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0159A - 농축산물 건조기용 습기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농축산물 건조기용 습기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0159A
KR20200040159A KR1020180120493A KR20180120493A KR20200040159A KR 20200040159 A KR20200040159 A KR 20200040159A KR 1020180120493 A KR1020180120493 A KR 1020180120493A KR 20180120493 A KR20180120493 A KR 20180120493A KR 20200040159 A KR20200040159 A KR 20200040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late
cooling
outlet
agricul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성
Original Assignee
박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성 filed Critical 박준성
Priority to KR1020180120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0159A/ko
Publication of KR20200040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1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 내부로 최초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무한 순환시키도록 하면서 건조기 내부에서 농축산물이 건조되면서 발생되는 습기만을 제거토록 함으로써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하면서도 건조효율을 극대화하도록 함과 아울러 건조기 내부에서 건조되는 농축산물의 냄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농축산물 건조기용 습기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직사각형 박스 형태로 본체(80)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개폐문(81)이 설치되며, 내부 상부측에는 송풍모터(82) 및 송풍팬(83)이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83) 하부의 건조실(85) 내부에는 다단으로 건조용 채반(86)을 안치할 수 있도록 다단으로 안치턱(87)이 형성되며, 상기 송풍팬(83)의 양측에 구비된 히터(91)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건조실(85) 내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내부벽면(92)에는 다수의 가열공기 공급공(93)이 형성되며, 상기 건조실(85) 내부의 채반(86)을 경유한 공기가 이동되도록 건조실(85)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흡입구(10); 상기 흡입구(10)를 통해 이동되는 공기가 상승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전환 이동되도록 연통 형성되는 배출구(15); 상기 배출구(15)의 배출측 단부에서부터 연장 구비되어 송풍팬(83)의 일측부에까지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공기이동관(17); 상기 배출구(15)의 진입부측에 이격 구비되며, 수직하게 하향 연장형성되어, 상기 흡입구(10)로부터 배출구(15) 측으로 이동되는 공기가 접촉되면서 결로수(2)가 발생되어 결착되게 하는 냉각판(20); 상기 냉각판(20)의 하부 외측면에 밀착 구비되어 냉각판(20)을 냉각시키는 냉각부재(30); 상기 냉각판(20)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냉각판(20)에 결착된 결로수(2)가 본체(8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결로수배출관(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하여, 상기 본체(80) 내부에서 송풍모터(82), 송풍팬(83), 히터(91)에 의해 달궈진 가열공기가 흡입구(10) 및 배출구(15)를 경유하면서 냉각판(20)에 의해 결로수(2)가 발생되게 하여 이동중인 가열공기에 내포된 습기를 제거토록 하고, 습기가 제거된 공기만 배출구(15)를 통해 송풍팬(83)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건조기 내부로 최초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무한 순환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물 건조기용 습기제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농축산물 건조기용 습기제거장치{Moisture removal apparatus for dryer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
본 발명은 농축산물 건조기용 습기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기 내부로 최초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무한 순환시키도록 하면서 건조기 내부에서 농축산물이 건조되면서 발생되는 습기만을 제거토록 함으로써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하면서도 건조효율을 극대화하도록 함과 아울러 건조기 내부에서 건조되는 농축산물의 냄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농축산물 건조기용 습기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농산물 및 축산물 등은 수확 후 장기보관을 위해 농축산물에 포함된 수분 함량을 최소화시켜 변질 또는 부패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러한 농축산물 내부의 수분 함량을 줄이기 위해 건조를 행하는바, 건조방식은 크게 자연 건조식과 인공 건조식이 있으며, 전자의 경우 햇볕이나 통풍이 잘되는 공간에 농축산물을 넓게 펼치거나 줄과 같은데 걸어서 햇볕과 통풍되는 공기에 의하여 자연 건조되고, 후자의 경우 한정된 공간인 건조실에 농축산물을 펼쳐 놓거나 농축산물이 담긴 채단을 층층이 쌓아 올린 뒤 버너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고, 가열된 공기가 송풍팬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건조실로 송풍 및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인위적으로 건조되게 된다.
상기 버너를 이용한 건조기는 공기를 가열하는데 소요되는 에너지원인 기름이나 가스 구입에 따른 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효율이 낮아지고, 이러한 원인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근래에 전기 히터를 이용한 건조기가 제안되고 있다.
전기 히터를 이용한 건조기는 건조실이 구비된 건조기 몸체의 전면에 도어가 결합되어지고, 건조실의 상부에 송풍팬이 설치되며, 송풍팬의 토출측에 전기 히터가 고정되고, 전기 히터가 고정된 하측인 건조기 몸체의 내부에 토출공이 형성된 열풍공급덕트가 구비되어 열풍공급덕트의 내측으로 제공되는 건조 공간으로 전기히터에 의하여 가열된 열풍이 공급되어 피 건조물이 건조될 수 있도록 하고, 피 건조물을 건조시킨 폐열풍은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전기 히터를 이용한 건조기는 히터에 의하여 가열된 가열공기가 송풍팬에서 토출된 공기에 의하여 열풍공급덕트 및 건조실을 경유하여 외부로 직접 배출되어짐으로써, 피 건조물을 건조시키는데 소요되는 공기가 계속적으로 가열되어짐에 따라 전기 에너지의 사용량이 증가하여 운전비용이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송풍팬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가 계속적으로 가열 및 순환되는 과정에서 히터에 의하여 가열되어도 그 온도가 낮아짐으로써, 건조효율이 낮아지고, 이로인해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등록특허 제10-0663842호에는 열풍건조기를 구성하는 본체 상단부에는 내부 건조실로 직결되며, 본체 바깥쪽으로 연계된 흡기관 및 배기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 외측에는 상기 건조실 내에 마련된 센서에 의해 상기 배기수단 및 가열수단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구비된 열풍건조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등록특허 제10-0975021호에는 열풍건조기에 있어서, 송풍팬의 회전에 따른 흡입력과 토출력에 의하여 외기가 공기유입 조절구를 통해 수직유입덕트와 수평유입덕트를 경유한 후 히터에 의하여 가열되어지고, 가열된 열풍이 건조기 내부로 공급 및 배출되어지는 과정에서 히터와 공기유입 조절구가 동시에 작동되어지도록 함으로써, 건조실 내의 온도가 신속하게 올라가도록 하여 피 건조물이 신속하게 건조되도록 하고, 양질의 건조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 및 전기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는 열풍건조기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들 모두 송풍팬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효율적으로 건조실 내부로 송풍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함께 건조실 내부에 가온 된 공기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원활하게 혼합 및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1297908호를 통해 송풍팬 가동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 및 건조실 내부에서 순환되는 가온 된 공기를 더욱 원활하게 혼합함과 동시에 송풍 효율을 극대화시켜 건조시간 단축 및 효율적인 건조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며, 에너지 절감에도 일조할 수 있도록 한 농축산물 건조기를 제시한 바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1297908호의 기술에서 더 나아가, 건조기 내부로 최초 유입된 공기에서 습기만을 제거하면서 무한 순환시키도록 함으로써 최소의 소비전력으로 건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농축산물 건조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등록특허 제10-0663842호 등록특허 제10-0975021호 등록특허 제10-1297908호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일소하기 위하여 건조기 내부로 최초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무한 순환시키도록 하면서 건조기 내부에서 농축산물이 건조되면서 발생되는 습기만을 제거토록 함으로써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하면서도 건조효율을 극대화하도록 함과 아울러 건조기 내부에서 건조되는 농축산물의 냄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농축산물 건조기용 습기제거장치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은 직사각형 박스 형태로 본체(80)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개폐문(81)이 설치되며, 내부 상부측에는 송풍모터(82) 및 송풍팬(83)이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83) 하부의 건조실(85) 내부에는 다단으로 건조용 채반(86)을 안치할 수 있도록 다단으로 안치턱(87)이 형성되며, 상기 송풍팬(83)의 양측에 구비된 히터(91)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건조실(85) 내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내부벽면(92)에는 다수의 가열공기 공급공(93)이 형성되며, 상기 건조실(85) 내부의 채반(86)을 경유한 공기가 이동되도록 건조실(85)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흡입구(10); 상기 흡입구(10)를 통해 이동되는 공기가 상승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전환 이동되도록 연통 형성되는 배출구(15); 상기 배출구(15)의 배출측 단부에서부터 연장 구비되어 송풍팬(83)의 일측부에까지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공기이동관(17); 상기 배출구(15)의 진입부측에 이격 구비되며, 수직하게 하향 연장형성되어, 상기 흡입구(10)로부터 배출구(15) 측으로 이동되는 공기가 접촉되면서 결로수(2)가 발생되어 결착되게 하는 냉각판(20); 상기 냉각판(20)의 하부 외측면에 밀착 구비되어 냉각판(20)을 냉각시키는 냉각부재(30); 상기 냉각판(20)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냉각판(20)에 결착된 결로수(2)가 본체(8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결로수배출관(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하여, 상기 본체(80) 내부에서 송풍모터(82), 송풍팬(83), 히터(91)에 의해 달궈진 가열공기가 흡입구(10) 및 배출구(15)를 경유하면서 냉각판(20)에 의해 결로수(2)가 발생되게 하여 이동중인 가열공기에 내포된 습기를 제거토록 하고, 습기가 제거된 공기만 배출구(15)를 통해 송풍팬(83)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건조기 내부로 최초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무한 순환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물 건조기용 습기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냉각판(20)은 배출구(15)의 진입부측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결로판(21)과, 상기 결로판(21)의 양측에 공기의 이동방향에 마주하는 방향으로 내향 절곡형성되는 한쌍의 내향날개판(23)과, 상기 결로판(21)의 상,하부단부에 절곡 형성되어 배출구(15)의 진입부측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판(2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상기 냉각판(20)은 배출구(15)의 진입부측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지지판(27)과, 상기 지지판(27)의 전방측에 공기의 이동방향에 마주하는 대향 방향으로 지지판(27)의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냉각핀(29)이 다수개 돌출 형성되어 구성되어지되, 상기 냉각핀(29)은 인접한 냉각핀(29)간에 일정간격 이격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지지판(27)의 전방면 및 상기 다수개의 냉각핀(29) 사이 이격공간 내에서 결로수(2)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각부재(30)는, 공기의 이동경로측을 향하는 일측면에 냉기를 발생시키고 외부측을 향하는 타측면에 열기를 발생시키는 열전소자(32)와, 상기 열전소자(32)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냉기를 냉각판(20)에 전달시키는 냉기전달부재(34)와, 상기 열전소자(32)의 타측면에 구비되어 열기를 외부측으로 전달시키는 열기전달부재(3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기전달부재(36)의 외측에는 열기를 본체(80) 외부측으로 신속하게 배출하도록 환풍팬(37)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구(10)는 공기가 관통 이동되도록 다수의 통공(13a)이 형성되어 고정 구비되는 공기이동판(13)과, 상기 공기이동판(13)의 일측면에 밀착되며 다수의 연통공(12a)이 형성되어 손잡이(14)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공기량조절판(1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최초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무한 순환시키도록 하면서 건조기 내부에서 농축산물이 건조되면서 발생되는 습기만을 제거토록 함으로써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하면서도 건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농축산물이 건조되면서 발생되는 습기를 건조기 외부로 배출하게 되므로 습기내에 함유된 농축산물의 냄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물 건조기용 습기제거장치의 사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면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면에서 바라 본 상태에서의 평면 내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내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에서 바라 본 상태에서의 평면 내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구, 냉각판, 냉각부재의 설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부재의 상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판을 거쳐 배출구 측으로 공기가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판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판의 다른 실시예 상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물 건조기용 습기제거장치의 사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면 내부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면에서 바라 본 상태에서의 평면 내부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내부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에서 바라 본 상태에서의 평면 내부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구, 냉각판, 냉각부재의 설치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부재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판을 거쳐 배출구 측으로 공기가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판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판의 다른 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위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보면 건조기 내부로 최초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무한 순환시키도록 하면서 건조기 내부에서 농축산물이 건조되면서 발생되는 습기만을 제거토록 함으로써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하면서도 건조효율을 극대화하도록 함과 아울러 건조기 내부에서 건조되는 농축산물의 냄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농축산물 건조기용 습기제거장치는 본체(80), 개폐문(81), 송풍모터(82), 송풍팬(83), 건조실(85), 채반(86), 안치턱(87), 히터(91), 내부벽면(92), 가열공기 공급공(93), 흡입구(10), 배출구(15), 이동관(17), 냉각판(20), 냉각부재(30) 및 결로수배출관(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농축산물 건조기 내에 습기제거장치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먼저 농축산물 건조기는 도 1 및 도 2에서처럼 직사각형 박스 형태로 본체(80)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개폐문(81)이 설치되며, 내부 상부측에는 송풍모터(82) 및 송풍팬(83)이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83) 하부의 건조실(85) 내부에는 다단으로 건조용 채반(86)을 안치할 수 있도록 다단으로 안치턱(87)이 형성되며, 상기 송풍팬(83)의 양측에 구비된 히터(91)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건조실(85) 내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내부벽면(92)에는 다수의 가열공기 공급공(93)이 형성되는 통상의 농축산물 건조기 형태이다.
위와 같은 통상의 농축산물 건조기는 송풍팬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건조실 내부로 송풍하고, 건조실 내부에서 가온 된 공기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원활하게 혼합 및 공급하는 방식으로 가동된다. 즉 가열된 내부공기와 외부로부터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본원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탈피하여 건조기 내부로 최초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무한 순환시키도록 하면서 건조기 내부에서 농축산물이 건조되면서 발생되는 습기만을 제거토록 함으로써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하면서도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는 농축산물 건조기용 습기제거장치를 제시한다.
이러한 위 농축산물 건조기용 습기제거장치를 구현하기 위해, 먼저 도 4에서처럼 상기 건조실(85) 내부의 채반(86)을 경유한 공기가 이동되도록 건조실(85)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흡입구(10)를 구비한다. 상기 흡입구(10)는 공기가 이동되도록 관 형태로 형성되며, 상승되는 공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직하게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흡입구(10)의 실시예로서 도 5 및 도 8에서처럼 상기 흡입구(10)는 공기가 관통 이동되도록 다수의 통공(13a)이 형성되어 고정 구비되는 공기이동판(13)과, 상기 공기이동판(13)의 일측면에 밀착되며 다수의 연통공(12a)이 형성되어 손잡이(14)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공기량조절판(12)으로 구성되게 하여 공기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공기이동량을 조절해가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흡입구(10)를 통해 이동되는 공기가 본체(80)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무한 순환시키도록 하기 위해 송풍팬(83) 측으로 연통되는 배출구(15)를 구비한다. 상기 배출구(15)는 도 4 및 도 6에서처럼 흡입구(10)를 통해 이동되는 공기가 상승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전환 이동되도록 연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구(15)의 배출측 단부에서부터 연장 구비되어 송풍팬(83)의 일측부에까지 연통되도록 공기이동관(17)이 연결 구성된다.
위 구성으로 인해 건조기 내부로 최초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무한 순환되는 것이다. 이때, 위 구성에서 상기 흡입구(10)를 통해 건조실(85) 내부에서 피건조물의 건조과정에 의해 발생되는 습기가 유입되는데, 이러한 습기를 건조기 내부로 순환시키게 되면 건조효율이 떨어지게 되므로 배출구(15)를 통해 배출 이동되게 전에 이 습기를 제거토록 구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배출구(15)의 진입부측에 냉각판(20)을 이격 구비한다. 상기 냉각판(20)은 도 6 및 도 8에서처럼 배출구(15)의 진입부측에 수직하게 하향 연장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10)로부터 배출구(15) 측으로 이동되는 공기가 접촉되면서 결로수(2)가 발생된다.
이때 상기 냉각판(20)을 냉각시키는 냉각부재(30)를 냉각판(20)의 하부 외측면에 밀착 구비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냉각판(20)은 도 9에서처럼 배출구(15)의 진입부측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결로판(21)과, 상기 결로판(21)의 양측에 공기의 이동방향에 마주하는 방향으로 내향 절곡형성되는 한쌍의 내향날개판(23)과, 상기 결로판(21)의 상,하부단부에 절곡 형성되어 배출구(15)의 진입부측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판(25)으로 구성되도록 한다.
위 냉각판(20)의 구조에서 결로판(21) 상에는 이동되는 공기가 접촉되면서 결로수(2)가 발생되어 결착되며, 도 6에서처럼 냉각판(20)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배출공(41) 및 결로수배출관(42)을 통해 본체(8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결로판(21)의 양측에 절곡형성되는 한쌍의 내향날개판(23)은 공기의 이동방향에 마주하는 방향으로 내향 절곡형성되게 하여 공기이 이동을 간섭시킴으로써 결로수(2)의 생성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 도 10, 도 11에서처럼 상기 냉각판(20)은 다른 형태로서, 상기 배출구(15)의 진입부측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지지판(27)과, 상기 지지판(27)의 전방측에 공기의 이동방향에 마주하는 대향 방향으로 지지판(27)의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냉각핀(29)이 다수개 돌출 형성되어 구성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때에 상기 냉각핀(29)은 인접한 냉각핀(29)간에 일정간격 이격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다수개의 냉각핀(29) 사이 이격공간 내에서 결로수(2)가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이때 상기 다수개의 냉각핀(29) 사이 이격공간 내 뿐만 아니라, 지지판(27)의 전방면에서도 결로수(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냉각부재(30)는 도 7에서처럼 공기의 이동경로측을 향하는 일측면에 냉기를 발생시키고 외부측을 향하는 타측면에 열기를 발생시키는 열전소자(32)와, 상기 열전소자(32)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냉기를 냉각판(20)에 전달시키는 냉기전달부재(34)와, 상기 열전소자(32)의 타측면에 구비되어 열기를 외부측으로 전달시키는 열기전달부재(36)로 구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열기전달부재(36)는 다수의 방열핀을 갖는 방열판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열기전달부재(36)의 외측에는 열기를 본체(80) 외부측으로 신속하게 배출하도록 환풍팬(37)을 더 구비하며, 상기 환풍팬(37)의 외측에는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배출로(38)가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들로 인한 본 발명을 통하면 상기 본체(80) 내부에서 송풍모터(82), 송풍팬(83), 히터(91)에 의해 달궈진 가열공기가 흡입구(10) 및 배출구(15)를 경유하면서 냉각판(20)에 의해 결로수(2)가 발생되게 하여 이동중인 가열공기에 내포된 습기를 제거토록 하고, 습기가 제거된 공기만 배출구(15)를 통해 송풍팬(83)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건조기 내부로 최초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무한 순환시키도록 하게 된다.
이로 인해 최초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무한 순환시키도록 하면서 건조기 내부에서 농축산물이 건조되면서 발생되는 습기만을 제거토록 함으로써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하면서도 건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고, 뿐만 아니라 농축산물이 건조되면서 발생되는 습기를 건조기 외부로 배출하게 되므로 습기내에 함유된 농축산물의 냄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2: 결로수 10: 흡입구
15: 배출구 17: 공기이동관
20: 냉각판 30: 냉각부재
42: 결로수배출관 80: 본체
82: 송풍모터 83: 송풍팬
91: 히터

Claims (6)

  1. 직사각형 박스 형태로 본체(80)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개폐문(81)이 설치되며, 내부 상부측에는 송풍모터(82) 및 송풍팬(83)이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83) 하부의 건조실(85) 내부에는 다단으로 건조용 채반(86)을 안치할 수 있도록 다단으로 안치턱(87)이 형성되며, 상기 송풍팬(83)의 양측에 구비된 히터(91)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건조실(85) 내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내부벽면(92)에는 다수의 가열공기 공급공(93)이 형성되며,
    상기 건조실(85) 내부의 채반(86)을 경유한 공기가 이동되도록 건조실(85)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흡입구(10);
    상기 흡입구(10)를 통해 이동되는 공기가 상승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전환 이동되도록 연통 형성되는 배출구(15);
    상기 배출구(15)의 배출측 단부에서부터 연장 구비되어 송풍팬(83)의 일측부에까지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공기이동관(17);
    상기 배출구(15)의 진입부측에 이격 구비되며, 수직하게 하향 연장형성되어, 상기 흡입구(10)로부터 배출구(15) 측으로 이동되는 공기가 접촉되면서 결로수(2)가 발생되어 결착되게 하는 냉각판(20);
    상기 냉각판(20)의 하부 외측면에 밀착 구비되어 냉각판(20)을 냉각시키는 냉각부재(30);
    상기 냉각판(20)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냉각판(20)에 결착된 결로수(2)가 본체(8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결로수배출관(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하여,
    상기 본체(80) 내부에서 송풍모터(82), 송풍팬(83), 히터(91)에 의해 달궈진 가열공기가 흡입구(10) 및 배출구(15)를 경유하면서 냉각판(20)에 의해 결로수(2)가 발생되게 하여 이동중인 가열공기에 내포된 습기를 제거토록 하고, 습기가 제거된 공기만 배출구(15)를 통해 송풍팬(83)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건조기 내부로 최초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무한 순환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물 건조기용 습기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판(20)은 배출구(15)의 진입부측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결로판(21)과, 상기 결로판(21)의 양측에 공기의 이동방향에 마주하는 방향으로 내향 절곡형성되는 한쌍의 내향날개판(23)과, 상기 결로판(21)의 상,하부단부에 절곡 형성되어 배출구(15)의 진입부측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판(2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물 건조기용 습기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판(20)은 배출구(15)의 진입부측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지지판(27)과, 상기 지지판(27)의 전방측에 공기의 이동방향에 마주하는 대향 방향으로 지지판(27)의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냉각핀(29)이 다수개 돌출 형성되어 구성되어지되, 상기 냉각핀(29)은 인접한 냉각핀(29)간에 일정간격 이격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지지판(27)의 전방면 및 상기 다수개의 냉각핀(29) 사이 이격공간 내에서 결로수(2)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물 건조기용 습기제거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재(30)는, 공기의 이동경로측을 향하는 일측면에 냉기를 발생시키고 외부측을 향하는 타측면에 열기를 발생시키는 열전소자(32)와, 상기 열전소자(32)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냉기를 냉각판(20)에 전달시키는 냉기전달부재(34)와, 상기 열전소자(32)의 타측면에 구비되어 열기를 외부측으로 전달시키는 열기전달부재(3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물 건조기용 습기제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전달부재(36)의 외측에는 열기를 본체(80) 외부측으로 신속하게 배출하도록 환풍팬(37)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물 건조기용 습기제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10)는 공기가 관통 이동되도록 다수의 통공(13a)이 형성되어 고정 구비되는 공기이동판(13)과, 상기 공기이동판(13)의 일측면에 밀착되며 다수의 연통공(12a)이 형성되어 손잡이(14)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공기량조절판(1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물 건조기용 습기제거장치.
KR1020180120493A 2018-10-08 2018-10-08 농축산물 건조기용 습기제거장치 KR202000401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493A KR20200040159A (ko) 2018-10-08 2018-10-08 농축산물 건조기용 습기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493A KR20200040159A (ko) 2018-10-08 2018-10-08 농축산물 건조기용 습기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159A true KR20200040159A (ko) 2020-04-17

Family

ID=70460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493A KR20200040159A (ko) 2018-10-08 2018-10-08 농축산물 건조기용 습기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01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77206A (zh) * 2022-07-21 2022-09-20 山东泺辰食品有限公司 一种芝麻烘干装置
CN116845754A (zh) * 2023-09-01 2023-10-03 胜利油田海洋电气有限责任公司 一种船舶用电源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842B1 (ko) 2006-09-29 2007-01-04 박숙희 열풍건조기
KR100975021B1 (ko) 2009-06-10 2010-08-11 신농(주) 농산물 건조기
KR101297908B1 (ko) 2013-04-10 2013-08-22 장재욱 농축산물 건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842B1 (ko) 2006-09-29 2007-01-04 박숙희 열풍건조기
KR100975021B1 (ko) 2009-06-10 2010-08-11 신농(주) 농산물 건조기
KR101297908B1 (ko) 2013-04-10 2013-08-22 장재욱 농축산물 건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77206A (zh) * 2022-07-21 2022-09-20 山东泺辰食品有限公司 一种芝麻烘干装置
CN116845754A (zh) * 2023-09-01 2023-10-03 胜利油田海洋电气有限责任公司 一种船舶用电源柜
CN116845754B (zh) * 2023-09-01 2023-10-31 胜利油田海洋电气有限责任公司 一种船舶用电源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7052B2 (en) Low temperature clothes dryer
JP5004330B2 (ja) 熱交換装置
KR20130006158A (ko) 피혁자동도장장치의 건조기 시스템
KR20200040159A (ko) 농축산물 건조기용 습기제거장치
RU2499211C1 (ru) Конденсационная сушилка для пиломатериалов с абсорбционным утилизатором
KR20110023450A (ko) 농산물 건조장치
KR200412274Y1 (ko) 농수산물 건조기
KR101319145B1 (ko) 보조가열장치가 부착된 식품 건조기
CN206637969U (zh) 一种鼓风干燥箱
KR200414339Y1 (ko) 농수산물 건조기
US5832627A (en) Produce drier system using subtended heat source and heat reservoir
KR101721797B1 (ko) 목재건조장치
KR100578030B1 (ko) 정치식 원적외선 건조기
KR101297908B1 (ko) 농축산물 건조기
NL1012453C1 (nl) Dierenverblijf.
KR200421815Y1 (ko) 농수산물 건조기의 폐열회수장치
KR100703952B1 (ko) 감압식열풍건조기
KR101621474B1 (ko) 해태의 화입 건조장치
KR200422795Y1 (ko) 농수산물 건조기
JP3789807B2 (ja) 浴室暖房機
RU2275563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ушки перги в сотах
KR100636892B1 (ko) 건조기
KR200308144Y1 (ko) 인삼건조장치
RU195871U1 (ru) Суш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H013646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