바운드 스토퍼는 상기 베이스 쉘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로드 가이드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도록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쇽 업소버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쇽 업소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최대 인장 길이를 가변시키는 쇽 업소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쇽 업소버(shock absorber)는 차체와 바퀴에 양단부로 고정되어 주행 중 노면과 접촉하는 바퀴로부터 전달되는 각종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진동이나 충격이 차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승차감 및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쇽 업소버는 차체에 장착되는 상부의 아웃 튜브, 바퀴에 고정되는 하부의 베이스 쉘, 베이스 쉘의 내부에 장착되는 내부 튜브, 아웃 튜브, 베이스 쉘 및 내부 튜브를 관통하는 피스톤 로드, 피스톤 로드에 장착되고 내부 튜브에 배치되어 감쇠력을 조절하는 피스톤 조립체, 베이스 쉘과 내부 튜브의 상부에 고정되어 피스톤 로드의 승강을 안내하는 로드 가이드, 및 로드 가이드와 피스톤 조립체 사이에서 피스톤 로드에 체결되어 스트로크를 제한하는 리바운드 스토퍼를 포함한다.
쇽 업소버는 차체 바퀴의 상하 운동에 따라 압축 작동 및 인장 작동을 하게 된다. 바퀴의 풀범프(full bump)에 해당하는 최대 압축시, 범프 스토퍼에 의해 쇽 업소버의 최대 압축 길이가 제한된다. 그리고 바퀴의 풀리바운드(full rebound)에 해당하는 최대 인장시, 리바운드 스토퍼에 의해 쇽 업소버의 최대 인장 길이가 제한된다.
즉 리바운드 스토퍼에 의하여, 쇽 업소버의 최대 인장 길이가 고정되고, 쇽 업소버의 스트로크가 제한된다. 따라서 바퀴의 리바운드량 규제를 통하여 고강성 스프링으로 변경하는 경우, 쇽 업소버가 차체로부터 이탈될 수도 있다. 또한 승차감 및 핸들링(R&H, ride & handling) 성능이 저하되고, 안전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개발 차종의 특성별 및 트림별 지상고 변경시, 쇽 업소버의 대응이 어렵다. 따라서 상품성의 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다. 요구되는 최대 인장 길이의 다양화에 따라 쇽 업소버의 사양 수가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최대 인장 길이를 가변시키는 쇽 업소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 및 인장 작동되는 스트로크를 가변시키는 쇽 업소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쇽 업소버는, 차체에 장착되는 아웃 튜브, 회전 선택되어 바퀴에 장착되는 베이스 쉘, 상기 베이스 쉘의 내부에 장착되는 내부 튜브, 상기 아웃 튜브와 상기 베이스 쉘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 튜브에 단부를 내장하는 피스톤 로드, 상기 내부 튜브에서 상기 피스톤 로드에 장착되어 감쇠력을 조절하는 피스톤 조립체, 상기 베이스 쉘과 상기 내부 튜브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승강을 안내하는 로드 가이드, 및 상기 로드 가이드와 상기 피스톤 조립체 사이에서 상기 피스톤 로드에 체결되어 스트로크를 설정하는 리바운드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리바운드 스토퍼는 상기 베이스 쉘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로드 가이드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도록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 가이드는 상기 피스톤 로드를 관통시키고 그 일측으로 지지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보다 상기 리바운드 스토퍼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바운드 스토퍼는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피스톤 로드에 고정되는 상부 스토퍼, 및 상기 상부 스토퍼가 상기 제1지지부를 지지할 때 상기 제2지지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 스토퍼와 설정된 간격을 가지고 상기 피스톤 로드에 고정되는 하부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하부 스토퍼는 원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상부 스토퍼는 원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스토퍼는 상기 피스톤 로드에 결합되는 부분 원통부, 및 상기 부분 원통부에서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 원통형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스토퍼는 상기 피스톤 로드에 결합되는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에서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통형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쉘은 외주면에서 상기 로드 가이드의 방향을 표시하는 제1방향 식별 마킹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로드 가이드는 캡을 개재하여 상기 베이스 쉘에 결합되며, 상기 캡은 상기 제1방향 식별 마킹에 대응하는 부분에 제2방향 식별 마킹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피스톤 로드의 승강을 안내하는 로드 가이드와 피스톤 조립체 사이에서 피스톤 로드에 체결되어 스트로크를 설정하는 리바운드 스토퍼를 복수로 구비하여, 로드 가이드에 선택적으로 지지되게 하므로 최대 인장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승차감 및 핸들링(R&H, ride & handling) 성능이 향상되고, 안전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차종의 특성별 및 트림별 지상고 변경시, 쇽 업소버의 대응이 용이하여 상품성의 경쟁력이 향상될 수 있다. 요구되는 최대 인장 길이의 다양화에 따라 쇽 업소버의 사양 수가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쇽 업소버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리바운드 스토퍼 주위를 상세히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리바운드 스토퍼와 로드 가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베이스 쉘을 제1인장 길이 상태로 회전하여 장착한 상태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베이스 쉘 상태에서 리바운드 스토퍼 주위를 상세히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상태로 쇽 업소버를 제1인장 길이로 조절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은 베이스 쉘을 제2인장 길이 상태로 회전하여 장착한 상태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베이스 쉘 상태에서 리바운드 스토퍼 주위를 상세히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상태로 쇽 업소버를 제2인장 길이로 조절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쇽 업소버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쇽 업소버는 차체에 장착되는 아웃 튜브(10)와, 회전 선택되어 바퀴에 장착되는 베이스 쉘(20)을 포함하여, 노면에서 바퀴를 통하여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을 차단시킨다.
베이스 쉘(20)은 하단에 체결 부시(22)를 구비하여 바퀴 측 로워 암(미도시)에 힌지 구조로 장착된다. 체결 부시(22)는 180도 방향 양측으로 관통되는 관통홀(221)을 구비하여, 체결 볼트가 관통홀(221)을 관통하여 로워 암에서 너트로 체결될 수 있다.
즉 체결 부시(22)는 체결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로워 암에 장착된다. 따라서 베이스 쉘(20)은 180도로 회전 선택되어 체결 부시(22)로 로워 암에 2가지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쉘(20)의 방향은 180도 회전되지만, 체결 부시(22)는 로워 암에 대하여 동일한 구조로 대응하므로 체결 볼트 및 너트로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쇽 업소버는 베이스 쉘(20)의 내부에 장착되는 내부 튜브(30), 내부 튜브(30)에 단부를 내장하는 피스톤 로드(40), 피스톤 로드(40)에 장착되어 감쇠력을 조절하는 피스톤 조립체(50), 피스톤 로드(40)의 승강을 안내하는 로드 가이드(60) 및 승강 스트로크 중 최대 인장 길이를 설정하는 리바운드 스토퍼(70)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서 리바운드 스토퍼 주위를 상세히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리바운드 스토퍼와 로드 가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내부 튜브(30)는 베이스 쉘(20)에 내장되고, 상단에서 베이스 쉘(20)과 캡(21)으로 연결된다.
피스톤 로드(40)는 아웃 튜브(10)와 베이스 쉘(20)의 상부를 관통하여, 내부 튜브(30)에 단부를 내장하여, 아웃 튜브(10), 베이스 쉘(20) 및 내부 튜브(30)의 내부에서 압축 및 인장 작동에 따라 승강 제어된다.
피스톤 조립체(50)는 피스톤 로드(40)의 단부에 장착되고 내부 튜브(30) 내에 배치되어, 상부를 인장 챔버(51)로 설정하고 하부를 압축 챔버(52)로 설정한다. 피스톤 로드(40)의 작동에 따라 피스톤 조립체(50)가 내부 튜브(30)에서 승강함에 따라, 압축 및 인장 작동시, 압축 챔버(52)와 인장 챔버(51) 사이에서 피스톤 조립체(50)를 경유하는 오일의 이동에 의하여 감쇠력이 구현된다.
쇽 업소버가 압축되는 범프 작동시, 피스톤 로드(40)에 의하여 하강 제어되는 피스톤 조립체(50)는 압축 챔버(52)에서 인장 챔버(51)로 오일 흐름을 형성 및 오일량을 제어하여 감쇠력을 변화시킨다.
또한 쇽 업소버가 인장되는 리바운드 작동시, 피스톤 로드(40)에 의하여 상승 제어되는 피스톤 조립체(50)는 인장 챔버(51)에서 압축 챔버(52)로 오일 흐름을 형성 및 오링량을 제어하여 감쇠력을 변화시킨다.
로드 가이드(60)는 베이스 쉘(20)과 내부 튜브(30)의 상부에 고정되어, 내부 튜브(30)의 상단을 실링하고, 상부에서 베이스 쉘(20)과 내부 튜브(30) 사이를 밀폐하면서 피스톤 로드(40)의 승강을 안내한다.
또한 로드 가이드(60)는 캡(21)에 의하여 베이스 셀(20)에 더 고정된다. 즉 로드 가이드(60)는 내측으로 내부 튜브(30)를 실링하고, 외측으로 베이스 쉘(20)을 실링한다.
리바운드 스토퍼(70)는 로드 가이드(60)와 피스톤 조립체(50) 사이에서 피스톤 로드(40)에 고정 체결되어, 피스톤 로드(40)의 상승을 제한한다. 즉 쇽 업소버의 최대 인장 길이를 설정한다. 피스톤 로드(40)가 승강할 때, 피스톤 조립체(50)가 로드 가이드(60)에 접근할 수 있는 범위를 설정한다.
일 실시예의 리바운드 스토퍼(70)는 베이스 쉘(20)의 회전에 따라 로드 가이드(60)의 높이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도록 복수로 형성된다. 리바운드 스토퍼(70)가 복수로 구비되어 로드 가이드(60)의 높이에 선택적으로 지지됨에 따라 쇽 업소버의 최대 인장 길이를 복수로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써, 로드 가이드(60)는 피스톤 로드(40)를 관통시켜 결합되고, 그 일측으로 지지하는 제1지지부(61), 및 제1지지부(61)보다 리바운드 스토퍼(70)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2지지부(62)를 포함한다. 즉 제1, 제2지지부(61, 62)는 높이 방향으로 차이를 가지게 된다. 이에 상응하도록 리바운드 스토퍼(70)는 상부 스토퍼(71)와 하부 스토퍼(72)를 포함한다.
상부 스토퍼(71)는 로드 가이드(60)의 상측의 제1지지부(61)와 하측의 제2지지부(62)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도록 피스톤 로드(40)에 고정된다. 하부 스토퍼(72)는 상부 스토퍼(71)가 제1지지부(61)를 지지할 때 제2지지부(62)를 지지하도록 상부 스토퍼(71)와 설정된 간격(G)을 가지고 피스톤 로드(40)에 고정된다.
제1지지부(61)와 하부 스토퍼(72)는 원통으로 형성되고, 제2지지부(62)와 상부 스토퍼(71)는 원호, 즉 원통의 일부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 스토퍼(71)는 돌출된 제2지지부(62)를 지지하거나 제1지지부(61)를 지지할 수 있다.
상부 스토퍼(71)는 피스톤 로드(40)에 결합되는 부분 원통부(711), 및 부분 원통부(711)에서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 원통형 플랜지(712)를 포함한다. 부분 원통형 플랜지(712)는 제1지지부(61) 또는 제2지지부(62)를 넓은 면적으로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부분 원통부(711)는 피스톤 로드(40)에 고정된다.
하부 스토퍼(72)는 피스톤 로드(40)에 결합되는 원통부(721), 및 원통부(721)에서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통형 플랜지(722)를 포함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원통부(721)는 피스톤 로드(40)에 고정된다. 원통형 플랜지(722)는 제2지지부(62)를 넓은 면적으로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4는 베이스 쉘을 제1인장 길이 상태로 회전하여 장착한 상태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 쉘(20)은 외주면에서 로드 가이드(60)의 방향을 표시하는 제1방향 식별 마킹(M1)을 구비한다.
캡(21)은 로드 가이드(60)에 결합되고, 베이스 쉘(20)의 상단이 캡(21)에 고정 결합된다. 캡(21)은 제1방향 식별 마킹(M1)에 대응하는 부분에 제2방향 식별 마킹(M2)을 구비한다. 제2방향 식별 마킹(M2)은 아웃 튜브(10) 내부에 위치하므로 쇽 업소버를 차체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제1방향 식별 마킹(M1)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례를 들면, 제1방향 식별 마킹(M1) 및 제2방향 식벽 마킹(M2)은 로드 가이드(60)에서 제1지지부(61) 측과 동일 측 외부에 표시되어 있다. 로드 가이드(60)에서 제1, 제2지지부(61, 62)가 180도 방향 위치에 배치되므로 제1, 제2방향 식별 마킹(M1, M2)을 보고 베이스 쉘(20)을 180도 회전함에 따라 로드 가이드(60)와 리바운드 스토퍼(70)의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상호 일치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베이스 쉘 상태에서 리바운드 스토퍼 주위를 상세히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상태로 쇽 업소버를 제1인장 길이로 조절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즉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베이스 쉘(20)의 제1, 제2방향 식별 마킹(M1, M2)이 리바운드 스토퍼(70)의 상부 스토퍼(71)와 로드 가이드(60)의 제1지지부(61)에 일치한다. 이 경우, 리바운드 스토퍼(70)의 상, 하부 스토퍼(71, 72)는 로드 가이드(60)의 제1, 제2지지부(61, 62)를 각각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리바운드 스토퍼(70)가 로드 가이드(60)의 최상단을 지지하므로 리바운드 스토퍼(70)가 고정되는 피스톤 로드(40)는 최대한 상승되어 내부 튜브(30) 및 베이스 쉘(20)의 상단에 최대로 돌출된다. 즉 피스톤 로드(40)의 스트로크가 최대인 제1인장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베이스 쉘을 제2인장 길이 상태로 회전하여 장착한 상태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베이스 쉘 상태에서 리바운드 스토퍼 주위를 상세히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상태로 쇽 업소버를 제2인장 길이로 조절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베이스 쉘(20)의 제1, 제2방향 식별 마킹(M1, M2)이 리바운드 스토퍼(70)의 하부 스토퍼(72)와 로드 가이드(60)의 제1지지부(61)에 일치한다. 이 경우, 리바운드 스토퍼(70)의 상부 스토퍼(71)는 로드 가이드(60)의 제2지지부(62)를 지지하게 된다. 로드 가이드(60)의 제1지지부(61)와 하부 스토퍼(72)는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리바운드 스토퍼(70)가 로드 가이드(60)의 최하단을 지지하므로 리바운드 스토퍼(70)가 고정되는 피스톤 로드(40)는 도 6에서 보다 간격(G)만큼 하강되어 내부 튜브(30) 및 베이스 쉘(20)의 상단에 간격(G)만큼 감소되어 돌출된다. 즉 피스톤 로드(40)의 스트로크가 도 6에서 보다 간격(G)만큼 짧은 제2인장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제2인장 길이는 리바운드 스토퍼(70)의 위치에 따라 도 1의 공차 상태에서의 기준 인장 길이보다 더 길게 설정된다.
쇽 업소버의 제1, 제2인장 길이는 제1, 제2지지부(61, 62) 간격이 상, 하부 스토퍼(71, 72)의 간격(G)보다 큰 조건에서, 상, 하부 스토퍼(71, 72)의 간격(G)으로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제2지지부(61, 62) 간격과 상, 하부 스토퍼(71, 72)의 간격(G)이 동일하다.
따라서 쇽 업소버가 최대로 인장되는 제1인장 길이로 작동되는 도 5 및 도 6의 상태에서 리바운드 스토퍼(70)의 상, 하부 스토퍼(71, 72)가 로드 가이드(60)의 제1, 제2지지부(61, 62)를 보다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는 쇽 업소버의 최대 인장 길이를 제1, 제2인장 길이로 가변시킴에 따라 승차감 및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고, 안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종의 특성별 및 트림별 지상고 변경시, 쇽 업소버의 대응을 용이하게 하여 상품성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요구되는 최대 인장 길이의 다양화에 따라 쇽 업소버의 사양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쇽 업소버의 개발비가 절감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아웃 튜브 20: 베이스 쉘
21: 캡 30: 내부 튜브
40: 피스톤 로드 50: 피스톤 조립체
51: 인장 챔버 52: 압축 챔버
60: 로드 가이드 61, 62: 제1, 제2지지부
70: 리바운드 스토퍼 71, 72: 상, 하부 스토퍼
711: 부분 원통부 712: 부분 원통형 플랜지
721: 원통부 722: 원통형 플랜지
G: 간격 M1, M2: 제1, 제2방향 식별 마킹

Claims (8)

  1. 차체에 장착되는 아웃 튜브;
    회전 선택되어 바퀴에 장착되는 베이스 쉘;
    상기 베이스 쉘의 내부에 장착되는 내부 튜브;
    상기 아웃 튜브와 상기 베이스 쉘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 튜브에 단부를 내장하는 피스톤 로드;
    상기 내부 튜브에서 상기 피스톤 로드에 장착되어 감쇠력을 조절하는 피스톤 조립체;
    상기 베이스 쉘과 상기 내부 튜브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승강을 안내하는 로드 가이드; 및
    상기 로드 가이드와 상기 피스톤 조립체 사이에서 상기 피스톤 로드에 체결되어 스트로크를 설정하는 리바운드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리바운드 스토퍼는
    상기 베이스 쉘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로드 가이드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도록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로드 가이드는
    상기 피스톤 로드를 관통시키고 그 일측으로 지지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보다 상기 리바운드 스토퍼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2지지부
    를 포함하는 쇽 업소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바운드 스토퍼는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피스톤 로드에 고정되는 상부 스토퍼, 및
    상기 상부 스토퍼가 상기 제1지지부를 지지할 때 상기 제2지지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 스토퍼와 설정된 간격을 가지고 상기 피스톤 로드에 고정되는 하부 스토퍼
    를 포함하는 쇽 업소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하부 스토퍼는 원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상부 스토퍼는 원호로 형성되는 쇽 업소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토퍼는
    상기 피스톤 로드에 결합되는 부분 원통부, 및 상기 부분 원통부에서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 원통형 플랜지를 포함하는 쇽 업소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스토퍼는
    상기 피스톤 로드에 결합되는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에서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통형 플랜지를 포함하는 쇽 업소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쉘은
    외주면에서 상기 로드 가이드의 방향을 표시하는 제1방향 식별 마킹을 구비하는 쇽 업소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가이드는
    캡을 개재하여 상기 베이스 쉘에 결합되며,
    상기 캡은
    상기 제1방향 식별 마킹에 대응하는 부분에 제2방향 식별 마킹을 구비하는 쇽 업소버.
KR1020150175363A 2015-12-09 2015-12-09 쇽 업소버 KR102261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363A KR102261283B1 (ko) 2015-12-09 2015-12-09 쇽 업소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363A KR102261283B1 (ko) 2015-12-09 2015-12-09 쇽 업소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317A KR20170068317A (ko) 2017-06-19
KR102261283B1 true KR102261283B1 (ko) 2021-06-04

Family

ID=59278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363A KR102261283B1 (ko) 2015-12-09 2015-12-09 쇽 업소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28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9060Y2 (ja) * 1989-07-05 1998-01-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ックドアステ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3859A (ja) * 1992-03-19 1993-10-12 Tokico Ltd ガススプリング
KR20020043857A (ko) * 2000-12-04 2002-06-12 밍 루 쇽 업소버의 리바운드 스토퍼 러버
JP5493184B2 (ja) * 2008-05-12 2014-05-14 美和ロック株式会社 シリンダ装置、スプリングダンパー及びこれを用いたドアクロー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9060Y2 (ja) * 1989-07-05 1998-01-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ックドアステ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317A (ko) 2017-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3651B2 (en) Dust cover receiving structure of hydraulic shock absorber
US9829062B2 (en) Bump stopper cap
JP2008001356A (ja) 緩衝装置
KR101884912B1 (ko) 차량용 에어 서스펜션 장치
US9611001B2 (en) Suspension
EP3124823B1 (en) Shock absorber
US20140060985A1 (en) Hydraulic shock absorber and valve
KR102261283B1 (ko) 쇽 업소버
JP6482212B2 (ja) スプリングシート
KR101315710B1 (ko) 벨로우즈형 에어 스프링
KR20120058149A (ko) 차량용 쇽 업소버
US20210070130A1 (en) Shock absorber for vehicle
KR20190099427A (ko) 모터 차량의 지면 간극을 제어하기에 적절한 서스펜션 댐핑 시스템
CN103660828B (zh) 悬架支柱支承轴承、悬架支柱和机动车辆
KR102658038B1 (ko) 인슐레이터 및 이를 갖는 현가장치
JP2005248972A (ja) 懸架装置
JP7389447B2 (ja) 油圧緩衝器
CN202560923U (zh) 减震器底座
KR20110094939A (ko) 쇽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KR100996866B1 (ko) 쇽업소버
KR200148156Y1 (ko) 실린더댐퍼의범프스톱퍼구조
JP2021126906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90085715A (ko) 쇽업소버의 스프링 시트
KR20010045889A (ko) 자동차의 쇽 업소버 장착구조
KR20070016258A (ko) 공기 스프링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