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9119B1 - 냉장과 난방, 제습용 응축기를 이용한 곶감 건조기 - Google Patents

냉장과 난방, 제습용 응축기를 이용한 곶감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9119B1
KR101729119B1 KR1020150093246A KR20150093246A KR101729119B1 KR 101729119 B1 KR101729119 B1 KR 101729119B1 KR 1020150093246 A KR1020150093246 A KR 1020150093246A KR 20150093246 A KR20150093246 A KR 20150093246A KR 101729119 B1 KR101729119 B1 KR 101729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pipe
dehumidifying
heating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070A (ko
Inventor
김지일
Original Assignee
김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일 filed Critical 김지일
Priority to KR1020150093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9119B1/ko
Publication of KR20170003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7/024Freeze-drying, i.e. cryodessication or lyoph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or velocity of the primary air
    • F24F3/0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or velocity of the primary air operating with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관 변과 냉동판 역할을 수행하는 2대의 응축기 및 제습판 역할을 수행하는 응축기를 통하여 가스의 공급 라인을 선택함에 따라서 곶감 건조기 내부의 온도와 습도에 따른 냉장과 난방 및 제습의 기능을 제공하여 설정된 온도와 습도를 안정되게 유지하여 신속한 곶감의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과 난방, 제습용 응축기를 이용한 곶감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콤프레샤와 연결되는 모터 펌프로부터 가스를 4관변으로 공급관에서 공급하고 상기 4관 변과 연결된 유압관으로 공급받아 건조실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곶감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4관 변과 응축 연결관으로 연결하며 제1 냉동판을 겸하는 제1 응축기와;
상기 제1 응축기와 제1 연결관으로 연결하는 밸브장치와;
상기 밸브장치와 연결하며 제2 냉동판을 겸하는 제2 응축기와;
상기 제2 응축기와 연결하며 제습 전자변을 설치한 제습관이 연결되고 제습판을 겸하는 제3 응축기와;
상기 제2 응축기와 연결하며 공급 전자변과 공급 체크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제3 응축기와 4관 변을 연결한 제습 연결관에 연결되는 난방 배출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과 난방, 제습용 응축기를 이용한 곶감 건조기{Refrigerated and Heating, persimmon for a condenser dryer with dehumidification}
본 발명은 냉장과 난방, 제습용 응축기를 이용한 곶감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4관 변과 냉동판 역할을 수행하는 2대의 응축기 및 제습판 역할을 수행하는 응축기를 통하여 가스의 공급 라인을 선택함에 따라서 곶감 건조기 내부의 온도와 습도에 따른 냉장과 난방 및 제습의 기능을 제공하여 설정된 온도와 습도를 안정되게 유지하여 신속한 곶감의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과 난방, 제습용 응축기를 이용한 곶감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곶감을 생산하는 경우 박피 제거가 끝난 감을 일정 길이의 꼬챙이나 실에 엮어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약 45일 정도의 장시간 동안 자연건조를 통하여 생산하였다.
상기와 같이 장시간 곶감을 관리해야 하므로 잦은 손질로 인한 인건비가 상승하고 건조기간 내 잦은 비 또는 안개 등으로 습도가 상승할 때에는 곶감의 색상이 검붉게 변하게 되고, 당도가 저하하며, 청결하지 못한 곶감이 다량 생산되므로 품질이 균일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결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결점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건조기는 실용신안등록 제0419355호에 게재된 바와 같이, 전기히터에 의해 데워진 공기를 브로워로 건조실에 송풍하고, 흡입하면서 순환시켜 건조실에 여러 단으로 적층된 채반의 농수산물을 건조하는 농수산물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의 상단부에 전기히터로 공기를 데우는 예열실을 마련한 것과; 상기 건조실의 내부 모서리와 양 측면 가운데에 여러 개의 분사 구멍이 형성된 열풍 공급관을 수직으로 세워 상기 열풍 공급관의 상단부가 예열실과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건조실의 양측 앞쪽에 형성된 열풍 공급관은 안쪽 측면과 배면에 분사 구멍을 형성하고, 뒤쪽에 형성된 열풍 공급관은 안쪽측면과 정면에 분
사 구멍을 형성하며, 이들 가운데 형성된 열풍 공급관은 안쪽 측면과 정, 배면에 분사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전기히터에 의해 데워진 공기가 건조실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열풍이 농수산물 전체에 균일하게 분사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반면, 열풍에 의해 농산물에서 증발하는 수분에 의해서 농수산물이 제대로 건조되지 않아 상품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장시간 건조시켜야 하고 그에 따라 유지비용이 상승하는 결점이 있었다.
그리고 다른 일반적인 건조기는 냉풍과 온풍을 차례로 송풍하기 위하여 냉풍기와 온풍기를 설치한 다음, 먼저 온풍기에 농수산물을 넣고 가동하여 적절히 건조시킨 뒤, 이를 다시 냉풍기로 옮겨서 냉풍을 가하여 농수산물을 건조하는 형태가 있으나, 냉풍기와 온풍기를 따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시간에 맞추어 각 장치로 옮겨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의 결점을 방지하기 위한 본 출원인의 발명특허 제1149506호(2012. 05. 17. 등록)는 흡입구를 설치한 도어를 일측에 형성한 몸체의 상측으로 송풍횐을 연결하고, 상기 몸체의 일측으로 배출관이 외부에 연결하고 배출횐을 설치한 제1 응축기를 설치하며, 상기 도어의 일측으로 제습판와 제1 응축기 및 가열기를 연속해서 설치하여 건조실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곶감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제습판에 연결한 제1 보조관과 연결한 전자변에서 제1 응축기에 연결한 제2 보조관을 갖고, 상기 제1 보조관과 제2 보조관을 전자변을 건너 띠게 모세관으로 연결하며, 상기 제습판과 연결한 제3 보조관과 분리관 및 제4 보조관이 연결되고 콤프레샤와 압축공기 공급관으로 연결된 사관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사관변은 콤프레샤와 압축공기 공급관이 연결되고, 제2 응축기와 제4 보조관으로 연결되며, 액분리기와 분리관으로 연결하는 것과;
상기 압축공기 공급관에는 제어부가 연결되어 내부의 온도에 따라 제2 응축기를 구동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곶감 건조기 내부의 다양한 온도와 습도의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으며, 곶감 건조기의 내부 냉장과 난방 및 제습과 같은 다양한 온도 조건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기에는 부족하여 이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문헌 1. 특허공개번호 제10-2011-0100719호(2011. 09. 05. 공개) 문헌 2. 특허등록번호 제0503971호(2005. 07. 19. 등록) 문헌 3. 특허공개번호 제10-2011-0029352호(2011. 03. 23. 공개) 문헌 4. 특허공개번호 제10-2009-0098269호(2009. 09. 17. 공개) 문헌 5. 특허등록번호 제1149506호(2012. 05. 17.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콤프레샤와 연결되는 모터펌프의 가스가 4관 변을 통하여 냉장과 난방 및 제습시에 각 방향으로 공급 및 유입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면서 곶감 건조기의 설정 온도와 습도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제1 냉동판 기능을 수행하는 제1 응축기와 제2 냉동판 기능을 수행하는 제2 응축기 및 제습판 역할을 수행하는 제3 응축기를 통하여 곶감 건조기의 설정 온도와 습도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콤프레샤와 연결되는 모터 펌프로부터 가스를 4관변으로 공급관에서 공급하고 상기 4관 변과 연결된 유압관으로 공급받아 건조실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곶감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4관 변과 응축 연결관으로 연결하며 제1 냉동판을 겸하는 제1 응축기와;
상기 제1 응축기와 제1 연결관으로 연결하는 밸브장치와;
상기 밸브장치와 연결하며 제2 냉동판을 겸하는 제2 응축기와;
상기 제2 응축기와 연결하며 제습 전자변을 설치한 제습관이 연결되고 제습판을 겸하는 제3 응축기와;
상기 제2 응축기와 연결하며 공급 전자변과 공급 체크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제3 응축기와 4관 변을 연결한 제습 연결관에 연결되는 난방 배출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건조기를 통한 콤프레샤와 연결되는 모터펌프의 가스가 4관 변을 통하여 냉장과 난방 및 제습을 각각 선택하면 각 방향으로 난방과 냉동 및 제습을 위한 가스의 공급이 이루어져 건조기의 설정온도와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안정되게 순환되면서 곶감 건조기의 설정 온도와 습도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냉동판 기능을 수행하는 제1 응축기와 제2 냉동판 기능을 수행하는 제2 응축기 및 제습판 역할을 수행하는 제3 응축기가 각각 난방과 냉동 및제습에 따른 이동과정을 통하여 곶감 건조기의 설정 온도와 습도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균일한 고품질의 곶감을 건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냉동상태에 대한 흐름을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습 상태에 대한 흐름을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난방 상태에 대한 흐름을 나타낸 설치상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도이고, 도2 는 본 발명의 냉동상태에 대한 흐름을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3 은 본 발명의 제습 상태에 대한 흐름을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난방 상태에 대한 흐름을 나타낸 설치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곶감 건조기는 직육면체의 공간 갖도록 설치하며, 상기 공간의 한쪽으로 건조실에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횐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공간의 일측에는 건조실에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거나 건조실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이 설치된다.
상기 공간의 외부에는 도시하지 않는 컨트롤박스를 설치하여 건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한 부분에는 각종 부품을 설치하여 설정된 냉장, 난방 제습의 선택에 따라서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여 제어하는 것이다.
건조실과 연결되어 도시하지 않은 콤프레샤와 연결되는 모터 펌프(10)는 4관 변(12)과 공급관(11)으로 연결되어 가스 또는 공기를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 4관 변(12)에는 유입관(27)이 모터 펌프(10)와 연결되어 공급된 가스 또는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여 건조기에 재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4관 변(12)에 연결되는 응축 연결관(13)은 제1 냉동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제1 응축기(14)에 연결하고, 상기 제1 응축기(14)에 연결되는 제1 연결관(15)은 밸브장치(5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밸브장치(50)는 제1 연결관(15)과 연결되는 건조관(16)에 건조 전자변(17)과 건조 체크밸브(18)를 통하여 제2 냉동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제2 응축기(19)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관(15)과 연결되는 냉동관(22)에 냉동 전자변(21)과 냉동 모세관(20)을 통하여 제2 냉동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제2 응축기(19)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연결관(15)과 연결되는 난방관(33)에 난방 체크밸브(32)와 난방 모세관(31)을 통하여 제2 냉동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제2 응축기(19)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2 응축기(19)는 제습관(24)을 통하여 제습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제3 응축기(25)와 연결되며, 상기 제습관(24)에는 제습 전자변(2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응축기(19)는 난방 배출관(28)을 통하여 제습 연결관(26)과 연결되며, 상기 제습 연결관(26)에는 공급 전자변(29)과 공급 체크밸브(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습 연결관(26)은 제3 응축기(25)와 4관 변(12)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시하지 않은 건조실에 박피 작업을 종료한 감을 채반이나 건조 망 등에 올려놓는 공급을 종료한 후 곶감의 출하 시기에 맞추어 건조작업을 종료할 날짜를 예측하여 작업일수를 10∼20일 정도의 범위에서 설정하여 건조작업을 진행할 온도와 습도를 설정한다.
그러면 전원이 공급되어 콤프레샤와 연결된 모터 펌프(10)가 가동되어 건조실의 공기를 흡입하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열을 흡수하게 되고, 응축기를 통하여 공기를 냉장, 난방, 제습을 통하여 설정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시하지 않은 콤프레샤를 통하여 압축공기를 모터 펌프(10)에서 공급관(11)으로 4관 변(12)에 공급되도록 하고, 냉장과 제습(건조) 및 난방에 따라서 가스의 흐름이 달라지므로 각 조건에 따라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습에 대하여 설명하면, 공급관(11)을 통하여 모터 펌프(10)에서 공급되는 가스가 4관 변(12)에서 응축 연결관(13)으로 공급되어 제1 응축기(14)에 공급되면 제1 응축기(14)는 -30∼35℃의 범위에서 1차로 응축작용을 수행하고, 제1 응축기(14)에서 응축된 가스는 제1 연결관(15)을 통하여 밸브장치(50)의 건조관(16)으로 공급된 후 건조 전자변(17)과 건조 체크밸브(18)를 통하여 제2 응축기(19)에 공급된다.
상기 제2 응축기(19)에서 -30∼35℃의 범위에서 1차로 응축작용을 수행하고, 제2 응축기(19)에서 응축된 가스는 제습관(24)에서 제습 전자변(23)을 통하여 제3 응축기(25)에 공급되며, 제3 응축기(25)는 제습판 작용을 통하여 가스를 제습하여 원하는 온도와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후 제습 연결관(26)을 통하여 4관 변(12)에 공급되면 상기 4관 변(12)은 유입관(27)을 통하여 모터펌프(10)로부터 건조기로 공급되는 과정을 통하여 제습 상태를 통한 온도와 습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냉장에 대하여 설명하면, 공급관(11)을 통하여 모터 펌프(10)에서 공급되는 가스가 4관 변(12)에서 응축 연결관(13)으로 공급되어 제1 응축기(14)에 공급되면 제1 응축기(14)는 -30∼35℃의 범위에서 1차로 응축작용을 수행하고, 제1 응축기(14)에서 응축된 가스는 제1 연결관(15)을 통하여 밸브장치(50)의 냉동관(22)으로 공급된 후 냉동 전자변(21)과 냉동 모세관(20)을 통하여 제2 응축기(19)에 공급된다.
상기 제2 응축기(19)는 제2 냉동판 작용을 통하여 설정된 온도로 변환되도록 한 후 난방 배출관(28)으로 변환된 온도의 가스를 공급하여 공급 전자변(29)과 공급 체크밸브(30)에서 4관 변(12)으로 공급된 후 상기 4관 변(12)에서 유입관(27)을 통하여 모터펌프(10)로부터 건조기로 공급되는 과정을 통하여 냉장 상태를 통한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난방상태를 설명하면 공급관(11)을 통하여 모터 펌프(10)에서 공급되는 가스가 4관 변(12)에서 제습 연결관(26)을 통하여 제3 응축기(25)에 공급되면 제3 응축기(25)는 -30∼35℃의 범위에서 1차로 응축작용을 수행하고, 제3 응축기(25)에서 응축된 가스는 제습관(24)의 제습 전자변(23)을 통하여 제2 응축기(19)로 공급되어 상기 제2 응축기(19)가 제2 냉동판 작용을 통하여 온도를 2차로 제어하고 난 후 밸브장치(50)의 난방관(33)에서 난방 모세관(31)과 난방 체크밸브(32)를 통하여 제1 연결관(15)에서 제1 응축기(14)에 공급된다.
상기 제1 응축기(14)는 제1 냉동판 작용을 통하여 설정된 온도로 변환되도록 하고, 응축 연결관(13)으로 변환된 온도의 가스를 공급하여 4관 변(12)으로 공급된 후 상기 4관 변(12)에서 유입관(27)을 통하여 모터펌프(10)로부터 건조기로 공급되는 과정을 통하여 난방 상태를 통한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냉장, 난방 및 제습 작용을 필요로 하는 경우 이를 4관 변(12)에서 서로 다른 공급 과정을 통하여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여 건조기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냉동 모세관(20)과 난방 모세관(31)은 체적이 감소하는 것을 보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온도가 낮아지는 경우에도 가스의 추가 공급 없이 정량유지가 되도록 하는 것이어서 가스의 부족분을 보정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정상적인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내부에서 온도와 습도가 조절된 가스 또는 공기는 송풍횐이 연결된 송풍관에 일정한 간격으로 송풍 노즐을 형성하여 건조실에 균일하게 가스 또는 공기를 공급하여 감을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건조 체크밸브(18)와 난방 체크밸브(32) 및 공급 체브밸브(30)는 한 방향으로만 가스 또는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고,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가스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이며, 건조 전자변(17)과 냉동 전자변(21) 및 공급 전자변(29)은 어느 한쪽 방향으로만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 제습 전자변(23)은 양쪽으로 모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박피한 감을 건조실에 공급하여 건조기의 구동으로 곶감의 출하 일자에 맞추어 온도와 습도를 설정하면 냉장, 난방, 제습을 통해 자동 컨트롤 되면서 안정되고 정확한 건조에 의한 최상품의 곶감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응축기에서 밸브장치를 통하여 제2 응축기 및 제3 응축기의 제습판 작용을 통하여 제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1 응축기의 제1 냉동판 작용을 통하여 밸브장치에서 제2 응축기로 공급되어 온도를 조절하는 냉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제3 응축기와 제2 응축기에서 온도를 조절하고 밸브장치에서 제1 응축기로 공급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난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온도와 습도를 최적의 상태로 제어하여 4관 변에서 온도와 습도가 정확하게 유지되어 곶감의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10 : 모터 펌프 11 : 공급관
12 : 4관 변 13 : 응축 연결관
14 : 제1 응축기 15 : 제1 연결관
16 : 건조관 17 : 건조 전자변
18 : 건조 체크밸브 19 : 제2 응축기
20 : 냉동 모세관 21 : 냉동 전자변
22 : 냉동관 23 : 제습 전자변
24 : 제습관 25 : 제3 응축기
26 : 제습 연결관 27 : 유입관
28 : 난방 배출관 29 : 공급 전자변
30 : 공급 체크밸브 50 : 밸브장치

Claims (3)

  1. 콤프레샤와 연결되는 모터 펌프(10)로부터 가스를 4관변(12)으로 공급관(11)에서 공급하고 상기 4관 변(12)과 연결된 유압관(27)으로 공급받아 건조실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곶감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4관 변(12)과 응축 연결관(13)으로 연결하며 제1 냉동판을 겸하는 제1 응축기(14)와;
    상기 제1 응축기(14)와 제1 연결관(15)으로 연결하는 밸브장치(50)와;
    상기 밸브장치(50)와 연결하며 제2 냉동판을 겸하는 제2 응축기(19)와;
    상기 제2 응축기(19)와 연결하며 제습 전자변(23)을 설치한 제습관(24)이 연결되고 제습판을 겸하는 제3 응축기(25)와;
    상기 제2 응축기(19)와 연결하며 공급 전자변(29)과 공급 체크밸브(30)가 설치되고 상기 제3 응축기(25)와 4관 변(12)을 연결한 제습 연결관(26)에 연결되는 난방 배출관(28)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과 난방, 제습용 응축기를 이용한 곶감 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장치(50)는 제1 연결관(15)과 연결하며 건조 전자변(17)과 건조 체크밸브(18)를 연결하고 제2 응축기(19)와 연결되는 건조관(16)과;
    상기 제1 연결관(15)과 연결하며 냉동 전자변(21)과 냉동 모세관(20)을 연결하고 제2 응축기(19)와 연결되는 냉동관(22)과;
    상기 제1 연결관(15)과 연결하며 난방 모세관(31)과 난방 체크밸브(32)를 연결하고 제2 응축기(19)와 연결되는 난방관(3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냉장과 난방, 제습용 응축기를 이용한 곶감 건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장치(50)는 제습시 건조관(16)의 건조 전자변(17)과 건조 체크밸브(18)가 제1 연결관(15)과 연결되며, 냉장시 냉동관(22)의 냉동 전자변(21)과 냉동 모세관(20)이 제1 연결관(15)과 연결되고, 제습시 난방관(33)의 난방 모세관(31)과 난방 체크밸브(32)가 제1 연결관(15)과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과 난방, 제습용 응축기를 이용한 곶감 건조기.
KR1020150093246A 2015-06-30 2015-06-30 냉장과 난방, 제습용 응축기를 이용한 곶감 건조기 KR101729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246A KR101729119B1 (ko) 2015-06-30 2015-06-30 냉장과 난방, 제습용 응축기를 이용한 곶감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246A KR101729119B1 (ko) 2015-06-30 2015-06-30 냉장과 난방, 제습용 응축기를 이용한 곶감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070A KR20170003070A (ko) 2017-01-09
KR101729119B1 true KR101729119B1 (ko) 2017-04-24

Family

ID=57811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246A KR101729119B1 (ko) 2015-06-30 2015-06-30 냉장과 난방, 제습용 응축기를 이용한 곶감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91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596B1 (ko) 2019-02-12 2019-11-29 최양훈 곶감건조기
KR102111586B1 (ko) 2019-11-26 2020-05-15 (주)제이피텍 곶감 건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897B1 (ko) 2010-12-10 2011-12-21 (주)덕산코트랜 저온 저장 가능한 농수산물 제습 건조기
KR101149506B1 (ko) 2011-11-09 2012-05-25 김남희 곶감 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971B1 (ko) 2002-12-14 2005-07-26 전병화 곶감의 제습 건조방법 및 건조장치
KR20090098269A (ko) 2008-03-13 2009-09-17 공상호 제습냉방 겸용 온풍기
KR101085055B1 (ko) 2009-09-15 2011-11-21 김승 곶감건조용 건조기
KR101181529B1 (ko) 2010-03-05 2012-09-13 (주)동일 디엠시 냉온 건조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냉온 건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897B1 (ko) 2010-12-10 2011-12-21 (주)덕산코트랜 저온 저장 가능한 농수산물 제습 건조기
KR101149506B1 (ko) 2011-11-09 2012-05-25 김남희 곶감 건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596B1 (ko) 2019-02-12 2019-11-29 최양훈 곶감건조기
KR102111586B1 (ko) 2019-11-26 2020-05-15 (주)제이피텍 곶감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070A (ko) 201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8267B2 (en) Dryer having a heat pump,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nd method for air conditioning a room
CN108692405B (zh) 空调设备和空调设备的控制方法
CN102560986A (zh) 具有调节热泵负荷功能的洗干一体机及其烘干控制方法
CN107560397A (zh) 一种基于多级热泵串联的多层带式干燥系统
KR101869320B1 (ko) 축냉수조와 축열수조가 겸비된 히트펌프를 구비한 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
KR102368407B1 (ko) 농축수산물용 신선도유지를 위한 저장고 냉풍건조장치
CN106123504A (zh) 果脯烘干装置及其烘房
KR20130019881A (ko) 저온냉풍제습방식 고추 건조장치
KR101729119B1 (ko) 냉장과 난방, 제습용 응축기를 이용한 곶감 건조기
KR101317086B1 (ko)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
CN109405526A (zh) 一种自调式除湿烘干热泵的控制系统及方法
CN106135623A (zh) 果脯烘干方法
CN107246767A (zh) 一种部分空气除湿干燥分体式热泵干燥系统
CN107975958B (zh) 一种空调机组及其除湿热氟化霜控制方法
KR20180067069A (ko) 냉온풍 제습 건조기
KR101226451B1 (ko) 대형창고의 양방향 제습건조시스템
KR101756099B1 (ko) 지열원 열펌프열풍건조기
KR20090131562A (ko) 응축기 발생열을 이용한 건조장치
CN103911826A (zh) 一种带调温功能的热泵式节能衣物烘干装置
RU2372781C2 (ru) Теплонасос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вяления рыбы
KR101874688B1 (ko) 농수산물용 건조장치
KR101570763B1 (ko) 저온 및 냉동 저장이 가능한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1795770B1 (ko) 히트펌프를 이용한 진공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
KR101760331B1 (ko) 제습 건조기
JP2019083697A (ja) 温度調節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