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586B1 - 곶감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곶감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1586B1
KR102111586B1 KR1020190153305A KR20190153305A KR102111586B1 KR 102111586 B1 KR102111586 B1 KR 102111586B1 KR 1020190153305 A KR1020190153305 A KR 1020190153305A KR 20190153305 A KR20190153305 A KR 20190153305A KR 102111586 B1 KR102111586 B1 KR 102111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main body
delete delete
ai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일
홍새암
Original Assignee
(주)제이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피텍 filed Critical (주)제이피텍
Priority to KR1020190153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5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6Humidity by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drying medium, which may be recycled, e.g. using a heat pump cy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5Food storage or conservation, e.g. cooling or d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곶감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곶감 건조장치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박스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부재와; 상기 본체 내부에 열을 공급하는 가열부재와; 탈피한 감이 거치된 곶감걸이구를 상기 본체 내부에서 수평으로 순환시키는 수평이송부재; 및 상기 제습부재와 상기 가열부재와 상기 수평이송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습부재는 열펌프의 냉각관에 의하여 공기가 이슬점 이하로 냉각되면서 발생하는 결로 현상에 의하여 습기가 제거되고, 상기 가열부재는 열펌프의 가열관에 의하여 공기에 열을 공급하고, 상기 수평이송부재는 수평체인에 의하여 상기 곶감걸이구가 수평으로 순환 이송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열펌프의 상기 냉각관은 상기 증발덕트에 내장되어 습기를 제거하고, 냉매가 응축되어 열이 발생되는 상기 가열관은 상기 응축덕트에 내장되어 공기에 열을 공급하게 되므로 에너지 효율이 증대되게 되고, 상기 수평이송부재에 의하여 탈피된 감이 상기 본체 내부에 전체면적을 순환되므로 전체의 감이 동일한 습도와 온도에 노출되므로 곶감의 품질이 균일하게 이루어져서 상품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곶감 건조장치{APPARATUS DRYING FOR DRIED PERSIMMON}
본 발명은 곶감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산되는 곶감의 품질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고 특히 외부의 오염물질이 차단되어 위생적인 곶감을 만들 수 있는 곶감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곶감의 제조방법은 감을 깎아서 높은 온도로 일정시간 건조를 하는 건조기간을 거치고, 건조되는 감에서 과즙이 나오지 않으면 온도를 낮춘 이후,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약 50일정도의 장시간동안 숙성시키는 숙성기간을 거친다.
숙성기간 중, 감을 보관할 때, 감 표면에 곰팡이가 슬지 않도록 겉 표면에 이슬 또는 물이 닿지 않도록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곶감은 12월부터 1월이 제철이기 때문에, 곶감의 맛과 품질을 위해 숙성기간 중 감은 섭씨 20도보다 아래로 관리되어 보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는 건조가 끝난 감을 숙성기간인 50일동안 곶감을 보관 또는 숙성을 하기 위해 야외에서 자연건조를 하였다. 하지만, 야외에서 자연건조중인 곶감은 우천 또는 안개로 인한 습기에 쉽게 노출될뿐더러, 온난화문제로 평균온도가 상승하여 곶감이 생산되는 가을, 겨울에도 곶감에 습기는 문제가 있다.
숙성중인 곶감이 습기에 노출되면, 곶감 표면에 곰팡이가 슬기 때문에, 곰팡이를 제거하기가 쉽지 않고, 식용 또는 판매도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근래에는 일손이 부족한 실정과 빠른 시간에 건조를 수행하고 상품의 생산주기를 단축하여 농가소득을 높이려는 목적으로 기계적인 수단을 이용한 건조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건조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개발되었으며, 초기에는 기름을 연소시켜 건조를 수행하는 장치가 주를 이루었으나 유류가격의 상승과 더불어 건조된 상품에서 기름냄새가 발생하는 문제로 인하여 근래에는 전기히터와 가스를 열원으로 하는 건조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전기력으로 탄소발열체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이와 같이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탈피된 감을 건조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이 적용된 건조장치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곶감건조용 건조기(등록특허공보 제 10-1085055호 곶감건조용 건조기)"가 있으며 이의 구성을 도 6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00으로 도시한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상기 곶감건조용 건조기는 기계실(110), 건조실(120) 및 훈증실(130)을 주요 구성으로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상기 기계실(110)은 전기력으로 탄소발열체(111)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하고, 송풍기(112)를 통해 열풍을 방출한다. 상기 탄소발열체(111)는 상기 송풍기(112)와 밀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기(112)를 통하여 상기 탄소발열체(111)의 열기를 상기 덕트(113)를 통해 후술하는 건조실(120)로 보내는 바, 이러한 상기 탄소발열체(111)는 유리관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형발열체나 면상발열체 중 하나를 택일하여 사용한다.
상기 탄소발열체(111)는 반영구적이며 다량의 적외선 방출로 인하여 사용자의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준다고 한다.
또, 상기 건조실(120)은 상기 기계실(110) 내의 안착대(121)상에 적재되는 걸림판(122)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판(122)에 탈피한 감(P)을 거치하여 건조하는 건조구(140)를 구비한다.
상기 건조실(120)은 상술한 탄소발열체(111)의 열기를 상기 송풍기(112)를 통하여 상기 턱트(113)상에 유입시켜 상기 건조실(120)의 내부로 순환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건조실(120)은 상부 양측에 형성되는 안착대(121)의 상단에 걸림판(122)이 안착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기 걸림판(122)은 사각판형태의 내부에 다수의 철사나 줄이 일자형태 또는 십자형태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걸림판(122)상에는 건조구(140)가 거치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건조실(120)의 하부에는 상기 훈증실(130)이 구비되고, 내부에 유황훈증을 실시하기 위한 유황통(131)을 구비한다. 상기 훈증실(130)은 상술한 건조실(120)과 연통되어 외, 내부로 삽입과 이탈이 가능하도록 유황통(131)을 구비하여 내부에 유황을 담아 감의 색이 변질되지 않도록 유황을 태워 유황훈증을 실시한다.
이러한, 유황훈증은 감의 과육 내에 형성되는 탄닌등의 폴리페놀물질이 건조 중에 산화되어 흑색으로 변하는 것을 방지하여 곶감의 색을 좋게 하고,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한고 한다. 이는, 유황을 태우게 되면 아황산가스가 발생해 감 표면의 수분상에 흡수되어 환원성이 강한 유황수로 변화하여 발생하게 됨으로 질이 향상된다고 한다.
특허문헌1: 등록특허공보 제10-1729119호(2017.04.24 공고) "냉장과 난방, 제습용 응축기를 이용한 곶감 건조기" 특허문헌2: 등록특허공보 제10-1849565호(2018.04.17 공고) "곶감제조장치, 곶감제조장치의 제어기, 곶감제조시스템, 곶감제조장치의 제어방법, 곶감제조장치의 건조방법, 곶감제조장치의 숙성방법, 및 곶감제조방법" 특허문헌3: 등록특허공보 제10-1042678호(2011.06.20 공고) "곶감건조방법" 특허문헌4: 등록특허공보 제10-1348977호(2014.01.10 공고) "곶감의 냉동변온건조 방법" 특허문헌5: 등록특허공보 제10-1827896호(2018.02.09 공고) "컨테이너형 곶감 건조기"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상기 "곶감건조용 건조기(등록특허공보 제 10-1085055호 곶감건조용 건조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상기 건조실(120) 내부에는 상부와 하부 그리고 가장자리와 중앙 위치에 따라서 온도와 습도가 서로 상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건조실(120) 내부에 수용되는 복수의 탈피된 감은, 각각의 위치에 따라서 건조되는 속도과 건조되는 상태가 서로 상이하여 곶감의 품질이 균일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곶감에 미생물이 번식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훈증실(130)에서 유황(Sulfur)을 훈증하게 되고, 이렇게 훈증되는 유황은 감의 표면에 흡착되게 된다. 하지만, 광물성 유황을 태울 때, 광물성 유황이 산소와 결합하고, 산소와 결합된 유황은 이산화황으로 화학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이산화황은 대기 중의 수분과 만나 산성비의 주범이 되고, 이산화황이 곶감 표면에 달라붙어, 곶감을 먹는 사람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건조실 내부에 열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기력으로 상기 탄소발열체(111)를 가열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방식으로는 에너지가 많이 사용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탈피된 감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고, 특히 탈피된 감을 건조시켜 생산되는 곶감의 품질이 균일하여 상품성이 증대되며, 친환경적이고 위생적인 곶감을 제조할 수 있는 곶감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며, 중공부가 형성되는 박스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부재와; 상기 본체 내부에 열을 공급하는 가열부재와; 탈피한 감이 거치된 곶감걸이구를 상기 본체 내부에서 수평으로 순환시키는 수평이송부재; 및 상기 제습부재와 상기 가열부재와 상기 수평이송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습부재는 열펌프의 냉각관에 의하여 공기가 이슬점 이하로 냉각되면서 발생하는 결로 현상에 의하여 습기가 제거되며,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열펌프의 가열관에 의하여 공기에 열을 공급하고, 상기 수평이송부재는 수평체인에 의하여 상기 곶감걸이구가 수평으로 순환 이송되고,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는 증발덕트와 순환덕트와 응축덕트를 경유하면서 순환하고, 외부 공기가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며, 상기 증발덕트에는 상기 열펌프에 연결되는 상기 냉각관이 장착되어서 상기 본체에서 유입된 공기에서 습기를 제거하고, 상기 응축덕트에는 상기 열펌프에 연결되는 상기 가열관이 장착되어서 상기 증발덕트에서 습기가 제거된 저습저온의 공기에 열을 공급하고, 상기 순환덕트에는 순환팬이 장착되어서 상기 증발덕트의 저습저온의 공기를 상기 응축덕트로 이송시키며, 상기 증발덕트는 상기 본체의 상부와 연통되고, 상기 응축덕트는 상기 본체의 하부와 연통되고, 상기 열펌프에는 응축기, 증발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열펌프의 냉매가 증발하는 상기 냉각관은 상기 증발덕트에 내장되어 습기를 제거하고, 냉매가 응축되어 열이 발생되는 응축기의 상기 가열관은 상기 응축덕트에 내장되어 공기에 열을 공급하게 되므로 에너지 효율이 증대되게 되고, 상기 수평이송부재에 의하여 탈피된 감이 상기 본체 내부에 전체면적을 순환되므로 전체의 감이 동일한 습도와 온도에 노출되므로 곶감의 품질이 균일하게 이루어져서 상품성이 증대되며, 특히 공기의 순환이 상기 본체와 복수의 상기 덕트 내부에서 순환되어서 외부공기에 포함될 수 있는 세균이나 오염물로부터 차단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곶감 건조장치의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곶감 건조장치의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곶감 건조장치의 평면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곶감 건조장치의 전면 단면도.
도 5는 열펌프와 냉각관과 가열관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곶감건조용 건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에 있어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곶감 건조장치의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이고, 도 2는 배면에서 바라본 곶감 건조장치의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으로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곶감 건조장치는 본체(20), 제습부재, 가열부재, 열펌프(50) 및 제어부(조작패널, 3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열펌프(50)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는데, 상기 냉동 사이클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장치 및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가 포함된다.
상기 제습부재는 상기 본체(20)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게 되고,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본체(20) 내부에 열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탈피한 감이 거치된 곶감걸이구(5)를 상기 본체(20) 내부에서 수평으로 순환시키는 수평이송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제습부재와 상기 가열부재와 상기 수평이송부재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30)가 구비된다.
상기 제습부재는 상기 열펌프(50)의 냉각관(51)에 의하여 공기가 이슬점 이하로 냉각되면서 발생하는 결로 현상에 의하여 습기가 제거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관(51)은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관으로서, 상기 냉각관(51)에서는 냉매가 증발하면서 상기 증발덕트(81) 내부의 공기를 냉각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냉각관(51)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열펌프(50)에 내장된 증발관(미도시)과 연결된 관으로, 상기 증발관이 냉각되면 상기 냉각관(51)도 냉각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열펌프(50)의 상기 가열관(55)에 의하여 공기에 열을 공급하게 되는데, 상기 가열관(55)은 상기 열펌프(50)와 연결되어 있고 냉매가 응축되면서 상기 응축덕트(85)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게 되는 관이다.
상기 냉각관(51)과 같이, 상기 가열관(55)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열펌프(50)에 내장된 응축관(미도시)과 연결된 관으로, 상기 응축관이 가열되면 상기 가열관(55)도 가열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수평이송부재는 수평체인(41)에 의하여 상기 곶감걸이구(5)가 수평으로 순환 이송되게 된다.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체인(41)은 구동모터(47)에 의하여 구동되고, 상기 구동모터(47)의 구동력은 구동체인(43)과 구동휠(45)을 경유하여서 상기 수평체인(41)을 수평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본체(20) 내부의 전체면을 경유하면서 순환된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47)는 상기 제어부(제어패널, 30))에 의하여 제어된다.
상기 본체(20) 내부의 공기는 상기 증발덕트(81)와 상기 순환덕트(83)와 상기 응축덕트(85)를 경유하면서 순환되게 되는데,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발덕트(81)에는 상기 열펌프(50)에 연결되는 상기 냉각관(51)이 장착되어서 상기 본체(20)에서 유입된 공기에서 습기를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덕트(85)에서는 상기 열펌프(50)에 연결되는 상기 가열관(55)이 장착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증발덕트(81)에서 습기가 제거된 저습저온의 공기는 상기 응축덕트(85)에 구비된 상기 가열관(55)에 의하여 열을 공급받게 된다.
또한, 상기 순환덕트(83)에는 순환팬(87)이 추가로 장착되어서 상기 증발덕트(81)의 저습저온의 공기를 상기 응축덕트(85)로 이송시키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발덕트(81)는 상기 본체(20)의 상부와 연통되고, 상기 응축덕트(85)는 상기 본체(20)의 하부와 연통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0) 내부의 공기는 상기 증발덕트(81)와 상기 순환덕트(83)와 상기 응축덕트(85)를 경유하면서 순환하고, 외부 공기가 상기 본체(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열이 공급된 고온저습한 공기는 상기 본체(20)의 하부에서 공급되어 상부로 상승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본체(20)의 내부의 공기가 균일하게 가열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냉동 사이클의 냉매가 증발하는 상기 냉각관(51)은 상기 증발덕트(81)에 내장되어 습기를 제거하고, 냉매가 응축되어 열이 발생되는 응축기의 상기 가열관(55)은 상기 응축덕트(85)에 내장되어 공기에 열을 공급하게 되므로 상기 열펌프(50)의 에너지 효율이 증대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곶감 건조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곶감 건조장치 20: 본체
41: 수평체인 43: 구동체인
45: 구동휠 50: 열펌프
51: 냉각관 55: 가열관
81: 증발덕트 83: 순환덕트
85: 응축덕트 87: 순환팬

Claims (12)

  1. 중공부가 형성되는 박스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부재와; 상기 본체 내부에 열을 공급하는 가열부재와; 탈피한 감이 거치된 곶감걸이구를 상기 본체 내부에서 수평으로 순환시키는 수평이송부재; 및 상기 제습부재와 상기 가열부재와 상기 수평이송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습부재는 열펌프의 냉각관에 의하여 공기가 이슬점 이하로 냉각되면서 발생하는 결로 현상에 의하여 습기가 제거되며,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열펌프의 가열관에 의하여 공기에 열을 공급하고,
    상기 수평이송부재는 수평체인에 의하여 상기 곶감걸이구가 수평으로 순환 이송되고,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는 증발덕트와 순환덕트와 응축덕트를 경유하면서 순환하고, 외부 공기가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며,
    상기 증발덕트에는 상기 열펌프에 연결되는 상기 냉각관이 장착되어서 상기 본체에서 유입된 공기에서 습기를 제거하고,
    상기 응축덕트에는 상기 열펌프에 연결되는 상기 가열관이 장착되어서 상기 증발덕트에서 습기가 제거된 저습저온의 공기에 열을 공급하고,
    상기 순환덕트에는 순환팬이 장착되어서 상기 증발덕트의 저습저온의 공기를 상기 응축덕트로 이송시키며,
    상기 증발덕트는 상기 본체의 상부와 연통되고, 상기 응축덕트는 상기 본체의 하부와 연통되고,
    상기 열펌프에는 응축기, 증발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곶감 건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90153305A 2019-11-26 2019-11-26 곶감 건조장치 KR102111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305A KR102111586B1 (ko) 2019-11-26 2019-11-26 곶감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305A KR102111586B1 (ko) 2019-11-26 2019-11-26 곶감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1586B1 true KR102111586B1 (ko) 2020-05-15

Family

ID=70678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305A KR102111586B1 (ko) 2019-11-26 2019-11-26 곶감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58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8777A (ko) * 2007-03-08 2008-02-28 이영도 농수산물 및 축산물 건조기
KR20100037893A (ko) * 2008-10-02 2010-04-12 김영옥 복합 기능성 건조기
KR101042678B1 (ko) 2008-07-11 2011-06-20 경상북도 상주시 곶감건조방법
KR101348977B1 (ko) 2011-11-07 2014-01-10 한국식품연구원 곶감의 냉동변온건조 방법
KR20170003070A (ko) * 2015-06-30 2017-01-09 김지일 냉장과 난방, 제습용 응축기를 이용한 곶감 건조기
KR101827896B1 (ko) 2016-03-21 2018-02-09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컨테이너형 곶감 건조기
KR101849565B1 (ko) 2016-07-14 2018-04-17 최수인 곶감제조장치, 곶감제조장치의 제어기, 곶감제조시스템, 곶감제조장치의 제어방법, 곶감제조장치의 건조방법, 곶감제조장치의 숙성방법, 및 곶감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8777A (ko) * 2007-03-08 2008-02-28 이영도 농수산물 및 축산물 건조기
KR101042678B1 (ko) 2008-07-11 2011-06-20 경상북도 상주시 곶감건조방법
KR20100037893A (ko) * 2008-10-02 2010-04-12 김영옥 복합 기능성 건조기
KR101348977B1 (ko) 2011-11-07 2014-01-10 한국식품연구원 곶감의 냉동변온건조 방법
KR20170003070A (ko) * 2015-06-30 2017-01-09 김지일 냉장과 난방, 제습용 응축기를 이용한 곶감 건조기
KR101729119B1 (ko) 2015-06-30 2017-04-24 김지일 냉장과 난방, 제습용 응축기를 이용한 곶감 건조기
KR101827896B1 (ko) 2016-03-21 2018-02-09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컨테이너형 곶감 건조기
KR101849565B1 (ko) 2016-07-14 2018-04-17 최수인 곶감제조장치, 곶감제조장치의 제어기, 곶감제조시스템, 곶감제조장치의 제어방법, 곶감제조장치의 건조방법, 곶감제조장치의 숙성방법, 및 곶감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8269B2 (en) Hybrid dry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hybrid drying system
KR101255073B1 (ko) 제습식 농산물 건조기
KR101629409B1 (ko) 재가열방식을 이용한 건조장치.
CN102997567A (zh) 冷藏库冷风机内蒸发器的压差式除霜装置
KR101874163B1 (ko) 상온 건조 시스템
JP2016223659A5 (ko)
KR101154329B1 (ko) 반건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50146235A (ko) 냉동사이클을 이용한 다목적 건조기
KR20110023450A (ko) 농산물 건조장치
KR101070768B1 (ko)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2036474B1 (ko) 건조 장치
KR102111586B1 (ko) 곶감 건조장치
BG63980B1 (bg) Сушилня
KR101536978B1 (ko) 식품건조장치
KR20180067069A (ko) 냉온풍 제습 건조기
KR101319145B1 (ko) 보조가열장치가 부착된 식품 건조기
CN107631426A (zh) 除湿系统控制方法
KR20090131562A (ko) 응축기 발생열을 이용한 건조장치
JP2016199503A (ja) ドライフラワー又はドライフルーツ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3189319U (ja) 冷凍品の解凍装置
KR102392052B1 (ko) 풍향 전환식 농산물 건조기
US10412980B2 (en) Dehydrator with intelligent temperature control
JP3634492B2 (ja) 植物苗高湿度処理装置
KR200420290Y1 (ko) 의류 건조기
KR200314763Y1 (ko) 바이오 열펌프식 건조 및 저온저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