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7893A - 복합 기능성 건조기 - Google Patents

복합 기능성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7893A
KR20100037893A KR1020080097229A KR20080097229A KR20100037893A KR 20100037893 A KR20100037893 A KR 20100037893A KR 1020080097229 A KR1020080097229 A KR 1020080097229A KR 20080097229 A KR20080097229 A KR 20080097229A KR 20100037893 A KR20100037893 A KR 20100037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dryer
chain
conveyor
fixed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옥
임경운
임용현
Original Assignee
김영옥
임용현
임경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옥, 임용현, 임경운 filed Critical 김영옥
Priority to KR1020080097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7893A/ko
Publication of KR20100037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78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1Apparatus for 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6B15/12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the objects or batches of material being carried by transversely moving rollers or rods which may rot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6B15/1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the objects or batches of materials being carried by trays or racks or receptacles, which may be connected to endless chains or belts
    • F26B15/143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the objects or batches of materials being carried by trays or racks or receptacles, which may be connected to endless chains or belts the receptacles being wholly or partly foraminous, e.g. containing a batch of loos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기능성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물의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농산물 및 수산물의 건조효율을 높이고 신선도의 저하를 최소화시키는 건조기에 있어서, 체인이 상하 및 수평으로 이동하여 순환되기 위한 이동경로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스프로킷이 양측에 이격되어 각각의 대응되는 스프로킷이 연결축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순환 회전을 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양측 체인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설치되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에 매달아 체인의 이동에 따라 이송되며 건조물을 위치시키는 건조대가 개폐 가능한 개방부가 구성된 본체의 내부 건조실에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건조기를 개시한다.
Figure P1020080097229
건조기, 체인, 스프로킷, 컨베이어, 건조대

Description

복합 기능성 건조기{MULTIFUNCTIONAL DRYER}
본 발명은 복합 기능성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시키고자 하는 건조물의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 호환성 있는 건조대를 구성하기 위하여, 체인이 순환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스프로킷이 양측에 형성하여 순환경로를 이루는 컨베이어에 고정봉을 형성하고 연결고리를 이용하여 상기 건조대를 고정봉에 매달을 수 있도록 하여 건조대에 올려지는 건조물의 특성에 맞도록 건조대를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어 건조실 내에 정체되지 않고 순환하면서 건조되도록 하였으며, 건조실 개방부의 개폐 여부에 따라 자연풍에 의한 자연건조와 열공급에 따른 인공건조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건조효율을 높이고 건조물의 자연건조를 유도할 수 있는 복합 기능성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곡물 및 수산물은 장시간 보존하고 지니고 있는 영양분과 품질을 최상으로 하기 위하여 건조방법을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건조방법은 자연광선인 태양열 및 자연풍에 의한 자연건조를 원칙으 로 하고 있지만, 이와 같은 자연건조는 넓은 공간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일일이 펴주거나 거두러들이는 작업을 수회 반복해야 되기 때문에 많은 인력과 노력을 필요로 하였고, 또한 많은 양을 건조시키는데는 많은 어려움이 따랐다.
또한, 이러한 노동력이 소요됨에도 불구하고 일기 변화에 따른 자연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어 시간과 노력을 소비하게 되더라도 곡물 및 수산물의 건조물이 건조과정에서 쉽게 부패될 수 있어 건조물의 손실을 감수해야하고 기후 변화에 따라 품질의 변화가 큰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자연건조에서 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료를 이용하여 가동되는 기계적인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실 내부에 건조하고자 하는 곡물 및 수산물을 담아 일정시간 동안 밀폐된 공간에 열풍을 공급하게 되는데, 이러한 열풍공급장치는 하부에서 연소장치가 설치되고 열교환기의 하부에서 주입되는 새로운 기체가 열교환기 내부에서 상부로 상승한 후 열교환 된 후 상부로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열풍공급장치를 구비한 건조기는 하단은 저온이고 상부로 갈수록 고온을 유지하게 되므로 건조기 내부의 온도가 상이하여 건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 자연건조에서 발생하던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건조기는 건조하고자 하는 건조물의 특성에 따라 각기 달리 제작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건조물을 건조하기 위하여는 각각에 알맞는 건조기가 요구되어 사용자에게는 그만큼 비용부담이 커지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물의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 호환성 있는 건조대를 구성하고 상기 건조대에 컨베이어에 장착되어 건조물이 건조실 내에서 정체되어 있지 않고 컨베이어에 의해 순환하는 작동을 수회 반복되도록 함으로써 건조물의 건조상태 및 건조효율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건조기 본체에 개폐가 가능한 개방부를 구성하여 열풍 공급에 의한 인공건조 뿐만 아니라 자연풍 및 자연광선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자연건조와 인공건조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어 건조물의 자연건조를 유도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건조물의 특성에 맞도록 건조대를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어 건조물에 종류에 제약이 없이 다양한 종류의 곡물 및 수산물을 건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체인이 상하 및 수평으로 이동하여 순환되기 위한 이동경로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스프로킷이 양측에 이격되어 각각의 대응되는 스프로킷이 연결축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순환 회전을 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 이어의 양측 체인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설치되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에 매달아 체인의 이동에 따라 이송되며 건조물을 위치시키는 건조대가 개폐 가능한 개방부가 구성된 본체의 내부 건조실에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조대는 상부로는 고정봉에 매달기 위하여 다수의 연결고리를 형성하고, 하부로는 건조물을 고정할 수 있는 고리 또는 체반으로 이루어진 고정부재가 연결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건조실에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공급원과 건조실에서 발생된 열기와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구 및 송풍기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력을 전달받아 순환하도록 체인과 스프로킷의 배열로 이루지는 컨베이어에 고정봉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봉에 연결되는건조대에 건조물을 위치시켜 자연건조 및 인공건조를 선택하여 건조하는 방법으로 건조물의 종류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건조물을 건조할 수 있는 호환성 있는 건조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건조상태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조기 밀폐된 상태에서 인위적인 열풍의 공급에 의한 인공건조 뿐만 아니라 자연건조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기능성 건조기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 기능성 건조기의 전체 구성도로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장치들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 기능성 건조기는 개폐 가능한 개방부(12)가 구성된 본체(10)를 외관으로 하고 내부 공간은 건조실(11)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 체인(23)이 상하 및 수평으로 이동하여 순환되기 위한 이동경로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스프로킷(22)이 양측에 이격되어 각각의 대응되는 스프로킷이 연결축(24)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구동부(2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순환 회전을 하는 컨베이어(20)와 상기 컨베이어의 양측 체인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설치되는 고정봉(30)과 상기 고정봉에 매달다 체인의 이동에 따라 이송되며 건조물(50)을 위치시키는 건조대(40)가 구비되어 있어 본 발명에 의한 복합 기능성 건조기를 구성하게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복합 기능성 건조기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체인(23)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설치되는 고정봉(30)에 건조대(40)를 매달고 상기 건조대에 건조물(50)을 위치시켜 일정시간동안 건조실 내부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열공급원(13)에서 공급되는 열풍으로 인한 인공건조 또는 본체의 개방부(12)를 오픈하여 자연풍과 태양열의 유입에 따른 자연건조에 의하여 건조되어지게 한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인공건조 및 자연건조와 같은 어느 건조방법으로든 건조기의 본체(10)에는 건조실에서 발생된 열기와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구(14) 및 송풍기(15)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기구와 송풍기가 설치되는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자연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는 자연건조시에 발생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 일반적인 건조기는 버너 등의 열공급원을 건조기 내부의 일측에 구비하여, 이에 의한 열풍으로 곡물 및 수산물 등의 건조물을 건조되어지게 하는데, 이러한 열공급원의 위치가 고정되게 되어 건조실 내에서 온도가 상이하여 건조실 내에서의 건조물 위치에 따라 건조상태가 상이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조실에서 건조물이 일정한 위치에 정체되지 않고 건조실 공간을 전체적으로 순환하도록 구성하여 균일한 건조처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스프로킷(22)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나란히 적층 설치하고 그 스프로킷에 체인(23)을 걸어 상하 및 수평으로 이동경로를 따라 순화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스프로킷(22)은 구동부(21)에서 발생된 구동력은 전달하기 위하여 구동부에 구성된 모터와 연결되어 있는 구동부 스프로킷(22-1)과, 건조실 최상단에 위치한 상부 스프로킷(22-2, 22-3)과, 상기 구동부 스프로킷(22-1)과 같은 높이를 갖으며 건조실 최하단에 위치하는 하부 스프로킷(22-9)과, 상기 상부 스프로킷(22-3)과 하부 스프로킷(22-9)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지그재그로 적층되어 터닝구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중간 스프로킷(22-4,5,6,7,8)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스프로킷(22)의 배열에 의하여 상기 스프로켓에 걸린 체인(23)이 도면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면서 순환하게 되며, 이와 같은 스프로킷의 배열과 체인의 구성이 양측에 대응되도록 구성하여 각각 대응되는 스프로킷끼리 연결축(24)으로 연결하여 상기 구동력을 전달받아 순환 회전 하는 컨베이어(20)를 구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장치 중 컨베이어의 구성을 보인 일부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장치 중 건조대의 다양한 실시예를 참고로 하단에 상기한 구성요소들을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컨베이어(20)에 구성된 양측의 스프로킷(22-3, 22-3')이 연결축(24)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스프로킷에 각각 체인(23, 23')이 걸려 있는 상태가 도면에 도시되었으며, 상기 양측의 체인(23, 23') 사이에 일정 간격을 띄고 고정봉(30)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고정봉에 건조대(40)를 매달아 본 발명을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건조대(40)는 상기 고정봉(30)에 매달리기 위하여 상부로는 다수의 연결고리(41)를 형성하고, 하부로는 건조물(50)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가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고정부재를 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건조하고자 하는 건조대상물을 의미하는 건조물(50)인 고추, 벼, 약초, 어류, 오징어, 미역 및 다시마 등 농산물과 수산물에 따라 달리하여야 하는데, 일일이 널어야하는 어류 오징어 등과 같은 수산물의 특성에 맞도록 상기 고정부재를 다수의 고리(42)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고추 등과 같이 일일이 널수 없는 농산물의 특성에 따라 체반(43) 으로 상기 고정부재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형태는 상기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건조물의 형태와 특성에 따라 달리 할 수 있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건조대(40)를 구성하는 다수의 연결고리(41)의 하단에 건조물(50)을 고정하기 위한 고리(42) 또는 체반(43) 등의 고정부재를 연결고리와 연결하기 위하여 고정부재의 실시예에 따라 알맞는 연결부재(44)를 구성하게 되는데, 상기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다수의 고리(42)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고리와 고리를 연결하기 위한 매개체로 막대 또는 봉의 형태를 연결부재(44)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며, 체반(43)을 연결고리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루프 또는 체인의 형태를 연결부재(44)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a는 일일이 널어야하는 수산 건조물(50)을 건조하기 위한 것으로 건조대(40)를 구성하는 고정부재를 다수의 고리(42)로 형성하고, 상기 고리를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를 원형 봉을 이용한 형태가 도시되었으며, 도 3b는 고추를 건조물(50)로 하여 이를 건조하기 위하여 건조대(40)의 고정부재를 체반(43)으로 구성하여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건조물(50)의 특성에 따라 건조대(40)를 구성하는 각각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건조대(40)가 연결고리(41)에 의해 걸어지는 고정봉(30)이 상기 컨베이어의 양측 체인에 고정설치되기 위하여 상기 고정봉을 체인에 용접하여 고정할 수도 있겠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컨베이어 내측방향으로 체인에 돌출부(25)를 구성하여 상기 고정봉의 양 끝단과 볼트체결(31) 방법으로 이들을 고정 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건조대(40)가 고정봉(30)에 연결고리(41)의해 매다는 구성으로 인해 다수의 터닝구간을 형성되어 있는 본 발명에서 건조대가 상기 터닝구간을 이동할 때 건조대에 위치한 건조물(50)이 중력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하부를 향하도록 연결고리가 유동이 가능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복합 기능성 건조기를 이용한 건조물의 건조과정에서 건조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것과 같은 구성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물의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농산물 및 수산물의 건조효율을 높이고 신선도의 저하를 최소화시키는 복합 기능성 건조기로서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당업자로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설명을 고려하여 충분히 변경, 변환, 치환 및 대체할 수 있을 것이고,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 기능성 건조기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장치 중 컨베이어의 구성을 보인 일부 사시도
도 3a은 본 발명에 장치 중 건조대의 실시예
도 3b는 본 발명에 장치 중 건조대의 다른 실시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 11:건조실
12:개방부 13:열공급원
14:배기구 15:송풍기
20:컨베이어 21:구동부
22:스프로킷 23:체인
24:연결축 30:고정봉
40:건조대 41:연결고기
42:고리 43:체반
44:연결부재 50:건조물

Claims (3)

  1. 체인(23)이 상하 및 수평으로 이동하여 순환되기 위한 이동경로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스프로킷(22)이 양측에 이격되어 각각의 대응되는 스프로킷이 연결축(24)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구동부(2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순환 회전을 하는 컨베이어(20)와;
    상기 컨베이어의 양측 체인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설치되는 고정봉(30);
    상기 고정봉에 매달아 체인의 이동에 따라 이송되며 건조물(50)을 위치시키는 건조대(40);
    가 개폐 가능한 개방부(12)가 구성된 본체(10)의 내부 건조실(11)에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대(40)는
    상부로는 고정봉(30)에 매달기 위하여 다수의 연결고리(41)를 형성하고, 하부로는 건조물(50)을 고정할 수 있는 고리(42) 또는 체반(43)으로 이루어진 고정부재가 연결부재(44)에 의해 결합되어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건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는
    건조실에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공급원(13)과 건조실에서 발생된 열기와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구(14) 및 송풍기(1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건조기.
KR1020080097229A 2008-10-02 2008-10-02 복합 기능성 건조기 KR201000378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229A KR20100037893A (ko) 2008-10-02 2008-10-02 복합 기능성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229A KR20100037893A (ko) 2008-10-02 2008-10-02 복합 기능성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893A true KR20100037893A (ko) 2010-04-12

Family

ID=42214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229A KR20100037893A (ko) 2008-10-02 2008-10-02 복합 기능성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789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396B1 (ko) * 2010-06-29 2012-05-24 권태근 열풍 건조기
KR101250797B1 (ko) * 2011-05-11 2013-04-04 (주) 대동엔지니어링 밤 건조 및 탈피 장치
KR101451530B1 (ko) * 2013-12-26 2014-10-16 김충덕 편광 렌즈 필름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111586B1 (ko) * 2019-11-26 2020-05-15 (주)제이피텍 곶감 건조장치
CN115235197A (zh) * 2022-07-07 2022-10-25 四川雅妹子生态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风酱肉的热风干燥系统
CN115235197B (zh) * 2022-07-07 2024-06-11 四川雅妹子生态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风酱肉的热风干燥系统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396B1 (ko) * 2010-06-29 2012-05-24 권태근 열풍 건조기
KR101250797B1 (ko) * 2011-05-11 2013-04-04 (주) 대동엔지니어링 밤 건조 및 탈피 장치
KR101451530B1 (ko) * 2013-12-26 2014-10-16 김충덕 편광 렌즈 필름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WO2015099290A1 (ko) * 2013-12-26 2015-07-02 김충덕 편광 렌즈 필름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111586B1 (ko) * 2019-11-26 2020-05-15 (주)제이피텍 곶감 건조장치
CN115235197A (zh) * 2022-07-07 2022-10-25 四川雅妹子生态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风酱肉的热风干燥系统
CN115235197B (zh) * 2022-07-07 2024-06-11 四川雅妹子生态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风酱肉的热风干燥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37893A (ko) 복합 기능성 건조기
JP4293373B2 (ja) 遠赤外線乾燥システム、およびドラム型乾燥機、ならびに布団乾燥施設とそれを用いた布団遠赤外線乾燥方法
KR20140070871A (ko) 농산물 건조장치
CN203194411U (zh) 一种面条烘干房
KR101245914B1 (ko) 건조오징어의 가공장치
CN108906761A (zh) 一种基于计算机控制的畜牧草料清洗干燥装置
KR200455426Y1 (ko) 식료품 건조기
KR200408687Y1 (ko) 시소형 건조기
CN104824738B (zh) 一种油炸花生加工的实现方法
CN207095236U (zh) 一种黄花菜烘干设备
JP2011163742A (ja) 天日干し式乾燥装置
CN206146141U (zh) 一种化学保鲜花干燥装置
CN105486043B (zh) 一种高效谷物烘干机
TWM534994U (zh) 懸吊轉動式均溫烘焙裝置及運用其之負壓輻射加熱乾燥烘焙機
KR20140100649A (ko) 농산물 건조장치
CN212087881U (zh) 一种鳗鱼干生产用烘干箱
KR100761770B1 (ko) 농수산물 건조방법과 건조장치
KR101378742B1 (ko) 열풍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품 건조기
CN214842255U (zh) 草类烘干机
CN208653138U (zh) 食品干燥装置
CN205079561U (zh) 用于灵芝干燥的烘干机
CN211373134U (zh) 一种可自动控温的网带式烘干机
CN209965205U (zh) 一种蛋鸡高峰料生产装置的脱水机构
CN208846888U (zh) 一种食品加工用食品干燥装置
KR101700778B1 (ko) 멸치 자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