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5241B1 - 건조기 - Google Patents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5241B1
KR101335241B1 KR1020110118808A KR20110118808A KR101335241B1 KR 101335241 B1 KR101335241 B1 KR 101335241B1 KR 1020110118808 A KR1020110118808 A KR 1020110118808A KR 20110118808 A KR20110118808 A KR 20110118808A KR 101335241 B1 KR101335241 B1 KR 101335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drying
dry
front door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3189A (ko
Inventor
엄용균
Original Assignee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18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241B1/ko
Publication of KR20130053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5Preserving by heating
    • A23B7/01Preserving by heating by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건조기는 피건조물이 놓여지는 복수의 건조실과; 상기 복수의 건조실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건조실로 건조 열풍을 공급하는 건조 열풍 공급부와; 상기 복수의 건조실 전면과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건조실의 열풍이 배기되는 입구들, 상기 입구들로 배기된 열풍이 유통되는 통로덕트 및 상기 통로덕트의 유동된 열풍이 배출되는 출구가 구비된 뒷벽 및 앞문와; 상기 건조실의 상부에 있으며, 상기 뒷벽과 앞문의 출구에서 배출된 폐열풍 및 외부 건조흡입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제 1과 제 2 열교환기와, 상기 제 1과 제 2 열교환기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 1과 제 2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배기 폐열풍을 모으는 배기관으로 구성된 열교환부와; 상기 배기관에 모인 폐열풍을 온도와 습분량에 따라 일부 공기를 상기 건조 열풍 공급부로 공급하고, 나머지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는 폐열풍 송풍방향조절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건조기 { Drier }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피건조물을 건조실에 내장하고, 건조실에 건조 열풍을 인가하여 건조하는 장치이다.
건조 장치는 여러 산업에 적용되고 있으며, 각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생산 및 판매되고 있다.
예컨대, 농수산물 건조기는 수확된 각종의 농수산물을 보관하거나 건조시키기 위한 것으로, 배경기술 한국공개특허 2011-0070033에는 냉장고 겸용 농수산물 건조기가 개시되어 있다.
건조기는 대중적인 것으로 그 기능과 구성의 개선을 통한 건조제품의 품질 향상 및 건조 비용 절감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건조공간에 복수의 독립된 건조실을 구성하고 이 독립된 건조실에 공급되는 건조열풍과 건조 후 배기되는 열풍이 타 건조실의 피건조물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독립적으로 공급과 배기가 이루어지는 구조로 구성하고, 건조기 상단에 열교환기와 폐열풍 배기 송풍방향조절기를 구성함으로써 건조시간 단축과 건조기효율 향상 그리고 건조물 품질향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또한 건조기채반 바로 밑에 원적외선 발열체를 설치함으로써 건조물 품질향상과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피건조물이 놓여지는 독립된 복수의 건조실과;
상기 복수 건조실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 건조실로 건조 열풍을 공급하는 건조 열풍 공급부와;
상기 복수의 건조실 전면과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 건조실의 열풍이 배기되는 입구들, 상기 입구들로 배기된 열풍이 유통되는 통로덕트 및 상기 통로덕트의 통로로 유동된 열풍이 배출되는 출구가 구비된 뒷벽 및 앞문과;
상기 건조실의 상부에 있으며, 상기 뒷벽과 앞문의 출구에서 배출된 폐열풍 과 외부 건조흡입공기와 열교환시키는 제 1과 제 2 열교환기와 상기 제 1과 제 2 열교환기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 1과 제 2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배기 폐열풍을 모으는 배기관으로 구성된 열교환부와 :
상기 배기관에 모인 폐열풍을 온도와 습분량에 따라 일부 공기를 상기 건조 열풍 공급부로 공급하고, 나머지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는 폐열풍 송풍방향조절기 와;
상기 제 1과 제 2 열교환기에서 열을 흡수한 외부 건조공기가 배기폐열풍 방향조절기에 의해 열풍공급부로 공급되는 배기폐열풍과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항상 열풍공부로 공급될 수 있게 하는 안내관으로 구성된다.
또, 상기 복수의 건조실에 투입되는 건조채반 바로 밑에 설치되어 원적외선 효과를 바로 얻을 수 있도록 다공체로 된 원적적외선 발열체와 :
상기 복수의 건조실 하부에 설치되며 각 건조실에 독립적으로 건조열풍을 공급할 수 있게 하는 건조열풍 수평공급관과:
상기 수평공급관에 건조열풍을 좌측과 우측에서 공급하도록 하는 좌측 및 우측 수직열풍공급관이 설치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건조 열풍 공급부에서 좌ㆍ우 수직공급관에 건조열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건조열풍을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판이 상기 우측건조열풍 수직공급관 하단에 열풍공급부 바닥과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각 건조실 상부에는 건조 후 폐열풍이 윗 건조실로 흐르지 않고 뒷벽과 앞문(도어)에 구성된 폐열풍 입구들로 들어가도록 폐열풍이 모이는 모음공간이 상기 건조열풍 수평공급관 밑에 구성된다.
상기 모음공간의 앞문 쪽에는 가이드판을 구성하여, 폐열풍 배출공간을 확보하고 가이드판의 앞면과 상기 건조열풍 수평공급관의 앞면 그리고 수직열풍공급관의 앞면으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사각 패킹 자리를 구성하여 앞문에 설치된 패킹재료와 압착기능을 원활하게 하여 상기 복수 건조실들이 각자 독립 건조공간의 역할을 할 수 있게 함으로서 모든 건조물이 동시에 균일하게 건조되게 하고 건조효율을 높이게 한다.
즉, 상기 모음공간의 앞문 쪽에 가이드판이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 건조실들이 각자 독립 건조공간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앞문에 패킹재료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앞문의 패킹재료는, 상기 가이드판의 앞면, 상기 건조열풍 수평공급관의 앞면과 상기 수직열풍공급관의 앞면에 밀착된다.
또, 상기 건조열풍 수평공급관의 구조는 상부에는 건조 열풍이 통과될 수 있는 다공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평판구조로 단열재가 부착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뒷벽과 앞문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앞문 및 뒷벽과 각 건조실 사이에 존재하는 틈새로 폐열풍이 건조실이나 밖으로 유출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하고, 각 건조실의 '건조열풍' 과 '폐열풍"이 다른 건조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각 건조실이 독립 건조공간의 역할을 할 수 있게 하고, 각 건조실들에서 나온 폐열풍이 열교환기로 유입될 때 유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접촉평판에 고무패킹을 설치하였다.
또한 뒷벽과 앞문의 통로덕트 내부에는 상기 복수 건조실중 하층 건조실의 폐열풍이 입구로 유입되어 상승할 때 상층 건조실 입구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판을 설치하였고 앞문을 건조실과 압착시킬때 앞문이 덕트(통로실)의 접촉평판이 변형이 발생할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접촉평판 지지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건조실에는 피건조물을 올려놓는 채반을 지지하는 다수의 받침대가 설치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다수의 받침대에는 원적외선 발열 히터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원적외선 발열 히터는, 상호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원적외선 방사재료들과, 상기 복수의 원적외선 방사재료들의 사이에 채워지고 복수의 개구들을 구비한 절연체로 구성되는 구조와; 복수의 개구들을 갖는 그물망 형상의 원적외선 방사재료 패턴과, 상기 원적외선 방사재료 패턴의 복수의 개구들에 채워지고 복수의 개구들을 구비한 절연체로 구성되는 구조와; 복수의 개구들을 갖는 그물망 형상의 원적외선 방사재료 구조 중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건조공간에 복수의 독립된 건조실을 구성하고 이 독립된 건조실에 수평공급관에 의하여 건조열풍이 독립적으로 공급되게 하고 건조기 앞문과 뒷벽에 배기 입구, 통로 및 출구로 구비되는 폐열풍 통로덕트를 구성하여 독립된 건조실의 배기 폐열풍이 타 건조실의 피건조물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배기되도록 함으로서 건조시간 단축과 모든 피건조물을 동시에 균일건조 할 수 있게 하여 건조물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건조시간 단축과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건조 열풍의 이동 경로에 원적외선 발열 히터를 존재하고, 피건조물이 올려져 있는 채반 하부에 열풍이 통과할 수 있는 다공체 구조로 된 원적외선 발열 히터를 설치하여, 열풍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면서 원적외선이 채반의 피건조물에 직접 방사할 수 있어 피건조물의 품질향상과 건조 효율을 배가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건조실 상부에 열교환부와 배기폐열풍 방향조절기를 구성함으로서 에너지절약과 건조시간 단축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a 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 앞문과 뒤 벽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다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열교환부 그리고 배기송풍기 및 송풍 방향 조절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배기 송풍 조절기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도 6a는 도 1의 A-B 단면도 이고, 도 6b는 도 1의 C-D 단면도
도 7은 수평열공관의 개략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건조열풍 이동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건조열풍 이동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적용된 원적외선 발열 히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은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a 는 앞문 쪽, 도 2b는 뒷벽체 쪽의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건조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건조실(100)을 중심으로 전면에는 앞문(100), 후면에는 뒤 벽체(500)가 있고, 우측에는 열풍공급부(200)와 열풍공급부 외부에는 제어기(250)가 있고, 상부에는 제1, 제2 열교환기(410,430)와 배기관(420)으로 구성된 열고환부(400)와 우측에는 폐열풍배기량을 조절하는 배기량조절기(422)가 위치된다.
도 2a 와 도2b 는 본 발명의 상세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피건조물이 놓여지는 복수 건조실(151,152,153)과;
상기 복수 건조실(151,152,153)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 건조실(151,152,153)에 열풍을 상향으로 공급하는 복수 건조열풍 수평공급관(101,102,103)과; 상기 건조열풍 수평공급관(101,102,103)의 좌측과 우측에서 복수의 수평공급관(101,102,103)에 건조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좌수직공습관(90) 및 우수직공급관(80)과:
상기 우수직공급관(80)에 건조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제1 열풍유입판(161), 좌수직공급관(90)에 건조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밑바닥 수평열공급관(91)과 제3 열풍유입판(163) 그리고 상기 최하단 수평열공급관(101)에 건조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제2 열풍유입판(162) 과 :
상기 열풍유입판(161,162,163)과 건조용 열풍을 공급하고 열풍을 유동시키기기 위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전열히터(220)와 가열공기를 건조실까지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기(210)로 구성된 열풍공급부(200)와 ;
상기 복수의 각 건조실 상부와 수평공급관 밑에는 건조 후 폐열풍이 위층 건조실로 흐르지 않고 뒷벽체와 앞문에 구성된 폐열풍 입구들로 들어가도록 폐열풍이 모이는 모음공간(113,114,115) 과;
상기 모음공간(113,114,115)의 앞문(300) 쪽에는 가이드판(110,111,112)을 구성하여, 폐열풍 배출공간을 확보하고 채반에 피건조물의 과대적재로 인한 상기 모음공간의 잠식을 막고, 상기 가이드판(110,111,112)의 앞면과 상기 건조열풍 수평공급관(101,102,103)의 앞면 그리고 수직열풍공급관(90,80)의 앞면으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사각 패킹 자리를 구성하여 앞문(300)에 설치된 패킹재료(320)와 압착기능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한다.
또, 상기 복수의 건조실(151,152,153)에 투입되는 건조채반(10)을 받치는 복수의 받침대들(123)과; 상기 받침대들(123)과 수평으로 설치되어, 채반의 피건조물의 건조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적외선을 바로 조사 할 수 있게 하고 건조열풍의 유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다공체로 된 원적적외선 발열체(60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복수 건조실(151,152,153)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 건조실(151,152,153)의 모음공간(113,114)에 모인 폐열풍이 유입되는 입구들(311,312), 상기 입구들(311,312)로 유입된 열풍이 유통되는 통로와 통로로 유동된 열풍이 상기 열교환기(410)로 배출되는 출구(313)로 구성된 열풍 통로덕트(310)와 앞문과 건조실 사이를 패킹할 수 있는 패킹구조(320)가 구비된 앞문(300)과;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건조실(151,152,153)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 건조실(151,152,153)의 모음공간(113,114)에 모인 폐열풍이 유입되는 입구들(511,512), 상기 입구들(511,512)로 유입된 폐열풍이 유통되는 통로와 통로로 유동된 열풍이 상기 열교환기(430)로 배출되는 출구(513)로 구성된 열풍 통로덕트(510) 그리고 뒷벽체와 건조실을 패킹할 수 있는 패킹구조(520)가 구비된 뒷벽체(50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복수의 건조영역(151,152,153) 중 최상 건조실(153)의 모음공간(115)에 모인 폐열풍은 앞문과 뒷벽체를 통과하지 않고 바로 상단에서 열교환기(410,430)입구로 바로 배기 되도록 상단출구(314,514)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실의 상부에 있으며, 상기 뒷벽체(500) 및 앞문(300)의 출구(313, 513) 배출된 폐열풍과 외부 건조흡입공기와 열교환을 시키는 제 1과 제 2 열교환기(410,430)의 입구와 상기 제 1과 제 2 열교환기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 1과 제 2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배기 폐열풍을 모으는 배기관(420)으로 구성된 열교환부(400)와 ;
상기 배기관(420)에 모인 폐열풍을 온도와 습분량에 따라 일부 공기를 배출송풍기(421)로 상기 건조 열풍 공급부로 공급하고, 나머지 공기는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배출 폐열풍 방향조절기(422)와;
상기 제 1과 제 2 열교환기에서 열을 흡수한 외부 건조공기가 배출폐열풍 방향조절기에 의해 열풍공급부로 공급되는 배출폐열풍과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항상 열풍공부로 공급될 수 있게 하는 안내관(411,412)으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상기 건조 열풍 공급부(200)에서 전열히터(220)에 의해 가열된 건조열풍을 상기 건조열풍 안내판에 의해 좌ㆍ우 열풍수직공급관(90,80)공급되고 공급된 열풍은 상승하면서 열풍 수평공급관(115,114,113)에 공급되고, 수평공관으로 상기 복수 건조실(151,152,153)에 각 각 공급한 열풍과 상기 복수 건조실내 복수의 받침대에 설치된 원적외선 발열체(600)에서 발열된 열기와 함께 상기 복수 건조실(151,152,153)에 놓여진 피건조물은 건조된다. 이때 본 발명의 건조기는 원적외선 발열체(600)의 원적외선열은 피건조물의 하부와 상부에서 바로 조사되는 구조임으로 피건조물의 건조품질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피건조물의 요구 건조열량에 따라 원적외선 단독으로 건조를 하거나 혹은 전열기 열풍과 혼합하여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조기는 기존의 건조기의 건조실 구조와 다르게 복수의 건조실로 구성하고 각 건조실마다 독립적으로 열풍수평공급관(101,102,103)에서 공급되는 습기가 포함되지 않은 신선한 열풍과 원적외선열를 공급 받게 구성하고, 각 건조실에서 건조된 폐열풍을 윗 건조실로 통과하는 구조가 아닌 앞문과 뒷벽체를 통하여 나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독립된 공간의 피건조물에 대한 동시 균일 건조가 가능하여 건조시간 단축과 일반 건조기에서 발생하는 피건조물의 불균일 건조로 건조과정 중간에 채반의 자리를 바꾸어야 하는 노동력 투입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다.
상기에 기술된 앞문과 뒷벽체에 설치된 패킹구조(320,520)의 팩킹 기능은 상기 기술된 복수 건조실의 독립 건조공간으로서의 기능을 확실하게 보장하는 구조로 앞문(300) 및 뒷벽체(520)와 각 건조실(151,152,153)사이에 존재하는 틈새로 인하여 폐열풍이 앞문(300) 및 뒷벽체(520)의 덕트통로 들어가지 않고 건조실이나 밖으로 유출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하고, 각 건조실의 '건조열풍' 과 '폐열풍'이 다른 건조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각 건조실이 독립 건조공간의 역할을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기 상부에 열교관부(400)를 설치함으로써 복수의 건조실에서 피건조물을 건조시킨'폐열풍'이 앞문과 뒷벽체의 입구로 유입되고, 앞문과 뒷벽체의 덕트통로를 지나 출구로 배기되어 열교환부로 유입되게 구성함으로써, 건조를 위한 저온의 외부흡입공기를'폐열풍'과의 열교환에 의해 가열하여 건조 열풍 공급부에 공급함으로 건조비용 절감과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이때 열교환부에 설치된 배출송풍기(421)는 폐열풍이 앞문 및 뒷벽체 그리고 열교관기를 통과할 때 유동저항이 생기므로 폐열풍 배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되었으며, 배기송풍방향조절기(422)는 건조과정에서 폐열풍의 습분의 정도에 따라 전량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일부를 다시 열공급부(200)로 보내어 재순환하게 하는 기능을 구성함으로서 건조비용 절감이 배가 되도록 하였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 앞문 및 뒷벽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a는 앞문 폐열풍 덕트통로(310) 구조이고, 도 3b는 뒷벽체의 폐열풍 덕트통로(510) 구조이다,
앞문과 뒷벽체의 폐열풍 덕트통로는 도 3a와 도 3b와 같이 패킹구조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조로 외관은 폐열풍이 유입되는 입구들(311,312 및 511, 512)과 폐열풍이 흐르는 통로덕트와 유동된 폐열풍이 상기 열교관기(410,430)로 배출되는 출구들(313,513)이 구성되며 앞문의 건조실 접촉평판(314)에는 패킹구조(320)가 설치되며 뒷벽체의 건조실 접촉평판(514)의 패킹자리(540)는 건조실의 패킹자리와 접착재로 고정되고, 도 3c는 내부구조이고 도 3d는 도 3a의 E-F단면도로 덕트통로(301)에는 하층의 폐열풍이 상승하는 동안 위층의 건조실로 폐열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폐열풍 역류방지판(350,550)을 설치하고, 건조실접촉평판(314,514)의 패킹구조(320)가 상기의 건조실의 패킹자리와 압착하는 과정에서 건조실접촉평판(314,514)의 변형이 발생함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접촉평판지지대(370, 570)을 설치하였다. 또 앞문과 뒤벽체의 덮개판(330,530)과 외각틀(350.550)은 단열재로 구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열교환부 및 배기 송풍 방향 조절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배기 송풍 조절기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조기는 상기 열교환부(400)는 앞문(300)과 뒤벽체(500)의 출구(313,513)에서 배출된 폐열풍(450,451)과 건조용 외부흡입공기(440)가 서로 교차하면서 열교환이 되도록 하는 제 1과 제 2 열교환기(410,430)가 설치되며, 상기 제 1과 제 2 열교환기(410,430)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 1과 제 2 열교환기(410,430)에서 열교환된 폐열풍(452)을 모아서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관(420)과 열교환으로 가열된 건조용 외부흡입공기(441,442)가 상기 열풍공급부(200)에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안내관 (411,41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기관(420)에는 배기송풍기(412)를 설치하여 건조 폐열풍이 앞문 덕트통로(301) 및 뒷벽체 덕트통로(501)를 통과하여 제1 , 제2 열교환기를 통과할 때 유동저항이 많이 발생하므로 원활한 폐열풍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배기송풍기(412) 전면에 설치되며 에서 배기송풍기(412) 나오는 폐열풍을 습분의 정도에 따라 전량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일부를 다시 열공급부(200)로 보내어 재순환하게 함으로써 건조비용을 절감하는 기능을 할 수 있는 배기 송풍방향조절기(422)가 구성 된다.
즉,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기 송풍방향조절기(422)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건조과정 초기에는 배기 폐열풍에 습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폐열풍 전량을 외부로 방출하여야 함으로 도 5a와 같이 상기 송풍방향조절기 하부에 있는 건조 열풍공급부(200) 쪽에는 배기 폐열풍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외부 쪽으로 전량 완전 배기하도록 송풍방량조절 레버(423)을 조작하여 송풍방향조절기(422)가 조절되고, 도 5b와 같이, 폐열품의 습분의 정도에 따라 송풍방량조절 레버(423)를 소정의 각도로 조정하여 송풍방향조절기(422)를 조절하여, 배기열풍의 일부는 외부로 배출하고 일부는 상기 건조 열풍공급부(200)로 유입되어 재순환하게 한다. 또한, 건조과정 중 폐열풍에 습분이 적은 후반 건조구간은 도 5c 와 같이 배기 송풍방향조절기(422)는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 폐열풍을 차단하고, 열교환된 공기 전부를 건조 열풍공급부(200)로 공급하여 완전 재순환이 되도록 하여 건조비용을 절감하게 한다.
도 6a는 도 1의 A-B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1의 C-D 단면도이다.
도 6a는 상부에 열교환기가 있는 단면구조이고 6b는 상부에 배기관(420)이 있는 단면구조이다. 따라서 도 6a와 도 6b는 상부를 제외한 모든 구조는 동일하다. 제시된 도면과 같이 건조 열풍 공급부(200)는 일정공간에 송풍기(210)와 전열히터(220)로 구성되며 송풍기에 의해 흡인된 공기를 전열히터로 가열하여 건조용 열풍을 복수의 건조실들(151, 152, 153)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송풍기(210)로 유입되는 건조용 공기는 두 종류의 공기가 합쳐져서 전열히터(220)로 공급되게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도 6a와 같이 건조기 밖에서 유입되는 건조용 공기를 열교환기(410, 430)에 의해 폐열풍의 열을 흡수하여 가열된 공기이고, 다른 하나는 도 6b 같이 건조실에서 상기 앞문과 뒷벽 덕트통로(310, 510)를 통하여 나온 건조된 폐열풍(배기열풍)이 열교환기(410)를 통과하여 배기관(420)에 모이도록 배출송풍기(421)를 구성하고 폐열풍을 온도와 습분량에 따라 배기송풍조절기(422)에 의하여 일부 혹은 전부를 송풍기(210)로 보내는 공기이다.
상기 열공급부에 모인 공기는 전열히터(220)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된 건조열풍이 송풍기(210)에 의하여 복수의 건조실들(151, 152, 153)로 공급되기 위해서는 복수의 건조실들(151, 152, 153)의 좌,우측에 열풍수직공급관(90,80)을 구성하여 건조열풍이 열풍 안내판(161, 162)를 통하여 좌우측에 열풍수직공급관(90,80)에 공급되게 하고 이 공급된 건조열풍은 상승하면서 좌,우측에서 상기 열풍 수평공급관들(101,102,103)에게 공급되고, 수평열공급관에 공급된 열풍은 상향 채반 쪽으로 분출되어 각 건조실에 공급되게 된다. 한편 안내판 "163'는 최하층 수평열공급관(104)에 건조열풍을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하였다. 또한 복수의 건조실들(151, 152, 153) 공간에 설치되는 건조채반 바로 밑에는 상기 원적외선 발열체(600)가 설치되어 채반에 담겨있는 피건조물을 상부와 하부에서 원적외선열을 조사하게 함으로써 피건조물의 살균과 피건조물 내부와 외부를 동시 건조하는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원적외선이 직접 조사함으로 건조효율을 증가 시킬 수 있다.
도 7은 상기 열풍 수평공급관(101,102,103) 구조의 사시도이다. 열풍 수평공급관은 사각덕트 모양이며 채반의 피건조물에 열풍을 균일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위판은 다공판(71)으로 구성하고 아래 판(73)은 아래 건조실의 폐열풍이 위 건조실을 통과하지 않게 닫힌 평판으로 구성하고 상기 아래판(73) 하부 바깥면에는 반사단열재(74)로 구성하였다. 상기 반사단열재(74)은 건조열풍이 통기관(72)을 통과할 때 수평공급관(101,102,103) 하부, 즉 아래판(73), 밑에는 폐열풍 모인공간이 구성됨으로 차거운 폐열풍이 통기관(72)안의 건조열풍에 영향을 미치지 못 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도 8a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건조열풍 이동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폐열풍 이동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a에서 화살표는 건조열풍의 이동방향을 표시한다. 도 8a와 같이 열곱부로 공급되는 열교환기에 의해 예열된 외부공기와 일부 폐열풍공기가 송풍기(210)에 의해 전열히터(220)에 가열되고 가열된 공기는 안내판들(161,162,163)에 의해 열풍 좌.우 수직공급관들(90,80)에 공급되고, 좌,우 수직공급관들(90,80)에 의해 건조열풍이 수평공급들((101,102,103)에게 좌측과 우측에서 공급되며, 수평공급들(101,102,103)의 건조열풍은 좌.우로 이동하면서 상향으로 채반의 피건조물을 통과하면서 건조를 하게 된다. 피건조물을 통과하면서 습분을 흡수한 건조열풍은 폐열풍이 되어 폐열풍 모음공간들(113,114,115)에 모이게 된다.
이때, 채반을 올려놓은 상기 받침대(123)에 설치된 상기 원적외선 발열 히터들(600)은 채반 상ㆍ하 사이에 설치됨으로 건조열풍과 함께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또한 건조열풍이 채반들에 담겨있는 피건조물을 통과할 수 있게 원적외선 발열체 구조도 열풍이 통과 할 수 있도록 다공체이거나 복수 개의 통로 구성되어 있다.
도 8b 는 본 발명 건조기의 폐열풍 이동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화살표 방향은 폐열풍의 이동방향을 나타낸다.
상기 기술에서 폐열풍은 폐열풍 모음공간들(113,114,115)에 모인 상태에서 앞문(300)과 뒷벽체(500)에 구성된 폐열풍 입구들(311,312 및 511, 512)로 유입되고, 유입된 폐열풍은 덕터통로(310)를 통하여 상승하여 폐열풍 출구(313,513)를 통하여 제 1, 제2 열교환기(410,430)로 배출된다. 이때 최상층의 모음공간(115)의 폐열풍은 앞문과 뒷벽체로 유입하지 않고 상단공간(314,514)을 통하여 바로 제 1, 제2 열교환기(410,430)로 유입된다. 또한 하층(311,511)에서 나온 폐열풍이 상승할 때 상층의 건조실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역류방지판(360, 560)을 설치하여 이러한 역류현상를 방지한다. 그리고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폐열풍은 외부에서 들어오는 건조공기를 열교환에 의해 예열하고 배기관(420)에 모이게 된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적용된 원적외선 발열 히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적용된 원적외선 발열 히터는 먼저, 도 9a와 같이, 상호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원적외선발열재료들(615a,615b,615c)과; 상기 복수의 원적외선발열재료들(615a,615b,615c)의 사이에 채워지고, 복수의 개구들(611)을 구비한 절연체(610)로 구성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도 9b와 같이, 복수의 개구들을 갖는 그물망 형상의 원적외선발열재료 패턴(620)과; 상기 흑연 패턴(620)의 복수의 개구들에 채워지고, 복수의 개구들(611)을 구비한 절연체(610)로 구성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9c와 같이, 복수의 개구들(651)을 갖는 그물망 형상의 원적외선발열재료 구조(650)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도 9a의 복수의 원적외선발열재료들(615a,615b,615c), 도 9b의 흑연 패턴(62)과 흑연봉 구조물(650)의 양단에는 전극들(710,720)이 연결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피건조물이 놓여지는 복수의 건조실과;
    상기 복수의 건조실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건조실로 건조 열풍을 공급하는 건조 열풍 공급부와;
    상기 복수의 건조실 전면과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건조실의 열풍이 배기되는 입구들, 상기 입구들로 배기된 열풍이 유통되는 통로덕트 및 상기 통로덕트의 유동된 열풍이 배출되는 출구가 구비된 뒷벽 및 앞문과;
    상기 건조실의 상부에 있으며, 상기 뒷벽과 앞문의 출구에서 배출된 폐열풍 및 외부 건조흡입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제 1과 제 2 열교환기와, 상기 제 1과 제 2 열교환기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 1과 제 2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배기 폐열풍을 모으는 배기관으로 구성된 열교환부와;
    상기 배기관에 모인 폐열풍을 온도와 습분량에 따라 일부 공기를 상기 건조 열풍 공급부로 공급하고, 나머지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는 폐열풍 송풍방향조절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과 제 2 열교환기에서 열을 흡수한 외부 건조공기가 배기폐열풍 방향조절기에 의해 열풍공급부로 공급되는 배기폐열풍과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열풍공부로 공급될 수 있게 하는 안내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건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건조실에 투입되는 건조채반 밑에 설치되어 원적외선 효과를 바로 얻을 수 있도록 다공체로 된 원적적외선 발열체와 :
    상기 복수의 건조실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건조실 각각에 독립적으로 건조열풍을 공급할 수 있게 하는 건조열풍 수평공급관과:
    상기 수평공급관에 건조열풍을 좌측과 우측에서 공급하도록 하는 좌측 및 우측 수직열풍공급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건조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건조 열풍 공급부에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열풍공급관에 건조열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건조열풍을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판이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열풍공급관 하단에 열풍공급부 바닥과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건조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각 건조실 상부에는 건조 후 폐열풍이 윗 건조실로 흐르지 않고 뒷벽과 앞문에 구성된 폐열풍 입구들로 들어가도록 폐열풍이 모이는 모음공간이 상기 건조열풍 수평공급관 밑에 마련된 건조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모음공간의 앞문 쪽에 가이드판이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 건조실들이 각자 독립 건조공간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앞문에 패킹재료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앞문의 패킹재료는,
    상기 가이드판의 앞면, 상기 건조열풍 수평공급관의 앞면과 상기 수직열풍공급관의 앞면에 밀착되는 건조기.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건조 열풍 공급관의 상부에는 건조 열풍이 통과될 수 있는 다공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건조 열풍 공급관의 하부에는 평판구조의 단열재가 부착되어 있는 건조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앞문 및 뒷벽과 각 건조실 사이에 존재하는 틈새로 폐열풍이 건조실이나 밖으로 유출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상기 앞문 및 뒷벽에는 상기 각 건조실들에서 나온 폐열풍이 열교환기로 유입될 때 외부로 유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무패킹을 설치되어 있는 건조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뒷벽과 앞문의 통로덕트 내부에는 상기 복수 건조실중 하층 건조실의 폐열풍이 입구로 유입되어 상승할 때 상층 건조실 입구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판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앞문을 건조실과 압착시킬 때, 상기 앞문이 덕트의 접촉평판이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접촉평판 지지대가 설치되어 있는 건조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건조실 각각에는 피건조물을 올려놓는 채반을 지지하는 복수의 받침대가 설치되어 있는 건조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받침대에 원적외선 발열 히터가 설치되어 있는 건조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발열 히터는,
    상호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원적외선 방사재료들과, 상기 복수의 원적외선 방사재료들의 사이에 채워지고 복수의 개구들을 구비한 절연체로 구성되는 구조와; 복수의 개구들을 갖는 그물망 형상의 원적외선 방사재료 패턴과, 상기 원적외선 방사재료 패턴의 복수의 개구들에 채워지고 복수의 개구들을 구비한 절연체로 구성되는 구조와; 복수의 개구들을 갖는 그물망 형상의 원적외선 방사재료 구조 중 하나를 포함하는 건조기.






KR1020110118808A 2011-11-15 2011-11-15 건조기 KR101335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808A KR101335241B1 (ko) 2011-11-15 2011-11-15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808A KR101335241B1 (ko) 2011-11-15 2011-11-15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189A KR20130053189A (ko) 2013-05-23
KR101335241B1 true KR101335241B1 (ko) 2013-11-29

Family

ID=48662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808A KR101335241B1 (ko) 2011-11-15 2011-11-15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52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598B1 (ko) 2022-12-13 2024-04-12 홍승환 농수산물 건조용 건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2695B1 (ko) 1997-08-16 1999-12-01 황석현 농수산물용 다단식 밑바람열풍순환 건조장치
KR200270255Y1 (ko) 2002-01-03 2002-03-29 신군식 농산물 건조장치
KR20030006164A (ko) * 2001-07-11 2003-01-23 강원도 원적외선건조기
KR100574832B1 (ko) 2006-03-16 2006-04-27 (주)우성전자테크 원적외선 방사기능을 갖는 열풍식 농작물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2695B1 (ko) 1997-08-16 1999-12-01 황석현 농수산물용 다단식 밑바람열풍순환 건조장치
KR20030006164A (ko) * 2001-07-11 2003-01-23 강원도 원적외선건조기
KR200270255Y1 (ko) 2002-01-03 2002-03-29 신군식 농산물 건조장치
KR100574832B1 (ko) 2006-03-16 2006-04-27 (주)우성전자테크 원적외선 방사기능을 갖는 열풍식 농작물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189A (ko) 201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4823B1 (ko) 폐열회수와 신선외기유입형 멀티존 온도균일제어타입 농산물 건조장치
CN210773296U (zh) 一种双层网带式烘干装置
KR101335241B1 (ko) 건조기
KR101823598B1 (ko) 용량 가변형 열회수 건조기
KR20110019252A (ko) 농수산물 건조장치
KR200471445Y1 (ko) 농산물 건조기
KR101792736B1 (ko) 건조 장치
CN204909294U (zh) 利用风机热能的吸尘器和具有熨烫功能的吸尘器
JP2009287831A (ja) 排風循環型穀粒乾燥機
KR100669529B1 (ko) 담요 건조장치
CN216716825U (zh) 烘干设备
KR101297908B1 (ko) 농축산물 건조기
CN201917190U (zh) 烘箱的热风循环系统
KR20200040159A (ko) 농축산물 건조기용 습기제거장치
WO2001000013A1 (en) Animal housing
CN211041718U (zh) 一种纺织烘箱
KR102022456B1 (ko) 풍향제어를 통한 열풍의 순환과 역순환이 이루어지는 농수산물건조장치
CN208720659U (zh) 一种热风循环干燥机
CN102003870A (zh) 排热回收式干燥装置
KR100636892B1 (ko) 건조기
KR101464158B1 (ko) 농수산물 건조장치
CN110017681A (zh) 带式烘干机
CN218681114U (zh) 宠物烘干箱
CN213778397U (zh) 一种排湿烤房
CN208720739U (zh) 多层均热带式干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