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6164A - 원적외선건조기 - Google Patents

원적외선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6164A
KR20030006164A KR1020010041738A KR20010041738A KR20030006164A KR 20030006164 A KR20030006164 A KR 20030006164A KR 1020010041738 A KR1020010041738 A KR 1020010041738A KR 20010041738 A KR20010041738 A KR 20010041738A KR 20030006164 A KR20030006164 A KR 20030006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r
tray
infrared
infrared radiation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1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3099B1 (ko
Inventor
공영준
홍거표
권혜정
강안석
홍정기
Original Assignee
강원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도 filed Critical 강원도
Priority to KR10-2001-0041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3099B1/ko
Publication of KR20030006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6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3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30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이나 소채류 등 농산물을 가공하기 위한 전단계로 농산물을 건조하는 원적외선 농산물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상자형의 몸체(100)와 몸체내부에 형성된 건조실에 삽입되는 사각 프레임으로 된 보조프레임(200) 그리고 보조프레임(200)에 층상으로 배열되어 원적외선을 방사하며 피건조물이 얹혀지는 원적외선 방사 트레이(300), 몸체의 상부측 증앙부분에 외부공기를 도입하는 급기덕트(400)가 형성되고, 몸체(100)의 상부측 일측에 건조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500)가 구비된 원적외선건조기로써 종래와 달리 소형화를 달성하면서도 건조공간 전체에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피건조물을 입체적으로 건조할 수 있는 원적외선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원적외선건조기{Far-Infrared Drying Equipment}
본발명은 과일이나 소채류 등 농산물을 가공하기 위한 전단계로 농산물을 건조하는 원적외선 농산물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이나 기타 곡물 기타 채소류를 장기간 저장 또는 가공하기위하여 적정한 수분을 함유하도록 건조할 필요성이 있다.
상기 과일등을 가공하기 위한 건조는 거의 수분이 함유되지 않는 상태로 건조해야 하는데, 이같은 건조에 종래에 열풍건조기를 사용하고 있었다.
열풍건조기는 건조시간이 길고, 과일등 피건조물의 색이 변하며, 함유된 비타민 C 등 성분이 파괴되고, 또한 맛이 변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열풍건조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원적외선 방사체를 이용한 원적외선 건조기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원적외선 건조기는 독립된 판상 몸체로된 세라믹재질의 원적외선 방사체를 가열하여 원적외선을 방사하도록 구성되어 있기에 구조적으로 용량이 대형 설치물일 수 밖에 없었다.
그런데 새로운 식품을 개발하기위한 민간 또는 공공기관의 식품연구소 및 의약연구소 또는 식품의약안정청 등 정부기관 그리고 대학 등에서 상기와 같은 대형 원적외선 건조기보다 소용량의 소형 원적외선 건조기가 필요하였는데, 이에 대한 개발이 미흡하여 그 수요를 충족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하여 본발명이 창안된 것인데, 본발명의 목적은 과일 등 피건조물의 성분파괴와 변색 및 맛의 변화없이 건조하는 원적외선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종래와 달리 소형화를 달성하면서도 건조공간 전체에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피건조물을 입체적으로 건조할 수 있는 원적외선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도 1 은 본발명에 따른 원적외선건조기의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발명에 따른 원적외선건조기의 정단면도
도 3 은 본발명에 따른 원적외선건조기의 정면도
도 4 는 본발명에 따른 원적외선건조기의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몸체 200 : 보조프레임 300 : 원적외선 방사 트레이
310 : 트레이틀 320, 320' : 트레이판 330 : 원적외선방사봉
400 : 급기덕트 410 : 송풍팬 420 : 예열히터
500 : 배기덕트
도 1 은 본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건조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 는 부분 절개 정면도이고, 도 3 은 정단면도이며, 도 4 는 본발명에 있어서 건조기의 원적외선 방사봉의 조립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발명의 원적외선 건조기는 도 1 과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형 몸체를 구성하고 그 내부에 건조공간을 형성하는데, 상자형의 몸체(100)와 몸체내부에 형성된 건조실에 삽입되는 사각 프레임으로 된 보조프레임(200) 그리고 보조프레임(200)에 층상으로 배열되는 원적외선 방사 트레이(300), 몸체의 상부측 증앙부분에 외부공기를 도입하는 급기덕트(400)가 형성되고, 몸체(100)의 상부측 일측에 건조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500)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100)는 상자형을 이루어 내부에 건조실을 형성하는 것으로 정면에 도어(110)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프레임(200)는 골조로 이루어져 후술하는 원적외선방사트레이(300)를 층상으로 지지하는 프레임인 것으로 건조실내에 설치된다.
상기 원적외선방사트레이(300)는 사각형의 트레이틀(310)과 두 개의 트레이판(320, 320') 그리고 원적외선방사봉(3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트레이판(320, 320')은 다수개의 구멍이 뚫린 박판상으로 상기 트레이틀(310)의 상하면에 부착되는 것이고, 상기 원적외선방사봉(330)은 U자 형태로 절곡된 봉상체로 다수개가 상기 트레이틀(310)에 고정되면서 상기 두 트레이판(320, 230') 사이 공간에 설치되며 이들 각 원적외선방사봉(330)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가 공급되어 저항열을 발생하는 저항발열체의 재질로 되어 있으며 그 외표면에는 가열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물질인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소정의 두께로 코팅되어 있다.(도 4 에 있어 미설명 부호 L은 전원선이다.)
상기 급기덕트(400)는 건조실내에 외부공기를 도입하여 송풍팬(410)이 설치된 덕트(DUCT)시설로 상기 송풍팬(410)에 인접하여 예열히터(420)가 설치되어 도입된 외부공기를 예열하여 건조실내로 압풍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배기덕트(500)는 건조실내의 습윤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덕트시설로 상기 급기덕트(400)의 압풍에 의하여 자연 배기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된 본발명의 원적외선건조기는 건조실내의 원적외선방사트레이(300) 위에 피건조물을 올려놓고 원적외선방사봉(330)에 전원을 인가하면 원적외선방사봉(330)의 저항발열체가 가열되고 이에 따라 코팅된 원적외선방사물에서원적외선이 방사되며, 방사된 원적외선이 피 건조물에 조사되어 피건조물을 건조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본발명의 원적외선건조기에 있어서 원적외선방사트레이(300)의 우너적외선방사봉(330)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은 상하의 두 트레이판(320, 320')을 뚫고 방사되어 피건조물에 조사되므로 트레이판(320)위에 놓인 피건조물을 입체적으로 조사하게 되므로 효과적으로 피건조물을 건조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피건조물을 원적외선방사로 인하여 건조하게 되면 피건조물에서 증발된 수분이 건조실내의 가열된 공기에 흡수되어 전체적으로 건조실내의 공기가 습윤하여 지며, 이때 건조한 외부공기를 건조실내로 도입할 필요가 있게 되는데, 급기덕트(400)의 송풍팬(410)을 가동하여 외부공기를 도입하는데 도입된 외부공기는 건조하나 그 온도가 낮기에 급기덕트(410)에 설치된 예열히터(420)를 가동하여 도입된 저온의 외부공기를 가온시켜 건조실내로 도입시킨다. 이렇게 예열된 외부공기가 건조실내로 도입되면 상기 습윤한 건조실내의 기존공기가 배기덕트(500)를 통해 강제로 방출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본발명에 따른 원적외선건조기는 특히 소형건조기의 제작에 적합하나 대형건조기를 제작함에 조금도 부족함이 없고 대향건조기로 제작되어도 그 기능상 아무런 부족함이 없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하는 본발명에 따른 원적외선건조기는 소형으로제작하기 특히 적합한데 그 이유는 상술한 바와같이 원적외선방사체를 종래의 독립된 판상체로 하는 대신에 봉상의 원적외선방사봉(330)을 사용하고 있기에 가능하게 된 것이다 또한 본발명의 원적외선건조기에 있어 원적외선방사봉(330)은 저항발열체의 외표면에 원적외선방사물질을 코팅하였기에 그만큼 원적외선을 효과적으로 방사할 뿐아니라 원적외선방사트레이(300)를 여러 단으로 층상구조를 취하도록 하고 원적외선을 상기 트레이(300)의 상하면에서 방사되도록 한 구조를 취하므로 원적외선이 피건조물에 입체적으로 조사되어 그만큼 건조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Claims (4)

  1. 상자형의 몸체(100)와 몸체내부에 형성된 건조실에 삽입되는 사각 프레임으로 된 보조프레임(200) 그리고 보조프레임(200)에 층상으로 배열되어 원적외선을 방사하며 피건조물이 얹혀지는 원적외선 방사 트레이(300), 몸체의 상부측 증앙부분에 외부공기를 도입하는 급기덕트(400)가 형성되고, 몸체(100)의 상부측 일측에 건조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500)가 구비된 원적외선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원적외선방사트레이(300)는 사각형의 트레이틀(310)과 트레이틀의 상하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두 개의 트레이판(320, 320) 그리고 대략 "U"자 형태의 다수개의 원적외선방사봉(330)으로 구성된 원적외선건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원적외선 방사봉(330)은 전원에 연결되어 저항열을 발생시키는 봉상의 저항발열체의 외표면에 원적외선방사물질이 코팅되어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원적외선건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급기덕트(400)는 외부공기를 도입하기위한 송풍팬(410)과 송풍팬(410)에 인접하여 예열히터(420)가 구비되어 도입된 외부공기를 예열하여 공급하는 덕트시설인 원적외선건조기
KR10-2001-0041738A 2001-07-11 2001-07-11 원적외선건조기 KR100423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738A KR100423099B1 (ko) 2001-07-11 2001-07-11 원적외선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738A KR100423099B1 (ko) 2001-07-11 2001-07-11 원적외선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164A true KR20030006164A (ko) 2003-01-23
KR100423099B1 KR100423099B1 (ko) 2004-03-16

Family

ID=27714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1738A KR100423099B1 (ko) 2001-07-11 2001-07-11 원적외선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309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639B1 (ko) * 2002-04-11 2004-05-10 대한원적외선산업주식회사 농산물의 가열 가공 장치
KR100503756B1 (ko) * 2002-06-03 2005-07-26 대한원적외선산업주식회사 농수산물의 복사 건조 장치
KR100761770B1 (ko) * 2004-11-03 2007-10-04 양인철 농수산물 건조방법과 건조장치
KR101335241B1 (ko) * 2011-11-15 2013-11-29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3771Y1 (ko) * 1985-10-23 1988-10-20 정갑주 열매유와 연소가열공기를 이용한 원적외선 건조장치
JPS63317071A (ja) * 1987-06-18 1988-12-26 Shiyouene Giken:Kk 遠赤外線を利用した真空乾燥機
KR970005010U (ko) * 1996-11-08 1997-02-19 조한풍 자동차의 앞, 뒤의자 사이에 설치하는 보조시트
JP2001095548A (ja) * 1999-09-30 2001-04-10 Susumu Kiyokawa 食品乾燥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639B1 (ko) * 2002-04-11 2004-05-10 대한원적외선산업주식회사 농산물의 가열 가공 장치
KR100503756B1 (ko) * 2002-06-03 2005-07-26 대한원적외선산업주식회사 농수산물의 복사 건조 장치
KR100761770B1 (ko) * 2004-11-03 2007-10-04 양인철 농수산물 건조방법과 건조장치
KR101335241B1 (ko) * 2011-11-15 2013-11-29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3099B1 (ko) 2004-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6968A (en) Combined microwave and thermal drying apparatus
KR101878643B1 (ko) 광열건조장치 및 광열건조장치를 이용한 건조방법
US3820525A (en) Radiation and convection heated oven
WO2007069873A1 (en) Sauna booth
CA2161382A1 (en) System for Drying Objects to be Dried
KR20120057270A (ko) 엘이디를 이용한 건조기
KR20110023450A (ko) 농산물 건조장치
KR100423099B1 (ko) 원적외선건조기
JP2900305B2 (ja) 食品の乾燥方法とその装置
WO2019216601A1 (ko) 구들식 건조장치
KR101459827B1 (ko) 농수산물 건조기
JPS63301780A (ja) 遠赤外線を利用した真空乾燥機
JP3070001B2 (ja) 被乾燥体の乾燥装置
KR200369318Y1 (ko) 전기히터를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기
KR20160079244A (ko) 제습식 적외선 건조장치
KR102244360B1 (ko) 감염병 예방 기능을 가진 수납장
KR200167827Y1 (ko) 원적외선 방출 전기 온풍기
KR101197224B1 (ko) 원적외선 및 열풍을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기
KR20180134712A (ko) 근적외선 건조기
KR970005010Y1 (ko) 원적외선 복사열 건조기
KR20030013876A (ko) 원적외선 건조기
KR200335678Y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장치
KR200240692Y1 (ko) 곡물건조장치
JPS63317071A (ja) 遠赤外線を利用した真空乾燥機
JP2002147957A (ja) 穀粒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