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1770B1 - 농수산물 건조방법과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농수산물 건조방법과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1770B1
KR100761770B1 KR1020040088639A KR20040088639A KR100761770B1 KR 100761770 B1 KR100761770 B1 KR 100761770B1 KR 1020040088639 A KR1020040088639 A KR 1020040088639A KR 20040088639 A KR20040088639 A KR 20040088639A KR 100761770 B1 KR100761770 B1 KR 100761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ricultural
drying
products
container
marine produ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8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9530A (ko
Inventor
양인철
Original Assignee
양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인철 filed Critical 양인철
Priority to KR1020040088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770B1/ko
Publication of KR20060039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5Food storage or conservation, e.g. cooling or d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수산물을 건조가공시에 시간을 단축하고 영양소파괴를 최소화하며, 건조비용을 줄일 수 있고, 공정의 정량화 및 자동화를 최대한 달성할 수 있으며, 인력을 줄일 수 있는 농수산물 건조방법과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농수산물을 건조가공시에 (1) 종래의 수작업을 반자동화하고, (2)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전처리를 하므로서 영양소의 파괴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건조시간을 단축하며, (3) 건조시에 필요한 열량을 종래의 등유를 이용하던 것을 원적외선 램프 등을 이용하여 열효율을 극대화하고, (4) 또한 그 열을 회수하여 재사용하며, (5) 건조시의 필요한 바람을 효율적인 방법으로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농수산물 건조방법과 건조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도 1은 본 발명의 건조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건조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회전통의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건조방법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a,1b,1c; 3a: 농수산물 10: 회전통마이크로파 건조장치
11: 회전통 11a: 투입슈트
11b: 배출컨베이어 11c: 전개상태의 회전통
12: 이송날개 13: 마이크로파 차단벽
14: 마이크로파 발생장치 15: 롤러
15a: 축 16: 구동 모터
17: 급기팬 18: 콘테이너 박스
18a: 투입구 18b: 배출구
18c: 배기구 19: 배출팬
30: 원적외선 건조장치 31: 도어
32: 고압 송풍팬 33: 그물망
33a: 금속봉 33b: 금속망
34: 열회수파이프 34a: 유입구
34b: 응축수 배출구 35: 공기조절장치
36: 공기배출구 37: 원적외선 램프
38: 콘테이너 39a,39b: 지지빔
본 발명은, 농수산물을 건조가공시에 시간을 단축하고 영양소파괴를 최소화하며, 건조비용을 줄일 수 있고, 공정의 정량화 및 자동화를 최대한 달성할 수 있으며, 인력을 줄일 수 있는 농수산물 건조방법과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다양한 농수산물의 건조방법과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농수산물의 건조방법과 장치는, 열에 의한 건조방법으로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열에 의해 영양소가 상당히 파괴되며, 많은 열량을 필요로 하여 건조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대부분 인력에 의한 공정으로 인건비도 많이 소요된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농수산물을 건조가 공시에 시간을 단축하고 영양소파괴를 최소화하며, 건조비용을 줄일 수 있고, 공정의 정량화 및 자동화를 최대한 달성할 수 있으며, 인력을 줄일 수 있는 농수산물 건조방법과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농수산물을 건조가공시에 (1) 종래의 수작업을 반자동화하고, (2)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전처리를 하므로서 영양소의 파괴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건조시간을 단축하며, (3) 건조시에 필요한 열량을 종래의 등유를 이용하던 것을 원적외선 램프 등을 이용하여 열효율을 극대화하고, (4) 또한 그 열을 회수하여 재사용하며, (5) 건조시의 필요한 바람을 효율적인 방법으로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농수산물 건조방법의 일실시예는, 농수산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마이크로파가 통과하는 재질로 되고 건조할 내부의 농수산물을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날개가 내면에 설치된 회전통을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내부에 투입된 농수산물을 교반시키면서 이송시키고, 그 교반되고 이송되는 농수산물에 마이크로파 발생장치에 의해 마이크로파를 조사함으로써 교반이송되는 농수산물로부터 수분을 배출시켜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농수산물 건조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농수산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농수산물을 위에 배치시킬 그물망을 콘테이너 박스내에 설치하고 공간적 간격을 두고 그물망을 상하로 간헐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이동시켜 농수산물을 교반(뒤집기)시키면서 상부로부터 원적외선 램프에 의해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고, 콘테이너의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공기를 고압으로 송풍시켜 수분을 상부의 공기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면서 상기 열을 콘테이너 내부에서 순환시킴으로써 더욱 에너지 손실없이 농수산물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농수산물 건조장치의 일실시예는, 농수산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장치에 있어서,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마이크로파가 통과하는 재질로 되고, 일단부에서 투입되는 건조할 농수산물을 회전시 타단부로 교반시켜 이송시키는 이송날개가 내면에 설치된 회전통; 내부에 투입되어 교반되면서 이송되는 농수산물을 농수산물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함으로써 교반이송되는 농수산물로부터 수분을 배출시켜 건조시키는 마이크로파 발생장치; 회전통이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통의 일단부로 농수산물을 투입시킬 수 있도록 투입구가 형성된 콘테이너 박스; 마이크로파의 누출을 방지하고 마이크로파의 내부 반사를 증대시키도록 상기 콘테이너 박스내의 회전통 주위에 설치되고 마이크로파 발생장치가 내부에 설치되는 마이크로파 차단벽; 그리고, 상기 콘테이너 박스 상부에 형성된 배기구를 통해 수분을 배출하기 위하여 그 배기구에 설치되는 배출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농수산물 건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원적외선 램프로 농수산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공기배출구가 형성되고 개폐도어를 지니는 콘테이너; 상기 콘테이너의 하부에 설치되는 고압 송풍팬; 콘테이너의 바닥에 설치되는 지지빔과 금속망을 개재하여 고압 송풍팬과 원적외선 램프에 의한 고열의 송풍 공기가 통과하면서 건조되도록 농수산물이 수납되는 그물망; 위에 배치되는 농수산물을 교반(뒤집기)시킬 수 있도록 그물망을 공간적 간격을 두고 상하로 간헐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승강시키기 위해 그물망에 공간적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금속봉; 그리고 그물망을 공간적 간격을 두고 상하로 간헐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승강시키기 위해 다수의 금속봉이 분리되어 승강되도록 승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농수산물 건조장치의 실시예들을 도 2 내지 도 6을 통하여 설명하면, 도 2의 것은, 주된 구성으로 회전통(11)과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것이고, 도 4 내지 도 6의 것은 원적외선과 그물망(33)을 이용한 것이다.
도 2에서 농수산물 건조장치의 일실시예로서 회전통마이크로파 건조장치(10)는, 이송날개(12)가 부착된 플라스틱 재질의 회전통(11), 마이크로파 발생장치(14), 콘테이너 박스(18), 마이크로파 차단벽(13) 및 배출팬(19)을 기본적으로 구비하며, 투입슈트(11a), 급기팬(17), 배출컨베이어(11b)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통(11)은, 플라스틱과 같이 마이크로파가 통과하는 재질로 되고, 구동 모터(16)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도 2에서는 롤러(15)와 축(15a)에 의해 구동 모터(16)에 연결되어 구동되고, 롤러(15)에 지지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회전통(11)은, 일단부로 투입되는 건조할 농수산물을 회전시 타단부로 교반시켜 이송시키는 이송날개(12)가 내면에 축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그 이송날개(12)는, 5-10cm의 얇은 폭의 스테인레스 혹은 플라스틱재질의 것으로, 도 3에서와 같이 회전통(11)의 전개도상 중심축에 대해 경사짐(예: 출입구와 배출구의 수평각도가 5도이상 차이가 나도록 함)으로써 농수산물의 이송과 교반을 가능하게 하지만, 이송날개(12) 역시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또, 마이크로파 발생장치(14)는, 일명 마그네트론으로, 마이크로파의 누출을 방지하고 마이크로파의 내부 반사를 증대시키도록 회전통(11) 주위에 설치되는 금속의 마이크로파 차단벽(13) 내에 설치된다.
콘테이너 박스(18)는, 회전통(11)의 일단부로 농수산물을 투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투입구(18a)를 구비하며, 콘테이너 박스(18)의 상부에 형성된 배기구(18c)를 통해 수분을 배출하기 위하여 그 배기구(18c)에 배출팬(19)이 설치된다.
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수산물을 용이하게 회전통(11)의 일단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콘테이너 박스(18)의 투입구(18a)에 망구조의 투입슈트(11a,21a)가 설치되고, 그 투입과 상술한 배출팬(19)의 제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급기팬(17)이 그 투입구(18a)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통(11)의 타단부에서 배출되는 농수산물을 운반할 수 있도록 배출컨베이어(11b)가 콘테이너 박스(18)의 배출구(18b)를 통과하여 내부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회전통마이크로파 건조장치(10)의 작용원리는, 그 건조방법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전통(11)이 회전함에 따라서 투입구(18a)를 통해 투입되는 농수산물(1a)이 이송날개(12)에 의해 고르게 교반되면서 배출구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때에 반정도 채워진 회전통(11)으로 강력한 송풍을 하면서, 마그네트론을 작용하여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므로써 회전통(11) 내부의 농수산물(1b)은 건조되기 시작하여 수분을 단시간내에 줄일 수 있게 되며, 배출구(18b)에 설치된 배출컨베이어(11b)에 건조된 농수산물(1c)이 배출되고, 그 배출컨베이어(11b)에 의해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콘테이너 박스(18) 상단에 강력한 배출팬(19)으로 공기를 흡입하면 투입구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어 보다 효과적인 제습이 되며, 나아가, 마이크로파 발생장치(14)도 냉각되게 된다. 또, 투입구(18a)에 급기팬(17)을 구비함으로써 더욱 필요한 급기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투입슈트(11a)를 통해 투입되는 농수산물(1a)이 회전통(11)이외의 곳으로 비산되지 아니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
상기 회전통마이크로파 건조장치(10)를 수출용 콘테이너 속에 투입구 및 배출구만 콘테이너 외부로 연결하게 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위와 같은 회전통마이크로파 건조장치(10)에 의해 건조될 수 있는 피건조물로서는, 쌀, 보리, 밀 등의 낱알로 되어있는 곡물, 산수유, 오미자, 구기자, 감 등의 낱알로 되어있는 열매, 멸치 등 작은 생선이나 찢은 명태 등의 생선, 도라지, 더덕, 고사리 등 각종 나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회전통마이크로파 건조장치(10)의 구성과 작용에 의해 열을 이용하지 않고 마이크로파를 이용하므로써 수분제거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80%정도의 수분을 지니는 고추를 건조할 때 열과 바람을 이용하는 재래의 방법으로 건조할 경우 수분함량이 50% 미만으로 건조될 때까지 보통 2-3일간 숙성한 후 1일 이상 열풍건조를 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의 회전통마이크로파 건조장치(10)에 의하면, 10-15분이면 충분하다.
또, 건조시간이 짧게 되므로, 피건조물의 색깔의 변화 및 영양소의 파괴가 적어서 상품의 가치를 높게 할 수 있으며, 투입구와 배출구에 이송 콘베이어를 연결함으로써 건조과정의 정량화 및 자동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피건조물의 자동교반을 함으로써 고르게 건조가 가능하며, 재래식의 건조상자 및 건조상자 교환이 필요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인력이 줄어들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원적외선 건조장치(30)는, 콘테이너(38), 다수의 고압 송풍팬(32), 다수의 원적외선 램프(37), 그물망(33), 다수의 금속봉(33a) 및 윈치(38a)와 인장선(38b) 또는 유압이나 에어실린더, 랙기어왕복수단 등과 같은 승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에서와 같이 콘테이너(38)에는 개폐도어(31)가 설치되며,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콘테이너(38)의 하부에 다수의 고압 송풍팬(32)들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물망(33)은, 나이론 그물과 같은 것으로, 도 5 및 도 6에서 콘테이너(38)의 바닥에 완자 격자로 설치되는 지지빔(39a,39b)과 스테인레스망 혹은 주물망과 같은 금속망(33b)을 개재하여 설치되며, 그 위에 농수산물(3a)이 수납되게 된다.
다수의 금속봉(33a)은, 그물망(33) 위에 배치되는 농수산물을 교반(뒤집기)시킬 수 있도록 그물망(33)을 공간적 간격을 두고 상하로 간헐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승강시키기 위해 그물망(33)에 공간적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바, 각 금속봉 (33a)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그물망(33)에 꼬매어 부착시킨다. 그 승강의 조절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시간타이머가 장착된 윈치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그 그물망(33)을 공간적 간격을 두고 상하로 간헐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승강시키기 위해 다수의 금속봉(33a)이 분리되어 승강되도록 승강장치가 설치되며, 그 일예로서의 승강장치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설치되는 윈치(38a)에 다수의 금속봉(33a)의 양단이 하나 건너 분리되게 강선과 같은 인장선(38b)에 의해 연결된다. 승강장치는 이에 한정됨이 없이 종래의 왕복운동을 위한 수단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원적외선 건조장치(30)는, 콘테이너(38) 내부의 열이 순환되도록 열회수파이프(34)가 콘테이너(38)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콘테이너(38)의 상부에 공기배출구(36)이 설치되고, 열회수파이프(34)에도 틈새를 개방시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공기조절장치(35)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열회수파이프(34)는, 일예로 콘테이너 상단에 및 하단에 지름 30CM 구멍을 30CM 간격으로 낸 다음, 같은 구경의 플라스틱 파이프로 연결하고, 공기조절용 구멍을 장치한 후 단열 테이프로 감아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열회수파이프(34)의 내면에 응축된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응축수 배출구(34b)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배출구(36)가 개폐가능하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도시가 생략되지만, 온도의 조절을 위해 온도 센서가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배출구 하단, 그물망 표면 및 그물망 위 50 CM위에 1 M 간격으로 설치하여 원 적외선 램프(37)에 연결한다. 또한, 사방 30 CM의 복층유리를 2M 간격으로 설치하여 건조기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원적외선 건조장치(30)는, 그물망(33) 위에 농수산물(3a)을, 도 1의 흐름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상술한 회전통마이크로파 건조장치(10)에 의해 50%정도 수분이 제거된 농수산물(3a)를 50CM 두께로 쌓은 후, 고압 송풍팬(32)과 원적외선 램프(37)를 작용시킴과 동시에 윈치(38a) 및 인장선(38b)와 같은 승강장치를 간헐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작동시키면, 반복뒤집어지는 농수산물(3a)에 직접 열을 가하여 건조시킴과 동시에 더워진 공기가 콘테이너(38) 내부에서 순환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으로 농수산물(3a)을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장착된 온도 센서중 가장 높은 온도를 기준으로 원하는 온도(고추의 경우 섭씨45도)에서 원적외선 램프(37)의 스위치가 자동으로 온/오프 되도록 함으로써 내부의 온도가 평형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열회수파이프(34)에 설치한 공기조절장치(35)의 공기개폐구를 조절하여 적당량의 새로운 공기가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내부의 고온 다습한 공기를 효과적으로 공기배출구(36)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한다.
한편, 응축수 배출구(34b)가 형성된 경우, 열회수파이프(34)의 내부에서 응축된 응축수는 열회수파이프(34)의 하단에 설치된 응축수 배출구(34b)를 통해 배출되게 되며, 이에 따라 공기배출구(36)로의 배출이나 열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물망(33)에 연결된 금속봉(33a)을 하나 건너 타이머가 장착된 윈치를 이용 하여 50 CM높이로 교대로 올렸다 내리기를 일정시간(10분) 간격으로 하여 줌으로써, 피 건조물의 뒤집기를 하여 골고루 건조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원적외선 건조장치(30)는, 고추, 곳감 등 외관이 중요한 피건조물이나, 멸치 등 작은생선 및 찢은 명태 등의 생선 또는 도라지, 더덕, 고사리 등을 대상으로 할 수 있으며, 위에서 설명한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낮은 열을 이용하는 대신 바람의 양을 최대화하여 건조되는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열을 외부로 100% 방출하지 않고 원하는 만큼 회수하므로써 연료비를 절약할 수 있고, 센서로 온도를 조절하므로써 온도편차 2-3도 내외에서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 뒤집기 윈치로 규칙적으로 뒤집어 주므로 피건조물의 외형이 유지되면서 균일하게 건조되게 되고, 현창을 통하여 건조기 내부를 관찰할 수 있으므로 원하지 않는 사고, 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방법과 건조장치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농수산물을 건조가공시에 시간을 단축하고 영양소파괴를 최소화하며, 건조비용을 줄일 수 있고, 공정의 정량화 및 자동화를 최대한 달성할 수 있으며, 인력을 줄일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삭제
  2. 농수산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마이크로파가 통과하는 재질로 되고 건조할 내부의 농수산물(3a)을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날개(12)가 내면에 설치된 회전통(11)을 구동 모터(16)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내부에 투입된 농수산물(3a)을 교반시키면서 이송시키고, 회전통마이크로파 건조장치(10)에 의해 마이크로파 발생장치(14)로부터의 마이크로파를 조사함으로써 교반이송되는 농수산물(3a)로부터 수분을 배출시켜 반건조시킨 후, 그 농수산물을 위에 배치시킬 그물망(33)을 콘테이너 박스(18,28)내에 설치하고 공간적 간격을 두고 그물망(33)을 상하로 간헐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이동시켜 농수산물을 교반(뒤집기)시키면서 상부로부터 원적외선 램프(37)에 의해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고, 콘테이너(38)의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공기를 고압으로 송풍시켜 수분을 상부의 공기배출구(36)를 통해 배출시키면서 상기 열을 콘테이너(38) 내부에서 순환시킴으로써 더욱 에너지 손실없이 농수산물을 더욱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방법.
  3. 농수산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농수산물을 위에 배치시킬 그물망(33)을 콘테이너 박스(18,28)내에 설치하고 공간적 간격을 두고 그물망(33)을 상하로 간헐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이동시켜 농수산물을 교반(뒤집기)시키면서 상부로부터 원적외선 램프(37)에 의해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고, 콘테이너(38)의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공기를 고압으로 송풍시켜 수분을 상부의 공기배출구(36)를 통해 배출시키면서 상기 열을 콘테이너(38) 내부에서 순환시킴으로써 더욱 에너지 손실없이 농수산물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방법.
  4. 삭제
  5. 농수산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장치에 있어서,
    구동 모터(16)에 의해 회전되며, 마이크로파가 통과하는 재질로 되고, 일단부에서 투입되는 건조할 농수산물을 회전시 타단부로 교반시켜 이송시키는 이송날개(12)가 내면에 설치된 회전통(11);
    내부에 투입되어 교반되면서 이송되는 농수산물을 농수산물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함으로써 교반이송되는 농수산물로부터 수분을 배출시켜 건조시키는 마이크로파 발생장치(14);
    회전통(11)이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통(11)의 일단부로 농수산물을 투입시킬 수 있도록 투입구(18a)가 형성된 콘테이너 박스(18);
    마이크로파의 누출을 방지하고 마이크로파의 내부 반사를 증대시키도록 상기 콘테이너 박스(18)내의 회전통(11) 주위에 설치되고 마이크로파 발생장치(14)가 내부에 설치되는 마이크로파 차단벽(13); 그리고,
    상기 콘테이너 박스(18) 상부에 형성된 배기구(18c)를 통해 수분을 배출하기 위하여 그 배기구(18c)에 설치되는 배출팬(19)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농수산물을 용이하게 회전통(11)의 일단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콘테이너 박스(18)의 투입구(18a)에 망구조의 투입슈트(11a)가 설치되고, 그 투입과 상술한 배출팬(19,29)의 제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급기팬(17)이 그 투입구(18a)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
  6. 원적외선 램프(37)로 농수산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공기배출구(36)가 형성되고 개폐도어(31)를 지니는 콘테이너(38);
    상기 콘테이너(38)의 하부에 설치되는 고압 송풍팬(32);
    콘테이너(38)의 바닥에 설치되는 지지빔(39a,39b)과 금속망(33b)을 개재하여 고압 송풍팬(32)과 원적외선 램프(37)에 의한 고열의 송풍 공기가 통과하면서 건조되도록 농수산물이 수납되는 그물망(33);
    위에 배치되는 농수산물을 교반(뒤집기)시킬 수 있도록 그물망(33)을 공간적 간격을 두고 상하로 간헐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승강시키기 위해 그물망(33)에 공간적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금속봉(33a); 그리고
    그물망(33)을 공간적 간격을 두고 상하로 간헐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승강시키기 위해 다수의 금속봉(33a)이 분리되어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장치(38a, 33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콘테이너(38) 내부의 열이 순환되도록 열회수파이프(34)가 콘테이너(38)의 외부에 설치되며, 그 열회수파이프(34)에는 틈새를 개방시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공기조절장치(35) 및/또는 열회수파이프(34)의 내면에 응축된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응축수 배출구(34b)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배출구(36)가 개폐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20040088639A 2004-11-03 2004-11-03 농수산물 건조방법과 건조장치 KR100761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639A KR100761770B1 (ko) 2004-11-03 2004-11-03 농수산물 건조방법과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639A KR100761770B1 (ko) 2004-11-03 2004-11-03 농수산물 건조방법과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530A KR20060039530A (ko) 2006-05-09
KR100761770B1 true KR100761770B1 (ko) 2007-10-04

Family

ID=37146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8639A KR100761770B1 (ko) 2004-11-03 2004-11-03 농수산물 건조방법과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17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995B1 (ko) 2008-07-30 2011-06-29 주식회사 하이텍에너지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1532947B1 (ko) * 2013-11-26 2015-07-01 주식회사 기장사람들 해조류 물기 제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179B1 (ko) * 2006-05-02 2008-03-07 태산도장 주식회사 수성 및 수용성도료용 마이크로파 건조장치
KR100755384B1 (ko) * 2006-08-09 2007-09-04 (주)광하테크놀로지 연속식 농수축산물 건조 시스템
KR100815526B1 (ko) * 2007-01-09 2008-03-24 김가산 원적외선 수산물 건조장치
KR102348644B1 (ko) * 2021-06-22 2022-01-11 오색영농조합법인 관능성과 기능성을 개선한 더덕차의 제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544A (ko) * 1996-12-28 1998-09-25 박삼근 압축과 마이크로파 가열 건조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유기물 처리방법과 그 장치
KR20000000947A (ko) * 1998-06-05 2000-01-15 윤종용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20030006164A (ko) * 2001-07-11 2003-01-23 강원도 원적외선건조기
KR20030013876A (ko) * 2001-08-09 2003-02-15 주식회사 다다테크 원적외선 건조기
KR20030062767A (ko) * 2002-01-18 2003-07-28 이현희 피건조물에서 발생되는 증기열과 원적외선을 이용한건조방법 및 장치
KR20190000910U (ko) * 2019-04-04 2019-04-16 주식회사 알씨엔이 병렬 링크형 로봇
KR20190000940U (ko) * 2017-10-12 2019-04-22 김태연 이탈방지구를 갖는 볼체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544A (ko) * 1996-12-28 1998-09-25 박삼근 압축과 마이크로파 가열 건조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유기물 처리방법과 그 장치
KR20000000947A (ko) * 1998-06-05 2000-01-15 윤종용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20030006164A (ko) * 2001-07-11 2003-01-23 강원도 원적외선건조기
KR20030013876A (ko) * 2001-08-09 2003-02-15 주식회사 다다테크 원적외선 건조기
KR20030062767A (ko) * 2002-01-18 2003-07-28 이현희 피건조물에서 발생되는 증기열과 원적외선을 이용한건조방법 및 장치
KR20190000940U (ko) * 2017-10-12 2019-04-22 김태연 이탈방지구를 갖는 볼체인
KR20190000910U (ko) * 2019-04-04 2019-04-16 주식회사 알씨엔이 병렬 링크형 로봇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0947530000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995B1 (ko) 2008-07-30 2011-06-29 주식회사 하이텍에너지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1532947B1 (ko) * 2013-11-26 2015-07-01 주식회사 기장사람들 해조류 물기 제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530A (ko) 2006-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3841B1 (en) Dehydration plant
CN203709212U (zh) 一种食品干燥机
KR100967433B1 (ko) 톱밥 건조 장치
KR100761770B1 (ko) 농수산물 건조방법과 건조장치
KR101718663B1 (ko) 볶음장치를 구비한 열풍식 고추 건조장치
KR100368931B1 (ko)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
CN210486425U (zh) 一种隧道式物料干燥装置
CN203893624U (zh) 适用于颗粒状物料的真空干燥机
CN107677106A (zh) 一种用于樱花树种子的烘干装置
KR200455426Y1 (ko) 식료품 건조기
CN208567418U (zh) 一种多功能纳豆干燥箱
KR102090752B1 (ko) 가축 분뇨 건조장치
CN210268037U (zh) 一种中药材加工用烘干设备
KR100388580B1 (ko) 곡물 및 수산물 건조장치
KR100676867B1 (ko) 탈수 케익 처리 장치
KR20100037893A (ko) 복합 기능성 건조기
CN108844349A (zh) 一种农业鼓风烘干设备
CN108088223A (zh) 一种高温热风式粮食干燥机
CN210374464U (zh) 一种隧道式干燥机
KR102087910B1 (ko) 농수산물 건조장치
CN211989922U (zh) 一种用于辣椒种子的清洗装置
KR100826848B1 (ko) 농수산물 건조기
CN217541421U (zh) 一种种子加工用烘干机
KR102475925B1 (ko) 유충 건조 장치
CN108813672A (zh) 一种循环式蔬菜脱水烘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